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851B1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851B1
KR101478851B1 KR1020097019477A KR20097019477A KR101478851B1 KR 101478851 B1 KR101478851 B1 KR 101478851B1 KR 1020097019477 A KR1020097019477 A KR 1020097019477A KR 20097019477 A KR20097019477 A KR 20097019477A KR 101478851 B1 KR101478851 B1 KR 101478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late
duct
floor member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481A (ko
Inventor
쇼오고 기무라
하지메 이시이
히로시 다베따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28Devices in the interior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Abstract

캡(11)을 구성하는 플로어 부재(12)의 바닥판(13)에 운전석 받침대(17)를 설치하고, 이 운전석 받침대(17)의 내부에 공조 유닛(25)을 수용한다. 한편, 바닥판(13)의 하면(13C)에는 공조 유닛(25)의 외기 도입구(25H)측을 향하여 캡(11) 외부의 공기를 유도하는 외기 도입 통로(30)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 하부 덕트(27)를 설치한다. 따라서, 플로어 부재(12)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일없이 바닥 하부 덕트(27)를 일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이 바닥 하부 덕트(27)를 통하여 차가워진 외기를 캡(11)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도 플로어 부재(12)와 일체로 바닥 하부 덕트(27)를 설치할 수 있어, 캡(11) 내의 공간을 넓게 이용할 수 있다.
캡, 플로어 부재, 바닥 하부 덕트, 공조 유닛, 유압 셔블

Description

건설 기계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캡 내에 실내기가 되는 공조 유닛을 구비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위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방측에 부앙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의 후방측에 탑재되어 유압 펌프를 구동하는 엔진과, 엔진의 전방측에 설치된 캡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캡은, 상기 선회 프레임 상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바닥판을 갖는 플로어 부재와, 상기 플로어 부재의 바닥판 상면측에 설치된 운전석 받침대와, 상기 운전석 받침대 위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과, 상기 플로어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운전석의 주위와 상부를 덮는 캡 박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유압 셔블에는, 캡 내의 거주 공간에서 작업하는 오퍼레이터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흡입한 공기를 냉풍, 온풍 등의 조화 공기로서 공급하는 공조 유닛을 구비한 것이 있다. 이 공조 유닛은, 예를 들어 운전석 받침대와 바닥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조 유닛 수용실에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21770호 공보 참조).
또한, 유압 셔블의 공조 유닛은 캡 내의 공기를 내기로서 흡입하여 캡 내로 공급하는 내기 순환과, 캡 외부의 공기를 덕트를 통하여 외기로서 흡입하여 캡 내로 공급하는 외기 도입으로 절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는, 엔진측의 따뜻해진 난기를 흡입하지 않도록, 예를 들어 선회 프레임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선회 프레임측의 외기 유입구와 캡 내의 공조 유닛은, 별개로 설치한 호스를 사용하여 접속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4-27618호 공보 참조).
그런데, 상술한 특허 문헌2에 의한 유압 셔블에서는, 엔진측의 따뜻해진 난기를 흡입하지 않도록, 외기 유입구를 선회 프레임의 외주면에 형성하여 설치하고, 이 외기 유입구와 공조 유닛을 별개로 설치한 호스를 사용하여 접속하고 있다. 이 호스는, 공기를 원활하게 유통시키기 위하여 큰 통로 면적을 갖고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의 하측에는 호스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1과 같이 미니 쇼벨이라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은, 상부 선회체를 작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의 하방에는, 예를 들어 선회 모터, 제어 밸브, 다수개의 유압 호스 등이 간극없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는, 상술한 외기 유입구와 공조 유닛을 접속하는 호스를 설치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외기 유입구는 엔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엔진에서 따뜻해진 난기를 흡입하게 되어, 공조 유닛에 의한 냉방 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개로 호스를 형성하지 않고, 차가워진 외기를 흡입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 외기 유입구와 공조 유닛을 접속함으로써, 공조 유닛에 의한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는,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위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의 전방측 위치에 캡이 설치된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설치되어 바닥판을 갖는 플로어 부재와, 상기 플로어 부재의 바닥판 상면측에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내부에 공조 유닛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운전석 받침대와, 상기 운전석 주위에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어 부재에 설치되고, 외측면에 위치하여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승강구를 갖는 캡 박스와, 상기 공조 유닛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흡입한 공기를 조화 공기로 하여 상기 캡 박스 내로 공급하는 공조 유닛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플로어 부재의 바닥판 하면측에는 상기 공조 유닛을 향하여 상기 캡 외부의 공기를 외기로서 유도하는 외기 도입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 하부 덕트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렇게 구성한 것에 의해, 바닥 하부 덕트는 캡을 구성하는 플로어 부재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의 건설 기계에서도 플로어 부재의 바닥판 하면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바닥 하부 덕트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플로어 부재에 설치된 바닥 하부 덕트는, 바닥판의 하면을 따라 배치할 수 있어, 바닥 하부 덕트를 통하여 청정하고 