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623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623B1
KR100463623B1 KR10-2003-0001841A KR20030001841A KR100463623B1 KR 100463623 B1 KR100463623 B1 KR 100463623B1 KR 20030001841 A KR20030001841 A KR 20030001841A KR 100463623 B1 KR100463623 B1 KR 10046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assembly
process cartridge
photosensitive drum
driving force
en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133A (ko
Inventor
하라다긴야
하시모또고오지
가와이다찌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3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Abstract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 감광 드럼의 한쪽 종방향 단부에 제공된 제1 단부 덮개부, 감광 드럼의 다른 쪽 종방향 단부에 제공된 제2 단부 덮개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면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1 주 조립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는 제1 피안내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면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는 제2 피안내부, 감광 드럼과 동축이고, 제1 단부 덮개부로부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외부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면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1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1 피위치 설정부, 감광 드럼과 동축이고, 제2 단부 덮개부로부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외부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면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2 피위치 설정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제1 피위치 설정부의 하류 위치에 있는 제1 단부 덮개부로부터 감광 드럼의 종방향 외부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면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3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3 피위치 설정부 및 장착 방향에 대하여 제1 피위치 설정부와 제3 피위치 설정부 사이에서 제1 단부 덮개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면,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와 장착 방향으로 연결되어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채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는 예컨대,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기계, 워드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전자 사진 광전도성 부재 및 프로세싱 수단으로서 현상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탈착식으로 장착되도록 일체식으로 배치되는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프로세싱 수단은 프로세싱 수단 이외에, 대전 수단, 세척 수단 등을 포함한다.
종래에,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이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광전도성 부재 및 전자 사진 사진 부재 상에서 작동하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싱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카트리지 내에 일체식으로 배치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을 채용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즉, 서비스 요원에 의존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동 효율을 극적으로 개선시킨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넓게 이용된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 정보로 변조된 광 비임은 레이저, LED, 램프 등으로부터 전자 사진 부재(이후, 간단히 광전도성 드럼으로 지칭될 것임) 상에 투사된다. 그 결과, 정전 잠상이 광전도성 드럼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에 의해 현상된다. 다음에, 광전도성 드럼 상에 현상제로 형성된 화상이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되어,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전술한 장치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를 채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고 정밀도를 갖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장착시에,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매우 정확하게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9에 도시된 방식으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것이 고려된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삽입됨에 따라, 먼저,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단부 부분인 제1 및 제2 위치설정 지점(a,b) 및 광전도성 드럼의 축선과 일치하는 축선에 의해, 주 조립체에 대해 위치된다. 그 후, 광전도성 드럼의 축선을 벗어난, 제3 위치설정 지점(c')에서 주 조립체에 대해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3개의 위치설정 지점(a,b,c')에서 장치 주 조립체에 대해 위치된다. 도9에 도시된 구조적인 배열은 본 발명의 개발 중에 고려된 구조적 배열중의 하나이며, 본 명세서에의 출원시에 공개되지 않았다.
도9를 참조하면, 전술한 구조적인 배열의 제공으로, 구동력이 입력되는 현상 장치의 지점(f)은 전술한 3개 지점(a,b,c')을 연결하는 3개의 직선에 의해 경계를 이룬 영역 외부에 유지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3개의 위치설정 지점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에 대해 위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술한 방식으로 위치된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지지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단부에 놓여지고 광전도성 드럼의 축선과 일치하는 제1 및 제2 위치설정 지점(a,b)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설정 지점을 장치 주 조립체의 대응부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한방향으로 작동하는 힘이 제공된다. 이러한 힘을 처리하기 위해, 위치 설정 지점이 장치 주 조립체 상의 대응부 상에서 가압 유지되는 힘을 증가시키는 위치 설정부 둘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보다 강성으로 제조하기 위한 측정을 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9를 또한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중력의 중심이 전술한 3개의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경계를 이룬 영역의 외부에 놓여져 있을 때, 3개의 지점을 장치 주 조립체 상의 대응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작동하는 전술한 힘은 다른 경우에서보다 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처리하기 위해, 부가의 부품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측정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장치 주 조립체 등 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설정 부분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측정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복잡하게 하며, 이러한 복잡성은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이러한 복잡성 및 최종적인 비용 증가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해결하지 못한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고 정밀도로위치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시에도 안정되게 유지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식으로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사진 광전도성 드럼과, 광전도성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광전도성 드럼의 길이방향 단부중의 일단에 위치된 제1 단부 덮개와, 광전도성 드럼의 길이방향 단부중의 타단에 위치된 제2 단부 덮개와, 광전도성 드럼이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제1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면 상에 형성된 제1 안내부와, 광전도성 드럼이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제2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면 상에 형성된 제2 안내부와, 축선이 광전도성 드럼의 축선과 일치하고, 광전도성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단부 덮개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됨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의 제1 위치 설정부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위치된 제1 위치 설정부와, 축선이 광전도성 드럼의 축선과 일치하고, 광전도성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제2 단부 덮개로부터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됨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의 제2 위치 설정부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 제2 위치 설정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제1 위치 설정부에 대해 하류 측면 상에 배치되고, 광전도성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단부 덮개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됨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의 제3 위치 설정부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 제3 위치 설정부와, 제1 단부 덮개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제1 위치 설정부와 제3 위치 설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광전도성 드럼이 장치 주 조립체 내로 장착됨에 따라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상류 측면으로부터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력 전달부와 결합하고,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현상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 제1 및 제2 안내부와, (b) 제1, 제2 및 제3 위치 설정부와, (c) 카트리지 장착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광전도성 드럼과, 광전도성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광전도성 드럼의 길이방향 단부중의 일단에 위치된 제1 단부 덮개와, 광전도성 드럼의 길이방향 단부중의 타단에 위치된 제2 단부 덮개와, 광전도성 드럼이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제1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면 상에 형성된 제1 안내부와, 광전도성 드럼이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될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제2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면 상에 형성된 제2 안내부와, 축선이 광전도성 드럼의 축선과 일치하고, 광전도성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단부 덮개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됨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의 제1 위치 설정부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위치된 제1 위치 설정부와, 축선이 광전도성 드럼의 축선과 일치하고, 광전도성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제2 단부 덮개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됨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의 제2 위치 설정부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 제2 위치 설정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되는 방향에 대해서 제1 위치 설정부에 대해 하류 측면 상에 배치되고, 광전도성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단부 덮개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됨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의 제3 위치 설정부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 제3 위치 설정부와, 제1 단부 덮개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서 제1 위치 설정부와 제3 위치 설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광전도성 드럼이 장치 주 조립체 내로 장착됨에 따라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서 상류 측면으로부터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력 전달부와 결합하고,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현상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로서, 일반적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식으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식으로 장착되고 그 전방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의 카트리지 장착부의 개략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착식으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위치되는 방법을 도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대각선 좌측 방향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에 설치되는 방법을 도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대각선 우측 방향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어떻게 지지되는 지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실시예의 상부 평면도.
도9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어떻게 지지되는 지를 도시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비교예의 상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전도성 드럼
25 : 장치 주 조립체
54 : 현상 부재
69 : 구동력 수용부
69c : 구동력 전달부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을 고려할 때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먼저,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의 일반적인 구성과 화상 형성 공정이 설명된다. 도1은 총천연색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수직 단면도로서,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P)는 광전도성 드럼(1)을 포함하는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이하에서는 간단히 카트리지로 명명됨)가 하나씩 장착되는 복수의(도1에서는 4개) 카트리지 장착부를 포함한다. 이 카트리지 장착부는 수직으로 평행하게 적층된다. 각 카트리지(7)에서, 광전도성 드럼(1; 1a, 1b, 1c, 1d)은 구동 수단(도시안됨)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광전도성 드럼(1; 1a, 1b, ‥‥)의 외주면 둘레에는, 광전도성 드럼(1; 1a, 1b, ‥‥)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장치(2; 2a, 2b, ‥‥)와, 화상 형성 정보로 변조된 레이저 광의 비임을 투사시킴으로써 광전도성 드럼(1)의 외주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스캐너 유닛(3; 3a, 3b, ‥‥)과,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제를 정전 잠상에 부착시키는 현상 장치(4; 4a, 4b, ‥‥)가 광전도성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해 전술한 순서대로 배치된다. 또한, 총천연색 레이저 비임 프린터는 광전도성 드럼(1) 상의 현상제 화상을 기록 매체(S)로 전사하는 정전 전사 장치(5)를 포함한다. 정전 전사 장치(5)는 정전 전사 벨트(11)와 전사 롤러(12; 12a, 12b, ‥‥)를 포함한다. 또한, 총천연색 레이저 프린터는 화상 전사 후에 광전도성 드럼(1)의외주면에 남아 있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장치(6; 6a, 6b, ‥‥)를 포함한다.
