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999B1 - 커튼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999B1
KR100811999B1 KR1020077004379A KR20077004379A KR100811999B1 KR 100811999 B1 KR100811999 B1 KR 100811999B1 KR 1020077004379 A KR1020077004379 A KR 1020077004379A KR 20077004379 A KR20077004379 A KR 20077004379A KR 100811999 B1 KR100811999 B1 KR 100811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neck
airbag module
curtain airbag
infl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800A (ko
Inventor
제퍼리 에스 쿤
창환 주
프라브하카 패디야
케네쓰 디 모니아씨
Original Assignee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3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6Soft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1/262Elongated tubular diffusers, e.g. curtain-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16Inner seams, e.g. creating separate compartments or used as teth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 B60R2021/2617Curtain bag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커튼 에어백 모듈(100)은 일체형으로 구성된 내부 테더(200, 202, 204, 206)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가능 영역(150, 152)을 구비하는 에어백(102)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내부 테더(200, 202, 204, 206)는 가스 분배 튜브(120)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로 배치된다. 에어백(102)은 에어백(102)의 팽창가능 영역(150, 152) 근처에 위치한 가스 분배 튜브(120)를 포함한다. 가스 분배 튜브(120)는 팽창 가스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단부(122)를 가진다. 가스 분배 튜브(120)는 팽창가능 영역(150, 152)에 팽창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각각의 팽창가능 영역(150, 152) 근처에 적어도 한 세트의 개구부(126, 128)를 가진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 모듈{CURTAIN AIRBAG MODULE}
본 발명은 운송수단의 루프 레일(roof rail)에 설치된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운송수단(24)의 승객실(23)의 루프 레일(22)을 따라 설치된 종래 기술의 커튼 에어백 모듈(20)을 도시하고 있다. 전형적인 커튼 에어백의 설치에 있어서, 에어백은 운송수단의 A-필러(30)로부터 B-필러(32)를 가로질러 C-필러(34)로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모듈(20)은 원통형으로 말리거나 접혀진 장방형 또는 타원형 에어백(40)을 갖는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에어백은 여러 형상을 취할 수 있는 하우징내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이러한 하우징 중 하나는 부서지기 쉽거나 천공된 긴 원통형의 커버 또는 슬리브로서, 에어백을 접혀지거나 말린 상태로 유지한다.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팽창기(44)와 연통하는 입구(42)를 포함한다. 팽창기는 입구에 직접 연결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하도록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설치 방식에 있어서 입구는 에어백의 팽창가능 영역에서의 개구부이고, 팽창 기는 직접 그 안에 삽입된다. 1개 이상의 패스너 또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팽창기및/또는 하우징은 적당한 운송수단 구조물과 적절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팽창기가 C-필러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팽창기(44)는 B-필러 또는 A-필러 근처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에어백의 하부 코너는 테더(tether)로 불리는 끈으로 인접한 대응 필러에 흔히 고정되기도 한다. 하나의 전방 끈(48)은 A-필러를 따라 보관된 상태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구성요소는 보통 사용시 하나 이상의 트림 부재에 의해 덮여서 감추어져 있다. 에어백 모듈은 전형적으로 팽창기와 에어백을 고정하는 복수의 패스너에 의해 루프 레일에 고정되어 있다. 모듈은 B-필러 근처에 위치한 디플렉터(deflector) 또는 램프(ramp)(50)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디플렉터 또는 램프(50)는 에어백이 팽창할 때 에어백을 B-필러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청구항 1과 종속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개선된 커튼 에어백 모듈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커튼 에어백 모듈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모듈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팽창 상태의 에어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에어백의 목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에어백의 목부 및 목부 보강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a의 5-5 부분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연결 또는 장착 탭의 세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B-필러 램프나 디플렉터의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1은 B-필러 램프의 단면도,
도 12는 에어백 탭과 함께 사용되는 회전 방지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a는 회전 방지 부재가 운송수단의 슬롯 근방에 위치한 탭 내의 슬롯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된 것을 도시하는 분해도.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100)은 (접혀진 상태로 도시된) 에어백(102)을 포함한다. 팽창기(104)는 중공의 관형 하우징(106)내에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106)은 예를 들어 하우징의 일부로 형성된 커넥터 또는 브래킷(108)을 관통하여 수용된 대응 나사 패스너(107)에 의해 운송수단의 C-필러(34)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106) 또는 하우징 기능은 브래킷 그 자체일 수 있거나, 예를 들어, 하우징은 윈통형 팽창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원통형 튜브일 수도 있다. 에어백(102)은 도 2에서는 보관 상태로, 도 2a에서는 팽창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보관 상태에서 에어백은 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얇고 긴 파열가능한 커버(102a)로 덮여 있다. 커버(102a)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버의 후방측 복수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수용되는 플라스틱 누름 핀 등의 대응하는 다른 복수의 패스너(107a)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패스너(107a)는 커버(102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루프 레일에 모듈을 설치하는 동안에, 모듈이 최초에 루프 레일과 정렬되고, 패스너(107a)가 루프 레일의 개구부 내로 가압됨으로써 모듈의 장착에 있어서 제 1 단계를 제공한다. 이어서, 모듈(100)이 대체로 제 위치에 있으면, 모듈은 추가로 또 다른 세트의 패스너(107b)에 의해 루프 레일에 고정된다. 패스너(107b)는 에어백(102)과 회전 방지 부재(400)의 플랩(260)을 통해 연장된다.