차가워진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 결과, 소형의 건설 기계와 같이 플로어 부재의 하측에 외기 도입용의 호스 등을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이 플로어 부재에 바닥 하부 덕트를 일체적으로 내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조 유닛에는 바닥 하부 덕트를 통하여 청정하고 차가워진 외기 등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조 유닛에 의한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캡 내의 거주 공간에 있어서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닥 하부 덕트는, 플로어 부재의 하면의 범위 내에서 적합한 위치까지 연장시킴으로써 공조 유닛의 흡입측의 위치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공조 유닛의 설치 위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공조 유닛은 운전석 받침대의 하측의 공간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캡 내의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한편, 플로어 부재의 바닥판 하면에 바닥 하부 덕트를 설치함으로써, 입체적인 구조에 의해 플로어 부재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닥 하부 덕트는 플로어 부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와 바닥 하부 덕트를 미리 서브 조립체로서 조립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로어 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바닥 하부 덕트에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플로어 부재의 후방면에는 상기 바닥 하부 덕트로부터 공조 유닛을 향하여 외기를 유출하는 외기 유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외기 유입구는 플로어 부재의 측면 중, 건설 기계의 주행 시나 작업 시에 날아오르는 모래 먼지나 빗물 등이 최대한 침입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필터의 청소 횟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 하부 덕트로부터 공조 유닛을 향해 외기를 유출시키는 외기 유출구는, 플로어 부재의 후방면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 유입구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조 유닛의 외기의 흡입 위치에 맞추어 바닥 하부 덕트의 외기 유출구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공조 유닛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3)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강구는 상기 캡 박스의 좌측면에 형성하고, 상기 외기 유입구는, 상기 캡 박스의 승강구와는 좌, 우 방향의 반대측에 있는 상기 플로어 부재의 우측 면판의 하측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외기 유출구는, 상기 플로어 부재의 후방부 격벽판의 하측 위치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에 의해, 바닥 하부 덕트의 외기 유입구는 플로어 부재의 우측 면판의 하측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엔진, 유압 펌프 등의 열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하부 덕트에는 외기 유입구로부터 모래 먼지 등이 적어 청정하고 따뜻해지지 않은 저온의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외기 유출구는 플로어 부재의 후방부 격벽판의 하측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 하부 덕트 내를 유통하는 외기를 운전석 밑에 있는 공조 유닛에 대하여 후방부 격벽판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로어 부재의 후방면에는 상기 외기 유출구에 인접하여 필터 설치구를 형성하고, 상기 외기 유출구와 상기 필터 설치구 사이에는 상기 공조 유닛으로 유도되는 외기 중의 진애를 제거하는 필터를 수용한 필터 수용 케이스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에 의해, 필터 수용 케이스는, 바닥 하부 덕트의 외기 유출구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를 필터 설치구를 통하여 공조 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때에 필터 수용 케이스에는 필터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의 후방면측으로부터 필터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5)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로어 부재의 바닥판은 상면의 전방측 위치가 오퍼레이터의 발판으로 되는 동시에 상면의 후방측 위치가 상기 운전석 받침대, 공조 유닛 등의 장비품을 설치하는 장비품 설치부로 되고, 상기 바닥 하부 덕트는, 상기 플로어 부재 중 상기 장비품 설치부의 하면에 위치하여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에 의해, 바닥 하부 덕트는 플로어 부재 중 후방측에 위치하는 장비품 설치부의 하면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장비품 설치부에는 그 하면에 바닥 하부 덕트를 배치하고, 상면에 운전석 받침대, 공조 유닛을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장비품 설치부의 위치에 바닥 하부 덕트와 공조 유닛을 정리하여 배치할 수 있다.
(6)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로어 부재의 후방면측에는 바닥판의 하면보다도 하측으로 연장된 하측 연장부를 설치하고, 상기 외기 도입 통로는, 상기 바닥판의 하면과 하측 연장부에 대하여 프레임 형상을 한 상기 바닥 하부 덕트를 조합함으로써 형성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플로어 부재에 프레임 형상의 바닥 하부 덕트를 설치하고, 플로어 부재의 바닥판 하면과 하측 연장부에 대하여 바닥 하부 덕트를 조합하는 것만으로 외기 도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로어 부재의 바닥판 하면과 하측 연장부를 이용하여 외기 도입 통로를 간단한 구성과 적은 부품 개수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7)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조 유닛은,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송풍 팬, 증발기, 히터 코어 및 내외기 절환 부재를 포함하는 기기가 수용된 본체 케이스를 갖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캡 내의 공기를 내기로서 도입하는 내기 도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방면에는 상기 바닥 하부 덕트로부터 유출되는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에는 조화 공기를 캡 내로 공급하는 조화 공기 공급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에 의해, 내외기 절환 부재에 의해 공기의 도입구를 내기 도입구로 절환했을 때는 내기 도입구로부터 흡입한 내기를 송풍 팬에 의해 증발기 또는 히터 코어를 통과시켜 조화 공기로 하여 이 조화 공기를 조화 공기 공급구로부터 캡 내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외기 도입구로 절환했을 때에는 바닥 하부 덕트로부터 유출하는 외기를 본체 케이스의 외기 도입구로부터 도입할 수 있어, 이 외기를 증발기 또는 히터 코어에서 조화 공기로 한 상태에서 조화 공기 공급구로부터 캡 내로 공급할 수 있다.
