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308A -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308A
KR20150114308A KR1020140038819A KR20140038819A KR20150114308A KR 20150114308 A KR20150114308 A KR 20150114308A KR 1020140038819 A KR1020140038819 A KR 1020140038819A KR 20140038819 A KR20140038819 A KR 20140038819A KR 20150114308 A KR20150114308 A KR 20150114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cover
display
data
electronic devi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4308A/ko
Priority to EP15159871.1A priority patent/EP2938049B1/en
Priority to PCT/KR2015/002769 priority patent/WO2015152546A1/en
Priority to CN201580018486.4A priority patent/CN106170931A/zh
Priority to US14/676,684 priority patent/US9509360B2/en
Publication of KR20150114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가 제공된다. 플립커버는 제 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와 연결가능하며, 제 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 1 면, 적어도 하나의 광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대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광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FLIP COVER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장치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플립커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성을 가진 젤리, 플라스틱, 고무, 가죽 또는 패브릭 등의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커버들이 소개되고 있다. 커버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대한 스크래치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커버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보호 역할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제조 또는 선택되는 패션 액세서리로서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커버들에는 장착 시 휴대용 전자장치의 스크린이 있는 전면이 노출되고 휴대용 전자장치의 측면 및 후면 등을 감싸는 케이스형 커버, 휴대용 기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형 커버, 또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에 결합되고 휴대용 전자장치의 스크린이 있는 전면을 보호하는 덮개를 가진 플립커버 등이 있다.
케이스형 커버는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장치의 스크린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반면, 스크린을 보호하는 기능은 플립커버에 비해 떨어질 수 있다. 플립커버는 휴대용 기기의 전면을 보호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를 사용하거나 사용을 마치면 플립커버의 덮개를 열거나 닫는 동작이 추가로 요구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플립커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플립커버에 투명창을 장착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를 장착하여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간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장치와 플립커버 간의 별도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없이 전자장치에서 플립커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플립커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를 갖도록 제 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와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립커버에 있어서, 제 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 1 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된 빛을 수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대향 하는 제 2 면 및 상기 광수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립커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면은 제 1 태양전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립커버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제 1 태양전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 되는 빛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면은 광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송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광송신부는 직렬 전송방식으로 상기 전자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수신부는 병렬 전송 방식으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면은 제 2 태양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와 연결 가능한 플립커버에 있어서, 제 2 디스플레이부 포함하는 제 1 면, 적어도 하나의 광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에 대향 하는 제 2 면 및 전력 상기 광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립커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면은 제 1 태양전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태양전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면은 광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송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송신부는 직렬 방식으로 상기 전자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수신부는 병렬 방식으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면은 제 2 태양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를 갖는 플립커버와 연결가능한 전자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플립커버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플립커버가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데이터 패턴을 표시하여 상기 플립커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패턴은 상기 데이터의 이진 값에 대응하여 밝기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을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에 이진 값에 대응하는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플립커버에 포함된 제 1 태양전지가 전력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플립커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직렬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수신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플립커버와 연결가능한 전자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모드 또는 상기 플립커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2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이진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플립커버의 상기 광수신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플립커버는 제 1 태양전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2 모드에서 제 2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플립커버의 제 1 태양전지가 전력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플립커버의 상기 제 1 태양전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센서부는 상기 플립커버로부터 직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플립커버로부터 직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는 제 1 디스플레이, 센서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와 상기 센서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를 갖도록 상기 본체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본체에 접혀서 닫히는 제 2 면에는 제 1 태양전지, 광수신부 및 광송신부를 포함하고, 제 2 면에는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플립커버 및 상기 플립커버가 열림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를 제 1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플립커버가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를 제 2 모드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제 1 영역에 이진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플립커버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광수신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제 2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플립커버의 제 1 태양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플립커버의 제 1 태양전지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제 2 영역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태양전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광송신부에 대향하는 상기 본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플립커버로부터 시리얼 전송방식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플립커버의 광수신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패턴을 통해 병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플립커버는 본체의 제1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플립커버의 제 2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어, 별도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없이 본체와 플립커버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립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플립커버의 동작 및 플립커버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플립커버의 외부, 내부 및 전자장치와 결합한 상태에서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플립커버와 전자장치 간에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플립커버로 전송할 데이터의 포맷과 이에 대응하여 전자장치의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데이터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플립커버와 전자장치의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붙여졌다.
또한, 아래에서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에 다른 구성요소를 부가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e-book)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웨어러블(wearable)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된 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립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20)에 플립커버(106)가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자장치(120)는 디스플레이(118), 홈버튼(122), 스피커(110), 근조도센서(112, 114) 및 카메라(116)를 포함할 수 있다.
