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633B1 -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리튬 이온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리튬 이온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633B1
KR100973633B1 KR1020030083847A KR20030083847A KR100973633B1 KR 100973633 B1 KR100973633 B1 KR 100973633B1 KR 1020030083847 A KR1020030083847 A KR 1020030083847A KR 20030083847 A KR20030083847 A KR 20030083847A KR 100973633 B1 KR100973633 B1 KR 10097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electrode material
group
lithium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7621A (ko
Inventor
히로후미 후꾸오까
미끼오 아라마따
사또루 미야와끼
스스무 우에노
가즈마 모미이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21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vapour deposition
    • H01M4/0428Chemical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처리물을 포함하는 음극 활성 물질 재료의 표면을 도전성 피막으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얻은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를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음극재로서 사용함으로써, 고용량이면서 사이클성이 우수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그의 제조 방법도 간편하며 공업적 규모의 생산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

Description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ic Secondary Battery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 활성 물질로서 사용하였을 때 높은 충방전 용량 및 양호한 사이클 특성을 갖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형 전자 기기, 통신 기기 등의 현저한 발전에 따라, 경제성과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의 관점에서 높은 에너지 밀도의 이차 전지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종래, 상기 종류의 이차 전지의 고용량화 방책으로서, 예를 들면 음극 재료에 V, Si, B, Zr, Sn 등의 산화물 및 이들의 복합 산화물을 사용하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평)5-1748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60867호 공보 외), 용융 급랭시킨 금속 산화물을 음극재로서 적용하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평)10-294112호 공보), 음극 재료에 산화규소를 사용하는 방법(일본 특허 제2997741호 공보), 음극 재료에 Si2N2O 및 Ge2N2O를 사용하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평)11-102705호 공보) 등 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음극재에 도전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SiO를 흑연과 기계적으로 합금한 후 탄화 처리하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2000-243396호 공보), 규소 입자 표면에 화학 증착법에 의해 탄소층을 피복하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2000-215887호 공보), 산화규소 입자 표면에 화학 증착법에 의해 탄소층을 피복하는 방법(일본 특허 공개 2002-42806호 공보)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방법에서는 충방전 용량이 높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지지만, 사이클성이 불충분하거나 시장의 요구 특성에는 아직 불충분하여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한층 더 에너지 밀도의 향상이 요구되었다.
특히, 일본 특허 제2997741호 공보에서는 산화규소를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음극재로서 사용하여 고용량의 전극을 얻고 있지만, 본 발명자들이 볼 때에는 아직 첫회 충방전시에서의 비가역 용량이 크거나 사이클성이 실용 수준에 이르지 못하였으므로 개량의 여지가 있다. 또한, 음극재에 도전성을 부여한 기술에 대해서도 일본 특허 공개 2000-243396호 공보에서는 고체와 고체의 융착이기 때문에 균일한 탄소 피막이 형성되지 않고 도전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었고, 일본 특허 공개 2000-215887호 공보의 방법에 있어서는 균일한 탄소 피막의 형성이 가능해지지만, Si를 음극재로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리튬 이온의 흡탈착시의 팽창ㆍ수축이 너무 지나치게 커서 결과적으로 실용화에 견디지 못하고, 사이클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도록 충전량의 제한을 두어야만 하며, 일본 특허 공개 2002-42806호 공보의 방법에 있어서는 미세한 규소 결정의 석출, 탄소 피복의 구조 및 기재와의 융합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사이클성의 향상은 확인되더라도 충방전의 사이클수를 거 듭하면 서서히 용량이 저하되어 일정 회수 후에 급격히 저하된다는 현상이 있고, 이차 전지용으로서는 아직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사이클성이 높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음극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특히 단위 체적 당 이론 용량이 큰 Si, Si와 SiO2의 복합 분산체 및 화학식 SiOx(1.0≤x<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를 모재로 하여 여러가지 예의 연구한 결과, 상기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사이클성이 높은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를 발견하였다.
