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735B1 - 화상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735B1
KR100458735B1 KR1020010081616A KR20010081616A KR100458735B1 KR 100458735 B1 KR100458735 B1 KR 100458735B1 KR 1020010081616 A KR1020010081616 A KR 1020010081616A KR 20010081616 A KR20010081616 A KR 20010081616A KR 100458735 B1 KR100458735 B1 KR 100458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file
reproduction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라이와요시노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3975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587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03G15/502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relat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menu, e.g. pop-up menus, help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66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using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upport, e.g. magnetic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9Digital image input
    • H04N1/00175Digital image input from a still imag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5Image output
    • H04N1/00188Printing, e.g. prints or r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Indicating an illegal or impossible operation or selection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61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e.g. a microproces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7Image storag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2201/218Deletion of stored data; Preventing such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 reproduction or befo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7The additional information being stored in the same storage device as the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화상 출력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장치는, 기록 매체의 장착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유닛, 장착의 인식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유닛,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화상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생성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RATUS FOR CONTROLLING IMAGE OUTPU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로피 디스크, 카드 메모리 등의 정보 저장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재생 화상을 얻을 수 있으며,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화상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와, 화상 데이터 파일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고객이 소유하고 있던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사진들의 추가의 프린트 서비스가 있다. 사진들의 추가의 프린트 서비스에 있어서, 고객은 현상된 필림을 가지는 반투명의 네가티브 커버(네가티브 홀더)에 각 화상의 추가의 프린트의 매수를 기입 또는 표시하여 현상소 등에 이를 가져온다. 이 현상소는 재생(프린트)될 화상을 특정화하여 원하는 화상의 추가의 프린트를 제공한다. 최근, 필름(film) 상의 화상을 판독하고, 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CD-ROM 내에 기입하고, CD-ROM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화상 표시 장치 상에 재생/디스플레이하는 포토 CD(compact disk)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포토 CD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은 CD-ROM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고화질 프린터로 출력함으로써 프린트 화상을 얻게 된다. 고화질 프린터는 고객이 소유하기에는 너무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프린트서비스를 행하는 현상소 등에 의뢰하여 프린트 화상을 얻는다. 프린트 서비스를 의뢰하게 될 경우, 고객은 일반적으로 CD-ROM과, 이 CD-ROM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특정화한 정보(예를 들면, 목차 프린트 등에 따라 확인된 해당 화상의 번호)를 기입한 메모를 건네 주게 된다.
컴퓨터 기술의 향상, 개인용 컴퓨터들의 보급, 및 디지탈 카메라 등의 화상 입력 장치의 보급에 따라, 사용자는 고선명 디지탈 화상 데이터를 쉽게 다룰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화상 데이터는 선정된 정보 기록 매체 내에 TIFF, PICT,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및 RAW 등의 각종 화상 파일링(filing) 포맷 중 한 포맷으로 기록되고,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소유한 컴퓨터에 접속된 프린터로부터 출력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소유한 프린터는 종종 만족스러운 프린트를 제공할 수 없는 때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술된 방식으로 고성능 프린터를 사용하여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재생할 수 있는 프린트 서비스는 현상소, 포토 스튜디오, DPE 샵(shop) 또는 개인용 컴퓨터 샵에서 이용 가능하다. 그러한 서비스를 얻기 위하여, 고객은 프린트 서비스 샵에 화상 데이터를 건네주어 프린트를 의뢰할 수 밖에 없다. 최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프린트를 의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프린트 서비스는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정보 기록 매체를 프린트 서비스 샵에 제공함으로써 수행된다.
고객이 전술된 방식으로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프린트 서비스를 의뢰할 때, 고객은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화상을 지정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고객은 화상의 번호 또는 명칭이 기재된 메모 등을 프린트 서비스 샵에 제공해야만 한다. 프린트 서비스 샵은 메모 등 내에 기재된 화상의 번호 또는 명칭에 기초한 메뉴얼 조작을 수행하여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화상을 선택함으로써 그 화상의 프린트를 제공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전술된 프린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복잡한 조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샵 운영자에게는 프린트될 화상을 선택하여 프린트를 제공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화상을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프린트를 제공하기 위한 노동력이 요구됨으로써 프린트를 제공하기 위한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들 중에서 원하는 화상을 자동적으로 특정화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의 프린트를 즉시 얻을 수 있는 화상 파일링 방법 및 화상 재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개선점에 있어서,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사용하여 재생될 화상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화상 재생이 수행되기 때문에, 재생될 화상은 소정 수단을 제공하지 않고서는 화상을 재생하기 전에 확인될 수 없다.
그러한 수단의 일예에 있어서,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정보 기록 매체를 억세싱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체크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보 기록 매체의 교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곤란하다.
다른 문제점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재생/출력된 프린트들의 총 매수가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출력 가능한 매수를 초과하는 경우, 프린트 출력은 화상 재생 동작 중에 프린트 출력이 중단되어 시스템 오류 등이 발생되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점에 있어서, 정보 기록 매체를 억세싱하여, 정보 기록 매체 내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 또는 소거하거나,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제공되거나 소거되기도 하는 정보 기록 매체 데이터 편집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이 편집 방법을 채택하는 정보 기록 매체 데이터 편집 유닛 뿐만 아니라 화상 입력 장치, 개인용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기록 매체 내에서 불필요하게 되는 화상 데이터를 소거하거나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여 정보 기록 매체의 용량 등이 효과적으로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를 편집할 경우, 화상 데이터의 기록/소거 처리와 재생될 화상 데이터의 명령(선택/비선택) 처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화상 재생시 재생 오류가 발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되고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재생되도록 명령된 화상 데이터가 소정 이유로 인해 화상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되고, 소거된 데이터용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디세이블(disable)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재생되도록 명령된 화상 데이터는 정보 기록 매체 내에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화상 재생 동작은 오류로서 종료된다. 이것은 화상 재생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때 화상 재생 동작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종료되어 치명적인 동작 오류가 되었다는 것을 가리킨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기술들을 제공한다.
정보 기록 매체 내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화상 파일링 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와, 이 화상 데이터가 재생될 것인지의 여부를 명령하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다.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은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등의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수단, 기록된 데이터 중에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수단, 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재생용 재생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재생 출력 데이터 생성 처리 수단, 및 재생 출력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는 서로 다른 파일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화상 파일링 방법 및 화상 재생 방법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와, 이 화상 데이터의 재생 유무를 명령하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화상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되고, 상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는 서로 다른 파일에 저장된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기록 데이터로부터 선택적으로 판독되고, 필요한 화상 데이터는 판독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선택적으로 판독되며, 재생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원하는 화상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한가지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와 이 화상 데이터의 재생 유무를 명령하기 위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여 화상 재생이 명령된 화상을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특정화하고, 이 특정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모리 매체에 관한 것이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장착을 인식하는 기능, 장착의 인식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기능,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출력을 위한 화상 생성을 수행하는 생성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는 서로 다른 파일에 저장되는 화상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장착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수단, 장착의 인식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출력을 위한 화상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는 서로 다른 파일에 저장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체의 장착을 판정하는 판정 기능, 이 판정 기능에 의해 매체가 장착되었다는 것이 판정된 경우 이 매체에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 기능, 및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는 것이 판별 기능에 의해 판별된 경우 이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이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체의 장착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 매체가 장착되어 있다는 것이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경우 이 매체 내에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 수단, 및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는 것이 판별 수단에 의해 판정된 경우 이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이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어 수단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 판정의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제어 수단은 출력을 제어하여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의해 명령된 화상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출력되게 한다. 이 장치는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매체 내에 저장되지 않았다는 것이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경우 장치 내에 내장된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제어 수단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매체 내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판정의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제어 수단은 출력을 제어하여 장치 내에 내장된 출력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의해 명령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기능과,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출력을 제어하여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과,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출력을 제어하여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장착을 인식하기 위한 기능, 장착의 인식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기능,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화상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메모리 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체의 장착을 판정하는 판정 기능, 매체가 장착되었다는 것을 판정 기능이 판정한 경우 이 매체 내에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 기능, 및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었다는 것을 판별 기능이 판별한 경우 이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이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메모리 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기능과, 이 판정 결과가 판정 기능에 의해 긍정적이라고 판정되면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이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메모리 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와 이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지의 여부를 명령하기 위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화상 재생이 명령된 화상을 특정화하도록 하고 이 특정화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기록 매체의 장착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수단, 인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의 장착의 인식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화상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생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는 서로 다른 파일에 저장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 가능하도록 하는 포맷으로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재생 명령 데이터의 착신을 인식하는 인식 수단, 이 인식 수단에 의한 화상 데이터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착신의 인식에 기초하여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제어 수단,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화상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출력을 위한 화상 재생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생성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는 서로 다른 파일에 저장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와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수단,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 생성 처리 수단,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화상 출력에 관련된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및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와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수단,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 생성 수단,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화상 출력에해당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표시 수단,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 및 장치에 의해 현재 출력 가능한 프린트들의 매수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 기록 매체를 억세싱하기 위한 수단,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와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수단, 및 기록 데이터 내의 화상 데이터의 소거 명령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거 명령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것이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는, 이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가 소거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거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재생될 것인지의 여부를 명령하기 위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화상 재생이 명령된 화상을 특정하도록 하고 이 특정화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판독 수단, 판독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화상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생성 수단, 및 화상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 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제공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의 출력 동작을 스킵하기 위한 스킵(skip)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는 서로 다른 파일에 저장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제어 수단,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화상 재생이 명령된 화상 데이터를 특정화하도록 제공된 포맷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가 재생될 것인지의 여부를 명령하기 위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상기 화상 데이터는 서로 다른 파일에 저장되는 화상 입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된 것과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취해진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 화상들을 파일링하는 포맷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서의 화상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내의 기록 화상들을 파일링하는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내의 기록 화상들을 파일링하는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8a 내지 도 8c는 제3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내의 기록 화상들을 파일링하는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내의 기록 화상들을 파일링하는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재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제1 기록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제2 기록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기록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을 도시한 도면.
도 17a 내지 도 17c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내의 기록 화상들을 파일링하는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제6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 화상 파일로서 제공된, "AUTOPRINT.MRK"로 명명된 파일의 기록 내용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4는 제8 실시예에서 재생될 화상들을 가리키는 디스플레이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25에 나타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제10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0은 본 발명 적용의 일 예에 따라 전송된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재생 장치(시스템)
11 : 정보 기록 매체
12 : 데이터 판독부
13 : 화상 재생부
14 : 화상 재생 처리부
15 : 시스템 제어부
16 : 버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파일링 방법 및 화상 재생 방법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각 화상 데이터 내에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설치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내에 화상들을 파일링하는 포맷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보 기록 매체는 4개의 독립된 영역들, 즉, 예약 영역, 파일 할당 테이블(file allocation table) 영역, 루트(root) 디렉토리 영역, 및 파일 영역으로 구획된다. 예약 영역에는, 루트 디렉토리 내의 엔트리 수, 예약 영역의 사이즈, 및 정보 기록 매체의 화일 할당 테이블의 사이즈가 기록된다.
화일 할당 테이블에는, 정보 기록 매체의 파일 영역 내의 정보 기록 매체 공간의 사용 상태가 기록된다. 루트 디렉토리에는, 각 파일의 명칭, 사이즈, 위치 등에 관련된 정보를 가리키는 디렉토리 엔트리 정보가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다. 파일 영역에 있어서, 실제 화상 데이터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기록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가 동일 파일 내에 기록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파일을 "IMGxxx"로 명명한다. 다른 문자, 숫자 등은 "xxx"로 할당하여 복수개의 화상들을 구별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에 의해 부가된 파일의 선두에 기록된다. 화상 데이터는 JPEG 데이터의 포맷으로 기록된다. JPEG 포맷에서는, 본래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형태로 기록된다. 도 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본래의 화상 데이터로 복원하기 위한 정보는 화상 데이터의 일부를 구성하는 헤더 정보로서 기록된다. 이 헤더 정보는 예를 들면, 화상의 사이즈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방법을 실시하는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10)을 나타낸다.
화상 재생 장치(시스템)(10)는 정보 기록 매체(11)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화상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이 선택된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의 재생 출력(프린팅)을 수행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CF(compact flash-memory card)는 정보 기록 매체(11)로서 사용된다. 정보 기록 매체(11)은 CF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CD-R(CD-recordable), DVD(digital video disk)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10)은 정보 기록 매체(11) 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기록 데이터를 버스(16)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유닛(12),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 유닛(15), 시스템 제어 유닛(15)의 제어하에서 데이터 판독 유닛(12)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버스(16)에 출력하고, 재생 출력하기 위하여 이 화상 데이터를 재생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재생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과, 재생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 출력(프린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재생 유닛(13)을 포함한다. 시스템 제어 유닛(15)은 물론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 RAM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1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10)를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 의해 나타난 프로그램은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시스템 제어 유닛(15)의 RAM, 하드 디스크 등 내에 설정된다.
화상 재생 시스템(10)이 예를 들면, 전원 공급을 함으로써 동작되기 시작할 때, 동작적인 흐름이 판독되고 실행된다.
우선, 단계(300)에서, 정보 기록 매체(11)가 데이터 판독 유닛(12) 내에 설정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300)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이 흐름은 단계(301)로 진행하는데, 이 경우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난 정보 기록 매체(11)내에 기록된 파일들 중에서 선두 IMGxxx 파일은 데이터 판독 유닛(12)에 의해 판독된다. 다음으로, 단계(302)에서, 판독된 IMGxxx 파일 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온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는 IMGxxx 파일 중 선두 1바이트가 할당된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값이 십진 기수법으로 1이라면 온 상태를 나타내고, 그 외의 값들은 오프 상태를 가리킨다.
