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702B1 - 자동차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702B1
KR0167702B1 KR1019950028178A KR19950028178A KR0167702B1 KR 0167702 B1 KR0167702 B1 KR 0167702B1 KR 1019950028178 A KR1019950028178 A KR 1019950028178A KR 19950028178 A KR19950028178 A KR 19950028178A KR 0167702 B1 KR0167702 B1 KR 0167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chassis
vehicle
crossmember
rear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174A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5002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702B1/ko
Publication of KR970010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2Mechanical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스테빌라이져 양단의 불필요한 절곡부를 최소화하여 중량 및 비용을 절감시키고, 스테빌라이져가 새시 크로스멤버의 저면으로 지나도록 새시 크로스맴버와 리어플로어의 스페어타이어부 사이의 차량 저면 공간을 정비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스테빌라이져(10) 양단부의 절곡부(11)의 길이를 단축하여 스테빌라이져(10)가 새시 크로스멤버(12)의 저면을 지나가게 하고, 상기 새시 크로스멤버(12)의 저면 중심부에 오목한 비드부(13)을 형성하여 비드부(13) 사이로 스테빌라이져(10)가 위치하도록 설치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빌라이져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중량 및 토션바의 재료비를 낮출 수 있으며, 새시 크로스멤버의 저면에 비드부가 형성되어 새시 크로스멤버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새시크로스멤버와 스페어타이어부의 차량 저면 공간을 정비시 활용할 수 있어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 구조
제1도는 종래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가 적용된 자동차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 구조를 보인 제1도의 부분 저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하부구조를 보인 자동차의 부분 저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뒷차측 스테빌라이져의 취부 구조를 보인 자동차의 부분 저면도.
제6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터럴 링크 2 : 트레일 링크
3: 리어 플로어 4 : 리어 프레임
5 : 바디 크로스멤버 6 : 절곡부
7 : 조절링크 8 : 고정구
10 : 스테빌라이져 11 : 절곡부
12 : 새시 크로스멤버 13 : 비드부
14 : 브라켓
본 발명은 자동차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새시 크로스멤버 후방에 설치되는 스테빌라이져를 새시 크로스맴버 저면에 설치하여 차량 정비시 정비공간을 확대하고 부품의 체결강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중량을 감소시켜 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뒷차측 스테빌라이져의 취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가장치는 차체와 바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노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스프링의 작동을 조정하는 쇽업소버, 바퀴의 작동을 제어하는 암이나 링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차축식과 독립식으로 구분되며, 독립식 현가장치는 좌우 양바퀴에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차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더블 위시본식, 스윙 암식, 트레일링 링크식, 매퍼슨 스트럿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스테빌라이져는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스프링 상수가 작은 스프링을 사용하면 선회 시에 작동하는 원심력 때문에 선회 시에 롤(roll)을 감소시켜 차체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토션바를 장치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스테빌라이져 양단의 좌우는 경우에는 작용하지 않지만 좌우의 바퀴가 서로 상하 작동으로 경우에는 스테빌라이져가 비틀려서 그 때 발생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차체의 기울기가 감소되도록 작용한다
맥퍼슨 스트럿식 서스펜션은 쇽업소버를 내장하여 스프링을 설치한 스트럿을 세로로 배치하여 상단을 보디에 장착하고 하단은 하부 암에 지지되는 구조로서 쇽업소버의 차체에 장착점이 높아 얼라이먼트가 정확히 설정되어 그의 변화도 적으며 노면으로부터 충격도 광범위하게 분산할 수 있으며 부품의 수가 적고 경량이며 값을 저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중형 이하의 승용차의 뒷차축 현가장치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가 적용된 자동차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2도는 듀얼 링크식 서스펜션(dual link type suspension)이 적용된 종래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 구조를 보인 제1도의 부분 저면도이다.
듀얼 링크식 서스펜션은 맥퍼슨 스트럿식 서스펜션의 일종으로 2개의 링크로 이루어진 레터럴 링크(1)와 앞으로 뻗어 있는 트레일 링크(2)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이어로부터 상하 압력을 스트럿으로 지탱하고 좌우 압력을 레테럴 링크(1)로 지탱하며, 전후 압력을 트레일링크(2)로 각각 흡수하는 구조로서, 소형차의 뒷차축 현가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승용차에서는 새시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차체에 필요한 강도와 강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차체에 직접 엔진과 동력장치 등을 장치하는 모노코크(moncoque) 형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리어플로어(3)의 양측에 리어프레임(4)이 설치되고, 리어플로어(3)의 저면에도 차체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바디 크로스멤버(5)와 뒷차축 현가장치를 장치하기 위한 새시 크로스맴버(12)가 자동차의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자동차의 전후나 좌우방향의 비틀림이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며, 제4도는 종래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스테빌라이져(10)의 끝단부에서 절곡 되어 완만한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양단은 새시 크로스멤버(12)의 양단에 조절링크(7)로 결합되어 있으며, 중심부는 리어플로어(3)에 고정구(8)로 장치되어 새시 크로스 멤버(12)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리어플로어(3)의 후부에는 트렁크를 통하여 스페어타이어를 수납할 수 있도록 스페어타이어부(9)가 형성되는데 스테빌라이져(10)는 새시 크로스멤버(12)와 리어플로어(3)의 스페어타이어부(9)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차량의 저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따라서 차량 저면을 정비시에 정비공간이 비좁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 스테빌라이져의 양단의 불필요한 절곡부(6)가 형성되어 스테빌라이져 부품의 중량이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테빌라이져 양단의 불필요한 절곡부를 최소화하여 중량 및 비용을 절감시키고, 스테빌라이져가 새시 크로스멤버의 저면으로 지나도록 새시 크로스멤버와 리어플로어의 스페어타이어부 사이의 차량 저면으로 지나도록 새시 크로스멤버와 리어플로어의 스페어타이어부 사이의 차량 저면 공간을 정비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 구조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테빌라이져 양단의 절곡부의 길이를 단축하고 새시 크로스멤버의 저면 중심부에 오목한 비드부를 형성하여 비드부 사이로 스테빌라이져가 지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취부 구조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져(10) 양단의 절곡부(11)의 길이를 단축하여 스테빌라이져(10)가 새시 크로스멤버(12)의 저면을 지나가게 하고, 상기 새시 크로스맴버(12)의 저면 중심부에 오목한 비드부(13)를 형성하여 비드부(13) 사이로 스테빌라이져(10)가 위치하도록 설치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 구조를 보인 자동차의 부분 저면도이며, 제6도는 제5도의 A-A선 단면도이며, 제7도는 제5도의 B-B선 단면도이다.
