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885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885B1
KR101632885B1 KR1020090073732A KR20090073732A KR101632885B1 KR 101632885 B1 KR101632885 B1 KR 101632885B1 KR 1020090073732 A KR1020090073732 A KR 1020090073732A KR 20090073732 A KR20090073732 A KR 20090073732A KR 101632885 B1 KR101632885 B1 KR 101632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support
cartridge
forming cartrid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436A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542,875 priority Critical patent/US8208831B2/en
Publication of KR2010002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88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하우징과; 본체하우징에 결합된 본체프레임과; 개구부를 통해 본체프레임에 장착되는 화상형성 카트리지와; 본체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본체와, 화상형성 카트리지를 본체프레임에 대해 탄성 지지하도록 지지부재본체에 형성된 지지부를 가지며, 지지부재본체에 인접한 본체프레임의 일 영역은 절취부를 형성하고, 화상형성 카트리지에 의해 지지부가 가압되면 지지부재본체가 절취부로 탄성 이동하여 화상형성 카트리지가 장착될 수 있게 마련된 카트리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화상형성 카트리지의 장착 및 지지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종이 등의 인쇄매체 상에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팅 작업을 수행한다.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호스트로부터 인가된 화상 데이터를 정전잠상으로 변환한 후, 이를 기초로 하여 인쇄매체 상에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프린팅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데 프린팅 작업이 반복됨에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유닛은 그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가 소진되거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상담지체가 마모되는 경우 등이 발생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유닛은 소모되는 현상제를 보충하고, 그 내부 구성요소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착탈이 가능한 카트리지(cartridge)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팅 작업 시에 진동에 따른 화상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장착된 카트리지가 프린팅 작업 중에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이 적용된다. 자세하게는, 카트리지를 본체프레임에 장착 완료했을 때, 스프링 등에 의하여 가압되는 가압부재로 카트리지를 하향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장치 내부의 구동에 따른 진동으로 인해 카트리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본체프레임에 대해 가압부재, 스프링 등의 다양한 부품을 조립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개별적인 부품을 각기 제조하고 이를 조립함으로써 제조비용 및 공정이 증가하고, 장치의 제조 시 부품들 사이의 공차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또한, 부품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그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고장이 잦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화상형성 카트리지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장착하고 지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되는 화상형성 카트리지와; 상기 본체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본체와,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해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본체에 형성된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본체에 인접한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 영역은 절취부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 지에 의해 상기 지지부가 가압되면 상기 지지부재본체가 상기 절취부로 탄성 이동하여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가 장착될 수 있게 마련된 카트리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를 가압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되게 이동하는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를 상기 제1지지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절곡된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본체는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가 상기 제2지지부를 가압함에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탄성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착된 화상형성 카트리지를 향해 상기 지지부재본체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취부는 상기 카트리지본체의 탄성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재에 인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본체전극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는,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본체전극단자와 통전되며 상기 본체전극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를 접지시킬 수 있게 마련된 카트리지 전극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한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의 이동을 안내하게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형성된 가이 드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하우징과;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되는 레일돌기부와; 상기 레일돌기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지지부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지지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레일돌기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진입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지지돌기부는 상기 레일돌기부가 상기 진입규제부에 위치할 때 상기 지지부의 절곡된 영역을 수용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본체전극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는,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본체전극단자와 통전되며 상기 본체전극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를 접지시킬 수 있게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전극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돌기부는 상기 카트리지 전극단자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카트리지는, 피동기어를 지지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카트리지하우징과;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된 형상을 가지는 레일돌기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측벽에 상기 레일돌기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며, 카트리지 지지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돌기부는 상기 피동기어에 대해, 상기 지지돌기부보다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돌기부 및 상기 지지돌기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배치될 때, 상기 피동기어는 구동력 전달기어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돌기부는 실린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부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재의 단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함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돌기부 및 상기 지지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카트리지하우징에 대해 플렉시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돌기부 및 상기 지지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호간에 대해 플렉시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돌기부 및 상기 지지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재에 대해 플렉시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구동력 전달기어, 가이드레일 및 카트리지 지지부재를 가지는 본체프레임과; 피동기어를 지지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카트리지하우징을 가지는 화상형성 카트리지와;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된 형상을 가지는 레일돌기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측벽에 상기 레일돌기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 며,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된 형상을 가지는 지지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본체와; 상기 지지부재본체 상에 형성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매체 상에 단색 현상제에 의한 단색 화상을 형성하는 모노(mono) 화상형성 방식으로 구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하우징(100)과, 본체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을 커버 또는 개방하는 전면커버(110)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매체(M)를 적재 및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300)과, 상담지체(520)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400)과, 이 정전잠상에 기초하여 인쇄매체(M)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와, 인쇄매체(M) 상의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유닛(700)을 포함한다.
