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701B1 -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701B1
KR100259701B1 KR1019970043400A KR19970043400A KR100259701B1 KR 100259701 B1 KR100259701 B1 KR 100259701B1 KR 1019970043400 A KR1019970043400 A KR 1019970043400A KR 19970043400 A KR19970043400 A KR 19970043400A KR 100259701 B1 KR100259701 B1 KR 100259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rm
upper control
bush
shock absorber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961A (ko
Inventor
김영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덕중
사단법인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덕중, 사단법인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7004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70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조향휠(120)에 볼팅 결합하면서 타단에는 바디(124)에 결합하되, 몸체(112)에는 쇽업소버(122)의 패키지 공간이 형성되게 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트롤암(110)은 몸체(112)와 부시(114)를 조합하여 "I"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112)는 쇽업소버(122)가 설치될 수 있도록 갈고리형으로 굴곡부(116)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 콘트롤암(110)의 일단으로 결합된 부시(114)는 평단면 형상이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경량화에 따른 원가 절감 및 효율적으로 쇽업소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단은 조향휠에 볼팅 결합하면서 타단에는 바디에 결합하되, 몸체에는 쇽업소버의 패키지 공간이 형성되게 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에 있어서, 상부 콘트롤암은 몸체와 부시를 조합하여 "I"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는 쇽업소버가 설치될 수 있도록 갈고리형으로 굴곡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 콘트롤암의 일단으로 결합된 부시는 평단면 형상이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는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중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로, 이는 대표적으로 쇽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저 등이 있다.
이중 쇽업소버는 주로 차체의 상·하 진동을 흡수하는 데, 이중 스트러트형 쇽업소버(Strut type shock absorb)는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 현가장치는 중공인 스트러트(지주)와 코일 스프링이 조합되어 현가암에 연결되고, 또한 이 쇽업소버는 스트러트 내의 피스톤 로드가 쇽업소버와 연결되어 압축의 경우에는 피스톤 로드 끝의 메인밸브는 닫히고 논 리턴 밸브가 열려서 피스톤 하부의 작용유는 실린더 상부로 유입되며, 또 실린더 하부는 저 밸브로부터 감쇠력이 발생하여 실린더 외측의 스트러트 튜브 내로 들어가게 되며, 신장의 경우에는 피스톤 상부의 작동유가 메인밸브 스프링의 힘을 이겨서 메인밸브를 열여서 감쇠력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스펜션암(Suspension arm)(이하, "콘트롤암"이라 칭함)은 휠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암(팔)의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볼 조인트, 필로 볼, 고무 부시 등에 의하여 바디 또는 엑슬에 부착되고, A자 모양의 A암, I자 모양의 I암 등이 있으며, 강판을 압축하여 만든 것이 많으나 단조품도 있고, 상하 한 쌍으로 되어 있는 암에서는 위에 있는 것을 상부 콘트롤암(Upper control arm), 아래에 있는 것을 하부 콘트롤암(Low control arm)이라고도 한다.
이중 상부 콘트롤암 구조에 있어, 종래에는 첨부된 도면 1에 도시된 바와같다.
도 1은 종래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도 1a는 요부 정면도이고, 도 1b는 상부 콘트롤 암의 사시도이며, 도 1c는 콘트롤암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 끝단의 지지부(12)로 부시(14)가 돌출 형성된 A자 모양의 상부 콘트롤암(10)의 중앙에는 구멍(18)이 관통된 평면부(16)를 단조 방법을 형성하고, 각 부시(14)는 바디(24)의 일측으로 각각 고정하면서, 상기 평면부(16)는 조향휠(20)과 볼팅 결합하되, 상기 상부 콘트롤암(10)의 각 지지부(12) 사이로는 쇽업소버(22)가 위치되게 하고, 이때 상기 부시(14)는 두 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짧게 형성하고 있었는 바,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상기와 같이 구비된 상부 콘트롤암(10)으로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제동력 발생시 조향휠을 지지하기 위해 두 개의 부시(14)를 구비하여 그 기능을 충분히 이룰 수 있으나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고, 상기와 같이 상부 콘트롤암(10)의 각 지지부(12) 사이로 쇽업소버(22)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부품으로써 다른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인 패키지(Package)에 문제 발생 소지가 있으며, 설계상 자유롭지 못한 문제가 발생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부 콘트롤암을 A자형으로 형성하는 대신, I자형으로 형성한 다음, 그 끝단에 결합되는 부시를 긴 직사각형의 단면 형태로 한 개만을 결합함으로써, 경량화에 따른 원가 절감 및 효율적으로 쇽업소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단은 조향휠에 볼팅 결합하면서 타단에는 바디에 결합하되, 몸체에는 쇽업소버의 패키지 공간이 형성되게 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트롤암은 몸체와 부시를 조합하여 "I"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는 쇽업소버가 설치될 수 있도록 갈고리형으로 굴곡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 콘트롤암의 일단으로 결합된 부시는 평단면 형상이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도 1a는 요부 정면도이고, 도 1b는 상부 콘트롤 암의 사시도이며, 도 1c는 콘트롤암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도 2a는 요부 정면도이고, 도 2b는 상부 콘트롤 암의 사시도이며, 도 2c는 콘트롤암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상부 콘트롤암 112 : 몸체
114 : 부시 116 : 굴곡부
120 : 조향휠 122 : 쇽업소버
124 : 바디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도 2a는 요부 정면도이고, 도 2b는 상부 콘트롤 암의 사시도이며, 도 2c는 콘트롤암의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에 있어서, 일단은 조향휠(120)에 볼팅 결합하면서 타단에는 바디(124)에 결합하되, 몸체(112)에는 쇽업소버(122)의 패키지 공간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상부 콘트롤암(110)은 몸체(112)와 부시(114)를 조합하여 "I"자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몸체(112)는 쇽업소버(122)가 설치될 수 있도록 갈고리형으로 굴곡부(116)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콘트롤암(110)의 일단으로 결합된 부시(114)는 평단면 형상이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휠(120)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타단은 바디(124)에 결합되는 상부 콘트롤암(110)에 있어, 상부 콘트롤암(110)의 형상을 A자형으로 형성하는 대신, I자형으로 형성한 다음, 그 상부 콘트롤암(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부시(114)는 그 단면 형상이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부시(114)를 두 개 결합하는 대신 한 개만을 결합하여 부품수 감소에 따른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음과 아울러, 경량화를 이룰 수 있게 된 발명이다.
