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402B1 - 전자 사진용 감광체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용 감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402B1
KR101245402B1 KR1020077011602A KR20077011602A KR101245402B1 KR 101245402 B1 KR101245402 B1 KR 101245402B1 KR 1020077011602 A KR1020077011602 A KR 1020077011602A KR 20077011602 A KR20077011602 A KR 20077011602A KR 101245402 B1 KR101245402 B1 KR 101245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olycarbonate resin
substituted
photosensitive member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968A (ko
Inventor
가쯔미 아베
아쯔시 다께스에
다께히로 나까지마
마꼬또 고이께
신야 나가이
Original Assignee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10Bases for charge-receiving or other layers
    • G03G5/102Bases for charge-receiving or other layer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met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8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 G03G5/0557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ed bonds
    • G03G5/0564Polycarbon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12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G03G5/0614Amines
    • G03G5/06142Amines arylamine
    • G03G5/06144Amines arylamine diamine
    • G03G5/061446Amines arylamine diamine terphenyl-diami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75Azo dyes
    • G03G5/0679Disazo dy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75Azo dyes
    • G03G5/0679Disazo dyes
    • G03G5/0681Disazo dyes containing hetero rings in the part of the molecule between the azo-grou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75Azo dyes
    • G03G5/0679Disazo dyes
    • G03G5/0683Disazo dyes containing polymethine or anthraquinone groups
    • G03G5/0685Disazo dyes containing polymethine or anthraquinone groups containing hetero rings in the part of the molecule between the azo-grou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96Phthalocyan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도, 잔류 전위 등의 전자 사진 특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이 우수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p-터페닐 화합물의 1종 이상과,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1종 이상을, p-터페닐 화합물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질량비 2:8 내지 7:3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는 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7037450314-pct00074
전자 사진용 감광체, p-터페닐 화합물, 감도, 내구성

Description

전자 사진용 감광체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Body}
본 발명은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감도가 양호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는 셀레늄, 산화아연, 황화카드뮴, 실리콘 등의 무기계 광 도전성 물질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들 무기 물질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여러가지 결점도 갖고 있었다. 예를 들면, 셀레늄은 제조 조건이 까다롭고, 열이나 기계적 충격으로 결정화하기 쉽다는 결점이 있으며, 산화아연이나 황화카드뮴은 내습성이나 기계적 강도에 문제가 있고, 증감제로서 첨가한 색소에 의해 대전이나 노광의 열화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부족하다는 등의 결점이 있다. 실리콘도 제조 조건이 까다롭고, 자극성이 강한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고가이며, 습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또한, 셀레늄이나 황화카드뮴에는 독성 문제도 있다.
이들 무기 감광체가 갖는 결점을 개선한 여러가지 유기 화합물을 이용한 유기 감광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기 감광체에는 전하 발생제와 전하 수송제를 결착 수지 중에 분산시킨 단층형 감광체와,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으로 기능 분리한 적층형 감광체가 있다. 기능 분리형이라고 칭해지는 이러한 감광체의 특징 은 각각의 기능에 적합한 재료를 넓은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며, 임의의 성능을 갖는 감광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성능이나 높은 내구성 등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신규한 재료의 개발이나 이들의 조합 등 여러가지 개량이 이루어져 왔지만, 아직 충분한 것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술한 하나의 예로서, 특정한 전하 수송제에 대하여 결착 수지를 변화시켜 여러가지 감광체를 형성한 경우, 결착 수지의 종류가 감광체의 막 물성 및 전자 사진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스틸벤계 전하 수송제에 대하여 폴리스티렌 수지를 결착 수지로 하여 감광체를 제조했을 경우, 드리프트 이동도나 감도로 표시되는 전자 사진 특성은 향상되지만, 반대로 막이 취약해져 막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를 결착 수지로 하여 감광체를 제조했을 경우, 막 물성은 양호해지지만, 전자 사진 특성은 저하된다.
본 발명자들은 감도가 높고, 내구성이 우수한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대하여 예의 연구한 바, p-터페닐 화합물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함유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가 감도가 높고,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p-터페닐 화합물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조합함으로써, 감도, 잔류 전위 등의 전자 사진 특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더욱 우수한 내구성도 구비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도전성 지지체 상에 하기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1종 이상과,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1종 이상을, p-터페닐 화합물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질량비 2:8 내지 7:3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는 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단,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1종만 사용하는 경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구조는 R1 및 R2가 메틸기이고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이 수소 원자이고 q가 0인 경우를 제외한다.
Figure 112007037450314-pct00001
Figure 112007037450314-pct00002
Figure 112007037450314-pct00003
Figure 112007037450314-pct00004
Figure 112007037450314-pct00005
Figure 112007037450314-pct00006
식 중,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1과 R2가 공동으로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p와 q는 몰 조성분율을 나타내며(q는 0도 포함함), p와 q의 비는 수학식 0≤q/p≤2를 만족하는 관계에 있고, Z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4,4'-비페닐렌기 또는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2가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37450314-pct00007
식 중, R11 및 R1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11과 R12가 공동으로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R13, Rl4, R15 및 R16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은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사용함으로써, 감도, 잔류 전위 등의 전자 사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높은 내구성을 만족할 수 있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 하기 화학식 6 내지 28로 표시되는 것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가 이들 구체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가,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외한다.
