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229B1 -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229B1
KR101416229B1 KR1020070079167A KR20070079167A KR101416229B1 KR 101416229 B1 KR101416229 B1 KR 101416229B1 KR 1020070079167 A KR1020070079167 A KR 1020070079167A KR 20070079167 A KR20070079167 A KR 20070079167A KR 101416229 B1 KR101416229 B1 KR 10141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touch
buttons
pane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865A (ko
Inventor
노영우
최수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2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버튼들이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일차원 센싱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하여 버튼들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이 향상된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제1 방향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열되는 제1 터치 패널;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제2 방향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열되는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패널 상의 버튼의 선택을 인식하는 터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Apparatus of process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터치 키 버튼이 구비되어 그 선택에 의하여 사용자의 지령을 입력받아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란,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동작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버튼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들로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식 버튼 또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버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버튼들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다양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버튼들의 배치가 복잡해지는 경우에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고, 버튼의 부착 시에 조립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버튼의 선택 감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터치 버튼이 사용되는 경우에, 터치 패드에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접촉됨에 따른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를 인식하여 터치 버튼의 선택을 인식하는 커패시턴스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터치 센서를 포함한 전체 모듈 내에 전류 변화가 있으면 센서 내부 모듈의 동작 원리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시의 전류 편차가 발생하여 이상 동작을 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버튼들이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일차원 센싱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하여 버튼들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이 향상된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제1 방향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열되는 제1 터치 패널;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제2 방향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열되는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패널 상의 버튼의 선택을 인식하는 터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일차원으로 배열되는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에서 상기 버튼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에 의하여 감지되는 저항값에 의하여 상기 버튼의 선택을 인식할 수 있다.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투명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어부가, 상기 버튼들의 선택을 인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1 터치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선을 연결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2 터치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선을 연결하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바디; 상기 바디의 일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제1 방향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터치 패널;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제2 방향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일측과 만나는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패널 상의 버튼의 선택을 인식하는 터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복수개의 버튼들이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일차원 센싱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하여 버튼들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2)의 뒷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디지털 카메라(2)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5)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1 터치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25)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터치 패널(2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디지털 카메라(2)에서, 제1 터치 패널(10) 및 제2 터치 패널(20)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부(3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제1 터치 패널(10)과 제2 터치 패널(20)의 터치 제어부(30)에 포함되는 제어부(31)에 의한 동작 원리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2)의 뒷면에는 방향 버튼(21), 메뉴-OK 버튼(22),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W), 망원(Telephoto)-줌(Zoom) 버튼(T), 및 디스플레이 패널(2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에는 상향 버튼(21a), 하향 버튼(21b), 좌향 버튼(21c), 우향 버튼(21d)의 총4개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과 메뉴-OK 버튼(22)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키이다.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은 그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진다.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사용도리 수 있다. 이때, 광각-줌 버튼(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 고, 망원-줌 버튼(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5)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영상 표시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2)의 앞면 또는 윗면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 플래시, 전원 스위치, 렌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2)의 앞면과 뒷면에는 뷰 파인더의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셔터 릴리즈 버튼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촬상 소자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힌다. 또한, 셔터 릴리즈 버튼은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촬상 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지털 카메라(2)의 바디 뒷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5)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2)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여러 가지 기능 선택을 위한 복수개의 버튼들(10a, 20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버튼들(10a, 20a)은 터치 패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카메라(2)에는 제1 터치 패널(10); 제2 터치 패널(20); 및 터치 제어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터치 패널(10)은 디스플레이 패널(25)의 일측 즉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터치 패널(20)은 디스플레이 패널(25)의 일측과 만나는 다른 일측 즉 디스플레이 패널(25)의 우측 또는 좌측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터치 패널(20)은 디스플레이 패널(25)의 우측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터치 패널(10)과 함께 버튼들(10a, 20a)이 'L'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5)을 중심으로 제1 터치 패널(10)과 제2 터치 패널(20)에 의하여 형성되는 'L'자형 버튼 배치에 의하여, 버튼들(10a, 20a)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의 버튼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터치 패널(10)과 제2 터치 패널(20)에 배치되는 버튼들(10a, 20a)은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고, 제어장치(도 6의 500)에서 해당 위치에 미리 설정된 버튼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터치 패널(10)에는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는 복수개의 버튼들(10a)이 제1 방향 즉 디스플레이 패널(25)의 하단의 가로 방향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열된다. 제2 터치 패널(20)에는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는 복수개의 버튼들(20a)이 제2 방향 즉 디스플레이 패널(25)의 우측의 세로 방향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열된다.
