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858A -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858A
KR20140025858A KR1020120092123A KR20120092123A KR20140025858A KR 20140025858 A KR20140025858 A KR 20140025858A KR 1020120092123 A KR1020120092123 A KR 1020120092123A KR 20120092123 A KR20120092123 A KR 20120092123A KR 20140025858 A KR20140025858 A KR 20140025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led
portable terminal
accessor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애경
Original Assignee
김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애경 filed Critical 김애경
Priority to KR102012009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5858A/ko
Publication of KR2014002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이어폰잭삽입부에 접속할 수 있는 삽입잭이 일측에 돌출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삽입잭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LED 점등을 위한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신호처리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점등신호에 따라 점멸되는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잭을 휴대단말기의 이어폰잭삽입부에 간단히 접속하면 이어폰 등으로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LED를 점멸시킴으로써 불규칙적인 LED의 점등 또는 점멸을 유도하여 사용자에게서 흥미를 유발시켜 액세서리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휴대단말기의 이어폰잭삽입부에 유입되어 이어폰 등을 연결하는 경우의 접속 불량 등을 방지하면서도 액세서리의 기능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LED 점등을 위한 별도의 구동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또는 직접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의 연결부에 연결할 필요가 없어 그 구조가 간단하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 lighting accessory for cell phone }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이어폰잭삽입부에 간단히 접속하여 LED를 점등 또는 점멸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서 흥미를 유발시켜 액세서리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개인이 가지고 다니면서 통화할 수 있는 소형 무선 전화기로서,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고 있다.
이들 휴대 단말기는 전화가 걸려왔을 때 벨 소리나 진동으로 특정 사용자에게 전화가 왔음을 알려주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기능적인 부면 외에 미적인 부분도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를 휴대 단말기에 부착시키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업종도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는 통상 휴대 단말기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에 결착끈이 고리형태로 결합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는 여러 종류의 형상이나 모양으로 제작된다. 하지만, 종래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는 대부분 그 자체의 형상에 의한 미감을 표현할 뿐 여타 기능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종래 단순 구조의 액세서리를 탈피한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87186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후레쉬가 부설된 휴대폰용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의 접속부에 삽입 장착되어 휴대폰의 배터리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전원이 인가되어 후레쉬로 사용되는 엘이디가 결합된 접속단자가 탄지편과 결합된채 상, 하부 케이스에 조립 결합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케이스의 전면측에는 반사경 조립홈이 형성되어 외면 일측에 걸림환턱을 갖는 반사경이 끼워지고, 상기 상, 하부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연결 고리 끼움공이 형성되어 신축와이어가 결합된 연결고리의 고정구가 끼워지며, 상기 접속단자에 연결된 엘이디의 일측 전원선에는 저항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는 액세서리의 기능을 주로 담당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후레쉬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대폰의 접속부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그 기능 사용을 위한 착탈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전원 공급을 통해 엘이디를 점등하여 야간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만 할 뿐이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휴대폰의 접속부에서 분리해야 하므로 후레쉬 기능의 선택적 사용을 위한 불편함이 존재하고, 단순 점등 기능만을 갖고 있어 후레쉬로 사용하는 동안에는 액세서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 예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이어폰잭삽입부에 접속할 수 있는 삽입잭이 구비되어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LED를 점멸시킴으로써 불규칙적인 LED 점멸을 유도하여 사용자에서 흥미를 유발시켜 액세서리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이어폰잭삽입부에 간단히 접속할 수 있는 삽입잭이 구비되어 액세서리의 설치가 간단하고, 독립된 전원을 사용하지 않아 그 구조가 간단하고, 휴대폰 전원부를 통한 전원공급을 받지 않고 이어폰잭삽입부의 전원을 그대로 삽입잭을 통해 공급받으므로 그 사용이 간단한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이어폰잭삽입부에 접속할 수 있는 삽입잭이 일측에 돌출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삽입잭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LED 점등을 위한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신호처리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점등신호에 따라 점멸되는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삽입잭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전기신호를 LED 점등을 위한 점등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인체감지수단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LED 점등을 위한 점등신호로 증폭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LED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체감지수단은 리드스위치를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ED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LED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아크릴, 