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912B1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912B1
KR101150912B1 KR1020107005220A KR20107005220A KR101150912B1 KR 101150912 B1 KR101150912 B1 KR 101150912B1 KR 1020107005220 A KR1020107005220 A KR 1020107005220A KR 20107005220 A KR20107005220 A KR 20107005220A KR 101150912 B1 KR101150912 B1 KR 10115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ver member
energy
open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9902A (ko
Inventor
고지 미와
시게키 기노무라
마코토 히라이
요시아키 아츠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0003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gearings
    • B60K6/365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gearings with the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4Series-parallel type
    • B60K6/445Differential gearing distribut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7Physical arrangements or structures of drive train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pulsion motors of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provision for separate direct mechanical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by batteries charg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4Detection or removal of foreign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6Methods for pairing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e.g. establishing a one-to-one rel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charging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4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fuel inlet covers essentially flush with the vehicl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16Arrangement in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46Arrangements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60L2210/14Boost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20/00Electrical machine types; Structures or applications thereof
    • B60L2220/50Structural details of electrical machines
    • B60L2220/54Windings for different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80Time lim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2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4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3Conjoint control of differen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은, 가솔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엔진과 가솔린이 공급되면, 노즐 받아들임부(215)를 수용하는 수용실(213C)의 개구부(213B)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213A)와, 전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회전전기와, 전력이 공급되는 충전?급전부(90)와, 충전?급전부(90)를 수용하는 수용실(90C)의 개구부(90B)를 개폐하는 덮개 부재(90A)와, 덮개 부재(213A)와 덮개 부재(90A) 중 한쪽이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 다른쪽을 폐쇄 상태로 하는 개폐제어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 종류의 에너지원이 공급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를 배려한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연료전지 차량 등이 각종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016349호 공보에는, 연료 사용 제한식 하이브리드 차량이 제안되어 있다. 이 연료 사용 제한식 하이브리드 차량은, 외부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와, 이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차륜을 구동할 수 있는 구동용 전동기와, 이 구동용 전동기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발전기를 구동하는 내연기관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연료 사용 제한식 하이브리드 차량은, 외부 충전수단에 의하여 충전되고 나서의 내연기관에 의한 연료 사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연료 사용량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이 연료 사용량 검출수단으로부터의 파라미터가 소정 값이 되면, 전동기의 출력을 제한함으로써, 운전자가 내연기관에 의존하지 않고 주행하도록 안내한다.
일본국 특개2005-093316호 공보에 기재되는 연료전지 차량은,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연료 및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연료전지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장치와, 배터리와,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06-135302호 공보에는, 전기 자동차나 가솔린 자동차의 급유설비와, 전기 자동차의 충전설비를 구비한 자동차의 서비스 스테이션이 제안되어 있다. 이 서비스 스테이션에 있어서는, 에어 커튼을 설치함과 동시에, 충전 중에 발생하는 가스를 상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서비스 스테이션에서는, 급유 중에 발생하는 기화가스나, 충전 중에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11-078527호 공보에는, 슬라이드 도어가 퓨엘리드(fuel lid)나 급유 건(gun)으로 간섭하는 것이 억제된 차량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301634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5-09331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평06-135302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평11-078527호 공보
그러나,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충전 작업이나 급유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급유 작업과 충전 작업을 동시에 행한 경우에는, 각종 작업을 동시에 행할 필요가 생겨서, 작업자에 의한 작업 미스가 빈발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5-093316호 공보 및 특개평6-135302호 공보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충전, 급유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작업 미스의 저감이라는 관점에서 아무런 제안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충전 작업이나 급유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 의하여 야기되는 작업 미스의 저감이 도모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은, 제 1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1 구동부와, 제 1 에너지원을 축적 가능한 제 1 축적부와,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제 1 에너지원이 공급되는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와,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1 덮개 부재와,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접속되어,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공급된 제 1 에너지원을 제 1 축적부로 유도하는 제 1 접속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차량은, 상기 제 1 에너지원과 다른 제 2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와, 제 2 에너지원을 축적하는 제 2 축적부와,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제 2 에너지원이 공급되는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와,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를 수용하는 제 2 수용실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 2 덮개 부재와,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접속되어,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공급된 제 2 에너지원이 유통되는 제 2 접속부를 구비한다. 또한, 이 차량은, 상기 제 1 덮개 부재와 제 2 덮개 부재 중 한쪽이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 다른쪽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개폐제어기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제어기구는, 제 1 덮개 부재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와, 제 2 덮개 부재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와, 제 1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제 1 잠금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개폐제어기구는, 제 2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제 2 잠금부와, 제 1 잠금부에 의한 제 1 덮개 부재의 폐쇄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 1 해제부와, 제 2 잠금부에 의한 제 2 덮개 부재의 폐쇄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 2 해제부와, 제 1 검출부가 제 1 덮개 부재의 개방 상태를 검출하였을 때에, 제 2 해제부의 구동을 금지하고, 제 2 검출부가 제 2 덮개 부재의 개방 상태를 검출하였을 때에, 제 1 해제부의 구동을 금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에너지원은 연료가 되고, 제 1 축적부는, 액체상태의 연료를 축적하는 연료탱크가 되며, 제 1 접속부는, 액체상태의 연료를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로부터 연료탱크로 유도하는 관로가 된다. 또한, 상기 제 2 에너지원은 전력이 되고, 제 2 축적부는, 직류전력으로서, 제 2 에너지원을 축적하는 축전기가 되며, 제 2 접속부는, 전력이 유통되는 배선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구동부는, 교류전력으로서의 제 2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 전기가 되고, 회전 전기는, 제 1 다상 권선과 당해 제 1 다상 권선의 제 1 중성점을 가지는 제 1 회전 전기와, 제 2 다상 권선과 당해 제 2 다상 권선의 제 2 중성점을 가지는 제 2 회전 전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접속부는, 제 1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배선과, 제 2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축전기로부터의 직류전력으로서의 제 2 에너지원을 교류전력으로서의 제 2 에너지원으로 변환하여 제 1 회전 전기에 공급하는 제 1 인버터와, 축전기로부터의 직류전력으로서의 제 2 에너지원을 교류전력으로서의 제 2 에너지원으로 변환하여 제 2 회전 전기에 공급하는 제 2 인버터와, 제 1 및 제 2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제 2 접속부로부터 제 1 및 제 2 중성점에 부여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축전기에 공급하도록 제 1 및 제 2 인버터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구동부는, 교류전력으로서의 제 2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 전기가 되고, 회전 전기는, 제 1 다상 권선과 당해 제 1 다상 권선의 제 1 중성점을 가지는 제 1 회전 전기와, 제 2 다상 권선과 당해 제 2 다상 권선의 제 2 중성점을 가지는 제 2 회전 전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제 1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배선과, 제 2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배선을 포함하고, 축전기로부터의 직류전력으로서의 제 2 에너지원을 교류전력으로서의 제 2 에너지원으로 변환하여 제 1 회전 전기에 공급하는 제 1 인버터와, 축전기에 직류전력으로서의 제 2 에너지원을 교류전력으로서의 제 2 에너지원으로 변환하여 제 1 회전 전기에 공급하는 제 2 인버터와, 제 1 및 제 2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축전기로부터 제 1 인버터 및 제 2 인버터에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제 2 접속부로부터 외부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 1 인버터 및 제 2 인버터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제어기구는, 제 1 덮개 부재와 제 2 덮개 부재를 연결하여, 제 1 덮개 부재와 제 2 덮개 부재와 연동시켜서, 제 1 덮개 부재 및 제 2 덮개 부재 모두가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억제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는, 제 1 덮개 부재와 제 2 덮개 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제어기구는, 제 1 덮개 부재를 개폐 가능 상태로 함과 동시에, 제 2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하는 제 1 상태와, 제 2 덮개 부재를 개폐 가능 상태로 함과 동시에, 제 1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하는 제 2 상태로 전환 가능한 조작기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기구는, 사용자에 의하여 전환 조작 가능한 조작부와, 조작부 및 제 1 덮개 부재를 연결하는 제 1 조작용 연결 부재와, 조작부 및 제 2 덮개 부재를 연결하는 제 2 조작용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기구가 제 1 상태가 됨으로써, 제 1 조작용 연결 부재에 신장 마진을 설정하여, 제 1 덮개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제 2 조작용 연결 부재의 신장 마진을 저감시켜서, 제 2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한다. 또, 상기 조작부가 제 2 상태가 됨으로써, 제 1 조작용 연결 부재의 신장 마진을 저감하여, 제 1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함과 동시에, 제 2 조작용 연결 부재에 신장 마진을 설정하여, 제 2 덮개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부재와,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조작용 연결 부재는, 회전 부재 중, 축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접속되고, 제 2 조작용 연결 부재는, 회전 부재 중, 축부에 대하여, 제 1 조작용 연결부가 접속된 부분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속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은, 제 1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1 구동부와, 제 1 에너지원을 축적 가능한 제 1 축적부와, 제 1 에너지를 공급 가능한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제 1 에너지원이 공급되는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와,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 1 덮개 부재와,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접속되고,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공급된 제 1 에너지원을 제 1 축적부로 유도하는 제 1 접속부와, 제 1 에너지원과 다른 제 2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제 2 구동부와, 제 2 에너지원을 축적하는 제 2 축적부와,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제 2 에너지원이 공급되는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와,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를 수용하는 제 2 수용실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 2 덮개 부재와,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접속되고,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공급된 제 2 에너지원이 유통되는 제 2 접속부와, 제 1 덮개 부재 및 제 2 덮개 부재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개폐제어장치와, 경고 동작을 행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제 1 덮개 부재 및 제 2 덮개 부재의 개폐 상태를 판정하는 덮개 개폐 판정부와, 덮개 개폐 판정부로부터의 개폐 정보에 의거하여, 출력부를 구동하는 출력부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제 1 덮개 부재 및 제 2 덮개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이 개방 상태일 때에, 경고부를 구동하고, 제 1 덮개 부재 및 제 2 덮개 부재 모두가 폐쇄 상태가 되면, 경고부의 구동을 정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부는, 개방 상태의 제 1 덮개 부재를 구동하여 폐쇄 상태로 하는 제 1 덮개 구동부와, 개방 상태의 제 2 덮개 부재를 구동하여 폐쇄 상태로 하는 제 2 덮개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있어서의 제 1 에너지 공급부의 접속 상태 및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있어서의 제 2 에너지 공급부의 접속 상태를 판정하고, 출력부 구동부로 접속 정보를 보내는 접속 상태 판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제 1 덮개 부재 및 제 2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로서,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고,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제 1 및 제 2 덮개 구동부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제 1 덮개 부재 및 제 2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로서,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고,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을 때에, 제 1 덮개 구동부를 구동한다.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제 1 덮개 부재 및 제 2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로서,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고,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제 2 덮개 구동부를 구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제 1 덮개 부재의 개방 상태의 기간을 측정하고, 제 1 측정 정보를 출력부 구동부로 보내는 제 1 측정부와, 제 2 덮개 부재의 개방 상태의 기간을 측정하며, 제 2 측정 정보를 출력부 구동부로 보내는 제 2 측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제 1 덮개 부재를 구동하여 폐쇄 상태로 하는 제 1 덮개 구동부 및 제 2 덮개 부재를 구동하여 폐쇄 상태로 하는 제 2 덮개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있어서의 제 1 에너지 공급부의 접속 상태 및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있어서의 제 2 에너지 공급부의 접속 상태를 판정하고, 출력부 구동부로 접속 정보를 보내는 접속 상태 판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제 1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 제 2 덮개 부재가 폐쇄 상태 및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었을 때에, 제 1 덮개 구동부를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제 2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 제 1 덮개 부재가 폐쇄 상태 및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었을 때에, 제 2 덮개 구동부를 구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제 1 덮개 구동부의 구동 시간을 측정하고, 제 3 측정 정보를 출력부 구동부로 보내는 제 3 측정부와, 제 2 덮개 구동부의 구동 시간을 측정하고, 제 4 측정 정보를 출력부 구동부로 보내는 제 4 측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제 1 덮개 구동부의 구동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어지면, 제 1 덮개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하여, 경고부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제 2 덮개 구동부의 구동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어지면, 제 2 덮개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하여, 경고부를 구동한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에 의하면, 작업자가 급유 작업과 충전 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미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충전?급전부 및 급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잠금 기구 및 잠금 기구의 제어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략 블록도,
도 5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략 블록도이고, 외부 충전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6은 개폐제어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하이브리드 차량에 탑재된 개폐제어기구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텐션 기구의 모식도,
도 9는 전환 피스를 ON으로 함과 동시에, 전환 피스를 OFF로 하여, 덮개 부재를 개방하였을 때의 개폐제어기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전환 피스를 OFF로 함과 동시에, 전환 피스를 ON으로 하여, 덮개 부재 및 덮개 부재 모두가 폐쇄되었을 때의 개폐제어기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전환 피스를 OFF로 함과 동시에, 전환 피스를 ON으로 하여, 덮개 부재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개폐제어기구의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개폐제어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조작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차량에 탑재되는 개폐제어기구의 블록도,
도 15는 개폐제어기구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16은 덮개 개폐 판정부에 있어서의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7은 초기 상태 판정부에 있어서, 덮개 부재 및 덮개 부재 모두가 개방 상태일 때에, 커넥터 및 급유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8은 최종 처리부가,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한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9는 최종 처리부가, 경고 처리를 행할 때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20은 최종 처리부가, 정상 모드로 전환될 때의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21은 최종 처리부가,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한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22는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이고, 덮개 부재가 폐쇄 상태, 커넥터 및 급유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23은 최종 처리부가, 덮개 부재 및 덮개 부재 모두를 폐쇄 상태로 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24는 소정 기간, 한쪽 덮개 부재만이 개방 상태, 다른쪽 덮개 부재가 폐쇄 상태,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는지를 판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수, 양 등으로 언급하는 경우, 특별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반드시 그 개수, 양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요소는, 특별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 복수의 실시형태가 존재하는 경우, 특별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각각의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을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은, 당초부터 예정되어 있다.
