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089B1 -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 및 레일조립체, 그리고 이들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 및 레일조립체, 그리고 이들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089B1
KR100232089B1 KR1019940702086A KR19940702086A KR100232089B1 KR 100232089 B1 KR100232089 B1 KR 100232089B1 KR 1019940702086 A KR1019940702086 A KR 1019940702086A KR 19940702086 A KR19940702086 A KR 19940702086A KR 100232089 B1 KR100232089 B1 KR 100232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fixing device
portions
rail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트레버 폴 브라운
브리앙 죠오지 콘로이
스테펜 죤 콕
크리스토퍼 가드너
로저 데이빗 랄케
바리 마샬
얀 스벤드센
Original Assignee
칼 리차드 크랜시요크
팬드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919126886A external-priority patent/GB9126886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29205791A external-priority patent/GB9205791D0/en
Application filed by 칼 리차드 크랜시요크, 팬드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칼 리차드 크랜시요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01B9/303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the clip being a shaped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5/00Electrical insulation of railway track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Discharge Heat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Insulato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Sheet Holder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Adornment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철로 레일(2)을 조여주는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1)이 평면도로 볼때 M자 형상을 이루도록 굽혀진 탄성재료의 봉으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클립(1)이 레일(2)의 플랜지상에 지지되었을때, 클립(1)의 M자 형상의 안쪽 다리부(13,15)를 서로 연결시키는 제4부분(14)의 종축이 M자 형상의 바깥쪽 다리부(11,17)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이에 평행한 기준평면상에 놓여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립(1)이 본 발명의 고정장치(5)와 함께 사용되는데, 클립(1)이 고정장치(5)안에 설치되었을때 바깥쪽 다리부(11,17)가 안쪽 다리부(13,15)에 대해서 아랫쪽으로 휘어져서 클립에 응력이 가해진다.

Description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과 그 조립체, 그리고 이들의 사용 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 및 그 조립체와, 그리고 이들 부재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원발명으로서 각각 ″피-알(P-R)″ 클립(영국 특허 제 861,473 호 참조) 및 ″이(e)″ 클립(영국 특허 제 1,510,224 호 참조)으로 통용되고 있는 레일고정용 클립들은 수년간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세계 각국에서 널리 사용되면서 경제적인 레일고정용 구조를 제공해왔다. 이들 클립은, 클립을 레일의 어깨부(shoulder)안으로 밀어넣기 위하여 대헤머(sledgehammer)를 사용하는 수작업에 의해서, 또는 클립구동장치를 사용하는 자동작업에 의해서, 각각 레일에 평행하게 그 어깨부 안으로 설치될 수가 있다. 자동작업에 의한 레일의 설치는 신속하고 노동력이 절감되는 등의 명백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레일을 적절히 고정시키기 위해서 클립을 어깨부에 대하여 정확히 위치시켜야만 하는 등의 다소 복잡한 공정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철로의 레일을 하방으로 적절히 조여주는 철로 레일 고정용 클립이 제공되는데, 본 발명의 클립은 평면도로 볼 때 M자 형상을 이루도록 굽혀진 탄성재료의 봉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봉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연속하는 형태로 각각 제공된 직선형 제1부분과, 곡선형 제2부분과, 제3부분과, 곡선형 제4부분과, 제5부분과, 곡선형 제6부분과, 그리고 직선형 제7부분을 갖추고 있으며, 제1부분과 제7부분이 각각 M자 형상의 바깥쪽 다리부들을 형성하고 있고, 제3부분과 제5부분이 각각 M자 형상의 안쪽 다리부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2부분과 제6부분이 바깥쪽 다리부와 안쪽 다리부를 각각 연결하고 있고, 제4부분이 안쪽 다리부들을 서로 연결시켜주고 있으며, 그리고 클립이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일 때는 제4부분의 종축이 제1 및 제7부분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에 놓여지며, 클립이 응력을 받는 상태에서는 제4부분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의 종축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지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평면에 놓여지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바람직하게, 제3 및 제5부분은 제4부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각각의 단부에서 서로를 향해 수렴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이 어떠한 응력도 받고 있지 않을때에는, 제2부분과 제6부분의 각각의 종축의 어떠한 부분도 제1부분과 제7부분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해서 40°이상의 각도로 경사지지 않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이상의 