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230B1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0230B1 KR101650230B1 KR1020140012313A KR20140012313A KR101650230B1 KR 101650230 B1 KR101650230 B1 KR 101650230B1 KR 1020140012313 A KR1020140012313 A KR 1020140012313A KR 20140012313 A KR20140012313 A KR 20140012313A KR 101650230 B1 KR101650230 B1 KR 1016502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ive material
- cathode active
- secondary battery
- lithium secondary
- concent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양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기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피복층을 형성함으로써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켜 전지의 충방전 특성, 수명 특성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양극 활물질의 표면에 전기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피복층을 형성함으로써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켜 전지의 충방전 특성, 수명 특성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하나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되어 수명 특성과 충방전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통신, 컴퓨터 산업 등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캠코더, 휴대폰, 노트북 PC 등 휴대용 전자제품의 사용이 일반화됨으로써, 가볍고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신뢰성이 높은 전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7 V 이상으로서,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이들 휴대용 전자정보 통신기기들을 구동할 동력원으로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내연기관과 리튬 이차전지를 혼성화(hybrid)하여 전기자동차용 동력원에 관한 연구가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하루에 60마일 미만의 주행거리를 갖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전지 개발이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 중이다. 상기 P-HEV용 전지는 거의 전기자동차에 가까운 특성을 갖는 전지로 고용량 전지 개발이 최대의 과제이다. 특히, 2.0g/cc 이상의 높은 탭 밀도와 230mAh/g 이상의 고용량 특성을 갖는 양극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 최대의 과제이다.
현재 상용화되었거나 개발 중인 양극 재료로는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LiFePO4 등이 있다. 이 중에서 LiCoO2는 안정된 충방전 특성, 우수한 전자전도성, 높은 전지 전압, 높은 안정성, 및 평탄한 방전전압 특성을 갖는 뛰어난 물질이다. 그러나, Co는 매장량이 적고 고가인 데다가 인체에 대한 독성이 있기 때문에 다른 양극 재료 개발이 요망된다. 또한, 충전시의 탈 리튬에 의하여 결정 구조가 불안정하여 열적 특성이 매우 열악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니켈의 일부를 전이금속 원소로 치환하여, 발열 시작 온도를 고온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급격한 발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열 피크를 완만하게(broad)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만족할 만한 결과는 얻어지고 있지 않다.
즉, 니켈의 일부를 코발트로 치환한 LiNi1 - xCoxO2(x=0.1-0.3) 물질의 경우 우수한 충방전 특성과 수명 특성을 보이나, 열적 안전성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뿐만 아니라 유럽 특허 제0872450호에서는 Ni 자리에 Co와 Mn 뿐만 아니라 다른 금속이 치환된 LiaCobMncMdNi1 -(b+c+d)O2(M=B, Al, Si. Fe, Cr, Cu, Zn, W, Ti, Ga) 형을 개시하였으나, 여전히 Ni계의 열적 안전성은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없애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5-0083869호에는 금속 조성이 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은 일단 일정 조성의 내부 물질을 합성한 후 외부에 다른 조성을 갖는 물질을 입혀 이중층으로 제조한 후 리튬염과 혼합하여 열처리하는 방법이다. 상기 내부 물질로는 시판되는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생성된 내부 물질과 외부 물질 조성 사이에서 양극 활물질의 금속 조성이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며, 내부 구조가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693822호에는 코어 표면을 코팅 또는 치환한 결과 농도구배를 형성하는 양극 활물질을 제안하고 있으나, 표면을 개질하기 위하여 코팅 또는 치환의 결과 코어 및 코팅층의 계면 영역에서 농도 구배를 형성하고 전체적으로 농도 구배를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에 하나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된 새로운 구조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면에 하나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되고,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Lia1M1x1M2y1M3z1M4wO2 +δ
[화학식 2] Lia2M1x2M2y2M3z2M4wO2 +δ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M1, M2 및 M3 는 Ni, Co, M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M4는 Fe, Na, Mg, Ca, Ti, V, Cr, Cu, Zn, Ge, Sr, Ag, Ba, Zr, Nb, Mo, Al, Ga, B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며, 0<a1≤1.1, 0<a2≤1.1, 0≤x1≤1, 0≤x2≤1,0≤y1≤1, 0≤y2≤1, 0≤z1≤1, 0≤z2≤1, 0≤w≤0.1, 0.0≤δ≤0.5, 0<x+y1+z1≤1, 0<x+y2+z2≤1 이고, y1≤y2, z2≤z1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P, Zr, Sc, Y, Li, Na, K, Rb, Mg, Ca, Sr, Ba, La, Ti, V, Nb, Cr, Mo, W, Mn, Re, Fe, Ru, Os, Co, Rh, Ir, Ni, Pd, Pt, Cu, Ag, Au, Zn, B, Al, Ga, In, Si, Ge, Sn, Pb, As, Sb, Bi, Se, 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아래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DpJqOr
상기 [화학식 3]에서 D는 P, Zr, Sc, Y, Li, Na, K, Rb, Mg, Ca, Sr, Ba, La, Ti, V, Nb, Cr, Mo, W, Mn, Re, Fe, Ru, Os, Co, Rh, Ir, Ni, Pd, Pt, Cu, Ag, Au, Zn, B, Al, Ga, In, Si, Ge, Sn, Pb, As, Sb, Bi, Se, Te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고,