(실시형태 1)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하이브리드 차량(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하이브리드 차량(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하이브리드 차량(100)은, 보디와 외장부품으로 형성된 차량 본체(200)와, 하이브리드 차량(100)의 진행방향(D) 전방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전륜(차륜)(2F)과, 진행방향(D) 후방측에 설치된 후륜(차륜)(2R)을 구비하고 있다.
차량 본체(200)는, 하이브리드 차량(100)의 진행방향 전방(D)에 설치된 엔진 컴파트먼트(ER)와, 이 엔진 컴파트먼트(ER)에 대하여 진행방향(D) 후방측에 인접하는 탑승자 수용실(CR)과, 탑승자 수용실(CR)에 대하여 진행방향(D) 후방측에 인접하는 수하물실(LR)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 본체(200)의 보디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코크 보디(monocoque body)가 채용되어 있다. 이 보디의 표면에, 복수의 외장부품을 장착하여, 차량 본체(200)가 구성되어 있다.
외장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차량 본체(200)의 전방측에 설치된 프론트 범퍼(300)와, 프론트 펜더(301)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론트 도어(312) 및 리어 도어(31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외장부품으로서는, 엔진 컴파트먼트(ER)의 상부 덮개로서의 후드(307)와, 리어 도어(313)에 대하여 진행방향(D) 후방측에 설치된 리어 펜더(303)와, 리어 펜더(303)의 아래쪽에 설치된 리어 범퍼(30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탑승자 수용실(CR) 내의 후부 좌석 하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가솔린 등의 액체 연료(제 1 에너지원)가 축적되는 연료탱크(201)가 설치되어 있다. 또, 후부 좌석보다 하이브리드 차량(100)의 후방측에는, 전력(제 2 에너지원)을 충방전 가능한 2차 전지나 대용량의 커패시터 등의 배터리(B)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 컴파트먼트(ER) 내에는, 트랜스액슬(TR)과, 전륜(2F)을 구동하는 동력을 발생하는 내연기관으로서의 엔진(4)을 구비하고 있다.
트랜스액슬(TR)은, 전륜(2F)을 구동하는 모터로서 기능하거나, 발전기로서 기능하는 회전 전기(모터 제너레이터)(MG1, MG2)와, 승압 컨버터(20)와, 인버터(30, 40)와, 플라네터리기어 등의 동력분할기구(3)를 포함한다. 승압 컨버터(20)는, 배터리(B)로부터의 전력을 승압하여, 인버터(30, 40)를 거쳐, 회전 전기(MG1, MG2)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회전 전기(MG1, MG2)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강압하여, 배터리(B)에 충전한다.
인버터(30, 40)는, 배터리(B)로부터의 직류전력을 3상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회전 전기(MG1, MG2)에 공급하거나, 회전 전기(MG1, MG2)가 발전한 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한다.
탑승자 수용실(CR) 내에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의 제어장치(70)가 설치되어 있고, 인버터(30, 40)는, 이 제어장치(70)로부터의 신호(PWM)에 의하여 구동한다.
하이브리드 차량(100)의 둘레 면 중, 운전석(DR) 측의 측면(100A)에 대하여, 하이브리드 차량(100)의 폭방향에 대향하는 측면(100B)에는, 충전?급전부(제 2 에너지원 받아들임부)(90)와, 급유부(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2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도 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충전?급전부(90)와 급유부(213)가 동일한 측면(100B)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이 다른 측면(100A, 100B)에 설치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충전?급전부(90)와 급유부(213) 중 한쪽을 프론트 펜더(301)에 설치하고, 다른쪽을 리어 펜더(303)에 배치하여도 된다.
도 2는, 충전?급전부(90) 및 급유부(21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유부(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213)는, 차량 본체(200)에 설치되고, 급유 커넥터(191)의 노즐부를 받아들임 가능한 노즐 받아들임부(215)와, 이 노즐 받아들임부(215)와 연료탱크(201)에 접속된 접속관(21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급유부(213)는, 리어 펜더(303)에 설치된 덮개 부재(213A)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 받아들임부(215)는, 차량 본체(200)에 형성되고, 리어 펜더(303)에 개구부(213B)를 가지는 수용실(213C)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213A)는, 개구부(213B)를 개폐 가능하도록, 리어 펜더(30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충전?급전부(90)는, 차량 본체(200)에 설치된 삽입부(91)와, 리어 펜더(303)에 설치되고, 삽입부(91)를 바깥쪽으로 노출하거나, 차량 본체(200) 내에 수용하는 덮개 부재(90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충전?급전부(90)는, 삽입부(91)에 접속되고, 도 1에 나타내는 회전 전기(MG1, MG2)의 각 중성점에 접속된, 배선(92A, 92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삽입부(91)에는, 커넥터(제 2 에너지 공급부)(190)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삽입부(91)는, 리어 펜더(303)에 형성된 개구부(90B)를 가지는 수용실(90C) 내에 수용되어 있다. 덮개 부재(90A)는, 개구부(90B)를 개폐 가능하도록 리어 펜더(30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차량(100)은, 덮개 부재(90A)와 덮개 부재(213A) 중 한쪽이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 다른쪽을 폐쇄 상태로 하는 개폐제어기구(5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폐제어기구(500)는, 제어장치(70)와, 제어장치(70)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고, 덮개 부재(213A)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기구(216)와, 덮개 부재(213A)의 개폐 상태를 검지 가능한 센서(218)와, 운전석(DR)에 설치되고, 잠금 기구(216)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덮개 부재(213A)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개방 조작부(21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급유 작업을 행할 때는, 도 1에 나타내는 개방 조작부(217)를 조작하여, 덮개 부재(213A)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그 후, 작업자가 덮개 부재(213A)를 회동하여, 노즐 받아들임부(215)에 급유 커넥터(191)를 삽입하여 연료가 공급된다. 급유부(213)로부터 급유된 가솔린 등의 연료는, 접속관(214)을 거쳐, 연료탱크(201)에 저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가솔린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경유, CNG(Compressed Natural Gas), 수소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개폐제어기구(500)는, 제어장치(70)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고, 덮개 부재(90A)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기구(95)와, 덮개 부재(90A)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97)와, 운전석(DR)에 설치되고, 잠금 기구(95)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덮개 부재(90A)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개방 조작부(9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삽입부(91)에 접속되는 커넥터(190)로서는, 충전용 커넥터와, 급전용 커넥터와, 충전?급전용 커넥터의 어느 것이나 포함한다. 그리고, 충전용 커넥터로서는, 상용 전원(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단상교류 100V)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이 충전용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 가정용 전원에 접속된 콘센트 등을 들 수 있다.
급전용 커넥터는, 하이브리드 차량(100)으로부터의 전력(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단상교류 100V)을 외부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또한, 충전?급전용 커넥터는, 상기 충전용 커넥터 및 급전용 커넥터의 어떠한 기능도 가지는 커넥터이고,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 가능함과 동시에, 하이브리드 차량(100)으로부터의 전력을 외부 부하로 공급 가능한 커넥터이다.
또한, 커넥터(190)와 충전?급전부(90)의 사이에 있어서의 전력에 수수방법으로서는, 커넥터(190)의 일부와 충전?급전부(90)의 적어도 일부가 직접 접촉하는 접촉형(컨택티브)이어도 되고, 또, 비접촉형(인덕티브)이어도 된다. 또한, 커넥터(190)와 급유 커넥터(191)는, 서로 별개 독립 부재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B)를 충전하거나, 배터리(B)에 축적된 전력을 외부 부하로 공급할 때는, 먼저, 개방 조작부(96)를 조작하여, 덮개 부재(90A)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작업자가 덮개 부재(90A)를 회동한다. 그 후에, 삽입부(91)에 커넥터(190)를 접속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회전 전기(MG1, MG2) 및 인버터(30, 40)를 거쳐, 배터리(B)를 충전하거나, 배터리(B)로부터의 전력으로 외부 부하를 충전한다.
도 3은, 잠금 기구(95) 및 잠금 기구(216)의 제어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 도 3에서, 제어장치(70)는, 센서(97, 218)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각 덮개 부재(90A, 213A)의 개폐 상태를 판단한다.
먼저, 제어장치(70)는, 덮개 부재(90A, 213A)의 모두가 개방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1). 그리고, 덮개 부재(90A, 213A) 모두, 개방 상태라고 판단하면, 경고음을 내거나, 경고 램프를 점등시키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한편, 덮개 부재(90A, 213A) 중 적어도 한쪽이 폐쇄 상태가 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경고 동작이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 그리고, 경고 동작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경고 동작을 중지한다(단계 4).
그리고,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5). 덮개 부재(90A)가 개방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제어장치(70)는, 개방 조작부(217)의 조작을 금지하여, 잠금 기구(216)에 의한 덮개 부재(213A)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다(단계 6). 또한, 개방 조작부(217)의 조작을 금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운전자가 개방 조작부(217)의 조작 레버 등을 회동하려고 하여도, 조작 레버가 회동하지 않도록 잠그거나, 조작 레버를 조작하였다고 해도, 잠금 기구(216)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라고 판단하면,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7). 그리고,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라고 판단하면, 덮개 부재(90A)를 잠가, 덮개 부재(90A)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단계 8). 이 덮개 부재(90A)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잠금 기구(95)가 덮개 부재(90A)를 잠그고, 또한, 개방 조작부(96)의 조작 레버를 운전자가 회동 조작하려고 하여도 조작 레버가 회동하지 않도록 잠그거나, 조작 레버를 조작하였다고 해도, 잠금 기구(216)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덮개 부재(213A)도 폐쇄 상태라고 판단하면, 제어장치(70)는, 개방 조작부(96, 217)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와 덮개 부재(213A)를 개방 조작 가능하게 한다(단계 9). 또한, 이때, 덮개 부재(90A)와 덮개 부재(213A) 중 한쪽을 개방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고, 덮개 부재(90A)와 덮개 부재(213A) 모두를 개방 조작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덮개 부재(90A)와 덮개 부재(213A)의 개폐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덮개 부재(90A)와 덮개 부재(213A) 모두가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 부재(213A)와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충전이나 급유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충전?급전 작업과, 급유 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충전?급전 작업과 급유 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것에 기인하여, 작업 미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하이브리드 차량(100)의 개략 블록도이다. 이 도 4를 이용하여, 커넥터(190)로부터의 교류 전류를 배터리(B)에 충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터리(B)의 양의 전극은, 양극선(PL1)에 접속되고, 배터리(B)의 음의 전극은, 음극선(NL1)에 접속된다. 콘덴서(C1)는, 양극선(PL1)과 음극선(NL1)의 사이에 접속된다. 승압 컨버터(20)는, 양극선(PL1) 및 음극선(NL1)과 양극선(PL2) 및 음극선(NL2)의 사이에 접속된다. 콘덴서(C2)는, 양극선(PL2)과 음극선(NL2)의 사이에 접속된다. 인버터(30)는, 양극선(PL2) 및 음극선(NL2)과 회전 전기(MG1)의 사이에 접속된다. 인버터(40)는, 양극선(PL2) 및 음극선(NL2)과 회전 전기(MG2)의 사이에 접속된다.
