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327B1 -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기계용 캡 - Google Patents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기계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327B1
KR101733327B1 KR1020157002620A KR20157002620A KR101733327B1 KR 101733327 B1 KR101733327 B1 KR 101733327B1 KR 1020157002620 A KR1020157002620 A KR 1020157002620A KR 20157002620 A KR20157002620 A KR 20157002620A KR 101733327 B1 KR101733327 B1 KR 10173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attachment member
main body
controller assembly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598A (ko
Inventor
마사히로 나가노
요시아키 혼마
다이스케 츠카모토
히로아키 다나카
도모코 기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06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연결 플레이트(3)는 부착 부재(2)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진 부재(4)는 부착 부재(2)와 연결 플레이트(3)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컨트롤러 본체(1)는 부착 부재(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3d)는 연결 플레이트(3)와 제1 컨트롤러 본체(1)를 접속하고 있다.

Description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기계용 캡{CONTROLLER ASSEMBLY AND WORK MACHINE CAB}
본 발명은,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기계용 캡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작업 기계에 있어서, 고기능화에 따라 종래부터 다수의 머신 컨트롤러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머신 컨트롤러의 구성 및 배치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553857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있어서는, 측면에서 볼 때에 U자형인 브래킷의 저면 위에 제진 부재를 개재하여 배치판이 배치되어 있고, 그 배치판 위에 머신 컨트롤러가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과 배치판 사이의 제진 부재에 의해 진동이 감쇠되기 때문에, 배치판 위에 배치된 컨트롤러가 차량의 가속도에 대하여 보호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5538575호 공보
상기 공보에 있어서는, 머신 컨트롤러는 운전석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에는, 복수의 컨트롤러가 집중 배치되어 있고, 유압 쇼벨의 고기능화에 따라 컨트롤러가 종래보다 증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적어져, 기기의 조립이나 수리가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기의 조립이나 수리가 용이한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기계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 조립체는, 부착 부재와, 연결 플레이트와, 제진 부재와, 제1 컨트롤러 본체와,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플레이트는 부착 부재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진 부재는 부착 부재와 연결 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컨트롤러 본체는 부착 부재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는 연결 플레이트와 제1 컨트롤러 본체를 접속하고 있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 조립체에 의하면, 부착 부재의 하측에 제진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 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있고, 또한 연결 플레이트에 연결 부재를 개재하여 부착 부재 상측의 제1 컨트롤러 본체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착 부재를 다른 부재에 고정함으로써, 다른 부재로부터 부착 부재에 진동이 입력되더라도, 제진 부재에 의해 그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고, 제1 컨트롤러 본체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부착 부재는 다른 부재에 부착되기 때문에, 부착 부재를 그 다른 부재의 고정 개소로까지 연장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연장시킨 길이만큼 부착 부재의 치수가 커진다. 한편, 연결 플레이트는, 제진 부재를 개재하여 부착 부재에 연결되고, 또한 연결 부재를 개재하여 제1 컨트롤러 본체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이 때문에, 연결 플레이트에는 그다지 큰 치수는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의 치수를 부착 부재의 치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 치수가 작은 연결 플레이트가 치수가 큰 부착 부재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컨트롤러 조립체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재와 연결 플레이트가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조립체의 하방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용이해져, 기기의 조립이나 수리가 용이해진다.
상기 컨트롤러 조립체에 있어서는, 제1 컨트롤러 본체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갖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제1 측면에 설치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다. 평면에서 볼 때,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으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연결 플레이트의 치수는 부착 부재의 치수보다 작다.
이와 같이 부착 부재보다 치수가 작은 연결 플레이트가 부착 부재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결 플레이트가 컨트롤러 조립체의 하방에 배치된 부재와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컨트롤러 조립체의 하방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용이해져, 기기의 조립이나 수리가 용이해진다.
