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459B1 - 향상된 테스트 모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향상된 테스트 모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459B1
KR100460459B1 KR10-2002-0044983A KR20020044983A KR100460459B1 KR 100460459 B1 KR100460459 B1 KR 100460459B1 KR 20020044983 A KR20020044983 A KR 20020044983A KR 100460459 B1 KR100460459 B1 KR 100460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
voltage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835A (ko
Inventor
박철성
양향자
이승민
노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459B1/ko
Priority to US10/359,075 priority patent/US6958947B2/en
Publication of KR20040011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05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voltage or current gener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50Marginal testing, e.g. race, voltage or current 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54Cal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외부 전원 전압을 조절하여 제 1 내부 전원 전압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한다. 제 1 전원 공급 라인은 제 1 내부 전원 전압을 메모리 셀 어레이로 전달하고, 제 2 전원 공급 라인은 제 2 내부 전원 전압을 주변 회로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이 동작 모드에 따라 상이한 레벨들로 가변되도록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한다.

Description

향상된 테스트 모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MPROVED TEST MODE}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모리 셀들의 신뢰성을 테스트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장치는 일반적인 다이내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와 비교하여 볼 때 보다 많은 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s)을 사용하며, 따라서 메모리 셀들을 리프레쉬할 필요없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SRAM 셀의 교차 접속 특성 (cross-coupled nature)은 제조 결함이 메모리 셀 내에 존재하게 하지만, 최초로 테스트될 때 메모리 셀이 필연적으로 정상 동작 범위 내에서 부적절하게 동작하게 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는 이후 메모리 셀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게 한다. 이러한 셀을 이후 잠재적인 결함 특성을 갖는 메모리 셀이라 칭한다.
잠재적인 결함 특성을 갖는 메모리 셀은 스태틱 노이즈 마진 (static noise margin: SNM)을 조절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스태틱 노이즈 마진이란 데이터를 읽을 때 메모리 셀이 자신의 데이터를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잠재적인 결함 특성을 갖는 메모리 셀은 정상적인 특성을 갖는 메모리 셀보다 더 낮은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갖는다. 다시말해서, 메모리 셀이 더 큰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가지면 가질수록 읽기 동작 동안 저장 상태들이 변화될 가능성은 더 적다.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나쁘게 함으로써 잠재적인 결함 특성의 메모리 셀(들)을 보다 빠르게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메모리 셀에 인가되는 동작 전압을 주변 회로들 (예를 들면, 행 디코더, 열 디코더, 비트 라인 프리챠지 및 등화 회로, 등등)에 인가되는 동작 전압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이 나빠진다. 그러므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잠재적인 결함 특성을 갖는 메모리 셀(들)을 찾아낼 수 있다. 웨이퍼 레벨에서 잠재적인 결함 특성을 갖는 메모리 셀을 찾아냄으로써, 그러한 메모리 셀은 리던던시 셀로 대체되거나 그러한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칩이 폐기될 것이다.
앞서 설명된 기술은 일본공개특허번호 제11-185498호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1-185498)와 일본공개특허번호 제06-349298호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06-349298)에 각각 개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된 특허들은 테스트 동작시 주변 회로에 인가되는 동작 전압을 그대로 유지하는 반면에 메모리 셀에 인가되는 동작 전압을 낮추는 기술들을 포함한다.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패키지된 메모리 장치는 가속 라이프 테스트 (accelerated life testing)의 일종으로서 번인 테스트를 받는다. 번인 테스트는 증가된 온도 및 동작 전압에서 메모리 장치를 전기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잠재적인 결함을 조기에 검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패키지된 장치의 번인 테스트시 과도한 전류 소모로 인해 동작 전압이 낮아지게 된다.번인 테스트시 동작 전압이 낮아지면, 메모리 셀들에 대한 번인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하거나 메모리 셀들에 대한 번인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번인 테스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주변 회로의 일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메모리 셀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및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6a는 정상 동작 모드시 기준 전압들의 전압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6b 내지 도 6d는 스태틱 노이즈 마진이 제어되는 테스트 동작 모드시 기준 전압들의 전압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6e는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기준 전압들의 전압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0 : 메모리 셀 어레이 120 :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30 : 주변 회로 140 : 제 2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50 : 기준 전압 발생 회로 160 :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 :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80 : 제어 회로
