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354B1 -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 Google Patents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354B1
KR101579354B1 KR1020130164212A KR20130164212A KR101579354B1 KR 101579354 B1 KR101579354 B1 KR 101579354B1 KR 1020130164212 A KR1020130164212 A KR 1020130164212A KR 20130164212 A KR20130164212 A KR 20130164212A KR 101579354 B1 KR101579354 B1 KR 101579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nomer
parts
shell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655A (ko
Inventor
정유성
채주병
박은선
전태영
유근훈
안봉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IN6810DEN2014 priority Critical patent/IN2014DN06810A/en
Priority to PCT/KR2013/012231 priority patent/WO2014204071A1/ko
Priority to CN201380013014.0A priority patent/CN104603169B/zh
Priority to JP2015523033A priority patent/JP6001777B2/ja
Publication of KR2014014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reformed graft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이를고무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는 디엔계 고무 성분의 물성은 유지하면서 상기 디엔계 고무 성분의 낮은 내후성 특성을 개선할 수 있어,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충격성, 착색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충격강도, 착색성 및 내후성을 개선할 수 있어, 이를 필요로 하는 산업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Multilayer core-shell rubbery polymer latex,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graft copolym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엔계 고무 코어,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를 감싸는 브릿지 쉘 및 상기 브릿지 쉘을 감싸는 최외곽 쉘로 구성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공액디엔 고무질 중합체는 그 우수한 고무 특성으로 인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및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 수지 등 각종 열가소성 수지의 충격보강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ABS계 수지는 내충격성, 내화학성, 성형 가공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사무용 기기,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내장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하지만 고무 성분에 공액디엔계 이중 결합을 다량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는 빛이나 열 등 외부에너지에 의해 쉽게 노화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타디엔 고무 대신 아크릴 고무를 사용한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를 사용한 수지를 제공하였지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대비 내충격성이 현저히 낮은 문제를 갖는다. 또한 내충격성 향상을 위해 대구경 입자를 제조하면 최종 제품의 광택과 착색성이 저하되어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한편 첨가제 첨가에 의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의 내후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첨가제의 첨가 혹은 조합 변경이 원가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며, 가공시 첨가제에 의한 성형품 표면상 불순물로 인해 성형품의 상품가치를 손상시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와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라텍스의 혼합 및 산 비대화 공정을 거친 복합 고무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내충격성을 개선시키고자 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라텍스와의 유리전이 온도 차이로 인해 산 비대화 시 라텍스간 융착이 안되고 결과적으로 입자의 비대화가 발생하지 않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과량의 라텍스 응집물 발생으로 제조상 어려움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디엔계 고무 성분의 우수한 내충격성 및 착색성을 유지하면서 내후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 디엔계 고무 코어,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를 감싸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브릿지 쉘 및 상기 브릿지 쉘을 감싸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최외곽 쉘로 구성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제조하고,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한 결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우수한 충격강도 및 착색성을 가질뿐 아니라 현저히 개선된 내후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엔계 고무 성분의 우수한 물성은 유지하면서 낮은 내후성을 개선할 수 있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공액디엔계 단량체 75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를 포함하는 디엔계 고무 코어; 상기 고무 코어 상에 형성되고, 비닐계 단량체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브릿지 쉘; 및 상기 브릿지 쉘 상에 형성되고, 아크릴계 단량체 10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최외곽 쉘을 포함하고,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의 평균입경이 2000 Å 내지 3000 Å 범위이며, 상기 코어 대 브릿지 쉘 대 최외곽 쉘의 중량비가 15 내지 17: 1 내지 2: 2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공액디엔계 단량체 75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를 중합 반응기에 투입하고 중합을 개시하여 평균입경이 2000 Å 내지 3000 Å 디엔계 고무 코어를 형성시키는 단계(단계 1);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의 중합전환율이 40% 내지 60%인 지점에서 비닐계 단량체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가교제 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상기 중합 반응기에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하여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 상에 브릿지 쉘을 형성시키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의 