입력측에서, 이 데이터는 개인용 컴퓨터, 디지탈 카메라 등의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지정된다. 이 데이터는 사진촬영 동작 동안 재생의 필요성을 결정하면서 기록된다. 이 기록된 데이터는 재생의 필요성을 확인하면서 판독되고 재생될 화상에 부가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측에서의 제어를 중점적으로 기술하였지만, 제1 실시예에서 기술된 포맷으로 디지탈 카메라와 같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입력 수단도 본 발명을 구성한다. 이 경우, 화상의 입력 제어, 제1 실시예에서 기술된 포맷으로 기록 매체의 입력 화상에 대응되는 기록/재생 명령 데이터 입력을 기록하는 제어, 기록 매체에 해당 기록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제어가 수행된다.
따라서, IMGxxx 파일의 선두 1바이트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상태는 쉽게 확인될 수 있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오프 상태(온 상태가 아님)에 있을 때, 프로세스는 단계들(305, 306)로 진행한다. 다른 IMGxxx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이 프로세스는 단계(302)로 복귀한다. 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 이 프로세스는 단계(303)으로 진행하는데, 이 경우전술된 바와 같이,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는 IMGxxx 파일 내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용 화상 재생 출력(프린팅)의 화상 재생 출력 처리를 수행하여 화상 재생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304)에서, 상기 생성된 화상 재생 출력 데이터는 화상 재생 유닛(13)에 의해 재생되어 출력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JPEG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고, 화상 재생 유닛(13)은 화상 재생 장치로서 잉크 젯 프린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는 JPEG 데이터로서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함으로써 RGB 데이터를 얻는 처리, 칼라 처리, 해상도 변환 처리, 하프톤(halftone) 처리 등을 수행한다. 그러한 각각의 처리는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305)에서, 정보 기록 매체(11)를 억세싱하여 다음 IMGxxx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단계(305)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이 처리는 단계(306)으로 진행하는데, 이 경우 다음 IMGxxx 파일이 판독되고 나서, 이 처리는 단계(302)로 복귀된다. 단계(305)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제1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은 종료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화상 파일링 방법에 따라 데이터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원하는 화상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화상 재생 출력이 수행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파일링 방법 및 화상 재생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원하는 화상 데이터는 메모 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화상을 할당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재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JPEG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화상 데이터는 JPEG 데이터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TIFF, PICT 등에 적합한 데이터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RAW 데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화상 데이터와 함께 정보 기록 매체에 화상 재생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JPEG 포맷과는 다른 포맷을 가지는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화상 데이터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나타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변경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은 사용되는 특정 형태의 화상 데이터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 잉크 젯 프린터가 화상 재생 장치로서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은 그러한 프린터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 또는 은-할로겐화막(silver-halide-film) 프린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대용적으로, CRT(Cathode-Ray Tube), LCD(Liquid-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소프트 카피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가 사용될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의 처리를 변경하여 사용될 프린터 또는 소프트 카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적절한 화상 재생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파일의 선행 1바이트 영역 내에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기록되는데, 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10진 기수법의 1과 동일할 때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온 상태에 있게 되고, 다른 경우에는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파일의 선행 2 바이트 영역 또는 파일의 최종 1 바이트 영역에 기록될 수도 있다. JPEG 화상 데이터와 같은 화상 헤더를 가지는 화상 데이터의 경우에 있어서, 화상 헤더의 일부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확장용으로 개방된다. 이 경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확장된 영역의 일부를 사용하여 기록될 수도 있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반드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값이 1일 경우 온 상태이고 이와는 다른 경우에는 오프 상태일 필요는 없다. 파일 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위치, 사이즈 및 내용이 전술된 바와 같은 임의의 값일 수도 있지만, 파일 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위치 및 사이즈에 기초한 해당 위치에서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내용들이 얼마나 선정된 기록 내용에 대응되는지를 판정하여 파일 내에 포함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지의 여부를 명령하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여 이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위치, 사이즈, 내용 및 기록 순서가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제2 실시예 : 기록된 파일의 명칭에 특정 표시를 부여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b에서, 화상 데이터가 재생될 것인지의 여부를 명령하기 위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가 기록 화일 내에 기록된다. 그러나, 여기서는 기록 파일의 명칭에 특정 표시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의 화상들을 파일링하는 포맷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보 기록 매체는 4개의 독립된 영역들, 즉, 예약 영역, 파일 할당 테이블(FAT) 영역, 루트 디렉토리 영역, 및 파일 영역으로 구획된다. 제2 실시예는 루트 디렉토리 내에 기록된 파일 명칭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가진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는 다르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DP'는 화상 재생될 화상 데이터의 명칭에 부가된다.
즉, 파일 명칭이 'xxxDP'라면, 이는 그 파일 명칭에 대응되는 화상 데이터에 의해 나타난 화상이 재생될 것이라는 것을 가리킨다. 파일 명칭이 단지 'xxx'라면, 이는 그 파일 명칭에 대응되는 화상 데이터에 의해 나타난 화상이 재생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가리킨다. 명칭의 연장 부분은 특정 판별자로서 사용되어 재생될 화상과 재생되지 않을 화상 간의 판별을 하게 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재생 시스템(10)은 제1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10)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10)을 설명할 것이다. 도 5는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로 나타낸 프로그램은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시스템 제어 유닛(15)의 RAM, 하드 디스크 등 내에 설정된다.
화상 재생 시스템(10)은 예를 들면,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으로써 동작하기 시작할 때, 흐름도의 동작이 판독되고 실시된다.
우선, 단계(500)에서, 정보 기록 매체(11)이 데이터 판독 유닛(12) 내에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500)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이 흐름은 단계(501)로 진행되는데, 이 경우 데이터 판독 유닛(12)는 정보 기록 매체(11) 내에 기록된 루트 디렉토리의 내용을 참조하여 'xxxDP'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단계(501)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제2 실시예의 동작은 종료된다. 단계(501)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이 흐름은 단계(502)로 진행하는데, 이 경우 파일 영역 내의 선행 'xxxDP' 파일이 판독된다(도 4b를 참조하라).
다음으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가 'xxxDP' 파일 내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재생 출력(프린팅)을 위한 화상 재생 출력 처리를 수행하여 화상 재생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504)에서, 생성된 화상 재생 출력 데이터는 화상 재생 유닛(13)에 의해 재생되어 출력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JPEG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고, 화상 재생 유닛(13)은 잉크 젯 프린터를 화상 재생 장치로서 사용한다. 따라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는 JPEG 데이터로서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해제함으로써 RGB 데이터를 얻는 처리, 칼라 처리, 해상도 변환 처리, 하프톤 처리 등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단계(505)에서, 정보 기록 매체(11)를 억세싱함으로써 다음 'xxxDP'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단계(505)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이 흐름은 단계(506)으로 진행하는데, 이 경우 다음 IMGxxx 파일이 판독되고 나서, 이 흐름은 단계(503)으로 복귀한다. 단계(505)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제2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의 동작이 종료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실시예의화상 파일링 방법에 따라 데이터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원하는 화상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화상 재생 출력이 수행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파일링 방법과 화상 재생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원하는 화상 데이터는 메모 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화상을 지정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재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JPEG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화상 데이터는 JPEG 데이터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TIFF, PICT 등이 적용되는 데이터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RAW 데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화상 데이터와 더불어 정보 기록 매체에 화상 재생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JPEG 포맷과는 다른 포맷을 가지는 데이터를 사용할 때, 각 화상 데이터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나타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에 의해 수행된 처리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될 특정 형태의 화상 데이터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잉크 젯 프린터가 화상 재생 장치로서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은 그러한 프린터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 또는 은-할로겐화막 프린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대용적으로, CR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소프트 카피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가 사용될 경우에는, 제2 실시예에 나타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의 처리를 변경하여 사용될 프린터 또는 소프트 카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적절한 화상 재생 장치를사용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DP'는 화상 재생될 화상 데이터의 명칭에 부가되어 그 파일의 화상이 재생될 것이라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루트 디렉토리 내에 기록된 파일 명칭이 단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가질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다른 명칭 또는 표시가 사용될 때조차도 쉽게 실시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재생 시스템은 미리 임의적으로 결정될 수 있는 파일 명칭의 특징을 체크하여, 이 특징이 선정된 특징에 대응되는지를 판정하여 그 파일 내에 포함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파일 명칭에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가리키는 특징을 기록하여 사용된 특징, 즉, 명칭, 표시, 기호 등이 임의적으로 설정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제3 실시예 : 파일 영역 내에 화상 재생할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파일 명칭을 저장한 파일을 설치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내에 화상들을 파일링하는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보 기록 매체는 4개의 독립된 영역들, 즉, 예약 영역, 파일 할당 테이블 영역, 루트 디렉토리 영역, 및 파일 영역으로 구획된다.
이 제3 실시예는 주로 2가지 종류의 파일들이 파일 영역 내에 기록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는 다르다. 그 중 하나는 화상 재생될 화상 데이터 파일을 기록내용으로서 가지는 파일이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그러한 파일의 명칭은 'DPFxxx'로 나타난다(도 6c를 참조하라). 다른 하나는 화상 데이터 자체를 기록 내용으로서 가지는 파일이다.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 그러한 파일의 명칭은 'IMGxxx'로 나타난다. 따라서, 화상 재생될 화상 데이터를 가지는 파일 명칭은 'DPFxxx'로 기록된다.
제3 실시예에 따라 화상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재생 시스템(10)은 제2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10)에서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제3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10)을 설명할 것이다.
도 7은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로 나타난 프로그램은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시스템 제어 유닛(15)의 RAM, 하드 디스크 등 내에 설정된다.
화상 재생 시스템(10)이 예를 들면, 전원을 공급함에 의해 동작되기 시작할 때, 이 흐름도의 동작이 판독되고 실시된다.
우선, 단계(700)에서, 정보 기록 매체(11)가 데이터 판독 유닛(12) 내에 설정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단계(700)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이 흐름은 단계(701)로 진행하는데, 이 경우 데이터 판독 유닛(12)은 정보 기록 매체(11) 내에 기록된 루트 디렉토리의 내용을 참조하여 'DPFxxx'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단계(701)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제3 실시예의 동작은 종료된다.
단계(701)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이 흐름은 단계(702)로 진행하는데, 이 경우 파일 영역 내의 선행 'DPFxxx' 파일이 판독된다(도 6c를 참조). 다음으로, 단계(703)에서, 판독된 'DPFxxx' 파일 내에 저장된 제1 파일 명칭 'IMGxxx'가 판독된다. 다음으로, 단계(704)에서, 단계(703)(도 6b를 참조)에서 판독된 'IMGxxx' 파일에 대응되는 화상 데이터가 판독된다. 다음으로, 단계(705)에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는 단계(704)에서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재생 출력(프린팅)을 위한 화상 재생 출력을 수행하여 화상 재생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706)에서, 이 생성된 화상 재생 출력 데이터는 화상 재생 유닛(13)에 의해 재생되어 출력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JPEG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고, 화상 재생 유닛(13)은 잉크 젯 프린터를 화상 재생 장치로서 사용한다. 따라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는 JPEG 데이터로서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함으로써 RGB 데이터를 얻는 처리, 칼라 처리, 해상도 변환 처리, 하프톤 처리 등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단계(707)에서, 현재 억세싱되고 있는 'DPFxxx' 파일 내에 다음 'IMGxxx'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도 6c를 참조). 단계(707)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이 흐름은 단계(708)로 진행하는데, 이 경우 다음 IMGxxx 파일이 판독되고 이 흐름은 단계(704)로 복귀한다. 단계(707)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이 흐름은 단계(709)로 진행하는데, 이 경우 정보 기록 매체(11)를 억세싱하여 다른 'DPFxxx'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단계(709)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이 흐름은 단계(710)으로 진행되는데, 이 경우 다음 'DPFxxx' 파일을 판독하고 나서, 이 흐름은 단계(703)으로 복귀한다. 단계(709)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제3 실시예의 화상 재생시스템의 동작은 종료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제3 실시예의 화상 파일링 방법에 따라 데이터가 기록되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원하는 화상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화상 재생 출력이 수행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파일링 방법 및 화상 재생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원하는 화상 데이터는 메모 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화상을 지정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재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JPEG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화상 데이터는 JPEG 데이터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TIFF, PICT 등에 적용된 데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RAW 데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화상 데이터와 함께 정보 기록 매체에 화상 재생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JPEG 포맷과는 다른 포맷을 가지는 데이터를 사용할 시, 각 화상 데이터에 따라 제3 실시예에 나타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에 의해 수행된 처리를 변경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은 사용될 특정 형태의 화상 데이터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 젯 프린터가 화상 재생 장치로서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은 그러한 프린터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 또는 은-할로겐화막 프린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대용적으로, CR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소프트 카피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가 사용될 경우에는, 제3 실시예에 나타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의처리를 변경하여 사용될 프린터 또는 소프트 카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적절한 화상 재생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2가지 종류의 파일들이 파일 영역 내에 기록된다. 그 중 하나는 화상 재생될 화상 데이터 파일을 기록의 내용으로서 가지는 파일이고, 다른 하나는 화상 데이터 그 자체를 기록 내용으로서 가지는 파일이며, 각기 'DPFxxx'와 'IMGxxx'의 파일 명칭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일 명칭은 그러한 명칭에 국한되지만, 임의의 파일 명칭들이 채택되어 2가지 종류의 파일들이 판별되게 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재생 시스템은 미리 임의적으로 결정될 수 있는 파일 명칭의 특징을 체크하고, 이 특징이 선정된 특징에 대응되는지를 판정하여, 그 파일의 내용이 화상 재생될 화상 데이터 또는 파일 명칭을 가리키는지를 판정한다. 파일 재생될 파일 명칭이 저장된 파일을 선택적으로 억세싱함으로써, 그 파일 내에 저장된 파일 명칭을 판독하고, 그 파일 명칭에 대응되는 파일을 판독하여, 그 파일 내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재생이 수행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재생될 파일 명칭을 저장하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파일을 판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파일 명칭이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은 그러한 방법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a 내지 도 8c에 나타난 파일 포맷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화상 파일링 방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8a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경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파일은 파일 영역의 선행 위치에서 특정 파일로서 저장된다. 이 정보는 루트 디렉토리 내에 기록되고 참조된다. 즉, 본 발명을 이 방식으로 실시할 때, 정보 기록 매체의 파일 영역의 선행 파일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파일에 대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상 판독 방법에 있어서, 화상 기록 매체의 파일 영역의 선행 파일 내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화상 재생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파일이 쉽게 선택될 수 있다. 게다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파일용으로 제공된 파일 영역을 제공하고 루트 디렉토리 내에 그 데이터 파일을 기록함으로써,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파일을 선택적으로 억세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흐름도가 생략된다고 할지라도, 도 8a와 도 8c에 나타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파일은 도 7의 단계(703)에 나타난 DPFxxx 파일의 대용으로 검색될 수 있으며, 도 8b에 나타난 IMGxxx로 표시된 화상 데이터는 필요할 때는 언제나 액세스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재생 시스템 및 장치에 있어서, 정보 기록 매체의 선정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위치 및 사이즈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서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데이터의 내용이 선정된 기록 내용에 어떻게 대응될지를 판정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화상 재생 시스템 및 장치 내에서 실행된 화상 출력 동작은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 기록 포맷에 따른 각 실시예에 대해서 다르다. 각각의 전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에 사용된 기록 포맷에 대응되는 동작적 흐름으로 나타난 프로그램은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시스템 제어 유닛(15)의 RAM 또는 하드 디스크 내에 설정된다.