본체하우징(100)은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수용하며, 전면에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120)는 사용자가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본체하우징(100) 내부에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전면커버(110)에 의해 개구부(12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매체공급유닛(300)은 인쇄매체(M)가 적재되는 적재카세트(310)와, 적재카세트(310)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M)를 픽업하여 공급하는 픽업롤러(320)를 포함한다. 프린팅 작업이 개시되면, 픽업롤러(320)는 적재카세트(310)에 적재된 인쇄매체(M) 중에서 최상위 인쇄매체(M)를 1매씩 픽업하여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에 공급한다.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는 프린팅 작업 시 픽업롤러(320)에 의해 픽업되어 공급되는 인쇄매체(M)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는 현상제가 저장되는 카트리지 하우징(510)과, 이 카트리지 하우징(510) 내에 설치된 상담지체(520), 현상롤러(530) 및 기타 도시되지 않은 대전롤러, 클리닝 블레이드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노광유닛(400)에 의해 상담지체(520) 상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롤러(530)에 의해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가 공급됨으로써 상담지체(520)에는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이 형성된다. 화상형성장치(1)는 상담지체(520)와 대응하게 설치된 전사롤러(610)를 가진다. 인쇄매체(M)는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전사롤러(610) 및 상담지체(5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담지체(520) 상의 가시 화상이 인쇄매체(M)로 전사된다. 이에 의하여 인쇄매체(M) 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프린팅 작업이 반복됨에 따라서,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현상제 소진과, 상담지체(520) 등의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구성요소가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는 교체 가능하게 마련된다. 사용자는 전면커버(110)를 개방한 후 개구부(120)를 통하여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그런데, 프린팅 작업 중에는 화상형성장치(1)의 작동에 따른 진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진동에 대하여, 화상형성장치(1)에 고정 결합되어 있지 않은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 필요한 바, 이에 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1)에서 화상형성 카트리지(500)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한 카트리지 지지 어셈블리(8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하우징(100) 내부에 대하여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착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면커버(110)를 개방한 후 개구부(120)를 통해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본체하우징(100) 내부에 장착하거나, 본체하우징(100) 내부의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본체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하우징(100)에 결합된 본체프레임(200)과,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안내하고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된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지지하도록 본체프레임(200)에 설치된 카트리지 지지 어셈블리(800)를 더 포함한다.
본체프레임(200)은 화상형성 카트리지(500) 및 기타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본체하우징(100) 내측에 설치된다. 본체프레임(200)은 본체하우징(100)과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본체하우징(100)에 결합되거나, 본체하우 징(100)과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체프레임(200)은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장착 방향인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좌측프레임(210), 우측프레임(220) 및 하측프레임(230)을 포함한다. 이 좌측프레임(210), 우측프레임(220) 및 하측프레임(230)은 개구부(120)를 통해 외부로 개방된다.
하측프레임(230)은 본체하우징(100) 내에서 매체공급유닛(300) 및 화상형성 카트리지(500) 사이를 구분한다. 하측프레임(230)의 일측에는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력 전달기어(231)와, 전사롤러(610)가 배치된다.
좌측프레임(210) 및 우측프레임(220)은 하측프레임(230)의 양측에 기립하여 상호 마주보게 설치된다. 좌측프레임(210) 및 우측프레임(220)은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될 때,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양 측면을 각각 마주한다. 좌측프레임(210) 및 우측프레임(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본체전극단자(211)가 구비된다.