각도로 경사져 있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이 어떠한 응력도 받고 있지 않을 때에는, 클립을 형성하고 있는 봉의 직경에 대한 제1부분과 제7부분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과 각각의 안쪽 다리부의 종축 사이의 최대 거리의 비가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이하가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에 있어서 제1부분과 제7부분의 각각의 종축은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게 연장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에 있어서 제3부분과 제5부분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종축이 제1부분과 제7부분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해서 적어도 수직한 평면에 각각 놓여지도록 곡선을 이루고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에 있어서 제3부분과 제5부분은 제4부분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2부분과 제6부분은 그 각각의 일부가 서로에 대해서 인접하게 굽혀져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을 평면도에서 볼때 제4부분이 제1부분과 제7부분의 각각의 자유단부 넘어로 연장하여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에 있어서 봉의 자유단부에 인접한 각각의 바깥쪽 다리부의 표면은, 클립의 사용시 적어도 최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바깥쪽 다리부를 따라서 상기 자유단부 쪽으로 갈수록 바깥쪽 다리부에 대해서 하향으로 경사져서 봉의 자유단부 쪽으로 약 30°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에 있어서 클립의 안쪽 또는 바깥쪽 다리부 중에서 적어도 한쪽의 다리부에는 클립이 설치되었을 때 클립의 고정장치에 대해서 클립을 소정의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클립의 고정장치상에 제공되어 있는 제2위치수단과 협동하는 제1위치수단이 제공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이 제1 및 제2위치수단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반면에 적어도 하나의 상응하는 돌출부가 제1 및 제2위치수단 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접촉면 및 상응하는 돌출부가 제1위치수단을 갖추고 있는 다리부의 종축에 대해서 예각으로 경사져 있고, 클립을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서 돌출부의 한쪽 표면이 접촉면과 접촉하며, 제1위치수단을 갖추고 있는 다리부의 종축에 평행하게 클립을 양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돌출부가 접촉면과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제1위치수단을 갖춘 다리부는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이다. 각각의 제1위치수단이 각각의 바깥쪽 다리부에 제공되어서, 클립이 설치될 때 고정장치 상에 제공되어 있는 상응하는 제2위치수단과 협동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접촉면은 홈의 한쪽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홈의 다른쪽 경사면은 다리부의 종축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예각으로 경사져 있으며, 홈은 클립의 사용할 때 최상부 위치에 있는 바깥쪽 다리부 혹은 그 각각의 일부에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그러한 다리부의 일부는 자유단부 근처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홈의 경사면들은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의 종축에 대해서 평행한 홈의 다른 표면에 의해서 소정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함께 연결되어 있어서, 클립이 설치되었을 때 클립이 그 고정장치에 대해서 위치될 수 있는 2개의 소정위치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르면,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을 유지시켜 주는 클립 고정장치가 제공되는데,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클립 고정장치는 기부부재와, 그리고 기부부재에 연결되고 고정장치의 사용시 기부부재에 대해서 상향 연장하는 한쌍의 보유부재를 갖추고 있으며, 보유부재는 그 사이로 M자 형상의 클립의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안쪽 다리부를 수용하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상기 M자 형상의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들을 각각 수용하는 안내용 통로가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고정장치는 클립 고정장치 안으로 클립이 삽입되면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가 안쪽 다리부에 대해서 하향으로 힘을 받아서 클립에 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클립 고정장치에 있어서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를 수용하는 안내용 통로가 보유부재의 각각의 외부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클립 고정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안내용 통로는 그 관련된 보유부재의 측벽에 형성된 채널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클립 고정장치에서, 각각의 보유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기부부재로부터 이격된 그 각각의 위치에서 적어도 일부가 구멍넘어로 연장하여 있는 안쪽으로 돌출한 내향돌출부를 갖추고 있어서, 클립이 고정장치에 고정되었을 때 이러한 내향돌출부가 클립의 안쪽 다리부의 상향이동을 제한하는 작용을 하도록 클립의 각각의 안쪽 다리부의 적어도 일부의 바로 윗쪽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클립 고정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각각의 상기 통로의 천정에는 구멍으로부터 클립 고정장치의 사용할 때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통로를 따라서 연장하며 하향으로 