근조도센서(112, 114)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반사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를 위한 홀(112) 및 수광부를 위한 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수광부는 하나 이상의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근조도센서(112, 114)는 근접센서의 기능, 조도센서의 기능 및 제스처 센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근조도센서가 근접센서의 기능을 할 경우는 물체가 근접했을 때 발광부에서 발광한 적외선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물체의 근접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화면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 있다. 근접센서 기능은 통화 중에 휴대폰을 사용자가 귀에 밀착시켰는지, 아니면 화면을 보는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휴대폰이 귀에 밀착된 경우에는 화면을 꺼서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근조도센서가 조도센서의 기능을 할 경우에는 주변의 밝기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화면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조도센서의 기능은 주변의 밝기 및 조명을 감지하여 화면의 밝기 혹은 색감을 조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근조도센서가 제스처 센서의 기능을 할 경우에는 발광부에서 발광한 적외선을 수광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가 수광하여, 근접한 물체의 이동 및 방향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근접한 물체의 이동 및 이동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별개의 근접센서, 조도센서 및 제스처센서를 사용해도 위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플립커버(106)는 투명창(102), 직사각형홀(104) 및 연결부(10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플립커버(106)가 닫힌 상태에서는 투명창(102)을 통해 디스플레이(117)의 일부 영역을 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립커버의 동작 및 플립커버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플립커버(200)는 제 1 디스플레이(404)를 포함하는 전자장치(400)와 연결가능하며, 접철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플립커버(200)는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404)를 덮을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플립커버(200)는 '닫힘' 상태와 '열림' 상태를 가질수 있으며, '닫힘' 상태에서 외부를 향하는 제 1 면 및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404)를 향하는 제 2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플립커버(200)는 스피커홀(202) 및 제 2 디스플레이(20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홀(202)은 플립커버(200)를 관통하는 홀이며, 전자장치(400)의 스피커(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도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피커홀(202) 양쪽 옆에는 제 2 태양전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제 2 태양전지는 플립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 플립커버(200)에 포함된 각종 전자 부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플립커버(200)는 전자장치(4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2 디스플레이(204)에 이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플립커버(200)는 전자장치(400)에 장착된 제 1 디스플레이(404)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플립커버(200)에 포함된 제 2 디스플레이(204)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이하 'EPD')와 같은 저전력을 소모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PD는 EPD 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를 유지하는데 전력소모가 적고, 이미지를 바꾸는데 전력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플립커버(200)에 EPD가 포함된 경우, EPD 스크린에는 시계, 날씨, 뉴스, 주식 정보 등이 일정 시간주기 또는 정보를 갱신하는 이벤트에 따라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플립커버(200)의 제 2 디스플레이(204)에는 전자책(e-book)이 표시될 수 있다. 전자장치(400)는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전자책에 대한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204)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에서 도서 선택, 책장 넘기기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장치(400)의 버튼 또는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전자장치(400)의 모션 센싱 또는 음성 인식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204)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디스플레이(204)에서 직접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플립커버(200)의 제 2 디스플레이(204)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도 있고, 제 2 디스플레이(204)는 항상 데이터 또는 정보가 표시되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400)는 제 1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후술할 것이다. 제 1 제어부는 플립커버(200)의 '닫힘' 또는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플립커버(200)의 '닫힘' 또는 '열림' 상태는, 전자장치(400)의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마그네틱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플립커버의 '닫힘' 또는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마그네틱센서 제 1 제어부는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플립커버의 광송신부에서 발광되는 적외선을 근조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수광하고, 플립커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 1 제어부는 마그네틱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근조도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플립커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는 마그네틱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거나 또는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제어부는 마그네틱센서의 출력 값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큰 경우에는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로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근조도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마그네틱센서의 출력 값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플립커버가 열린 상태로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근조도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면 전체의 밝기를 조정하거나 화면 전체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플립커버의 외부, 내부 및 전자장치와 결합한 상태에서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립커버는 제 1 디스플레이(402)를 포함하는 전자장치(400)와 연결 가능하며, 제 2 디스플레이(204)를 포함하는 제 1 면, 적어도 하나의 광수신부(226)를 포함하고, 제 1 디스플레이에 대향하는 제 2 면 및 광수신부(226)를 통해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204)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플립커버(200)의 제 1면(210)은 제 2 디스플레이(204), 제 2 태양전지(206, 208), 스피커홀(202) 및 자석(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태양전지(206, 208)는 플립커버(200)가 닫혔을 때 외부에 있는 태양광 및 다른 광원으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하며, 플립커버(200)에 포함된 각종 전자부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2 태양전지(206, 208)는 후술할 제 2 전원공급부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204)는 전자장치(4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204)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이하 'EPD')와 같은 저전력을 소모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PD는 EPD 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를 유지하는데 전력소모가 적고, 이미지를 바꾸는데 전력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플립커버(200)에 EPD가 포함된 경우, EPD 스크린에는 시계, 날씨, 뉴스, 주식 정보 등이 일정 시간주기 또는 정보를 갱신하는 이벤트에 따라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204)에는 전자책(e-book)이 표시될 수 있다. 전자장치(400)는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전자책에 대한 정보를 제 2 디스플레이(204)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책 어플리케이션에서 도서 선택, 책장 넘기기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장치(400)의 버튼 또는 터치 패널에 대한 조작, 전자장치(400)의 모션 인식 또는 음성 인식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204)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디스플레이(204)에서 직접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도 있고, 제 2 디스플레이(204)는 항상 데이터 또는 정보가 표시되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스피커홀(202)은 플립커버(200)를 관통하는 홀이며, 전자장치(400)의 스피커(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플립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도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3b는 플립커버(200)의 제 2 면(220)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2 면(220)은 플립커버(200)의 내부이며, 플립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전자장치(400)에 포함된 제 1 디스플레이(402)에 대향 되며, 제 1 디스플레이(402)와 마주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플립커버(200)의 제 2 면(220)은 제 1 태양전지(224), 광수신부(226), 광송신부(222), 스피커홀(202) 및 자석(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태양전지(224)는 플립커버(200)가 열렸을 때는 태양광 및 외부광원으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플립커버(200)에 포함된 각종 전자부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태양전지(224)는 플립커버(200)가 닫혔을 때는 대향 되는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402)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플립커버(200)에 포함된 각종 전자부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광수신부(226)는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광수신부(226)를 구성하는 각각의 포토트랜지스터는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402)로부터 빛을 수광하고 이에 응답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포토트랜지스터에 대응하는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402)의 대응 영역이 온(On) 되거나 또는 밝게 표시되면 포토트랜지스터는 이진값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각각의 포토트랜지스터에 대응하는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의 해당영역이 어둡게 표시되거나 또는 오프(Off)상태이면 포토트랜지스터는 이진값 "0"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포토트랜지스터는 복수 개 배열되어 있으며, 병렬(parallel) 방식으로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병렬 방식은 한 번에 복수 개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한 번에 한 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직렬 방식에 비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를 수 있다. 광수신부(226)는 병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포토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회에 1 바이트씩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8개의 포토트랜지스터가 필요하다. 1회에 2 바이트씩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16개의 포토트랜지스터가 필요하다. 또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포토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광송신부(222)는 적외선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립커버(200)에서 전자장치(400)의 센서부(42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광송신부(222)는 직렬방식으로 전자장치(400)의 센서부(42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직렬 방식은 한 번에 한 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며, 병렬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릴 수 있다. 광송신부(222)는 직렬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주로 플립커버(200)의 상태를 전자장치(400)에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립커버(200)에 장착된 제 1 태양전지(224), 제 2 태양전지(206,208) 및 제 2 전력공급부(미도시)의 충전상태를 전자장치로(4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204)에 터치스크린 기능이 포함된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자장치(400)로 전달할 수 있다.
