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705B1 -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705B1
KR101989705B1 KR1020170173302A KR20170173302A KR101989705B1 KR 101989705 B1 KR101989705 B1 KR 101989705B1 KR 1020170173302 A KR1020170173302 A KR 1020170173302A KR 20170173302 A KR20170173302 A KR 20170173302A KR 101989705 B1 KR101989705 B1 KR 101989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lighting device
light emission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준
Original Assignee
이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준 filed Critical 이화준
Priority to KR1020170173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에서 컨텐츠를 기초로 색상 정보를 추출하면 추출한 색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RGB LED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인 단말; 및 상기 단말과 통신하여 발광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컨텐츠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 1 컨텐츠에서 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조명장치로 전송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일정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 1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RGB LED;를 포함하고, 상기 색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RGB LED 중 적어도 하나가 발광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system including light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에서 컨텐츠를 기초로 색상 정보를 추출하면 추출한 색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RGB LED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트래티지 에널리스트(SA)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폰 수요는 2013년 9억9000만대 수준에서 2019년에는 18억 1500만대 수준으로 약 2배정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스마트폰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액세서리를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어, 스마트폰 액세서리 시장도 유사한 비율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모바일 액세서리 시장 규모는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5년에는 19,491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이에 따라, 셀카 촬영 조명 관련 제품수요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스마트폰의 스펙기술이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에, 엑세서리 제품의 차별화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저전력으로 단말과 통신하면서 단말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발광 패턴을 제공하는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1) KR20140025858A (2) KR1764744B1 (3) CN104866066
본 발명은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에서 컨텐츠를 기초로 색상 정보를 추출하면 추출한 색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RGB LED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단말; 및 상기 단말과 통신하여 발광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컨텐츠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 1 컨텐츠에서 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조명장치로 전송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일정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 1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RGB LED;를 포함하고, 상기 색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RGB LED 중 적어도 하나가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컨텐츠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단말의 카메라의 촬영 동작, 상기 단말의 제 1 통신부가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단말의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로딩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이고, 상기 색상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톤과 관련된 색상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2 통신부는, BLE(Bluetooth Low Energy)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는 모양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양 정보에 따른 발광 모양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RGB LED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RGB LED가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양 정보는,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모양 정보의 크기는 시간에 따라 변화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양 및 발광 색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 패턴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발광 패턴이 적용되는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의 제 2 통신부와 상기 단말의 제 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가 구축되며,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의 발광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조건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단말로부터 일정 이격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 만족을 알리는 제 2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부가 상기 제 2 통신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건 만족을 알리기 위해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RGB LED가 발광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인 단말과 통신하여 발광하는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컨텐츠를 획득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컨텐츠에서 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조명장치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조명장치의 복수의 RGB LED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 1 정보에 포함된 색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컨텐츠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단말의 카메라의 촬영 동작, 상기 단말이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단말의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로딩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이고, 상기 색상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톤과 관련된 색상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과 조명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는 모양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모양 정보에 따른 발광 모양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RGB LED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RGB LED가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양 정보는,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모양 정보의 크기는 시간에 따라 변화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양 및 발광 색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 패턴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발광 패턴이 적용되는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는 복수이고, 상기 제 4 단계 이후에는,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가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가 구축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의 발광 동작이 제어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단계 