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3492A -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3492A
KR20070013492A KR1020050067834A KR20050067834A KR20070013492A KR 20070013492 A KR20070013492 A KR 20070013492A KR 1020050067834 A KR1020050067834 A KR 1020050067834A KR 20050067834 A KR20050067834 A KR 20050067834A KR 20070013492 A KR20070013492 A KR 20070013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buttons
input
signal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현
신창범
이은경
최나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3492A/ko
Priority to US11/324,905 priority patent/US20070028186A1/en
Priority to CN2006100060402A priority patent/CN1917580B/zh
Publication of KR20070013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04N1/00387Multiple functions per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24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a list of graphical elements, e.g. icons or icon b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배열된 입력 버튼들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입력 버튼들 각각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이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fficient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4 아이콘들이 4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주 제어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왼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이 입력 버튼에 대응한 아이콘이 활성화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왼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아랫쪽에 위치한 입력 버튼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이 입력 버튼에 대응한 아이콘이 활성화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오른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아랫쪽에 위치한 입력 버튼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이 입력 버튼에 대응한 아이콘이 활성화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접촉되고 있는 입력 버튼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눌려진 경우, 활성화되고 있는 아이콘의 동작을 위하여 새로운 9 아이콘들이 9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오른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이 입력 버튼에 대응한 아이콘이 활성화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가운데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눌려진 경우, 새로운 9 아이콘들이 9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오른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위쪽에 위치한 입력 버튼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이 입력 버튼에 대응한 아이콘이 활성화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C는, 도 8B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접촉되고 있는 입력 버튼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눌려진 경우, 활성화되고 있는 아이콘의 동작을 위하여 새로운 4 아이콘들이 4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모드가 재생 모드로 전환된 경우, 2 아이콘들이 2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오른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이 입력 버튼에 대응한 아이콘이 활성화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디지털 카메라, 15...9 입력 버튼들,
35...칼라 LCD 패널, IB4 내지 IB9...아이콘들,
35S...아이콘-창, 13...셔터 릴리즈 버튼,
14...모드 버튼들, 39W...광각-줌 버튼,
39T...망원-줌 버튼.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배열된 입력 버튼들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 출원되었던 2004년도 미국 공개 번호 제257,459호(발명의 명칭 : Method of controlling portable digital apparatus where folder icons move)의 디지털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입력 버튼들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입력 버튼들 각각이 특정된 입력 기능들만을 가지므로, 다양한 메뉴중에서 어느 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많은 입력 버튼들이 조작되어야 하는 복잡함이 있다.
둘째,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이 선택되기 위하여 방향 버튼들이 사용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아이콘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력 횟수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배열된 입력 버튼들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이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배열된 입력 버튼들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아이콘들이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이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이 다수의 아이콘들에 상응하는 입력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 횟수가 효율적으로 줄어들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직접적으로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에서, 4 아이콘들(IB4, IB6, IB7, 및 IB9)이 4 입력 버튼들(B4, B6, B7, 및 B9)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됨을 보여준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35는 칼라 LCD 패널을, 15는 9 입력 버튼들을, 13은 셔터 릴리즈 버튼을, 14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버튼들을, 39W는 광각-줌 버튼을, 그리고 39T는 망원-줌 버튼을 각각 가리킨다.
9 입력 버튼들(15) 각각은, 사용자에 의하여 접촉되면 제1 신호를 발생시키고,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면 제2 신호를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9 입력 버튼들(15)중에서 어느 하나를 접촉하면 접촉 센서에 의하여 제1 신호가 발생되고, 9 입력 버튼들(15)중에서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눌려지면 제2 신호가 발생된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CDS-ADC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지시용 램프들이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모드 버튼들(14), 광각-줌 버튼(39W), 망원-줌 버튼(39T), 및 9 입력 버튼들(15) 등을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제어기로서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마이크로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
한편, 칼라 LCD 패널(35)에서는,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9 입력 버튼들(15) 각각에 상응하는 아이콘들(IB4, IB6, IB7, 및 IB9)이 입력 버튼들(B4, B6, B7, 및 B9)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9 입력 버튼들(15) 각각이 다수의 아이콘들에 상응하는 입력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 횟수가 효율적으로 줄어들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직접적으로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이 도 3 내지 9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9B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 내지 9B를 참조하여,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주 제어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9 입력 버튼들(15) 각각은, 사용자에 의하여 접촉되면 제1 신호를 발생시키고,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면 제2 신호를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9 입력 버튼들(15)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촉되면 접촉 센서에 의하여 제1 신호가 발생되고, 9 입력 버튼들(15)중에서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눌려지면 제2 신호가 발생된다.