Figure 112007037450314-pct00008
Figure 112007037450314-pct00009
Figure 112007037450314-pct00010
Figure 112007037450314-pct00011
Figure 112007037450314-pct00012
Figure 112007037450314-pct00013
Figure 112007037450314-pct00014
Figure 112007037450314-pct00015
Figure 112007037450314-pct00016
Figure 112007037450314-pct00017
Figure 112007037450314-pct00018
Figure 112007037450314-pct00019
Figure 112007037450314-pct00020
Figure 112007037450314-pct00021
Figure 112007037450314-pct00022
Figure 112007037450314-pct00024
Figure 112007037450314-pct00025
Figure 112007037450314-pct00026
Figure 112007037450314-pct00027
Figure 112007037450314-pct00028
Figure 112007037450314-pct00029
Figure 112007037450314-pct00030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는,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1종 이상을 함유하고,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1종 이상을 더 함유한(단,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만 함유하는 경우를 제외함) 감광층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하 수송제로서 특정한 구조를 갖는 p-터페닐 화합물과, 결착 수지로서 특정한 구조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조합함으로써, 감도, 잔류 전위 등의 전자 사진 특성이 향상되고, 내구성도 우수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능 분리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기능 분리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이다.
도 3은 전하 발생층과 도전성 지지체 사이에 언더코팅층을 설치한 기능 분리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전하 수송층과 도전성 지지체 사이에 언더코팅층을 설치하고, 전하 발생층 상에 보호층을 설치한 기능 분리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5는 전하 발생층과 도전성 지지체 사이에 언더코팅층을 설치하고, 전하 수송층 상에 보호층을 설치한 기능 분리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6은 단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7은 감광층과 도전성 지지체 사이에 언더코팅층을 설치한 단층형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에 사용한 부호는 각각 이하의 것을 나타낸다.
1: 도전성 지지체 2: 전하 발생층
3: 전하 수송층 4: 감광층
5: 언더코팅층 6: 전하 수송 물질 함유층
7: 전하 발생 물질 8: 보호층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감광층의 형태로서는 여러가지의 것이 존재하며,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감광체의 감광층은 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대표예로서 도 1 내지 도 7에 이들 의 감광체를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는 도전성 지지체 (1) 상에 전하 발생 물질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전하 발생층 (2)와 전하 수송 물질 및 결착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전하 수송층 (3)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감광층 (4)를 설치한 것이다. 이 때, 도 3,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층 (4)는 도전성 지지체 상에 설치한 전하를 조정하기 위한 언더코팅층 (5)를 통해 설치할 수도 있고, 최외층으로서 보호층 (8)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하 발생 물질 (7)을 전하 수송 물질과 결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 (6)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감광층 (4)를 도전성 지지체 (1) 상에 직접, 또는 언더코팅층 (5)를 통해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감광체는 다음과 같이 하여 통상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1종 이상과,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1종 이상을 적당한 용제 중에 용해하고, 필요에 따라 전하 발생 물질, 전자 흡인성 화합물 또는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가소제, 안료, 그 밖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도포액을 제조한다. 이 도포액을 도전성 지지체 상에 도포, 건조하여 몇㎛ 내지 수십㎛의 감광층을 형성시킴으로써 감광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전하 발생층과 전하 수송층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감광층의 경우에는,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1종 이상과,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1종 이상을 적당한 용제 중에 용해하여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 정제, 가소제, 안료, 그 밖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도포액을, 전하 발생층 상에 도포하거나, 또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얻어지는 전하 수송층 상에 전하 발생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감광체에는 필요에 따라 언더코팅층, 보호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화학식 1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p-터페닐 화합물은, 예를 들면 4,4''-디요오도-p-터페닐 또는 4,4''-디브로모-p-터페닐과 해당하는 아미노 화합물을 울만 반응 등의 축합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해당하는 아미노 화합물은, 예를 들면 아미노인단과 p-요오도톨루엔 또는 p-브로모톨루엔의 울만 반응 등의 축합 반응, 해당하는 아닐린 유도체와 해당하는 요오도벤젠 유도체 또는 해당하는 브로모벤젠 유도체의 울만 반응 등의 축합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아미노인단은, 예를 들면 인단의 할로겐화(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를 경유한 후의 아미노화(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2 참조) 등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비특허 문헌 1: 실험 화학 강좌(제4판, 일본 화학회편) 19, 363 내지 482쪽
비특허 문헌 2: 실험 화학 강좌(제4판, 일본 화학회편) 20, 279 내지 318쪽
본 발명의 감광체에 있어서, p-터페닐 화합물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때의 양자의 질량비는 2:8 내지 7:3이다. 바람직한 사용량으로서는 p-터페닐 화합물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질량비가 3:7 내지 6:4인 경우이다.
본 발명의 감광층이 형성되는 도전성 지지체로서, 공지된 전자 사진용 감광체에 사용되고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구리, 아연, 바나듐, 몰리브덴, 크롬, 티탄, 니켈, 인듐, 금이나 백금 등의 금 속 드럼, 시트 또는 이들 금속의 적층물, 증착물, 또는 금속 분말, 카본 블랙, 요오드화 구리, 고분자 전해질 등의 도전성 물질을 적당한 결합제와 함께 도포하여 도전 처리한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드럼, 종이, 종이관, 또는 도전성 물질을 함유시킴으로써 도전성을 부여한 플라스틱 필름이나 플라스틱 드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전성 지지체와 감광층 사이에 수지 또는 수지와 안료를 포함하는 언더코팅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언더코팅층에 분산하는 안료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체일 수 있지만, 근적외에 흡수가 거의 없는 백색, 또는 이에 가까운 것이 고감도화를 고려했을 경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지르코늄, 알루미나, 실리카로 대표되는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으며, 흡습성이 없고, 환경 변동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언더코팅층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그 위에 감광층을 용제로 도포하는 것도 함께 고려한다면, 일반적인 유기 용제에 대하여 내용제성이 높은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카제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수용성 수지, 공중합 나일론, 메톡시메틸화 나일론 등의 알코올 가용성 수지, 폴리우레탄,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삼차원 메쉬 구조를 형성하는 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하 발생층은 전하 발생제, 결착 수지,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 등을 포함하며, 그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공법, 증착법, CVD법 등을 들 수 있다.
