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283B1 -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283B1
KR100192283B1 KR1019960035599A KR19960035599A KR100192283B1 KR 100192283 B1 KR100192283 B1 KR 100192283B1 KR 1019960035599 A KR1019960035599 A KR 1019960035599A KR 19960035599 A KR19960035599 A KR 19960035599A KR 100192283 B1 KR100192283 B1 KR 10019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vehicle
leaf spring
axle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083A (ko
Inventor
박형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3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283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2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시에 새시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진동을 신속하게 감소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주요 구성품인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쇽업소버를 장착하기 위해서 적용되는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쇽업소버의 장착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해져서 자동차의 설계상 많은 자유도를 갖게 됨으로써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설계가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프스프링(6)의 중간 상부에는 액슬(7)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액슬(7)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액슬(7)과 상기 리프스프링(6) 전체의 하부를 하나의 U-볼트(8)로 감싸서 차체에 고정하고, 상기 리프스프링(6)의 타측 둘레에는, 상기 리프스프링(6)을 둘러싸는 한편 수직으로 세워진 쇽업소버고정판(9)을 구비한 쇽업소버 브라켓(10)을 설치하며, 또한 상기 쇽업소버 브라켓(10)의 쇽업소버고정판(9)에는 쇽업소버 장착구조를 제공해준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면(a)는 그 설치상태도 또한 도면(b)는 도면(a)의 A-A선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설치상태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리프스프링 7 : 액슬
8 : U-볼트 9 : 쇽업쇼버고정판
10 : 쇽업소버 브라켓 11 : 쇽업소버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시에 새시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진동을 신속하게 감소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주요구성부품인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쇽업소버를 장착하기 위해서 적용되는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면(a)는 그 설치상태도이며 또한 도면(b)은 도면(a) A-A선 단면도이다. 참조번호 1은 리프스프링을 지시한다. 상기 리프스프링(1)의 상부에는 액슬(2)이 지지되어 있는 한편 상기 리프스프링(1)의 하부에는 쇽업소버 브라켓(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액슬(2), 상기 리프스프링(1) 및 상기 쇽업소버 브라켓(3)은 U-볼트(4)가 전체의 하부를 감싼상태에서 차체(미도시)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쇽업소버 브라켓(3)에는 쇽업소버(5)가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의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에 의하면, 쇽업소버의 장착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서 자동차의 설계상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쇽업소버의 장착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해져서 자동차의 설계상 많은 자유도를 갖게됨으로써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설계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프스프링의 중간상부에는 액슬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액슬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액슬과 상기 리프스프링 전체의 하부를 하나의 U-볼트로 감싸서 차체에 고정하고, 상기 리프스프링의 타측둘레에는, 상기 리프스프링을 둘러싸는 한편 수직으로 세워진 쇽업소버고정판을 구비한 쇽업소버 브라켓을 설치하며, 또한 상기 쇽업소버 브라켓의 쇽업소버고정판에는 쇽업소버의 하단부를 고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를 제공해준다.
전술한 구성의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에 의하면, 쇽업소버의 장착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해져서 자동차의 설계상 많은 자유도를 갖게됨으로써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설계가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설치상태도이며 또한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B-B선 단면도이다.
참조번호 6은 리프스프링을 지시한다. 상기 리프스프링(6)의 중간상부에는 액슬(7)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액슬(7)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액슬(7)과 상기 리프스프링(6) 전체의 하부를 U-볼트(8)로 감싸서 차체(미도시)에 고정한다.
한편, 상기 리프스프링(6)의 타측둘레에는, 상기 리프스프링(6)을 둘러싸는 한편 양선단이 이격되어 대향되는 쇽업소버고정판(9)을 구비한 쇽업소버 브라켓(10)을 설치한다. 한편, 상기 쇽업소버 브라켓(10)의 쇽업소버고정판(9)에는 쇽업소버(11)의 하단부를 고정해준다. 상기 쇽업소버 브라켓(10)의 위치는 자유롭게 정해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쇽업소버 브라켓(10)의 쇽업소버고정판(9)과 쇽업소버(11)의 하단부 사이에는 부쉬(12)를 개재시켜 결합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장착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져서 자동차의 설계상 많은 자유도를 갖게 됨으로써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설계가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2)

  1. 자동차의 리프스프링(6)의 중간상부에는 액슬(7)이 지지하는 한편, 상기 액슬(7)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액슬(7)과 상기 리프스프링(6)전체의 하부를 하나의 U-볼트(8)로 감싸서 차체에 고정하고, 상기 리프스프링(6)의 타측둘레에는, 상기 리프스프링(6)을 둘러싸는 한편 양선단이 이격되어 대향되는 쇽업소버고정판(9)을 구비한 쇽업소버브라켓(10)을 설치하며, 또한 상기 쇽업소버 브라켓(8)의 쇽업소버고정판(9)에는 쇽업소버(11)의 하단부를 고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 브라켓(10)의 쇽업소버고정판(9)과 쇽업소버(11)의 하단부 사이에는 부쉬(12)가 개재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KR1019960035599A 1996-08-27 1996-08-27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KR10019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599A KR100192283B1 (ko) 1996-08-27 1996-08-27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599A KR100192283B1 (ko) 1996-08-27 1996-08-27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83A KR19980016083A (ko) 1998-05-25
KR100192283B1 true KR100192283B1 (ko) 1999-06-15

Family

ID=1947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599A KR100192283B1 (ko) 1996-08-27 1996-08-27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5263A (zh) * 2014-07-24 2014-10-08 江苏汤臣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50t新型轻量化汽车板簧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5263A (zh) * 2014-07-24 2014-10-08 江苏汤臣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50t新型轻量化汽车板簧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83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6335B2 (ko)
KR1001922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JPH0747828A (ja) 懸架装置の板ばねの共振振動を吸収する方法及び装置
JP3822292B2 (ja) 車両用懸架装置のダンパマウント
KR200230044Y1 (ko) 쇽업소버
KR100199744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그
KR200156646Y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200147379Y1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KR19990043216A (ko) 판 스프링과 에어 스프링이 적용된 버스의 현가장치
KR20000013586U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200253629Y1 (ko) 차량의리프스프링장착구조
KR100259701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KR100217587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 장착구조
KR100456967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고정구조
KR100325734B1 (ko)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개선하는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
KR200146414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9980040293U (ko) 자동차용 로워 아암 마운팅 구조
KR0126057Y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KR10022449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200158671Y1 (ko) 자동차용 리어서스페션 구조
KR100199945B1 (ko) 이중 스트럿 마운트를 구비한 프론트 현가장치
KR0139694Y1 (ko) 자동차의 가변형 스트럿 바
KR100341750B1 (ko) 차량용현가장치
KR100461419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 암
KR19990020990U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