KR20120015196A - 서스펜션용 부시 - Google Patents

서스펜션용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196A
KR20120015196A KR1020100077509A KR20100077509A KR20120015196A KR 20120015196 A KR20120015196 A KR 20120015196A KR 1020100077509 A KR1020100077509 A KR 1020100077509A KR 20100077509 A KR20100077509 A KR 20100077509A KR 20120015196 A KR20120015196 A KR 20120015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spension
outer pipe
bush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배
이상훈
볼프강 사우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196A/ko
Publication of KR2012001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용 부시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체의 멤버류에 서스펜션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아웃터 파이프와, ⅱ)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측에 배치되는 금속 소재의 인너 파이프와, ⅲ)상기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과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양부에 플랜지부를 각각 형성하며, 어느 하나의 상기 플랜지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작용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스펜션용 부시 {BUSH FOR SUSPENSION}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멤버류에 서스펜션을 장착하기 위한 플라스틱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은 승차감 및 주행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써, 주로 차체를 차륜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륜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억제하거나 또는 신속하게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서스펜션에는 일 예로서 차륜을 차체(서브 프레임)에 연결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워 암이 사용되며, 이 로워 암에는 부시유닛이 장착되어 불규칙한 노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켜 차량의 진동전달 특성이나 차량의 승차감 및 조종 안정성의 개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부시유닛은 주행 중, 타이어를 통해 들어오는 횡력, 전후력, 및 상하력을 지지하여 그 충격력을 흡수함으로써, 타이어의 이상거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 기술에서 부시유닛은 외통을 형성하는 금속 소재의 아웃터 파이프와, 내통을 형성하는 금속 소재의 인너 파이프가 구성되고, 아웃터 파이프와 인너 파이프 사이에는 인슐레이터가 개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부시유닛은 아웃터 파이프와 인너 파이프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근들어 이슈화가 되고 있는 연비 향상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은 금속 부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웃터 파이프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부시유닛이 개시된 바 있으나, 금속 재질 보다 무른 특성 때문에 이탈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차량의 운동 성능 및 안전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차체에 대한 이탈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서스펜션용 부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용 부시는,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체의 멤버류에 서스펜션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아웃터 파이프와, ⅱ)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측에 배치되는 금속 소재의 인너 파이프와, ⅲ)상기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과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양단부에 플랜지부를 각각 형성하며, 어느 하나의 상기 플랜지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작용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스펜션용 부시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마운트 파이프에 압입되며, 상기 마운트 파이프로 압입되는 측의 플랜지부에 상기 작용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용 부시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상기 마운트 파이프에 대한 압입 시, 상기 압입 단부 측의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작용홈들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용 부시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상기 마운트 파이프에 대한 압입 시, 상기 인슐레이터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하 플랜지부가 상기 마운트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용 부시에 의하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아웃터 파이프의 상하단부에 상,하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하부 플랜지부에 다수의 작용홈들을 형성하므로, 서브 프레임의 마운트 파이프에 대한 아웃터 파이프의 이탈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면서도 차량의 운동 성능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차량의 중량을 절감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용 부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용 부시가 서브 프레임 마운트 파이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용 부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용 부시(100)는 차량의 각종 서스펜션 예를 들어 맥퍼슨 타입 서스펜션과 같은 프론트 서스펜션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서스펜션은 서브 프레임(미도시)을 구비하는 바, 이의 양측 전후단에 로어 암(미도시)이 장착되고, 그 로어 암은 너클 암(미도시)과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로어 암은 본 실시예에 의한 부시(100)를 통해 서브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부시(100)는 차량의 주행 중, 타이어를 통해 들어오는 횡력, 전후력, 및 상하력을 지지하여 그 충격력을 흡수함으로써, 타이어의 이상거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서스펜션은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현가장치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서스펜션용 부시(100)는 차량의 고성능 및 고연비 달성에 필수적인 차량의 중량 절감을 도모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경량화 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탈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용 부시(100)는 기본적으로, 아웃터 파이프(10)와, 인너 파이프(40)와, 인슐레이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서스펜션용 부시(100)는 도 1 및 도 3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서브 프레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금속 소재의 마운트 파이프(MP)에 압입되며 장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아웃터 파이프(10)는 양단(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 파이프로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마운트 파이프(MP)의 내경 보다 수mm 작은 내경을 지니고 있다.
상기 인너 파이프(40)는 아웃터 파이프(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터(70)는 고무 부시로서 이루어지며, 인너 파이프(40)의 외주면과 아웃터 파이프(1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부시(100)에 있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10)는 양단부 즉, 도면을 기준할 때 상하 단부에 상,하 플랜지부(11, 12)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11, 12)는 아웃터 파이프(10)의 상하 단부가 외주면 외측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10)는 상,하 플랜지부(11, 12)에 있어 서브 프레임의 마운트 파이프(MP)로 압입되는 측의 플랜지부 즉, 하부 플랜지부(12)에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작용홈들(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용홈들(15)은 하부 플랜지부(12)의 가장자리단으로부터 플랜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용 부시(100)의 장착 과정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인너 파이프(40)의 외주면과 아웃터 파이프(10)의 내주면 사이에 인슐레이터(70)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10)는 플라스틱 자체의 경질성 때문에 인슐레이터(70)의 탄성력에 의해 외주면의 외측 방향으로 팽창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마운트 파이프(MP)에 아웃터 파이프(10)의 하부 플랜지부(12)를 압입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플랜지부(12)에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작용홈들(1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웃터 파이프(10)는 하부 플랜지부(12)가 작용홈들(15)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마운트 파이프(MP)의 내부 중심 방향으로 압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작용홈들(15)이 하부 플랜지부(12)의 오므라드는 탄성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아웃터 파이프(10)는 마운트 파이프(MP)의 개방단을 통해 내부 중심 방향으로 압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웃터 파이프(10)의 상,하 플랜지부(11, 12)는 마운트 파이프(MP)의 양쪽 개방단과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아웃터 파이프(10)는 경질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슐레이터(70)가 마운트 파이프(MP)의 내주면에 의해 압착되므로, 도면에서의 "A" 부분에서와 같이 상,하 플랜지부(11, 12)가 인슐레이터(7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마운트 파이프(MP)의 상하 단부에 밀착되며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용 부시(100)에 의하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아웃터 파이프(10)의 상하 단부에 상,하 플랜지부(11, 12)를 형성하고, 하부 플랜지부(12)에 다수의 작용홈들(15)을 형성하므로, 서브 프레임의 마운트 파이프(MP)에 대한 아웃터 파이프(10)의 이탈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면서도 차량의 운동 성능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차량의 중량을 절감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아웃터 파이프 11... 상부 플랜지부
12... 하부 플랜지부 15... 작용홈
40... 인너 파이프 70... 인슐레이터