전하 발생제로서는, 각종 결정형의 티타닐 프탈로시아닌, Cu-Kα의 X선 회절 스펙트럼에서의 회절각 2θ±0.2°가 9.3, 10.6, 13.2, 15.1, 20.8, 23.3, 26.3에서 강한 피크를 갖는 티타닐 프탈로시아닌, 회절각 2θ±0.2°가 7.5, 10.3, 12.6, 22.5, 24.3, 25.4, 28.6에서 강한 피크를 갖는 티타닐 프탈로시아닌, 회절각 2θ±0.2°가 9.6, 24.1, 27.2에서 강한 피크를 갖는 티타닐 프탈로시아닌, τ형, X형 등의 각종 결정형의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구리 프탈로시아닌,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아연 프탈로시아닌, α형, β형, Y형 옥소티타닐 프탈로시아닌, 코발트 프탈로시아닌, 히드록시 갈륨 프탈로시아닌, 클로로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클로로 인듐 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트리페닐아민 골격을 갖는 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카르바졸 골격을 갖는 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옥사디아졸 골격을 갖는 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참조), 비스스틸벤 골격을 갖는 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5 참조), 디벤조티오펜 골격을 갖는 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6 참조), 디스티릴벤젠 골격을 갖는 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7 참조), 디스티릴카르바졸 골격을 갖는 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8 참조), 디스티릴옥사디아졸 골격을 갖는 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9 참조), 스틸벤 골격을 갖는 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10 참조), 카르바졸 골격을 갖는 트리스 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11 내지 12 참조), 안트라퀴논 골격을 갖는 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13 참조), 디페닐폴리엔 골격을 갖는 비스아조 안료(예를 들면, 특허 문헌 14 내지 18 참조) 등의 아조계 안료; 페릴렌산 무수물, 페릴렌산 이미드 등의 페릴렌 안료; 안트라퀴논 유도체, 안트안트론 유도체, 디벤즈피렌퀴논 유도체, 피란트론 유도체, 비오란트론 유도체 및 이소비오란트론 유도체 등의 다환 퀴논 안료; 디페닐메탄 및 트리페닐메탄계 안료; 시아닌 및 아조메틴계 안료; 인디고이드계 안료, 비스벤즈이미다졸계 안료, 아즐레늄염, 피릴륨염, 티아피릴륨염, 벤조피릴륨염, 스쿠아릴륨염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53-13234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소)53-9503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소)54-22834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소)54-12742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소)54-17733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소)54-21728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소)53-133445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소)54-17734호 공보
특허 문헌 9: 일본 특허 공개 (소)54-2129호 공보
특허 문헌 10: 일본 특허 공개 (소)53-138229호 공보
특허 문헌 11: 일본 특허 공개 (소)57-195767호 공보
특허 문헌 12: 일본 특허 공개 (소)57-195768호 공보
특허 문헌 13: 일본 특허 공개 (소)57-202545호 공보
특허 문헌 14: 일본 특허 공개 (소)59-129857호 공보
특허 문헌 15: 일본 특허 공개 (소)62-267363호 공보
특허 문헌 16: 일본 특허 공개 (소)64-79753호 공보
특허 문헌 17: 일본 특허 공고 (평)3-34503호 공보
특허 문헌 18: 일본 특허 공고 (평)4-52459호 공보
결착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아미드,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실리콘 수지, 페녹시 수지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분산제, 점착제, 증감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하 발생층의 막 두께는 0.1 내지 2.0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이다. 본 발명에서의 전하 수송층은, 전하 수송제와 결착 수지 및 필요에 따라 전자 수용 물질과 첨가제를 용제에 용해하고, 그것을 전하 발생층 상 또는 도전성 지지체 상, 언더코팅층 상에 도공한 후, 건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사용되는 용제로서는 전하 수송제, 결착 수지, 전자 수용 물질 및 첨가제를 용해시키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1,4- 디옥산,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산 에틸 등의 극성 유기 용제,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벤젠 등의 방향족 유기 용제,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틸렌,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등의 염소계 탄화수소 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광층에는 감도의 향상이나 잔류 전위의 감소, 또는 반복 사용시의 피로 감소를 목적으로서 전자 수용 물질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수용성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숙신산, 무수 말레산, 디브로모 무수 숙신산, 무수 프탈산, 테트라클로로 무수 프탈산, 테트라브로모 무수 프탈산, 3-니트로 무수 프탈산, 4-니트로 무수 프탈산, 무수 피로멜리트산, 무수 멜리트산, 테트라시아노에틸렌,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o-디니트로벤젠, m-디니트로벤젠, 1,3,5-트리니트로벤젠, p-니트로벤조니트릴, 피크릴 클로라이드, 퀴논클로로이미드, 클로라닐, 브로마닐, 디클로로디시아노-p-벤조퀴논, 안트라퀴논, 디니트로안트라퀴논, 2,3-디클로로-1,4-나프토퀴논, 1-니트로안트라퀴논, 2-클로로안트라퀴논, 페난트렌퀴논, 테레프타랄 말레노니트릴, 9-안트릴메틸리덴 말레노니트릴, 9-플루오레닐리덴 말로노니트릴, 폴리니트로-9-플루오레닐리덴 말로노니트릴, 4-니트로벤즈알데히드, 9-벤조일안트라센, 인단디온, 3,5-디니트로벤조페논, 4-클로로나프탈산 무수물, 3-벤잘프탈라이드, 3-(α-시아노-p-니트로벤잘)-4,5,6,7-테트라클로로프탈라이드, 피크르산, o-니트로벤조산, p-니트로벤조산, 3,5-디니트로벤조산, 펜타플루오로벤조산, 5-니트로살리실산, 3,5-디니트로살리실산, 프탈산, 멜리트산, 그 밖의 전자 친화력이 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가소제, 소광제, 분산제, 윤활제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ert-부틸-p-크레졸, 2,6-디-tert-부틸-4-메톡시페놀, 2-tert-부틸-4-메톡시페놀, 2,4-디메틸-6-tert-부틸페놀,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프로피온산 스테아릴-β-(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2,4-비스-(n-옥틸티오)-6-(4-히드록시-3,5-디-tert-부틸아닐리노)-1,3,5-트리아진,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디에틸에스테르, 2,4-비스[(옥틸티오)메틸]-o-크레졸, 이소옥틸-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모노페놀계 