에어백(102)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팽창기와 연통하는 네크(neck) 또는 목부(110)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네크 또는 목부(110)는 하우징의 연결 튜브(109)(도 2 참조)와 작동가능하게 연통하고 있다. 목부는 하우징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팽창기에 대해 직접 연결되어 있다.
팽창기(104) 또는 연결 튜브(109)로 인해 목부가 (그 단면이) 원형 형상을 취하게 되므로, 이러한 유형의 구성에서는 에어백의 목부를 평평하게 놓이게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에어백(102)은 목부(110) 근처에, 목부(110)에 부가적인 강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손상으로부터 목부(110)를 보호하는 부가적인 직물 층을 제공하도록 에어백의 외부 둘레에 끼워맞춰지는 보강 패널(310)(도 2a 및 도 3 참조)을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보강 패널(310)은 중심선(312)에 대해 대향하여 위치된 반부(311a)를 갖는 장방형 본체(31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슬롯(313)이 중심선(312)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는 대칭적으로 대향 위치한 노치(314)를 포함한다. 보강 패널(310)은 도 2a에 도시된 형상을 얻기 위해 중심선(312)을 따라 접혀진다.
노치(314)는 목부(110)에 형성된 유사 형상의 노치(114)와 정렬된다. 보강 패널(310)은 목부(110)의 대향 양측에 각 패널의 반부(311a)를 고정하는 시임(seam)(316)에서 에어백에 꿰매진다. 목부(110), 보강 패널(310)[및 후술되는 가스 분배 튜브(120)]은 도 2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후프 또는 링 타입의 패스너(110a)에 의해 연결 튜브(109)에 대해 고정된다. 도 4는 목부(110)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또한 에어백(102)의 다른 부분(320)(가상선)이 상대적인 배치시에 목부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접혀진 것을 도시하며, 이들 다른 부분은 에어백(102)의 보관 상태에 있다. 커버(102a)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보강 패널(310)은 에어백이 팽창할 때 에어백(102)의 상기 부분(320)이 목부(110)에 대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한다.
에어백(102)은 가스 분배 튜브(120)를 가진다. 가스 분배 튜브는 목부(110)내에 삽입되고 에어백의 상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가스 분배 튜브(120)는 목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연결 튜브(109)의 둘레에 배치되고, 패스너(110a)에 의해 유체 밀봉 방식으로 고정된 단부(122)를 가진다(도 2a 참조). 가스 분배 튜브(120)는 개방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치(stitch) 또는 스테이플(staple)(122b) 등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다른 단부(124)를 포함한다. 가스 분배 튜브(120)는 목부 근처에 위치한 복수의 개구부(126)와, 각각의 팽창가능 영역(150, 152)과 연통하여 단부(124) 근처에 위치한 복수의 다른 개구부(128)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부(126)의 개수는 2개인 반면, 개구부(128)의 개수는 4개이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커튼 에어백의 전방 및 후방이 모든 작동 온도에서 균일하고 신속하게 충전되도록 에어백 내로 팽창 가스를 분배하기 위함이다.
