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473B1 - 사이드에어백장치의에어백 - Google Patents

사이드에어백장치의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473B1
KR100307473B1 KR1019980705127A KR19980705127A KR100307473B1 KR 100307473 B1 KR100307473 B1 KR 100307473B1 KR 1019980705127 A KR1019980705127 A KR 1019980705127A KR 19980705127 A KR19980705127 A KR 19980705127A KR 100307473 B1 KR100307473 B1 KR 100307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g
expansion
airbag
tension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997A (ko
Inventor
가츠히로 오쿠무라
도시노리 다나세
에이시치 나카무라
다카시 야마모토
쵸코 데라자와
야스오 오치아이
히데유키 후지와라
신지 곤도
야스시 구보타
히로키 나카지마
슈지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1999007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16Inner seams, e.g. creating separate compartments or used as teth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60R2021/2375F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시의 텐션 라인(L-L)을 확보하여, 장치(Ml)의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11)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에어 백(11)은, 차 안쪽의 도어 개구(W)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팽창용 가스를 유입시키는 가스유입부(19)를 구비하여, 팽창된 상태에서는 도어 개구를 덮는 것과 같은 대략 사각판 형상의 주머니 형상으로 한다. 에어 백은, 팽창시에 텐션 라인(L-L)을 형성하도록,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 상호를 부분적으로 결합시킨 결합부(22)를 구비한다. 각 결합부(22)는, 텐션 라인을 따라 복수 병설되어, 각각 텐션 라인에 대하여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또한, 팽창시의 팽창실(18)을 하나로 하여, 상하에 팽창용 가스를 흐르게 하는 공간(18a·18b)을 설치하도록,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 백장치의 에어 백{AIR BAG FOR SIDE AIR BAG DEVICE}
종래, 이러한 종류의 사이드 에어 백 장치(M0)에서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바디에 있어서의 차 안쪽의 도어 개구(W)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에어 백(1)과, 이 에어 백(1)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용 가스를 토출하는 인플레이터(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에어 백(1)은, 복수의 주머니 형상으로 부풀어오르는 팽창실(2)과, 이 팽창실(2)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방쪽과 후방쪽에 배치되어 부풀어오르지 않는 평탄부(4·4)를 구비함과 동시에, 인플레이터(7)로부터의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6)를 삽입하는 파이프 삽입부(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팽창실(2)은, 주머니 형상의 에어 백(1)의 차 내측벽부와 차 외측벽부를, 위쪽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가장자리까지의 대략 상하 방향으로 봉합한 결합부(3)로 구획되어 있었다.
이러한 에어 백(1)의 팽창시에는, 인플레이터(7)로부터의 팽창용 가스가, 파이프(6)를 지나 파이프(6)의 도시생략한 관통구멍을 거쳐 각 팽창실(2)로 들어가, 각 팽창실(2)을 팽창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각 팽창실(2)이 팽창함으로써, 에어 백(1)에 있어서의 도어 개구(W)의 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하부쪽으로부터 비스듬히 위쪽 방향의 상부쪽에 걸치는 선 L-L에 장력이 발생하고, 이 텐션 라인 L-L에 의해 에어 백(1)에 탑승자의 두부가 접촉하여도 확실하게 탑승자 두부를 구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에어 백(1)은, 도어 개구(W)의 둘레 가장자리인 대략 L자 형상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어, 팽창시에 텐션 라인 L-L에 장력이 발휘되지 않으면, 탑승자 두부가 간섭하여도 에어 백(1)이 이동할 뿐, 탑승자 두부를 정확하게 구속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 백(1)에서는, 복수로 구획한 팽창실(2)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구성이고, 인플레이터(7)로부터의 팽창용 가스가 긴 파이프(6)를 거쳐 각 팽창실(2)에 차례로 공급되는 구성이며, 에어 백(1) 내에 파이프(6)가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에어 백(1)이 볼륨있는 상태로 차량에 장착되게 되어, 사이드 에어 백 장치(M0)를 대형화시키고 있었다.
또, 종래의 에어 백(1)에서는, 결합부(3)에 의해 복수로 구획한 팽창실(2)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구성이고, 인플레이터(7)로부터의 팽창용 가스가 긴 파이프(6)를 거쳐 각 팽창실(2)에 차례로 공급되기 때문에, 팽창용 가스의 압력손실이 커서, 인플레이터(7)의 출력이 크지 않으면, 텐션 라인 L-L에 장력을 발휘시킬 때까지의 에어 백(1)의 팽창완료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에어 백(1)에서는, 개구(W)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어 넣을 때, 파이프 삽입부(5)를 따라가도록 접게 되는데, 복수의 팽창실(2)을 구성하기 위한 차 내측벽부와 차 외측벽부를 봉합한 각 결합부(3)가, 파이프 삽입부(5)와 직교하는 접기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어 넣을 때에, 각 결합부(3)를 형성하는 봉합사가 각각 겹치고, 또한, 팽창실(2)을 구성하는 결합부(3) 자체가 다수 있기 때문에, 콤팩트하게 접어 넣을 수 없어, 수납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팽창시의 텐션 라인을 확보하여, 장치의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팽창용 가스의 압력손실을 억제할 수 있고, 소출력 인플레이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콤팩트하게 접어넣을 수 있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바디에 있어서의 차 안쪽의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두부(頭部)를 보호하기 위하여, 팽창된 상태에서는 도어 개구를 덮도록 대략 사각판 형상의 주머니 형상으로 된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이 사용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차 안쪽에서 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부위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 -III 부위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이 사용된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의 팽창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VI-VI 부위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5의 VII -VII 부위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5의 VIII-VIII 부위의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을 제조하기 위한 포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에어 백의 변형예의 팽창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에어 백의 다른 변형예의 팽창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에어 백의 또다른 변형예의 팽창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장력발휘용 결합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확대정면도,
도 14는 장력발휘용 결합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확대정면도,
도 15는 장력발휘용 결합부의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확대정면도,
도 16은 장력발휘용 결합부의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확대정면도,
도 17은 결합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6에 대응한 단면도,
도 18은 결합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 6에 대응한 단면도,
도 19는 동 변형예의 도 7에 대응한 단면도,
도 20은 동 변형예의 도 8에 대응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의 접기 공정을 설명하는 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의 접기 공정에 사용하는 접기 지그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접기 지그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에어 백의 또다른 변형예의 팽창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5는 도 24의 XXV-XXV 부위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26은 도 24의 XXVI-XXVI 부위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27은 에어 백의 또다른 변형예의 팽창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에어 백이 사용된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차 안쪽에서 본 정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에어 백이 사용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를 나타낸 도,
도 30은 팽창시의 에어 백의 횡단면도로서, 도 28의 XXX-XXX 부위에 대응하는 도,
도 31은 도 29의 XXXI-XXXI 부위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에어 백에 있어서의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3은 도 29의 XXXIII-XXXIII 부위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34는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5는 접은 에어 백을 랩핑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6은 에어 백의 또다른 변형예의 팽창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7은 에어 백의 또다른 변형예의 팽창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8은 종래의 에어 백을 나타낸 도.
본 발명에 관한 에어 백은, 차량의 바디에 있어서의 차 안쪽의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의 하부쪽에 팽창용 가스를 유입시키는 가스유입부를 구비하고, 팽창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개구를 덮도록 대략 사각판 형상의 주머니 형상으로 하고, 또한, 팽창시에, 상기 도어 개구 둘레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하부쪽과 비스듬히 위쪽 방향의 상부쪽에 걸쳐 장력을 생기게 하는 텐션 라인을 형성하도록, 차 내측벽부와 차 외측벽부 상호를 부분적으로 결합시킨 장력발휘용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으로서, 상기 장력발휘용 결합부가, 텐션 라인의 방향을 따라 복수 병설됨과 동시에, 각각 텐션 라인에 대하여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또한, 팽창시의 팽창실을 하나로 하고, 상하로 상기 팽창용 가스를 흐르게 하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각각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에어 백을 구성하면, 에어 백의 팽창시에는, 팽창용 가스가, 가스유입부에서 각 결합부의 상하 공간을 지나 결합부간의 부위에 원활하게 흐른다. 즉, 별도, 에어 백 내에 파이프를 삽입하지 않아도 원활하게 팽창용 가스를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만큼 장치의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팽창용 가스가 에어 백의 상하 공간을 흐르기 때문에, 단시간에 에어 백을 전개시킬 수 있다.
