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369Y1 - 부시 - Google Patents
부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47369Y1 KR200147369Y1 KR2019950033067U KR19950033067U KR200147369Y1 KR 200147369 Y1 KR200147369 Y1 KR 200147369Y1 KR 2019950033067 U KR2019950033067 U KR 2019950033067U KR 19950033067 U KR19950033067 U KR 19950033067U KR 200147369 Y1 KR200147369 Y1 KR 2001473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h
- pipe
- present
- inner pipe
- spring r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 장착용 브라켓 어셈블리 등에서 각 부품을 고정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부쉬(BUSH)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직각 방향의 스프링율을 높이는 반면 축방향과 비틀림, 굽힘방향의 스프링율을 낮추어 충분한 완충작용으로 차량의 승차감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한 개선된 구조의 부쉬에 관한 것이다.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내측 파이프(1)의 대략 중앙부위에 소망의 판스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만곡판(4)을 복수개 설치하여 돌출부위를 구성하고 나서, 이러한 내측 파이프(1)를 다시 외측 파이프(2)에 삽입한 다음, 상기 내외측 파이프(1)(2) 사이에 고무부재(3)를 충진시켜서 되는 본 고안은, 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스프링율을 향상시켜 외부 진동에 대한 효과적인 충격흡수는 물론, 축방향과 비틀림, 굽힘방향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켜 내구성을 높이는 데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어 차량의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등 여러가지의 잇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일반적인 부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종래의 부쉬 구조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본 고안의 부쉬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측 파이프 2 : 외측 파이프
3 : 고무부재 4 : 만곡판
5 : 완충공간
본 고안은 엔진 장착용 브라켓 어셈블리 등에서 각 부품을 고정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부쉬(BUSH)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직각 방향의 스프링율을 높이는 반면 축방향과 비틀림, 굽힘방향의 스프링율을 낮추어 충분한 완충작용으로 차량의 승차감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한 개선된 구조의 부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쉬는, 마찰이나 부식을 방지하며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구멍 끼워져 설치되는 얇은 원통부재를 일컫는 것으로써, 이는 엔진이나 현가장치등을 차체바디 또는 크로스멤버에 마운팅하여 외부로 부터의 층격을 흡수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쉬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측 파이프(1)가 외측 파이프(2)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부재(3)가 결합시 강하게 결착되도록 하기 위해 내측 파이프(1)의 중앙에 벤딩돌륜부(1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부시는, 내측 파이프(1) 제작시 벤딩돌륜부(1a)를 일체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제작공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스프링율이 떨어지고, 충분한 완충작용을 하지 못해 차량의 승차감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서, 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스프링율을 높일수 있음은 물론, 축방향과 비틀림, 굽힘방향에 대하여는 각기 스프링율을 낮추어 충분한 완충효과와 내구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이들 내외측 파이프 사이에 고무부재를 개재시켜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하되, 상기 내측 파이프의 중앙 외주면에는 평행한 복수개의 만곡판을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제3도는 본 고안의 개량된 부쉬구조를 나타낸 종단면 예시도로써, 본 고안에 따르면 내측 파이프(1)와 외측 파이프(2) 모두가 가공이 용이한 통상의 파이프로 이루어 진다.
내경이 서로 다른 상기 내외측 파이프(1)(2) 사이에는 고무부재(3)가 개재되는 것으로서 이같은 고무부재(3)로 감싸이는 상기 내측 파이프(1)의 중앙 외주면에는 평행한 복수개의 만곡판(4)을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다.