상기 스테빌라이져(10)는 좌우의 바퀴가 서로 다르게 상하 작동하는 경우에 스테빌라이져(10)가 비틀려서 그때 발생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차체의 기울기를 감소하는 것으로 스프링 강으로 만든 둥근 막대의 스프링 탄성을 토션 바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스테빌라이져(10)가 새시 크로스맴버(12)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새시 크로스멤버(12) 후방으로 둥근 막대가 지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새시 크로스맴버(12)의 저면에 스테빌라이져(10)의 둥근 막대가 충분히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오목한 비드부(13)를 형성하고 스테빌라이져(10)의 둥근 막대의 절곡부(11)를 최대한 단축시켜 직선화하여 둥근 막대가 새시 크로스멤버(12)의 비드부(13)를 지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비드부(13)는 아래로 요부를 형성하는 새시 크로스멤버(12)를 따라 좌우 양측 상단부 모두에 폐단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좌우 양측 끝단에 요부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위로 상승 절곡하여 아래로 요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융착시키고 스테빌라이져(10)가 중앙에 긴밀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지지하고 있다.
또한, 비드부(13)는 저면 좌우측 양단에 요부를 형성한 브라켓(14)을 접촉연결하고 좌우 양쪽에 볼트 체결하여 중앙에 형성된 폐단면에 스테빌라이져(10)를 안착시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빌라이져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중량 및 토션바의 재료비를 낮출 수 있으며, 새시 크로스멤버의 저면에 비드부가 형성되어 새시 크로스맴버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새시 크로스맴버와 스페어타이어부의 차량 저면 공간을 정비시 활용할 수 있어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 취부 구조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져(10) 양단의 절곡부(11)의 길이를 단축하여 스테빌라이져(10)가 아랫 방향으로 요부를 형성하는 새시 크로스맴버(12)의 저면을 따라 길게 융착되어 폐단면이 형성되도록 좌우측 양단에는 아래로 요부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상승 절곡 시킨 비드부(13)를 연결하고, 상기 비드부(13)의 좌우측 양단에는 스테빌라이져(10)가 폐단면에 안착되어 가두어 둘 수 있도록 요부를 형상시킨 브라켓(14)을 좌우측에 볼트로 체결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뒷차측 스테빌라이져의 취부 구조.
KR1019950028178A 1995-08-31 1995-08-31 자동차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구조 KR0167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8178A KR0167702B1 (ko) 1995-08-31 1995-08-31 자동차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8178A KR0167702B1 (ko) 1995-08-31 1995-08-31 자동차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174A KR970010174A (ko) 1997-03-27
KR0167702B1 true KR0167702B1 (ko) 1999-01-15

Family

ID=1942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8178A KR0167702B1 (ko) 1995-08-31 1995-08-31 자동차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234204B2 (en) * 2017-03-17 2023-07-27 Meiji Seika Pharma Co., Ltd. Mesostigmata mite control agent
KR102327054B1 (ko) * 2017-08-29 2021-11-17 기초과학연구원 퀴놀린 유도체 및 alk와 변이된 alk의 저해제로서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174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9268B1 (en) Wheel suspension
JP2008540201A (ja) ウィッシュボン型リンケージ構成要素とこれを組み込んだ懸架装置
JPH04321474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支持構造
CA2540070A1 (en) Steer axle suspension
US6997468B2 (en) Control rod suspension with outboard shock
US6929084B2 (en) Suspension module for use with an independent suspension including semi-trailing arms with airbag supports
US3913941A (en) Independent rear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KR0167702B1 (ko) 자동차의 뒷차축 스테빌라이져의 취부구조
CA2392775C (en) Walking beam assembly
JP3961114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1142917A (ja) 車両用懸架装置
JP2636480B2 (ja) スタビライザの取付構造
KR200197873Y1 (ko) 자동차의 리어 현가 장치
KR100290949B1 (ko) 자동차의 뒷차축 현가장치의 취부구조
EP1348580B1 (en) Independent suspension for a wheel of a commercial vehicle
KR200155765Y1 (ko)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CN117584679A (zh) 一种轻卡后空气悬架系统
JP2000255237A (ja) 車軸懸架式サスペンション
KR100211575B1 (ko) 자동차 어퍼 암 축핀의 핀 볼트 고정구조
KR100199753B1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장착링크구조
KR19980038190U (ko)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KR19990029086U (ko) 보강링크를 갖는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JPH08258524A (ja) 車両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KR19980029888U (ko) 판 스프링에 의한 자동차 어퍼 암 축핀의 핀 볼트 고정구조
KR19980038315U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와 너클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