상술한 제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의 어레이와; 상기 어레이에 데이터를 쓰거나 상기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읽는 데이터 기입/독출 회로와; 외부 전원 전압을 조절하여 제 1 내부 전원 전압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내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어레이로 전달하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과;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데이터 기입/독출 회로로 전달하는 제 2 전원 공급 라인과;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이 동작 모드에 따라 상이한 레벨들로 가변되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이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은 상기 외부 전압 전압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이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은 상기 외부 전압 전압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상적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이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은 상기 외부 전압 전압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의 어레이와; 행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행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행 선택 회로와; 열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열들 중 일부를 선택하는 열 선택 회로와; 상기 선택된 행 및 열들에 배열된 메모리 셀들로부터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는 감지 증폭 회로와; 상기 선택된 행 및 열들에 배열된 메모리 셀들에 데이터를 쓰는 기입 드라이버 회로와; 외부 전원 전압을 조절하여 제 1 내부 전원 전압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내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어레이로 전달하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과;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행 선택 회로, 상기 열 선택 회로, 상기 감지 증폭 회로, 그리고 상기 기입 드라이버 회로로 각각 전달하는 제 2 전원 공급 라인과; 그리고 패키지/웨이퍼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이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웨이퍼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은 상기 외부 전압 전압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이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은 상기 외부 전압 전압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이 가변되는 반면에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은 가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이 가변되는 반면에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은 가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과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은 서로 상반되게 가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상적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이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은 상기 외부 전압 전압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의 어레이와; 상기 어레이에 데이터를 쓰거나 상기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읽는 데이터 기입/독출 회로와; 일정한 레벨을 갖는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기준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을 공급받고, 제 1 제어 코드에 응답하여 제 1의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제 1 가변 기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공급받고, 제 2 제어 코드에 응답하여 제 2의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제 2 가변 기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제 1의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에 응답하여 제 1 내부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어레이로 전달하는 제 1 전원 라인과;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제 2의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에 응답하여 제 2 내부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제 2 내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데이터 기입/독출 회로로 전달하는 제 2 전원 라인과; 그리고 테스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 코드와 상기 제 2 제어 코드를 각각 발생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패키지/웨이퍼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이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보다 높게 설정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기준 전압 발생 회로들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코드들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회로로의 테스트 정보 입력은 JTAG 코드, 명령 조합,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핀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참조 도면들에 의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SRAM 장치이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다른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면, DRAM, FRAM, EEPROM, 등등)에 적용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110)를 포함하며, 전원 라인 (PWRL1)을 통해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20)로부터 내부 전원 전압 (VDD1)을 공급받는다. 주변 회로 (130)에는 제 2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40)에서 생성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2)이 전원 라인 (PWRL2)을 통해 공급된다. 주변 회로 (130)는 메모리 셀 어레이 (110)의 데이터 읽기/쓰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며, 이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 (150),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 그리고 제어 회로 (180)를 더 포함한다. 기준 전압 발생 회로 (150)는 정상적인 동작 범위에서 일정한 레벨의 기준 전압 (Vref)을 발생한다. 앞서 설명된 특성을 갖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 (150)는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에 의해서 쉽게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기준 전압 발생 회로 (150)에 대한특정 회로는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는 기준 전압 (Vref)과 외부 전원 전압 (EXTVDD)을 공급받고, 제어 회로 (180)의 제어 하에 동작 모드에 따라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 (Vref_CELL)을 발생한다. 그렇게 생성된 기준 전압 (Vref_CELL)은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20)로 전달된다.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는 기준 전압 (Vref)과 외부 전원 전압 (EXTVDD)을 공급받고, 제어 회로 (180)의 제어 하에 동작 모드에 따라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 (Vref_PERI)을 발생한다. 