가스 분배 튜브(120)는 단단하고 압출 성형된 금속 튜브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촘촘하게 직조된 직물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재료의 선택에 대해서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가스 분배 튜브(120)는 에어백의 상부(130) 내에 수용되고 가스 분배 튜브(120)의 개구 직경의 치수를 크게 제한하지 않으면서 단부(124)를 제위치에 고정하도록 가스 분배 튜브(120)와 에어백의 다양한 패널들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가늘고 파열가능한 와이어나 플라스틱 스트립, 심지어는 꿰매진 스티치(122a, 122c) 등의 패스너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에어백은 전방 또는 제 1 팽창가능 영역(150) 및 후방 팽창가능 영역(152)을 더 포함한다. 팽창가능 영역(150, 152)은 팽창가능 영역을 연결하는 통로(151, 153)를 형성하는 에어백의 개방 영역을 거쳐서 서로 연통한다. 통로(151, 153)도 팽창된다.
팽창가능 영역(150, 152) 사이에는 선택적인 비팽창 영역(160)이 위치된다. 비팽창 영역은 에어백이 팽창할 때 불필요한 응력 증가부가 생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원호의 형상을 갖는 아치형의 상부 표면(162)과, 2개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부(164a, 164b)를 포함한다. 비팽창 영역의 하부는 2개의 하향의 돌출부를 가지는, 참조선(17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하부 삼각형의 중심(172)은 아치형이다. 비팽창 영역은 아치형으로 생긴 제 1 및 제 2의 아치형 단부(174, 176)를 포함한다. 단부의 각각은 에어백(102)의 팽창가능 영역(150)의 쿠션 강성(cushion stiffness)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부 가장자리 또는 시임(180)으로부터 소정 거리(d1, d2)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팽창 영역(160) 아래의 영역에 대한 공기 흐름의 균형을 맞추도록 단부(174)와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180) 사이의 거리(d1)는 단부(176)와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180) 사이의 거리(d2)보다 작다. 에어백은 에어백의 외주를 함께 규정하는 측면 가장자리(184, 186)뿐만 아니라 상부 가장자리(182)를 포함한다. 측면 가장자리(186)는 목부(110)의 기다란 형상을 규정하는 오목부(188)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의 팽창가능 부분은 제 1 및 제 2, 또는 내부 및 외부 직물 또는 패널(또는 패널 섹션)(190, 192)에 의해 형성된다. 도 2a에 있어서, 내부 패널(190)만이 보이며, 외부 패널(192)은 대체로 동일하며 도 2a의 5-5 부분에서의 단면도인 도 5 등의 다수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전방 팽창가능 영역(150)의 영역(200, 202, 204, 206)과 같은 내부 및 외부 패널(190, 192)의 특정 영역은 (에어백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에 따라) 내부 및 외부 패널들이 접촉하거나, 동일 공간에 있거나, 일체형이거나 또는 공통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내부 테더로서 기능한다. 공통 연결된 영역(200, 202, 204, 206)은 각각 대체로 숄더부 또는 베이스부(210), 목부(212) 및 헤드부(214)를 포함한다. 이들 영역(200, 204)의 구성은, 숄더부, 목부 및 헤드부가 대체로 크기가 동일하고 이들 영역이 영역(200, 204) 근처에 에어백의 외주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가상선(205)에 수직하게 위치되므로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영역(202)은 대응되는 헤드부(214)보다 실질적으로 좁은 목부를 또한 가지므로 영역(200, 204)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영역(202)은 참조 부호(220)로 지시된 에어백의 근방 외주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A)로 배향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영역(202)은 가스 분배 튜브(120)의 개구부(128)에 가장 근접하여 있으며, 화살표(125)에 의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팽창 가스의 비교적 고속 흐름에 의해 충격을 받을 것이다. 영역(202)의 각도 배향은 에어백 팽창시 에어백의 인접 부분에서 응력 축적을 감소시킨다.
에어백 내에 상호연결되어 있는 영역(200, 202, 204 등)을 도입하는 이유는, 그들이 또한 에어백의 팽창 능력을 감소시키고 또한 에어백이 급격히 팽창할 때 에어백을 형성하는 재료 내에 발생되는 압력을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영역(206)은 숄더부, 목부 및 헤드부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다른 영역(200, 202, 204)과 유사하지만, 목부의 폭이 헤드부의 폭과 유사하다. 이러한 디자인은 쿠션 부피를 감소시는 동시에 팽창된 에어백의 하부 전방부분에서 탑승자 머리의 적절한 보호를 제공한다.