자석(212)은 자속(Magnetic flux)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400)에 마그네틱센서가 포함된 경우, 전자장치(400)는 자석(212)으로부터 출력되는 자속(Magnetic flux)에 의해 플립커버(200)의 '닫힘' 또는 '열림'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자석(212)은 플립커버(200)를 전자장치(400)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도 3c는 전자장치(400)에 플립커버(200)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전자장치(400), 전자장치의 제 1 디스플레이(402), 센서부(420), 플립커버(200)에 장착된 제 2 디스플레이(204), 제 1 태양전지(224) 광수신부(226), 광송신부(222)가 표시되어 있다.
제 1 태양전지(224) 및 광수신부(226)는 플립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402)와 마주보고 있기 때문에, 제 1 디스플레이(400)로부터 빛을 수광할 수 있다. 제 1 태양전지(224)는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402)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플립커버(200)에 포함된 각종 전자부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태양전지(224)는 플립커버가 열린 상태에서는 태양광 및 외부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제 2 태양전지(206, 208)는 태양광 및 외부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제 1 태양전지(224) 및 제 2 태양전지(206, 208)를 통해 생산된 전기는 플립커버에 포함된 각종 전자부품, 예를 들면 제 2 디스플레이(204), 광수신부(226), 광송신부(222) 및 후술할 제 2 제어부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배터리로 구성된 제 2 전원공급부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광수신부(226)는 제 1 디스플레이(402)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빛의 강약 또는 빛의 유무에 따라 이진 값 '1' 또는 '0'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광송신부(222)는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일 때, 전자장치(400)의 센서부(420)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수 있다. 즉, 광송신부(222)는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일 때 센서부(42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420)는 근접센서, 조도센서 및 제스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센서부(420)는 근접센서, 조도센서 및 제스처센서가 결합되어 하나의 부품 형태로 제공되는 근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조도센서는 근접센서, 조도센서 및 제스처센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센서부(420)는 플립커버의 광송신부(222)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플립커버의 개폐상태 또는 플립커버의 제 2 전원공급부의 충전 상태등과 같은 플립커버의 상태정보를 전자장치(400)로 전달할 수 있다. 광송신부(222)는 적외선다이오드 일 수 있으며, 플립커버(200)의 상태를 전자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광할 수 있다.제 1 태양전지(224) 및 광수신부(226)는 제 1 디스플레이(402)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태양전지(224) 및 광수신부(226)는 제 1 디스플레이(402)와 마주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플립커버와 전자장치간에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립커버는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를 가지며 전자장치와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플립커버(200)의 제 1 면에 광수신부(226), 제 1 태양전지(224), 광송신부(222) 및 스피커홀(202)이 표시되어 있다. 제 1 면은 플립커버(200)의 내부가 될 수 있으며, 플립커버(200)가 닫혔을 때 전자장치(400)와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광수신부(226)는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226a, 226b, 226c, 226d, 226e, 226f, 226g, 226h, 226i, 226j)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226a, 226b, 226c, 226d, 226e, 226f, 226g, 226h, 226i, 226j)는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402)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이진 값 '1' 또는 '0'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226a, 226b, 226c, 226d, 226e, 226f, 226g, 226h, 226i, 226k)는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402)에 표시되는 데이터 패턴에 대응하여 데이터의 이진 값 '1' 또는 '0'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400)는 제 1 디스플레이(402)에 플립커버(200)로 전송할 데이터에 대응되는 미리 결정된 데이터 패턴을 표시함으로써 데이터를 플립커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226a, 226b, 226c, 226d, 226e, 226f, 226g, 226h, 226i, 226j)의 개수만큼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병렬 전송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8개의 포토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면 동시에 8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402), 센서부(420) 및 카메라(416)가 표시되어 있다. 제 1 디스플레이(402)는 제 1 영역(408) 및 제 2 영역(406)을 포함할 수 있다. 플립커버(200)는 전자장치(400)와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400)는 센서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플립커버(200)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플립커버(200)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플립커버(200)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는 센서부에 포함된 근조도센서 또는 마그네틱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립커버(200)가 '닫힘'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센서부의 마그네틱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가 최대가 될 수 있다. 플립커버(200)에는 자석이 장착되어 있고, 전자장치(400)에는 마그네틱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플립커버(200)가 전자장치(400)와 가까워짐에 따라 마그네틱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점점 커지다가, 플립커버(200)가 전자장치(400)에 밀착되는 순간에 최대가 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상기 신호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플립커버를 '닫힘'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플립커버가 '닫힘' 상태로 결정된 경우에는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데이터 패턴을 표시하여 플립커버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패턴은 데이터의 이진 값에 대응하여 밝기가 변경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제 1 영역을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에 이진 값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영역(408)은 플립커버(200)의 광수신부(226)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영역(408)은 플립커버(200)가 닫혔을 때, 플립커버(200)의 광수신부(226)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영역(406)은 플립커버(200)의 제 1 태양전지(224)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영역(406)은 플립커버(200)가 닫혔을 때, 플립커버(200)의 제 1 태양전지(224)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402)는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모드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드이고, 제 2 모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402)는 제 1 모드에서는 고유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402)는 제 2 모드에서는 플립커버(200)에 데이터 패턴을 표시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플립커버의 '닫힘' 또는 '열림'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플립커버의 상태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모드 또는 플립커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2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1 제어부는 플립커버(200)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402)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모드로 동작시키고, 플립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플립커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2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플립커버의 '닫힘' 또는 '열림' 상태는 전자장치(400)에 포함된 센서부(420)의 출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센서부(420)에는 근조도센서(420)가 포함될 수 있다. 