이후에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조건 정보를 입력 받는 제 5 단계; 상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단말로부터 일정 이격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제 6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조건 만족을 알리는 제 2 정보를 상기 조명장치로 전송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조건 만족을 알리기 위해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RGB LED가 발광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에서 컨텐츠를 기초로 색상 정보를 추출하면 추출한 색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RGB LED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의 조명으로 활용 가능하고, 집게 형식 등의 구조를 통해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셀카(Selfie) 조명과 이어폰 자동 줄감게의 기능을 융합하여 제공 가능하고, 이를 통해, 촬영 및 이어폰사용에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셀카(Selfie) 조명을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제어 가능하며, 자동 이어폰 줄감게 및 RGB LED의 조합을 통해 셀카 촬영 시 조명 및 이어폰도 같이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eacon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하여 대기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카드 지갑과 같은 곳에 사용하지 않을 때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단말 및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조명 장치와 단말 그리고 이들의 결합관계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단말 및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3가지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단말로부터 수신한 모양 및 색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RGB LED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복수의 RGB LED가 문자(텍스트)와 이미지를 표현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표현된 이미지가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화되면서 표시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단말에 표시된 복수의 RGB LED 제어판과 색상표를 기초로 사용자가 발광 모양 및 색상을 선택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하나의 단말과 복수의 조명장치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외부 하우징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면서 다각의 형태로 구현하여 빛의 반사 및 산란을 유도하는 구조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를 연결하여 특수한 형태의 조명으로 이용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단말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기초로 추출한 색상에 따라 조명장치의 발광 동작이 제어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피부톤 색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색상에 따라 조명장치가 발광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특정 외부 객체의 색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색상에 따라 조명장치가 발광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하나의 단말과 복수의 조명장치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복수의 조명장치가 정보를 나누어 표시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조명장치가 특정 패턴으로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미리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조명장치가 특정 패턴으로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연장에서 관객들 각각이 구비한 조명장치를 제어하여 하나의 정보를 나누어 표시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단말 및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은 단말(100) 및 조명기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100)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100)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 100)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단말(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조명 장치(10)는 빛을 공급하거나 양을 조절한 장치로, 광원에서 바로 나온 빛을 그대로는 빛이 분산되어 조명효과가 나쁘므로 빛을 제어하여 사용목적에 적합하게 조절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조명 장치(10)의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조명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조명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기기(10)는 무선 통신부(11), A/V(Audio/Video) 입력부(20), 사용자 입력부(30), 전원 공급부(40), RGB LED(50), 외부 하우징(60), 메모리(70) 및 인터페이스부(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조명기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는 근거리 통신 또는 원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100)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기(10)의 무선 통신부(11)는 저전력 블루투스 비컨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저전력 블루투스 비컨 기술은 블루투스 신호를 활용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비컨을 인식하도록 하고, 비컨이 설치된 장소에서 각종 정보를 해당 스마트 디바이스에게 제공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 저전력, 저비용 무선 통신 기술에 일종이다.
구체적으로, 애플사가 공개한 아이비컨(iBeacon) 기능은 블루투스 비콘의 신호가 정의된 신호체계에 부합하는 경우, 애플사의 스마트기기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기능으로 파악될 수도 있다.
이때, 비컨 주변으로 접근한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통신은 제공되는 정보의 형태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발현될 수 있는 기술플랫폼이라 할 수 있으므로, 크게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다.
최근 NFC를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은 애플사가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iOS7에서 지원하면서 iBeacon이라는 기능을 공개하였고, 이를 계기로 폭발적으로 기술에 대한 관심 및 관련 제품들이 시장에 공개되고 있다.
또한, 샵킥(ShopKick)사 및 Sonic Notify의 경우, 비가청 주파수(초음파)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상점을 위한 마케팅 솔루션 사업을 진행하였다가 iBeacon기능이 공개되자 블루투스 비컨을 이용하도록 동일한 비즈니스 모델에서 기술을 변경하고 있다.
즉, 저전력 블루투스 비컨기술은 그 활용처가 매우 폭넓어 근미래에 폭발적 이용이 기대되고 있으나, 주요 블루투스 비컨제품을 출시한 기업은 에스티모트(Estimote, 현재 점유율 1위), 콘탁트(Kontakt), 블루캣(Bluecats) 퀄컴(Qualcomm, Gimbal제품), 페이팔(Paypal) 등으로 해외기업들이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컨 주변으로 접근한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통신은 제공되는 정보의 형태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발현될 수 있는 기술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1)와 마이크(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7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22)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마이크(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30)는 사용자가 조명기기기(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40)는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RGB LED(50)는 빛의 삼원색으로 빨간, 녹색, 파란색을 이용해서 색을 표시하는 복수의 LED로 구성된다.
발광다이오드(LED, 50)는 light emitting diode의 약어로서, 갈륨비소 등의 화합물에 전류를 흘려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소자이다.
LED는 m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를 주입하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시킨다.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하는 효율이 높기 때문에 최고 90%까지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5% 정도밖에 되지 않는 백열등,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광원으로 주목되고 있다.