J는 Li, Na, K, Rb, Mg, Ca, Sr, Ba, Y, La, Ti, Zr, V, Nb, Cr, Mo, W, Mn, Re, Fe,Ru, Os, Co, Rh, Ir, Ni, Pd, Pt, Cu, Ag, Au, Zn, B, Al, Ga, In, Si, Ge, Sn, Pb, As, Sb, Bi, Se, 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며, 0<p≤4, 0≤q≤1이고, 0<r≤1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ZrO2 , PO4, SeO3, 및 SnO2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ZrO2 , PO4, SeO3, 또는 SnO2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피복층을 포함함으로써 양극 활물질의 안정성 및 전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하나 이상의 층 형태일 수 있으며, 아일랜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피복층이 층 형태인 경우, 균일 코팅으로 인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으며 아일랜드 형태의 경우는 활물질 표면 상의 특성 활성점과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부반응 제어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면서 전기 특성의 향상과 함께 열적 안정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은 피복층의 함량에 따라 다른 전기화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피복 물질을 첨가하는 경우, 입자 내부 또는 입자 사이에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코팅 원소가 결합되어 있어, 추후 열 처리시, 특히 공기 분위기에서 열처리시, 1차 입자가 형성되면서 입자들이 뭉치는 것을 막아주어 입자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1 내지 15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중심부의 두께가 상기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입자 전체 입경의 10 내지 70 % 이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까지 금속 이온의 농도가 상기 화학식 2로 일정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중심부의 두께가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입자 전체 입경의 10 내지 70 % 이고,
상기 표면부의 두께가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입자 전체 입경의 1 내지 5 % 이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로 갈수록 M1의 농도, M2 의 농도 및 M3 의 농도가 연속적인 농도 구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중심부 및 상기 표면부의 두께가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입자 전체 입경의 1 내지 5 % 이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로 갈수록 M1의 농도, M2 의 농도 및 M3 의 농도가 연속적인 농도 구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M1, M2 의 농도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로 갈수록 연속적인 농도구배를 가지면서 증가하고, 상기 M3 의 농도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로 갈수록 연속적인 농도 구배를 가지면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중심부 및 상기 표면부의 두께가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입자 전체 입경의 1 내지 5 % 이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까지 M1 의 농도는 일정하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로 갈수록 M2 의 농도 및 M3 의 농도는 연속적인 농도 구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2는 0≤│x2-x1│≤0.4, 0.01≤│y2-y1│≤0.4, 0.1≤│z2-z1│≤0.5, 0.15≤x2≤0.35, 0.01≤y2≤0.3, 0.5≤z2≤0.7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M3은 중심부의 농도 0.90 몰비에서 표면부의 농도 0.65 몰비로 감소하고, M2는 중심부의 농도 0.05에서 표면부의 농도 0.10 몰비로 증가하며, M1은 중심부의 농도와 표면부의 농도가 0.05에서 표면부의 농도 0.25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M3은 중심부에서는 0.75몰비 이지만, 표면부에서는 0.55 몰비로 감소하고, M2는 중심부의 농도 0에서 표면부의 농도 0.20 몰비로 증가하며, M1은 중심부의 농도와 표면부의 농도가 0.25 몰비로 일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1μm일 수 있고, 0.1 내지 0.6μm일 수 있다. 0.1μm 미만인 경우 탭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1μm 를 초과하는 경우 탭밀도가 증가하지만 입자 크기가 너무 커지기 때문에 구조 내의 리튬 이온이 삽입 및 탈리하는 거리가 길어지므로 전기화학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M1 은 Co, 상기 M2 는 Mn, 상기 M3 는 Ni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M1 은 Mn, 상기 M2 는 Co, 상기 M3 는 Ni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M1 은 Ni, 상기 M2 는 Co, 상기 M3 는 Mn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a)피복층 원료 물질을 합성하는 단계;
b)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c)상기 a)단계의 피복층 원료 물질 및 리튬염을 상기 b)단계의 전구체와 혼합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의 혼합물을 코팅 및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피복층 원료 물질을 합성하는 단계;
b)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a)단계의 피복층 원료 물질 및 상기 b)단계의 양극 활물질을 용매에 혼합하는 단계;
d)상기 c)단계의 혼합물을 코팅 및 건조하는 단계; 및
e)상기 d)단계의 혼합물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용매는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 원료 물질은 상기 양극 활물질 100 중량부당 0.1 내지 1.0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되는 피복층 원료 물질이 0.25 중량부 이하로 혼합되면 피복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상기 코팅 원소의 산화물이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피복층이 너무 두껍게 쌓여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를 방해하여 전도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피복층이 하나 이상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극 활물질은 표면에 코팅 원소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어 안정성 및 전기 전도도가 향상되고, 이를 포함하는 전지는 충방전 특성, 수명 특성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다.
도 1, 도 5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XRD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2, 도 6, 도 8, 도 11, 도 13, 도 15, 도 17,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나타낸다.
도 3, 도 7, 도 9, 도 12, 도 14, 도 16, 도 18,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지의 수명 특성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양극의 DSC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2, 도 6, 도 8, 도 11, 도 13, 도 15, 도 17,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지의 충방전 특성을 나타낸다.
도 3, 도 7, 도 9, 도 12, 도 14, 도 16, 도 18,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지의 수명 특성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양극의 DSC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
제조예
1> 코어-쉘 구조의 활물질 전구체의 제조
농도가 일정한 코어와 농도가 일정한 쉘로 이루어진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중심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황산코발트:황산망간을 90:5:5 몰비로 혼합한 2.4 M 농도의 금속 수용액과 표면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 황산코발트:황산망간을 65:10:25 몰비로 포함하는 금속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공침 반응기(용량 4L, 회전모터의 출력 80W)에 증류수 4리터를 넣은 뒤 질소가스를 반응기에 0.5 리터/분의 속도로 공급함으로써, 용존 산소를 제거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50 ℃로 유지시키면서 1000 rpm으로 교반하였다.