근조도센서(420)는 발광부(420a) 및 수광부(420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20)에는 마그네틱센서(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조도센서(420)는 외부로부터의 빛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근조도센서(420)는 플립커버(200)가 근접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근조도센서(4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플립커버(200)가 '닫힘' 상태인지 또는 '열림' 상태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마그네틱센서(미도시)는 플립커버(200)에 장착된 자석(212)에서 나오는 자속(Magnetic flux)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마그네틱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플립커버(200)가 열려 있는지 닫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장치(400)는 플립커버(200)가 닫히면 제 1 디스플레이(402)의 제 1 영역(408) 및 제 2 영역(406)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모두 오프(Off)시키거나 또는 검은색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장치(400)는 제 2 영역(406)은 최대밝기로 표시를 하여, 플립커버(200)의 제 1 태양전지(224)가 전력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장치(400)는 제 1 영역(408)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400)는 병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 1 영역(408)을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전자장치(400)는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이진 값 '1' 또는 '0'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턴을 표시하여 이진 데이터를 플립커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할 데이터의 해당 비트가 '1'인 경우에는 분할된 영역을 흰색으로 표시하고, 해당 비트가 '0'인 경우에는 분할된 영역을 검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송할 데이터의 해당 비트가 '1'인 경우에는 분할된 영역을 최대 밝기의 80% 이상의 밝기로 표시하고, 해당 비트가 '0'인 경우에는 분할된 영역을 최대 밝기의 20% 이하의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전송할 데이터의 해당 비트가 '1'인 경우에는 분할된 영역을 온(On) 시키고, 해당 비트가 '0'인 경우에는 분할된 영역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분할된 영역(408a, 408b, 408c, 408d, 408e, 408f, 408g, 408h, 408i, 408j)에는 이진 값 데이터에 대응하여 흰색 또는 검은색이 표시될 수 있다. 분할된 영역(408a, 408d, 408e, 408f, 408g, 408h, 408j)에는 이진 값 '1'에 대응하여 흰색이 표시되어 있다. 분할된 영역(408b, 408c, 408i)에는 이진 값 '0'에 대응하여 검은색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진 값에 대응하여 밝기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영역(408a, 408b, 408c, 408d, 408e, 408f, 408g, 408h, 408i, 408j)은 이진 값 데이터에 대응하여 온 또는 오프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할된 영역(408a, 408d, 408e, 408f, 408g, 408h, 408j)에는 이진 값 '1'에 대응하여 온 될 수 있다. 분할된 영역(408b, 408c, 408i)에는 이진 값 '0'에 대응하여 오프 될 수 있다.
각각의 분할된 영역(408a, 408b, 408c, 408d, 408e, 408f, 408g, 408h, 408i, 408j)은 플립커버(200)에 장착된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226a, 226b, 226c, 226d, 226e, 226f, 226g, 226h, 226i, 226j)에 대응될 수 있다. 분할영역(408a)은 포토트랜지스터(226f)에 대응되고, 분할영역(408b)은 포토트랜지스터(226g)에 대응되고, 분할영역(408c)은 포토트랜지스터(226h)에 대응되고, 분할영역(408d)은 포토트랜지스터(226i)에 대응되고, 분할영역(408e)은 포토트랜지스터(226j)에 대응되고, 분할영역(408f)은 포토트랜지스터(226a)에 대응되고, 분할영역(408g)은 포토트랜지스터(226b)에 대응되고, 분할영역(408h)은 포토트랜지스터(226c)에 대응되고, 분할영역(408i)은 포토트랜지스터(226d)에 대응되고, 분할영역(408j)은 포토트랜지스터(226j)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할영역(408a)에 표시된 흰색 패턴은 포토트랜지스터(226f)가 수신하여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b)에 표시된 검은색 패턴은 포토트랜지스터(226g)가 수신하여 '0'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c)에 표시된 검은색 패턴은 포토트랜지스터(226h)가 수신하여 '0'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d)에 표시된 흰색 패턴은 포토트랜지스터(226i)가 수신하여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e)에 표시된 흰색 패턴은 포토트랜지스터(226j)가 수신하여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f)에 표시된 흰색 패턴은 포토트랜지스터(226a)가 수신하여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g)에 표시된 흰색 패턴은 포토트랜지스터(226b)가 수신하여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h)에 표시된 흰색 패턴은 포토트랜지스터(226c)가 수신하여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i)에 표시된 검은색 패턴은 포토트랜지스터(226d)가 수신하여 '0'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j)에 표시된 흰색 패턴은 포토트랜지스터(226e)가 수신하여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분할영역(408)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에 따라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226)는 이진 값 '1' 또는 '0'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할영역(408a)은 온(On) 상태이며 포토트랜지스터(226f)는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b)은 오프(Off) 상태이며 포토트랜지스터(226g)는 '0'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c)은 오프(Off) 상태이며 포토트랜지스터(226h)는 '0'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d)은 온(On) 상태이며 포토트랜지스터(226i)는'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e)은 온(On) 상태이며 포토트랜지스터(226j)는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f)은 온(On) 상태이며 포토트랜지스터(226a)는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g)은 온(On) 상태이며 포토트랜지스터(226b)는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h)은 온(On) 상태이며 포토트랜지스터(226c)는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i)은 오프(Off) 상태이며 포토트랜지스터(226d)는 '0'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분할영역(408j)은 온(On) 상태이며 포토트랜지스터(226e)는 '1'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포토프랜지스터가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를 각각 감지할 수 있으며 하나로 일체화된 경우에는 동시에 3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400) 제 1 디스플레이(402)의 각각의 분할영역(408)을 이진 값에 대응하여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로 나누어 표시하면,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를 각각 감지하는 포토트랜지스터에서는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값의 검출 유무에 따라 3비트 디지털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진 값' 100'을 플립커버(20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제 1 디스플레이의 분할영역에서 레드(Red)를 온(On) 시키고, 그린(Green) 및 블루(Blue)를 오프(Off)시켜 표시를 하고, 포토트랜지스터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이진 값' 100'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2 영역(406)은 최대 밝기로 표시될 수 있다. 전자장치(400)는 제 1 디스플레이(402)의 밝기를 조정하여 플립커버(200)의 제 1 태양전지(224)가 전력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 플립커버(200)의 제 1 태양전지는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402)의 제 2 영역(406)에 표시된 최대 밝기의 이미지에서 나오는 빛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플립커버(200)에 공급할 수 있다.
