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846B1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846B1
KR101604846B1 KR1020090116057A KR20090116057A KR101604846B1 KR 101604846 B1 KR101604846 B1 KR 101604846B1 KR 1020090116057 A KR1020090116057 A KR 1020090116057A KR 20090116057 A KR20090116057 A KR 20090116057A KR 101604846 B1 KR101604846 B1 KR 101604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screen
comparison result
compari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349A (ko
Inventor
최경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846B1/ko
Priority to US12/775,957 priority patent/US8400519B2/en
Publication of KR2011005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06V40/171Local features and components; Facial parts ; Occluding parts, e.g. glasses; Geometrical relations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제1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소정 동작이 선택되면, 제2 이미지의 접사촬영을 위한 모드로 카메라를 동작시키고, 촬영이 선택되면 제1 이미지와 촬영된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 대비하여, 서로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사용자에게 보여 줄 수 있다.
카메라, 접사촬영, 휴대 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준 이미지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는,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고해상도 카메라 등이 적용되기도 한다.
이와 함께, 개인 휴대품으로 널리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에 웰빙 기능이나 미용 관련 기능을 부가하여,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사용자의 건강이나 외모 등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데 휴대 단말기를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 현재 휴대 단말기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외모나 건강 상태 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비교 이미지를 대비하여 그 차이점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제1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 소정 동작의 선택시, 제2 이미지의 접사촬영을 위한 모드로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제1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를 설정하는 단계, 소정 동작의 선택시, 접사촬 영을 위한 모드로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비교결과의 표시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이미지와 현재 표시되는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인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나타내는 비교결과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소정 동작이 선택되면, 제2 이미지의 접사촬영를 위한 모드로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고,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소정 동작의 선택시, 접사촬영을 위한 모드로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고, 비교 결과의 표시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이미지와 현재 표시되는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나타내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기준 이미지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나타내는 비교결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이미지와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나타내는 비교결과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준 이미지와 대비한 외모나 건강 상태 등의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나 방송 관련 정보 등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 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휴대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휴대 단말 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휴대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 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 고,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본체,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 마이크(123),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및 제4 사용자 입력부(130c, 130d)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휠 타입의 제5 사용자 입력부(130e)와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바디(100B)의 측면에는 제6 사용자 입력부(130f)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와 거울(126)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6)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 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제2 카메라(121b)와 함께 제3 카메라(미도시)가 듀얼 카메라로 구비되거나,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 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미지 비교시 기준으로 사용되는 기준 이미지가 설정된다(S200). 설정된 기준 이미지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기준 이미지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로 설정되거나, 혹은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이미지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이미지의 설정이나 변경 등을 위해 별도의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기준 이미지의 저장 후, 사용자 명령 등에 따라 기준 이미지와 촬영된 이미지 등을 비교한 결과를 표시하는 이미지 비교모드가 선택되면(S205), 제어부(180)는 이미지 비교모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카메라(121)의 촬영모드 및 촬영환경이 설정되도록 제어한다(S210). 이미지 비교모드에서 사용되는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사진 촬영에 사용되는 제2 카메라(121b)가 사용될 수도 있고, 화상통화 등에 사용되는 제1 카메라(121a)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비교모드에서 카메라(121)의 촬영모드 및 촬영환경이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새로 설정되는 것은, 세밀한 부분까지 촬영 및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촛점은 접사 모드, 화질은 최고급 모드, 조도는 밝게 등과 촬영모드 및 촬영환경이 설정되고, 사용자 스스로 이미지 촬영을 위해 셀프 촬영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접사 모드는, 접사(macro)촬영이 가능한 모드이며, 접사촬영이란 피사체와의 거리가 30cm이하인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의 촬영을 말한다. 피사체와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는 보통의 촬영과는 초점을 맞추는 방식 등이 다르기 때문에 카메라(121)도 약간은 다르게 동작하여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접사촬영시 조도가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접사촬영에 의해 매우 가까운 피사체를 촬영함으로써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세밀한 부분까지 촬영 및 비교가 가능하게 된다.
카메라(121)에 설정되는 촬영모드 및 촬영환경은, 오전, 오후, 밤 등과 같은 시간대, 실내나 실외 등과 같은 장소 등에 따라 설정 사항이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한다(S215).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촬영 버튼의 조작 등에 의해 비교 이미지의 촬영이 선택되면(S220),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비교 이미지를 생성한다(S225).