경사진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서, 클립이 클립 고정장치 안으로 삽입될 때 이러한 경사진 부분이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와 접촉하여서 클립의 안쪽 다리부에 대해서 바깥쪽 다리부를 하향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클립 고정장치에 있어서 기부부재는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가 클립 고정장치의 상응하는 통로의 구멍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의 상부는 통로의 천정과 접촉하고 바깥쪽 다리부의 하부는 통로의 구멍에서 통로의 바닥과 접촉하며, 클립의 제4부분이 기부부재에 의해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클립 고정장치에 있어서 보유부재의 맞주하는 양측면은 그 전체길이를 따라서 기부부재에 의해 함께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기부부재는 어느 하나의 보유부재의 단부만을 다른 하나의 보유부재의 인접한 단부와 연결시킨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클립 고정장치는 클립에 제공된 제1위치수단과 협동하는 제2위치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클립 고정장치가 클립과 결합되었을 때 클립 고정장치의 한쪽의 혹은 각각의 통로의 천정에는 클립의 상응하는 바깥쪽 다리부상에 제공된 홈과 결합하도록 하향 돌출부가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클립 고정장치 및 클립이 결합되면 하향 돌출부는 클립이 인접한 철로를 지지하게 되는 위치로 클립을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 한쪽의 혹은 각각의 통로의 천정에는 바람직하게 클립이 인접한 철로를 지지하지 않게 되는 위치로 고정되도록 홈과 결합하는 또다른 하향 돌출부가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하향 돌출부들은 어느 한쪽의 혹은 각각의 통로의 단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을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고정장치 안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클립을 형성하는 봉의 각각의 자유단부가 고정장치의 통로의 각각의 구멍안으로 삽입되어서, 클립의 각각의 바깥쪽 다리부의 상부가 고정장치의 통로의 천정과 접촉하고, 클립의 제4부분이 고정장치의 기부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며,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들은 각각의 통로를 따라서 안쪽 다리부에 대하여 하향으로 눌려져서 클립이 응력을 받는 상태가 되면서, 클립이 고정장치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은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고정장치 안으로 수동으로 삽입될 수도 있지만, 클립 및 고정장치에 제1 및 제2위치수단이 제공된 경우에는 클립이 고정장치 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특히 클립 구동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설치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을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고정장치와 조합하여 실시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클립의 안쪽 또는 바깥쪽 다리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고정장치상에 제공된 제2위치수단과 협동하는 제1위치수단이 제공되어 있어서 클립이 고정장치 안으로 설치될 때 클립을 고정장치에 대한 소정위치로 위치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이 제1 및 제2위치수단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협동하는 돌출부가 제1 및 제2위치수단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며, 이들 접촉면 및 협동하는 돌출부의 한쪽 표면이 제1위치수단을 갖춘 클립의 다리부의 종축에 대해서 한쪽 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며 경사져 있어서, 협동하는 돌출부의 한쪽 표면이 접촉면과 접촉하여서 클립을 위치시키며, 클립을 다리부의 종축에 대해서 한쪽 혹은 양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돌출부가 접촉면과 분리되며, 클립 및 고정장치상에 제공된 제1 및 제2위치수단이 협동하여서 클립이 이동되기 전에 클립을 제1위치에 고정시키며 그리고 나서 클립은 위치수단에 의해서 고정되는 제2위치로 이동되어서 고정장치에 인접한 철로의 레일을 지지하도록,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가 고정장치의 통로안으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고정장치와 레일의 사이로 설치되어서 고정장치를 인접한 철도의 레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가 고정장치 또는 레일을 이동시키지 않고서도 교체될 수 있도록, 클립이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다시 이동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클립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부터 이러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제3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는데, 제3위치에서는 클립이 고정장치에 인접한 레일을 지지하지는 않지만, 고정장치를 레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고정장치와 레일의 사이로 위치되는 절연체를 고정장치상에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르면, 철도의 레일과, 이러한 레일의 플랜지에 인접하게 위치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고정장치와, 그리고 고정장치 안으로 설치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을 포함하고 있는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클립의 제4부분이 철도의 레일의 플랜지를 지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조립체에 있어서 고정장치와 레일의 사이로 위치되어서 고정장치를 레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절연 재료로 제조된 절연체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절연체는 0°이상의 