상기 중심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을 반응기에 먼저 투입하여 코어를 형성시키고, 여기에 상기 표면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을 0.3 리터/시간의 속도로 투입하여 농도가 일정한 코어와 농도가 일정한 쉘로 이루어진 활물질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코어-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쉘 구조의 활물질 전구체의 제조
황산니켈:황산코발트:황산망간을 90:5:5 몰비로 혼합한 2.4 M 농도의 금속 수용액과 표면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 황산코발트:황산망간을 55:15:30 몰비로 포함하는 금속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중심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을 반응기에 먼저 투입하여 코어를 형성시키고, 여기에 상기 중심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과 상기 표면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의 혼합 비율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0.3 리터/시간의 속도로 투입하여 농도가 일정한 코어와 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쉘로 이루어진 활물질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입자 전체에서 금속 이온이 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활물질 전구체의 제조
중심으로부터 표면까지 Mn의 농도가 일정하며, Ni 의 농도가 감소하고, Co 의 농도는 증가하는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중심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황산망간을 75 : 25 몰비로 혼합한 2.4 M 농도의 금속 수용액과 표면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 : 황산코발트 : 황산망간을 55 : 20 : 25 몰비로 포함하는 금속 수용액을 준비한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활물질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4> 금속 농도
구배
기울기가 2개인 활물질 전구체의 제조
중심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98:00:02몰비로 혼합한 것을 이용하고, 표면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 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85:05:10 몰비로 혼합한 용액을 사용하여 먼저 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쉘을 일정 두께로 제조한 후, 황산니켈: 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65:10:25 몰비로 혼합한 용액을 이용하여 일정 두께의 쉘을 제조함으로써 쉘 에서의 농도구배가 2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활물질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5> 코어-쉘 구조의 활물질 전구체의 제조
중심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80:10:10 몰비로 혼합한 것을 이용하고, 표면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 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50:20:30 몰비로 혼합한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활물질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6> 코어-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쉘 구조의 활물질 전구체의 제조
중심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85:05:10 몰비로 혼합한 것을 이용하고, 표면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 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60:15:25 몰비로 혼합한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활물질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7> 입자 전체에서 금속 이온이 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활물질 전구체의 제조
중심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90:00:10 몰비로 혼합한 것을 이용하고, 표면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 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54:15:31 몰비로 혼합한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활물질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8> 금속 농도
구배
기울기가 2개인 활물질 전구체의 제조
중심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96:00:04몰비로 혼합한 것을 이용하고, 표면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 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80:05:15 몰비로 혼합한 용액을 사용하여 먼저 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쉘을 일정 두께로 제조한 후, 황산니켈: 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55:15:30 몰비로 혼합한 용액을 이용하여 일정 두께의 쉘을 제조함으로써 쉘 에서의 농도구배가 2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활물질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9> 금속 농도
구배
기울기가 2개인 활물질 전구체의 제조
중심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95:02:03몰비로 혼합한 것을 이용하고, 표면부 형성용 금속염 수용액으로 황산니켈: 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90:04:06 몰비로 혼합한 용액을 사용하여 먼저 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쉘을 일정 두께로 제조한 후, 황산니켈: 황산코발트:황산망간이 67:09:24 몰비로 혼합한 용액을 이용하여 일정 두께의 쉘을 제조함으로써 쉘 에서의 농도구배가 2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활물질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내지 12>
P0
4
피복층이
형성된 양극 활물질의 제조
<
실시예
1 내지 4>
4L CSTR(연속교반탱크반응기)에 (NH4)2HPO4를 pH5 조건에서 합성하고, 유성형 볼밀(planetary mill)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나노 사이즈의 입자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나노 입자 0.25 중량%를 리튬염으로서 LiNO3 및 제조예 1 내지 4 각각의 양극 활물질 전구체 99.75 중량%와 혼합하여 건식으로 100 rpm으로 12 시간 동안 볼밀링 코팅을 진행하였다. 이 때, 사용된 용기는 50 ml부피를 가지며, 사용된 지르코니아 볼은 입경이 10 mm인 볼 1개, 입경이 5 mm인 볼 3개를 사용하였다. 상기 나노 입자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을 500 ℃에서 5 시간 동안 공기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진행하고, PO4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 1 내지 4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내지 8>
코팅 전구체로 NH4PO4를 사용하고, 제조예 5 내지 8의 양극 활물질 전구체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하게 하여 PO4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 5 내지 8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9 내지 12>
코팅 전구체로 H3PO4를 사용하고, 제조예 1, 6, 3, 또는 8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하게 하여 PO4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 9 내지 12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내지 9>
제조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활물질 전구체에 코팅 전구체를 이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고 이를 비교예 1 내지 9로 하였다.
<
실험예
1-1>
XRD
측정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서 제조한 양극 활물질의 XRD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
제조예
>
코인셀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과 도전재로 수퍼P,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를 각각 85:7.5:7.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20 ㎛ 두께의 알루미늄박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120 ℃에서 진공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양극과 리튬 호일을 상대 전극으로 하며, 다공성 폴리에틸렌막 (셀가르드 엘엘씨 제, Celgard 2300, 두께: 25 ㎛)을 세퍼레이터로 하고,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에틸메틸 카보네이트가 부피비로 3:7로 혼합된 용매에 LiPF6가 1.2M 농도로 녹아 있는 액체 전해액을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제조 공정에 따라 코인셀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2>
