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796B1 -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796B1
KR100703796B1 KR1020050073838A KR20050073838A KR100703796B1 KR 100703796 B1 KR100703796 B1 KR 100703796B1 KR 1020050073838 A KR1020050073838 A KR 1020050073838A KR 20050073838 A KR20050073838 A KR 20050073838A KR 100703796 B1 KR100703796 B1 KR 10070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track ball
shutter
us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869A (ko
Inventor
이치로코스기
윤희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7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7Switches, knob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촬영 장치가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여러 가지 동작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다기능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촬영하거나, 소정 방향으로 조작되어 상기 조작된 방향에 할당된 동작 명령을 발생시키는 다기능 입력 장치와, 상기 다기능 입력 장치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메뉴 온/오프 버튼과, 상기 다기능 입력 장치로부터 발생된 동작 명령에 따라 입력 및 촬영된 영상 또는 상기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을 포함한다.
촬영 장치, 다기능 입력 장치, 트랙볼

Description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Verastile input device and portable photograph device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장치에 구비된 다기능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입력 장치의 조립도 및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촬영 장치 110 : 다기능 입력 장치
120 : 메뉴 온/오프 버튼 130 : 디스플레이 화면
111 : 셔터 112 : 트랙볼
113 : 도전성 고무 114 : 센서
115 : 지지판 116 : 스프링
117 : 결합판
본 발명은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촬영 장치가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여러 가지 동작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다기능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이용하여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반도체 기억소자나 자기 테이프와 같은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영상 입력 및 저장 기기이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의 종류는 크게 영상을 단속적으로 촬영하여 반도체 기억소자에 저장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 DSC)와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자기 테이프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 DVC)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셔터(1),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줌(ZOOM) 조정 버튼(2),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온/오프 버튼(3), 및 메뉴가 온(on)된 경우 LCD 화면에 제공된 메뉴 항목들로 이동 및 선택하거나, 메뉴가 오프(off)된 경우 설정 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5방향 버튼(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는 점차 소형화 되어가는 반면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되는 기능은 많아지기 때문에 소정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이 위치되기 위한 공간이 협소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형화되는 휴대용 촬영 장치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 버튼을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일본공개특허 1998-068992(영상 기록 장치)는 카메라 상측부에 트랙볼(trackball)을 형성하고, 상기 트랙볼을 이용하여 셔터 기능(shutter button), 포커스 초점 기능 및 측광(測光) 모드 버튼 혹은 줌(zoom) 모드 버튼이 누름과 동시에 상기 트랙볼을 회전시켜 측광 포인터 또는 줌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과 트랙볼을 동시에 선택한 후 동작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소형화 되어가는 카메라 장치에 다수개 구비된 기능 버튼들을 줄이는 구성에 대한 기술은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동작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다기능 입력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촬영 장치에 다기능 입력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지 않는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촬영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일부 돌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조작되는 트랙볼과, 상기 트랙볼의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트랙볼을 지지하며, 상기 트랙볼이 조작됨에 따라 이동된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트랙볼의 각 방향에 설정된 동작 명령을 발생시키는 센서와, 상기 촬영 명령에 따라 눌려진 셔터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촬영하거나, 소정 방향으로 조작되어 상기 조작된 방향에 할당된 동작 명령을 발생시키는 다기능 입력 장치와, 상기 다기능 입력 장치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메뉴 온/오프 버튼과, 상기 다기능 입력 장치로부터 발생된 동작 명령에 따라 입력 및 촬영된 영상 또는 상기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촬영 장치(100)는 다기능 입력 장치(110), 메뉴 온/오프 버튼(120), 디스플레이 화면(130), 및 렌즈(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기능 입력 장치(110)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동작 명령을 수행하거나 소정 방향으로의 조작에 따른 동작 명령을 수행하는 것으로, 셔터(shutter), 트랙볼(trackball), 도전성 고무, 센서, 지지판, 2단 스위치, 스프링, 및 결합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다기능 입력 장치(110)는 소정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셔터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렌즈의 초점거리를 넓은 폭의 신축성을 갖고 길고 짧게 할 수 있는 줌 기능, 즉 피사체를 작게 해서 보도록 하는 줌 아웃(zoom out) 기능, 및 피사체를 크게 해서 보는 줌 인(zoom in) 기능을 포함하는 줌 기능과,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된 메뉴 항목들을 선택 또는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다기능 입력 장치는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메뉴 온/오프 버튼(120)은 다기능 입력 장치(110)와 연동되어 이용 가능한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 화면(130)을 통해 온/오프 시킨다.
