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269B1 - 현상제 용기,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프로세스 카트리지,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용기,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프로세스 카트리지,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269B1
KR100374269B1 KR10-2001-0018458A KR20010018458A KR100374269B1 KR 100374269 B1 KR100374269 B1 KR 100374269B1 KR 20010018458 A KR20010018458 A KR 20010018458A KR 100374269 B1 KR100374269 B1 KR 100374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capacitance
detecting
amoun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850A (ko
Inventor
아베다이스께
쯔다다다유끼
쨔다니가즈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03G15/08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the level being measured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는 (a) 전극들 사이에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일 평면 상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입력측 및 출력측 전극을 갖는 전극 부재이고, 현상제와 접촉하는 측정측 전극과 현상제와 접촉하지 않는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검지 부재와, (b) 상기 제1 검지 부재의 검지 영역에 부착한 어떠한 현상제도 제거하기 위한 현상제 제거 부재와, (c) 자체와 현상제 담지 부재 사이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제2 검지 부재를 포함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가 제1 검지 부재에서의 검지 정보를 기초로 현상제 용기의 사용 개시에서부터 어느 정도까지의 현상제량을 우선 검지한 다음, 제2 검지 부재에서의 검지 정보를 기초로 현상제량을 검지한다.

Description

현상제 용기,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EVELOPER CONTAINER, DEVELOPER AMOUNT DETECTING SYSTEM,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장치,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및 현상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전자사진 복사기, (LED 프린터 및 레이저 비임 프린터 등의) 전자사진 프린터, 및 전자사진 팩시밀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형태로 일체식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구비한 세정 수단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되거나, 또는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카트리지의 형태로 일체식 유닛을 구성하기 위해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구비한 적어도 현상 수단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종래에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을 이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널리 적용되며,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상기 부재 상에서 작동하는 프로세스 수단은 카트리지의 형태로 일체식 유닛으로 결합되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카트리지- 형태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는 본인이 직접 카트리지를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러한 형태의 일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현상기의 소모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종래의 현상제량 검지 장치에 있어서, 현상 수단의 현상제 용기 내에 두 개의 전극 바아가 제공되며, 두 개의 전극 바아 사이의 용량의 변동이 검지되어, 용기 내에 임의의 현상제가 있는지를 검지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5-100571호는 두 개의 전극 바아 대신에 소정의 간극에서 동일한 평면 내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돌출부 및 요부 형태로 서로 맞물려진 두 개의 평행 전극을 갖는 현상제 검지 전극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량 검지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현상제 검지 전극 부재는 현상제 용기의 저표면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평행 형태로 배열된 평행한 전극 사이의 용량의 변동이 검지되어 용기 내에 얼마간의 현상제가 존재하는지를 검지한다.
현상제 용기 내에 현상제의 잔류량을 연속적으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면,사용자는 편리하게 현상제가 소모된 정도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의 잔류량을 연속적으로 검지할 수 있는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 정밀도로 현상제의 잔류량을 연속적으로 검지할 수 있는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제의 잔류량을 안정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검지할 수 있는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제의 잔류량을 저 비용으로 연속적으로 검지할 수 있는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가 소모됨에 따라 안정된 검지를 얻고 고 정밀도로 그 잔류량을 측정하도록 저비용 및 고정밀도를 갖는 현상제의 잔류량을 계속해서 검지할 수 있는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a) 현상제와 접촉하는 측정면 전극 및 현상제와 접촉하지 않는 기준 전극을 가지며 소정의 간극에서 동일한 평면내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전극 사이의 용량을 검지하도록 되어있는 입력측 및 출력측 전극을 갖는 전극 부재인 제1 검지 부재,
(b) 제1 검지 부재의 검지 영역에 부착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현상제 제거 부재, 및
(c) 도전성 부재로 구성되며 도전성 부재와 현상제 베어링 부재 사이의 용량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2 검지 부재를 포함하며,
제1 검지 부재는 현상제 용기의 이용 개시부터 현상제량을 부분적으로 검지하며, 제2 검지 부재는 현상제량을 검지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또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은 첨부된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지한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메모리 유닛의 배열을 도시한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5a,도5b, 도5c, 및 도5d는 현상제가 어떻게 소모되는 지를 도시한 현상제 용기들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량 검지 장치 내의 현상제량과 용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7은 본 발명의 제1 검지 부재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 검지 부재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1 검지 부재의 전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용기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와이핑 부재가 작동하는 방식을 도시한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2 검지 부재를 도시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2 검지 부재가 배열된 곳을 나타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아래로부터 도시한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 시스템 블록선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1 현상제량 검지 장치의 내부 회로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2 현상제량 검지 장치의 내부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프로세스 카트리지
B : 레이저 비임 프린터
C : 세정 용기
D : 현상 용기
E : 현상제 용기
T : 현상제
S : 기록 용지
1 : 감광 드럼
2 : 충전 수단
3 : 현상 롤러
4 : 레이저 스캐너
5 : 전사 수단
7 : 고정 수단
8 : 세정 수단
9 : 배출 트레이
50 : 엔진 제어기
51 : 고압 전원
52 : 구동부
53 : 센서 그룹
55A, 55B : 제1 및 제2 현상제량 검지 장치
56 : 메모리 제어 회로
100 : 기억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 장치,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및 현상제 용기는 지금부터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제1 실시예>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에 대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지금부터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먼저,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A)가부착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가 기술되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에 의해 기록 용지, OHP 용지, 또는 천 등의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레이저 비임 프린터(B)로 구성된다.
도2를 참고로 이하 상세히 기술되어질 프로세스 카트리지(A)는 드럼 형상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 즉, 감광 드럼(1),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충전하기 위한 충전 수단(2), 현상 수단으로 제공되며 감광 드럼(1)에 마주하는 롤러 형상의 현상제 베어링 부재 즉, 현상 롤러(3), 현상 롤러(3)에 연결되고 폴리스티렌 등의 수지로 형성된 현상 용기(D),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제 함유 부분으로 제공되는 현상제 용기(E), 및 세정 수단(8)을 갖는 세정 용기(C)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결합함으로써 일체형 유닛으로 형성된다.