여기서, 잠시 종래 기술에 대해 언급해 보면, 상기 상부 콘트롤암(110)을 A자형으로 형성한 후 부시(114)를 두 개 구비할 경우 발생했던 공간적인 패키지 문제라든지 설계 자유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콘트롤암(110)을 I자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즉, 그 상부 콘트롤암(110)의 몸체(112)는 쇽업소버(122)의 설치용 공간인 패키지를 이룰 수 있도록 갈고리형으로 굴곡부(116)를 형성하고, 몸체(112)의 일단에는 부시(114)를 결합하게 되는 데, 그 부시(114)는 그 단면 형상이 비교적 긴 직사각형 형태로서, 종래의 부시에 비해 대략 2배정도 크게 형성하게 된다. 이는 제동시 휠 지지 기능을 충분히 흡수하기 위함이다. 다시말해, 상기 부시(114)가 종래와 같이 짧게 형성한 후 그것이 한 만을 결합하게 되면, 제동시 휠을 충분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에 따르면, 일단이 조향휠에 결합되면서 타단이 바디에 결합되게 한 상부 콘트롤암의 몸체는 A자형으로 형성하는 대신 I자형으로 형성하여 경량화하고, 그 상부 콘트롤암의 끝단으로 결합되는 부시를 두 개 구비하여 결합하는 대신 한 개만을 구비하여 결합함에 따라 부품수 절감에 따른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 지지발 사이로 쇽업소버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대신 몸체의 일부에 갈고리형의 굴곡부를 형성함에 따라 설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비교적 길게 형성된 한 개의 부시만으로 조향휠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일단은 조향휠(120)에 볼팅 결합하면서 타단에는 바디(124)에 결합하되, 몸체(112)에는 쇽업소버(122)의 패키지 공간이 형성되게 한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트롤암(110)은 몸체(112)와 부시(114)를 조합하여 "I"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112)는 쇽업소버(122)가 설치될 수 있도록 갈고리형으로 굴곡부(116)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 콘트롤암(110)의 일단으로 결합된 부시(114)는 평단면 형상이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KR1019970043400A 1997-08-30 1997-08-30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KR100259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400A KR100259701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400A KR100259701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961A KR19990019961A (ko) 1999-03-25
KR100259701B1 true KR100259701B1 (ko) 2000-06-15

Family

ID=1951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400A KR100259701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3233A (zh) * 2021-11-03 2022-02-0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后悬架上控制臂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961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3704A (en) Dual strut wheel suspension
JP2004099017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を利用した前輪懸架装置
JPS63240408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100259701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상부 콘트롤암 구조
KR19980040143A (ko) 자동차용 맥퍼어슨식 독립현가현가장치
KR100369041B1 (ko) 버스의 리어현가장치
KR20000013586U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200206928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JPH08156547A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
JPS63240407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100530032B1 (ko) 듀얼 스트러트 타입 현가장치
KR19990007181U (ko) 자동차 서스펜션의 크로스 맴버 보강용 브라켓
KR19980043883A (ko) 크로스 멤버의 로어 아암 체결구조
KR200187362Y1 (ko) 자동차용 리어로어암의 고정구조
KR100192406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KR100199753B1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장착링크구조
KR200155765Y1 (ko)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CN117162720A (zh) 一种双减振器悬架结构及车辆
KR100259700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콘트롤암의 부시 및 클램프 구조
KR100391607B1 (ko) 버스의 현가장치
KR100441132B1 (ko)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강성연결장치
KR10042255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상부체결구조
KR19980038315U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와 너클 체결구조
KR20080024601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범프스토퍼
KR19980068833A (ko)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링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