다중 포맷들을 이용한 다이얼링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작 흐름은 정보 기록 매체나 통신망을 사용하는 화상 재생 시스템 내에 설정 또는 재설정될 수 있다. 도 10에는 이와 같은 경우의 동작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이 화상 시스템(10)의 시스템 제어 장치(15)의 RAM 또는 하드 디스크 내에 설정된다.
화상 재생 시스템(10)이, 예를 들어, 전원을 턴온하여 개시될 때, 이러한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이 판독되어 실행된다. 이 경우에, 화상 파일은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포맷으로 저장된다. 즉, 여러 종류의 주요 포맷들이 표준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어떤 포맷으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매체가 로딩되어, 이 포맷에 무관한 포맷에 적당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a)-1(c), 4(a) 및 4(b), 6(a)-6(c), 및 8(a)-8(c)에 도시된 포맷들이 존재할 때, 이 포맷에 대응하는 도3, 5, 및 7에 도시된 흐름도[도8(a)-8(c)에 대응하는 흐름도는 생략된다]들 중 하나가 도9(a)에 도시된 PRG 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도10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우선, 단계(1001)에서, 정보 기록 매체(11)가 데이터 판독 매체(12) 내에 설정되었는지가 판별된다. 단계(1001)에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1002)로 진행하고, 여기서는,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 PRG가 상기 설정된 정보 기록 매체(11) 내에 저장되었는지가 판별된다.[도9(a)를 참조한다] 단계(1002)에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1003)으로 진행하고,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 PRG가 시스템의 시스템 제어 장치(15) 내에 설정된다.
단계(1002)에서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1004)로 진행한다. 여기서, 시스템은, 시스템의 시스템 제어 장치(15) 내에 설정된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도3, 5, 및 7에 도시된 흐름도로 표시된 프로그램들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일련의 동작이 종료한 후에, 프로세스는 이 동작 흐름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단계(1005)에서, 상기 설정된 정보 기록 매체(11)이 프로세스를 종료시키기 위해 배출된다.
제4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해,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은 정보 기록 매체(11) 내에 기록되어야만 한다. 도9(A)-9(c)에는 정보 기록 매체(11)의 화상 기록 매체 포맷이 도시되어 있다.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은 PRG라는 명칭의 파일 영역에 기록된다.
제4 실시예에서, 상기 명칭을 갖는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이 정보 기록 매체 내에 저장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이 유형이 포맷에 대응한다면, 프로그램의 유형[예를 들어, 도3, 5, 및 7에 도시된 프로그램들 중 하나]와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포맷의 유형[예를 들어, 도1(a)-1(c), 4(a) 및 4(b), 6(a) 및 6(c), 및 8(a)-8(c)에 도시된 포맷들 중 하나]이 프로그램의 명칭에 따라 판별된다. 본 발명에서는, 정보 기록 매체(11) 내에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화상 재생 시스템과 장치에 프로그램을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만일, 상술한 파일이 선정된 위치 내에 존재하고, 이 위치가 본 발명의 화상 재생 시스템 및 장치 내에 설정된다면, 이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에 액세스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4 실시예의 방법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으로의 직접 액세스.
제4 실시예에서,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이 정보 기록 매체 내에 저장될 때, 우선 화상 재생 시스템의 시스템 제어 장치의 메모리 등에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함으로써, 화상 출력 제어가 수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정보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직접 액세싱하여 화상 출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화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1에는 이와 같은 경우의 동작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의 동작은, 정보 기록 매체 내에 저장된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직접 액세싱한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도10에 도시된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1103)에서,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출력 제어가 수행된다. 만일, 단계(1002)에서 판별 결과에 따라 프로그램이 매체 내에 저장되지 않는다면, 프로세스는 단계(1104)로 진행하고, 여기서, 출력 제어는 장치 내에 저장된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복수 슬롯의 제공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5 실시예에서, 정보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슬롯들이 데이터 판독 장치 내에 제공된다. 슬롯들 중 하나는 화상 데이터, 및 제1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재생 여부를 명령하기 위한 정보-재생 명령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 매체를 위한 것이다. 다른 슬롯은 본 발명의 화상 재생 시스템의 화상 출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를 위한 것이다.
도 12에는 제5 실시예의 동작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동작 프로그램은 화상 재생 시스템의 RAM, 하드 디스크등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전원을 턴온함으로써 화상 재생 시스템이 개시될 때, 동작 흐름이 판독되어 실행된다.
우선, 단계(1200)에서, 정보 기록 매체(11)이 슬롯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단계(1200)에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1201)로 진행한다. 여기서, 정보 기록 매체(11)이 데이터 판독 장치의 프로그램을 위한 슬롯 내에 설정되었는지가 판별된다. 만일, 단계(1201)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1202)로 진행한다. 여기서,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이 정보 기록 매체(11)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만일, 단계(1202)에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1203)로 진행하고, 여기서, 화상 재생 시스템이 정보 기록 매체(11) 내에 저장된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어 화상 출력을 실행한다. 만일, 단계(1201 또는 1202)에서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면, 화상 데이터를 위한 정보 기록 매체만이 화상 데이터를 위한 다른 슬롯 상에 설정되거나, 화상 데이터를 위한 매체가 프로그램을 위한 슬롯 내에 잘못 설정된 것으로 판별될 수 있고, 프로세스는 단계(1204)로 진행한다. 여기서, 화상 출력을 실행하기 위해 앞서 시스템 내에 저장된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화상 재생 시스템이 제어된다. 그 다음,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프로그램을 위한 매체와 화상 데이터를 위한 매체 모두가 대응하는 슬롯 내에 장착되고, 물론 화상 재생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화상 데이터를 위한 상기 설정된 매체 내에 저장된 화상-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화상 재생 시스템의 예
다음으로, 임의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화상 재생 시스템의 프린터의 구조에 관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임의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레이저-빔 프린터와 잉크젯 프린터의 구성이 각각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의 임의의 하나가 적용되는 프린터는 레이저-빔 프린터나 잉크-젯 프린터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다른 적절한 프린터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제1 기록 장치, 예를 들어, 레이저-빔 프린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에서, LBP(프린터)의 메인 몸체(1500)는 프린터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프린팅 정보(문자 코드 등), 폼 정보, 매크로 명령 등을 수신 및 저장하고, 정보에 따라 문자 패턴이나 폼 패턴을 형성하며, 기록 매체로 사용되는 기록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프린터 제어 장치(1000)는 LBP 메인 몸체(1500)을 완전히 제어하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문자 정보 등을 해석한다. 프린터 제어 장치(1000)는 주로 대응하는 문자 패턴을 나타내는 비디오 신호로 문자 정보를 변환하며, 레이저 드라이버(1502)에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레이저 드라이버(1502)는 반도체 레이저(1503)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이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1503)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빔(1504)의 온-오프를 수행한다. 레이저 빔(1504)는 다각형 거울을 회전시킴으로써 도14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정전 드럼(1506)을 스캐닝 및 노출시킨다. 그렇게 하여 문자 패턴의 정전적 잠상이 정전 드럼(1506) 상에 형성된다. 정전 드럼(1506) 주위에 배치된 현상 장치(1507)에 의해 정전 잠상이 현상되고, 현상된 화상은 기록 용지 상으로 이송된다. 기록 용지로서 낱장이 사용된다. LBP 메인 몸체(1500)에 장착된 용지 카세트(1508)에는 낱장의 기록 용지들이 들어 있으며, 이들은 용지 공급 롤러(1509)와 이송 롤러(1510 및 1511)에 의해 프린터로 전송됨으로써 정전 드럼(1506)으로 제공된다. 동일한 구성에 따라 컬러 화상도 역시 얻어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제2 기록 장치, 예를 들어, 잉크-젯 기록 장치(IJRA)의 구성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서, 구동력 전달 기어(5011 및 5009)를 통해 구동 모터(5013)의 순방향/역방향 회전과 링크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5005)의 나선홈(5004)와 맞물려 있는 운반대(HC)는 핀(도시되지않음)을 가지고 있으며, 가이드 레일(5003)을 통해 화살표 방향(a 및 b)으로 왕복 운동한다. 잉크 탱크(IT)와 잉크-젯헤드(IJH)를 포함하는 잉크-젯 카트리지(IJC)가 운반대(HC) 상에 장착된다. 용지 누름판(5002)는 운반대 이동 방향을 따라 판(5000)을 마주보며 용지를 누른다. 헤드는 컬러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구동은 특정한 방법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압전 방법, 공기 흐름 방법, 승화(sublimation) 방법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광결합기(5007, 5008)는 이 영역 내에 운반대 레버(5006)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원위치(home-position) 검출 수단으로서 동작하며, 예를 들어, 구동 모터(5013)의 회전 방향의 스위칭을 수행한다. 참조 번호(5016)은 기록 헤드의 전체 표면을 덮기 위한 캡 부재(cap member, 5022)를 동작시키는 부재를 나타낸다. 참조 번호(5015)는 캡 내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수단을 나타낸다. 흡입 수단(5015)는 캡 내에 제공되는 개구(5023)을 통한 기록 헤드의 흡입 회복을 수행한다. 소제날(cleaning blade, 5017)은 부재(5019)에 의해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메인-몸체 지지판(5018)은 소제날(5017)과 부재(5019)를 지지한다. 흡입 회복의 흡입을 개시하기 위한 레버(5012)는 운반대와 맞물리는 캠(502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다. 구동 모터(5013)으로부터의 구동력은 클러치 스위칭 등과 같은 공지된 전송 수단에 의한 이동 제어를 받는다.
이들 각각의 캐핑, 소제 및 흡입 회복에 대해, 원하는 처리는, 운반대가 원위치측 영역에 도달할 때 리드 스크류(5005)의 기능에 의해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알려진 타이밍에서 바람직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제6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이 더욱 개선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설명이 주어질 것이다.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방법, 및 화상 재생 시스템 및 장치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6 실시예의 특징은, 장치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과, 표시 수단이 표시된 화상이 재생될 화상인지, 또는 재생될 모든 화상이 장치에 의해 출력가능한 화상의 매수에 기초한 출력이 될 수 있는지ㄹ르 나타내는 마크, 또는 요약을 표시하는 것이다.
도 1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방법을 실행하는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 10)을 도시한다. 이 화상 재생 장치(시스템, 10)는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들로부터 원하는 화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선택하며, 선택된 화상 데이터에 의해 표시된 화상의 재생 출력(프린팅)을 수행한다. 제5 실시예에서, CF가 정보 기록 매체(11)로서 사용된다. 정보 기록 매체(11)는 CF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 10)은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및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버스(16)에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장치(12),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각각의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 장치(15), 시스템 제어 장치(15)의 제어하에 데이터 판독 장치(12)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버스(16)에 출력하며, 재생 출력을 수행하고 재생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화상 데이터를 재생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화상 재생 처리 장치, 재생 출력(프린팅)을 수행하기 위해 재생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화상 재생 장치(13),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액세싱하여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170), 및 데이터 처리 장치(170)의 결과에 따라 재생될 화상의 요약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표시 장치(180)를 포함한다. 제6 실시예에서, 썸네일 화상이 데이터 표시 장치(180) 상에 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표시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화상 파일의 명칭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7(a)-17(c)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 내의 화상을 파일링하는 포맷을 도시한다.
제6 실시예에서, 정보 기록 매체는 4개의 독립된 영역, 즉, 예약 영역, 파일 할당 테이블 영역, 루트 디렉토리 영역, 및 파일 영역으로 구획된다. 예약 영역에는, 루트 디렉토리 내의 엔트리의 매수, 예약 영역의 크기, 및 정보 기록 매체 내의 파일 할당 테이블(FAT)의 크기가 기록된다.
파일 할당 테이블에는, 정보 기록 매체의 파일 영역 내의 정보 기록 매체 공간의 사용 상태가 기록된다. 루트 디렉토리에는,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각각의 파일의 명칭, 크기, 위치 등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디렉토리 엔트리 정보가 기록된다. 파일 영역에는, 실제 화상 데이터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기록된다.
제6 실시예에서, 파일 영역 내에 기록되는 파일로서 최소한 2 종류의 파일이 사용되고 있다. 하나는 기록 내용으로서 화상 데이터 그 자체를 갖는 파일이다. 제6 실시예에서, JPEG 데이터 형식을 갖는 파일이 사용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후부터 이와 같은 파일은 'XXX.JPG'라 부를 것이다. 파일명은 이러한 포맷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 파일들이 분류될 수 있다면, 다른 적절한 형식이 사용될 수 있다.