그렇게 생성된 기준 전압 (Vref_PERI)은 제 2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40)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회로 (180)는 내부 전원 전압들 (VDD1, VDD2)이 동작 모드에 따라 상이한 레벨들로 가변되도록 외부로부터의 테스트 정보에 따라 제 1 및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들 (160, 17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번인 테스트시, 제어 회로 (180)는 주변 회로 (13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2)이 메모리 셀 어레이 (11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1)보다 낮게 설정되도록 제 1 및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들 (160, 170)을 제어한다. 이는 번인 테스트시 주변 회로 (130)에 의해서 소모되는 전류가 감소되게 한다. 따라서 메모리 셀들에 대한 번인 효과가 떨어지거나 메모리 셀들에 대한 번인 테스트가 수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JTAG 코드, 사용되지 않는 핀 (예를 들면, 설계자가 이용하는 핀), 또는 명령 조합을 이용하여 제어 회로 (180)에 테스트 정보가 인가될 수 있다. 이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웨이퍼 상태뿐만 아니라 패키지 상태에서도제어 회로 (180)를 통해 제 1 및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들 (160, 170)을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셀 어레이와 주변 회로의 일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셀 어레이 (110)는 행들 (또는 워드 라인들)과 열들 (또는 비트 라인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 (MC0-MCm)을 포함한다. 메모리 셀들 (MC) 각각은 SRAM 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구성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메모리 셀들 (MC0-MCm)에는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20)로부터의 내부 전원 전압 (VDD1)이 공급된다. 행 선택 회로를 구성하는 행 디코더 (RDEC), 열 선택 회로를 구성하는 열 디코더 (YDEC) 및 열 패스 게이트 (YGATE), 그리고 감지 증폭 및 기입 드라이버 회로 (SA & WD)는 도 1의 주변 회로 (130)에 속한다. 주변 회로 (130)를 구성하는 회로들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며, 그것에 대한 설명은 그러므로 생략된다. 행 디코더 (RDEC), 열 디코더 (YDEC), 열 패스 게이트 (YGATE), 그리고 감지 증폭 및 기입 드라이버 회로 (SA & WD)에는 각각 제 2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40)로부터의 내부 전원 전압 (VDD2)이 공급된다. 즉, 메모리 셀 어레이 (110)의 전원 체계는 주변 회로 (130)의 전원 체계와 분리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와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20)는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 (Vref_CELL)과 외부 전원 전압 (EXTVDD)을 공급받고, 메모리 셀 어레이 (110)에 공급될 내부 전원 전압 (VDD1)을 발생한다.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20)는 3개의 PMOS 트랜지스터들 (T10, T11, T15), 3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 (T12, T13, T14), 그리고 커패시터 (C1)로 구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들 (T10, T11)과 NMOS 트랜지스터들 (T12, T13, T14)은 비교기로서 동작하는 차동 증폭기를 구성하며, PMOS 트랜지스터 (T15)는 비교기의 출력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드라이버를 구성한다. 비교기 (T10-T14)는 기준 전압 (Vref_CELL)과 전원 라인 (PWRL1) 상의 내부 전원 전압 (VDD1)을 비교하고, 드라이버 (T15)는 비교 결과에 따라 전원 라인 (PWRL1)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한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는 5개의 PMOS 트랜지스터들 (T16, T17, T21, T22, T23), 3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 (T18, T19, T20), 6개의 저항기들 (RU1, RU2, RU3, RD1, RD2, RD3), 5개의 스위치들 (SW1-SW5), 그리고 커패시터 (C2)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다. 저항기들 (RU1-RU3, RD1-RD3)과 스위치들 (SW1-SW4)은 제어 신호들 (/UP1, /UP2, /DN1, /DN2)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 (OUT) 상의 전압 (Vref_CELL)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 회로를 구성한다.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들 (T16-T20)은 기준 전압 (Vref)과 분배 전압 (Vdiv)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를 구성하고, PMOS 트랜지스터 (T21)는 비교기의 출력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드라이버를 구성한다. PMOS 트랜지스터들 (T22, T23)과 스위치 (SW5)는 제어 신호 (/DN3)에 응답하여 출력 노드 (OUT) 상의 전압 (Vref_CELL)을 풀업시키기 위한 풀업 회로를 구성한다.
도 4에는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20)와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160)만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스위치들 (SW1-SW5)의 온-오프 상태들이 다르게 설정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 2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40)와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들 (/UP1, /UP2, /DN1, /DN2, /DN3)의 로직 상태들은 동작 모드에 따라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들 (/UP1, /UP2, /DN1, /DN2, /DN3)의 로직 상태들과 다르게 또는 동일하게 설정될 것이다. 이는 제 1 및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들 (160, 170)에서 생성되는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들 (Vref_CELL, Vref_PERI)이 동작 모드에 따라 동일한 값들을 또는 다른 값들을 가짐을 의미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치들 중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치 (SW1)는 PMOS 트랜지스터 (T25), NMOS 트랜지스터 (T24), 그리고 하나의 인버터 (INV1)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 (T25)의 벌크 영역은 외부 전원 전압 (EXTVDD)으로 바이어스된다. 입력 신호 (/UP 또는 /DN)의 로직 상태에 따라 스위치 (SW1)의 양 단자들 (ND1, ND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동작이 도 6a 및 도 6e에 의거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따르면, 동작 모드에 따라 내부 전원 전압들 (VDD1, VDD2)이 동일한 값들을 갖거나 다른 값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정상 동작 모드와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동작할 것이다.
