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220B1 - 탈취 십자화과 식물 색소 - Google Patents

탈취 십자화과 식물 색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220B1
KR100813220B1 KR1020027015850A KR20027015850A KR100813220B1 KR 100813220 B1 KR100813220 B1 KR 100813220B1 KR 1020027015850 A KR1020027015850 A KR 1020027015850A KR 20027015850 A KR20027015850 A KR 20027015850A KR 100813220 B1 KR100813220 B1 KR 100813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cruciferous plant
membrane
pigmen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240A (ko
Inventor
유카와지요키
이치다카히토
시바하라야스시
신보구니유키
Original Assignee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1/00Dyes of natural origin prepared from natural sources, e.g. vegetable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23L5/43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using naturally occurring organic dyes or pigmen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96Purification; Precipitation;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십자화과 식물에서 유래하는 냄새가 전혀 없거나(무취) 또는 현저히 저감되어(미취) 이루어지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 및 상기 색소를 함유하는 색소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무취 또는 미취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색소는, 색가: E10% 1cm = 80으로 한 경우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 농도가 100 ppm 이하가 되도록,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에 대하여, 흡착 처리, 이온 교환 처리, 산 처리 또는 막분리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십자화과 식물, 식물 색소 제제, 탈취, 무취, 미취, 흡착처리

Description

탈취 십자화과 식물 색소{DEODORIZED COLORANT OF BRASSICACEAE PLANT}
본 발명은, 냄새가 없거나(무취) 또는 냄새가 현저히 저감된(미취) 십자화과 식물 색소(Brassicaceae plant colorant), 및 상기 색소를 함유하는 색소 제제에 관한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장기 보존 또는 빛이나 열의 영향에 의해서 생길 수 있는 시간 경과에 따른 냄새의 발현이 현저히 억제된 무취 또는 미취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 및 상기 색소를 함유하는 색소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무취 또는 미취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토시아닌계 색소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는, 주로 음료 등의 식품의 착색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색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십자화과 식물 색소는, 원료로서 사용되는 십자화과 식물에 기인한 특유의 야채 냄새 또는 절임 냄새라는 냄새를 갖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제품에 사용할 때, 그 냄새나 향기가 이들 제품의 풍미(風味), 맛 또는 향기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식품 등에 첨가해도 십자화과 식물 유래의 냄새가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향기가 저감된 십자화과 색소 제제가 요구되고 있고, 지금까지 각종의 정제 방법이 검토되어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자색 양배추(red cabbage)의 추출액을 흡착 수지 또는 이온 교환 수지로 처리하는 방법(일본 특공소62-18581호), 수용성 식용 색소를 유기 용매나 초임계 상태의 탄산 가스로 추출하는 방법(일본 특공평4-48420호), 또는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포함하는 물이나 알코올 용액을 양이온 교환 수지, 실리카겔(탈취 처리) 및 분자량 약 20,000 이상의 분자를 제거하는 한외 여과막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일본 특공평4-41185호)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에 의해서 제조되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를 포함하는 색소 제제는, 미처리의 색소 제제에 비해 확실히 냄새는 저감되어 있지만, 아직 만족할 수 있는 색소 제제라고 말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 제제는, 가열이나 장기 보존에 의해서 향기가 발현되어 서서히 냄새가 강해져서, 소위 「냄새가 되돌아오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지만, 상기 각종 처리에 의해서도 이러한 「냄새가 되돌아오는 현상」에 대한 문제는 아직 해소되고 있지 않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식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또는 화장품 등의 각종 제품의 풍미나 향미(香味)에 대해 장기간 동안 영향을 주지 않고, 이들 제품에 안심하고 배합 사용할 수 있는 십자화과(Beassicaceae) 식물 색소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첫째, 십자화과 식물에서 유래하는 냄새를 갖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냄새가 현저히 저감되어 이루어지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 및 상기 색소를 함유하는 색소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로 본 발명은, 가열이나 장기 보존에 의해서도 소위 「냄새가 되돌아오는 현상」이라는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는 안정성이 우수한 십자화과 식물 색소, 및 상기 색소를 함유하는 색소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째로 본 발명은, 상기의 무취 또는 미취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십자화과 식물 색소 제제에 관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야로 예의 검토한 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십자화과 식물에 포함되는 악취나 이상한 냄새의 원인이 되는 향기 성분을 현저히 제거할 수 있고, 무취 또는 미취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를 조제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이렇게 해서 수득한 십자화과 식물 색소는, 가열이나 장기 보존에 의해서도 「냄새가 되돌아오는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음을 발견했다. 그리고, 이들 발견으로부터 해당 십자화과 식물 색소를 원료로 함으로써, 무취 또는 미취이며 시간 경과적으로 안정성이 우수한 십자화과 식물 색소 제제를 조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8)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이다:
(1). 색가를 E10% 1cm = 80 으로 한 경우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 농도가 100ppm 이하인 십자화과(Beassicaceae) 식물 색소.
(2). 색가를 E10% 1cm = 80 으로 한 경우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 농도가 50ppm 이하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
(3). 색가를 E10% 1cm = 80 으로 한 경우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 농도가 20ppm 이하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
(4). 상기 향기 성분이, 디메틸디설파이드, 디메틸트리설파이드, 3-부텐니트릴, 4-펜텐니트릴, 3-페닐프로판니트릴, 4-(메틸티오)부탄니트릴, 5-(메틸티오)펜탄니트릴, 헥산올, 2-헥센알(hexenal), cis-3-헥센알, 4-비닐페놀, 페닐아세트알데히드 및 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종인 (1)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
(5). 색가를 E10% 1cm = 80 으로 한 경우에, 포함되는 디메틸디설파이드 및/또는 디메틸트리설파이드의 농도가, 총량으로 0.1ppm 이하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
(6). 색가를 E10% 1cm = 80 으로 한 경우에, 포함되는 3-부텐니트릴, 4-펜텐니트릴, 3-페닐프로판니트릴, 4-(메틸티오)부탄니트릴, 5-(메틸티오)펜탄니트릴, 헥산올, 2-헥센알, cis-3-헥센알, 4-비닐페놀, 페닐아세트알데히드 또는 아세트산의 각 농도가 각각 1 ppm 이하인 (5)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
(7). 십자화과 식물 색소가, 적색 양배추(red cabbage), 비트(beet), 래디쉬(radish), 호스래디쉬(horse radish), 흑무우(black radish), 적색 순무(red turnip), 케일(kale), 브로콜리(broccoli), 콜리플라워(cauliflower), 방울다다기 양배추(baby cabbage), 콜라비(kohlrabi), 흑겨자(black mustard), 관상용 케일(ornamental kale), 및 곱슬겨자채(leaf mustard)에서 유래하는 색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7)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를 함유하는 색소 제제이다. 이러한 양태로서는 하기의 (8) 및 (9)를 들 수 있다.