생성한 비교 이미지에 대하여 필요한 경우 전처리 이미지 보정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생성한 비교 이미지에 대하여, 원근왜곡(perspective distortion) 보정, 베네팅(vigenetting) 보정, 색수차(chromatic abreration) 보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원근 왜곡 보정의 경우, 특히 볼록 왜곡(barrel distortion), 및 오목 왜곡(pincushion distorsion)에 대한 보정 필요하다. 베네팅 보정의 경우, 이미지의 주변부가 어둡게 나오는 현상을 보정한다. 그리고, 색수차 보정은 빛의 파장에 따라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색상별로 초점이 다른 위치에 모이게 되는 현상을 보정한다.
비교 이미지가 생성되면, 제어부(180)는 저장된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 를 비교한다(S230).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의 비교시에는, 모션 벡터(motion vector) 등을 이용하여 대비할 영역이 검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비교결과를 나타내는 비교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때, 비교결과 화면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비교결과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을 두 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화면에 각각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를 표시하고, 비교 이미지에서 기준 이미지와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비교결과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51)에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를 중첩시켜 하나의 이미지로 표시한 후, 차이가 있는 부분을 식별가능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비교결과 화면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이미지 비교모드가 종료되는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240). 또한,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에서 기준 이미지와 대비하여 변화된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이미지 비교모드가 적용되는 예로는, 현재 화장이 잘되었는지 여부를 화장이 잘된 날 촬영한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거나, 피부 질환의 발생 및 진행 사항의 여부를 건강한 피부 상태에서 촬영한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는 것 등과 같은 미용 체크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침에 일어나서 눈이 얼마나 부었는지 등을 확인하는 건강 체크, 치아 미백 치료 후 치아 미백 효과의 비교, 여름 물놀이 및 썬텐 후 얼굴 피부색의 비교 등과 같은 건강 체크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도, 연예인 얼굴과 사용자의 얼굴을 비교하여 차이가 큰 부분을 순서대로 보여 주기 등과 같은 펀(fun) 기능 제공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서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 이미지의 설정과, 이미지 비교모드의 선택에 따라 카메라 촬영모드 및 촬영환경을 설정하고, 카메라(121)의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하는 S300 내지 S315 단계의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할 영상을 촬영한 상태에서 기준 이미지와 비교가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에 프리뷰 이미지 상태에서, 비교결과 표시가 선택되면(S320),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프리뷰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여(S325),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비교결과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330).
비교결과의 표시 선택은, 촬영 버튼을 반셔터 상태로 조작하거나 기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이미지와 프리뷰 이미지의 비교가 용이하도록, 기준 이미지 위에 프리뷰 이미지를 중첩시켜 표시하거나,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에 기준 이미지의 크기 등에 대응하는 가이드 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비교결과 화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 이미지와 프리뷰 이미지를 각각 표시한 후, 차이가 있는 부분을 표시하거나, 혹은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프리뷰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대비하여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표시하여, 기준 이미지와 대비하여 변화가 있는 부분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음의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비교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기준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400)을 나타낸 것이다. 기준 이미지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화장이 잘된 것으로 느낀 날, 눈 주위를 접사촬영한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아니더라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촬영된 비교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410)을 나타낸 것이다. 기준 이미지와 대비되는 비교 이미지는, 사용자가 비교를 원하는 시기에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다. 비교 이미지의 촬영시에는 기준 이미지와 대비가 편리하도록 기준 이미지의 크기나 눈이나 코 위치 등에 대응하는 가이드 라인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비교결과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결과 화면(420)은 화면을 분할하여 기준 이미지(420)와 비교 이미지(423)를 각각 표시하고, 비교 이미지(425)에 기준 이미지와 차이가 있는 부분(427)을 표시할 수 있다. 비교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기준 이미지(423)와 비교 이미지(425)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이가 있는 부분(427)만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9는 비교결과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결과 화면(430)은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를 중첩시켜 하나의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이미지와 비교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437)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의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서 프리뷰 이미지를 이용하여 비교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카메라(121)의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510)을 나타낸 것이다.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비교결과 표시가 선택되면,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이미지와 프리뷰 이미지는 눈과 코의 위치인 P1, P2, P3의 위치를 기준으로 비교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비교결과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프리뷰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와 대비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결과 화면(520)은 화면을 분할하여 기준 이미지(523)와 비교해 사용된 프리뷰 이미지(525)를 각각 표시하고, 프리뷰 이미지(525)에 기준 이미지와 차이가 있는 부분(527)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결과 화면(530)은 기준 이미지와 비교 에 사용된 프리뷰 이미지를 중첩시켜 하나의 이미지로 표시하고, 그 위에 차이가 있는 부분(537)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 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비교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에서 프리뷰 이미지를 이용하여 비교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13)

  1. 제1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
    이미지 비교모드 선택 시, 접사촬영을 위한 모드로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촬영 선택 시,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나타내는 비교결과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비교결과 화면에서 상기 제1 이미지와 차이점이 있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에 대해 전처리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 화면은,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화면을 분할하여 각각 표시한 후, 상기 분할 표시한 제2 이미지에 상기 제1 이미지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식별 가능하게 나타낸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화면은,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오버레이시켜 표시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에서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식별 가능하게 나타낸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의 촬영 시,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에 상기 제1 이미지와 대비가 용이하도록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6.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이미지 비교모드 선택 시, 접사촬영를 위한 모드로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고,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촬영 선택 시,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나타내는 비교결과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비교결과 화면에서 상기 제1 이미지와 차이점이 있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 화면은,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화면을 분할하여 각각 표시한 후, 상기 분할 표시한 제2 이미지에 상기 제1 이미지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식별 가능하게 나타낸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를 설정하는 단계;
