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796B1 - 정보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796B1
KR100361796B1 KR1020000009317A KR20000009317A KR100361796B1 KR 100361796 B1 KR100361796 B1 KR 100361796B1 KR 1020000009317 A KR1020000009317 A KR 1020000009317A KR 20000009317 A KR20000009317 A KR 20000009317A KR 100361796 B1 KR100361796 B1 KR 100361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see
case
c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732A (ko
Inventor
스소고지
마루야마유끼노부
호시노다께시
미네모또다께시
가시마다이스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76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제1 및 제2 케이스를 상대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힌지 수단과, 제1 케이스를 관통하는 관통 개구와, 관통 개구에 끼워 넣은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와, 제2 케이스에 설치한 제2 액정 표시부와,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상대적으로 개방된 것을 검출하는 수단과, 검출 수단에 응답으로 하여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의 표시를 반전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흑백 정보를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저감한 휴대 정보 단말 장치.

Description

정보 단말 장치{INFORMATION TERMINAL UNIT}
본 발명은 정보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첩 형식의 폴드식으로 된 휴대에 편리하며 복수의 기능을 구비한 정보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의 개인용으로서의 정보 단말 장치로서 최근, 전자 수첩, 전자 사전, 휴대 텔레비젼, 미니 디스크 장치 또는 휴대한 곳에서 송수화가 가능한 휴대 전화기 등의 소위 모빌 데이터 터미널 유닛 등의 휴대형 정보 통신 단말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휴대형 정보 통신 단말 장치로서 휴대 단말(PDA)이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갖고 있으며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휴대 통신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기와 접속하여 이용하는 것, 휴대 전화와 별개 또는 일체의 것이 있으며 화상 데이타의 송수신이 가능함과 함께 전화기로서 사용하여 당연하지만 송수화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수첩 형식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는 2매의 패널을 힌지 결합하고, 이들 패널을 개방함으로써 한쪽 패널의 내측에 설치한 액정 디스플레이를 관찰하면서, 다른쪽의 패널의 내측에 설치한 키 등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는 두장의 패널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관찰할 수 없으며 예를 들면 장치의 구동 배터리의 소비의 상태, 정보 통신의 송수신의 상태 등의 필요 최소량의 데이터를 외부에서부터 아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행선지에서의 데이터 수집, 처리,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는 휴대 통신 정보 단말 장치는 최근 컬러의 출력 화상을 송수신하는 것이 보급되고 있으며, 휴대 전화기와 연결시켜서 컬러 화상 통신과 전화기로서의 기능을 갖게 하고, 대화하고 있는 상대방의 얼굴을 확인하면서 대화하는 것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 통신 단말 장치는 비교적 부피가 크며 휴대하기에 불편하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와 휴대 전화기를 접속하여 이용하는 구성인 경우에는휴대 단말 장치와 휴대 전화기를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휴대하기에는 한층 더 불편하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연결부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와, 이들 상부와 하부의 케이스 각각에 액정 표시부를 설치하고, 이들 액정 표시부에 화상 정보와 터치 패널이 표시되도록 하고 또한 이 연결부 내에 비디오 카메라를 수납하고 또한 이 비디오 카메라를 이들 케이스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비디오 카메라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한 정보 통신 단말 장치를 제안하였다(특원평 9-226800호).
그러나, 이러한 정보 통신 단말 장치는 대형 액정 표시부를 2개나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비교적 커진다. 이러한 장치는 휴대용으로서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극히 작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 중에 착신이 있어도 그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 단말 장치를 추출하여 케이스를 개방하고, 액정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내용을 보아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목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더욱 편리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성이 우수하며 소비 전력의 저감과 보다 간편함을 실현 가능하게 한 다기능성의 정보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개념에 따르면, 제1 케이스 및제2 케이스와 제1 및 제2 케이스를 상대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힌지 수단과, 제1 케이스를 관통하는 관통 개구와, 이 관통 개구에 끼워넣은 시스루형(see-through)의 제1 액정 표시부와, 제2 케이스에 설치한 조작부와,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상대적으로 개방된 것을 검출하는 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 응답하여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의 표시를 반전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개념에 따르면,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제1 및 제2 케이스를 상대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힌지 수단과, 제1 케이스를 관통하는 관통 개구와, 이 관통 개구에 끼워넣은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와, 제2 케이스에 설치한 제2 액정 표시부와,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상대적으로 개방된 것을 검출하는 수단과, 이 검출 수단에 응답하여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를 반전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개념에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액정 표시와 상기 제2 액정 표시부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내면이 서로 합쳐져서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액정 표시부 전체가 상기 제2 액정 표시부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에서의 배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제2 케이스를 중첩한 폐쇄한 상태에 있을 때에도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를 통하여 내부의 제2 액정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를 개방하여 표시 정보를 확인하여야 하는 작업이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로서는 소형의 액정을 이용하므로 이러한 표시에는 그다지 큰 전력을 요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개념에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는 흑백이며 제2 액정 표시부는 컬러이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한쪽의 케이스에는 화상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대형의 소비 전력이 큰 컬러 액정 표시부를 설치하고, 다른쪽의 케이스에 소형의 소비 전력이 작은 시스루형의 흑백 액정 표시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에서 표시할 수 있는 흑백 정보는 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에서 표시하여 컬러 액정 표시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케이스를 거듭 폐쇄한 상태로 할 때는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를 통하여 내부의 컬러 액정 표시부를 볼 수 있으므로, 케이스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는 물론 컬러 액정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개념에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비디오 카메라를 설치하고, 비디오 카메라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지, 폐쇄한 상태에 있는지에 상관없이 임의의 방향의 피사체를 카메라로 촬영할 수가 있으며 또한 이 촬영 시, 제1 및 제2 케이스를 개방된 상태로 이용하면, 상기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를 비디오의 파인더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촬영에 있어서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정보 통신 단말 장치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는 배면도이며, 도 1b는 측면도이고, 도 1c는 정면도이고, 도 1d는 측면도로, 휴대 통신 단말 장치가 임의의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다른 표시 상태를 나타낸 도 1에 도시한 정보 통신 단말 장치를 폐쇄한 상태로 나타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a에 도시한 정보 통신 단말 장치를 휴대 전화로서의 다른 작동 모드에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1a에 도시한 정보 통신 단말 장치를 카메라로 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a에 도시한 정보 통신 단말 장치의 카메라로서의 다른 동작 모드에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도 5a에 도시한 카메라 모드로 도 1a에 도시한 정보 통신 단말 장치의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의 파인더로서의 기능을 설명하는 측면도와 정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a에 도시한 정보 통신 단말 장치를 스마트폰으로서사용하는 다른 작동 모드에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a에 도시한 정보 통신 단말 장치의 내비게이션 장치로서 사용하는 다른 작동 모드에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외부 케이스
3, 4 : 내부 케이스
5 : 연결부
9 : 카메라 렌즈
10 :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
11 : 컬러 액정 표시부
17 : 전원 스위치
21 : 개폐 검출 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통신 단말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1, 2는 외부 케이스, 참조 번호 3, 4는 내부 케이스, 참조 번호 5는 연결부, 참조 번호 6은 회전축 지지부, 참조 번호 7은 회전축, 참조 번호 8은 수납체, 참조 번호 9는 카메라 렌즈, 참조 번호 10은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 참조 번호 11은 컬러 액정 표시부, 참조 번호 12a, 12b, 13a, 13b, 14a, 14b는 조작 키, 참조 번호 15는 스피커, 참조 번호 16은 마이크로폰, 참조 번호 17은 전원 스위치, 참조 번호 18은 배터리 수납부 및 참조 번호 21은 개폐 검출 스위치이다.
