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998B1 - 감미성 증강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감미성 증강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998B1
KR101496998B1 KR1020097026714A KR20097026714A KR101496998B1 KR 101496998 B1 KR101496998 B1 KR 101496998B1 KR 1020097026714 A KR1020097026714 A KR 1020097026714A KR 20097026714 A KR20097026714 A KR 20097026714A KR 101496998 B1 KR101496998 B1 KR 10149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et taste
sweetener
composition
taste improving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478A (ko
Inventor
인드라 프라카쉬
마니 우프레티
그랜트 이. 듀보아
죠지 에이. 킹
조지프 클루식
미구엘 라파엘 아이. 산
Original Assignee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더 코카콜라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0002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Seasoning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감미료 조성물의 단맛을 증강시킬 수 있는 감미성 증강제 및 그로부터 제조된 감미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감미료 조성물의 감미성을 증강시킬 수 있는 설파메이트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미료, 조성물, 감미성 강도, 감미, 향미,

Description

감미성 증강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그 용도{SWEETNESS ENHANCERS, SWEETNESS ENHANCED SWEETENER COMPOSITIONS,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증강된 감미성을 갖는 감미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감미성 증강제 및/또는 맛 조절제로서의 설파메이트 유사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비록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및 글루코오스와 같은 천연 고칼로리(caloric) 감미료 조성물이 대부분의 소비자에게 좋은 맛을 내더라도, 이들은 고칼로리이다. 그러므로, 대체적인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가 당(sugar) 또는 수크로오스 대체물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왔다. 그렇지만, 많은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들은 터무니없이 고가이다.
따라서, 이러한 감미료의 감미성에 대한 지각을 증강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는 화합물들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들을 감미료와 배합시킴으로써 목표하는 감미성 등급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감미료의 양이 상당히 줄어들 수 있으며, 그 결과 천연 고칼로리 감미료에 의해 부여되는 칼로리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 천연 또는 합성 고효능 감미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그렇지만, 조성물 내에서 감미료를 변화시키는 것은 향신료(flavor) 및 또 다른 맛 구성성분의 재-균형(re-balancing)을 요구한다는 사실은 식품/음료 제제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산미료). 예를 들면, 천연 고칼로리 감미료 및 그 대신의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의 감미성이 증강된 단맛은 당(sugar)에 의해 산출되는 단맛보다 개시시에 더 느리고 더 장기간 지속되며 이에 따라 식품 조성물의 맛 균형을 변화시킨다. 더욱이, 천연 고칼로리 감미료 및 그 대신의 무-칼로리 또는 저칼로리 감미료의 감미성이 증강된 단맛은 (i)당보다 낮은 최대 반응, (ii) 쓴맛, 금속성맛, 청량맛, 떫은 맛, 감초-유사 맛 등의 떨어지는 맛(off tastes), 및/또는 (iii) 반복하여 맛을 볼 때 감소하는 감미성을 나타낼 수 있다. 특정한 목표의 맛 특징이 더욱 당에 유사하게 되도록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맛 특성이 변형될 수 있다면, 상기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로 제조될 수 있는 조성물의 유형 및 다양성은 상당히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맛 특징을 선택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발명의 개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감미성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설파메이트 유사체를 포함하는 감미성 증강제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필요성을 해결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미성 증강제는 다음 화학 구조식을 갖는 설파메이트를 포함한다.
Figure 112009079080669-pct00001
여기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아실, 시아노,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또는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기를 포함하고;
R3는 임의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소, 또는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R1 및 R2 둘 모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기에 편입될 수 있으며;
그리고 R2 및 R3 둘 모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기에 편입될 수 있다.
R1, R2, 및 R3의 작용기 또는 부분(moieties)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분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의 비제한적 실시에는 수소, 하이드록실, 할로겐, 할로알킬, 카르복실, 아실,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도, 카르복실 유도체,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설포, 머캅토, 이미노, 설포닐, 설페닐, 설피닐, 설파모일, 카르보알콕시, 카르복사미도, 포스포닐, 포스피닐, 포스포릴, 포스피노,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옥시미노, 하이드라지노, 카르바밀, 포스포, 포스포나토,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측쇄, 사이클릭, 알킬, 알키닐, 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기, 또는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공지된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존재 가능 작용기 또는 부분을 포함한다.
감미성 증강제는 증강된 감미성을 갖는 감미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임의의 적절한 감미료와 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감미료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는 1종 이상의 감미료 및 설파메이트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를 함유하는 감미된 조성물, 감미료를 설파메이트를 포함하는 감미성 증강제와 배합함으로써 감미료 조성물의 감미성을 증강시키는 방법, 및 감미가능 물질을 설파메이트를 포함하는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와 배합함으로써 감미된 조성물의 감미성을 증강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제시되거나, 또는 설명으로부터 명확할 수 있거나, 또는 발명의 실시를 통하여 지득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 그리고 약어는 당해 발명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에 설명된 것들과 유사 또는 동일한 방법 및 조성물들이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 없이 적절한 방법 및 조성물이 설명되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 예에 따른 산란 강도 대 산란 각 2θ의 좌표상에서의 레바우디오시드 A의 다형 제1형의 분말 x-선 회절 스캔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 예에 따른 산란 강도 대 산란 각 2θ의 좌표상에서의 레바우디오시드 A의 다형 제2형의 분말 x-선 회절 스캔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 예에 따른 산란 강도 대 산란 각 2θ의 좌표상에서의 레바우디오시드 A의 다형 제3A형의 분말 x-선 회절 스캔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 예에 따른 산란 강도 대 산란 각 2θ의 좌표상에서의 레바우디오시드 A의 다형 제3B형의 분말 x-선 회절 스캔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 예에 따른 산란 강도 대 산란 각 2θ의 좌표상에서의 레바우디오시드 A의 다형 제4형의 분말 x-선 회절 스캔이다.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제공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상세하게 제공된다.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본 발명의 개념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의 평균적 기술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면, 한 실시예의 일부로서 설명되거나 개시된 특징은 추가적인 실시예를 산출하기 위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 구항의 범위 및 이들의 균등범위 내에서 이러한 수정 및 변화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미성을 증강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조성물 및 증강된 감미성을 갖는 감미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증강된 감미성에 부가하여 개선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된 실시예들은 감미료 조성물의 단맛의 민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 조성물과 단맛 개선 조성물을 배합시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들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시킨다.
I. 감미성 증강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감미성 증강제(sweetness enhancer)"는 감미료 조성물 또는 감미된 조성물의 단맛의 민감도(perception of sweet taste)를 증강시키거나 증대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용어 감미성 증강제는 용어 "단맛 강화제(sweet taste potentiator)", "감미성 강화제(sweetness potentiator)", 및 "감미성 증대제(sweetness intensifier)"와 동의어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제공된 감미성 증강제는 수용 가능한 사용 농도에서 이들 스스로에 의한 감지할만한 단맛을 제공하지 않으면서 감미료의 단맛을 증강시키지만; 상기 감미성 증강제는 더 높은 농도에서는 단맛을 제공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감미성 증강제는 O-치환 설팜산, N-치환 설팜산, 또는 설팜산의 디-/트리-치환 유도체를 포함하는 설파메이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 용된 바와 같이, 설팜산은 일반적으로 화학 구조식 H3NSO3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며, 용어 아미도설폰산, 아미도황산, 아미노설폰산, 및 설파미드산(sulfamidic acid)과 동의어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설파메이트는 다음 화학식 I 의 화학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112009079080669-pct00002
(I)
여기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아실, 시아노,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또는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기를 포함하고; R3는 임의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소, 또는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R1 및 R2 둘 모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기에 편입될 수 있으며; 그리고 R2 및 R3 둘 모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기에 편입될 수 있다. R1, R2, 및 R3의 작용기 또는 부분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분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수소, 하이드록실, 할로겐, 할로알킬, 카르복실, 아실,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도, 카르복실 유도체,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설포, 머캅토, 이미노, 설포닐, 설페닐, 설피닐, 설파모일, 카르보알콕시, 카르복사미도, 포스포닐, 포스피닐, 포스포릴, 포스피노,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옥시미노, 하이드라지노, 카르바밀, 포스포, 포스포나토,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측쇄, 사이클릭, 알킬, 알키닐, 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기, 또는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공지된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존재 가능 작용기 또는 부분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감미료 증강제는 트리아졸일 고리 함유 설파메이트 (1)과 같은 헤테로사이클릭 설파메이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감미성 증강제는 다음 화학 구조식을 갖는 나트륨 1H-1,3,5-트리아졸일 설파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9080669-pct00003
(1)
이것은 감미성 증강제로 작용하지만 그 자체로는 단맛을 내지 않는다(예를 들면, 약 372 ppm은 약 7.1% 당(sugar) 용액과 동등하도록 6.0% 당 용액의 감미성 강도를 증가시킨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감미료 증강제는 알킬 치환 사이클로헥실 설파메이트 (2)와 같은 사이클로헥실 설파메이트의 유사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감미성 증강제는 다음 화학 구조식을 갖는 나트륨 1 H-2-메틸 사이클로헥실 설파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9080669-pct00004
(2)
이것은 감미성 증강제로 작용하지만 그 자체로는 단맛을 내지 않는다(예를 들면, 약 430 ppm은 약 7.3% 당 용액과 동등하도록 6.0% 당 용액의 감미성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감미료 증강제는 측쇄 지방족 설파메이트 (3A) 또는 (3B)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감미성 증강제는 다음 화학 구조식을 갖는 나트륨 1 H-3, 3-디메틸 부틸 설파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9080669-pct00005
(3A)
이것은 감미성 증강제로 작용하지만 그 자체로는 단맛을 내지 않는다(예를 들면, 약 406 ppm은 약 7.0% 당 용액과 동등하도록 6.0% 당 용액의 감미성 강도를 증가시킨다). 그 대신에, 감미성 증강제는 다음 화학 구조식을 갖는 칼륨 1 H-3, 3-디메틸 부틸 설파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9080669-pct00006
(3B)
이것은 감미성 증강제로 작용하지만 최대 1000 ppm 함량에서 그 자체로는 단 맛을 내지 않는다(예를 들면, 약 200 ppm은 약 7.0% 당 용액과 동등하도록 6.0% 당 용액의 감미성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감미료 증강제는 바이사이클릭 카르보-설파메이트 (4)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감미성 증강제는 다음 화학 구조식을 갖는 나트륨 바이사이클[2.2.1]헵탄-2-일 설파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9079080669-pct00007
(4)
   이것은 감미성 증강제로 작용하며(예를 들면, 약 125 ppm은 약 8.1% 당 용액과 동등하도록 6.0% 당 용액의 감미성 강도를 증가시킨다), 그 자체에 의해 매우 엷은 단맛을 갖는다(예를 들면, 약 62 ppm은 < 1 % 당 용액과 동등한 감미성 강도를 갖는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감미료 증강제는 티아졸일 설파메이트 (5)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릭 설파메이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에서 감미성 증강제는 다음 화학 구조식을 갖는 나트륨 1H-티아졸일 설파메이트를 포함한다:
   
Figure 112009079080669-pct00008
(5)
   이것은 감미성 증강제로 작용하지만 그 자체로는 단맛을 내지 않는다(예를 들면, 약 404 ppm은 약 6.9% 당 용액과 동등하도록 6.0% 당 용액의 감미성 강도를 증가시킨다).
   한 실시예에서, 감미성 증강제는 화학식 I의 일반 화학 구조식을 갖는 지방족 설파메이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R1, R2, 또는 R3 중 하나 이상의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기를 포함한다. 감미성 증강제의 용도에 적절한 지방족 설파메이트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표 1에 제시된다.
   표 1: 지방족 및 알리사이클릭 설파메이트
Figure 112009079080669-pct00009
Figure 112009079080669-pct00010
Figure 112009079080669-pct00011
Figure 112009079080669-pct00012
Figure 112009079080669-pct00013
Figure 112009079080669-pct00014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감미성 증강제는 화학식 I의 일반 화학 구조식을 갖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설파메이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R1, R2,또는 R3 중 하나 이상은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기를 포함한다. 감미성 증강제로서의 용도에 적절한 방향족 및 헤테로방향족 설파메이트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표 2에 제시된다.
표 2: 방향족 및 헤테로방향족 설파메이트
Figure 112009079080669-pct00015
Figure 112009079080669-pct00016
Figure 112009079080669-pct00017
Figure 112009079080669-pct00018
Figure 112009079080669-pct00019
Figure 112009079080669-pct00020
Figure 112009079080669-pct00021
Figure 112009079080669-pct00022
Figure 112009079080669-pct00023
Figure 112009079080669-pct00024
Figure 112009079080669-pct00025
Figure 112009079080669-pct00026
   또한, 감미성 증강제는 설파메이트 감미료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공지된 조성물(예를 들면, 사이클러메이트)을 포함할 수 있고 감미료 조성물의 감미성을 증강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설파메이트의 예는 미국 특허 제4,158,068호에 개시되는데, 상기 특허는 아세설팜칼륨을 아스파르틸 펩티드 에스테르 감미료, 설파메이트 감미료, 설피미드 감미료, 및 디하이드로칼콘 감미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효능 감미료와 배합하는 것을 개시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감미료 조성물은 감미료 조성물 내에 효과량의 감미성 증강제를 포함한다. 감미성 증강제의 효과량이라 함은 감미성 증강제가 없는 감미료 조성물에 대한 단맛 민감도 이상으로 감미료 조성물의 단맛의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증강시키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는 전체 감미료 조성물의 약 0.1 ppm 내지 약 500 ppm, 약 10 ppm 내지 약 400 ppm, 약 100 ppm 내지 약 500 ppm,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양 또는 범위의 양으로 감미성 증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미성 증강제는 전체 감미료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25 ppm, 약 0.1 내지 약 25 ppm, 약 0.1 내지 약 15 ppm, 약 0.1 내지 약 10 ppm, 또는 약 0.1 내지 5 ppm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감미성 증강제는 전체 감미료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100 ppm, 약 100 내지 약 250 ppm, 또는 약 250 내지 약 500 ppm을 구성할 수 있다.
II . 감미료
전술한 감미성 증강제는 적절한 임의 고칼로리,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 감미료의 단맛 또는 민감성을 증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감미료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고칼로리 탄수화물 감미료(폴리올을 포함), 천연 고효능 감미료, 합성 고효능 감미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sweetness enhanced sweetener composition)"은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배합물(combination)을 의미한다.