본체전극단자(211)는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된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접지시킬 수 있다.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는 카트리지 하우징(510)과, 카트리지 하우징(510)에 형성된 레일돌기부(540)와, 레일돌기부(540)와 이격되게 카트리지 하우징(510)에 형성된 지지돌기부(550)와, 본체전극단자(211)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전극단자(560) 와, 구동력 전달기어(231)에 대응하는 피동기어(570)를 포함한다. 또한, 레일돌기부(540), 지지돌기부(550), 카트리지 전극단자(560) 및 피동기어(570)는 카트리지 하우징(510)의 측벽(510a)에 배치된다.
레일돌기부(54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돌기부(540)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실린더 형상을 가진다. 또는, 레일돌기부(540)는 카트리지 하우징(510)에 설치된 샤프트(미도시)를 축으로 회전하는 롤러일 수도 있다.
지지돌기부(550)는 레일돌기부(540)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 지지부재(810)에 의해 가압된다. 지지돌기부(550)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카트리지 하우징(510)의 외측에서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돌기부(550)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 지지부재(81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 지지 어셈블리(800)는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된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탄성 가압하여 지지하는 카트리지 지지부재(810)와, 카트리지 지지부재(810)에 인접하게 본체프레임(200)의 일 영역이 절취되어 형성된 절취부(820)와,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이동 경로를 따라서 본체프레임(2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830)을 포함한다.
이하,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각 구성요소들에 관해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레일돌기부(540) 및 지지돌기부(550)의 구성은 카트리지 하우 징(510)의 좌우 양 측면, 또는 어느 한 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장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레일돌기부(540) 및 지지돌기부(550)의 구성은 카트리지 하우징(510)의 양 측면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일측의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타측의 구성의 경우 이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레일돌기부(540)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될 때, 가이드레일(830)에 지지 및 안내되어 X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반대로, 레일돌기부(540)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될 때, 가이드레일(830)에 안내되어 -X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와 같이, 레일돌기부(540)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레일돌기부(540)는 가이드레일(830) 상에 안착되고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자중이 레일돌기부(540)에 가해짐으로써,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된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기여한다.
레일돌기부(540)는 가이드레일(830)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형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돌기부(540)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이 실린더 형상 중에서 곡률면이 가이드레일(830)과 접한다.
지지돌기부(550)는 레일돌기부(540)가 형성된 카트리지 하우징(510)의 측면에, 레일돌기부(540)와 이격되어 형성된다. 지지돌기부(550)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되어 있을 때, 카트리지 지지부재(81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돌기부(550)는 레일돌기부(540)의 상측에 위치한다.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되어 있을 때, 지지돌기부(550)는 카트리지 지지부재(810)에 의해 하향 가압된다. 이 때, 가이드레일(830)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돌기부(540)에는, 카트리지 지지부재(810)가 지지돌기부(550)에 가하는 탄성 가압력 및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자중이 함께 작용한다. 이에 의하여,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는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카트리지 하우징(510)에서 지지돌기부(550)가 형성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돌기부(550)는 카트리지 지지부재(810)에 접하는 일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부(551)를 가진다(도 3 내지 도 5 참조). 안착부(551)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되어 있을 때, 후술할 제1지지부(815) 및 제2지지부(817) 사이의 절곡부(819)를 수용 및 지지함으로써, 지지돌기부(550)가 카트리지 지지부재(810)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착부(551)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되게 이동할 때, 후술할 제2지지부(817) 및 제1지지부(815)에 접하는 영역이 절취되어 형성됨으로써, 지지돌기부(550)가 카트리지 지지부재(810)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위치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카트리지 전극단자(560)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되어 있을 때, 본체전극단자(211)와 통전된다. 