에어백은 도 6 및 도 7에서 매우 상세하게 도시된 복수의 탭(260)을 포함한다. 각각의 탭은 전형적으로 4개의 직물 부재 또는 패널인 복수의 재료 층(262)으로 형성된다. 직물의 재료 층, 부재 또는 패널은 서로 적층된 후에 모든 층이 동시에 레어저 절단된다. 이러한 레이저 절단은 각 부재의 외주를 용융하고 각 층을 함께 일체로 연결하는 외주 용접부(264)를 본질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탭(260)은 강도가 증가된다. 장착 개구부(266)는 레이저 또는 다이 절단에 의해 탭 내에 형성된다. 탭의 하부 가장자리(268)는 1개 이상의 라인의 스티치(270)에 의해 에어백의 상부(182)에 꿰매져 있다. 에어백(102)이 커버(102a) 내에 끼워맞춰진 후에 각각의 탭(260)은 슬릿(slit)(102b)을 통해 커버 외부로 끌어 당겨진다.
도 1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커튼의 중앙부는 본 발명과 마찬가지로 B-필러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B-필러는 또한 안전벨트 시스템의 D-링(도시되지 않음)이라고 불리는 고정 지점을 지지한다. 부가적으로, B-필러를 형성하는 금속 하부 구조체에 다양한 플라스틱 트림 부품(도시되지 않음)이 부착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 내에 전환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 메카니즘은 에어백이 팽창할 때에 D-링 또는 트림 부품과 같은 B-필러 상에 또는 그에 의해 형성된 모든 잠재적인 장애물로부터 에어백이 멀어지도록 하기 위해 디플렉터 또는 램프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되는 새롭고 개선된 유지 및 램프 메카니즘을 이용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B-필러의 램프 또는 디플렉터(230)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디플렉터(230)는 대체로 U자형상을 갖고, 외벽(232) 및 내벽(234)과 같은 가요성 벽을 가진다. 각각의 벽은 그 내에 개구부(232a, 234a)를 가지며, 2개의 평행한 벽에 의해 규정되는 이중 또는 보강 바닥부(233)를 가진다. 디플렉터는 전형적으로 압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요망되는 가요성을 갖는 디플렉터(230)를 제공한다. 각각의 개별적인 디플렉터(230)는 보다 긴 압출 성형된 구성요소나 부품으로부터 스탬핑(stamping)되거나 절단된다. 측면 혹은 외벽(232)은 체결된 개구부(236)를 갖는 단부(235)에서 종결된다. 측면 혹은 내벽(234)도 에어백 커버(102a)로부터 개구부(234a)를 통해 연장되는 패스너(107a)를 통해 루프 레일에 장착되어 있다. 측면(234)은 [단부(235)에 대면하고] 다른 장착 개구부(244)를 가지는 단부(242)에서 종결되는 대체로 수평으로 생긴 숄더부(240)를 포함한다.
1개의 탭(260)은 단부(235, 242) 사이에 배치된다. 도 2, 도 8 및 도 11은 함께 장착된 상태에서 단부(235, 242)가 서로 정합되어 있는 디플렉터(230)를 도시한다. 장착 볼트(107b)는 개구부(234a, 236)를 통해 연장된다. 도 9에 있어서, 에어백의 탭 중 하나의 탭(260a)은 단부(235, 242) 사이에서 연장되고, 볼트(107b)는 양 단부와 탭(260a)의 장착 개구부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디플렉터는 바닥부(233) 아래에 있고 그 내에 개구부(258)를 가지는 하부 장착 아암(256)을 더 포함한다. 하부 장착 아암(256)은 개구부(258)를 통과해 다른 패스너(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함으로써 B-필러(또는 루프 레일의 하부)에 고정된다.
디플렉터는 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튜브(233a)로 형성되는 이중 바닥부(233)를 포함하며, 이 바닥부의 상부 측면(252)은 바닥면을 형성하고, 또한 측면(232, 234)과 조합하여 에어백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 또는 챔버(253)를 형성한다. 나머지 측면(254a, 254b, 254c)은 상부 측면(252)과 협력하여 튜브(233a)를 형성하여 해당 부품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상기의 구성은 디플렉터의 하부가 에어백의 팽창 동안 그대로 유지되게 하며, 파열 시임이 파괴된 후에 디플렉터의 측면(234)이 회전하도록 [측면(234)과 바닥부의 상부 측면(252)의 교차부에서] 힌지를 형성하는 가장자리(255)를 제공한다. 가장자리는 디플렉터의 내부 측면상에 위치하고, 팽창하는 에어백이 B-필러 또는 B-필러 트림(32a)으로부터 멀리 지향되도록 하는 것을 돕는다.
