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746U -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 Google Patents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746U
KR20100010746U KR2020090004879U KR20090004879U KR20100010746U KR 20100010746 U KR20100010746 U KR 20100010746U KR 2020090004879 U KR2020090004879 U KR 2020090004879U KR 20090004879 U KR20090004879 U KR 20090004879U KR 20100010746 U KR20100010746 U KR 201000107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abilizer
ball seat
ball
lin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우
Original Assignee
삼영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영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영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4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746U/ko
Publication of KR201000107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7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9Joining by deformation
    • B60G2206/82092Joining by deformation by press-f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행중 롤링의 감소를 위한 스테빌라이져 바아를 차체에 설치하기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에 있어 케이스와 볼 시트 사이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제조에 소요되는 부품의 수량을 축소함과 더불어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에 소요되는 작업 공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결로드(1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원통형 케이스(1)와, 상기 한 쌍의 케이스(1)내에 각각 고정되고 내주면에 구형상의 안착홈부(20a)를 형성하는 몸체부(20)를 갖춘 볼 시트(2) 및, 상기 안착홈부(20a)에 수용되는 구형상 머리부(30)를 갖추고서 상기 볼 시트(2)에 피벗지지되는 한 쌍의 볼 스터드(3)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는 일단부에 상기 케이스(1)의 축선에 대해 내경방향을 향해 예각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볼 시트(2)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강제 압입시 상기 걸림 돌기부(12)에 의해 찍혀 상기 케이스(1)로부터 상기 볼 시트(2)의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는 스커트부(22)를 형성한다.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 케이스, 볼 시트, 압입, 돌기

Description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Stabilizer link for mounting stabilizer bar}
본 고안은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 스터드의 구형상 머리부를 피벗지지하는 볼 시트를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조품의 케이스 내부에 압입방식으로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스테빌라이져링크의 조립공정을 보다 간편하게 구현하고 이를 통해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빌라이져 바아(Stabilizer bar)는 자동차의 현가계통에 구비되는 봉형상의 구조물로서, 차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주행중 좌/우측 현가장치에서 발생되는 상대적인 거동 자세의 변화로부터 수반되는 차체의 롤링을 소재가 가지는 롤 강성을 매개로 억제시킴으로써 차체의 거동 자세를 보다 더 안정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테빌라이져 바아는 전체적인 외형이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 도록 절곡되어 차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양측의 선단부위는 각각 로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를 매개로 차체측 로어아암과 같은 아암류 또는 쇽 업소버 등에 고정된다.
즉, 스테빌라이져 바아는 중간측 부위가 부시를 매개로 차체에 지지되고,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양측 선단부위는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타단부는 로어아암 등의 현가계통 부품에 고정된다. 이 경우,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양단부에는 각각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선단부와 현가계통의 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조립 구조물을 갖추고 있는 바, 상기 조립 구조물은 크게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볼 시트 및, 상기 볼 시트의 구형상 안착홈에 피벗지지되는 볼 스터드를 주요 구성부품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는 냉간단조에 의해 제조되는 원통형상의 부품이고, 상기 볼 시트는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플라스틱재의 부품이며, 상기 볼 스터드는 상기 볼 시트에 형성된 안착홈에 피벗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과 선회를 보장받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용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는 제조시 상기 케이스로부터 볼 시트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의 내부에 볼 시트와 볼 스터드를 순차적으로 조립한 다음, 별도의 캡 부재를 설치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캡 부재는 케이스의 일단부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상기 케이스로부터 볼 시트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용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제조에 있 어 상기 캡 부재는 케이스로부터 볼 시트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필수적 구성부품일 뿐만 아니라, 그 위치의 고정을 위해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대한 코오킹 작업이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용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제작공정에서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볼 시트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코오킹 공정이 반드시 요구되는 데,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에 실시되는 코오킹 작업은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전체 제조과정에 있어 공정의 추가로 작용함과 더불어 그에 따른 제작시간의 과다 소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의 