광전도성 드럼(1)(1a, 1b, ...), 대전 장치(2)(2a, 2b, ...), 현상 장치(4)(4a, 4b, ...), 세척 장치(6)(6a, 6b, ...), 현상제 저장부(7a1, 7b1, 7c1 및 7d1)등은 카트리지(7)(7a, 7b, ...)에 일체형으로 배치된다. 카트리지(7)의 상세한 구조는 도4에 도시된다. 각각의 카트리지(7)(7a, 7b, ...)는 총천연색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이후부터는 장치 주 조립체로서 단순하게 지칭되는) 주 조립체(25)의 대응 카트리지 장착부(30)(30a, 30b, ...)에 탈거식으로 장착된다. 스캐너 유닛(3)(3a, 3b, ...)은 카트리지(7)(7a, 7b, ...)가 카트리지 장착부(30)(30a, 30b, ...)에 위치할 때 카트리지(7)(7a, 7b, ...)와 대향하도록 장치 주 조립체에 부착된다.
다음에, 다양한 부품들이 논리적인 순서로 그들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카트리지(7a, 7b, 7c 및 7d)들은 구조상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광전도성 드럼(1)(1a, 1b, ...)은 예를 들어 직경이 30 mm인 알루미늄 실린더와, 알루미늄 실린더의 주연면 상에 코팅된 유기 광전도체의 층을 포함한다. 광전도성 드럼은 그 드럼 샤프트의 길이방향 단부들에서 한 쌍의 베어링(66, 67)[도9 참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광전도성 드럼(1)의 길이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장치 주 조립체(25) 측상에 제공되는 모터(도시 안됨)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된다.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광전도성 드럼(1)은 도1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대전 장치(2)(2a, 2b, ...)는 접촉식 대전 방법을 채택하는 타입이다. 대전 장치(2)는 광전도성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게 위치되는 전기 전도성 롤러를 구비한다. 광전도성 드럼(1)의 주연면은 대전 롤러가 광전도성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게 하면서, 대전 바이어스, 즉 소정량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균일하게 대전된다.
스캐너 유닛(3)(3a, 3b, ...)은 광전도성 드럼(1)(1a, 1b, ...)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된다. 스캐너 유닛(3)은 화상 형성 신호들로 변조된 화상 형성광을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도시 안됨), 스캐너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다각 거울(9)(9a, 9b, ...), 초점 렌즈(10)(10a, 10b, ...)를 포함한다.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방사된 화상 형성 광은 다각 거울(9)(9a, 9b, ...)를 향하여 조사되어 편향된다. 편향된 화상 형성광은 광전도성 드럼(1)(1a, 1b, ...)의 대전된 주연면 상에 집중되고, 선택적으로는 광전도성 드럼(1)의 주연면의 다수의 점들에 노출된다. 결과로서, 대응 주 색상 요소에서 다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들에 형성된 것들과 상이한 정전 잠상은 광전도성 드럼(1) 상에 형성된다.
현상 장치(4a, 4b, 4c 및 4d)들은 각각 황색, 심홍색, 청록색 및 흑색 현상제들을 보유하는 현상제 저장부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현상 장치는 대응하는 광전도성 드럼(1)(1a, 1b, ...)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그 내부에 함유된 현상제를 정전 잠상에 부착시킴으로써 현상제로 현상된 화상으로 현상한다. 카트리지(7a)의 현상제 저장부(7a1)에서, 황색 색상인 현상제가 저장된다. 유사하게, 카트리지(7b, 7c 및 7d)들의 현상제 저장부(7b1, 7c1 및 7d1)들 각각에 심홍색, 청록색 및 흑색 색상들의 현상제들이 각각 저장된다.
세척 장치(6)(6a, 6b, 6c 및 6d)는 광전도성 드럼(1)(1a, 1b, ...)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이 정전 전사 장치(5)에 의해 기록 매체(S) 상으로 전사된 후에 광전도성 드럼(1)(1a, 1b, ...)의 주연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긁어 내리기) 위한 것이다. 세척 장치(6)에 의한 광전도성 드럼(1)(1a, 1b, ...)의 세척은 광전도성 드럼(1)이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위한 다음 회전을 위하여 준비하게 한다.
정전 전사 장치(5)는 기록 매체(S)가 복수의 광전도성 드럼(1)(1a, 1b, ...)의 각각과 일대일로 접촉하도록 기록 매체(S)를 정전식으로 보유하는 동안 기록 매체(S)를 이송하기 위한 정전 전사 벨트(11)가 제공된다. 정전 전사 장치(5)에는 기록 매체(S)상으로, 광전도성 드럼(1a, 1b, 1c 및 1d)들 상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들을 연속적으로 전사하기 위하여 광전도성 드럼(1a, 1b, 1c 및 1d) 각각과 대향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사 롤러(12a, 12b, 12c 및 12d)들이 또한 제공된다.
전사 벨트(11)는 1011내지 1014Ω·㎝의 범위의 체적 저항을 갖는 막으로 형성된다. 전사 벨트는 모든 광전도성 드럼(1)(1a, 1b, ...)과 접촉하면서 순환식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사 벨트(11)는 원주 길이가 대략 700 mm이고, 두께가 대략 150 mm이다. 전사 벨트는 한 쌍의 종동 롤러(14a 및 14b), 인장 롤러(15) 및 구동 롤러(13)에 의해 현수되며, (도1의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기 롤러(13)로부터의 힘에 의해 순환식 구동된다. 종동 롤러(14a), 즉 하부측 상의 종동 롤러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은 전사 벨트(11)의 외부면 상에서 가압되고, 그 자체와 전사 벨트(11) 사이에서 기록 매체(S)를 닙하도록 하는 정전 고착 롤러(22)이다. 전압이 전사 벨트(11)와 고착 롤러(22) 사이에 인가될 때, 전하는 유전체인 기록 매체(S)와 전사 벨트(11)의 유전체층 사이로 유도되고, 이에 따라 기록 매체(S)가 전사 벨트(11)의 외부면에 계속하여 정전식 고착되게 한다.
전사 롤러(12)(12a, 12b, ...)는 대응 광전도성 드럼(1)(1a, 1b, ...)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사 벨트(11)의 내부면과 접촉한다. 양의 전하가 전사 벨트(11)를 통해 기록 매체(S)로 인가될 때, 극성이 음인 광전도성 드럼(1) 상의 현상제 화상은 광전도성 드럼(1)과 접촉하는 기록 매체(S)상으로, 기록 매체(S)에 주어진 양전하에 의해 발생된 전기장에 의해 전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전사 장치(5)의 전사 벨트(11)는 고착 롤러(22)와 협동하여, 전사 벨트(11)의 순환 루프의 좌측에서, 도11의 전사 장치의 전사 벨트(11)의 외부면으로 기록 매체(S)를 고착시키며, 각각의 광전도성 드럼(1)(1a, 1b, ...)과 기록 매체(S)를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순환식 이동한다. 기록 매체(S)가 롤러(14a)측으로부터 롤러(13)측으로 이송될 때, 각각의 광전도성 드럼(1)(1a, 1b, ...) 상의 현상제 화상은 각각의 광전도성 드럼(1)(1a, 1b, ...)과 대향하면서, 전사 롤러(12)(12a, 12b, ...)의 기능에 의해서 기록 매체(S) 상으로 전사된다.