충방전
용량 및 수명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각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에 대하여 충방전 테스트 및 사이클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2 내지 3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전지의 충방전 특성은 2.7 ~ 4.5V의 사이에서 0.1C의 조건에서 각 샘플마다 10회씩 진행하여, 그 평균값을 취하였으며, 수명 특성은 2.7 ~ 4.5V의 사이에서 0.5C, 25oC 조건에서 60회 이상 진행하였다.
도 2 내지 3 및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PO4 코팅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활물질은 PO4 코팅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의 활물질에 비하여, 초기 충방전 용량 및 효율이 우수하며, 100 사이클에서도 우수한 수명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Sample (전구체)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Sample (전구체)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실시예 1 (제조예 1) |
203.2 mAh/g | 91.7 % | 비교예 1 (제조예 1) |
198.4 mAh/g | 85.1 % |
실시예 2 (제조예 2) |
208.9 mAh/g | 92.9 % | 비교예 2 (제조예 2) |
203.7 mAh/g | 88.8 % |
실시예 3 (제조예 3) |
214.2 mAh/g | 94.8 % | 비교예 3 (제조예 3) |
205.6 mAh/g | 91.1 % |
실시예 4 (제조예 4) |
221.1 mAh/g | 93.1 % | 비교예 4 (제조예 4) |
219.8 mAh/g | 87.2 % |
실시예 5 (제조예 5) |
207.9 mAh/g | 89.1 % | 비교예 5 (제조예 5) |
205.4 mAh/g | 83.2 % |
실시예 6 (제조예 6) |
213.7 mAh/g | 92.8 % | 비교예 6 (제조예 6) |
210.8 mAh/g | 86.7 % |
실시예 7 (제조예 7) |
216.7 mAh/g | 94.3 % | 비교예 7 (제조예 7) |
215.2 mAh/g | 87.9 % |
실시예 8 (제조예 8) |
213.4 mAh/g | 96.3 % | 비교예 8 (제조예 8) |
210.7 mAh/g | 92.6 % |
실시예 9 (제조예 9) |
201.7 mAh/g | 92.8 % | |||
실시예 10 |
212.5 mAh/g | 93.4 % | |||
실시예 11 |
207.2 mAh/g | 96.9 % | |||
실시예 12 |
214.2 mAh/g | 96.1 % |
<
실험예
1-3>
DSC
를 통한
열안정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각 활물질들을 포함하는 양극을 각각 4.3 V 충전시킨 상태에서, 시차주사열분석기(DSC)를 이용하여 10 ℃/min의 속도로 승온시키면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4 및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PO4 코팅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활물질은 PO4 코팅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의 활물질에 비하여 열안정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Sample (전구체) |
DSC Temperature | Calorie | Sample | DSC Temperature | Calorie |
실시예 1 (제조예 1) |
273.9 ℃ | 417.5 J/g | 비교예 1 | 270.1 ℃ | 827.1 J/g |
실시예 2 (제조예 2) |
277.1 ℃ | 363.8 J/g | 비교예 2 | 271.9 ℃ | 793.6 J/g |
실시예 3 (제조예 3) |
285.8 ℃ | 269.1 J/g | 비교예 3 | 280.1 ℃ | 724.2 J/g |
실시예 4 (제조예 4) |
270.2 ℃ | 402.7 J/g | 비교예 4 | 265.7 ℃ | 811.4 J/g |
실시예 5 (제조예 5) |
266.7 ℃ | 432.5 J/g | 비교예 5 | 263.1 ℃ | 896.5 J/g |
실시예 6 (제조예 6) |
278.1 ℃ | 387.4 J/g | 비교예 6 | 273.8 ℃ | 791.8 J/g |
실시예 7 (제조예 7) |
258.1 ℃ | 453.6 J/g | 비교예 7 | 250.7 ℃ | 973.7 J/g |
실시예 8 (제조예 8) |
279.3 ℃ | 327.8 J/g | 비교예 8 | 276.1 ℃ | 772.4 J/g |
실시예 9 |
273.4 ℃ | 417.5 J/g | |||
실시예 10 |
276.9 ℃ | 319.2 J/g | |||
실시예 11 |
283.5 ℃ | 315.7 J/g | |||
실시예 12 |
279.5 ℃ | 299.8 J/g |
<
실험예
1-4> 잔류 리튬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각 활물질 10 g과 증류수 100 ml를 15 분간 잘 혼합하고, 증류수를 필터링하였다. 메트로 톨레이도 사의 T50 장비로 필터링한 증류수를 50 ml 넣고 10 % 염산 수용액을 조금씩 넣어 적정을 시작하였다. 적정 후 두개의 변곡점이 생기는데 이때 변곡점이 생기는 부분에서의 염산 수용액이 첨가된 양을 확인하여 잔류 리튬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잔류 리튬 | Sample | 잔류 리튬 |
실시예 1 (제조예 1) |
5327 ppm | 비교예 1 | 7832 ppm |
실시예 2 (제조예 2) |
4258 ppm | 비교예 2 | 6325 ppm |
실시예 3 (제조예 3) |
4125 ppm | 비교예 3 | 5897 ppm |
실시예 4 (제조예 4) |
6124 ppm | 비교예 4 | 8972 ppm |
실시예 5 (제조예 5) |
6974 ppm | 비교예 5 | 9765 ppm |
실시예 6 (제조예 6) |
5824 ppm | 비교예 6 | 8265 ppm |
실시예 7 (제조예 7) |
5158 ppm | 비교예 7 | 6538 ppm |
실시예 8 (제조예 8) |
4825 ppm | 비교예 8 | 5614 ppm |
실시예 9 |
5187 ppm | ||
실시예 10 |
5987 ppm | ||
실시예 11 |
4724 ppm | ||
실시예 12 |
4698 ppm |
<
실시예
13 내지 16>
ZrO
2
피복층이
형성된 양극 활물질의 제조
<
실시예
13 내지 16> 0.25 중량%의
ZrO
2
피복층
형성
4L CSTR(연속교반탱크반응기)에 지르코늄 아세테이트 수산화물(ZAH, zirconium acetatehydroxide ((CH3CO2)xZr(OH)y, x+y=4))를 pH = 8 조건에서 합성하고, 유성형 볼밀(planetary mill)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나노 사이즈의 입자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나노 입자 0.25 중량%를 리튬염으로서 LiOH, Li2CO3 및 제조예 5, 2, 7, 또는 4에서 제조된 활물질 99.75 중량%와 혼합하여 건식으로 100 rpm으로 12 시간 동안 볼밀링 코팅을 진행하였다. 이 때, 사용된 용기는 50 ml부피를 가지며, 사용된 지르코니아 볼은 입경이 10 mm인 볼 1개, 입경이 5 mm인 볼 3개를 사용하였다. 상기 나노 입자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을 500 ℃에서 5 시간 동안 공기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진행하고, ZrO2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 13 내지 16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5-2> 0.50 중량%의
ZrO
2
피복층
형성
수득된 나노 입자 0.50 중량%를 제조예 7의 양극 활물질 99.50 중량%와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5-3> 0.75 중량%의
ZrO
2
피복층
형성
수득된 나노 입자 0.75 중량%를 제조예 7의 양극 활물질 99.25 중량%와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5-4> 1.00 중량%의
ZrO
2
피복층
형성
수득된 나노 입자 1.00 중량%를 제조예 7의 양극 활물질 99.00 중량%와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2-1>
XRD
측정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4에서 제조한 양극 활물질의 XRD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2-2>
ZrO
2
코팅량에 따른 전지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15 및 15-2 내지 15-4의 전지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6 내지 7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Sample | 0.1C, 1st 방전 용량 (25 ℃) |
1st 효율 | 0.2C 용량 (mAh/g, 0.2C/0.1C) |
0.5C 용량 (mAh/g, 0.5C/0.1C) |
0.5C 사이클 특성 |
실시예 15 |
225.2 mAh/g | 92.4 % | 222.2 (98.7%) | 215.6 (95.7%) | 93.8% (91th) |
실시예 15-2 |
229.5 mAh/g | 94.2 % | 227.7 (99.2%) | 222.1 (96.8%) | 93.0% (91th) |
실시예 15-3 | 230.1 mAh/g | 95.6 % | 227.2 (98.7%) | 221.7 (96.5%) | 94.6% (62th) |
실시예 15-4 | 227.7 mAh/g | 95.2 % | 225.3 (98.9%) | 219.9 (96.6%) | 92.3% (91th) |
비교예 7 | 220.6 mAh/g | 88.7 % | 217.0 (98.3%) | 213.8 (96.9%) | 87.9% (91th) |
<
실험예
2-3>
충방전
용량 및 수명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13 내지 16에서 제조된 각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에 대하여 충방전 테스트 및 사이클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8 내지 9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Sample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실시예 13 (제조예 5) |