JPEG 형식에서, 원래의 화상 데이터는 압축되어 저장된다.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원래의 화상 데이터로 되돌리기 위한 정보는 화상 데이터의 일부를 구성하는 헤더 정보로서 기록된다. 헤더 정보는, 예를 들어, 화상의 크기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또 다른 파일은, 기록 내용으로서 파일에 관련된 화상 재생과 추가 정보에 종속되는 화상 데이터 파일을 갖는 파일이다. 제6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파일은 'AUTOPRINT.MRK'라 불린다.
도 18은 'AUTOPRINT.MRK'의 내용예를 도시한다.
<PRE>
CIFF_VERSION = 1.00은 파일의 헤더 정보이다.
화상 재생될 화상 데이터 파일은 다음과 같은 태그(TAG)를 제공하여 나타내어진다.
<IMG SRC = "XXX.JPG">.
화상 재생될 데이터 파일은 괄호 < > 내에 표시되어 있다.
CIFF_PRINT_COUNT = 1은 추가 정보를 나타내는 태그의 예이며, 제6 실시예에서는, 태그 직전에 표시된 화상 재생 데이터 파일의 프린트 매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AUTOPRINT.MRK"의 내용을 검사함으로써, 화상 재생될 화상 데이터파일과 재생될 화상의 전체 매수가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8에 도시된 'AUTOPRINT.MRK'에 관해, 화상 재생될 화상 파일은 'A00.JPG'와 'A03.JPG'이고, 재생될 화상의 전체 매수는 3이다.
이러한 파일은 개인용 컴퓨터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편집된다. 화상이 촬영 동작 중에 재생될지의 여부,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의 재생 필요성을 확인하면서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될 화상에 판독된 데이터를 추가하는 때를 결정함으로써, 이러한 파일이 편집된다.
다음으로, 제6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의 동작에 관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도 19는 제6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동작 흐름으로 표시된 프로그램이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시스템 제어 장치(15)의 RAM, 하드 디스크 등에 설정된다.
화상 재생 시스템(10)이, 예를 들어, 전원을 턴온하여 개시될 때, 동작 흐름이 판독되어 실행된다.
우선, 단계(301)에서, 정보 기록 매체(11)가 데이터 판독 장치(12)에 설정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단계(301)에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02)로 진행한다. 여기서, 재생될 화상이 확인될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결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미리 제공된다. 단계(302)에서의 결정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10)로 진행한다. 만일, 단계(302)에서의 결정 결과가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03)로 진행한다.
우선, 단계(310)로 진행하는 경우는 단계(303)로 진행하는 경우의 설명 후에 설명될 것이다.
단계(310)에서, 데이터 판독 장치(12)는 정보 기록 매체(1) 내에 기록된 파일들로부터 AUTOPRINT.MRK를 판독한다. 판독된 파일의 내용은 데이터 처리 장치(170)로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분석된다. 단계(311)에서, 파일의 끝이 확인된다. 파일의 끝이 확인되지 않을 때, 파일의 내용은 계속 분석되며, 단계(312)에서, TAG" < IMG"가 존재하는지가 결정된다. 단계(312)에서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1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파일의 내용 분석은 파일의 끝을 확인하면서 계속된다. 만일, 단계(312)에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13)로 진행하고, 여기서, 화상 재생될 화상 파일명 "XXX.JPG"가 TAG"<IMG" 이후에 기록된 파일 SRC = "XXX.JPG"의 내용으로부터 판독된다.
단계(314)에서, 화상 재생될 화상 파일에 대응하는 표시될 화상 데이터가 화상 재생될 화상 파일의 판독된 명칭에 기초하여 판독되어, 데이터 표시 장치(180) 상에 표시된다. 제6 실시예에서, 썸네일(thumbnail) 화상으로서 미리 준비된 데이터가 표시될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제6 실시예에서, 표시를 위한 화상 데이터로서 JPEG 데이터가 사용되고, 데이터 표시 장치(180)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CRT를 사용한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 장치(170)는 JPEG 데이터로서 저장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해제하고, 컬러 처리하며, 해상도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하여 RGB 데이터를 얻는 과정을 수행한다.
데이터 표시가 수행되었을 때, 프로세스는 단계(311)로 되돌아가고, 여기서,시스템은 파일의 끝을 확인하면서 AUTOPRINT.MRK 파일의 내용 분석을 계속한다.
파일의 끝이 확인될 때까지, 단계(311, 312, 313, 및 314)의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내용의 분석이 수행된다.
화상 재생될 화상 파일들이 표시 장치(180) 상에 순차적으로 더해져서 표시되고, 화상의 요약이 표시된다. 도 24(a)-24(c)는 이와 같은 표시의 예이다.
파일의 끝이 단계(311)에서 확인되었을 때, 프로세스는 단계(315)로 진행한다. 여기서, 확인된 화상이 표시될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결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제공된다. 단계(315)에서의 결정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03)로 진행한다. 여기서, 화상 재생이 수행된다. 만일, 단계(315)에서의 결정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다음으로, 단계(303)로 진행하여 화상 재생을 수행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된다.
단계(303)에서, 데이터 판독 장치(12)는 정보 기록 매체(11) 내에 기록된 파일들로부터 AUTOPRINT.MRK를 판독한다. 판독된 파일의 내용은 데이터 처리 장치(170)로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분석된다. 단계(304)에서, 파일의 끝이 확인된다. 파일의 끝이 확인되지 않을 때, 파일의 내용은 계속 분석된다. 단계(305)에서, TAG" < IMG"가 존재하는지가 결정된다. 단계(305)에서의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04)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파일의 끝을 확인하면서 파일의 내용 분석이 계속된다.
만일, 단계(305)에서의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06)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화상 재생될 화상 파일 "XXX.JPG"가 TAG"<IMG" 이후에 기록된 SRC = "XXX.JPG" 파일의 내용으로부터 판독된다.
단계(307)에서, 화상 재생될 화상 파일 내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재생될 화상 파일의 판독된 명칭에 기초하여 판독된다. 단계(308)에서, 화상 재생 처리 장치(14)는 화상 재생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화상 재생 출력(프린팅)을 위한 화상 재생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 생성된 화상 재생 출력 데이터는 화상 재생 장치(13)에 의해 재생 출력(프린팅)된다.
제6 실시예에서, JPEG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고, 데이터 재생 장치(13)는 화상 재생 장치로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화상 재생 처리 장치(14)는 JPEG 데이터로서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해제, 컬러 처리, 해상도 변환 처리, 및 하프톤 처리 등을 수행하여 RGB 데이터를 얻는 처리를 수행한다.
화상 재생 출력(프린팅)이 수행될 때, 프로세스는 단계(304)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시스템은 파일의 끝을 확인하면서 AUTOPRINT.MRK의 내용 분석을 계속한다.
파일의 끝이 확인될 때까지, 단계(304, 305, 306, 307, 308, 및 309)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내용의 분석이 수행된다.
파일의 끝이 단계(304)에서 확인되었을 때, 시스템은 그 동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에서,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원하는 화상 데이터가 자동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데이터는 제6 실시예의 화상 파일링 방법에 따라 기록되어, 화상 재생 출력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6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파일링 방법 및 화상 재생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메모 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화상을 할당하지 않고서도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원하는 화상 데이터가 자동으로 재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재생될 화상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기 때문에, 화상 재생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이전에 재생될 화상을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제6 실시예에서, JPEG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및 표시용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었지만, 화상 데이터는 JPEG 데이터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TIFF, PICT등의 형식의 화상 데이터도 역시 사용될 수 있으며, RAW 데이터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그러나, 화상 데이터와 더불어 화상 재생에 관련된 정보를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JPEG 포맷이 아닌 다른 포맷을 갖는 데이터를 사용할 때는,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제6 실시예에 도시된 화상 재생 처리 장치(14)와 데이터 처리 장치(17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변동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특정 형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6 실시예에서, 잉크-젯 프린터가 화상 재생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프린터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나 은-할로겐화막 프린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비록, 데이터 표시 장치로서 CRT가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장치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프린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사용되는 프린터나 소프트카피 표시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6 실시예에 도시된 화상 재생 처리 장치(14)와 데이터 처리 장치(170)에서의 처리를 변경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적절한 화상 재생 장치 및 데이터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재생 시스템에서, 파일 내의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위치 및 크기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의 내용이 선정된 기록 내용과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파일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재생될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가 재생될지의 여부를 명령하기 위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가 파일 내에 기록되는 것만이 필요하다. 기록의 위치, 크기, 내용, 순서에 있어서는 어떠한 제한도 없다.
제7 실시예
상술한 제6 실시예에서,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재생하기 위한 화상 재생 시스템 및 장치 내의 화상을 재생하기 이전에 화상을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 표시 상에 재생되는 화상에 관련된 정보의 요약을 표시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이 제공되었다.
표시될 화상을 확인하기 위해,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대응하는 화상 그 자체, 화상 파일의 명칭, 파일의 개수 등)가 표시될 도 있다. 그리고, 화상이 재생될지의 여부도 그 때에 역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접근법에 관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시스템은 제6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제7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도 20은 제7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동작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제7 실시예의 동작 흐름의 일부는 도 19에 도시된 동작 흐름과 동일하다. 도 19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단계수를 갖는 처리들이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7 실시예는 주로 재생될 화상을 확인하는 동작 흐름에 있어서 제6 실시예와는 다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분의 동작 흐름은 특별히 기술될 것이다. 제7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는 동작 흐름에 관해서는 앞의 설명을 참조한다.
이러한 동작 흐름은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시스템 제어 장치(15)의 RAM, 하드 디스크 등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화상 재생 시스템(10)이 전원을 턴온하여 개시될 때, 동작 흐름이 판독되어 실행된다.
우선, 단계(301)에서, 정보 기록 매체(11)가 데이터 판독 장치(12) 내에 설정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만일, 단계(301)에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02)로 진행하고, 여기서, 재생될 화상이 확인될지가 결정된다. 이러한 결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미리 제공된다. 만일, 단계(302)에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501)로 진행한다. 만일, 단계(302)에서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03)로 진행한다.
단계(303)에서, AUTOPRINT.MRK 파일 내에 기술된 내용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재생된다. 이 동작 흐름은 제6 실시예와 동일하다.
단계(501)로 진행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이 기술될 것이다.
단계(501)에서, 우선 정보 기록 매체 내의 화상 데이터가 판독된다. 그 다음, 단계(502)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170)는 데이터 표시를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그 다음, 단계(503)에서, 화상 데이터가 데이터 표시 장치(180) 상에 표시된다.
제7 실시예에서, JPEG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며, 데이터 표시 장치(180)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CRT를 사용한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 장치(170)는 JPEG 데이터로서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압축 해제, 컬러 처리, 해상도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하여 RGB 데이터를 얻는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단계(504)에서, 데이터 표시 장치(180) 상에 표시되는 파일 명칭이 판독된다.
다음으로, 단계(505)에서, 데이터 판독 장치(12)는 정보 기록 매체(11) 내에 기록된 파일들로부터 AUTOPRINT.MRK를 판독한다. 판독된 파일의 내용은 데이터 처리 장치(170)로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분석된다. 단계(506)에서, 파일의 끝이 확인된다. 파일의 끝이 확인되었을 때, 프로세스는 단계(511)로 진행한다. 단계(511)로부터 시작되는 동작은 이후에 기술될 것이다.
파일의 끝이 확인되지 않을 때, 파일의 내용은 계속 분석되며, 단계(507)에서 TAG"< IMG"가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단계(507)에서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506)으로 되돌아가고, 여기서, 파일의 내용의 분석은 파일의 끝이 확인되는 동안 계속된다. 만일, 단계(507)에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508)로 진행한다. 여기서, 화상 재생 처리될 화상 파일의 명칭 "XXX.JPG"가 TAG"<IMG" 이후에 기록된 파일 SRC = "XXX.JPG">의 내용으로부터 판독된다.
단계(509)에서, 화상 재생될 판독된 화상 파일의 명칭이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 파일의 명칭과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만일, 단계(509)에서의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506)로 복귀한다. 여기서, 파일의 내용의 분석은 파일의 끝을 확인하는 동안 계속된다. 만일, 단계(509)에서의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510)로 진행하고, 여기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화상이 재생 출력(프린팅)될 화상임을 나타내는 재생 마크가 제공된다. 도 24(a)-24(c)에는 제7 실시예의 표시 장치(180) 상의 표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b) 및 24(c)에서, 각각의 프레임의 우측 아래쪽 부분에 도시된 마크 "P"는 대응하는 화상이 재생될 화상임을 가리킨다. 또한, 도 24(a) 및 24(c)의 각각은 요약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 다음, 프로세스는 단계(511)로 진행하고, 여기서, 표시된 화상 변경 버턴이 눌러졌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만일, 단계(511)에서의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512)로 진행하고, 여기서, 그 다음 화상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다. 그 다음, 프로세스는 단계(502)로 진행하고, 여기서, 화상 표시 처리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술한 프로세스들이 동작 흐름에 따라 다시 한번 수행된다.
단계(511)에서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513)로 진행하고, 여기서 표시될 화상 확인 버턴이 눌러졌는지가 판별된다. 만일, 단계(513)에서의 판별 결과가 긍정적이면, 재생될 화상을 확인하는 동작이 종료하고, 프로세스는 단계(315)로 진행한다. 만일, 단계(513)에서의 판별 결과가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51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표시된 화상 변경 버턴이 눌러졌는지가 판별되고, 상술한 프로세스들이 반복된다.