즉, 충방전 용량이 큰 전극 재료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고, 각처에서 연구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이들 중,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 활성 물질로서 규소 및 화학식 SiOx(1.0≤x<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는 그 용량이 크다는 점에서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지만, 반복 충방전하였을 때의 열화가 큰, 즉 사이클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사이클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0-21588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규소 분말에 화학 증착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에 의해,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각별히 그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지만, 아직 시장의 요구 특성에는 이르지 못하는 것이 실정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사이클 열화의 원인에 대하여 조사ㆍ연구한 결과, 사이클 열화는 리튬 이온을 흡장ㆍ방출하였을 때 음극재의 팽창ㆍ수축이 발생하여 음극재가 파괴됨으로써 전극의 도전성이 저하되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음극재의 파괴에 의한 도전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규소, 규소와 이산화규소의 복합 분산체 또는 화학식 SiOx(1.0≤x<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하고, 이 처리물을 도전성 피막으로 더 피복함으로써 음극재의 파괴를 방지하는 강한 구속력과 도전성이 얻어지고, 결과적으로 사이클 열화가 없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1)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처리물을 포함하는 음극 활성 물질 재료의 표면을 도전성 피막으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2) 상기 (1)에 있어서,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가 규소, 규소와 이산화규소의 복합 분산체, 화학식 SiOx(1.0≤x<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가 실란 커플링제, 그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 실릴화제, 실리콘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4) 상기 (3)에 있어서,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커플링제 또는 그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실릴화제 및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실리콘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Figure 112003044437593-pat00001
Figure 112003044437593-pat00002
(식 중, R은 1가 유기기이고, Y는 가수분해성기 또는 수산기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p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L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Figure 112003044437593-pat00003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q 및 r은 각각 0≤q≤2.5, 0.01≤r≤3, 0.5≤q+r≤3을 만족시키는 0 또는 양수이다.)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전성 피막이 탄소 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6) 상기 (5)에 있어서, 피복 탄소량이 음극 활성 물질 재료에 대하여 5 내지 70 중량%인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7)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처리물을 포함하는 음극 활성 물질 재료를 적어도 유기물 가스 또는 증기를 포함하는 분위기하에 500 내지 1400 ℃의 온도역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의 제조 방법,
(8) 상기 (7)에 있어서, 유기물 가스 또는 증기가 비산화성 분위기하에 500 내지 1400 ℃의 온도역에서 열분해하여 흑연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의 제조 방법,
(9)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극재를 음극 활성 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Si, 규소(Si)와 이산화규소(SiO2)와의 복합 분산체, SiOx(1.O≤x<1.6)라는 금속 규소, 규소 저급 산화물(소위, 산화규소) 등의 규소계 물질 이외에, 화학식 MOa (식 중, M은 Ge, Sn, Pb, Bi, Sb, Zn, In 및 Mg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a는 0.1 내지 4의 양수임)로 표시되는 규소를 포함하지 않는 금속 산화물, 또는 화학식 LiMbOc (식 중, M은 Ge, Sn, Pb, Bi, Sb, Zn, In, Mg 및 Si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 상이고, b는 0.1 내지 4의 양수이고, c는 0.1 내지 8의 양수임)로 표시되는 (규소를 포함한 것일 수도 있음) 리튬 복합 산화물이고, 구체적으로는 GeO, GeO2, SnO, SnO2, Sn2O3, Bi2O3, Bi2O5 , Sb2O3, Sb2O4, Sb2O5, ZnO, In2O, InO, In2O3, MgO, Li2SiO3, Li4SiO4, Li2Si3O7, Li2Si2 O5, Li8SiO6, Li6Si2O7, Li 4Ge9O7, Li4Ge9O2, Li5 Ge8O19, Li4Ge5O12, Li5Ge2O7, Li4 GeO4, Li2Ge7O15, Li2GeO3, Li 2Ge4O9, Li2SnO3, Li8SnO6 , Li2PbO3, Li7SbO5, LiSbO3, Li3SbO4, Li3BiO 5, Li6BiO6, LiBiO2, Li4Bi6O 11, Li6ZnO4, Li4ZnO3, Li2ZnO2, LiInO2, Li3InO3 또는 이들의 비양론적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이론 충방전 용량이 큰 Si(금속 규소) 및 산화규소를 사용한 경우에 본 발명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 경우, Si 및 산화규소의 물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평균 입경은 0.01 내지 50 ㎛, 특히 0.1 내지 10 ㎛가 바람직하다. 또한, Si(금속 규소)는 예를 들면 평균 입경 1 내지 500 n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 nm 정도의 미결정이 결정성 또는 비정질의 SiO2(이산화규소) 등의 규소계 화합물 중에 분산된 구조의 평균 입경 0.01 내지 50 ㎛, 특히 0.1 내지 10 ㎛ 정도의 복합 분산체의 형태일 수도 있다. 평균 입경이 0.01 ㎛보다 작으면 표면 산화의 영향으로 순도가 저하되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음극재로서 사용한 경우, 충방전 용량이 저하되거나 부피 밀도가 저하되어 단위 체적 당 충방전 용량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50 ㎛보다 크면 화학 증착 처리에서의 흑연 석출량이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음극재로서 사용한 경우에 사이클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평균 입경은 레이저 광 회절법에 의한 입도 분포 측정에서의 중량 평균 입경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처리하는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실란 커플링제, 그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 실릴화제, 실리콘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또한,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이란, 실란 커플링제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일 수도 있고, 전부를 가수분해 축합한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 축합물일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하기 화학식 1, 실릴화제로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3044437593-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03044437593-pat00005
식 중, R은 1가 유기기이고, Y는 가수분해성기 또는 수산기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p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L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여기서, R로서는 탄소수 1 내지 12, 특히 1 내지 10의 알킬기, 시클로알킬 기, 알케닐기, 아릴기, 아랄킬기 등의 비치환 1가 탄화수소기나, 이러한 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할로겐 원자(염소, 불소, 브롬 원자 등), 시아노기, 옥시에틸렌기 등의 옥시알킬렌기, 폴리옥시에틸렌기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기, (메트)아크릴기, (메트)아크릴옥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머캅토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우레이도기, 에폭시기 등의 관능기로 치환된 치환 1가 탄화수소기, 이들 비치환 또는 치환 1가 탄화수소기에 있어서 산소 원자, NH기, NCH3기, NC6H5 기, C6H5NH-기, H2NCH2CH2NH-기 등이 개재된 기를 들 수 있다.
R의 구체예로서는 CH3-, CH3CH2-, CH3CH2CH 2- 등의 알킬기, CH2=CH-, CH2=CHCH2-, CH2=C(CH3)- 등의 알케닐기, C6H 5- 등의 아릴기, ClCH2-, ClCH2CH2CH2-, CF3CH2CH2-, CNCH2CH2-, CH3-(CH 2CH2O)s-CH2CH2CH2-, CH2 (O)CHCH2OCH2CH2CH2-(단, CH2(O)CHCH2는 글리시딜기를 나타냄), CH2=CHCOOCH2-,
Figure 112003044437593-pat00006
HSCH2CH2CH2-, NH2CH2CH2CH2 -, NH2CH2CH2NHCH2CH2CH2-, NH 2CONHCH2CH2CH2-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R로서는 γ-글리시딜옥시프로필기,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기, γ-아미노프로필기, γ-시아노프로필기, γ-아크릴옥시프로필기,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기, γ-우레이도프로필기 등이다.