206.9 mAh/g | 88.1 % | 비교예 5 | 205.4 mAh/g | 83.2 % |
실시예 14 (제조예 2) |
207.6 mAh/g | 93.4 % | 비교예 2 | 203.7 mAh/g | 88.8 % |
실시예 15 (제조예 7) |
217.8 mAh/g | 94.6 % | 비교예 7 | 215.2 mAh/g | 87.9 % |
실시예 16 (제조예 4) |
225.5 mAh/g | 92.9 % | 비교예 4 | 219.8 mAh/g | 87.2 % |
<
실험예
2-4> 잔류 리튬 측정
상기 실시예 13 내지 16의 양극 활물질에 대하여 실험예 1-4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잔류 리튬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6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잔류 리튬 | Sample | 잔류 리튬 |
실시예 13 (제조예 5) |
7992 ppm | 비교예 5 | 9765 ppm |
실시예 14 (제조예 2) |
5128 ppm | 비교예 2 | 6325 ppm |
실시예 15 (제조예 7) |
4984 ppm | 비교예 7 | 6538 ppm |
실시예 16 (제조예 4) |
7777 ppm | 비교예 4 | 8972 ppm |
<
실시예
17 내지 18>
SeO
3
피복층이
형성된 양극 활물질의 제조
코팅 전구체로 H2SeO3를 사용하고, 제조예 6 또는 9의 활물질 전구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SeO3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 17 내지 18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3-1>
XRD
측정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6에서 제조한 양극 활물질의 XRD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3-2>
충방전
용량 및 수명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17 내지 18 및 비교예 9에서 제조된 각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에 대하여 충방전 테스트 및 사이클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11 내지 12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Sample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실시예 17 (제조예 6) |
212.1 mAh/g | 92.9 % | 비교예 6 | 202.7 mAh/g | 89.2 % |
실시예 18 (제조예 9) |
220.3 mAh/g | 96.3 % | 비교예 9 | 219.5 mAh/g | 92.3 % |
<
실험예
3-3> 잔류 리튬 측정
상기 실시예 17 내지 18 및 비교예 9의 양극 활물질에 대하여 실험예 1-4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잔류 리튬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8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잔류 리튬 | Sample | 잔류 리튬 |
실시예 17 (제조예 6) |
6982 ppm | 비교예 6 | 8265 ppm |
실시예 18 (제조예 9) |
5771 ppm | 비교예 9 | 7835 ppm |
<
실시예
19 내지 20>
SnO
2
피복층이
형성된 양극 활물질의 제조
코팅 전구체로 H2SnO3를 사용하고, 제조예 7 또는 9의 활물질 전구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SnO2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 19 내지 20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4-1>
충방전
용량 및 수명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19 내지 20에서 제조된 각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에 대하여 충방전 테스트 및 사이클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13 내지 14 및 표 9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Sample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실시예 19 (제조예 7) |
207.2 mAh/g | 92.8 % | 비교예 7 | 206.7 mAh/g | 89.9 % |
실시예 20 (제조예 9) |
220.3 mAh/g | 96.2 % | 비교예 9 | 219.5 mAh/g | 92.3 % |
<
실험예
4-2> 잔류 리튬 측정
상기 실시예 17 내지 18 및 비교예 9의 양극 활물질에 대하여 실험예 1-4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잔류 리튬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0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잔류 리튬 | Sample | 잔류 리튬 |
실시예 19 (제조예 7) |
4825 ppm | 비교예 6 | 6538 ppm |
실시예 20 (제조예 9) |
5813 ppm | 비교예 9 | 7835 ppm |
<
실시예
21 내지 26>
P0
4
피복층이
형성된 양극 활물질의 제조
<
실시예
21 내지 22>
4L CSTR(연속교반탱크반응기)에 (NH4)2HPO4를 pH 5 조건에서 합성하고, 유성형 볼밀(planetary mill)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나노 사이즈의 입자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1 또는 3의 활물질 전구체에 수산화리튬(LiOH)을 1.0:1.19의 몰비로 혼합한 후에, 2 ℃/min의 승온 속도로 가열한 후 280 ℃에서 5 시간 유지시켜 예비 소성을 수행하였으며, 뒤이어 900 ℃에서 10 시간 소성시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나노 입자 0.25 중량% 및 상기 제조된 양극 활물질 99.75 중량%를 용매(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등)에 혼합하여 습식으로 100 rpm으로 12 시간 동안 코팅을 진행하였다. 상기 나노 입자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을 500 ℃에서 5 시간 동안 공기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진행하고, PO4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 21 내지 22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3 내지 24>
코팅 전구체로 NH4PO4를 사용하고, 제조예 6 또는 9의 양극 활물질 전구체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PO4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 23 내지 24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5 내지 26>
코팅 전구체로 H3PO4를 사용하고, 제조예 7 또는 9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PO4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 25 내지 26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5-1>
충방전
용량 및 수명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21 내지 26에서 제조된 각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에 대하여 충방전 테스트 및 사이클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15 내지 16 및 표 11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Sample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실시예 21 (제조예 1) |
202.9 mAh/g | 91.9 % | 비교예 1 | 198.4 mAh/g | 85.1 % |
실시예 22 (제조예 3) |
209.2 mAh/g | 94.9 % | 비교예 3 | 205.6 mAh/g | 91.1 % |
실시예 23 (제조예 6) |
213.5 mAh/g | 93.0 % | 비교예 6 | 210.8 mAh/g | 86.7 % |
실시예 24 (제조예 9) |
220.1 mAh/g | 96.2 % | 비교예 7 | 215.2 mAh/g | 87.9 % |
실시예 25 (제조예 7) |
217.7 mAh/g | 94.7 % | 비교예 9 | 219.5 mAh/g | 92.3 % |
실시예 26 (제조예 9) |
220.2 mAh/g | 96.3 % |
<
실험예
5-2> 잔류 리튬 측정
상기 실시예 21 내지 26의 양극 활물질에 대하여 실험예 1-4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잔류 리튬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2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잔류 리튬 | Sample | 잔류 리튬 |
실시예 21 (제조예 1) |
5748 ppm | 비교예 1 | 7832 ppm |
실시예 22 (제조예 3) |
4426 ppm | 비교예 3 | 5897 ppm |
실시예 23 (제조예 6) |
6021 ppm | 비교예 6 | 8265 ppm |
실시예 24 (제조예 9) |
5921 ppm | 비교예 7 | 6538 ppm |
실시예 25 (제조예 7) |
4921 ppm | 비교예 9 | 7835 ppm |
실시예 26 (제조예 9) |
5798 ppm |
<
실시예
27 내지 28>
SeO
3
피복층이
형성된 양극 활물질의 제조
코팅 전구체로 H2SeO3를 사용하고, 제조예 1 또는 9의 활물질 전구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SeO3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 27 내지 28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6-1>
충방전
용량 및 수명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27 내지 28에서 제조된 각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에 대하여 충방전 테스트 및 사이클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17 내지 18 및 표 13에 나타내었다.