회전 전기(MG1)는, 3상 코일(11)을 스테이터 코일로서 구비하고, 회전 전기(MG2)는, 3상 코일(12)을 스테이터 코일로서 구비한다.
승압 컨버터(20)는, 리액터(L1)와, NPN 트랜지스터(Q1, Q2)와, 다이오드(D1, D2)를 포함한다.
인버터(30)는, U상 아암(31)과, V상 아암(32)과, W상 아암(33)으로 이루어진다. U상 아암(31), V상 아암(32) 및 W상 아암(33)은, 양극선(PL2)과 음극선(NL2)의 사이에 병렬로 설치된다. U상 아암(31)은, 직렬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Q3, Q4)로 이루어지고, V상 아암(32)은, 직렬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Q5, Q6)로 이루어지며, W상 아암(33)은, 직렬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Q7, Q8)로 이루어진다. 또, 각 NPN 트랜지스터(Q3~Q8)의 콜렉터-에미터 사이에는, 에미터측으로부터 콜렉터측으로 전류를 흘리는 다이오드(D3~D8)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30)의 각 상 아암의 중간점은, 회전 전기(MG1)에 포함되는 3상 코일(11)의 각 상 코일의 각 상 끝에 접속되어 있다. 즉, 회전 전기(MG1)는, 3상의 영구자석 모터이고, U, V, W상의 3개의 코일의 한쪽 끝이 중성점(M1)에 공통 접속되어 구성되며, U상 코일의 다른쪽 끝이 NPN 트랜지스터(Q3, Q4)의 중간점에, V상 코일의 다른쪽 끝이 NPN 트랜지스터(Q5, Q6)의 중간점에, W상 코일의 다른쪽 끝이 NPN 트랜지스터(Q7, Q8)의 중간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40)는, 콘덴서(C2)의 양쪽 끝에 인버터(30)와 병렬로 접속된다. 그리고, 인버터(40)는, U상 아암(41)과, V상 아암(42)과, W상 아암(43)으로 이루어진다. U상 아암(41), V상 아암(42), W상 아암(43)은, 양극선(PL2)과 음극선(NL2)의 사이에 병렬로 설치된다.
U상 아암(41)은, 직렬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Q9, Q10)로 이루어지고, V상 아암(42)은, 직렬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Q11, Q12)로 이루어지며, W상 아암(43)은, 직렬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Q13, Q14)로 이루어진다. NPN 트랜지스터(Q9~Q14)는, 각각, 인버터(30)의 NPN 트랜지스터(Q3~Q8)에 상당한다. 즉, 인버터(40)는, 인버터(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NPN 트랜지스터(Q9~Q14)의 콜렉터-에미터 사이에는, 에미터측으로부터 콜렉터측으로 전류를 흘리는 다이오드(D9~D14)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40)의 각 상 아암의 중간점은, 회전 전기(MG2)에 포함되는 3상 코일(12)의 각 상 코일의 각 상 끝에 접속되어 있다. 즉, 회전 전기(MG2)도, 3상의 영구자석 모터이고, U, V, W상의 3개의 코일의 한쪽 끝이 중성점(M2)에 공통 접속되어 구성되며, U상 코일의 다른쪽 끝이 NPN 트랜지스터(Q9, Q10)의 중간점에, V 상 코일의 다른쪽 끝이 NPN 트랜지스터(Q11, Q12)의 중간점에, W상 코일의 다른쪽 끝이 NPN 트랜지스터(Q13, Q14)의 중간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B)는, 니켈 수소 또는 리튬 이온 등의 2차 전지로 이루어진다. 전압 센서(10)는, 배터리(B)로부터 출력되는 배터리 전압(Vb)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배터리 전압(Vb)을 제어장치(70)로 출력한다. 시스템 릴레이(SR1, SR2)는, 제어장치(70)로부터의 신호(SE)에 의하여 온/오프된다. 승압 컨버터(20)는, 콘덴서(C1)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압을 승압하여 콘덴서(C2)로 공급한다.
콘덴서(C2)는, 승압 컨버터(20)로부터의 직류전압을 평활화하고, 그 평활화한 직류전압을 인버터(30, 40)로 공급한다.
인버터(30)는, 콘덴서(C2)로부터 직류전압이 공급되면 제어장치(70)로부터의 신호(PWM1)에 의거하여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회전 전기(MG1)를 구동한다. 또, 인버터(30)는, 동력 출력 장치가 탑재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회생 제동시, 회전 전기(MG1)가 발전한 교류전압을 제어장치(70)로부터의 신호(PWM1)에 의거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한 직류전압을 콘덴서(C2)를 거쳐 승압 컨버터(20)로 공급한다.
인버터(40)는, 콘덴서(C2)로부터 직류전압이 공급되면 제어장치(70)로부터의 신호(PWM2)에 의거하여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회전 전기(MG2)를 구동한다.
여기서, 3상 브리지 회로로 이루어지는 각 인버터(30, 40)에 있어서는, 6개의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의 조합은 8패턴 존재한다. 그 8개의 스위칭 패턴 중 2개는 상간 전압이 영이 되고, 그와 같은 전압 상태는 영전압 백터라고 한다. 영전압 백터에 대해서는, 상부 아암의 3개의 트랜지스터는 서로 동일한 스위칭 상태(모두 온 또는 오프)라고 간주할 수 있고, 또, 하부 아암의 3개의 트랜지스터도 서로 동일한 스위칭 상태라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도 4에서는, 인버터(30)의 상부 아암의 3개의 트랜지스터는 상부 아암(30A)으로서 통합하여 나타내고, 인버터(30)의 하부 아암의 3개의 트랜지스터는 하부 아암(30B)으로서 통합하여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인버터(40)의 상부 아암의 3개의 트랜지스터는 상부 아암(40A)으로서 통합하여 나타내고, 인버터(40)의 하부 아암의 3개의 트랜지스터는 하부 아암(40B)으로서 통합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상 등가 회로는, 커넥터(190)의 전력 입력선(ACL1, ACL2) 및 배선(92A, 92B)을 거쳐 중성점(M1, M2)에 부여되는 단상 교류 전력을 입력으로 하는 단상 PWM 컨버터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인버터(30, 40)의 각각에 있어서 영전압 백터를 변화시키고, 인버터(30, 40)를 단상 PWM 컨버터의 아암으로서 동작하도록 스위칭 제어함으로써, 전력 입력선(ACL1, ACL2)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양극선(PL2)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 변환한 직류전압을 콘덴서(C2)를 거쳐 승압 컨버터(20)로 공급하고, 배터리(B)에 충전한다.
도 5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략 블록도이고, 외부 충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 하이브리드 차량(100)에 있어서는, 충전?급전부(90)에 접속되는 커넥터(190)는, 배터리(B)에 충전된 전력을 외부 부하로 공급할 수 있는 외부 급전용 커넥터이다.
외부 급전용 커넥터는, 하이브리드 차량(100)으로부터의 전력(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단상교류 100V)을 외부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그리고, 도 5에서, 인버터(30, 40)는, 제어장치(70)로부터의 신호(PWM1, PWM2)에 따라, 승압 컨버터(20)를 거쳐, 배터리(B)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상용 전원용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충전?급전부(90)로부터 출력 가능하도록 회전 전기(MG1, MG2)를 구동한다.
충전?급전부(90)는, 1차 코일(51)과 2차 코일(52)을 포함한다. 1차 코일(51)은, 회전 전기(MG1)에 포함되는 3상 코일(11)의 중성점(M1)과 회전 전기(MG2)에 포함되는 3상 코일(12)의 중성점(M2)의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충전?급전부(90)는, 회전 전기(MG1)의 중성점(M1)과 회전 전기(MG2)의 중성점(M2)의 사이에 생긴 교류전압을 상용 전원용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충전?급전부(90)의 단자(61, 62)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연료전지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연료전지 차량의 경우에 있어서도, 수소를 생성하기 위한 연료와, 배터리(B)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배터리(B)에 축적된 전력을 외부 부하로 공급하기 위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커넥터와 전기가 흐르는 커넥터가 접속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연료의 공급 작업과 충전?급전 작업을 행할 때에, 연료의 공급 작업과 충전?급전 작업과 작업자가 동시에 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은, 개폐제어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개폐제어기구(500A)는,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를 유지 가능한 잠금 기구(220)와, 이 잠금 기구(220)에 잠금 상태를 해제 가능한 해제기구(229)와, 덮개 부재(90A)의 폐쇄 상태를 유지 가능한 잠금 기구(230)와, 이 잠금 기구(230)의 잠금 상태를 해제 가능한 해제기구(239)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 부재(213A)는, 차량 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덮개 부재(213A)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225)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가세(付勢)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 기구(220)는, 덮개 부재(213A)에 형성된 구멍부(224) 내에 일부가 삽입되는 갈고리 부재(221)와, 갈고리 부재(221)를 가세하는 가세부재(222)를 구비하고 있다. 갈고리 부재(221)는, 차량 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가세부재(222)에 의하여, 구멍부(224) 내에 일부가 들어가도록 가세되어 있다.
이 갈고리 부재(221)의 윗면은, 만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폐쇄되도록 회동하여, 덮개 부재(213A)의 끝부가 갈고리 부재(221)의 윗면에 맞닿으면, 갈고리 부재(221)는 가세부재(222)로부터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덮개 부재(213A)로부터 퇴피하도록 회전한다.
그리고, 덮개 부재(213A)가 회동하여, 갈고리 부재(221)의 선단부에 구멍부(224)가 위치함으로써, 갈고리 부재(221)의 선단부가 구멍부(224) 내에 들어가, 덮개 부재(213A)가 폐쇄된 상태로 잠긴다.
또, 마찬가지로, 잠금 기구(230)도, 덮개 부재(90A)에 형성된 구멍부(234) 내에 선단부가 삽입되는 갈고리 부재(231)와, 갈고리 부재(231)를 가세하는 가세부재(232)를 구비하고 있다. 갈고리 부재(231)는, 차량 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가세부재(232)에 의하여, 구멍부(234) 내에 선단부가 들어가도록 가세되어 있다.
이 갈고리 부재(231)의 윗면은, 만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덮개 부재(90A)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폐쇄되도록 회동하여, 덮개 부재(90A)의 끝부가 갈고리 부재(231)의 윗면에 맞닿으면, 갈고리 부재(231)는 가세부재(232)로부터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덮개 부재(90A)로부터 퇴피하도록 회전한다.
그리고, 덮개 부재(90A)가 더 회동하여, 갈고리 부재(231)의 선단부에 구멍부(234)가 위치함으로써, 가세부재(232)로부터의 가세력에 의하여, 갈고리 부재(231)가 회전하여, 갈고리 부재(231)의 선단부가 구멍부(234) 내에 들어가, 덮개 부재(90A)가 폐쇄된 상태로 잠긴다.
해제기구(229)는, 축전기(252)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갈고리 부재(221)를 가세부재(222)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갈고리 부재(221)를 회전시키는 전자석(223)과, 전자석(223)과 축전기(252)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스위치(227)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석(223)은,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갈고리 부재(221)를 끌어당겨서, 갈고리 부재(221)의 선단부가 구멍부(224)로부터 추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또한, 탄성부재(225)로부터의 가세력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는, 반개방 상태가 된다.
또, 해제기구(239)는, 축전기(252)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갈고리 부재(231)를 가세부재(232)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갈고리 부재(231)를 회전시키는 전자석(233)과, 전자석(233)과 축전기(252)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스위치(237)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석(233)은,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갈고리 부재(231)를 끌어당겨서, 갈고리 부재(231)의 선단부가 구멍부(234)로부터 추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또한, 탄성부재(235)로부터의 가세력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는, 반개방 상태가 된다.