물론, 팽창완료시(전개완료시)에는 텐션 라인이 형성되기 때문에, 탑승자 두부를 원활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팽창완료시에는, 에어 백의 하부에, 아래쪽의 공간에 의해 전후 방향을 따른 팽창 부위가 형성되기 때문에, 에어 백의 굽어짐이 한층더 방지되어, 탑승자의 구속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에어 백에 관하여,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를, 각각 상기 가스유입부쪽으로 부풀어오르는 만곡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팽창용 가스가 결합부에 닿아도 원활하게 상하로 떨어져 가스유입부로부터 떨어진 부위로 흐르기 때문에, 팽창용 가스의 압력손실을 억제할 수 있고, 소출력 인플레이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에어 백에서는,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에 관하여, 각각, 상기 가스유입부쪽과 역방향쪽으로, 상기 가스유입부쪽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목하게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서로 이웃하는 결합부간의 차 내측벽부와 차 외측벽부가 각각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인장되는 형태로 되고, 결합부의 병설 방향에 대한 장력, 즉, 텐션 라인의 장력을 크게 할 수 있어, 에어 백의 구속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에어 백에 관하여, 상기 팽창실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와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를,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봉합하여 형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서는, 에어 백의 팽창시에,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와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에 장력을 분산하여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합부 부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실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와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를, 탄성을 가진 시트재를 개재시켜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봉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시트재에 의해 솔기가 막혀지는 양태로 되기 때문에, 에어 백 팽창시의 팽창용 가스의 누설이 억제되고, 팽창시의 에어 백의 내압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는, 각각 폐색한 루프 형상으로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봉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선 형상으로 봉합한 경우에 비하여, 팽창시의 차 내측벽부와 차 외측벽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한 응력집중이, 결합부에 있어서의 봉합한 끝부에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각 결합부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실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와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는,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접착하여 형성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서는, 결합부를 봉합사로 봉합하여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솔기가 없기 때문에, 에어 백 팽창시의 팽창용 가스의 누설이 억제되고, 팽창시의 에어 백의 내압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 백의 앞쪽 고정점을 프론트 필러 하부에 설정하고, 에어 백의 뒤쪽 고정점을 쿼터 필러 근방의 루프 사이드 레일에 설정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서는, 차내의 전후 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 에어 백이 전개하기 때문에, 좌석의 전후 방향의 위치, 탑승자의 착석위치 등의 변화에 관계없이 탑승자의 두부를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에어 백에 관하여, 팽창시의 전개 영역에 센터 필러의 부위를 포함하도록 설치시켜, 팽창시에 상기 센터 필러의 지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서는, 전개완료시의 에어 백에 탑승자 두부가 맞닿았을 때, 에어 백이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 외에 센터 필러에도 연결 지지되기 때문에, 더욱 구부러지기 어렵게 되어, 한층더 탑승자의 구속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팽창시의 에어 백의 상기 센터 필러에 지지되는 부위는, 다른 일반부의 팽창 부위보다 두껍게 팽창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센터 필러에 에어 백이 간섭하여도 쿠션 효과를 높여, 탑승자를 구속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센터 필러에 지지되는 부위를 다른 일반부의 팽창 부위와 같은 두께로 하는 경우에 비하여, 에어 백 내의 초기 내압을 내려도 쿠션 효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의 출력 저감이나 에어 백의 밀봉방법의 간편화가 도모되며,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팽창시의 에어 백의 상기 센터 필러에 지지되는 부위를 다른 일반부의 팽창 부위보다 두껍게 팽창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는, 센터 필러에 지지되는 팽창 부위에 관하여, 인접하는 결합부의 간격을, 다른 일반부의 팽창부위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결합부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이하게, 센터 필러로 지지되는 팽창부위를, 다른 일반부의 팽창부위보다 두껍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에어 백에 관하여, 앞쪽 고정점을 프론트 필러 하부에 설정하고, 뒤쪽 고정점을 쿼터 필러 하부에 설정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에어 백의 팽창시에, 앞좌석뿐만 아니라 뒷좌석의 측방에도 에어 백이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앞좌석뿐만 아니라 뒷좌석에 착석한 탑승자 두부도 구속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에어 백에 관하여, 앞쪽 고정점을 프론트 필러 아래쪽에 설정하면, 앞쪽 고정점을 프론트 필러 등에 고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넓은 범위에서 에어 백을 팽창시킬 수 있고, 광범위한 탑승자 구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에어 백에 관하여, 상기 가스유입부쪽의 상기 결합부와 상기 가스유입부 사이에서,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서로 연결하는 스트랩을 설치시켜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가스유입부로부터 팽창용 가스가 유입되어 가스유입부쪽에서의 차 내측벽부와 차 외측벽부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여도, 그 인장력에 스트랩이 대항하여, 팽창시에 텐션 라인을 형성하는 결합부 내의 가스유입부쪽의 것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팽창용 가스의 유입쪽의 결합부를 스트랩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띠 형상으로서, 폭 방향을 상기 가스유입부로부터의 팽창용 가스의 유입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결합부 내의 가스유입부쪽의 것에, 팽창용 가스가 직접닿는 것을 저감할 수가 있고, 가스유입부쪽의 결합부의 보호가 한층더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에어 백은, 차량의 바디에 있어서의 차 안쪽의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의 하부쪽에 팽창용 가스를 유입시키는 가스유입부를 구비하여, 팽창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개구를 덮는 것과 같은 대략 사각판 형상의 주머니 형상으로 하고, 또한, 팽창시에, 상기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하부쪽과 비스듬히 위쪽 방향의 상부쪽에 걸쳐 장력을 생기게 하는 텐션 라인을 형성하도록, 차 내측벽부와 차 외측벽부 상호를 부분적으로 결합시킨 장력발휘용 결합부가 설치되고, 접혀져 상기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수납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으로서, 상기 장력발휘용 결합부가 텐션 라인의 방향을 따라 복수 병설됨과 동시에, 각각 텐션 라인에 대하여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팽창시의 팽창실을 하나로 하여 상하에 상기 팽창용 가스를 흐르게 하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각각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부위에 배치되고, 접혀져 겹치는 면을 상기 도어 내면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하여, 주름상자 형상으로 접어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에어 백에서는, 팽창시의 팽창실을 하나로 하고 있기 때문에, 팽창실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 내의, 수납시에 접혀져서 팽창시에 돌출하는 돌출쪽 결합부를 적게 할 수 있고, 접어서 돌출쪽 결합부를 형성하는 봉합사나 접착제 등이 겹쳐져도, 접기 완료후에 부풀어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장력발휘용 결합부도 팽창실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위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접혀질 때에 장력발휘용 결합부를 형성하는 봉합사나 접착제 등이 겹쳤다고 해도, 부풀어오르는 것을 억제하여 접어 넣은 에어 백을 얇게 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에어 백은 콤팩트하게 접어 넣을 수 있다. 또, 접혀져 겹치는 면을 도어 내면과 대략 직교방향으로 하여, 주름상자 형상으로 접혀져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팽창시, 도어 내면을 따라 재빨리 팽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백에 관하여, 상기 에어 백의 팽창실을, 1매의 포재를 접고 그 접은 자국을 제외한 둘레 가장자리 상호를 결합시켜 제조하여, 수납시에 주름상자 형상으로 접는 부위에 상기 팽창실 제조시의 포재의 접은 자국을 배치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팽창실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 내의 돌출쪽 결합부를, 더욱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콤팩트하게 접어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실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의 안, 수납시에 접혀지고 팽창시에 돌출하는 돌출쪽 결합부를, 접혀져 겹치는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접어도, 돌출쪽 결합부를 형성하는 봉합사나 접착제 등이 어긋나게 겹치게 되어, 접기 완료후에 부풀어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더욱 콤팩트하게 접어 넣을 수 있다.
또한, 에어 백의 팽창시의 형상을, 차 안쪽의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 가능한 설치조각을 각각 구비한 상변부와 상기 상변부에서 비스듬히 아래쪽 방향으로 둔각 형상으로 이어지는 사변부와의 2변을 가진 대략 평행사변형판 형상의 주머니 형상으로 하고, 상기 상변부와 평행한 접은 자국을 마련하여 상기 상변부와 직교 방향으로 겹치도록 접어서 수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상변부의 설치조각을 유지한 상태로, 상변부쪽에서 산접기와 골짜기접기의 접은 자국을 차례로 붙여 접으면, 접은 자국도 직선 형상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접어 넣을 수 있어, 접기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사변부쪽의 설치조각은, 접은 후에 잡아 당겨 꺼내면 되고, 그 후의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에의 설치작업도, 에어 백이 팽창되어 있지 않고 텐션 라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에어 백이 늘어나기 쉬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에어 백의 수납시, 상기 바디에 같이 조여지는 케이스에 격납시키면, 에어 백의 잘못접기나 조립시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백의 수납시, 접혀진 상태로 랩핑시켜 두면, 에어 백의 잘못접기를 더욱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은 상태의 에어 백에 대한 이물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압하여 랩핑하면, 더욱 콤팩트하게 에어 백을 접어 넣을 수 있어 프론트 필러를 가늘게 하여 전방 시계를 향상시키거나, 루프 사이드 레일을 가늘게 하여 차내를 넓게 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 안쪽에 있어서의 도어의 개구(W)의 둘레 가장자리의 프론트 필러(FP)로부터 루프 사이드 레일(RR)의 후부쪽까지 배치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M1)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이드 에어 백 장치(M1)는, 프론트 필러(FP)로부터 루프 사이드 레일(RR)의 후부쪽까지의 대략 L자 형상의 부위에 접혀져 수납되는 에어 백(11) 외에, 에어 백(11)에 팽창용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2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에어 백(11)은, 도 4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를 구비하여, 팽창시의 형상을, 상변부(14)와, 상변부(14)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 방향으로 둔각 형상으로 이어지는 사변부(15)와, 사변부(15)로부터 이어져 상변부(14)와 대략 평행하게 대향하는 하변부(16)와, 상변부(14)와 하변부(16)의 후단부 상호를 연결하는 후변부(17)의 4변을 구비한 대략 평행사변형판 형상의 주머니 형상으로서, 하부쪽에 팽창용 가스를 유입시키는 원통 형상의 가스유입부(1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의 아래쪽가장자리인 하변부(16)를 접은 자국(9a)으로 한 대략 화살 블레이드 형상의 포재(9)로 형성되고, 그 포재(9)의 중앙의 접은 자국(9a)으로 접음과 동시에, 하나의 팽창실(18)을 형성 가능한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20)를 설치하도록, 소정의 둘레 가장자리를 결합수단(1O)으로서의 폴리에스테르사 등의 봉합사(10a)로 봉합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포재(9)는, 폴리아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포로 형성되어,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봉합은 고리바느질(체인 스티치)나 본 바느질(록 스티치) 등으로 행한다.