Sample(전구체)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Sample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실시예 27 (제조예 1) |
204.0 mAh/g | 91.5 % | 비교예 1 | 198.4 mAh/g | 85.1 % |
실시예 28 (제조예 9) |
219.8 mAh/g | 96.4 % | 비교예 9 | 219.5 mAh/g | 92.3 % |
<
실험예
6-2>
DSC
를 통한
열안정성
측정
상기 실시예 27 내지 28 및 비교예 9에서 제조된 각 활물질들을 포함하는 양극을 각각 4.3 V 충전시킨 상태에서, 시차주사열분석기(DSC)를 이용하여 10 ℃/min의 속도로 승온시키면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9 및 표 14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DSC Temperature | Calorie | Sample (전구체) |
DSC Temperature | Calorie |
실시예 27 (제조예 1) |
289.6 oC | 315.1 J/g | 비교예 1 | 284.3 oC | 503.5 J/g |
실시예 28 (제조예 9) |
264.5 oC | 709.0 J/g | 비교예 9 | 259.7 oC | 797.5 J/g |
<
실험예
6-3> 잔류 리튬 측정
상기 실시예 27 내지 28의 양극 활물질에 대하여 실험예 1-4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잔류 리튬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5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잔류 리튬 | Sample | 잔류 리튬 |
실시예 27 (제조예 1) |
5919 ppm | 비교예 1 | 7832 ppm |
실시예 28 (제조예 9) |
5517 ppm | 비교예 9 | 7835 ppm |
<
실시예
29 내지 30>
SnO
2
피복층이
형성된 양극 활물질의 제조
코팅 전구체로 H2SnO3를 사용하고, 제조예 6 또는 3의 활물질 전구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SnO2가 코팅된 양극 활물질 29 내지 30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7-1>
충방전
용량 및 수명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29 내지 30에서 제조된 각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에 대하여 충방전 테스트 및 사이클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도 20 내지 21 및 표 16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Sample | 0.1C 방전 용량 (mAh/g) |
0.5C 수명 특성 (100th cycle) |
실시예 29 (제조예 6) |
214.1 mAh/g | 92.5 % | 비교예 6 | 210.8 mAh/g | 86.7 % |
실시예 30 (제조예 3) |
210.3 mAh/g | 94.5 % | 비교예 3 | 205.6 mAh/g | 91.1 % |
<
실험예
7-2> 잔류 리튬 측정
상기 실시예 29 내지 30의 양극 활물질에 대하여 실험예 1-4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잔류 리튬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7에 나타내었다.
Sample (전구체) |
잔류 리튬 | Sample | 잔류 리튬 |
실시예 29 (제조예 6) |
6127 ppm | 비교예 6 | 8265 ppm |
실시예 30 (제조예 3) |
4687 ppm | 비교예 3 | 5897 ppm |
Claims (20)
- 표면에 하나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되고,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 를 포함하되,
상기 피복층은 ZrO2, PO4, SeO3, 및 SnO2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화학식 1] Lia1M1x1M2y1M3z1M4wO2+δ
[화학식 2] Lia2M1x2M2y2M3z2M4wO2+δ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M1, M2 및 M3 는 Ni, Co, M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M4는 Fe, Na, Mg, Ca, Ti, V, Cr, Cu, Zn, Ge, Sr, Ag, Ba, Zr, Nb, Mo, Al, Ga, B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며, 0<a1≤1.1, 0<a2≤1.1, 0≤x1≤1, 0≤x2≤1,0≤y1≤1, 0≤y2≤1, 0≤z1≤1, 0≤z2≤1, 0≤w≤0.1, 0.0≤δ≤0.5, 0<x+y1+z1≤1, 0<x+y2+z2≤1 이고, y1≤y2, z2≤z1 이다)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두께가 1 내지 150 nm 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중심부의 두께가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입자 전체 입경의 10 내지 70 % 이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까지 금속 이온의 농도가 상기 화학식 2로 일정하게 표시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중심부의 두께가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입자 전체 입경의 10 내지 70 % 이고,
상기 표면부의 두께가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입자 전체 입경의 1 내지 5 % 이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로 갈수록 M1의 농도, M2 의 농도 및 M3 의 농도가 연속적인 농도 구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중심부 및 상기 표면부의 두께가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입자 전체 입경의 1 내지 5 % 이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로 갈수록 M1의 농도, M2 의 농도 및 M3 의 농도가 연속적인 농도 구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M1, M2 의 농도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로 갈수록 연속적인 농도구배를 가지면서 증가하고, 상기 M3 의 농도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로 갈수록 연속적인 농도 구배를 가지면서 감소하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를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상기 중심부 및 상기 표면부의 두께가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입자 전체 입경의 1 내지 5 % 이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까지 M1 의 농도는 일정하고,
상기 중심부로부터 상기 표면부로 갈수록 M2 의 농도 및 M3 의 농도는 연속적인 농도 구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2 는 0≤│x2-x1│≤0.4, 0.01≤│y2-y1│≤0.4, 0.1≤│z2-z1│≤0.5, 0.15≤x2≤0.35, 0.01≤y2≤0.3, 0.5≤z2≤0.7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입경은 0.1 내지 1 μm 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1 은 Co, 상기 M2 는 Mn, 상기 M3 는 Ni 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1 은 Mn, 상기 M2 는 Co, 상기 M3 는 Ni 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1 은 Ni, 상기 M2 는 Co, 상기 M3 는 Mn 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a)피복층 원료 물질을 합성하는 단계;
b)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c)상기 a)단계의 피복층 원료 물질 및 리튬염을 상기 b)단계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전구체와 혼합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의 혼합물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표면에 하나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되고,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 를 포함하되,
상기 피복층은 ZrO2, PO4, SeO3, 및 SnO2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Lia1M1x1M2y1M3z1M4wO2+δ
[화학식 2] Lia2M1x2M2y2M3z2M4wO2+δ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M1, M2 및 M3 는 Ni, Co, M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M4는 Fe, Na, Mg, Ca, Ti, V, Cr, Cu, Zn, Ge, Sr, Ag, Ba, Zr, Nb, Mo, Al, Ga, B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며, 0<a1≤1.1, 0<a2≤1.1, 0≤x1≤1, 0≤x2≤1,0≤y1≤1, 0≤y2≤1, 0≤z1≤1, 0≤z2≤1, 0≤w≤0.1, 0.0≤δ≤0.5, 0<x+y1+z1≤1, 0<x+y2+z2≤1 이고, y1≤y2, z2≤z1 이다)
- a)피복층 원료 물질을 합성하는 단계;
b)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a)단계의 피복층 원료 물질 및 상기 b)단계의 양극 활물질을 용매에 혼합하는 단계;
d)상기 c)단계의 혼합물을 코팅 및 건조하는 단계; 및
e)상기 d)단계의 혼합물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표면에 하나 이상의 피복층이 형성되고,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심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표면부; 를 포함하되,
상기 피복층은 ZrO2, PO4, SeO3, 및 SnO2 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Lia1M1x1M2y1M3z1M4wO2+δ
[화학식 2] Lia2M1x2M2y2M3z2M4wO2+δ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M1, M2 및 M3 는 Ni, Co, M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M4는 Fe, Na, Mg, Ca, Ti, V, Cr, Cu, Zn, Ge, Sr, Ag, Ba, Zr, Nb, Mo, Al, Ga, B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며, 0<a1≤1.1, 0<a2≤1.1, 0≤x1≤1, 0≤x2≤1,0≤y1≤1, 0≤y2≤1, 0≤z1≤1, 0≤z2≤1, 0≤w≤0.1, 0.0≤δ≤0.5, 0<x+y1+z1≤1, 0<x+y2+z2≤1 이고, y1≤y2, z2≤z1 이다)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 원료 물질은 상기 양극 활물질 100 중량부당 0.1 내지 1.0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용매는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제 1 항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480004396.5A CN104904043A (zh) | 2013-01-31 | 2014-02-03 | 用于锂二次电池的正极活性材料、其制备方法及使用其的锂二次电池 |