(8). 용액상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 제제.
(9). 십자화과 식물 색소를 1∼9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 제제.
또한, 본 발명은, 하기 (10)∼(24)에 따른, 상기 고도로 정제된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10).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에 대하여, 흡착 처리, 이온 교환 처리, 산처리 및 막분리 처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 또는 미취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1).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이, 십자화과 식물을 산성 추출 용매중에서 세단(細斷)하면서 추출하던지, 십자화과 식물의 세단물을 산성 추출 용매에 넣 고 침지 추출함으로써 수득하는 것인 (10)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2). 산성 추출 용매의 pH가 1∼4 인 (11)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3).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이, 십자화과 식물을 산성 추출 용매에 침지하고, 그후,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득하는 것인 (11)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4). 산처리가, 식품 첨가물로서 사용되는 산을 이용한 처리인 (10)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5). 산처리가, 황산, 염산, 인산 및 질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무기산을 이용한 처리인 (10)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6). 산처리가,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 또는 각종 처리 후의 처리액을 pH 1∼4의 조건하에 노출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10)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7). 막분리 처리가, 멤브레인 필터막 처리, 한외여과막 처리, 역침투막 처리, 전기투석막 처리, 이온선별막 처리 및 이온 교환막 처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처리인 (10)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8).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을, 탈단백 처리한 후에 막분리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 또는 미취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9). 상기 막분리 처리가, 역침투막 처리 또는 한외여과막 처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처리인 (18)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20). 상기 막분리 처리가, 분획 분자량(molecular weight cut off)이 2000∼4000인 막을 이용한 처리인 (18)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21). 탈단백 처리가, 이온 교환 처리, 추출 처리, 막분리 처리 및 겔여과 처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처리인 (18)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22). 탈단백 처리로서 이용하는 막분리 처리가 분획 분자량이 104∼106인 막을 이용한 처리인 (21)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23). 막분리 처리 전에 산처리를 행하는 (18)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본 발명은, 원료로서 사용하는 십자화과 식물에서 유래하는 냄새를 갖지 않거나 또는 냄새가 현저하게 저감되어 이루어지는, 무취 또는 미취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십자화과 식물 색소란, 십자화과(Family Brassicaceae)에 속하는 식물을 원료로 하여 수득하는 색소를 널리 의미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십자화과 식물에 유래하는 안토시아닌계 색소이며, 상기 안토시아닌계 색소를 함유하는 적색(赤色)계 색소 및 적자색(赤紫色)계 색소도 포함된다.
여기서 십자화과 식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색 양배추(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DC),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L. var. itarica Plen.), 콜리플라워(Brassica oleracea L. var. otrytis gr.), 방울다다기 양배추(Brassica oleracea L. var. gemmifera Zenher), 콜라비(Brassica oleracea L. var. caulorapa DC), 케일(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gr.), 관상용케일(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DC), 적색 순무(Brassica rape), 겨자(Brassica nigra) 및 곱슬겨자채(Brassica juncea) 등의 십자화과 십자화속에 속하는 식물; 비트(Raphanus sativus L.), 래디쉬(Raphanus sativus var. radicula), 서양 무우(Raphanus sativus var. major), 흑 무우(Raphanus sativus var. niger) 등의 십자화과 무우속에 속하는 식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색가(色價)" (E10% 1cm) 란, 대상이 되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를 함유하는 용액(완충액 pH 3.0)의 가시부(可視部)에서의 극대 흡수 파장(530nm 부근)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측정 셀 폭: 1cm), 상기 흡광도를 10w/v% 십자화과 식물 색소 함유 용액의 흡광도로 환산한 수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향기 성분"이란, 각종의 십자화과 식물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 특히 악취나 이상한 냄새의 원인이 되는 향기 성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디메틸디설파이드, 디메틸트리설파이 드, 3-부텐니트릴, 4-펜텐니트릴, 3-페닐프로판니트릴, 4-(메틸티오)부탄니트릴, 5-(메틸티오)펜탄니트릴, 헥산올, 2-헥센알(hexenal), cis-3-헥센알, 4-비닐페놀, 페닐아세트알데히드 또는 아세트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는, 해당 색소의 색가를
E10% 1cm = 80
으로 조정한 경우에, 상기 색소 중에 포함되는 상기 향기 성분의 총 농도가 1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50ppm 정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정도 이하이다. 향기 성분의 농도는 색가에 거의 비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는, 색소를 상기 색가로 조정한 경우에 향기 성분의 총 농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이면 좋고, 색소 자체가 상기 색가를 가질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로서 바람직하게는, 그 색가를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한 경우에, 상기 색소 중에 포함되는 디메틸디설파이드 및/또는 디메틸트리설파이드의 농도가, 총량으로 0.1ppm 정도 이하인 것이다. 이들 성분은, 십자화과 식물에 포함되는 휘발성 향기 성분이며, 냄새 임계값이 대단히 작아 약간 포함되는 것만으로 이상한 냄새를 풍긴다. 따라서, 십자화과 식물 색소에 있어서의 악취의 주원인이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십자화과 식물 색소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상기의 다른 각 향기 성분(3-부텐니트릴, 4-펜텐니트릴, 3-페닐프로판니트릴, 4-(메틸티오)부탄니트릴, 5-(메틸티오)펜탄니트릴, 헥산올, 2-헥센알, cis-3-헥센알, 4-비 닐페놀, 페닐아세트알데히드, 아세트산)의 농도가 각각 1ppm 정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향기 성분의 함유량이 매우 저감됨으로써, 무취 또는 미취화된 본 발명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에 대하여, 흡착 처리, 이온 교환 처리, 산 처리, 추출 처리 또는 막분리 처리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의 처리를 임의로 2종 이상 조합하여 행함으로써 제조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무취 또는 미취화된 십자화과 식물 색소(탈취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별도의 관점에서, 십자화과 식물의 색소 추출액에 포함되는 이상한 냄새 또는 악취의 원인 성분, 특히 디메틸디설파이드, 디메틸트리설파이드, 3-부텐니트릴, 4-펜텐니트릴, 3-페닐프로판니트릴, 4-(메틸티오)부탄니트릴, 5-(메틸티오)펜탄니트릴, 헥산올, 2-헥센알, cis-3-헥센알, 4-비닐페놀, 페닐아세트알데히드 또는 아세트산의 향기 성분을 제거 또는 저감하기 위해서 유용한,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정제 방법이라고도 바꾸어 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또 다른 별도의 관점에서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탈취 방법이라고도 바꾸어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십자화과 식물의 색소 추출액으로서는, 전술하는 각종의 십자화과 식물의 식물체의 용매 추출물이 사용된다. 추출에 사용되는 식물 부위는, 목적으로 하는 색소, 특히 안토시아닌계 색소가 포함되는 부위이면 좋고, 전초(全草) 또는 그 일부(예를 들면 뿌리, 줄기, 잎, 과실(종자), 꽃잎, 꽃봉오리 등)을 특히 구별하지 않는다. 또, 상기 식물체에는 십자화과 식물의 캘러스(callus)도 포함된다. 해당 식물의 전초 또는 그 일부는 그대로(가공하지 않은) 또는 그 파쇄물(거친 분말, 세절물(細切物) 등)로서 추출 조작에 사용해도 좋고, 또한 건조 후 필요에 따라서 파쇄물(분말 등)로서 추출 조작에 사용해도 좋다.
