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921B1 -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921B1
KR101000921B1 KR1020030093169A KR20030093169A KR101000921B1 KR 101000921 B1 KR101000921 B1 KR 101000921B1 KR 1020030093169 A KR1020030093169 A KR 1020030093169A KR 20030093169 A KR20030093169 A KR 20030093169A KR 101000921 B1 KR101000921 B1 KR 101000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con
pressed
window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2839A (ko
Inventor
김태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921B1/ko
Priority to US10/994,454 priority patent/US20050134681A1/en
Priority to CNB2004100821194A priority patent/CN100419653C/zh
Publication of KR2005006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7Switches, knob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용 장치에 부착된 기능버튼들을 이용하여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주위에 배열된 입력 버튼들을 포함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 사용자가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지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입력 버튼들에 대응하는 문자 및/또는 숫자 입력용 아이콘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b) 상기 입력 버튼들 중에서 어느 한 버튼이 눌려지면, 눌려진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방법 {The control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or numeral in a mobile digit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이용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문 대문자 입력 모드를 나타내는 액정 모니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영문 소문자 입력 모드를 나타내는 액정 모니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숫자 입력 모드를 나타내는 액정 모니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변경 및 수정 모드를 나타내는 액정 모니터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입력 종료 확인 모드를 나타내는 액정 모니터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디지털 카메라 300 : 액정 모니터
301 : 제1영역 302: 제2영역
306 : 영문 소문자 모드창 307 : 영문 대문자 모드창
308 : 숫자 모드창 331 : 제1아이콘
334 : 제4아이콘 335 : 제5아이콘
340 : 제2아이콘 350 : 제3아이콘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 대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성능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촬영한 사진 등에 문자 등을 입력하는 등 사용자 중심의 편집 기능이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 필수 요소처럼 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장치에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7-0063983호 및 제1997-0063993호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7-0063983호에서는 모니터 상에 문자판을 디스플레이시키고, 문자판을 손으로 터치하면 이를 감지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7-0063993호에서는, 모니터 상에 문자판을 디스플레이시키고, 문자판을 커서키로 이동시켜 입력창에 문자를 입력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1-0052934호에서는 음성 인식을 통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7-0063983호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경우 손의 터치를 감지하는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며,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7-0063993호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커서키를 일일이 이동시키면서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1-0052934호에서도 별도의 음성 인식 장치 및 사용자의 음성을 기억하는 메모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휴대용 장치에 부착된 입력버튼들을 이용하여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주위에 배열된 입력 버튼들을 포함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 사용자가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지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입력 버튼들에 대응하는 문자 및/또는 숫자 입력용 아이콘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b) 상기 입력 버튼들 중에서 어느 한 버튼이 눌려지면, 눌려진 입력 버튼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b)단계가, (b1) 상기 아이콘들 중에서 제1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이 소정의 시간 이내로 눌려지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력 모드를 표시하는 창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2) 상기 아이콘들 중에서 제2아이콘 및 