이에 의하여, 본체전극단자(211) 및 카트리지 전극단자(560)를 통해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에 대한 전원 공급이나, 또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외부와 접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전극단자(560)가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표현하나, 카트리지 전극단자(560)는 레일돌기부(540) 또는 지지돌기부(55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피동기어(570)는 카트리지 하우징(510) 외측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담지체(520)와 같은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구동 요소들과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동기어(570)는 카트리지 하우징(510) 하측에 노출되며,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되어 있을 때, 구동력 전달기어(231)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피동기어(570)는 구동력 전달기어(231)와 맞물리면, 구동력 전달기어(231)의 회전에 연동함으로써 구동력 전달기어(231)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며, 이에 의하여 상담지체(520) 등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화상형성 카트리지(500) 자체적으로 별도의 구동원(미도시)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 카트리지 지지 어셈블리(800)의 각 구성요소들에 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프레임(210)에 설치된 카트리지 지지 어셈블리(800)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우측프레임(220)의 경우에는 이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카트리지 지지부재(810)는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된 화상형성 카트리 지(500)를 하향 가압하여,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상하로 유동하지 않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카트리지 지지부재(810)는 좌측프레임(210)의 판면 일부가 절취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렇게 좌측프레임(210)과 일체화되어 형성됨으로써, 카트리지 지지부재(810)는 본체프레임(200) 제조 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부품 조립 시 발생하는 공차를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 지지부재(810)는 좌측프레임(210)과 일체로 형성되며 하향 연장된 지지부재본체(811)와, 지지돌기부(550)와 접하도록 지지부재본체(811)의 단부 상에서 돌출된 지지부(81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본체(811)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되어 있을 때, 지지부(813)가 지지돌기부(550)를 지지하도록 탄성 가압력을 지지부(813)에 제공한다. 즉, 지지부재본체(811)의 탄성력에 의해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안정적인 지지 여부가 결정되는 바, 이를 고려하여 지지부재본체(811)의 두께, 폭 등이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다만, 카트리지 지지부재(810)가 본체프레임(200)과 일체화하여 형성되는 바, 지지부재본체(811)는 본체프레임(200)과 동일한 재질을 가진다.
지지부재본체(811)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X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서 지지돌기부(550)가 지지부(813)를 가압하면, 지지돌기부(550)가 지지부(813)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X 방향으로 탄성 이동한다. 이러한 지지부재본체(811)의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부재본체(811)의 X 방향으로 인접 형성되어 지지부재본체(811)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절취부(820)가 형성 된다. 절취부(820)에 의해 지지부재본체(811)는 X 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하며, 지지돌기부(550)가 지지부(813)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지지부재본체(811)는 원 위치로 회귀할 수 있다.
지지부재본체(811)는 화상형성장치(1)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며 이 연장된 단부에 지지부(813)가 형성됨으로써,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하향 가압한다.
지지부(813)는 지지부재본체(811)의 단부로부터 우측프레임(220)을 향하는 Y 방향, 즉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지지부(813)는 지지돌기부(550)에 접하도록 돌출되며, 지지돌기부(550)가 지지부(813)의 하측으로 진입하면 지지돌기부(550)을 하향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지지부(813)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가이드레일(830)은 좌측프레임(210) 상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된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장착 이동 경로를 따라서 형성된다. 가이드레일(830)은 레일돌기부(54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며, 레일돌기부(540)를 수용하도록 수용홈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본 실시예처럼 레일돌기부(5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830)은 X 방향을 따라서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처럼 완만하게 하향 경사됨으로써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자중에 의해 용이한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가이드레일(830)은 제1가이드(830a), 제2가이드(830b) 및 제 3가이드(830c)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830a)는 경사면, 제2가이드(830b)는 평탄면, 제3가이드(830c)는 장착 과정 동안에 제2지지부(817)에 접촉하는 경사면을 제공한다. 또한, 안착부(551)는 제1안착부(551a), 제2안착부(551b) 및 제3안착부(551c)를 포함한다. 제1안착부(551a)는 경사면, 제2안착부(551b)는 평탄면, 제3안착부(551c)는 경사면을 제공한다. 또한, 도 3에는 진입규제부(831)의 차원을 나타내는 W 및 D가 나타나 있다.
사용자가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개구부(120)를 통해 X 방향으로 진입시키면, 레일돌기부(540)가 가이드레일(830) 상에 안착된다. 레일돌기부(540)는 가이드레일(830)에 안내되어 이동함에 따라서, 기 설정된 위치에서 레일돌기부(540)가 안착되어 레일돌기부(540)가 더 이상 X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진입규제부(831)가 가이드레일(830) 상에 형성된다.
진입규제부(831)에 레일돌기부(540)가 위치한다는 것은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즉, 진입규제부(831)에 레일돌기부(540)가 위치할 때, 상담지체(520)는 전사롤러(610)에 대응하게 위치하고, 피동기어(570)는 구동력 전달기어(231)와 맞물리며, 지지돌기부(550)는 지지부(813)에 의해 가압 지지되는 위치에 있다.