도 1a 내지 도 1d에서 외부 케이스(1)에 설치된 회전축(7)과 외부 케이스(2)에 설치된 회전축 지지부(6)에 따라서 힌지가 구성되어 있으며, 도 1d에서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 2)가 노드와 같이 폐쇄하거나 개방하거나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회전축 지지부(6)에는 또한 회전축(7)과는 반대측에 수납체(8)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 수납체(8) 내에 박형의 비디오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의 출력치를 처리하는 회로를 탑재한 회로 기판 등이 수납되며 또한 그 일부에 개구가 설치되며, 이곳에 카메라 렌즈(9)가 부착되고 있다. 따라서, 수납체(8)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부품은 없다.
또한, 외부 케이스(1)에는 내부 케이스(3)가 외부 케이스(2)에는 내부 케이스(4)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케이스(1)측에는 이 외부 케이스(1)와내부 케이스(3)를 관통하는 소면적의 개구부에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가 끼워져 있으며 외부 케이스(2)측에서는 그 내부 케이스(4)에 대면적의 컬러 표시부(11)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는 투명한 액정을 이용한 것으로, 따라서 이 시스루형의 액정부(10)를 통하여, 도 1a에서 도시하는 배면측에서 정면측이, 또한, 도 1c에서 도시하는 정면측에서 배면측이 각각 나타내게 된다.
내부 케이스(3)의 표면의 예를 들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의 하측에는 조작 키(12a, 13a, 14a)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조작 키(12b, 13b, 14b)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의 표면의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있다. 이것은 외부 케이스(1, 2)를 폐쇄한 상태로 했을 때, 조작 키(12a, 13a, 14a)와 동일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며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 2)를 폐쇄한 상태로 했을 때에는 조작 키(12a, 13a, 14a)에 대응하는 조작 키(12b, 13b, 14b)가 시스루형의 표시부(10)에 대하여, 도 1c에 도시하는 시스루형의 표시부(10)에 대한 조작 키(12a, 13a, 14a)와 동일한 관계로 배치되게 된다.
또, 조작 키(12a, 13a, 14a)는 그 조작 기능을 나타내기 위하여 시스루형의 표시부(10)의 각 조작 키의 근방에 기능 표시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각 조작 키를 다양한 용도의 조작 키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3)의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의 상부에는 스피커(15 ; 또는 이어폰잭일 수도 있다)가 설치되며, 내부 케이스(4)의 컬러 액정 표시부(11)의 하부에 마이크로폰(16)이 설치된다. 또한,회전축(7)에는 전원 스위치(17)가 설치되며 외부 케이스(2)에 배터리 수납부(18)가 설치되어 배터리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신축 가능하게 안테나도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안테나에 의해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해지고 있다.
컬러 액정 표시부(11)는 연결부(5)에 수납되어 있는 비디오 카메라의 촬상 화면 등의 정보나 화상이나 내부 케이스(4) 내에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을 표시하거나, 문장 등의 문자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나 이 단말 장치가 메일의 착신(수신)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 등의 이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열이나 마크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문장도 이것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밀도의 컬러 액정 표시부(11)를 사용하여, 고품질의 컬러 표시 화상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컬러 액정 표시부(11)에서 화상 표시하는 경우, 내부 케이스(4)에 내장되는 CPU가 프레임 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그 표시 제어를 행하고, 이 프레임 메모리의 기억 내용이 액정으로 표시되는 것이지만, 동화상의 표시의 경우 또는 문자열이나 문장의 표시라해도 스크롤 등의 표시 내용을 변화시키는 경우, CPU는 표시 내용을 변화시킬 때마다 이 프레임 메모리의 기억 내용을 재기록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 프레임 메모리에서의 재기록은 이 프레임 메모리가 대용량이기 때문에, 매우 큰 전력을 요하게 되므로 동화상 등의 내용이 변화하는 표시를 컬러 액정 표시부(11)로 행하는 경우 소비 전력이 커진다. 이것은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염가로 저소비 전력의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를 설치하고 단말 장치의 상태나 짧은 문장 등을 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서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전원 스위치(17)를 온 조작함으로써, 단말 장치를 전원 온 상태로 하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는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열 또는 마크가 표시되어 있으며, 착신이 있으면 그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대신에 표시되게 한다.
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는 소형으로 표시하는 정보량도 적으며 문자 등을 흑일색으로 표시하는 것이며, 이 때문에 이 표시에 사용하는 메모리도 저용량으로 할 수 있고 소비 전력도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그 표시 면적이 작게 되므로 「착신」이 빈번하며, 그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빈번하게 메모리로 재기록하여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서 표시시켜도 그를 위한 소비 전력은 특별히 크지는 않다. 또한,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있어서도 배터리의 잔류 충전 전압이 매우 낮아졌을 때 그 정보 내용이 변화할 뿐이며, 거의 정지 화상 정보로서 표시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10)의 표시를 위한 전력은 더 작아진다.
회전축(7)은 회전축 지시부(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지만, 또한 이 회전축(7)에 대하여 그 중심축 D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납체(8)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수납체(8)를, 예를 들면, 손끝 등으로 이 회전축(7)에 대하여회전시킴으로써, 이 수납체(8)에 수납되어 있는 비디오 카메라의 방향[카메라 렌즈(9)의 방향]을 회전축(7)의 중심축 D의 주위에 360도에 걸쳐서 바꿀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이러한 실시예의 케이스(1, 2)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폐쇄한 상태에서는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는 그 전체가 컬러 액정 표시부(11 ; 도 1c)의 일부와 중첩된다. 이와 같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가 외부 케이스(1)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를 통하여 내부의 컬러 액정 표시부(11)의 일부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1, 2)를 폐쇄한 상태에서 메일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 그 착신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면, 이송처의 번호나 간단한 메일 내용 등)가 표시되지만, 이와 함께 화상이 전송된 경우,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를 통하여 볼 수 있도록 이러한 화상을 내부의 컬러 액정 표시부(11 ; 도 1c)에서 표시할 수 있다.
도 2a는 간단한 메일 내용「Taro's Birthday」를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서 표시하고, 사진의 화상을 컬러 액정 표시부(11)에서 표시하는 것으로, 이러한 화상은 문자로 나타내지는 메일 내용과 중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b는 간단한 메일 내용「Msg from Taro pm20 : 10」을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서 표시하고, 메일의 마크를 컬러 액정 표시부(11)로 표시하는 것으로, 이러한 화상의 경우에는, 메일 내용과 중첩되어도 화상의 인식은 용이하다.