예를 들어, 메뉴 온/오프 버튼(120)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30)에 메뉴 항목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다기능 입력 장치(110)를 이용하여 이용을 원하는 메뉴 항목으로 이동 및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130)은 다기능 입력 장치(110)의 동작 수행에 따라 입력 및 촬영된 영상 또는 메뉴 온/오프 버튼(120)이 선택됨에 따라 소정의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소정 영상 촬영, 줌 기능 동작, 및 메뉴 항목 선택/이동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입력 장치(110)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제품을 보다 소형화 하여 제작(생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하나의 입력 장치를 통해 많은 기능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촬영 장치(즉, 디지털 카메라)는 광학 블록부(10), 광전 변환부(20), 전신호 처리부(30), 주신호 처리부(40), 메모리부(50), 사용자 입력부(60), 마이크로 프로세서(70), 및 표시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광학 블록부(10)는 입사광을 집광시키는 렌즈부, 집광된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하며 셔터 버튼이 온(on)됨에 따라 소정 노출 시간 동안 개폐되는 조리개(iris), 및 입사광을 거울을 통해 반사하여 피사체를 확인하는 뷰 파인더(view finder)를 구비한다.
광전 변환부(20)는 광학 블록부(10)를 통해 집광된 2차원 광화상을 1차원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하기 위한 CCD(Charge Coupled Device), CCD를 구동하기 위한 CCD 구동 회로부를 구비한다.
전신호 처리부(30)는 광전 변환부(20)에서 받은 전기적 신호를 색분리, 흑백 레벨 보정 및 계조 변환 회로 등을 구비한다.
주신호 처리부(40)는 전신호 처리부(30)에 결합되어 전신호 처리부(30)의 출력을 아날로그/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Analog Digital converter)(41), 국제 표준화 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의 정지 화상 압축 표준인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방식으로 데이터의 압축/신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42)로 구성된다.
메모리부(50)는 주신호 처리부(40)에서 처리된 화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이미지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60)는 메모리부(50)를 액세스 하거나 화상 편집, 영역 선택, 줌 기능, 및 동작 모드 선택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인가한다. 즉, 사용자 입력부(60)는 다기능 입력 장치(110)를 통해 수행되는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다.
마이크로 프로세서(70)는 사용자 입력부(60)에서 받아들인 입력을 해석하고, 주신호 처리부(40), 및 메모리부(50)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처리한다.
디스플레이부(80)는 A/D 변환부(41)의 출력을 LCD(Liquid Crystal Device) 등과 같은 표시 소자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80)는 메뉴 온/오프 버튼(120)이 선택됨에 따라 소정의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촬영 장치에 구비된 다기능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입력 장치(110)는 셔터(111), 트랙볼(112), 도전성 고무(113), 센서(114), 지지판(115), 2단 스위치(도시되지 않음), 스프링(116), 및 결합판(1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셔터(111)는 사용자의 촬영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렌즈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셔터(111)를 누름으로써, 해당 영상이 촬영된다.
또한, 셔터(111)는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된 고정판(111a), 고정판(111a)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스프링(116)과 결합되어 스프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봉(111b), 및 고정판(111a)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결합판(117)과 결합되는 결합봉(111c)이 형성되어 있다.
트랙볼(112)은 셔터(111)에 형성된 고정판(111a)의 홀을 통하여 일부 돌출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 방향으로의 조작에 따른 동작 명령을 기초로 동작한다. 여기서, 트랙볼(112)은 사용자에 의해 셔터(111)가 눌려지면 같이 눌려져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트랙볼(112)는 상하좌우 4방향으로 조작 가능하며, 각각의 방향은 서로 다른 동작 명령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트랙볼(112)을 수직으로 눌러짐으 로써, 소정 항목을 선택하는 기능도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동작 명령은 렌즈의 줌 기능 및 메뉴 항목의 선택 또는 이동을 말한다.
또한, 트랙볼(112)의 내부에는 X축, Y축 베어링(112a)이 들어있고, 그 위에 트랙볼(112)이 얹혀져 있다. 이때, 트랙볼(112)을 굴리면 베어링(112a)이 따라서 회전하며, 이로써 트랙볼(112)이 어느 방향으로 굴렀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112a)은 트랙볼(112)의 회전을 매끄럽게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계식 트랙볼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광학식 트랙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전성 고무(113)는 트랙볼(112)의 하단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의해 셔터(111)가 눌려졌을 경우 전류를 연결시켜 준다.