또한, 결합수단으로서는, 봉합사(10a) 외에 도 18 내지 20에 나타낸 에어 백(111)과 같이, 실리콘계·우레탄계·에폭시계 등의 열경화형 접착제나 하트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1Oc)를 사용하여도 좋고, 소정의 둘레 가장자리에 접착제(1Oc)를 도포하여, 도포한 부위에서 접합시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에어 백(161)과 같이, 봉합사(10a)로 봉합할 때,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 사이에, 실리콘 테이프·부틸 고무 테이프·탄성을 가진 접착제층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을 가진 시트재(1Ob)를 개재시켜 봉합하여도 좋다.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20)는, 상변부(14)로부터 가스유입부(19)를 포함시킨 사변부(15)까지의 설치쪽 결합부(20a)와, 후변부(17)쪽의, 접혀져 수납되고 팽창시에 돌출하게 되는 돌출쪽 결합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쪽 결합부(20a)쪽의 상변부(14)와 사변부(15)에는, 각각 개구(W)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멍(14b·15b)을 구비한 소정 수의 설치조각(14a·15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쪽 결합부(20b)쪽의 후변부(17)는, 하변부(16)와 함께, 수납시에 접혀져서 팽창시에 돌출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에어 백(11)의 후변부(17)에는,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를 결합수단(10)에 의해 직선 형상으로 결합시킨 일체용 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일체용 결합부(21)는, 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실(18)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의 뒤쪽가장자리 상호를, 에어 백(11)의 팽창시에 펄럭임이 생기지 않도록 일체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의 팽창실(18)의 둘레 가장자리는, 하변부(16)인 포재(9)의 접은 자국(9a)과, 가스유입부(19)로부터 떨어진 뒤쪽가장자리의 돌출쪽 결합부(20b)와, 위쪽가장자리의 돌출쪽 결합부(20b)보다 전방쪽의 설치쪽 결합부(20a)로 구성되게 된다.
또, 설치쪽 결합부(20a)를 결합시켰을 때, 가스유입부(19)는 하변부(16)의 연장상에 배치되는 양태로 되는데, 포재(9)가 가요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구(W)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할 때, 용이하게 구부려, 사변부(15)의 연장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포재(9)를 접은 자국(9a)에서 접어 결합부(20·21)를 결합시킬 때에는, 후술하는 장력발휘용 결합부(22)도 결합시켜, 팽창실(18)을 형성한다. 각 설치조각(14a·15a)의 설치구멍(14b·15b)은 설치쪽 결합부(20a)를 결합시킨 후, 뚫어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팽창시의 에어 백(11)에 텐션 라인 L-L을 형성하는 장력발휘용 결합부(22)는, 도 4 내지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합사(10a)에 의해, 가스유입부(19)쪽으로 부풀어오르는 만곡 형상의 돌출부(22a)를 구비함과 동시에, 가스유입부(19)쪽과 역방향쪽에 오목부(22b)를 구비하여,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를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경우, 4개의 결합부(22)가, 에어 백(11) 내의 상하에 팽창용 가스를 통과시키는 공간(18a·18b)을 마련하도록, 팽창실(18) 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위에서, 텐션 라인 L-L을 따라가도록, 병설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 실시형태의 각 결합부(22)는 각각 텐션 라인 L-L에 대하여 가로지르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봉합사(10a)에 의해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를 폐색한 루프 형상으로 봉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결합부(22)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낸 에어 백(211)과 같이, 결합부(22)의 봉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2중으로 봉합사(1Oa)에 의해 봉합하여도 좋다.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W)의 둘레 가장자리에 대하여, 산접기와 골짜기접기를 차례로 반복하여 접도록, 주름상자접기하여 수납되어, 프론트 필러(FP)쪽에서는 가니쉬(33)로 덮여지고, 루프 사이드 레일(RR)쪽에서는 루프 내장재(35)로 덮여져 있다. 또한, 에어 백(11)이 접혀져 겹치는 면(S)은 도어 내면(DI)과 대략 직교시키도록 접혀져 있다.
가니쉬(33)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S수지·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설치기부(33a)·베이스(33b)·표피(33c)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에어 백(11)의 팽창시에, 에어 백(11)에 눌러져 열리도록, 인터그럴 힌지(33e)를 배치시킨 도어부(33d)를 구비하고, 바디(31)에 클립(27)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클립(27) 등은, 후술하는 설치벨트(29)와 함께 에어 백(11)의 소정의설치구멍(15b)을 끼워 통하게 하여, 에어 백(11)을 바디(31)에 설치하는 역할을 겸용하고 있다.
루프 내장재(35)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레탄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설치기부(35a)·베이스(35b)·표피(35c)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바디(31)에 클립(27) 또는 볼트로 고정되고, 선단(35d)을 바디(31)에 연결된 도어 트림(36)에 걸어멈춤시키고 있다. 그리고, 에어 백(11)의 팽창시에는 에어 백(11)에 눌러져 선단(35d)이 도어 트림(36)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접혀진 에어 백(11)을 감싸는 설치벨트(29)는, 에어 백(11)의 팽창시에 파단하는 얇은 파단예정부(29a)를 구비하고, 에어 백(11)을 바디(31)에 설치하기 위한 클립(27)이나 볼트에 의해 더불어 조여져 있다. 또한, 도 2·3으로 도시한 에어 백(11)은 도 5에 도시한 에어 백(11)도 동일하나, 실제로는 더욱 많은 접은 자국(C)을 배치시켜, 주름상자접기되어 있다.
또, 에어 백(11)의 전단쪽에서는, 원통 형상의 가스유입부(19)가 인플레이터(24)의 상부에 외장되고, 또한, 바디(31)에 설치되는 설치 지그(25)로 인플레이터(24)의 외주면에 압압되어, 설치 지그(25)를 이용하여, 바디(31)에 설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24)는, 상단에 팽창용 가스를 토출시키는 가스토출구(24b)를 구비한 대략 원주 형상의 본체(24a)와, 가스토출구(24b)의 주위를 덮는 도시생략한 원통 형상의 판금제의 디퓨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디퓨저의 주위에 에어 백(11)의 가스유입부(19)를 외장시켜, 가스유입부(19)를 디퓨저 외주면에 압압하는 설치지그(25)를 이용하여, 바디(3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스유입부(19)의 주위의 설치쪽 결합부(20a)는 디퓨저 외주면에 구부려지게 된다.
그리고, 이 에어 백(11)의 주름상자접기시의 접기 방향(접어 겹치는 방향) Z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변부(14)와 평행한 접은 자국(C)을 설치하여, 상변부(14)와 직교 방향에 상변부(14)쪽으로 접는 것으로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도 21·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기 지그(40)를 이용하여 에어 백(11)을 접는다. 접기 지그(40)는, 본체(41)와 소정 매수의 에어 백(11)의 접기 폭(B)보다 약간 폭 치수를 좁게 한 접기 판(45)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본체(41)는 기판부(42)의 윗면에 종벽부(43)를 설치시킴과 동시에, 대략 접기 폭(B)(도 5 참조)만큼 종벽부(43)로부터 평행하게 떨어진 위치에 압벽부(44)를 배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접기 지그(40)를 사용하여 에어 백(11)을 접는 공정은, 도 2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팽창실(18)을 종벽부(43)쪽에 배치시킴과 동시에, 압벽부(44)의 아래쪽에 상변부(14)에 있어서의 설치조각(14a)의 뿌리 부근을 배치시켜, 압벽부(44)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각 설치조각(14a)의 뿌리 부근을 압벽부(44)로 누른다.
이어서, 도 2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실(18)의 차 외측벽부(13)를 기판부(42)에 맞닿게 하도록, 종벽부(43)와 압벽부(44) 사이에 있어서의 차 내측벽부(12)쪽에서 접기 판(45)으로 누른다.
그리고, 도 2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백(11)을 산접기함과 동시에, 차 외측벽부(13) 상에 2매째의 접기 판(45)을 배치시켜, 에어 백(11)을 골짜기접기하고, 이하, 도 2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례로 접기 판(45)을 삽입시켜 산접기·골짜기접기를 반복한다.
그 후, 하변부(16) 부근까지 접었으면, 도 21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접기 판(45)을 빼고, 다시, 도 21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벽부(44)를 상승시켜, 접어 넣은 에어 백(11)을 누르기 지그(40)로부터 인출하면 된다. 또한, 접기 지그(40)로서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벽부(43)나 압벽부(44)를 판 형상으로 하지 않고 빗살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에어 백(11)을 접어 넣은 후에는, 접어 넣을 때에 접어 넣어진 설치조각(15a)이 있으면 그것을 잡아 당겨 꺼내 두고, 에어 백(11)의 설치조각(14a·15a)의 부위를 설치 벨트(29)로 감싸는 동시에, 가스유입부(19)에 설치 지그(25)를 이용하여 인플레이터(24)를 조립해 두고, 가니쉬(33)나 루프 내장재(35)와 함께 설치 벨트(29)와 설치 지그(25)를, 클립(27) 등을 이용하여 바디(31)에 설치하고, 에어 백 장치(M1)를 차량에 장착하면 된다.