적절한 고칼로리 탄수화물 감미료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에리트리톨, 말티톨, 락티톨,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D-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오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를 들면,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리불로오스, 트레오즈, 아라비노오제, 자일로오스, 릭소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스, 아이도즈, 락토오스, 말토오스, 전화당(invert sugar),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드로우즈, 디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즈, 탈로스, 에리드루로우즈, 자일룰로오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콘오-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즈, 자일로바이오즈 등), 겐치오-올리고당 (겐치오바이오즈, 겐치오트리오즈, 겐치오테트라오즈 등), 갈락토-올리고당,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당, 프룩토올리고당 (케스토스, 니스토즈 등), 말토테 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당 (말토트리오즈, 말토테트라오즈, 말토펜타오즈, 말토헥사오즈, 말토헵타오즈 등), 락툴로즈, 멜리바이오즈, 라피노오스, 람노스, 리보오스, 이성질화 액상 당(isomerized liquid sugar) 예를 들면 고 프룩토오스 옥수수/전분 시럽(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coupling sugar), 콩 올리고당, 및 글루코오스 시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실시예에서의 용도에 적절한 또 다른 감미료는 천연 및 합성 고효능 감미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천연 고효능 감미료(natural high-potency sweetener)", "NHPS", "NHPS 조성물", 및 "천연 고효능 감미료 조성물"은 동의어이다. "NHPS"는 천연에서 발견되는 임의 감미료를 의미하는데 이들은 미가공형, 추출형, 정제형, 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 형태의 어느 한 가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은 특징적으로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또는 글루코오스보다 더 큰 감미 효능(sweetness potency)을 가지나 칼로리는 더 적게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절한 NHPS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레바우디오시드 A, 레바우디오시드 B, 레바우디오시드 C (둘코사이드 B), 레바우디오시드 D, 레바우디오시드 E, 레바우디오시드 F, 둘코사이드 A,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시아메노사이드, 모나틴 및 이의 염(모나틴 SS, RR, RS, SR), 커률린, 글리시리진산 및 이의 염, 타우마틴, 모넬린, 마빈린, 브라제인, 헤르난둘신(hernandulcin), 필로둘신, 글리시필린(glycyphyllin), 플로리진, 트릴로바틴(trilobatin), 베이유노사이드, 오슬라딘, 폴리포도사이드 A, 프테로카리오사이 드(pterocaryoside) A, 프테로카리오사이드(pterocaryoside) B, 무쿠로지오사이드(mukurozioside), 플로미소사이드(phlomisoside) I, 페리안드린 I, 아브루소사이드 A, 및 사이클로카리오사이드(cyclocarioside) I를 포함한다. NHPS는 또한 변형 NHPS를 포함한다. 변형 NHPS는 자연적으로 변화된 NHPS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변형 NHPS는 효소와 접촉하여 발효되었거나 또는 NHPS 상에서 유도체화되었거나 치환된 NHPS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변형 NHPS는 1종 이상의 NHPS와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변형 NHPS는 NHPS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변형 NHPS는 본 발명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에 대하여 NHPS를 치환할 수 있거나 또는 NHPS와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변형 NHPS는 비변형 NHPS에 대한 대체물로서 명확히 기술되지 않으며, 변형 NHPS가 본 발명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NHPS를 치환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한 실시예에서, NHPS의 추출물은 임의 순도 백분율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NHPS가 비-추출물(non-extract)로서 사용될 때, NHPS의 순도는 예를 들면 약 25 % 내지 약 100 %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NHPS의 순도는 약 50 % 내지 약 100 %; 약 70 % 내지 약 100 %; 약 80 % 내지 약 100 %; 약 90 % 내지 약 100 %; 약 95 % 내지 약 100 %; 약 95 % 내지 약 99.5 %; 약 96 % 내지 약 100 %; 약 97 % 내지 약 100 %; 약 98 % 내지 약 100 %; 및 약 99 % 내지 약 100 % 범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순도는 미가공형(raw form) 또는 정제형에서, NHPS 추출물에 존재하는 각 NHPS 화합물의 중량 백분율을 의미한다. 한 실시예에서,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steviolglycoside) 추출물은 특정 순도의 특정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를 포함하며, 이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 추출물의 나머지는 또 다른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레바우디오시드 A와 같은 NHPS의 특정 순도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조추출물(crude extract)을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정제하는 것이 필수적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레바우디오시드 A와 같은 NHPS를 정제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미국 특허 출원 제11/751,627호(2007.5.21. 출원)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은 미국 가특허출원 제60/805,216호(2006.6.19. 출원) 및 제60/889,318호(2007.2.12. 출원)에 대하여 우선권 주장하며, 이들 모두의 명칭은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 및 레바우시오시드 A의 정제법(Rebaudioside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urifying Rebaudioside A)"이며, 이들 문헌은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조문헌으로 포함된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는 약 10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더욱 특히 약 15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양으로 1종 이상의 유기 용매와 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유기 용액으로부터 단일 단계에서 결정화된다. 유기 용매는 알코올,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알코올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1-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tert-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유기 용매는 약 20 부 내지 약 1 부 에탄올 대 약 1 부 메탄올,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3 부 내지 약 1 부 에탄올 대 약 1 부 메탄올 범위의 중량 비율로 수용성 유기 용액 내에 존재하는 에탄올과 메탄올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수용성 유기 용액과 미정제(crude) 레바우디오시드 A의 중량 비율은 약 10 내지 약 4 부 수용성 유기 용액 대 약 1 부 미정제 레바우디오시드 A, 더욱 특히 약 5 내지 약 3 부 수용성 유기 용액 대 약 1 부 미정제 레바우디오시드 A의 범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의 정제 방법은 대략 실온에서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의 정제 방법은 레바우디오시드 A 용액을 약 20℃ 내지 약 40℃ 범위의 온도까지, 또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환류 온도까지, 약 0.25 시간 내지 약 8 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의 정제 방법은 레바우디오시드 A 용액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레바우디오시드 A 용액을 약 4℃ 내지 약 25℃ 범위의 온도까지 약 0.5시간 내지 약 24시간 동안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레바우디오시드 A의 순도는 약 50 % 내지 약 100 %; 약 70 % 내지 약 100 %; 약 80 % 내지 약 100 %; 약 90 % 내지 약 100 %; 약 95 % 내지 약 100 %; 약 95 % 내지 약 99.5 %; 약 96 % 내지 약 100 %; 약 97 % 내지 약 100 %; 약 98 % 내지 약 100 %; 및 약 99 % 내지 약 100 % 범위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미정제 레바우디오시드 A를 결정화하면,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은 건조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약 95 중량% 초과 최대 약 100 중량% 순도의 레바우디오시드 A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는 레바우디오시드 A의 순도가 건조 상태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7 % 초과 최대 약 100 %, 건조 상태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8 % 초과 최대 약 100 %, 또는 건조 상태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99 % 초과 최대 약 100 %인 레바우디오시드 A를 포함한다. 상기 레바우디오시드 A 용액을 단일의 결정화 단계 중에 교반하거나 교반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레바우디오시드 A의 정제 방법은 레바우디오시드 A 용액을 적절한 온도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의 결정화를 촉진하여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를 형성시키기에 충분한 레바우디오시드 A의 고순도 결정을 사용하여 살포하는 단계(임의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의 결정화를 촉진하기에 충분한 레바우디오시드 A의 양은 그 용액 중에 존재하는 레바우디오시드 A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1%, 특히 약 0.01% 내지 약 1%의 레바우디오시드 A의 양을 포함한다. 상기 살포 단계의 적절한 온도는 약 18℃ 내지 약 35℃ 범위의 온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레바우디오시드 A의 정제 방법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을 분리 세척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수직 및 수평 관통 바스켓 원심 분리기, 고체 보울 원심 분리기, 디켄터 원심 분리기, 필러형 원심 분리기, 밀대형 원심 분리기, 하인켈(Heinkel)형 원심 분리기, 디 스크 스택(disc stack) 원심 분리기 및 사이클론(cyclone) 분리를 포함하는, 원심력을 이용하는 다양한 고체-액체 분리 기법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을 수용성 유기 용액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벨트, 드럼, 넛쉬(nutsche)형, 리프(leaf), 플레이트, 로센문드(Rosenmund)형, 스파클러(sparkler)형 및 백(bag) 필터와 필터 프레스의 사용을 포함하는, 가압 여과법, 진공 여과법 및 중력 여과법에 의하여 분리를 강화시킬 수 있으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레바우디오시드 A 고체-액체 분리 장치의 작동은 연속, 반연속 또는 일괄처리 모드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은 또한 다양한 유기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분리 장치상에서 세척될 수도 있다. 잔류 액체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은 질소 및 아르곤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체를 사용하는 분리 장치상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건조될 수 있으며, 이들 기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은 그 고체를 용해시키거나 또는 그 고체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액체, 기체 또는 기계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분리 장치로부터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레바우디오시드 A의 정제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공지 기술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회전 진공 건조기, 액상층 건조기, 회전 터널 건조기, 플레이트 건조기, 트레이(tray) 건조기, 나우타(Nauta)형 건조기, 분무 건조기, 플래쉬(flash) 건조 기, 마이크론(micron) 건조기, 팬(pan) 건조기, 고속 및 저속 패들(paddle) 건조기 및 마이크로파 건조기의 사용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잔류 용매를 제거시키기 위하여 질소 또는 아르곤 정화법을 사용하여 약 40℃ 내지 약 60℃ 범위의 온도에서 약 5 시간 내지 약 100 시간 동안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정제(crude) 레바우디오시드 A 혼합물이 레바우디오시드 D 불순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레바우디오시드 A의 정제 방법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을 분리 건조하는 단계에 앞서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의 조성물을 유기 용매 또는 수용성 유기 용액을 사용하여 슬러리화 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슬러리는 고체 및 수용성 유기 용액 또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이며, 여기서 상기 고체는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을 포함하고, 수용성 유기 용액 또는 유기 용매에 단지 소량만 용해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 및 수용성 유기 용액 또는 유기 용매는 상기 슬러리 내에 약 15부 내지 1부의 수용성 유기 용액 대 약 1부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 범위의 중량 비율로 존재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슬러리는 실온에서 유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화 하는 단계는 상기 슬러리를 약 20℃ 내지 약 40℃ 범위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은 약 0.5 시간 내지 약 24 시간 동안 슬러리화 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바우디오시드 A의 정제 방법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을 상기 슬러리의 상기 수용성 유기 용액 또는 유기 용매로부터 분리시켜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을 세척하는 단계 및 후속하여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추가적인 정제가 필요한 경우,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레바우디오시드 A의 정제 방법을 반복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별도의 정제 방법을 사용하여 더욱 정제할 수 있다.
또 다른 NHPS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정제 방법을 사용하여 정제될 수 있으며, 이 기술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자명한 약간의 실험을 요하게 된다는 사실도 역시 생각될 수 있다.
전술한 결정화에 의한 레바우디오시드 A의 정제는 다음의 적어도 3가지의 상이한 다형(polymorph)을 산출한다: 제1형: 레바우디오시드 A 수화물; 제2형: 레바우디오시드 A 무수물; 및 제3형: 레바우디오시드 A 용매 화합물. 레바우디오시드 A의 상기 적어도 3가지의 다형에 부가하여, 레바우디오시드 A를 정제하면 레바우디오시드 A의 무정형, 제4형의 형성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정제 과정의 수용성 유기 용액 및 온도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에서 산출되는 다형에 영향을 미친다. 도 1~5는 각각 제1형 (수화물), 제2형 (무수물), 제3A형 (메탄올 용매화합물), 제3B형 (에탄올 용매화합물) 및 제4형 (무정형)인 레바우디오시드 A의 다형 및 무정형의 예시적인 분말 X-선 회절(XRPD) 스캔이다.
상기 4가지의 레바우디오시드 A 다형의 물질 특성은 다음 표에 요약되어 있다.
표 7: 레바우디오시드 A 다형 및 무정형
다형 제1형 다형 제2형 다형 제3형 무정형 제4형
25℃에서 H2O 중에의 용해 속도 매우 느림
(60분에 <0.2 %)
중간
(5분에 <30 %)
높음
(5분에 > 30 %)
높음
(5분에 > 35.0 %)
알코올 함량 < 0.5 % < 1 % 1-3 % > 0.05 %
수분 함량 > 5 % < 1 % < 3 % < 6 %
형성된 다형의 종류는 상기 수용성 유기 용액의 조성, 상기 결정화 단계의 온도, 및 상기 건조 단계 동안의 온도에 의존한다. 제1형 및 제3형은 단일 결정화 단계 동안 형성되는 반면에, 제2형은 제1형 또는 제3형으로부터의 변환 이후 상기 건조 단계 중에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결정화 단계 동안 온도를 약 20℃ 내지 약 50℃의 범위로 낮추고, 상기 수용성 유기 용액 내 물 대 유기 용매의 비율을 낮추면 제3형이 형성된다. 상기 결정화 단계 동안 온도를 약 50℃ 내지 약 80℃의 범위로 높이고, 상기 수용성 유기 용액 내 물 대 유기 용매의 비율을 높이면 제1형이 형성된다. 제1형은 실온에서 (2~16 시간) 또는 약 (0.5~3 시간) 환류 온도에서 무수 용매 내에서 슬러리화 시킴으로써 제3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3형은 실온에서 약 16 시간 또는 환류 온도에서 약 2~3 시간 상기 다형을 수중에서 슬리러화 시킴으로써 제1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3형은 건조 과정 동안 제2형으로 변환될 수 있지만; 건조 온도를 70℃ 이상으로 높이거나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의 건조 시간을 연장 시키면, 그 결과 레바우디오시드 A가 분해되고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 내에 레바우디오시드 B 불순물의 수준이 증가 될 수 있다. 제2형은 물의 첨가에 의해 제1형으로 변환될 수 있다.
제4형은 제1, 2, 3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이 기술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볼 밀링(ball milling), 침전법(precipitation), 리포필리제이션(lypophilization), 동결마쇄(cryo-grinding), 및 분무-건조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제4형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의 용액을 분무-건조함으로써, 전술한 정제방법에 의해 수득된 실질적으로 순수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은 특정 양의 상기 다형 또는 무정형을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한 실시예에 있어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은 증가된 양의 제 2, 3, 또는 4형, 또는 이들의 조합(그 결과 배합된 이들 형의 전체 양이 목표 범위 내에 도달함)을 가지도록 변형되는 반면에 존재하는 제1형의 양은 감소시키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어떠한 이론의 의하여도 제한받지 않으면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특정 다형 및/또는 무정형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의 바람직한 용해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은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약 10 % 이상, 약 25 % 이상, 약 50 % 이상, 약 75 % 이 상, 약 90 % 이상, 또는 99 % 이상의 양으로 제2, 3, 또는 4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그 결과 배합된 이들 형의 전체 양이 목표된 범위 내에 도달함). 또 다른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은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약 10 % 내지 최대 약 100 %, 약 25 % 내지 최대 약 100 %, 약 50 % 내지 최대 약 100 %, 약 75 % 내지 최대 약 100 %, 또는 약 90 % 내지 최대 약 100 %의 양으로 일정 함량의 제2, 3, 또는 4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그 결과 배합된 이들 형의 전체 양이 목표된 범위 내에 도달함).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제2, 3, 또는 4형,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함량을 조절하는 것을 대체하거나 또는 이에 부가하여,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는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제1형의 함량을 변형함으로써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의 용해 속도를 조절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은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최대 약 50 %, 최대 약 25 %, 최대 약 10 %, 최대 약 5 %, 또는 최대 약 1 %의 양으로 제1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은 레바우디오시드 A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약 0.5 % 내지 최대 약 50 %, 약 0.5 % 내지 최대 약 25 %, 약 0.5 % 내지 최대 약 10 %, 약 0.5 % 내지 최대 약 5 %, 또는 약 0.5 % 내지 최대 약 1 %의 양으로 제1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합성 감미료(synthetic sweetener)"는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으며, 특징적으로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또는 글루코오스보다 더 큰 감미 효능을 갖지만 더 적은 칼로리를 갖는 임의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절한 합성 감미료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아스파르테임,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사이클러메이트, 네오탐, 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이들의 염, 등을 포함한다.
NHPS 및 합성 감미료는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NHPS 및/또는 합성 감미료와 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감미료 조성물은 단일의 NHPS 또는 단일의 합성 감미료; 단일의 합성 감미료와 배합된 단일의 NHPS; 단일의 합성 감미료와 배합된 1종 이상의 NHPS; 1종 이상의 합성 감미료와 배합된 단일의 NHPS; 1종 이상의 합성 감미료와 배합된 1종 이상의 NHPS;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배합 효과가 감미료 조성물의 맛 또는 경구용 감미된 조성물의 맛에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한 복수의 천연 및/또는 합성 고효능 감미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는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와 같은 NHPS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배합될 수 있는 적절한 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레바우디오시드 A, 레바우디오시드 B, 레바우디오시드 C (둘코사이드 B), 레바우디오시드 D, 레바우디오시드 E, 레바우디오시드 F, 둘코사이드 A,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오사이드, 또는 스테비올비오시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면,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은 레바우디오시드 B, 레바우디오시드 C, 레바우디오시드 E, 레바우디오시드 F, 스테비오사이드, 스테비올비오시드, 둘코사이드 A, 또는 이들의 조합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 A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레바우디오시드 A는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 내에서 그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의 약 50 내지 약 99.5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70 내지 약 90 중량% 범위, 및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75 내지 약 8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B는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 내에서 그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의 약 1 내지 약 8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2 내지 약 5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2 내지 약 3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C는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 내에서 그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의 약 1 내지 약 10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3 내지 약 8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4 내지 약 6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E는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 내에서 그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의 약 0.1 내지 약 4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0.1 내지 약 2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0.5 내지 약 1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F는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 내에 서 그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의 약 0.1 내지 약 4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0.1 내지 약 2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0.5 내지 약 1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둘코사이드 A는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 내에서 그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의 약 0.1 내지 약 4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0.1 내지 약 2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0.5 내지 약 1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스테비오사이드는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 내에서 그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의 약 0.5 내지 약 10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 내지 약 6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 내지 약 4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스테비올비오시드는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 내에서 그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의 약 0.1 내지 약 4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0.1 내지 약 2 중량% 범위,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0.5 내지 약 1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고효능 감미료 조성물은 레바우디오시드 A, 스테비오사이드, 레바우디오시드 B, 레바우디오시드 C, 및 레바우디오시드 F의 배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레바우디오시드 A는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 내에서 그 고효능 감미료의 배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75 내지 약 85 중량%의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스테비오사이드는 약 1 내지 약 6 중량 %의 범위로 존재하고, 레 바우디오시드 B는 약 2 내지 약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레바우디오시드 C는 약 3 내지 약 8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레바우디오시드 F는 약 0.1 내지 약 2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는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필요로 하는 칼로리 함량을 얻기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의 NHPS는 고칼로리의 천연 감미료 및/또는 다른 고칼로리 첨가제와 배합되어서 바람직한 칼로리 함량을 갖는 감미료 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맛 개선 조성물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의 배합물은 종종 변형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특정 구체예는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재-균형 시키기 위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감미료 조성물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단맛 개선 조성물의 사용은 심사진행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11/561,148호 및 제11/561,158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조문헌으로 그 전체가 편입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가 감미료의 감미성을 증강시키는 작용을 하면서 또한 감미료의 시간 특성 및/또는 향 미 특성을 변형시켜 더욱 당에 유사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이 감미성 증강제, 감미료 및 단맛 개선 조성물의 임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예를 들면, 한 구체예에서 단일의 감미성 증강제가 단일의 감미료 및 단일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의 감미성 증강제가 2종 이상의 감미료 및 단일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의 감미성 증강제가 단일의 감미료 및 2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2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가 2종 이상의 감미료 및 2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시된 감미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임의 수의 감미성 증강제, 감미료, 및 단맛 개선 조성물이 배합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적절한 단맛 개선 조성물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및 이에 대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 및 이에 대응하는 염, 당산(sugar acid) 및 이에 대응하는 염, 뉴클레오티드, 유기산, 무기산, 유기산염 및 유기 염기염을 포함하는 유기염, 무기염, 쓴맛 화합물(bitter compound), 풍미제(flavorant) 및 착향 성분(flavoring ingredients), 수렴제 화합물(astringent compound),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계면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알코올, 중합체, 당에 유사한 특징을 부여하는 또 다른 단맛 개선 맛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단일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과 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과 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과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은 불쾌한 맛을 억제, 감소, 또는 제거하고,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에 당에 유사한 특징을 부여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불쾌한 맛(undesirable taste)"은 당(sugar), 예를 들면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또는 이와 유사한 당류에 의해 부여되지 않는 임의의 맛 특성을 의미한다. 불쾌한 맛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단맛의 발생 지연, 잔존하는 단맛의 뒷맛, 금속성 맛, 쓴맛, 청량감 맛 또는 멘톨-유사 맛, 감초-유사 맛, 및/또는 이와 유사한 맛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은 단맛 개선 조성물이 제공되지 않은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에 비하여 더욱 당에 유사한 시간 특성 및/또는 당에 유사한 향미 특성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당에 유사한 특징(sugar-like characteristic)", "당에 유사한 맛(sugar-like taste)", "당에 유사한 감미(sugar-like sweet)", "당의(sugary)", 및 "당에 유사(sugar-like)"는 동의어이다. 당에 유사한 특징은 수크로오스의 특징과 유사한 임의 특징을 포함하며, 최대 반응, 향미 특성, 시간 특성, 적응 거동, 식감, 농도/반응 함수 거동, 미각 자극 물질(tastant) 및 향미/단맛 상호 작용, 공간 패턴 선택도 및 온도 효과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 다. 이러한 특징은 수크로오스의 맛이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맛과 상이한 차원이다. 특징이 더욱 당에 유사한지 아닌지의 여부는,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는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리고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는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양자 모두 및 당(sugar)에 에 대한 전문 감각 패널의 평가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평가는 당(sugar)을 포함하는 것과, 단맛 개선 조성물을 함유하는 그리고 함유하지 않는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포함 조성물의 특징과의 유사점을 정량화한다. 조성물이 더욱 당에 유사한 맛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적절한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감미성 잔존의 감소를 측정하기 위하여 평가단이 사용되었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평가단(일반적으로, 8명 내지 12명의 개인)을 훈련시켜서 시료를 최초로 입에 넣은 때부터 그것을 내뱉은 후 3분까지의 몇 시점에서 감미성의 지각을 평가하고 감미성을 측정하도록 한다. 통계적 분석법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첨가제를 함유하는 시료와 첨가제를 함하지 않는 시료 간에 비교한다. 상기 시료가 입에서 세척된 이후에 측정된 시점에 대한 점수의 감소는 감미성 지각에 있어서 감소가 있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단을 훈련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스펙트럼™ 데스크립티브 분석법 (Spectrum™ Descriptive Analysis Method (Meilgaard et al.,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3rd edition, Chapter 11))을 사용하여 평가단을 훈련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훈련의 초점은 기본적인 맛; 특히 단맛에 대한 인식 및 측정이어야 한다. 결과의 정확도 및 재현성을 확보하게 위하여, 각 평가자는 시료마다 약 3회 내지 약 5회 감미성 잔존 감소의 측정을 반복하는데, 각 반복 및/또는 시료 사이에 적어도 5분의 휴식 시간을 두고 물로 입을 잘 헹구어 세척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감미성 측정 방법은 입에 시료 10 mL를 넣는 단계, 그 시료를 입안에 5초간 유지하고 그 시료를 입안에서 부드럽게 교반시키는 단계, 5초에서 지각된 감미성 강도를 등급 매기는 단계, 상기 시료를 내뱉는 단계(시료를 내뱉은 다음 삼키지 않음), 한 모금의 물로 헹구고(예를 들면, 입을 세척하는 것처럼 입안에서 물을 격렬하게 이동시킴) 헹군 물을 내뱉는 단계, 헹군 물을 내뱉는 즉시 지각되는 감미성 강도를 등급 매기는 단계, 45초간 기다리는 단계, 이 45초간 기다리는 동안 지각된 감미성 강도가 최대치인 시간을 확인하고 그 시간에서의 감미성 강도를 등급 매기는 단계(입을 정상적으로 움직이고 필요에 따라 삼킴), 다시 10-15초 후에 감미성 강도를 등급 매기는 단계, 다시 60초(헹굼 이후부터 누적 120초) 후에 감미성 강도를 등급 매기는 단계, 및 다시 60초(헹굼 후부터 누적 180초) 후에 감미성 강도를 등급 매기는 단계를 포함한다. 시료 사이에서 5분의 휴식을 갖고 물로 잘 헹궈서 입을 세척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탄수화물"은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하이드록실기로 치환된 일반식이 (CH20)n인 알데히드 또는 케톤 화합물과 이들의 올리고머 및 중 합체를 말하며, 상기 식에서 n은 3-30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탄수화물은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치환되거나 탈산소화(deoxygenated)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탄수화물은 미변형(unmodified) 탄수화물, 탄수화물 유도체, 치환된 탄수화물 및 변형(modified) 탄수화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탄수화물 유도체", "치환된 탄수화물" 및 "변형 탄수화물"은 동의어이다. 변형 탄수화물은 하나 이상의 원자가 첨가, 제거, 치환되거나, 또는 이들이 조합되어 발생하는 임의 탄수화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탄수화물 유도체 또는 친환 탄수화물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및 다당류를 포함한다. 탄수화물 유도체 또는 치환된 탄수화물은 선택적으로 임의의 대응하는 C-위치에서 탈산소화되거나, 및/또는 수소, 할로겐, 할로알킬, 카르복실, 아실,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도, 카르복실 유도체, 알킬아미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설포, 머캅토, 이미노, 설포닐, 설페닐, 설피닐, 설파모일, 카르보알콕시, 카르복스아미도, 포스포닐, 포스피닐, 포스포릴, 포스피노,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옥시미노, 하이드라지노, 카르바밀, 포스포, 포스포나토, 또는 상기 탄수화물 유도체 또는 치환된 탄수화물이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단맛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하는 임의의 또 다른 존재 가능 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분 (moiety)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탄수화물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오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를 들면,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Fibersol-2™ 과 같은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포함), 덱스트란,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리불로오스, 프룩토오스, 트레오즈, 아라비노오제, 자일로오스, 릭소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스, 아이도즈, 락토오스, 말토오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드로우즈, 디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즈, 탈로스, 에리드루로우즈, 자일룰로오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콘오-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beet) 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즈, 파노스 등),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즈, 자일로바이오즈 등), 겐치오-올리고당 (겐치오바이오즈, 겐치오트리오즈, 겐치오테트라오즈 등),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당, 프룩토올리고당 (케스토스, 니스토즈 등),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당 (말토트리오즈, 말토테트라오즈, 말토펜타오즈, 말토헥사오즈, 말토헵타오즈 등), 락툴로즈, 멜리바이오즈, 라피노오스, 람노스, 리보오스,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전분 시럽 등과 같은 이성질화 액상 당 (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당, 및 글루코오스 시럽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탄수화물은 D-형 또는 L-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폴리올"은 두 개 이상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분자를 말한다. 