실리콘 재질, 플라스틱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LED가 점등 또는 점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지원서버에 접속하여 액세서리 지원용 어플(앱/App)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스마트폰(smartpho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메인제어부에서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통화 수신음 또는 음악의 음성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어폰잭삽입부로 LED 점등을 위한 전기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잭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잭을 휴대단말기의 이어폰잭삽입부에 간단히 접속하면 이어폰 등으로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LED를 점멸시킴으로써 불규칙적인 LED의 점등 또는 점멸을 유도하여 사용자에게서 흥미를 유발시켜 액세서리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휴대단말기의 이어폰잭삽입부에 유입되어 이어폰 등을 연결하는 경우의 접속 불량 등을 방지하면서도 액세서리의 기능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LED 점등을 위한 별도의 구동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또는 직접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의 연결부에 연결할 필요가 없어 그 구조가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의 일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를 휴대 단말기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는 다양한 종류의 개인 휴대 단말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에 접속할 수 있는 삽입잭(110)이 일측에 돌출구비되는 하우징(120)과, 상기 삽입잭(110)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LED 점등을 위한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130)과, 상기 신호처리수단(130)을 통해 출력되는 점등신호에 따라 점멸되는 LED(14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에 접속할 수 있는 삽입잭(110)은 전원 및 음성 출력을 위한 전기신호를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입력받는 것으로, 간단히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에 삽입 또는 분리함으로써 간단히 착탈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200)는 그 제조사에 따라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의 내부 핀 배열 및 구조상의 차이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를 구성하는 하우징(120)의 일측에 가변 스위치(미도시됨) 등을 더 구비함으로써 간단히 신호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처리수단(130)은 PCB(132)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삽입잭(110)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133)와, 상기 필터부(133)를 통과한 전기신호를 LED(140) 점등을 위한 점등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134)로 구성된다.
이 경우 필터부(134)와 신호변환부(134)는 저항, 캐패시터 및 op-amp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신호처리수단(130)은 인체감지수단(15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LED(140) 점등을 위한 점등신호로 증폭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LED(140)를 점등시킨다.
이때, 상기 인체감지수단(150)은 리드스위치(151,152)를 하우징(12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으로서, 휴대단말기(200)의 사용자가 리드스위치(151,152)에 손가락 등을 접촉하면 리드신호가 산호처리수단(130)으로 입력되어 LED(140)를 점등시킨다.
따라서, 하우징(120)의 구조를 무당벌레 등의 곤충 형상으로 제작하고, 리드스위치(151,152)를 더듬이 형태로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곤충의 더듬이를 더듬는 듯한 동작을 통해서 LED(140)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이때, 리드스위치(151,152)를 통한 인체의 미세 전류의 불규칙적인 통전을 통해 LED(140)가 일정시간 점등되거나 또는 불규칙 적인 점멸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LED(140)가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LED(140)는 하나 이상 설치가 가능하며 견고한 고정 및 회로 연결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PCB(132)에 납땜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특히 상기 LED(140)는 고휘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고휘도 엘이디를 사용하거나 다양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다색 LED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20)은 LED(140)의 점등 또는 점멸시 발생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아크릴, 실리콘 재질,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LED(140)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12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20)은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함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0)은 내부 LED(140)의 빛이 산란될 수 있도록 표면을 다각(多角) 형상으로 가공함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의 삽입잭(110)을 연결한 상태에서 통화가 시도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200)의 스피커(202)를 통한 음성 통화가 불가능하고, 통화시도시나 통화중인 경우에만 LED(140)가 점등 또는 점멸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를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에 삽입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휴대단말기(200)의 스피커(202)를 통한 통화가 가능하고, 휴대전화 전화벨 울림, 통화중, 휴대폰 키패트 터치, 음악재생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의 LED(140)가 점등 또는 점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지원서버(300)에 휴대 단말기(200)인 스마트폰(smartphone)으로 접속하여 액세서리 지원용 어플(310)을 다운로드 받아 휴대 단말기(200)인 스마트폰(smartphone)에 설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를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에 삽입하고 액세서리 지원용 어플(310)을 구동하면, 이 후, 휴대전화 전화벨 울림이나 통화중에는 휴대 단말기(200)의 메인제어부(204)에서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로 전기신호를 출력하고, 삽입잭(110)을 통해 전기신호가 입력되어 신호처리수단(130)에서 점등신호로 변환되어 LED(140)를 점등 또는 점멸시켜준다.