(8)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전방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후방측을 틸트 업, 틸트 다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운전석 받침대, 공조 유닛 및 바닥 하부 덕트는 상기 플로어 부재와 함께 틸팅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에 의해, 캡은, 플로어 부재, 운전석 받침대, 공조 유닛, 바닥 하부 덕트 등과 함께 틸팅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외기 도입용 호스 등에 구속되는 일 없이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캡을 틸트 업, 틸트 다운할 수 있어, 점검 작업, 정비 작업 등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캡을 틸트 업한 상태의 유압 셔블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상부 선회체의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4는 상부 선회체를 도 3 중의 화살표 IV-IV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캡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로어 부재, 운전석 받침대, 운전석 등을 전방 상측으로부터 확대하 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로어 부재, 운전석 등을 후방 하측으로부터 확대하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플로어 부재, 공조 유닛 등을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플로어 부재와 바닥 하부 덕트를 하측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10은 플로어 부재, 공조 유닛 등을 운전석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 6과 마찬가지의 위치로부터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 중의 플로어 부재를 단일 부재로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플로어 부재를 바닥 하부 덕트, 필터 수용 케이스와 함께 하측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은 플로어 부재와 경사 덕트판과 직선 덕트판을 분해한 상태에서 하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공조 유닛, 외기 도입 통로, 필터 수용 케이스 등을 조합하여 조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외기 유입구, 외기 유출구의 위치에서 바닥 하부 덕트를 파단하여 외기 도입 통로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경사 덕트판을 단일 부재로 상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7은 경사 덕트판을 단일 부재로 하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8은 직선 덕트판을 단일 부재로 상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9는 직선 덕트판을 단일 부재로 하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바닥 하부 덕트를 플로어 부재와 함께 도 13와 마찬가지의 위치로부터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유압 쇼벨(건설 기계)
5 : 선회 프레임
6 : 엔진
11 : 캡
12 : 플로어 부재
13 : 바닥판
13A : 발판부
13B : 장비품 설치부
13C : 하면
14 : 후방부 격벽판
14A : 상승판
14B : 상측 횡판
14C, 16A : 하측 연장부
14D : 접속 박스
14D1 : 필터 설치구
15 : 좌측판
16 : 우측판
17 : 운전석 받침대
18 : 공조 유닛 수용실
19 : 운전석
22 : 외기 유입구
23 : 외기 유출구
24 : 캡 박스
24F : 승강구
25 : 공조 유닛
25A : 본체 케이스
25B : 송풍 팬
25C : 증발기
25D : 히터 코어
25E : 내외기 절환 부재
25F : 분출구 절환 부재
25G : 내기 도입구
25H : 외기 도입구
25J, 25K : 공급구
26 : 필터 수용 케이스
26A : 외기 필터
27, 41 : 바닥 하부 덕트
28 : 경사 덕트판
29: 직선 덕트판
30, 42 : 외기 도입 통로
30A : 유입 개구
30B : 유출 개구
G : 플로어 부재와 탱크 커버의 간극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건설 기계로서, 소형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9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본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건설 기계의 구체예로서 나타내는 소형의 유압 셔블이다. 이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상기 하부 주행체(2) 위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상기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에 부앙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사의 굴착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3)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강판, 강관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5)과, 상기 선회 프레임(5)의 후방부측에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치 상태로 탑재된 엔진(6)과, 상기 엔진(6)의 좌측에 설치된 유압 펌프(7)와, 선회 프레임(5)의 우측에 위치하여 엔진(6)의 냉각 팬(6A)에 대면하여 설치된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 등의 열 교환기(8)와, 상기 열 교환기(8)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에 탑재된 작동유 탱크(9A)와 연료 탱크(9B)로 이루어지는 탱크(9)와, 상기 엔진(6), 탱크(9) 등을 덮는 외장 커버(10)와, 후술하는 캡(11)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 프레임(5)의 좌측의 전단부에는, 좌, 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2개의 캡 지지 부재(5A)가 설치되어 있다(도 2, 도 5 참조). 이 캡 지지 부재(5A)는 플로어 부재(12)의 일부가 되는 후술하는 바닥판(13)의 설치 브래킷(13D)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엔진(6)의 냉각 팬(6A)은 외부의 공기를 엔진(6)측으로 흡입하는 흡입 팬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냉각 팬(6A)에 의한 냉각풍은 우측의 열 교환기(8)를 통과한 후에 엔진(16)의 주위, 캡 박스(24)의 후방측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외장 커버(10)는, 엔진(6), 유압 펌프(7), 열 교환기(8) 등의 상측을 덮은 후방측의 엔진 커버(10A)와, 탱크(9) 등을 덮은 우측의 탱크 커버(10B)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커버(10B)의 좌측면과 후술하는 캡(11)[플로어 부재(12)]의 우측면 사이에는 모래 먼지나 빗물이 침입하기 어려울 정도의 작은 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거주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캡(11)의 구성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참조 부호 11은 선회 프레임(5)의 좌측 전방측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 프레임(5) 위에 설치된 캡이다. 이 캡(11)은 오퍼레이터가 착석한 상태에서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키거나, 작업 장치(4)를 부앙 동작시키거나 하기 위한 거주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캡(11)은, 후술하는 플로어 부재(12), 운전석 받침 대(17), 운전석(19), 공조 유닛(25), 캡 박스(24)와, 바닥 하부 덕트(27)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참조 부호 12는 캡(11)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로어 부재로, 이 플로어 부재(12)는 후술하는 캡 박스(24)의 하측이 설치되는 것이며, 거주 공간의 하측을 폐색하고 있다. 또한, 플로어 부재(12)는,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바닥판(13)과 후방부 격벽판(14)을 용접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고착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부재(12)로서는, 용접 수단으로 고착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바닥판(13)을 후방부 격벽판(14)과 별개로 설치하고, 이들을 볼트 등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플로어 부재(12)는 후술하는 바닥판(13)의 설치 브래킷(13D)이 캡 지지 부재(5A)를 지지점으로 하여 선회 프레임(5)에 상, 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로어 부재(12)는 후술하는 운전석 받침대(17), 캡 박스(24), 공조 유닛(25), 바닥 하부 덕트(27) 등과 함께 틸팅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박스(24) 등과 함께 전방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후방측을 틸트 업할 수 있고,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다운할 수 있다.
참조 부호 13은 플로어 부재(12)의 베이스 부분을 구성하는 바닥판이다. 이 바닥판(13)은, 거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회 프레임(5) 위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바닥판(13)의 상면의 전방측 위치는, 운전석(19)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발을 올리는 발판부(13A)로 되어 있다. 한편, 바닥판(13)의 상면의 후방측 위치는, 후술하는 운전석 받침대(17), 공조 유닛(25) 등의 장비 품을 설치하는 장비품 설치부(13B)로 되고, 상기 장비품 설치부(13B)의 하면(13C)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바닥 하부 덕트(27)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13)의 전방측에는 좌, 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2쌍의 설치 브래킷(13D)이 설치되고, 상기 각 설치 브래킷(13D)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의 캡 지지 부재(5A)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14는 바닥판(13)의 후단부측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판(13)으로부터 상승되도록 설치된 후방부 격벽판이다. 이 후방부 격벽판(14)은, 플로어 부재(12)를 선회 프레임(5)에 설치했을 때에 엔진(6)의 전방측과 상측을 이격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후방부 격벽판(14)은, 엔진(6)의 발열, 소음이 캡 박스(24) 내로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후방부 격벽판(14)은 바닥판(13)의 후단부로부터 상승되어 엔진(6)의 전방측을 덮는 상승판(14A)과, 상기 상승판(14A)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엔진(6)의 상측을 덮는 상측 횡판(14B)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부 격벽판(14)은 상승판(14A)의 하부를 바닥판(13)의 하면(13C)보다도 하측으로 연장시킴으로써 하측 연장부(14C)를 형성하고 있다. 이 하측 연장부(14C)에는 좌, 우 방향의 좌측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외기 유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후방부 격벽판(14)의 하측 연장부(14C)는 바닥판(13)의 장비품 설치부(13B)의 하면(13C)과 후술하는 바닥 하부 덕트(27)와 함께 외기 도입 통로(30)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승판(14A)의 좌측 하방 위치에는 상기 외기 유출구(23)의 상방에 인접하는 위치에 접속 박스(14D)가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 박스(14D)의 후방면에는 외기 유출구(23)에 인접하는 위치에 필터 설치구(14D1)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설치구(14D1)에는 후술하는 필터 수용 케이스(26)가 설치된다. 또한, 접속 박스(14D)의 내측은 공조 유닛(25)의 외기 도입구(25H)를 수용하기 위한 외기 도입구 수용 오목부(14D2)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박스(14D)는 공조 유닛(25)의 외기 도입구(25H)와 필터 수용 케이스(26)를 서로 연통하고 있다.