상승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종래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용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제조에 있어 상기 케이스로부터 볼 시트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설치되는 별도의 캡 부재도 역시 제조 시간 및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행중 롤링의 감소를 위한 스테빌라이져 바아를 차체에 설치하기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에 있어 케이스와 볼 시트 사이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제조에 소요되는 부품의 수량을 축소함과 더불어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스테빌라이져링크 제조 조립작업 공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결로드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한 쌍의 케이스 내에 각각 고정되고 내주면에 구형상의 안착홈부를 형성하는 몸체부를 갖춘 볼 시트 및, 상기 안착홈부에 수용되는 구형상 머리부를 갖추고서 상기 볼 시트에 피벗지지되는 한 쌍의 볼 스터드를 포함하는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단부에 상기 케이스의 축선에 대해 내경방향을 향해 예각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 시트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강제 압입시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밀착되고, 상기 걸림 돌기부에 의해 찍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볼 시트의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는 스커트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걸림 돌기부는 상기 케이스의 반경방향 중심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방사상으로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부는 상기 케이스의 반경방향 중심을 향해 상호 평행하게 대향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자유단부에서 직선의 형태로 마감되는 엣지형태의 컷팅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몸체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중 일부 구간에 걸쳐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일단부에 더스트 커버와의 조립시 상기 더스트 커버의 이탈을 억제하는 제1돌출턱과 상기 케이스에 대해 압입의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2돌출턱을 각각 원주상으로 단차지게 형성하는 확경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에 의하면, 케이스의 내주면에 걸림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에 볼 시트를 강제 압입의 의한 압입공정을 통해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하여 케이스로부터 볼 시트의 이탈 및 회전을 각각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제조에 소요되는 부품의 수량을 축소함과 더불어 제조 공정의 단순화에 따른 조립 생산성의 향상 및 작업성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는 구성부품의 축소에 따른 생산원가의 절감을 통해 타사 제품과의 가격 경쟁력에 있어 우위를 확보할 수 있고, 저 생산비용에 따른 에너지의 절감을 통해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용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는 원통형상의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각각 강 제 압입으로 고정되는 볼 시트(2), 상기 볼 시트(2)에 피벗지지되는 볼 스터드(3) 및, 상기 볼 스터드(3)에 조립되어 상기 볼 시트(2)와 상기 볼 스터드(3)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냉간단조에 의해 제조되고 연결로드(10)의 양측 선단부위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연결로드(10)는 양단부에 한 쌍의 케이스(1)를 결합하고, 상기 한 쌍의 케이스(1)내에 상기 볼 시트(2)가 각각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볼 시트(2)에 상기 볼 스터드(3)가 각각 피벗지지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볼 스터드(3)에 상기 더스트 커버(4)가 각각 조립된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1)는 일단부에 내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걸림 돌기부(12)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 돌기부(12)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상기 볼 시트(2)가 강제 압입으로 조립후 상기 케이스(1)로부터 상기 볼 시트(2)의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볼 시트(2)는 플라스틱과 같은 연성 소재로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 돌기부(12)에 의해 고정되는 스커트부(22)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20)는 외주면중 일부 구간에 걸쳐 상기 케이스(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 내부에 상기 볼 스터드(3)의 구형상 머리부(30)를 수용하는 안착홈부(20a)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더스트 커버(4)와의 조립시 더스트 커버(4)의 이탈을 억제하는 제1돌출턱(24a)과, 상기 케이스(1)에 대한 상기 몸체부(20)의 압입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2돌출턱(24b)을 각각 단차진 형태 의 확경부(24)를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스커트부(22)는 상기 몸체부(20)의 외경방향으로 직선의 형태로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1)의 내주면에 대해 밀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몸체부(20)와 함께 상기 케이스(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특히 상기 스커트부(22)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로 상기 볼 시트(2)의 강제 압입시 상기 걸림 돌기부(12)에 의해 찍혀 소재의 소성변형을 수반하고, 소성 변형된 부위는 상기 걸림 돌기부(12)가 형성하는 공간 속으로 파묻히게 됨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부(12)와 상기 스커트부(22)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서 상기 몸체부(20)의 강제 압입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은 물론 상기 케이스(1)에 대한 상기 볼 시트(2)의 회전까지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볼 스터드(3)는 상기 볼 시트(2)의 안착홈부(20a)에 수용되는 구형상 머리부(30)를 갖춤과 더불어, 상기 구형상 머리부(3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상기 더스트 커버(4)를 외주에 끼워 지지하는 나사 체결부(32)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나사 체결부(32)는 상기 볼 스터드(3)를 상대 부품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나사 체결부(32)에는 상기 더스트 커버(4)의 이탈을 제한하며 상대부품과의 조립시 스토퍼 기능을 하기 위한 너트(34)가 체결된다.