상기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적합하게는 알코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코올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함수 알코올(hydrous alcohol)이다. 함수 알코올은 알콜 함유량이 40용량%(vol%)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산성 용액, 구체적으로는, pH 1∼4, 바람직하게는 pH 1∼3의 범위로 조정된 산성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산성 용액은, 추출 용매에 염산, 황산, 질산 또는 인산 등의 무기산, 또는 구연산, 아세트산, 사과산 또는 유산등의 유기산을 배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 추출 용매에 배합하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양은, 상기 pH 범위를 갖는 것을 한도로 하여,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0.01∼10중량%의 범위로 적절히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임의로 채용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용매중에 십자화과 식물의 전초 또는 부분(그대로 또는 거친 분말, 세절물(細切物)), 또는 그들의 건조물(건조 세단물(분 말 등의 분쇄물)을 포함한다)을 냉침(冷浸), 온침(溫浸) 등에 의해서 침지하는 방법, 가온하고 교반하면서 추출을 행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는 방법, 또는 투수법(percolation process)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추출 방법은 산성 조건하에서의 추출이다. 이러한 산성 조건하에서의 추출은, 십자화과 식물의 전초 또는 일부(그 대로 또는 거친 분말, 세절물) 또는 그들의 건조물(건조 세단물(분말 등의 분쇄물)을 포함한다)을 상기한 산성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각종의 추출 처리를 행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성 추출 용매중에서 십자화과 식물의 전초 또는 부부(미가공물 또는 건조물)을 세단하면서 추출하는 방법, 또는 십자화과 식물의 전초 또는 부분(미가공물 또는 건조물)을 세단한 후에 산성 추출 용매에 침지시켜 추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 경우, 100℃ 이하로 가열한 산성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십자화과 식물의 전초 또는 부분(미가공물 또는 건조물)의 세단물을 pH 1∼4의 산성 추출 용매중에 침지시키고, 그 후, 100℃ 이하의 온도로 가열 처리를 실시하는 추출 방법이다.
수득한 추출액은, 필요에 따라서 여과, 공침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그대로 또는 농축하여, 흡착 처리를 실시한다.
흡착 처리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활성탄, 실리카겔 또는 다공질세라믹 등에 의한 흡착처리; 스티렌계의 듀오라이트 S-861(상표명 Duolite, U.S.A. Diamond Shamrock사 제, 이하 동일), 듀오라이트 S-862, 듀 오라이트 S-863 또는 듀오라이트 S-866; 방향족계의 세파비즈 SP70(상표명, 미쓰비시화학(주) 제, 이하 동일), 세파비즈 SP700, 세파비즈 SP825; 다이아이온 HP10(상표명, 미쓰비시화학(주) 제, 이하 동일), 다이아이온 HP20, 다이아이온 HP21, 다이아이온 HP40, 및 다이아이온 HP50; 또는 암버라이트 XAD-4(상표명, 오르가노 제, 이하 동일), 암버라이트 XAD-7, 및 암버라이트 XAD-2000 등의 합성 흡착 수지를 사용한 흡착 처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착 처리액은,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이 부여되어 색소 성분을 흡착한 수지 담체를 예를 들면 함수 알코올 등의 적당한 용매로 세정함으로써, 회수 취득할 수 있다. 함수 알코올로서는, 통상 1∼20용량% 정도의 에탄올을 함유하는 물을 적합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수득한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은, 이어서 흡착 처리, 이온 교환 처리, 산 처리, 추출 처리 또는 막분리 처리 등의 각종의 처리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흡착 처리, 이온 교환 처리, 산 처리 또는 막분리 처리이다.
흡착 처리로서는, 전술하는 처리를 들 수 있다. 또한 이온 교환 처리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관용의 이온 교환 수지(양이온 교환 수지 또는 음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이온 교환 수지로서는, 다이아이온 SK1B(상표, 미쓰비시화학(주)제, 이하 동일), 다이아이온 SK102, 다이아이온 SK116, 다이아이온 PK208 ,다이아이온 WK10, 다이아이온 WK20 등이, 또한 음이온 교환 수지로서는, 다이아이온 SA10A(상표, 미쓰비시화학( 주)제, 이하 동일) ,다이아이온 SA12A, 다이아이온 SA20A, 다이아이온 PA306, 다이아이온 WA10, 다이아이온 WA20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산 처리"라 함은,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 또는 상기의 각종 처리(흡착 처리, 이온 교환 처리, 추출 처리 또는 막분리 처리 등)가 실시된 처리액을 pH 1∼4, 바람직하게는 pH 1∼3의 산성 조건하에 노출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산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처리액에 산을 첨가 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산으로서는, 식품 첨가물로서 통상 사용되는 산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고, 이러한 것 중에서 임의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연산, 아세트산, 사과산, 락트산 등의 유기산 또는 황산, 염산, 인산, 질산 등의 무기산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품 첨가물로서 통상 사용되는 무기산을 이용한 산 처리이다.