화합물;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er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디에틸렌 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N,N'-헥사메틸렌 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남아미드),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2-티오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2,2'-메틸렌 비스(6-tert-부틸-4-메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ert-부틸페놀), 4,4'-티오비스(6-tert-부틸-3-메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ert-부틸페닐)부탄 등의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모노페놀계 화합물 및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 또는 광 안정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5-메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5-디-ter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5-디-tert-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타데실옥시벤조페논, 4-도데실옥시-2-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또한 벤조에이트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옥살산 아닐리드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등에 대해서도 시판 중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광 안정제 또는 산화 방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광 안정제로서는 숙신산 디메틸ㆍ1-(2-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축합물,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 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ㆍ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6-클로로-1,3,5-트리아진 축합물,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2-(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2-n-부틸말론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등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 안정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 또는 산화 방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첨가제로서 하나의 분자 중에 산화 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의 기능을 겸비한 화합물을 첨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6-(2-벤조트리아졸릴)-4-tert-부틸-6'-tert-부틸-4'-메틸-2,2'-메틸렌 비스페놀, 6-(2-벤조트리아졸릴)-4-tert-부틸-4',6'-디-tert-부틸-2,2'-메틸렌 비스페놀, 6-(2-벤조트리아졸릴)-4-tert-부틸-4',6'-디-tert-아밀-2,2'-메틸렌 비스페놀, 6-(2-벤조트리아졸릴)-4-tert-부틸-4',6'-디-tert-옥틸-2,2'-메틸렌 비스페놀, 6-(2-벤조트리아졸릴)-4-tert-옥틸-6'-tert-부틸-4'-메틸-2,2'-메틸렌 비스페놀, 6-(2-벤조트리아졸릴)-4-tert-옥틸-4',6'-디-tert-부틸-2,2'-메틸렌 비스페놀, 6-(2-벤조트리아졸릴)-4-tert-옥틸-4',6'-디-tert-아밀-2,2'-메틸렌 비스페놀, 6-(2-벤조트리아졸릴)-4-tert-옥틸-4',6'-디-tert-옥틸-2,2'-메틸렌 비스페놀, 6-(2-벤조트리아졸릴)-4-메틸-6'-tert-부틸-4'-메틸-2,2'-메틸렌 비스페놀, 6-(2-벤조트리아졸릴)-4-메틸-4',6'-디-tert-부틸-2,2'-메틸렌 비스페놀, 6-(2-벤조트리아졸릴)-4-메틸-4',6'-디-tert-아밀- 2,2'-메틸렌 비스페놀, 6-(2-벤조트리아졸릴)-4-메틸-4',6'-디-tert-옥틸-2,2'-메틸렌 비스페놀 등의 벤조트리아졸-알킬렌 비스페놀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 또는 산화 방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광층에는 성막성, 가요성,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공지된 가소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프탈산 에스테르, 인산 에스테르, 염소화 파라핀, 메틸나프탈린, 에폭시 화합물, 염소화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감광체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표면 보호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수지, 또한 이들 수지에 전기 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금속, 금속 산화물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표면 보호층은 전하 발생제의 광 흡수 파장 영역에서 될 수 있는 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중의 부는 질량부를 나타내고, %는 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
[합성 실시예 1(화합물 (1)의 합성)]
페닐-p-톨릴아민 11.5 g(0.063 mol), 4,4''-디요오도-p-터페닐 14.5 g(0.030 mol), 무수 탄산칼륨 5.0 g(0.036 mol), 구리분 0.38 g(0.006 mol), n-도데칸 15 ㎖를 혼합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00 내지 210 ℃까지 가열하여 30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톨루엔 400 ㎖로 반응 생성물을 추출하고, 불용분을 여과 분리 제거한 후, 여과액을 농축 건고(乾固)시켰다. 얻어진 고형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담체; 실리카 겔, 용리액; 톨루엔:헥산=1:4)에 의해 정제하여 N,N'-디페닐-N,N'-디-p-톨릴-4,4''-디아미노-p-터페닐(화합물 (1)) 13.6 g(수율; 76.4 %, 융점; 167.2 내지 168.2 ℃)을 얻었다.
원소 분석, IR 측정에 의해 화합물 (1)이라고 동정하였다. 원소 분석치는 이하와 같다. 탄소: 89.23 %(89.15 %), 수소: 6.14 %(6.12 %), 질소: 4.60 %(4.73 %)(계산치를 괄호 안에 나타냄).
<실시예 2>
[합성 실시예 2(화합물 (2)의 합성)]
(4-메톡시-2-메틸페닐)페닐아민 14.1 g(0.066 mol), 4,4''-디요오도-p-터페닐 14.5 g(0.030 mol), 무수 탄산칼륨 5.0 g(0.036 mol), 구리분 0.38 g(0.006 mol), n-도데칸 15 ㎖를 혼합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00 내지 210 ℃까지 가열하여 30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톨루엔 400 ㎖로 반응 생성물을 추출하여 불용분을 여과 분리 제거한 후, 여과액을 농축 건고시켰다. 얻어진 고형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담체; 실리카 겔, 용리액; 톨루엔:헥산=1:2)에 의해 정제하여 N,N'-디(4-메톡시-2-메틸페닐)-N,N'-디페닐-4,4''-디아미노-p-터페닐(화합물 (2)) 15.7 g(수율; 80.0 %, 융점; 180.8 내지 183.4 ℃)을 얻었다.
원소 분석, IR 측정에 의해 화합물 (2)라고 동정하였다. 원소 분석치는 이하와 같다. 탄소: 84.67 %(84.63 %), 수소: 6.23 %(6.18 %), 질소: 4.26 %(4.29 %)(계산치를 괄호 안에 나타냄).