정상 동작 모드의 경우, 메모리 셀 어레이 (11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1)은 주변 회로 (13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2)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정상 동작 모드시, 외부 전원 전압 (EXTVDD)은 도 6a에서 V1과 V2 전압들 사이에 존재한다. 내부 전원 전압들 (VDD1, VDD2)을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해서, 제어 회로 (180)는 제 1 및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들 (160, 170)의 스위치들 (SW1-SW4)이 스위치 온되도록 제어 코드들을 발생한다. 즉, 제 1 및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들 (160, 170)에는 각각 로직 하이 레벨을 갖는 제어 신호들 (/UP1, /UP2, /DN1, /DN2)이 인가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들 (160, 170)에 각각 인가되는 제어 신호 (/DN3)는 로직 하이 레벨을 갖는다. 이때,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에서 출력되는 전압 (Vref_CELL)은 ((1+RU/RD)*Vref) (RU는 RU의 저항값을 나타내며, RD는 RD1의 저항값을 나타냄)이 된다.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에서 출력되는 전압 (Vref_PERI) 역시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의 그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들 (Vref_CELL, Vref_PERI)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동작 모드시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20)는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에서 생성된 기준 전압 (Vref_CELL)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 (110)에 공급될 내부 전원 전압 (VDD1)을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30)는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에서 생성된 기준 전압 (Vref_PERI)에 응답하여 주변 회로 (130)에 공급될 내부 전원 전압 (VDD2)을 발생한다. 정상 동작 모드시 (도 6a에서 "PRD1"으로 표기된 구간) 기준 전압들 (Vref_CELL, Vref_PERI)이 동일하기 때문에, 내부 전원 전압들 (VDD1, VDD2) 역시 동일하다.
정상 동작 모드시, 제 1 및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들 (160, 170)에 각각 인가되는 제어 신호 (/DN3)가 로직 하이 레벨이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들 (160, 170)의 각각의 출력 노드 (OUT)는 PMOS 트랜지스터 (T22)를 통해 외부 전원 전압 (EXTVDD)에 연결된다. 정상 동작 모드에서 기준 전압 (Vref_CELL/PERI)이 단지 PMOS 트랜지스터 (T21)를 통해 결정되도록 PMOS 트랜지스터 (T22)의 문턱 전압이 충분히 높다고 가정하자.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기준 전압 (Vref_CELL/PERI)이 단지 PMOS 트랜지스터 (T21)를 통해 결정되도록 외부 전원 전압 (EXTVDD)과 PMOS 트랜지스터 (T22) 사이에 보다 많은 다이오드-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들이 연결될 수 있다.