상기 컨트롤러 조립체에 있어서는, 평면에서 볼 때에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으로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연결 플레이트의 치수는 제1 컨트롤러 본체의 본체부의 치수보다 작다.
연결 플레이트는 부착 부재와 제진 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또한 연결 부재를 개재하여 제1 컨트롤러 본체에 접속되면 되기 때문에, 평면에서 볼 때에 제1 컨트롤러 본체보다 작은 치수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 조립체의 하방의 스페이스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기기의 조립이나 수리가 보다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작업 기계용 캡은,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컨트롤러 조립체와, 그 컨트롤러 조립체의 부착 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작업 기계용 캡에 의하면, 부착 부재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됨으로써, 컨트롤러 조립체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작업 기계용 캡에 있어서는,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된 지지부와, 지지부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 내를 통과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수부(下垂部)와, 하수부의 하측 단부에 접속된 저면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컨트롤러 본체는 저면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 내를 통해서 부착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컨트롤러 조립체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하방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작업 기계용 캡에 있어서는, 제2 컨트롤러 본체와, 공기 조화 유닛과, 덕트와, 퓨즈 박스가 더 구비되어 있다. 제2 컨트롤러 본체는, 제1 컨트롤러 본체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덕트는 공기 조화 유닛에 접속되고, 또한 컨트롤러 조립체의 하방에 배치된 부분을 갖고 있다. 평면에서 볼 때, 덕트는 컨트롤러 조립체와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퓨즈 박스는 제2 컨트롤러 본체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컨트롤러 본체와 제2 컨트롤러 본체가 가로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제2 컨트롤러 본체의 상방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컨트롤러 본체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의 스페이스에 퓨즈 박스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컨트롤러 조립체에 있어서는, 치수가 작은 연결 플레이트가 부착 부재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조립체를 조립하여 장착할 때에 연결 플레이트가 컨트롤러 조립체의 하방에 배치된 덕트와 간섭하기 어려워져, 기기의 조립이나 수리가 용이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기의 조립이나 수리가 용이한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기계용 캡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유압 쇼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쇼벨의 캡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를 작업 기계용 캡 내에 조립하여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를 작업 기계용 캡 내에 조립하여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를 작업 기계용 캡 내에 조립하여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를 작업 기계용 캡 내에 조립하여 장착한 상태의 컨트롤러 조립체와 덕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작업 기계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는 작업 기계의 일례로서 유압 쇼벨과, 그 유압 쇼벨에 이용되는 캡에 관해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유압 쇼벨 이외에 불도저, 휠로더 등의 캡을 갖는 작업 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유압 쇼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쇼벨의 캡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쇼벨(30)은, 하부 주행체(22)와, 상부 선회체(23)와, 작업기(24)를 주로 갖고 있다.
하부 주행체(22)는 좌우 한쌍의 무한궤도(22a)가 회동함으로써 자주(自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23)는 하부 주행체(22)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24)는, 상부 선회체(23)의 전방측에 기복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이 작업기(24)는, 붐(24a), 아암(24b), 버킷(24c), 유압 실린더(24d, 24e, 24f) 등을 갖고 있다.
상기 하부 주행체(22)와 상부 선회체(23)로 작업 차량 본체가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23)는, 차량 본체의 예컨대 전방 좌측에 캡(20)을 가지며, 차량 본체의 후방측에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룸(26), 카운터 웨이트(27) 등을 갖고 있다. 상부 선회체(23)의 상면에는 안테나(29)가 설치되어 있다.
캡(20)은 내부 공간을 갖고 있다. 캡(20)의 내부 공간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28)이 배치되어 있다. 운전석(28)의 후방에는 백패널(25)이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패널(25)의 후방에는 공기 조화 유닛(18)이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하측의 백패널(25)만이 나타나 있고, 상측의 백패널의 일부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원래라면 상측의 백패널에 의해 덮여 보이지 않는 컨트롤러 조립체(10), 베이스 플레이트(11), 덕트(12, 13), 퓨즈 박스(14), 제2 컨트롤러 본체(17) 등이 도 2에 나타나 있다.