이와 같이 케이스(1, 2)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수납체(8)를 손끝 등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이에 수납되어 있는 비디오 카메라, 따라서 카메라 렌즈(9)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또, 케이스(1, 2)를 폐쇄한 상태에서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의 표시 정보를 보는 경우, 도 2a에 도시하는 방향에서 보면, 도 1a에서부터 밝힌 바와 같이, 케이스(1, 2)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외부 케이스(1)의 외측에서부터 본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서의 표시 정보의 방향은 상하 반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1, 2)를 개방된 상태로부터 폐쇄한 상태로 변경했을 때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서의 표시 정보의 방향을 자동적으로 반전시키도록 한다. 이 때문에, 개폐 검출 스위치(21)가 설치되며 정보 통신 단말 장치 내의 CPU가 스위치(21)의 동작에 따라서 표시 정보의 방향의 반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 형태(기능) 외에 카메라나 휴대 전화, 스마트폰 등의 사용 형태에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 형태의 변경 수단이 도 1에서의 조작 키(14a, 14b)이며 이들이 메뉴키로서 기능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1개의 형태로서 전원 스위치(17)가 온되면, 휴대 전화로서의 사용 형태가 자동적으로 설정되게 한다. 도 3a는 이 휴대 전화로서의 사용 형태의 전화 발신 모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 도면에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3a에서 이 모드에서는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텐키 등의 전화기의 조작부가 터치키로서 표시된다. 이들 텐키를 차례로 터치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서는 입력한 상대방의 전화 번호 「090123456789」나 입력한 전화 번호에 대한 상대방의 성명 「특허 타로우」, 현재의 시각이나 통화 시간 등이 표시되며 입력 정보를 확인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정확하게 전화 번호가 입력된 것이 확인되어 컬러 액정 표시부(11)에서 표시되는 「발신」키를 터치하면 상대측의 호출이 행해진다.
또, 조작 키(12a)는 콜 키로서도 기능하고 이미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호출할 때 사용한다.
여기서, 조작 키(13a)는 모드키로서 기능하고 그 조작마다 「텔레비젼 전화 모드」나 「통상 전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대측에서부터의 응답이 있은 후, 상대방이 텔레비젼 전화인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도 3b에 도시하는 텔레비젼 전화 모드로 이행하지만, 상대측이 텔레비젼 전화가 아닌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하는 모드가 유지되어 통화가 가능해진다. 이 통화는 마이크로폰(16)과 스피커(15)를 통하여 행해진다. 컬러 액정 표시부(11)에서 표시되는 「종료」 키를 터치하면, 통화는 종료한다.
또한, 모드키(13a)를 조작하여 텔레비젼 전화 모드로 이행한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상대방의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 화상도 표시되어 있으며 이 비디오 카메라, 따라서, 카메라 렌즈(9)를 자신쪽으로 향함으로써, 자신의 화상이 이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표시됨과 동시에 상대측에도 보내진다.
이 텔레비젼 전화 모드의 상태에 있어서,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표시되는「종료」의 터치키를 터치하면, 도 3a에 도시하는 전화 발신 모드로 되돌아가고 통화가 종료된다. 또한,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표시되는 「표시 전환」의 터치키를 터치하면 그 터치마다 「상대측+자신측의 화상 표시」→「상대측의 화상 표시」→「자신측의 화상 표시」→「상대측+자신측의 화상 표시」→ …의 순서로 표시가 전환된다. 또, 이 텔레비젼 전화 모드에서의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의 표시는 도 3a에 도시하는 전화 발신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 도 3a에 도시하는 전화 발신 상태로 상대측의 착신이 있으면, 도 1a에서 도 2b에서 설명한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여기서, 조작 키(14a)는 메뉴키로서 기능하고 조작마다 「카메라」→「스마트폰」→「전화 발신」→「카메라」→ … 순서로 사용 형태가 이행한다.
도 3a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의 전화 발신 모드로 메뉴키(14a)를 조작하면, 카메라로서의 사용 형태로 이행한다. 또한, 통화 중에는 사용 형태의 이행을 할 수 없도록 하므로, 도 3b에 도시된 텔레비젼 전화 모드로 메뉴 키(14a)를 조작하여도 그대로 텔레비젼 전화 모드가 계속된다.
도 4는 사용 형태를 카메라로 한 경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참조 번호 19는 손, 참조 번호 20은 피사체이며 도 1a 내지 도 1d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4에서 이 사용 형태의 경우에는 외부 케이스(1, 2)를 소정의 각도로 개방된 상태로 한쪽 손(19)으로 연결부(5)에 설치되어 있는 비디오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를 피사체로 향하여 촬상한다. 이 경우,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는 정보가 표시되지 않으며, 이 투명한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를 통하여 피사체(20)를 볼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상되는 피사체 화상은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표시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사용 형태가 「카메라」인 경우의 각 작동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촬영 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는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는 카메라의 파인더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거기에 촬상 범위의 기준을 나타내는 스코프 표시(21)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5)에 래치 기구(22)를 설치하고, 이 케이스(1, 2)가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160°의 상태에서 래치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촬상하도록 한다. 또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를 통하여 피사체측이 보이는 범위를 예를 들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의 중심을 통하는 수평면에 대하여 상하 예를 들면 15°의 범위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의 중심을 통하는 수직면에 대하여 좌우, 예를 들면, 15°의 범위로 하고, 눈(23)이 이 범위에서 떨어져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로부터 피사체측을 보아도 볼 수 없게 되듯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의 표면에 시야를 제한하는 필터(예를 들면, 전자 필터나 시트 타입의 필터)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야를 제한함으로써, 항상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로부터 피사체(20)측을 보는 상태가 거의 일정해지며,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가 파인더로서 기능하여 컬러 액정 표시부(11)의표시 화상과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로부터 요구되는 범위가 거의 일치하게 된다.
도 5a에서 이 경우의 조작 키(12a)는 기록키로서 기능한다.
이 기록키(12a)를 조작하면, 이 때의 촬상 프레임이 메모리에 기억된다. 따라서, 기록키(12a)를 조작할 때마다 차례로 1 프레임의 화상이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 경우의 메모리는 대용량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 실시예는 대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한 서버와 무선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으며, 기록키(12a)가 조작되면, 1프레임의 화상이 서버에 송신되며, 메모리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억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이 화상과 함께 이 화상의 번호나 기록의 연월일 정보 등도 동시에 기억되는 것(도 5a)에서 이 화상 번호는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예를 들면 「No. 0005」와 같이 표시되어 있다.
조작 키(13a)는 카메라의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키로서 기능하고 조작마다 「확인/검색 모드」→「설정 모드」→「촬영 모드」→「확인/검색 모드」→ …의 순서로 모드가 이행한다. 도 5a에 도시하는 촬상 모드로 이 모드키(13a)를 조작하면, 도 5b에 도시하는 확인/검색 모드로 이행한다. 이 확인/검색 모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된 화상을 확인하거나 검색하기도 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5a에서부터 전환하면 우선 도시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기억된 화상의 일람 표시(채널 감시 표시)가 행해진다. 이 경우, 지정하는 화상이 하프톤 도트 메싱(half tone dot meshing) 등으로 표시되며 동시에 표시되는 「▲」의 터치키나 「▼」의 터치키를 터치함으로써, 지정 화상을 변경할 수가 있다. 또한, 모든 화상을 이 일람 표시로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의 터치키나 「▼」의 터치키를 계속 터치하여 하프톤 도트 메싱 부분을 일람 표시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일람 표시의 스크롤을 행할 수 있다.