중합전환율이 70% 내지 90%인 지점에서 아크릴계 단량체 10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및 가교제 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상기 중합 반응기에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하여 상기 브릿지 쉘 상에 최외곽 쉘을 형성시키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상기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50 중량% 내지 70 중량%; 및 비닐 방향족 단량체 및 비닐 시안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비닐계 단량체 30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2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120,000 g/mol 내지 150,000 g/mol인,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70 중량부 내지 79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엔계 고무 코어, 상기 고무 코어를 감싸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브릿지 쉘 및 상기 브릿지 쉘을 감싸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최외곽 쉘로 이루어진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는 디엔계 고무 성분의 물성은 유지하면서 상기 디엔계 고무 성분의 낮은 내후성은 개선할 수 있어,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내충격성, 착색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충격강도, 착색성 및 내후성을 개선할 수 있어, 이를 필요로 하는 산업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내후성이 낮은 디엔계 고무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충격강도와 착색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높은 내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우수한 고무 특성으로 인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같은 형태로 각종 열가소성 수지의 충격보강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ABS 또는 MBS와 같은)는 내충격성, 내화학성, 성형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그 활용성을 인정받고 있으나, 불포화 결합을 가진 디엔계 고무 성분에 의하여 공기 중의 산소, 오존 및 열 또는 빛(자외선) 등에 취약한 약점이 있다.
이에, 불포화 결합을 가진 디엔계 고무 성분 대신에 불포화 결합을 가지지 않는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를 사용한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ASA) 수지가 제안된바 있으나, 불포화 결합을 가지지 않는 아크릴계 고무 성분은 디엔계 고무 성분에 비하여 충격강도 보강 효과가 떨어지고 저온에서 충격강도 보강 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광택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래의 디엔계 고무 성분이 가진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면서도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충격성 및 착색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높은 내후성을 갖는, 디엔계 고무 코어,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 상에 형성된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브릿지 쉘 및 상기 브릿지 쉘 상에 형성된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최외곽 쉘을 포함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공액디엔계 단량체 75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를 포함하는 디엔계 고무 코어; 상기 고무 코어 상에 형성되고, 비닐계 단량체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브릿지 쉘; 및 상기 브릿지 쉘 상에 형성되고, 아크릴계 단량체 10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최외곽 쉘을 포함하고,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의 평균입경이 2000 Å 내지 3000 Å 범위이며, 상기 코어 대 브릿지 쉘 대 최외곽 쉘의 중량비가 15 내지 17: 1 내지 2: 2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의 평균입경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00 Å 내지 3000 Å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400 Å 내지 2800 Å,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Å 내지 2700 Å, 특히 바람직하게는 2500 Å 내지 2650 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는 이를 포함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75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의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서 포함될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이를 포함하는 최종 수지의 충격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클로로-1,3-부타디엔 및 클로로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 부타디엔일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쉘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디엔계 고무 코어와 아크릴계 최외곽 쉘 사이에 형성되며, 서로 반응성이 없는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와 아크릴계 최외곽 쉘의 브릿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쉘은 최외곽 쉘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자기 중합성을 억제하고 고무입자 내부의 구조 제어에 의해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최외곽 쉘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쉘은 이를 포함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비닐계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비닐계 단량체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서 포함될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이를 포함하는 최종 수지의 내충격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쉘에 포함되는 비닐계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비닐 시안 단량체 또는 이들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 시안 단량체의 조합일 경우에는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 시안 단량체는 9:1 내지 7:3의 중량비를 갖도록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α-에틸스티렌 및 p-메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일 수 있다.
상기 비닐 시안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일 수 있다.