화상 형성 장치로 제공되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B)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A) 위에 화상 정보에 따라 레이저 비임을 적용하기 위해 레이저 스캐너(4)가 배열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A) 아래에, 감광 드럼(1)에 마주하는 전사 수단(5)이 배열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감광성 드럼(1)은 충전 수단(2)에 의해 균일하게 충전되고, 그 표면은 레이저 스캐너(4)로부터 적용된 레이저 비임에 의해 스캐닝되고 노출되며, 이로써 대상 화상 정보의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롤러(3)의 작동에 의해, 현상 용기(D) 내의 어떠한 현상제(T)는 정전잠상에 부착되고, 이로써 가시화된다. 본실시예에서, 사용된 현상제는 절연 자기 단성분 현상제(토너)이다. 현상제는 위에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떠한 현상제도 그것이 자기 현상제 또는 절연 자기 현상제인 한 사용된다.
감광성 드럼(1)의 화상은 전달 수단(5)에 의해 공급 카세트(6)로부터 공급되고 이송된 기록 용지(S)에 전달된다. 기록 용지(S)는 고정 수단(7)을 통하여 통과되고, 이로써 화상은 기록 용지(S)에 고정되며, 본체 외부의 배출 트레이(9) 상으로 배출된다. 현상제 화상이 기록 용지(S)로 전달된 후, 감광성 드럼(1)에 남아 있는 현상제(T)는 세정 수단(8)에 의해 제거되고 세정 용기(C) 내에 수집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기억 장치(10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A) 내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억 장치(10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측부 표면에 부착된다.
(일반적인 시스템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기구의 시스템 구성은 도14의 시스템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시스템 제어를 행하기 위한 엔진 제어기(50)는 전체 화상 형성 기구 상에 제공되고, 중앙 처리 장치(CPU, 도시 생략)는 엔진 제어기(50) 내부에 배열된다. 일련의 시스템 처리 작동은 중앙 처리 장치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행해진다.
고압 전원(51)은 충전 수단(2)에 공급되도록 하고 그 위에 첨가되는 직류 전압 및 교류 전압으로 구성되는 충전 바이어스, 현상 롤러(3)에 공급되도록 하고 그위에 첨가되는 직류 전압 및 교류 전압으로 구성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달 수단(5)에 공급되어지는 직류 전압인 전달 바이어스 및 고정 수단(7)에 공급되어지는 직류 전압인 고정 바이어스를 발생한다.
또한, 본 실시에의 시스템 구성에는, 기구 내부에 제공된 모터, 솔레노이드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52), 화상 형성 기구 내에 소정의 위치에 제공된 센서 그룹(53),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부(54)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A) 내의 현상제 검지 부재의 용량을 검지하여 이로써 현상제량을 검지하기 위해 적용된 제1 및 제2 현상제량 검지 장치(55A, 55B)가 제공되고, 위에 설명된 부품들은 엔진 제어기(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장착된 기억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하여 메모리 제어 회로(56)는 엔진 제어기(50)에 연결된다.
(기억 장치의 설명)
여기에, 기억 장치(100)가 설명되는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측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기억 장치(100)는 비휘발성 내장형 저장 요소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기구 본체와의 데이터 통신을 행함으로써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하다. 데이터 통신의 제어는 모두 기억 제어 회로(56)에 의해 이루어진다. 데이터 통신은 기억 장치(100) 내에 제공된 안테나와 화상 형성 기구 본체 내에 제공된 안테나 사이의 자기 커플링을 통하는 비접촉 방식으로 이루어지다. 프로세스 카트리지(A)가 레이저 프린터(B)에 장착될 때, 기억 장치(100)의 안테나는 레이저 프린터(B) 내에 제공된 안테나에 근접하게 되고, 이로써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전원 회로는 기억장치(100) 내에 제공되고, 기구에 사용된 모든 직류 전압은 이 전원 회로로부터 공급된다. 전원 회로에서, 두 안테나의 자기 커플링을 통하여 안테나 내에 발생된 전류는 정류되고, 이로써 직류 전압을 발생한다. 기억 장치(100) 내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A)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
도2는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확대사시도이고, 도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단면도이다.
도2에서,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A)는 현상제를 담고 있는 현상제 용기(E), 현상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현상 롤러(3)를 보유하기 위한 현상 용기(D), 감광성 드럼(1)과 세정 수단(8)을 보유하는 세정 용기(C) 및 현상 용기(E)와 세정 용기(C)를 보유하는 측면 커버(10, 11)를 구비하고, 용기들은 카트리지를 형성하도록 함께 연결되어 있다.
도4에서, 현상제 용기(E)는 용량의 증가에 대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수평으로 연장된 구성을 갖고, 현상제 용기(E)의 바닥면은 3개의 리세스를 갖는다. 본체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되는 3개의 반송 부재(12, 13, 14)는 현상제 용기(E)의 리세스와 대응되고, 현상제(T)는 반송 부재(12, 13, 14) 상에 제공된 교반익 부재(12a, 13a, 14a)에 의해 현상 용기(D)로 이송된다.
현상제 용기(E)의 수평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인하여, 현상제(T)의 자체 무게는 경감되고, 이로써 퇴색, 현상제의 악화, 교반 토오크의 증가 등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교반익 부재(12a, 13a, 14a)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과 같은 수지 용지 재료로 형성되고, 현상제(T)를 교반시키고 이송하는데 적용된다. 교반익 부재(12a, 13a, 14a)의 말단부의 회전 반경은 현상제 용기(E) 바닥면의 리세스의 반경보다 크고, 말단부는 현상제 용기(E)의 바닥면을 스치며, 이로써 현상제(T)는 현상제 용기(E)의 바닥면에 어떠한 현상제(T)도 남기지 않고 수평하게 이송된다.
(현상제량 검지 부재의 구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량, 제1 검지 부재(20) 및 제2 검지 부재(21)의 연속적인 검지가 제공된다. 제1 검지 부재(20)는 현상제(T)량이 상대적으로 큰 구역에서 검지를 행하고, 제2 검지 부재(21)는 현상제(T)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구역에서 검지를 행한다.
특히, 제1 검지 부재(20)는 사용 초기 단계로부터 현상제량이 약 50 내지 10 %로 줄어든 상태까지 검지를 행하고, 제2 검지 부재(21)는 현상제량이 약 50 내지 10 %로 줄어든 상태에서 현상제가 남아있지 않는 상태까지 검지를 행한다. 두 제1 검지 부재(20) 및 제2 검지 부재(21)는 모두 용량에 기초한 현상제량을 측정한다.