잠재적인 결함 특성을 갖는 메모리 셀을 찾아내기 위해서 스태틱 노이즈 마진 (SNM)이 제어되는 테스트 동작 모드의 경우, 메모리 셀 어레이 (11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1)은 주변 회로 (13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2)보다 낮게 설정될 것이다. 테스트 동작 모드시, 외부 전원 전압 (EXTVDD)은 도 6b에서 V1과 V2 전압들 사이에 또는 "PRD2"로 표기된 구간 내에 존재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 (11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1)을 주변 회로 (13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2)보다 낮게 설정하기 위해서, 제어 회로 (180)는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의 출력 전압 (Vref_PERI)이 증가되도록 제어 코드를 발생한다. 즉, 제어 회로 (180)는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로인가되는 제어 신호들 (/UP1, /UP2) (또는 제어 신호들 중 하나 이상)을 로우로 활성화시킨다. 이때, 제어 신호들 (/DN1, /DN2, /DN3)은 로직 하이 레벨을 갖는다. 여기서, 2개의 제어 신호들 (/UP1, /UP2)이 사용되었지만, 임의의 N개의 제어 신호들 (N은 자연수)이 사용 가능하며, 사용되는 제어 신호들의 수에 따라 출력 전압 (Vref_PERI)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정도로 제어 신호들의 수가 증가한다. 이러한 조건에 따르면,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의 스위치들 (SW1, SW2)이 스위치 오프된다. 이때,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에서 출력되는 전압 (Vref_PERI)은 ((1+RU/RD1)*Vref) (RU=RD1+RD2(/UP1이 로우인 경우)+RU3(/UP2가 로우일 경우))이 된다. 정상 동작 모드와 비교하여 볼 때 RU의 총 저항값이 증가됨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의 출력 전압 (Vref_PERI)은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의 출력 전압 (Vref_CELL)보다 더 높아진다. 이와 동시에,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의 출력 전압 (Vref_CELL)은, 도 6b에서 알 수 있듯이, 조정되지 않는다. 즉, 제어 회로 (180)는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 (Vref_CELL)이 변화되지 않도록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를 제어한다.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20)는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에서 생성된 기준 전압 (Vref_CELL)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 (110)에 공급될 내부 전원 전압 (VDD1)을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30)는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에서 생성된 기준 전압 (Vref_PERI)에 응답하여 주변 회로 (130)에 공급될 내부 전원 전압 (VDD2)을 발생한다. 테스트 동작 모드시 (도 6b에서 "PRD2"으로 표기된 구간) 기준 전압 (Vref_CELL)이 기준 전압 (Vref_PERI)보다 낮기 때문에, 메모리 셀 어레이 (11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1)은 주변 회로 (13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2)보다 낮다. 메모리 셀 어레이 (11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1)이 주변 회로 (13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2)보다 낮게 설정됨에 따라, 메모리 셀들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 (SNM)이 나빠진다. 이러한 환경에서 읽기/쓰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잠재적인 결함 특성을 갖는 메모리 셀(들)을 보다 빠르고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스태틱 노이즈 마진이 제어되는 테스트 동작 모드시 메모리 셀 어레이 (11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1)을 주변 회로 (13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2)보다 낮게 설정하기 위한 방법들은 다양하다. 예를 들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의 출력 전압 (Vref_CELL)은 변화되도록 그리고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의 출력 전압 (Vref_PERI)은 변화되지 않도록 제 1 및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들 (160, 17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의 스위치들 (SW3, SW4)이 스위치 오프되게 그리고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의 스위치들 (SW1-SW4)이 스위치 온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의 출력 전압 (Vref_CELL)이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의 출력 전압 (Vref_PERI)과 반대 방향으로 변화되도록 제 1 및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들 (160, 17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이 스위치들 (SW3, SW4)이 스위치 오프되게 그리고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의 스위치들 (SW1, SW2)이 스위치 온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출력 전압 (Vref_PERI/Vref_CELL)이 다양하게변화되도록 제 1 및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들 (160, 170)에 각각 사용되는 스위치들의 수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의 경우, 주변 회로 (13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2)은 메모리 셀 어레이 (11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1)보다 낮게 설정될 것이다.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는 도 6e에서 "PRD5"로 표기된 구간에 속한다. PRD5 구간에서 기준 전압들 (Vref_CELL, Vref_PERI)은 외부 전원 전압 (EXTVDD)을 따라 증가된다.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제어 회로 (180)는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로 로직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 (/DN3)를 인가한다. 제어 신호들 (/DN1, /DN2, /UP1, /UP2)은 모두 로직 로우/하이 레벨을 갖는다고 가정하자.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20)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 (Vref_CELL)은 제 1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60)의 차동 증폭기의 비교 결과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PMOS 트랜지스터들 (T22, T23)을 통해 결정된다. 그러한 이유로,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 (Vref_CELL)은 외부 전원 전압 (EXTVDD)을 따라 증가한다. 제어 신호 (/DN3)가 로직 하이 레벨이기 때문에, 기준 전압 (Vref_CELL)은 (EXTVDD-Vth) (Vth는 PM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된다.
이와 동시에,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제어 회로 (180)는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로 로직 로우 레벨의 제어 신호 (/DN3)를 인가한다. 제어 신호들 (/DN1, /DN2, /UP1, /UP2)은 모두 로직 로우/하이 레벨을 갖는다고 가정하자.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제 2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40)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Vref_PERI)은 제 2 가변 전압 발생 회로 (170)의 차동 증폭기의 비교 결과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PMOS 트랜지스터들 (T22, T23)을 통해 결정된다. 제어 신호 (/DN3)가 로직 로우 레벨이기 때문에, 기준 전압 (Vref_PERI)은 (EXTVDD-2Vth)이 된다.