LED는 아래 위에 전극을 붙인 전도물질에 전류가 통과하면 전자와 정공이라고 불리는 플러스 전하입자가 이 전극 중앙에서 결합해 빛의 광자를 발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물질의 특성에 따라 빛의 색깔이 달라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RGB(red, green, blue)를 표시하는 LED(50)를 이용한다.
RGB(red, green, blue)는 빛의 삼원색으로 빨간, 녹색, 파란색을 이용해서 색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RGB LED(5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60)은 상기 복수의 RGB LED(50)가 내부에 배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하우징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하우징(60)은 유리, 아크릴, 실리콘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60)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다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면에 의해 유도된 산란 또는 반사에 의해 상기 제 1 RGB LED(50)에서 발광된 빛이 외부로 확장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80)는 조명기기(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8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기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조명기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80)는 이동조명기기기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조명기기기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조명기기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조명기기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80)는 단말(100)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단말(100)의 적어도 일부를 집게형태를 기초로 고정하여 조명기기(10)를 연결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80)는 단말에 연결되는 이어폰 잭을 감을 수 있는 별도의 기구를 적어도 일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는 통상적으로 조명기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발광 모드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9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제어부(9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제어부(90)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단말(100)의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말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과 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의 개폐 상태, 단말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의 방위, 단말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이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단말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단말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단말을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단말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단말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단말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조명 장치와 단말 그리고 이들의 결합관계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10)는 RGB LED(50)를 통해 다양한 색상을 표시하고, 복수의 RGB LED(50)를 통해 서로 다른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조명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10)의 인터페이스부(80)가 단말(100)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어 단말(100)과 조명 장치(10)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100)과 조명 장치(10)가 연결되는 것은 도 4b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것과 같이 저전력 블루투스 비컨 기반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단말(100) 및 조명 장치(10)의 구성요소 등을 기초로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본 발명은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모양 및 색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RGB LED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단말 및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3가지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RGB LED(50)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 조명을 연출하는 제 1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비콘 신호를 기초로 네트워크를 구축한 단말(100)을 통해 무선으로 조명 기기(10)를 제어하는 제 2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단말기(100)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명기기(10)의 발광 동작을 제어하는 제 3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3가지 기술적 특징을 기반으로 본 발명이 활용되는 구체적인 모습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RGB LED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단말로부터 수신한 모양 및 색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RGB LED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기초로 조명장치(10)와 단말(100)이 통신하는 단계(S10)가 진행된다.
여기서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제 1 정보에 따라 일정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RGB LED(50)가 발광할 수 있다(S11).
구체적으로, S11 단계에서의 제 1 정보는 모양 정보 및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양 정보에 따른 발광 모양을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RGB LED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RGB LED가 발광할 수 있다(S12).
모양 정보의 구체적인 일례로는, 문자(text),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녕”, “사랑해” 등의 문자를 복수의 RGB LED 중 적어도 일부가 발광하여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를 들어, “♡”, “O”, “X” 등의 이미지를 복수의 RGB LED 중 적어도 일부가 발광하여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복수의 RGB LED가 문자(텍스트)와 이미지를 표현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6X6의 복수의 RGB LED(50)가 표시되고, 6X6의 복수의 RGB LED(50) 중 일부만 발광하도록 하여 “나”라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6X6의 복수의 RGB LED(50)가 표시되고, 6X6의 복수의 RGB LED(50) 중 일부만 발광하도록 하여 “도”라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도” 라는 텍스트를 복수의 RGB LED(50)를 기초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10X10의 복수의 RGB LED(50)가 표시되고, 6X6의 복수의 RGB LED(50) 중 일부만 발광하도록 하여 “♡”라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RGB LED 각각은 제 1 정보에 포함된 색상 정보에 따라 결정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S13).