이송부(16)는 화상 형성부로 기록 매체(S)를 이송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송부는 카세트(17), 이송 롤러(8) 및 인쇄 정합 롤러 쌍(19)으로 구성된다. 카세트(17)는 복수의 기록 매체(S)를 유지시킨다. 화상 형성 작동동안, 이송 롤러(8)와 인쇄 정합 롤러 쌍(7)은 현상제 화상 형성과 동기식으로 회전 구동되며, 이로써 카세트(7)의 복수의 기록 매체(S)는 하나씩 분리되는 동안 화상 형성부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인쇄 정합 롤러 쌍(9)이 작동하지 않는 동안, 각각의 기록 매체(S)의 선단 에지가 인쇄 정합 롤러 쌍(9)과 접촉함에 따라, 기록 매체(S)는 일시적으로 강제적으로 굴곡되면서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이후, 광전도성 드럼(1)과 전사 롤러(12) 사이의 닙부에서 기록 매체(S)의 전사 개시 라인의 도달이 닙부에서 광전도성 드럼(1) 상의 현상제 화상의 선단 에지의 도달과 동조하기 위해 전사 벨트(11) 상으로 기록 매체(S)를 해제하도록 인쇄 정합 롤러 쌍(19)이 회전된다.
정착부(20)는 색상이 상이한 복수의 정착되지 않은 현상 화상을 기록 매체(S)에 정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회전식 가열 롤러(21a)와, 기록 매체(S)에 열과 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가열 롤러(21a)에 가압된 상태의 가압 롤러(21b)를 포함한다. 특히, 색상이 상이한 복수의 현상제 화상이 복수의 광전도성 드럼(1)으로부터 일대일로 전사된 기록 매체(S)는 정착 롤러쌍(21; 21a, 2b)에 의해 정착부(20)를 통해 이송되는 동안, 열 및 압력이 정착 롤러쌍(21)에 의해 인가된다. 결국, 색상이 상이한 복수의 현상제 화상이 기록 매체(S)의 표면에 정착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에 의해 수행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상기 장치 주 조립체(25)의 카트리지 장착부(30; 30a, 30b, ...)(도1, 도2 및 도3)에 장착된 후,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7; 7a, 7b,...)는 현상제 화상 형성 타이밍과 동기식으로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이들이 구동됨에 따라 광전도성 드럼(1; 1a, 1b, ...)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카트리지(7; 7a, 7b, ...)에 대향하는 스캐너 유닛(3; 3a, 3b, ...)은 일대일로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 7a, 7b, ...)가 구동됨에 따라, 대전 장치(2; 2a, 2b, ...)는 대응 광전도성 드럼(1)의 주연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광 전도 드럼(1; 1a, 1b, ...)의 균일하게 대전된 주연면은 화상 형성 신호로 변조되면서 유닛(3; 3a, 3b, ...)에 의해 투사된 광에 노출된다. 결국, 특정 주색상 요소에 상응하는 정전 잠상이 광전도성 드럼(1; 1a, 1b, ...)의 주연면에 형성된다. 현상 장치(4; 4a, 4b, ...)의 현상 롤러는 카트리지(7; 7a, 7b, ...)의 현상 저장부(7a; 7a1, 7b1, ...)의 현상제를 현상부로 공급하며, 현상제는 전위가 낮은 광전도성 드럼(1)의 주연면의 지점에 전사된다. 결국, 시각적인 화상이 광전도성 드럼(1; 1a, 1b, ...)의 주연면에 현상제로 형성되며, 다시 말해서 광전도성 드럼(1; 1a, 1b, ...) 상의 정전 잠상이 현상된다.
한편, 인쇄 정합 롤러쌍(19)의 회전은 전사 벨트(11) 상에 기록 매체(S)를 해제시키기 위해 개시되어, 광전도성 드럼(1a)의 주연면 상에 현상 화상의 선단 에지의 도달, 즉 기록 매체 이송 방향의 관점에서 최상류 광전도성 드럼(1)이 전사 벨트(11)와 전사 롤러(12) 사이의 닙부에서의 소정의 라인에서 닙부의 소정의 라인에서의 기록 매체(S)의 전사 개시 라인의 도달과 동기화된다.
기록 매체(S)가 전사 벨트(11)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고착 롤러(22)에 의해전사 벨트(11)의 외부면 상에 가압되고, 전압은 전사 벨트(11)와 고착 롤러(22) 사이에 인가되어 기록 매체(s)가 최상류 전사 위치에서 최하류 전사 위치로 전사되는 동안 전사 벨트(11)의 외부면에 정전기적으로 고착되어 잔류하는 것을 보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S)는 전사 벨트(11)에 의해 이송된다. 기록 매체(S)가 이송되는 동안, 광전도성 드럼(1a, 1b, 1c, 1d) 상에 주색상 요소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현상 화상은 광전도성 드럼(1; 1a, 1b, ...)과 전사 롤러(12; 12a, 12b, ...) 사이에 생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각각 기록 매체(S) 상에 연속적으로 전사된다.
상이한 색상의 현상 화상이 기록 매체(S) 상에 전사된 후, 기록 매체(S)는 벨트 구동 롤러(13)의 만곡부를 이용하여 전사 벨트(12)로부터 분리되고, 현상제 화상이 가열 롤러(21a)와 가압 롤러(21b)에 의해 기록 매체(S)로 열정착되는 정착부로 이송된다. 이후, 기록 매체(S)는 대전 롤러쌍(23)에 의해 출구(24)를 통해 장치 주 조립체(25)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광전도성 드럼(1; 1a, 1b, ...)은 세척 장치(6; 6a, 6b, ...)에 의해 세척되고, 잔류 현상제 즉, 광전도성 드럼(1; 1a, 1b, ...)의 주연면에 잔류하는 현상제는 세척 장치(6; 6a, 6b, ...)에 의해 긁혀진다. 광전도성 드럼(1)의 주연면의 세척된 부분은 이후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장치 주 조립체의 카트리지 장착부의 구조, 장치 주 조립체에 탈거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 및 장치 주 조립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거식으로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프로세싱 부재 즉, 광전도성 드럼(1), 대전 장치(2), 현상 장치(4), 세척 장치(6) 등의 내구성과, 현상제 저장부에 저장가능한 현상제량과 관련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누적 사용이 소정량에 다다를 때 새 것과 교체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스 부재의 종료 또는 현상제의 고갈로 인해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제거되어야 할 때, 또는 새로운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로 장착될 때, 카트리지는 광전도성 드럼(1)의 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25)의 카트리지 장착부(30)에 대해 이동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할 때, 장치 주 조립체(25)는 [광전도성 드럼(1)의 길이방향에서의 카트리지(7)의 치수인] 카트리지(7)의 길이보다 넓은 카트리지 입구(개구)를 구비한다. 또한, 복수의 (도면에서는 4개의) 카트리지 장착부(30; 30a, 30b, ...)를 구비한다. 이러한 카트리지 입구는 샤프트(26a) 주위에서 회전됨으로써 개폐될 수 있도록 장치 주 조립체(25)에 고착된 전방 도어(26)를 구비한다. 전사 장치(15)의 전사 벨트(11), 전사 롤러(12; 12a, 12b, ...), 전사 벨트 지지 롤러(13 내지 15) 등이 전방 도어(26)에 고착된다. 통상적으로, 전방 도어(26)는 도1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되어 유지되고, 처음 프로세스 카트리지(7)에 장착하거나 또는 새로운 것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교체될 때 작업자에 의해 개방된다.(도2) 전방 도어(26)가 개방됨에 따라, 전사 장치(5)는 전방 도어(26)와 함께 이동되어 카트리지 장착부(30)를 노출시킨다.
도3에서,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측벽(27)은 카트리지 장착부(30)로 카트리지(7)를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도4에서는 4개의) 제1 안내부(31; 31a, 31b,...)를 구비하고,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2 벽(28)은 카트리지(7)를 카트리지 장착부(30)로 안내하기 위한 제2 안내부(32; 32a, 32b, ...)를 구비한다. 안내부(31; 31a, 31b, ...)는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며 또한, 안내부(32; 32a, 32b, ...)는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기 위치된다. 카트리지(7)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는 도면부호 (33; 33a, 33b, ...)(34; 34a, 34b, ...)로 표기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이후에 설명한다.