에어백이 개방될 때, 화살표(237)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외측으로 팽창하여 디플렉터 벽(234)을 이동시킨다. 디플렉터(230)는 파열 시임(244a)을 따라 파열된다. 램프(230)가 하향으로 회전한 후에, B-필러 트림과 팽창하는 에어백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디플렉터(230)는 본질적으로, 예를 들어 에어백과 장애물 사이의 마찰로 인해, 에어백이 완전하게 연장되는 것을 방해하거나 에어백의 팽창을 느려지게 할 수도 있는, B-필러상의 장애물로부터 팽창하는 에어백을 멀리 가압하거나 지향시키는 램프로서 작동한다. 또한 원통형 케이싱이나 커버(102a) 내에 밀폐된 접혀진 에어백(102)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백(102)은 에어백의 외주 가장자리 및 패널(190, 192)뿐만 아니라 비팽창 영역 및 공통 연결된 영역을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자카드(Jacquard) 헤드 및 위빙(weaving) 공정을 이용하여 직조된다. 대안적으로, 에어백은 외주 및 목부와, 비팽창 영역 및 목부(110)와, 그리고 공통 연결된 영역(200, 202, 204, 206)을 형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2장의 직물 부재를 중첩하여 그들을 꿰매어서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에어백은 1장의 넓은 직물 부재를 중앙을 접어서 그것의 공통 측부의, 전부가 아니라면, 대부분을 함께 꿰매어 제조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넓은 패널의 접혀진 부분이 별도의 패널을 함께 위빙하거나 꿰맬 필요없이 에어백의 하부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각각의 패스너(107b)는 각각의 탭(260)을 루프 레일에 대해 평평하게 장착하는 것을 돕고 각각의 탭(26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회전 방지 부재(400) 내에 수용된다. 회전 방지 부재(400)는 패스너(107b)용 개구부(403)를 가지는 소형 플레이트(402)를 포함한다. 운송수단의 루프 레일(22)을 따라 형성된 수용 슬롯(22a) 내로 돌출부 혹은 후크(404)가 밀어 넣어진다. 각 후크는 대응하는 탭(260) 내의 슬롯(272)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각 회전 방지 부재(400)는 각각의 탭(260)과 정렬되고, 그것을 통과하여 패스너(107b)가 삽입된다. 패스너(107b)와 후크(404)의 조합에 의해, 각 에어백 탭(260)이 제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Claims (10)

  1. 운송수단용 커튼 에어백 모듈(10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팽창가능 영역(150, 152)을 가지는 에어백(102)과,
    상기 에어백(102)의 상기 팽창가능 영역(150, 152) 근처에 위치하고, 팽창 가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단부(122)를 갖고, 상기 팽창가능 영역(150, 152)에 팽창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팽창가능 영역(150, 152) 근처에 적어도 한 세트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가스 분배 튜브(120)로서, 상기 에어백(102)은 내부 테더(200, 202, 204, 206)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테더(200, 202, 204, 206)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가스 분배 튜브(120)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A)로 배치되는, 상기 가스 분배 튜브(120)와,
    연결 튜브(109)를 거쳐서 팽창기(104)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에어백(102)의 목부(110)로서, 상기 에어백(102)이 상기 에어백(102)의 목부(110) 주위에 배치된 보강 패널(310)을 더 포함하는, 상기 목부(110)와,
    상기 에어백(102)의 정상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탭(260)으로서, 각 탭(260)이 상기 보강 패널(310) 내의 대응하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삽입가능한, 상기 탭(260)과,
    상기 탭의 슬릿을 통과하여 연장가능하고 운송수단 내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연장가능한 절곡된 측면을 가지는 회전 방지 부재(400)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02)은 일체로 직조된 일체형 구조체이고, 상기 내부 테더(200, 202, 204, 206)는 상기 일체로 직조된 구조체의 일부인
    커튼 에어백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 영역(150, 152) 사이에 위치한 비팽창 영역(160)을 포함하고, 상기 비팽창 영역(160)이 상기 에어백(102)의 하부 및 상부 가장자리(180, 182)로부터 멀리 위치한
    커튼 에어백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팽창 영역(160)이 2개의 하향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하향 돌출부의 하단부(174, 176)가 상기 하부 가장자리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팽창 영역(160)에 접하고 상기 팽창가능 영역(150, 152)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의 팽창가능한 통로(151, 153)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장착 패스너가 각각 상기 탭(260) 및 상기 회전 방지 부재(400)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커튼 에어백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운송수단의 필러상에 장착가능한 U자형 디플렉터(230)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230)가 플라스틱 압출 성형품인
    커튼 에어백 모듈.