또한, 이 개구(W)의 둘레 가장자리에 대한 에어 백(11)의 설치 작업은, 에어 백(11)이 팽창되어 있지 않고, 텐션 라인 L-L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에어 백(11)이 휘기 쉬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에어 백(11)의 후단쪽의 설치구멍(14b)에는, 설치 벨트(29)를 이용하지 않고, 볼트(38)가 끼워 넣어져, 에어 백(11)의 후단이 바디(31)에 설치되게 된다.
에어 백 장치(M1)의 차량에의 장착후, 인플레이터(24)의 가스토출구(24b)로부터 팽창용 가스가 토출되면,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각 설치 벨트(29)의파단예정부(29a)를 파단시켜, 가니쉬(33)의 도어부(33d)를 눌러 열리게 함과 동시에, 루프 내장재(35)의 선단(35d)쪽을 눌러 열리게 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W)를 막도록 팽창하게 된다.
그 때,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에서는, 팽창시의 팽창실(18)을 하나로 하도록,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22)가 각각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위에 배치되어, 상하에 팽창용 가스를 흐르게 하는 공간(18a·18b)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별도로 팽창용 가스를 유도하는 파이프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팽창용 가스가 상하의 공간(18a·18b)을 거쳐 결합부(22) 사이의 부위에 원활하게 흐르기 때문에, 파이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만큼, 장치(M1)의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팽창용 가스가, 에어 백(11)의 상하의 공간(18a·18b)을 흐르기 때문에, 에어 백(11)을 단시간에 팽창(전개)시킬 수 있다.
물론, 팽창완료시(전개완료시)에는, 결합부(22) 사이의 부위가 팽창하여, 텐션 라인 L-L이 형성되기 때문에, 탑승자 두부를 원활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팽창완료시에는, 에어 백(11)의 하부에, 아래쪽의 공간(18b)에 의해 전후 방향에 따른 팽창 부위가 형성되기 때문에, 에어 백(11)의 구부러짐이 한층더 방지되어, 탑승자의 구속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팽창시의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22)가, 가스유입부(19)쪽으로 부풀어오르는 만곡 형상의 돌출부(22a)를 구비하여,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에서 차량의 전후 방향에 병설되어 있다.
즉, 각 결합부(22)의 상하가, 에어 백(11)의 위쪽가장자리나 아래쪽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결합부(22)의 상하로, 팽창용 가스가, 가스유입부(19)로부터 떨어진 부위까지 원활하게 흐르게 되고, 또한, 각 결합부(22)가, 가스유입부(19)쪽으로 부풀어오르는 만곡 형상의 돌출부(22a)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팽창용 가스가, 결합부(22)에 닿아도, 원활하게 상하로 나누어져 가스유입부(19)로부터 떨어진 부위로 흐르기 때문에, 팽창용 가스의 압력손실을 억제할 수 있고, 소출력 인플레이터(24)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각 결합부(22)에 있어서 각각 가스유입부(19)쪽과 역방향쪽으로, 가스유입부(19)쪽에 오목지는 오목부(22b)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지지 않게 되는 도 13 내지 16에 나타낸 돌출부(272a)만을 가진 결합부(272)에 비하여, 서로 이웃하는 결합부(22) 사이의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가, 각각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인장되는 양태로 되고, 결합부(22)의 병설 방향으로의 장력, 즉, 텐션 라인 L-L의 장력을 크게 할 수 있고, 에어 백(11)의 구속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만곡한 선 형상으로 봉합사(10a)로 봉합하고, 돌출부(322a)와 오목부(322b)를 가지는 결합부(322)를 병설한 에어 백(311)이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도 13 내지 16에 나타낸 결합부(272)를 가진 에어 백(261)이라도, 가스유입부(19)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72a)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팽창용 가스의 압력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이들 장력발휘용 결합부(22·272·322)는, 도시한 것에 한정될 수 없는 것이고, 짧은 직선 형상·원호 형상 등의 형상으로, 팽창실(18) 내에서의 차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를 봉합사(10a) 등의 결합수단(10)에 의해 결합하여, 텐션 라인 L-L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덧붙여서 말하면, 각 장력발휘용 결합부(22·272·322)를 직선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각각 봉합사(10a) 등이 접어 넣을 때에 겹치지 않고 콤팩트하게 접혀지도록, 에어 백(11)의 접기 방향 Z와 교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각 결합부(22)에 있어서, 각각, 폐색한 루프 형상으로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를 봉합하고 있기 때문에, 선 형상으로 봉합한 도 11의 에어 백(311)에 비하여, 팽창시의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한 응력집중이, 결합부(22)의 끝부에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각 결합부(22)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 효과 자체는, 도 13 내지 16에 나타낸 결합부(272)에서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고, 특히, 예각인 각부를 설치하지 않고 곡선 형상의 루프 형상으로 봉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정면에서 보아, 초생달 형상의 결합부(22)로 한 경우를 나타내었는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돌출부(372a)와 오목부(372b)를 구비하여 루프 형상으로 봉합사(10a)로 봉합한 결합부(372)를 가진 에어 백(361)도,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둘레 가장자리의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20)와 에어 백(11)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는 장력발휘용 결합부(22)가,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를 봉합사(10a)로 봉합시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팽창시에 작용하는 장력을,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20)와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22)로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합부(20·22)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도 17에 나타낸 에어 백(161)과 같이, 팽창실 구성용과 장력발휘용의 결합부(20·22)를, 실리콘테이프·부틸 고무 테이프·탄성을 가진 접착제층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을 가진 시트재(10b)를 개재시켜,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를 폴리에스테르사 등의 봉합사(10a)로 봉합하여 형성하면, 상기의 작용·효과에 부가하여, 시트재(10b)에 의해 솔기가 막히는 양태로 되기 때문에, 에어 백(161)의 팽창시의 팽창용 가스의 누설이 억제되고, 팽창시의 에어 백(161)의 내압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도 18 내지 20에 나타낸 에어 백(111)과 같이, 팽창실 구성용과 장력발휘용의 결합부(20·22)가,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를 접착제(10c)로 접착시켜 형성되어 있으면, 결합부(20·22)를 봉합사(10a)로 봉합하는 것만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솔기가 없기 때문에, 에어 백(111)의 팽창시의 팽창용 가스의 누설이 억제되고, 팽창시의 에어 백(111)의 내압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결합부(20·22)를 형성할 때에는, 접착제(10c)를 이용하지 않고, 차 내측벽부·차 외측벽부(12·13)끼리를 가열하여, 열 융착에 의한 접착에 의해 결합부(20·22)를 형성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력발휘용 결합부(22)를 보호하는 관점에서, 도 24 내지 26에 나타낸 에어 백(411)과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이 에어백(411)은, 가스유입부(19)쪽의 결합부(22F)와 가스유입부(19) 사이에서,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와 서로연결하는 스트랩(100)을 설치시킨 것이다. 스트랩(100)은 폴리아미드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포로 띠 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폭 방향 Y를 가스유입부(19)로부터 유입하는 팽창용 가스의 유입방향 I와 대략 직교시켜, 양단부(1OOa·1OOb)를 봉합사(10a)에 의해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의 내주면에 봉합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에어 백(411)은, 가스유입부(19)로부터 팽창용 가스가 유입되어, 가스유입부(19)쪽의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에 큰 인장력이 작용하여도, 그 인장력에 스트랩(100)이 대항하여, 팽창시에 텐션 라인 L-L을 형성하는 결합부(22) 내의 가스유입부(19)쪽의 결합부(22F)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팽창용 가스의 유입쪽의 결합부(22F)를 스트랩(100)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100)은, 그 배치시키는 방향으로서, 그 폭 방향 Y를 유입 방향 I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시켜도 되나, 도면예와 같이, 폭 방향 Y를 가스유입부(19)로부터 유입되는 팽창용 가스의 유입방향 I와 대략 직교시키면, 결합부(22F)에 직접 팽창용 가스가 닿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한층더, 가스유입부(19)쪽의 결합부(22F)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또, 스트랩(100)의 길이는, 가스유입부(14)쪽의 결합부(22F)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으면, 에어 백(411)의 팽창시에 느슨해지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특히, 에어 백(411)의 팽창시의 두께를 소정의 두께로 규제하는 역할을 다하도록, 스트랩(100)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경우에는, 실시형태의 에어 백(411)의 1개소에 한정하지 않고,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를 연결하도록, 복수 개소에 스트랩(100)을 배치시켜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돌출쪽 결합부(20b)의 후방쪽의 일체용 결합부(21)까지의 부위를 팽창시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고, 에어 백(11) 전체를 팽창시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에어 백(11)의 팽창완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작은 출력의 인플레이터(24)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팽창시의 팽창실(18)을 하나로 하고 있기 때문에, 팽창실(18)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20) 내의, 수납시에 접혀지고 팽창시에 돌출하는 돌출쪽 결합부(20b)를 적게 할 수 있고, 접어서, 돌출쪽 결합부(20b)를 형성하는 봉합사(10a) 등의 결합수단(10)이 겹치더라도, 접기 완료후에 부풀어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장력발휘용 결합부(22)도 팽창실(18)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위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접혀질 때에 장력발휘용 결합부(22)를 형성하는 봉합사(10a)나 접착제(1Oc) 등이 겹쳤다고 해도, 부풀어오르는 것을 억제하여, 접어 넣은 에어 백(11)을 얇게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콤팩트하게 접어 넣을 수 있다. 