폴리올은 각각 2개, 3개, 및 4개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디올, 트리올, 테트라올 일 수 있다. 또한, 폴리올은 각각 5개, 6개, 또는 7개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하는 펜타올, 헥사올, 헵타올 등과 같은 4개 초과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올은 탄수화물의 환원된 형태인 당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폴리알코올 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카르보닐기(알데히드 또는 케톤, 환원당)는 1차 또는 2차 하이드록실기로 환원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환원 겐치오-올리고당, 환원 말토오스 시럽, 환원 글루코오스 시럽 및 당 알코올 또는 환원 가능한 임의의 기타 탄수화물로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맛에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예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테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부티르산 (알파, 베타 또는 감마 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및 이들의 염 형태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산염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또한 D- 또는 L-배열일 수 있으며 동일 또는 상이한 아미노산의 모노-, 디-, 또는 트리-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은 적절한 경우에 α, β, γ, δε의 이성질체일 수 있다. 상기의 아미노산 및 이에 대응하는 염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이들의 기타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 또는 산염)의 배합물도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 에 있어서 적절한 단맛 개선 첨가제이다. 상기 아미노산은 천연 또는 합성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은 또한 변형될 수도 있다. 변형 아미노산은 하나 이상의 원자가 첨가, 제거, 치환되거나 이들이 조합되어 발생한 임의의 아미노산(예를 들면, N-알킬 아미노산, N-아실 아미노산 또는 N-메틸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변형 아미노산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트리메틸 글리신, N-메틸-글리신, 및 N-메틸-알라닌과 같은 아미노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아미노산은 변형 및 비변형 아미노산 둘 모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변형 아미노산은 펩티드 및 폴리펩티드(예를 들면, 디펩티드, 트리펩티드, 테트라펩티드 및 펜타펩티드) 예를 들면 글루타티온 및 L-알라닐-L-글루타민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폴리-L-아스파르트산, 폴리-L-리신(예를 들면,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예를 들면,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γ-오르니틴), 폴리-L-아르기닌, 그 밖의 다른 아미노산의 중합체 형태, 및 이들의 염 형태(예를 들면, 마그네슘염, 칼슘염, 칼륨염, 또는 L-글루탐산 모노 나트륨염과 같은 나트륨염)을 포함한다. 상기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또한 D- 또는 L- 배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노산은 적절한 경우에 α-, β-, γ-, δ-ε- 이성질체일 수 있다. 전술한 폴리아미노산 또는 이에 대응하는 염(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이들의 기타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 또는 산염)의 배합물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적절한 단맛 개선 첨가제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 된 폴리아미노산은 또한 상이한 아미노산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폴리아미노산은 천연 또는 합성일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노산은 하나 이상의 원자가 첨가, 제거, 치환되거나 이들이 조합되어 발생하는(예를 들면, N-알킬 폴리아미노산 또는 N-아실 폴리아미노산) 방식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폴리아미노산은 변형 및 미변형 폴리아미노산 둘 모두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 폴리아미노산은 다양한 분자량(MW)의 폴리아미노산, 예를 들면 MW가 1,500, MW가 6,000, MW가 25,200, MW가 63,000, MW가 83,000 또는 MW가 300,000인 폴리-L-α-리신 등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에 적절한 단맛 개선 당산(sugar acid) 첨가제는 알돈산, 우론산, 알다르산, 알진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글루카르산, 갈락타르산, 갈락투론산과 이들의 염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또는 이들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여기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에 적절한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모노인산이노신(IMP), 모노인산구아노신(GMP), 모노인산아데노신(AMP), 모노인산시토신(CMP), 모노인산우라실(UMP), 디인산이노신, 디인산구아노신, 디인산아데노신, 디인산시토신, 디인산우라실, 트리인산이노신, 트리인산구아노신, 트리인산아데노신, 트리인산시토신, 트리인산우라실과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신된 뉴클레오티드는 뉴클레오티드-관련 첨가제, 예를 들면 뉴클레오시드 또는 핵산 염기 들 (예를 들면, 구아닌, 시토신, 아데닌, 티민 및 우라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COOH 부분을 포함하는 임의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에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C2-C30 카르복시산, 치환된 하이드록실 C1-C30 카르복시산, 벤조산, 치환된 벤조산 (예를 들면, 2,4-디하이드록시벤조산), 치환된 신남산, 하이드록시산, 치환된 하이드록시벤조산, 치환된 사이클로헥실 카르복시산, 탄닌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구연산, 글루콘산, 글루코헵톤산, 아디프산, 하이드록시구연산, 말산, 프루이타르산 (말산, 푸마르산 및 타르타르산의 혼합물),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클로로젠산, 살리실산, 크레아틴, 글루코사민 수화염화물, 글루코노 델타 락톤, 카페인산, 담즙산(bile acid),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알긴산, 에리토르브산, 폴리글루탐산, 및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 유도체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D-배열 또는 L-배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모든 유기산의 나트륨염, 칼슘염, 칼륨염 및 마그네슘염, 예를 들면 구연산염, 말산염, 타르타르산염, 푸마르산염, 락트산염 (예를 들면, 락트산나트륨), 알긴산염 (예를 들면, 알긴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염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나트륨), 벤조산염 (예를 들면, 벤조산나트륨 또는 벤조산칼륨) 및 아디프산염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의 예는 선택적으로 수소, 알킬, 알케닐, 알키닐, 할로, 할로알킬, 카르복실, 아실, 아실옥시, 아미노, 아미도, 카르복실 유도체, 알킬아미 노, 디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알콕시, 아릴옥시, 니트로, 시아노, 설포, 티올, 이민, 설포닐, 설페닐, 설피닐, 설파밀, 카르복스알콕시, 카르복스아미도, 포스포닐, 포스피닐, 포스포릴, 포스피노,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무수물, 옥시미노, 하이드라지노, 카르바밀, 포스포, 포스포나토, 및 상기 치환된 유기산염 첨가제가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단맛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하는 임의의 또 다른 존재 가능 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분 (moiety)에 의하여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에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는 인산, 아인산, 폴리인산, 염산, 황산, 탄산, 인산이수소나트륨 및 이들의 대응하는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킬리 토금속염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에 적절한 단맛 개선 쓴맛 화합물 첨가제는 카페인, 퀴닌, 요소, 비터 오렌지 오일, 나린진, 쿠아시아, 및 이들의 염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에 적절한 단맛 개선 풍미제 및 착향 성분은 바닐린, 바닐라 추출물, 망고 추출물, 계피, 감귤, 코코넛, 생강, 비리디플로올, 아몬드, 멘톨 (박하가 없는 멘톨 포함), 포도 껍질 추출물, 및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풍미제"와 "착향 성분"은 동의어이며, 천연 또는 합성 물질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풍미제는 향을 부여하는 임의의 기타 물질을 또한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때 인간 또는 동물에게 안전한 천연 또는 비천연(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독점적인 풍미제 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돌러™ (Dohler™ Natural Flavoring Sweetness Enhancer K14323 (Dohler™ Darmstadt, 독일)), 심리스™ (Symrise™ Natural Flavor Mask for Sweeteners 161453 및 164126 (Symrise, Holzminden™ 독일)), 내츄럴 어드벤티지™ (Natural Advantage™ Bitterness Blockers 1, 2, 9 및 10 (Natural Advantage™ Freehold, 뉴저지주, 미국)) 및 수크라마스크™ (Sucramask™ (Creative Research Management, Stockton, 캘리포니아주, 미국))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에 적절한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는 키토산, 펙틴, 펙트산, 펙틴산, 폴리유론산, 폴리칼락투론산, 전분, 식품 수성 콜로이드 또는 이들의 조추출물 [예를 들면, 검 (gum) 아카시아 세네갈 (Fibergum™), 검 아카시아 세얄, 카라기난(carageenan)], 폴리-L-리신(예를 들면,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예를 들면,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γ-오르니틴), 폴리아르기닌,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글루탐산, 폴리에틸렌이민,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 글리콜,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SHMP) 및 그의 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알긴산나트륨 및 그 밖의 다른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에 적절한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는 보빈 혈청 알부민(BSA), 유청 단백질(90% 인스턴트 유청 단백질 단리물, 34% 유청 단백질, 50% 가수 분해된 유청 단백질, 및 80% 유청 단백질 농축물 과 같은 이들의 분획 또는 농축물을 포함), 용해성 쌀 단백질, 대두 단백질, 단백질 단리물, 단백질 가수분해물,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반응 생성물, 글리코단백질, 및/또는 아미노산 함유 프로테오글리칸(예를 들면, 글리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발린, 이소류신, 류신, 노르발린, 메티오닌, 프롤린, 티로신, 하이드록시프롤린 등), 콜라겐(예를 들면, 젤라틴), 부분 가수 분해된 콜라겐(예를 들면, 가수 분해된 어류 콜라겐),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예를 들면, 돼지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에 적절한 단맛 개선 표면 활성제 첨가제는 폴리소르빈산염(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소르빈산염 80), 폴리소르빈산염 20, 폴리소르빈산염 60),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디옥틸설포숙신산염 또는 디옥틸설포숙신산나트륨, 도데실황산나트륨, 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헥사데실피리디늄), 브롬화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담즙산나트륨, 카르바모일, 염화콜린, 글리코콜산나트륨, 타우로데옥시콜산나트륨, 라우릭 알기네이트, 소듐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타우로콜산나트륨, 레시틴, 수크로오스 올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팔미테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라우레이트 에스테르, 및 그 밖의 다른 유화제 등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에 적절한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플라보놀, 플라본, 플라바논, 플라반-3-올, 이소플라본, 또는 안토시아니딘으로 분류된다. 플라보노이드 첨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카테킨(예를 들면, 폴리페 논(Polyphenon)™ 60, 폴리페논™ 30 및 폴리페논™ 25 (Mitsui Norin Co., Ltd., 일본), 폴리페놀, 루틴(예를 들면, 효소 변형 루틴 산멜린™ 에이오 (Sanmelin™ AO) (San-Ei Gen F.F.I., Inc., 오사카, 일본)), 네오헤스페리딘, 나린진 등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에 적절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는 에탄올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단맛 개선 수렴제 화합물 첨가제는 탄닌산, 염화유로퓸 (EuCl3), 염화가돌리늄 (GdCl3), 염화테르븀 (TbCl3), 명반 (alum), 탄닌산, 및 폴리페놀 (예를 들면, 티 폴리페놀)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단맛 개선 비타민은 니코틴아마이드(비타민 B3) 및 피리독살 수화염화물(비타민 B6)을 포함한다.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은 또한 그 밖의 다른 천연 및/또는 합성 고효능 감미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미료 조성물이 1종 이상의 NHPS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합성 고효능 감미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합성의 고효능 감미료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수크랄로스, 포타슘 아세설팜, 아스파르테임,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사이클러메이트, 네오탐, N- [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 [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 [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로 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이들의 염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은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염의 형태일 수도 있다. 용어 "염"은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의 목표 화학적 활성을 유지하며,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인간 또는 동물이 섭취하기에 안전한 복합물을 말한다. 알칼리 금속(예를 들면, 나트륨 또는 칼륨) 또는 알칼리토금속(예를 들면, 칼슘 또는 마그네슘)의 염도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염은 또한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의 배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염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a) 무기산에 의하여 형성된 산부가염 및 유기산에 의하여 형성된 염; (b) 칼슘, 비스무스, 바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구리, 코발트, 니켈, 카드뮴, 나트륨, 칼륨 등과 같은 금속 양이온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암모니아,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D-글루코사민, 테트라에틸암모늄 또는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형성된 양이온과 함께 형성된 염기 부가염; 또는 (c) (a) 및 (b)의 배합물이다. 따라서,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임의의 염 형태는, 상기 단맛 개선 첨가제의 염이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맛 또는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입으로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맛에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염 형태는 상기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에 이들의 산 또는 염기 형태와 동일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맛 개선 첨가제로서 유용한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염의 예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구연산칼륨, 염화유로퓸 (EuCl3), 염화가돌리늄 (GdCl3), 염화테르븀 (TbCl3), 황산마그네슘, 명반, 염화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예를 들면, 무기 인산염), 염산염(예를 들면, 무기 염화물), 탄산나트륨, 중황산나트륨, 및 중탄산나트륨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맛 개선 첨가제로서 유용한 적절한 유기염은 염화콜린, 알긴산나트륨염(알긴산나트륨), 글루코헵톤산나트륨염, 글루콘산나트륨염(글루콘산나트륨), 글루콘산칼륨염(글루콘산칼륨), 구아니딘 HCl, 글루코사민 HCl, 글루탐산모노나트륨(MSG), 모노인산아데노신, 글루콘산마그네슘, 주석산칼륨 (일수화물) 및 주석산나트륨 (이수화물)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은 더욱 당에 유사하도록 삼투미를 포함하여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개선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는 본 발명의 개시에 의하여,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과 단맛 개선 조성물의 모든 가능한 배합물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및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탄수화물;
2.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올;
3.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4.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5.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6.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올;
7.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8.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9.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0.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11.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12.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올,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3.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14.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및
15.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상기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전체적인 맛 또는 이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입으로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전체적인 맛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상기 15가지의 주요 배합물들은 또한 추가의 배합물로 분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맛 개선 조성물은 폴리올, 탄수화물, 아미노산, 그 밖에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유용한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들은 위에 기재되어 있다. 한 실시예에서, 단일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단맛 개선 조성물 배합물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i.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ii.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iii.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iv.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탄수화물;
v.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vi.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vii.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viii.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조성물 배합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당산;
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착향 성분;
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1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저분자량 아미노산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1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1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화제;
1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1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기염,
1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1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1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착향 성분,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3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3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3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3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3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3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3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3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3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4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4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4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4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4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4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4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4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4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4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5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5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5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5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5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5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5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5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5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5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6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6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6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6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6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6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6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7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7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7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7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7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7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8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8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8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8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8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8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8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8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9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9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9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9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9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10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및
10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조성물 배합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당산;
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착향 성분;
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1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1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1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유화제;
1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1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유기염;
1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저분자량 아미노산 혼합물;
1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 른 단맛 개선 첨가제;
1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착향 성분,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3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알코올,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3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3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3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3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3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3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3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3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4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4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4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4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4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4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4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4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4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4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5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5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5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5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5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5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염;
5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5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5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5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6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6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6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6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6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6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6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6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7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7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7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7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7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7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7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7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8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8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8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8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8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8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8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8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9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9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9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9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9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9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8.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9.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100.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101.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2.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3.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104.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5.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6.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7. 1종 이상의 폴리올,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에리트리톨;
10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티톨;
11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만니톨;
11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소르비톨;
11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락티톨;
11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리톨;
11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트;
11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프로필렌 글리콜;
11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글리세롤;
11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툴로스;
11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11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12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 겐치오-올리고당;
12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 말토오스 시럽;
12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환원 글루코오스 시럽;
12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에리트리톨,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2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티톨,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2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만니톨,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2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소르비톨,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2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락티톨,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2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리톨,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2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트,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3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프로필렌 글리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3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글리세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32. =
13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3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3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 겐치오-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3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 말토오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및
13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환원 글루코오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조성물 배합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타가토스;
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트레할로스;
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갈락토오스;
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람노스;
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덱스트린;
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γ-사이클로덱스트린;
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덱스트린;
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덱스트란;
1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수크로오스;
1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글루코오스;
1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프룩토오스;
1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트레오즈;
1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아라비노오제;
1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자일로오스;
1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릭소오스;
1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알로오스;
1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알트로오스;