또,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서는 이 때 지정되어 있는 화상의 번호나 기록 연월일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이 모드에서는 조작 키(12a)가 표시 전환키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프톤 도트 메싱에 의해서 원하는 화상을 지정하고 이 표시 전환키(12a)를 조작하면, 컬러 액정 표시부(11)에서 표시되어 있는 일람에서의 상기 지정 화상만이 이 일람 표시가 이루어진 영역 전체에 표시된다. 이러한 화상 표시에서 표시 전환키(12a)를 조작하면, 도시하는 원래의 일람 표시에 전환한다. 또한, 이 일람 표시로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삭제」의 터치키를 조작하면, 일람 표시에서의 지정 화상이 소거된다. 따라서, 불필요해진 기억 화상을 제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억 화상의 확인과 소망 화상의 검색을 행할 수 있지만, 이러한 확인/검색 모드로 모드키(13a)를 조작하면, 도 5c에 도시하는 설정 모드로 이행한다. 이러한 설정 모드는 카메라의 촬영 조건 등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컬러 액정 표시부(11)에는 그 설정 조건이 일람으로 표시되며, 선택된 조건이 하프톤 도트 메싱으로 나타남과 동시에 확인/검색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의 터치키나 「▼」의 터치키를 이용하여 선택 조건의 변경이나 일람 표시의 스크롤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서는 선택된 설정 조건의 내용이나 그에 대한 부가 정보가 표시된다. 도시한 상태에서는 화질을 「표준」이라 설정한 것으로 이와 함께, 메모리에 기억 가능한 화상수를 나타내는 「앞으로 15매를 찍을 수 있습니다」라는 부가 정보가 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설정 모드로 모드 키(13a)를 조작하면 도 5a에 도시하는 촬영 모드로 이행한다. 따라서, 촬상하기 전에 모드키(13a)를 조작함으로써 도 5c에 도시하는 설정 모드로 하고, 여기서 소정의 촬영 조건을 설정한 후, 모드키(13a)를 조작함으로써 도 5a에 도시하는 촬영 모드로 함으로써, 원하는 촬영 조건으로 촬영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c에 도시하는 설정 모드로 함으로써, 기억할 수 있는 화상 매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 검색 모드를 설정하고, 「▲」의 터치키나 「▼」의 터치키와 「삭제」의 터치키를 이용함으로써 불필요한 기억 화상을 삭제할 수 있으며 화상을 기억한 후의 편집도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하는 카메라의 사용 형태에서 메뉴 키(14a)를 조작하면, 도 7a 내지 도 8c에 도시하는 스마트폰의 사용 형태로 이행한다. 이 때에는 우선 도 7a에 도시하는 메일 작성 모드로 이행한다. 이 메일 작성 모드에서는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문자 키 등 터치키로 이루어지는 메일 작성을 위한 조작부가 표시되며 문자 키를 터치 조작함으로써, 메일 내용을 작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작성에 있어서, 가나(히라가나, 카타가나)나 영수자, 기호 등의 선택도 가능하다. 이렇게 작성되는 메일 내용은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로 표시되며 이에 의해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키(12a)는 메모리 키로서 기능과, 원하는 메일 내용이 완성되면,이 메모리 키(12a)를 조작함으로써 메모리에 기억된다. 또한, 이 메일 내용을 서버의 이 단말 장치에 지정되는 메모리 영역에 기억할 수 있다. 이 메모리 영역은 다른 단말 장치로 액세스 가능하며, 이에 의해서 다른 단말 장치의 조작자에게 이 메일을 보낼 수 있다.
도 7a에 도시하는 메일 작성 모드로 모드키(13a)를 조작하면, 도 7b에 도시하는 메일 수신 모드로 이행한다. 이것은 다른 단말 장치에 의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의 단말 장치에 지정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메일을 판독함으로써, 이 판독은 스피커(15)를 통하여 음성에 의해서 행해짐과 동시에,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그 메일의 내용이 표시된다. 이 메일의 판독 중에서는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의 터치키나 「▲」의 터치 키를 이용하여 판독 스피드를 낮추거나 높이기도 하는 조정이나 「횡 방향 삼각 표시/2개의 세로바 표시」, 「2개의 우측 방향 삼각 표시」, 「2개의 좌측 방향 삼각 표시」의 터치 키를 이용하여 판독을 일시 정지하거나 판독 위치를 되돌리거나 뒤로 보내거나 할 수 있다.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수신 메일의 판독이 전부 종료되면, 다시 동일 메일의 판독을 반복한다. 또한, 이 메일 수신 모드로 모드키(13a)를 조작하면 도 7c에 도시하는 스케줄 관리 모드로 이행한다. 이 모드는 자신의 스케줄을 작성함으로써 작성한 스케줄의 내용은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표시된다. 이 경우, 조작 키(12a)는 갱신키로서 기능하고, 이 갱신키(12a)를 조작함으로써, 이미 작성되어 있는 스케줄의 일부를 갱신할 수가 있으며 또한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표시되는「신규」 터치키를 터치 조작함으로써, 새로운 스케줄을 추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갱신되는 스케줄이나 신규 추가의 스케줄은 서버의 이 단말 장치에 대하여 지정되어 있는 메모리 영역으로 보내지며, 이 메모리 영역을 액세스 가능한 단말 장치의 조작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스케줄 관리 모드로 모드키(13a)를 조작하면, 도 8a, 도 8b, 도 8c에 도시하는 정보 취득 모드로 이행한다. 이 모드는 가입하고 있는 서비스 회사등으로부터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이 모드로 이행하면, 우선,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정보 장르의 일람 표시가 이루어진다. 이 일람 표시에서는 선택되는 정보가 하프톤 도트 메싱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컬러 액정 표시부(11)에서 표시되는 스크롤의 터치키를 조작함으로써,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원하는 정보의 선택과 일람 표시의 스크롤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키(12a)는 액세스 키로서 기능하고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2. 교통 정보」의 항을 선택하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는 이 교통 정보의 서비스 회사명이 표시되지만, 액세스 키(12a)를 조작함으로써, 서비스 회사를 선택할 수가 있다. 여기서, 컬러 액정 표시부(11)에서 표시되는 「발신」키를 터치함으로써 서비스 회사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세스한 서비스 회사가 제공하는 교통 정보가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표시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정보 취득 모드로 모드키(13a)를 조작하면, 도8c에 도시하는 내비게이션 모드(navigation mode)로 이행한다. 이 모드는 GPS 등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의 제공을 받아서, 컬러 액정 표시부(11)에 내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추천」, 「거리」, 「NEW」 등의 종류에 따른 내비게이션 정보를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10)에서는 현재 위치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나침반이나 컬러 액정 표시부(11)에서 표시되는 지도 상에서의 상기 종류에 따른 점포나 시설까지의 소요 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하는 각 모드로 메뉴키(14a)를 조작하면, 도 3a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의 전화 발신 모드로 되돌아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상의 사용 형태에만 한하지 않고, 다른 사용 형태도 채용할 수 있어도 좋으며 또한 모드키(13a)의 조작에 의한 모드의 종류 및 설정 순서나 메뉴키(14a)의 조작에 의한 사용 형태의 종류 및 설정 순서는 상기한 순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카메라를 외부 케이스(1, 2)의 연결부(5)에 설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에서 외부 케이스(1)측의 연결부(5)와는 반대측의 단부 등 다른 장소에 설치할 수도 있다. 단지, 이 경우에서도 비디오 카메라의 방향은 충분한 각도 범위에 걸쳐서 바뀌어지도록 하고 또한 외부 케이스(1, 2)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정보 통신 단말 장치에 따르면, 제1, 제2 케이스를 중첩한 폐쇄한상태에 있을 때에도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를 통하여 내부의 제2 액정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를 개방하여 표시 정보를 확인하여야 하는 작업이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로서는 소형의 액정을 이용하므로 이러한 표시에는 그다지 큰 전력을 요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한쪽의 케이스에는 화상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대형의 소비 전력이 큰 컬러 액정 표시부를 설치하고, 다른쪽의 케이스에 소형의 소비 전력이 작은 시스루형의 흑백 액정 표시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에서 표시할 수 있는 흑백 정보는 이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에서 표시하여 컬러 액정 표시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케이스를 거듭 폐쇄한 상태로 할 때는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를 통하여 내부의 컬러 액정 표시부를 볼 수 있으므로, 케이스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는 물론 컬러 액정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지, 폐쇄한 상태에 있는지에 상관없이 임의의 방향의 피사체를 카메라로 촬영할 수가 있으며 또한 이 촬영 시, 제1 및 제2 케이스를 개방된 상태로 이용하면, 상기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를 비디오의 파인더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촬영에 있어서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Claims (10)

  1.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각각 세로 방향의 근단부 및 원단부를 갖는 제1 및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를 그 세로 방향의 근단부에서 서로 결합시켜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 수단과, 상기 제1 케이스를 관통하는 관통 개구와, 상기 관통 개구에 끼워진 시스루(see-through)형의 제1 액정 표시부와,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된 제2 액정 표시부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가 서로 상대적으로 개방된 것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상의 화상을 세로 방향으로 반전시키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케이스의 원단부 근방에 설치되는 스피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원단부 근방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 및 상기 제2 액정 표시부는, 제1 및 제2 케이스가 서로 합쳐져서 폐쇄되었을때에는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는 흑백 액정 표시부이고, 상기 제2 액정 표시부는 멀티-컬러 액정 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 전체는 상기 제2 액정 표시부의 일부와 서로 중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가 서로 합쳐져서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를 통해 상기 제2 액정 표시부의 일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는 흑백 액정 표시부이고, 상기 제2 액정 표시부는 멀티-컬러 액정 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