터치 제어부(30)는 제1 터치 패널(10) 및 제2 터치 패널(20)과 연결되고, 제 1 터치 패널(10) 및/또는 제2 터치 패널(20) 상의 버튼의 선택을 인식한다. 이때, 제1 터치 패널(10)과 제2 터치 패널(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버튼들(10a, 20a)이 'L'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터치 패널(10) 및 제2 터치 패널(20) 각각에는 버튼들(10a, 20a)이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버튼들(10a, 20a)이 제1 터치 패널(10) 및 제2 터치 패널(20) 위에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1 터치 패널(10) 및 제2 터치 패널(20) 위에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버튼들(10a, 20a)은,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깔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터치 패널(10) 및 제2 터치 패널(20)에 배치되는 버튼들(10a, 20a)은 모두 서로 다른 색깔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 패널(10)과 제2 터치 패널(20)에 배치되는 버튼들(10a, 20a)은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될 수 있다. 버튼들(10a, 20a)이 터치 센싱에 의하여 구현되는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1 터치 패널(10) 및/또는 제2 터치 패널(20) 각각에는 일차원으로 배열되는 저항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터치 패널(10)은 디스플레이 패널(25)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일차원으로 배열되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터치 패널(20)은 디스플레이 패널(25)에 대하여 우측에 세로 방향으로 일차원으로 배열되는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항은 박막의 필름 형태로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5) 위가 아닌 별도의 인쇄회로기판 또는 플라스틱 막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들(10a, 20a)이 디스플레이 패널(25)의 화면을 가리지 아니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제어부(30)에서는 버튼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에 의하여 감지되는 저항값에 의하여 특정 버튼의 선택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터치 제어부 내의 제어부(31)에서 버튼이 선택된 위치가 인식되고,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버튼이 인식되고, 해당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터치 패널(10) 및/또는 제2 터치 패널(20)의 특정 버튼이 눌려져 선택되면, 박막의 필름 형태의 저항 중의 특정 부분이 눌려지고, 그로 인하여 일차원으로 배열되는 저항의 양단에서 저항이 측정된다. 해당 저항에 의하여 제1 터치 패널(10) 및/또는 제2 터치 패널(20) 상의 위치가 인식될 수 있다.
이때, 제1 터치 패널(10) 및/또는 제2 터치 패널(20) 상의 각각의 위치는 각각의 위치에 배치되는 버튼들(10a, 20a)과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도 6의 500)에서 각각의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30)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내의 버튼들(10a, 20a)의 터치 회수에 따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버튼들(10a, 20a) 중의 하나가 한 번 선택되면 제1 기능이 수행되고, 두 번 선택되면 제2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30)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선택되는 버튼들 중에서 가장 먼저 접촉된 하나의 버튼의 선택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버튼이 실 질적으로 동시에 눌려지는 경우에도 제일 처음에 선택된 버튼만이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의도와 가장 부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치 제어부(30)는 제어부(31), 제1 커넥터(32), 제2 커넥터(33), 및 인쇄회로기판(34)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버튼들의 선택을 인식한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32)는 제어부(31)와 제1 터치 패널(10)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선을 연결한다. 제2 커넥터(33)는 제어부(31)와 제2 터치 패널(20)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선을 연결한다. 인쇄회로기판(34)에는 제어부(31)와 제1 커넥터(32) 및 제2 커넥터(33)가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 패널들이 각각 일차원적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복수개 조합되어 버튼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그 구조가 간단해지고, 신호 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디스플레이 패널(35) 위에 배치되는 제1 터치 패널(310)과 제2 터치 패널(32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패널(35)을 더 구비하고, 제1 터치 패널(310) 및/또는 제2 터치 패널(320)이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투명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버튼들(310a, 320a)이 디스플레이 패널(35)의 제1 터치 패널(310) 및/또는 제2 터치 패널(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2)에 대하여 제1 터치 패널(310) 및/또는 제2 터치 패널(320)이 별도의 인쇄회로기판 또는 플라스틱 막대 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투명하게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그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이외의 기타 사항들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2)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고,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장치(500)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줌 버튼(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줌 버튼(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 스 모터(MF)가 구동된다.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부(OEC)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 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방향 버튼(21), 광각-줌 버튼(W) 및 망원-줌 버튼(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3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INP)를 통하여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터치 패널(10, 310) 및/또는 제2 터치 패널(20, 320)에 배치되는 버튼들(10a, 20a, 310a, 320a)의 선택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버튼들(10a, 20a, 310a, 320a)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제어기(512)에서 그 입력을 처리하여 그에 따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서 각각의 버튼들(10a, 20a, 310a, 320a)에 할당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과 우측에 배치되는 제1 터치 패널과 제2 터치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제1 터치 패널과 제2 터치 패널과 연결되는 터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터치 패널과 제2 터치 패널의 동작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배치되는 제1 터치 패널과 제2 터치 패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의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장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디지털 카메라, 25, 35: 디스플레이 패널,