제3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입력 모드창들 중의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b3) 상기 제1아이콘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이 소정의 시간 이내로 다시 눌려지면 각 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의 신호를 변경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모드창들이 영문 대문자 모드('영문(대)'), 영문 소문자 모드('영문(소)') 및 숫자 모드('숫자')를 표시하는 창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b)단계가, (b11) 상기 아이콘들 중에서 제1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이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눌려지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종료 확인('OK') 및 종료 취소('Cancel')를 표시하는 창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12) 상기 아이콘들 중에서 제4아이콘 및 제5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종료 확인('OK')창 및 종료 취소('Cancel')창들 중의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b13) 상기 종료 확인('OK')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이 다시 눌려지면 문자 및/또는 숫자 입력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b)단계가, (b21) 상기 아이콘들 중에서 제1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이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눌려지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종료 확인('OK') 및 종료 취소('Cancel')를 표시하는 창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22) 상기 아이콘들 중에서 제4아이콘 및 제5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종료 확인('OK')창 및 종료 취소('Cancel')창들 중의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b23) 상기 종료 취소('Cancel')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이 다시 눌려지면, (a)단계를 다시 실행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b)단계가, (b31) 상기 아이콘들 중에서 제1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이 소정의 시간 이내로 눌려지면, 상기 입력 버튼들에 대응하는 문자 및/또는 숫자 수정용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32) 상기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면, 눌려진 입력버튼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수정하는 단계, 및 (b33) 상기 제1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이 소정의 시간 이내로 다시 눌려지면, (a)단계를 다시 실행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휴대용 디지털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200)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로서 액정 모니터(220)가 케이스(210) 배면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정 모니터(220)의 주변에는 다수개의 입력버튼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위쪽에는 'WIDE/THUMBNAIL' 버튼(240)과 'TELE' 버튼(250)이 배치되어 있고, 액정 모니터(280)의 우측 중앙부에 '메뉴/OK' 버튼(231)과 4개의 방향 버튼들(232, 233, 234, 235)을 구비하는 5기능 버튼(23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정 모니터(280)의 우측 하부에 재생 버튼(290)이 배치되어 있고, 액정 모니터(280)의 좌측에는 위쪽으로부터 '재생&잠시 멈춤' 버튼(260), 'MF/삭제' 버튼(270), 'LCD/INFORMATION' 버튼(280)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입력 버튼들을 사용자가 누를 경우, 디지털 카메라(200)의 제어부(미도시)는 각 입력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를 받게 된다.
도 2는 사용자가 입력 모드를 실행할 경우, 디지털 카메라(200)의 제어부(미도시)가 액정 모니터(300)에 각 입력 버튼들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낸다. 액정 모니터(300)는 크게 제1영역(301)과 제2영역(302)으로 두 개의 창으로 분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제1영역(301)의 상측에는 입력 모드를 나타내는 영문 소문자 모드창(306), 영문 대문자 모드창(307), 숫자 모드창(308)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 상대적으로 짙게 디스플레이되는 창(307)은 활성화된 입력 모드창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모드를 실행할 경우 처음에는 영문 대문자 모드창(307)이 디폴트로서 활성화된다. 제1영역(301)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개의 아이콘들의 상대적인 위치는 입력 버튼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각각 대응된다. 따라서, 액정 모니터(220)에 대응되는 제12아이콘(320)의 좌측에는, 위쪽으로부터 각각 '재생&잠시 멈춤' 버튼(260), 'MF/삭제' 버튼(270), 'LCD/INFORMATION' 버튼(280)에 대응하는 제8아이콘(360), 제9아이콘(370), 제10아이콘(380)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제12아이콘(320) 좌측 중앙에는 5기능 버튼(230)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1아이콘(331), 제4아이콘(334), 제5아이콘(335), 제6아이콘(332), 및 제7아이콘(333)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또한, 그 위에는 'WIDE/THUMBNAIL' 버튼(240)과 'TELE' 버튼(250)에 각각 대응하는 제2아이콘(340) 및 제3아이콘(35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제12아이콘(320)의 우측 하부에는 재생 버튼(290)에 대응하는 제11아이콘(39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각 아이콘에는 대응하는 입력 버튼을 누름으로써 입력할 수 있는 영문 대문자('A' 내지 'Z') 및 특수 기호('@', ':', '/', '-', '.', '?', '!')