Y의 가수분해성기로서는 -OCH3, -OCH2CH3 등의 알콕시기, -NH2 , -NH-, -N=, -N(CH3)2 등의 아미노기, -Cl, -ON=C(CH3)CH2CH3 등의 옥시미노기, -ON(CH3)2 등의 아미노옥시기, -OCOCH3 등의 카르복실기, -OC(CH3)=CH2 등의 알케닐옥시기, -CH(CH3)-COOCH3, -C(CH3)2-COOCH3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모두 동일한 기일 수도 있고 상이한 기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Y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이소프로페닐옥시기 등의 알케닐옥시기, 이미드 잔기(-NH-), 비치환되거나 치환된 아세트아미드 잔기, 우레아 잔기, 카바메이트 잔기, 술파메이트 잔기, 수산기 등이다.
s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이다. 또한, n은 1 내지 4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3 또는 4이다.
실란 커플링제의 구체예로서는 메틸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메틸비닐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시아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γ-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단독일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혼합할 수도 있다. 또는 그의 가수분해 축합물 및(또는) 그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일 수도 있다.
또한, 화학식 2의 실릴화제의 구체예로서는 헥사메틸디실라잔,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라잔, 테트라비닐디메틸디실라잔, 옥타메틸트리실라잔 등의 오르가노실라 잔,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 N,O-비스(트리메틸실릴)카바메이트, N,O-비스(트리메틸실릴)술파메이트, N,O-비스(트리메틸실릴)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N,N'-비스(트리메틸실릴)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서 실리콘 수지(즉, 직쇄상, 환상, 분지상또는 삼차원 망상 구조의 1분자 중에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OR2)기(여기서, R2는 후술하는 R2와 동일함)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하기 화학식 3의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03044437593-pat00007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q 및 r은 각각 0≤q≤2.5, 0.01≤r≤3, 0.5≤q+r≤3을 만족시키는 0 또는 양수이다.
여기서, R1 및 R2의 1가 탄화수소기로서는 알킬기, 아릴기, 알케닐기 등, R로 예시된 것 중 탄소수 1 내지 10 또는 1 내지 6의 것을 들 수 있지만, R1은 메틸기, 에틸기, 비닐기, 페닐기, R2는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q는 O≤q≤2, 특히 0.3≤q<1.5가 바람직하고, r은 0.1≤r≤2, 특히 0.3≤r<1.2가 바람직하다. 또한, q+r은 0.5≤q+r≤2.1, 특히 0.8≤q+r≤1.8이 바람직하다.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모재인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단, 상기 양은 사용되는 실란 커플링제의 종류와 모재인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의 비표면적에 의존하고, 사용되는 실란 커플링제의 분자량이 클 때에 보다 많이,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의 비표면적이 클 때에도 보다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를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에 처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란 커플링제를 미리 묽은 수용액으로 만들고, 그 수용액에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여과 및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이 때, 실란 커플링제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CH3COOH, NH3,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탄,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옥틸산주석 등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키는 촉매를 적당량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를 미리 비교적 농도가 짙은 수용액으로 제조하여, 그 수용액을 메탄올 등의 유기 용매에 첨가하여 처리액을 제조하고, 이 처리액에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여과 및 건조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는, 상기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처리물을 포함하는 음극 활성 물질 재료의 표면을 도전성 피막으로 피복한 것이고, 도전성 피막은 구성된 전지에 있어서 분해나 변질을 일으키지 않는 도전성 재료이면 좋고, 구체적으로는 Al, Ti, Fe, Ni, Cu, Zn, Ag 및 Sn 등의 금속막이나 탄소 피막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 피막은 피복 처리의 용이함 및 높은 도전율로 인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 도전성 피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금법, 기계적 합금법, 화학 증착법을 들 수 있지만, 도전성 피막의 균일 형성의 관점에서 화학 증착법이 우수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도전성 피복 처리를 실시하는 모재(음극 활성 물질 재료)는,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처리물 단독일 수도 있지만, 도전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도전 재료(예를 들면 흑연 분말)와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처리물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음극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음극재는, 상기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처리물을 포함하는 음극 활성 물질 재료의 표면을 적어도 유기물 가스 또는 증기를 포함하는 분위기하에 500 내지 14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1300 ℃의 온도역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얻 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열처리 온도가 500 ℃보다 낮으면, 예를 들면 도전성 탄소 피막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거나 장시간의 열처리가 필요하므로 효율적이지 않다. 