또, 접혀져 겹치는 면(S)을 도어 내면(DI)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하여, 주름상자 형상으로 접혀져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팽창시, 도어 내면(DI)을 따라 재빨리 팽창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에서는, 팽창실(18)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포재 9의 접은 자국 9a와, 가스유입부 19로부터 떨어진 뒤쪽가장자리의 돌출쪽 결합부 20b와, 위쪽가장자리의 돌출쪽 결합부 20b보다 전방쪽의 설치쪽 결합부 20a로 구성되어 있다) 내, 수납시에 접혀지는 부위에, 팽창실(18)을 제조할 때의 포재(9)의 접은 자국(9a)을 배치시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돌출쪽 결합부(20b)를 더욱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콤팩트하게 접어넣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실시형태에서는, 팽창실(18)의 둘레 가장자리의 긴 부위가 되는 아래쪽가장자리에 접은 자국(9a)을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더욱 콤팩트하게 접어 넣을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이 점을 고려하지 않으면, 에어 백(11)을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의 2매의 포재 상호를 봉합·접착 등 하여 결합시켜 형성하여도 좋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팽창실(18)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20) 내의 돌출쪽 결합부(20b)가, 접는 방향, 즉, 접어 겹치는 방향 Z와 교차하도록,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어도, 돌출쪽 결합부(20b)를 형성하는 봉합사(10a) 등의 결합수단(10)이 어긋나게 겹치는 것이 되어, 접기 완료 후에 부풀어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물론,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일체용 결합부(21)도 접는 방향 Z와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접어 넣을 때에, 그것들을 형성하는 봉합사(1Oa) 등도 어긋나 겹쳐,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돌출쪽 결합부(20b)가 후방쪽의 장력발휘용 결합부(22B)로부터 더욱 후방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돌출쪽 결합부(20b)와 각 장력발휘용 결합부(22)가, 접어 넣은 방향 Z에 있어서도 겹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쪽 결합부(20b)를 형성하는 봉합사(10a) 등의 결합수단(10)과 장력발휘용 결합부(22)를 형성하는 봉합사(10a) 등의 결합수단(10)과의 겹침을 완전히 없앨 수 있어, 더욱 콤팩트하게 접어 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백(11)의 접는 방향 Z가 텐션 라인 L-L과 대략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팽창시에, 에어 백(11)의 돌출하는 방향성이 양호하게 됨과 동시에, 팽창완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접는 방향 Z는, 도 27에 나타낸 에어 백(461)과 같이, 접은 자국(C)을 텐션 라인 L-L에 따르도록 구성하여, 접어 넣은 방향 Z를 그 텐션 라인 L-L과 직교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에어 백(11)은, 그 접어 넣을 때, 상변부(14)와 평행한 접은 자국(C)을 마련하여, 상변부(14)와 직교 방향에 상변부(14)쪽으로 접는 것으로서, 상변부(14)의 설치조각(14a)을 유지한 상태로, 상변부(14)쪽으로부터 산접기와 골짜기접기의 접은 자국(C)을 차례로 붙여 접으면, 접은 자국(C)도 직선 형상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접어 넣을 수 있어, 접기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사변부(15)쪽의 설치조각(15a)은 접어 넣은 후에 잡아 당겨 꺼내면 되고, 그 후의 개구(W)의 둘레 가장자리에의 설치작업도 에어 백(11)이 팽창되어 있지 않고, 텐션 라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에어 백(11)의 휨이 쉬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팽창실(18)을 구성하는 돌출쪽 결합부(20b)의 후방에 일체용 결합부(21)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차 외측벽부(13)나 차 내측벽부(12)의 한쪽에 있어서의 돌출쪽 결합부(20b)의 후방쪽을 생략하여, 돌출쪽 결합부(20b)의 후방쪽을 차 내측벽부(12)만, 또는, 차 외측벽부(13)만의 한 매의 포재만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27에 나타낸 에어 백(461)과 같이, 돌출쪽 결합부(20b)에 볼트(38)를 끼워 통하게 하는 설치구멍(110a)을 가진 포재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스트랩(110)을 봉합하도록 하면, 일체용 결합부(21)를 형성하기 위한 봉합사(10a) 등의 결합수단(10), 돌출쪽 결합부(20b)의 후방쪽의 한쪽 벽부(13 또는 12), 또한, 돌출쪽 결합부(20b)보다 후방쪽에 있어서의 설치쪽 결합부(2Oa)의 결합수단(1O)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콤팩트하게 에어 백(461)을 접어 넣을 수 있다.
도 28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의 에어 백(51)은, 팽창시의 전개 영역에 센터 필러(CP)의 부위를 포함하도록 설치시켜, 팽창시에 센터 필러(B 필러)(CP)의 지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에어 백(51)은,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로 프론트 필러(A 필러)(FP)와 루프 사이드 레일(RR)에 올라타 격납되어 있고, 앞쪽 고정점(51A)이 프론트 필러(FP)의 아래쪽의 인플레이터(24)에 연결되어 설정되어 있다. 또, 에어 백(51)은, 뒤쪽 고정점(51B)이 쿼터 필러(QP)(C 필러)(26) 근방의 루프 사이드 레일(RR)에 설정되어 있다.
또, 에어 백(51)은, 사변부(55)를 프론트 필러(FP)의 차실(車室)측부에볼트(78)에 의해 고정시키고, 상변부(54)를 루프 사이드 레일(RR)의 차실측부에 볼트(78)에 의해 고정시키고 있다. 또한, 상변부(54)와 사변부(55)에는 각 볼트(78)를 관통시키는 설치구멍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백(51)은, 장력발휘용 결합부 62(62F·62S·62T·62B)를 텐션 라인 L-L의 방향을 따라 4개 병설시킴과 동시에, 각각 텐션 라인 L-L을 가로지르도록 설치시켜,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5개의 팽창부(58c·58d·58e·58f·58g)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에어 백(51)에는, 각 결합부(62F·62S·62T·62B)가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의 부위에 팽창시의 팽창용 가스가 흐르는 공간(58a·58b)도 형성되어 있다.
또, 에어 백(51)은, 한 매의 포재를 하변부(56)에서 되접어, 하변부(56)를 제외한 주위(상변부 54, 사변부 55 및 후변부 57)를 봉합사(10a)로 봉합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차 내측벽부(12)와 차 외측벽부(13)의 소정 부위 상호를 봉합사(10a)로 봉합하고, 각 결합부(62)를 형성하여 제조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백(51)은, 후부쪽의 팽창부(58f)가 센터 필러(CP)와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팽창부(58f)는, 인접하는 결합부(62T·62B)의 간격을, 다른 일반부의 팽창부(58d·58e)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결합부(62F·62S)간이나 결합부(62S·62T)간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하여, 팽창부(58f)의 두께(H1)가 일반부의 팽창부(58d·58e)의 두께(H2)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에어 백(51)은, 프론트 필러(FP)와 루프 사이드레일(RR)에 올라타 설치되는 케이스(69)에, 접혀진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에어 백(51)은, 도 31·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겹쳐지는 면(S)을 도어 내면으로서의 도어 유리 내면(GI)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하여 접혀져 있다.
케이스(69)는, 도 31 내지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바디(71)에 있어서의 프론트 필러 인너 패널(71a)나 루프 사이드 인너 패널(71d)과, 가니쉬(73)나 루프 내장재(75) 사이에 격납되어 있다. 케이스(69)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차 바깥쪽의 차 외측벽부(69a)와, 차 안쪽의 차 내측벽부(69e)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 내측벽부(69e)는, 평탄부(69f)와 단면 U자형의 리드부(69i)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리드부(69i)와 차 외측벽부(69a)의 연결부위에는 V 노치(69d)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 백(51)의 팽창시, V 노치(69d)가 파단되어, 리드부(69i)가 평탄부(69f)와의 연결부위를 힌지 부위로 하여 차 안쪽으로 회동하여, 에어 백(51)을 돌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차 외측벽부(69a)와 차 내측벽부(69e)의 평탄부(69f)에는, 서로 걸어 맞추어, 에어 백(51)을 접어 넣은 상태로 유지 가능한 걸어맞춤포올부(69c·69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 외측벽부(69a)와 차 내측벽부(69e)의 평탄부(69f)에는, 대응하여, 관통구멍(69b·69g)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관통구멍(69b·69g)을 관통하는 볼트(78)와, 볼트(78)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79)에 의해, 케이스(69)는 에어 백(51)과 함께 프론트 필러 인너 패널(71a)이나 루프 사이드 인너 패널(71d)의 차실측부에 같이 조여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 에어 백(51)은, 접어서 그 접어 넣은 부위를 리드부(69i) 내에수납시킴과 동시에, 상변부(54) 부근과 사변부(55) 부근을 차 외측벽부(69a)와 차 내측벽부(69e)의 평탄부(69f) 사이에서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69) 내에 배치하여, 걸어맞춤포올부(69c·69h) 상호를 걸어 맞추게 하고, 또한, 관통구멍(69b·69g)이나, 상변부(54) 부근과 사변부(55) 부근의 에어 백(51)의 설치구멍을 이용하여, 프론트 필러 인너 패널(71a)이나 루프 사이드 인너 패널(71d)에 볼트(78)·너트(79) 고정하면, 접어 넣은 에어 백(51)을 케이스(69)와 함께 차량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가니쉬(73)나 루프 내장재(75)는 에어 백(51)을 장착한 후, 차량에 조립하게 된다.