센서(114)는 트랙볼(112)이 조작됨에 따라 이동된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트랙볼(112)의 각 방향에 설정된 동작 명령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센서(114)는 트랙볼(112)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과, 감시 수단을 통해 감지된 트랙볼(112)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설정된 동작 명령을 출력하고, 출력된 동작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센서(114)는 지지판(115)의 상면 각 끝단에 위치되며, 트랙볼(112)의 베어링(112a)은 센서(114)의 상면 위치된다.
지지판(115)은 셔터(111) 및 트랙볼(112)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지지판(115)의 상면에는 센서(114)가 위치되며, 셔텨(111) 및 트랙볼(112)이 사용자에 의해 수직으로 눌려졌을 때 소정 깊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 개수의 홀(115a)이 형성되어 있다.
2단 스위치는 지지판(115)의 하단에 위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셔터(111)가 동작됨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 즉 렌즈의 포커스 및 조리개의 소정 노출 시간을 조정하여 빛의 양을 조절하는 제1 스위치, 및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제2 스위치로 구성된다.
스프링(116)은 셔터(111)의 동작에 따라 눌려진 2단 스위치를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여기서, 스프링(116)은 셔터(111)의 고정봉(111b)과 결합된다.
결합판(117)은 다수개의 결합홈(117a)를 구비한 것으로, 즉 셔터(111), 트랙볼(112), 도전성 고무(113), 센서(114), 지지판(115), 2단 스위치, 및 스프링(116)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구성되면, 상기 셔터(111)의 결합봉(111c)과 결합홈(117a)이 결합된다.
예를 들어, 결합판(117)의 다수개 결합홈(117a)과 셔터(111)의 결합봉(111c)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 적층된 다수의 구성요소들(111 내지 116)이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입력 장치의 조립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는 다기능 입력 장치(110)가 조립된 도면이고, 도 5b는 다기능 입력 장치(11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111)의 결합봉(111c)과 결합판(117)의 결합홈(117a)가 결합되어 하나의 다기능 입력 장치(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트랙볼(112)은 셔 터의 고정판(111a)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일부 돌출되고, 트랙볼(112)의 하단에 도전성 고무(113) 및 지지판(115)이 위치된다.
또한, 지지판(115)의 상단 각 끝단에는 센서(114)가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트랙볼(112)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며, 지지판(115)의 하단에는 2단 스위치(118) 및 셔텨(111)가 눌려질 때 2단 스위치(118)와 맞닿아 2단 스위치(118)를 눌려주는 돌기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휴대용 촬영 장치에 구비된 다기능 입력 장치의 기능을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다기능 입력 장치(110)는 카메라 촬영 기능, 렌즈의 줌 기능, 및 메뉴 선택/이동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용 촬영 장치(100)에 구비된 다기능 입력 장치(110)의 기능 중 카메라 촬영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셔터(111)를 살짝 누른다. 이에, 전도성 고무(113)가 눌려져 전류를 연결시키고, 지지판(115)의 하단에 돌출된 돌기가 2단 스위치의 제1 스위치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사용자는 셔터(111)를 누를 경우 셔터(111)에 형성된 고정판(111a)의 홀을 통하여 일부 돌출된 트랙볼(112)도 함께 눌려진다.
그 다음, 제1 스위치가 동작되어 렌즈의 포커스 및 조리개의 소정 노출 시간을 조정하여 빛의 양을 조절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셔터(111)를 한번 더 누르면 제2 스위치가 동작되어 사진을 촬영한다.
휴대용 촬영 장치(100)에 구비된 다기능 입력 장치(110)의 기능 중 렌즈의 줌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렌즈를 통해 소정 영상이 입력되면 사용자는 트랙볼(112) 부분을 손으로 좌우 회전 시킨다. 여기서, 사용자가 트랙볼(112)을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줌 인(zoom in) 기능이 동작하고, 사용자가 트랙볼(112)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줌 아웃(zoom out) 기능이 동작된다.
이에, 트랙볼(112)이 회전됨에 따라 베어링(112a)이 회전되고, 센서(114)는 베어링(112a)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130)을 보면서 트랙볼(112)을 회전시켜 원하는 화면 크기(SIZE)를 선택하고, 이 후 사용자는 셔터(111)를 눌려 선택된 화면 크기로 소정 영상을 촬영한다.