앞서의 설명에 따르면,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기준 전압 (Vref_CELL)은 (EXTVDD-Vth)이 되고 기준 전압 (Vref_PERI)은 (EXTVDD-2Vth)이 된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40)의 기준 전압 (Vref_PERI)이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 (120)의 기준 전압 (Vref_CELL)보다 낮게 설정됨에 따라, 주변 회로 (13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2)은 메모리 셀 어레이 (110)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1)보다 낮게 설정될 것이다. 주변 회로에 인가되는 내부 전원 전압 (VDD2)을 낮춤으로써 번인 테스트 동작시 주변 회로에 의해서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 (180)를 통해 내부 전압 발생 회로들 (120, 140)에 각각 인가되는 기준 전압들 (Vref_CELL, Vref_PERI)을 가변시킬 수 있다. 특히, 패키지 상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제어 회로 (180)를 통해 기준 전압들 (Vref_CELL, Vref_PERI)을 가변시킴으로써 주변 회로에 의해서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번인 테스트 동작시 사용되는 내부 전원 전압의 감소를 줄임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웨이퍼 상태에서 번인 테스트를 정상적으로 수행하거나 그것의 번인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의 어레이와;
    상기 어레이에 데이터를 쓰거나 상기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읽는 데이터 기입/독출 회로와;
    외부 전원 전압을 조절하여 제 1 내부 전원 전압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내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어레이로 전달하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과;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데이터 기입/독출 회로로 전달하는 제 2 전원 공급 라인과;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이 동작 모드에 따라 상이한 레벨들로 가변되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이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이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정상적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이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은 상기 외부 전압 전압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의 어레이와;
    행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행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행 선택 회로와;
    열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열들 중 일부를 선택하는 열 선택 회로와;
    상기 선택된 행 및 열들에 배열된 메모리 셀들로부터 데이터를 감지 증폭하는 감지 증폭 회로와;
    상기 선택된 행 및 열들에 배열된 메모리 셀들에 데이터를 쓰는 기입 드라이버 회로와;
    외부 전원 전압을 조절하여 제 1 내부 전원 전압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내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어레이로 전달하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과;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행 선택 회로, 상기 열 선택 회로, 상기 감지 증폭 회로, 그리고 상기 기입 드라이버 회로로 각각 전달하는 제 2 전원 공급 라인과; 그리고
    패키지/웨이퍼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이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웨이퍼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은 상기 외부 전압 전압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이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보다 낮은 레벨을 갖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이 가변되는 반면에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은 가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이 가변되는 반면에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은 가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과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은 서로 상반되게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정상적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이 동일한 레벨을 갖도록 상기 내부 전압 발생 회로를 제어하되, 상기 제 1 및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은 상기 외부 전압 전압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의 어레이와;
    상기 어레이에 데이터를 쓰거나 상기 어레이로부터 데이터를 읽는 데이터 기입/독출 회로와;
    일정한 레벨을 갖는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기준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을 공급받고, 제 1 제어 코드에 응답하여 제 1의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제 1 가변 기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공급받고, 제 2 제어 코드에 응답하여 제 2의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제 2 가변 기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제 1의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에 응답하여 제 1 내부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제 1 내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어레이로 전달하는 제 1 전원 라인과;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제 2의 가변 가능한 기준 전압에 응답하여 제 2 내부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제 2 내부 전압 발생 회로와;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데이터 기입/독출 회로로 전달하는 제 2 전원 라인과; 그리고
    테스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 코드와 상기 제 2 제어 코드를 각각 발생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패키지/웨이퍼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이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보다 높게 설정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기준 전압 발생 회로들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코드들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웨이퍼 번인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은 상기 외부 전압 전압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이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보다 높게 설정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기준 전압 발생 회로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코드들을 발생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은 상기 외부 전압 전압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이 가변되는 반면에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은 가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이 가변되는 반면에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은 가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의 스태틱 노이즈 마진을 제어하기 위한 테스트 동작 모드시,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과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은 서로 