또, 도 31에 있어서, 부호 71b는 프론트 필러 아우터 패널, 부호 71c는 프론트 필러 리인포스먼트이다. 또, 도 33에 있어서, 부호 71e는 루프 사이드 멤버, 부호 71f는 루프 사이드 레일 아우터 리인포스먼트, 부호 71g는 루프 패널이다.
이 에어 백(51)의 팽창전개시에는, 먼저, 팽창하는 에어 백(51)에 눌려져, 케이스(69)의 V 노치(69d)가 파단하고, 리드부(69i)가 열리고, 다시, 웨더 스트립(74)으로 막혀진 가니쉬(73)와 프론트 필러 인너 패널(71a)의 간극이나, 웨더 스트립(76)으로 막혀진 루프 내장재(75)와 루프 사이드 인너 패널(71d)의 간극이, 눌려 넓혀져, 에어 백(51)이 크게 팽창 전개하게 된다.
그 때, 인플레이터(24)로부터의 팽창용 가스는, 에어 백(51)의 둘레 가장자리의 상하의 공간(58a·58b)에 재빨리 공급되고, 다시, 복수의 팽창부(58c·58d·58e·58f·58g)에 공급되기 때문에, 단시간에 전개되게 된다.
또, 에어 백(51)의 앞쪽 고정점(51A)과 뒤쪽 고정점(51B)을 연결하는 텐션 라인 L-L을 가로지르는 팽창부(58c·58d·58e·58f·58g)가 팽창하기 때문에, 텐션 라인 L-L에 확실히 큰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전후 방향을 따른 아래쪽의 공간(58b)도 팽창하기 때문에, 에어 백(51)이 구부러지기 어려워, 높은 탑승자 구속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에어 백(51)은, 앞쪽 고정점(51A)을 프론트 필러(FP)의 하부 부근에 설정하고, 뒤쪽 고정점(51B)을 쿼터 필러(QP) 근방의 루프 사이드 레일(RR)에 설정하였으므로, 차실측부를 따라 전후 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 에어 백(51)이 전개하고, 운전석이나 조수석 등의 좌석(FS)의 전후 방향의 위치, 탑승자의 착석위치 등의 변화에 관계없이, 탑승자(80)의 두부(80a)를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백(51)의 앞쪽 고정점(51A)을 프론트 필러(FP)의 아래쪽의 인플레이터(24)와의 연결부에 설정하였기 때문에, 앞쪽 고정점(51A)을 프론트 필러(FP) 등의 차실측부에 설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에어 백(51)의 앞쪽 고정점(51A)을 아래쪽에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80)의 두부(80a)를 보다 광범위에 걸쳐 보호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이 관점에서, 도 36에 나타낸 에어 백(511)과 같이, 뒤쪽 고정점(511B)을 쿼터 필러(QP)의 하부에 설정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앞좌석(FS)의 운전석이나 조수석 등에 착석한 탑승자(80)뿐만 아니라, 뒷좌석(BS)에 착석한 탑승자(80)의 두부(80a)도 보호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에어 백(51)은, 전개 영역을 센터 필러(CP)에 랩시키고 있기 때문에, 탑승자(80)의 두부(80a)에 의해 에어 백(51)이 차 바깥쪽으로 눌려져도 센터 필러(CP)에 지지되기 때문에, 더욱 구부러지기 어려워져, 탑승자 두부(80a)의 구속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팽창시의 에어 백(51)에 있어서의 센터 필러(CP)에 지지되는 팽창부(58f)의 두께(H1)가, 다른 일반부의 팽창부(58d·58e)의 두께(H2)보다 두껍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센터 필러(CP)에 에어 백(51)이 간섭하여도 쿠션 효과를 높여, 탑승자 두부(80a)를 구속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센터 필러(CP)에 지지되는 팽창부(58f)를 다른 일반부의 팽창부(58d·58e)와 동일한 두께로 하는 경우에 비하여, 에어 백(51) 내의 초기 내압을 내리더라도 쿠션 효과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24)의 출력 저감이나 에어 백(51)의 밀봉방법의 간편화가 도모되어, 사이드 에어 백 장치(M2)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센터 필러(CP)에 지지되는 팽창부(58f)에 관하여, 인접하는 결합부(62T·62B)의 간격을, 다른 일반부의 팽창부(58d·58e)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결합부(62F·62S) 사이나 결합부(62S·62T)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하여 형성하고 있는 것뿐이며, 용이하게, 센터 필러(CP)에 의해 지지되는 팽창부(58f)를 다른 일반부의 팽창부(58d·58e)보다 두껍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에어 백(51)은, 케이스(69) 내에 격납됨과 동시에, 프론트 필러 인너 패널(71a)이나 루프 사이드 인너 패널(71d)에 대하여,케이스(69)와 같이 죄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69)에 의해 잘못접기가 방지된다. 또, 케이스(69)에 의해, 조립시에 에어 백(51)이 아래로 늘어지는 등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69)에 의해, 조립시에 에어 백(51)이 비틀려지는 일이 없고, 에어 백(51)이 접힘겹침면(S)을 도어 유리 내면(GI)에 대략 직교시키도록, 확실하게 격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케이스(69)는, 서로 걸어맞춤으로써 에어 백(51)의 접기 상태를 유지하는 걸어맞춤포올부(69c·69h)를 구비하고 있고, 걸어맞춤포올부(69c·69h)의 걸어맞춤과 걸어맞춤해제에 따라, 에어 백(51)의 케이스(69) 내로의 수납이 용이하게 된다. 물론, 걸어맞춤포올부(69c·69h)는, 인너 패널(71a·71d)쪽으로의 설치쪽이 되는 관통구멍(69b·69g)의 근방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 백(51)의 전개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이 없다.
덧붙여서 말하면, 도 34에 나타낸 케이스(89)와 같이, 차 바깥쪽의 차 외측벽부(89a)와, 차 안쪽의 차 내측벽부(89f)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며, 차 외측벽부(89a)를, 볼트(78)를 끼워 통하게 하는 관통구멍(89c)을 가진 평탄부(89b)와, 평탄부(89b)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구부러진 바닥부(89d)로 구성하고, 차 내측벽부(89f)를, 평탄부(89b)와 연결되어 볼트(78)를 끼워 통하게 하는 관통구멍(89h)을 가진 평탄부(89g)와, 단면 L자형의 리드부(89i)로 구성하여, 바닥부(89d)와 리드부(89i)에 서로 걸어 맞추어, 에어 백(51)을 접어 넣은 상태로 유지 가능한 걸어맞춤포올부(89e·89j)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케이스(89)로는, 에어 백(51)의 팽창시, 걸어맞춤포올부(89e·89j)의 상호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바닥부(89d)가 평탄부(89b)와의 연결 부위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열림과 동시에, 리드부(89i)도 평탄부(89g)와의 연결 부위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열려, 에어 백(51)을 돌출시키게 된다.
또, 에어 백(51)의 잘못접기방지의 관점에서,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69·89)로 수납하기 전에, 에어 백(51)의 팽창시에는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게 하는 두께의 폴리에틸렌 필름(90) 등의 합성수지 필름으로 에어 백(51)을 싸 두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에어 백(51)의 잘못접기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어 넣은 상태의 에어 백(51)으로의 이물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압하여 랩핑하면, 더욱 콤팩트하게 에어 백(51)을 접어 넣을 수 있어, 프론트 필러(FP)를 가늘게 하여 전방 시계를 향상시키거나, 루프 사이드 레일(RR)을 가늘게 하여 차내를 넓게 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에어 백(51·511)과 같이, 앞좌석과 뒷좌석을 가진 4도어 차량에 장착시키도록 하여도 좋으나,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시터 등의 2도어 차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에어 백(51)의 전개시에는 센터 필러(CP)에 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2 실시형태에서는, 차 안쪽에서의 프론트 필러(FP)에서 루프 사이드 레일(RR) 등에 걸쳐 배치되는 에어 백(11·51)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차 안쪽에 있어서의 차량의 후부쪽의 쿼터 필러(QP)나 센터 필러(CP)로부터 루프 사이드레일(RR)에 걸친 도어의 개구(W)의 둘레 가장자리의 대략 역L자 형상의 부위에 배치되는 에어 백에, 본 발명을 응용하여도 되고, 그 경우에는, 쿼터 필러(QP)나 센터 필러(CP)의 하부에 인플레이터(24)가 배치되어, 가스유입부(19)가 배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은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하여 유용하다.