후술할 제 1 제어부는 플립커버(200)의 광송신부(222)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센서부(420)를 통해 수신하고, 센서부(420)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402)의 제 2 영역(406)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제어부는 플립커버(2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플립커버(200)에 포함된 제 2 전원공급부(244)의 충전상태를 체크하고 이에 따라 제 2 영역(406)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제 2 전력공급부(244)의 충전상태가 만충 상태일 때는 제 2 영역(406)을 오프(Off)시키거나 밝기를 최소로 조정할 수 있다. 제 2 전원공급부(244)의 충전상태가 부족 상태일 때는 제 2 영역(406)의 밝기를 최대로 조절하여 제 1 태양전지(224)가 전력을 생산하도록 하고 제 2 전력공급부(244)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 1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데이터 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플립커버로 전송될 데이터(310) 및 데이터 패턴(312)이 표시되어 있다. 데이터(310)는 8개의 데이터 비트(b0, b1, b2, b3, b4, b5, b6, b7)와 2개의 컨트롤 비트(c1, c2)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비트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310)는 '1101011011'의 값을 가지며, 제어부는 데이터(310)를 플립커버로 전송하기 위해 제 1 디스플레이에 데이터 패턴(312)을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패턴(312)은 10개의 분할된 영역(b0, b1, b2, b3, b4, b5, b6, b7, c1, c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할 비트가 '0'인 경우는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 중 대응되는 분할영역에 검은색을 표시하거나 또는 대응되는 분할영역을 오프(Off)할 수 있다. 전송할 비트가 '1'인 경우는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 중 대응되는 분할영역에 흰색을 표시거나 또는 대응되는 분할영역을 온(On)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비트(b0)는 값이 '1'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0)은 흰색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분할영역(b0)을 온(On)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1)는 값이 '1'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1)은 흰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온(On)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2)는 값이 '0'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2)은 검은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3)는 값이 '1'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3)은 흰색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온(On)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4)는 값이 '0'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4)은 검은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5)는 값이 '1'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5)은 흰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온(On)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6)는 값이 '1'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6)은 흰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온(On)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7)는 값이 '0'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7)은 검은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컨트롤 비트(c1)는 값이 '1'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c1)은 흰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온(On)될 수 있다.
컨트롤 비트(c2)는 값이 '1'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c2)은 흰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온(On)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플립커버로 전송될 데이터(320) 및 데이터 패턴(322)이 표시되어 있다. 데이터(320)는 8개의 데이터 비트(b0, b1, b2, b3, b4, b5, b6, b7)와 2개의 컨트롤 비트(c1, c2)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비트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320)는 '0000010111'의 값을 가지며, 제어부는 데이터(320)를 플립커버로 전송하기 위해 제 1 디스플레이에 데이터 패턴(322)을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패턴(322)은 10개의 분할된 영역(b0, b1, b2, b3, b4, b5, b6, b7, c1, c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할 비트가 '0'인 경우는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 중 대응되는 분할영역에 검은색을 표시하거나 또는 대응되는 분할영역을 오프(Off)할 수 있다. 전송할 비트가 '1'인 경우는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 중 대응되는 분할영역에 흰색을 표시하거나 또는 대응되는 분할영역을 온(On)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비트(b0)는 값이 '0'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0)은 검은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1)는 값이 '0'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1)은 검은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2)는 값이 '0'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2)은 검은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3)는 값이 '0'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3)은 검은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4)는 값이 '0'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4)은 검은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5)는 값이 '1'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5)은 흰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온(On)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6)는 값이 '0'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6)은 검은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데이터 비트(b7)는 값이 '1'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b7)은 흰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온(On)될 수 있다.
컨트롤 비트(c1)는 값이 '1'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c1)은 흰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온(On)될 수 있다.