Claims (4)

  1.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체의 멤버류에 서스펜션을 장착하기 위한 부시에 있어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아웃터 파이프;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측에 배치되는 금속 소재의 인너 파이프; 및
    상기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과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
    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양단부에 플랜지부를 각각 형성하며, 어느 하나의 상기 플랜지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작용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부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마운트 파이프에 압입되며, 상기 마운트 파이프로 압입되는 측의 플랜지부에 상기 작용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부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상기 마운트 파이프에 대한 압입 시, 상기 압입 단부 측의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작용홈들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부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상기 마운트 파이프에 대한 압입 시, 상기 인슐레이터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하 플랜지부가 상기 마운트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용 부시.
KR1020100077509A 2010-08-11 2010-08-11 서스펜션용 부시 KR20120015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509A KR20120015196A (ko) 2010-08-11 2010-08-11 서스펜션용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509A KR20120015196A (ko) 2010-08-11 2010-08-11 서스펜션용 부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196A true KR20120015196A (ko) 2012-02-21

Family

ID=4583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509A KR20120015196A (ko) 2010-08-11 2010-08-11 서스펜션용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519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2252A (zh) * 2015-12-16 2016-03-16 安徽鼎封橡胶减震技术有限公司 一种防脱落控制臂轴套
KR20180070271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크로스멤버 마운팅 장치
KR102300263B1 (ko) * 2020-06-16 2021-09-10 (주)동희산업 차량용 서스펜션부시 조립체
CN114093585A (zh) * 2021-11-25 2022-02-25 萍乡恒邦电力器材有限公司 一种云母陶瓷绝缘子
KR20230040464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세진솔루션 플랜지형 부시의 제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2252A (zh) * 2015-12-16 2016-03-16 安徽鼎封橡胶减震技术有限公司 一种防脱落控制臂轴套
KR20180070271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크로스멤버 마운팅 장치
KR102300263B1 (ko) * 2020-06-16 2021-09-10 (주)동희산업 차량용 서스펜션부시 조립체
KR20230040464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세진솔루션 플랜지형 부시의 제조장치
CN114093585A (zh) * 2021-11-25 2022-02-25 萍乡恒邦电力器材有限公司 一种云母陶瓷绝缘子
CN114093585B (zh) * 2021-11-25 2024-02-20 萍乡恒邦电力器材有限公司 一种云母陶瓷绝缘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42707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로어아암
KR102453592B1 (ko) Tm마운트의 스토퍼
KR101372085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고무 부시
KR20120015196A (ko) 서스펜션용 부시
KR101479594B1 (ko)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JP2014118094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3978177B2 (ja) ロアアームアセンブリー
KR20150118668A (ko) 트레일링암 부시
JP2008201307A (ja) スタビライザ装置
KR102452684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부시, 인슐레이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3701958B2 (ja) サブフレームのマウントブッシュ
KR20110060562A (ko) 차량용 로어 암 부시유닛
KR101361246B1 (ko) 자동차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KR102383248B1 (ko)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KR102418628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100102323A (ko) 쇽업소버 장착용 브래킷
KR101916050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보강유닛
KR20060115437A (ko)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구조
KR101045930B1 (ko)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100316930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장착구조
KR100456885B1 (ko) 후륜 현가 장치의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KR100471825B1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구조
KR101551953B1 (ko) 트랜스미션마운트의 구조
KR20110139609A (ko) 차량용 로어 암 부시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