컨트롤러 조립체(10) 및 제2 컨트롤러 본체(17) 각각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컨트롤러 본체(17)는 컨트롤러 조립체(10)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컨트롤러 조립체(10)와 제2 컨트롤러 본체(17)는 가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공기 조화 유닛(18)에는 덕트(12, 13) 각각이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 조립체(10)의 하방에는 덕트(12, 13) 각각의 일부가 위치하고 있다. 덕트(12)는, 공기 조화 유닛(18)으로부터 송출된 바람을 캡(20)의 내부 공간의 하방 영역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덕트(13)는, 공기 조화 유닛(18)으로부터 송출된 바람을 분출구(16a)로 유도하는 것이다.
퓨즈 박스(14)는 복수의 퓨즈를 갖고 있다. 이 퓨즈 박스(14)는, 제2 컨트롤러 본체(17)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캡(20)의 내부 공간 내에는 ICT 모니터(41)가 배치되어 있다. 이 ICT 모니터(41)는, 예를 들면 전방 우측의 필러(pillar)에 지지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의 전후ㆍ좌우는, 캡(20)의 운전석(28)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전후 방향이란 운전석(2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후 방향을 말한다. 좌우 방향이란 운전석(2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좌우 방향을 말한다. 상하 방향이란 운전석(2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상하 방향을 말한다. 운전석(2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정면으로 보는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전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을 후방향으로 하고 있다. 운전석(2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정면을 봤을 때 측방향의 우측, 좌측을 각각 우방향, 좌방향으로 하고 있다. 운전석(2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발쪽을 하측으로 하고, 머리쪽을 상측으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각 구성 부재의 구성에 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러 조립체(10)는, 제1 컨트롤러 본체(1)와, 부착 부재(2)와, 연결 플레이트(3)와, 제진 부재(4)와, 연결 부재(3d)를 주로 갖고 있다.
제1 컨트롤러 본체(1)는, 예를 들면 정보화 시공 시스템에서의 작업 기계 및 작업기의 위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컨트롤러 본체(1)는, 본체부(1a)와, 복수의 커넥터(1b)와, 돌출 고정부(1c)를 갖고 있다. 본체부(1a)는, 대략 직방체의 형상을 갖고 있고, 내부에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를 갖고 있다. 복수의 커넥터(1b)는 케이블 등을 접속하기 위한 부분이다. 복수의 커넥터(1b)는, 본체부(1a)의 하나의 측면에 집중하여 설치되어 있다. 돌출 고정부(1c)는, 본체부(1a)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 고정부(1c)는, 복수의 커넥터(1b)가 설치된 측면과는 상이한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부착 부재(2)는, 저면부(2a)와, 하수부(2b)와, 지지부(2c)를 갖고 있다. 저면부(2a), 하수부(2b) 및 지지부(2c)는 1장의 판재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2a)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면부(2a)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2a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2a)에는, 저면부(2a)의 하방으로 돌출된 보스부(2a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스부(2ab)에는, 예를 들면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수부(2b)는, 저면부(2a)의 서로 대향하는 2변의 각각에 접속되고, 그 접속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2c)는, 하수부(2b)의 상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하수부(2b)에 대하여 측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지지부(2c)에는 고정부(2c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부(2ca)는, 베이스 플레이트(11)(도 2)에 부착 부재(2)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며, 예를 들면 볼트이다. 고정부(2ca)는, 볼트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지지부(2c)를 고정할 수 있는 부분이라면, 핀, 용접 등이어도 좋다.