컨트롤 비트(c2)는 값이 '1'이며, 이에 대응하는 분할영역(c2)은 흰색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온(On)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플립커버와 전자장치 내부의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플립커버(200), 제 1 태양전지(224), 광수신부(226), 제 2 제어부(240), 광송신부(222), 제 2 태양전지(206), 제 2 디스플레이(204) 및 제 2 전원공급부(244)가 표시되어 있다.
플립커버(200)는 제 1면과 제 2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면은 플립커버의 외부일 수 있고, 제 2 면은 플립커버의 내부일 수 있다. 플립커버의 제 1 면은 제 2 태양전지(206) 및 제 2 디스플레이(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태양전지(206)는 플립커버가 닫혔을 때 외부에 있는 태양광 및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제 2 전원공급부(244)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제 2 태양전지(206) 자체가 충전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204)는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204)는 EPD와 같은 저전력을 소모하는 반사형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PD는 EPD 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를 유지하는데 전력소모가 적고, 이미지를 바꾸는데 전력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플립커버(200)에 EPD가 포함된 경우, EPD 스크린에는 시계, 날씨, 뉴스, 주식 정보 등이 일정 시간주기 또는 정보를 갱신하는 이벤트에 따라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 2 제어부(240)는 플립커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240)는 광수신부(226)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 2 디스플레이(204)에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계, 날씨, 뉴스, 주식정보와 같은 정보가 제 2 디스플레이(204)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240)는 제 2 전원공급부(224)의 충전 상태를 체크하고 충전상태에 기초하여 광송신부(222)를 통해 충전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자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400)는 센서부(420)를 통해 플립커버(200)에 있는 제 2 전원공급부(244)의 충전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1 제어부(424)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플립커버(200)에 있는 제 2 전원공급부(244)의 충전상태를 결정하고, 충전상태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402)의 제 2 영역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제어부(424)는 제 2 전원공급부(244)의 충전상태가 만충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디스플레이(402)의 제 2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하거나 또는 오프(Off)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제 2 전원공급부(244)의 충전상태가 방전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디스플레이(402)의 제 2 영역의 밝기를 최대 밝기로 조정하거나 또는 온(On)할 수 있다.
제 2 전원공급부(244)는 제 2 태양전지(206) 및/또는 제 1 태양전지(22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충전을 할 수 있다. 제 2 전원공급부(244)는 충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 2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광송신부(222)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제 2 전원공급부(244)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는 아니며, 제 1 태양전지(224) 및 제 2 태양전지(206)의 전원공급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는 제 2 제어부(240)는 제 1 태양전지(224) 및 제 2 태양전지(206)의 충전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광송신부(222)로 보낼 수 있다.
제 2 제어부(240)는 전자장치(40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디스플레이(204)에 이미지 및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태양전지(224)는 플립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전자장치의 제 1 디스플레이(402)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플립커버가 열린 상태에서는 태양광 또는 외부 광으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태양전지(224) 자체가 충전될 수 있으며, 제 2 전원공급부를 충전시킬 수 있다.
광수신부(226)는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400)의 제 1 디스플레이(402)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를 통해 동시에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병렬 방식으로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광수신부(226)는 플립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만 동작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제 2 제어부(240)는 플립커버(200)가 열린 상태에서는 광수신부(226)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광송신부(222)는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광송신부(222)는 제 2 제어부(240)로부터 제 2 전원공급부(244)의 상태 및 제 2 디스플레이(204)의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전자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광송신부(226)는 플립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만 동작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제 2 제어부(240)는 플립커버가 열린 상태에서는 광송신부(222)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전자장치(400), 제 1 디스플레이(402), 센서부(420), 제1 전력공급부(422), 및 제 1 제어부(424)가 표시되어 있다.
제 1 디스플레이(402)는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모드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드이고, 제 2 모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이다. 제 1 디스플레이(402)는 제 1 모드에서는 고유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402)는 제 2 모드에서는 플립커버(2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장치(400)는 플립커버(200)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를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모드로 동작시키고, 플립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플립커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2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플립커버의 개폐 여부는 전자장치(400)에 장착된 센서부(420)의 출력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센서부(420)에는 조도센서, 근접센서, 제스처센서 및 마그네틱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조도센서, 근접센서 및/또는 제스처센서가 하나의 부품형태로 구성된 근조도센서가 센서부(420)에 포함될 수 있다.