단계(315)에서, 화상의 재생 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결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제공된다. 만일, 단계(315)에서의 결정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03)로 진행한다. 여기서, 화상 재생이 수행된다. 단계(315)에서의 결정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시스템은 동작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단계(303)로 진행하여 화상 재생을 수행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단계(303)에서, 데이터 판독 장치(12)는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파일들로부터 AUTOPRINT.MRK를 판독한다. 판독된 파일의 내용은 순차적으로 데이터 처리 장치(170)로 전송되어 분석된다. 단계(304)에서, 파일의 끝이 확인된다. 파일의 끝이 확인되지 않을 때, 파일의 내용은 계속 분석된다. 그리고, 단계(305)에서, TAG" < IMG"의 존재 여부가 판별된다. 단계(305)에서의 판별의 결과가 부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04)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파일의 내용의 분석은 파일의 끝을 확인하는 동안 계속된다. 단계(305)에서의 판별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프로세스는 단계(306)로 진행하고, 여기서, 화상 재생될 화상 파일의 명칭 "XXX.JPG"가 TAG"<IMG" 이후에 기록된 파일 SRC = "XXX.JPG"의 내용으로부터 판독된다.
단계(307)에서, 화상 재상될 화상 파일 내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재생될 화상 파일의 판독 명칭에 기초하여 판독된다. 단계(308)에서, 화상 재생 처리 장치(14)는 화상 재생 출력(프린팅)을 위한 화상 재생 출력 처리를 수행하여 화상 재생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재생 출력 데이터는 화상 재생 장치(13)에 의해 재생 출력(프린팅)된다.
제7 실시예에서, JPEG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며, 데이터 재생 장치(13)는 화상 재생 장치로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화상 재생 처리 장치(14)는 JPEG 데이터로서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압축해제, 컬러 처리, 해상도 변환 처리, 및 하프톤 처리등을 수행하여 RGB 데이터를 얻는 처리를 수행한다.
화상 재생 출력이 수행되었을 때, 처리는 단계(304)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시스템은 파일의 끝을 확인하면서 AUTOPRINT.MRK 파일의 내용 분석을 계속한다.
파일의 끝이 확인될 때까지, 단계(304, 305, 306, 307, 308, 및 309)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내용의 분석이 수행된다.
단계(304)에서 파일의 끝이 확인되었을 때, 시스템은 동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에서, 원하는 화상 데이터는 제7 실시예의 화상 파일링 방법에 따라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자동으로 선택되고, 화상 재생 출력이 수행된다. 따라서, 제7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파일링 방법 및 화상 재생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원하는 화상 데이터가, 메모 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화상을 할당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재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재생될 화상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기 때문에, 화상 재생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재생될 화상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제7 실시에에서, JPEG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및 표시를 위한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화상 데이터는 JPEG 데이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TIFF, PICT 등의 형식의 데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RAW 데이터도 사용될 수 있다.이 경우에, 그러나, 화상 데이터와 더불어 정보 기록 매체 내의 화상 재생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JPEG이 아닌 다른 데이터 형식을 사용할 때는,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제7 실시예에서 도시된 화상 재생 처리 장치(14)와 데이터 처리 장치(17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되는 데이터의 특정한 유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7 실시예에서, 화상 재생 장치로서 잉크-젯 프린터가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프린터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나 은-할로겐화막 프린터가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표시 장치로서 CRT가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장치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프린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를 사용할 때에도, 사용되는 프린터나 소프트 카피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7 실시예에 도시된 화상 재생 처리 장치(14)와 데이터 처리 장치(170)에서의 처리를 변경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화상 재생 시스템에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위치와 크기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의 내용이 선정된 기록 내용과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판별함으로써, 파일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재생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의 재생 여부를 지시하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가 파일 내에 기록되는 것만이 필요하다. 기록의 위치, 크기, 내용, 순서 등에 있어서는 어떠한 제한도 없다.
<제8 실시예>
재생될 화상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표시될 화상의 요약을 표시하는 방법과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표시하고 관련된 화상이 표시될 화상일 때 그 사실을 가리키는 마크를 화상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방법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재생될 화상을 확인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요약을 표시하고, 관련된 화상 데이터가 재생될 화상을 나타낼 때 요약에 있는 각 화상에 대해 그 사실을 표시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도 24c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상술된 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요약이 표시 유닛 상에 표시된다. 제8 실시예에서, 아주 작은(thumbnail) 화상이 표시된 화상으로서 사용된다. 화상이 표시되려 할 때, 마크 "P"가 아주 작은 화상의 하부 우측부분에 동시에 표시된다. 표시될 화상을 가리키는 방법은 이와 같은 방법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다른 화상에 대한 휴(hue)로부터 재생될 화상의 휴를 변경하는 방법 또는 재생될 화상에 대한 프레임을 제공하는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화상 출력 시스템 및 장치에서 제8 실시예를 실제로 실행하는 절차는 상술된 두 가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절차를 교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그것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9 실시예>
본 발명의 제9 실시예가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로 표현된 화상을 자동으로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서 재생될 화상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화상 재생될 화상 데이터를 지정하기 위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파일이 제공되고, 화상 재생을 수행하기 전에 파일의 내용을 파악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인쇄가능한 화상의 수가 인쇄될 화상의 수보다 적으면 자동 인쇄에서 생긴 동작상의 에러 등에 대한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지금부터 제9 실시예에 따른 이와 같은 처리에 대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도 21은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6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화상 재생 장치(시스템)(60)는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화상 중에서 소정의 화상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화상의 재생 출력(인쇄)을 수행한다. 이 때, 장치(60)는 장치로부터 출력 가능한 인쇄수 및 자동으로 출력될 화상의 수를 점검한다. 만일 출력할 화상의 수가 출력 가능한 인쇄의 매수를 초과하면, 장치(60)는 경고를 표시하여 화상 출력을 중지하고 출력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장치(60)는 상기 실시예의 장치와 대조적으로 시스템 상태 검출 유닛(20)을 제공한다. 제9 실시예의 시스템(장치)(60)에서, 잉크 젯 프린터가 화상 재생 유닛(13)의 화상 재생 디바이스로서 사용된다. 잉크 젯 프린터로부터 공급 가능한 인쇄의 수는 공급될 각 컬러의 전체 잉크량과 인쇄용지의 매수에 기초하여 주어진다. 따라서, 제9 실시예에서, 시스템 상태 유닛(20)은 잉크 젯 프린터의 잉크 탱크의 용량을 시각적으로 모니터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용지의 두께로부터 용지의 수를 모니터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잉크 젯 프린터로부터 출력 가능한 현재의 인쇄 수를 항상 검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또한 레이저 빔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9 실시예에서의 다른 구성 요소들은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다음에, 제9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60)의 동작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 22 및 도 23은 제9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60)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다. 동작 순서는 화상 재생 시스템(60)의 시스템 제어 유닛(15)의 RAM, 하드 디스크 등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전원을 턴온함으로서 화상 재생 시스템(60)이 개시하면, 동작 순서가 판독되어 실행된다.
먼저, 단계(700)에서, 정보 기록 매체(11)가 데이터 판독 유닛(12)에 설정되어 있는지가 판정된다. 만일 단계(700)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01)로 진행하고, 여기서 초기 설정이 수행된다. 즉, 값 0이 전체 인쇄 수를 설정하기 위한 카운터 TPCN에 설정되고, 값 0이 각 화상의 인쇄 수를 설정하기 위한 카운터 PCN에 설정된다. 다음에 프로세스는 단계 702로 진행하고, 여기서 데이터 판독 유닛(12)은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파일들 중에서 AUTOPRINT.MRK 파일을 판독한다. 판독된 파일의 내용은 데이터 처리 유닛(170)으로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분석된다.
단계(703)에서, 파일의 끝이 판정된다. 만일 단계(7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09)로 진행하고, 여기서 카운터 PCN의 값이 카운터 TPCN의 값에 더해진다. 이때 얻어진 카운터 TPCN의 값은 화상 재생 동작(인쇄)의 전체 수이다.
만일 단계(703)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이면, 파일의 내용이 계속 분석되고, 단계 704에서 TAG"<IMG"가 존재하는 지가 판정된다. 만일 단계(704)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07)로 진행하고, 여기서 카운터 PCN에 의해 현재 유지되고 있는 값이 카운터 TPCN의 값에 더해진다. 다음에 프로세스는 단계(708)로 진행하고, 여기서 카운터 PCN의 값이 1로 설정된다. 다음에 프로세스는 단계(703)로 복귀하고, 파일의 내용 분석이 계속된다.
만일 단계(704)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이면, 프로세서는 단계(705)로 진행하고, 여기서 TAG"CIFF_PRINT_COUNT="가 파일의 내용에 존재하는 지가 판정된다. 만일 단계(705)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03)로 복귀하고, 파일 내용의 분석이 계속된다.
만일 단계(705)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CIFF_PRINT_COUNT="X"의 형태로 TAG"CIFF_PRINT_PRINT_COUNT="에 설정된 값 "X"이 카운터 PCN에 설정된다. 다음에 프로세스는 단계(703)로 복귀하고, 파일의 내용 분석이 계속된다.
단계(710)는 단계(709) 이후에 실행된다. 단계(710)에서, 장치(시스템)로부터 출력 가능한 인쇄의 수가 시스템 상태 검출 유닛(20)으로부터 판독된다. 다음에 단계(711)에서, 단계(709)에서 얻어진 카운터 TPCN의 값이 단계(710)에서 판독된 출력 가능한 인쇄보다 같거나 작은지가 판정된다. 만일 단계(711)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24)로 진행하고, 여기서 데이터 표시 유닛(180) 상에 경고 표시가 수행되고, 시스템의 동작이 종료된다. 만일 단계(711)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12)로 진행하고, 여기서 화상 재생 출력(인쇄)이 수행된다.
다음에, 단계(712)로 진행하고 화상 재생을 수행하는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단계(712)에서, 초기 설정이 수행되고, 각각의 화상에 대한 인쇄의 매수를 설정하기 위해 카운터 PCN에 값 0이 설정된다.
다음에, 단계(713)에서, 데이터 판독 유닛(12)은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파일 중에서 AUTOPRINT.MRK를 판독한다. 판독된 파일의 내용은 데이터 처리 유닛(170)에 순차적으로 전송되어 분석된다. 단계(714)에서, 파일의 끝이 확인된다.
파일의 끝이 확인되면, 프로세스는 단계(722)로 진행하고, 여기서 카운터 PCN의 값이 0인 지가 판정된다. 단계(722)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시스템은 그 동작을 종료한다. 만일 단계(722)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23)로 진행하고, 여기서 화상의 PCN 인쇄에 대해 폴더(folder) PFN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파일명에 기록된 파일명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출력되고, 시스템의 동작이 종료된다.
파일의 끝이 확인되지 않으면, 파일의 내용 분석이 계속되고, 단계(715)에서 TAG"IMG"가 존재하는 지가 판정된다.
만일 단계(715)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16)로 진행하고, 여기서 TAG"CIFF_PRINT_COUNT="가 존재하는지가 판정된다. 만일 단계(716)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CIFF_PRINT_COUNT=X 형태로 제시된 값 "X"가 카운터 PCN에 설정된다. 다음에 프로세스는 단계(714)로 복귀하고, 파일의 끝을 확인하면서 파일의 내용 분석이 계속된다. 만일 단계(715)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18)로 진행하고, 여기서 카운터 PCN의 값이 0인지가 판정된다. 만일 단계(718)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20)로 진행한다. 만일 단계(718)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19)로 진행하고, 여기서 화상의 PCN 인쇄에 대해 폴더 PFN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파일명에 기록된 파일명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출력된다. 다음에 프로세스는 단계(720)로 진행한다. 단계(720)에서, TAG"IMG" 직후에 기록된 파일명이 판독되고 폴더 PFN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파일명에 설정된다.
단계(721)에서, 값 1이 카운터 PCN에 설정된다. 다음에 프로세스는 단계(714)로 복귀하고, 파일의 끝을 확인하면서 파일의 내용 분석이 계속된다.
제9 실시예에서, JPEG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고, 데이터 재생 유닛(13)은 잉크 젯 프린터를 화상 재생 디바이스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화상 재생 유닛(14)은 JPEG 데이터로서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defrosting), 컬러 처리, 해상도 변환 처리, 하프톤 처리 등을 함으로써 RGB 데이터를 얻는 처리를 수행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9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에서, 소정의 화상 데이터가, 제9 실시예의 화상 파일링 방법에 따라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자동으로 선택된다. 따라서, 제9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파일링 방법 및 화상 재생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소정의 화상 데이터가 메모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화상을 지정하지 않고 자동으로 재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더욱이, 재생될 화상의 전체 출력수 및 시스템(장치)으로부터 현재 출력 가능한 인쇄의 수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 출력 가능한 인쇄의 매수가 전체 출력 인쇄 매수보다 큰지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경고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화상 재생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전에 화상이 출력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출력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비록 제9 실시예에서 JPEG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었지만, 화상 데이터는 JPEG 데이터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TIFF, PICT 등을 준수하는 데이터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RAW 데이터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화상 데이터와 함께 정보 기록 매체에 화상 재생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JPEG 포맷 이외의 포맷을 갖는 데이터를 사용할 때에는 각 화상 데이터에 따라 제9 실시예에 도시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에 의해 수행된 처리를 바꿀 필요만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의 특정 종류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비록 제9 실시예에서 잉크 젯 프린터가 화상 재생 디바이스로서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프린터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 또는 은-할로겐화막 프린터도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CR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소프트 카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를 이용할 때도 역시 사용되고 있는 프린터 또는 소프트 카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과 시스템 상태 검출 유닛(20) 및 모니터링 수단에서의 처리를 변경할 필요만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적당한 화상 재생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의 경우, 승화 염료는 용지의 형태로 제공된다. 장치에 미리 설정된 인쇄 및 전체 용지 면적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면적을 알고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 얻어진 인쇄의 수를 저장함으로써 지금부터 입수할 수 있는 인쇄의 수를 알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로 표현된 화상을 자동으로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서 재생될 화상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화상 재생될 화상 데이터를 지정하기 위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파일과, 화상 재생을 수행하기 전에 화상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재생될 화상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데이터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될 화상의 요약을 표시하고, 데이터 표시 수단 상에 표시된 화상에 재생될 화상을 가리키는 마크를 부가하고, 출력 가능한 인쇄의 수를 전체 출력 인쇄의 수와 비교하고, 출력 가능한 인쇄의 수가 충분하지 않을 때 경고 표시를 수행하며, 이로 인해 출력 에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절차, 장치 및 구성에 제한되어 있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 영역 내에서 다양한 다른 절차, 알고리즘, 장치 및 구성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의 추가적인 개선점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제10 실시예>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편집 방법이 지금부터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0 실시예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에 존재하지 않을 때의 출력 에러에 그 특징이 있다. 재생될 화상 데이터를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에 제공된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소거될 화상 데이터에 부가될 때,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도 역시 소거된다. 데이터에 어떠한 화상도 존재하지 않을 때, 재생 출력 동작이 스킵(skipped)된다.