연결 플레이트(3)는, 평판부(3a)와, 단차부(3b)와, 플랜지부(3c)를 갖고 있다. 평판부(3a), 단차부(3b) 및 플랜지부(3c)는 1장의 판재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3a)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플랜지부(3c)는 단차부(3b)를 개재하여 평판부(3a)에 접속되어 있다. 플랜지부(3c)에는 관통 구멍(3ca)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c)의 상면(제1 컨트롤러 본체(1)측의 면)에는 연결 부재(3d)가 부착되어 있다. 연결 부재(3d)는, 예컨대 원기둥형의 강체로 이루어져 있고, 선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진 부재(4)는, 유압 쇼벨(30) 및 캡(20)에 입력되는 진동을 감쇠시키거나 진동의 증폭을 방지함으로써, 제1 컨트롤러 본체(1)의 진동을 저감하는 것이다. 제진 부재(4)는, 부착 부재(2)와 연결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제진 부재(4)는, 원환형상 또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축선 방향으로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조립에 관해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부재(2)의 보스부(2ab)에 제진 부재(4)가 끼워져 있다. 이 제진 부재(4)를 개재하여 부착 부재(2)의 하방측에 연결 플레이트(3)가 부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부착 부재(2)와 연결 플레이트(3) 사이에 제진 부재(4)가 장착되어 있다.
연결 플레이트(3)는, 볼트(6)를 보스부(2ab)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부착 부재(2)에 매달려 유지되어 있다. 부착 부재(2)의 보스부(2ab)는, 연결 플레이트(3)의 상방으로부터 제진 부재(4)를 개재하여 플랜지부(3c)의 관통 구멍(3ca)을 통과하여, 또 다른 제진 부재(4)의 관통 구멍에 끼워져 있다. 볼트(6)는, 와셔(5)를 개재하여 보스부(2ab)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연결 플레이트(3)가 부착 부재(2)에 제진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연결 부재(3d)는, 부착 부재(2)의 관통 구멍(2aa) 내를 통과하여, 부착 부재(2)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뚫고 나가 있다. 관통 구멍(2aa)의 직경은, 연결 부재(3d)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3d)는, 관통 구멍(2aa)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촉하지 않도록 관통 구멍(2aa) 내를 통과하고 있다.
제1 컨트롤러 본체(1)는, 연결 부재(3d)를 개재하여 연결 플레이트(3)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컨트롤러 본체(1)의 돌출 고정부(1c)와 연결 부재(3d)는,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돌출 고정부(1c)의 관통 구멍 내를 통과시킨 후에 연결 부재(3d)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서로 고정되어 있다. 제1 컨트롤러 본체(1)를 연결 플레이트(3)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제1 컨트롤러 본체(1)는 부착 부재(2)에 접해 있지 않고, 간극을 두고 서로 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컨트롤러 조립체(10)가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컨트롤러 조립체(10)는, 고정부(2ca)로 지지부(2c)를 베이스 플레이트(11)(도 2)에 고정함으로써 캡(20)에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10)가 조립된 상태의 구성에 관해 도 4∼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부재(2)의 하방에 연결 플레이트(3)가 배치되어 있다. 부착 부재(2)와 연결 플레이트(3) 사이에는 제진 부재(4)가 장착된다. 제진 부재(4)의 상면이 부착 부재(2)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고, 제진 부재(4)의 하면이 연결 플레이트(3)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 제진 부재(4)는 부착 부재(2) 및 연결 플레이트(3) 각각에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부착 부재(2)와 연결 플레이트(3) 사이에 장착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부착 부재(2) 및 연결 플레이트(3)의 사이에 장착된 제진 부재(4) 이외에, 다른 제진 부재(4)가 연결 플레이트(3)의 하방에 장착되어 있다. 이 다른 제진 부재(4)의 상면은 연결 플레이트(3)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고, 그 다른 제진 부재(4)의 하면은 와셔(5)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다른 제진 부재(4)도 연결 플레이트(3) 및 와셔(5) 각각에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연결 플레이트(3)와 와셔(5) 사이에 장착되어 있으면 된다.