상기 최외곽 쉘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를 포함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아크릴계 단량체가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내후성 향상 정도가 미미할 수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내후성은 크게 향상될 수 있으나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져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및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틸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 브릿지 쉘 및 최외곽 쉘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5 내지 17: 1 내지 2: 2 내지 3의 중량비를 갖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6:1:3 또는 17:1:2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는 디엔계 고무 코어,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를 감싸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브릿지 쉘 및 상기 비닐계 브릿지 쉘을 감싸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최외곽 쉘로 구성되며, 평균입경이 3000 Å 내지 3500 Å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200 Å 내지 3400 Å, 더욱 바람직하게는 3250 Å 내지 3300 Å일 수 있다. 만약, 평균입경이 3000 Å 미만이면 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시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고, 3500 Å를 초과하면 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시 착색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는 상기의 평균입경을 가지면서 동시에 겔 함량이 70% 내지 90%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85%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은,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공액디엔계 단량체 75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를 중합 반응기에 투입하고 중합을 개시하여 평균입경이 2000 Å 내지 3000 Å인 디엔계 고무 코어를 형성시키는 단계(단계 1); 중합전환율이 40% 내지 60%인 지점에서 비닐계 단량체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가교제 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상기 중합 반응기에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하여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 상에 브릿지 쉘을 형성시키는 단계(단계 2); 및 중합전환율이 70% 내지 90%인 지점에서 아크릴계 단량체 10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및 가교제 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상기 중합 반응기에 연속투입하면서 중합하여 상기 브릿지 쉘 상에 최외곽 쉘을 형성시키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은 라텍스의 원활한 중합 및 저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화제의 존재 하에서 중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1은, 디엔계 고무 코어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65℃ 내지 75℃의 중합 반응기에 일괄적으로 전량 투입하거나, 또는 연속 투입하고 유화중합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은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공액디엔계 단량체 75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와 유화제 0.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물 1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 0.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중합개시제 0.0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및 전해질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65 내지 75 ℃의 중합 반응기에 일괄적으로 전량 투입하거나, 또는 연속 투입하고 유화중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앞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계 흡착형 유화제, 비이온계 유화제, 반응형 유화제, 및 고분자형 반응형 유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이온계 흡착형 유화제는 로진산 칼륨, 지방산 칼륨, 소디움 라우릴 설포네이트 및 소디움 알킬벤젠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비이온계 유화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형 유화제는 소디움도데실 알릴술포숙시네이트(TREM LF-40), C16-C18 알케닐 숙신산 디포타슘염(Latemul ASK series), 소디움 아크릴아미도스테아레이트(NaAAS) 및 소디움 3-술포프로필 테트라도데실 말레이트(M1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형 반응형 유화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암모늄 술페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술페이트 에스테르 암모늄염(HITENOL series)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과황산 칼륨, 과황산 나트륨 또는 과황산 암모늄 등의 수용성 과황산염계 중합개시제; 과산화수소,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 하이드로퍼옥사이드, 3급 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파라메탄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과산화물을 1성분으로 하는 레독스계 중합개시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중탄산칼륨(KHCO3), 탄산나트륨(NaHCO3), 탄산칼륨(K2CO3), 탄산나트륨(Na2CO3), 아황산수소칼륨(KHSO3), 아황산수소나트륨(NaHSO3), 피로인산사칼륨(K4P2O7), 피로인산사나트륨(Na4P2O7), 인산삼칼륨(K3PO4), 인산삼나트륨(Na3PO4), 인산수소이칼륨(K2HPO4) 및 인산수소이나트륨(Na2HPO4)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메르캅탄류일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형성된 다엔계 고무 코어 상에 브릿지 쉘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중합전환율이 40% 내지 60%인 지점에서 비닐계 단량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상기 중합 반응기에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2는 다층 고무질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닐계 단량체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가교제 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 및 유화제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의 