이러한 산 처리를 행하는 온도 조건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5∼10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100℃나 40∼100℃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산 처리 시간도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 1∼300분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온하에서의 산 처리이면 더욱 짧은 처리 시간으로 충분하며, 따라서 예를 들면 40∼100℃에서의 산처리의 경우는 5∼60분의 범위에서 처리 시간을 채택할 수 있다. 이 때, 처리액은 교반해도 교반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 처리"란, 특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탄산 가 스, 에틸렌, 프로판 등의 액체를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 또는 상기의 각종 처리(흡착 처리, 이온 교환 처리, 산 처리 또는 막분리 처리 등)가 실시된 처리액에 임계점 이상의 온도, 압력하의 밀폐계 장치내에서 접촉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막분리법"이라 함은, 막에 의한 여과 방법을 크게 의미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멤브레인 필터(MF)막, 한외여과(UF)막, 역침투막(NF) 및 전기투석막 등의 기능성 고분자막을 이용한 여과 처리를 들 수 있다. 또한 막분리법으로서는 이들의 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이나 역침투막법 등 외에, 이온선별막에 의한 농도 비율을 이용한 투석법, 격막으로서 이온 교환막을 사용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전기투석법 등이 알려져 있다. 공업적으로는 역침투막법에 의한 막분리법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막분리법에 사용되는 막 재료로서는, 천연, 합성, 반합성을 구별하지 않고,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또는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마이드, 폴리설폰,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막분리법에는, 분획 분자량이 예를 들면 104∼106의 범위에 있는 막을 이용하여 고분자 화합물을 분리 제거하는 처리 방법과, 분획 분자량이 약 2,000∼4,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3,000 정도의 막을 이용하여 저분자 화합물을 분리 제거하는 처리 방법이 포함된다. 전자의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NTU-3150막, NTU-3250막, NTU-3550막, NTU-3800 UF막(이상, 니토 덴코 제); Cefilt-UF(일본 가이시 제); AHP-2013막, AHP-3013막, AHP-1010막(이상, 아사히 화성 제); 등을 이용한 한외여과(UF)막 처리를 들 수 있고, 또한 후자의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NTR-7250막, NTR-7410막, NTR-7430막, NTR-7450막(이상, 닛토 덴코제); AIP-3013막, ACP-3013막, ACP-2013막, AIP-2013막, AIO-1010막(이상, 아사히 화성 제) 등의 막을 이용한 역침투막(분획 분자량 3,000정도) 처리를 들 수 있다.
이들의 각종 처리는, 1종 단독으로 행해도, 또한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행하여도 좋고, 또한 동일 처리를, 동일 또는 다른 조건으로, 반복하여 실시해도 좋다.
바람직한 처리 방법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을 탈단백 처리하고, 이어서 이 탈단백 처리한 처리 색소액에 대해서 막분리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다.
탈단백 처리는, 전술한 추출 처리, 이온 교환 처리 또는 한외여과막 등을 이용한 막분리 처리에 의해서 실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막분리 처리는, 고분자 화합물의 분리 제거에 사용되는 분획분자량 약 104∼106의 범위에 있는 막을 이용한 처리를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단, 탈단백 처리는, 이들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겔여과 처리 등의 통상적인 방법의 탈단백 처리에 따라서 행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탈단백 처리 후에 흡착 처리를 더 행할 수도 있 다. 바람직한 처리 방법으로서는, 탈단백 처리한 처리 색소액을, 필요에 따라서 흡착 처리하고, 이어서 산 처리하여, 이렇게 해서 수득하는 처리 색소액에 대해 막 분리 처리를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막분리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역침투막 처리 또는 한외여과막 처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역침투막 처리이다. 또한, 해당 막분리 처리는, 분획 분자량이 2,000∼4,000, 바람직하게는 3,000 부근의 막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수득하는 본 발명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는, 이상한 냄새 또는 악취의 원인이 되는 전술한 십자화과 식물 유래의 향기 성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무취나 또는 식품에 배합하여도 그 풍미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냄새가 저감되어 이루어지는 미취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서 수득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십자화과 식물 색소는, 가열이나 장기 보존에 의해서도 소위 「냄새가 되돌아오는 현상」이라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이상한 냄새나 악취를 발현할 수 있는 향기 성분의 전구체가 분해되었던지 또는 제거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나, 이러한 이론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는,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 그 밖의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유화(乳化))된 용액 상태, 또는 건조 상태(분상(粉狀), 과립상, 정제상, 환제상 등)의 색소 제제로서 조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의 형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를 함유하는 색소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색소 제제는, 상기 본 발명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더라도 좋고, 또한 상기 십자화과 식물 색소에 더하여, 식품 위생상 허용되는 담체나 각종의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담체 및 첨가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덱스트린, 락토오스, 분말 물엿 외에, 색소 및 색소 제제에 통상 사용되는 보존제(아세트산나트륨, 프로타민 등), 안정제(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등) 또는 산화방지제(루틴, 아스코르빈산 등) 등의 식품 첨가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제제가 각종 담체나 첨가제 등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색소 제제 중에 포함되는 상기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배합 비율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 1∼90중량%, 바람직하게는 10∼60중량%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제제는, 식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품 및 사료 등의 적색계 또는 적자색(赤紫色)계의 착색료로서, 특히 천연 착색료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색소 제제는, 제한되지 않지만, 식품으로서는, 착색, 즉 색을 가지는 것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이스크림, 아이스밀크, 락토-아이스(lacto-ice), 샤벳트, 빙과 등의 빙과류; 우유 음료, 유산균 음료, 과즙이 들어간 청량 음료, 탄산 음료, 과즙 음료, 분말 음료 등의 음료류; 커스터드 푸딩, 밀크 푸딩, 과즙이 들어간 푸딩 등의 푸딩류, 젤리, 바바리안 크림 및 요구르트 등의 디저트류; 츄잉껌이나 풍선껌 등의 껌류[스틱껌, 당의상 입자껌(sugar- coated gum granules]; 마블 초콜렛 등의 코팅 초콜릿 외에, 딸기 초콜릿, 블루베리 초콜릿 및 멜론 초콜릿 등의 풍미를 부가한 초콜릿 등의 초콜릿류; 하드캔디[봉봉, 버터볼, 마블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캔디[캐러멜, 누가(nougat), 구미 캔디(gummy candy), 마시멜로(marshmallow) 등을 포함한다], 드롭, 태피(taffy) 등의 캐러멜류; 하드비스켓, 쿠키, 오카키(얇게 썰어서 말린 찰떡), 전병(煎餠) 등의 구운 과자류; 아사즈케(얼절이 야채), 간장 절임, 소금 절임, 된장 절임, 가스즈케(술지게미 절임), 누룩 절임, 설탕 절임, 식초 절임, 겨자 절임, 모로미즈케(거르지 않은 술에 절인 것), 매실 절임, 후쿠진즈케(잘게 썬 야채를 간장에 절인 후 붉은 물을 들인 것), 시바즈케(다진 여러가지 야채를 소금에 절인 것), 생강 절임, 김치, 매실초절임 등의 절임류; 비네그레트 드레싱(vinaigrette), 넌오일 드레싱(non-oil dressings), 케찹, 그레이비, 우스터 소스, 돈까스 소스 등의 소스류; 스트로베리잼, 블루베리잼, 마말레이드, 사과잼, 살구잼, 프리저브(preserves) 등의 잼류; 레드 와인 등의 과실주; 시럽에 절인 체리, 살구, 사과, 딸기 등의 가공용 과실; 햄, 소시지, 구운 돼지고기 등의 축육가공품; 어육햄, 어육 소시지, 어육 가루, 생선묵, 치쿠와(으깬 생선살을 길쭉하게 빚어 굽거나 찐 것), 한펜(다진 생선살에 마 등을 갈아 넣고 반달형으로 쪄서 굳힌 식품), 사쓰마아게(어육 등을 갈아서 당근 우엉 등을 섞어 기름에 튀긴 음식), 다테마끼(다진 생선과 달걀을 섞어서 두껍게 말아 부친 식품), 고래 베이컨 등의 수산 가공 식품; 우동, 냉면, 소면, 메밀국수, 중화 메밀국수, 스파게티, 마카로니, 비푼(bifun noodles), 하루사메(녹두 가루로 만든 국수) 및 완탕 등의 국수류; 기타 각종 반찬 및 생선 묵, 덴부(생선을 갈아 조리한 것) 등의 다양한 가공 식품을 들 수 있다.