참조 부호 15는 플로어 부재(12)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판이다. 이 좌측판(15)은 바닥판(13)과 후방부 격벽판(14)의 상승판(14A) 사이에 설치된 대략 삼각 형상의 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참조 부호 16은 플로어 부재(12)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판이다. 이 우측판(16)은 바닥판(13)과 후방부 격벽판(14)의 상승판(14A) 사이에 설치된 대략 사각 형상의 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판(16)의 하부는, 도 13,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3)의 하면(13C)보다도 하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우측의 하측 연장부(16A)를 형성하고, 이 하측 연장부(16A)에는 후술하는 외기 유입구(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판(16)의 하측 연장부(16A)는, 전술한 후방부 격벽판(14)의 하측 연장부(14C)와 협동하여 외기 도입 통로(30)를 구성하는 것이다.
참조 부호 17은 바닥판(13) 위에 설치된 운전석 받침대로서, 상기 운전석 받침대(17)는 바닥판(13)의 후방측 위치에 있는 장비품 설치부(13B)의 상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 받침대(17)는, 예를 들어 강판에 굽힘 가공 등을 실시함 으로써 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후술하는 운전석(19)이 탑재되어 있다.
참조 부호 18은 바닥판(13)의 장비품 설치부(13B)의 상면측에서 운전석 받침대(17)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공조 유닛 수용실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공조 유닛 수용실(18) 내에는 후술하는 공조 유닛(25)이 배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19는 운전석 받침대(17) 위에 탑재된 운전석으로서, 상기 운전석(19)은 유압 셔블(1)을 운전할 때에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석(19)의 좌, 우 양측에는 작업 장치(4)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2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바닥판(13)의 발판부(13A)의 전방측 위치에는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키기 위하여 운전석(19)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주행 레버·페달(21)이 배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22는 플로어 부재(12)의 우측판(16)의 하측 부위에 형성된 외기 유입구이다. 즉, 이 외기 유입구(22)는 캡 박스(24)의 승강구(24F)와 반대측, 즉 우측판(16)의 하측 연장부(16A)에 설치되어 있다. 이 외기 유입구(2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외기 도입 통로(30)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기 유입구(22)에는 외기 도입 통로(30)의 유입 개구(30A)가 접속된다.
여기서, 외기 유입구(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부재(12)의 우측판(16)과 외장 커버(10)의 탱크 커버(10B) 사이의 간극(G)에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G)은, 엔진(6)의 설치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으며, 게다가 엔진(6)과는 후방부 격벽판(14)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6)에서 따뜻해진 난기를 흡입 할 우려가 없어, 외기 유입구(22)로는 외부가 차가워진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다. 또한, 외기 유입구(22)는, 작은 간극(G)을 갖고 탱크 커버(10B)의 좌측면에 대면하고 있기 때문에, 모래 먼지나 빗물이 침입하기 어려워져, 청정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참조 부호 23은 플로어 부재(12)를 구성하는 후방부 격벽판(14)의 하측 연장부(14C)에 형성된 외기 유출구이다. 이 외기 유출구(23)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기 유출구(23)에는 후술하는 필터 수용 케이스(26)를 통하여 외기 도입 통로(30)의 유출 개구(30B)와 접속된다.