혼합물을 상기 중합전환율이 40% 내지 60%인 지점에 연속투입하고 중합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합시, 비닐계 단량체와 가교제 및 유화제의 사용 범위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된 다층-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전환율의 하한치인 40% 지점은 디엔계 고무 코어의 입자가 안정화되고, 내부 가교가 시작되는 지점인 것으로, 60% 지점까지 연속적으로 비닐계 단량체, 가교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함으로써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 상에 브릿지 쉘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 쉘은 상기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비닐 시안 단량체 또는 이들 조합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 시안 단량체는 앞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n=1~60),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n=1~60), 프로필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아릴 메타크릴레이트, 다이에틸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스페놀 A-에틸렌옥사이드 다이아크릴레이트(n=1~40),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거나, 또는 말단에 2개 이상의 비닐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앞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브릿지 쉘의 상에 최외곽 쉘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의 중합전환율이 70% 내지 90%인 지점에서 아크릴계 단량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상기 중합 반응기에 연속투입하면서 중합하여 상기 브릿지 쉘 상에 최외곽 쉘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3은 다층 고무질 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계 단량체 10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가교제 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 및 유화제 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의 중합전환율이 70% 이상인 지점,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인 지점에 연속투입하고 중합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합전환율이 70%인 지점은 내부 가교가 어느 정도 일어난 지점으로 최외곽 쉘을 안정적으로 형성시키기에 적당한 시점일 수 있다. 이에, 중합전환율 70% 이상의 지점에서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고 중합시킴으로써 최외곽 쉘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외곽 쉘은 상기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 가교제 및 유화제는 앞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다층 코어-셀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50 중량% 내지 70 중량%; 및 비닐계 단량체 30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60 중량% 내지 70 중량%; 및 상기의 비닐계 단량체 3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비닐 시안 단량체 또는 이들 조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 시안 단량체의 조합일 경우,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 시안 단량체는 1:1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7:1의 중량비를 갖을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 시안 단량체는 앞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에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 시안 단량체와 유화제, 중합개시제, 분자량 조절제 등의 첨가제를 투입하고 그라프트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 중합개시제, 분자량 조절제 등의 첨가제는 앞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그라프트 공중합체 2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 120,000 g/mol 내지 150,000 g/mol인,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 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70 중량부 내지 79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21 중량부 내지 26 중량부; 및 상기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 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74 중량부 내지 79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질 함량에 따라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고무질 함량이 10%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6%가 되도록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 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 g/mol 내지 150,000 g/mol인,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 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0,000 g/mol 내지 140,000 g/mol인,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 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 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방향족 비닐 단량체 72 중량% 내지 77 중량% 및 비닐 시안 단량체는 23 중량% 내지 2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질소 치환된 중합 반응기(오토크레이브)에 이온교환수 60 중량부, 1,3-부타디엔 단량체 85 중량부, 유화제로서 로진산 칼륨염 1 중량부, 올레인산 포타슘염 0.8 중량부, 전해질로 탄산칼륨(K2CO3) 1.2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로 3급 도데실메르캅탄(TDDM) 0.3 중량부, 중합개시제로 과황산칼륨(K2S2O8) 0.3 중량부를 일괄 투여하고 반응온도 70℃에서 중합을 진행하여 디엔계 고무 코어를 형성시켰다.
상기의 중합 도중(디엔계 고무 코어 형성 중), 중합전환율 50% 지점에서 이온교환수 5 중량부, 스티렌 5 중량부, 아릴메타크릴레이트 0.01 중량부, 로진산 칼륨염 0.1 중량부의 혼합물을 중합전환율 60% 지점까지 연속적으로 일정량씩 투여하면서 75℃에서 중합을 수행하여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 상에,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를 감싸는 브릿지 쉘을 형성시켰다.
상기 브릿지 쉘 형성 중합 도중, 중합전환율 70%인 지점에서 이온교환수 10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아릴메타크릴레이트 0.01 중량부, 로진산칼륨염 0.1 중량부 혼합물을 중합전환율 90% 지점까지 연속적으로 일정량씩 투여하면서 중합을 수행하여 상기 브릿지 쉘 상에, 상기 브릿지 쉘을 감싸는 최외곽 쉘을 형성시켰다.