이 경우 전화벨 울림이나 통화중 또는 음악 재생 중인 경우 통화수신 음성 이나 음악 등의 음성 출력을 위한 불규칙적인 전기신호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에 그대로 입력되어 불규칙적으로 LED(140)가 점멸됨으로써 흥미와 몰입도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휴대 단말기의 조작에 따른 전기신호의 발생은 간단한 전기 신호의 출력을 할 수 있으며, 주기적인 점등 및 소등을 위한 전기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200)가 로딩된 액세서리 지원용 어플(310)의 프로그램 순서에 따라 전기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를 사용하기 위해 휴대단말기(200) 특히 스마트폰(smartphone)을 이용해 원격지의 지원서버(300)에 접속하여 액세서리(100)의 LED(140)가 점등 또는 점멸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액세서리 지원용 어플(310)을 다운로드 받아 휴대 단말기(200)인 스마트폰에 설치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를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에 삽입하고 액세서리 지원용 어플(310)을 구동하면, 휴대 단말기(200)의 메인제어부(204)는 통상 이어폰을 통한 통화 또는 음악 청취를 위해 이어폰이 연결되는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로 전기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면서도, 휴대단말기(200)의 스피커(202)를 통해 통화 수신음이 음성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물론, 전화벨, 통화음, 음악 등의 이어폰 출력을 위한 전기신호는 휴대단말기(200)의 스피커(202)로 출력됨과 동시에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로도 출력하여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의 LED(140)를 점등 또는 점멸시켜준다.
이때, 전화벨 울림이나 통화중 또는 음악 재생 중인 경우 통화수신 음성 이나 음악 등의 음성 출력을 위한 불규칙적인 전기신호에 따라 LED(140)가 불규칙적으로 점멸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주변인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를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에 삽입 및 연결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 등의 키입력부(206)를 터치 또는 조작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의 메인제어부(204)는 액세서리 지원용 어플(310)의 프로그램에 따라 이어폰잭삽입부(210)로 전기신호를 출력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의 LED(140)를 점등 또는 점멸시키거나 리드스위치(151,152)에 손가락 등을 접촉하면 리드신호가 신호처리수단으로 입력되어 LED(140)를 점등 또는 점멸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는 연결잭(110)을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에 접속하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에 유입되어 이어폰 등을 연결하는 경우의 접속 불량 등을 방지하고 액세서리의 기능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100)는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에 접속할 수 있는 삽입잭(110)이 일측에 돌출구비되는 하우징(120)과, 상기 삽입잭(110)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LED 점등을 위한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130)과, 상기 신호처리수단(130)을 통해 출력되는 점등신호에 따라 점멸되는 LED(140)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잭(110)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125)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음성출력수단(125)은 이어폰 스피커 또는 소형 스피커 등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액세서리(100)의 LED(140)가 점등 또는 점멸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액세서리 지원용 어플(310)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서도 즉시 수신음을 들으면서도 LED(140)의 점등 또는 점멸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00: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110: 삽입잭
120: 하우징 130: 신호처리수단
132: PCB 133: 필터부
134: 신호변환부 140: LED
150: 인체감지수단 151,152: 리드스위치
200: 휴대단말기 210: 이어폰잭삽입부
300: 지원서버 310: 액세서리 지원용 어플

Claims (8)