  5.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각각 세로 방향의 근단부 및 원단부를 갖는 제1 및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를 그 세로 방향의 근단부에서 서로 결합시키는 회전축을 갖는 힌지 수단과, 상기 힌지 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와, 상기 제1 케이스를 관통하는 관통 개구와, 상기 관통 개구에 끼워진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와,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된 제2 액정 표시부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가 서로 상대적으로 개방된 것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루형의 액정 표시부상의 화상을 세로 방향으로 반전시키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케이스의 원단부 근방에 설치된 스피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원단부 근방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 및 상기 제2 액정 표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가 서로 합쳐져서 폐쇄되었을때에는 서로 중첩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는,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2 액정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힌지 수단의 회전축 주위를 따라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 전체는 상기 제2 액정 표시부의 일부와 서로 중첩하여,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를 통해 상기 제2 액정 표시부의 일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는 흑백 액정 표시부이고, 상기 제2 액정 표시부는 멀티-컬러 액정 표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간을 소정의 각도로 래치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가 서로 개방되었을때, 파인더로서 사용되고, 상기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은 상기 제2 액정 표시부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상에는 문자가 표시되는 한편, 상기 제2 액정 표시부상에는 화상이 표시되어,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상의 상기 문자와 상기 제2 액정 표시부상의 상기 화상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가 서로 합쳐져서 폐쇄되었을때, 서로 중첩되어 표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신 단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상에는 문자가 표시되는 한편, 상기 제2 액정 표시부상에는 화상이 표시되어, 상기 시스루형의 제1 액정 표시부상의 상기 문자와 상기 제2 액정 표시부상의 상기 화상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가 서로 합쳐져서 폐쇄되었을때, 서로 중첩되어 표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신 단말 장치.
KR1020000009317A 1999-02-26 2000-02-25 정보 단말 장치 KR100361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51122A JP2000253113A (ja) 1999-02-26 1999-02-26 情報通信端末装置
JP1999-051122 1999-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732A KR20000076732A (ko) 2000-12-26
KR100361796B1 true KR100361796B1 (ko) 2002-11-23

Family

ID=1287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317A KR100361796B1 (ko) 1999-02-26 2000-02-25 정보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66202B1 (ko)
JP (1) JP2000253113A (ko)
KR (1) KR100361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623B1 (ko) * 1997-12-23 2000-12-15 윤종용 디지털 스틸 카메라
US6578203B1 (en) 1999-03-08 2003-06-10 Tazwell L. Anderson, Jr. Audio/video signal distribution system for head mounted displays
US7210160B2 (en) 1999-05-28 2007-04-24 Immersion Entertainment, L.L.C. Audio/video programming and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20020057364A1 (en) 1999-05-28 2002-05-16 Anderson Tazwell L. Electronic handheld audio/video receiver and listening/viewing device
JP2001016568A (ja) * 1999-06-30 2001-01-19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通信システム
JP4177525B2 (ja) * 1999-07-23 2008-11-0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6716103B1 (en) * 1999-10-07 2004-04-06 Nintendo Co., Ltd. Portable game machine
JP4048463B2 (ja) * 1999-10-29 2008-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データ伝送方法
JP3405290B2 (ja) * 1999-11-04 2003-05-1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
GB2358538B (en) * 1999-11-24 2003-11-05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US7046287B2 (en) * 1999-12-24 2006-05-16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JP3546996B2 (ja) * 1999-12-2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1337812A (ja) * 2000-03-23 2001-12-07 Fujitsu Ltd 状態表示制御装置及び電子装置並びに記憶媒体
US7030837B1 (en) * 2000-04-24 2006-04-18 Microsoft Corporation Auxiliary display unit for a computer system
JP3428564B2 (ja) * 2000-05-17 2003-07-22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JP3424658B2 (ja) * 2000-05-31 2003-07-07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7782363B2 (en) 2000-06-27 2010-08-24 Front Row Technologies, Llc Providing multiple video perspectives of activities through a data network to a remote multimedia server for selective display by remote viewing audiences
US8583027B2 (en) 2000-10-26 2013-11-12 Front Row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uthorizing computing devices for receipt of venue-based data based on the location of a user
US7796162B2 (en) 2000-10-26 2010-09-14 Front Row Technologies, Llc Providing multiple synchronized camera views for broadcast from a live venue activity to remote viewers
US7812856B2 (en) 2000-10-26 2010-10-12 Front Row Technologies, Llc Providing multiple perspectives of a venue activity to electronic wireless hand held devices
US7630721B2 (en) 2000-06-27 2009-12-08 Ortiz & Associates Consulting,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rokering data between wireless devices and data rendering devices
US7149549B1 (en) * 2000-10-26 2006-12-12 Ortiz Luis M Providing multiple perspectives for a venue activity through an electronic hand held device
JP2002051143A (ja) * 2000-08-01 2002-02-15 Pioneer Electronic Corp 携帯情報端末装置
FI118621B (fi) * 2000-08-03 2008-01-15 Nokia Corp Kannettava, avatun ja suljetun käyttöasennon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en kahvajärjestely
KR100344852B1 (ko) * 2000-08-08 2002-07-20 주식회사 와이드텔레콤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듀얼 엘시디 구조를 갖는휴대용 단말기
JP2002073542A (ja) 2000-08-31 2002-03-12 Sony Corp サーバの使用予約方法、予約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6792293B1 (en) * 2000-09-13 2004-09-14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rienting an image on a displa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3690585B2 (ja) 2000-09-27 2005-08-3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EP2270633A1 (en) * 2000-10-24 2011-01-05 Nokia Corp. Touchpad
US7688315B1 (en) * 2000-11-30 2010-03-30 Palm, Inc. Proximity input detection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US7289083B1 (en) * 2000-11-30 2007-10-30 Palm, Inc. Multi-sided display for portable computer
US6941160B2 (en) * 2000-11-30 2005-09-06 Sanyo Electric Co., Ltd. Dual display portable telephone device and allocation means for display process thereof
US20020072395A1 (en) * 2000-12-08 2002-06-13 Ivan Miramontes Telephone with fold out keyboard
JP3929704B2 (ja) * 2001-01-12 2007-06-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通信機能付き撮像装置
US7466961B1 (en) * 2004-12-13 2008-12-16 Palm, Inc. Compact palmtop computer system and wireless telephone with foldable dual-sided display
JP2002304136A (ja) 2001-01-17 2002-10-18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US7348964B1 (en) * 2001-05-22 2008-03-25 Palm, Inc. Single-piece top surface display layer and integrated front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8384674B1 (en) 2001-01-30 2013-0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grated enclosure/touch screen assembly
JP4476503B2 (ja) * 2001-02-07 2010-06-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携帯型電子装置
WO2002065303A1 (fr) * 2001-02-13 2002-08-22 Fujitsu Limited Terminal de reseau a mode d"economie d"energie
JP4648551B2 (ja) 2001-02-15 2011-03-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6907276B2 (en) 2001-03-21 2005-06-14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xternal display unit
US7173665B2 (en) * 2001-03-30 2007-02-06 Sanyo Electric Co., Ltd.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297508A (ja) 2001-03-30 2002-10-11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制御装置、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2082674A1 (en) * 2001-04-04 2002-10-17 M2Sys Co., Ltd.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JP2002320012A (ja) * 2001-04-20 2002-10-31 Nec Access Technica Ltd 液晶ディスプレイ付き電子機器
KR100473825B1 (ko) * 2001-05-03 2005-03-08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US7206599B2 (en) * 2001-05-09 2007-04-17 Kyocera Wireless Corp. Integral navigation keys for a mobile handset