상반되게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정상적인 동작 모드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내부 전원 전압과 상기 제 2 내부 전원 전압이 동일한 레벨로 설정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기준 전압 발생 회로들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코드들을 발생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 전원 전압들은 상기 외부 전압 전압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로의 테스트 정보 입력은 JTAG 코드, 명령 조합,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핀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02-0044983A 2002-07-30 2002-07-30 향상된 테스트 모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460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983A KR100460459B1 (ko) 2002-07-30 2002-07-30 향상된 테스트 모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0/359,075 US6958947B2 (en) 2002-07-30 2003-02-06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nternal voltage generators for testing a memory array and peripheral circu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983A KR100460459B1 (ko) 2002-07-30 2002-07-30 향상된 테스트 모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835A KR20040011835A (ko) 2004-02-11
KR100460459B1 true KR100460459B1 (ko) 2004-12-08

Family

ID=3118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983A KR100460459B1 (ko) 2002-07-30 2002-07-30 향상된 테스트 모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58947B2 (ko)
KR (1) KR100460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99B1 (ko) * 2008-04-18 2010-11-29 주식회사 비에스텍 저장매체 전압 마진 테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9642B2 (en) * 2003-03-14 2005-06-21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n Corp. Self trimming voltage generator
JP2005050473A (ja) * 2003-07-31 2005-02-24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US7266031B2 (en) * 2003-11-19 2007-09-04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rnal voltage generator with temperature control
KR100521385B1 (ko) * 2003-12-15 200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전압 발생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35077B1 (ko) * 2004-02-20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나믹 전압 스케일링에 따라 전력 소비 감소가 가능한반도체 시스템
KR100748553B1 (ko) * 2004-12-20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플-프리 고전압 발생회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반도체 메모리 장치
JP4094614B2 (ja) * 2005-02-10 2008-06-04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負荷試験方法
JP4917767B2 (ja) * 2005-07-01 2012-04-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7348909B2 (en) * 2005-08-17 2008-03-25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Reconfigurable mixed-signal VLSI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arithmetic
KR100660876B1 (ko) * 2005-08-29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스앰프용 디벨로프 기준전압 발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US8199600B2 (en) * 2005-09-28 2012-06-12 Hynix Semiconductor Inc. Voltage generator for peripheral circuit
US20070069808A1 (en) * 2005-09-29 2007-03-29 Hynix Semiconductor Inc. Internal voltage generator
JP4865360B2 (ja) * 2006-03-01 2012-0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0794994B1 (ko) * 2006-04-06 2008-01-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발생회로
US7548473B2 (en) * 2006-04-14 2009-06-16 Purdue Research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memory device faults
KR100886628B1 (ko) * 2006-05-10 2009-03-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의 내부전압 생성회로
KR100798804B1 (ko) 2006-06-29 2008-0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20080042730A1 (en) * 2006-06-29 2008-02-21 Hynix Semiconductor Inc. Internal voltage generating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nal voltage using the same
KR100780624B1 (ko) * 2006-06-29 2007-1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61371B1 (ko) 2006-06-29 2007-09-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액티브 드라이버
KR100792430B1 (ko) * 2006-06-30 2008-01-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내부전압 발생장치
KR100806120B1 (ko) * 2006-08-22 200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내부 전원전압 발생방법
KR100813534B1 (ko) 2006-09-13 2008-03-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8123586A (ja) * 2006-11-09 2008-05-29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KR100803363B1 (ko) * 2006-11-13 2008-02-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 생성 회로
JP2008159188A (ja) * 2006-12-25 2008-07-10 Elpida Memory Inc 半導体記憶装置
JP4228013B2 (ja) * 2006-12-26 2009-02-25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電源電圧リセット回路、およびリセット信号生成方法
KR100803371B1 (ko) * 2007-01-11 2008-02-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 전압 생성 회로
US8316158B1 (en) 2007-03-12 2012-11-20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onfiguration of programmable device using a DMA controller
KR100873617B1 (ko) * 2007-04-12 2008-12-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액티브 드라이버 제어 회로
KR100892637B1 (ko) * 2007-04-13 2009-04-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분배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장치
KR100900785B1 (ko) * 2007-05-14 2009-06-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내부전압 발생기 및 발생방법
KR100859839B1 (ko) * 2007-08-29 2008-09-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코아전압 발생회로
US7768848B2 (en) * 2007-11-05 2010-08-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chip characterization of noise-margins for memory arrays