그 후, 80℃까지 중합 온도를 승온시킨 후 반응을 종료하여,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1,3-부탄디엔 단량체를 80 중량부로 사용하고,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1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1,3-부타디엔 단량체를 100 중량부로 사용하고, 스티렌 및 부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브릿지 쉘을 형성시키기 위한 단량체로 스티렌 대신에 1,3-부타디엔 단량체 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3
1,3-부타디엔 단량체를 70 중량부로 사용하고,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25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4
브릿지 쉘 형성을 위한 스티렌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최외곽 쉘 형성을 위한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각각 연속적으로 투입하지 않고 배치(일괄) 투입하여 중합을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5
브릿지 쉘 형성을 위한 스티렌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중합전환율 30% 지점에서 투입하고, 최외곽 쉘 형성을 위한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중합전환율 50% 지점에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수득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1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제조에 사용된 물질과 물성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라텍스의 평균 입경(Å): 레이저 분산 분석기(Laser Scattering Analyzer, Nicomp 380기기를 사용하여 평균 입경을 측정하였다.
겔 함량(%): 제조된 라텍스에 메탄올을 투입한 다음 황산으로 침전시키고 세척/건조하여 고무성분인 고형분(A)을 추출해낸 뒤 이를 톨루엔에 넣고 24시간 방치 후 80메쉬 그물망에 걸려 남은 것을 건조하여 무게(B)를 측정하고 아래 식에 의해 겔 함량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13119082762-pat00001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코어
(중량부)
BD(85) BD(80) BD(100) BD(85) BD(70) BD(85) BD(85)
브릿지 쉘
(중량부)
ST(5) ST(5) - BD(5) ST(5) ST(5) ST(5)
최외곽 쉘
(중량부)
BA(10) BA(15) - BA(10) BA(25) BA(10) BA(10)
브릿지 쉘 투여지점
(전환율%)
50 50 - 50 50 50 30
최외곽 쉘 투여지점
(전환율%)
70 70 - 70 70 70 50
투여 방식 연속 연속 - 연속 연속 일괄 연속
코어입경
(Å)
2650 2500 2700 2600 2450 2650 2570
최종입경
(Å)
3300 3250 3250 3300 3100 2900 2700
겔 함량(%) 80 85 76 80 93 82 90
* BD: 1,3-부타디엔
* ST: 스티렌
* BA: 부틸 아크릴레이트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 시편을 제조하였다.
먼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주요 물질(상기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및 단량체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질소 치환된 중합 반응기에 실시예 1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65 중량부와 이온 교환수 140 중량부, 소튬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0.1 중량부, 황산제1철 0.005 중량부, 포름알데히드 소듐 술폭시레이트 9,23 중량부, 로진산칼륨 0.35 중량부를 일괄투입하고 70℃로 승온시켰다.
그리고 이온 교환수 30 중량부, 로진산칼륨 0.65 중량부, 스티렌 25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0 중량부, 3급 도데실메르캅탄 0.4 중량부, 디이소프로필렌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 중량부의 혼합 유화용액을 2시간 동안 연속 투입한 후 다시 중합온도를 80℃로 승온한 후 1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반응을 종료시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형성시켰으며, 형성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황산마그네슘 수용액으로 응고시키고 세척 및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득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 23 중량부(고무질 함량 15% 기준)와 중량평균분자량(Mw)이 140,000 g/mol인, 스티렌 76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4 중량%를 포함하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77 중량부를 혼련한 다음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화하고 사출기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대신에 실시예 2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열가소성 수지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대신에 비교예 1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열가소성 수지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대신에 비교예 2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열가소성 수지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1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대신에 비교예 3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열가소성 수지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상기 실시예 1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대신에 비교예 4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열가소성 수지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상기 실시예 1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대신에 비교예 5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열가소성 수지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3 내지 4 및 비교예 6 내지 10에서 제조한 각 열가소성 수지 시편의 물성 비교 분석을 위하여, 하기의 방법에 따라 충격강도, 착색성 및 내후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충격강도(아이조드 충격강도)
상기 실시예 3과 4 및 비교예 6 내지 10의 각 열가소성 수지 시편을 두께 1/4"로 제작하여, ASTM D256 방법에 의거하여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2) 착색성
각 열가소성 수지 시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라 컴퓨터(Suga Color Computer)를 이용하여 식별이 용이한 흑색 칼라 0.2 중량부를 상기 실시예 3과 4 및 비교예 6 내지 10의 각 열가소성 수지 시편에 첨가하고 혼련하여 각각의 L 값을 비교하여 착색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참고로 L 값이 낮은 경우 착색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3) 내후성