US7730401B2 (en) * 2001-05-16 2010-06-0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US6992659B2 (en) 2001-05-22 2006-01-31 Palmone, Inc. High transparency integrated enclosure touch screen assembly for a portable hand held device
CA2348353A1 (en) 2001-05-22 2002-11-22 Marc Arseneau Local broadcast system
JP3483144B2 (ja) * 2001-05-31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US7142195B2 (en) 2001-06-04 2006-11-28 Palm, Inc.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display visible from both sides
KR100539527B1 (ko) * 2001-06-12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JP2003044207A (ja) * 2001-07-26 2003-02-14 Fujitsu Ltd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通信接続方法
JP2003044041A (ja) * 2001-07-27 2003-02-14 Yamaha Corp 楽譜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楽譜表示用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692667B2 (en) 2001-08-17 2010-04-06 Palm, Inc. Handheld computer having moveable segments that are interactive with an integrated display
US20030034987A1 (en) * 2001-08-17 2003-02-20 William Webb Handheld computer having moveable segments that can be adjusted to affect a size of the handheld computer
JP4479140B2 (ja) * 2001-09-21 2010-06-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030064762A1 (en) * 2001-10-01 2003-04-03 Masayoshi Tanabe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radio terminal apparatus
KR100434455B1 (ko) * 2001-10-12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힌지 장치를 구비한 플립이 제공된 휴대폰
JP4313560B2 (ja) * 2001-10-31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
KR20010110402A (ko) * 2001-11-27 2001-12-13 마길성 휴대폰 중심 축의 화상 카메라와 안테나의 기능
US7852430B1 (en) 2001-11-29 2010-12-14 Palm, Inc. Light guide spacers for backlighting a reflective display
KR20030046891A (ko) * 2001-12-07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상폴더 외부에 터치스크린과 기능키를 구비하는 폴더형이동통신단말기
KR20080098445A (ko) * 2001-12-19 2008-11-0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절첩식 통신 단말 장치
JP2003204377A (ja) * 2001-12-28 2003-07-18 Nec Corp 携帯型電子機器
KR100454965B1 (ko) * 2001-12-29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KR100713360B1 (ko) * 2001-12-3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스타일러스와 보조 입력장치를 구비한 단말기
JP2003229935A (ja) * 2002-02-01 2003-08-15 Sony Corp 携帯電子機器
US7120458B2 (en) * 2002-02-19 2006-10-10 Kyocera Wireless Corp. Data phone with convertible keypad and method of using same
AU2003217586A1 (en) * 2002-02-21 2003-09-09 Mobicom Corporation Article comprising an adaptable input device abstract
WO2003077097A1 (fr) * 2002-03-08 2003-09-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communication mobile, procede de commande d'affichage pour ledit dispositif et programme correspondant
US20040014485A1 (en) * 2002-04-12 2004-01-22 Toshiaki Sugauchi Foldable and portab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I113130B (fi) * 2002-04-17 2004-02-27 Nokia Corp Kannettava,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joka on varustettu puhelintoiminnoilla ja kameratoiminnoilla
KR100465290B1 (ko) * 2002-04-22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데이타 전송장치 및 방법
JP2003323229A (ja) * 2002-04-30 2003-11-14 Fujitsu Ltd 携帯情報機器
KR100486520B1 (ko) * 2002-05-10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회전장치
JP4313545B2 (ja) * 2002-05-15 2009-08-12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電話装置
US20030222846A1 (en) * 2002-05-31 2003-12-04 Huy Nguy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having moveable segments
US8902171B2 (en) * 2002-05-31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Housing configuration for orientating a surface feature on a mobile device
US7474298B2 (en) * 2002-05-31 2009-01-06 Palm, Inc. Mobile device having an adjustable length to selectively expose a surface component
US20040198435A1 (en) * 2002-06-07 2004-10-07 Gauld Craig Stephen Camera integration on a mobile device
JP3910112B2 (ja) * 2002-06-21 2007-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付携帯電話機
JP2004088750A (ja) * 2002-06-28 2004-03-18 Rohm Co Ltd 携帯通信機器
JP3726073B2 (ja) * 2002-07-01 2005-12-1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485633B1 (ko) * 2002-07-16 2005-04-27 주식회사 엠투시스 소형 카메라 회전장치
JP2004064350A (ja) * 2002-07-26 2004-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撮像装置搭載携帯電話機
KR20040011275A (ko) * 2002-07-30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영상단말기의 카메라 구조
JP3675430B2 (ja) 2002-09-20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JP3999092B2 (ja) * 2002-09-30 2007-10-31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US7725073B2 (en) 2002-10-07 2010-05-25 Immersion Entertainment,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spectators with audio/video signals pertaining to remote events
JP2004135177A (ja) * 2002-10-11 2004-04-30 Sharp Corp 携帯電話機
US7230585B2 (en) * 2002-10-28 2007-06-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wo-way display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JP4125653B2 (ja) 2002-10-30 2008-07-3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情報端末装置
AU2003288129A1 (en) * 2002-11-21 2004-06-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Flexible conductors connected between two part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487616B1 (ko) * 2002-11-29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화면 영상 반전 스위치장치
JP2004201191A (ja) * 2002-12-20 2004-07-15 Nec Corp 画像処理送信システム、携帯電話、画像処理送信方法、および、画像処理送信プログラム
US7102620B2 (en) * 2002-12-24 2006-09-05 Sierra Wireless, Inc. Mobile electronic device
JP2004214946A (ja) 2002-12-27 2004-07-29 Casio Comput Co Ltd 折り畳み式携帯情報機器
US20040125073A1 (en) * 2002-12-30 2004-07-01 Scott Potte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motion sensor for function control
WO2004073284A2 (en) * 2003-02-06 2004-08-26 Flextronics Sales & Marketing (A-P) Ltd. Integrated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and pda, with swivel mechanism providing access to the interface elements of each function
US20040185922A1 (en) * 2003-02-06 2004-09-23 Thomas Sutton Smartphone with novel opening mechanism
US6989984B2 (en) * 2003-02-19 2006-01-24 Flextronics Ap, Llc Personal entertainment device (PED) with double-opening flap
JP4018002B2 (ja) * 2003-02-24 2007-12-05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2004297417A (ja) * 2003-03-27 2004-10-21 Sanyo Electric Co Ltd 携帯型無線端末機
JP4496713B2 (ja) * 2003-03-31 2010-07-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方法
JP4614633B2 (ja) 2003-04-09 2011-01-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JP2004310659A (ja) * 2003-04-10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
JP4374610B2 (ja) * 2003-04-18 2009-12-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データ記憶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034601A1 (en) * 2003-04-23 2006-02-16 Tage Andersson Multi-function two panel electronic device with 360° relative motion
US20040229664A1 (en) * 2003-05-12 2004-11-18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Ll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xtendable display
US7149557B2 (en) * 2003-05-12 2006-12-12 Siemens Communications, In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xtendable display
US20040229663A1 (en) * 2003-05-16 2004-11-18 Tosey Joseph P. 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tactile keyboard
JP4371713B2 (ja) * 2003-06-16 2009-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付折畳み式携帯機器
TW595190B (en) * 2003-06-30 2004-06-21 Ritdisplay Corp Electrical device with mirror function and image capture function
US20050210391A1 (en) * 2003-08-11 2005-09-22 Core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content in an interactive ticker
