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734B1 -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개선하는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개선하는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734B1
KR100325734B1 KR1019990025979A KR19990025979A KR100325734B1 KR 100325734 B1 KR100325734 B1 KR 100325734B1 KR 1019990025979 A KR1019990025979 A KR 1019990025979A KR 19990025979 A KR19990025979 A KR 19990025979A KR 100325734 B1 KR100325734 B1 KR 10032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engine room
rubber
vehicle
spr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5179A (ko
Inventor
손영선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2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7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5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차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는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충격흡수기(1)의 상부를 감싼 범퍼 스토퍼(2)가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3)와 보울트(4) 체결방식으로 고정 체결되고, 이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3)둘레에는 상부 스프링 시트(5a)가 설치되며, 이 상부 스프링 시트(5a)와 코일 스프링(6)이 고무패드(7)를 매개로 설치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5b)는 베어링(8)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개선하는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Strut top mount structure in engine roo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어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차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는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에서 유입되는 저주파 진동과 고주파 잔진동들을 분리시켜 효과적으로 흡수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개선된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엔진룸의 양쪽으로는 댐퍼 형태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러한 댐퍼 형태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의 종래 구조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기(101)의 상단부에는 범퍼 스토퍼(102)가 스프링 시트(105)에 안착되어 베어링(108)을 사이에 두고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103)와 보울트 및 너트 체결방식으로 고정되되, 이 충격 흡수기(101)의 바깥을 동심원적으로 감싸는 방식으로 코일 스프링(106)이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105)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106)을 통하여 전달되는 저주파 진동과 충격 흡수기(10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주파 잔진동의 전달경로가 이 스트러트 탑 마운트의 범퍼 스토퍼(102)로 직접 전달되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코일 스프링(106)의 반력에 대한 내구성 유지를 위해서 상기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103)의 경로를 딱딱한 구조로 채택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상기 충격 흡수기(101)를 통하여 전달되는 고주파 잔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절연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코일 스프링과 충격흡수기를 통하여 전달되는 각종 진동들의 전달경로를 분리시키어 효과적으로 절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개선한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구조로서, 도 1의 대응되는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충격흡수기 2 - 범퍼 스토퍼
3 -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 4 - 보울트
5a - 상부 스프링 시트 5b - 하부 스프링 시트
6 - 코일 스프링 7 - 고무 패드
8 - 베어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격 흡수기를 그 상부에서 감싼 범퍼 스토퍼가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와 보울트 체결방식으로 고정되고, 이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 둘레에는 상부 스프링 시트가 설치되며, 코일 스프링은 고무패드를 매개로 하부 스프링 시트에 접촉 설치되되, 이 상부 및 하부 스프링 시트들은 베어링을 매개로 연결 설치됨에 따라 상기 코일 스프링과 충격흡수기를 통하여 전달되는 저주파와 고주파 잔진동의 전달 경로가 분리 흡수되어 차량의 엔진룸에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절연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엔진룸에 설치되는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기(1)의 상부를 감싼 범퍼 스토퍼(2)가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3)와 보울트(4) 체결방식으로 고정 체결되고, 이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3) 둘레에는 상부 스프링 시트(5a)가 설치되며, 이 상부 스프링 시트(5a)와 코일 스프링(6)이 고무패드(7)를 매개로 설치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5b)는 베어링(8)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6)을 통하여 전달되는 저주파가 이 코일 스프링(6)과 직접 접촉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5b)의 고무패드(7)에서 충분히 절연되어 흡수됨에 따라, 이 스프링 반력이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3)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된다.즉, 본 발명은 상기 코일스프링(6)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고무패드(7)을 통하여 하부 스프링 시트(5b)와 상부 스프링 시트(5a)를 거쳐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3)에 전달되는 과정과, 충격흡수기(1)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은 범퍼 스토퍼(2)를 거쳐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3)로 전달 되는데, 전자인 코일스프링(6)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고무패드(7)에서 거의 흡수되는 한편,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3)는 단지 충격흡수기(1)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만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따라서 충격 흡수기(1)를 통하여 전달되는 고주파만을 단지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3)에서만 전담하게 되어 부품의 내구조건의 만족을 위해 상기 스트러트 마운트 구조를 종래와 같이, 딱딱한 하드 구조로 형성시킬 필요 없이 코일 스프링(6)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부드러운 완충재질로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이 충격 흡수기(1)를 통하여 전달되는 고주파의 잔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절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충격 흡수기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스프링 시트의 구조와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의 구조를 개선시킴에 따라, 상기 코일 스프링을 통하여 전달되는 고주파 잔진동의 전달 경로가 분리되어 엔진룸의 진동과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Claims (1)

  1. 충격 흡수기(1)의 상부를 감싼 범퍼 스토퍼(2)가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3)와 보울트 체결방식으로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진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트러트 마운트 고무(3)둘레에는 상부 스프링 시트(5a)가 설치되고, 이 상부 스프링 시트(5a)와 코일 스프링(6)이 고무패드(7)를 매개로 설치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5b)는 베어링(8)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개선하는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
KR1019990025979A 1999-06-30 1999-06-30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개선하는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 KR100325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979A KR100325734B1 (ko) 1999-06-30 1999-06-30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개선하는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979A KR100325734B1 (ko) 1999-06-30 1999-06-30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개선하는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179A KR20010005179A (ko) 2001-01-15
KR100325734B1 true KR100325734B1 (ko) 2002-03-06

Family

ID=1959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979A KR100325734B1 (ko) 1999-06-30 1999-06-30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개선하는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6241B (zh) * 2023-07-13 2023-09-12 吉林大学 一种用于轻型装载机的变速箱智能减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179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4977A (en) Strut type suspension for a vehicle
CN101131193B (zh) 气缸装置
EP1800914A1 (en) Strut mount
JP2007100889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0325734B1 (ko) 차량의 진동과 소음을 개선하는 엔진룸의 스트러트 탑 마운트 구조
US20090085266A1 (en) Integrated insulator type strut assembly for suspension system
JP4080709B2 (ja) 防振装置
KR1001922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KR10022449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100391603B1 (ko) 차량의 스트럿 마운팅 구조
KR100188539B1 (ko) 자동차용 미션 충격완충댐퍼
JPH0425632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マウント
KR100199945B1 (ko) 이중 스트럿 마운트를 구비한 프론트 현가장치
JPH11311290A (ja) ダンパーマウント
KR97000466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상부스프링시트
KR20070017642A (ko) 압입형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갖는 차량용 스트러트현가장치
KR20060068948A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KR19980052693U (ko) 현가장치
JPH06262924A (ja) 懸架装置
KR19980029746A (ko) 차량용 스트럿마운팅러버 구조
JP2005054865A (ja) 油圧緩衝器のバンプラバー支持構造
KR19980067941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KR19990007606U (ko) 쇽업소버의 스프링시트구조
KR19980022046A (ko) 스트러트 조립체 체결구조
KR19990020990U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