도 25는 제10 실시예에서 정보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은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소거될 것인 지, 재생될 것인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명령을 제공하고,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액세스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11)에 데이터를 편집한다.
제10 실시예에서, CF는 정보 기록 매체(11)로서 사용된다. 정보 기록 매체(11)는 CF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정보 기록 매체 데이터 편집 시스템(10)은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구비한 기록된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상기 기록된 데이터를 버스(16)로 출력하거나 또는 정보 기록 매체(11)에 시스템에서의 처리 결과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 매체 액세스 유닛(120), 정보 기록 매체 데이터 편집 시스템(10)의 각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 유닛(15), 및 시스템 제어 유닛(15)의 제어 하에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90)에서 제공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버스(16)를 거쳐 얻어진 화상 데이터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기록 매체 데이터 표시 유닛을 가지며, 화상 교환 명령 정보, 화상 데이터 소거 명령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화상 재생 명령 정보를 얻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90)을 구비한다.
도 17a 내지 도 17c에 도시된 화상 파일의 포맷은 제10 실시예의 화상 파일의 포맷으로서 사용된다. 도 18에 도시된 'AUTOPRINT.MRK'의 기록 내용도 역시 제10 실시예에 사용된다. 제10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파일은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화상 입력 수단, 개인용 컴퓨터, 제10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 데이터 편집 시스템 등에 의해 생성된다.
도 26은 제10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90)의 표시 화면을 도시한다. 도 26에서, 참조번호 41은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유닛을 나타낸다. 표시된 화상의 하부 우측부분에 도시된 마크 "P"는 화상이 재생되려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버튼(42)은 화상을 교환하는데 사용된다. 버튼(42)을 누름으로써, 현재 표시된 화상 직전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화상의 순서에 따라 영역(41)에 표시된다. 버튼(43)은 또한 화상을 교환하는데 사용된다. 버튼(43)을 누름으로써, 현재 표시된 화상 직후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화상의 순서에 따라 영역(41)에 표시된다. 버튼(44)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을 소거하는데 사용된다. 버튼(44)을 누름으로써, 현재 표시된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11)로부터 소거된다. 버튼(45)은 표시된 화상이 재생(인쇄)되려 한다는 것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버튼(45)을 누름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현재 표시된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이 판독 (제10 실시예에서, 이 파일명은 일시적으로 보유된 데이터로서 시스템 제어 유닛(15)에 저장됨)되고, 정보 기록 매체(11)의 AUTOPRINT.MRK 화일에 기록된다. 화상 재생 명령이 이미 제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버튼(45)이 다시 눌려지면, 해당하는 동작은 무시된다. 버튼(46)은 표시된 화상의 화상 재생(인쇄)이 취소되려한다는 것을 명령하는데 사용된다. 버튼(46)을 누름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현재 표시된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이 판독(제10 실시예에서, 현재 표시된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은 일시적으로 보유된 데이터로서 시스템 제어 유닛(15)에 의해 보유됨)되고, 정보 기록 매체(11)의 AUTOPRINT.MRK 파일에 기록된 파일명이 소거된다. 버튼(46)은 화상 재생 명령이 이미 제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만 유효하다. 버튼(46)의 동작은 다른 화상에 대해서는 무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적 동작인 제10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 데이터 편집 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제10 실시예에서, 화상 데이터를 소거하는 명령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닛(190)으로부터 제공되면, 화상 재생이 화상 데이터에 대해 지시될 것인지의 여부가 검색된다. 만일 화상 재생이 지시되면, 화상 재생 명령이 릴리스(released)된다. 즉, 파일명이 AUTOPRINT.MRK 파일에 기술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검색된다. 만일 파일명이 기술되어 있으면, 파일명이 AUTOPRINT.MRK 파일로부터 소거된다.
도 27은 제10 실시예의 정보 기록 매체 데이터 편집 시스템(10)의 상술된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동작 순서로 표현된 프로그램은 정보 기록 매체 데이터 편집 시스템(10)의 시스템 제어 유닛(15)의 RAM, 하드 디스크 등에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을 턴온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 데이터 편집 시스템(10)이 개시되면, 동작 순서가 판독되어 실행된다.
먼저, 단계(501)에서, 소거 버튼이 눌려졌는지가 판정된다. 이 동작은 소거 버튼을 누름으로써 실제로 개시된다. 만일 단계(501)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502)로 진행하고, 여기서 현재 표시된 화상 데이터의 파일명이 판독되고, AUTOPRINT.MRK 파일의 내용이 분석된다. 다음에, 단계(503)에서, 표시된 화상 데이터의 판독 파일명이 AUTOPRINT.MRK 파일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단계(503)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해당하는 파일명이 AUTOPRINT.MRK 파일로부터 소거되고, 표시된 화상의 파일이 정보 기록 매체(11)로부터 소거된다. 만일 단계(503)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이면, 표시된 화상의 파일이 정보 기록 매체(11)로부터 소거되는데, 그 이유는 이 화상이 표시될 화상이 아니고, 화상 데이터가 소거되더라도 화상 재생 출력 동안에 아무런 문제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비록 제10 실시예에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개별적으로 표시되고 화상이 소거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더라도,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법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즉, 화상 데이터가 재생 출력되려 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를 편집하고 화상 데이터를 소거할 때, 화상 데이터의 재생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가 점검된다. 만일 화상 데이터의 재생이 지시되면, 재생 명령 데이터가 릴리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단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또한 화상 데이터의 일람이 표시될 때,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화상을 선택함으로써 소거 동작이 수행될 때, 그리고 정보 기록 매체의 파일이 파일 편집기 등을 이용하여 직접 편집될 때 실행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를 소거하는 명령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에 관련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고,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또한 화상 데이터를 소거할 때 소거된다. 따라서, 재생될 화상 데이터가 화상 재생 동작에 존재하지 않으며, 화상 재생 동작이 오류로 종료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제1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가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모순이 발생할 때 화상 재생 동작이 오류로 종료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상술한 제10 실시예에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소거할 때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점검하고, 소거될 화상 데이터에 대해 화상 재생 명령이 제공될 때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릴리스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제11 실시예에서, 비록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제공되더라도 정보 기록 매체에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무시함으로써 화상 재생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모순이 발생하더라도, 예를 들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제공되지만 실제 화상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고 화상 재생 동작이 항상 실행된다.
도 28은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재생 방법을 실행하는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10)을 도시한다. 이 화상 재생 장치(시스템)(10)는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소정의 화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로 표현된 화상의 재생 출력(인쇄)을 수행한다. 제11 실시예에서, CF가 정보 기록 매체(11)로서 사용된다. 정보 기록 매체(11)는 CF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DVD 등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10)은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를 구비한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버스(16)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유닛(12),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각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 유닛(15), 시스템 제어 유닛(15)의 제어 하에 데이터 판독 유닛(12)에 의해 판독되어 버스(16)로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재생 출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재생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재생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 재생 출력(인쇄)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재생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화상 재생 유닛(13), 상기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액세스함으로써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유닛(170), 및 데이터 처리 유닛(170) 및 시스템 제어 유닛(15)의 결과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표시 유닛(180)을 구비한다.
제11 실시예에서 정보 기록 매체의 화상 파일의 포맷은 제10 실시예에 서술된 파일의 포맷에서와 동일하다. 즉, 그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AUTOPRINT.MRK의 기록 내용을 점검함으로써, 화상 재생될 화상 데이터의 파일이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루트 디렉토리를 점검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파일명이 얻어질 수 있다. 정보 기록 매체의 내용은 개인용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편집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인 제11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장치)(10)의 동작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 29는 제11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다. 동작 순서로 표현된 프로그램은 화상 재생 시스템(10)의 시스템 제어 유닛(15)의 RAM, 하드 디스크 등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전원을 턴온함으로써 화상 재생 시스템(10)이 개시되면, 동작 순서가 판독되어 실행된다.
먼저, 단계 701에서, 정보 기록 매체(11)가 데이터 판독 유닛(12)에 설정되어 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단계 701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 702로 진행하고, 여기서 데이터 판독 유닛(12)은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록된 파일 중에서 AUTOPRINT.MRK 파일을 판독한다. 판독된 파일의 내용은 분석될 데이터 처리 유닛(65)으로 순차적으로 전송된다. 단계 703에서, 파일의 끝이 확인된다. 파일의 끝이 확인되지 않으면, 파일의 내용이 계속 분석되고, 단계 704에서, TAG"<IMG"가 존재하는 지가 판정된다. 만일 단계(704)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03)으로 복귀하고, 여기서 파일의 끝을 확인하면서 파일내용의 분석이 계속된다. 만일 단계(704)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05)로 진행하고, 여기서 화상 재생될 화상 파일명 "XXX.JGP"이 TAG"<IMG"후에 기록된 파일 SRC="XXX.JPG">의 내용으로부터 판독된다.
단계(706)에서, 화상 재생되려 할 화상 파일의 판독명에 대응하는 파일이 정보 기록 매체(11)에 존재하는지가 판정된다. 만일 단계(706)에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07)로 진행하고, 여기서 정보 기록 매체(11)에 기억된 재생될 화상 데이터가 판독된다. 다음에, 단계(708)에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은 화상 재생 유닛(13)에 의해 재생 출력(인쇄)되는 화상 재생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화상 재생 출력(인쇄)을 위한 화상 재생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 만일 단계(706)에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이면, 프로세스는 단계(709)로 진행하고, 여기서 화상 재생될 화상 파일명이 기억 영역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때, 화상 재생 출력 동작이 스킵되고, 시스템의 동작은 단계(703)로 복귀한다.
제11 실시예에서, JPEG 데이터는 표시를 위한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고, 데이터 재생 유닛(180)은 잉크 젯 프린터를 화상 재생 디바이스로서 사용한다. 따라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0)은 JPEG 데이터로서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함으로써 RGB를 달성하는 처리, 컬러 처리, 해상도 변환 처리, 하프톤 처리(halftoning process) 등을 수행한다.
화상 재생 출력(인쇄)이 수행될 때, 프로세스는 단계(703)로 진행하고, 여기서, 시스템은 파일의 끝을 확인하면서 AUTOPRINT.MRK 파일의 내용 분석을 계속한다.
파일의 끝이 확인될 때까지, AUTOPRINT.MRK 파일의 내용 분석이 단계(704, 705, 706, 707, 708 및 709)의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파일의 끝이 단계(703)에서 확인되었으면, 프로세스는 단계(710)로 진행하고, 여기서 시스템은 시스템 표시 유닛(15) 상의 기억 영역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파일명을 미지의 파일로 표시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1 실시예의 화상 재생 시스템에서, 소정의 화상 데이터가, 제11 실시예의 화상 파일링 방법에 따라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자동으로 선택되고, 화상 재생 출력이 수행된다. 따라서, 제11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파일링 방법 및 화상 재생 방법을 실행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소정의 화상 데이터가 메모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화상을 지정하지 않고 자동으로 재생 및 출력될 수 있다.
더욱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제공되더라도 정보 기록 매체에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무시함으로써 화상 재생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모순이 존재하더라도, 예를 들면, 화상 재생 명령이 제공되지만 실제 화상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에러를 발생하지 않고 화상 재생 동작이 항상 실행된다.