US14/762,156 US20150357638A1 (en) | 2013-01-31 | 2014-02-03 |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PCT/KR2014/000925 WO2014119973A1 (ko) | 2013-01-31 | 2014-02-03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1138 | 2013-01-31 | ||
KR20130011138 | 2013-01-31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2430A Division KR101922698B1 (ko) | 2013-01-31 | 2016-01-08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9218A KR20140099218A (ko) | 2014-08-11 |
KR101650230B1 true KR101650230B1 (ko) | 2016-08-22 |
Family
ID=517456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2313A KR101650230B1 (ko) | 2013-01-31 | 2014-02-03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
KR1020160002430A KR101922698B1 (ko) | 2013-01-31 | 2016-01-08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2430A KR101922698B1 (ko) | 2013-01-31 | 2016-01-08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357638A1 (ko) |
EP (1) | EP2966711B1 (ko) |
KR (2) | KR101650230B1 (ko) |
CN (1) | CN104904043A (ko) |
WO (1) | WO201411997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6065B1 (ko) * | 2015-06-11 | 2022-02-21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101913906B1 (ko) * | 2015-06-17 | 2018-10-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WO2017013520A1 (en) * | 2015-07-22 | 2017-01-26 | Umicore | Cath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solid state lithium ion battery |
KR102494741B1 (ko) * | 2015-08-10 | 2023-01-31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102486526B1 (ko) * | 2015-09-10 | 2023-01-09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KR101982790B1 (ko) | 2015-10-20 | 2019-05-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층 구조의 리튬 금속 산화물들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양극 |
KR102065716B1 (ko) | 2015-10-20 | 2020-02-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층 구조의 금속 산화물들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제조용 전구체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CN107925076B (zh) * | 2015-11-06 | 2021-12-28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正极活性物质和碱性电池 |
KR102004457B1 (ko) | 2015-11-30 | 2019-07-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US10763497B2 (en) | 2015-11-30 | 2020-09-01 | Lg Chem, Ltd. |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KR102016788B1 (ko) * | 2016-06-09 | 2019-10-21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듐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078314B1 (ko) * | 2016-12-02 | 2020-02-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
JP6979460B2 (ja) | 2016-12-22 | 2021-12-15 | ポスコPosco | 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KR102448947B1 (ko) * | 2017-01-26 | 2022-09-2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18156607A1 (en) * | 2017-02-22 | 2018-08-30 | Lionano Inc. | Core-shell electroactive materials |
KR20190003110A (ko) | 2017-06-30 | 2019-0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합양극활물질, 이를 채용한 양극과 리튬전지 및 그 제조방법 |
US11437617B2 (en) | 2017-07-21 | 2022-09-06 |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 Metal-doped cathode active material for sod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od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US11081693B2 (en) | 2017-08-30 | 2021-08-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posite cathode act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cathod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composite cathode active material |
CN108075122A (zh) * | 2017-12-14 | 2018-05-25 | 电子科技大学 | 一种锂离子电池复合正极材料的制备方法 |
KR102015425B1 (ko) * | 2017-12-26 | 2019-10-21 | 주식회사 포스코 | 표면 코팅층이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US11973221B2 (en) | 2017-12-26 | 2024-04-30 | Posco Holdings Inc. |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CN110165205B (zh) * | 2018-02-11 | 2021-06-08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电池 |
CN108682842B (zh) * | 2018-03-23 | 2021-03-30 | 格林美(无锡)能源材料有限公司 | 一种Y掺杂CaMnO3包覆的三元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
KR20210062067A (ko) * | 2018-10-02 | 2021-05-28 | 바스프 에스이 |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된 전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
KR20200046749A (ko) * | 2018-10-25 | 2020-05-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합양극활물질, 이를 포함한 양극, 리튬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WO2020145639A1 (ko) * | 2019-01-07 | 2020-07-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양극 활물질, 상기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
CN109888252B (zh) * | 2019-03-29 | 2021-12-07 | 荆门市格林美新材料有限公司 | 一种共包覆镍钴锰三元正极材料及制备方法 |
US20220328821A1 (en) * | 2019-06-20 | 2022-10-13 | Iucf-Hyu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ving surface portion doped with hetero elem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CN112447951B (zh) * | 2019-09-02 | 2022-11-08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正极活性材料、其制备方法、正极极片及锂离子二次电池 |
CN112563559A (zh) * | 2019-09-26 | 2021-03-26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二次电池及含有该二次电池的电池模块、电池包、装置 |
CN110745788B (zh) * | 2019-10-15 | 2023-03-21 | 肇庆市华师大光电产业研究院 | 一种钼钴双金属硒化物的钠离子电池负极材料的制备方法 |
CN110911661B (zh) * | 2019-10-25 | 2020-11-10 |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 一种锂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EP3944372A4 (en) * | 2019-11-28 | 2022-08-03 | Lg Chem, Ltd. | METHOD FOR PREPARING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O PRODUCED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
CN111092205B (zh) * | 2019-12-19 | 2021-11-16 | 中冶瑞木新能源科技有限公司 | 核-双壳结构复合镍钴锰三元前驱体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1048773B (zh) * | 2019-12-19 | 2021-06-15 | 中冶瑞木新能源科技有限公司 | 核-双壳结构复合镍钴锰三元正极材料及锂电池和车辆 |
KR102144057B1 (ko) * | 2019-12-24 | 2020-08-12 | 주식회사 에스엠랩 |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을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
KR102144056B1 (ko) * | 2019-12-24 | 2020-08-12 | 주식회사 에스엠랩 |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을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
CN111081975B (zh) * | 2019-12-30 | 2021-11-05 | 国联汽车动力电池研究院有限责任公司 | 一种电池极片及其制备方法和含有该极片的电池 |
JPWO2021153546A1 (ko) * | 2020-01-27 | 2021-08-05 | ||