여기서, 덮개 부재(213A)에는, 단자부(226)가 설치되어 있고,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됨으로써, 전자석(233)과 축전기(252)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가 절단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된 상태에서, 스위치(237)를 접속하였다고 해도, 전자석(233)에 전력은 도통되지 않고, 덮개 부재(90A)의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덮개 부재(213A)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다시, 전자석(233)의 배선과, 단자부(22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덮개 부재(90A)에는, 단자부(236)가 설치되어 있고, 덮개 부재(90A)가 개방됨으로써, 전자석(223)과 축전기(252)의 전기적인 접속이 절단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가 개방된 상태에서, 스위치(237)를 접속하였다고 해도, 전자석(233)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의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100)은,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가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경고음을 내거나,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경고장치(2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고장치(270)는, 경고음을 내는 음향장치나 경고등을 가지는 경고기(260)와, 이 경고기(260)에 공급하는 전력이 축적된 축전기(251)와, 축전기(251)와 경고기(260)의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기구(265)를 구비하고 있다.
전환기구(265)는, 축전기(252) 및 단자부(226)에 접속된 전자석(240)과, 축전기(252) 및 단자부(236)에 접속된 전자석(250)과, 이 전자석(240, 250)으로부터의 가세력에 의하여, 배선(261)으로부터 분리되는 금속제의 접속 피스(262)와, 이 접속 피스(262)를 배선(261)에 접속하도록 접속 피스(262)를 가세하는 탄성부재(26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전자석(240)은, 덮개 부재(213A)에 설치된 단자부(226)를 거쳐, 축전기(252)에 접속되고, 전자석(241)은, 덮개 부재(90A)에 설치된 단자부(236)를 거쳐, 축전기(252)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일 때에는, 전자석(240)과 축전기(252)의 접속 상태는 유지되고, 또한,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일 때에는, 전자석(241)과 축전기(252)의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전자석(240)과 전자석(250) 중 적어도 한쪽이 축전기(252)에 접속됨으로써, 전자석(240)과 전자석(250) 중 적어도 한쪽의 전자력에 의하여, 접속 피스(262)를 배선(261)으로부터 분리한다.
즉, 덮개 부재(90A)와 덮개 부재(213A) 중 적어도 한쪽이, 폐쇄 상태가 되어 있을 때에는, 경고기(260)에 축전기(251)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가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전자석(240, 250)으로부터 접속 피스(262)에 전자력이 가하여지지 않고, 접속 피스(262)는, 탄성부재(263)로부터의 가세력에 의하여 배선(26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가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경고기(260)에 전력이 공급되어, 경고음이 울리거나, 경고 램프가 점등된다.
이와 같이,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가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급전 작업과, 급유 작업을 작업자가 동시에 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미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7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13에서,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하이브리드 차량(100)에 탑재된 개폐제어기구(5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제어기구(500)는, 급유부(213)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구부(213A)와, 충전?급전부(90)의 덮개 부재(90A)와,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에 접속된 와이어(연결 부재)(4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460)는, 덮개 부재(213A)와 덮개 부재(90A)를 연동시킬 수 있고, 와이어(460)는,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 덮개 부재(90A)를 폐쇄 상태로 하고, 덮개 부재(90A)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로 한다. 이 때문에, 와이어(460)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와 덮개 부재(213A)가 동시에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모두가 폐쇄 상태가 되어 있을 때에는, 와이어(460)에 느슨함[신장 마진(margin of tension)]이 생기도록, 와이어(460)의 길이가 조정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중 한쪽이 개방되면, 와이어(460)는 인장되고, 와이어(460)의 느슨함이 없어져서, 인장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의 다른쪽의 덮개 부재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은 곤란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모두가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급유 작업과 충전 작업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작업자에 의한 작업 미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2에서, 덮개 부재(213A)의 개방 상태란,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를 장착할 수 있을 정도로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되는 것을 의미하고, 덮개 부재(90A)의 개방 상태란,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를 장착 가능한 정도로 개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와이어(460)는, 차량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470)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에서 덮개 부재(90A)에까지 안내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어(460)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텐션 기구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 텐션 기구는, 한쪽의 끝부가 차량에 고정된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475)와, 탄성부재(475)의 다른쪽의 끝부에 설치되고, 와이어(460)의 인장 상태에 맞추어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텐션 롤러(474)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텐션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모두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부재(475)가 수축하여, 와이어(460)에 느슨함이 생기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덮개 부재(213A) 또는 덮개 부재(90A)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어, 와이어(460)가 인장되면, 탄성부재(475)가 늘어난다. 이와 같이, 와이어(460)의 인장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와이어(460)가 롤러(470) 등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모두가 폐쇄 상태일 때는,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중 한쪽이 개방 상태가 되는 정도의 와이어(460)의 신장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에서, 개폐제어기구(500)는, 예를 들면, 덮개 부재(213A)를 개폐 가능 상태로 함과 동시에, 덮개 부재(90A)를 폐쇄 상태로 하는 제 1 상태와, 덮개 부재(90A)를 개폐 가능 상태로 함과 동시에,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로 하는 제 2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전환기구(4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환기구(420)는,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되고, 전환 피스(411) 및 전환 피스(412)를 포함하는 조작부(410)와, 전환 피스(412)와 덮개 부재(90A)를 연결하는 와이어(462)와, 덮개 부재(213A)와 전환 피스(411)를 연결하는 와이어(46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환기구(420)는,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됨으로써, 덮개 부재(213A) 또는 덮개 부재(90A) 중 한쪽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허용한다.
여기서, 조작부(410)는, 축부(413)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실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운전석측의 대시보드 등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410)는, 굴곡되도록 구부러져 있고, 전환 피스(411)와, 이 전환 피스(411)에 대하여 굴곡되도록 연장 설치하는 전환 피스(41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전환 피스(411)가, 대시보드의 표면을 따르도록 변위하면, 전환 피스(412)는, 대시보드의 표면으로부터 떠오르도록 변위하고, 전환 피스(412)가 대시보드의 표면을 따르도록 변위하면, 전환 피스(411)가 대시보드의 표면로부터 떠오르도록 변위한다.
그리고, 덮개 부재(213A)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운전자 등에 의하여, 전환 피스(411)가 ON이 되고, 전환 피스(411)가 대시보드의 표면을 따르도록 전환되면, 와이어(461)의 덮개 부재(213A) 측의 끝부와 전환 피스(411) 측의 끝부의 사이의 거리가 좁혀져서, 와이어(461)에 느슨함(신장 마진)이 생긴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전환 피스(412)가 상기한 바와 같이 변위함으로써, 와이어(462) 중, 전환 피스(412) 측의 접속 끝부와, 덮개 부재(90A) 측의 접속 끝부의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서, 와이어(462)가 인장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덮개 부재(90A)가 개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환 피스(411)가 ON이 되고, 전환 피스(412)가 OFF가 됨으로써, 덮개 부재(90A)가 개방되는 것이 억제되고,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되는 것이 허용된다.
도 9는, 전환 피스(411)를 ON으로 함과 동시에, 전환 피스(412)를 OFF로 하여, 덮개 부재(213A)를 개방하였을 때의 개폐제어기구(50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피스(411)가 ON이 된 상태에서 덮개 부재(213A)를 개방함으로써, 급유 커넥터(191)를 노즐 받아들임부(215)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와이어(460)는,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됨으로써 인장 상태가 되고, 와이어(462)도, 인장 상태가 됨으로써, 덮개 부재(90A)가 개방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도 10은, 전환 피스(411)를 OFF로 함과 동시에, 전환 피스(412)를 ON으로 하여,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모두가 폐쇄되었을 때의 개폐제어기구(50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피스(412)가 대시보드의 표면을 따르도록 전환되고, 전환 피스(411)가 대시보드의 표면으로부터 떠오르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작부(410)를 전환함으로써, 와이어(462)의 전환 피스(412) 측의 접속 끝부와, 덮개 부재(90A) 측의 접속 끝부의 사이의 거리가 좁혀져서, 와이어(462)에 느슨함이 생긴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가 개방되는 것이 허용된다. 한편, 와이어(461)의 전환 피스(411) 측의 접속 끝부와, 덮개 부재(213A) 측의 접속 끝부의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서, 와이어(461)가 인장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11은, 전환 피스(411)를 OFF로 함과 동시에, 전환 피스(412)를 ON으로 하여, 덮개 부재(90A)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의 개폐제어기구(500)의 모식도이다.
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90A)가 개방되면, 와이어(460)는, 인장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2에 관한 개폐제어기구(500)에 의하면, 덮개 부재(213A)와 덮개 부재(90A)가 동시에 개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개폐제어기구(500)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제어기구(500)는, 개방 상태로 하는 덮개 부재를 선택하는 조작부(410)와, 덮개 부재(213A)의 폐쇄 상태를 잠그는 잠금 기구(220)와, 잠금 기구(220)에 의한 잠금 상태를 해제 가능한 해제기구(229)와, 덮개 부재(90A)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기구(230)와, 잠금 기구(230)에 의한 잠금 상태를 해제 가능한 해제기구(239)와, 축전기(252)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제어기구(500)는, 개방 상태의 덮개 부재(213A)를 회전 구동하여,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로 하는 폐색기구(450)와, 개방 상태의 덮개 부재(90A)를 회전하여, 덮개 부재(90A)를 폐쇄 상태로 하는 폐색기구(451)를 구비하고 있다.
잠금 기구(220)는, 선단부가 덮개 부재(213A)에 형성된 구멍부(224)에 삽입되는 갈고리 부재(221)와, 갈고리 부재(221)를 가세하는 가세부재(222)를 구비하고 있다. 가세부재(222)는, 갈고리 부재(221)의 선단부가 구멍부(224) 내에 들어가도록, 갈고리 부재(221)를 가세하고 있다. 또한, 덮개 부재(213A)는, 한쪽의 가장자리부에서 축 지지되어 있다. 구멍부(224)는, 덮개 부재(213A) 중, 상기 한쪽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반대측에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잠금 기구(230)는, 선단부가 덮개 부재(90A)에 형성된 구멍부(234) 내에 삽입되는 갈고리 부재(231)와, 갈고리 부재(231)를 가세하는 가세부재(232)를 구비하고 있다. 가세부재(232)는, 갈고리 부재(231)의 선단부가 구멍부(234) 내에 들어가도록 갈고리 부재(231)를 가세하고 있다.
해제기구(229)는, 전자석(223)과, 덮개 부재(90A)에 설치된 단자부(23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단자부(236)는, 전자석(223)과 축전기(25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로 내에 설치되어 있고,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가 되면 전자석(223)과 축전기(252)의 접속 상태를 절단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해제기구(239)는, 전자석(233)과,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가 됨으로써 전자석(233)과 축전기(252)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절단 가능한 단자부(226)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제어기구(500)는, 경고장치(640)를 구비하고 있다. 경고장치(640)는,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구동 가능하게 된 경고부(481)와, 덮개 부재(90A)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구동 가능하게 된 경고부(48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경고장치(640)는, 경고부(480) 및 경고부(483)를 포함한다.
여기서, 경고부(481)는, 스위치(441)를 거쳐, 축전기(252)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441)는, 경고부(481)에 접속된 배선과 축전기(252)에 접속된 배선을 접속하는 접속 피스와, 상기 각 배선끼리를 접속하도록 상기 접속 피스를 가세하는 가세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213A)에는, 돌기부(44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부(440)는,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일 때에, 접속 피스를 가압하여, 경고부(481)와 축전기(252)의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절단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일 때는, 경고부(481)는 구동되지 않는다.
한편,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가 되면, 가세부재로부터의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접속 피스는, 축전기(252)에 접속된 배선과, 경고부(481)에 접속된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일 때는, 경고부(481)가 구동한다.
경고부(482)는, 스위치(443)를 거쳐, 축전기(252)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443)는, 경고부(482)에 접속된 배선과, 축전기(252)에 접속된 배선을 접속하는 접속 피스와, 상기의 배선끼리를 접속하도록 상기 접속 피스를 가세하는 가세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90A)에는, 돌기부(4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부(442)는,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일 때에, 접속 피스를 가압하여, 경고부(482)와 축전기(252)의 전기적인 접속이 절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일 때는, 경고부(482)는 구동되지 않는다.
한편,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가 되면, 가세부재로부터의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접속 피스는, 축전기(252)에 접속된 배선과, 경고부(482)에 접속된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일 때는, 경고부(482)가 구동한다.