도5a, 도5b, 도5c, 도5d는 현상제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하고, 도6은 현상제량과 용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검지 부재(20)로부터 제2 검지 부재(21)로의 변환은 현상제량이 약 20 %로 줄어들었을 때 이루어진다. 도5a, 도5b, 도5c, 도5d는 각기 도6의 지점(a, b, c, d)들에 대응한다.
지점(a)에 대응하는 단계에서, 현상제량은 100 %이고, 두 제1 검지 부재(20)및 제2 검지 부재(21)는 모두 현상제(도5a) 내에 파묻힌다. 이때, 제1 검지 부재(20)의 출력은 X2이다.
지점(b)에 대응하는 단계에서, 제1 검지 부재(20)에 대한 검지 구역 내에 있는 현상제 부분의 양은 현상제가 점진적으로 소비됨에 따라 변한다.(도5b) 제1 검지 부재(20)의 표면과 접촉하는 현상제 부분의 영역이 변함에 따라, 검지 부재의 출력이 변한다. 이때, 제1 검지 부재(20)의 출력은 X3이다.
지점(c)에 대응하는 단계에서, 현상제량은 약 20 %로 감소되고, 제2 검지 부재(21)는 작동되기 시작한다.(도5c) 이때, 제2 검지 부재(21)의 출력은 Y2이다.
지점(d)에 대응하는 단계에서, 검지는 현상제량이 0 %가 될 때까지 계속된다.(도5d) 이때, 제2 검지 부재(21)의 출력은 Y1이다. 그러므로, 검지는 초기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A)의 마지막 사용 단계까지 전체 범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제1 검지 부재의 원리 및 구조)
다음으로, 제1 및 제2 검지 부재(20, 21)의 작동 원리가 설명된다. 먼저, 도7은 제1 검지 부재를 도시한다. 도8은 도7의 그것과 반대인 측면으로부터 보여진 제1 검지 부재(20)의 도면이고, 도9는 제1 검지 부재(20)의 개선도이다. 도9에서, 제1 검지 부재(20)는 측정측 출력 전극(22a), 기준측 출력 전극(22c) 및 공통 입력 전극(22b)을 구비한다. 측정측 출력 전극(22a) 및 공통 입력 전극(22b)의 조합은 측정 전극(20a)의 역할을 하고, 기준측 출력 전극(22c) 및 공통 입력 전극(22b)의 조합은 기준 전극(20b)의 역할을 한다.
도7 및 도8에서, 측정 전극(20a)은 그것이 현상제(T)와 접촉하는 현상제 용기(E)의 내측 위치, 예를 들면, 용기의 내측 표면 상의 위치에 배열된다. 쌍으로 구성된 전극(22a, 22b) 사이의 용량 측정에 의해, 전극 표면과 접촉하는 현상제 부분의 영역 변화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현상제 용기(E) 내의 현상제량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현상제(T)의 유전율은 공기의 것보다 크기 때문에, 제1 검지 부재의 표면과 접촉하는 현상제(T) 부분의 영역 변화는 전극(22a, 22b) 사이의 용량 변화를 생기게 한다.
기준 전극(20b)은 기준 전극(20b)이 현상제(T)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현상제 용기(E) 내부에 배열된다. 이는 주위 조건이 변화될 때 측정 전극(20a)의 것과 유사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측정 전극(20a)은 동일한 전극 패턴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측정 전극(20a)의 정전 용량 값에서 기준 전극(20b)의 정전 용량 값을 감함으로써 주위 조건에 기인한 정전 용량의 변화가 없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으므로 검지 정확도에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하게는 제1 검지 부재(20)는, 현상제 용기(E) 내부에 배치되고 절첩되는 가요성 인쇄 기판과 같은, 가요성 기판의 일 측부 상에 측정 전극(20a)과 기준 전극(20b)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검지 부재(20)의 에지 또는 전체 후방면은 접착제로 이중 코팅된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현상제 용기(E) 내에 고정되어 어떠한 현상제도 측정 전극(20a)의 뒤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제1 검지 부재의 배열)
도10은 3개의 반송 부재(12, 13, 14)가 마련된 현상제 용기(E)의 사시도이다. 제1 검지 부재(20)는 현상 롤러(3) 측부로부터 계수되는 제2 반송 부재인 반송 부재(13)가 배열되는 영역 내에 위치되고, 이 영역에 도달하는 현상제(T)가 아래에 설명되는 제2 검지 부재(21)를 위한 작동 영역으로 이송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 제1 검지 부재(20)는 현상제 공급 방향, 즉 용기(E) 내에 담긴 현상제(T)가 현상제 롤러(3)를 향해서 공급되는 방향으로 제2 검지 부재(21)의 상류측 상의 위치에서 현상제 용기(E) 내에 배열된다.
또한, 제1 검지 부재(20)는 현상제 용기(E)의 구동측 측벽 상에 배열되어 반송 부재(13)의 축을 둘러싼다. 제1 현상 부재(20)를 이 위치에 배열함으로써, 연속적인 검지를 실현하는 동시에 제1 검지 부재(20)의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어, 부품 비용면에서 감소를 이룰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검지 부재를 현상 롤러(3)에서부터 떨어져서 이격되게 위치시킴으로써 현상 바이어스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검지 부재(20)는 이의 표면 부근에서 아주 높은 감도를 나타내어서 검지 정확도를 향상시킬 때 검지 부재의 표면의 임의의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표면 와이핑 부재(13b)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렇게 할 때, 현상제 반송 부재(13) 상에 와이핑 부재(13b)를 제공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제1 검지 부재(20)는, 현상제 교반 영역과 일치하는, 와이핑 부재(13b)를 위한 작용 범위 내에 배열된다.
(와이핑 부재의 구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제1 검지 부재(20)를 위한 표면 와이핑 부재(13b)는 현상제 반송 부재(13) 상에 마련된다. 와이핑 부재(13b)는 제1 검지 부재(20)가 마련되는 위치인 반송 부재(13)에만 마련된다.
현상제 반송 부재(13)는 교반 로드 부재(13c), 교반 날개 부재(13a), 교반 날개 유지 부재(13d) 및 와이핑 부재(13b)를 포함한다. 교반 로드 부재(13c)는 현상제 용기(E)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교반 부재(13a)는 교반 로드 부재(13c)에 대해 가압되고 교반 날개 유지 부재(13d)에 의해서 이에 고정된다. 교반 날개 유지 부재(13d)는 금속 박판 또는 수지로 형성되어 열 코오킹, 초음파 용접, 접착 등에 의해서 교반 로드 부재(13c)에 고정된다. 교반 날개 부재(13a)처럼 와이핑 부재(13b)는 교반 날개 유지 부재(13d)에 의해서 위치에 고정된다. 교반 날개 부재(13a)는 폴리에틸렌 테라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페니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와 같은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즉, 제1 검지 부재(20)의 표면의 와이핑에 적합하다면, 어떠한 재료도 와이핑 부재(13b)로 사용될 수 있다.