상기 더스트 커버(4)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상기 볼 시트(2)의 강제 압입후 상기 볼 시트(2)의 내부에 상기 볼 스터드(3)의 조립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볼 스터드(3)의 외주에 끼워지는 바, 이때 상기 더스트 커버(4)는 상기 볼 시트(2)의 안착홈부(20a)와 상기 볼 스터드(3)의 구형상 머리부(30) 사이의 접촉부위로 이 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용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에 있어, 주요 구성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1)에 형성된 상기 걸림 돌기부(12)와, 상기 볼 시트(2)를 구성하는 상기 몸체부(20)와 상기 스커트부(22) 사이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걸림 돌기부(12)는 상기 케이스(1)의 축선에 대해 내경방향을 향해 대체로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일종의 미늘 형태의 돌출 구조물로서 상기 케이스(1)와 상기 볼 시트(2) 사이의 강제 압입에 의한 조립시 상기 케이스(1)로부터 상기 볼 시트(2)의 스커트부(22)에 대한 이탈 및 회전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이때, 상기 걸림 돌기부(12)는 이의 자유단부가 상기 케이스(1)에 대한 상기 볼 시트(2)의 강제 압입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상기 볼 시트(2)의 강제 압입후, 상기 볼 시트(2)의 스커트부(22)는 상기 걸림 돌기부(12)에 의해 찍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커트부(22)는 소재의 소성변형이 수반되며, 소성 변형된 부위는 상기 걸림 돌기부(12)가 형성하는 공간내에 파묻히게 되어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서 상기 볼 시트(2)의 스커트부(22)가 강제 압입후 이탈은 물론 회전까지도 구속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볼 시트(2)의 외주면중 일부 구간에 걸쳐 상기 케이스(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부(22)는 상기 몸체부(20)에서 상기 볼 시트(2)의 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면서 상기 케이스(1)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부(12)는 상기 케이스(1)의 반경방향 중심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케이스(1)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방사상으로 다수로 형성되는 바, 특히 각각의 걸림 돌기부(12)는 상기 케이스(1)의 반경방향 중심을 향해 상호 평행하게 대향되는 측면부(12a)와, 상기 측면부(12a)의 자유단부에서 직선의 형태로 마감되는 엣지형태의 컷팅면(12b)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 돌기부(12)의 컷팅면(12b)은 상기 스커트부(22)의 소재를 파고 들어가는 데 주된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걸림 돌기부(12)의 측면부(12a)는 상기 케이스(1)내에 상기 볼 시트(2)의 강제 압입후 상기 스커트부(22)의 회전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컷팅면(12b)은 상기 스커트부(22)를 보다 용이하게 파고 들어가서 상기 케이스(1)로부터 상기 볼 시트(2)의 이탈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측면부(12a)는 상기 스커트부(22)를 파고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로부터 상기 볼 시트(2)의 회전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걸림 돌기부(12)의 형상에 있어, 상기 측면부(12a)는 상기 케이스(1)의 반경방향 중심을 향해 예각의 경사지게 형성되어 자유단부가 뾰족한 형태의 컷팅면(12b)을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그 외 다른 형태로서 일종의 절삭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형상물이라면 어느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용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는 원통형상으로 냉간단조에 의해 제작되는 케이스(1)에 대해 플라스틱재의 사출 성형품인 볼 시트(2)를 압입공정을 통한 강제 압입으로 결합 하고, 상기 볼 시트(2)의 안착홈부(20a)에 볼 스터드(3)의 구형상 머리부(30)를 조립한 다음 상기 볼 시트(2)에 더스트 커버(4)를 씌워 너트(34)로 고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상기 볼 시트(2)의 강제 압입시 상기 볼 시트(2)의 스커트부(22)는 상기 케이스(1)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12)에 의해 찍혀 고정됨으로써, 압입후 상기 볼 시트(2)는 상기 케이스(1)에 대해 이탈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회전까지도 제한받을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볼 시트(2)의 안착홈부(20a)는 상기 볼 스터드(3)의 구형상 머리부(30)를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피벗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일련의 상호 작용은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설치부위에 있어 상기 케이스(1)가 설치되는 부위와 상기 볼 스터드(3)가 설치되는 부위에 대한 상대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상기 케이스(1)에 상기 볼 시트(2)의 조립후 상기 케이스(1)로부터 상기 볼 시트(2)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해 별도의 캡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용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조립 공정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제작시 소요되는 부품의 수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종래 상기 케이스(1)로부터 상기 볼 시트(2)의 조립후 이탈을 제한하기 위해 캡 부재의 조립시, 상기 케이스(1)로부터 캡 부재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의 일단부를 코오킹하는 공정이 폐지될 수 있으므로,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제작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제조에 있어 소요 공정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종래에 비해 보다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용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에 있어, 상기 볼 시트(2)의 몸체부(20)에 형성된 안착홈부(20a)와 상기 볼 스터드(3)의 구형상 머리부(30) 사이의 접촉부위에는 그리스가 도포되고, 상기 더스트 커버(4)의 내부에도 상기 안착홈부(20a)와 상기 구형상 머리부(30)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스가 도포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스테빌라이져링크의 일측 부위만을 반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일측 부위에 대한 저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테빌라이져링크 조립체의 일측 부위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케이스 2-볼 시트