이와 같이, 이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중 적어도 한쪽이 개방 상태일 때는, 경고 동작이 행하여져서, 운전자나 작업자에 대하여, 덮개 부재가 개방되어 있다는 취지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도 13은, 조작부(41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410)는, 전환 스위치(430)를 포함하고, 이 전환 스위치(430)는, 전환 피스(438)와, 이 전환 피스(438)에 대하여 굴곡되도록 배치된 전환 피스(437)와, 전환 피스(437)와 전환 피스(438)의 연결부에 설치된 축부(43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전환 스위치(430)는, 운전석 및 그 근방의 대시보드 등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축부(43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환 피스(438)가 선택되어 ON이 되면, 전자석(223)이 구동하여, 갈고리 부재(221)를 구멍부(224)로부터 빼낸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덮개 부재(213A)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되면, 단자부(226)에 의하여, 전자석(233)과 축전기(252)의 접속이 절단되어, 덮개 부재(90A)의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환 피스(437)가 선택되어, ON 상태가 되면, 전자석(233)이 구동하여, 갈고리 부재(231)가 갈고리 부재(231)를 구멍부(234)로부터 빼낸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덮개 부재(90A)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가 되면, 전자석(223)과 축전기(252)가 전기적으로 절단되고, 전자석(223)이 구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의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폐색기구(450)는, 개방 상태의 덮개 부재(213A)를 폐쇄하도록 회전시키는 모터(446)를 포함하고, 폐색기구(451)는, 개방 상태의 덮개 부재(90A)를 폐쇄하도록 회전시키는 모터(445)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터(446)는, 조작부(410)에 의하여 ON/OFF가 전환되는 스위치(435) 및 덮개 부재(213A)의 개폐 상태에 의하여 ON/OFF가 전환되는 스위치(441)를 거쳐, 축전기(25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445)는, 조작부(410)에 의하여 ON/OFF가 전환되는 스위치(436) 및 덮개 부재(90A)의 개폐 상태에 의하여 ON/OFF가 전환되는 스위치(443)를 거쳐, 축전기(252)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고부(480) 및 모터(446)는, 축전기(252)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모터(445)와 경고부(483)는, 축전기(252)에 대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스위치(435)를 거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435)는, 경고부(480) 및 모터(446)에 접속된 배선과, 축전기(252)에 접속된 배선을 접속 가능한 접속 피스(452) 및 상기 배선끼리를 접속하도록 접속 피스(452)를 가세하는 가세부재(45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 전환 스위치(430)의 전환 피스(438)에는, 접속 피스(452)를 가압 가능한 돌기부(431)가 형성되어 있고, 전환 피스(438) 측이 ON이 되어 있을 때에는, 접속 피스(452)는, 돌기부(431)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각 배선으로부터 멀어진다. 이와 같이, 덮개 부재(213A)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선택되는 전환 피스(438)가 선택되어, ON 상태가 되면, 경고부(480)와 모터(446)는, 구동되지 않는다.
스위치(436)는, 경고부(483) 및 모터(445)에 접속된 배선과, 축전기(252)에 접속된 배선을 접속 가능한 접속 피스(453)와, 상기 배선끼리를 접속하도록 접속 피스(453)를 가세하는 가세부재(45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접속 피스(453)는, 전환 피스(437)에 형성된 돌기부(433)에 의하여 가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 피스(438)가 선택되면, 전환 피스(437)에 형성된 돌기부(433)는, 접속 피스(453)로부터 이간되어, 접속 피스(453)는, 상기 배선끼리를 접속한다. 여기서, 스위치(443)는, 모터(445) 및 경고부(483)에 접속된 배선과, 축전기(252)에 접속된 배선을 접속 가능한 접속 피스와, 상기 각 배선끼리를 접속하도록 접속 피스를 가세하는 가세부재를 포함한다. 이 접속 피스는, 덮개 부재(90A)에 형성된 돌기부(442)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각 배선으로부터 이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돌기부(442)로부터 가압되지 않게 되면, 각 배선끼리를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환 스위치(430)에 있어서, 전환 피스(438)가 선택된 상태에서,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일 때는, 스위치(443) 및 스위치(436)는, ON 상태가 되어 있고, 경고부(483) 및 모터(445)에는, 축전기(252)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된다.
이것에 의하여, 경고부(483)에 의한 경고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모터(445)는,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가 되도록 구동한다. 그리고,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가 되면, 스위치(443)가 OFF가 되고, 경고부(483) 및 경고부(482)의 구동이 정지된다. 또한, 이때, 전자석(223)에는, 전력이 공급되어 있지 않고,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가 되면, 잠금 기구(230)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는, 잠긴다.
또한,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일 때는, 전환 스위치(430)의 전환 피스(438)가 선택되어도, 해제기구(229)는 구동되지 않고, 덮개 부재(213A)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일 때에,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되는 것은 억제되어 있다.
전환 피스(437)가 선택되면, 전환 피스(438)에 형성된 돌기부(431)는 접속 피스(452)로부터 이간되어, 접속 피스(452)는, 상기 각 배선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여기서, 스위치(441)는, 모터(446) 및 경고부(480)에 접속된 배선과, 축전기(252)에 접속된 배선을 접속 가능한 접속 피스와, 상기 각 배선끼리를 접속하도록 접속 피스를 가세하는 가세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환 피스(437)가 선택된 상태에서,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일 때는, 스위치(441) 및 스위치(435)는, 어느 것이나, ON 상태가 되고, 경고부(480) 및 모터(446)가 구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는, 모터(446)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회동되고,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가 되면, 잠금 기구(220)에 의하여 잠긴다. 또한,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일 때는, 전자석(223)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덮개 부재(90A)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것은 억제되어 있다.
또한, 전환 스위치(430)에 있어서, 전환 피스(438) 및 전환 피스(437)의 어느 것도 선택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돌기부(433) 및 돌기부(431)는, 어느 것이나, 각 접속 피스(453) 및 접속 피스(452)로부터 이간되어 있고, 스위치(435) 및 스위치(436)는, 어느 것이나 ON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선택의 상태에서,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일 때는, 스위치(441)가 ON 상태가 되고, 경고부(480) 및 모터(446)가 구동한다. 그리고, 모터(446)의 구동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가 된다.
또한, 비선택의 상태에서,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일 때는, 스위치(443)가 ON 상태가 되고, 경고부(483) 및 모터(445)가 구동한다. 그리고, 모터(445)의 구동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이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모두가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4 내지 도 2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차량에 탑재되는 개폐제어기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4 내지 도 23에서, 상기 도 1 내지 도 13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에 탑재되는 개폐제어기구(500)의 블록도이다. 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제어기구(500)는, 덮개 부재(90A)의 개폐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97) 및 덮개 부재(213A)의 개폐 상태를 센싱 가능한 센서(218)를 포함하는 검출부와,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인 것을 경고하는 경고 표시(642) 및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인 것을 경고하는 경고 표시(641)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개폐제어기구(500)는, 센서(97) 및 센서(218)로부터의 개폐 신호(P1, P2)에 의거하여, 경고 표시(641) 및 경고 표시(642)를 구동하는 덮개 개폐 판정부(610)를 포함하는 제어장치(70)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제어기구(500)는, 급유 커넥터(191)가, 급유부(213)의 노즐 받아들임부(215) 내에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센싱하는 삽입센서(601)와, 충전?급전부(90)의 삽입부(91)에 커넥터(190)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센싱하는 삽입센서(602)를, 검출부로서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개폐제어기구(500)는, 개방 상태의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한 모터(603)와, 개방 상태의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한 모터(604)를 출력부로서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70)는, 삽입센서(602)로부터의 삽입 신호(P3) 및 삽입센서(601)로부터의 삽입 신호(P4)에 의거하여, 충전?급전부(90)에 있어서의 커넥터(190)의 접속 상태 및 급유부(213)에 있어서의 급유 커넥터(191)의 접속 상태를 판정하는 플러그 삽입 판정부(6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장치(70)는, 덮개 개폐 판정부(610)로부터의 개폐 정보(P10)와, 플러그 삽입 판정부(620)로부터의 삽입 정보(P11)에 의거하여, 경고 표시(641, 642), 삽입센서(602, 602) 및 경고장치(640) 등을 구동하는 구동 제어부(63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구동 제어부(630)는, 개폐 정보(P10) 및 삽입 정보(P11)에 의거하여, 그때에 있어서의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의 개폐 상태 및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의 착탈 상태를 판정하는 초기 상태 판정부(6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덮개 부재(90A)와 덮개 부재(213A) 중 적어도 한쪽의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임과 동시에, 다른쪽이 폐쇄 상태이고,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의 어느 것도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급유 작업이나 충전?급전 작업의 도중인지, 또는, 단순히 덮개의 폐쇄를 잊은 것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소정의 기간, 당해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급유 커넥터(191) 및 커넥터(190)가 비접속 상태인 것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단순히 덮개 부재의 폐쇄를 잊은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구동 제어부(630)는, 초기 상태에서 1개의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이고, 또한, 이 개방 상태의 덮개 부재에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가 개방 상태이고, 어느 것에도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를 폐쇄 상태로 하여, 급유 작업과 충전?급전 작업이 동시에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가 개방 상태이고, 급유 커넥터(191)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급유 작업과 충전?급전 작업 모두가 동시에 행하여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덮개 부재(90A)를 폐쇄할 필요가 있다.
또,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가 개방 상태이고, 커넥터(19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급유 작업과 충전?급전 작업 모두가 동시에 행하여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덮개 부재(213A)를 폐쇄할 필요가 있다.
이들 경우에는, 각 상태에 맞춰, 모터(603, 604) 및 경고장치(640)를 구동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구동 제어부(630)는, 각 상태에 맞춰, 모터(603, 604) 및 경고장치(640), 또한, 경고 표시(641) 및 경고 표시(642)를 적절하게 구동하는 최종 처리부(6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구동 정보(P35)가 초기 상태 판정부(633)로부터 최종 처리부(632)로 송신되고, 이 구동 정보(P35)에 의거하여, 최종 처리부(632)는, 각 출력부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에 있어서, 덮개 부재의 폐쇄를 잊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도,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로부터 구동 정보(P30)가 최종 처리부(632)로 송신되고, 최종 처리부(632)는, 이 구동 정보(P30)에 의거하여, 각 출력부를 구동한다.
또한, 최종 처리부(632)에는, 선택된 개방 상태의 덮개 부재(90A) 또는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로 할 때에, 소정 시간 내에 선택된 덮개 부재(90A) 또는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가 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폐쇄 상태 판정부(634)를 구비하고 있다.
즉, 폐쇄 동작을 개시한 덮개 부재(90A) 또는 덮개 부재(213A)가 소정 시간 내에, 폐쇄 상태가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덮개 부재와 차량의 박스체의 사이에 이물이 끼여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폐쇄 상태 판정부(634)는, 이상 발생을 주위에 알리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또한, 도 15는, 개폐제어기구(500)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고장치(640), 경고 표시(641) 및 경고 표시(642)는, 운전자로부터 용이하게 관찰 가능하도록, 대시보드 및 그 근방에 배치한다.
여기서, 도 16 내지 도 23을 이용하여, 각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은, 덮개 개폐 판정부(610)에 있어서의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덮개 개폐 판정부(610)는,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1). 그리고,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라고 판정되면,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2).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라고 판정되면, 경고 표시(641) 및 경고 표시(642)를 ON 상태로 한다(단계 3).
그리고,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모두가 개방 상태일 때에는,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A-2).
도 17은, 초기 상태 판정부(633)에 있어서,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 개방 상태일 때,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4). 그리고, 급유 커넥터(191)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5).
그리고,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모두가 개방 상태로서, 급유부(213)에만 급유 커넥터(191)가 장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커넥터(19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충전?급전부(90)의 덮개 부재(90A)를 폐쇄 상태로 하는 처리(B-1)를 행한다.
그리고, 초기 상태 판정부(633)는, 상기의 구동 정보(P35)를 최종 처리부(632)로 송신한다.
도 18은, 최종 처리부(632)가, 덮개 부재(90A)를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한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 처리부(632)는, 먼저,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개시한다(단계 6).
모터(604)를 구동하여, 덮개 부재(90A)를 폐쇄 상태로 하도록, 모터(604)를 구동한다(단계 7).
그리고, 소정 기간 경과할 때까지,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 기간 이내에 폐쇄 상태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경고장치(640)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8).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라고 판정되면, 타이머(280)의 카운트(T2)가,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T02)보다 큰지를 판정한다(단계 9).