도11은 현상제가 어느 정도 소비된 상태에서 제1 검지 부재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현상제 표면 위로 부착된 현상제(T')가 존재한다. 부착된 현상제(T')의 존재는 제1 검지 부재(20)의 측정 전극(20a)의 정전 용량에 증가를 가져와, 불일치를 초래한다.
와이핑 부재(13b)에 의해서 제1 측정 전극(20a)을 와이핑함으로써 현상제 표면 위에 있는 부착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검지 정확도에 있어서 향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검지 부재에 의해서 정전 용량을 검지하는 프로세스)
다음으로, 제1 검지 부재(20)를 사용하여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 실시예의 현상제량 검지 장치에서, 제1 정전 용량 발생 부재로써 작용하는 제1 검지 부재(20)는, 제1 검지 부재(20)가 검지되고 도14에 도시된 제1 현상제량 검지 장치(55A)에 접속된다.
도15는 현상제량 검지 장치(55A)의 내부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단자(59)는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이의 접촉부가 노출되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 접촉을 거쳐서 제1 검지 부재(20)의 전극(22b)에 접속되고, 현상제량을 검지하기 위해서 클럭(clock, CLK1)을 출력한다. 클럭(CLK1)은 저항기(62, 63)와 트랜지스터(64)에 의해서 발생된다. 신호(CLKA)는 엔진 제어기(50)로부터의 클럭 출력이고, 50KHZ의 주파수(fc)와 50%의 듀티(duty)를 갖는 장방형파이다. 신호(CLKA)는 트랜지스터(64)에 의해 진폭 Vc로 증폭되어 단자(59)로부터 출력된다.
단자(57)는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이의 접촉부가 노출되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 접촉을 거쳐서 제1 검지 부재(20)의 측정측 출력 전극(22a)에 접속된다. 단자(59)로부터의 클럭 출력이 전극(22b)에 인가될 때, 교류(AC) 전류(I12)는 전극(22a, 22b) 사이의 정전 용량(Ct) 때문에 단자(57)를 통해서 흐른다. 여기서, AC 전류(I12)의 크기는 정전 용량(Ct)의 값에 대응하는 값이다. AC 전류(I12)는 단자(57)의 입력부에 마련된 다이오드(69, 67)에 의해서 정류되고, 정류를 통해서얻은 전류(I13)는 작동 증폭기(72), 저항기(75) 및 커패시터(76)로 형성된 집접 회로의 입력이다. 여기서, 전류(I13)는 전류(I12)의 일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전류(이하, 반파장 전류)이다.
단자(58)는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이의 접촉부가 노출되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 접촉을 통해서 제1 검지 부재(20)의 기준측 출력 전극(22c)에 접속된다. 단자(59)로부터 클럭 출력 때문에, 전극(22b)과 전극(22c) 사이의 정전 용량(Cr)에 대응하는 크기의 전류(I14)는 단자(58)를 통해서 흐른다. 전류(I14)는 단자(57)의 입력부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고정된 다이오드(68, 70)에 의해서 정류되고, 전류(I15)는 집적 회로의 입력이다. 전류(I15)는 전류(I13)의 것에 대향되는 극성의 반파장 전류이다. 집적 회로로의 전류(I13, I15) 입력은 적분되어, 전류(I13)와 전류(I15)의 총합의 평균값에 따르는 DC 전압(Vd1)은 저항기(75)를 가로질러 발생된다. 저항기(75)의 저항값을 Rs1이라 가정하면, 전압(Vd1)은 다음의 방정식에 의해서 대략 계산될 수 있다.
Vd1 = Rs1 ×fc ×Vc ×(Ct - Cr).................................... (1)
기준 전압(Vt1)은 전원(71)에서부터 작동 증폭기(72)의 양극 입력 단자까지의 입력이고, 작동 증폭기(72)의 출력 전압(Vs1)은 다음의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Vs1 = Vt1 - Rs1 ×fc ×Vc ×(Ct - Cr).............................. (2)
상기 방정식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증폭기(72)의 출력 전압(Vs1)은 측정 전극(20a) 측 상의 전극(22a, 22b) 사이의 정전 용량과, 기준 전극(20b) 측 상의 전극(22c, 22b) 사이의 정전 용량 사이의 차이,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A) 내 현상제량에 따른 전압값이다. 작동 증폭기의 출력(Vs1)은 출력 단자(60)로부터의 출력이다.
단자(60)는 엔진 제어기(50) 내 중앙 처리 유닛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자에 접속된다. 현상제량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Vs1)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엔진 제어기(50) 내 미리 저장된 변환표와 비교되어, 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A) 내에서 현상제량(T1)으로 변환된다.
(제2 검지 부재의 구조 및 배열)
도12는 현상제 용기(E)의 단면도이고, 도13은 현상제 용기(E)의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제2 검지 부재(21)는 현상제 용기(E)의 외측에 마련된다. 또한, 덮개 부재(23)는 제2 검지 부재(21)의 외측 상에 마련된다.
제2 검지 부재(21)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고 전체 종방향 범위에 걸쳐서 연장하여, 현상제 용기(E)의 하부 표면의 리세스 내부에 따르는 외부 돌출 형상에 일치하게 된다. 현상 롤러(3) 및 현상제 조절 부재 지지 부재(15)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검지 부재(21), 현상 롤러(3) 및 현상제 조절 부재 지지 부재(15)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측정되어, 현상제량이 검지된다.
제2 검지 부재(21)는 현상제 용기(E) 외부에 있고, 코오킹, 접착 등에 의해서 현상 롤러(3)에 가장 근접한 현상제 용기(E)의 돌출부에 고정된다. 현상제 용기(E) 외부에 제2 검지 부재(21)를 마련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접속된 접촉부로 현상제 용기(E)를 가로지르는 배선에 대한 필요가 없어, 현상제 누설에대한 걱정이 없다.
