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207B1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207B1
KR101627207B1 KR1020090134376A KR20090134376A KR101627207B1 KR 101627207 B1 KR101627207 B1 KR 101627207B1 KR 1020090134376 A KR1020090134376 A KR 1020090134376A KR 20090134376 A KR20090134376 A KR 20090134376A KR 101627207 B1 KR101627207 B1 KR 10162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user
skin color
portable termi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729A (ko
Inventor
이진용
김효진
김재서
신일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4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207B1/ko
Priority to US12/948,439 priority patent/US8463317B2/en
Publication of KR2011007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대기 모드에서 소정 동작 모드로 전환하면, 본체에 구비되는 컬러 센서를 이용하여 본체의 주변 색상을 감지하고, 감지된 색상과 색상 차가 기준값 이상이 되는 출력 색상을 결정한다. 그리고, 본체에 조명광을 출력하는 조명 모듈을 마련하고, 결정된 출력 색상을 가지는 조명광이 방출되도록 조명 모듈을 구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러 센서를 통해 감지한 주변 색상과 뚜렷이 대비되는 출력 색상을 가지는 조명광이 방출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의 놓인 위치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컬러 센서, 조명 모듈,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컬러 센서를 통해 감지한 색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변화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주변 환경이나 주요 사용자 계층의 기호에 어울리도록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사용자 계층을 대상으로 휴대 단말기의 색상이나 디자인을 결정하며, 사용자의 사용 습관을 고려하여 휴대 단말기의 외관 형태 등을 결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의 색상이나 디자인은 한번 결정되면 변경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외관 형태가 미려하더라도,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색상이나 디자인 등이 주변 환경에 어울리지 못하거나, 주변 색상과 유사하여 쉽게 휴대 단말기가 놓인 위치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컬러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색상을 이용하여 동작 환경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변화나 색상의 보정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대기 모드에서 소정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본체에 구비되는 컬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주변 색상을 감지하고,상기 감지된 색상과 색상 차가 기준값 이상이 되는 출력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에 조명광을 출력하는 조명 모듈을 마련하고, 상기 출력 색상을 가지는 조명광이 방출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상대 단말기와 화상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단계, 컬러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피부색을 기준 피부색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피부색을 보정한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통화를 통해 상기 상대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조명광을 출력하는 조명 모듈, 상기 본체의 주변 색상을 감지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컬러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색상과 색상 차가 기준값 이상이 되는 출력 색상을 결정하 고, 상기 출력 색상을 가지는 조명광이 방출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대 단말기와 화상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무선통신부, 사용자의 피부색을 감지하는 컬러 센서, 및 상기 화상통화시, 상기 컬러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피부색을 기준 피부색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피부색을 보정하여 생성한 사용자 영상이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광이 방출되는 조명 모듈을 본체에 배치하고, 컬러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 주변 색상과 뚜렷이 대비되는 색상을 가지는 조명광이 방출되도록 조명 모듈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있는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러 센서를 통해 감지한 색상에 따라 다양한 동작 환경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 등에 대하여 색상을 보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 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나 방송 관련 정보 등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모션 센서(145), 및 컬러 센서(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컬러 센서(Color Sensor)(147)는 백색광 속에 포함되는 고유의 파장 대역을 검지하는 일종의 광센서이다. 컬러 센서(147)는 신호 정보의 하나인 색의 검출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반도체 수광소자를 응용한 것이다. 컬러 센서(147)는 포토다이오드에 청색,녹색,적색의 필터를 부착하거나 코팅하여 조사된 광원색에 대응하는 전압출력이나 주파수출력 또는 디지털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 등을 출력한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발광 모듈(155) 및 조명 모듈(156) 등이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 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 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3)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3)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2)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4)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발광 모듈(155)은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소자가 매트릭스(matrix)의 형태로 나열되어 있는 구조로써,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표시할 수 있다.
조명 모듈(156)은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을 외부로 방사하는 조명관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써, 제어부(180)에 제어에 따라 조명관의 전체 혹은 선택된 부분에서 빛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 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의 일측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하면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및 제2 바디(100B)가 허용 각도만큼 펼쳐진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2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2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A-2)의 내측면 상에는 제1 컬러 센서(147a),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음향출력모듈(153), 제1 카메라(121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디스플레이부(151b)와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a, 151b)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a, 151b)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1a, 151b)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 마이크(123),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부(130a, 130b)와 후술하는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과,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내지 제4 사용자 입력부(130b, 130c, 130d)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1 컬러 센서(147a)는 주변 색상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색상 데이터를 출력 한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발광 모듈(155)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모듈(155)은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나열한 것이다. 발광 모듈(155)은 사용되는 발광소자에 따라 단색을 표시하거나, 혹은 다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발광 모듈(155)을 구동시키는 방법에는 스태틱 구동(static drive)과 다이나믹 구동(dynamic drive) 등이 있다.