Claims (22)

  1. 차량의 바디에 있어서의 차 안쪽의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의 하부쪽에 팽창용 가스를 유입시키는 가스유입부를 구비하여, 팽창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개구를 덮도록 대략 사각판 형상의 주머니 형상이고,
    또한, 팽창시에, 상기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하부쪽과 비스듬히 위쪽 방향의 상부쪽에 걸쳐 장력이 생기게 하는 텐션 라인을 형성하도록, 차 내측벽부와 차 외측벽부 상호를 부분적으로 결합시킨 장력발휘용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으로서,
    상기 장력발휘용 결합부가, 텐션 라인의 방향을 따라 복수 병설됨과 동시에, 각각 텐션 라인에 대하여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또한, 팽창시의 팽창실을 하나로 하여, 상하에 상기 팽창용 가스를 흐르게 하는 공간을 설치하도록,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각각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각각 상기 가스유입부쪽으로 부풀어오르는 만곡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각각 상기 가스유입부쪽과 역방향쪽에, 상기 가스유입부쪽에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와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봉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와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탄성을 가진 시트재를 개재시켜,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봉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와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접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7. 제 1 항에 있어서,
    앞쪽 고정점을 프론트 필러 하부에 설정하고, 뒤쪽 고정점을 쿼터 필러 근방의 루프 사이드 레일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8. 제 1 항에 있어서,
    팽창시의 전개 영역에 센터 필러의 부위를 포함하도록 설치되어, 팽창시에 상기 센터 필러의 지지를 가능하게 한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9. 제 8 항에 있어서,
    팽창시에 있어서의 상기 센터 필러에 지지되는 부위를, 다른 일반부의 팽창 부위보다 두껍게 팽창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10. 제 9 항에 있어서,
    팽창시에 있어서의 상기 센터 필러에 지지되는 팽창 부위가, 인접하는 결합부의 간격을, 다른 일반부의 팽창 부위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결합부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11. 제 1 항에 있어서,
    앞쪽 고정점을 프론트 필러 하부에 설정하고, 뒤쪽 고정점을 쿼터 필러 하부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12. 제 1 항에 있어서,
    앞쪽 고정점을 프론트 필러 아래쪽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입부쪽의 상기 결합부와 상기 가스유입부 사이에서,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서로 연결하는 스트랩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이, 띠 형상으로서, 그의 폭 방향은 상기 가스유입부로부터의 팽창용 가스의 유입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15. 차량의 바디에 있어서의 차 안쪽의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의 하부쪽에 팽창용 가스를 유입시키는 가스유입부를 구비하여, 팽창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개구를 덮도록 대략 사각판 형상의 주머니 형상이고,
    또한, 팽창시에, 상기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하부쪽과 비스듬히 위쪽 방향의 상부쪽에 걸쳐 장력이 생기게 하는 텐션 라인을 형성하도록, 차 내측벽부와 차 외측벽부 상호를 부분적으로 결합시킨 장력발휘용 결합부가 설치되고,
    접혀져 상기 도어 개구 둘레 가장자리에 수납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으로서,
    상기 장력발휘용 결합부가, 텐션 라인의 방향을 따라 복수 병설됨과 동시에, 각각 텐션 라인에 대하여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팽창시의 팽창실을 하나로 하여, 상하에 상기 팽창용 가스를 흐르게 하는 공간을 설치하도록,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각각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부위에 배치되며,
    접혀져 겹치는 면을 상기 도어 내면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하여, 주름상자 형상으로 접혀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의 팽창실이, 1매의 포재를 접음과 동시에 그 접은 자국을 제외한 둘레 가장자리 상호를 결합시켜 제조되고, 수납시에 주름상자 형상으로 접혀지는 부위에, 상기 팽창실 제조시의 포재의 접은 자국을 배치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의 안쪽, 수납시에 접혀져 팽창시에 돌출하는 돌출쪽 결합부가, 접혀져 겹치는 방향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18. 제 15 항에 있어서,
    팽창시의 형상을, 차 안쪽의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 가능한 설치조각을 각각 구비한 상변부와 상기 상변부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 방향으로 둔각 형상으로 이어지는 사변부와의 2변을 가진 대략 평행사변형의 판 형상의 주머니 형상으로서,
    상기 상변부와 평행한 접은 자국을 마련하여, 상기 상변부와 직교 방향으로 겹치도록 접혀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19. 제 15 항에 있어서,
    수납시, 상기 바디에 같이 조여지는 케이스에 격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20. 제 15 항에 있어서,
    수납시, 접혀진 상태로 랩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21.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와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봉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각각 폐색된 루프 형상으로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봉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 백 장치의 에어 백.
  22.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을 구성하기 위한 둘레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팽창실 구성용 결합부와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탄성을 가진 시트재를 개재시켜,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봉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발휘용 각 결합부가, 각각 폐색된 루프 형상으로 상기 차 내측벽부와 상기 차 외측벽부를 봉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에어 백.
KR1019980705127A 1996-11-07 1997-11-05 사이드에어백장치의에어백 KR100307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554696 1996-11-07
JP29554396 1996-11-07
JP34629396 1996-12-25
JP34629896 1996-12-25
JP8-346298 1996-12-25
JP34627796 1996-12-25
JP8-295543 1997-06-24
JP16773697 1997-06-24
JP8-346293 1997-06-24
JP8-295546 1997-06-24
JP9-167736 1997-06-24
JP8-346277 1997-06-24
PCT/JP1997/004018 WO1998019894A1 (fr) 1996-11-07 1997-11-05 Coussin de securite gonflable pour dispositif coussin de securite gonflable later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997A KR19990076997A (ko) 1999-10-25
KR100307473B1 true KR100307473B1 (ko) 2001-11-22

Family

ID=2755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127A KR100307473B1 (ko) 1996-11-07 1997-11-05 사이드에어백장치의에어백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29377A (ko)
EP (1) EP0878363B1 (ko)
JP (1) JP3076855B2 (ko)
KR (1) KR100307473B1 (ko)
CN (1) CN1089698C (ko)
BR (1) BR9707111B1 (ko)
CA (1) CA2242465C (ko)
DE (1) DE69725838T2 (ko)
ES (1) ES2205192T3 (ko)
WO (1) WO19980198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5790B2 (en) 1994-05-23 2004-04-06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ide curtain air bag
JP3858325B2 (ja) * 1997-01-16 2006-12-13 豊田合成株式会社 側部用エアバッグ装置
JP3099784B2 (ja) 1997-09-26 2000-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袋体を搭載した車両の内装品取付構造
DE19751685A1 (de) * 1997-11-21 1999-05-27 Trw Repa Gmbh Verfahren zum Falten eines Gassacks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sowie Vorrichtung zum Falten eines solchen Gassacks
DE29804239U1 (de) * 1998-03-10 1998-08-20 Trw Repa Gmbh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S6886857B1 (en) 1998-06-01 2005-05-03 Takata Corporation Airbag
US6371512B1 (en) * 1998-08-03 2002-04-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irbag apparatus for head-protecting
EP0978421B1 (en) * 1998-08-05 2004-04-07 Toyoda Gosei Co., Ltd. Airbag for head protecting airbag system
US6530595B2 (en) * 1998-08-20 2003-03-11 Takata Corporation Protective cushion for vehicle occupant's head
GB2344792B (en) 1998-12-18 2001-12-19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US6257616B1 (en) * 1998-12-23 2001-07-10 Prince Technology Corporation Headliner assembly
EP1038736B1 (en) * 1999-03-25 2004-08-18 Toyoda Gosei Co., Ltd. Head protecting air bag system
JP3407687B2 (ja) * 1999-03-25 2003-05-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
US6152482A (en) * 1999-05-26 2000-11-2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inflatable restraint system trim with trim deploying module
EP1057697B1 (en) * 1999-06-02 2004-12-29 Toyoda Gosei Co., Ltd. Head protecting airbag device with easy mount-dismount clip
DE19926269B4 (de) * 1999-06-10 2004-07-15 Daimlerchrysler Ag Schutzvorrichtung für den Kopf- und Schulterbereich von Fahrzeuginsassen
US6398253B1 (en) * 1999-09-01 2002-06-04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Gas bag protective device
JP4120144B2 (ja) * 1999-09-21 2008-07-16 タカタ株式会社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バッグ、保護装置及び自動車
DE29918198U1 (de) * 1999-10-15 2000-03-16 Trw Repa Gmbh Aufblasbares Schutzkissen für den Insassenschutz in Fahrzeugen
JP2001114058A (ja) * 1999-10-18 2001-04-24 Takata Corp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バッグ、保護装置及び自動車
US6431587B1 (en) * 1999-11-02 2002-08-13 Trw Inc. Inflatable side curtain
US6336654B1 (en) * 1999-12-09 2002-01-0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side curtain
EP1112900B1 (en) * 1999-12-27 2013-05-22 Toyoda Gosei Co., Ltd. Vehicle with a head protecting air bag apparatus
US6705639B2 (en) * 2000-03-03 2004-03-16 Takata Corporation Head-protection bag for vehicle occupants
JP4797254B2 (ja) * 2000-03-03 2011-10-19 タカタ株式会社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バッグ
US6435553B1 (en) 2000-03-20 2002-08-20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ir bag and method of seam assembly for minimizing gas leakage
JP3922025B2 (ja) 2000-05-01 2007-05-30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JP3760211B2 (ja) * 2000-06-30 2006-03-2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
DE10033813A1 (de) * 2000-07-12 2002-01-24 Trw Repa Gmbh Verfahren zum Falten eines Gassacks und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S6752418B2 (en) 2000-07-18 2004-06-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US6409211B1 (en) * 2000-10-10 2002-06-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side curtain