각각의 카트리지 장착부(30)는 소정의 위치에 카트리지(7)를 보유하기 위해 카트리지(7)에 압력을 인가하는 예를 들어, 보유 스프링과 같은 (도시되지 않은) 탄성 부재가 구비된다. 탄성 부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주 조립체(25) 안으로 장착되는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가압하는 타입 또는 장치 주 조립체(25)의 대응부 상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부를 가압하는 타입일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7)(7a, 7b,...)에서, 카트리지(7)의 프레임은 한 쌍의 핸들(65)을 구비하고, 이것은 그의 폭방향(광전도성 드럼의 길이 방향)에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단부에 위치되고, 이것은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향 방향으로 주사된다.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의 카트리지 장착부(30) 안으로 장착될 때, 한 쌍의 핸들(65)은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카트리지 장착부(30) 안으로 수평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며, 장치 주 조립체(25)의 각각의 제1 및 제2 측벽(27, 28) 상에 가이드(31, 32)를 뒤따르게 하며(도3 참조), 광전도성 드럼(1)은 장치 주 조립체(25)의 전방 측면 상에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장착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카트리지(7)는 장치 주 조립체(25)의 상응하는 카트리지 장착부(30) 안으로 장착된다. 장치 주 조립체(25)의 카트리지 장착부(30) 안으로 카트리지(7)를 장착한 후, 전방 도어(26)는 폐쇄된다. 전방 도어(26)가 폐쇄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 부재, 즉 압축 스프링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정착하도록 형성되고, 동시에, 전사 장치(5)의 전사 벨트(11)는 각각의 카트리지(7)의 광전도성 드럼(1)과 접촉한다.
다음, 장치 주 조립체(25) 안으로 카트리지(7)를 장착할 때 장치 주 조립체(25)에 대해 카트리지(7)를 정확히 위치시키는 데 필수적인 카트리지(7) 및 장치 주 조립체(25)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러한 실시예는 상부 유닛으로서 드럼 유닛(41) 및 저부 유닛으로서 현상 유닛(42)을 포함한다. 이 두 개의 유닛(41, 42)은 후술되듯이 한 쌍의 피봇(43)에 대해 피봇될 수 있도록 서로에 연결된다.
도5를 참조하면, 드럼 유닛(41)은 제1 단부 커버(44) 및 제2 단부 커버(45)를 구비하고, 이것은 일 대 일로 드럼 유닛(41)의 길이방향 단부들에 위치된다. 제1 및 제2 단부 커버(44, 45)는 드럼 유닛(41)을 현상 유닛(42)에 연결하기 위한 구멍(44a, 45a)을 구비한다. 구멍(44a, 45a)은 각각 피봇(43)의 위치에 상응한다. (도1의 광전도성 드럼(1)에 상응하는) 광전도성 드럼(51)은 드럼 유닛(41)의 제1 및 제2 단부 커버(44, 45)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광전도성 드럼(51)의 드럼 축(51A)은 각각 제1 및 제2 단부 커버(44, 45)에 부착된 한 쌍의 베어링(66, 67)에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더욱이, 드럼 유닛(41)은 대전 장치(2)의 대전 부재(52)(대전 롤러), 세척 장치(6)의 세척 부재(56)[세척 블레이드(56)], 블레이드(56)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저장하는 제거된 현상제 저장부(55) 및 제거된 현상제 이송 수단(57)을 포함한다. 이송 수단(57)은 제거된 현상제 저장부(55)에 회전식으로 배치된 크랭크(57a) 및 크랭크의 크랭크 핀부에 연결로드와 같이 부착된 제거된 현상제 이송 부재(57b)를 포함한다. 따라서, 크랭크(57a)가 회전함에 따라, 이송 부재(57b)는 왕복운동하도록 형성되고, 블레이드(56)의 인접부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제거된 현상제 저장부(55)로 이송한다.
현상 유닛(42)은 현상 장치(4)의 현상 부재(54)(현상 롤러)와,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58)과, 다른 카트리지에 현상제로부터 색상이 상이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도1 및 도2에서 현상제 저장부(7a1, 7b1, 7c1, 7d1)에 상응하는] 현상제 저장부(59)를 포함한다. 현상제 저장부(59)는 제거된 현상제 저장부(55) 아래에 위치되고, 한 쌍의 교반 부재(60a, 60b)를 구비하며, 이것은 현상제 저장부(55) 내에 배치되어 현상제 이송 기구로 이중으로 역할을 한다. 현상제 저장부(59) 내의 현상제는 현상 수단 보유 프레임(58)의 현상제 공급 롤러(61)로 한쌍의 교반 부재(60a, 60b)에 의해 교반되면서 이송된다. 다음에, 현상제는 전기 대전이 인가되면서 현상 롤러(54)의 주연면 상에 가압이 유지된 현상 블레이드(64) 및 현상제 공급 롤러(61)에 의해 현상 롤러(54)의 주연면에 부착된다.
도5를 참조하면, 현상 유닛의 측벽(현상 롤러(54)의 길이방향으로 단부벽)은 현상 유닛(42)와 드럼 유닛(41)을 연결하기 위한 일 대 일의 한 쌍의 연장부(48,49)를 구비한다. 연장부(48, 49)는 각각 피봇(43)의 축선들에 상응하는 축선으로
관통 구멍(48a, 49a)을 구비한다. 이러한 관통 구멍(48a, 49a) 및 드럼 유닛(41)의 구멍(44a, 45a)을 통해, 한 쌍의 위치 설정 핀(50)[피봇(43)]은 카세트(7)의 후방으로부터 일 대 일로 삽입되어 드럼 유닛(41) 및 현상 유닛(42)은 서로에게 연결되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핀(50) 주위에 피봇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한 쌍의 가압 스프링(63)은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두 개의 유닛의 선단부의 좌우측 코너에서 유닛(41)과 유닛(42)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현상 롤러(54)는 위치 설정 핀(50)[피봇(43)] 주위로 궤도 이동하도록 하면서 광전도성 드럼(1)의 주연면 상에 가압되어, 광전도성 드럼(51) 및 현상 롤러(54)가 그 길이방향 범위를 따라 서로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4에서, 도면 부호 64는 노출 개구를 나타내고, 이것은 드럼 유닛(41)과 현상 유닛(42) 사이에 구비되며, 이를 통해 광 화상은 광전도성 드럼(51) 상에 잠상을 형성하도록 스캐너 유닛(3)으로부터 광전도성 드럼(51)으로 투사된다.
다음에, 카트리지(7)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구가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를 구동하기 위한 힘은 장치 주 조립체(25)로부터 카트리지(7)의 현상 유닛(42)와 드럼 유닛(41) 둘 다로 직접 전달된다.
도5에서, 광전도성 드럼(51)은 한 쌍의 베어링(66, 67)을 각각 개재하여 드럼 유닛(41)의 제1 및 제2 단부 커버(44, 45)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더욱이, 광전도성 드럼(51)은 장치 주 조립체(25)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광전도성 드럼(51)에 대한 부재로서 커플링(68)을 구비하고, 이것은 드럼축(51A)의 일 단부에 부착되는 반면, 장치 주 조립체(25)는 장치 주 조립체(25)의 구동력을 광전도성 드럼(51)에 전달하기 위한 부재로서 (도시되지 않은) 커플링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을 제공하여, 광전도성 드럼(51)을 구동하는 힘은 장치 주 조립체(25)로부터 광전도성 드럼(51)으로 전달된다. (이하에서 카트리지 커플링으로 언급되는) 카트리지 측면 상의 커플링(68)은 비틀림 지주의 형상이고, 그 단면은 대략 등변 삼각형의 형상이지만, (이하에서 주 조립체 커플링으로 언급되는) 장치 주 조립체 측면 상의 커플링은 비틀림 지주의 형상으로 구멍을 구비한 부재이고, 그 단면은 대략 등변 삼각형의 형상이다. 주 조립체 커플링은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카트리지 커플링(68)과 결합한다. 주 조립체 커플링이 회전함에 따라, 카트리지 커플링(68)은 카트리지 커플링(68)의 비틀림 및 주 조립체 커플링의 구멍의 비틀림 때문에 주 조립체 커플링 안으로 점차 인도되고, 120도 회전될 때 카트리지 커플링(68)과 완전히 결합한다. 다시 말해, 구동력은 카트리지 커플링(68)을 통해 광전도성 드럼(51)으로 전달된다.