  1.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에 접속할 수 있는 삽입잭(110)이 일측에 돌출구비되는 하우징(120)과, 상기 삽입잭(110)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LED 점등을 위한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수단(130)과, 상기 신호처리수단(130)을 통해 출력되는 점등신호에 따라 점멸되는 LED(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130)은 상기 삽입잭(110)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133)와, 상기 필터부(133)를 통과한 전기신호를 LED(140) 점등을 위한 점등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1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130)은 인체감지수단(15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LED(140) 점등을 위한 점등신호로 증폭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LED(140)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수단(150)은 리드스위치(151,152)를 하우징(12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140)는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LED(140)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아크릴, 실리콘 재질, 플라스틱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200)는 상기 LED(140)가 점등 또는 점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지원서버(300)에 접속하여 액세서리 지원용 어플(310)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스마트폰(smartpho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메인제어부(204)에서 휴대단말기(200)의 스피커(202)를 통해 통화 수신음 또는 음악의 음성을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잭삽입부(210)로 LED 점등을 위한 전기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잭(110)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1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KR1020120092123A 2012-08-23 2012-08-23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KR20140025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123A KR20140025858A (ko) 2012-08-23 2012-08-23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123A KR20140025858A (ko) 2012-08-23 2012-08-23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858A true KR20140025858A (ko) 2014-03-05

Family

ID=5064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123A KR20140025858A (ko) 2012-08-23 2012-08-23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585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552A1 (ko) * 2014-05-19 2015-11-26 (주)타이호인스트 스마트 폰 액세서리
WO2017150800A1 (ko) * 2016-03-04 2017-09-08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KR20190072166A (ko) 2017-12-15 2019-06-25 이화준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989705B1 (ko) 2017-12-15 2019-09-30 이화준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00134125A (ko) 2019-05-21 2020-12-01 이화준 플랫폼 기반의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552A1 (ko) * 2014-05-19 2015-11-26 (주)타이호인스트 스마트 폰 액세서리
WO2017150800A1 (ko) * 2016-03-04 2017-09-08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KR20190072166A (ko) 2017-12-15 2019-06-25 이화준 조명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989705B1 (ko) 2017-12-15 2019-09-30 이화준 조명 장치와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00134125A (ko) 2019-05-21 2020-12-01 이화준 플랫폼 기반의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16371B (zh) 带闪光发光二极管的耳机装置
KR20140025858A (ko) 휴대 단말기용 조명 액세서리
KR101641510B1 (ko) 변형과 분리가 가능한 블루투스 led스피커
KR20120126821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기구 제어장치
US20130285809A1 (en) Electronic apparatus
CN204806058U (zh) 带蓝牙音响的台灯
CN202353643U (zh) 一种关机状态下能快速确认其位置的手机及其遥控器
US6926451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light accessory port
KR20180005333A (ko) 휴대 단말기용 led 조명 악세서리
KR20160121260A (ko) 블루투스 및 무선통화 기능을 가진 멀티 무드등
CN210442946U (zh) 一种语音遥控器
CN105889847A (zh) 一种触控式音响灯
CN207560104U (zh) 一种具有来电提醒功能的手机壳
CN205620681U (zh) 光感睡眠计时器
CN205191441U (zh) 蘑菇灯
US9909749B2 (en) Light accessory using microphone stand/clamp
CN203193720U (zh) 具有震动马达的手机
CN209358710U (zh) 灯光音响
KR101594456B1 (ko) 스마트 폰 액세서리
JP3149821U (ja) イヤホン
JP3177624U6 (ja) 携帯電話音声連動型イルミネーションケース
JP3177624U (ja) 携帯電話音声連動型イルミネーションケース
CN212510880U (zh) 一种多功能台灯
CN210536715U (zh) 一种发光手机壳
CN209358749U (zh) 一种灯光音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