반대로 1400 ℃보다 높으면, 화학 증착 처리에 의해 입자끼리 융착, 응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고, 응집면에서 도전성 피막이 형성되지 않으며,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음극재로서 사용한 경우 사이클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특히 규소를 모재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규소의 융점에 가까운 온도가 되기 때문에, 규소가 용융되어 입자 표면에의 도전성 피막의 피복 처리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물 가스를 발생하는 원료로서 사용되는 유기물로서는, 특히 비산성 분위기하에 상기 열처리 온도에서 열분해하여 탄소(흑연)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 선택되고, 예를 들면 메탄, 에탄, 에틸렌, 아세틸렌, 프로판, 부탄, 부텐, 펜탄, 이소부탄, 헥산 등의 탄화수소 단독 또는 혼합물, 벤젠, 톨루엔, 크실렌, 스티렌, 에틸벤젠, 디페닐메탄, 나프탈렌, 페놀, 크레졸, 니트로벤젠, 클로로벤젠, 인덴, 쿠마론, 피리딘, 안트라센, 페난트렌 등의 1환 내지 3환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타르 증류 공정에서 얻어지는 가스 경유, 크레오소트유, 안트라센유, 나프타 분해 타르유도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와 유기물 가스와의 열처리는, 비산화성 분위기에서 가열 기구를 갖는 반응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연속법, 회분법으로 처리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유동층 반응로, 회전로, 수(竪)형 이동층 반응로, 터널로, 배치로 등을 그의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 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화학 증착 처리를 행하는 원료에 대해서는,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처리물 단독, 또는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처리물에 흑연을 첨가한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흑연을 첨가하는 이유는 보다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피복 탄소량은 모재(즉, 상기한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처리물 단독 또는 상기 처리물과 상기 도전 재료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음극 활성 물질 재료 전체)에 대하여 5 내지 70 중량%, 특히 10 내지 50 중량%가 바람직하다. 피복 탄소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도전성 향상에 현저한 효과는 보이지 않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음극재로서 사용한 경우에 사이클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반대로 70 중량%를 초과하면 탄소의 비율이 많아져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음극재로서 사용한 경우에 음극 용량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를 사용하여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얻어진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상기 음극재를 사용하는 점에서 특징을 가지고, 그 밖의 양극, 음극, 전해질, 격리판 등의 재료 및 전지 형상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양극 활성 물질로서는 LiCoO2, LiNiO2, LiMn2 O4, V 2O6, MnO2, TiS2, MoS2 등의 전이 금속 산화물 및 칼코겐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로서는 예를 들면 과염소산리튬 등의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수용액이 사용되고, 비수성 용매로서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톡시에탄, γ-부티로락톤,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또한, 이들 이외의 여러가지 비수계 전해질이나 고체 전해질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음극재를 사용하여 음극을 제조하는 경우,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음극재에 흑연 등의 도전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전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성된 전지에 있어서 분해나 변질을 일으키지 않는 전자 전도성 재료이면 좋고, 구체적으로는 Al, Ti, Fe, Ni, Cu, Zn, Ag, Sn 및 Si 등의 금속 분말이나 금속 섬유, 또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각종 코크스 분말, 중간상 탄소, 기상 성장 탄소 섬유, 피치계 탄소 섬유, PAN계 탄소 섬유, 각종 수지 소성체 등의 흑연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예에서 %는 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우선 실란 커플링제로서 비닐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상품명; KBM 1003) 100 중량부를 메탄올 용액 100 중량부에 용해시켜 50 % 메탄올 용액을 제조하고, 또한 상기 50 % 메탄올 용액 200 중량부를 순수한 물 100 중량부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수용액 1 중량부를 메탄올 100 중량부에 용해시킨 처리액을 제조하였다. 이 처리액 100 중량부에 평균 입경이 3.5 ㎛, BET 비표면적이 4 m2/g인 세라믹 등급용 금속 규소 분말을 100 중량부 첨가하고, 1 시간 기계적 교반을 행하여 충분히 혼합하였다. 그 후, 상기 슬러리를 여과 및 건조시켜, 실란 커플링제로 처리된 금속 규소 분말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금속 규소 분말을 회전로를 사용하여 Ar/CH4 가스 분위기 중 1200 ℃에서 화학 증착 처리를 행하여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흑색 분말은 평균 입경이 4.2 ㎛, BET 비표면적이 15.2 m2/g, 흑연 피복량이 22 %인 도전성 분말이었다.
○ 전지 평가
이어서 이하의 방법으로, 얻어진 도전성 분말을 음극 활성 물질로서 사용하여 전지를 평가하였다.
우선 얻어진 도전성 분말에 인조 흑연(평균 입경 5 ㎛)을 탄소 비율이 40 %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혼합물에 폴리불화비닐리덴을 10 % 첨가하고, N-메틸피롤리돈을 추가로 첨가하여 슬러리로 만들고, 이 슬러리를 두께 20 ㎛의 동박에 도포하여 120 ℃에서 1 시간 건조시킨 후, 롤러 프레스에 의해 전극을 가압 성형하여, 최종적으로는 20 mmφ로 펀칭 음극으로 만들었다.
여기서, 얻어진 음극의 충방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반대극에 리튬박을 사용하고, 비수성 전해질로서 육불화인리튬을 에틸렌 카르보네이트와 1,2-디메톡시에탄의 1/1(체적비) 혼합액에 1 몰/L의 농도로 용해시킨 비수성 전해질 용액을 사용하여, 격리판에 두께 30 ㎛의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질 필름을 사용한 평가용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하룻밤 실온에서 방치한 후, 이차 전지 충방전 시험 장치((주)나가노 제조)를 사용하여 시험용 셀의 전압이 O V에 도달할 때까지 1 mA의 정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0 V에 도달한 후에는 셀 전압을 0 V로 유지하 도록 전류를 감소시켜 충전을 행하였다. 또한, 전류치가 20 μA를 하회한 시점에서 충전을 종료하였다. 방전은 1 mA의 정전류로 행하고, 셀 전압이 1.8 V를 상회한 시점에서 방전을 종료하여 방전 용량을 구하였다.