KR20220029853A (ko) * | 2020-09-01 | 2022-03-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3원계 산화물을 포함하는 피복층을 구비한 전고체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689933B1 (ko) * | 2020-12-04 | 2024-07-30 |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US20220376229A1 (en) * | 2021-05-07 | 2022-11-24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Lithium-Ion Battery Cathode Materials with Selenium Additives for Stable Cycling at High Voltage |
CN113364836A (zh) * | 2021-05-24 | 2021-09-07 | 苏州优博达机器人有限公司 | 一种共享街头电源的远程云管理方法 |
US20230163275A1 (en) * | 2021-11-25 | 2023-05-25 | Microvast Power Systems Co., Ltd. | Modified Positive Electrod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Lithium Ion Battery |
CN114314690A (zh) * | 2021-12-24 | 2022-04-12 |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 一种改性三元正极材料、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5340135A (zh) * | 2022-09-22 | 2022-11-15 | 天津巴莫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改性三元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2703B1 (ko) * | 2006-06-29 | 2007-08-29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 방법 및 그를사용한 리튬 이차 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234874C (en) | 1997-04-15 | 2009-06-30 | Sanyo Electric Co., Ltd. | Positive electrode material for use i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
KR100809847B1 (ko) | 2002-10-31 | 2008-03-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금속성분의 조성에 구배를 갖는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
JP4307962B2 (ja) * | 2003-02-03 | 2009-08-05 | 三洋電機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US7566479B2 (en) | 2003-06-23 | 2009-07-28 | Lg Chem, Ltd. | Method for the synthesis of surface-modified materials |
KR101135501B1 (ko) * | 2004-03-03 | 2012-04-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 |
ATE523906T1 (de) * | 2004-04-27 | 2011-09-15 | Mitsubishi Chem Corp | Schicht-lithium-nickel-mangan-kobalt- verbundoxidpulver für das material einer positivelektrode einer lithium-sekundärbatterie, herstellungsprozess dafür, positive elektrode einer lithium-sekundärbatterie daraus und lithium-sekundärbatterie |
KR100796953B1 (ko) * | 2005-01-20 | 2008-01-22 | 주식회사 에코프로 | 2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리튬이차전지 |
WO2006109930A1 (en) * | 2005-04-15 | 2006-10-19 | Daejung Chemicals & Metals Co., Ltd. | Cathode active material coated with fluorine compoun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JP5124910B2 (ja) * | 2005-06-09 | 2013-01-23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非水電解質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材料、これを用いた電池および非水電解質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材料の製造方法 |
KR100822012B1 (ko) * | 2006-03-30 | 2008-04-1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튬 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리튬 이차 전지 |
JP5121614B2 (ja) * | 2008-07-18 | 2013-01-16 | 株式会社東芝 | 電池用活物質、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
JP5111421B2 (ja) * | 2009-03-27 | 2013-01-09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材料,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モジュール |
TWI437753B (zh) * | 2009-08-27 | 2014-05-11 | Envia Systems Inc | 鋰基電池之經金屬氧化物塗佈之正電極材料 |
EP2471134B1 (en) * | 2009-08-27 | 2022-01-05 | Zenlabs Energy, Inc. | Layer-layer lithium rich complex metal oxides with high specific capacity and excellent cycling |
KR101316053B1 (ko) * | 2011-04-26 | 2013-10-11 |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CN103700843B (zh) * | 2012-09-27 | 2016-03-09 | 清华大学 | 锂离子电池正极复合材料 |
-
2014
- 2014-02-03 WO PCT/KR2014/000925 patent/WO201411997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2-03 EP EP14745653.7A patent/EP2966711B1/en active Active
- 2014-02-03 KR KR1020140012313A patent/KR10165023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2-03 CN CN201480004396.5A patent/CN104904043A/zh active Pending
- 2014-02-03 US US14/762,156 patent/US2015035763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
- 2016-01-08 KR KR1020160002430A patent/KR1019226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2703B1 (ko) * | 2006-06-29 | 2007-08-29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 방법 및 그를사용한 리튬 이차 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904043A (zh) | 2015-09-09 |
WO2014119973A1 (ko) | 2014-08-07 |
US20150357638A1 (en) | 2015-12-10 |
EP2966711B1 (en) | 2019-05-22 |
KR20160010630A (ko) | 2016-01-27 |
KR101922698B1 (ko) | 2018-11-30 |
EP2966711A1 (en) | 2016-01-13 |
KR20140099218A (ko) | 2014-08-11 |
EP2966711A4 (en) | 2016-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2698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 |
CN110073527B (zh) | 镍活性物质前驱体及其制备方法、镍活性物质以及锂二次电池 | |
JP7094248B2 (ja) | リチウム二次電池用ニッケル系活物質前駆体、その製造方法、そこから形成されたリチウム二次電池用ニッケル系活物質、及びそれを含む正極を含んだリチウム二次電池 | |
KR101746899B1 (ko) | 리튬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46187B1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CN110226251B (zh) | 镍活性物质前驱体及其制备方法、镍活性物质以及锂二次电池 | |
KR100725399B1 (ko) | 코아·쉘 구조를 가지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그를사용한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90065963A (ko) |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을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 |
KR20180063858A (ko) | 리튬이차전지용 니켈계 활물질 전구체,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리튬이차전지용 니켈계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을 함유한 리튬이차전지 | |
JP2016026981A (ja) | リチウム含有複合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100093034A (ko) | 비수전해액 이차 전지용 Li-Ni계 복합 산화물 입자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 |
WO2011031544A2 (en) | Metal oxide coated positive electrode materials for lithium-based batteries | |
KR20200066246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CN103247795B (zh) | 锂钛氧化物、其制法、含其的负极及包括该负极的锂电池 | |
CN108807928B (zh) | 一种金属氧化物及锂离子电池的合成 | |
CN110098383B (zh) | 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电池正极以及锂离子电池 | |
JP7329696B2 (ja) | 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
KR20140148269A (ko) | 리튬이차전지 양극활물질 | |
KR20150080219A (ko)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580334B1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양극 활물질 | |
KR20220070728A (ko) |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을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 |
CN112640162A (zh) | 用于可再充电锂电池的正极活性物质、其制造方法以及包括其的可再充电锂电池 | |
KR102299253B1 (ko) |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JP2022184711A (ja) |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
KR20240094443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전구체, 리튬 과잉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