1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만노스;
2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아이도즈;
2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탈로스;
2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락토오스;
2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오스;
2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전화당;
2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트레할로스;
2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트레할로스;
2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네오트레할로스;
2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말툴로스;
2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갈락토오스;
3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비트(beet) 올리고당;
3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말토-올리고당;
3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말토오스;
3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말토트리오즈;
3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파노스;
3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자일로-올리고당;
3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자일로트리오즈;
3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자일로바이오즈;
3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겐치오-올리고당;
3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겐치오바이오즈;
4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겐치오트리오즈;
4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겐치오테트라오즈;
4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소르보스;
4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니게로-올리고당;
4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푸코스;
4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프룩토올리고당;
4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케스토스;
4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니스토즈;
4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테트라올;
4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트리올;
5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올리고당;
5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트리오즈;
5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테트라오즈;
5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펜타오즈;
5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헥사오즈;
5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말토헵타오즈;
56.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락툴로즈;
57.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멜리바이오즈;
58.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라피노오스;
59.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람노스;
60.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리보오스;
61.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이성질화 액상 당;
62.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 시럽(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또는 전분 시럽;
63.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커플링 슈가;
64.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콩 올리고당;
65. 1종 이상의 폴리올 및 글루코오스 시럽;
66. 1종 이상의 폴리올, 타가토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67. 1종 이상의 폴리올, 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68. 1종 이상의 폴리올, 갈락토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69. 1종 이상의 폴리올, 람노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70. 1종 이상의 폴리올, 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71. 1종 이상의 폴리올,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72. 1종 이상의 폴리올,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기타 탄수화물;
73.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74. 1종 이상의 폴리올, 덱스트란,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75. 1종 이상의 폴리올, 수크로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76. 1종 이상의 폴리올, 글루코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77. 1종 이상의 폴리올, 프룩토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78. 1종 이상의 폴리올, 트레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79. 1종 이상의 폴리올, 아라비노오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80. 1종 이상의 폴리올, 자일로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81. 1종 이상의 폴리올, 릭소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82. 1종 이상의 폴리올, 알로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83. 1종 이상의 폴리올, 알트로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84. 1종 이상의 폴리올, 만노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85. 1종 이상의 폴리올, 아이도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86. 1종 이상의 폴리올, 탈로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87. 1종 이상의 폴리올, 락토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88.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89. 1종 이상의 폴리올, 전화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90. 1종 이상의 폴리올, 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91.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 수화물;
92. 1종 이상의 폴리올, 네오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93.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말툴로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94. 1종 이상의 폴리올, 갈락토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95. 1종 이상의 폴리올, 비트(beet) 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96.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97.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말토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98.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소말토트리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99. 1종 이상의 폴리올, 파노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00. 1종 이상의 폴리올, 자일로-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01. 1종 이상의 폴리올, 자일로트리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02. 1종 이상의 폴리올, 자일로바이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03. 1종 이상의 폴리올, 겐치오-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04. 1종 이상의 폴리올, 겐치오바이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05. 1종 이상의 폴리올, 겐치오트리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06. 1종 이상의 폴리올, 겐치오테트라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07. 1종 이상의 폴리올, 소르보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08. 1종 이상의 폴리올, 니게로-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09. 1종 이상의 폴리올, 푸코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10. 1종 이상의 폴리올, 프룩토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11. 1종 이상의 폴리올, 케스토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12. 1종 이상의 폴리올, 니스토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13.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테트라올,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14.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트리올,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15.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16.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트리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17.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테트라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18.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펜타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19.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헥사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20. 1종 이상의 폴리올, 말토헵타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21. 1종 이상의 폴리올, 락툴로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22. 1종 이상의 폴리올, 멜리바이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23. 1종 이상의 폴리올, 라피노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24. 1종 이상의 폴리올, 람노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25. 1종 이상의 폴리올, 리보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26. 1종 이상의 폴리올, 이성질화 액상 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27. 1종 이상의 폴리올,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 시럽 (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또는 전분 시럽,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28. 1종 이상의 폴리올, 커플링 슈가,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29. 1종 이상의 폴리올, 콩 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30. 1종 이상의 폴리올, 글루코오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3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에리트리톨;
13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말티톨;
13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만니톨;
13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소르비톨;
13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락티톨;
13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자일리톨;
13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이소말트;
13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프로필렌 글리콜;
13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글리세롤;
14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14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14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 겐치오-올리고당;
14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 말토오스 시럽;
14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환원 글루코오스 시럽;
14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에리트리톨,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4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말티톨,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4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만니톨,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4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소르비톨,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4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락티톨,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5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자일리톨,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5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이소말트,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5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프로필렌 글리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5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글리세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5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5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5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 겐치오-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15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 말토오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및
15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환원 글루코오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폴리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조성물 배합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아미노산;
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당산;
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착향 성분;
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1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1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1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저분자량 아미노산의 혼합물;
1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유화제;
1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및 1종 이상의 무기염;
1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1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1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그 밖 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풍미제 또는 착향 성분,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2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알코올,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첨가제;
3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3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3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3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 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3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3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3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3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3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3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4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1종 이상의 당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1종 이상의 유기산, 1종 이상의 무기산,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1종 이상의 중합체,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4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4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4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4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4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4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4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4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4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 이드;
5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5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당산;
5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5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5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5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5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5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5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5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및 1종 이상의 알코 올;
6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6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6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6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6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6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6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6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6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당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유기산;
7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7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7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단백 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7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7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7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7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무기산;
7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8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8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8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8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유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8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8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8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8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8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무기산,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중합체;
9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9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9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95.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쓴맛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96.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97.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98.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 드;
99.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0.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101.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2.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103.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4. 1종 이상의 탄수화물,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및 1종 이상의 알코올;
10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D-타가토스;
10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트레할로스;
10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D-갈락토오스;
10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람노스;
10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덱스트린;
11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11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β-사이클로덱스트린;
11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덱스트린;
11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덱스트란;
11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수크로오스;
11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글루코오스;
11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프룩토오스;
11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트레오즈;
11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아라비노오제;
11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로오스;
12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릭소오스;
12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알로오스;
12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알트로오스;
12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만노스;
12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아이도즈;
12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탈로스;
12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락토오스;
12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오스;
12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전화당;
12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트레할로스;
13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트레할로스;
13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네오트레할로스;
13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툴로스;
13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갈락토오스;
13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비트(beet) 올리고당;
13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토-올리고당;
13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토오스;
13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소말토트리오즈;
13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파노스;
13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로-올리고당;
14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로트리오즈;
14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자일로바이오즈;
14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겐치오-올리고당;
14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겐치오바이오즈;
14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겐치오트리오즈;
14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겐치오테트라오즈;
14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소르보스;
14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니게로-올리고당;
14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푸코스;
14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프룩토올리고당;
15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케스토스;
15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니스토즈;
15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테트라올;
15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트리올;
15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올리고당;
15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트리오즈;
15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테트라오즈;
15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펜타오즈;
15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헥사오즈;
15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말토헵타오즈;
16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락툴로즈;
16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멜리바이오즈;
16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라피노오스;
16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람노스;
16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리보오스;
16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이성질화 액상 당;
16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 시럽 (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또는 전분 시럽;
16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커플링 슈가;
16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콩 올리고당;
16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및 글루코오스 시럽;
17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D-타가토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7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 른 탄수화물;
17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D-갈락토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7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람노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7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7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7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7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덱스트린,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7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덱스트란,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7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수크로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8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글루코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8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프룩토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 른 탄수화물;
18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트레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8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아라비노오제,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8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로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8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릭소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8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알로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8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알트로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8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만노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8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아이도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9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탈로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9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락토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9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9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전화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9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9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9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네오트레할로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9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툴로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9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갈락토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19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비트(beet) 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0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0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토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0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소말토트리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0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파노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0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로-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0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로트리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0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자일로바이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0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겐치오-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0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겐치오바이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0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겐치오트리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1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겐치오테트라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1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소르보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1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니게로-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1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푸코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1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프룩토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1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케스토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1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니스토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1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테트라올,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1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트리올,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1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2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트리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2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테트라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 의 다른 탄수화물;
22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펜타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2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헥사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2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말토헵타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25.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락툴로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26.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멜리바이오즈,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27.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라피노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28.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람노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29.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리보오스,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30.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이성질화 액상 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31.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 시럽 (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또는 전분 시럽,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32.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커플링 슈가,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233.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콩 올리고당,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및