<실시예 3>
[합성 실시예 3(화합물 (3)의 합성)]
5-아미노인단(도꾜 가세이 고교 제조) 33.3 g(0.25 mol)을 빙초산 250 ㎖에 용해한 후, 50 ℃로 가열하고, 무수 아세트산 51.0 g(0.5 mol)을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을 빙수 1500 ㎖ 중에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 분리하고, 물 1000 ㎖로 세정하였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하여 5-(N-아세틸아미노)인단 37.06 g(수율; 84.6 %, 융점; 100.5 내지 103.5 ℃)을 얻었다.
5-(N-아세틸아미노)인단 26.28 g(0.15 mol), p-요오도톨루엔 43.61 g(0.20 mol), 무수 탄산칼륨 25.88 g(0.188 mol), 구리분 2.38 g(0.038 mol)을 혼합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00 ℃까지 가열하여 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냉각하고, 물 20 ㎖에 용해한 수산화칼륨 22.3 g 및 이소아밀알코올 50 ㎖를 첨가하여 130 ℃에서 2 시간 가수분해하였다. 가수분해 종료 후, 물 250 ㎖를 첨가하여 공비 증류에 의해 이소아밀알코올을 제거한 후, 톨루엔 200 ㎖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용해하였다. 여과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하였다. 황산마그네슘을 여과 분리한 후, 여과액을 농축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담체; 실리카 겔, 용리액; 톨루엔:헥산=1:4)에 의해 정제하여 인단-5-일-p-톨릴아민 32.3 g을 얻었다.
인단-5-일-p-톨릴아민 18.1 g(0.081 mol), 4,4''-디요오도-p-터페닐 18.9 g(0.039 mol), 무수 탄산칼륨 7.2 g(0.052 mol), 구리분 0.76 g(0.012 mol), n-도데칸 30 ㎖를 혼합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00 내지 210 ℃까지 가열하여 30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톨루엔 400 ㎖로 반응 생성물을 추출하고, 불용분을 여과 분리 제거한 후, 여과액을 농축 건고시켰다. 얻어진 고형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담체; 실리카 겔, 용리액; 톨루엔:헥산=1:4)에 의해 정제하여 N,N'-비스인단-5-일-N,N'-디-p-톨릴-4,4''-디아미노-p-터페닐(화합물 (3)) 19.9 g(수율; 75.7 %, 융점; 207.4 내지 208.1 ℃)을 얻었다.
원소 분석, IR 측정에 의해 화합물 (3)이라고 동정하였다. 원소 분석치는 이하와 같다. 탄소: 89.13 %(89.25 %), 수소: 6.63 %(6.59 %), 질소: 4.24 %(4.16 %)(계산치를 괄호 안에 나타냄).
<실시예 4>
[감광체 실시예 1]
알코올 가용성 폴리아미드(아밀란 CM-4000, 도레이 제조) 1 부를 메탄올 13 부에 용해하였다. 여기에 산화티탄(타이페이크 CR-EL, 이시하라 산교 제조) 5 부를 첨가하고, 페인트 셰이커로 8 시간 분산시켜 언더코팅층용 도포액을 제조한 후, 알루미늄 증착 PET 필름의 알루미늄면 상에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 건조하여 두께 1 ㎛의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Cu-Kα의 X선 회절 스펙트럼에서의 회절각 2θ±0.2°가 9.6, 24.1, 27.2에서 강한 피크를 갖는 하기 티타닐 프탈로시아닌(전하 발생제 No.1)
Figure 112007037450314-pct00031
1.5 부를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에스렉 BL-S,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주) 제조)의 3 % 시클로헥사논 용액 50 부에 첨가하고, 초음파 분산기로 1 시간 분산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상기 언더코팅층 상에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상압하 110 ℃에서 1 시간 건조하여 막 두께 0.6 ㎛의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전하 수송제로서 화합물 (3)의 p-터페닐 화합물(전하 수송제 No.3) 100 부를 하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
Figure 112007037450314-pct00032
의 13.0 %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962 부에 첨가하여 초음파를 쏘여 p-터페닐 화합물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상기 전하 발생층 상에 와이어 바로 도포하고, 상압하 110 ℃에서 30 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20 ㎛의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감광체 실시예 2]
실시예 4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하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37450314-pct00033
<실시예 6>
[감광체 실시예 3]
실시예 4에 있어서, 전하 발생제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Cu-Kα의 X선 회절 스펙트럼에서의 회절각 2θ±0.2°가 7.5, 10.3, 12.6, 22.5, 24.3, 25.4, 28.6에서 강한 피크를 갖는 티타닐 프탈로시아닌(전하 발생제 No.2)을 사용하고, 전하 수송제 No.3을 사용하는 대신에 화합물 (2)의 p-터페닐 화합물(전하 수송제 No.2)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감광체 실시예 4]
실시예 6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감광체 실시예 5]
실시예 4에 있어서, 전하 발생제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Cu-Kα의 X선 회절 스펙트럼에서의 회절각 2θ±0.2°가 9.3, 10.6, 13.2, 15.1, 20.8, 23.3, 26.3에서 강한 피크를 갖는 티타닐 프탈로시아닌(전하 발생제 No.3)을 사용하고, 전하 수송제 No.2를 사용하는 대신에 화합물 (1)의 p-터페닐 화합물(전자 수송제 No.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감광체 실시예 6]
실시예 8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감광체 실시예 7]
알코올 가용성 폴리아미드(아밀란 CM-8000, 도레이 제조) 10 부를 메탄올 190 부에 용해한 후, 알루미늄 증착 PET 필름의 알루미늄면 상에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 건조하여 두께 1 ㎛의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전하 발생제로서 하기 τ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전하 발생제 No.4)
Figure 112007037450314-pct00034
1.5 부를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에스렉 BL-S,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주) 제조)의 3 % 시클로헥사논 용액 50 부에 첨가하여 초음파 분산기로 1 시간 분산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상기 언더코팅층 상에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상압하 110 ℃에서 1 시간 건조하여 막 두께 0.6 ㎛의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전하 수송제로서 전하 수송제 No.1 100 부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의 13.0 %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962 부에 첨가하여 초음파를 쏘여 p-터페닐 화합물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상기 전하 발생층 상에 와이어 바로 도포하고, 상압하 110 ℃에서 30 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20 ㎛의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감광체 실시예 8]