US20050039135A1 (en) * 2003-08-11 2005-02-17 Konstantin Othmer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content in an interactive ticker
US7441203B2 (en) * 2003-08-11 2008-10-21 Core Mobility, Inc. Interactive user interface presentation attributes for location-based content
US7343564B2 (en) 2003-08-11 2008-03-11 Core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location-based maps on communication devices
US7430724B2 (en) 2003-08-11 2008-09-30 Core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content in a ticker
JP2005191832A (ja) * 2003-12-25 2005-07-14 Fujitsu Ltd 携帯電話
US7593687B2 (en) 2003-10-07 2009-09-22 Immersion Entertainment,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vent spectators with audio/video signals pertaining to remote events
US20050078195A1 (en) * 2003-10-14 2005-04-14 Vanwagner Craig K. Mobile digital surveillance system
JP4048435B2 (ja) * 2003-10-23 2008-02-2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20050096082A1 (en) * 2003-11-03 2005-05-05 Chin-Wei Chang Duo-display mobile phone
US20050099533A1 (en) * 2003-11-10 2005-05-12 Casio Computer Co., Ltd.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100677300B1 (ko) * 2003-11-21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DE10355364B4 (de) 2003-11-25 2016-10-27 Vodafone Holding Gmbh Schalter zum Wechseln zwischen Video- und Sprachfunktion bei Mobilfunkendgeräten
KR100565309B1 (ko) * 2003-11-25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캠코더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전환 장치및 방법
KR100595633B1 (ko) * 2003-12-18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 방법
KR101000921B1 (ko) * 2003-12-18 2010-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제어방법
US7162030B2 (en) 2003-12-23 2007-01-09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rotating housing
JP2005234993A (ja) * 2004-02-20 2005-09-02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20050187024A1 (en) * 2004-02-25 2005-08-25 Bong-Hee Cho Portable swing-type communication device for games and hinge apparatus thereof
JP2005260858A (ja) * 2004-03-15 2005-09-22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JP4493375B2 (ja) * 2004-03-15 2010-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ATE521029T1 (de) * 2004-05-13 2011-09-15 Flextronics Ap Llc Persönliche unterhaltungseinrichtung (ped) mit doppelöffnungs-klappe
GB0411314D0 (en) * 2004-05-21 2004-06-2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array devices
US7774029B2 (en) * 2004-07-10 2010-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wireless terminal
GB0422090D0 (en) * 2004-10-05 2004-11-03 Symbian Software Ltd An interactive computing device with a configurable user interface
JP2006279361A (ja) * 2005-03-29 2006-10-12 Nec Corp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
KR101176532B1 (ko) * 2005-04-01 201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키입력 방법
US7460893B2 (en) 2005-05-17 2008-12-02 Nokia Corporation Display chang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042140B2 (en) 2005-07-22 2011-10-18 Kangaroo Media, Inc. Buffering content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CA2552062C (en) 2005-07-22 2016-06-28 4121856 Canada Inc.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experience of spectators attending a live sporting event
KR20070013492A (ko) * 2005-07-26 2007-01-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JP4926426B2 (ja) 2005-08-12 2012-05-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US8049678B2 (en) 2005-09-09 2011-11-01 Lg Electronics, Inc. Image capturing and displaying method and system
US20070240190A1 (en) * 2006-04-07 2007-10-11 Marc Arseneau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the experience of a spectator attending a live sporting event
KR100781280B1 (ko) * 2006-05-22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US8004555B2 (en) * 2006-05-31 2011-08-2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taneous dual camera video telephony
JP4882540B2 (ja) * 2006-06-23 2012-02-22 富士通株式会社 移動指示装置、入力方法、入力プログラム
US20090042609A1 (en) * 2006-06-29 2009-02-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elective Rendering of Multimedia Information
KR20080014541A (ko) * 2006-08-11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단말기
WO2008022338A2 (en) * 2006-08-17 2008-02-21 Core Mobility, Inc. Presence-based communication between local wireless network access points and mobile devices
KR100911145B1 (ko) * 2006-10-02 2009-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KR100827115B1 (ko) 2006-12-04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리보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0954594B1 (ko) * 2007-02-23 2010-04-26 (주)티피다시아이 디지털 기기에 사용되는 포인팅장치를 이용한 가상키보드입력시스템
US7643107B2 (en) * 2007-05-01 2010-01-05 Citizen Holding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7312405A (ja) * 2007-06-15 2007-11-29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US8917985B2 (en) 2007-08-29 2014-12-23 Nintendo Co., Ltd. Imaging apparatus
JP4260215B1 (ja) 2007-08-29 2009-04-30 任天堂株式会社 撮像装置
US8177441B2 (en) 2007-08-29 2012-05-15 Nintendo Co., Ltd. Imaging apparatus
US20090073812A1 (en) * 2007-09-19 2009-03-19 Wintek Corporation Audio/video alarm clock and pre-set time reminding method thereof
JP5586826B2 (ja) 2007-09-28 2014-09-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4863969B2 (ja) * 2007-11-12 2012-01-25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8233948B2 (en) 2007-12-11 2012-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lider assembly for a housing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US8150482B2 (en) 2008-01-08 2012-04-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moveable housing segments
JP5243551B2 (ja) * 2007-12-19 2013-07-24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画像をデータと関連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US8200298B2 (en) 2008-01-08 2012-06-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Keypad housing configuration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KR101526970B1 (ko) * 2008-05-29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7797B1 (ko) * 2008-05-29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7992B1 (ko) * 2008-06-17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운용방법
US8314859B2 (en) * 2008-05-29 2012-11-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image capturing method thereof
EP2129091A1 (en) * 2008-05-29 2009-12-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transparent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EP2129085B1 (en) * 2008-05-29 2011-03-30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2129090B1 (en) 2008-05-29 2016-06-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ATE489804T1 (de) * 2008-05-29 2010-12-15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EP2128686B1 (en) * 2008-05-29 2017-07-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a solar cell module integrated under th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S8130275B2 (en) 2008-06-13 2012-03-06 Nintendo Co., Ltd.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photographing application launch program executed by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JP4181211B1 (ja) 2008-06-13 2008-11-12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おいて実行される起動用プログラム
US20100053456A1 (en) * 2008-08-28 2010-03-04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Mobile Multimedia Terminal Antenna System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WO2010038296A1 (ja) 2008-10-01 2010-04-08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ならびに起動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8493282B2 (en) * 2008-11-17 2013-07-23 Google Inc. Handheld device with secondary screen for soft key descriptors
US20100128570A1 (en) * 2008-11-24 2010-05-27 Smith Christopher E Wristwatch interface system