휴대용 촬영 장치(100)에 구비된 다기능 입력 장치(110)의 기능 중 메뉴 온(on) 상태일 때의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메뉴 버튼(120)을 선택하여 메뉴를 온(on)시키면, 디스플레이 화면(130)에 OSD로 메뉴 항목들이 트리(tree) 구조로 디스플레이 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트랙볼(112)을 상하좌우로 회전시키면서 메뉴 항목에 위치된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도시되지 않음)를 이동시킨다. 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에 위치된 포인터가 사용자의 트랙볼(112)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이용을 원하는 메뉴 항목에 포인터를 위치시키고, 트랙볼(112)을 수직방향으로 눌러 해당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따라서, 휴대용 촬영 장치(100)에 여러 가지 동작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다기능 입력 장치(110)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하나의 다기능 입력 장치(110)를 조작하여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다기능 입력 장치(110)만을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촬영 장치(100)를 더욱 소형화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휴대용 촬영 장치에 여러 가지 동작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다기능 입력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다기능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촬영 장치에 다기능 입력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소형화된 휴대용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사용자의 촬영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셔터;
    상기 셔터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일부 돌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조작되는 트랙볼;
    상기 트랙볼의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트랙볼을 지지하며, 상기 트랙볼이 조작됨에 따라 이동된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트랙볼의 각 방향에 설정된 동작 명령을 발생시키는 센서; 및
    상기 촬영 명령에 따라 눌려진 셔터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트랙볼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 및
    상기 감지된 이동 방향에 따라 설정된 동작 명령을 출력하고, 출력된 동작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입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명령은 줌 인/줌 아웃 기능 또는 메뉴 이동/선택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입력 장치.
  4.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촬영하거나, 소정 방향으로 조작되어 상기 조작된 방향에 할당된 동작 명령을 발생시키는 다기능 입력 장치;
    상기 다기능 입력 장치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한 메뉴 항목을 제공하는 메뉴 온/오프 버튼; 및
    상기 다기능 입력 장치로부터 발생된 동작 명령에 따라 입력 및 촬영된 영상 또는 상기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촬영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셔터;
    상기 셔터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일부 돌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조작되는 트랙볼;
    상기 트랙볼의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트랙볼을 지지하며, 상기 트랙볼이 조작됨에 따라 이동된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트랙볼의 각 방향에 설정된 동작 명령을 발생시키는 센서; 및
    상기 촬영 명령에 따라 눌려진 셔터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촬영 장치.
KR1020050073838A 2005-08-11 2005-08-11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촬영 장치 KR100703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838A KR100703796B1 (ko) 2005-08-11 2005-08-11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838A KR100703796B1 (ko) 2005-08-11 2005-08-11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869A KR20070019869A (ko) 2007-02-15
KR100703796B1 true KR100703796B1 (ko) 2007-04-06

Family

ID=4162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838A KR100703796B1 (ko) 2005-08-11 2005-08-11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7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042Y1 (ko) * 2004-06-28 2004-09-16 김경태 문자 및 부호입력 카메라
KR20050062839A (ko) * 2003-12-18 2005-06-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2839A (ko) * 2003-12-18 2005-06-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문자 및/또는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제어방법
KR200362042Y1 (ko) * 2004-06-28 2004-09-16 김경태 문자 및 부호입력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869A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7358B2 (ja) 顔検出枠の表示方法、文字情報の表示方法及び撮像装置
EP1981261B1 (en) Imag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374520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9155815A (zh) 摄像装置及其设定画面
CN101360190B (zh) 摄影装置和摄影装置的控制方法
JP2008141518A (ja) 撮影装置
JP566501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06427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
JP2007049484A (ja) デジタルカメラ
CN101359085B (zh) 数字单反相机和数字单反相机的控制方法
CN101373254A (zh) 摄影装置及摄影装置的控制方法
JP4788172B2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60599A (ja) 画像表示装置、電子カメラ
JP200522929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0703796B1 (ko) 다기능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촬영 장치
JP520315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6399120B2 (ja) 撮像装置
JP4923674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フォーカス位置特定方法、プログラム
JP2012029119A (ja) 表示制御装置、カメラ、および、表示装置
JP5372439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64135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71564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0141458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7201774A (ja) 移動方向検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0239553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