KR1020077004379A 2004-08-25 2005-08-01 커튼 에어백 모듈 KR100811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441804P 2004-08-25 2004-08-25
US60/604,418 2004-08-25
US11/179,879 US7213836B2 (en) 2004-08-25 2005-07-12 Curtain air bag module
US11/179,879 2005-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800A KR20070036800A (ko) 2007-04-03
KR100811999B1 true KR100811999B1 (ko) 2008-03-10

Family

ID=3594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379A KR100811999B1 (ko) 2004-08-25 2005-08-01 커튼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13836B2 (ko)
EP (1) EP1781508B1 (ko)
JP (1) JP2008510654A (ko)
KR (1) KR100811999B1 (ko)
CN (1) CN101005974B (ko)
AT (1) ATE443638T1 (ko)
CA (1) CA2578257A1 (ko)
DE (1) DE602005016816D1 (ko)
MX (1) MX2007000080A (ko)
WO (1) WO200602600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9343B2 (en) 2007-09-28 2010-04-20 Hyundai Motor Company Side curtain air bag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9744A1 (en) * 2004-03-01 2005-09-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with open ended fill tube
DE102004011330B3 (de) * 2004-03-09 2005-09-01 Dr.Ing.H.C. F. Porsche Ag Knieschutzeinrichtung für Insassen eines Kraftfahrzeugs
DE102004048250A1 (de) * 2004-10-04 2006-04-20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airbagmodul in einem Kraftfahrzeug
US7213839B2 (en) * 2004-12-27 2007-05-08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US20070102912A1 (en) * 2005-11-08 2007-05-1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having a plastic fill tube
US7597342B2 (en) * 2006-05-26 2009-10-06 Autoliv Asp, Inc. Energy absorbing feature for inflatable curtain airbag
JP4221017B2 (ja) * 2006-08-31 2009-0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8201265A (ja) * 2007-02-20 2008-09-04 Takata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08265455A (ja) * 2007-04-18 2008-11-06 Toyota Motor Corp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4770782B2 (ja) * 2007-04-18 2011-09-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100858436B1 (ko) * 2007-11-05 2008-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램프 브라켓
US7980590B2 (en) 2008-03-19 2011-07-19 Amsafe, Inc.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having web-mounted inflator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7665761B1 (en) 2008-03-27 2010-02-23 Amsafe, Inc.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JP4590468B2 (ja) * 2008-05-30 2010-1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8317713B2 (en) 2009-01-09 2012-11-27 Volcano Corporation Ultrasound catheter with rotatable transducer
KR101509809B1 (ko) * 2009-12-01 201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커튼에어백용 램프브라켓
DE102010048164B4 (de) * 2010-10-13 2019-05-09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für ein Kraftfahrzeug
US8469397B2 (en) 2011-04-13 2013-06-25 Amsafe, Inc. Stitch patterns for restraint-mounted airbag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5380493B2 (ja) * 2011-06-09 2014-0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カーテンエアバッグ
US8439398B2 (en) 2011-07-29 2013-05-14 Amsafe, Inc. Inflator connectors for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523220B1 (en) 2012-03-19 2013-09-03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511866B2 (en) 2012-03-19 2016-12-06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566935B2 (en) 2013-03-15 2017-02-14 Autoliv Asp, Inc. Double fold and roll cushions for IC
US8894094B2 (en) 2013-03-15 2014-11-25 Autoliv Asp, Inc. Curtain airbag for small overlap
US8636301B1 (en) 2013-03-15 2014-01-28 Autoliv Asp, Inc. Top tether for curtain airbag
US9266494B2 (en) 2013-03-15 2016-02-23 Autoliv Asp, Inc. Fold over design for small overlap
JP6129761B2 (ja) * 2014-02-07 2017-05-1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エアバッグのガスガイド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