즉, RGB(red, green, blue)를 기초로 표현될 수 있는 복수의 색상 중 제 1 정보에서 지정한 색상 정보에 따라 복수의 RGB LED(50) 각각은 발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RGB LED(50)의 발광 패턴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RGB LED(50)의 발광 모양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라는 텍스트를 표시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에 “도”라를 텍스트를 표시함으로써, 결국 “나도” 라는 텍스트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RGB LED(50)는 “♡”를 표시하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O”를 표시하고, 그 이후에 “X”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RGB LED(50)는 일정 시간은 red로 발광하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green으로 발광하고, 최종적으로 blue 색상으로 발광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RGB LED(50)에 표시된 정보는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화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표현된 이미지가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화되면서 표시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복수의 RGB LED(50)는 “♡”를 표시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 8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를 표시하며, 점점 크기가 작아진 “♡”가 표시된다.
실시예 2 - 복수의 RGB LED의 발광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복수의 RGB LED(50)의 발광 패턴을 손쉽게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단말에 표시된 복수의 RGB LED 제어판과 색상표를 기초로 사용자가 발광 모양 및 색상을 선택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10X10의 복수의 RGB LED(50)를 포함하는 조명 기기(10)가 도시된다.
또한,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복수의 RGB LED(50)의 배치에 대응하는 10X10의 터치 객체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10X10 복수의 터치 객체 중 제 1 터치 객체(1001), 제 2 터치 객체(1002) 및 제 3 터치 객체(1003)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터치 객체(1001), 제 2 터치 객체(1002) 및 제 3 터치 객체(1003)를 터치로 선택할 때마다, 우측 상단의 색상표(2000)를 기초로 각 터치 객체가 발광할 색상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터치 객체(1001)는 red 색상으로 지정하고, 제 2 터치 객체(1002)는 green 색상으로 지정하며, 제 3 터치 객체(1003)는 blue 색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시간에 따라 복수의 RGB LED(50)가 발광하는 모양 및 색상이 변화되도록 지정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는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통신부(110)를 통해 조명기기(10)로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쉽게 단말(100)을 통해 복수의 RGB LED(50)의 발광 모양 및 색상 등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 네트워크 기반 정보 표시 방법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하나의 조명기기(10)뿐만 아니라 복수의 조명기기(1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정보를 복수의 조명기기(10)가 한번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하나의 단말과 복수의 조명장치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제 1 조명기기(10a), 제 2 조명기기(10b), 제 3 조명기기(10c) 및 제 4 조명기기(10d)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도 10에서의 제 1 조명기기(10a), 제 2 조명기기(10b), 제 3 조명기기(10c) 및 제 4 조명기기(10d)는 3X3의 복수의 RGB LED(50)를 구비하고, 각각의 조명기기는 복수의 RGB LED(50)를 기초로 “X” 텍스트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4 - 조명장치의 발광 이외의 기능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기(10)이 외부 하우징(60)은 상기 복수의 RGB LED(50)가 내부에 배치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하우징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하우징(60)은 유리, 아크릴, 실리콘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60)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다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각면에 의해 유도된 산란 또는 반사에 의해 상기 제 1 RGB LED(50)에서 발광된 빛이 외부로 확장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외부 하우징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면서 다각의 형태로 구현하여 빛의 반사 및 산란을 유도하는 구조의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외부 하우징(60)은 제 1 면(61), 제 2 면(62) 등을 포함하는 다각 형태로 구현된다.
복수의 RGB LED(50)를 통해 발광된 빛은 외부 하우징(60)의 다각면에 의해 유도된 산란 또는 반사에 의해 외부로 확장 또는 집중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빛은 단말(100) 사용자의 비상상태(emergenc)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용도 등으로 이용 가능하다.
즉, 사용자에게 조난 등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더 먼 외부까지 빛이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상기 외부 하우징(60)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조난 구조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 구조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RGB LED(50)가 발광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기능으로, 복수의 조명 장치를 연결하여 특수한 형태의 조명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조명 장치(10)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하고, 복수의 조명 장치(10)를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연결하여 무드등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복수의 조명 장치를 연결하여 특수한 형태의 조명으로 이용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10)는 플렉서블(flexible) 재질로 형성된다.
도 12에서는 조명장치(10)는 제 1 조명장치(10a), 제 2 조명장치(10b), 제 3 조명장치(10c), 제 4 조명장치(10d), 제 5 조명장치(10e), 조 6 조명장치(10f)를 포함하고, 각각의 조명장치는 돌기부재(15)와 상기 돌기부재(15)가 삽입되는 삽입부재(16)를 포함한다.