부착 부재(2)의 상방에 제1 컨트롤러 본체(1)가 배치되어 있다. 연결 플레이트(3)와 제1 컨트롤러 본체(1)는 연결 부재(3d)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연결 부재(3d)의 하면이 연결 플레이트(3)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고, 연결 부재(3d)의 상면이 제1 컨트롤러 본체(1)의 돌출 고정부(1c)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1 컨트롤러 본체(1)와 부착 부재(2)는 간극을 두고 서로 떨어져 있어, 직접 접해 있지 않다. 부착 부재(2)와 연결 플레이트(3)는 간극을 두고 서로 떨어져 있어, 직접 접해 있지 않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연결 플레이트(3)의 짧은 방향의 치수 LA는, 부착 부재(2)의 짧은 방향의 치수 LC보다 작다. 연결 플레이트(3)의 짧은 방향의 치수 LA는, 제1 컨트롤러 본체(1)의 본체부(1a)의 짧은 방향의 치수 LB보다 작다. 부착 부재(2)의 짧은 방향의 치수 LC는, 제1 컨트롤러 본체(1)의 본체부(1a)의 짧은 방향의 치수 LB보다 크다.
또한 평면에서 볼 때, 부착 부재(2)의 저면부(2a)의 짧은 방향의 치수 LCa는, 제1 컨트롤러 본체(1)의 본체부(1a)의 짧은 방향의 치수 LB보다 크다. 이 때문에 평면에서 볼 때, 제1 컨트롤러 본체(1)의 본체부(1a)의 전체가 부착 부재(2)의 저면부(2a)와 중첩하고 있다.
또 상기에서의 본체부(1a), 부착 부재(2) 및 연결 플레이트(3) 각각의 짧은 방향은, 본체부(1a)의 커넥터(1b)가 설치된 제1 측면으로부터 그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향하는 방향이다. 또한, 그 짧은 방향은, 부착 부재(2)에서의 저면부(2a), 하수부(2b) 및 지지부(2c)가 나열되는 방향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10)의 캡(20)에 대한 부착과, 그 부착 후의 구성에 관해 도 7∼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를 캡 내에 조립하여 장착하기 전의 상태와, 조립하여 장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를 캡 내에 조립하여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컨트롤러 조립체를 캡 내에 조립하여 장착한 상태의 컨트롤러 조립체와 덕트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러 조립체(10)는 캡(20)의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지지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에는 관통 구멍(1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11a)에 끼워 넣도록 컨트롤러 조립체(10)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부착된다.
컨트롤러 조립체(10)를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부착할 때에는, 부착 부재(2)의 지지부(2c)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 지지된다. 이 지지부(2c)와 베이스 플레이트(11)가, 볼트(2ca)와 너트(11c)(도 10)로 체결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러 조립체(10)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컨트롤러 본체(1)의 측방에 제2 컨트롤러 본체(17)가 배치되어 있고, 제1 컨트롤러 본체(1)와 제2 컨트롤러 본체(17)는 서로 가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제2 컨트롤러 본체(17)는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컨트롤러 본체(17)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에는 퓨즈 박스(14)가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러 조립체(10)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부착 부재(2)의 지지부(2c)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부착 부재(2)의 하수부(2b)는, 그 지지부(2c)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관통 구멍(11a) 내를 통과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착 부재(2)의 저면부(2a)는 하수부(2b)의 하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컨트롤러 본체(1)의 본체부(1a)는 저면부(2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러 조립체(10)의 바로 아래 영역에 덕트(12)의 일부 및 덕트(13)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평면에서 볼 때, 덕트(12, 13) 각각의 일부는 컨트롤러 조립체(10)와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히 덕트(13)의 일부는, 컨트롤러 조립체(10)의 바로 아래 영역 중 후방측의 영역 RA(도 6, 도 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 부착 부재가 연결 플레이트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컨트롤러 조립체(10)에 의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부재(2)에 제진 부재(4)를 개재하여 연결 플레이트(3)가 부착되어 있고, 또한 연결 플레이트(3)에 연결 부재(3d)를 개재하여 제1 컨트롤러 본체(1)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부재(2)를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1)로부터 부착 부재(2)에 진동이 입력되더라도, 제진 부재(4)에 의해 그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고, 제1 컨트롤러 본체(1)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착 부재(2)는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이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개소까지 부착 부재(2)를 연장시킬 필요가 있고, 연장시킨 길이만큼 부착 부재(2)의 치수가 커진다. 