이하, 카트리지 지지부재(810)에 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X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에 대응하게 가이드레일(830)은 X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부재본체(811)는 -Z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부(813)는 지지부재본체(811)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부(813)는 X 방향으로 연장된 제1지지부(815)와, 제1지지부(815)로부터 -X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로 절곡된 제2지지부(817)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815) 및 제2지지부(817) 사이에는 절곡부(819)가 형성된다.
제1지지부(815)는 레일돌기부(540)가 진입규제부(831)에 위치할 때, 지지돌기부(550)에 접촉함으로써 지지돌기부(550)가 탄성 지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재본체(811)는 화상형성장치(1)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며, 제1지지부(815)는 화상형성장치(1)의 설치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제1지지부(815)의 연장 각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2지지부(817)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장착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 즉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분리되는 -X 방향을 향해, 제1지지부(815)로부터 소정 각도로 상향 절곡된다. 여기서, 제1지지부(815)에 대해 제2지지부(817)가 절곡되는 각도 A는, 0<A<90[도]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만일, 제2지지부(817)가 없고 제1지지부(815)만 있다면, 제1지지부(815)가 X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X 방향으로 이동할 때 지지돌기부(550)가 제1지지부(815)로 진입하기 곤란할 것이다. 따라서, 제1지지부(815)로부터 절곡된 제2지지부(817)에 의해, 지지돌기부(550)는 제1지지부(815)로 보다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813)가 하나의 절곡부(819)를 가지는 것으로 표현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절곡부(819)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서 본체프레임(200)에 대해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장착하고 지지하는 과정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본체프레임(200)에 장착하는 각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 2의 좌측프레임(210) 및 카트리지 지지 어셈블리(800)를 -Y 방향으로 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초기상태로 하며,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본체프레임(200)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착된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본체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이하의 장착 과정을 응용할 수 있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개구부(120)를 통해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를 본체프레임(200)으로 진입시킨다.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X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지지돌기부(550)는 가이드레일(830)에 안내되어 X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이동이 진행되면, 도 4와 같이 지지돌기부(550)의 일측이 지지부(813), 보다 자세하게는 제2지지부(817)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이동하면, 제2지지부(817)는 지지돌기부(550)에 의해 가압되며, 이 가압력에 의해 지지부재본체(811)의 자유단은 X 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탄성 이동한다. 이러한 탄성 이동을 위한 공간은 지지부재본체(811)의 X 방향에 인접하게 형성된 절취부(820)에 의해 제공된다.
지지돌기부(550)는 제2지지부(817)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제2지지부(817)를 가압하며 이동하고, 이에 지지부재본체(811)는 X 방향으로 탄성 이동함으로써 지지돌기부(550)가 이동 가능하게 한다.
지지돌기부(550)가 제1지지부(815)에 진입하면, 제2지지부(817)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된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본체(811)는 원 위치로 회귀하며, 제1지지부(815) 및 제2지지부(817) 사이의 절곡부(819)는 안착부(551)에 수용된다.
그리고, 레일돌기부(540)는 진입규제부(831)에 위치하며, 화상형성 카트리지(500)는 더 이상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피동기어(570)는 구동력 전달기어(231)에 맞물리고, 상담지체(520)는 전사롤러(610)에 대응하는 위치를 가진다. 이로써, 본체프레임(200)에 대한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장착이 완료된다.