    이미지 비교모드 선택 시, 접사촬영을 위한 모드로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비교결과의 표시가 선택되면,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나타내는 비교결과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비교결과 화면에서 상기 제1 이미지와 차이점이 있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 화면은,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화면을 분할하여 각각 표시한 후, 상기 분할 표시한 제2 이미지에 상기 제1 이미지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식별가능하게 나타낸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화면은,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를 오버레이시켜 표시한 후,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에서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식별가능하게 나타낸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1.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이미지 비교모드 선택 시, 접사촬영을 위한 모드로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고, 상기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비교 결과의 표시가 선택되면,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나타내는 비교결과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비교결과 화면에서 상기 제1 이미지와 차이점이 있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비교모드는, 특정 키 입력이나 특정 메뉴 아이콘을 터치하는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비교모드는, 특정 키 입력이나 특정 메뉴 아이콘을 터치하는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116057A 2009-11-27 2009-11-27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04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057A KR101604846B1 (ko) 2009-11-27 2009-11-27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2/775,957 US8400519B2 (en) 2009-11-27 2010-05-07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057A KR101604846B1 (ko) 2009-11-27 2009-11-27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349A KR20110059349A (ko) 2011-06-02
KR101604846B1 true KR101604846B1 (ko) 2016-03-21

Family

ID=4406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057A KR101604846B1 (ko) 2009-11-27 2009-11-27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00519B2 (ko)
KR (1) KR101604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894B1 (ko) * 2010-03-08 201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419933A (zh) * 2010-09-28 2012-04-1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器及具有该显示器的电子装置
JP2012181688A (ja) * 2011-03-01 2012-09-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EP2856266B1 (en) 2012-05-29 2015-09-23 ABB Research Ltd. Object inspection in an industrial plant
US9992409B2 (en) * 2013-02-14 2018-06-0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gital mirror apparatus
JP6111723B2 (ja) * 2013-02-18 2017-04-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25811B2 (en) * 2013-07-01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 device configured as an illumination source
WO2015056466A1 (ja) * 2013-10-16 2015-04-23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生成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38521B1 (ko) * 2013-12-12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937045B (zh) 2017-02-23 2020-08-14 华为机器有限公司 一种预览图像的显示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7773272A (zh) * 2017-10-31 2018-03-09 飞依诺科技(苏州)有限公司 超声数据的处理方法及系统
CN110665859A (zh) * 2019-10-12 2020-01-10 重庆四标精密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球销生产用自动分拣系统
KR20220053023A (ko) * 2020-02-22 2022-04-28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매크로 촬영을 위한 분할 스크린 기능
JP2022124648A (ja) * 2021-02-16 2022-08-26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3486B2 (ja) * 2000-04-19 2006-10-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US7738032B2 (en) * 2001-11-08 2010-06-15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Apparatus for and method of taking and viewing images of the skin
JP2005094741A (ja) * 2003-08-14 2005-04-07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JP2005092284A (ja) * 2003-09-12 2005-04-07 Nintendo Co Ltd 撮像画像合成装置および撮像画像合成プログラム
KR100598223B1 (ko) * 2003-12-12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질개선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10823B1 (ko) * 2006-06-20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KR100869952B1 (ko) * 2007-02-14 2008-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사진 촬영 방법 및 장치
JP5364245B2 (ja) * 2007-06-01 2013-12-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00519B2 (en) 2013-03-19
KR20110059349A (ko) 2011-06-02
US20110128395A1 (en)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8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1728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619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356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53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4386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3386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7773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4839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3180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514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5725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7375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1615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5147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0865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853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4076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2983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7411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126026A (ko)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55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3004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29220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2331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