웨더로미터(Weateather-o-meter)(ATLAS사 Ci35A)에 83 ℃, 워터스프레이 사이클을 18분/120분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3과 4 및 비교예 6 내지 10의 각 열가소성 수지 시편을 72시간 동안 테스트한 후, 테스트한 시편에 대한 변색도(△E) 값을 아래 수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참고로, 0에 가까울수록 내후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3119082762-pat00002

구분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충격강도
(1/4˝, kgf·cm/cm2)
25 23 25 24 15 17 14
착색성(L) 6.5 7.0 6.0 6.7 13.6 11.2 8.5
내후성(△E) 4.1 3.2 9.0 5.0 2.8 5.5 6.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한 실시예 3 및 4의 열가소성 수지가 비교예 6 내지 10의 열가소성 수지와 비교하여 우수한 충격강도, 착생성 및 내후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층 코어-쉘 구조가 아닌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비교예 6) 및 다층 코어-쉘 구조이나 브릿지 쉘의 구성성분으로 방향족 비닐 단량체가 아닌 부타디엔을 사용한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비교예 7)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및 4의 열가소성 수지가 유사하거나 또는 우수한 충격강도 및 착색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현저히 높은 내후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지나, 각 구성성분의 함량 비율이 본 발명에서 제시한 함량을 벗어난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비교예 8)과 비교해서 현저히 우수한 충격강도 및 착색성을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구성성분 및 함량비율로 이루어져 있으나 중합시 연속투입하지 않거나, 투입시점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한 중합전환율 범위를 벗어나서 제조한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비교예 9 또는 10)에 비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및 4의 열가소성 수지가 현저히 우수한 충격강도, 착색성 및 내후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18)

  1.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공액디엔계 단량체 75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를 포함하는 디엔계 고무 코어;
    상기 고무 코어 상에 형성되고, 비닐계 단량체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브릿지 쉘; 및
    상기 브릿지 쉘 상에 형성되고, 아크릴계 단량체 10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최외곽 쉘을 포함하고;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의 평균입경이 2000 Å 내지 3000 Å 범위이며;
    상기 코어 대 브릿지 쉘 대 최외곽 쉘의 중량비가 15 내지 17: 1 내지 2: 2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의 평균입경이 2400 Å 내지 2800 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비닐 시안 단량체 또는 이들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 시안 단량체의 조합이고,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 시안 단량체는 9:1 내지 7:3의 중량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클로로-1,3-부타디엔 및 클로로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α-에틸스티렌 및 p-메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시안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및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는 평균입경이 3000 Å 내지 3500 Å 범위이고, 하기 식으로 계산하여 얻어진 겔 함량이 7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Figure 112015056042063-pat00003
    .
  10.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구성하는 단량체 100 중량부에대하여,
    1) 공액디엔계 단량체 75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를 중합 반응기에 투입하고 중합을 개시하여 평균입경이 2000 Å 내지 3000 Å인 디엔계 고무 코어를 형성시키는 단계;
    2) 중합전환율이 40% 내지 60%인 지점에서 비닐계 단량체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가교제 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상기 중합 반응기에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하여 상기 디엔계 고무 코어 상에 브릿지 쉘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3) 중합전환율이 70% 내지 90%인 지점에서 아크릴계 단량체 10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및 가교제 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상기 중합 반응기에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하여 상기 브릿지 쉘 상에 최외곽 쉘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공액디엔계 단량체를 65℃ 내지 75℃의 중합 반응기에 일괄적으로 전량 투입하거나, 또는 연속 투입하고 유화중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비닐 시안 단량체 또는 이들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브릿지 쉘과 단계 3의 최외곽 쉘은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n=1~60),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n=1~60), 프로필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 다이메타크릴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아릴 메타크릴레이트, 다이에틸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스페놀 A-에틸렌옥사이드 다이아크릴레이트(n=1~40),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및 말단에 2개 이상의 비닐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단계 2 및 단계 3은 유화제의 존재 하에서 중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계 흡착형 유화제, 비이온계 유화제, 반응형 유화제, 및 고분자형 반응형 유화제로 이루어젠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17. 제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50 중량% 내지 7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비닐계 단량체 30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그라프트 공중합체.