3-볼 스터드 4-더스트 커버
10-연결로드 12-걸림 돌기부
20-몸체부 22-스커트부
24-확경부 30-구형상 머리부
32-나사 체결부 34-너트

Claims (4)

  1. 연결로드(1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원통형 케이스(1)와, 상기 한 쌍의 케이스(1)내에 각각 고정되고 내주면에 구형상의 안착홈부(20a)를 형성하는 몸체부(20)를 갖춘 볼 시트(2) 및, 상기 안착홈부(20a)에 수용되는 구형상 머리부(30)를 갖추고서 상기 볼 시트(2)에 피벗지지되는 한 쌍의 볼 스터드(3)를 포함하는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일단부에 상기 케이스(1)의 축선에 대해 내경방향을 향해 예각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볼 시트(2)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강제 압입시 상기 걸림 돌기부(12)에 의해 찍혀 상기 케이스(1)로부터 상기 볼 시트(2)의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는 스커트부(2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부(12)는 상기 케이스(1)의 반경방향 중심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기 케이스(1)의 내주면 전 둘레에 걸쳐 방사상으로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부(12)는 상기 케이스(1)의 반경방향 중심을 향해 상호 대향 되는 측면부(12a)와, 상기 측면부(12a)의 자유단부에서 직선의 형태로 마감되는 컷팅면(12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는 일단부에 더스트 커버(4)와의 조립시 상기 더스트 커버(4)의 이탈을 억제하는 제1돌출턱(24a)과 상기 케이스(1)에 대한 상기 볼 시트(2)의 압입의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2돌출턱(24b)을 각각 원주상으로 단차지게 형성하는 확경부(24)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KR2020090004879U 2009-04-23 2009-04-23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KR201000107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879U KR20100010746U (ko) 2009-04-23 2009-04-23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879U KR20100010746U (ko) 2009-04-23 2009-04-23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746U true KR20100010746U (ko) 2010-11-02

Family

ID=4420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879U KR20100010746U (ko) 2009-04-23 2009-04-23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74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343B1 (ko) 2017-12-15 2018-08-07 김용로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링크
KR102042813B1 (ko) 2019-05-30 2019-11-08 최재영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결합을 위한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343B1 (ko) 2017-12-15 2018-08-07 김용로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링크
KR102042813B1 (ko) 2019-05-30 2019-11-08 최재영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결합을 위한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6402B2 (ja) スタビリ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438493B2 (en) Cross axis ball and socket joint with sealing ring for cross axis sleeve ends
US20100014793A1 (en) Bearing arrangement, particularly of a vehicle seat
US8851785B1 (en) Ball joint
JP2006103570A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20160166064A1 (en) Headrest support structure
JPH09280298A (ja) マウントインシュレータ
EP2562434B1 (en) Ball stud, dust cover, and stabilizer link
US9909616B2 (en) Ball joint
KR20100010746U (ko)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JP2007309352A (ja) スラスト軸受
CN107009833B (zh) 具有可旋转内部元件的衬套及具有所述衬套的稳定杆组件
KR20170036456A (ko) 차량용 링크
JP2006264560A (ja) サスペンションロッド構造
JP2011052730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KR101734253B1 (ko) Ctba 부시
WO2016043226A1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ハウジング
JP2001322413A (ja) ゴムストッパー
JP2002103941A (ja) スタビライザリンク
KR100660272B1 (ko) 자동차용 로어암 어셈블리와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구조
JP3549056B2 (ja) スタビライザ用ボールジョイント
JP2006264425A (ja) サスペンション用アッパサポ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懸架装置
CN212447008U (zh) 一种控制臂衬套装配组件
KR20050038705A (ko) 자동차용 스테이빌라이저 링크
JP6179381B2 (ja) スタビライザー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