234.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글루코오스 시럽, 및 1종 이상의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은 복수의 단맛 개선 첨가제, 한 실시예에서는 3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4종 이상의 단맛 개선 첨가제와 배합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 단맛 개선 첨가제는 어떠한 단맛 개선 첨가제도 그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맛을 실질적으로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는 양으로 존재한다. 환언하면, 상기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내의 상기 단맛 개선 첨가제의 양은 어떠한 단맛 개선 첨가제도 그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맛을 실질적으로 떨어뜨리지 않도록 조절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이 상기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수용액에 10 mOsmoles/L 이상의 삼투질농도를 부여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그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내에 포함하고, 이때 상기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은 10 중량%의 수크로오스 수용액의 최대 감미성 강도와 동등한 최대 감미성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그 수용액 내에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mOsmoles/L"는 1 L 당 밀리오스몰(milliosmole)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최대 감미성 강도(maximum sweetness intensity)는 감미성 증강제의 유효 감미성 등급과 감미료의 유효 감미성 등급을 조합하여 측정되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은,상기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이 상기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수용액에 10 내지 500 mOsmoles/L, 25 내지 500 mOsmoles/L, 100 내지 500 mOsmoles/L, 200 내지 500 mOsmoles/L,또는 300 내지 500 mOsmoles/L의 삼투질농도를 부여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그 감미성 증간된 감미료 조성물 내에 포함하고, 이때 상기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은 10 중량%의 수크로오스 수용액의 최대 감미성 강도와 동등한 최대 감미성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그 수용액 내에 존재한다. 복수의 단맛 개선 조성물이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과 배합됨에 있어서, 상기 부여된 삼투질농도 및 감미성은 상기 복수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의 전체 배합물의 삼투질농도 및 감미성이다.
삼투질농도는 용액 1L 당 용질의 오스몰(osmole)의 측정치를 의미하며, 여기서 오스몰은 이상용액 내 삼투압적으로 활성인 입자의 몰수와 동등하며(예를 들면, 글루코오스의 1 몰은 1 오스몰이다), 한편 염화나트륨 1 몰은 2 오스몰이다(1 몰의 나트륨과 1 몰의 염소). 따라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맛의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상기 삼투압적으로 활성인 화합물 또는 삼투질농도를 부여하는 화합물은 상기 제제에 대한 현저한 맛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대한 적절한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분자량이 500 이하, 한 실시예에서는 분자량이 50 내지 500이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분자량이 500 이하인 적절한 탄수화물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만노스, 갈락토오스, 및 타가토스데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용어 ppm은 중량부/100만 또는 부피부/100만 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500 ppm은 500 mg/L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감미된 조성물 내에 약 2,500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mOsmoles/L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분자량 약 50 내지 약 500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실시예에서,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분자량이 500 이하, 한 실시예에서는 76 내지 500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분자량이 500 이하인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100 ppm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감미된 조성물 내에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한 하부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mOsmoles/L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분자량 약 76 내지 약 500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전체 감미료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60,000 ppm, 그리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625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mOsmoles/L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는 분자량 약 46 내지 약 500 범위의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 약 46 내지 약 500 범위의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에탄올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분자량이 250 이하, 한 실시예에서는 75 내지 250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분자량이 250 이하인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테아닌, 및 트레오닌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고 농도에서 단맛을 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의 감미성 감지 임계점 이하 또는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포함한다. 더욱 특정한 실시예에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혼합물은 이들의 감미성 감지 임계점 이하 또는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100 ppm 내지 약 25,000 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10,000 ppm, 그리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0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감미된 조성물 내에 약 250 ppm 내지 약 7,5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한 하부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mOsmoles/L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25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25 내지 약 10,000 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7,500 ppm, 그리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0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mOsmoles/L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테아닌, 및 트레오닌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200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mOsmoles/L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및 트레오닌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는 인산, HCl, 및 H2SO4 그리고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될 때 인간 또는 동물이 소비하기에 안전한 임의의 그 밖의 다른 무기산 첨가제들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하부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는 분자량이 약 36 내지 약 98 범위인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는 무기산의 염, 예를 들면 인산 또는 염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 그리고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이 소비하기에 안전한 그 밖의 다른 무기산의 임의의 또 다른 알킬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예를 들면, 중황산나트륨)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하부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는 분자량이 약 58 내지 약 120 범위인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크레아틴, 구연산, 말산, 숙신산, 하이드록시구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글루콘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및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의 소비용으로 안전한 임의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실시예에서,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분자량은 약 60 내지 약 208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20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상기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염, 예를 들면 구연산, 말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글루콘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하이드록시구연산, 및 숙신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및 그 밖의 다른 알칼리 또는 알칼리 금속염, 그리고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간 또는 동물의 소비용으로 안전한 임의의 그 밖의 다른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의 염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실시예에서,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의 분자량은 약 140 내지 약 208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 염기염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유기 염기염 첨가제는 글루코사민염, 콜린염, 및 구아니딘염과 같은 유기 염기의 무기 및 유기산염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수렴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25 내지 약 1,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수렴 첨가제는 탄닌산, 티 폴리페놀, 카테킨, Al2(SO4)3, AlNa(SO4)2, AlK(SO4)2 및 그 밖의 다른 백반형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5 내지 약 1,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모노인산아데노신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폴리-L-리신(예를 들면,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γ-리신), 폴리-L-오르니틴(예를 들면,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γ-오르니틴), 및 폴리-L-아르기닌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는 키토산,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및 이의 염, 펙틴, 수성 콜로이드 예를 들면 검 아카시아 세네갈 ,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계면활성제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1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계면활성제 첨가제는 폴리소르베이트, 염화콜린, 타우로콜산나트륨, 레시틴, 수크로오스 올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팔미테이트 에스테르, 및 수크로오스 라우레이트 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는 감미료 조성물 내에 약 0.1 내지 약 1,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 mOsmoles/L 내지 약 500 범위의 삼투질농도를 감미가능 물질에 부여하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는 나린진, 카테킨, 루틴, 및 네오헤스페리딘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감미성 품질 개선을 위한 고 삼투질농도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 및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감미성 품질 개선을 위한 적절한 고 삼투질농도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분자량이 약 50 내지 약 500 범위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50 내지 약 500 범위인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락토오스, 만노스, 갈락토오스, 리보오스, 람노스, 트레할로스, HFCS, 및 타가토스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감미성 품질 개선을 위한 적절한 고 삼투질농도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분자량이 약 76 내지 약 500 범위인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6 내지 약 500 범위인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에리트리톨,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한 하부 실시예에서, 또 다른 적절한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당 알코올(sugar alcohol)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감미성 품질 개선을 위한 적절한 고 삼투질농도의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는 분자량이 약 46 내지 약 500 범위의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46 내지 약 500 범위인 단맛 개선 알코올 첨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에탄올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감미성 품질 개선을 위한 적절한 고 삼투질농도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250 범위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250 범 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글루타민, 테아닌, 및 트레오닌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감미성 품질 개선을 위한 적절한 고 삼투질농도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는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약 75 내지 약 300 범위인 단맛 개선 아미노산염 첨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글루타민, 테아닌 및 트레오닌의 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감미성 품질 개선을 위한 적절한 고 삼투질농도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는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를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및 트레오닌을 함유하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감미성 품질 개선을 위한 적절한 고 삼투질농도의 단맛 개선 무기 산염 첨가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인산칼륨 및 인산나트륨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삼투질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적절한 단맛 개선 무기 산염 첨가제의 분자량은 약 58 내지 약 120 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감미성 품질 개선을 위한 적절한 고 삼투질농도의 단맛 개선 쓴맛 첨가제는 카페인, 퀴닌, 요소, 쿠아시아, 탄닌산, 및 나린진을 포함하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모노인산이노신 (IMP), 모노인산구아노신 (GMP), 모노인산아데노신 (AMP), 모노인산시토신 (CMP), 모노인산우라실 (UMP), 디인산이노신, 디인산구아노신, 디인산아데노신, 디인산시토신, 디인산우라실, 트리인산이노신, 트리인산구아노신, 트리인산아데노신, 트리인산시토신, 트리인산우라실, 이들의 뉴클레오시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오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예를 들면,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Fibersol-2™ 등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포함), 덱스트란,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리불로오스, 프룩토오스, 트레오즈, 아라비노오제, 자일로오스, 릭소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스, 아이도즈, 락토오스, 말토오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드로우즈, 디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즈, 탈로스, 에리드루 로우즈, 자일룰로오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콘오-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즈, 파노스 등),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즈, 자일로바이오즈 등), 겐치오-올리고당 (겐치오바이오즈, 겐치오트리오즈, 겐치오테트라오즈 등),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당, 푸코스, 프룩토올리고당 (케스토스, 니스토즈 등),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당 (말토트리오즈, 말토테트라오즈, 말토펜타오즈, 말토헥사오즈, 말토헵타오즈 등), 락툴로즈, 멜리바이오즈, 라피노오스, 람노스, 리보오스, 이성질화 액상 당 예를 들면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당, 또는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환원 겐치오-올리고당, 환원 말토오스 시럽, 또는 환원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 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테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브티르산 (알파-, 베타- 또는 감마- 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폴리-L-아스파르트산, 폴리-L-리신(예를 들면,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를 들면,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γ-오르니틴), 폴리-L-아르기닌, 아미노산의 그 밖의 다른 중합체형,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당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당산 첨가제는 알돈산, 우론산, 알다르산, 알긴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글루카르산, 갈락타르산, 갈락투론산,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C2-C30 카르복시산, 치환 하이드록실 C1-C30 카르복시산, 벤조산, 치환 벤조산 (예를 들면, 2,4-디하이드록시벤조산), 치환 신남산, 하이드록시산, 치환 하이드록시벤조산, 치환 사이클로헥실 카르 복시산, 탄닌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구연산, 글루콘산, 글루코헵톤산, 글루타르산, 크레아틴, 아디프산, 하이드록시구연산, 말산, 프루이타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클로로젠산, 살리실산, 카페인산, 담즙산,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알긴산, 에리토르브산, 폴리글루탐산,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 첨가제는 인산, 아인산, 폴리인산, 염산, 황산, 탄산, 인산이수소나트륨,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쓴맛 화합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쓴맛 화합물 첨가제는 카페인, 퀴닌, 요소, 쓴맛 오렌지 오일, 나린진, 쿠아시아,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풍미제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풍미제 첨가제는 바닐린, 바닐라 추출물, 망고 추출물, 계피, 감귤, 코코넛, 생강, 비리디플로롤, 아몬드, 멘톨, 포도 껍질 추출물, 또는 포도씨 추출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풍미제 첨가제는 돌러™ (Dohler™ Natural Flavoring Sweetness Enhancer K14323 (Dohler™ Darmstadt, Germany)), 심리스™ (Symrise Natural Flavor Mask for Sweetener 161453 or 164126 (Symrise™ Holzminden, Germany)), 내츄럴 어드벤티지™ (Natural Advantage™ Bitterness Blockers 1, 2, 9 또는 10 (Natural Advantage™ Freehold, New Jersey, U.S.A.)) 또는 수크라마스크™ (Sucramask™ (Creative Research Management, Stockton, California, U.S.A.))로부터 선택되는 독점적 감미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는 키토산, 펙틴, 펙트산, 펙틴산, 폴리우론산, 폴리갈락투론산, 전분, 식품 수성 콜로이드, 또는 이들의 조추출물 (예를 들면, 검 아카시아 세네갈, 검 아카시아 세얄, 카라기난), 폴리-L-리신 (예를 들면,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를 들면,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γ-오르니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폴리아르기닌, 폴리아스파르트산, 폴리글루탐산, 폴리에틸렌이민,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프로필렌 글리콜 알기네이트, 소듐 폴리에틸렌글리콜알기네이트,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및 이의 염, 또는 그 밖의 다른 양이온성 및 음이온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는 소혈청 알부민 (BSA), 유청 단백질 (90% 인스턴트 유청 단백질 단리물, 34% 유청 단백질, 50% 가수 분해된 유청 단백질, 및 80% 유청 단백질 농축물 등의 이들의 분획물 또는 농 축물을 포함), 용해성 쌀 단백질, 대두 단백질, 단백질 단리물, 단백질 가수분해물,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반응 생성물, 당단백질, 및/또는 아미노산 함유 프로테오글리칸 (예를 들면, 글리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테아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발린, 이소류신, 류신, 노르발린, 메티오닌, 프롤린, 티로신, 하이드록시프롤린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계면활성제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계면활성제 첨가제는 폴리소르베이트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소듐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 또는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 소듐,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염화세틸피리디늄, 브롬화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담즙산나트륨, 카르바모일, 염화콜린, 소듐 글리코콜레이트, 타우로콜산나트륨, 소듐 타우로데옥시콜레이트, 라우릭 알기네이트, 소듐 스테아로일 락틸레이트, 레시틴, 수크로오스 올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팔미테이트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라우레이트 에스테르 및 그 밖의 다른 유화제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플라보노이드 첨가제는 카테킨, 폴리페놀, 루틴, 네오헤스페리딘, 나린진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에탄올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수렴제 화합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수렴제 화합물 첨가제는 탄닌산, 염화유로퓸 (EuCl3), 염화가돌리늄 (GdCl3), 염화테르븀 (TbCl3), 명반, 탄닌산 및 폴리페놀 (예를 들면, 티 폴리페놀)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이수소나트륨, 황산나트륨, 구연산칼륨, 염화유로퓸 (EuCl3), 염화가돌리늄 (GdCl3), 염화테르븀 (TbCl3), 황산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 명반, 염화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염산염, 탄산나트륨, 중황산나트륨, 또는 중탄산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염 첨가제는 염화콜린, 글루콘산나트륨염, 글루콘산칼륨염, 구아니딘 HCl, 글루코사민 HCl,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 (MSG),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염,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 포타슘 타르트레이트, 및 소듐 타 르트레이트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모노인산이노신 (IMP), 모노인산구아노신 (GMP), 모노인산아데노신 (AMP), 모노인산시토신 (CMP), 모노인산우라실 (UMP), 디인산이노신, 디인산구아노신, 디인산아데노신, 디인산시토신, 디인산우라실, 트리인산이노신, 트리인산구아노신, 트리인산아데노신, 트리인산시토신, 트리인산우라실, 이들의 뉴클레오시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오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를 들면,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Fibersol-2™ 등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한다.), 덱스트란,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리불로오스, 프룩토오스, 트레오즈, 아라비노오제, 자일로오스, 릭소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스, 아이도즈, 락토오스, 말토오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드로우즈, 디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즈, 탈로스, 에리드루로우즈, 자일룰로오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콘오-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즈, 파노스 등),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즈, 자일로바이오즈 등), 겐치오-올리고당 (겐치오바이오즈, 겐치오트리오즈, 겐치오테트라오즈 등),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당, 푸코스, 프룩토올리고당 (케스토스, 니스토즈 등),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당 (말토트리오즈, 말토테트라오즈, 말토펜타오즈, 말토헥사오즈, 말토헵타오즈 등), 락툴로즈, 멜리바이오즈, 라피노오스, 람노스, 리보오스, 이성질화 액상 당 예를 들면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당, 또는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테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브티르산 (알파-, 베타- 또는 감마- 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모노인산이노신 (IMP), 모노인산구아노신 (GMP), 모노인산아데노신 (AMP), 모노인산시토신 (CMP), 모노인산우라실 (UMP), 디인산이노신, 디인산구아노신, 디인산아데노신, 디인산시토신, 디인산우라실, 트리인산이노신, 트리인산구아노신, 트리인산아데노신, 트리인산시토신, 트리인산우라실, 이들의 뉴클레오시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탄수 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오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를 들면,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Fibersol-2™ 등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포함), 덱스트란,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리불로오스, 프룩토오스, 트레오즈, 아라비노오제, 자일로오스, 릭소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스, 아이도즈, 락토오스, 말토오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드로우즈, 디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즈, 탈로스, 에리드루로우즈, 자일룰로오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콘오-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즈, 파노스 등),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즈, 자일로바이오즈 등), 겐치오-올리고당 (겐치오바이오즈, 겐치오트리오즈, 겐치오테트라오즈 등),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당, 푸코스, 프룩토올리고당 (케스토스, 니스토즈 등),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당 (말토트리오즈, 말토테트라오즈, 말토펜타오즈, 말토헥사오즈, 말토헵타오즈 등), 락툴로즈, 멜리바이오즈, 라피노오스, 람노스, 리보오스, 이성질화 액상 당 예를 들면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당, 또는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뉴클레오 티드 첨가제는 모노인산이노신 (IMP), 모노인산구아노신 (GMP), 모노인산아데노신 (AMP), 모노인산시토신 (CMP), 모노인산우라실 (UMP), 디인산이노신, 디인산구아노신, 디인산아데노신, 디인산시토신, 디인산우라실, 트리인산이노신, 트리인산구아노신, 트리인산아데노신, 트리인산시토신, 트리인산우라실, 이들의 뉴클레오시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환원 겐치오-올리고당, 환원 말토오스 시럽, 또는 환원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뉴클레오티드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첨가제는 모노인산이노신 (IMP), 모노인산구아노신 (GMP), 모노인산아데노신 (AMP), 모노인산시토신 (CMP), 모노인산우라실 (UMP), 디인산이노신, 디인산구아노신, 디인산아데노신, 디인산시토신, 디인산우라실, 트리인산이노신, 트리인산구아노신, 트리인산아데노신, 트리인산시토신, 트리인산우라실, 이들의 뉴클레오시드, 이들의 핵산 염기,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테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브티르산 (알파-, 베타 - 또는 감마- 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오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를 들면,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Fibersol-2™ 등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포함), 덱스트란,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리불로오스, 프룩토오스, 트레오즈, 아라비노오제, 자일로오스, 릭소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스, 아이도즈, 락토오스, 말토오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드로우즈, 디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즈, 탈로스, 에리드루로우즈, 자일룰로오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콘오-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즈, 파노스 등),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즈, 자일로바이오즈 등), 겐치오-올리고당 (겐치오바이오즈, 겐치오트리오즈, 겐치오테트라오즈 등),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당, 푸코스, 프룩토올리고당 (케스토스, 니스토즈 등),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당 (말토트리오즈, 말토테트라오즈, 말토펜타오즈, 말토헥사오즈, 말토헵타오즈 등), 락툴로즈, 멜리바이오즈, 라피노오스, 람노스, 리보오스, 이성질화 액상 당 예를 들면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당, 또는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환원 겐치오-올리고당, 환원 말토오스 시럽, 또는 환원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테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브티르산 (알파-, 베타- 또는 감마- 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오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를 들면,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Fibersol-2™ 등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포함), 덱스트란,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리불로오스, 프룩토오스, 트레오즈, 아라비노오제, 자일로오스, 릭소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스, 아이도즈, 락토오스, 말토오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드로우즈, 디옥 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즈, 탈로스, 에리드루로우즈, 자일룰로오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콘오-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beet) 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즈, 파노스 등),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즈, 자일로바이오즈 등), 겐치오-올리고당 (겐치오바이오즈, 겐치오트리오즈, 겐치오테트라오즈 등),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당, 푸코스, 프룩토올리고당 (케스토스, 니스토즈 등),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당 (말토트리오즈, 말토테트라오즈, 말토펜타오즈, 말토헥사오즈, 말토헵타오즈 등), 락툴로즈, 멜리바이오즈, 라피노오스, 람노스, 리보오스, 이성질화 액상 당 예를 들면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당, 또는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환원 겐치오-올리고당, 환원 말토오스 시럽, 또는 환원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오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를 들면,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 스트린 (Fibersol-2™ 등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포함), 덱스트란,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리불로오스, 프룩토오스, 트레오즈, 아라비노오제, 자일로오스, 릭소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스, 아이도즈, 락토오스, 말토오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드로우즈, 디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즈, 탈로스, 에리드루로우즈, 자일룰로오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콘오-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즈, 파노스 등),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즈, 자일로바이오즈 등), 겐치오-올리고당 (겐치오바이오즈, 겐치오트리오즈, 겐치오테트라오즈 등),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당, 푸코스, 프룩토올리고당 (케스토스, 니스토즈 등),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당 (말토트리오즈, 말토테트라오즈, 말토펜타오즈, 말토헥사오즈, 말토헵타오즈 등), 락툴로즈, 멜리바이오즈, 라피노오스, 람노스, 리보오스, 이성질화 액상 당 예를 들면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당, 또는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테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브티르산 (알파-, 베타- 또는 감마- 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환원 겐치오-올리고당, 환원 말토오스 시럽, 또는 환원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테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브티르산 (알파-, 베타- 또는 감마- 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환원 겐치오-올리고당, 환원 말토오스 시럽, 또는 환원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무기염 첨가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이수소나트륨, 황산나트륨, 구연산칼륨, 염화유로퓸 (EuCl3), 염화가돌리늄 (GdCl3), 염화테르븀 (TbCl3), 황산마그네슘, 명반, 염화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염산염, 탄산나트륨, 중황산나트륨, 또는 중탄산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오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를 들면,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Fibersol-2™ 등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포함), 덱스트란,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리불로오스, 프룩토오스, 트레오즈, 아라비노오제, 자일로오스, 릭소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스, 아이도즈, 락토오스, 말토오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드로우즈, 디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즈, 탈로스, 에리드루로우즈, 자일룰로오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콘오-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즈, 파노스 등),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즈, 자일로바이오즈 등), 겐치오-올리고당 (겐치오바이오즈, 겐치오트리오즈, 겐치오테트라오즈 등),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당, 푸코스, 프룩토올리고당 (케스토스, 니스토즈 등),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당 (말토트리오즈, 말 토테트라오즈, 말토펜타오즈, 말토헥사오즈, 말토헵타오즈 등), 락툴로즈, 멜리바이오즈, 라피노오스, 람노스, 리보오스, 이성질화 액상 당 예를 들면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당, 또는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무기염 첨가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인산이수소나트륨, 황산나트륨, 구연산칼륨, 염화유로퓸 (EuCl3), 염화가돌리늄 (GdCl3), 염화테르븀 (TbCl3), 인산 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명반, 염화마그네슘,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염산염, 탄산나트륨, 중황산나트륨, 또는 중탄산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첨가제는 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오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예를 들면,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Fibersol-2™ 등의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포함), 덱스트란,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리불로오스, 프룩토오스, 트레오즈, 아라비노오제, 자일로오스, 릭소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스, 아이도즈, 락토오스, 말토오스, 전화당,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드로우즈, 디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즈, 탈로스, 에리드루로우즈, 자일룰로오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아밀로펙틴,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콘오-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비트 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오스, 이소말토트리오즈, 파노스 등), 자일로-올리고당 (자일로트리오즈, 자일로바이오즈 등), 겐치오-올리고당 (겐치오바이오즈, 겐치오트리오즈, 겐치오테트라오즈 등),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당, 푸코스, 프룩토올리고당 (케스토스, 니스토즈 등),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당 (말토트리오즈, 말토테트라오즈, 말토펜타오즈, 말토헥사오즈, 말토헵타오즈 등), 락툴로즈, 멜리바이오즈, 라피노오스, 람노스, 리보오스, 이성질화 액상 당 예를 들면 고함량 프룩토오스 옥수수/전분 시럽 (예를 들면, HFCS55, HFCS42, 또는 HFCS90),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당, 또는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첨가제는 아스파르트산, 아르기닌, 글리신, 글루탐산, 프롤린, 트레오닌, 테아닌, 시스테인, 시스틴, 알라닌, 발린, 티로신, 류신, 이소류신, 아스파라긴, 세린, 리신, 히스티딘, 오르니틴, 메티오닌, 카르니틴, 아미노브티르산 (알파-, 베타- 또는 감마- 이성질체), 글루타민, 하이드록시프롤린, 타우린, 노르발린, 사르코신,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무기염 첨가제는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구연산칼륨, 염화유로퓸 (EuCl3), 염화가돌리늄 (GdCl3), 염화테르븀 (TbCl3), 인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명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염산염, 탄산나트륨, 중황산나트륨, 또는 중탄산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락티톨, 자일리톨, 이노시톨, 이소말트,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린), 트레이톨, 갈락티톨, 환원 이소말토-올리고당, 환원 자일로-올리고당, 환원 겐치오-올리고당, 환원 말토오스 시럽, 또는 환원 글루코오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폴리-L-아스파르트산, 폴리-L-리신(예를 들면,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를 들면,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γ-오르니틴), 폴리-L-아르기닌, 아미노산의 그 밖의 다른 중합체형, 또는 이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는 소혈청 알부민 (BSA), 유청 단백질 (90% 인스턴트 유청 단백질 단리물, 34% 유청 단백질, 50% 가수 분해된 유청 단백질, 및 80% 유청 단백질 농축물 등의 이들의 분획물 또는 농축물을 포함), 용해성 쌀 단백질, 대두 단백질, 단백질 단리물, 단백질 가수분해물,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반응 생성물, 당단백질, 및/또는 아미노산 함유 프로테오글리칸 (예를 들면, 글리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테아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발린, 이소류신, 류신, 노르발린, 메티오닌, 프롤린, 티로신, 하이드록시프롤린 등), 콜라겐(예를 들면, 젤라틴), 부분 가수 분해된 콜라겐(예를 들면, 가수 분해된 어류 콜라겐),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예를 들면, 돼지의 콜라겐 가수분해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는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구연산칼륨, 염화유로퓸 (EuCl3), 염화가돌리늄 (GdCl3), 염화테르븀 (TbCl3), 인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명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인산의 모노-, 디-, 트리-염기성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염산염, 탄산나트륨, 중황산나트륨, 또는 중탄산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A 이외의 1종 이상의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레바우디오시드 A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합성 고효능 감미료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레바우디오시드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합성 고효능 감미료는 단맛 개선 조성물로서 작용한다. 