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있을 경우, 먼저 액정 모니터(300)에서 해당 문자를 포함하는 아이콘을 찾는다. 그 후에 상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입력 버튼의 신호를 받아, 제2영역(302)에 해당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입력 모드 중에서 영문 소문자 입력 모드일 경우에, 액정 모니터(400)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영역(401)의 상측에 입력 모드를 나타내는 영문 소문자 모드창(406), 영문 대문자 모드창(407), 숫자 모드창(408)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그 중에서 영문 소문자 모드창(406)이 활성화되어 있다. 또한, 영문 대문자 모드에서와 유사하게 제1 내지 제12아이콘들(431, 440, 450, 434, 435, 432, 433, 460, 470, 480, 490, 42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각 아이콘에는 대응하는 입력 버튼을 누름으로써 입력할 수 있 는 영문 소문자('a' 내지 'z') 및 특수 기호('@', ':', '/', '-', '.', '?', '!')가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그 후에 상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입력 버튼의 신호를 받아, 제2영역(402)에 해당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4는 입력 모드 중에서 숫자 입력 모드일 경우에, 액정 모니터(500)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영역(501)의 상측에 입력 모드창들(506, 507, 508)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그 중에서 숫자 모드창(506)이 활성화되어 있다. 또한, 영문 대문자 및 영문 소문자 모드에서와 유사하게 제1 내지 제12아이콘들(531, 540, 550, 534, 535, 532, 533, 560, 570, 580, 590, 52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각 아이콘에는 대응하는 입력 버튼을 누름으로써 입력할 수 있는 숫자('0' 내지 '9')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그 후에 상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입력 버튼의 신호를 받아, 제2영역(502)에 해당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입력 모드에서 입력 모드창을 변경하거나 입력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수정하고자 하면, 제1아이콘(331, 431, 531)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231)을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약 1초, 이내로 누를 경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변경 및 수정 모드 모드가 액정 모니터(600)에 디스플레이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버튼들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12아이콘들(631, 640, 650, 634, 635, 632, 633, 660, 670, 680, 690, 620)이 제1영역(601)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또한, 제1영역(601)의 상측에 입력 모드(605)를 나타내는 영문 소문자 모드창(606), 영문 대문자 모드 창(607), 숫자 모드창(608)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그 중에 현재의 입력 모드를 나타내는 영문 소문자 모드창(606)이 활성화되어 있다.
제2 및 제3아이콘(640, 650)은 각각 입력 모드의 선택 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2아이콘(640)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240)이 눌려지면 현재 활성화된 입력 모드창의 좌측창이 활성창이 되고, 제3아이콘(650)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250)이 눌려지면 현재 활성화된 입력 모드창의 우측창이 활성창이 된다. 그 후에 제1아이콘(631)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231)이 다시 소정의 시간 이내로 눌려지면, 제어부(미도시)는 각 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의 신호들을 변경 및 수정 모드에서 정해진 입력 모드로 변경시킨다.
변경 및 수정 모드 모드에서 입력 모드가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된 문자 및/또는 숫자의 수정도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및/또는 숫자의수정의 일 예로서 제8아이콘(660)에 해당하는 입력 버튼(260)이 눌려지면, 입력된 문자 및/또는 숫자들의 가장 끝부분에 커서(미도시)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4 내지 제7아이콘(632, 633, 634, 635)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232, 233, 234, 235)이 눌려지면, 제2영역(602)에 입력된 문자 및/또는 숫자들 중 원하는 곳으로 커서(미도시)가 각각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1아이콘(690)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290)이 눌려지면, 제2영역(602)의 커서(미도시)가 위치하는 문자 또는 숫자가 삭제된다. 입력된 문자 및/또는 숫자가 수정된 후에 제1아이콘(631)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231)이 소정의 시간 이내로 눌려지면, 제어부(미도시)는 입력 모드를 다시 디스플레이한다.