이때 상기 만곡판(4)은, 그 양측 단부만이 내측 파이프(1) 외주연에 선택적으로 용착되도록 구성하며, 용착되지 아니한 중앙의 융기부 내면에는 소망의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같은 만곡판(4)은 바람직하게 판상의 스프링 부재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말해, 판스프링 구조로 성형되는 상기 만곡판(4)은 내외측 파이프(1)(2) 사이에 충진되는 고무부재(3)를 견고히 결합하는 동시에 만곡판(4)의 융기부 내면 및 만곡판(4)이 설치되지 아니한 공간부에도 고무부재(3)가 충분히 채워지게 되는 것이므로 부쉬 전체면에 걸쳐 일정한 탄성영역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고무부재(3)의 완충효과에 더하여 만곡판(4)이 보유하는 스프링 효과를 부가하여 줌으로서 완충의 효과는 배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내측 파이프(1)의 외주연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되는 상기 만곡판(4)은 또한 그 폭과 길이 그리고 배치방법을 달리함에 따라 다양한 완충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후술될 등록 청구범위의 정신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내측 파이프(1)의 대략 중앙부위에 소망의 판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지는 만곡판(4)을 복수개 설치하여 돌출부위를 구성하고 나서, 이러한 내측 파이프(1)를 다시 외측 파이프(2)에 삽입한 다음, 상기 내외측 파이프(1)(2) 사이에 고무부재(3)를 충진시켜 구성되는 본 고안의 부쉬는, 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스프링율을 향상시켜 외부 진동에 대한 효과적인 충격흡수는 물론, 축방향과 비틀림, 굽힘방향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켜 내구성을 높이는 데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어 차량의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등 여러가지의 잇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로 이루어 지며 이들 내외측 파이프 사이에 고무부재를 개재시켜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하되, 상기 내측 파이프의 중앙 외주면에는 독립된 복수개의 만곡판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판이, 그 양측 단부만을 내측 파이프 외주연에 선택적으로 용착한 판상의 스프링 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양측 단부가 내측 파이프 외주연에 선택적으로 용착되는 상기 만곡판은, 용착되지 아니한 중앙의 융기부 내면에 소망의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33067U KR200147369Y1 (ko) | 1995-11-10 | 1995-11-10 | 부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33067U KR200147369Y1 (ko) | 1995-11-10 | 1995-11-10 | 부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24479U KR970024479U (ko) | 1997-06-20 |
KR200147369Y1 true KR200147369Y1 (ko) | 1999-06-15 |
Family
ID=1942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33067U KR200147369Y1 (ko) | 1995-11-10 | 1995-11-10 | 부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47369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5509A (ko) * | 2000-08-22 | 2002-02-28 | 이계안 | 차량용 엔진 마운트 |
KR20020043712A (ko) * | 2000-12-04 | 2002-06-12 | 이계안 | 엔진의 마운팅 구조 |
-
1995
- 1995-11-10 KR KR2019950033067U patent/KR20014736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24479U (ko) | 1997-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13990A (en) | Bushing structure in a vehicle suspension system | |
KR940008001B1 (ko) | 이중충격흡수 장착부 | |
US6425576B1 (en) | Suspension arm bushing of vehicle | |
US4121813A (en) | Vibration control bush assembly | |
KR200147369Y1 (ko) | 부시 | |
JP4283853B2 (ja) | リンク装置 | |
KR100456887B1 (ko) | 자동차의 트레일링암부시 어셈블리 | |
KR100448784B1 (ko) |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 |
KR950006213A (ko) | 자동차 엔진의 마운트 구조 | |
KR200179256Y1 (ko) | 판스프링 장착구조 | |
JP7457635B2 (ja) | 防振装置 | |
KR100461419B1 (ko) | 자동차의 트레일링 암 | |
KR19980029932U (ko) | 댐핑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토션바 브라켓 | |
KR100305800B1 (ko) | 차량의 서스펜션 부쉬 | |
KR0140673Y1 (ko) | 댐핑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토션 바 | |
KR100192283B1 (ko) |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 |
KR100204901B1 (ko)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암 부시 | |
KR200149903Y1 (ko) | 인터파이프형 러버부시 | |
KR200187363Y1 (ko) | 판스프링 장착용 새클핀구조 | |
KR20020078282A (ko) |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 |
KR20030018093A (ko) | 현가장치의 어퍼암 | |
KR100440308B1 (ko) | 자동차 쇽업소버 케이스의 어퍼암 장착부 구조 | |
KR19980029931U (ko) | 댐핑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토션 바 | |
JPH0213695Y2 (ko) | ||
JP2008223947A (ja) | ブッシュ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