실시예 10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감광체 실시예 9]
실시예 6에 있어서, 전하 수송제 No.2를 사용하는 대신에 전하 수송제 No.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감광체 실시예 10]
실시예 12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2와 하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3)의 8:2 질량비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37450314-pct00035
<실시예 14>
[감광체 실시예 11]
실시예 4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하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37450314-pct00036
<실시예 15>
[감광체 실시예 12]
실시예 4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하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37450314-pct00037
<실시예 16>
[감광체 실시예 13]
실시예 4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하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6)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37450314-pct00038
<실시예 17>
[감광체 실시예 14]
실시예 6에 있어서, 전하 수송제 No.2를 사용하는 대신에 전하 수송제 No.3과 화합물 (4)의 p-터페닐 화합물(전하 수송제 No.4)의 9:1 질량비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감광체 실시예 15]
실시예 17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감광체 실시예 16]
전하 발생제로서 하기 비스아조 안료(전하 발생제 No.5)
Figure 112007037450314-pct00039
1.0 부 및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에스렉 BL-S, 세끼스이 가가꾸 고교(주) 제조)의 5 % 시클로헥사논 용액 8.6 부를 시클로헥사논 83 부에 첨가하고, 볼밀로 분쇄 분산 처리를 48 시간 행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도전성 지지체인 알루미늄 증착 PET 필름의 알루미늄면 상에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 건조하여 두께 0.8 ㎛의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전하 수송제로서 전하 수송제 No.1 100 부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5의 13.0 %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962 부에 첨가하여 초음파를 쏘여 p-터페닐 화합물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상기 전하 발생층 상에 와이어 바로 도포하고, 상압하 110 ℃에서 30 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20 ㎛의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감광체 실시예 17]
실시예 19에 있어서, 전하 발생제 No.5를 사용하는 대신에 하기 비스아조 안료(전하 발생제 No.6)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37450314-pct00040
<실시예 21>
[감광체 실시예 18]
전하 발생제로서 하기 비스아조 안료(전하 발생제 No.7)
Figure 112007037450314-pct00041
1.0 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바이론 200, 도요보(주) 제조)의 5 % 테트라히드로 푸란 용액 8.6 부를 테트라히드로푸란 83 부에 첨가하고, 볼밀로 분쇄 분산 처리를 48 시간 행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도전성 지지체인 알루미늄 증착 PET 필름의 알루미늄면 상에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 건조하여 두께 0.8 ㎛의 전하 발생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전하 수송제로서 전하 수송제 No.3 100 부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2의 13.0 %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962 부에 첨가하여 초음파를 쏘여 p-터페닐 화합물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상기 전하 발생층 상에 와이어 바로 도포하고, 상압하 110 ℃에서 30 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20 ㎛의 전하 수송층을 형성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4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0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2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7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1을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21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2를 사용하는 대신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No.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하여 감광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4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감광체에 대하여 정전 복사지 시험 장치(상품명「EPA-8100」)를 이용하여 전자 사진 특성 평가를 행하였다. 우선, 감광체를 암소에서 -6.5 kV의 코로나 방전을 행하고, 이 때의 대전 전위 V0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1.0 μW/cm2의 780 nm 단색광으로 노광하고, 반감 노광량 E1/2(μJ/cm2)를 구하였다. 이어서, 이 감광체를 도요 세끼사 제조의 회전식 박리 테스터로 마모륜 CS-10을 이용하여 1500 회전 마모시켰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37450314-pct00042
<실시예 23>
실시예 19 내지 21 및 비교예 5에서 제조한 감광체에 대하여 정전 복사지 시험 장치(상품명「EPA-8100」)를 이용하여 전자 사진 특성 평가를 행하였다. 우선, 감광체를 암소에서 -6.0 kV의 코로나 방전을 행하고, 이 때의 대전 전위 V0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1.0 Lux의 백색광으로 노광하고, 반감 노광량 E1/2(Luxㆍsec)를 구하였다. 이어서, 이 감광체를 도요 세끼사 제조의 회전식 박리 테스터로 마모륜 CS-10을 이용하여 1500 회전 마모시켰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37450314-pct00043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하 수송제로서 특정한 구조를 갖는 p-터페닐 화합물과, 결착 수지로서 특정한 구조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조합함으로써, 감도, 잔류 전위 등의 전자 사진 특성이 향상되고, 내구성도 우수한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양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04년 11월 22일자로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04-337169)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을 여기에 참조로서 삽입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전자 사진 특성을 만족하고, 고감도, 고내구성을 실현할 수 있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를 유용하게 제공한다.