제 1 조명장치(10a)의 돌기부재(15a)는 제 6 조명장치(10f)의 삽입부재(16f)로 삽입되고, 제 2 조명장치(10b)의 돌기부재(15b)는 제 1 조명장치(10a)의 삽입부재(16a)로 삽입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연결 동작을 통해, 제 1 조명장치(10a), 제 2 조명장치(10b), 제 3 조명장치(10c), 제 4 조명장치(10d), 제 5 조명장치(10e), 조 6 조명장치(10f)가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연결되고, “♡” 모양의 조명 기구를 완성할 수 있다.
실시예 5 - 단말에서 추출한 색상에 따라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복수의 RGB LED(50)의 색상을 지정하는 방법 이외에 셀카 사진을 위해 사용자의 피부톤에 따른 색상을 제어부(180)가 추출하고, 추출한 색상에 따라 복수의 RGB LED(50)가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단말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기초로 추출한 색상에 따라 조명장치의 발광 동작이 제어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장 먼저,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S20)가 진행된다.
여기서 제 1 컨텐츠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컨텐츠는, 상기 단말(100)의 카메라(121)의 촬영 동작, 단말(100)의 통신부(110)가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제어부(180)가 단말(100)의 메모리(160)로부터 미리 저장된 정보를 로딩하는 동작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후, 단말(100)의 제어부(180)는 제 1 컨텐츠에서 색상 정보를 추출(S21)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미지, 동영상 등에 포함된 사용자의 특정 얼굴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영역의 얼굴 색상을 추출하며, 추출한 색상 또는 추출한 색상에 가장 조화로운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단말(100)은 통신부(110)을 통해 추출된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조명장치(10)로 전송(S22)하고, 조명장치(10)의 복수의 RGB LED(5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 1 정보에 포함된 색상 정보에 따라 발광(S23)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피부톤 색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색상에 따라 조명장치가 발광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미리 단말(100)의 카메라(121)를 통해 본인의 얼굴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후, 도 1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제 1 이미지(310)를 통해 본인의 얼굴 색상(300)을 결정하거나 제 2 이미지(320)를 통해 본인의 얼굴 색상(300)을 결정하거나 제 3 이미지(330)를 통해 본인의 얼굴 색상(30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인의 얼굴 이미지뿐만 아니라 원하는 객체를 촬영 및 저장하고, 해당 객체의 색상에 따라 조명기기(10)가 발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특정 외부 객체의 색상을 추출하고, 추출한 색상에 따라 조명장치가 발광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석양을 특정 객체로 정하고, 이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한다.
여기서 촬영된 이미지를 기초로 도 1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색상이 조명기기(10)의 발광 색상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도 15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색상이 조명기기(10)의 발광 색상으로 결정될 수도 있으며, 도 15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색상이 조명기기(10)의 발광 색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 6 -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방법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하나의 조명기기(10)뿐만 아니라 복수의 조명기기(1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정보를 복수의 조명기기(10)가 나누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하나의 단말과 복수의 조명장치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복수의 조명장치가 정보를 나누어 표시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제 1 조명기기(10a), 제 2 조명기기(10b), 제 3 조명기기(10c), 제 4 조명기기(10d), 제 5 조명기기(10e), 제 6 조명기기(10f), 제 7 조명기기(10g), 제 8 조명기기(10h) 및 제 9 조명기기(10i)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도 10에서의 제 1 조명기기(10a), 제 2 조명기기(10b), 제 3 조명기기(10c), 제 4 조명기기(10d), 제 5 조명기기(10e), 제 6 조명기기(10f), 제 7 조명기기(10g), 제 8 조명기기(10h) 및 제 9 조명기기(10i)는 3X3의 복수의 RGB LED(50)를 구비하고, 각각의 조명기기는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정보의 조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 모양의 일부를 9개의 조명기기(10)가 나누어 표시하고, 이들을 모아서 발광시켰을 때, 전체적으로 “♡” 모양의 발광 모양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 7 - 조건 만족에 대한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조명장치(10)가 특정 패턴으로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조건 정보를 단말(100)은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이상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단말(100)의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입력된 조건 정보 중 일정 조건 이상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단말(100)로부터 일정 이격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통신부(110)를 통해 조건 만족을 알리는 정보를 조명장치(10)로 전송하고, 조건 만족을 알리기 위해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복수의 RGB LED(50)가 발광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조명장치가 특정 패턴으로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본인이 지정한 조건에 부합하는 객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조명기기(10)의 발광을 통해 직관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조건을 만족하는 객체 측에서도 본인의 등장에 대한 알림이 이뤄진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으므로, 해당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조건을 만족하는 객체 측의 조명기기(10)에서도 추가적인 패턴으로 발광할 수도 있다.