입력 모드 또는 변경 및 수정 모드에서, 제1아이콘(331, 431, 531, 631)에 대응하는 입력버튼(231)이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약 1초, 이상 눌려질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 종료 확인 모드가 액정 모니터(700)에 디스플레이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액정 모니터(700)의 상측에는 입력 모드의 종료 확인 여부를 표시하는 'OK'창(706) 및 'Cancel'창(707)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입력 버튼들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12아이콘들(731, 740, 750, 734, 735, 732, 733, 760, 770, 780, 790, 72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는 제4아이콘(734)과 제5아이콘(735)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234, 235)을 이용하여 'OK'창(706) 및 'Cancel'창(707)의 활성을 전환할 수 있다. 즉, 제4아이콘(734)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234)은 활성창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제5아이콘(735)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235)은 활성창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만일 'OK'창(706)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제1아이콘(731)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231)이 눌려지면, 제어부(미도시)는 문자 및/또는 숫자 입력 모드를 종료시킨다. 반대로 'Cancel'창(707)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제1아이콘(731)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231)이 눌려지면, 제어부(미도시)는 문자 및/또는 숫자 입력 모드를 다시 디스플레이시킨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력 버튼들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는 별도의 입력용 센서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주위에 배열된 입력 버튼들을 포함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 사용자가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도록 상기 휴대용 디지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입력 버튼들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 입력용 아이콘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a-1) 상기 입력 버튼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버튼을 누르면, 눌려진 상기 입력 버튼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는 단계; 및
    (b) 상기 입력 버튼들 중 다른 하나의 입력 버튼을 소정 시간 이내로 누르면 입력 모드 변경을 위한 창 또는 문자 또는 숫자 수정을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 버튼을 소정 시간 이상으로 누르면 종료 확인('OK') 및 종료 취소('Cancel')를 표시하는 창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 버튼이 소정의 시간 이내로 눌려지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력 모드를 표시하는 창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b2) 상기 아이콘들 중에서 제2아이콘 및 제3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입력 모드창들 중의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b3)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 버튼이 소정의 시간 이내로 다시 눌려지면 각 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의 신호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창들은 영문 대문자 모드('영문(대)'), 영문 소문자 모드('영문(소)') 및 숫자 모드('숫자')를 표시하는 창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1)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 버튼이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눌려지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종료 확인('OK') 및 종료 취소('Cancel')를 표시하는 창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b12) 상기 아이콘들 중에서 제4아이콘 및 제5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종료 확인('OK')창 및 종료 취소('Cancel')창들 중의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b13) 상기 종료 확인('OK')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 버튼이 다시 눌려지면 문자 또는 숫자 입력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21)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 버튼이 소정의 시간 이상으로 눌려지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종료 확인('OK') 및 종료 취소('Cancel')를 표시하는 창들을 것을 특징으로 하며;
    (b22) 상기 아이콘들 중에서 제4아이콘 및 제5아이콘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종료 확인('OK')창 및 종료 취소('Cancel')창들 중의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b23) 상기 종료 취소('Cancel')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 버튼이 다시 눌려지면, (a)단계를 다시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31)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 버튼이 소정의 시간 이내로 눌려지면, 상기 입력 버튼들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숫자 수정용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b32) 상기 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면, 눌려진 입력버튼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신호를 입력 받아 입력된 문자 또는 숫자를 수정하는 단계; 및
    (b33) 상기 다른 하나의 입력 버튼이 소정의 시간 이내로 다시 눌려지면, (a)단계를 다시 실행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지털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30093169A 2003-12-18 2003-12-18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제어방법 KR101000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169A KR101000921B1 (ko) 2003-12-18 2003-12-18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제어방법
US10/994,454 US20050134681A1 (en) 2003-12-18 2004-11-22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into a mobile digital device
CNB2004100821194A CN100419653C (zh) 2003-12-18 2004-12-17 将信息输入到可移动数字装置中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169A KR101000921B1 (ko) 2003-12-18 2003-12-18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839A KR20050062839A (ko) 2005-06-28
KR101000921B1 true KR101000921B1 (ko) 2010-12-13

Family

ID=3467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169A KR101000921B1 (ko) 2003-12-18 2003-12-18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134681A1 (ko)