현상 유닛(42)은 현상 유닛(42)의 연장부(48),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7)가 구동되는 측의 연장부에 부착되는 현상 롤러(54)를 구동하기 위한 힘을 수용하는 부재(f)로서 기어(69)가 제공된다. 기어(69)는 헬리컬 기어이다. 기어(69)에 대해서, 구동력은 현상 롤러(54)를 구동하기 위한 힘(이후 주 조립체 부재를 전달하는 구동력으로 언급됨)을 전송하기 위해, 장치 주 조립체 측면 상에서 부재로서, 헬리컬 기어(69C)로부터 전달된다. 기어(69)는 카트리지 커플링(68)으로서 카트리지(7)의 동일한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되는 방향으로, 기어(69)가 카트리지 커플링(68)에 대해서 하류부 측면 상에 배치되고,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기어(69)가 카트리지 커플링(68)에 대해 내부 측면 상에 배치된다.
기어(69)의 축선은 관통 구멍(48a)의 축선, 즉 피봇(43)의 각 축선과 일치하는 축선과 일치한다. 따라서, 기어(69)의 축선은 드럼 유닛(41) 및 현상 유닛(42)을 연결하는 각각의 위치 설정 핀(50) [피봇(43)]의 축선과 일치한다. 기어(69)는 장치 주조립체 측면 상에 현상 롤러 구동력 전달 부재로서, 헬리컬 기어(69C)를 갖는 기어 노출 개구로부터 노출된 부분에 의해, 드럼 유닛(41)의 제1 단부 덮개(44) 및 메쉬의 기어 노출 개구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카트리지(7)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기어(69)의 중심에 대해 기어(69)가 맞물리는 기어(69C)는 하류부 측면 상에 배치되어 장치 주 조립체(25)에 부착된다.
부재를 수용하는 현상 롤러 구동력으로서 기어(69)로 전달된 구동력은 두 가지 방식으로 기어 트레인을 통해 드럼 유닛(41)의 제거된 현상제 운반 수단(55)뿐만 아니라 현상 롤러(54) 및 교반 부재(60a, 60b)로 전달된다. 특히, 기어(69)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은 현상 롤러(54)의 길이 방향 단부에 부착된 현상 롤러 기어(70) 와, 회전하는 현상 롤러(54) 및 현상제 공급 롤러(61)가 아이들러 기어를 통해 현상제 공급 롤러(61)의 길이 방향 단부에 부착된 기어(71)로 각각 전달된다. 아이들러 기어는 구동 속도 감소 수단으로서 기능하기 위해서 구성된다. 그들은 교반 부재(60a, 60b)의 현상제 교반 기어(72a, 72b)와 각각 맞물린다. 따라서, 교반 부재(60a, 60b)는 아이들러 기어를 통해 두 가지 방식으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아이들러 기어는 또한 아이들러 기어(73)를 통해 드럼 유닛(41)의 제거된 현상제 이송 수단(57)의 크랭크(57a)에 부착된 (도시되지 않은) 기어에 연결되고, 따라서 크랭크(57a) 및 제거된 현상제 운반 부재(57b)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즉, 현상 유닛(42)의 상술된 기어(69)로 투입된 후, 구동력은 현상 유닛(42)에서 현상 롤러(54), 교반 부재(60a, 60b) 등을 구동한다. 게다가, 구동력은 드럼 유닛(41)에서 제거된 현상제 운반 수단(57)을 구동한다.
다음으로, 카트리지(7)가 장치 주조립체(25)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됨을 보장하는 구조가 묘사될 것이다.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에 적절히 장착될 때(도3, 5 및 7),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및 제2 측벽(27, 28) 각각에 평행하게 되도록 카트리지(7)의 제1 및 제2 단부 덮개(44, 45)는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단부에 차례로 배치된다.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될 때 카트리지 장착부(30) 내로 카트리지(7)를 안내하기 위해,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및 제2 측벽(27, 28)은 제1 및 제2 안내부 세트를 각각 구비한다. 카트리지(7)는 저부면의 길이 방향 단부에 차례로 있고, 장치 주 조립체(25)의 안내부(33)의 제1 세트 및 안내부(34)의 제2 세트에 상응하는 안내부 중의 하나에 의해 안내되는, 제1 및 제2 안내부(74, 75)를 구비한다. 카트리지(7)의 제1 안내부(74)는 카트리지(7)의 제1 단부 덮개(44)의 저부의 일부이고[즉, 상부 유닛(41)의 측벽], 카트리지(7)의 제2 안내부(75)는 제2 단부 덮개(45)의 저부(45a)의 일부, 즉 저부 유닛(42)의 측벽의 저부이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가 카트리지 장착부(30) 내로 장착될 때, 카트리지(7)의 제1 안내부(74)는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측벽(27)의 제1 안내부(31)에 의해 안내되고, 카트리지(7)의 제2 안내부(74)는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2 측벽(28)의 제2 안내부(32)에 의해 안내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장착부(30)에 대해 카트리지(7)를 위치시키기 위해서, 카트리지 장착부(30)는 제1 위치 설정부(33), 제2 위치 설정부(34) 및 제3 위치 설정부(35)가 제공되는 반면, 카트리지(7)는 제1 위치 설정부(76), 제2 위치 설정부(77) 및 제3 위치 설정부(78)가 제공된다.
축선이 카트리지(7)에서 광전도성 드럼(51)의 축선과 일치하기 위해 카트리지(7)의 제1 위치 설정부(76)가 위치된다. 이는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에서 카트리지(7)의 제1 단부 덮개(44)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한다. 카트리지(7)의 제2 위치 설정부(77)는 카트리지(7)의 제1 위치 설정부(76)와 유사하다. 즉, 축선은 광전도성 드럼(51)의 축선과 일치한다. 이는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에서 카트리지(7)의 제2 단부 덮개(45)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단부 덮개(44, 45)의 베어링(66, 67)은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76, 77)로 각각 이용된다. 다시 말해, 카트리지(7)의 치수는 카트리지(7)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써 이중으로 광전도성 드럼(51)을 회전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감소된다. 베어링(66, 67)은 단부 덮개(45, 45) 각각에 부착되고, 광전도성 드럼(51)의 드럼 샤프트(51A)를 회전식으로 지지한다.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의 카트리지 장착부(30) 내로 장착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7)의 각각의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76, 77)는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33, 34)에 의해 위치 설정된다.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33, 34)는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및 제2 측벽(27, 28)에 부착된다.
장치 주 조립체(25) 측의 대응부에 의한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76, 77)의 위치 설정은 현상 롤러(54)를 회전시키도록 장치 주 조립체(25)로부터 현상 롤러(현상 부재)(54)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바와 같은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해 카트리지(7)가 회전되는 것을 단독으로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Y)(도1, 2 및 3)에서 제1 위치 설정부(76)에 대해 하류측에 있고, 카트리지(7)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1 단부 덮개(44)로부터 돌출하는 원통형 제3 위치 설정부(78)를 구비한다. 따라서, 장치 주 조립체(25)는 제3 위치 설정부(78)를 포획하도록 제1 측벽(27)에 부착되는 제3 위치 설정부(35)를 구비한다. 카트리지(7)의 제3 위치 설정부(78)는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수지제의 기재로 형성된 제1 단부 덮개(44)의 일체부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상세히는, 제1 단부 덮개(44)가 제3 위치 설정부(78)가 돌출하는 저부 표면으로부터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3 위치 설정부(78)의 상단부가 리세스의 측벽의 상부 에지와 대등하거나 또는 오목한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장착 방향(Y)에서, 헬리컬 기어인 현상 롤러 구동력 수용부(69)가 제3 및 제1 위치 설정부(78, 76) 사이에 배치되고, (도6의) 제1 단부 덮개(44)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게다가, 제3 위치 설정부(78)는 현상 롤러 구동력 수용부(69)가 장치 주 조립체(25)의 현상 롤러 구동력 전달 부재(69C)와 결합하도록 카트리지 장착 방향(Y)으로 이동할 때, 현상 롤러 구동력 수용부(69)가 종동하는 경로 아래의 수준으로 배치된다. 게다가, 헬리컬 기어 형상의 현상 롤러 구동력 수용부(69), 카트리지(7)의 원통형 제3 위치 설정부(78) 및 광전도성 드럼(51)의 드럼 샤프트(51A)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66)으로 이중으로써 카트리지(7)의 제1 위치 설정부는 (도6의) 카트리지(7)의 길이 방향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외향 방향으로 전술한 순서대로 배치된다.