실시예 8 - 특정 위치에서의 혜택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미도시)가 미리 지정한 오프라인 매장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조명장치(10)가 특정 패턴으로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미리 지정된 오프라인 매장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조명장치가 특정 패턴으로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A 매장에서 X 쿠폰을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100)이 A 매장과 일정 이격 거리 이내라면, 단말(100)은 정보를 조명기기(10)로 전송하고, 조명기기(10)가 특정 패턴으로 발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오프라인 커머스 영역에서 고객을 유인하는 마케팅 모델, 매장에 진입한 고객에 제품을 홍보 또는 보상하는 모델 및 제품을 구매한 고객에게 자동결재 또는 자동적립하는 모델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블루투스 비컨이 전송하는 신호의 보안은 블루투스 비컨기술의 활용처 중 가장 시장이 크다고 예상되는 모바일 결제시장으로 기술의 적용확대를 위하여 필수적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 9 - 공연장 내에서의 정보 표시 방법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연장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소지한 복수의 조명기기(1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특정 정보를 영역 단위로 복수의 조명기기(10)가 나누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연장에서 관객들 각각이 구비한 조명장치를 제어하여 하나의 정보를 나누어 표시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공연장의 스테이지 영역(3100) 이외에 사용자들이 위치한 곳은 제 1 영역(3200), 제 2 영역(3300), 제 3 영역(3400), 제 4 영역(3500), 제 5 영역(3600), 제 6 영역(3700), 제 7 영역(3800), 제 8 영역(3900), 제 9 영역(3950) 및 제 10 영역(1970)으로 나눠질 수 있다.
이때, 공연장 제어시스템과 복수의 사용자가 소지한 복수의 조명기기(10)가 네트워크를 구비하고, 제 1 영역(3200), 제 2 영역(3300), 제 3 영역(3400) 및 제 4 영역(3500)은 그룹으로 “♡” 모양의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5 영역(3600), 제 6 영역(3700), 제 7 영역(3800), 제 8 영역(3900), 제 9 영역(3950) 및 제 10 영역(1970) 각각은 각 영역에서 “♡” 모양의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기(10) 공연장에서 사용자들의 감정, 응원 등을 표현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모양 및 색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RGB LED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의 조명으로 활용 가능하고, 집게 형식 등의 구조를 통해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셀카(Selfie) 조명과 이어폰 자동 줄감게의 기능을 융합하여 제공 가능하고, 이를 통해, 촬영 및 이어폰사용에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셀카(Selfie) 조명을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제어 가능하며, 자동 이어폰 줄감게 및 RGB LED의 조합을 통해 셀카 촬영 시 조명 및 이어폰도 같이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eacon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하여 대기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카드 지갑과 같은 곳에 사용하지 않을 때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8)

  1. 단말; 및 상기 단말과 통신하여 발광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컨텐츠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 1 컨텐츠에서 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조명장치로 전송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일정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 1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RGB LED;를 포함하고,
    상기 색상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RGB LED 중 적어도 하나가 발광하며,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이고,
    상기 색상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톤과 관련된 색상 정보이며,

    상기 제 1 정보는 모양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양 정보에 따른 발광 모양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RGB LED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RGB LED가 발광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의 제 2 통신부와 상기 단말의 제 1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가 구축되며,
    상기 제 1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양 및 발광 색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 패턴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발광 패턴이 적용되는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의 발광 동작은 상기 복수의 발광 패턴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발광 패턴이 적용되는 시간 정보에 따라 제어되며,

    상기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조건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단말로부터 일정 이격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건 만족을 알리는 제 2 정보를 상기 제 1 통신부가 상기 제 2 통신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조건 만족을 알리기 위해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RGB LED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츠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단말의 카메라의 촬영 동작, 상기 단말의 제 1 통신부가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단말의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로딩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2 통신부는, BLE(Bluetooth Low Energy)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 정보는,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RGB LED 중 적어도 일부의 발광 여부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모양 정보에 따른 발광 모양의 크기는 시간에 따라 변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단말과 통신하여 발광하는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컨텐츠를 획득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컨텐츠에서 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색상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조명장치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조명장치의 복수의 RGB LED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 1 정보에 포함된 색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이고,
    상기 색상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톤과 관련된 색상 정보이며,

