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765Y1 -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 Google Patents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5765Y1 KR200155765Y1 KR2019960051218U KR19960051218U KR200155765Y1 KR 200155765 Y1 KR200155765 Y1 KR 200155765Y1 KR 2019960051218 U KR2019960051218 U KR 2019960051218U KR 19960051218 U KR19960051218 U KR 19960051218U KR 200155765 Y1 KR200155765 Y1 KR 2001557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arm
- vehicle body
- bush
- rear suspension
- mounting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뒤 현가장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속이 빈 ㄷ자 채널형상을 하고서 하부는 삼각형상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면서 그 선단부에는 어퍼 아암의 선단부에 끼워진 부시가 체결되는 부시체결구멍(2)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부 평면에는 차체에 보울트로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구멍(3)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어퍼 아암을 차체에 안정되게 체결시켜 어퍼 아암을 통한 충격을 적절히 저감시키면서 차체에 고르게 분산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또 부시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뒤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어퍼 아암을 차체에 장착시켜 어퍼 아암을 통해 전달되어 오는 충격을 차체에 고르게 분산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뒤 현가장치의 어퍼아암 차체장착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만드는 장치로서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섀시 스프링과, 섀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 및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섀시 스프링은 차체와 바퀴사이에 설치되어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 스프링에는 리프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 및 토션 바 스프링이 있고, 이밖에 고무 스프링과 공기 스프링 등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쇽 업소버는 차량의 주행중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빨리 감쇠시켜 승차감을 좋게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는 작용을 하고, 그 방식에 따라 고체 마찰식과 유압식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압식이 많이 사용되며, 또 작동상으로는 신장시에 감쇠력을 발휘하는 단동식과, 신장시와 압축시에 모두 감쇠력을 발휘하는 복동식이 있다.
한편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좌우의 로어 현가 아암에 양단이 장착되어 좌우의 바퀴가 서로 동시에 상하운동하는 경우에는 작용하지 않지만, 좌우의 바퀴가 서로 상하운동하는 경우에는 비틀려져 그 때에 발생하는 스프링 복원력으로 차체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현가장치는 자동차의 장착부위에 따라 앞현가장치와 뒤현가장치로 구분되어지고, 또 좌우의 바퀴가 1개의 차축으로 연결된 일체 차축식 앞차축을 스프링으로 차체와 연결시킨 차축현가식과, 좌우 양바퀴에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차체에 설치되면서 스프링 하중량이 가볍고 승차감이 좋으며 접지성이나 조정성 등이 뛰어난 독립현가식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상기 앞현가장치는 프레임과 차축사이를 연결하여 차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는 장치로서, 앞차축의 형식에 따라 차축현가식과, 독립현가식으로 구분되어지는 데, 승차감이나 조종성을 중요시하는 승용차에는 독립현가식이 많이 사용되는 반면에 버스나 트럭 등에는 차축현가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뒤 현가장치는 평행 리이프 스프링형과 가로 놓인 리이프 스프링형, 코일스프링형, 드 디옹형, 공기 스프링형의 차축현가식과, 스윙차축 튜브형과 다이아고널 링크형, 트레일링 아암형,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의 독립현가식으로 구분되어 지고, 상기 독립현가식은 스프링 아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승차감이나 로드 홀딩이 좋아지고 바디의 바닥을 낮출 수 있어 실내 공간이 커지는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승용차나 스포츠 카 등에 사용되고 있다.