참조 부호 24는 선회 프레임(5)의 좌측에 위치하여 플로어 부재(12) 위에 설치된 캡 박스이다(도 5 등 참조). 이 캡 박스(24)는 운전석(19)의 주위와 상부를 덮음으로써 오퍼레이터가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거주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캡 박스(24)는 전방면부(24A), 후방면부(24B), 좌측면부(24C), 우측면부(24D), 천장면부(24E)에 의해 상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 박스(24)의 좌측면부(24C)에는 거주 공간으로 승강하기 위한 승강구(24F)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구(24F)에는 도어(24G)(도 1 중에 도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25는 실내기로 되는 공조 유닛(도 10 중에 도시)이다. 이 공조 유닛(25)은 운전석 받침대(17)와 바닥판(13) 사이의 공조 유닛 수용실(18) 내에 위치하고 바닥판(13)의 장비품 설치부(13B) 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조 유닛(25)은, 엔진(6)측에 설치된 컴프레서, 응축기(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의 실외기 와 함께 공조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공조 유닛(25)은, 후술하는 외기 도입 통로(30) 등을 통하여 흡입한 공기를 냉기 또는 난기로 조정하여 이 조화 공기를 캡(11) 내를 향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공조 유닛(25)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자체 형상의 본체 케이스(25A)를 갖고, 상기 본체 케이스(25A) 내에 송풍 팬(25B), 증발기(25C), 히터 코어(25D), 내외기 절환 부재(25E), 분출구 절환 부재(25F) 등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25A)의 좌측의 측면에는 캡 박스(24) 내의 공기(내기)를 흡입하는 내기 도입구(25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25A)의 좌측의 후방면에는 외기 도입구(25H)가 형성되고, 상기 외기 도입구(25H)는 후방부 격벽판(14)을 형성하는 접속 박스(14D)의 외기 도입구 수용 오목부(14D2) 내를 향하여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 수용 케이스(26)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본체 케이스(25A)의 우측에는, 조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방측 공급구(25J), 후방측 공급구(25K)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 공급구(25J)는 캡(11) 내의 전방측에 배치된 후술하는 덕트 커버(31)의 분출구(31A, 31B) 등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후방측 공급구(25K)는 후술하는 외부 덕트(32)를 통하여 캡(11) 내의 후방측에 배치된 후방부 분출구(33)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조 유닛(25)은 송풍 팬(25B)을 회전 구동하여 내외기 절환 부재(25E)를 절환한다. 이에 의해, 공조 유닛(25)은 내기 도입구(25G)로부터 캡 박 스(24) 내의 내기를 흡입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외기 도입 통로(30), 필터 수용 케이스(26) 등을 통하여 외기 도입구(25H)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를 흡입한다. 그리고, 이들 공기는, 본체 케이스(25A) 내의 증발기(25C)로 차게 하거나 또는 히터 코어(25D)로 따뜻하게 할 수 있어 조화 공기로 된다. 한편, 분출구 절환 부재(25F)는, 공급구(25J 또는 25K)로 절환하여 조화 공기를 캡 박스(24) 내로 분출함으로써 상기 캡 박스(24) 내를 적당한 온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 26은 외기 유출구(23)와 후방부 격벽판(14)을 구성하는 접속 박스(14D)의 필터 설치구(14D1) 사이에 설치된 필터 수용 케이스이다. 이 필터 수용 케이스(26) 내에는 외기 필터(26A)가 수용되고, 이 외기 필터(26A)는 외기 도입 통로(30)를 통하여 도입되는 외기 중의 진애 등을 제거하여, 청정한 공기를 캡(11) 내로 공급하는 것이다.
다음에, 공조 유닛(25)으로 외기를 유도하는 외기 도입 통로(30)를 형성하기 위해, 플로어 부재(12)에 설치된 바닥 하부 덕트(27)의 구성에 대해, 도 4, 도 9,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서 서술한다.
참조 부호 27은 플로어 부재(12)를 구성하는 바닥판(13)의 하면(13C)측에 설치된 바닥 하부 덕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바닥 하부 덕트(27)는 공조 유닛(25)의 흡입측이 되는 외기 도입구(25H)를 향하여, 캡 박스(24)의 외부의 공기(외기)를 유도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경사 덕트판(28)과 직선 덕트판(2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 하부 덕트(27)는 플로어 부재(12)의 바닥판(13)의 하면(13C)측에 위치하여 배치되고, 후방부 격벽판(14)의 하측 연장부(14C) 및 우측판(16)의 하 측 연장부(16A)를 조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각진 통 형상의 외기 도입 통로(30)를 구성하고 있다.
참조 부호 28은 바닥 하부 덕트(27)의 상류측을 형성하는 덕트 형성 부재로서의 경사 덕트판이다. 이 경사 덕트판(28)은 바닥판(13)의 하면(13C)과 간극을 갖고 대면하고, 우측판(16)과 후방부 격벽판(14)의 우측 코너부에 위치하는 삼각 형상의 저면판(28A)과, 상기 저면판(28A)의 긴 사변으로부터 굴곡되어 상향으로 연장된 상승판(2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면판(28A) 중 외기 유입구(22)와 대향하는 1변은 흡입 단부 모서리(28C)로 되어 있다.
여기서, 경사 덕트판(28)은, 예를 들어 원하는 형상으로 잘라낸 금속판에 1회의 굽힘 가공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경사 덕트판(28)은 용접 수단 등의 고착 수단을 사용하여 플로어 부재(12)의 바닥판(13), 우측판(16)에 일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플로어 부재(12)의 바닥판(13)을 입체적인 구조로 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참조 부호 29는 바닥 하부 덕트(27)의 하류측을 형성하는 덕트 형성 부재로서의 직선 덕트판이다. 이 직선 덕트판(29)은, 바닥판(13)의 하면(13C)과 간극을 갖고 대면하고, 후방부 격벽판(14)의 하측 연장부(14C)의 전방측에 설치된 저면판(29A)과, 격벽판(14)의 하측 연장부(14C) 사이에 간극을 갖고 대면하고, 상기 저면판(29A)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굴곡되어 상향으로 연장된 상승판(29B)에 의해, L자 형상을 한 긴 프레임 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승판(29B)은 그 도중 부위가 절결 개구(29C)로 되고, 상기 절결 개구(29C)는 경사 덕트판(28)의 상승판(28B)과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직선 덕트판(29)은, 전술한 경사 덕트판(28)과 거의 마찬가지로, 금속판에 1회의 굽힘 가공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직선 덕트판(29)은 플로어 부재(12)의 바닥판(13), 후방부 격벽판(14)에 일체적으로 용접됨으로써 플로어 부재(12)의 바닥판(13)을 입체적인 구조로 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참조 부호 30은 바닥 하부 덕트(27)와 플로어 부재(12)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외기 도입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외기 도입 통로(3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하부 덕트(27)를 플로어 부재(12)에 일체적으로 고착함으로써, 외기 유입구(22)로부터 외기 유출구(23)를 향하여 외기를 유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기 도입 통로(30)는 상류측의 유입 개구(30A)가 외기 유입구(22)에 접속되고, 하류측의 유출 개구(30B)가 외기 유출구(23)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바닥 하부 덕트(27)는 경사 덕트판(28)과 직선 덕트판(29)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외기 도입 통로(30)는 이 바닥 하부 덕트(27)와 플로어 부재(12)의 일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외기 도입 통로(30)는 플로어 부재(12)를 구성하는 바닥판(13)의 하면(13C)과 후방부 격벽판(14)의 하측 연장부(14C)와 우측판(16)의 하측 연장부(16A)를 이용하여, 바닥 하부 덕트(27)를 조합함으로써 바닥판(13)의 하면(13C)에 컴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게다가, 외기 도입 통로(30)는 플로어 부재(12)보다도 하측으로 돌출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공조 유닛(25)의 출력을 크게 한 경우에는 공조 유닛(25)의 도입 구(25G, 25H)와, 공급구(25J, 25K) 사이가 크게 이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공조 유닛(25)의 외기 도입구(25H)를, 캡(11)의 좌측에 배치해도 외기 도입 통로(30)의 외기 유입구(22)를 캡(11)의 우측에 위치하는 간극(G)에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 31은 캡 박스(24) 내의 우측 전방측에 배치된 덕트 커버(도 5 참조)이다. 