이상의 충방전 시험을 반복하여, 평가용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50 사이클 후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첫회 충전 용량; 1386 mAh/g, 첫회 방전 용량; 1275 mAh/g, 첫회 충방전 효율: 90 %, 50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 1020 mAh/g, 50 사이클 후의 사이클 유지율; 80 %의 고용량이면서 첫회 충방전 효율 및 사이클성이 우수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임이 확인되었다.
<참고예>
모재로서, 평균 입경이 1.1 ㎛, BET 비표면적이 10.3 m2/g인 화학식 SiOx(x=1.02)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분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는, 평균 입경이 1.5 ㎛, BET 비표면적이 20.3 m2/g, 흑연 피복량이 24 %인 도전성 분말이었다.
이 도전성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전지를 제조하고, 동일한 전지 평가를 행한 결과 첫회 충방전 용량; 975 mAh/g, 첫회 방전 용량; 780 mAh/g, 첫회 충방전 효율; 80 %, 50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 773 mAh/g, 50 사이클 후의 사이클 유지율; 99 %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용량은 떨어지지만 사이클성이 우수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였다.
<실시예 2>
실란 커플링제로서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 가가꾸 고교(주) 제조, 상품명; KBM 50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는, 평균 입경이 4.4 ㎛, BET 비표면적이 14.3 m2/g, 흑연 피복량이 27 %인 도전성 분말이었다.
이 도전성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전지를 제조하고, 동일한 전지 평가를 행한 결과 첫회 충방전 용량; 1312 mAh/g, 첫회 방전 용량; 1194 mAh/g, 첫회 충방전 효율; 91 %, 50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 1015 mAh/g, 50 사이클 후의 사이클 유지율; 85 %의 고용량, 고사이클성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였다.
<실시예 3>
표면 처리제로서 헥사메틸디실라잔의 5 % 헥산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는, 평균 입경이 3.7 ㎛, BET 비표면적이 14.8 m2/g, 흑연 피복량이 23 %인 도전성 분말이었다.
이 도전성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전지를 제조하고, 동일한 전지 평가를 행한 결과 첫회 충방전 용량; 1371 mAh/g, 첫회 방전 용량; 1233 mAh/g, 첫회 충방전 효율; 90 %, 50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 962 mAh/g, 50 사이클 후의 사이클 유지율; 78 %의 고용량, 고사이클성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였다.
<비교예 1>
실란 커플링제를 처리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는, 평균 입경이 4.8 ㎛, BET 비표면적이 18.1 m2/g, 흑연 피복량이 21 %인 도전성 분말이었다.
이 도전성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전지를 제조하고, 동일한 전지 평가를 행한 결과 첫회 충방전 용량; 1687 mAh/g, 첫회 방전 용량; 1552 mAh/g, 첫회 충방전 효율; 92 %, 50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 775 mAh/g, 50 사이클 후의 사이클 유지율; 50 %의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사이클성이 떨어지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였다.
<비교예 2>
실란 커플링제를 처리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참고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는, 평균 입경이 1.2 ㎛, BET 비표면적이 23.1 m2/g, 흑연 피복량이 23 %인 도전성 분말이었다.
이 도전성 분말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용 전지를 제조하고, 동일한 전지 평가를 행한 결과 첫회 충방전 용량; 1182 mAh/g, 첫회 방전 용량; 851 mAh/g, 첫회 충방전 효율; 72 %, 50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 832 mAh/g, 50 사이클 후의 사이클 유지율; 98 %로, 실시예 2에 비해 첫회 충방전 효율, 사이클성이 떨어지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였다.
본 발명에서 얻은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를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음극재로서 사용함으로써, 고용량이면서 사이클성이 우수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그의 제조 방법도 간편하며, 공업적 규모의 생산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평균 입경 0.01 내지 50 ㎛의 규소(Si), 또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500 nm인 금속 규소의 미결정이 결정성 또는 비정질의 이산화규소(SiO2) 중에 분산된 구조인 평균 입경 0.01 내지 50 ㎛의 규소와 이산화규소의 복합 분산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처리물을 포함하는 음극 활성 물질 재료의 표면을, 유기물 가스 또는 증기를 포함하는 분위기하에 500 내지 1400 ℃의 온도역에서 열분해되어 생성되는 흑연을 포함하는 도전성 피막으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가 실란 커플링제, 그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 실릴화제, 실리콘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4. 제3항에 있어서,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 커플링제 또는 그의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실릴화제 및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실리콘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화학식 1>
    Figure 112003044437593-pat00008
    <화학식 2>
    Figure 112003044437593-pat00009
    식 중, R은 1가 유기기이고, Y는 가수분해성기 또는 수산기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p는 1 내지 3의 정수이고, L은 2 내지 4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03044437593-pat00010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q 및 r은 각각 0≤q≤2.5, 0.01≤r≤3, 0.5≤q+r≤3을 만족시키는 0 또는 양수이다.
  5. 삭제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복 흑연량이 음극 활성 물질 재료에 대하여 5 내지 70 중량%인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7. 평균 입경 0.01 내지 50 ㎛의 규소(Si), 또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500 nm인 금속 규소의 미결정이 결정성 또는 비정질의 이산화규소(SiO2) 중에 분산된 구조인 평균 입경 0.01 내지 50 ㎛의 규소와 이산화규소의 복합 분산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할 수 있는 재료를 유기 규소계 표면 처리제로 처리한 처리물을 포함하는 음극 활성 물질 재료를 적어도 유기물 가스 또는 증기를 포함하는 분위기하에 500 내지 1400 ℃의 온도역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유기물 가스 또는 증기가 비산화성 분위기하에 500 내지 1400 ℃의 온도역에서 열분해하여 흑연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의 제조 방법.