    상기 제 1 정보는 모양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모양 정보에 따른 발광 모양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RGB LED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RGB LED가 발광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복수이고,
    상기 제 4 단계 이후에는,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가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제 4-1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의 발광 동작이 제어되는 제 4-2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양 및 발광 색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 패턴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발광 패턴이 적용되는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2 단계의 상기 복수의 조명장치의 발광 동작은 상기 복수의 발광 패턴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발광 패턴이 적용되는 시간 정보에 따라 제어되며,

    상기 제 4 단계 이후에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조건 정보를 입력 받는 제 5 단계;
    상기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단말로부터 일정 이격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6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일정 이격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조건 만족을 알리는 제 2 정보를 상기 조명장치로 전송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조건 만족을 알리기 위해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복수의 RGB LED가 발광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츠는,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1 컨텐츠는,
    상기 단말의 카메라의 촬영 동작, 상기 단말이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단말의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로딩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조명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양 정보는,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RGB LED 중 적어도 일부의 발광 여부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모양 정보에 따른 발광 모양의 크기는 시간에 따라 변화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173302A 2017-12-15 2017-12-15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989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302A KR101989705B1 (ko) 2017-12-15 2017-12-15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302A KR101989705B1 (ko) 2017-12-15 2017-12-15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705B1 true KR101989705B1 (ko) 2019-09-30

Family

ID=6809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302A KR101989705B1 (ko) 2017-12-15 2017-12-15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7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858A (ko) 2012-08-23 2014-03-05 김애경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CN104866066A (zh) 2015-05-04 2015-08-2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视频播放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101627207B1 (ko) * 2009-12-30 2016-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70042537A (ko) * 2017-04-11 2017-04-19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764744B1 (ko) 2016-03-04 2017-08-07 (주)알비케이이엠디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207B1 (ko) * 2009-12-30 2016-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40025858A (ko) 2012-08-23 2014-03-05 김애경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CN104866066A (zh) 2015-05-04 2015-08-2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视频播放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101764744B1 (ko) 2016-03-04 2017-08-07 (주)알비케이이엠디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KR20170042537A (ko) * 2017-04-11 2017-04-19 주식회사 하남아트텍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6708B2 (en) Indoor lighting device, indoor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89657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1393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US917211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US20120052908A1 (en) Pico projector device used with mobile phone
KR201100190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504113B2 (en) Mobile terminal
US20110310357A1 (en) Multiple rate projector
KR20180006571A (ko) 물품 수납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101989705B1 (ko)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632209B1 (ko)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8962B1 (ko)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
CN106935207B (zh) 亮度控制方法及装置
KR20170116619A (ko) 단말 및 서버를 이용한 가상 led 전광판
KR20170115186A (ko) Led 잔상을 이용한 pov 글로브
KR20180006580A (ko) 주변환경에 따라 패턴 및 색상을 표현하는 스마트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10166264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194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시지 표시 방법
KR101817863B1 (ko) 스마트 우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9824B1 (ko) 복수의 구성요소를 갖는 스마트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101780151B1 (ko) 음악 감상이 가능한 스마트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101658546B1 (ko) 발광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164548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동작 제어 방법
KR20180006568A (ko) 센서를 이용하는 스마트 의복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7365A (ko) 단추를 이용한 스마트 의복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