이 덕트 커버(31)의 상측에는, 운전석(19)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를 향하여 조화 공기를 분출하는 전방 상측 분출구(3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덕트 커버(31)의 측면에는, 오퍼레이터의 발밑 등에 조화 공기를 분출하는 전방 하측의 분출구(3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분출구(31A, 31B)는 공조 유닛(25)에 형성된 전방측 공급구(25J)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참조 부호 32는 후방부 격벽판(14)을 구성하는 상승판(14A)의 후방면 우측 근방에 설치된 외부 덕트이다(도 12, 도 14, 도 15 참조). 이 외부 덕트(32)는, 예를 들어 상측 횡판(14B) 상의 후방부 분출구(33)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셔블(1)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에 플로어 부재(12)에 공조 유닛(25), 바닥 하부 덕트(27) 등을 부착할 때의 작업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공조 유닛(25)을 향하여 차가워진 청정한 외기를 유통시키는 바닥 하부 덕트(27)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외기 유입구(22)와 외기 유출구(23)를 접속하도록 바닥판(13)의 하면(13C)측에 바닥 하부 덕트(27)의 경사 덕트판(28)과 직선 덕 트판(29)을 고착한다. 이에 의해, 바닥 하부 덕트(27)는 플로어 부재(12)의 바닥판(13), 후방부 격벽판(14), 우측판(16)의 일부를 이용하여 외기 도입 통로(3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유압 셔블(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퍼레이터는 캡(11) 내에 올라타 운전석(19)에 착석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운전석(19)에 착석한 상태에서 주행 레버·페달(21)을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에 의해 유압 셔블(1)을 원하는 작업 현장까지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현장에서는 좌, 우측의 조작 레버(20)를 조작하여 작업 장치(4)를 부앙 동작시킴으로써 토사의 굴착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작업 시에는 공조 유닛(25)을 운전하여 상기 공조 유닛(25)으로부터 공급되는 조화 공기를 덕트 커버(31)의 각 분출구(31A, 31B), 후방부 분출구(33)로부터 캡(11) 내로 분출시킴으로써 상기 캡(11) 내의 거주 공간을 오퍼레이터의 기호에 따라 적당한 온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선회 프레임(5)에 탑재한 기기류의 점검 작업, 수리 작업 등을 행할 경우에는 선회 프레임(5)의 전방측에 있는 캡 지지 부재(5A)를 틸팅 지지점으로 하여 캡(11)을 틸트 업한다. 이에 의해, 캡(11)에 방해되는 일 없이, 선회 프레임(5)에 탑재된 엔진(6), 유압 펌프(7), 열 교환기(8) 등의 기기류의 점검 작업, 수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이 종료되면 캡 지지 부재(5A)를 틸팅 지지점으로 하여 캡(11)을 틸트 다운함으로써 선회 프레임(5) 위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플로어 부재(12)를 구성하는 바닥판(13) 의 하면(13C)에는 공조 유닛(25)을 향해 캡(11)의 외부의 공기를 유도하는 외기 도입 통로(30)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 하부 덕트(2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바닥 하부 덕트(27)는 바닥판(13)의 하면(13C)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바닥 하부 덕트(27)는 바닥판(13)의 장비품 설치부(13B)의 범위 내에서 적합한 위치까지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기 유입구(22)를 엔진(6)으로부터 이격된 간극(G)의 위치에 개구시킴으로써 모래 먼지 등이 적어 청정하고 따뜻해지지 않은 저온의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 결과, 기기류가 간극없이 탑재되어 있는 소형의 유압 셔블(1)에서도 캡(11)의 플로어 부재(12)에 내장하는 형식으로 바닥 하부 덕트(27)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닥 하부 덕트(27)는 공조 유닛(25)에 청정한 외기, 차가워진 외기 등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조 유닛(25)에 의한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어, 캡 박스(24) 내의 거주 공간에 있어서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수용 케이스(26)의 외기 필터(26A)의 청소 횟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외기 필터(26A)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 하부 덕트(27)는 그 유출측을 플로어 부재(12)의 좌측까지 연장시킴으로써 공조 유닛(25)의 외기 도입구(25H)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 유닛 수용실(18)에는 공조 유닛(25)을 그 형상에 맞추어 설치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외기 유출구(23)와 후방부 격벽판(14)을 구성하는 접속 박스(14D)의 필터 설치구(14D1) 사이에는 필터 수용 케이스(26)를 설치하고, 이 필터 수용 케이 스(26) 내에는 공조 유닛(25)으로 유도되는 외기 중의 진애를 제거하는 외기 필터(26A)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필터 수용 케이스(26)에 수용한 외기 필터(26A)를 후방부 격벽판(14)[플로어 부재(12)]의 후방면측으로부터 교환할 수 있어 외기 필터(26A)의 청소 작업,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바닥 하부 덕트(27)는 바닥판(13)의 하면(13C)과 우측판(16)에 대하여 경사 덕트판(28)을 용접하고, 바닥판(13)의 하면(13C)과 후방부 격벽판(14)에 대하여 직선 덕트판(29)을 용접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로어 부재(12)는 바닥 하부 덕트(27)와 조합함으로써 바닥판(13)을 입체적인 구조로 할 수 있어 플로어 부재(12)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닥 하부 덕트(27)는 플로어 부재(12)에 대하여 미리 내장하여, 서브 어셈블리화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 하부 덕트(27)를 구성하는 경사 덕트판(28), 직선 덕트판(29)은, 금속판에 간단한 굽힘 가공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사 덕트판(28)과 직선 덕트판(29)은 용접 수단에 의해 플로어 부재(12)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닥 하부 덕트(27)를 간단한 구성 부품, 작업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캡(11)은 캡 지지 부재(5A)를 틸팅 지지점으로 하여 틸트 업, 틸트 다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플로어 부재(12), 공조 유닛(25), 바닥 하부 덕트(27)는 모두 틸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로어 부재(12)는 바닥 하부 덕트(27)에 방해되는 일 없이 선회 프레임(5)에 대하여 틸트 업, 틸트 다운할 수 있 어, 각 부의 점검 작업, 정비 작업, 필터 수용 케이스(26)의 필터 엘리먼트의 청소, 교환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 하부 덕트(27)는 플로어 부재(12)를 구성하는 바닥판(13)의 하면(13C)에 설치함으로써 외기 도입 통로(30)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바닥 하부 덕트(41)를 내부가 외기 도입 통로(42)로 된 편평한 관 구조체로서 형성하고, 이 바닥 하부 덕트(41)를 바닥판(13)의 하면(13C)에 일체적으로 고착하여 외기 유입구(22)와 외기 유출구(23)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한 경우에도, 플로어 부재(12)에 대하여 바닥 하부 덕트(41)를 미리 부착하여 서브 어셈블리화함으로써 외기 도입 통로(4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 하부 덕트(27)는 판재의 굽힘 가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경사 덕트판(28)과 직선 덕트판(29)의 2부재에 의해 형성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바닥 하부 덕트(27)를 1매의 금속판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또한 3매 이상의 금속판을 사용하여 형성해도 좋다.