근조도센서는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반사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를 위한 홀 및 수광부를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수광부는 하나 이상의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근조도센서는 근접센서의 기능, 조도센서의 기능 및/또는 제스처 센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근조도센서가 근접센서의 기능을 할 경우는 물체가 근접했을 때 발광부에서 발광한 적외선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물체의 근접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화면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 있다. 근접센서 기능은 통화 중에 휴대폰을 사용자가 귀에 밀착시켰는지, 아니면 화면을 보는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휴대폰이 귀에 밀착된 경우에는 화면을 꺼서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근조도센서가 조도센서의 기능을 할 경우에는 주변의 밝기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화면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조도센서의 기능은 주변의 밝기 및 조명을 감지하여 화면의 밝기 혹은 색감을 조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근조도센서가 제스처 센서의 기능을 할 경우에는 발광부에서 발광한 적외선을 수광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가 수광하여, 근접한 물체의 이동 및 방향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따라 근접한 물체의 이동 및 이동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센서부(420)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플립커버(20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도센서는 외부로부터의 빛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조도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플립커버가 열려 있는지 닫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도센서는 플립커버가 닫혀 있을 때는 플립커버(200)의 광송신부(222)에서 출력된 빛을 수광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 1 제어부(424)로 출력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플립커버가 근접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근접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플립커버가 열려 있는지 닫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마그네틱센서는 플립커버(200)에 장착된 자석에서 나오는 자속(Magnetic flux)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마그네틱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플립커버가 열려 있는지 닫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에는 조도센서와 근접센서가 일체로 구성된 근조도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근조도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부에서 발광한 빛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물체의 근접을 알 수 있다. 또한, 근조도센서의 수광부는 외부 빛을 수광할 수 있으며, 조도센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근조도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플립커버(20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전자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424)는 센서부(42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플립커버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플립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를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플립커버(200)가 열린 상태이면 제 1 디스플레이(402)를 제 1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402)는 제 1 모드에서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플립커버(200)가 닫힌 상태이면 제 1 디스플레이(402)를 제 2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402)는 제 2 모드에서는 데이터 전송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모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402)의 제 2 영역에 전송할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 패턴이 표시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플립커버(200)가 닫히면 제 1 디스플레이(402)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모두 오프(Off)시키거나 또는 검은색이 표시되도록 하여,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플립커버(200)에 장착된 제 1 태양전지(224)를 충전하기 위해 제 2 영역을 온(On) 시키거나 또는 최대밝기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424)는 제 1 영역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병렬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 1 영역을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병렬 전송 방식은 한 번에 2개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제 1 제어부(424)는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이진 값 '1' 또는 '0'에 대응하는 패턴이 표시되도록 하여 이진 데이터를 플립커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424)는 분할된 각각의 영역을 온(On) 또는 오프(Off)시켜 이진 값 '1' 또는 '0'에 대응되는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할 데이터의 해당 비트가 '1'인 경우에는 분할된 영역을 흰색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온(On) 시키고, 해당 비트가 '0'인 경우에는 분할된 영역을 검은색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다. 또는 전송할 데이터의 해당 비트가 '1'인 경우에는 분할된 영역을 최대 밝기의 80% 이상의 밝기로 표시하고, 해당 비트가 '0'인 경우에는 분할된 영역을 최대 밝기의 20% 이하의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424)는 플립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424)의 제 2 영역을 플립커버(200)에 포함된 제 1 태양전지가 전력을 생산하도록 하기 위한 발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센서부(420)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플립커버(200)를 '닫힘' 상태 또는 '열림'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제어부(424)는 센서부(420)에 포함된 마그네틱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플립커버(200)의 '닫힘' 상태 또는 '열림'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플립커버(200)가 '닫힘' 상태로 결정되면, 센서부(420)에 포함된 근조도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플립커버(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 1 제어부(424)는 센서부(420)의 마그네틱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플립커버(200)의 '닫힘' 상태 또는 '열림' 상태를 결정하고, 플립커버(200)가 '닫힘' 상태의 경우에는 센서부(42)의 근조도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플립커버(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플립커버(200)가 열림 상태의 경우에는 근조도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전체를 오프(Off) 시키거나 또는 제 1 디스플레이 전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424)는 플립커버(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일부 영역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420)는 플립커버(200)가 '닫힘' 상태에서는 플립커버(200)의 광송신부(222)에서 발광되는 빛을 수광하고 이에 응답하여 전기 신호를 제 1 제어부(424)로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센서부(420)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플립커버(200)의 제 2 전원공급부(244)의 충전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424)는 제 2 전원공급부(244)의 충전상태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402)의 제 2 영역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424)는 제 1 태양전지 및 제 2 태양전지의 충전상태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402)의 제 2 영역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제어부는(424)는 제 2 전원공급부(244)가 만충 상태인 경우에는 제 1 디스플레이(402)의 제 2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하거나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424)는 제 2 전원공급부(244)가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 1 디스플레이(402)의 제 2 영역의 밝기를 밝게 조절할 수 있다.
제 1 전원 공급부(422)는 전자장치(400)에 포함된 각종 부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 1 전원 공급부(422)는 제 1 디스플레이(402), 센서부(420), 제 1 제어부(424)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400)에 장착된 제 1 디스플레이(402)를 이용하여 플립커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플립커버(200)에 장착된 제 1 태양전지(224) 및 제 2 전원공급부(244)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200 : 플립커버 400 : 전자장치
204 : 제 2 디스플레이 402 : 제 1 디스플레이
206 : 제 2 태양전지 420 : 센서부
222 : 광송신부 422 : 제 1 전력공급부
224 : 제 1 태양전지 424 : 제 1 제어부
226 : 광수신부
240 : 제 2 제어부
244 : 제 2 전력공급부

Claims (19)

  1. 제 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와 연결 가능한 플립커버에 있어서,
    제 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 1 면;
    적어도 하나의 광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에 대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광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플립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은 제 1 태양전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태양전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수광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플립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은 광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송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플립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부는 직렬 방식으로 상기 전자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플립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부는 병렬 방식으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플립커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은 제 2 태양전지를 더 포함하는 플립커버.
  7.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를 갖는 플립커버와 연결가능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제 1 디스플레이;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플립커버의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플립 커버가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데이터 패턴을 표시하여 상기 플립커버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턴은
    상기 데이터의 이진 값에 대응하여 밝기가 변경되는 전자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을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에 이진 값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플립커버에 포함된 제 1 태양전지가 전력을 생산하도록 하는 전자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플립커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를 직렬 방식으로 처리하는 전자장치.
  13. 광수신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플립커버와 연결 가능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제 1 디스플레이;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모드 또는 상기 플립커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 2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이진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플립커버의 상기 광수신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되는 전자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커버는 제 1 태양전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2 모드에서 제 2 영역의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플립커버의 제 1 태양전지가 전력을 생산하도록 하는 전자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상기 플립커버의 상기 제 1 태양전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되는 전자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플립커버로부터 직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플립커버로부터 직렬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장치.