그리고,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 이하라고 판정되면, 다시, 단계 8로 되돌아가서,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8).
그리고,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라고 판정되면, 다시, 타이머(280)의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보다 큰지를 판정한다(단계 9).
이 단계 9에 있어서,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보다 크다고 판정되면, 덮개 부재(90A)와 차량의 보디의 사이에 이물이 끼여 있는 등의 폐해가 생기고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운전자나 작업자에게 이상 사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주의하기 위한 경고 모드가 되는 것과 같은 처리가 행하여진다(E-1). 또한, 이 도 18에 나타내는 플로우도에는, 도시 생략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단계 E-1로 가기 전에, 덮개 부재(90A)에 이상 발생 등의 표시를 행하는 처리를 가하여도 된다.
도 19는, 최종 처리부(632)가, 경고 처리를 행할 때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 처리부(632)가 경고 처리를 행할 때에는, 먼저, 모터(604) 및 모터(60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단계 10).
그리고, 경고장치(640)를 구동하여, 주위의 주의를 환기한다(단계 11). 그 후,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리셋하여(단계 12), 상기 단계 1로 되돌아간다(리턴).
그리고, 상기 도 18에 나타내는 단계 8에 있어서,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가 아니라, 폐쇄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경고 표시(642)를 OFF로 한다(단계 13).
이와 같이,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가 되면, 급유부(213)로부터 가솔린 등을 공급하는 급유 작업만이 행하여지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가 되면, 정상 운전 모드가 되는 것과 같은 처리가 행하여진다(C).
도 20은, 최종 처리부(632)가, 정상 모드로 전환될 때의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 처리부(632)는, 먼저, 모터(603) 및 모터(60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단계 14).
그리고, 경고 표시(641) 및 경고 표시(642)를 OFF로 한다(단계 15). 그리고, 경고장치(64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단계 16). 그리고,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리셋한다(단계 17). 그리고, 상기 단계 1로 되돌아간다.
도 17에 나타내는, 단계 5에서,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모두 개방 상태로서,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고, 또한,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급유 작업과, 충전?급전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 모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쪽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에 대해서도 폐쇄할 수 없다.
그래서, 초기 상태 판정부(633)는, 최종 처리부(632)에 대하여 구동 정보(P35)를 송신하여, 최종 처리부(632)는, 상기와 같은 경고 처리를 행한다(E-1).
도 17에 나타내는 (단계 4)에 있어서,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초기 상태 판정부(633)는,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18).
그리고, 초기 상태 판정부(633)가,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는, 어느 것이나 개방 상태로서, 충전?급전부(90)에만,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도, 충전?급전 작업과, 급유 작업이 동시에 행하여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로 하는 처리(B-2)를 행한다.
그래서, 초기 상태 판정부(633)는, 최종 처리부(632)에 대하여, 구동 정보(P35)가 송신된다.
도 21은, 최종 처리부(632)가,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한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 처리부(632)는, 먼저,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개시한다(단계 19).
모터(603)을 구동하여,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로 하도록, 모터(603)를 구동한다(단계 20).
그리고, 소정 기간 경과할 때까지,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 기간 이내에 폐쇄 상태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경고장치(640)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21).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라고 판정되면, 타이머(280)의 카운트(T2)가,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T02)보다 큰지를 판정한다(단계 22).
그리고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 이하라고 판정되면, 다시, 단계 21로 되돌아가서,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21).
그리고,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라고 판정되면, 다시, 타이머(280)의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보다 큰지를 판정한다(단계 22).
이 단계 22에서,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보다 크다고 판정되면, 덮개 부재(213A)와 차량의 보디의 사이에 이물이 끼여 있는 등의 폐해가 생기고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나 작업자에게 이상 사태가 발생하고 있음을 주의하기 위한 경고 모드가 되는 것과 같은 처리가 행하여진다(E-1).
그리고, (단계 21)에 있어서,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경고 표시(641)를 OFF로 한다(단계 23). 이 경우에는, 충전?급전부(90)에 있어서, 충전 또는 급전 작업만이 행하여지고 있고, 정상적으로 작업이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최종 처리부(632)는, 정상 처리(C)를 행한다.
여기서, 상기 도 17에 나타내는 (단계 18)에 있어서,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였을 때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로서,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의 어느 것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충전?급전 작업과 급유 작업이 동시에 행하여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초기 상태 판정부(633)는, 최종 처리부(632)에 대하여,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 폐쇄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구동 정보(P35)를 송신한다.
그리고, 최종 처리부(632)는,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를, 폐쇄하는 처리(B-3)를 행한다.
도 23은, 최종 처리부(632)가,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 폐쇄 상태로 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초기 상태 판정부(633)는,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개시한다(단계 24). 모터(603) 및 모터(604)를 구동한다(단계 25, 26). 그리고, 각 모터(603) 및 모터(604)를 구동하며, 각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로 할 때에, 덮개 부재(90A)와 보디의 사이나 덮개 부재(213A)와 보디의 사이에 이물 등이 끼어 들어가 있는 등의 폐해가 생기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모터(603) 및 모터(604)의 구동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기간 내에,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가 되어 있는지를 판정하여,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가 폐쇄 상태가 된 경우에는, 정상 처리(C)를 행하고,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중 적어도 한쪽이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경고 처리(E-1)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최종 처리부(632)는, 먼저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27). 그리고,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라고 판정되면,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28). 그리고,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라고 판정되면,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가 폐쇄 상태이기 때문에, 정상 처리를 행하는 처리를 행한다(C).
한편, 상기 (단계 28)에서,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라고 판정되면, 최종 처리부(632)는, 경고 표시(641)를 OFF 상태로 함과 동시에, 경고 표시(642)를 ON 상태로 한다(단계 29).
그리고, 최종 처리부(632)는,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보다 큰지를 판정한다(단계 30). 최종 처리부(632)가,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 이하라고 판정되면, 상기 (단계 27)로 되돌아간다. 한편,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을 경과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덮개 부재(90A)가 소정 기간의 사이에 폐쇄될 수 없고, 덮개 부재(90A)와 보디의 사이에, 이물이 끼어 들어가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최종 처리부(632)는, 경고 처리(E-1)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단계 27)에 있어서,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최종 처리부(632)는,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31). 그리고,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라고 판정되면, 경고 표시(641) 및 경고 표시(642)를 ON 상태로 한다(단계 32).
그리고,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보다 크다고 판정하면(단계 30), 경고 처리(E-1)를 행하고,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 이하라고 판정되면, 다시 상기 (단계 27)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단계 31)에 있어서,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라고 판정되면, 경고 표시(641)를 ON으로 하고, 경고 표시(642)를 OFF로 한다(단계 33). 그리고, 타이머(280)의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보다 큰지를 판정한다(단계 30). 여기서,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보다 크다고 판정되면, 최종 처리부(632)는, 경고 처리(E-1)를 행하고, 카운트(T2)가 소정 시간(T02) 이하라고 판정되면, 상기 (단계 27)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내는 (단계 2)에 있어서, 초기 상태 판정부(633)가 덮개 부재(90A)는 폐쇄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덮개 부재(213A)만이 개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됨으로써, 정상적으로 급유 작업이 행하여지게 되는 한편으로, 급유 커넥터(191)가 소정 시간 내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된 상태에서, 방치되어 있게 되어, 덮개 부재(213A)를 폐쇄할 필요가 생긴다.
그래서,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의 개폐 상태 및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의 접속 상태를 소정 기간 검출하고,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를 행한다(A-1).
또한, 덮개 개폐 판정부(610)는, 경고 표시(641)를 ON 상태로 하고, 경고 표시(642)를 OFF 상태로 한다(단계 34-1).
그리고, 덮개 개폐 판정부(610)는, 초기 상태 판정부(633)에 신호를 송신하고, 초기 상태 판정부(633)는,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에 개폐 신호(P20)를 송신한다.
도 22는,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로서,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개시한다(단계 34).
그리고,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35). 여기서,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리셋한다(단계 36).
이와 같이, 덮개 부재(213A)만이 개방 상태이고,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면, 정상적으로 급유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단계 1)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35)에서,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상기 타이머(280)의 카운트(T3)가, 소정 시간(T03)보다 큰지를 판정한다(단계 37).
여기서,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가, 타이머(280)의 카운트(T3)가, 소정 시간(T03) 이하라고 판정되면,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38).
여기서,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덮개 부재(90A)가 개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39). 여기서,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에서,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가 비접속 상태인 것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라고 판정되면,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단계 35)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다시, (단계 35)에서,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37).
여기서,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가, 카운트(T3)가 소정 시간(T03)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덮개 부재(213A)가 폐쇄를 잊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213A)를 폐쇄하는 처리를 행할 필요가 생긴다.
그래서,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리셋한다(단계 40). 그리고,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최종 처리부(632)에 대하여, 구동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213A)를 폐쇄하는 처리가 최종 처리부(632)에서 행하여진다(B-2).
여기서, (단계 37)에서, 카운트(T3)가 소정 시간(T03) 이하라고 판정되면,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38).
여기서,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당해 처리(A-1) 중에 있어서,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에서, 작업자 등에 의하여, 덮개 부재(90A)가 별도 개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경고 표시(642)를 ON 상태로 한다(단계 41)고 하고,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리셋한다(단계 42).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43).
여기서,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최종 처리부(632)에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213A)를 폐쇄 상태로 하는 처리(B-2)가 행하여진다.
한편,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가 개방 상태로서,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가 어느 쪽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작업자에 의하여, 충전?급전 작업 및 급유 작업이 동시에 행하여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 폐쇄 상태로 할 필요가 생긴다. 그래서,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최종 처리부(632)에 대하여,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 폐쇄 상태로 하도록, 구동 정보(P30)를 송신하고, 최종 처리부(632)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를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한 처리(B-3)를 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39)에 있어서,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라고 판정되면,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모두, 폐쇄 상태가 되고, 개방 상태이었던 덮개 부재(213A)가 운전자나 작업자에 의하여 폐쇄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경고 표시(641)를 OFF로 하고(단계 44),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리셋한다(단계 36). (단계 1)로 되돌아가서, 다시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의 개폐 상태를 판정한다.
여기서, 도 16에 나타내는 (단계 1)에 있어서,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덮개 개폐 판정부(610)는,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45). 여기서, 덮개 개폐 판정부(610)가,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덮개 부재(90A)만이 개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충전?급전 작업을 행하는 도중 단계, 덮개 부재(90A)가 폐쇄를 잊은 것 중 어느 하나를 상정할 수 있다.
그래서, 덮개 개폐 판정부(610)는, 경고 표시(641)를 OFF 상태로 하고, 경고 표시(642)를 ON 상태로 한다(단계 45-1).
그래서, 덮개 개폐 판정부(610)는, 초기 상태 판정부(633)에 개폐 정보(P10)를 송신하고, 초기 상태 판정부(633)는,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에 소정 기간, 덮개 부재(90A)만이 개방 상태,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동 정보(P20)를 송신한다.
도 24는, 소정 기간, 덮개 부재(90A)만이 개방 상태,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는지를 판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먼저,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개시한다(단계 46).
그리고,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47). 여기서,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리셋한다(단계 48). 이와 같이, 덮개 부재(90A)만이 개방 상태로서,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면, 정상적으로 급유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단계 1)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47)에서,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상기 타이머(280)의 카운트(T3)가, 소정 시간(T03)보다 큰지를 판정한다(단계 49). 여기서,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가, 타이머(280)의 카운트(T3)가, 소정 시간(T03) 이하라고 판정되면,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50).
여기서,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덮개 부재(213A)가 개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인지를 판정한다(단계 51). 여기서,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이고,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가 비접속 상태인 것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라고 판정되면,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단계 47)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다시, (단계 47)에서, 충전?급전부(90)에 커넥터(190)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49).
여기서,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가, 카운트(T3)가 소정 시간(T03)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덮개 부재(90A)가 개방 상태, 덮개 부재(213A)가 폐쇄 상태,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덮개 부재(90A)를 폐쇄하는 것을 잊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90A)를 폐쇄하는 처리를 행할 필요가 생긴다. 그래서,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리셋한다(단계 52). 그리고,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최종 처리부(632)에 대하여, 구동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90A)를 폐쇄하는 처리가 최종 처리부(632)에서 행하여진다(B-1).