  9.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극재를 음극 활성 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20030083847A 2002-11-26 2003-11-25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0973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42624A JP4025995B2 (ja) 2002-11-26 2002-11-26 非水電解質二次電池負極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JP-P-2002-00342624 2002-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621A KR20040047621A (ko) 2004-06-05
KR100973633B1 true KR100973633B1 (ko) 2010-08-02

Family

ID=3237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847A KR100973633B1 (ko) 2002-11-26 2003-11-25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리튬 이온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58011B2 (ko)
JP (1) JP4025995B2 (ko)
KR (1) KR100973633B1 (ko)
CN (1) CN1290212C (ko)
TW (1) TW2004158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932B1 (ko) * 2010-03-11 2013-04-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고분자-규소 복합체 입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6053031A1 (ko) * 2014-10-02 2016-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5059B (en) * 2002-11-05 2005-03-16 Imp College Innovations Ltd Structured silicon anode
JP4650603B2 (ja) * 2003-12-22 2011-03-16 日本電気株式会社 二次電池用負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KR100570648B1 (ko) * 2004-01-26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7432015B2 (en) * 2004-02-25 2008-10-07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00547830C (zh) * 2004-03-08 2009-10-07 三星Sdi株式会社 可充电锂电池的负极活性物质及其制法以及包含它的可充电锂电池
US7790316B2 (en) * 2004-03-26 2010-09-07 Shin-Etsu Chemical Co., Ltd. Silicon composite particles, preparation thereof, an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JP4852824B2 (ja) * 2004-03-31 2012-01-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そ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7658863B2 (en) * 2004-07-30 2010-02-09 Shin-Etsu Chemical Co., Ltd. Si-C-O composite, making method,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material
JP4998662B2 (ja) * 2004-07-30 2012-08-1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Si−C−O系コンポジ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
JP2006100255A (ja) * 2004-09-03 2006-04-13 Shin Etsu Chem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負極材用金属珪素粉末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
US20060051670A1 (en) * 2004-09-03 2006-03-09 Shin-Etsu Chemical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nd metallic silicon power therefor
CN100502137C (zh) * 2004-11-19 2009-06-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
JP5082227B2 (ja) * 2004-11-22 2012-11-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構造体
JP4229062B2 (ja) * 2004-12-22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209964B2 (ja) * 2005-06-15 2013-06-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709860B1 (ko) * 2005-07-22 2007-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i함유 물질층 및 다공성막을 포함하는 전극 및 이를채용한 리튬 전지
JP4826199B2 (ja) * 2005-10-14 2011-11-3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水系リチウム二次電池
GB0601319D0 (en) 2006-01-23 2006-03-01 Imp Innovations Ltd A method of fabricating pillars composed of silicon-based material
GB0601318D0 (en) 2006-01-23 2006-03-01 Imp Innovations Ltd Method of etching a silicon-based material
JP4911990B2 (ja) * 2006-02-27 2012-04-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
US20070224509A1 (en) * 2006-03-27 2007-09-27 Shin-Etsu Chemical Co., Ltd. SiCO-Li COMPOSITE, MAKING METHOD,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MATERIAL
US7776473B2 (en) * 2006-03-27 2010-08-17 Shin-Etsu Chemical Co., Ltd. Silicon-silicon oxide-lithium composite, making method,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negative electrode material
CN101411007A (zh) * 2006-03-30 2009-04-15 三洋电机株式会社 锂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KR100875126B1 (ko) * 2006-11-13 2008-12-22 한국과학기술원 개선된 사이클 성능을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101496934B1 (ko) 2006-11-15 2015-03-03 유니버시티 오브 워싱톤 스루 이츠 센터 포 커머셜리제이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턴스 장치
KR100759410B1 (ko) * 2006-11-20 2007-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814880B1 (ko) * 2006-11-22 2008-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778450B1 (ko) * 2006-11-22 2007-11-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851969B1 (ko) * 2007-01-05 2008-08-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음극과 리튬전지
KR101451801B1 (ko) * 2007-02-14 2014-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음극과 리튬전지
KR100805123B1 (ko) * 2007-02-15 200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20080206641A1 (en) * 2007-02-27 2008-08-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de compositions and electrodes made therefrom
GB0709165D0 (en) 2007-05-11 2007-06-20 Nexeon Ltd A silicon anode for a rechargeable battery
JP5511128B2 (ja) * 2007-06-07 2014-06-04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用負極材料及び非水二次電池
GB0713898D0 (en) 2007-07-17 2007-08-29 Nexeon Ltd A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GB0713895D0 (en) * 2007-07-17 2007-08-29 Nexeon Ltd Production
GB0713896D0 (en) * 2007-07-17 2007-08-29 Nexeon Ltd Method
KR100878718B1 (ko) * 2007-08-28 2009-01-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이차전지용 실리콘 박막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0898291B1 (ko) * 2007-09-12 2009-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100913177B1 (ko) 2007-09-17 2009-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98293B1 (ko) * 2007-11-27 2009-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06013B1 (ko) * 2008-03-17 2014-06-1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용 부극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용 부극 및 비수 전해질 2차 전지
GB2464157B (en) 2008-10-10 2010-09-01 Nexeon Ltd A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GB2464158B (en) 2008-10-10 2011-04-20 Nexeon Ltd A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KR101470022B1 (ko) * 2009-05-04 2014-1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규소-고분자 복합체 입자,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