게다가, 도7을 참조하여,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7)를 장착하는 동안 카트리지(7)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로서 제1 및 제2 안내부(74, 75)에 부가하여 제3 안내부(79)를 구비한다. 제3 안내부(79)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Y)으로 제2 위치 설정부(77)에 대해 하류측에 배치된다. 수직 방향으로, 제3 안내부(79)는 제3 위치 설정부(78)보다 높은 수준으로 배치된다. 이는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제2 단부 덮개(45)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이는 수지제의 기재로 형성된 원통형 부재이고, 수지제의 제2 단부 덮개(71)의 일체부로서 성형된다. 게다가,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될 때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3 안내부(36)에 의해 안내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조적 배열의 제공으로, 카트리지(7)가 제1, 제2 및 제3 위치 설정부(76, 77, 78)에 의해 지지될 뿐 아니라 장치 주 조립체(25)의 카트리지 장착부(30)에서 이들에 의해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카트리지 장착부(30)에 대한 카트리지(7)의 위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개의 지점(a, b 및 c)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도8에서, 지점(a, b)은 카트리지(7)의 제1 및 제2위치 설정부(76, 77)와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33, 34)로서 베어링(66, 67)들 사이의 접촉 지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들은 광전도성 드럼(51)의 드럼 샤프트(51A)의 축선과 그 가로 방향으로 베어링(66)을 양분하는 면의 교점 및 광전도성 드럼(51)의 드럼 샤프트(51A)의 축선과 그 가로 방향으로 베어링(67)을 양분하는 면의 교점과 일대일로 일치한다. 지점(c)은 카트리지(7)로부터 돌출하는 제3 위치 설정부(78)와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3 위치 설정부(35) 사이의 접촉 지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는 돌출 방향으로 제3 위치 설정부(78)를 양분하는 면과 돌출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제3 위치 설정부(78)를 양분하는 면의 교점과 일치한다. 지점(f)은 기어(69)(현상 롤러 구동력 수용부)의 추가 원(도8)과 그의 폭 방향으로 기어(69)를 양분하는 면과의 교점이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지점(a, b, c)은 각각 카트리지(7)의 제1, 제2 및 제3 위치 설정부[76(66), 77(67), 78]와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제2, 제3 위치 설정부(33, 34, 35)일 뿐이고, 전술한 특정 지점과 일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현상 롤러 구동력 수용 지점(f)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지점(a, b, c)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삼각형 영역 내에 있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의 제공으로,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7)가 구동될 때에도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된다. 게다가, 카트리지(7)는 간단한 구조적 배열을 채용한 반면, 고도의 신뢰성과 정밀도를 갖고 위치된다. 게다가,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76(a) 및 77(b)]에 작용하는 하중은 상당히 감소되거나 사실상 제거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의 중력 중심(g)은 본 발명의 전술한 효과를 개선시키는 현상 롤러 구동력 수용 지점(f)으로서 전술한 삼각형 영역 내에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의 제3 위치 설정부(78)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제1 위치 설정부(76)에 대해 하류측에 위치하고, 카트리지(7)의 길이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제1 단부 덮개(44)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지주의 형상이다. 따라서, 카트리지(7)는 정확하게 위치하고, 단순한 구조적 배열의 사용으로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된다. 게다가, 장치 주 조립체(25)와 카트리지(7)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 즉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25)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제1 실시예는 전자 사진 광전도성 드럼(51)(1), 광전도성 드럼(5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54)(4),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 일 단부에 배치된 제1 단부 덮개(44),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 타 단부에 배치된 제2 단부 덮개(45),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될 때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안내부(31)에 의해 안내되도록 카트리지(7)의 저부면에 형성된 제1 안내부(74),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될 때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2 안내부(32)에 의해 안내되도록 카트리지(7)의 저부면에 형성된 제2 안내부(75), 그의 축선이 광전도성 드럼(51)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위치되고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제1 단부 덮개(44)로부터 외향 돌출하고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에 장착되는 바와 같이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위치 설정부(33)에 의해 위치로 고정되는 제1 위치 설정부(76), 그의 축선이 광전도성 드럼(51)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위치되고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제2 단부 덮개(45)로부터 외향 돌출하고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에 장착되는 바와 같이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2 위치 설정부(34)에 의해 위치로 고정되는 제2 위치 설정부(77),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제1 위치 설정부(76)에 대해 하류측에 배치되고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제1 단부 덮개(44)로부터 외향 돌출하고,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제3 위치 설정부(35)에 의해 위치에 고정되는 제3 위치 설정부(78),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제1 위치 설정부(76)와 제3 위치 설정부(76)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단부 덮개(44)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고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에 장착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상류측으로부터 장치 주 조립체(25)의 구동력 전달부(69c)와 결합하고 장치 주 조립체(25)의 구동력 전달부(69c)로부터 현상 롤러(5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실시예의 다른 특징 태양에 따르면, 구동력 수용부(69)는 헬리컬 기어이다. 원통형인, 카트리지(7)의 제3 위치 설정부(78)는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내로 장착됨에 따라서 구동력 수용부(69)가 장치 주 조립체(25)의 구동력 전달부(69C)와 결합되기 위해 구동력 수용부(69)가 따르는 경로의 외부에 배치된다. 또한, 원통형인, 카트리지(7)의제3 위치 설정부(78)는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내로 장착됨에 따라서 구동력 수용부(69)가 장치 주 조립체(25)의 구동력 전달부(69C)와 결합되기 위해 구동력 수용부(69)가 따르는 경로의 높이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실시예의 다른 특징 태양에 따르면, 카트리지(7)의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76 및 77)는 광전도성 드럼(51)의 드럼 샤프트(51A)를 회전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부(66 및 67)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실시예의 다른 특징 태양에 따르면, 제3 위치 설정부(78)와 같은, 카트리지(7)의 원통부는 몰딩에 의해 형성된 제1 단부 덮개(44)의 일체형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실시예의 다른 특징 태양에 따르면, 구동력 수용부(69)로서의 헬리컬 기어, 제3 위치 설정부(78)로서의 원통부 및 광전도성 드럼(51)의 드럼 샤프트(51A)를 회전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1 위치 설정부(76)로서의 베어링부(66)는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기록되었으며 상기 기술된 순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실시예의 다른 특징 태양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된 방향으로 제2 위치 설정부(77)에 대해 하류측에 배치되고,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제2 단부 덮개(45)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고,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내로 장착될 때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3 안내부(36)에 의해 안내되는 제3 안내부(79)를 포함한다. 또한, 카트리지(7)의 제3 안내부는 수직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제3 위치 설정부(78)에 대해 상단측상에 배치된다. 또한, 이는 원통형 부재이고, 몰딩에 의해 형성된 제2 단부 덮개(45)의 일체형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실시예의 다른 특징 태양에 따르면, 상단 및 저부 유닛(41 및 42)을 포함하는 카트리지(7)이며, 상단 유닛(41)은 광전도성 드럼(51)과, 광전도성 드럼(51)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52)와, 광전도성 드럼(51)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56) 및 세척 부재(56)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제거된 현상제 저장부(55)를 포함하고, 저부 유닛(42)은 현상 부재(54)와,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부(59)를 포함하며, 현상 부재(54)가 탄성 부재(63)의 복원력에 의해 광전도성 드럼(51)상에 가압된 채로 유지되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피봇되는 방식으로 유닛(41 및 42)은 탄성 부재를 개재시키면서 서로 연결되며, 상단 유닛(41)은 제1 단부 덮개(44), 제2 단부 덮개(45), 제1 안내부(74), 제2 안내부(76), 제2 위치 설정부(77) 및 제3 위치 설정부(78)을 포함하고, 저부 유닛(42)은 제2 안내부(7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실시예의 다른 특징 태양에 따르면,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내의 적절한 위치에 있는 동안에, 카트리지(7)의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76 및 77)는 장치 주 조립체(25)의 탄성 부재(도시 안됨)의 복원력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가압된 채 유지되거나, 상단 유닛(41)의 상단 표면은 장치 주 조립체(25)의 탄성 부재(도시 안됨)의 복원력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가압된 채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실시예의 다른 특징 태양에 따르면, 카트리지(7)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핸들(6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전술된 실시예는, 카트리지(7)가 탈착식으로 장착가능하고, 기록 매체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a) 제1 및 제2 안내부(31 및 32)와, (b) 제1, 제2, 및 제3 위치 설정부(33, 34, 및 35)와, (c) 카트리지 장착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착부 내에, 전자 사진 광전도성 드럼(51)(1)과, 광전도성 드럼(5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54)(4)와,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하나에 배치된 제1 단부 덮개(44)와, 광전도성 드럼(51)의 다른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된 제2 단부 덮개(45)와,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될 때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안내부(31)에 의해 안내되도록 카트리지(7)의 저부 표면 상에 형성된 제1 안내부(74)와,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될 때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2 안내부(32)에 의해 안내되도록 카트리지(7)의 저부 표면 상에 형성된 제2 안내부(75)와, 그 축선이 광전도성 드럼(51)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위치되고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단부 덮개(44)로부터 카트리지(7)의 외향으로 돌출하며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됨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1 위치 설정부(33)에 의해 위치 내에 고정되는 제1 위치 설정부(76)와, 그 축선이 광전도성 드럼(51)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위치되고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으로 제2 단부 덮개(45)로부터 카트리지(7)의 외향으로 돌출하고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됨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2 위치 설정부(34)에 의해 위치 내에 고정되는 제2 위치 설정부(77)와,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되는 방향으로 제1 위치 설정부(76)에 대해 하류측에 배치되고 광전도성 드럼(51)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단부 덮개(44)로부터 카트리지(7)의 외향으로 돌출하고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됨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3 위치 설정부(35)에 의해 위치에 고정되는 제3 위치 설정부와,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제1 위치 설정부(76)와 제3 위치 설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단부 덮개(44)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며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로 장착됨에 따라서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장치 주 조립체(25)의 구동력 전달부(69C)와 결합하고 장치 주 조립체(25)의 구동력 전달부(69C)로부터 현상 부재(5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69)를 포함하는 카트리지(7)가 탈착식으로 장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적인 태양에 따르면, 장치 주 조립체(25)의 제3 위치 설정부(35)는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25) 내부에 장착될 때 구동력 수용부(69)가 장치 주 조립체(25)의 구동력 전달부(69C)에 결합되도록 종동하는 경로의 외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적인 태양에 따르면, 현상 롤러의 구동력이 수용되는 지점이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제1, 제2 및 제3 위치 설정 지점을 연결하는 선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삼각형 영역 내부에 놓여져, 심지어 카트리지(7)가 구동되는 동안에도 카트리지(7)를 그 자세에 있어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카트리지(7)가 높은 신뢰성 및 정확성을 가지고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전술된 바와 같은 간단한 구조적인 배열을 제공한다. 따라서, 화상이 형성에 있어 그 정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응용은 다음 청구항의 범위 또는 개선 목적 내에서 도출될 수도 있는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심지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구동되는 동안에도 그 자세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Claims (22)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 사진 감광성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성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제1 단부 덮개부와,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타 단부에 제공된 제2 단부 덮개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1 주 조립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는 제1 피안내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는 제2 피안내부와,