단계 S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LCD 구동부(514)를 제어하여, 아이콘들을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1의 촬영 모드의 경우, 4 아이콘들(IB4, IB6, IB7, 및 IB9)이 4 입력 버튼들(B4, B6, B7, 및 B9)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 모드가 모드 버튼들(14)의 조작으로 인하여 재생 모드로 전환된 경우, 2 아이콘들(IB4 및 IB6)이 2 입력 버튼들(B4 및 B6)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단계들 S2 및 S3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9 입력 버튼들(15)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촉됨에 의하여 제1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2),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해당 입력 버튼의 아이콘을 활성화하고, 안내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왼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B4)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이 입력 버튼(B4)에 대응한 아이콘(IB4)이 활성화됨을 보여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방향에서의 왼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B4)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됨에 의하여 이 입력 버튼(B4)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2),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이 입력 버튼(B4)에 대응한 아이콘(IB4)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아이콘(IB4)의 의미를 가리키는 안내 메세지 "FLASH"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
도 5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왼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아랫쪽에 위치한 입력 버튼(B7)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이 입력 버튼(B7)에 대응한 아이콘(IB7)이 활성화됨을 보여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방향에서의 왼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아랫쪽에 위치한 입력 버튼(B7)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됨에 의하여 이 입력 버튼(B7)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2),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이 입력 버튼(B7)에 대응한 아이콘(IB7)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아이콘(IB7)의 의미를 가리키는 안내 메세지 "MACRO"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
도 6A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오른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아랫쪽에 위치한 입력 버튼(B9)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이 입력 버튼(B9)에 대응한 아이콘(IB9)이 활성화됨을 보여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방향에서의 오른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아랫쪽에 위치한 입력 버튼(B9) 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됨에 의하여 이 입력 버튼(B9)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2),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이 입력 버튼(B9)에 대응한 아이콘(IB9)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아이콘(IB9)의 의미를 가리키는 안내 메세지 "BRIGHTNESSS"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
위와 마찬가지로, 도 7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오른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B6)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이 입력 버튼(B6)에 대응한 아이콘(IB6)이 활성화됨을 보여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방향에서의 오른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B6)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됨에 의하여 이 입력 버튼(B6)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2),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이 입력 버튼(B6)에 대응한 아이콘(IB6)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아이콘(IB6)의 의미를 가리키는 안내 메세지 "COLORS"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
또한, 도 9B는, 도 9A의 디지털 카메라(1)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오른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B6)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이 입력 버튼(B6)에 대응한 아이콘(도 9A의 IB6)이 활성화됨을 보여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방향에서의 오른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B6)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됨에 의하여 이 입력 버튼(B6)으로부터 제1 신호가 발생되면(단계 S2),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이 입력 버튼(B6)에 대 응한 아이콘(IB6)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아이콘(IB6)의 의미를 가리키는 안내 메세지 "Next" 및 다음 사진의 축소판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
단계 S4 내지 S6에 있어서, 9 입력 버튼들(15)중에서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눌려짐에 따라 제2 신호가 발생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되고 있는 아이콘의 동작을 위하여 추가 입력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추가 입력이 필요한 경우,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상기 단계 S1 내지 S4를 새롭게 실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활성화되고 있는 아이콘의 동작을 실행한다.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위하여 상기 단계 S1이 새롭게 실행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의 디지털 카메라(1)의 상태에서 접촉되고 있는 입력 버튼(B9)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눌려진 경우, 활성화되고 있는 아이콘(도 6A의 IB9)의 동작을 위하여 아이콘-창(35S) 안의 새로운 9 아이콘들이 9 입력 버튼들(15)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가운데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MENU 버튼)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눌려진 경우, 아이콘-창(35S) 안의 새로운 9 아이콘들이 9 입력 버튼들(15)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새로운 아이콘-창(35S)에 대응하여, 수평 방향에서의 가운데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MENU 버튼)은 상위 아이콘들로의 복귀(BACK)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도 8A의 상태에서, 접촉되고 있는 입력 버튼(MENU 버튼)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눌려진 경우,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상태가 다시 나타난다.
도 8B를 참조하면, 도 8A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수평 방향에서의 오른쪽 및 수직 방향에서의 위쪽에 위치한 입력 버튼(B3)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경우, 이 입력 버튼(B3)에 대응한 아이콘이 활성화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C를 참조하면, 도 8B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접촉되고 있는 입력 버튼(B3)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눌려진 경우, 활성화되고 있는 아이콘의 동작을 위하여 새로운 하위 아이콘-창(35D)의 4 아이콘들이 4 입력 버튼들(B1, B2, B3, MENU)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새로운 하위 아이콘-창(35D)의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되었던 아이콘을 포함한 상위 아이콘-창(35S)의 아이콘들의 적어도 일부가 새로운 하위 아이콘-창(35D)의 아이콘들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아이콘-창(35D)의 계열을 곧바로 인식할 수 있다.
이 새로운 아이콘-창(35D)에 대응하여, 수평 방향에서의 가운데 및 수직 방향에서의 가운데에 위치한 입력 버튼(MENU 버튼)은 상위 아이콘들로의 복귀(BACK)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도 8C의 상태에서, 상기 입력 버튼(MENU 버튼)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눌려진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위 아이콘-창(35S)의 아이콘들이 모두 나타난다.