  1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7항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2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 g/mol 내지 150,000 g/mol인,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비닐 시안 단량체의 공중합체 70 중량부 내지 79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130164212A 2013-06-19 2013-12-26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KR101579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6810DEN2014 IN2014DN06810A (ko) 2013-06-19 2013-12-26
PCT/KR2013/012231 WO2014204071A1 (ko) 2013-06-19 2013-12-26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CN201380013014.0A CN104603169B (zh) 2013-06-19 2013-12-26 多层核壳结构的橡胶聚合物胶乳及其制备方法,以及含有它的丙烯腈‑丁二烯‑苯乙烯接枝共聚物
JP2015523033A JP6001777B2 (ja) 2013-06-19 2013-12-26 多層コア−シェル構造のゴム重合体ラテックス、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アクリロニトリル−ブタジエン−スチレングラフト共重合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036 2013-06-19
KR1020130070036 2013-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655A KR20140147655A (ko) 2014-12-30
KR101579354B1 true KR101579354B1 (ko) 2015-12-21

Family

ID=5211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212A KR101579354B1 (ko) 2013-06-19 2013-12-26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85686B2 (ko)
JP (1) JP6001777B2 (ko)
KR (1) KR101579354B1 (ko)
CN (1) CN104603169B (ko)
IN (1) IN2014DN068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9878B2 (ja) * 2009-08-27 2013-02-20 住友化学株式会社 透明樹脂積層板
KR101692117B1 (ko) 2014-12-11 2017-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구경의 디엔계 고무 라텍스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KR102093961B1 (ko) * 2015-09-30 2020-03-26 주식회사 엘지화학 Mbs계 충격 보강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1955514B1 (ko) * 2016-02-19 2019-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질 중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06619491B (zh) * 2017-01-24 2019-04-30 泉州亚林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药物缓释水凝胶及其制备方法
KR101827960B1 (ko) * 2017-03-17 2018-02-13 김균호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교면 포장층 및 이의 시공 방법
ES2902594T3 (es) 2017-05-12 2022-03-29 Denka Company Ltd Método para la producción de un copolímero estadístico que contiene una unidad de monómero de cloropreno y una unidad de monómero de nitrilo insaturado, copolímero estadístico, látex y uso de los mismos
KR102016469B1 (ko) * 2018-01-04 2019-09-02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외관이 우수한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316287B1 (ko) * 2018-01-08 2021-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어-쉘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CN110483676B (zh) * 2019-07-18 2022-04-15 广东腾龙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多相结构的丁二烯-苯乙烯共聚物胶乳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075430B (zh) * 2020-08-17 2023-05-02 中石化石油工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油基钻井液堵漏用高聚物改性橡胶堵漏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085338B (zh) * 2020-08-24 2024-01-3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聚合物胶乳凝聚粒子及其制备方法
CN112876623B (zh) * 2021-01-18 2023-04-07 万华化学(四川)有限公司 一种abs接枝胶乳的制备方法及制备的abs树脂
CN115043993B (zh) * 2021-03-08 2023-06-3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乳液聚合法制备含羧基热塑性树脂的方法及制得的含羧基热塑性树脂
CN115043980B (zh) * 2021-03-08 2023-06-3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乳液聚合法制备耐寒性热塑性弹性体的方法及制得的含硅热塑性弹性体
CN115043991B (zh) * 2021-03-08 2023-07-25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乳液聚合法制备含氟热塑性弹性体的方法及制得的热塑性弹性体
CN115028782B (zh) * 2021-03-08 2023-07-25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乳液聚合法制备含氟高耐候性热塑性树脂的方法及制得的热塑性树脂
CN115043994B (zh) * 2021-03-08 2023-07-25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耐热性的热塑性树脂的乳液聚合制备方法及得到的热塑性树脂
CN115043996B (zh) * 2021-03-08 2023-07-25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乳液聚合法制备高耐候性热塑性树脂的方法及制得的含硅热塑性树脂
CN115043992B (zh) * 2021-03-08 2023-06-3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了硬度的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