절곡부(819)가 안착부(551)에 수용됨으로써 카트리지 지지부재(810)는 지지돌기부(550)를 안정적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으며, 이로써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구동력 전달기어(231) 및 피동기어(570)가 상호 맞물림으로써, 구동력 전달기어(231)의 구동력이 화상형성 카트리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프레임(200)에 일체화된 카트리지 지지부재(810)를 적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화상형성 카트리지(500)가 본체프레임(200)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돌기부(550) 상에 절곡부(819)를 수용하는 안착 부(551)가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하나, 이것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지돌기부(550)는 안착부(551)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며, 이 경우, 제1지지부(815)에 접촉하는 지지돌기부(550)의 측면은 제1지지부(815)에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돌기부(550)가 카트리지 지지부재(81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형성 카트리지 및 본체프레임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화상형성 카트리지를 본체프레임에 장착하는 각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200 : 본체프레임
210 : 좌측프레임 211 : 본체전극단자
220 : 우측프레임 230 : 하측프레임
231 : 구동력 전달기어 500 : 화상형성 카트리지
510 : 카트리지 하우징 520 : 상담지체
530 : 현상롤러 540 : 레일돌기부
550 : 지지돌기부 551 : 안착부
560 : 카트리지 전극단자 570 : 피동기어
610 : 전사롤러 800 : 카트리지 지지 어셈블리
810 : 카트리지 지지부재 811 : 지지부재본체
813 : 지지부 815 : 제1지지부
817 : 제2지지부 819 : 절곡부
820 : 절취부 830 : 가이드레일
831 : 진입규제부

Claims (23)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되는 화상형성 카트리지와;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레일돌기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지지부재는 제1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돌기의 수평부와 결합하여,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가 수직방향으로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제2지지부를 가져 경사상태로 상기 지지돌기의 경사부와 접하도록 하여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의 추가 진입을 탄성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는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에 인접하는 영역에 절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본체전극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는,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본체전극단자와 통전되며 상기 본체전극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화상형성 카 트리지를 접지시킬 수 있게 마련된 카트리지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레일돌기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진입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일정각도 절곡되며,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레일돌기부가 상기 진입규제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수평부와 상기 제2지지부는 경사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화상형성 카트리지에 있어서,
    피동기어를 지지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카트리지하우징과;
    상기 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레일돌기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측벽에 상기 레일돌기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 지지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프레임에 장착되면, 상기 지지돌기부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에 마련된 지지부재가 가지는 제1지지부와 결합하여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가 수직방향으로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지지돌기부는 경사부를 추가로 가져 상기 지지부재의 제2지지부와 경사상태로 접하도록 하여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의 추가 진입을 탄성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돌기부는 상기 피동기어에 대해, 상기 지지돌기부보다 근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카트리지.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피동기어는 구동력 전달기어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카트리지.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돌기부는 실린더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카 트리지.
  17. 삭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돌기부 및 상기 지지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카트리지하우징에 대해 플렉시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카트리지.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돌기부 및 상기 지지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호간에 대해 플렉시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카트리지.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돌기부 및 상기 지지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플렉시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카트리지.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90073732A 2008-08-19 2009-08-11 화상형성장치 KR101632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42,875 US8208831B2 (en) 2008-08-19 2009-08-18 Image forming cartridge mounting structur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1043 2008-08-19
KR1020080081043 2008-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436A KR20100022436A (ko) 2010-03-02
KR101632885B1 true KR101632885B1 (ko) 2016-07-01

Family

ID=4217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732A KR101632885B1 (ko) 2008-08-19 2009-08-1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774B1 (ko) * 2015-07-03 2016-11-15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업소용 취반기의 밥솥 뚜껑 가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3648B2 (ja) * 1994-06-27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6071808A (ja) 2004-08-31 2006-03-1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25007B2 (ja) * 2002-01-11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418A (ja) * 1982-07-23 1984-01-30 Alps Electric Co Ltd コ−ス誘導装置
JP3323649B2 (ja) * 1994-07-01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3648B2 (ja) * 1994-06-27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125007B2 (ja) * 2002-01-11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6071808A (ja) 2004-08-31 2006-03-1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436A (ko) 201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546B1 (ko)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7248810B2 (en)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761027B2 (en) Process cartridge for image-forming device
JP4110144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0085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aper dust cleaning unit movably provided on photosensitive member unit
KR101838632B1 (ko) 화상 형성 장치
EP1879083B1 (en)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948872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electrical contact portion mounted on a projec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toring portion
KR101772967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04045857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730541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91126A (ja) 給紙カセ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232719B2 (ja) 画像形成装置
JP3907540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632885B1 (ko) 화상형성장치
US8208831B2 (en) Image forming cartridge mounting structur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4915425B2 (ja) 画像形成装置
CN114647166A (zh) 图像形成装置
US11500305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toner receiving portion
CN220252394U (zh) 一种显影装置
JP3797352B2 (ja) 画像形成装置
CN114167703A (zh) 显影盒及处理盒
CN117289578A (zh) 盒、调色剂盒和成像设备
CN113467205A (zh) 一种显影盒
CN116184793A (zh) 成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