또한, 음식물에 있어서의 착색은, 음식물에 인위적으로 색소를 첨가하여 착색한 것뿐만 아니라, 과즙 등과 같이, 음식물의 재료에 원래 포함되는 색소에 유래하여 착색하고 있는 것까지도 크게 포함된다.
또한 의약품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각종 정제, 캡슐제, 드링크제, 트로키제, 양치질제 등의 착색료로서, 의약부외품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치약제, 구강 청량제, 구취 예방제 등의 착색료로서, 화장품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스킨 로션, 립스틱, 자외선 차단제, 메이크업 화장품 등의 착색료로서, 사료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고양이 사료나 개 사료 등의 각종 애완동물용 사료, 관상어용 또는 양식어의 모이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하기의 양태가 포함된다:
(a).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에 대해, 흡착 처리, 이온 교환 처리, pH 조정 처리, 추출 처리 및 막분리 처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정제 방법.
(b).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을, 탈단백 처리한 후에 막분리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정제 방법.
(c). 탈단백 처리가, 이온 교환 처리, 추출 처리, 막분리 처리 및 겔여과 처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처리인 (b)에 기재된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정제 방법.
(d). 막분리 처리 전에 pH 조정 처리를 행하는 (b)에 기재된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정제 방법.
(e).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에 대해, 흡착 처리, 이온 교환 처리, pH 조정 처리, 추출 처리 및 막분리 처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탈취 방법.
(f).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을, 탈단백 처리한 후에 막분리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탈취 방법.
(g). 탈단백 처리가, 이온 교환 처리, 추출 처리, 막분리 처리 및 겔여과 처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처리인 (e)에 기재된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탈취 방법.
(h). 막분리 처리전에 pH 조정 처리를 행하는 (e)에 기재된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탈취 방법.
(i). 색가를 E10% 1cm = 80 로 한 경우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 농도가 100ppm 이하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식용 착색료로서의 사용.
(j). (i)에 있어서, 상기 향기 성분이, 디메틸디설파이드, 디메틸트리설파이드, 3-부텐니트릴, 4-펜텐니트릴, 3-페닐프로판니트릴, 4-(메틸티오)부탄니트릴, 5-(메틸티오)펜탄니트릴, 헥산올, 2-헥센알, cis-3-헥센알, 4-비닐페놀, 페닐아세트알데히드 및 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종인 십자 화과 식물 색소의 식용 착색료로서의 사용.
(k). 색가를 E10% 1cm = 80 으로 한 경우에, 포함되는 디메틸디설파이드 및/또는 디메틸트리설파이드의 농도가, 총량으로 0.1 ppm 이하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식용 착색료로서의 사용.
(l). 색가를 E10% 1cm = 80 으로 한 경우에, 포함되는 디메틸디설파이드 및/또는 디메틸트리설파이드의 농도가 총량으로 0.1 ppm 이하이고, 포함되는 3-부텐니트릴, 4-펜텐니트릴, 3-페닐프로판니트릴, 4-(메틸티오)부탄니트릴, 5-(메틸티오)펜탄니트릴, 헥산올, 2-헥센알, cis-3-헥센알, 4-비닐페놀, 페닐아세트알데히드 또는 아세트산의 각 농도가 각각 1 ppm 이하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식용 착색료로서의 사용.
도 1은, 실시예 1에 따라 조제한 적색 양배추 색소 제제(도 1, A)와 비교예 1에 따라 조제한 적색 양배추 색소 제제(도1, B)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량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계(GC-MS)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B 중, ①의 피크는 4-펜텐니트릴, ②의 피크는 아세트산, ③의 피크는 5-(메틸티오)펜탄니트릴, ④의 피크는 3-페닐프로판니트릴, IS의 피크는 내부 표준 물질인 2,6-디-t-부틸-4-메틸페놀(BHT)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서 세로축은 강도(Abundance), 가로축은 유지 시간(retention time)을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4에 따라 조제한 비트 색소 제제(도2, A)와 종래의 비트 색소 제제(도2, B)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량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계(GC-MS)로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B 중, ①의 피크는 헥산올, ②의 피크는 cis-3-헥센알, ③의 피크는 아세트산, ④의 피크는 4-비닐페놀, IS의 피크는 내부 표준 물질인 2,6-디-t-부틸-4-메틸페놀(BHT)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서 세로축은 강도, 가로축은 유지 시간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비교예 1
황산에 의해 pH 2로 조정한 산성수 20L에 적색 양배추(십자화과 식물)의 생잎의 마쇄품(磨碎品) 10kg을 투입하고, 실온하에 하룻 밤 방치하여, 색소를 추출했다. 수득한 색소 추출액에, 여과 조제와 규조토를 배합하여 흡인 여과하고, 여과 액으로서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 약 25L을 얻었다. 이 추출액을 합성흡착수지 앰버라이트 XAD-7(수지량 1.5 L, SV=1, 오르가노 사의 상표)로, 색소 성분을 흡착시켜, 상기 수지를 물 5L로 잘 세정한 후, 60% 에탄올 수용액으로 적색 양배추 색소를 탈리 용출시켜, 상기 용출액을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으로 서 취득했다(1차 정제 색소 추출액: 5L). 이어서 이 흡착 처리액을 감압 농축하여 색가 E10% 1cm = 200의 색소액 90g을 얻었다. 이 농축액 90g에 물 90g과 에탄올 45g을 첨가하여 색가 E10% 1cm = 80의 적색 양배추 색소 제제 225g를 조제했다. 이 색소 제제의 냄새를 맡은 경우, 적색 양배추 특유의 강한 야채 냄새가 났다.