비록 제11 실시예에서 JPEG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및 표시용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되더라도, 화상 데이터는 JPEG 데이터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TIFF, PICT 등에 준하는 데이터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RAW 데이터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화상 데이터와 함께 정보 기록 매체에 화상 재생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JPEG 포맷이외의 포맷을 갖는 데이터를 사용할 때에는,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제11 실시예에 도시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 및 데이터 처리 유닛(170)에 의해 수행된 처리를 바꿀 필요만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되고 있는 화상 데이터의 특정 유형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비록 제11 실시예에서 잉크 젯 프린터가 화상 재생 디바이스로서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프린터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승화형(sublimation type) 열 프린터 또는 은-할로겐화막 프린터도 사용될 수 있다. 비록 CRT가 데이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사용되더라도,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디바이스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임의의 프린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에도, 역시, 사용되고 있는 프린터 또는 소프트 카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11 실시예에 도시된 화상 재생 처리 유닛(14) 및 데이터 처리 유닛(170)에서의 처리를 변경할 필요만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적당한 화상 재생 디바이스 및 데이터 표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재생 시스템에서, 파일에 있는 화상 재생 명령의 위치와 크기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데이터의 내용이 기록의 선정된 내용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판정함으로써, 파일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재생되려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가 재생되려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파일에 기록할 필요만이 있다. 기록의 위치, 크기, 내용, 순서 등에 제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제공되어도 정보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무시함으로써 화상 재생 동작이 실행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11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상기 목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다른 적당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록 제11 실시예에서 최종 단계에서 무명의 파일이 표시되지만, 이 단계는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하여 생략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의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화상 재생 시스템에 공급하고 정보 기록 매체를 직접 액세스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허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상 재생 시스템은 서로 다른 다수의 기록 포맷으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해서도 각각의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화상 출력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출력된 화상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포맷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해 요구된 화상 출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화상 포맷 및 이에 대응하는 출력 제어 프로그램이 동일한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제공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포맷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보 기록 매체에 따라 동작 프로그램을 설정할 필요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응용 예>
상술된 포맷중의 하나로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다양한 종류의 인터페이스 중의 하나 또는 인터넷 등을 거쳐 디지털 카메라, 개인용 컴퓨터 등으로부터 전송될 때, 화상의 수신 후의 상황은 출력의 명령이 장치(10)에서 인식될 때, 즉 예를 들어 어카운팅(accounting)이 수행될 때 몇 가지 종류의 증명이 필요하더라도, 상술된 실시예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매체를 설정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장치가 증명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을 인식한 후, 상술된 실시예 중의 어느 하나에서 수행된 제어와 유사한 제어가 상황에 따라 수행된다. 도 30은 이와 같은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의 경우에서와 같이, 정보 기록 매체(11)는 범용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비록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것이지만, 네트웍, IrDA(Infrared Date Association) 인터페이스, 1394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제09-030541 (1997)에 기술됨), 병렬 인터페이스, 직렬 인터페이스 등을 거쳐 얻어진 데이터가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각각의 영역에 존재하는지를 점검함으로써 상술된 포맷에 기초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데이터 수신을 판정할 수 있다. 만일 이와 같은 판정이 도 3에 도시된 단계 300 대신에 수행되고, 다음에 프로세스가 단계 301 및 연속하는 단계로 진행하면, 이와 같은 적용은 상술된 실시예의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가 재생되려는지의 여부를 가리키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파일링 방법을 이용하여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소정의 화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재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등과 같은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수단, 상기 기록된 데이터 중에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수단,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재생용 재생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재생 출력 데이터 생성 처리 수단, 및 상기 재생 출력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을 구비한 화상 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장치의 절차 및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상술된 요지 내에서 장치의 다양한 절차, 알고리즘, 구성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들 중에서 화상을 자동으로 지정함으로써 소정의 화상의 인쇄가 신속하게 얻어질 수 있는 화상 파일링 방법 및 화상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가 재생되려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는 파일 포맷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등과 같은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수단, 상기 기록된 데이터 중에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수단,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재생용 재생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재생 출력 데이터 생성 처리 수단, 및 상기 재생 출력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가 재생되려는지의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고,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판독되고,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고, 재생 출력 데이터 생성 처리가 소정의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수행되는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상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와, 이 화상 데이터의 재생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되고,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기록 데이터 중에서 선택적으로 판독되고,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며, 재생 출력 데이터 생성 처리를 수행하여 원하는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들 중에서 원하는 화상을 자동적으로 특정화함으로써 재생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가 수동 조작할 필요 없이 원하는 화상의 프린트를 즉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향상에 따르면, 재생될 화상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화상 재생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정보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가 삭제되고 비선택 처리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대하여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화상 재생 동작에서의 발생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적으로 화상 재생을 수행할 경우, 자동 화상 재생은 화상 재생 동작의 비정상적인 종료를 방지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와 이 화상 데이터의 재생 유무를 명령하기 위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고,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화상 재생이 명령된 화상을 특정화하고 있으며, 이 특정화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게 하는 메모리 매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모리 매체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각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각 화상 데이터의 명칭에 대하여 제공된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특정 파일 내에 저장된 재생될 화상 데이터를 명령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매체의 장착을 인식하는 기능, 장착의 인식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기능,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화상 생성을 수행하는 생성 기능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매체의 장착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수단, 장착의 인식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화상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의 장착을 판정하는 판정 기능, 매체가 장착되었다는 것이 판정 기능에 의해 판정된 경우 이 매체 내에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 기능, 및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었다는 것이 판별 기능에 의해 판정된 경우 이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이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 기능은 매체 내에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저장되었다는 것이 판정될 경우, 제어 기능은 출력을 제어하여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의해 명령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 기능은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었다는 것이 판별 기능에 의해 판정될 경우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의 장착을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매체가 장착되었다는 것이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경우 이 매체 내에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 수단, 및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었다는 것이 판별 수단에 의해 판정된 경우 이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이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제어 수단은 매체에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이 제어 수단은 출력을 제어하여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의해 명령된 화상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출력되게 한다. 이 장치는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매체 내에 저장되지 않았다는 것이 판별 수단에 의해 판정된 경우 장치 내에 내장된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제어 수단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매체 내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판정의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제어 수단은 출력을 제어하여 장치 내에 내장된 출력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의해 명령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기능과,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출력을 제어하여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판정 기능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 판정 기능은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이 판정 기능은 화상 데이터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 데이터가 저장되었다고 판정될 경우, 제어 기능은 출력을 제어하여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의해 명령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제어 기능은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었다는 것이 판정 기능에 의해 판정될 경우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판정 기능은 매체의 설정,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의 설정, 및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의 설정을 판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과, 판정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출력을 제어하여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판정 기능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 판정 기능은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이 판정 기능은 화상 데이터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 데이터가 저장되었다고 판정될 경우, 제어수단은 출력을 제어하여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의해 명령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제어 수단은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었다는 것이 판별 수단에 의해 판정될 경우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판독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판정 수단은 매체의 설정,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의 설정, 및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의 설정을 판정할 수도 있다.
화상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매체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각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는 각 화상 데이터의 명칭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특정 파일 내에 저장된 재생될 화상 데이터를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화상 출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각 화상 데이터마다 저장될 수 있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각 화상 데이터의 명칭에 제공될 수 있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특정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재생될 화상 데이터를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은 잉크-젯 프린터,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 은-할로겐화막 프린터 등과 같은 하드 카피 출력 장치 중 하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출력은 CR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소프트 카피 출력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매체의 장착을 인식하는 기능, 장착의 인식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기능,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화상 생성을 수행하는 생성 기능을 포함하는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의 장착을 판정하는 판정 기능, 판정 기능에 의하여 매체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매체에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기능; 및 판별 기능에 의하여 화상 출력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출력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매체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기능; 및 판정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화상 출력 프로그램에 따라 출력될 화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지 여부를 명령하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화상 재생이 명령되는 화상을 특정하도록 하고,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화상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화상 데이터 및 상기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기록 매체의 장착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수단; 인식 수단에 의한 기록 매체의 장착의 인식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화상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각 화상 데이터마다 저장될 수 있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각 화상 데이터의 명칭에 제공될 수 있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특정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재생될 화상 데이터를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장치에서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포맷으로 화상 데이터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수신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수단; 인식 수단에 의한 화상 데이터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의 수신의 인식에 기초하여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제어 수단;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화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적으로 필요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출력을 위한 화상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생성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각 화상 데이터마다 저장될 수 있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각 화상 데이터의 명칭에 제공될 수 있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는 특정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재생될 화상 데이터를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 수단은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의 수신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와 화상 출력 명령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수단;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 생성 처리 수단;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표시 수단; 및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 표시 수단은 출력될 화상을 특정하는 데이터의 일람을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표시 수단은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특정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표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명령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와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수단;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 생성 처리 수단;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화상 출력에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표시 수단;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 및 이 장치에 의해 현재 출력 가능한 프린트 수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 표시 수단은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출력 프린트의 총수와, 현재 출력 가능한 프린트 수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얻어진 현재 출력 가능한 프린트 수를 비교하고, 출력될 프린트의 수가 출력 가능한 프린트 수보다 크면 경고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 기록 매체에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와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데이터 판독 수단; 및 기록 데이터 내에 화상 데이터의 소거를 명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정 수단에 의하여 소거 명령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정되면, 소거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 출력 명령 데이터가 소거된다.
이 장치는, 정보 기록 매체의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 편집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지 여부를 명령하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화상 재생이 명령되는 화상을 특정하도록 하고,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화상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화상 데이터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 판독된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출력을 위한 화상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생성 수단; 및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제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정보 기록 매체에 부재할 경우에는, 해당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스킵하기 위한 스킵 수단(skip means)을 포함하는 화상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장치는, 장치의 동작의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 결과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동작이 스킵된 경우에는, 동작 결과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그 결과가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제어 수단; 및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지 여부를 명령하는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가 화상 재생이 명령되는 화상을 특정하도록 제공된 포맷에 기초하여,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입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재생 명령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는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거나 또는 블록에 의해 명령되어 있는 개개의 구성 요소들은 모두 화상 출력 제어 장치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것들로서, 그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또는 최선의 방식에 필수적이지 않다.
이상,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여겨지는 것들에 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와 반대로, 본 발명은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각종 변형 및 등가의 구성들도 포함하고자 의도한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는 그러한 변형과 등가 구성 및 기능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화상 재생 제어 장치에서,
    탈착 가능한(detachable) 메모리를 사용하는 액세스 유닛 - 상기 탈착 가능한 메모리는 복수의 재생 가능 화상들 및 재생 지시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재생 지시 파일은 재생되는 하나 이상의 화상들을 특정하는 하나 이상의 파일 명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일 명들은 순서가 있음 -;
    재생되는 하나 이상의 화상들을 특정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일 명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재생 지시 파일을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재생 지시 파일에 의해 특정되어 재생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을 순서 있게 판독함으로써 재생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의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제어부;
    유저가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의 재생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탈착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화상들에 대응하는 아주 작은(thumbnail)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 상기 디스플레이된 아주 작은 화상들은 적어도 하나의 표시들(indicium)을 포함하여 재생을 위한 상기 재생 지시 파일에 의해 명시된 화상들과 재생을 위한 상기 재생 지시 파일에 의해 명시되지 않은 화상들을 구별함 -,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을 개시하고 상기 유저에 의한 확인 후에 재생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의 재생을 수행하는 동작부 - 상기 확인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아주 작은 화상들 및 적어도 하나의 표시들이 디스플레이됨 -
    를 포함하는 화상 재생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 지시 파일을 상기 탈착 가능한 메모리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재생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재생 지시 파일에 의해 특정되어 재생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재생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재생 지시 파일에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일 명들을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재생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지시 파일은 하나 이상의 재생 지시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지시들은 인쇄 지시인 화상 재생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탈착 가능한 메모리의 부착에 따라 동작되는 화상 재생 제어 장치.
  7. 화상 재생 제어 방법에서,
    탈착 가능한 메모리에 액세스하는 단계 - 상기 탈착 가능한 메모리는 복수의 재생 가능 화상들 및 재생 지시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재생 지시 파일은 재생되는 하나 이상의 화상들을 특정하는 하나 이상의 파일 명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일 명들은 순서가 있음 -;
    재생되는 하나 이상의 화상들을 특정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일 명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재생 지시 파일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재생 지시 파일에 의해 특정되어 재생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을 순서 있게 판독함으로써 재생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의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
    유저가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의 재생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탈착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화상들에 대응하는 아주 작은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 상기 디스플레이된 아주 작은 화상들은 적어도 하나의 표시들을 포함하여 재생을 위한 상기 재생 지시 파일에 의해 명시된 화상들과 재생을 위한 상기 재생 지시 파일에 의해 명시되지 않은 화상들을 구별함 -,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에 의한 확인 후에 재생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의 재생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확인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아주 작은 화상들 및 적어도 하나의 표시들이 디스플레이됨 -
    를 포함하는 화상 재생 제어 방법.