한편,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 하부 덕트(27)는 금속판을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플로어 부재(12)의 강도를 높이는 강도 부재도 겸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시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바닥 하부 덕트(27)를 플라스틱 재료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캡(11)을 선회 프레임(5)에 대하여 전방측을 지지점 으로 하여 틸트 업, 틸트 다운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캡을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캡(11) 내에 공조 유닛(25)을 구비한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캡 내에 공조 유닛(25)을 구비한 건설 기계이면, 휠식의 유압 셔블, 휠 로더, 리프트 트럭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위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의 전방측 위치에 캡이 설치된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설치되어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판 및 상기 바닥판의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후방부 격벽판을 갖는 플로어 부재와, 상기 플로어 부재의 바닥판 상면측에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내부에 공조 유닛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운전석 받침대와, 상기 운전석의 주위에 오퍼레이터의 거주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어 부재에 설치되고, 좌, 우 양측의 외측면 중 좌측면에 위치하여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승강구를 갖는 캡 박스와, 상기 공조 유닛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어 흡입한 공기를 조화 공기로 하여 상기 캡 박스 내로 공급하는 공조 유닛에 의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의 바닥판 하면측에는 상기 공조 유닛을 향하여 상기 캡 외부의 공기를 외기로서 유도하는 외기 도입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 하부 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캡 박스의 승강구와는 좌, 우 방향의 반대측에 있는 상기 플로어 부재의 우측판의 하측 위치에는 상기 바닥 하부 덕트에 외기를 유입시키는 외기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플로어 부재의 후방부 격벽판의 하측 위치에는 상기 바닥 하부 덕트로부터 공조 유닛을 향하여 외기를 유출하는 외기 유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의 후방부 격벽판에는 상기 외기 유출구에 인접하여 필터 설치구를 형성하고, 상기 외기 유출구와 상기 필터 설치구 사이에는 상기 공조 유닛으로 유도되는 외기 중의 진애를 제거하는 필터를 수용한 필터 수용 케이스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의 바닥판은 상면의 전방측 위치가 오퍼레이터의 발판으로 되는 동시에 상면의 후방측 위치가 상기 운전석 받침대, 공조 유닛 등의 장비품을 설치하는 장비품 설치부로 되고,
    상기 바닥 하부 덕트는, 상기 플로어 부재 중 상기 장비품 설치부의 하면에 위치하여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의 후방부 격벽판에는 바닥판의 하면보다 도 하측으로 연장된 하측 연장부를 설치하고, 상기 외기 도입 통로는 상기 바닥판의 하면과 하측 연장부에 대하여 프레임 형상을 한 상기 바닥 하부 덕트를 조합함으로써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유닛은,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송풍 팬, 증발기, 히터 코어 및 내외기 절환 부재를 포함하는 기기가 수용된 본체 케이스를 갖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캡 내의 공기를 내기로서 도입하는 내기 도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방면에는 상기 바닥 하부 덕트로부터 유출되는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에는 조화 공기를 캡 내로 공급하는 조화 공기 공급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전방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후방측을 틸트 업, 틸트 다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운전석 받침대, 공조 유닛 및 바닥 하부 덕트는 상기 플로어 부재가 함께 틸팅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KR1020097019477A 2007-08-13 2008-07-04 건설 기계 KR101478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10949 2007-08-13
JP2007210949 2007-08-13
PCT/JP2008/062528 WO2009022510A1 (ja) 2007-08-13 2008-07-04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481A KR20100053481A (ko) 2010-05-20
KR101478851B1 true KR101478851B1 (ko) 2015-01-02

Family

ID=4035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477A KR101478851B1 (ko) 2007-08-13 2008-07-04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00996B2 (ko)
EP (1) EP2180100B1 (ko)
JP (1) JP4880757B2 (ko)
KR (1) KR101478851B1 (ko)
CN (1) CN101668901B (ko)
WO (1) WO2009022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0253A1 (en) * 2008-07-31 2011-06-0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048718B2 (ja) * 2009-06-03 2012-10-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用運転室
JP4976594B2 (ja) * 2009-11-20 2012-07-1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02667012B (zh) * 2010-03-24 2015-04-01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US8485589B2 (en) * 2010-03-30 2013-07-16 Kubota Corporation Cabin system
EP2557237B1 (en) * 2010-04-06 2017-11-0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Tierra Co., Ltd. Construction machine
IT1401209B1 (it) * 2010-07-02 2013-07-12 Cnh Italia Spa Cabina per veicolo agricolo attrezzata con un sistema di ventilazione e di condizionamento dell'aria
JP5706110B2 (ja) * 2010-07-29 2015-04-22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フレーム構造
JP5341848B2 (ja) * 2010-09-14 2013-11-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エアコンユニットを備えた建設機械
JP5349437B2 (ja) * 2010-09-22 2013-11-20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EP2647771B1 (en) * 2010-11-29 2019-01-2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Tierra Co., Ltd. Construction machine