실시예 1: 십자화과 식물(적색 양배추) 색소 제제(용액상)
비교예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수득한 1차 정제 색소 추출액(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 4.8L을, 한외여과막(AHP-2013막: 아사히화성 제 상표, 분획분자량 50,000)을 이용하여 3.5kg/cm2, 20℃로 처리했다(막분리 처리). 이어서, 수득한 처리액을 황산을 이용하여 pH 2.0로 조정하고, 이것을 40∼80℃의 온도 조건하에서 30분간 교반을 했다(산 처리). 계속해서, 해당 산 처리액에, 물 5L을 첨가하여 역침투막 처리(NTR-7250막(상표): 닛토 덴코제, 분획분자량 3,000정도)를 행하고, 막 처리액 1L을 수득했다(막분리 처리). 이 때, 적색 양배추의 향기 성분 및 협잡물은 여과액으로서 투과 제거되고, 정제 탈취된 색소 성분이 잔액으로서 농축되었다. 이어서 이 잔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색가 E10% 1cm = 200 의 현저하게 탈취 정제된 농축액 80g을 얻었다. 이 농축액 80g에 물 80g과 에탄올 40g을 첨가하여 색가 E10% 1cm = 80 의 적색 양배추 색소 제제 200g를 조제했다. 이 제제는 완전히 무취였다.
실시예2: 십자화과 식물(적색 양배추) 색소 제제(고체상)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조제한, 색가 E10% 1cm = 200의 현저히 탈취 정제된 색소액 32g에, 물 60g과 덱스트린 15g을 첨가하여 스프레이 건조기에 의한 건조를 행하고, 색가 E10% 1cm = 250 의 적색 양배추 색소 분말제제 25g를 조제했다. 이 제제는 무취였다.
실시예3: GC-MS 측정
비교예1에서 제조한 적색 양배추 색소 제제(비교품) 및 실시예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적색 양배추 색소 제제(본 발명품)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의 양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계(GC-MS)를 이용하여 비교했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색소(색가 E10% 1cm= 80) 10g를, 내부 표준 물질(IS: 2,6-디-t-부틸-4-메틸페놀(BHT)) 3ppm을 포함하는 디에틸에테르 200ml로 추출하고, 이어서 디에틸에테르용액을 증발건조하여, 수득한 농축액을 하기 조건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계(GC-MS)로 향기 성분의 양을 측정했다.
<GC-MS 측정 조건>
GC/MS: Hewlett-Packard 5973 Mass Selective Detector
컬럼: J&W 제 DB-WAX(0.25 mm x 60 m)
온도 조건: 주입구 250℃, 인터페이스 230℃
컬럼 온도 50℃(2분) - 220℃, 승온율 3℃/분
스플릿비: 70:1
이온화 전압: 70 eV
결과를 도1에 나타낸다. 도1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적색 양배추 색소 제제(본 발명품)의 토탈이온 크로마토그램에 의하면, 내부 표준 물질 이외의 성분은 극미량(5ppm 이하)이었다. 그에 반하여, 도1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1의 적색 양배추 색소 제제(비교품)에는 수많은 휘발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총량 약320 ppm)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비교예1의 색소 제제가 적색 양배추 특유의 강한 야채 냄새 또는 절임 냄새를 갖고 있었음에 반해 실시예1의 색소 제제는 무취였다는, 상기 사실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또한, 도1의 B중, ①의 피크는 4-펜텐니트릴, ②의 피크는 아세트산, ③의 피크는 5-(메틸티오)펜탄니트릴, ④의 피크는 3-페닐프로판니트릴, IS의 피크는 내부 표준 물질인 BHT를 각각 나타낸다.
실시예4: 향기 평가 및 보존 테스트
비교예1에서 제조한 적색 양배추 색소 제제(비교품) 및 실시예1에서 제조한 적색 양배추 색소 제제(본 발명품)에 관해서, 각각 제조 직후의 향기, 및 5℃, 25℃ 또는 38℃에서 15일 내지 30일 저장한 후의 향기를, 잘 훈련된 10명의 플레이버 리스트(flavorists)를 패널로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각각의 색소 제제를 이용하여 음료 타입의 용액(색가 E10% 1cm = 0.04, Brix.10°, 0.2% 구연산 수용액, 플레이버 미첨가)를 조제하고, 해당 용액에 관해서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 직후 및 보존 후의 향기를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제조 직후 15일 보존 후 30일 보존 후
비교예1 제제 5℃ C C D
25℃ C D E
38℃ C E E
음료 5℃ B B B
25℃ B C C
38℃ B D D
실시예1 제제 5℃ A A A
25℃ A A A
38℃ A A A
음료 5℃ A A A
25℃ A A A
38℃ A A A

<평가 기준>
A: 전혀 악취를 느끼지 않음
B: 약간 이상한 냄새가 있음
C: 이상한 냄새가 있음
D: 강한 이상한 냄새가 있음
E: 매우 강한 이상한 냄새가 있음
표1에 나타낸 제조 직후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품은 비교품에 비해 현저히 냄새가 저감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무취의 색소라고 판단되었다. 또한 비교품은 15∼30일간과 보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향기가 점차 강해지는데 반해, 본 발명품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른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조제 직후의 무취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것은 실시예1의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적색 양배추 색소)에는, 그 자체에 악취를 발휘하는 향기 성분이 전혀 또는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당 향기 성분의 전구체가 되는 협잡물도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시예5
황산에 의해 pH 2로 조정한 산성물 20L에 분쇄한 비트(십자화과 식물) 10 kg을 넣고, 실온에서 하룻밤 방치 후, 40℃에서의 가온 처리를 실시했다. 이렇게 해서 수득한 색소 추출액에, 여과 조제와 규조토를 배합하여 흡인 여과하고, 여과액으로서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 약 25L을 얻었다. 이 추출액을 합성 흡착수지 앰버라이트 XAD-7(수지량 1.5L, SV=1, 오르가노 제)로, 색소 성분을 흡착시켜, 상 기 수지를 물 5L에서 잘 세정한 후, 60% 에탄올 수용액으로 비트 색소를 탈리 용출시켜, 상기 용출액을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으로서 취득했다(1차 정제 색소 추출액: 5L).