(제2 검지 부재에 의해서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한 과정)
다음으로, 제2 검지 부재(21)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 실시예의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에서 제2 정전 용량 발생부로서 제2 검지 부재(21)는 도14의 제2 현상제량 검지 장치(55B)에 접속되고, 제2 검지 부재(21), 현상 롤러(3) 및 현상제 조절 부재 지지 부재(15) 사이의 정전 용량 값이 검지된다.
도16은 제2 현상제량 검지 장치(55B)의 내부 회로도이다. 단자(80)는 (도시되지 않은) 전기 접촉부를 통해서 제2 검지 부재(21)에 접속된다. 고전압 전원(51) 내에서 발생되는 현상 AC 바이어스는 현상 롤러(3)에 인가되고, AC 전류(I1)는 제2 검지 부재(21), 현상 롤러(3) 및 현상제 조절 부재 지지 부재(15) 사이의 정전 용량(Cs) 때문에 단자(80)를 통해 흐른다. 여기서, 전류(Ⅰ1)의 크기는 정전 용량값(Cs)에 상응하는 값이다. 전류(Ⅰ1)는 단자(80)의 입력부 내에 구비된 다이오드(86, 88)에 의해 정류되고, 상기 정류를 통해 얻어진 전류(Ⅰ2)는 작동 증폭기(91), 저항기(93) 및 커패시터(94)에 의해 형성된 집적 회로로 입력된다. 여기서, 전류(Ⅰ2)는 전류(Ⅰ1)의 반파장 전류이다.
단자(81)는 고압 전원(51) 내의 현상 바이어스 출력부(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즉, 현상 롤러(3)에서와 동일한 현상 바이어스가 단자(81)에 인가된다. 정전 용량(Ck)의 커패시터(85)는 단자(81)의 입력부에 연결된다. 현상(AC) 바이어스가 인가될 때, 정전 용량(Ck)에 상응하는 크기의 AC 전류(Ⅰ3)가 흐른다.
커패시터(85)는 측정 기준으로써 제공되는 표준 커패시터이고, 그 정전 용량값(Ck)은 프로세스 카트리지(A) 내에 현상제가 없을 때 제2 검지 부재(21), 현상 롤러(3)와 현상제 조절 부재 지지 부재 사이에서의 정전 용량값으로 세팅된다. 전류(I3)는 다이오드(87, 89)를 단자(80)의 입력부에 대향으로 세팅함으로써 정류되고, 전류(Ⅰ4)는 집적 회로에 입력된다. 전류(Ⅰ4)는 전류(Ⅰ2)에서와 반대 자성의 반파장 전류이다. 전류(Ⅰ2)와 집적 회로에 입력되는 전류(Ⅰ4)는 통합되고, 전류(Ⅰ2, Ⅰ4) 전체 합계의 평균값에 상응하는 DC 볼트(Vd2)는 저항기(93)를 가로질러 생성된다. 현상(AC) 바이어스의 주파수 및 크기를 fd 및 VP라 하고, 저항기(93)의 저항값을 Rs2라할 때, Vd2는 다음의 방정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Vd2 = Rs2 ×fd ×Vp ×(Cs - Ck).....................................(3)
소정의 표준 전압(Vt2)은 전원(90)으로부터 작동 증폭기(91)의 양 입력 단자로 입력되고, 작동 증폭기(91)의 출력은 다음의 방정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 특징으로 갖는다.
Vs2 = Vt2 - Rs2 ×fd ×Vp ×(Cs - Ck)...............................(4)
상기 방정식으로 알 수 있듯이, 작동 증폭기의 출력 전압(Vs2)은 제2 검지 부재(21), 현상 롤러(3)와 현상 조절 부재 지지 부재(15) 사이의 정전 용량과 표준 커패시터(85)의 정전 용량 사이의 차이에 상응하는 전압값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A) 내의 현상제량에 상응하는 전압값이다. 작동 증폭기(91)의 출력(Vs2)은 출력 단자(82)로부터 출력된다. 출력 단자(82)는 엔진 제어기(50) 내의 중심 처리 유닛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자에 연결된다.
현상제량에 상응하는 전압 레벨(Vs2)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엔진 제어기(50) 내에 이미 저장된 변화 테이블과 비교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A) 내의 현상제량(T2)으로 변환된다.
제1 검지 부재(20)에 의해 검지된 현상제량(T1)과 제2 검지 부재(21)에 의해 검지된 현상제량(T2)은 엔진 제어기(50) 내에서 서로 비교되고, 현상제량(T1)의 값 또는 현상제량(T2)의 값은 사용자에게 그 값을 알려주기 위한 지시부(54)를 통해 지시된다. 또한, 검지 현상제량의 검지값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메모리 유닛(100) 내에 저장된다. 지시부(54)는 화상 처리 장치 주 본체 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일 수 있거나 또는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 내에 구비된 연통 수단에 의해 연통될 수 있는 개인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서, 제1 검지 부재(20), 제2 검지 부재(21) 및 와이핑 부재(13b)를 구비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용을 개시한 바로 이후부터 현상제를 소비하기 바로 전까지의 전체 영역을 너머 소비될 때 현상제 용기(E) 내의 현상제의 잔류량을 연속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가 프로세스 카트리지(A)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A)에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원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A)로부터 감광성 드럼(1), 충전 수단 및 세정 수단(8)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현상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지어 설명한 현상제 용기(E) 및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은 현상제 담지 부재, 현상제 용기 등을 갖는 현상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고 전자사진 감광성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데 적용되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전체적인 현상제량 영역에서 높은 정밀도로 연속적으로 검지 수행이 가능하여 현상제량과 같은 현상제의 연속적인 검지를 통해 얻어진 검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몇몇 현상제 반송 부재를 구비한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제2 검지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에 가장 인접한 현상제 반송 부재의 작동 영역의 일부가 제2 검지 부재와 현상제 담지 부재 사이에 위치되게 하기 위해 상기 현상제 용기를 따라 연장되도록 정렬되어 제2 검지 부재는 화상 형성이 불가능하기 전, 즉 충분한 량의 현상제가 남아있기 전에 현상제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상제 용기를 따라 장착되기 때문에, 제2 검지 부재는 현상 롤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것을 방지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제1 검지 부재는 현상제 제거 부재용 작동 영역에서 현상제 용기의 표면 상에 구비되어 현상제량이 변할 때 다소의 영역을 일관적으로 표시하는 출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현상 제거 부재용 작동 영역에 제1 검지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현상제면 상의 부분에 부착된 소정의 현상제를 제거할 수 있어서 정밀도의 측면에서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 현상제 제거 부재는 제1 검지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현상제를 닦아내기 위해 제1 검지 부재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현상제 반송 부재에 부착되고, 제1 검지 부재는 상기 현상제가 제1 검지 부재용 작동 영역으로부터 제2 검지 부재용 작동 영역까지 이송되는 위치에 있는 현상제 반송 부재 주위에 구비되어 제2 검지 부재용 작동 영역 내의 현상제량의 변동은 제1 검지 부재용 검지 영역 내의 현상제량의 변동의 완료됨과 동시에 개시되어 간섭없이 현상제량 검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따라, 현상제가 소비될 때 안정된 검지값을 얻을 수 있고, 현상제 잔류량은 고정밀도로 연속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기 설명한 구조물과 관련지어 설명되었지만, 상기 설명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개선점 또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동 또는 변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현상제의 잔류량을 고정밀도, 저비용으로 안정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검지할 수 있는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에 있어서,