    상기 감광성 드럼과 동축이고, 상기 제1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1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1 피위치 설정부와,
    상기 감광성 드럼과 동축이고, 상기 제2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2 피위치 설정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의 하류 위치에 있는 상기 제1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3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3 피위치 설정부와,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와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단부 덮개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와 장착 방향으로 결합되어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는 원형 지주의 형태이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와 결합되도록 이동하는 이동 경로 밖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는 원형 지주의 형태이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와 결합되도록 이동하는 이동 경로 아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 및 제2 피위치 설정부는 상기 감광성 드럼의 드럼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는 상기 제1 단부 덮개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부의 헬리컬 기어,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의 원형 지주 및 상기 감광성 드럼의 드럼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의 베어링은 그 내부로부터 외향으로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순서대로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피위치 설정부의 하류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3 주 조립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3 피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피안내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피안내부는 원형 지주이고 상기 제2 단부 덮개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성 드럼, 상기 감광성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 상기 감광성 드럼에 잔류하는 잔여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 및 상기 세척 부재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거 현상제 수용 부재를 내장하는 상부 유닛과, 현상 부재 및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내장하는 하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유닛은 현상 부재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감광성 드럼에 압박되도록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단부 덮개부, 상기 제2 단부 덮개부,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 상기 제2 피위치 설정부 및 상기제3 피위치 설정부는 상기 상부 유닛 내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2 피안내부는 상기 하부 유닛 내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 및 제2 피위치 설정부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상부 유닛의 상부 표면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장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한 기록 재료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a) 제1 주 조립체 안내부 및 제2 주 조립체 안내부와,
    (b) 제1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 제2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 및 제3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와,
    (c)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성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성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제1 단부 덮개부와,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타 단부에 제공된 제2 단부 덮개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1 주 조립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는 제1 피안내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는 제2 피안내부와,
    상기 감광성 드럼과 동축이고, 상기 제1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1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1 피위치 설정부와,
    상기 감광성 드럼과 동축이고, 상기 제2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위치 설정되는 제2 피위치 설정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의 하류 위치에 있는 상기 제1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3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3 피위치 설정부와,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와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단부 덮개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와 장착 방향으로 결합되어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는 원형 지주의 형태이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와 결합되도록 이동하는 이동 경로 밖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 사진 감광성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성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제1 단부 덮개부와,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타 단부에 제공된 제2 단부 덮개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1 주 조립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는 제1 피안내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는 제2 피안내부와,
    상기 감광성 드럼과 동축이고, 상기 제1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1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1 피위치 설정부와,
    상기 감광성 드럼과 동축이고, 상기 제2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2 피위치 설정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의 하류 위치에 있는 상기 제1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3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3 피위치 설정부와,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와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단부 덮개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와 장착 방향으로 결합되어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는 원형 지주의 형태이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와 결합되도록 이동하는 이동 경로 밖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는 원형 지주의 형태이고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 및 제2 피위치 설정부는 상기 감광성 드럼의 드럼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부의 헬리컬 기어,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의 원형 지주 및 상기 감광성 드럼의 드럼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의 베어링은 그 내부로부터 외향으로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순서대로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피위치 설정부의 하류 위치에 있는 상기 제2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3 주 조립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제3 피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성 드럼, 상기 감광성 드럼을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 상기 감광성 드럼에 잔류하는 잔여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부재 및 상기 세척 부재로부터 제거된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거 현상제 수용 부재를 내장하는 상부 유닛과, 현상 부재 및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를 내장하는 하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유닛은 현상 부재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감광성 드럼에 압박되도록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단부 덮개부, 상기 제2 단부 덮개부,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 상기 제2 피위치 설정부 및 상기제3 피위치 설정부는 상기 상부 유닛 내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2 피안내부는 상기 하부 유닛 내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 및 제2 피위치 설정부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상부 유닛의 상부 표면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2.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착식으로 장착 가능한 기록 재료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a) 제1 주 조립체 안내부 및 제2 주 조립체 안내부와,
    (b) 제1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 제2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 및 제3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와,
    (c)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성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성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일 단부에 제공된 제1 단부 덮개부와,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타 단부에 제공된 제2 단부 덮개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1 주 조립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는 제1 피안내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도록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닥 표면에 제공되는 제2 피안내부와,
    상기 감광성 드럼과 동축이고, 상기 제1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1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1 피위치 설정부와,
    상기 감광성 드럼과 동축이고, 상기 제2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2 피위치 설정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의 하류 위치에 있는 상기 제1 단부 덮개부로부터 상기 감광성 드럼의 종방향 외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3 주 조립체 위치 설정부에 의해 위치 설정되는 제3 피위치 설정부와,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와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단부 덮개부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와 장착 방향으로 결합되어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헬리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는 원형 지주의 형태이고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 밖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피위치 설정부는 원형 지주의 형태이고 주 조립체 구동력 전달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피위치 설정부 및 제2 피위치 설정부는 상기 감광성 드럼의 드럼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01841A 2002-01-11 2003-01-11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463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04405 2002-01-11
JP2002004405A JP4125007B2 (ja) 2002-01-11 2002-01-11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133A KR20030063133A (ko) 2003-07-28
KR100463623B1 true KR100463623B1 (ko) 2004-12-29

Family

ID=1919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841A KR100463623B1 (ko) 2002-01-11 2003-01-11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027754B2 (ko)
EP (1) EP1327919A3 (ko)
JP (1) JP4125007B2 (ko)
KR (1) KR100463623B1 (ko)
CN (2) CN129446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8074A (ja) * 2002-01-11 2003-07-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25007B2 (ja) * 2002-01-11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099691A (ja) * 2003-08-29 2005-04-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19779B2 (ja) * 2003-08-29 2007-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70217B2 (ja) * 2003-08-29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134844A (ja) * 2003-10-31 2005-05-26 Canon Inc シール部材、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17455B2 (ja) 2004-02-27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555748B1 (ko) 2004-06-1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3970279B2 (ja) * 2004-07-30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60354B2 (ja) * 2004-08-27 2010-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30688B2 (ja) * 2004-08-30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3950882B2 (ja) * 2004-10-06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30634B2 (ja) * 2004-11-05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86077B2 (ja) 2005-03-18 2007-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50427B2 (ja) * 2005-03-28 2012-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77116B2 (ja) * 2005-06-24 2010-11-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35073B2 (ja) * 2005-06-24 2011-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070092291A1 (en) * 2005-10-07 2007-04-26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artridge