US9676345B2 (en) 2014-08-29 2017-06-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dline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9352839B2 (en) 2014-10-02 2016-05-31 Amsafe, Inc. Active positioning airbag assembl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944245B2 (en) 2015-03-28 2018-04-17 Amsafe, Inc. Extending pass-through airbag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925950B2 (en) 2015-04-11 2018-03-27 Amsafe, Inc. Active airbag vent system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8068743A (zh) 2016-11-09 2018-05-25 福特环球技术公司 车辆帘式气囊固定装置
US11235730B2 (en) * 2018-11-26 2022-02-01 Vintech Industries, Inc. Extruded airbag ramp
KR102641419B1 (ko) * 2019-04-12 2024-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
KR20220099706A (ko) * 2021-01-07 2022-07-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US11865990B2 (en) * 2022-05-25 2024-01-09 Autoliv Asp, Inc. Ramp bracket for a curtain airba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5543B1 (en) 1999-12-20 2002-08-20 Trw Inc. Inflatable side curtain
US20040104561A1 (en) * 2002-11-29 2004-06-03 Maertens Paul G. Airbag fabric diffus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170B2 (ja) * 1995-12-11 2000-09-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29709389U1 (de) * 1997-05-28 1997-09-25 Trw Repa Gmbh Gassack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JP2920291B2 (ja) * 1997-08-28 1999-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H11115674A (ja) * 1997-10-15 1999-04-27 Toyota Motor Corp 頭部保護エアバッグ袋体の配設構造
JP3876560B2 (ja) * 1998-08-20 2007-01-31 タカタ株式会社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バッグ
JP3428469B2 (ja) * 1998-11-27 2003-07-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US6293581B1 (en) * 1999-04-15 2001-09-2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Occupant restraint device
US6431587B1 (en) * 1999-11-02 2002-08-13 Trw Inc. Inflatable side curtain
US6460877B2 (en) * 2000-03-23 2002-10-08 Toyoda Goseki Co., Ltd. Airbag
US6802530B2 (en) * 2001-09-26 2004-10-12 Key Safety Systems, Inc. Rollover air bag with damping mechanism
JP3778498B2 (ja) * 2002-02-04 2006-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EP1364839A3 (en) * 2002-05-24 2004-02-25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Improved curtain air bag assembly
GB2393692A (en) * 2002-10-01 2004-04-07 Autoliv Dev Air bag with reinforced apertures in gas duct
JP3759496B2 (ja) * 2002-12-20 2006-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US20050134025A1 (en) * 2003-12-19 2005-06-2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5543B1 (en) 1999-12-20 2002-08-20 Trw Inc. Inflatable side curtain
US20040104561A1 (en) * 2002-11-29 2004-06-03 Maertens Paul G. Airbag fabric diffu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9343B2 (en) 2007-09-28 2010-04-20 Hyundai Motor Company Side curtain air ba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43638T1 (de) 2009-10-15
EP1781508A4 (en) 2008-10-01
EP1781508B1 (en) 2009-09-23
MX2007000080A (es) 2007-03-30
EP1781508A2 (en) 2007-05-09
DE602005016816D1 (de) 2009-11-05
US20060043704A1 (en) 2006-03-02
CN101005974B (zh) 2013-06-19
US7213836B2 (en) 2007-05-08
JP2008510654A (ja) 2008-04-10
CA2578257A1 (en) 2006-03-09
WO2006026003A2 (en) 2006-03-09
WO2006026003A3 (en) 2006-06-29
CN101005974A (zh) 2007-07-25
KR20070036800A (ko)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999B1 (ko) 커튼 에어백 모듈
EP1831057B1 (en) Curtain airbag module
KR100500101B1 (ko) 사이드 커튼 에어백 모듈
US6962364B2 (en) Curtain air bag assembly
EP2213522B1 (en) Head protecting airbag device
US6866293B2 (en) Head protecting airbag device
US8864170B2 (en) Airbag for a front passenger's seat
US7900958B2 (en) Airbag apparatus for a front passenger's seat
US7163233B2 (en) Head-protecting airbag
JP2003182504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0159045A (ja) エアバッグおよび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CN110789487B (zh) 车辆气囊装置
JP2003252141A (ja)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3413592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JP3398816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JP2003048503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3226215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3438092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JP2002240672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H10244900A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