이러한 1차 정제 색소 추출액(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 5L을, 실시예1과 같이 처리하여, 색가 E10% 1cm = 200의 현저히 탈취 정제된 농축액 80g을 얻었다. 이 농축액 80g에 물 80g과 에탄올 40g을 첨가하여 색가 E10% 1cm = 80의 비트 색소 제제 200g를 조제했다. 이 색소 제제는 완전히 무취였다.
실시예6: GC-MS 측정
실시예5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비트 색소 제제(본 발명품)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의 양을, 실시예3와 같이 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계(GC-MS)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 비교를 위해, 종래의 비트 색소 제제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그것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의 양을 측정했다.
결과를 도2에 도시한다. 도2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5에서 조제한 비트 색소 제제(본 발명품)의 토탈 이온 크로마트그램에 의하면, 내부 표준 물질 이외의 성분은 극미량(5ppm 이하)이었다. 그에 반해, 도2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비트 색소 제제에는 수많은 휘발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총량 약 450 ppm)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종래의 비트 색소 제제가 무우 특유의 강한 야 채 냄새 또는 절임 냄새를 갖고 있는데 반하여, 실시예5의 색소 제제(본 발명품)은 무취였다는 상기 사실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또한 도2의 B중, ①의 피크는 헥산올, ②의 피크는 cis -3-헥센알, ③의 피크는 아세트산, ④의 피크는 4-비닐페놀, IS의 피크는 내부 표준 물질인 BHT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는, 고도로 정제됨으로써, 원료로서 사용하는 십자화과 식물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악취 또는 이상한 냄새가 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냄새가 현저히 저감되어 이루어지는, 무취 또는 미취의 색소이다. 더우기, 본 발명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는, 가열이나 장기 보존에 의해서도 냄새가 되돌아오는 현상 등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현저히 억제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색소 또는 해당 색소를 함유하는 색소 제제에 의하면, 음료나 그 밖의 식품, 의약품, 의약 부외품, 화장품 등의 착색에 사용해도, 십자화과 식물 특유의 향기 성분의 냄새에 영향받지 않고, 풍미가 좋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2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처리액에 있어서, 40~100℃에서의 산 처리; 및 흡착 처리, 이온 교환 처리 및 막분리 처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 또는 미취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이, 십자화과 식물을 산성 추출 용매중에서 세단하면서 추출함으로써, 또는 십자화과 식물의 세단물을 산성 추출 용매에 넣고 침지 추출함으로써 수득하는 것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추출 용매의 pH 가 1∼4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이, 십자화과 식물을 산성 추출 용매에 침지 시키고, 그 후,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수득하는 것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가, 식품 첨가물로서 사용되는 산을 이용한 처리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가, 황산, 염산, 인산 및 질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무기산을 이용한 처리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가,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 처리액 또는 흡착 처리, 이온 교환 처리 및 막분리 처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처리 후의 처리액을 pH 1∼4의 조건하에 노출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 처리가, 멤브레인 필터막 처리, 한외여과막 처리, 역침투막 처리, 전기 투석막 처리, 이온 선별막 처리 및 이온 교환막 처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처리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19. 십자화과 식물 색소 추출액의 흡착처리액에 있어서, 탈단백 처리한 후에 40~100℃에서의 산 처리 및 막분리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 또는 미취의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 처리가, 역침투막 처리 또는 한외여과막 처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처리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 처리가, 분획 분자량이 2000∼4000인 막을 이용한 처리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탈단백 처리가, 이온 교환 처리, 추출 처리, 막분리 처리 및 겔여과 처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처리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탈단백 처리로서 이용하는 막분리 처리가 분획 분자량이 104∼106인 막을 사용한 처리인
    십자화과 식물 색소의 제조 방법.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027015850A 2000-05-26 2001-04-27 탈취 십자화과 식물 색소 KR100813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57474 2000-05-26
JP2000157474 2000-05-26
PCT/JP2001/003698 WO2001090254A1 (fr) 2000-05-26 2001-04-27 Colorant desodorise de brassicacea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240A KR20030014240A (ko) 2003-02-15
KR100813220B1 true KR100813220B1 (ko) 2008-03-13

Family

ID=1866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850A KR100813220B1 (ko) 2000-05-26 2001-04-27 탈취 십자화과 식물 색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44593B2 (ko)
EP (1) EP1293539B1 (ko)
JP (1) JP4637439B2 (ko)
KR (1) KR100813220B1 (ko)
CN (1) CN1276954C (ko)
AU (1) AU2001252633A1 (ko)
CA (1) CA2410366C (ko)
HK (1) HK1054403A1 (ko)
WO (1) WO20010902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4538A1 (fr) 2002-02-01 2003-08-07 San-Ei Gen F.F.I., Inc. Couleur de mais rouge purifiee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celle-ci
US7413757B2 (en) * 2005-09-15 2008-08-19 The Quaker Oats Company Method of making a colored, flour-based food product and product thereof
US20080075824A1 (en) * 2006-09-25 2008-03-27 Wild Flavors, Inc. Treatment of Plant Juices, Extracts and Pigments
EP2228411A1 (en) * 2009-02-21 2010-09-15 Jess Edward Rugeris Food grade colouring agent
CN101525498B (zh) * 2009-03-31 2013-01-23 江苏大学 一种脱除了臭味的萝卜红色素及其脱臭方法
EP2258993B1 (en) * 2009-06-05 2012-07-25 Ecochroma AG Apparatus for preparing coloured ice cubes