JP4743807B2 (ja) * 2000-12-20 2011-08-10 タカタ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3864703B2 (ja) * 2001-01-11 2007-01-10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とそのラッピング方法
US7108278B2 (en) * 2001-01-23 2006-09-1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bag apparatus for side crash
US6749220B1 (en) * 2001-02-16 2004-06-15 Key Safety Systems, Inc. Air bag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6851710B2 (en) * 2001-03-06 2005-02-08 Autoliv As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 airbag component installation
US7093851B2 (en) * 2001-03-13 2006-08-22 Delphi Technologies, Inc. Tunable control side air bag cushion
US6502853B2 (en) * 2001-04-17 2003-01-07 Milliken & Company Low permeability airbag and method
ITMI20010942A1 (it) * 2001-05-08 2002-11-08 Industrialesud Spa Rivestimento padiglione di un veicolo recante elementi della testa (head bag) premontati su di esso
JP2002362280A (ja) 2001-06-01 2002-12-18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6508486B1 (en) * 2001-06-06 2003-01-21 Delphi Technologies, Inc. Door mounted side restraint
DE10227316B4 (de) * 2001-06-19 2005-02-24 Lear Corp., Southfield Dachhimmelanordnung mit einem damit vereinigten Airba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GB2377913B (en) * 2001-07-26 2004-09-01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 bag arrangement
US6793239B2 (en) 2001-11-20 2004-09-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with third row seating
US6889999B2 (en) * 2002-03-20 2005-05-10 Autoliv Asp, Inc. Airbag tether retainer
US6808199B2 (en) * 2002-04-09 2004-10-26 Autoliv Asp, Inc. Shrink wrap for inflatable curtain package
JP3838645B2 (ja) * 2003-04-14 2006-10-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US20050046159A1 (en) * 2003-09-01 2005-03-03 Takata Corporation Curtain airbag apparatus
JP4049061B2 (ja) * 2003-09-04 2008-02-20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GB2407540A (en) * 2003-10-31 2005-05-04 Autotoliv Dev Ab Rolled inflatable airbag curtain
US7988186B2 (en) * 2003-12-10 2011-08-02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Airbag seam pattern for increased occupant protection
US8672351B2 (en) * 2003-12-11 2014-03-1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Side curtain air bag design
JP2005186654A (ja) * 2003-12-24 2005-07-14 Takata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7232001B2 (en) 2004-08-24 2007-06-19 Sam Hakki Collision air bag and flotation system
US20060208466A1 (en) * 2005-03-18 2006-09-21 Takata Restraint Systems, Inc. Curtain airbag bottom fill
DE202005011878U1 (de) * 2005-07-21 2005-10-13 Takata-Petri Ag Airbagmodul für ein Kraftfahrzeug
JP4753246B2 (ja) * 2005-12-19 2011-08-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753247B2 (ja) * 2005-12-21 2011-08-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607684B2 (en) * 2006-03-20 2009-10-27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Integrated inflatable curtain deployment ramp into vehicle body trim
US7815217B2 (en) * 2006-09-26 2010-10-19 Mazda Motor Corporation Interior structure of vehicle equipped with curtain airbag
ATE455680T1 (de) * 2006-10-16 2010-02-15 Autoliv Dev Airbag mit einer flexiblen befestigungslasche
EP2200873B1 (en) * 2007-09-10 2012-12-19 Tinnerman Palnut Engineered Products Integrated side curtain airbag assembly
JP5168090B2 (ja) * 2008-11-05 2013-03-21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ーニッシュ
JP5527534B2 (ja) * 2010-06-11 2014-06-18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ルーフ構造
JP5623355B2 (ja) * 2010-07-30 2014-11-1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
US20120119474A1 (en) * 2010-11-11 2012-05-17 Chi Li Headliner Mounted Tunable Directional Guide for Curtain Airbag Deployment
JP5220875B2 (ja) * 2011-01-21 2013-06-2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JP5229347B2 (ja) * 2011-03-28 2013-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20120267882A1 (en) * 2011-04-19 2012-10-25 Honda Motor Co., Ltd. Method To Achieve Early/Robust G-Signal For Side Pole
DE102012001153A1 (de) * 2012-01-21 2013-07-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asgenerator
JP2013154804A (ja) * 2012-01-31 2013-08-15 Shin-Etsu Chemical Co Ltd エアバッグ固定用熱収縮ベルト
DE102013008467B4 (de) * 2013-05-21 2017-03-23 Trw Automotive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gefalteten Gassack
DE102015114961A1 (de) * 2015-09-07 2017-03-09 Takata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S10189433B2 (en) * 2016-02-25 2019-01-29 Ford Motor Company Extruded 3D ramp/packaging device for tight package requirements
CN106143388A (zh) * 2016-07-13 2016-11-23 芜湖金鹏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安全装置
US9944248B2 (en) * 2016-08-31 2018-04-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including a secondary panel extending across a valley defining a secondary chamber
JP6454364B2 (ja) * 2017-01-23 2019-0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N110843719B (zh) * 2018-07-24 2023-03-03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及安全气囊组件
US11529927B2 (en) * 2018-12-11 2022-12-20 Hyundai Motor Company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US11345302B2 (en) * 2020-07-27 2022-05-31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Curtain airbag with integral airbag wrap
JP7342825B2 (ja) * 2020-09-16 2023-09-12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1949A (en) * 1971-05-12 1973-05-08 Allied Chem Flat bag made of tubular sections
JPS5427556B2 (ko) * 1974-09-11 1979-09-11
JPS6227340A (ja) * 1985-07-29 1987-02-05 Fujikura Ltd 光フアイバの製造方法
JP2528207B2 (ja) * 1990-10-05 1996-08-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アバッグ装置用袋体の折り畳み状態保持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751677B2 (ja) * 1991-07-12 1998-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袋体構造
JP3120506B2 (ja) * 1991-11-11 2000-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4217176C2 (de) * 1992-05-23 1995-08-24 Daimler Benz Ag Seitenaufprall-Airbag-System
DE9211423U1 (ko) * 1992-08-25 1992-11-05 Trw Repa Gmbh, 7077 Alfdorf, De
JP3759966B2 (ja) * 1993-02-01 2006-03-2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US5480181A (en) * 1993-02-19 1996-01-02 Simula Inc. Side impact head strike protection system
US5322322A (en) * 1993-02-19 1994-06-21 Simula Inc. Side impact head strike protection system
US5540459A (en) * 1994-10-05 1996-07-30 Ford Motor Company Roof rail mounted airbag assembly
GB2326385B (en) * 1995-02-20 1999-08-2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device
US5586782A (en) * 1995-06-26 1996-12-24 Alliedsignal Inc. Dual pressure side impact air bag
US5605346A (en) * 1995-08-28 1997-02-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Side mounted air bag module
JP3085170B2 (ja) * 1995-12-11 2000-09-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5755457A (en) * 1995-11-30 1998-05-26 Becker Group Europe Gmbh Air bag device
EP0812739B1 (de) * 1996-06-14 2008-01-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irbageinrichtung
DE29614201U1 (de) * 1996-08-16 1996-09-26 Hs Tech & Design Airbagvorrichtung
DE19642964A1 (de) * 1996-10-18 1998-04-23 Happich Gmbh Gebr Airbagvorrichtung
DE19718203A1 (de) * 1997-04-30 1998-11-05 Daimler Benz Ag Airbagvorhang, insbesondere für eine Fahrzeugschei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707111B1 (pt) 2008-11-18
EP0878363A1 (en) 1998-11-18
CA2242465C (en) 2002-02-26
US6129377A (en) 2000-10-10
ES2205192T3 (es) 2004-05-01
KR19990076997A (ko) 1999-10-25
BR9707111A (pt) 1999-07-20
EP0878363A4 (en) 2001-06-27
CN1207071A (zh) 1999-02-03
DE69725838D1 (de) 2003-12-04
JP3076855B2 (ja) 2000-08-14
WO1998019894A1 (fr) 1998-05-14
EP0878363B1 (en) 2003-10-29
CN1089698C (zh) 2002-08-28
DE69725838T2 (de) 2004-08-19
CA2242465A1 (en) 199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7473B1 (ko) 사이드에어백장치의에어백
JP6504049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4423738B2 (ja) エアバッグ
JP3835257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6398258B2 (en) Air bag apparatus for passenger seat
JP3554719B2 (ja) 自動車用エアーバッグ
KR100811999B1 (ko) 커튼 에어백 모듈
KR100500101B1 (ko) 사이드 커튼 에어백 모듈
US7311324B2 (en) Airbag device for front passenger's seat
US20060138756A1 (en) Head-protecting airbag
US20040145160A1 (en) Airbag and airbag device
EP2279101A1 (en) Textile gas guide for inflatable curtain
JP2000289559A (ja) エアバッグ
WO2008038523A1 (fr) Coussin gonflable et dispositif de coussin gonflable
WO2011028684A1 (en) Integrated airbag closing and inflator mounting members for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JP2001114060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JP2004284416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WO2007083422A1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3871819B2 (ja) エアバッグの縫製構造
JP3523080B2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4063168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
JP2002012123A (ja) エアバッグ
JP4314766B2 (ja) エアバッグ
JP5105883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3497390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