Claims (3)

  1. 도전성 지지체 상에 하기 화학식 2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1종 이상과,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1종 이상을, p-터페닐 화합물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질량비 2:8 내지 7:3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는 층을 가지며, 단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1종만 사용하는 경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구조는 R1 및 R2가 메틸기이고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이 수소 원자이고 q가 0인 경우를 제외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화학식 2>
    Figure 712012005661517-pct00045
    <화학식 3>
    Figure 712012005661517-pct00046
    <화학식 4>
    Figure 712012005661517-pct00047
    <화학식 5>
    Figure 712012005661517-pct00048
    <화학식 I>
    Figure 712012005661517-pct00049
    식 중,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1과 R2가 공동으로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p와 q는 몰 조성분율을 나타내며(q는 0도 포함함), p와 q의 비는 수학식 0≤q/p≤2를 만족하는 관계에 있고, Z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4,4'-비페닐렌기 또는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2가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II>
    Figure 712012005661517-pct00050
    식 중, R11 및 R1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11과 R12가 공동으로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R13, Rl4, R15 및 R16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은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가, 하기 화학식 6 내지 28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되, 단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제외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화학식 6>
    Figure 112007037450314-pct00051
    <화학식 7>
    Figure 112007037450314-pct00052
    <화학식 8>
    Figure 112007037450314-pct00053
    <화학식 9>
    Figure 112007037450314-pct00054
    <화학식 10>
    Figure 112007037450314-pct00055
    <화학식 11>
    Figure 112007037450314-pct00056
    <화학식 12>
    Figure 112007037450314-pct00057
    <화학식 13>
    Figure 112007037450314-pct00058
    <화학식 14>
    Figure 112007037450314-pct00059
    <화학식 15>
    Figure 112007037450314-pct00060
    <화학식 16>
    Figure 112007037450314-pct00061
    <화학식 17>
    Figure 112007037450314-pct00062
    <화학식 18>
    Figure 112007037450314-pct00063
    <화학식 19>
    Figure 112007037450314-pct00064
    <화학식 20>
    Figure 112007037450314-pct00065
    <화학식 21>
    Figure 112007037450314-pct00066
    <화학식 22>
    Figure 112007037450314-pct00067
    <화학식 23>
    Figure 112007037450314-pct00068
    <화학식 24>
    Figure 112007037450314-pct00069
    <화학식 25>
    Figure 112007037450314-pct00070
    <화학식 26>
    Figure 112007037450314-pct00071
    <화학식 27>
    Figure 112007037450314-pct00072
    <화학식 28>
    Figure 112007037450314-pct00073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2 내지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p-터페닐 화합물의 1종 이상과,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1종 이상을, p-터페닐 화합물과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질량비 3:7 내지 6:4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는 전자 사진용 감광체.
KR1020077011602A 2004-11-22 2005-11-21 전자 사진용 감광체 KR101245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37169 2004-11-22
JPJP-P-2004-00337169 2004-11-22
PCT/JP2005/021750 WO2006054805A1 (ja) 2004-11-22 2005-11-21 電子写真用感光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255A Division KR101321646B1 (ko) 2004-11-22 2005-11-21 전자 사진용 감광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968A KR20070093968A (ko) 2007-09-19
KR101245402B1 true KR101245402B1 (ko) 2013-03-19

Family

ID=364073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602A KR101245402B1 (ko) 2004-11-22 2005-11-21 전자 사진용 감광체
KR1020127032255A KR101321646B1 (ko) 2004-11-22 2005-11-21 전자 사진용 감광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255A KR101321646B1 (ko) 2004-11-22 2005-11-21 전자 사진용 감광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7790342B2 (ko)
EP (2) EP2485092A1 (ko)
JP (2) JP4809777B2 (ko)
KR (2) KR101245402B1 (ko)
CN (2) CN101061437A (ko)
TW (2) TWI385196B (ko)
WO (1) WO2006054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8046B1 (en) * 2004-05-25 2014-12-10 Hodogaya Chemical Co., Ltd. P-Terphenyl compound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using the same
CN101061437A (zh) 2004-11-22 2007-10-24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电子照相感光体
CN101065711B (zh) * 2004-11-24 2010-11-24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电子照相感光体
CN101317134A (zh) 2005-12-02 2008-12-03 三菱化学株式会社 电子照相感光体和成像装置
JP5610907B2 (ja) * 2009-08-18 2014-10-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KR102041010B1 (ko) * 2016-12-30 2019-11-05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8922A (en) * 1985-11-11 1987-11-24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comprises diarylamine photoconductor and styryl dye having tertiary amino moiety substituted with aryl groups
JP2002031902A (ja) 2000-05-12 2002-01-31 Mitsubishi Chemicals Corp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30203298A1 (en) * 2001-09-27 2003-10-30 Hodogaya Chemical Co.,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7012B2 (ja) 1977-01-31 1985-06-26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感光体
JPS6027013B2 (ja) 1977-04-25 1985-06-26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感光体
JPS6027014B2 (ja) 1977-04-27 1985-06-26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感光体
JPS5814791B2 (ja) 1977-05-09 1983-03-22 三洋電機株式会社 抜き取りパルス発生装置
JPS6027016B2 (ja) 1977-06-30 1985-06-26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感光体
JPS6027015B2 (ja) 1977-06-08 1985-06-26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感光体
JPS6032858B2 (ja) 1977-07-08 1985-07-30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感光体
JPS6027017B2 (ja) 1977-07-08 1985-06-26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感光体
JPS6027018B2 (ja) 1977-07-19 1985-06-26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感光体
JPS6029109B2 (ja) 1977-07-22 1985-07-09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感光体
US4273846A (en) * 1979-11-23 1981-06-16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 having a charge transport layer of a terphenyl diamine and a polycarbonate resin
JPS57195768A (en) 1981-05-28 1982-12-01 Ricoh Co Ltd Novel trisazo compound and production thereof
JPS57195767A (en) 1981-05-28 1982-12-01 Ricoh Co Ltd Novel trisazo compound and production thereof
JPS57202545A (en) 1981-06-08 1982-12-11 Ricoh Co Ltd Electrophotographic receptor