US8579069B2 (en) * 2010-12-23 2013-11-12 Caterpillar Inc. Forestry machines with transverse engine and hydraulic system installation
JP5604318B2 (ja) * 2011-01-21 2014-10-0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ダクト配設構造
CA2804021C (en) 2011-03-11 2018-06-19 Clark Equipment Company A ventilation system for a power machine
JP5324612B2 (ja) * 2011-03-28 2013-10-2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160668B2 (ja) * 2011-06-17 2013-03-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US20130001984A1 (en) * 2011-06-28 2013-01-03 Caterpillar Inc.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a machine cab
JP5793193B2 (ja) * 2011-08-09 2015-10-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756861B2 (ja) * 2011-09-09 2015-07-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161360B1 (ja) * 2011-12-16 2013-03-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ユーティリティー台を備える作業車両のキャブ
US8870256B2 (en) * 2011-12-16 2014-10-28 Komatsu Ltd. Work vehicle cab equipped with utility base
CN104136691B (zh) * 2012-02-28 2016-04-27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NL2008634C2 (nl) * 2012-04-13 2013-10-16 Hudson Bay Holding B V Mobiele inrichting.
JP5582167B2 (ja) * 2012-05-18 2014-09-0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788362B2 (ja) * 2012-05-31 2015-09-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WO2014155514A1 (ja) 2013-03-26 2014-10-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用キャブおよび建設機械
US10173867B2 (en) * 2014-02-07 2019-01-08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Tilting cab mechanism for a crane
KR101733327B1 (ko) * 2014-10-23 2017-05-0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기계용 캡
US10375901B2 (en) 2014-12-09 2019-08-13 Mtd Products Inc Blower/vacuum
CN105423415A (zh) * 2015-09-30 2016-03-23 陈建霞 一种空调式工程机械
JP6884548B2 (ja) * 2016-10-26 2021-06-0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6824118B2 (ja) * 2017-06-26 2021-02-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用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CN108482203A (zh) * 2018-04-28 2018-09-04 泰铂(上海)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微型压缩机空调汽车座椅
JP6795109B1 (ja) 2020-02-10 2020-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構造
CN115367002B (zh) * 2022-08-04 2024-03-26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具有自适应双向驾驶功能的独立驾驶单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618A (ja) * 1990-05-22 1992-01-3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空調装置
JP2005330772A (ja) 2004-05-21 2005-12-02 Kubota Corp 旋回作業機
JP2006002479A (ja) 2004-06-18 2006-01-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6273055A (ja) 2005-03-28 2006-10-12 Kubota Corp 旋回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8279A (en) 1991-10-28 1994-05-03 Caterpillar Inc. Air circulatory system for an enclosure
JP3702991B2 (ja) * 1998-12-25 2005-10-0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02121770A (ja) 2000-10-13 2002-04-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US7559601B2 (en) * 2003-03-04 2009-07-1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4209787B2 (ja) 2004-02-26 2009-01-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07001433A (ja) * 2005-06-23 2007-01-1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キャブの防露装置
US7401848B2 (en) * 2005-12-23 2008-07-22 Caterpillar S.A.R.L. Rotatable cab with floor-mounted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CN1911451A (zh) * 2006-08-24 2007-02-14 徐州恒天德尔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生态驾驶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618A (ja) * 1990-05-22 1992-01-3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空調装置
JP2005330772A (ja) 2004-05-21 2005-12-02 Kubota Corp 旋回作業機
JP2006002479A (ja) 2004-06-18 2006-01-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6273055A (ja) 2005-03-28 2006-10-12 Kubota Corp 旋回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80757B2 (ja) 2012-02-22
US20100102594A1 (en) 2010-04-29
WO2009022510A1 (ja) 2009-02-19
CN101668901A (zh) 2010-03-10
EP2180100B1 (en) 2012-10-24
EP2180100A4 (en) 2011-04-13
KR20100053481A (ko) 2010-05-20
CN101668901B (zh) 2012-05-23
US7900996B2 (en) 2011-03-08
EP2180100A1 (en) 2010-04-28
JPWO2009022510A1 (ja)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851B1 (ko) 건설 기계
US8616619B2 (en) Construction machine
JP5758338B2 (ja) 作業機
US7401848B2 (en) Rotatable cab with floor-mounted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EP1464522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hydraulic shovel
WO2005083186A1 (ja) 建設機械
WO2016189939A1 (ja) 作業車
US20140339001A1 (en) Cab, and work vehicle
JP4555350B2 (ja) 建設機械
WO2019017188A1 (ja) 作業機
JP4909960B2 (ja) 油圧ショベルの空調装置
JP4607778B2 (ja) 建設機械
JP2014025285A (ja) 建設機械
JP2007062575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8013033A (ja) 建設機械
JP2008296615A (ja) 建設機械
JP2005146741A (ja)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6453709B2 (ja) トラクタ
JP6449719B2 (ja) 作業車
JP2004268801A (ja) 作業車
JP2013024012A (ja) 建設機械
JP2004268802A (ja) 作業車
JP2009255920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3291629A (ja) 建設機械
JP6475089B2 (ja) 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