  8. 화상 재생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에서, 상기 방법은,
    탈착 가능한 메모리에 액세스하는 단계 - 상기 탈착 가능한 메모리는 복수의 재생 가능 화상들 및 재생 지시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재생 지시 파일은 재생되는 하나 이상의 화상들을 특정하는 하나 이상의 파일 명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일 명들은 순서가 있음 -;
    재생되는 하나 이상의 화상들을 특정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파일 명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재생 지시 파일을 판독하는 단계;
    상기 재생 지시 파일에 의해 특정되어 재생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을 순서 있게 판독함으로써 재생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의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
    유저가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의 재생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탈착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화상들에 대응하는 아주 작은 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 상기 디스플레이된 아주 작은 화상들은 적어도 하나의 표시들을 포함하여 재생을 위한 상기 재생 지시 파일에 의해 명시된 화상들과 재생을 위한 상기 재생 지시 파일에 의해 명시되지 않은 화상들을 구별함 -,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에 의한 확인 후에 재생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화상들의 재생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재생을 개시하는 단계 - 상기 확인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아주 작은 화상들 및 적어도 하나의 표시들이 디스플레이됨 -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10081616A 1997-04-23 2001-12-20 화상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58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7-00106076 1997-04-23
JP10607697 1997-04-23
JPJP-P-1998-00056620 1998-03-09
JP05662098A JP3554177B2 (ja) 1997-04-23 1998-03-09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記憶媒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478A Division KR100367040B1 (ko) 1997-04-23 1998-04-23 화상출력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8735B1 true KR100458735B1 (ko) 2004-12-03

Family

ID=263975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478A KR100367040B1 (ko) 1997-04-23 1998-04-23 화상출력제어장치
KR1020010081616A KR100458735B1 (ko) 1997-04-23 2001-12-20 화상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478A KR100367040B1 (ko) 1997-04-23 1998-04-23 화상출력제어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7057751B1 (ko)
EP (3) EP0874519B1 (ko)
JP (1) JP3554177B2 (ko)
KR (2) KR100367040B1 (ko)
CN (3) CN101018278B (ko)
CA (1) CA2235567C (ko)
DE (1) DE69825934T2 (ko)
TW (1) TW4588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2089B2 (ja) * 1997-05-26 2006-10-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3554177B2 (ja) * 1997-04-23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記憶媒体
US6801251B1 (en) * 1998-11-18 2004-10-05 Fuji Photo Film Co., Ltd. Digital camera, and image synthesiz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3437485B2 (ja) 1999-04-13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印刷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EP1339213B1 (en) * 1999-06-02 2008-11-26 Eastman Kodak Company Customizing digital image transfer
US7414746B2 (en) 2000-05-23 2008-08-19 Fujifilm Corporation Image data communication method
JP4112187B2 (ja) * 2001-03-01 2008-07-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176640B2 (ja) * 2001-11-16 2008-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媒体、コンテンツ記録・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記録装置
JP3790965B2 (ja) * 2002-03-20 2006-06-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装置
TWI260931B (en) * 2002-04-01 2006-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presentation device and image presentation method
JP4012016B2 (ja) * 2002-08-29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7167268B2 (en) * 2002-10-30 2007-01-2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4343714B2 (ja) 2003-01-31 2009-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
JP4497941B2 (ja) 2003-01-31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7289141B2 (en) 2003-01-31 2007-10-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upply device,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780917B2 (ja) 2004-01-05 2011-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4636931B2 (ja) 2004-05-14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82810B1 (ko) 2005-01-07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메타데이터가 기록된 저장매체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US8842977B2 (en) 2005-01-07 2014-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medium storing metadata for providing enhanced search function
CN101449332B (zh) 2006-04-05 2012-09-26 晟碟以色列有限公司 数字内容操作的系统和方法
JP2008006628A (ja) 2006-06-28 2008-01-17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305487B2 (ja) * 2006-09-28 2009-07-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64091B2 (ja) * 2007-04-13 2012-10-31 株式会社Pfu スキャナ装置、および、画像読取表示方法
JP2009157822A (ja) * 2007-12-27 2009-07-1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4505762B2 (ja) 2007-12-27 2010-07-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方法、印刷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5058852B2 (ja) * 2008-03-10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329993B2 (ja) * 2009-01-21 2013-10-30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プログラム、医用画像診断装置および医用画像処理装置
JP2018185880A (ja) * 2017-04-27 2018-1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JP7361551B2 (ja) * 2019-09-20 202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バイス、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416268B (zh) * 2020-11-24 2023-06-06 鑫精合激光科技发展(北京)有限公司 一种激光打印策略代码显示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1412A (en) * 1982-06-21 1984-11-06 Fields Craig I Interactive videodisc training system with bar code access
JPH04334287A (ja) * 1991-05-10 1992-11-20 Hitachi Ltd 画像の自動検索機能を有するビデオプリンタ装置
US5258880A (en) * 1989-12-15 1993-11-02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connectable with a printer and reproducing recorded information for printer control
JPH07327189A (ja) * 1994-06-01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情報記録テープとその記録・再生装置
US5572499A (en) * 1991-04-10 1996-11-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toring image data in storage medium and/or for reproducing image stored in storage medium
JPH09214868A (ja) * 1996-01-30 1997-08-15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プリント作成方法および写真プリンタ
KR0119115B1 (ko) * 1987-09-14 1997-09-30 오가 노리오 비디오프린팅제어기가 내장된 비디오테이프레코너

Family Cites Families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5777A (en) 1981-05-12 1982-11-16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nic camera with electronic memo
JPS5832236A (ja) * 1981-08-18 1983-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的記録再生装置
US4720707A (en) * 1984-02-24 1988-01-19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DE3511237A1 (de) * 1984-03-29 1985-10-03 Olympus Optical Co., Ltd., Tokio/Tokyo Bildmarkierungsgeraet
JPS6181258U (ko) 1984-10-30 1986-05-29
JPH068473B2 (ja) 1986-03-31 1994-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摺動用部材
JPS62228438A (ja) 1986-03-31 1987-10-07 Toshiba Corp 金属構成体
JPS636672A (ja) 1986-06-27 1988-01-12 Fuji Photo Film Co Ltd 医用画像蓄積再生方法
JPH0620283B2 (ja) * 1987-05-19 1994-03-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デ−タ記録装置
JP2650269B2 (ja) 1987-09-14 1997-09-03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GB2209904B (en) 1987-09-14 1991-10-09 Sony Corp Video tape recorder with a video printing controller
JPS6485475A (en) * 1987-09-28 1989-03-30 Dainippon Screen Mfg Parallel display device for plural pictures in color scanner monitor
JPH0220959A (ja) 1987-12-28 1990-01-24 Minolta Camera Co Ltd 画像データ入出力制御装置
DE68927062T2 (de) * 1988-01-08 1997-01-09 Fuji Photo Film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werten von Farbfilmen
US5251074A (en) * 1989-04-14 1993-10-05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ideo signal print system
US5164831A (en) * 1990-03-15 1992-11-17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still camera providing multi-format storage of full and reduced resolution images
JPH03288926A (ja) * 1990-04-05 1991-12-19 Canon Inc 画像出力装置
DE69115284T2 (de) * 1990-09-19 1996-06-13 Philips Electronics Nv Wiedergabeeinrichtung für digitalisierte Bilder.
US5124798A (en) * 1990-12-10 1992-06-23 Fuji Xerox Co., Ltd. Method of outputting images in a digital copying machine upon the occurrence of an input error
JP3145723B2 (ja) 1991-02-28 2001-03-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美術館・博物館等における所蔵品の検索表示装置
US6369914B1 (en) * 1991-04-03 2002-04-09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received data
US5363203A (en) * 1991-06-27 1994-11-08 Sony Corporation Still picture transmitting system
JP3068664B2 (ja) * 1991-06-27 2000-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該ファクシミリ装置における画像格納方法
JPH0537746A (ja) * 1991-07-31 1993-02-12 Canon Inc 画像記憶装置
JPH05120398A (ja) 1991-10-24 1993-05-18 Hitachi Ltd プレゼンテーシヨン装置
US5806072A (en) * 1991-12-20 1998-09-08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imaging apparatus having hierarchical image data storage structure for computer-compatible image data management
JP3152732B2 (ja) * 1992-03-31 2001-04-03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記憶装置
US5339137A (en) 1992-09-17 1994-08-16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3450382B2 (ja) * 1992-09-24 2003-09-22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
US5367341A (en) * 1992-10-20 1994-11-22 Canon Information Systems, Inc. Digital video editor having lost video frame protection
US5541644A (en) * 1993-01-11 1996-07-3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reproducing apparatus
JPH06262818A (ja) * 1993-03-11 1994-09-20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
JPH06334794A (ja) * 1993-05-18 1994-12-02 Sony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とそのデータ記憶・再生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処理装置
JPH0738693A (ja) * 1993-06-25 1995-02-07 Sharp Corp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28850A (ja) 1993-07-12 1995-01-31 Sony Corp デジタル画像データ出力装置
US5523915A (en) * 1993-08-03 1996-06-04 Casio Computer Co., Ltd. Data storage system
US5619623A (en) * 1993-09-21 1997-04-0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print data used for printer
US5596564A (en) * 1993-10-08 1997-0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JP3017002B2 (ja) * 1993-12-03 2000-03-06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形成装置
JP3367062B2 (ja) * 1994-01-10 2003-01-1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リントの注文装置
JPH07261279A (ja) 1994-02-25 1995-10-13 Eastman Kodak Co 写真画像の選択システム及び方法
US5970205A (en) * 1994-04-06 1999-10-1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variable speed reproduction of compressed video data
US6243171B1 (en) * 1994-07-29 2001-06-05 Fuji Photo Film Co., Ltd. Laboratory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ilm image management method, image data copying system and method of copying image data
US5901278A (en) * 1994-08-18 1999-05-04 Konica Corporation Image recording apparatus with a memory means to store image data
DE69525115T2 (de) * 1994-08-22 2002-09-05 Nikon Corp Bildlesevorrichtung und -verfahren
US6094217A (en) * 1994-10-27 2000-07-25 Fuji Photo Film Co., Ltd. Automatic regenerating method for film image
US6181837B1 (en) * 1994-11-18 2001-01-30 The Chase Manhattan Bank, N.A. Electronic check image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H08214248A (ja) 1995-01-31 1996-08-20 Asahi Optical Co Ltd スチルビデオカメラ
JPH08204965A (ja) * 1995-01-31 1996-08-09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ファクシミリ装置
DE69623207T2 (de) * 1995-02-28 2003-05-08 Sony Corp Vorrichtung zum drucken von bilddat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bilddaten
US5517250A (en) * 1995-02-28 1996-05-1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f Delaware Acquisition of desired data from a packetized data stream and synchronization thereto
FR2731861B1 (fr) * 1995-03-13 1997-05-16 Thomson Broadcast Systems Procede et dispositif de synchronisation d'un signal video numerique
JPH08321909A (ja) 1995-05-24 1996-12-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997490A (ja) 1995-07-21 1997-04-08 Sony Corp カメラ記録装置、カメラ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US5999697A (en) * 1995-07-21 1999-12-07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till images
JPH0943736A (ja) * 1995-07-28 1997-02-14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デックスプリント作成方法及びインデックスプリント作成装置
US5784149A (en) * 1995-09-21 1998-07-21 Fuji Photo Film Co., Ltd. Fil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3719537B2 (ja) 1995-09-26 2005-1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複写機
US6111659A (en) * 1995-09-26 2000-08-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copier with image scanner apparatus and offline image data and control data interface
US5898824A (en) * 1995-11-10 1999-04-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acsimile machin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PC
JP3652756B2 (ja) * 1995-11-17 2005-05-2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H09149221A (ja) * 1995-11-27 1997-06-06 Mutoh Ind Ltd 画像出力方法及び装置
KR0185932B1 (ko) * 1995-12-11 1999-04-15 김광호 고속재생을 위한 비디오데이타 복호방법 및 그 장치
US5633678A (en) 1995-12-20 1997-05-27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still camera for capturing and categorizing images
US7124359B2 (en) * 1996-01-11 2006-10-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edit device adapted to rapidly lay-out photographs into templates with means for preview and correction by user
JP3700884B2 (ja) * 1996-01-31 2005-09-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イルム画像再生方法及び装置
JPH09212529A (ja) * 1996-02-01 1997-08-15 Seiko Epson Corp 携帯用情報収集装置およびその情報収集方法
JP3747108B2 (ja) * 1996-02-02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538764B2 (en) * 1996-04-12 2003-03-2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for use in such a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US6249316B1 (en) * 1996-08-23 2001-06-19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temporary group of images on a digital camera
US20010033732A1 (en) * 1996-09-20 2001-10-25 Masahiro Juen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for reproducing multiple image files
US6177956B1 (en) * 1996-10-23 2001-01-23 Flashpoint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correlating processing data and image data within a digital camera device
US6342900B1 (en) * 1996-12-06 2002-01-29 Nikon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6147703A (en) * 1996-12-19 2000-11-14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camera with image review
US6985248B2 (en) * 1997-11-24 2006-01-10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digital images using a print utilization file
US6573927B2 (en) * 1997-02-20 2003-06-03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still camera for capturing digital image and creating a print order
JPH10334212A (ja) 1997-04-01 1998-12-18 Fuji Photo Film Co Ltd 付加情報付き画像ファイルからの画像プリントシステム
JP3554177B2 (ja) * 1997-04-23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記憶媒体
JPH10341411A (ja) * 1997-06-09 1998-12-22 Sony Corp カメラ装置
EP1441500B1 (en) * 1997-09-03 2010-11-10 Panasonic Corporation Digital imaging system
JPH11136477A (ja) * 1997-10-24 1999-05-21 Minolta Co Ltd デジタル複写装置、画像入出力装置、及び、印刷装置
US6867879B1 (en) * 1998-02-16 2005-03-1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 control method of printer,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control program of printer
US7184081B1 (en) * 1998-09-04 2007-02-27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prevents a panoramic image or sequence of consecutive images from being partially lost due to accidental erasure thereof
JP4456206B2 (ja) * 1999-05-25 2010-04-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表示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1412A (en) * 1982-06-21 1984-11-06 Fields Craig I Interactive videodisc training system with bar code access
KR0119115B1 (ko) * 1987-09-14 1997-09-30 오가 노리오 비디오프린팅제어기가 내장된 비디오테이프레코너
US5258880A (en) * 1989-12-15 1993-11-02 Canon Kabushiki Kaisha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connectable with a printer and reproducing recorded information for printer control
US5572499A (en) * 1991-04-10 1996-11-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toring image data in storage medium and/or for reproducing image stored in storage medium
JPH04334287A (ja) * 1991-05-10 1992-11-20 Hitachi Ltd 画像の自動検索機能を有するビデオプリンタ装置
JPH07327189A (ja) * 1994-06-01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情報記録テープとその記録・再生装置
JPH09214868A (ja) * 1996-01-30 1997-08-15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プリント作成方法および写真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4519A2 (en) 1998-10-28
KR19980081653A (ko) 1998-11-25
CN1331342C (zh) 2007-08-08
DE69825934T2 (de) 2005-09-08
KR100367040B1 (ko) 2003-02-19
JP3554177B2 (ja) 2004-08-18
CN101018278A (zh) 2007-08-15
TW458899B (en) 2001-10-11
US8472067B2 (en) 2013-06-25
JPH117701A (ja) 1999-01-12
CN1607807A (zh) 2005-04-20
DE69825934D1 (de) 2004-10-07
US7057751B1 (en) 2006-06-06
EP0874519A3 (en) 2000-08-02
US20050162695A1 (en) 2005-07-28
EP1455521A2 (en) 2004-09-08
EP1229723A3 (en) 2003-05-28
US20020060810A1 (en) 2002-05-23
EP1455521A3 (en) 2004-11-03
EP1229723A2 (en) 2002-08-07
US8274676B2 (en) 2012-09-25
CA2235567C (en) 2009-10-20
CN1199908A (zh) 1998-11-25
US7218422B2 (en) 2007-05-15
US20070146792A1 (en) 2007-06-28
EP0874519B1 (en) 2004-09-01
CN101018278B (zh) 2012-07-25
CA2235567A1 (en) 199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735B1 (ko) 화상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6823092B1 (en) Image data registering apparatus and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US7999960B2 (en) Printing system,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4774806B2 (ja) ファイル検索装置、印刷装置、ファイル検索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793009B2 (en) Printer and peripheral apparatus of a computer for printing and storing images
JP4692041B2 (ja)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3841046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6163500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印刷装置、選択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372830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JP4154383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記憶媒体
JP4424228B2 (ja)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154412B2 (ja) プリンタ及びプリント制御方法
JP2006330996A (ja) ファイル検索装置、印刷装置、ファイル検索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3912952B2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471756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6251430A (ja) 表示処理装置、印刷装置、表示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1154825A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