EP2237140B1 (en) * 2009-03-31 2018-12-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627299A1 (en) 2009-04-30 2020-03-25 Wacom Co., Ltd. Control circuitry and method
US20100283741A1 (en) * 2009-05-06 2010-11-11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ually adaptive input device
US8832574B2 (en) * 2009-06-30 2014-09-0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JP2010004547A (ja) * 2009-08-07 2010-01-07 Hitachi Ltd 携帯端末装置
KR20110028148A (ko) * 2009-09-11 201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95809B1 (ko) * 2009-10-09 2017-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4386B1 (ko) * 2009-11-17 201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콘텐츠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8797268B2 (en) * 2009-11-18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Folding mobile device
US20110148438A1 (en) * 2009-12-18 2011-06-23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number of objects in a capacitive sensing region using a shape factor
US20110148436A1 (en) * 2009-12-18 2011-06-23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number of objects in a capacitive sensing region using signal grouping
US8359075B2 (en) 2009-12-28 2013-01-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with transparent display
KR101087479B1 (ko) * 2010-01-29 2011-11-25 주식회사 팬택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606091B2 (ja) * 2010-02-12 2014-10-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8075145B2 (en) * 2010-03-05 2011-12-13 Engblom James A Display screen shades for mobile devices
JP5551970B2 (ja) 2010-05-27 2014-07-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9192066B2 (en) 2010-08-27 2015-11-17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JP5693117B2 (ja) * 2010-09-28 2015-04-0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620779B2 (ja) * 2010-10-12 2014-11-0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1688942B1 (ko) * 2010-09-03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8143982B1 (en) 2010-09-17 2012-03-27 Apple Inc. Foldable accessory device
US8395465B2 (en) 2010-09-17 2013-03-12 Apple Inc. Cover for an electric device
US8390411B2 (en) * 2010-09-17 2013-03-05 Apple Inc. Tablet device
US8242868B2 (en) 2010-09-17 2012-08-1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magnetic attachment system
US8390412B2 (en) * 2010-09-17 2013-03-05 Apple Inc. Protective cover
US8289115B2 (en) * 2010-09-17 2012-10-16 Apple Inc. Sensor fusion
US8344836B2 (en) 2010-09-17 2013-01-01 Apple Inc. Protective cover for a tablet computer
CN101980099B (zh) * 2010-09-27 2012-1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保护摄像头功能的电子装置及方法
KR101843337B1 (ko) * 2010-10-28 2018-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3015788A (ja) * 2011-07-06 2013-01-24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17656B1 (ko) * 2011-12-13 2018-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US9202229B2 (en) * 2012-06-13 2015-12-01 Nintendo Of America Inc. Systems and/or methods for managing “show-rooming” practices
CN103576749B (zh) * 2012-08-01 2018-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20140055047A (ko) * 2012-10-30 2014-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79017B1 (ko) * 2012-11-02 2019-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접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WO2014105182A1 (en) * 2012-12-28 2014-07-03 Intel Corporation Dual configuartion computer
JP6116336B2 (ja) * 2013-04-24 2017-04-19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カメラ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端末
USD754125S1 (en) 2013-09-09 2016-04-1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760217S1 (en) 2013-09-09 2016-06-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KR20150114308A (ko) * 2014-04-01 201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JP5856237B2 (ja) * 2014-06-19 2016-02-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6039620B2 (ja) * 2014-08-26 2016-12-0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KR102222131B1 (ko) * 2014-11-28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 및 방법
USD789924S1 (en) * 2015-01-16 2017-06-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CN107015736B (zh) * 2016-01-27 2020-08-21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按键处理方法和装置、一种用于按键处理的装置
JP1573612S (ko) 2016-02-27 2017-04-10
KR102567144B1 (ko) 2016-04-26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492684B2 (en) 2017-02-21 2019-12-03 Arc Devices Limited Multi-vital-sign smartphone system 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US10602987B2 (en) 2017-08-10 2020-03-31 Arc Devices Limited Multi-vital-sign smartphone system 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KR102481292B1 (ko) * 2018-04-13 202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85431B1 (en) * 2018-05-21 2019-11-26 ARC Devices Ltd. Glucose multi-vital-sign system i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KR20200115861A (ko) * 2019-03-28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4191A (ja) * 1990-11-19 1992-07-01 Casio Comput Co Ltd 小型電子機器
JP3255995B2 (ja) *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US5590021A (en) * 1993-07-16 1996-12-31 Register; David S. Secondary display system for computer
US5414444A (en) * 1994-03-30 1995-05-09 At&T Corp. Personal communicator having orientable video imaging element
JP2690685B2 (ja) * 1994-04-18 1997-12-10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機能付携帯無線機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JPH0863437A (ja) * 1994-08-23 1996-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情報端末機
DE19520947C5 (de) * 1995-06-02 2012-04-05 Constin Design Gmbh Tragbarer Computer mit Telekommunikationseinrichtung
US5696529A (en) * 1995-06-27 1997-12-09 Silicon Graphics, Inc. Flat panel monitor combining direct view with overhead projection capability
JP3086641B2 (ja) * 1995-08-29 2000-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
JP3088282B2 (ja) * 1996-04-22 2000-09-18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5896575A (en) * 1997-02-28 1999-04-20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viewable from two opposite ends
KR200172315Y1 (ko) * 1997-03-26 2000-04-01 김기일 비상 경보 및 음성과 영상 획득 기능을 가진 휴대폰
JP4243344B2 (ja) * 1997-05-23 2009-03-25 株式会社Access 移動通信機器
US6141358A (en) * 1997-07-25 2000-10-31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sub-stream splice points in an information stream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US6223233B1 (en) * 1998-02-24 2001-04-24 Xircom Wallet for personal information device
JPH11341121A (ja) * 1998-05-28 1999-12-10 Nec Corp 移動無線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53113A (ja) 2000-09-14
KR20000076732A (ko) 2000-12-26
US6466202B1 (en) 200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796B1 (ko) 정보 단말 장치
KR100304484B1 (ko) 정보통신단말장치
US8115798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US7043284B2 (en) Integrated cellular phone, digital camera, and PDA, with swivel mechanism providing access to the interface elements of each function
US7269443B2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camera lens opening means in closed folder
JP3910112B2 (ja) カメラ付携帯電話機
US20040209645A1 (en) Portable terminal
EP1667409A1 (en) Foldable phone with slidable housing to protect display and camera
JP2002094629A (ja) 情報通信端末装置
JP3561709B2 (ja) 携帯電話機
KR1005265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9415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AU200720132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nhanced image communication capability
JP2010004547A (ja) 携帯端末装置
KR20040077189A (ko)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69372A (ko) 폴더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JP2006287950A (ja) 撮像カメラ付きの折畳み式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