상기 단계들 S1 내지 S6은 외부적인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7).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입력 버튼들 각각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이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입력 버튼들 각각이 다수의 아이콘들에 상응하는 입력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 횟수가 효율적으로 줄어들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직접적으로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9)

  1. 배열된 입력 버튼들, 및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이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이 사용자에 의하여 접촉되면 제1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이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면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접촉 센서에 의하여 상기 제1 신호가 발생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배열된 입력 버튼들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아이콘들을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이 사용자에 의하여 접촉되면 제1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이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면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어느 한 입력 버튼으로부터 상기 제1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어느 한 입력 버튼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어느 한 입력 버튼으로부터 상기 제2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활성화된 아이콘의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아이콘의 의미를 가리키는 안내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아이콘의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추가 입력이 필요한 경우,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에 상응하는 새로운 아이콘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새로운 아이콘들이 상기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되었던 아이콘을 포함한 상위 아이콘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새로운 아이콘들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제어 방법.
KR1020050067834A 2005-07-26 2005-07-26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20070013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834A KR20070013492A (ko) 2005-07-26 2005-07-26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US11/324,905 US20070028186A1 (en) 2005-07-26 2006-01-04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fficient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06100060402A CN1917580B (zh) 2005-07-26 2006-01-24 具有有效输入功能的数字图像处理设备和控制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834A KR20070013492A (ko) 2005-07-26 2005-07-26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418A Division KR20120032507A (ko) 2012-03-20 2012-03-2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492A true KR20070013492A (ko) 2007-01-31

Family

ID=3769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834A KR20070013492A (ko) 2005-07-26 2005-07-26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28186A1 (ko)
KR (1) KR20070013492A (ko)
CN (1) CN19175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7596B2 (ja) * 2007-07-12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記憶媒体、情報入力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90065003A (ko) 2007-12-17 2009-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스크 플로우에 적합한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화상형성장치
IL197532A0 (en) * 2008-03-21 2009-12-24 Lifescan Scotland Ltd Analyte testing method and system
CN105468230B (zh) * 2008-04-30 2019-09-03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用户界面切换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子装置与存储介质
JP5218353B2 (ja) * 2009-09-14 2013-06-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28473A (ja) * 2010-12-13 2012-07-05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60133781A (ko) * 2015-05-13 201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028101A (zh) * 2016-05-19 2016-10-1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功能图标的屏幕显示方法及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4069A (en) * 1994-07-15 1998-03-03 Chen; Jack Y. Special purpose terminal for interactive user interface
US6199125B1 (en) * 1998-05-26 2001-03-06 Bentley Systems, Incorporated Input manager for a computer application with display icons mapped to a user selectable set of standard keyboard keys
US7256770B2 (en) * 1998-09-14 2007-08-1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sponsive to sensing a physical presence proximate to a computer input device
JP2000253113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JP3844039B2 (ja) * 1999-07-22 2006-11-0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入出力装置
US6661438B1 (en) * 2000-01-18 2003-12-09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7155676B2 (en) * 2000-12-19 2006-12-26 Coolernet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authoring and playback
JP2002261918A (ja) * 2001-03-02 2002-09-13 Hitachi Ltd 携帯電話機
JP3591487B2 (ja) * 2001-06-08 2004-11-17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編集方法、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3008736A (ja) * 2001-06-22 2003-01-10 Pioneer Electronic Corp 携帯情報端末機
JP2004038896A (ja) * 2002-06-28 2004-02-05 Clarion Co Ltd 表示制御手段
KR20040110155A (ko) * 2003-06-18 2004-12-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폴더 아이콘들이 이동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JP4311186B2 (ja) * 2003-12-10 2009-08-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及びプログラム
CN2689612Y (zh) * 2004-03-02 2005-03-30 中讯润通科技(北京)有限公司 带数码相机的旋转式多功能手机
US7358962B2 (en) * 2004-06-15 2008-04-15 Microsoft Corporation Manipulating association of data with a physical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17580B (zh) 2010-12-15
CN1917580A (zh) 2007-02-21
US20070028186A1 (en)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601B1 (ko) 편리한 이동 모드를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JP4395808B2 (ja) 画面表示部を有する機器の操作装置、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タッチパネル操作方法
KR20070013492A (ko)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US20040201772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source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8287264A (ja) 入力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H11164175A (ja) 画面表示部を有する機器の操作装置
JP2005303728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8236765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1129382B1 (ko) 이미지 회전 장치 및 방법
JP2007052795A (ja) 画面表示部を有する機器の操作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2010245843A (ja) 画像表示装置
KR10125736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JP5058724B2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
KR100919978B1 (ko) 통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JP4148651B2 (ja) 入力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KR20040072172A (ko) 디지털 카메라의 적응형 메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32507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5333340A (ja) 撮像装置
KR101177109B1 (ko) 버튼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36559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515964B1 (ko) 적응적으로 폴더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는 휴대용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149091B1 (ko)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101351579B1 (ko) 화이트 밸런스의 편리한 설정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0697519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이미지 검색 방법
KR101416229B1 (ko) 영상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