US20070098439A1 (en) * 2005-10-27 2007-05-03 Toshiyuki Nakada Image forming device
CN2852205Y (zh) * 2005-10-29 2006-12-27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激光打印机用显影盒
KR100726441B1 (ko) * 2005-11-22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4378374B2 (ja) * 2006-03-1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補給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44999B2 (ja) * 2006-12-11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64435B2 (ja) 2006-12-11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27565B2 (ja) * 2008-05-23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004870B2 (ja) * 2008-05-23 2012-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30932B2 (ja) * 2008-05-27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328230B2 (ja) 2008-06-10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208831B2 (en) * 2008-08-19 2012-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cartridge mounting structur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632885B1 (ko) * 2008-08-19 2016-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592113B2 (ja) * 2009-03-02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762054B2 (ja) * 2010-03-16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839826B2 (ja) 2011-04-22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822116B2 (ja) * 2011-08-24 2015-11-2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460824B2 (ja) 2011-12-09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820343B2 (ja) * 2012-06-28 2015-11-24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3470931B1 (en) 2016-06-14 2021-10-2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ation device
JP6849449B2 (ja) * 2017-01-25 2021-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6184783A (zh) 2017-12-13 2023-05-30 佳能株式会社 盒与图像形成装置
CA3170308A1 (en) 2020-12-07 2022-06-16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2155B2 (ja) * 1992-06-30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59985B2 (ja) * 1992-09-04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00208B2 (ja) * 1992-12-25 2001-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197112B2 (ja) * 1993-04-28 2001-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869868B2 (ja) 1994-04-27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37859B2 (ja) 1994-04-26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5940A (ja) * 1994-04-28 1996-01-19 Canon Inc 現像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325534A (ja) 1994-05-31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AU3426895A (en) 1994-10-17 1996-05-0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toner container assembl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382399B2 (ja) * 1994-12-26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875203B2 (ja) 1995-03-27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駆動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
JPH08292704A (ja) 1995-04-21 1996-11-0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923924A (en) 1995-04-21 1999-07-1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having a particular configuration for receiving driving for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a process cartridge
JPH08292703A (ja) 1995-04-21 1996-11-0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943528A (en) 1995-04-28 1999-08-24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with a gripping cover feature usable with a process cartridge, a process cartridge using the same, and an apparatus using the process cartridge
JP3323696B2 (ja) 1995-06-13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ース部材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69903B2 (ja) 1996-03-05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940657A (en) 1996-03-05 1999-08-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US5950049A (en) 1996-03-05 1999-09-0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US6226478B1 (en) 1996-03-21 2001-05-0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having drive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US6240266B1 (en) 1996-03-21 2001-05-2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drum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JP3809250B2 (ja) 1996-07-04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支持部品、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69199A (ja) 1996-08-29 1998-03-10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フレーム
JP3363751B2 (ja) 1996-08-29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66831B2 (ja) 1996-08-29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25044B2 (ja) 1996-09-02 2003-07-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745049B2 (ja) 1996-09-26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DE69713236T2 (de) 1996-09-26 2002-12-05 Canon Kk Arbeitseinheit, Antriebkupplungsteil für elektrophotographisches Bilderzeugungsgerät und elektrophotographische photoempfindliche Trommel
EP0833227B1 (en) 1996-09-26 2003-04-0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689504B2 (ja) * 1996-09-26 2005-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5047B2 (ja) 1996-09-26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472105B2 (ja) 1996-10-07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171233A (ja) 1996-10-07 1998-06-26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758233A (en) * 1996-12-20 1998-05-26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locating on photoconductor shaft
JPH10186851A (ja) 1996-12-26 1998-07-14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228224A (ja) *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56656A (ja) * 1998-08-04 2000-02-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04919B2 (ja) 1998-08-31 2004-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3658202B2 (ja) 1998-08-31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
JP3437460B2 (ja) 1998-08-31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
JP3673658B2 (ja) 1998-10-28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84092B2 (ja) 1998-10-26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DE60042222D1 (de) * 1999-02-26 2009-06-25 Brother Ind Ltd Kartusche für ein photosensitives Bestandteil
US6324357B1 (en) 1999-06-29 2001-11-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operly controlling ac voltage applied to a charger
JP2001066968A (ja) 1999-08-31 2001-03-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338023B2 (ja) 1999-09-27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取っ手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38024B2 (ja) 1999-09-27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取っ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取っ手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13173B2 (ja) * 2000-01-05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20707B2 (ja) * 2000-01-19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8016B2 (ja) 2000-02-29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483527B2 (en) * 2000-02-29 2002-11-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 color image using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parts
US6505021B2 (en) 2000-03-27 2003-01-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ember for barring an electrification particle form leaking
JP2001281996A (ja) 2000-04-03 2001-10-10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06609A (ja) 2000-06-26 2002-01-11 Canon Inc トナーシール部材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23476A (ja) 2000-07-07 2002-01-23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42583B2 (ja) 2001-02-02 2004-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31155B2 (ja) * 2001-03-16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着脱機構
JP2003208074A (ja) * 2002-01-11 2003-07-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25007B2 (ja) * 2002-01-11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47225A1 (en) 2006-07-06
US20030142994A1 (en) 2003-07-31
JP4125007B2 (ja) 2008-07-23
EP1327919A2 (en) 2003-07-16
US7233752B2 (en) 2007-06-19
CN1952811B (zh) 2010-10-27
JP2003208075A (ja) 2003-07-25
CN1294463C (zh) 2007-01-10
US7027754B2 (en) 2006-04-11
CN1431564A (zh) 2003-07-23
EP1327919A3 (en) 2009-04-01
KR20030063133A (ko) 2003-07-28
CN1952811A (zh)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623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549746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7085516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72889B1 (ko)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516086B1 (ko)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US7162174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light guides and memory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such cartridge is mountable
US7149457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947686B2 (en) Process cartridge and spacer for same
US7127194B2 (en)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mechanism therefo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68419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020110386A1 (en)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parating mechanism for separating developing member from photosensitive drum
JP200408618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16485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75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084559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241618A (ja) 画像形成装置
JPH1010501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9319173A (ja) 画像形成装置
JPH10153912A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09179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72906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155466A (ja) 磁気シール部材、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021955A (ja) 現像剤残量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