CN115043997B (zh) * 2021-03-08 2023-07-25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乳液聚合法制备含羧基热塑性弹性体的方法及制得的热塑性弹性体
CN115043995B (zh) * 2021-03-08 2023-06-3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乳液聚合法制备热塑性树脂的方法及制得的热塑性树脂
WO2023022541A1 (ko) * 2021-08-19 2023-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그라프트 공중합체,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접착제 조성물
CN114106256A (zh) * 2022-01-28 2022-03-01 山东颐工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核/壳结构树脂及其聚合方法
CN116063630B (zh) * 2023-03-22 2024-05-28 宜春市科远化工有限公司 一种acr抗冲改性剂粉体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108B1 (ko) 2003-12-30 2007-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 및 흐름성이 우수한 고분자 라텍스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389B2 (ja) 1993-09-29 2000-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5534594A (en) 1994-12-05 1996-07-09 Rohm And Haas Company Preparation of butadiene-based impact modifiers
DE69943227D1 (de) * 1998-09-09 2011-04-07 Rohm & Haas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ernschalen-schlagmodifizierten Emulsion
EP1085050B1 (en) * 1999-09-16 2010-02-24 Rohm And Haas Company Modified SAN resin blend composition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KR100477944B1 (ko) * 2002-12-03 2005-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23850B1 (ko) * 2004-10-08 2006-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질 라텍스의 제조 방법
KR100799605B1 (ko) * 2006-05-04 2008-01-30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KR101223295B1 (ko) 2010-07-06 2013-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질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무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108B1 (ko) 2003-12-30 2007-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 및 흐름성이 우수한 고분자 라텍스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85686B2 (en) 2015-07-21
JP2015522693A (ja) 2015-08-06
KR20140147655A (ko) 2014-12-30
CN104603169A (zh) 2015-05-06
IN2014DN06810A (ko) 2015-05-22
JP6001777B2 (ja) 2016-10-05
US20140378576A1 (en) 2014-12-25
CN104603169B (zh)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354B1 (ko) 다층 코어-쉘 구조의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KR101223295B1 (ko) 고무질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무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692106B1 (ko)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KR20070117315A (ko) 저온 및 상온 내충격성과 착색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160071250A (ko)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열가소성 수지
CN107531912B (zh) 热塑性接枝共聚物树脂、其制备方法和包含其的热塑性树脂组合物
JP7055475B2 (ja) グラフト共重合体の製造方法、グラフト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含む熱可塑性樹脂成形品
KR101401109B1 (ko)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25252B1 (ko) 열가소성 투명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0216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0216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16569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998413B1 (ko) 투명 아크릴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4370B1 (ko) 고무 강화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저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01098B1 (ko)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170054642A (ko) 열가소성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515266B1 (ko)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abs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442412B1 (ko) 고무 강화 그라프트 공중합체용 고무질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25599B1 (ko) 대구경 고무질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무 강화 열가소성 수지
KR20130082221A (ko) 열가소성 투명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536520B1 (ko)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78714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426519B1 (ko)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52030B1 (ko)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용 조성물, 대구경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및 충격강도가 개선된 abs계 열가소성 수지
KR20170055647A (ko)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