10, 310: 제1 터치 패널, 20, 320: 제2 터치 패널,
30: 터치 제어부.

Claims (12)

  1.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제1 방향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열되는 제1 터치 패널;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제2 방향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열되는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패널 상의 버튼의 선택을 인식하는 터치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터치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내의 상기 버튼들의 터치 횟수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일차원으로 배열되는 저항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에서 상기 버튼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에 의하여 감지되는 저항값에 의하여 상기 버튼의 선택을 인식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패널에서 인접하는 버튼들이 서로 다른 색깔을 갖는 영상 처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선택되는 버튼들 중에서 가장 먼저 접촉된 하나의 버튼의 선택을 인식하는 영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투명하게 배열되는 영상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들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패널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영상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부가,
    상기 버튼들의 선택을 인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1 터치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선을 연결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2 터치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연결선을 연결하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영상 처리 장치.
  11. 바디;
    상기 바디의 일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제1 방향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터치 패널;
    터치 센싱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인식되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제2 방향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일측과 만나는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 상기 제2 터치 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패널 상의 버튼의 선택을 인식하는 터치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터치 패널과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터치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내의 상기 버튼들의 터치 횟수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는 영상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패널 및/또는 상기 제2 터치 패널이 일차원으로 배열되는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부에서 상기 버튼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에 의하여 감지되는 저항값에 의하여 상기 버튼의 선택을 인식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20070079167A 2007-08-07 2007-08-07 영상 처리 장치 KR10141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167A KR101416229B1 (ko) 2007-08-07 2007-08-07 영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167A KR101416229B1 (ko) 2007-08-07 2007-08-07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865A KR20090014865A (ko) 2009-02-11
KR101416229B1 true KR101416229B1 (ko) 2014-07-07

Family

ID=4068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167A KR101416229B1 (ko) 2007-08-07 2007-08-07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2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0240B2 (ja) * 1998-09-29 2007-07-25 株式会社デジタル アナログ式タッチパネルの検出座標処理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0240B2 (ja) * 1998-09-29 2007-07-25 株式会社デジタル アナログ式タッチパネルの検出座標処理方法および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삼성 NV-10 사용자 설명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865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40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7754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84021A (ko) 회전형 표시장치를 장착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20070013492A (ko)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20100101391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010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29390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적응형 메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416229B1 (ko) 영상 처리 장치
KR10136559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38740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56441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13580A (ko) 영상 처리 장치
KR10139633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131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1244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6453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28403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6102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51811B1 (ko) 페이지 단위 이미지 삭제를 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362769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3692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0055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53795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1780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43683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