한편, 연결 플레이트(3)는, 제진 부재(4)를 개재하여 부착 부재(2)에 연결되고, 또한 연결 부재(3d)를 개재하여 제1 컨트롤러 본체(1)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이 때문에 연결 플레이트(3)에는, 그다지 큰 치수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3)의 치수를 부착 부재(2)의 치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가령 치수가 큰 부착 부재(2)가 치수가 작은 연결 플레이트(3)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5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 R에 부착 부재(2)가 위치하게 되어, 컨트롤러 조립체(10)의 하방에 배치된 부재(예를 들면 덕트(13) : 도 10)와 간섭하기 쉬워진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수가 작은 연결 플레이트(3)가 부착 부재(2)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5에 나타내는 영역 R에는 부착 부재(2)는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영역 R에 있어서, 부착 부재(2) 및 연결 플레이트(3)가 다른 부재와 간섭하지는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 플레이트(3)가 컨트롤러 조립체(10)의 하방에 배치된 부재(예를 들면 덕트(13) : 도 10)와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조립체(10)의 하방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용이해져, 기기의 조립이나 수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부착 부재(2)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진 부재(4)에 의해 부착 부재(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컨트롤러 본체(1)가 제진되기 때문에, 부착 부재(2)의 위치를 기준의 높이로 하면 제1 컨트롤러 본체(1)의 위치를 종래보다 낮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컨트롤러 본체(1)의 상방에 보다 넓은 공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에 연결 플레이트(3)의 짧은 방향에서의 치수 LA는 부착 부재(2)의 짧은 방향에서의 치수 LC보다 작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부착 부재(2)보다 치수가 작은 연결 플레이트(3)가 부착 부재(2)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조립체(10)의 하방의 영역 R에 있어서 덕트(13)(도 10)와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조립체(10)의 하방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용이해져, 기기의 조립이나 수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3)는 부착 부재(2)에 제진 부재(4)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또한 연결 부재(3d)를 개재하여 제1 컨트롤러 본체(1)에 접속되면 된다. 이 때문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에 제1 컨트롤러 본체(1)의 본체부(1a)의 짧은 방향의 치수 LB보다 연결 플레이트(3)의 짧은 방향의 치수 LA를 작은 치수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 조립체(10)의 하방의 스페이스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기기의 조립이나 수리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부재(2)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지지됨으로써, 컨트롤러 조립체(10)를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관통 구멍(11a) 내를 통해서 부착 부재(2)를 배치함으로써, 컨트롤러 조립체(10)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보다 하방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컨트롤러 본체(1)와 제2 컨트롤러 본체(17)가 가로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제2 컨트롤러 본체(17)의 상방의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컨트롤러 본체(17)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의 스페이스에 퓨즈 박스(14)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컨트롤러 본체(1)가 정보화 시공용 머신 컨트롤러인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그 이외의 컨트롤러이어도 좋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제1 컨트롤러 본체 1a : 본체부
1b : 커넥터 1c : 돌출 고정부
2 : 부착 부재 2a : 저면부
2aa, 3ca, 11a : 관통 구멍 2ab : 보스부
2b : 하수부 2c : 지지부
2ca, 6 : 볼트 3 : 연결 플레이트
3a : 평판부 3b : 단차부
3c : 플랜지부 3d : 연결 부재
4 : 제진 부재 5 : 와셔
10 : 컨트롤러 조립체 11 : 베이스 플레이트
11c : 너트 12, 13 : 덕트
14 : 퓨즈 박스 16a : 분출구
17 : 제2 컨트롤러 본체 18 : 공기 조화 유닛
20 : 캡 22 : 하부 주행체
22a : 무한궤도 23 : 상부 선회체
24 : 작업기 24a : 붐
24b : 아암 24c : 버킷