스태틱 구동의 경우, 발광 모듈(155)에 설치된 발광소자의 개수만큼의 비트를 갖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준비하고, 여기에 데이터를 보내어 구동하는 방식으로 한번에 모든 발광소자를 온/오프(ON/OFF) 할 수 있다.
다이나믹 구동드라이브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발광소자를 1행씩 스캔하면서 대응하는 발광소자를 ON/OFF 하는 방식으로 CRT의 표시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즉,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으로 구성되어 스캔 라인에 의해 각 행 또는 열을 1행씩 스캔하면서 데이터 라인에 의해 동기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식이다. 다이나믹 드라이브방식은 스태틱 드라이브에 비해 휘도가 낮고, 스캔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 깜박거림이 일어날 수 있으나, 구동회로를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 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6)와 거울(125)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6)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5)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컬러 센서(147b)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컬러 센서(147b)도 주변 색상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색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100A) 또는 제2 바디(100B) 중 적어도 하나에는 조명 모듈(156)이 설치될 수 있다. 조명 모듈(156)은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조명 모듈의 구동을 위한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모듈(156)은 LED 드라이버(156a), LED(156b), 광케이블(156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모듈(156)은 LED(Light Emitting Diode)(156b)와 같은 발광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을 외부로 방출하는 광케이블(156c)과 같은 조명관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써, 제어부(180)에 제어에 따라 조명관의 전체 혹은 선택된 부분에서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을 방출할 수 있다.
즉, 컬러 센서(147)는 주변 색상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색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색상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전달된다. 제어부(180)는 전달된 색상 데이터에 따라 결정된 색상의 조명광이 출력되도록 LED 드라이버(150)에 제어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LED 드라이버(156a)에 의해 LED(156b)가 구동되어, 광케이블 (156c) 등과 같은 조명관으로 광을 출력하여, 외부로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조명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명 모듈(156)은 제1 디스플레이부(151a)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 다. 즉, 제1 디스플레이부(151a) 주변을 투명 케이스로 구성하고, 그 안에 조명 모듈(156)을 배치하여, 주변 색상과 동작 모드 등에 따라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조명관으로 사용하는 광케이블(156c) 등에 홀을 형성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조명광을 방출할 수 있다. 조명 모듈(156)은 제2 디스플레이부(151b)나 제1 사용자 입력부(130a) 등의 둘레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다양한 위치에 조명 모듈(156)을 배치하여, 주변 색상이나 주위 배경이나 동작 모드 등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조명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투명 케이스를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에서 원하는 부위의 색상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조명 모듈(156)외에 발광 모듈(155)에 대해서도 컬러 센서(147)에서 생성한 색상 데이터에 따라 원하는 색상의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거나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이벤트 발생 등이 없으면, 휴대 단말기(100)는 대기 모드 상태가 된다(S200). 대기 모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백라이트가 꺼진 상태로 기지국과의 신호를 교환한다.
이와 같은 대기 모드 상태에서, 통화 수신, 메시지 수신, 이메일 수신과 같은 이벤트의 발생 등에 의해, 특정 동작 모드로 전환하게 되면(S205), 제어부(180)는 컬러 센서(147)를 이용하여 제1 바디(100A)및 제2 바디(100B)를 포함하는 본체 주변의 색상을 감지한다(S210). 컬러 센서(147)는 본체 주변의 색상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CCT(Correlated Color Temperature) 데이터 등과 같은 색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180)가 본체 주변의 색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색상에 따라 조명 모듈(156)을 통해 방출할 출력 색상을 결정한다(S215). 이때, 출력 색상은 감지한 색상과 색상 차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거나, 혹은 감지한 색상과 보색 관계에 있는 색상이 될 수 있다. 즉, 감지한 색상과 뚜렷하게 대비되는 색상을 출력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결정된 출력 색상을 가지는 조명광이 출력되도록 조명 모듈(156)을 구동한다(S220). 조명 모듈(156)이 방출하는 조명광은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 등에 따라 소정 주기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감지된 주변 색상과 뚜렷하게 대비되는 색상을 가지는 조명광을 방출할 수 있다. 만일, 조명 모듈(156)에 배치된 주변을 투명 케이스로 구성한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색상을 주변 색상과 뚜렷이 대비되는 색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 통화나 메시지 수신 등과 같은 이벤트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가 있는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체 주변의 색상을 감지하는 경우, 제1 바디(100A)에 배치된 제1 컬러 센서(147a)와, 제2 바디(100B)에 배치된 제2 컬러 센서(147b)를 각각 이용하여, 색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에 대한 색상이나 후면에 대한 색상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의 주변의 광량이 기준 광량보다 높으면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의 색 상을 기준으로 출력 색상을 결정하고, 기준 광량보다 낮으면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의 색상을 기준으로 출력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컬러 센서(147a, 147b)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광량을 판단하여 키패드 등의 발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별도의 조도 센서를 배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외에도 컬러 센서(147)를 통해 감지한 색상을 이용하여 색상을 보정하거나 강조할 수 있다. 