적절한 단맛 개선 합성 감미료 첨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수크랄로스, 포타슘 아세설팜, 아스파르테임,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사이클러메이트, 네오탐, N- [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 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이들의 염, 등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이클러메이트, 사카린,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100 ppm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글리신 또는 알라닌이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이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200 ppm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글리신 또는 리신이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또는 트레오닌을 함유하는 단백질의 가수 분해 반응 생성물이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200 ppm 내지 약 5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또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류신, 발린, 이소류신, 프롤린 또는 트레오닌을 함유하는 단백질의 가수 분해 반응 생성물이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이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약 10,000 ppm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레바우디오시드 A 및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HFCS, 또는 D-프룩토오스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5,000 내지 약 6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프로필렌 글리콜, 에리트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REB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 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와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스테비올글리코사이드 혼합물 내 50 % 이상의 레바우디오시드를 가짐)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에리트리톨을 포함한다. 상기 감미료 조성물의 특정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는 전체 감미료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3,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에리트리톨은 전체 감미료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감미료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는 전체 감미료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3,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리트리톨은 전체 감미료 조성물의 약 5,000 내지 약 4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감미료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는 전체 감미료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3,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리트리톨은 전체 감미료 조성물의 약 10,000 내지 약 3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감미료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와 에리트리톨은 상기 감미료 조성물 내에 각각 약 1:4 내지 약 1:800의 비율로 존재한다. 상기 감미료 조성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레바우디오시드 A와 에리트리톨은 상기 감미료 조성물 내에 각각 약 1:20 내지 약 1:600의 비율;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0 내지 약 1:300의 비율;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75 내지 약 1:150의 비율로 존재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합성 감미료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 조성물 - 여기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레바우디오 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또는 커률린을 포함함 - 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약 10 ppm 내지 약 100 ppm의 양으로 사카린 또는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또는 수크로오스 및 에리트리톨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인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KAl(SO4)2 (명반), 인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및 인산칼륨 또는 이들의 또 다른 조합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나트륨, 마그네슘, 칼륨 및 칼슘의 염화물, 인산염, 및 황산염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과 염화칼륨; 인산칼륨과 염화칼륨; 염화나트륨과 인산나트륨; 인산칼슘과 황산칼슘; 염화마그네슘과 인산마그네슘; 및 인산칼슘, 황산칼슘, 및 황산칼륨)과 같은 무기염 첨가제의 혼합물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염화마그네슘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 상기 감미료는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 황산마그네슘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 상기 감미료는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 또는 황산마그네슘 및 염화나트륨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 상기 감미료는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구연산염 완충액 중의 염화콜린, D-글루콘산나트륨염, 구아니딘 HCl, D-글루코사민 HCl, 또는 이들의 조합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구연산, 아디프산, 아스코르브산, 탄닌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또는 이들의 조합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글리신, L-알라닌, L-세린, L-트레오닌, β-알라닌, 아미노브티르산 (알파-, 베타- 또는 감마- 이성질 체), L-아스파르트산, L-글루탐산, L-리신, 글리신, 및 L-알라닌 혼합물, 염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계면활성제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 소듐, 염화세틸피리디늄, 브롬화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올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80, 레시틴, 또는 이들의 조합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폴리에틸렌이민, 폴리-L-리신 (예를 들면, 폴리-L-α-리신 또는 폴리-L-ε-리신), 폴리-L-오르니틴 (예를 들면, 폴리-L-α-오르니틴 또는 폴리-L-γ-오르니틴), 키토산,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양이온성 중합체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중합체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검 아카시아 세얄과 같은 수성 콜로이드 및 에리트리톨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데, 상기 감미 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소혈청 알부민 (BSA), 유청 단백질, 또는 이들의 조합과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글리신 및 명반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 글리신 및 염화칼륨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 글리신 및 염화나트륨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 글리신, 인산이수소칼륨 및 염화칼륨과 배합된 REBA; 및 글리신,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는 약 25 ppm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프룩토오스, 수크로오스, 또는 글루코오스 및 명반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 프룩토오스, 수크로오스, 또는 글루코오스 및 염화칼륨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 프룩토오스, 수크로오스, 또는 글루코오스 및 염화나트륨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 프룩토오스, 수크로오스, 또는 글루코오스, 인산칼륨, 및 염화칼륨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 및 프룩토오스, 수크로오스, 또는 글루코오스,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REB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쓴맛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요소 및 염화나트륨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30 내지 약 2,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 글리신 및 폴리-L-α-리신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 및 글리신 및 폴리-L-ε-리신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글리신 및 글루콘산나트륨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L-알라닌 및 프룩토오스와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유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0 내지 약 1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에리트리톨, 글리신, 염화칼륨, 인산칼륨, 및 염화콜린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1종 이상의 단 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탄수화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0 내지 약 10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L-알라닌, 프룩토오스, 및 에리트리톨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 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아미노산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100 내지 약 2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폴리올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400 내지 약 80,000 ppm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는 조성물의 약 25 내지 약 5,000 ppm의 양으로 존재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에리트리톨, 글리신, 염화칼륨, 및 인산칼륨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맛 개선 무기산염 첨가제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염 수화물과 같은 글리시리진(glycyrrihizin),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한다. 비제한적 실시예는 염화나트륨과 배합된 레바우디오시드-A,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모나틴, 커률린,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염 수화물과 같은 글리시리진, 수크랄로스, 사카린, 사이클러메이트, 아스파르테임,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또는 네오탐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감미료를 포함한다
감미료 조성물 내의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대 단맛 개선 조성물의 목적 중량 비율은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특정 감미성 등급, 및 감미성 및 최종 제품 또는 입으로 섭취가능한 조성물 내에서 요구되는 그 밖의 다른 특성에 의존할 것이다.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감미성 증강제는 일반적으로 감미성 증강제가 없는 감미료 조성물의 약 1.5 배 내지 약 10배로 감미료 조성물의 감미성을 증강시킬 수 있다. 또한, 고효능 감미료 조성물들은 이들의 효능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수크로오스보다 약 30배 내지 약 8,000배의 범위로 크게 변화한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들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대 단맛 개선 조성물의 중량 비율은 감미성 증강의 정도와 감미료 조성물의 효능에 따라 변화할 것인데, 예를 들면 10,000:1 내지 1:10,0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에서는 약 9,000:1 내지 약 1:9,0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약 8,000:1 내지 약 1:8,0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약 7,000:1 내지 약 1:7,0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약 6,000:1 내지 약 1:60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약 5,000:1 내지 약 1:5,0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약 4,000:1 내지 약 1:4,0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3,000:1 내지 약 1:3,000 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2,000:1 내지 약 1:2,0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500:1 내지 약 1:1,5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00:1 내지 약 1:1,0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900:1 내지 약 1:9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800:1 내지 약 1:8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700:1 내지 약 1:7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600:1 내지 약 1:6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500:1 내지 약 1:5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400:1 내지 약 1:4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300:1 내지 약 1:3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200:1 내지 약 1:2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50:1 내지 약 1:15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0:1 내지 약 1:10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90:1 내지 약 1:9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80:1 내지 약 1:8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70:1 내지 약 1:7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60:1 내지 약 1:6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50:1 내지 약 1:5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40:1 내지 약 1:4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30:1 내지 약 1:3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20:1 내지 약 1:2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5:1 내지 약 1:15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10:1 내지 약 1:10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9:1 내지 약 1:9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8:1 내지 약 1:8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7:1 내지 약 1:7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6:1 내지 약 1:6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5:1 내지 약 1:5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4:1 내지 약 1:4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3:1 내지 약 1:3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약 2:1 내지 약 1:2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약 1:1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이는 선택된 감미료 및 감미성 증강제에 의존한다.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1종 이상의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의 배합물이 감미료 조성물 또는 감미된 조성물의 맛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또는 역효과를 미치지 않는 임의 pH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는지가 고려된다. pH 범위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약 2 내지 약 8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약 2 내지 약 5 의 pH 범위를 포함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들은 임의 방법으로 1종 이상의 감미료,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를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종 이상의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에 앞서 감미료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이후에 감미료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과 동시에 감미료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감미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이전에 감미료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감미료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이후에 감미료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1종 이상의 감미료는 입으로 섭취 가능한 조성물에 첨가되기 이전에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와 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형(예를 들면, 용액), 고체형 (예를 들면, 분말, 덩어리, 펠렛, 과립, 블록, 결정 등), 현탁액형, 가스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순수한 형태, 희석된 형태, 또는 농축된 형태일 수 있는 1종 이상의 감미료는, 모두가 입으로 섭취 가능한 조성물과 접촉하기에 앞서서, 액체형(예를 들면, 용액), 고체형 (예를 들면, 분말, 덩어리, 펠렛, 과립, 블록, 결정 등), 현탁액형, 가스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순수한 형태, 희석된 형태, 또는 농축된 형태일 수 있는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및 액체형(예를 들면, 용액), 고체형 (예를 들면, 분말, 덩어리, 펠렛, 과립, 블록, 결정 등), 현탁액형, 가스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순수한 형태, 희석된 형태, 또는 농축된 형태일 수 있는 2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와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2종 이상의 감미료, 2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또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가 존재할 때, 감미료 조성물의 각각의 구성성분은 동시에, 교대로, 무작위적으로, 또는 그 밖의 다른 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IV .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은 (i)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ii) 1종 이상의 부형제(bulking agent); 및 (iii) 선택적으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및/또는 응고 방지제(anti-caking agent);와 배합된 1종 이상의 감미료를 포함하는 개선된 시간 특성 및/또는 향미 특성을 갖는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적절한 "부형제"는 말토덱스트린(10 DE, 18 DE, 또는 5 DE), 옥수수 시럽 고형분(20 또는 36 DE),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전화당, 소르비톨, 자일로오스, 리불로오스, 만노스, 자일리톨, 만니톨, 갈락티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락티톨, 이소말트, 말토오스, 타가토스, 락토오스, 이눌린,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올, 폴리덱스트로스, 프룩토올리고당,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과립형 당(수크로오스), 또는 결정형 프룩토스, 그 밖의 다른 탄수화물, 또는 당 알코올과 같은 그 밖의 다른 고칼로리 감미료는 이들이 칼로리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일이 없이 양호한 함량 균일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부형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부형제는 단맛 개선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응고 방지제" 및 "유동제"는 1종 이상의 감미료 분자가 또 다른 감미료 분자에 부착, 결합, 또는 접촉하는 것을 예방, 감소, 방해 또는 억제하는 임의의 조성물을 의미한다. 그 대신에, 응고 방지제는 함량 균일성 및 균일한 용해를 돕는 임의의 조성물을 의미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응고 방지제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타르타르 크림, 규산칼슘, 이산화실리콘, 미세 결정형 셀룰로오스 (Avicel, FMC BioPolymer, Philadelphia, Pennsylvania) 및 인산삼칼슘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응고 방지제는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 내에 그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3%의 양으로 존재한다.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되고 포장되며 이는 본 발명의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비제한적 실시예는 분말형, 과립형, 패킷형, 정제형, 새세이형(sachet), 펠릿형, 큐브형, 고체형, 및 액체형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은 감미료 제제의 건식-혼합물을 포함하는 1인 분량 (분량 조절) 패킷을 포함한다. 건식-혼합물 제제는 일반적으로 분말 또는 과립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상기 식탁용 감미료 패킷이 임의의 규격일 수 있으나, 기존의 분량 조절 식탁용 감미료 패킷의 구체적인 비제한적 실시예에는 약 2.5 x 1.5 인치이고 과립형 당 차스푼 2개(~8 g)와 동등한 감미성을 갖는 감미료 조성물 약 1 그램을 보유하는 것이 있다. 건식-혼합물 식탁용 감미료 제제 내의 감미료의 양은 상이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들의 효능의 변화에 따라 변화할 것이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건식-혼합물 식탁용 감미료 제제는 상기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의 약 1 % (w/w) 내지 약 10 % (w/w)의 양으로 천연 및/또는 합성 고효능 감미료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형의 식탁용 감미료 실시예는 큐브형 및 정제형을 포함한다. 기존의 큐브형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약 2.2 x 2.2 x 2.2 cm3 인 과립형 당의 표준 큐브형과 동등한 크기이고 중량은 약 8 그램이다. 한 실시예에서, 고체형 식탁용 감미료는 상기 정제형이거나 또는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공지된 그 밖의 다른 형태이다.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은 액체형으로도 또한 구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감미료는 액상 운반체(liquid carrier)와 배합된다. 액체형 식탁용 감미료에 적절한 운반체 시약의 비제한적 실시에는 물, 알코올, 폴리올, 물에 용해된 글리세린 베이스 또는 구연산 베이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이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효능이 다르기 때문에, 액체형 식탁용 감미료 제제 내의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양도 또한 변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거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어떤 형태에 대하여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의 감미성 등가성은 요구되는 감미성 특성을 얻기 위하여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은 동등량의 표준 당의 감미성에 비교할만한 감미성을 보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은 동등량의 당의 감미성의 최대 100배의 감미성을 보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은 동등량의 당의 감미성의 최대 90배, 80배, 70배, 60배, 50배, 40배, 30배, 20배, 10배, 9배, 8배, 7배, 6배, 5배, 4배, 3배 및 2배의 감미성을 보유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은 목적 용도, 예를 들면 음료, 식품, 의약, 화장품, 약초/비타민, 담배 및 단맛을 낼 수 있는 임의의 그 밖의 다른 제품용으로도 또한 제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화제(encapsulant)와 같은 추가적인 보호제를 갖는 제빵에 사용하기 위한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이 제제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형태는 상기 식탁용 감미료 기술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기꺼이 자명하게 될 것이다.
패킷용의 분말 또는 과립형 감미료 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유동층 응집법을 포함한다.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그 밖의 다른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들은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양과 단맛 개선 조성물, 부형제, 및/또는 응고 방지제의 양 및 종류는 상기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의 맛을 목적 특정 및 최종 용도에 맞추기 위하여 변형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 및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구체적 실례는 Prakash 등의 미국 특허 출원 제11/555,962호(2006.11.2. 출원)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참조문헌으로 편입된다.
V. 입으로 섭취 가능한 조성물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입으로 섭취 가능한 조성물" 및 "감미가능 물질"은 동의어이며 인간 및 동물의 입과 접촉되는 물질을 의미하며, 이는 입으로 들어가고 그 후 입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질 및 마시고, 먹고, 삼키거나 또는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섭취되는 물질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수용가능한 양으로 사용될 때 인간 또는 동물의 소비에 대하여 안전한 물질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식품, 음료, 의약, 담배, 건강식, 구강 청결/미용 제품 또는 유사한 제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품의 비제한적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콜라, 진저 에일(ginger ales), 루트 비어(root beer), 사이다, 과일-향 소프트 음료수(예를 들면, 레몬-라임 또는 오렌지와 같은 감귤향 소프트 음료수), 분말 소프트 음료수 등과 같은 무-탄산 또는 탄산 음료; 과일 또는 야채로부터 기원하는 과일 주스, 압착 주스 등을 함유하는 과일 주스, 과일 입자를 함유하는 과일 주스, 과일 음료, 과일 주스 음료, 과일 주스를 함유하는 음료, 과일 향이 있는 음료, 야채 주스, 야채를 함유하는 주스, 및 과일 및 야채를 함유하는 혼합 주스; 스포츠 음료수, 에너지 음료수, 물 유사 음료수(예를 들면 천연 또는 합성 풍미제가 있는 물); 커피, 코코아, 블랙 티, 녹차, 우롱차 등과 같은 차 종류 또는 기호품 음료; 우유 음료, 우유 성분 함유 커피, 카페라테, 우유 차, 과일 우유 음료, 음료가능 요구르트, 락트산 유산균 음료 등과 같은 우유 성분 함유 음료; 유제품; 제빵 제품; 요구르트, 젤리, 음료가능 젤리, 푸딩, 바바리안 크림, 블라망쥬, 케이크, 브라우니, 무스 등, 차 시간 또는 식사 이후 먹는 단맛 음식 제품과 같은 디저트; 냉동 식품; 냉동 당과(confection), 예를 들면 아이스크림, 아이스 우유, 락토-아이스 등과 같은 아이스 크림 류(감미료 및 그 밖의 다른 다양한 종류의 원료물질이 우유 제품에 첨가되고, 산출되는 혼합물은 교반되고 냉동되는 식제품), 및 아이스 당과(confection) 예를 들면 샤베트, 디저트 아이스 등(또 다른 다양한 종류의 원료물질이 당 액상에 첨가되고, 산출되는 혼합물은 교반되고 냉동되는 식 제품); 아이스크림; 일반적 당과, 예를 들면 구운 당과 또는 찐 당과 예를 들면 케이크, 크래커, 비스킷, 콩-잼이 든 번(bun) 등; 쌀 케이크(rice cake) 및 스낵; 식탁용 제품; 일반적인 당(sugar) 당과(confection) 예를 들면 츄잉 껌(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씹을 수 있는 껌 베이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함, 예를 들면 치클 또는 그 치환체, 제투롱, 구타케이 고무 또는 일부 먹을 수 있는 천연 합성 레진 또는 왁스를 포함), 하드 캔디, 소프트 캔디, 민트, 누가 캔디, 젤린 콩 등; 과일 향 소스, 초콜릿 소스 등 을 포함하는 소스; 식용가능 겔; 버터 크림(cremes), 밀 페이스트, 위핑 크림(whipped cream) 등을 포함하는 크림(creme); 딸기잼, 마멀레이드 등을 포함하는 잼; 스위트 브레드 등 또는 또 다른 전분 제품을 포함하는 빵; 양념(spice); 구운 고기, 구운 닭, 바베큐 고기 등에 사용되는 양념된 콩 소스, 뿐만 아니라 토마토 케첩, 양념, 국수 국물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조미료; 가공된 농산물, 축산물 또는 해산물; 가공된 고기 제품 예를 들면 소시지 등; 증류 식제품, 피클, 콩 소스에서 끓인 저장식품, 진미, 반찬; 스낵 예를 들면 감자칩, 쿠키 등; 시리얼 제품; 구강 투여되거나 또는 구강 내에서 사용되는 의약품 또는 준-의약품(예를 들면, 비타민, 기침용 사럽, 기침 점적형, 씹는 의약 정제, 아미노산, 쓴 맛 의약품 또는 제약학적 시약, 산미료 등), 여기서 상기 의약품은 고체형, 액체형, 겔형, 또는 기체형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알약형, 정제형, 분무형, 캡슐형, 시럽형, 점적형, 트로키 시약, 분말형, 등이다; 개인관리제품 예를 들면 입 신선화제, 가글링제, 입 세척제, 치약, 치 광택제, 덴트리피스, 입 분무제, 치아-미백제 등과 같은 구강 내에 사용되는 구강용 조성물; 식이 보조제; 스너프, 시가렛, 파이프 및 시가 담배와 같은 연기 있는 그리고 연기 없는 담배 제품, 및 조각된 필러, 잎, 줄기, 자루, 균일 잎 경화제, 담배 입자, 미세물질 또는 또 다른 원료로부터 층상, 펠렛, 또는 또 다른 형태로 재구성된 바인더 및 재구성된 담배, 비-담배 물질로부터 제제된 담배 대체물, 액상 또는 씹는 담배와 같은 모든 종류의 담배를 포함하는 담배 제품; 동물 먹이; 및 건강식 제품, 이는 의학적 이익 또는 건강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 식품 또는 식품의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의학적 또는 건강 이익에는 질병(예를 들면 심장혈관 질환 및 혈액 내 고 함량의 콜레스테롤, 당뇨, 골다공증, 염증, 또는 자가면역 이상)의 예방 및 치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감미된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의 양은 특정 종류의 감미된 조성물 및 이의 목적 감미성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화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들은 감미된 조성물에 첨가할 감미료의 적절 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입으로 섭취 가능한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천연 및/또는 합성 고효능 감미료,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 및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를 포함하는 탄산 음료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1종 이상의 천연 및/또는 합성 고효능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 A, 레바우디오시드 B, 레바우디오시드 C (둘코사이드 B), 레바우디오시드 D, 레바우디오시드 E, 레바우디오시드 F, 둘코사이드 A,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시아메노사이드, 모나틴 및 이의 염 (모나틴 SS, RR, RS, SR), 커률린, 글리시리진산 및 이의 염, 타우마틴, 모넬린, 마빈린, 브라제인, 헤르난둘신, 필로둘신, 글리시필린, 플로리진, 트릴로바틴, 베이유노사이드, 오슬라딘, 폴리포도사이드 A, 프테로카리오사이드 A, 프테로카리오사이드 B, 무쿠로지오사이드, 플로미소사이드 I, 페리안드린 I, 아브루소사이드 A, 사이클로카리오사이드 I,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아스파르테임,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사이클러메이트, 네오탐, N -[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 -[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 -[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이들의 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및 이에 대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 및 이에 대응하는 염, 당산 및 이에 대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 화합물, 풍미제, 수렴제 화합물, 중합체,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계면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는 1종 이상의 설파메이트를 포함한다. 단맛 개선 조성물의 구체적인 배합물은 미국 특허 출원 제11/561,148호 및 제 11/561,15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설명되는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한계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반면에, 본 명세서의 설명을 읽은 후에, 본 발명의 개념 및/또는 첨부되어 있는 청구항들의 범위로부 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제안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또 다른 구체 예, 변형 및 이들의 균등범위에 대한 수단을 취할 수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게 인식되어야 한다. 별도로 특정되지 않는 한, 백분율(%)은 중량%이다.