KR (1) KR101000921B1 (ko)
CN (1) CN1004196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01050A (en) * 2005-06-27 2007-01-01 Compal Electronics Inc A user interface with figures mapping to the keys, fo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nd control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03796B1 (ko) * 2005-08-11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촬영 장치
US8223213B2 (en) * 2005-12-07 2012-07-17 Wireless Avionics Wireless and CCTV megapixel digital camera for surveillance and unmanned air vehicles
KR100793835B1 (ko) * 2006-02-21 2008-01-10 서문훈 전자서명 입력오류 방지 방법
US20080046839A1 (en) * 2006-06-27 2008-02-21 Pixtel Media Technology (P) Ltd. Input mode switching methods and devices utilizing the same
KR101158958B1 (ko) * 2006-07-18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5556398B2 (ja) * 2010-06-08 2014-07-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46440B2 (ja) * 2018-04-26 2022-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361A (ja) 2000-06-16 2002-01-11 Puresuto:Kk 表示した文字を選択入力する携帯電話機
JP2002318655A (ja) 2001-04-18 2002-10-31 Isao Nagaoka 文字入力機能付き電話機、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2002335321A (ja) 2001-05-11 2002-11-22 Masatoshi Oka 携帯電話機の電話番号等構成手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9980A (ja) * 1994-11-08 1996-05-31 Canon Inc 撮像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5517257A (en) * 1995-03-28 1996-05-14 Microsoft Corporation Video contro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video movie
US5956034A (en) * 1996-08-13 1999-09-21 Softbook Pr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electronic reading materials
US6104334A (en) * 1997-12-31 2000-08-15 Eremote, Inc. Portable internet-enabled controller and information browser for consumer devices
US6154210A (en) * 1998-11-25 2000-11-28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button interface compatibility in touch-screen equipped digital imaging device
JP2000253113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US6952229B1 (en) * 1999-04-13 2005-10-04 Seiko Eps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having input devices and a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et information items
CN1276554A (zh) * 2000-04-26 2000-12-13 丘福庆 九键英文活版输入法
JP2002057930A (ja) * 2000-05-30 2002-02-22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7168046B2 (en) * 2001-04-26 2007-0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6559866B2 (en) * 2001-05-23 2003-05-06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support for a remote control device
US7265786B2 (en) * 2002-09-13 2007-09-04 Eastman Kodak Company Display overlay containing spatially-distributed menu options for a digital camera user interface
USD523439S1 (en) * 2004-06-10 2006-06-20 Pantax Corporation Display panel with computer icons and corresponding buttons for digital camer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361A (ja) 2000-06-16 2002-01-11 Puresuto:Kk 表示した文字を選択入力する携帯電話機
JP2002318655A (ja) 2001-04-18 2002-10-31 Isao Nagaoka 文字入力機能付き電話機、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2002335321A (ja) 2001-05-11 2002-11-22 Masatoshi Oka 携帯電話機の電話番号等構成手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9791A (zh) 2005-06-22
US20050134681A1 (en) 2005-06-23
KR20050062839A (ko) 2005-06-28
CN100419653C (zh)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5502B2 (ja) 入力装置
US8963842B2 (en) Integrated hardware and software user interface
US7222307B2 (en) Multipurpose navigation keys for an electronic imaging device
US77618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ch screen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US2015008488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modes for one-handed operation
JP5782168B2 (ja) 入出力方法及び電子機器
WO2010008078A1 (ja) 情報端末
EP2899620A1 (en) Screen unlocking unit and screen unlocking method thereof as well as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US20120231853A1 (en) Information terminal and input control program
KR101000921B1 (ko)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제어방법
WO2006096026A1 (en) Computer for the blind
US7948475B2 (en) Key control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US20080231477A1 (en) Inputting information using a scroll key
KR2007006656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 스트로크 인식 인터페이스 입력방법
KR100697026B1 (ko)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65218B1 (ko) 문자/숫자/기호의 입력과 출력을 요하는 전자기기의입력장치
KR1008683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04551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콘 선택에 따른 도움말 표시방법
KR1006440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방법
KR20040026549A (ko)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 이동 방법
KR101039894B1 (ko) 바탕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KR10133094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JP2008242583A (ja) 携帯端末装置のメニュー表示方法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0470553B1 (ko) 방위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방향이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