24d : 버킷 실린더 24e : 아암 실린더
24f : 붐 실린더 25 : 백패널
26 : 엔진룸 27 : 카운터 웨이트
28 : 운전석 29 : 안테나
30 : 유압 쇼벨 41 : 모니터

Claims (6)

  1. 컨트롤러 조립체와, 상기 컨트롤러 조립체의 부착 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용 캡으로서,
    상기 컨트롤러 조립체는,
    부착 부재와,
    상기 부착 부재의 하방에 배치된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부착 부재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는 제진 부재와,
    상기 부착 부재의 상방에 배치된 제1 컨트롤러 본체, 그리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컨트롤러 본체를 접속하는 연결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컨트롤러 본체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치수는 상기 부착 부재의 치수보다 작은 것인 작업 기계용 캡.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치수는 상기 제1 컨트롤러 본체의 상기 본체부의 치수보다 작은 것인 작업 기계용 캡.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 구멍 내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수부(下垂部)와, 상기 하수부의 하측 단부에 접속된 저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트롤러 본체는, 상기 저면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작업 기계용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 본체의 측방에 배치된 제2 컨트롤러 본체와,
    공기 조화 유닛과,
    상기 공기 조화 유닛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컨트롤러 조립체의 하방에 배치된 부분을 갖는 덕트와,
    퓨즈 박스를 구비하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덕트는 상기 컨트롤러 조립체와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퓨즈 박스는 상기 제2 컨트롤러 본체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작업 기계용 캡.
KR1020157002620A 2014-10-23 2014-10-23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기계용 캡 KR101733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8192 WO2016063395A1 (ja) 2014-10-23 2014-10-23 コントローラ組立体および作業機械用キャ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598A KR20160060598A (ko) 2016-05-30
KR101733327B1 true KR101733327B1 (ko) 2017-05-08

Family

ID=5279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620A KR101733327B1 (ko) 2014-10-23 2014-10-23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기계용 캡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7158B2 (ko)
JP (1) JPWO2016063395A1 (ko)
KR (1) KR101733327B1 (ko)
CN (1) CN104520515B (ko)
DE (1) DE112014000164A5 (ko)
WO (1) WO2016063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9953B2 (en) * 2015-10-29 2017-11-07 Komatsu Ltd. Controller assembly and work vehicle
CN105459760B (zh) * 2015-12-28 2018-09-07 贵州大学 一种电动汽车用的空调控制器安装减振装置及其方法
JP6914640B2 (ja) * 2016-11-18 2021-08-04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WO2024026086A1 (en) * 2022-07-29 2024-02-01 Seakeeper, Inc. Distribution modu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8575B1 (ja) * 2013-01-18 2014-07-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コントローラ組立体、作業機械の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8364A (en) * 1976-10-26 1978-05-09 Deere & Company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nd cab combination
US4124246A (en) * 1977-07-15 1978-11-07 Caterpillar Tractor Co. Vehicle cab mounting
US5169097A (en) * 1990-11-27 1992-12-08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n accessory unit within an automobile storage area
JP2594882Y2 (ja) * 1991-07-26 1999-05-10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防振ゴム
JPH07326875A (ja) 1994-05-31 1995-12-12 Sony Corp 電子機器におけるダンパーの組付構造
US6412848B1 (en) * 1999-11-02 2002-07-02 Rosen Products Llc Vehicle display monitor system
US6398294B1 (en) * 2000-06-06 2002-06-04 Deere & Company Easy access HVAC module on work vehicle
ITBO20010366A1 (it) * 2001-06-08 2002-12-08 New Holland Italia Spa Macchina movimento terra e dispositivo manipolatore per l'azionamentodelle relative pale caricatrici