JP5166894B2 (ja) * 2008-01-30 2013-03-2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0930409B1 (ko) * 2008-03-11 2009-1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KR100937950B1 (ko) * 2008-05-09 2010-01-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전압 방전회로 및 제어방법
JP2010135035A (ja) * 2008-12-08 2010-06-17 Renesas Electronics Corp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及びそのテスト方法
KR101003152B1 (ko) 2009-05-14 2010-12-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생성 회로
KR20110024912A (ko) *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 전압 발생 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27699B1 (ko) * 2010-01-29 2011-04-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압 트리밍 회로
JP5706635B2 (ja) 2010-06-24 2015-04-2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内部回路の制御方法
JP2012038389A (ja) * 2010-08-09 2012-02-23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KR20130046768A (ko) * 2011-10-28 2013-05-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시스템
EP2592754B1 (en) 2011-11-09 2015-08-12 ST-Ericsson SA Multiple supply DVFS
US8705268B2 (en) 2011-12-27 2014-04-22 Broadcom Corporation Quantifying the read and write margins of memory bit cells
KR102171261B1 (ko) * 2013-12-27 2020-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전압 발생부들을 갖는 메모리 장치
US9418759B2 (en) * 2014-05-06 2016-08-16 Intel IP Corporation Assist circuits for SRAM testing
KR102246878B1 (ko) 2014-05-29 2021-04-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KR101698741B1 (ko) * 2016-02-03 2017-01-23 주식회사 티에스피글로벌 메모리칩,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
KR102488583B1 (ko) * 2016-06-14 2023-01-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이의 기준전압 설정 방법
US10957373B2 (en) * 2018-07-05 2021-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2639877B1 (ko) * 2018-07-05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13470710B (zh) * 2020-03-31 2024-03-26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存储器
JP7316459B2 (ja) * 2020-09-24 2023-07-27 チャンシン メモリー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ュアル基準電圧発生器、等化回路及びメモリ
CN112885401B (zh) * 2021-03-25 2022-05-27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存储单元信号裕度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6800140A (zh) * 2022-03-18 2023-09-22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直流马达驱动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9298A (ja) * 1993-04-14 1994-12-22 Nec Corp 半導体装置
JPH11185498A (ja) * 1997-12-24 1999-07-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ティック型半導体記憶装置
US6219293B1 (en) * 1999-09-01 2001-04-1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regulated power to memory device components
KR20010084970A (ko) * 2001-06-19 2001-09-07 김태진 클럭동기회로 및 내부전압회로를 갖는 반도체회로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4913B2 (ja) * 1997-01-20 2008-09-0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0295055B1 (ko) * 1998-09-25 2001-07-12 윤종용 전압조정이가능한내부전원회로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JP4656747B2 (ja) * 2001-03-30 2011-03-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9298A (ja) * 1993-04-14 1994-12-22 Nec Corp 半導体装置
JPH11185498A (ja) * 1997-12-24 1999-07-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ティック型半導体記憶装置
US6219293B1 (en) * 1999-09-01 2001-04-1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regulated power to memory device components
KR20010084970A (ko) * 2001-06-19 2001-09-07 김태진 클럭동기회로 및 내부전압회로를 갖는 반도체회로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499B1 (ko) * 2008-04-18 2010-11-29 주식회사 비에스텍 저장매체 전압 마진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835A (ko) 2004-02-11
US20040022115A1 (en) 2004-02-05
US6958947B2 (en)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459B1 (ko) 향상된 테스트 모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4768437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767580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refresh method for the same
JP4162076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757701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4988588B2 (ja) 静的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用のワード線ドライバ回路
US6384674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hierarchical power supply line structure improved in operating speed
JP4046382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57990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826108B2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 power supply circuit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10062155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0149547A (ja) 半導体記憶装置
US6411560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ducing leakage current flowing into substrate
KR100287392B1 (ko) 반도체 회로 장치
JP4960419B2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装置
US663109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imposing large stress on transistor
US7408818B2 (en) Semiconductor device undergoing defect detection test
US9136844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evel shifter
US6222781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capable of externally applying power supply potential to internal circuit while restricting noise
US658402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ntermediate voltage generating circuit
JP2006323938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テスト方法
US6535441B2 (en) Stat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failure in standby mode
JP2000030455A (ja) 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