실시예 세트 A: 설파메이트의 합성
   다양한 설파메이트의 합성을 J Org Chem 1980, 45(26), 5371-73 및 ARKIVOC 2003 7, 297-309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A1: 나트륨 1 H 1,3,5- 트리아졸일 설파메이트
   등근바닥 플라스크에서, 삼산화 황 피리딘 착물(22 mmol, 3.5 g)을 드라이 피리딘(dry pyridine) 22 mL에 용해시켰으며 0℃로 냉각하였다. 4-아미노-4-H-1,2,4-트리아졸(20.0 mmol, 1.68 g)을 최소량의 피리딘에 용해시켰으며 질소 하에서 상기 삼산화 황 피리딘 착물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냉각 욕조에서 제거한 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약 2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의 pH를 약 10으로 조절하였으며 유기층을 디에틸 에테르 (3 X 50 mL)로 추출하여 미반응 아민을 제거하였다. 나머지 수성 층을 농축하였으며 산출된 설파메이트를 90-95 % 에탄올을 사용하여 결정화시켜 설파메이트의 11.2% 수득률을 얻었다.
실시예 A2: 나트륨 1 H 1,3- 벤조디아졸 -2-일 설파메이트
삼산화 황 피리딘 착물(22 mmol, 3.5 gm)을 드라이 피리딘 (22 mL)에 용해시켰으며 얼음-욕조에서 0℃로 냉각시켰다. 2-아미노벤즈이미다졸(20.0 mmol, 2.6 g)을 최소량의 피리딘에 용해시켰으며, 드로핑 깔때기(dropping funnel)에 넣었으며, 질소 하에서 상기 삼산화 황 피리딘 착물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옮기고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지시켰으며, 상기 실시예 A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H를 조절하고, 유기층을 추출하였다. 나머지 수성층을 농축시켰으며 산출된 설파메이트를 95 % 에탄올을 사용하여 결정화시켜 설파메이트 생성물의 11.34% 수득률을 얻었다.
실시예 A3: 나트륨 1 H 1,3,5- 티아디아졸 -2-일 설파메이트
   22 mL의 드라이 피리딘 내에서 제조된 삼산화 황 피리딘 착물(22 mmol, 3.5 gm)의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2-아미노-1,3,4-티아디아졸(20.0 mmol, 2.0 gm)을 최소량의 피리딘에 용해시켰으며 질소 하에서 상기 삼산화 황 피리딘 착물에 적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A1에서 설명한 방법을 반복하였으며 90-97 % 에탄올을 사용하여 설파메이트를 결정화시켜 설파메이트 생성물의 7.2% 수득률을 얻었다.
실시예 A4: 나트륨 1 H 4,6-디메틸 피리미딘-2-일 설파메이트
   둥근바닥플라스크에서, 삼산화 황 피리딘 착물(33 mmol, 5.25 gm)을 33 mL 드라이 피리딘에 용해시켰으며 0℃로 냉각시켰다. 6-아미노-2,4-디메틸 피리미딘(30.0 mmol, 3.69 gm)을 또한 최소량의 피리딘에 용해시켰으며 질소 하에서 상기 삼산화 황 피리딘 착물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A1에서 설명한 방법을 반복하였으며 95 % 에탄올을 사용하여 설파메이트를 결정화시켜 설파메이트 생성물의 28.5% 수득률을 얻었다.
   
실시예 A5: 나트륨 1 H 5- 메틸 이속사졸 -3-일 설파메이트
   둥근바닥플라스크에서, 삼산화 황 피리딘 착물(33 mmol, 5.25 gm)을 22 mL의 드라이 피리딘에 용해시켰으며 0℃로 냉각하였다. 3-아미노-5-메틸-이속사졸(30.0 mmol)을 또한 최소량의 피리딘에 용해시켰으며 질소 하에서 상기 삼산화 황 피리딘 착물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냉각 욕조로부터 제거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실시예 A1에서 설명한 방법을 반복하였으며 90 내지 95% 에탄올을 사용하여 설파메이트를 결정화시켜 설파메이트 생성물의 15% 수득률을 얻었다.
실시예 A6: 나트륨 1 H - 테트라졸 -5-일 설파메이트
   삼산화 황 피리딘 착물(33 mmol, 5.25 gm)을 33 mL 드라이 피리딘에 용해시켰으며 0℃로 냉각하였다. 5-아미노-1,2,3,4-테트라졸(30.0 mmol, 2.55 gm)을 최소량의 피리딘에 용해시켰으며 질소 하에서 상기 삼산화 황 피리딘 착물에 적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A1에서 설명한 방법을 반복하였으며 95-98% 에탄올을 사용하여 설파메이트를 결정화시켜 설파메이트 생성물의 5% 수득률을 얻었다.
실시예 세트 B: 설파메이트에 의한 감미성 증강 및 조절
   N-치환 설팜산 염에 대하여 수행된 감각성 연구는 1) 설파메이트 유사체의 예비 감미성 감지 임계값(Sweetness Detection Threshold, SDT) 평가, 2) 정밀 감미성 감지 임계값(SDT) 평가, 3) 6% 수크로오스와 혼합된 N-치환 설팜산 염의 감미성 증강 시험 및 4) 상기 단계 3)의 반복을 포함한다. 상기 공정 및 상기 연구의 결과를 이하에서 요약한다.
   
실시예 B1: 설파메이트 유사체의 예비 SDT 평가
   20 mL의 정제수에 20 mg 설파메이트 유사체를 용해시켜 1,000 ppm 설파메이트 유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의 분취량(10 mL)을 물을 사용하여 20 mL로 희석하여 500 ppm 용액을 얻었다. 추가로 1:1 연속 희석 단계를 사용하여 250, 125, 62.5, 31.2 및 15.6 ppm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이들 용액을 한명의 숙련된 피실험자가 조금마시고-뱉는 방식으로 농도를 높여가면서 맛을 보았다. 피실험자에 의해 평가된 SDT는 감미성이 명확히 지각되는 최저 농도에서 결정되었다.
   세 개의 N-알킬 설팜산 염, 2, 3,4가 단맛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마지막 것이 세 개 중에 가장 유력한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것은 ca. 62 ppm에서 약한 단맛을 나타냈으며 떨어지는 맛(off-taste) 없이 1,000 ppm에서 강한 단맛을 나타냈다. 나머지 두 개의 설파메이트, 2 3은 단지 1,000 ppm 농도에서 엷은 단맛(ca. 1-2 % 당과 동등)을 가지며 일부 쓴맛의 떨어지는 맛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 B2: N- 알킬 설파메이트 SDT 평가
   50 mg 설파메이트를 200 mL 정제수에 용해시켜 250 ppm의 4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의 분취량(100 mL)을 그 후 물을 사용하여 200 mL로 희석하여 125 ppm 용액을 얻었다. 추가로 1:1 연속 희석 단계를 사용하여 62.5, 31.2 및 15.6 ppm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이들 용액을 5명의 숙련된 피실험자가 조금마시고-뱉는 방식으로 농도를 높여가면서 맛을 보았다.
   모든 피실험자들이 15.6 및 31.2 ppm 용액에서 맛이 나지 않음에 동의하였으며, 5명의 피실험자 중 3명이 62.5 ppm 용액에서 매우 엷은 감미성을 지각하였으며, 5명의 모든 피실험자들이 ca. 2 % 수크로오스에 비할 정도로 250 ppm 시료에서 주목할만한 약한 감미성을 지각하였다. 125 ppm 용액에서 약한 감미성을 지각한 5명의 피실험자의 평가에 기초하여(5명 중 4명이 1% 미만의 당과 동등하다고 평가함), 정확한 SDT는 약 < 125 ppm이다. 그렇지만, 탄수화물 감미료의 감미성 증강을 지각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조건을 나트륨 설파메이트 4에게 부여하기 위하여, 125 ppm (586 μM)에서의 나트륨 설파메이트 4가 사용되었다.
실시예 B3: N- 알킬 설파메이트 & 6 % 수크로오스 감미성
   증강 시험
   기준 시료를 6, 7, 8, 9 및 10 % 수크로오스(w/v)에서 제조하였다. 125 mg의 설파메이트 4를 1L의 6 % 수크로오스에 첨가하여 시험 시료를 제조하였다. 6 % 수크로오스 시료와 혼합된 4개의 설파메이트 4 시험 시료를 6-10 % 수크로오스 범위 의 다양한 농도를 갖는 6개의 수크로오스 대조 시료를 함유하는 일련의 10개 시료에 넣었다. 그 후 10개 시료 각각을 개별적으로 6-10 % 수크로오스 기준에 대하여 6-10의 척도에서 감미성 강도에 대하여 등급을 매겼다.
   감미성 증강 시험의 결과에 대한 요약을 표 6에 제시하며, 이는 기준 시료 및 시험 시료에 관한 각 피실험자 및 평균 강도 등급에 대한 6-10의 감미성 강도 등급을 나타낸다. 6 % 수크로오스 기준 시료는 6.2의 평균 감미성 강도 등급을 가지는 반면 설파메이트 4 및 6 % 수크로오스 시험 시료는 8.1의 평균 감미성 강도 등급을 가졌는데, 이는 설파메이트 4가 감미성 강도의 민감성을 증가시켰음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79080669-pct00027
본 발명은 이들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자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들은 전술한 기재 내용들을 이해하는 즉시, 이들 실시예들의 대체, 변형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어 있는 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로서 평가되어야 한다.

Claims (34)

1종 이상의 감미료; 및
다음 화학 구조식을 갖는 설파메이트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Figure 112014071378285-pct00040
(1)
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감미료 조성물.
제2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1종 이상의 감미료, 및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감미료 조성물이 감미료 조성물의 수용액에 10 mOsmole/L 내지 500 mOsmoles/L의 삼투질농도를 부여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감미료 조성물 내에 존재하고, 이때,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와 1종 이상의 감미료는 10 중량%의 수크로오스 수용액의 감미성 강도와 동등한 감미성 강도를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의 수용액 내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감미료는 탄수화물 감미료, 고효능 감미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고효능 감미료는 레바우디오시드 A, 레바우디오시드 B, 레바우디오시드 C, 레바우디오시드 D, 레바우디오시드 E, 레바우디오시드 F, 둘코사이드 A,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모그로사이드 IV, 모그로사이드 V, 루 한 구어(Luo Han Guo) 감미료, 시아메노사이드, 모나틴 및 이의 염(모나틴 SS, RR, RS, SR), 커큘린, 글리시리진산 및 이의 염, 타우마틴, 모넬린, 마빈린, 브라제인, 헤르난둘신, 필로둘신, 글리시필린, 플로리진, 트릴로바틴, 베이유노사이드, 오슬라딘, 폴리포도사이드 A, 프테로카리오사이드 A, 프테로카리오사이드 B, 무쿠로지오사이드, 플로미소사이드 I, 페리안드린 I, 아브루소사이드 A, 사이클로카리오사이드 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천연 고효능 감미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고효능 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또는 다른 염, 아스파르테임, 알리탐,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사이클러메이트, 네오탐, 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3-메틸부틸]-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N-[3-(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필]-L-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고효능 감미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감미료는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에리트리톨, 말티톨, 락티톨,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D-타가토스, 트레할로스, 갈락토오스, 람노스, 사이클로덱스트린, 리불로오스, 트레오즈,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오스, 릭소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스, 아이도즈, 락토오스, 말토오스, 전화당(invert sugar), 이소트레할로스, 네오트레할로스, 팔라티노스 또는 이소말툴로스, 에리드로우즈, 디옥시리보스, 굴로스, 아이도즈, 탈로스, 에리드루로우즈, 자일룰로오스, 프시코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글루코사민, 만노사민, 푸코스, 글루쿠론산, 글루콘산, 글루콘오-락톤, 아베쿠오스, 갈락토사민, 자일로-올리고당, 겐치오-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소르보스, 니게로-올리고당, 프룩토올리고당, 말토테트라올, 말토트리올, 말토-올리고당, 락툴로즈, 멜리바이오즈, 라피노오스, 람노스, 리보오스, 이성질화 액상 당, 커플링 슈가, 콩 올리고당, 및 글루코오스 시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탄수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료 조성물.
제2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단맛 개선 조성물은 탄수화물, 폴리올, 아미노산 및 이에 대응하는 염, 폴리아미노산 및 이에 대응하는 염, 당산(sugar acid) 및 이에 대응하는 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 무기염, 쓴맛 화합물, 풍미제(flavorant), 수렴제 화합물, 폴리머, 단백질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 계면활성제, 유화제,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감미가능한 물질과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미된 조성물.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 및 1종 이상의 고효능 감미료를 조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감미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1종 이상의 감미성 증강제는 다음 화학 구조식을 갖는 것인 제조방법:
Figure 112014071378285-pct00041
(1)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1020097026714A 2007-05-22 2008-05-16 감미성 증강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그 용도 KR101496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955407P 2007-05-22 2007-05-22
US60/939,554 2007-05-22
PCT/US2008/063850 WO2008147727A1 (en) 2007-05-22 2008-05-16 Sweetness enhancers, sweetness enhanced sweetener compositions,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478A KR20100022478A (ko) 2010-03-02
KR101496998B1 true KR101496998B1 (ko) 2015-02-27

Family

ID=3979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714A KR101496998B1 (ko) 2007-05-22 2008-05-16 감미성 증강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20080292765A1 (ko)
EP (2) EP2550871A1 (ko)
JP (1) JP5330380B2 (ko)
KR (1) KR101496998B1 (ko)
CN (2) CN101742925B (ko)
AU (1) AU2008256961B2 (ko)
BR (1) BRPI0812047A2 (ko)
CA (1) CA2688629A1 (ko)
DK (1) DK2164348T3 (ko)
ES (1) ES2398856T3 (ko)
MX (1) MX2009012560A (ko)
PL (1) PL2164348T3 (ko)
RU (2) RU2470527C2 (ko)
WO (1) WO2008147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69678A (en) 2005-07-14 2010-11-30 Innova Sa Sweetener compositions
US8257948B1 (en) 2011-02-17 2012-09-04 Purecircle Usa Method of preparing alpha-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9107436B2 (en) 2011-02-17 2015-08-18 Purecircle Sdn Bhd Glucosylated steviol glycoside as a flavor modifier
US8790730B2 (en) 2005-10-11 2014-07-29 Purecircle Us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weetener and use thereof
US9392799B2 (en) 2011-02-17 2016-07-19 Purecircle Sdn Bhd 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8318459B2 (en) 2011-02-17 2012-11-27 Purecircle Usa 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8334006B2 (en) 2005-10-11 2012-12-18 Purecircle Sdn Bh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weetener and use thereof
US8337927B2 (en) * 2005-10-11 2012-12-25 Purecircle Sdn Bh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weetener and use thereof
US9386797B2 (en) 2011-02-17 2016-07-12 Purecircle Sdn Bhd Glucosyl stevia composition
CN102046016A (zh) * 2008-06-03 2011-05-04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适口性增强剂和用于提高适口性的方法
JP2012506912A (ja) 2008-11-04 2012-03-22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ケンタッキー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アテローム硬化症、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およびそれらの症状を予防および処置するためのd−タガトースベースの組成物および方法
EP2445535A4 (en) * 2009-06-24 2014-12-17 Univ Louisiana State TERPENIC GLYCOSIDES AND THEIR COMBINATIONS AS SOLUBILIZATION AGENTS
US20110033596A1 (en) * 2009-08-07 2011-02-10 Gino Olcese Reduced calorie sweeteners and consumable items
BR112012011382B1 (pt) 2009-11-12 2018-02-06 Purecircle Usa Inc. Método para produzir um adoçante e adoçante de stevia granulado
US8993032B2 (en) * 2009-12-18 2015-03-31 Stokely-Van Camp, Inc. Protein recovery beverage
MX2012007607A (es) * 2009-12-28 2012-07-20 Coca Cola Co Intensificadores de dulzor, composiciones de los mismos y metodos para su uso.