US6612636B2 (en) * 2001-08-29 2003-09-02 Deere & Company Hand reference for control panel of utility vehicle
US6715269B2 (en) * 2002-07-17 2004-04-06 Cnh America Llc Adjustable monitor mount
JP4039285B2 (ja) 2003-03-18 2008-01-30 マックス株式会社 ファンモータ取付構造および空調装置
JP4248373B2 (ja) 2003-11-18 2009-04-02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キャブの製造方法
US7445078B2 (en) * 2005-05-02 2008-11-04 Autocar, Llc Vehicle control integration
JP4546422B2 (ja) * 2006-06-27 2010-09-1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08152895A (ja) 2006-12-20 2008-07-03 Funai Electric Co Ltd ハードディスク内蔵dvdレコーダ及びハードディスク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101478851B1 (ko) * 2007-08-13 2015-01-02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
US8418448B2 (en) 2008-05-22 2013-04-1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JP5317660B2 (ja) 2008-12-08 2013-10-16 ハスクバーナ・ゼノア株式会社 背負い式作業機
JP5306142B2 (ja) * 2009-10-20 2013-10-02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のキャブ構造
JP2011202357A (ja) 2010-03-24 2011-10-1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US8684120B2 (en) * 2010-12-24 2014-04-01 Komatsu Lt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JP5666945B2 (ja) * 2011-02-28 2015-02-12 株式会社東芝 表示素子および表示装置
EP2574699B1 (en) * 2011-09-30 2014-04-30 Caterpillar, Inc. Security blocking of cabin exit
WO2013051609A1 (ja) * 2011-10-05 2013-04-1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841008B2 (ja) * 2012-05-28 2016-01-06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JP5918072B2 (ja) * 2012-08-06 2016-05-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5315481B1 (ja) * 2012-11-13 2013-10-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GB2528091B (en) * 2014-07-09 2020-11-25 Bamford Excavators Ltd Operator compartment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8575B1 (ja) * 2013-01-18 2014-07-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コントローラ組立体、作業機械の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598A (ko) 2016-05-30
JPWO2016063395A1 (ja) 2017-04-27
CN104520515A (zh) 2015-04-15
WO2016063395A1 (ja) 2016-04-28
US20160114737A1 (en) 2016-04-28
DE112014000164A5 (de) 2015-07-02
US9487158B2 (en) 2016-11-08
CN104520515B (zh)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327B1 (ko)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기계용 캡
JP5697812B1 (ja)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US20190382981A1 (en) Cabin assembly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20010022909A (ko) 운전실부착 건설기계
US10300778B2 (en) Engine unit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engine unit
JP2012087549A (ja) 建設機械の配管クランプ
KR20150042245A (ko) 컨트롤러 조립체, 작업 기계의 캡 및 작업 기계
JP5704034B2 (ja) 建設機械の燃料供給装置及び同装置の組立方法
JP5986278B2 (ja) コントローラ組立体および作業機械用キャブ
KR101765776B1 (ko)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차량
JP5046138B2 (ja) アタッチメントホースのクランプ構造
JP5668719B2 (ja) 建設機械
JP5296512B2 (ja) 作業車両
JP2016079709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162233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挿通部材の支持構造
JP2008195172A (ja) 作業車両
WO2010122696A1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キャブ保護構造
JP2012188848A (ja) 建設機械
JP7461762B2 (ja) 建設機械
JP5305403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バッテリの位置決め構造
JP2009270270A (ja) スイッチ装置
JP5164177B2 (ja) キャブを備えた建設機械
JP2009270269A (ja) 作業機械
JP2006188118A (ja) 作業車のhstチャージ回路のオイルフィルタ
JP2011201482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