여기서, (단계 49)에서, 카운트(T3)가 소정 시간(T03) 이하라고 판정되면,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덮개 부재(213A)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는, 당해 처리(A-1) 중에 있어서, 덮개 부재(90A)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 등에 의하여, 덮개 부재(213A)가 별도 개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경고 표시(641)를 ON 상태로 한다(단계 53)고 하고,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리셋한다(단계 54).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 55).
여기서,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덮개 부재(90A)를 폐쇄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최종 처리부(632)에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90A)를 폐쇄 상태로 하는 처리(B-1)가 행하여진다.
한편, 급유부(213)에, 급유 커넥터(191)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가 개방상태로서, 커넥터(190) 및 급유 커넥터(191)가 어느 쪽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다는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작업자에 의하여, 충전?급전 작업 및 급유 작업이 동시에 행하여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를 폐쇄 상태로 할 필요가 생긴다. 그래서,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최종 처리부(632)에 대하여,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를, 폐쇄 상태로 하도록, 구동 정보(P30)를 송신하고, 최종 처리부(632)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를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한 처리(B-3)를 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51)에 있어서,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라고 판정되면, 덮개 부재(213A) 및 덮개 부재(90A) 모두가, 폐쇄 상태가 되고, 개방 상태이었던 덮개 부재(213A)가 운전자나 작업자에 의하여 폐쇄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631)는, 경고 표시(642)를 OFF로 하고(단계 56), 타이머(280)의 카운트를 리셋한다(단계 48). 그리고, (단계 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상기 도 16에 나타내는 (단계 45)에서, 덮개 부재(90A)가 폐쇄 상태라고, 덮개 개폐 판정부(610)가 판정하면, 덮개 부재(90A) 및 덮개 부재(213A) 모두 폐쇄 상태이기 때문에, 다시, (단계 1)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개폐제어기구(500)를 구비한 차량에서는, 급유 작업과, 충전?급전 작업이 동시에 행하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을 행하였으나,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또한, 상기 수치 등은, 예시로서, 상기 수치 및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은, 복수 종류의 에너지원이 공급되는 차량에 적합하다.
2F : 전륜 3 : 동력분할기구
4 : 엔진 10 : 전압 센서
20 : 승압 컨버터 30, 40 : 인버터
61, 62 : 단자 70 : 제어장치
90 : 충전?급전부 90C : 수용실
95 : 잠금 기구 96, 217 : 개방 조작부
97 : 센서 100 : 하이브리드 차량
100A, 100B : 측면 190 : 커넥터
191: 급유 커넥터 200 : 차량 본체
201 : 연료탱크 213 : 급유부
213A : 덮개 부재 213B : 개구부
213C : 수용실 214 : 접속관
215 : 노즐 받아들임부 216 : 잠금 기구
217 : 개방 조작부 218 : 센서
220, 230 : 잠금 기구 221, 231 : 갈고리 부재
222, 232, 454, 455 : 가세부재
223, 233, 240, 250 : 전자석
224, 234 : 구멍부 225, 235, 475 : 탄성부재
226, 236 : 단자부
227, 237, 435, 436, 441, 443 : 스위치
229, 239 : 해제기구 251, 252 : 축전기
260 : 경고기 261 : 배선
262, 452, 453, 453 : 접속 피스
263 : 탄성부재 265 : 전환기구
270 : 경고장치 280 : 타이머
300 : 프론트 범퍼 301 : 프론트 펜더
303 : 리어 펜더 304 : 리어 범퍼
307 : 후드 312 : 프론트 도어
313 : 리어 도어 410 : 조작부
411, 412, 437, 438 : 전환 피스
413, 434 : 축부 420, 430 : 전환 스위치
431, 433, 440, 442 : 돌기부
445, 446 : 모터 450, 451 : 폐색기구
460, 461, 462 : 와이어
470 : 롤러 474 : 텐션 롤러
480, 481, 482, 483 : 경고부
500, 500A : 개폐제어기구
601, 602 : 삽입센서 603, 604 : 모터
610 : 덮개 개폐 판정부
620 : 플러그 삽입 판정부
630 : 구동 제어부 631 : 소정 시간 상태 판정부
632 : 최종 처리부 633 : 초기 상태 판정부
634 : 폐쇄 상태 판정부 641, 642 : 경고 표시

Claims (13)

  1. 제 1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제 1 에너지원을 축적 가능한 제 1 축적부와,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1 에너지원이 공급되는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와,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실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 1 덮개 부재와,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공급된 상기 제 1 에너지원을 상기 제 1 축적부로 유도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에너지원과 다른 제 2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2 구동부와,
    상기 제 2 에너지원을 축적하는 제 2 축적부와,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2 에너지원이 공급되는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와,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를 수용하는 제 2 수용실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 2 덮개 부재와,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공급된 상기 제 2 에너지원을 상기 제 2 축적부로 유도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1 덮개 부재와 상기 제 2 덮개 부재 중 한쪽이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 다른쪽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개폐제어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제어기구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제 1 검출부와,
    상기 제 2 덮개 부재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제 2 검출부와,
    상기 제 1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제 1 잠금부와,
    상기 제 2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제 2 잠금부와,
    상기 제 1 잠금부에 의한 상기 제 1 덮개 부재의 폐쇄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 1 해제부와,
    상기 제 2 잠금부에 의한 상기 제 2 덮개 부재의 폐쇄 상태를 해제 가능한 제 2 해제부와,
    상기 제 1 검출부가 상기 제 1 덮개 부재의 개방 상태를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제 2 해제부의 구동을 금지하고, 상기 제 2 검출부가 상기 제 2 덮개 부재의 개방 상태를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제 1 해제부의 구동을 금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너지원은 연료가 되고,
    상기 제 1 축적부는, 액체상태의 연료를 축적하는 연료탱크가 되며,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액체상태의 연료를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로부터 상기 연료탱크로 유도하는 관로가 되고,
    상기 제 2 에너지원은 전력이 되며,
    상기 제 2 축적부는, 직류전력으로서, 상기 제 2 에너지원을 축적하는 축전기가 되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전력이 유통되는 배선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부는, 교류전력으로서의 상기 제 2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 전기가 되고,
    상기 회전 전기는, 제 1 다상 권선과 당해 제 1 다상 권선의 제 1 중성점을 가지는 제 1 회전 전기와, 제 2 다상 권선과 당해 제 2 다상 권선의 제 2 중성점을 가지는 제 2 회전 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1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배선과, 상기 제 2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축전기로부터의 직류전력으로서의 상기 제 2 에너지원을 교류전력으로서의 상기 제 2 에너지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회전 전기에 공급하는 제 1 인버터와,
    상기 축전기로부터의 직류전력으로서의 상기 제 2 에너지원을 교류전력으로서의 상기 제 2 에너지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회전 전기에 공급하는 제 2 인버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중성점에 부여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축전기에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부는, 교류전력으로서의 상기 제 2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 전기가 되고,
    상기 회전 전기는, 제 1 다상 권선과 당해 제 1 다상 권선의 제 1 중성점을 가지는 제 1 회전 전기와, 제 2 다상 권선과 당해 제 2 다상 권선의 제 2 중성점을 가지는 제 2 회전 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1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배선과, 상기 제 2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축전기로부터의 직류전력으로서의 상기 제 2 에너지원을 교류전력으로서의 상기 제 2 에너지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회전 전기에 공급하는 제 1 인버터와,
    상기 축전기로부터의 직류전력으로서의 상기 제 2 에너지원을 교류전력으로서의 상기 제 2 에너지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회전 전기에 공급하는 제 2 인버터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상기 축전기로부터 상기 제 1 인버터 및 상기 제 2 인버터에 공급되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외부 부하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인버터 및 상기 제 2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제어기구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와 상기 제 2 덮개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덮개 부재 및 상기 제 2 덮개 부재 중 한쪽이 개방 상태가 되면,
    상기 연결 부재에, 다른쪽의 덮개 부재를 폐쇄하는 장력이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와 상기 제 2 덮개 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제어기구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를 개폐 가능 상태로 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하는 제 1 상태와, 상기 제 2 덮개 부재를 개폐 가능 상태로 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하는 제 2 상태로 전환 가능한 조작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기구는, 사용자에 의하여 전환 조작 가능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제 1 덮개 부재를 연결하는 제 1 조작용 연결 부재와, 상기 조작부 및 상기 제 2 덮개 부재를 연결하는 제 2 조작용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기구는 제 1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제 1 조작용 연결 부재에 신장 마진을 설정하여, 상기 제 1 덮개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조작용 연결 부재의 신장 마진을 저감시켜서, 상기 제 2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하고,
    상기 조작기구는 제 2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제 1 조작용 연결 부재의 신장 마진을 저감하여, 상기 제 1 덮개 부재를 폐쇄 상태로 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조작용 연결 부재에 신장 마진을 설정하여, 상기 제 2 덮개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작용 연결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 중, 상기 축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조작용 연결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 중, 상기 축부에 대하여, 상기 제 1 조작용 연결 부재가 접속된 부분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삭제
  11. 제 1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제 1 에너지원을 축적 가능한 제 1 축적부와,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1 에너지원이 공급되는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와,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실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 1 덮개 부재와,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공급된 상기 제 1 에너지원을 상기 제 1 축적부로 유도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에너지원과 다른 제 2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2 구동부와,
    상기 제 2 에너지원을 축적하는 제 2 축적부와,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2 에너지원이 공급되는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와,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를 수용하는 제 2 수용실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 2 덮개 부재와,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공급된 상기 제 2 에너지원을 상기 제 2 축적부로 유도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1 덮개 부재 및 상기 제 2 덮개 부재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개폐제어장치와,
    경고 동작을 행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 및 상기 제 2 덮개 부재의 개폐 상태를 판정하는 덮개 개폐 판정부와, 상기 덮개 개폐 판정부로부터의 개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력부를 구동하는 출력부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 및 상기 제 2 덮개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이 개방 상태일 때에, 상기 경고부를 구동하고, 상기 제 1 덮개 부재 및 제 2 덮개 부재 모두가 폐쇄 상태가 되면, 상기 경고부의 구동을 정지하며,
    상기 출력부는, 개방 상태의 상기 제 1 덮개 부재를 구동하여 폐쇄 상태로 하는 제 1 덮개 구동부와, 개방 상태의 상기 제 2 덮개 부재를 구동하여 폐쇄 상태로 하는 제 2 덮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에너지 공급부의 접속 상태 및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에너지 공급부의 접속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출력부 구동부로 접속 정보를 보내는 접속 상태 판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 및 상기 제 2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로서,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상기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상기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 구동부를 구동하고,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 및 상기 제 2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로서,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상기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상기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 1 덮개 구동부를 구동하며,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 및 상기 제 2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로서,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상기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상기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 2 덮개 구동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2. 제 1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1 구동부와,
    상기 제 1 에너지원을 축적 가능한 제 1 축적부와,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1 에너지원이 공급되는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와,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실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 1 덮개 부재와,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공급된 상기 제 1 에너지원을 상기 제 1 축적부로 유도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에너지원과 다른 제 2 에너지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2 구동부와,
    상기 제 2 에너지원을 축적하는 제 2 축적부와,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2 에너지원이 공급되는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와,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를 수용하는 제 2 수용실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제 2 덮개 부재와,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공급된 상기 제 2 에너지원을 상기 제 2 축적부로 유도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1 덮개 부재 및 상기 제 2 덮개 부재의 개폐 제어를 행하는 개폐제어장치와,