예컨대, 밝은 태양 아래와 같이 강한 빛이 비추는 환경이나, 어두운 환경 등에서, 색상 경계가 무뎌져 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컬러 센서(147)를 통해 감지한 색상을 이용하여 보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에 동영상이나 이미지를 표시할 때, 주변 조명의 색온도(Ambient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CT)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색상이 원색이 아닌 다른 색으로 보여 색 왜곡이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저녁 시간의 붉은 노을 아래와 같이 붉은 조명 아래에서는 파란색이 강조되어 보이는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왜곡을 해결하기 위해, 컬러 센서(147)를 이용하여 주변 CCT 데이터를 측정하여, 화이트 밸런스 제어 알고리즘(White Balance Control Algorithm) 등에 의한 보정을 수행한 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붉은 조명 아래에서의 파란색이 강조된 영상을 보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1)를 붉은 색으로 변환하여 화면을 보는데 편안하고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색상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 용하여 주변 조명의 색 온도 등과 무관하게 원색의 동영상이나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방송 화면이나 화상 통화 화면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색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컬러 센서(147)를 통해 피부색 비교시 기준으로 사용되는 기준 피부색이 설정된다(S300). 설정된 기준 피부색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기준 피부색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기준 피부색의 설정이나 변경 등을 위해 별도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기준 피부색의 설정 후,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화상통화의 발신이 요청되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상대 단말기와 화상통화를 위한 호가 연결되도록 제어한다(S305).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컬러 센서(147)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색을 감지한다(S310). 그리고, 감지된 사용자의 피부색을 기준 피부색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피부색이 기준 피부색보다 어두운지 여부를 검사한다(S315). 검사 결과, 사용자의 피부색이 기준 피부색보다 어두운 경우, 제어부(180)는 기준 피부색에 따라 피부색을 보정한 사용자 영상을 생성한다(S320). 그러나, 사용자의 피부색이 기준 피부색보다 어둡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피부색의 보정없이 사용자 영상을 생성한다(S325).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생성한 사용자 영상을 이용하여 화상통화가 수행되 도록 제어한다(S330). 화상통화가 수행되면, 상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대 영상과 화상통화를 통해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면, 상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대 음성데이터가 음향출력 모듈(153)을 통해 출력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화상통화의 종료가 선택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330).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어두운 환경에서 화상통화가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컬러 센서(147)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피부색과 기준 피부색을 감지하여 어두운 환경을 파악하여, 기준 피부색을 기준으로 피부색을 보정한 사용자 영상을 상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두운 환경에서 화상통화가 수행되더라도 화상통화의 상대방은 사용자의 얼굴을 환하고 뚜렷하게 볼 수 있다.
만일, 야외와 같은 밝은 곳에서 사용자가 모자를 쓴 상태로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모자 때문에 사용자의 얼굴 중 일부만이 어두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체적으로 사용자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면 사용자 영상이 너무 희뿌옇게 부자연스럽게 표현되므로, 어두운 일부 영역만을 보정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화상통화시 상대 단말기 측의 색상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일, 화상통화를 통해 수신받은 상대방 영상 중 일부 영역에 대한 색상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상대방 영상 중 색상 정보를 알고 싶은 영역을 터치하면, 터치된 부위의 좌표값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화면으로부 터 계산하여 상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대 단말기는 수신받은 좌표값을 상대 단말기의 영상에 표시해 준다. 이에 따라, 상대 단말기 측에서 요청된 부위를 인지하여, 상대 단말기에 배치된 컬러 센서를 통해 요청된 부위에 초점을 맞추어 색상 정보를 감지한 후, 감지된 색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컬러 센서와 카메라의 위치가 상이하여 카메라의 초점 위치에 색상 정보를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121)의 좌우로 컬러 센서(147c, 147d)를 배치하여, 컬러 센서(147c, 147d)에서 감지되는 각이 중첩되는 위치(305)의 색상 정보만을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장거리 촬영시 카메라(121)의 초점 영역과 동일한 위치 색상 정보를 판별할 수 있으며, 단거리 촬영시 좌우 컬러 센서(147c, 147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색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21)가 촬영한 영상의 보정시에는, 장거리 모드, 단거리 모드에 따라 컬러 센서 색 판별 알고리즘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통화시 사용자 영상의 보정과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화상통화가 요청되어 상대 단말기와 화상통화의 연결을 시도하고 있는 화면(400)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영상(403)에서 피부색이 기준 피부색보다 어두운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피부색을 보정한 사용자 영상을 생성한다.