제1도는 상기한 종래의 뒤 현가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인 바, 즉 코일스프링(11)이 안착되어 지지된 로어 아암(12)과, 이러 액슬에 브라켓을 매개로 장착되는 어퍼 아암(13) 및 횡방향 하중을 지탱해주기 위해 래터럴 로드(14)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어퍼 아암(13)은 그 선단부에 부시(15)가 끼워져서 차체에 체결되어 지지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뒤 현가장치에서는 어퍼 아암이 부시를 매개로 차체에 직접적으로 체결됨에 따라 어퍼 아암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부시에 집중적으로 부하가 걸려서 부시가 파손될 위험이 있었고, 어퍼 아암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중간에서 적절히 흡수하거나 차체에 고르게 분산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미흡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어퍼 아암을 차체에 부시를 매개로 직접적으로 체결하지 않고 매개수단으로 간접적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부시의 파손을 방지하고, 어퍼 아암을 통한 충격을 저감시켜 차에에 고르게 분산시켜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 브라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뒤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장착브라켓 2 : 부시체결구멍
3 : 체결구멍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속이 빈 ㄷ자 채널형상을 하고서 하부는 삼각형상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면서 그 선단부에는 어퍼 아암의 선단부에 끼워진 부시가 체결되는 부시체결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부 평면에는 차체에 보울트 등으로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의 측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이며,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인 바, 즉 본 고안에 따른 차체장착브라켓(1)은 속이 빈 ㄷ자 채널형상을 하고서 하부는 삼각형상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면서 그 선단부에는 어퍼 아암의 선단부에 끼워진 부시가 체결되는 부시체결구멍(2)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부 평면에는 차체에 보울트 등으로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구멍(3)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어 액슬에 장착브라켓으로 한쪽 선단부가 체결된 어퍼 아암의 다른쪽 선단부는 부시를 개재하여 상기 장착브라켓의 체결구멍(2)에 체결되고, 이 장착브라켓은 차체에 직접적으로 체결되어, 어퍼 아암이 장착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에 간접적으로 체결되어 지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어퍼 아암이 차체에 장착브라켓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체결되어 지지됨에 따라 어퍼 아암을 통해 전달되어 오는 충격이 부시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부시를 통해 장착브라켓에 고르게 분산되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또 부시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장착브라켓은 차체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이 장착브라켓을 통해 충격이 차체에 고르게 분산되므로, 승차감도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에 의하면, 어퍼 아암을 차체에 안정되게 체결시켜 어퍼 아암을 통한 충격을 적절히 저감시키면서 차체에 고르게 분산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또 부시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속이 빈 ㄷ자 채널형상을 하고서 하부는 삼각형상으로 확장되게 형성하면서 그 선단부에는 어퍼 아암의 선단부에 끼워진 부시가 체결되는 부시체결구멍(2)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부 평면에는 차체에 보울트로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구멍(3)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51218U KR200155765Y1 (ko) | 1996-12-19 | 1996-12-19 |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51218U KR200155765Y1 (ko) | 1996-12-19 | 1996-12-19 |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38157U KR19980038157U (ko) | 1998-09-15 |
KR200155765Y1 true KR200155765Y1 (ko) | 1999-09-01 |
Family
ID=1948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51218U KR200155765Y1 (ko) | 1996-12-19 | 1996-12-19 |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5765Y1 (ko) |
-
1996
- 1996-12-19 KR KR2019960051218U patent/KR2001557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38157U (ko) | 1998-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76160B2 (en) | Rear frame rail that incorporates leaf spring clearance zone | |
KR20070122375A (ko) | 차량 섀시를 안정화시키는 보조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방법및 장치 | |
KR200155765Y1 (ko) |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 |
CN2933932Y (zh) | 汽车转向桥空气悬挂装置 | |
KR100199741B1 (ko) | 위시본식 전방서스펜션 | |
KR100353941B1 (ko) | 자동차용 현가장치 | |
KR0167702B1 (ko) | 자동차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구조 | |
KR100199753B1 (ko) | 스테빌라이저 바아 장착링크구조 | |
KR100475913B1 (ko) | 상용차의 리프스프링과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 |
KR100192404B1 (ko) |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 |
KR100192406B1 (ko) |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 |
KR19980038190U (ko) |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 |
KR200187362Y1 (ko) | 자동차용 리어로어암의 고정구조 | |
KR100267653B1 (ko) | 자동차의 롤억제수단 | |
KR19980049070A (ko) |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 |
KR19980049069A (ko) |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 |
KR100290949B1 (ko) | 자동차의 뒷차축 현가장치의 취부구조 | |
KR19980054484U (ko) | 뒤 현가장치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 |
KR19980035595A (ko) | 현가장치의 스트럿 바아구조 | |
KR19980043883A (ko) | 크로스 멤버의 로어 아암 체결구조 | |
KR19980054485U (ko) | 뒤 현가장치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 |
KR19980038298U (ko) | 스테빌라이저 바아 장착구조 | |
KR19980043884A (ko) | 리어 서스펜션의 링크장착구조 | |
KR19980054473U (ko) | 뒤 현가장치의 스프링구조 | |
KR19980054444U (ko) | 뒤 현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