    경고 동작을 행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 및 상기 제 2 덮개 부재의 개폐 상태를 판정하는 덮개 개폐 판정부와, 상기 덮개 개폐 판정부로부터의 개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력부를 구동하는 출력부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 및 상기 제 2 덮개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이 개방 상태일 때에, 상기 경고부를 구동하고, 상기 제 1 덮개 부재 및 제 2 덮개 부재 모두가 폐쇄 상태가 되면, 상기 경고부의 구동을 정지하며,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의 개방 상태의 기간을 측정하고, 당해 측정한 기간을 제 1 측정 정보로서 상기 출력부 구동부로 보내는 제 1 측정부와, 상기 제 2 덮개 부재의 개방 상태의 기간을 측정하며, 당해 측정한 기간을 제 2 측정 정보로서 상기 출력부 구동부로 보내는 제 2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개방 상태의 상기 제 1 덮개 부재를 구동하여 폐쇄 상태로 하는 제 1 덮개 구동부 및 개방 상태의 상기 제 2 덮개 부재를 구동하여 폐쇄 상태로 하는 제 2 덮개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에너지 공급부의 접속 상태 및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에너지 공급부의 접속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출력부 구동부에 접속 정보를 보내는 접속 상태 판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 상기 제 2 덮개 부재가 폐쇄 상태 및 상기 제 1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상기 제 1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덮개 구동부를 구동하고,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상기 제 2 덮개 부재가 개방 상태, 상기 제 1 덮개 부재가 폐쇄 상태 및 상기 제 2 에너지 받아들임부에 상기 제 2 에너지 공급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소정 기간 계속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덮개 구동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제어장치는, 상기 제 1 덮개 구동부의 구동 시간을 측정하고, 당해 구동 시간을 제 3 측정 정보로서 상기 출력부 구동부로 보내는 제 3 측정부와, 상기 제 2 덮개 구동부의 구동 시간을 측정하며, 당해 구동 시간을 상기 제 4 측정 정보로서 상기 출력부 구동부로 보내는 제 4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상기 제 1 덮개 구동부의 구동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어지면, 상기 제 1 덮개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하여, 상기 경고부를 구동하고, 상기 출력부 구동부는, 상기 제 2 덮개 구동부의 구동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어지면, 상기 제 2 덮개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하여, 상기 경고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07005220A 2007-08-10 2008-08-08 차량 KR101150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9859 2007-08-10
JPJP-P-2007-209859 2007-08-10
JP2008006962A JP4367559B2 (ja) 2007-08-10 2008-01-16 車両
JPJP-P-2008-006962 2008-01-16
PCT/JP2008/064281 WO2009022638A1 (ja) 2007-08-10 2008-08-08 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902A KR20100039902A (ko) 2010-04-16
KR101150912B1 true KR101150912B1 (ko) 2012-05-29

Family

ID=4055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220A KR101150912B1 (ko) 2007-08-10 2008-08-08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22984B2 (ko)
EP (2) EP3572261B1 (ko)
JP (2) JP4367559B2 (ko)
KR (1) KR101150912B1 (ko)
CN (1) CN101778727B (ko)
RU (1) RU2440254C2 (ko)
WO (1) WO2009022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7258A (ja) * 2006-04-28 2007-11-15 Taiyo Yuden Co Ltd 誘電体セラミックス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ES2391915T3 (es) * 2007-03-06 2012-12-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ículo
JP4367559B2 (ja) 2007-08-10 2009-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4816628B2 (ja) * 2007-11-30 2011-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充電制御装置
JP5259220B2 (ja) * 2008-03-25 2013-08-0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
CN102137656A (zh) * 2008-06-13 2011-07-27 罗克斯罗制药公司 用于鼻内投予的酮咯酸医药调配物
JP5436893B2 (ja) * 2009-03-11 2014-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US8210306B2 (en) * 2009-04-02 2012-07-03 Marshall Excelsi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isabling a vehicle
JP5083465B2 (ja) * 2009-06-25 2012-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車両構造
JP5473448B2 (ja) * 2009-07-23 2014-04-16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US8030884B2 (en) * 2009-08-31 2011-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transferring energy using onboard power electronic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360689B2 (ja) * 2009-09-24 2013-12-04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高電圧ケーブルの配策構造
DE102009058864B4 (de) * 2009-12-18 2012-05-10 Temtec Fahrzeugtechnik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Kraftfahrzeugverschlusses und Verschlus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JP5077376B2 (ja) 2010-03-02 2012-1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2012045986A (ja) * 2010-08-24 2012-03-08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リッド装置
DE102010041861A1 (de) * 2010-10-01 2012-04-05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betankbares Fahrzeug
JP5658003B2 (ja) * 2010-11-15 2015-01-21 ヤンマー株式会社 電動乗用作業車両
DE102010055919A1 (de) 2010-12-23 2011-08-25 Daimler AG, 70327 Hybrid-Fahrzeug mit einer elektrischen Antriebsvorrichtung und einer Verbrennungsmaschine jeweils zum Antreiben des Hybrid-Fahrzeugs
DE102011014462A1 (de) 2011-03-19 2012-09-20 Audi Ag Energiezuführ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9457673B2 (en) 2011-04-12 2016-10-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ic vehicle with charging port illumination
JP5636566B2 (ja) * 2011-05-16 2014-12-1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のインレットボックスの取付け構造
FR2976865A1 (fr) * 2011-06-27 2012-12-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hybride
JP5641141B2 (ja) * 2011-07-19 2014-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DE102011111234A1 (de) * 2011-08-20 2013-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Anzeigevorrichtung
FR2980142B1 (fr) * 2011-09-20 2013-10-1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hybride comportant des trappes pour rechargement a ouvertures selectives
FR2980141B1 (fr) * 2011-09-20 2013-10-1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hybride comportant des trappes pour rechargement a ouvertures inversees
CN107415764B (zh) * 2012-05-09 2020-09-2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
JP5590073B2 (ja) * 2012-06-21 2014-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力制御装置
JP5884699B2 (ja) * 2012-09-28 2016-03-1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トラック形電動車両の充電コネクタ収容装置
JP6070130B2 (ja) * 2012-12-05 2017-02-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動車の充電部構造
GB2509720B (en) * 2013-01-10 2015-01-21 Jaguar Land Rover Ltd Guidance system and method
JP5780437B2 (ja) * 2013-02-19 2015-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ック制御システム、及びロック制御方法
JP5761229B2 (ja) * 2013-02-26 2015-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充電装置
JP5772862B2 (ja) * 2013-04-10 2015-09-02 株式会社デンソー 充電制御装置
JP5937542B2 (ja) * 2013-05-15 2016-06-22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車両用カバー開閉制御装置
JP6235258B2 (ja) 2013-07-12 2017-11-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リッドロック装置
US9327594B2 (en) * 2013-08-15 2016-05-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cess system for vehicle energy storage device with magnetic sensor to detect access door position
US9566954B2 (en) * 2014-03-10 2017-02-14 Max Moskowitz Vehicular accessory
US10549729B2 (en) 2014-03-10 2020-02-04 Max Moskowitz Vehicular accessory
US9302609B2 (en) * 2014-03-28 2016-04-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hanced charge port door reminder for a fuel or charge consuming device
EP3179620B1 (en) * 2014-08-07 2019-09-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le mounted with same
US9656561B2 (en) * 2014-11-24 2017-05-23 Hyundai Motor Company Door assembly for charging port of electric vehicle
JP6540065B2 (ja) * 2015-02-06 2019-07-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充電口
JP6531728B2 (ja) * 2016-07-15 2019-06-19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装置
WO2018047582A1 (ja) * 2016-09-08 2018-03-15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照明装置
US10190348B2 (en) * 2016-11-14 2019-0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refueling request
JP6708100B2 (ja) * 2016-11-17 2020-06-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
US9834205B1 (en) * 2016-11-21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 vehicle evaporation systems
JP6546949B2 (ja) * 2017-03-15 2019-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CN109386191B (zh) * 2017-08-11 2022-01-21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加油或充电口门锁以及加油或充电口盖总成
JP6922717B2 (ja) * 2017-12-18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
TWI687024B (zh) * 2018-01-30 2020-03-0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車輛之被動件的供電系統
EP3517340A1 (en) * 2018-01-30 2019-07-31 Kwang Yang Motor Co., Ltd. Electricity supply system of driven element of vehicle
JP7187828B2 (ja) * 2018-06-07 2022-12-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
JP7047746B2 (ja) * 2018-12-17 2022-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CN109823412B (zh) * 2019-01-11 2021-07-30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新能源汽车机罩辅助锁扣
KR20210027662A (ko) * 2019-08-30 2021-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N112373582B (zh) * 2020-10-19 2022-01-0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充电口盖控制方法、装置、系统及电动汽车
FR3136709A1 (fr) * 2022-06-20 2023-12-22 Seabubbles Système de sécurisation d’organes de raccordement pour le ravitaillement d’un véhicule hybride
FR3140330A1 (fr) * 2022-10-03 2024-04-05 Psa Automobiles Sa Vehicule électrique ou hybride avec trappe extérieure pour prise de recharge et acces pompi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3209U (ko) * 1990-12-29 1992-08-13
JPH09285022A (ja) * 1996-04-10 1997-10-31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充電表示装置
JP2001105903A (ja) * 1999-08-03 2001-04-17 Toyota Motor Corp 移動体と燃料供給装置並びに燃料供給システム
JP2007196967A (ja) * 2006-01-30 2007-08-09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およびハイブリッド車両の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6248A (en) * 1950-05-20 1960-12-27 John W Armbruster Servicing devices
JPS61247886A (ja) 1985-04-24 1986-11-05 Niigata Eng Co Ltd スラリ−等の移送装置
JPH0493209A (ja) 1990-08-10 1992-03-26 Janome Sewing Mach Co Ltd 合成樹脂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H04166423A (ja) * 1990-10-30 1992-06-12 Suzuki Motor Corp 給油部チェック装置
JP3006277B2 (ja) 1992-03-31 2000-02-07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自動車のサービスステーション
JP3112226B2 (ja) * 1993-12-27 2000-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US5670830A (en) * 1994-04-28 1997-09-23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Fuel use limiter-equipped hybrid electric car
JP3016349B2 (ja) * 1994-04-28 2000-03-0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燃料使用制限式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
JP3239773B2 (ja) * 1996-10-11 2001-12-1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JP3447528B2 (ja) 1997-09-11 2003-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装置
JP4788018B2 (ja) * 2000-06-08 2011-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燃料補給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
JP3992907B2 (ja) * 2000-06-16 2007-10-17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警報装置
CA2447238C (en) * 2002-10-29 2007-03-20 Honda Motor Co.,Ltd. Fuel gas filling system
JP4037242B2 (ja) * 2002-10-30 2008-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気体燃料充填システム
JP3999099B2 (ja) * 2002-10-29 2007-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リッドオープナ機構
JP4375779B2 (ja) 2003-09-19 2009-12-02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燃料電池自動車用燃料の供給システム
JP4438417B2 (ja) * 2004-01-13 2010-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交流電圧発生装置および動力出力装置
JP4291731B2 (ja) * 2004-04-27 2009-07-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20070027594A1 (en) * 2004-10-04 2007-02-01 Mcnevich Dean E Dual inlet fuel tank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451839B2 (en) * 2005-05-24 2008-11-18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 vehicle using radio frequency generators
JP2007245999A (ja) * 2006-03-17 2007-09-27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車両
JP4367559B2 (ja) 2007-08-10 2009-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5125460B2 (ja) * 2007-12-05 2013-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5259220B2 (ja) * 2008-03-25 2013-08-0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3209U (ko) * 1990-12-29 1992-08-13
JPH09285022A (ja) * 1996-04-10 1997-10-31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充電表示装置
JP2001105903A (ja) * 1999-08-03 2001-04-17 Toyota Motor Corp 移動体と燃料供給装置並びに燃料供給システム
JP2007196967A (ja) * 2006-01-30 2007-08-09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およびハイブリッド車両の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2638A1 (ja) 2009-02-19
RU2440254C2 (ru) 2012-01-20
EP2174815A4 (en) 2018-04-11
US8122984B2 (en) 2012-02-28
CN101778727B (zh) 2013-01-02
CN101778727A (zh) 2010-07-14
JP2009062027A (ja) 2009-03-26
KR20100039902A (ko) 2010-04-16
EP3572261B1 (en) 2022-03-30
JP5251783B2 (ja) 2013-07-31
JP4367559B2 (ja) 2009-11-18
EP2174815B1 (en) 2019-07-24
EP3572261A1 (en) 2019-11-27
JP2010001017A (ja) 2010-01-07
RU2010108519A (ru) 2011-09-20
US20100133024A1 (en) 2010-06-03
EP2174815A1 (en)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912B1 (ko) 차량
JP5240186B2 (ja) 車両
JP4835440B2 (ja) 電気接続部および給油接続部とハイブリッド車両との接続構造
JP5259220B2 (ja) 電気自動車
EP2703204B1 (en) Hybrid vehicle and vehicle
KR101440011B1 (ko) 차량의 전원 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하는 차량
JP429325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10226840A (ja) 車両および充電装置
JP2008254700A (ja) 車両
JP4400649B2 (ja) 車両
JP2009100565A (ja) 電動車両
JP2009277382A (ja) 車両用充電装置および車両
JP2009295433A (ja) 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