KR1020140038819A 2014-04-01 2014-04-01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50114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19A KR20150114308A (ko) 2014-04-01 2014-04-01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EP15159871.1A EP2938049B1 (en) 2014-04-01 2015-03-19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flip cover thereof
PCT/KR2015/002769 WO2015152546A1 (en) 2014-04-01 2015-03-2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flip cover thereof
CN201580018486.4A CN106170931A (zh) 2014-04-01 2015-03-20 在电子设备及其翻盖保护套之间发射数据的电子设备和方法
US14/676,684 US9509360B2 (en) 2014-04-01 2015-04-01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flip cove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19A KR20150114308A (ko) 2014-04-01 2014-04-01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308A true KR20150114308A (ko) 2015-10-12

Family

ID=5278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819A KR20150114308A (ko) 2014-04-01 2014-04-01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09360B2 (ko)
EP (1) EP2938049B1 (ko)
KR (1) KR20150114308A (ko)
CN (1) CN106170931A (ko)
WO (1) WO20151525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915A (ko) * 2015-11-10 201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전환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289B1 (ko) * 2014-02-11 202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KR20150124710A (ko) * 2014-04-29 2015-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20150126193A (ko) * 2014-05-02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2293482B1 (ko) * 2014-05-30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전자 장치의 커버
TW201630503A (zh) * 2014-12-31 2016-08-16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保護套及應用該保護套的電子裝置組件
TWM513505U (zh) * 2015-07-13 2015-12-01 Mobileconn Technology Co Ltd 行動電源及其保護殼
TWM515252U (zh) * 2015-07-13 2016-01-01 凱揚科技股份有限公司 擴充裝置、具有其之保護殼及手機保護殼
WO2017031758A1 (en) * 2015-08-27 2017-03-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CN105407233A (zh) * 2015-12-10 2016-03-16 深圳一微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手机保护套的控制识别方法和装置
CN105577275A (zh) * 2015-12-16 2016-05-11 北京橙鑫数据科技有限公司 用户设备及信息传输方法
KR102567144B1 (ko) * 2016-04-26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6371548B (zh) * 2016-08-31 2019-03-05 深圳市创凯智能股份有限公司 显示屏节能控制方法及装置
KR101882198B1 (ko) * 2016-11-01 2018-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7888726A (zh) * 2017-11-22 2018-04-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7786696A (zh) * 2017-12-13 2018-03-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幕及移动终端
KR20190100795A (ko) * 2018-02-21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8566248B (zh) * 2018-05-02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光信息影像化组件、制作方法及显示装置
US10963217B2 (en) 2019-04-21 2021-03-30 Lenovo (Singapore) Pte. Ltd. Command detection notification on auxiliary display
CN112037732B (zh) * 2020-09-11 2021-12-07 广州小鹏自动驾驶科技有限公司 基于红外相机的用于车辆显示器的亮度控制的装置、系统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113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GB2355148B (en) * 1999-10-08 2004-09-01 Nokia Mobile Phones Ltd Communication device
CN1452370A (zh) * 2002-04-12 2003-10-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折叠型便携通信终端
US7460893B2 (en) * 2005-05-17 2008-12-02 Nokia Corporation Display chang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173893B2 (en) * 2010-05-28 2012-05-08 Yao-Hung Huang Electronic device case
US9335793B2 (en) * 2011-01-31 2016-05-10 Apple Inc. Cover attachment with flexible display
US20130050164A1 (en) * 2011-08-23 2013-02-28 Nicholaus R. Rericha Electronic device cases and covers having a reflective display, and methods thereof
US9729685B2 (en) * 2011-09-28 2017-08-08 Apple Inc. Cover for a tablet device
KR20130046846A (ko) * 2011-10-28 2013-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
JP5608627B2 (ja) * 2011-11-25 2014-10-15 株式会社Nttドコモ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方法
KR101249938B1 (ko) 2012-07-24 2013-04-11 (주)한보이앤씨 스마트폰 보호용 플립커버
EP2704404B1 (en) * 2012-08-31 2015-10-07 BlackBerry Limited A wireless device for provid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a mobile electronic device
CN103490812B (zh) * 2013-09-16 2016-01-20 北京航空航天大学 基于可见光的手机近场通信系统及方法
CN103546645B (zh) * 2013-10-30 2016-08-3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移动终端smart cover功能的系统、方法及移动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915A (ko) * 2015-11-10 201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전환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80770A1 (en) 2015-10-01
US9509360B2 (en) 2016-11-29
CN106170931A (zh) 2016-11-30
EP2938049B1 (en) 2017-09-06
EP2938049A1 (en) 2015-10-28
WO2015152546A1 (en)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4308A (ko)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JP4743846B2 (ja) 光通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機器
CN111246121B (zh) 拍摄补光方法、电子设备及介质
JP7308285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移動端末
CN107798303A (zh) 一种调整屏幕背光的方法及移动终端
CN206249184U (zh) 电子设备和电子系统
US11551595B2 (en) Foldable mobi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etting brightness of display through light sensor
CN107734174A (zh) 一种移动终端的场景匹配方法及移动终端
KR1016272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15184956B (zh) Tof传感器系统和电子设备
CN201886704U (zh) 显示装置
CN110848597A (zh) 灯光组件、终端设备及工作状态控制方法
CN212909610U (zh) 移动终端的闪光灯镜头组件及移动终端
EP4280020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en input device
WO2022260340A1 (ko) 광 센서가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20190141005A (ko) 이동 단말기
US20220392974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including light sensor
WO2024096485A1 (ko) 외부 광원의 조도에 따라 광투과율을 조정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17793A1 (en) Display panel for under display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029667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brightness of display by using illuminance sensor
US2024002329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rmal diffusion member
KR10160484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230023490A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플래시 제어 방법
KR20240018337A (ko) 재생율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30023145A (ko)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