    (a) 전극들 사이에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일 평면 상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입력측 및 출력측 전극을 갖는 전극 부재이고, 현상제와 접촉하는 측정측 전극과 현상제와 접촉하지 않는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검지 부재와,
    (b) 상기 제1 검지 부재의 검지 영역에 부착한 어떠한 현상제도 제거하기 위한 현상제 제거 부재와,
    (c) 자체와 현상제 담지 부재 사이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제2 검지 부재를 포함하고,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가 제1 검지 부재에서의 검지 정보를 기초로 현상제 용기의 사용 개시에서부터 어느 정도까지의 현상제량을 우선 검지한 다음, 제2 검지 부재에서의 검지 정보를 기초로 현상제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현상제 반송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2 검지 부재는 현상제 담지 부재에 가장 가까운 현상제 반송 부재의 작동 영역의 일부가 제2 검지 부재와 현상제 담지 부재 사이에 위치되도록 현상제 용기를 따라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 부재에는 현상제 용기의 측면 상에 그리고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의 작동 영역 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제거 부재는 현상제 반송 부재에 부착되고, 제1 검지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어떠한 현상제도 닦아내도록 제1 검지 부재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 부재는 현상제가 제2 검지 부재의 작동 영역으로 이송되는 위치에 있는 현상제 반송 부재 둘레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6.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b)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정전기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정전기 잠상 형성 수단과,
    (c) 전극들 사이에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일 평면 상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입력측 및 출력측 전극을 갖는 전극 부재이고, 현상제와 접촉하는 측정측 전극과 현상제와 접촉하지 않는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검지 부재와,
    상기 제1 검지 부재의 검지 영역에 부착한 어떠한 현상제도 제거하기 위한 현상제 제거 부재와,
    자체와 현상제 담지 부재 사이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제2 검지 부재를 구비한,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와,
    (d) 제1 검지 부재 및 제2 검지 부재로부터의 검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현상제의 잔류량을 연속적으로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량이 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7.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a)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b)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정전기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과,
    (c) 전극들 사이에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일 평면 상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입력측 및 출력측 전극을 갖는 전극 부재이고, 현상제와 접촉하는 측정측 전극과 현상제와 접촉하지 않는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검지 부재와,
    (d) 상기 제1 검지 부재의 검지 영역에 부착한 어떠한 현상제도 제거하기 위한 현상제 제거 부재와,
    (e) 자체와 현상제 담지 부재 사이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제2 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 잔류량은 제1 검지 부재 및 제2 검지 부재로부터의 검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의해 연속적으로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a) 전극들 사이에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일 평면 상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입력측 및 출력측 전극을 갖는 전극 부재이고, 현상제와 접촉하는 측정측 전극과 현상제와 접촉하지 않는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검지 부재와,
    상기 제1 검지 부재의 검지 영역에 부착한 어떠한 현상제도 제거하기 위한 현상제 제거 부재와,
    자체와 현상제 담지 부재 사이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제2 검지 부재를 구비한,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와,
    (b) 현상제 용기 내에 포함된 현상제를 사용함으로써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기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량이 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9. 현상제를 포함하기 위한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량을 검지하기 위한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에서, 현상제량 검지 수단은,
    (a) 전극들 사이에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일 평면 상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입력측 및 출력측 전극을 갖는 전극 부재이고, 현상제와 접촉하는 측정측 전극과 현상제와 접촉하지 않는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검지 부재와,
    (b) 상기 제1 검지 부재의 검지 영역에 부착한 어떠한 현상제도 제거하기 위한 현상제 제거 부재와,
    (c) 자체와 현상제 담지 부재 사이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진 제2 검지 부재와,
    (d) 현상제량 검지 정보를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량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과,
    (e) 검지된 현상제량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또는 검지된 현상제량을 표시 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현상제 용기의 사용 개시에서부터 어느 정도까지의 현상제량은 제1 검지 부재에 의해 검지된 다음, 현상제량은 제2 검지 부재에 의해 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량 검지 수단.