GB2470056B (en) 2009-05-07 2013-09-11 Nexeon Ltd A method of making silicon anode material for rechargeable cells
GB2470190B (en) 2009-05-11 2011-07-13 Nexeon Ltd A binder for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cells
US9853292B2 (en) 2009-05-11 2017-12-26 Nexeon Limited Electrode composition for a secondary battery cell
JP5536364B2 (ja) * 2009-05-25 2014-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003033A1 (en) 2009-07-01 2011-01-06 Energ2, Inc. Ultrapure synthetic carbon materials
JP5120371B2 (ja) * 2009-12-24 2013-01-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
JP5985137B2 (ja) * 2010-03-16 2016-09-06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の製造方法
GB201005979D0 (en) 2010-04-09 2010-05-26 Nexeon Ltd A method of fabricating structured particles composed of silicon or a silicon-based material and their use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JP2011243558A (ja) * 2010-04-22 2011-12-01 Hitachi Maxell Energy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GB201009519D0 (en) 2010-06-07 2010-07-21 Nexeon Ltd An additive for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cells
GB201014706D0 (en) 2010-09-03 2010-10-20 Nexeon Ltd Porous electroactive material
GB201014707D0 (en) 2010-09-03 2010-10-20 Nexeon Ltd Electroactive material
CN103261090A (zh) 2010-09-30 2013-08-21 艾纳G2技术公司 储能颗粒的增强式装填
KR101135500B1 (ko) * 2010-11-25 2012-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20120244440A1 (en) * 2011-03-24 2012-09-27 Nathan Lee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KR101907700B1 (ko) * 2011-04-13 2018-10-12 에스 이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재 및 리튬 이차 전지
US20120262127A1 (en) 2011-04-15 2012-10-18 Energ2 Technologies, Inc. Flow ultracapacitor
CN103947017B (zh) 2011-06-03 2017-11-17 巴斯福股份公司 用于混合能量存储装置中的碳‑铅共混物
KR101340267B1 (ko) * 2011-07-20 2013-12-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충방전 성능이 향상된 이차전지
JP5365668B2 (ja) * 2011-07-27 2013-12-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負極の製造方法
WO2013120011A1 (en) 2012-02-09 2013-08-15 Energ2 Technologies, Inc. Preparation of polymeric resins and carbon materials
KR101569136B1 (ko) * 2012-03-05 2015-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입자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용 기재의 코팅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코팅된 기재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30106687A (ko) * 2012-03-20 2013-09-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KR101507453B1 (ko) * 2012-04-18 2015-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6020331B2 (ja) * 2012-05-16 2016-11-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珪素酸化物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電気化学キャパシタ
CN104247110A (zh) 2012-07-17 2014-12-24 日本瑞翁株式会社 二次电池用负极及二次电池
CN103794767A (zh) * 2012-11-02 2014-05-14 华为技术有限公司 锂电池负极材料、负极和锂电池及其制备方法、通信设备
JP5599527B1 (ja) * 2012-11-20 2014-10-01 昭和電工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
CN104823308B (zh) 2012-12-05 2017-03-08 日本瑞翁株式会社 锂离子二次电池
KR20150098610A (ko) * 2012-12-19 2015-08-28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비수성 이차 전지 부극용 활물질 및 비수성 이차 전지
JP6417943B2 (ja) 2013-02-04 2018-11-0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正極用スラリー
US20140272592A1 (en) 2013-03-14 2014-09-18 Energ2 Technologies, Inc. Composite carbon materials comprising lithium alloying electrochemical modifiers
CN103474666B (zh) * 2013-07-23 2016-03-02 江苏华东锂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锂离子电池负极活性材料的制备方法
JP6393969B2 (ja) * 2013-09-30 2018-09-26 凸版印刷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極活物質の製造方法、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KR20160063332A (ko) * 2013-09-30 2016-06-03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이차 전지용 전극, 이차 전지
US10195583B2 (en) 2013-11-05 2019-02-05 Group 14 Technologies, Inc. Carbon-based compositions with highly efficient volumetric gas sorption
CN103682244B (zh) * 2013-12-04 2015-11-18 上海纳米技术及应用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电极材料的表面包覆方法
JP6301142B2 (ja) * 2014-01-31 2018-03-2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
EP3143051A1 (en) 2014-03-14 2017-03-22 Energ2 Technologies, Inc. Novel methods for sol-gel polymerization in absence of solvent and creation of tunable carbon structure from same
WO2015140983A1 (ja) 2014-03-20 2015-09-24 株式会社 東芝 非水電解質電池用活物質、非水電解質電池用電極、非水電解質二次電池、電池パック及び非水電解質電池用活物質の製造方法
JP6596807B2 (ja) * 2014-03-25 2019-10-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負極用複合黒鉛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二次電池
CN103996835A (zh) * 2014-06-14 2014-08-2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具有硅烷偶联剂包覆层结构的硅基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3996834B (zh) * 2014-06-14 2016-08-2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具有硅烷偶联剂和导电聚合物双层包覆结构的硅基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6009590A1 (ja) * 2014-07-15 2016-01-2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及び負極活物質粒子の製造方法
JP6664184B2 (ja) 2014-10-15 2020-03-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極、及び電極の作製方法
US10763501B2 (en) 2015-08-14 2020-09-01 Group14 Technologies, Inc. Nano-featured porous silicon materials
JP7115976B2 (ja) 2015-08-28 2022-08-09 グループ14・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チウムの非常に耐久性のある挿入を有する新規な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76360B2 (ja) 2017-03-09 2023-11-08 グループ14・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孔質足場材料の上のケイ素含有前駆体の分解
JP6802111B2 (ja) * 2017-06-02 2020-12-1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
CN107579203B (zh) * 2017-08-09 2020-12-22 华南理工大学 一种锂离子电池硅掺杂碳多孔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
JP7293645B2 (ja) 2017-12-27 2023-06-20 東ソー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複合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33752B2 (ja) * 2018-03-23 2021-02-24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電池パック、車両及び定置用電源