CN102391333A (zh) * 2011-08-02 2012-03-28 云南瑞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脱味花色苷的方法
CN102391667B (zh) * 2011-08-30 2014-02-12 河南中大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紫甘薯色素的纯化方法
CN102585544B (zh) * 2011-12-23 2013-12-18 晨光生物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去味甘蓝红色素的生产方法
CN102516807B (zh) * 2011-12-29 2014-03-19 江苏久吾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膜分离提取紫甘薯花色素的方法
CN102863814A (zh) * 2012-01-18 2013-01-09 天津天康源生物技术有限公司 去除异味的栀子黄色素及其制造方法
CN102604424A (zh) * 2012-02-27 2012-07-25 河北科技大学 一种紫甘薯花色苷的提取方法
CN102675913B (zh) * 2012-05-18 2013-10-30 江西国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除味萝卜红色素的制备方法
WO2014152417A2 (en) 2013-03-15 2014-09-25 Mars, Incorporated Method of isolating blue anthocyanin fractions
EP3187551B1 (en) * 2014-08-26 2021-03-03 San-Ei Gen F.F.I., INC. Anthocyanin-based pigment composition
WO2017004452A1 (en) 2015-06-30 2017-01-05 Mars, Incorporated Acylated anthocyanin based colourant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837305B1 (ko) * 2016-11-18 2018-03-12 (주)아크에이르 에어로겔을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지용성 색소 및 수용성 색소를 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6364A (ja) 1984-07-27 1986-02-21 San Ei Chem Ind Ltd 色素アントシアニンの精製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3700A (en) * 1974-07-01 1976-06-15 University Patents, Inc. Recovery of anthocyanin from plant sources
US4132793A (en) * 1977-08-15 1979-01-02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Stable red beet color composition
US4115595A (en) * 1977-11-14 1978-09-19 Beatrice Foods Co. Process for coloring maraschino cherries with natural colors
US4409254A (en) * 1980-09-29 1983-10-11 General Foods Corporation Process for concentrating and isolating a beet colorant
DE3229345A1 (de) 1982-08-06 1984-02-09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Herstellung eines rote bete-saftkonzentrats mit besserer geschmacksneutralitaet und haltbarkeit
JPS60176562A (ja) 1984-02-22 1985-09-10 San Ei Chem Ind Ltd 水溶性食用色素の製造法
JPS60177076A (ja) * 1984-02-22 1985-09-11 San Ei Chem Ind Ltd 赤キヤベツ色素の収得法
JPS6185166A (ja) * 1984-10-01 1986-04-30 San Ei Chem Ind Ltd 赤キヤベツ色素を用いる飲料その他の着色法
JPS6197362A (ja) * 1984-10-18 1986-05-15 San Ei Chem Ind Ltd 赤キヤベツ色素の製造法
JPS6197361A (ja) * 1984-10-18 1986-05-15 San Ei Chem Ind Ltd 赤キヤベツ色素の製造方法
JPS61101560A (ja) * 1984-10-24 1986-05-20 San Ei Chem Ind Ltd 赤キヤベツ色素の収得法
JPS62181796A (ja) * 1986-02-07 1987-08-10 San Ei Chem Ind Ltd 植物性色素の製造方法
JP2821946B2 (ja) * 1990-10-18 1998-11-05 長谷川香料株式会社 アントシアニン系色素の精製方法
JP2631768B2 (ja) 1990-12-13 1997-07-16 長谷川香料株式会社 紅花黄色素の沈澱防止方法
JPH09255888A (ja) * 1996-03-26 1997-09-30 Nichinou Kagaku Kogyo Kk 赤キャベツ色素の製造方法
JPH1036701A (ja) 1996-07-22 1998-02-10 T Hasegawa Co Ltd 水溶性天然色素の精製法
CN1069671C (zh) * 1998-07-14 2001-08-15 重庆涪陵蔬菜副食批发交易市场 一种利用红心萝卜提取天然食用萝卜红色素的方法
JP3990067B2 (ja) * 1999-04-05 2007-10-10 長谷川香料株式会社 天然色素の精製方法
US6180154B1 (en) * 1999-04-28 2001-01-30 The State Of Oregon Acting By And Through The State Board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Oregon State University Natural colorant from potato extract
JP3676178B2 (ja) * 2000-03-29 2005-07-27 株式会社 伊藤園 アブラナ科野菜の処理方法、アブラナ科野菜飲食物の製造方法及びアブラナ科野菜飲食物
JP2001294479A (ja) * 2000-04-12 2001-10-23 Ngk Spark Plug Co Ltd ベアリング用セラミックボ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セラミックボールベアリング
US6881430B2 (en) * 2001-07-26 2005-04-19 Chr. Hansen A/S Food coloring substance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6364A (ja) 1984-07-27 1986-02-21 San Ei Chem Ind Ltd 色素アントシアニンの精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37439B2 (ja) 2011-02-23
EP1293539B1 (en) 2012-08-29
US20030124235A1 (en) 2003-07-03
CA2410366C (en) 2009-08-11
HK1054403A1 (en) 2003-11-28
EP1293539A1 (en) 2003-03-19
KR20030014240A (ko) 2003-02-15
CA2410366A1 (en) 2002-11-25
EP1293539A4 (en) 2004-11-24
CN1276954C (zh) 2006-09-27
AU2001252633A1 (en) 2001-12-03
CN1430650A (zh) 2003-07-16
US7144593B2 (en) 2006-12-05
WO2001090254A1 (fr)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220B1 (ko) 탈취 십자화과 식물 색소
US20090324787A2 (en) DEODORIZED PLANT COLORANT DERIVED FROM IPOMOEA BATATAS (as amended)
JP2001342489A (ja) 香味劣化抑制剤および香味劣化抑制方法
KR100813226B1 (ko) 탈취 홍화 황색소
JP2904968B2 (ja) 色素の褪色防止剤
JP3882106B2 (ja) 退色抑制剤
JP2904974B2 (ja) クチナシ黄色色素の褪色防止剤
EP2353404A1 (en) Malt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4190709B2 (ja) 色素の退色防止剤
JP4258618B2 (ja) 退色抑制剤
JP4510412B2 (ja) 退色抑制剤
JPH06234935A (ja) 色素の安定化法
JP2000342219A (ja) 色素退色防止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
JP4288354B2 (ja) ヤマブドウから醸造されるワインビネガーを有効成分とする発癌抑制剤
JP4420594B2 (ja) 脱臭アブラナ科植物色素の製造方法
JP5355906B2 (ja) 脱臭Convolvulaceae科Ipomoea属植物色素
JP4296429B2 (ja) 耐酸性を有するチコリ色素及びその調製方法
JP5846865B2 (ja) 濃色モルト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モルトエキス由来の、味又は臭いのマスキング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207844B2 (ja) 色素の安定化剤および安定化方法
JPH08224068A (ja) 色素の退色防止剤
JP2001275611A (ja) 退色抑制剤及び退色抑制方法
JP2006160668A (ja) 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
JP2002233330A (ja) 退色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