  10.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b) 현상제를 포함하고 현상제 담지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용기와,
    (c)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정전기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정전기 잠상 형성 수단과,
    (d) 전극들 사이에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일 평면 상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입력측 및 출력측 전극을 갖는 전극 부재이고, 현상제와 접촉하는 측정측 전극과 현상제와 접촉하지 않는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검지 부재와,
    (e) 상기 제1 검지 부재의 검지 영역에 부착한 어떠한 현상제도 제거하기 위한 현상제 제거 부재와,
    (f) 자체와 현상제 담지 부재 사이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진 제2 검지 부재와,
    (g) 현상제량 검지 정보를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량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과,
    (h) 검지된 현상제량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또는 검지된 현상제량을 표시 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량이 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a)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b)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정전기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과,
    (c)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와,
    (d) 전극들 사이에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일 평면 상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입력측 및 출력측 전극을 갖는 전극 부재이고, 현상제와 접촉하는 측정측 전극과 현상제와 접촉하지 않는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검지 부재와,
    (e) 상기 제1 검지 부재의 검지 영역에 부착한 어떠한 현상제도 제거하기 위한 현상제 제거 부재와,
    (f) 자체와 현상제 담지 부재 사이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진 제2 검지 부재와,
    (g) 현상제량 검지 정보를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량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과,
    (h) 검지된 현상제량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또는 검지된 현상제량을 표시 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현상제량이 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a) 현상제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와,
    (b) 현상제 용기 내에 포함된 현상제를 사용함으로써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기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 부재
    (c) 전극들 사이에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일 평면 상에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입력측 및 출력측 전극을 갖는 전극 부재이고, 현상제와 접촉하는 측정측 전극과 현상제와 접촉하지 않는 기준 전극을 갖는 제1 검지 부재와,
    (d) 상기 제1 검지 부재의 검지 영역에 부착한 어떠한 현상제도 제거하기 위한 현상제 제거 부재와,
    (e) 자체와 현상제 담지 부재 사이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진 제2 검지 부재와,
    (f) 현상제량 검지 정보를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량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과,
    (g) 검지된 현상제량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또는 검지된 현상제량을 표시 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 용기 내의 현상제량이 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3.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a)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b)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c)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와,
    (d)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의 양을 검지하도록, 제1 정전용량 발생부에 전압이 인가될 때 소정량의 현상제가 현상제의 양에 따른 정전용량을 발생하기 위해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있을 때 제1 정전용량 발생부가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에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정전용량 발생부, 제2 정전용량 발생부에 전압이 인가될 때 제2 정전용량 발생부가 기준 정전용량을 발생하기 위해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로부터 접촉 해제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정전용량 발생부를 구비한 제1 검지 부재와,
    (e) 현상 부재에 대하여 도전성을 갖고 대향하게 배치된 제2 검지 부재와,
    (f)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제1 정전용량 발생부에 전압이 인가될 때 발생된 정전용량에 따른 제1 전기 신호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제2 정전용량 발생부에 전압이 인가될 때 발생된 정전용량에 따른 제2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전달하는 제1 전기 접점과,
    (g) 현상 부재에 전압이 인가될 때 현상 부재와 제2 검지 부재 사이의 정전용량에 따른 제3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검지 부재는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가 현상 부재가 마련된 부분 쪽으로 공급되게 되는 현상제 공급 방향에서 제2 검지 부재의 상류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제13항에 있어서, 제1 검지 부재의 표면에 부착되는 어떠한 현상제도 긁어내기 위한 현상제 제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제1 전기 접점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1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전기 접점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2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2 전기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접점부 및 제2 전기 접점부가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게 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의 양을 검지하도록, 제1 정전용량 발생부에 전압이 인가될 때 소정량의 현상제가 현상제의 양에 따른 정전용량을 발생하기 위해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있을 때 제1 정전용량 발생부가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에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정전용량 발생부, 제2 정전용량 발생부에 전압이 인가될 때 제2 정전용량 발생부가 기준 정전용량을 발생하기 위해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된 현상제로부터 접촉 해제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정전용량 발생부를 구비한 제1 검지 부재,
    현상 부재에 대하여 도전성을 갖고 대향하게 배치된 제2 검지 부재,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제1 정전용량 발생부에 전압이 인가될 때 발생된 정전용량에 따른 제1 전기 신호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제2 정전용량 발생부에 전압이 인가될 때 발생된 정전용량에 따른 제2 전기 신호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전달하는 제1 전기 접점,
    현상 부재에 전압이 인가될 때 현상 부재와 제2 검지 부재 사이의 정전용량에 따른 제3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전기 접점을 구비하는 장착 수단과,
    (b) 장착 수단에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제1 전기 접점 및 제2 전기 접점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제 잔량을 연속적으로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1-0018458A 2000-04-07 2001-04-07 현상제 용기,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프로세스 카트리지,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374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7240 2000-04-07
JP2000107240A JP2001290359A (ja) 2000-04-07 2000-04-07 現像剤容器、現像剤量検知システ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850A KR20010102850A (ko) 2001-11-16
KR100374269B1 true KR100374269B1 (ko) 2003-03-03

Family

ID=1862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458A KR100374269B1 (ko) 2000-04-07 2001-04-07 현상제 용기,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프로세스 카트리지,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35699B1 (ko)
EP (1) EP1143306A3 (ko)
JP (1) JP2001290359A (ko)
KR (1) KR100374269B1 (ko)
CN (1) CN122969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6160B2 (ja) * 2002-09-24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4330162A (ja) * 2003-05-12 2004-11-25 Hugle Electronics Inc 除塵装置用目詰まり検知装置
JP2005099750A (ja) * 2003-08-28 2005-04-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システム、カートリッジ、メモリ媒体
JP4110143B2 (ja) * 2004-01-30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250555B2 (ja) * 2004-03-09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間部材
JP4455124B2 (ja) * 2004-03-31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0440072C (zh) * 2004-07-30 2008-12-03 佳能株式会社 处理盒和电摄影成像设备
JP3970279B2 (ja) * 2004-07-30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00630B2 (ja) * 2004-08-31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0504641C (zh) * 2004-09-30 2009-06-24 佳能株式会社 成像装置和检测显影剂剩余量的方法
JP4669356B2 (ja) * 2004-09-30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95913B2 (ja) * 2005-04-12 2011-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78372B2 (ja) * 2005-04-13 2008-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69289B2 (ja) * 2008-05-27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344538B2 (ja) * 2008-05-27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219626B2 (ja) * 2008-05-27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335543B2 (ja) * 2008-06-20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88900B2 (ja) 2008-06-2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40318B2 (ja) * 2008-07-31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517732B2 (ja) 2010-05-11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517989B2 (ja) 2010-05-14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986213B (zh) * 2010-12-09 2012-07-25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成像装置的显影剂容量检测单元及成像装置
JP5862041B2 (ja) * 2011-04-13 2016-02-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剤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225790A (ja) * 2011-04-20 2012-11-15 Toyota Motor Corp 液位検出装置
CN103092046A (zh) * 2011-10-31 2013-05-08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处理盒及其余量检测方法和成像装置及其控制方法
JP5943685B2 (ja) 2012-04-13 201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868456B2 (ja) * 2013-07-12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250567B2 (en) 2013-07-12 2016-02-02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ontainer for detecting developer amount based on capacitanc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791826B2 (en) 2013-07-12 2017-10-1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frame portion with varied thickness, and process cartridge thereof
EP3051360B1 (en) * 2015-01-30 2022-05-2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723694B2 (ja) 2015-07-01 2020-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KR102250501B1 (ko) 2016-08-26 2021-05-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JP7091096B2 (ja) 2017-03-15 202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16224734A (zh) 2017-12-13 2023-06-06 佳能株式会社 盒与图像形成装置
JP7262983B2 (ja) 2018-11-30 202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656592B1 (en) * 2019-01-09 2020-05-1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JP7305417B2 (ja) 2019-04-25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3447A (en) * 1976-06-16 1977-12-20 Toshiba Corp Detector for toner remnants
JPS59126568A (ja) * 1983-01-11 1984-07-21 Canon Inc 現像剤検知装置
JPS63179378A (ja) * 1987-01-21 1988-07-23 Nippon Mektron Ltd 検知器
JPH02144582A (ja) * 1988-11-26 1990-06-04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JPH02251874A (ja) * 1989-03-27 1990-10-09 Fuji Xerox Co Ltd 容器内トナー量検知装置
JPH0451064A (ja) * 1990-06-18 1992-02-19 Canon Inc 現像剤残量検知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5188782A (ja) * 1992-01-10 1993-07-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7306081A (ja) * 1994-05-16 1995-11-21 Hitachi Metals Ltd 粉体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8449C2 (de) * 1979-03-05 1986-04-03 Vdo Adolf Schindling Ag, 6000 Frankfurt Einrichtng zur kapazitiven Füllstandsmessung insbesondere in einem Kraftfahrzeugtank
JPS61180266A (ja) 1985-02-05 1986-08-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3101751A (ja) 1989-09-16 1991-04-2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404198A (en) 1989-12-15 1995-04-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223893A (en) 1989-12-15 1993-06-2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DE69103545T2 (de) 1990-02-17 1995-01-12 Canon Kk Arbeitseinheit und Bilderzeugungsgerät mit einer solchen Einheit.