JP6969483B2 (ja) 2018-04-09 202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714788B2 (en) 2018-06-20 2020-07-14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Silicate compounds as solid Li-ion conductors
WO2020080452A1 (ja) * 2018-10-18 2020-04-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負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9888217B (zh) 2019-02-20 2021-08-03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负极活性材料和使用其的负极极片以及电化学和电子装置
US11916226B2 (en) * 2019-07-08 2024-02-27 StoreDot Ltd. Anode coating in lithium ion batteries
CN111180693B (zh) * 2019-12-31 2021-06-04 安普瑞斯(南京)有限公司 负极活性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335903B2 (en) 2020-08-18 2022-05-17 Group14 Technologies, Inc. Highly efficient manufacturing of silicon-carbon composites materials comprising ultra low z
US11639292B2 (en) 2020-08-18 2023-05-02 Group14 Technologies, Inc. Particulate composite materials
US11174167B1 (en) 2020-08-18 2021-11-16 Group14 Technologies, Inc. Silicon carbon composites comprising ultra low Z
CN112421008B (zh) * 2020-11-23 2022-09-02 上海纳米技术及应用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用于锂离子电池负极的碳包覆氧化亚硅材料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CN115152057A (zh) * 2021-11-04 2022-10-04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负极活性材料、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8560A (ja) * 1990-11-20 1992-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の製造法
JP2001160392A (ja) 1999-12-01 2001-06-12 Kao Corp 非水系二次電池
JP2001216961A (ja) * 2000-02-04 2001-08-10 Shin Etsu Chem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ケイ素酸化物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2042806A (ja) * 2000-07-19 2002-02-0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228B2 (ja) 1991-12-18 2000-02-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負極活物質の製造方法
JP3242751B2 (ja) 1992-04-24 2001-12-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US5478671A (en) * 1992-04-24 1995-12-26 Fuji Photo Film Co., Lt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2997741B2 (ja) 1992-07-29 2000-01-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3846661B2 (ja) 1997-02-24 2006-11-1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JP3918311B2 (ja) 1997-07-29 2007-05-23 ソニー株式会社 負極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6066414A (en) * 1997-07-29 2000-05-23 Sony Corporation Material of negative electrode and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4393610B2 (ja) 1999-01-26 2010-01-06 日本コークス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材料、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同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2000243396A (ja) 1999-02-23 2000-09-08 Hitachi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負極材並びに電気機器
US6733922B2 (en) * 2001-03-02 2004-05-11 Samsung Sdi Co., Ltd. Carbonaceous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mprising same
JP4752992B2 (ja) * 2001-06-15 2011-08-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8560A (ja) * 1990-11-20 1992-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の製造法
JP2001160392A (ja) 1999-12-01 2001-06-12 Kao Corp 非水系二次電池
JP2001216961A (ja) * 2000-02-04 2001-08-10 Shin Etsu Chem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ケイ素酸化物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2042806A (ja) * 2000-07-19 2002-02-0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932B1 (ko) * 2010-03-11 2013-04-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고분자-규소 복합체 입자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6053031A1 (ko) * 2014-10-02 2016-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05187A (zh) 2004-06-16
CN1290212C (zh) 2006-12-13
US20040106040A1 (en) 2004-06-03
US7358011B2 (en) 2008-04-15
JP4025995B2 (ja) 2007-12-26
TWI331420B (ko) 2010-10-01
KR20040047621A (ko) 2004-06-05
JP2004178917A (ja) 2004-06-24
TW200415815A (en) 200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633B1 (ko) 비수성 전해질 이차 전지 음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리튬 이온 이차 전지
JP4171897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及びその製造方法
TWI396320B (zh) Si-C-O composite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KR101461665B1 (ko) 규소-규소 산화물-리튬계 복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및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용 부극재
KR101296447B1 (ko)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부극재용 금속 규소 분말 및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용 부극재
JP7228975B2 (ja) 複合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それを含んだ正極、及びリチウム電池
US11715832B2 (en) Electrochemically stable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and production method
KR20090086320A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전지 및 전기화학 캐패시터
KR20060051615A (ko) 비수전해질 2차 전지용 음극 활성 물질 및 비수전해질 2차전지
JP2020525993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CN110431109B (zh) 制备不可逆添加剂的方法、包含不可逆添加剂的正极材料以及锂二次电池
KR20200023240A (ko) 실리콘계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JP2019522882A (ja) 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JPH04342966A (ja) 非水溶媒二次電池
JP4288455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負極材の製造方法
JPH08148185A (ja) 非水系二次電池及び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
US11682757B2 (en) Composite anode act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e anod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composite anode active material
WO2020040613A1 (ko)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JP3016627B2 (ja) 非水溶媒二次電池
JP2006012576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及びその作製方法
KR20200022729A (ko)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JP3499739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H0950809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CN113839104A (zh) 一种锂电池负极及锂电池
JP3144832B2 (ja) 非水溶媒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