JPS59136351A (ja) 1983-01-26 1984-08-04 Ricoh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JPS58222152A (ja) 1982-06-18 1983-12-23 Ricoh Co Ltd 新規なジスアゾ化合物及びその製造法
JPS59129857A (ja) 1983-01-17 1984-07-26 Ricoh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JPS62147462A (ja) 1985-12-20 1987-07-01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
JPH0673018B2 (ja) * 1986-02-24 1994-09-1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JPH0753829B2 (ja) 1986-05-15 1995-06-07 株式会社リコー 新規なビスアゾ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643952B2 (ja) 1987-09-22 1997-08-25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感光体
US4877702A (en) * 1987-10-30 1989-10-31 Mita Industrial Co., Ltd. Electrophotographic sensitive material
JPH01118143A (ja) * 1987-10-30 1989-05-10 Mita Ind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JPH0334503A (ja) 1989-06-30 1991-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
JPH0452459A (ja) 1990-06-19 1992-02-20 Kajima Corp 日射熱交換装置
JP2531852B2 (ja) 1990-11-15 1996-09-04 出光興産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DE4238413C2 (de) * 1991-11-14 1998-09-03 Hitachi Chemical Co Ltd Zusammensetzung für eine Ladungen tansportierende Schicht in einem elektrophotographischen Aufzeichnungsmaterial
GB2265022B (en) * 1992-03-13 1995-10-04 Konishiroku Photo I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US5395715A (en) * 1992-07-03 1995-03-07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Photosensitive member having photosensitive layer which comprises amino compound as charge transporting material
US5573878A (en) * 1993-11-02 1996-11-12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Triphenylamine derivative, charge-transporting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JPH086267A (ja) * 1994-06-23 1996-01-12 Dainippon Ink & Chem Inc 光導電層形成用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H0815877A (ja) * 1994-06-28 1996-01-19 Konica Corp 電子写真感光体
JP4027374B2 (ja) 1997-05-08 2007-12-26 ニッタン株式会社 煙感知器および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1305764A (ja) * 2000-04-21 2001-11-02 Fuji Xerox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装置
JP4217368B2 (ja) * 2000-06-15 2009-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装置
JP2002014478A (ja) * 2000-06-30 2002-01-18 Hodogaya Chem Co Ltd 電子製品材料の精製方法
JP2002182408A (ja) * 2000-12-18 2002-06-26 Kyocera Mita Corp 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
US6879794B2 (en) * 2001-02-28 2005-04-12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3790892B2 (ja) * 2001-08-31 2006-06-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有機感光体
JP2003107761A (ja) * 2001-09-27 2003-04-09 Hodogaya Chem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
US6864025B2 (en) * 2002-03-28 2005-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lfonyldiphenylene-based charge transport compositions
JP3953360B2 (ja) * 2002-04-24 2007-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20040126885A1 (en) * 2002-11-05 2004-07-01 Cines Douglas B. Delivery vehicle for recombinant proteins
US7005222B2 (en) * 2002-12-16 2006-02-28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s
US7033714B2 (en) * 2002-12-16 2006-04-25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s
EP1477563A3 (en) 2003-05-16 2004-11-24 Wyeth Cloning genes from streptomyces cyaneogriseus subsp.noncyanogenus for biosynthesis of antibiotics and methods of use
JP4179961B2 (ja) 2003-10-20 2008-11-1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装置
KR101044937B1 (ko) 2003-12-01 201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EP2518046B1 (en) 2004-05-25 2014-12-10 Hodogaya Chemical Co., Ltd. P-Terphenyl compound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using the same
CN101061437A (zh) 2004-11-22 2007-10-24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电子照相感光体
CN101065711B (zh) * 2004-11-24 2010-11-24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电子照相感光体
US8212718B2 (en) 2007-04-02 2012-07-03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Microwave/millimeter wave sensor apparatus
JP5412742B2 (ja) 2008-03-31 2014-02-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4−パーフルオロイソプロピルアニリン類の製造方法
JP5417733B2 (ja) 2008-03-31 2014-0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5417734B2 (ja) 2008-04-21 2014-02-19 横河電機株式会社 化学反応用カートリッジ
JP5421728B2 (ja) 2009-10-23 2014-02-19 大阪瓦斯株式会社 溶解炉用の燃焼装置及び溶解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8922A (en) * 1985-11-11 1987-11-24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comprises diarylamine photoconductor and styryl dye having tertiary amino moiety substituted with aryl groups
JP2002031902A (ja) 2000-05-12 2002-01-31 Mitsubishi Chemicals Corp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30203298A1 (en) * 2001-09-27 2003-10-30 Hodogaya Chemical Co.,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6522A1 (en) 2007-08-08
WO2006054805A1 (ja) 2006-05-26
CN102608881A (zh) 2012-07-25
JPWO2006054805A1 (ja) 2008-06-05
TW200628512A (en) 2006-08-16
US20090226830A1 (en) 2009-09-10
JP2011164659A (ja) 2011-08-25
KR20130008637A (ko) 2013-01-22
EP1816522B1 (en) 2013-12-25
US7790342B2 (en) 2010-09-07
TWI385196B (zh) 2013-02-11
EP1816522A4 (en) 2009-11-04
KR20070093968A (ko) 2007-09-19
TW201235802A (en) 2012-09-01
KR101321646B1 (ko) 2013-10-23
EP2485092A1 (en) 2012-08-08
US8808951B2 (en) 2014-08-19
US20130266343A1 (en) 2013-10-10
JP4809777B2 (ja) 2011-11-09
CN101061437A (zh) 2007-10-24
JP4880079B2 (ja) 2012-02-22
US20100291480A1 (en)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5897B2 (ja) p−ターフェニル化合物混合物及び該化合物混合物を用いた電子写真用感光体
EP2518046B1 (en) P-Terphenyl compound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using the same
KR101245402B1 (ko) 전자 사진용 감광체
EP2460796A1 (en) Indole derivative
JP4880080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US5550290A (en) Benzidine derivative and electrophotosensitive material using the same
EP0648737B1 (en) Benzidine derivatives and electrophotosensitive material using the same
JP5096931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
US8247144B2 (en) Photoreceptor for electrophotography
US5494765A (en) Electrophotosensitive material using a phenylenediamine derivative
JP2003107761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US6790574B2 (e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JP3781892B2 (ja) 電子写真感光体
JP2002296809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JP2003202687A (ja) 電子写真用感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