US5623328A (en) 1990-04-27 1997-04-2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US5828928A (en) 1990-04-27 1998-10-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leaning device
DE69127392T2 (de) 1990-04-27 1997-12-18 Canon Kk Von einem Bilderzeugungsgerät abnehmbare Arbeitseinheit
FR2664713B1 (fr) 1990-07-13 1994-07-29 Canon Kk Cartouche de traitement et appareil de formation d'images l'utilisant.
US5294960A (en) 1990-11-06 1994-03-15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5134488A (ja) 1991-06-05 1993-05-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の組立て方法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3255175B2 (ja) * 1991-10-03 2002-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有無検出装置
JPH05224476A (ja) 1991-12-20 1993-09-0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06282122A (ja) 1992-04-16 1994-10-07 Canon Inc ブレード部材、ブレード部材取り付け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270121B2 (ja)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675439A (ja) 1992-06-30 1994-03-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DE69317607T2 (de) 1992-06-30 1998-08-20 Canon Kk Photoempfindliche Trommel, Prozesskassette und Bilderzeugungsgerät
JP3270120B2 (ja)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157610B2 (ja) 1992-06-30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19230A (ja) 1992-06-30 1994-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577893B1 (en) 1992-06-30 1997-04-1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US5581325A (en) 1993-10-01 1996-12-0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having an electroconductive grounding member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a process cartridge
JP3471950B2 (ja) 1995-02-02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314247A (ja) 1995-05-16 1996-11-29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8339118A (ja) * 1995-06-13 1996-12-24 Canon Inc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323749B2 (ja) 1996-08-01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磁気シール装置及び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3342362B2 (ja) 1996-09-20 2002-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153938A (ja) 1996-09-26 1998-06-0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63893B2 (ja) * 1996-10-30 2004-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JPH10186826A (ja) 1996-11-09 1998-07-14 Canon Inc 現像剤残量報知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2041A (ja) 1996-12-03 1998-08-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63727B2 (ja) 1996-12-12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廃トナー容器の組立方法
JPH10228224A (ja)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8223A (ja)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5111B2 (ja) 1997-03-18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結合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US6041196A (en) 1997-10-27 2000-03-2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detecting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upper surface of developer contained in a container and process cartridge comprising such apparatus
JP3083091B2 (ja) 1997-12-09 2000-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のシール部材、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987269A (en) * 1998-02-13 1999-11-16 Hewlett-Packard Company Toner quantity measuring technique in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2000019841A (ja) 1998-07-02 2000-01-21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098729A (ja) 1998-09-22 2000-04-07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98855A (ja) 1998-09-24 2000-04-0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30751B2 (ja) *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30752B2 (ja)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現像剤供給容器及び測定部品
JP2000131945A (ja) 1998-10-26 2000-05-12 Canon Inc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338766A (ja) * 1999-05-27 2000-12-08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43772B2 (ja) * 1999-08-06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75352A (ja) 1999-08-31 2001-03-23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97495B2 (ja) * 1999-09-03 200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194887A (ja) * 2000-01-07 2001-07-1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3447A (en) * 1976-06-16 1977-12-20 Toshiba Corp Detector for toner remnants
JPS59126568A (ja) * 1983-01-11 1984-07-21 Canon Inc 現像剤検知装置
JPS63179378A (ja) * 1987-01-21 1988-07-23 Nippon Mektron Ltd 検知器
JPH02144582A (ja) * 1988-11-26 1990-06-04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JPH02251874A (ja) * 1989-03-27 1990-10-09 Fuji Xerox Co Ltd 容器内トナー量検知装置
JPH0451064A (ja) * 1990-06-18 1992-02-19 Canon Inc 現像剤残量検知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5188782A (ja) * 1992-01-10 1993-07-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7306081A (ja) * 1994-05-16 1995-11-21 Hitachi Metals Ltd 粉体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35540A (zh) 2002-02-13
JP2001290359A (ja) 2001-10-19
US6535699B1 (en) 2003-03-18
EP1143306A2 (en) 2001-10-10
EP1143306A3 (en) 2006-02-08
CN1229697C (zh) 2005-11-30
KR20010102850A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269B1 (ko) 현상제 용기, 현상제량 검지 시스템, 프로세스 카트리지,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6253036B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measuring part
US6377759B1 (en)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amount detecting member
US6892035B2 (en) Developing device, a process cartridge, and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etecting an amount of developer
JP2000206774A (ja) トナ―残量検知装置、トナ―残量検知方法、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505008B2 (en) Develop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oner sensor wiping member orientation
JP200723310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残量検出方法
US6463225B1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feeding member and an elastic sheet
EP1126330B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4421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20909A (ja) 現像装置
US6415111B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rocess cartridge that has a plurality of measuring electrode members
JP3984800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636706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79303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6936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90358A (ja) 現像剤量検知システ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93038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305348A (ja) 現像剤量検知装置、現像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325568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4724310B2 (ja) 現像剤量検知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4442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量検知システム
JP200516492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06645A (ja) 画像形成装置、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393773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