WO2011097620A1 (en) 2010-02-08 2011-08-11 The Coca-Cola Company Solubility enhanced terpene glycoside(s)
SE534627C2 (sv) 2010-02-17 2011-11-01 Swedish Match North Europe Ab Orala rökfria tobaksprodukter och orala rökfria icke tobaksinnehållande snusprodukter innehållande karbamid
US10696706B2 (en) 2010-03-12 2020-06-30 Purecircle Usa Inc. Methods of preparing steviol glycosides and uses of the same
WO2011112892A1 (en) 2010-03-12 2011-09-15 Purecircle Usa Inc. High-purity steviol glycosides
WO2012021837A2 (en) 2010-08-12 2012-02-16 Senomyx, Inc. Method of improving stability of sweet enhanc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stabilized sweet enhancer
JP5859191B2 (ja) * 2010-09-29 2016-02-10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に対する呈味改良組成物およびその応用
JP5731784B2 (ja) * 2010-09-29 2015-06-10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食感食味の優れたベーカリー製品及びその製造法
US9510611B2 (en) 2010-12-13 2016-12-06 Purecircle Sdn Bhd Stevia composition to improve sweetness and flavor profile
MX346137B (es) 2010-12-13 2017-03-08 Purecircle Usa Inc Rebaudiosido d altamente soluble.
CN102018197A (zh) * 2010-12-29 2011-04-20 青岛润浩甜菊糖高科有限公司 一种纯天然、低热量的复配糖
DE102011008017A1 (de) * 2011-01-06 2012-07-12 Johannes F. Coy Erfrischungsgetränk
CN102150775B (zh) * 2011-01-07 2012-12-19 陈显刚 一种甜味剂及其制备方法
MX362676B (es) 2011-02-10 2019-01-31 Purecircle Usa Composición de estevia.
US9474296B2 (en) 2011-02-17 2016-10-25 Purecircle Sdn Bhd 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9603373B2 (en) 2011-02-17 2017-03-28 Purecircle Sdn Bhd Glucosyl stevia composition
US11690391B2 (en) 2011-02-17 2023-07-04 Purecircle Sdn Bhd Glucosylated steviol glycoside as a flavor modifier
US9894922B2 (en) 2011-05-18 2018-02-20 Purecircle Sdn Bhd Glucosyl rebaudioside C
CN102228177A (zh) * 2011-05-31 2011-11-02 刘承全 木糖食品及其制备方法
EP3363808B1 (en) 2011-05-31 2021-02-17 PureCircle USA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stevia composition comprising rebaudioside b
ES2579827T3 (es) 2011-06-03 2016-08-17 Purecircle Usa Composición de estevia
US9771434B2 (en) 2011-06-23 2017-09-26 Purecircle Sdn Bhd Products from stevia rebaudiana
US10480019B2 (en) 2011-08-10 2019-11-19 Purecircle Sdn Bhd Process for producing high-purity rubusoside
CN102273581A (zh) * 2011-08-24 2011-12-14 济南汉定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高甜度复配甜味剂
MX2014002462A (es) 2011-09-07 2014-05-07 Purecircle Usa Inc Edulcorante de estevia altamente soluble.
US20130136838A1 (en) * 2011-09-09 2013-05-30 Rafael I. San Miguel Sweetener blend compositions
CN103906437A (zh) * 2011-09-15 2014-07-02 Cj第一制糖株式会社 含有可缓慢消化成分的用于减轻糖尿病的甜味剂组合物
ES2649407T3 (es) * 2011-09-15 2018-01-11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mposición edulcorantes para prevenir y mejorar la obesidad, que contiene ingrediente inhibidor de la glucólisis
US20130136839A1 (en) * 2011-11-28 2013-05-30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Taste-Masking Compositions, Sweetener Compositions and Consumable Product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EP2793621B1 (en) * 2011-12-19 2015-10-14 Givaudan SA Sweetened beverages
PL3009010T3 (pl) * 2011-12-19 2020-10-19 Purecircle Sdn Bhd Sposoby oczyszczania glikozydów stewiolowych
JP6099870B2 (ja) * 2012-01-06 2017-03-22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スとd−プシコースを含む新規甘味料
US10292412B2 (en) 2012-02-15 2019-05-21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High solubility natural sweetener compositions
WO2013176738A1 (en) 2012-05-22 2013-11-28 Purecircle Sdn Bhd High-purity steviol glycosides
US9752174B2 (en) 2013-05-28 2017-09-05 Purecircle Sdn Bhd High-purity steviol glycosides
MX357265B (es) 2012-06-27 2018-07-03 Celanese Sales Germany Gmbh Composiciones enmascarantes del sabor, composiciones edulcorantes y composiciones de productos consumibles que contienen dichas composiciones.
GB201303698D0 (en) * 2012-10-26 2013-04-17 Tate & Lyle Ingredients Sweetener syrups
US20140171519A1 (en) 2012-12-19 2014-06-19 Indra Prakas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rebaudioside x solubility
MX2015007522A (es) * 2012-12-19 2016-03-01 Coca Cola Co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mejorar la solubilidad de rebaudiosido x.
RU2662770C2 (ru) * 2013-01-22 2018-07-30 Марс, Инкорпорейтед Ароматиз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пищевы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ее
CA2901469A1 (en) 2013-03-08 2014-09-12 Axiom Foods, Inc. Rice protein supplements
US9820504B2 (en) 2013-03-08 2017-11-21 Axiom Foods, Inc. Rice protein supple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5308585B1 (ja) * 2013-03-14 2013-10-09 株式会社 伊藤園 果汁含有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果汁含有飲料の爽快感向上方法及び後味感改善方法
GB201309076D0 (en) 2013-03-15 2013-07-03 Tate & Lyle Ingredients Improved sweetener
GB201309079D0 (en) 2013-03-15 2013-07-03 Tate & Lyle Ingredients Improved sweetner
GB201309077D0 (en) 2013-03-15 2013-07-03 Tate & Lyle Ingredients Improved sweetener
CN103142724B (zh) * 2013-03-29 2015-06-10 成都乾坤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兽用麻杏石甘咀嚼片及其制备工艺
US20140342044A1 (en) * 2013-05-14 2014-11-20 Pepsico, Inc. Compositions and Comestibles
US10952458B2 (en) 2013-06-07 2021-03-23 Purecircle Usa Inc Stevia extract containing selected steviol glycosides as flavor, salty and sweetness profile modifier
DK3003058T4 (da) 2013-06-07 2023-07-24 Purecircle Usa Inc Stevia-ekstrakt indeholdende udvalgte steviolglycosider som aroma-, salt- og sødmeprofilmodifikator
GB201315559D0 (en) * 2013-08-02 2013-10-16 Tate & Lyle Ingredients Sweetener compositions
GB201315558D0 (en) 2013-08-02 2013-10-16 Tate & Lyle Ingredients Sweetener compositions
CN103404833A (zh) * 2013-08-20 2013-11-27 济南汉定生物工程有限公司 甜菊糖甙复配甜味剂
US20150110940A1 (en) * 2013-10-22 2015-04-23 Pepsico, Inc. D-Psicose In Zero Or Low Calorie Frozen Beverages
CN103549361B (zh) * 2013-10-25 2016-01-13 武汉市华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用于槟榔食品中含纽甜的复合甜味剂
US10231476B2 (en) 2014-04-04 2019-03-19 Douxmatok Ltd Sweetener compositions and foods, beverages, and consumable products made thereof
US20160242439A1 (en) 2014-04-04 2016-08-25 Douxmatok Ltd Method for producing sweetener compositions and sweetener compositions
US10207004B2 (en) 2014-04-04 2019-02-19 Douxmatok Ltd Method for producing sweetener compositions and sweetener compositions
CN103923152B (zh) * 2014-05-08 2015-11-04 青岛润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罗汉果甙v的提取方法
CN104126747B (zh) * 2014-07-14 2018-08-07 赵亮 多聚功能糖和食品组合物以及它们的制备方法
CN107105686B (zh) 2014-09-02 2021-12-24 谱赛科美国股份有限公司 富含莱鲍迪苷d、e、n和/或o的甜菊提取物及其制备方法
CN104305456A (zh) * 2014-11-13 2015-01-28 河南丰之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碳酸饮料及其制备方法
US20160150812A1 (en) * 2014-11-27 2016-06-02 Glg Life Tech Corporation Sweetener compositions comprising steviol glycosides and other sweeteners
RU2017120822A (ru) 2015-01-13 2019-02-14 Хромоселл Корпорейшн Соедин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модулирования сладкого вкуса
CA2992805A1 (en) * 2015-08-07 2017-02-16 V. Mane Fils Composition comprising taste modulation compounds, their use and foodstuff comprising them
AU2016331214B2 (en) * 2015-10-02 2021-03-25 Wm. Wrigley Jr. Company Confections containing allulose
EP3367816B1 (en) 2015-10-26 2023-12-06 Purecircle Usa Inc. Steviol glycoside compositions
MX2018007241A (es) 2015-12-15 2018-11-09 Purecircle Usa Inc Composiciones de glicosido de esteviol.
US10912322B2 (en) * 2016-03-09 2021-02-09 Cj Cheiljedang Corporation Allulose-containing syrup composition and food containing same
CN106418427A (zh) * 2016-09-12 2017-02-22 上海立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阿洛酮糖的复配甜味剂及其制备方法
CN106418678A (zh) * 2016-10-20 2017-02-22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含雪山甘草丝的卷烟制备方法
CN115968996A (zh) * 2016-12-30 2023-04-18 红牛有限公司 甜味组合物
US10301275B2 (en) * 2017-03-17 2019-05-28 Altria Client Services Llc Sweet taste modulators
EP3634155A4 (en) 2017-05-12 2021-02-17 Axiom Foods Inc. RICE PRODUCTS AND SYSTEM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CA3065139A1 (en) * 2017-05-31 2018-12-06 The Coca-Cola Company Sweetness and taste improvement of steviol glycoside and mogroside sweeteners with cyclamate
KR101981430B1 (ko) * 2017-06-23 2019-05-23 씨제이제일제당 (주) D-사이코스 붕산염 착물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d-사이코스의 생산 방법 및 d-사이코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SG11202001432WA (en) * 2017-08-31 2020-03-30 The Product Makers Australia Pty Ltd Improving the taste of consumables
JP2020536537A (ja) 2017-10-06 2020-12-17 カーギ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易溶解性ステビオールグリコシド組成物
EP3758566B1 (en) 2018-03-02 2021-10-20 Koninklijke Philips N.V. Food processor
MX2020010927A (es) * 2018-04-16 2021-03-02 Almendra Pte Ltd Composicion moduladora del sabor, bebida y composicion saborizante de esta.
US20190350240A1 (en) * 2018-05-20 2019-11-21 Todd Ewing Electrolyte-Enhanced Sweetener and Consumable Products Obtained
EP3952667A1 (en) 2019-04-06 2022-02-16 Cargill, Incorporated Sensory modifiers
CN110478304B (zh) * 2019-08-20 2022-07-05 广州市金熊大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熊胆微胶囊的牙膏
JP2022550553A (ja) * 2019-09-30 2022-12-02 アルメンドラ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改善された味質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AU2020415059A1 (en) * 2019-12-27 2022-06-30 Suntory Holdings Limited Oral composition with increased sweetness
CN114845568A (zh) * 2019-12-27 2022-08-02 三得利控股株式会社 甜味增强的口服组合物
CA3215777A1 (en) * 2021-03-31 2022-10-06 Almendra Pte. Lt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ed taste qua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795A (ko) * 2006-08-22 2009-05-27 레드포인트 바이오 코포레이션 감미료 증강제로서의 헤테로환 화합물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8294C3 (de) * 1976-06-24 1978-12-14 Hoechst Ag, 6000 Frankfurt SUßstoffmischung mit verbessertem saccharoseähnlichem Geschmack
DE2629891A1 (de) * 1975-07-04 1977-01-20 Tate & Lyle Ltd Suesstoffe mit einem gehalt an aldohexuronsaeuren
JPS5210458A (en) * 1975-07-04 1977-01-26 Tate & Lyle Ltd Arabinogalactan containing sweetening composition
IT1063130B (it) * 1975-07-04 1985-02-11 Tate & Lyle Ltd Componenti dolcificanti contenenti dolcificanti proteinici
JPS56121454A (en) * 1980-02-27 1981-09-24 Ajinomoto Co Inc Separation of stevioside and rebaudioside a by crystallization
US4402990A (en) * 1981-08-26 1983-09-06 Dynapol Steviolmonoside analogs
SU1407388A3 (ru) * 1982-05-20 1988-06-30 Тейт Энд Лайл Паблик Лимитед Компани (Фирма) Подслащивающа композици
CA1220966A (en) * 1983-08-22 1987-04-28 Susan J. Pettigrew Non-saccaride sweetened product
GB8403612D0 (en) * 1984-02-10 1984-03-14 Tate & Lyle Plc Sweetener
US5112625A (en) * 1989-02-15 1992-05-12 Wm. Wrigley Jr. Company Aqueous zein coated sweeteners and other ingredients for chewing gum
US4816268A (en) * 1987-08-14 1989-03-28 Nutrasweet Co Process for preparing a comestible containing stirrer straw and product thereof
JPH03251160A (ja) * 1990-02-28 1991-11-08 Otsuka Pharmaceut Co Ltd 低カロリー飲料組成物
RO106505B1 (ro) * 1990-08-27 1993-05-31 Inst De Cercetari Chimico Farm Produs edulcorant necalorigen
US5370864A (en) * 1993-06-29 1994-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reath protection microcapsules
JP3436317B2 (ja) * 1993-11-24 2003-08-11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ステビア甘味料の製造方法
JPH08214A (ja) * 1994-06-17 1996-01-09 Ikeda Pan:Kk レバウディオサイドa系甘味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28468B2 (ja) * 1995-03-20 1997-07-09 三井製糖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の味質改良法及び該方法により作られた高甘味度甘味料組成物
DE19540233B4 (de) * 1995-10-19 2005-08-25 Schering Ag Sulfamat-Derivate von 1,3,5(10)-Estratrien-Derivat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JP3498502B2 (ja) * 1996-11-06 2004-02-16 三菱化学株式会社 密封容器入り炭酸飲料
WO1998027831A2 (de) * 1996-12-20 1998-07-02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Verfahren zur verstärkung der süsskraft und zur geschmacksverbesserung einer mischung hochintensiver süssstoffe
JP3562785B2 (ja) * 1997-10-21 2004-09-08 三菱化学フーズ株式会社 低カロリー酸性蛋白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46708A (ja) * 1998-06-04 1999-12-21 Nikken Chem Co Ltd エリスリトール含有液状甘味料組成物
JP3436706B2 (ja) * 1999-03-26 2003-08-18 雪印乳業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の苦味低減又は除去剤
US7029717B1 (en) * 1999-04-16 2006-04-18 San-Ei Gen F.F.I., Inc. Sucralose-containing composition and edible products containing the composition
AU5127800A (en) * 1999-05-13 2000-12-05 Nutrasweet Company, The Use of additives to modify the taste characteristics of n-neohexyl-alpha-aspartyl-l-phenylalanine methyl ester
RU2238945C2 (ru) * 1999-10-04 2004-10-27 Адзиномото Ко., Инк. Композиции высокоинтенсивных подсластителей, имеющие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ую сладость, модификатор вкус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CA2558683A1 (en) * 2004-03-05 2005-09-22 Sunil Srivastava High-intensity sweetener-polyol compositions
JP2006238828A (ja) * 2005-03-04 2006-09-14 Ogawa & Co Ltd 高甘味度甘味料の呈味改善剤
US7851005B2 (en) * 2005-05-23 2010-12-14 Cadbury Adams Usa Llc Taste potentiator compositions and beverages containing same
WO2006127935A1 (en) * 2005-05-23 2006-11-30 Cadbury Adams Usa Llc Taste potentiator compositions and beverages containing same
US8993027B2 (en) 2005-11-23 2015-03-31 The Coca-Cola Company Natural high-potency tabletop sweeten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mporal and/or flavor profile,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CA2629556A1 (en) 2005-11-23 2007-07-19 The Coca Cola Company Synthetic sweeten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mporal profile and/or flavor profile,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EP1971228A1 (en) 2005-11-23 2008-09-24 The Coca-Cola Company Natural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temporal profile and/or flavor profile,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795A (ko) * 2006-08-22 2009-05-27 레드포인트 바이오 코포레이션 감미료 증강제로서의 헤테로환 화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92765A1 (en) 2008-11-27
EP2164348B1 (en) 2012-10-31
JP2010527611A (ja) 2010-08-19
MX2009012560A (es) 2010-02-12
EP2164348A1 (en) 2010-03-24
CN103416714A (zh) 2013-12-04
KR20100022478A (ko) 2010-03-02
WO2008147727A1 (en) 2008-12-04
AU2008256961B2 (en) 2014-06-05
AU2008256961A1 (en) 2008-12-04
BRPI0812047A2 (pt) 2019-08-27
RU2606081C2 (ru) 2017-01-10
EP2550871A1 (en) 2013-01-30
CA2688629A1 (en) 2008-12-04
JP5330380B2 (ja) 2013-10-30
DK2164348T3 (da) 2013-02-11
US20110318464A1 (en) 2011-12-29
RU2470527C2 (ru) 2012-12-27
CN101742925A (zh) 2010-06-16
ES2398856T3 (es) 2013-03-22
RU2012140408A (ru) 2014-03-27
RU2009145632A (ru) 2011-06-27
PL2164348T3 (pl) 2013-03-29
US8383183B2 (en) 2013-02-26
CN101742925B (zh)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998B1 (ko) 감미성 증강제, 감미성이 증강된 감미료 조성물, 이들의 제제 방법, 및 그 용도
EP2160103B1 (en) Sweetener compositions having enhanced sweetness and improved temporal and/or flavor profiles
JP6559938B2 (ja) ミネラルを含む高甘味度甘味料組成物及びこれにより甘味を付与された組成物
TWI402040B (zh) 含維生素之高效能甜味劑組成物及經其增甜之組成物
JP2015033391A (ja) 改善された経時プロファイル及び/又はフレーバープロファイルを有する天然及び/又は合成高甘味度甘味料組成物、これらの配合方法、および使用
JP2013074890A (ja) 水分補給用高甘味度甘味料及び甘味料入り水分補給組成物
JP2010508822A (ja) ルビスコタンパク、ルビスコリン、ルビスコリン誘導体、ace抑制ペプチド、及びこれらの組合せを有する高甘味度甘味料組成物、及びこれにより甘味を付与された組成物
JP2009517036A (ja) サポニンを含む高甘味度甘味料組成物及びこれにより甘味を付与された組成物
JP2009517023A (ja) カルシウムを含む高甘味度甘味料組成物及びこれにより甘味を付与された組成物
JP2009517033A (ja) 骨粗鬆症を治療及び/又は予防する高甘味度甘味料組成物及びこれにより甘味を付与された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