도 9의 (b)는 피부색이 보정된 사용자 영상(413)이 표시된 화면(410)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피부색이 보정된 사용자 영상(413)은 화상통화의 연결시 상대 단말기로 전송된다.
도 9의 (c)는 상대 단말기에 표시된 화상통화 화면(500)을 나타낸 것이다. 상대 단말기(500)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영상(505)은 피부색이 보정된 영상이 표시됨으로써, 상대방은 사용자의 얼굴을 밝고 뚜렷하게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5는 조명 모듈의 구동을 위한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8은 카메라와 컬러 센서가 배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통화시 사용자 영상의 보정과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56 : 조명 모듈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11)

  1. 대기 모드에서 소정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본체에 설치 위치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제1 컬러 센서와 제2 컬러센서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대한 색상 및 후면에 대한 색상을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주변의 광량이 기준 광량치 보다 높으면 상기 전면의 색상을 기준으로 출력 색상을 결정하고, 기준값 보다 낮으면 후면의 색상을 기준으로 출력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에 조명광을 출력하는 조명 모듈을 마련하고, 상기 출력 색상을 가지는 조명광이 방출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색상은, 상기 감지된 색상과 서로 보색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이 방출하는 조명광의 색상은 소정 주기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5.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조명광을 출력하는 조명 모듈;
    상기 본체에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대한 색상이나 후면에 대한 색상을 감지하는 제1 컬러 센서와 제2 컬러센서; 및
    상기 본체 주변의 광량이 기준 광량치 보다 높으면 상기 전면의 색상을 기준으로 출력 색상을 결정하고, 기준값 보다 낮으면 후면의 색상을 기준으로 출력 색상을 결정하여, 상기 출력 색상을 가지는 조명광이 방출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출력 색상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에 출력되는 광을 외부로 방출하는 조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피부색 비교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기준 피부색의 설정이나 변경을 위해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준 피부색을 설정하는 단계;
    상대 단말기와 화상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단계;
    컬러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피부색을 기준 피부색과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피부색이 상기 기준 피부색보다 어두운 경우 상기 기준 피부색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피부색을 보정한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비교 결과 어둡지 않은 경우에는 피부색의 보정 없이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화상통화를 통해 상기 상대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영상 생성 단계와 상기 사용자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통화 중에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0. 삭제
  11. 상대 단말기와 화상통화를 위한 호를 연결하는 무선통신부;
    사용자의 피부색을 감지하는 컬러 센서; 및
    피부색 비교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기준 피부색의 설정이나 변경을 위해 메뉴를 제공하여, 상기 기준 피부색을 설정하고, 상기 화상통화시, 상기 컬러 센서를 통해 감지한 사용자의 피부색을 기준 피부색과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피부색이 상기 기준 피부색보다 어두운 경우 상기 기준 피부색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피부색을 보정한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비교 결과 어둡지 않은 경우에는 피부색의 보정 없이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여, 생성한 사용자 영상이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송되게 하며, 상기 사용자 영상의 생성 및 상기 사용자 영상의 전송은 상기 화상통화 중에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
KR1020090134376A 2009-11-17 2009-12-30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27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376A KR101627207B1 (ko) 2009-12-30 2009-12-30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2/948,439 US8463317B2 (en) 2009-11-17 2010-11-17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376A KR101627207B1 (ko) 2009-12-30 2009-12-30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729A KR20110077729A (ko) 2011-07-07
KR101627207B1 true KR101627207B1 (ko) 2016-06-03

Family

ID=4491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376A KR101627207B1 (ko) 2009-11-17 2009-12-30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2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527A1 (ko) * 2017-09-0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커버,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9705B1 (ko) * 2017-12-15 2019-09-30 이화준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78811B (zh) 2014-10-17 2018-09-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电子设备以及电子设备使用方法
KR101893154B1 (ko) * 2015-04-14 2018-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079B1 (ko) * 2002-01-16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에서의 얼굴 검출 및 추적 시스템
KR20060075849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팬택 발광 색상 자동 조절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527A1 (ko) * 2017-09-0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커버,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38943B2 (en) 2017-09-01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cover,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89705B1 (ko) * 2017-12-15 2019-09-30 이화준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729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28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438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846331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16048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619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3180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8808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1007773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202252837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移動端末及び制御方法
KR1016272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6948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1183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40090B1 (ko) 위젯 알람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11694535B (zh) 闹钟信息显示方法及装置
KR10160484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5725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9133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5147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9525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8206B1 (ko) 발광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29651B1 (ko) 발광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2144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2983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754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53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