각도로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판형부재를 갖추고 있고, 제1판 형부재가 고정장치의 선반부 상에 지지되는 반면에, 제2판형부재는 레일의 기부에 인접하게 고정장치의 돌출부와 연결되어 있는 고정장치의 표면과 접촉하고 있으며, 절연체가 고정장치에 대해서 절연체를 위치시키는 절연체 위치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조립체에 있어서 고정장치는 절연체 위치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절연체의 일부인 상응하는 슬롯내로 돌출하는 상향 봉우리부를 갖추고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조립체에 있어서 절연체 위치 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클립의 밑으로 위치되는 절연체의 부분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의 자유단부가 절연체의 이와같은 부분의 윗쪽으로 놓여져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조립체는 레일로부터 클립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절연 재료로 제조된 클립 절연체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클립 절연체는 레일을 지지하게 되는 클립의 영역을 둘러싸도록 클립에 의해 보유된다. 바람직하게, 클립 절연체는 클립을 수용하는 채널형상을 구비하고 하나의 주 표면 상에 형성되는 판형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 채널의 윗쪽으로 돌출한 탄성적인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돌출부는 압력하에 변형되어서 클립 절연체를 클립으로부터 제거하거나 클립에 설치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와는 다르게, 클립 절연체가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캡슐형 포켓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캡슐형 포켓내에는 레일을 지지하게 되는 클립의 부분이 수용된다.
이하,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철로 레일 클립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과,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고정장치와, 그리고 각각의 클립 절연체를 포함하고 있는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제2(a)도, 제2(b)도, 제2(c)도는 각각 제1도에 도시된 클립의 평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이며, 제2(d)도 및 제2(e)도는 각각 클립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며, 제3(d)도 및 제3(e)도는 그러한 클립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제4(a)도, 제4(b)도, 및 제4(c)도는 각각 제1도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제5(a)도, 제5(b)도, 및 제5(c)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제6(a)도, 제6(b)도, 및 제6(c)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고정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제6(d)도, 제6(e)도, 및 제6(f)도는 각각 제6(a)도 내지 제6(c)도의 고정장치와 제3(a)도 내지 제3(e)도의 클립이 조합된 상태의 조립체에 대하여 부분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 부분단면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제7(a)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절연체의 평면도이고, 제7(b)도는 제7(a)도의 선 A-A를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제7(c)도는 제7(b)도의 확대부분도이다.
제8(a)도 및 제8(b)도는 각각 다른 실시예의 절연체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제9(a)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절연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9(b)도는 제9(a)도의 선 A-A를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제9(c)도는 제9(a)도의 절연체의 정면도이다.
제10(a)도는 클립 절연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제10(b)도는 제10(a)도의 선 A-A를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제10(c)도는 제10(a)도의 절연체의 정면도이다.
제11(a)도 및 제11(b)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클립 절연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제12(a)도는 클립 절연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12(b)도는 제12(a)도의 선 A-A를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제12(c)도는 제12(a)도의 절연체의 정면도이다.
제13(a)도, 제13(b)도, 및 제13(d)도는 각각 클립 절연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며, 제13(c)도는 제13(b)도의 선 A-A를 따라서 절단된 단면도이고, 그리고 제13(e)도는 제13(a)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4(a)도, 제14(b)도, 및 제14(c)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단계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 레일 기초(3)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철로의 레일(2)의 플랜지에 접해서 지지된 선단부(14)를 갖추고 있는 탄성의 철로 레일 고정용 클립(10)이 도시되어 있으며, 레일 기초(3)는 레일(2)의 기부와 레일 기초(3)의 사이로 위치되어 있는 탄성의 레일 패드(4)에 의해서 레일(2)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킨 상태로 놓여져 있다. 레일고정용 클립(1)은 고정장치 혹은 어깨부(5)에 의해서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는데, 고정장치로서 작용하는 어깨부(5)는 한쌍의 통로(53)를 갖추고 있으며(제1도에는 하나만이 도시됨), 이러한 통로(53)내에는 클립(1)의 양쪽 가장자리(11,17)가 각각 위치되어 있다(제1도에는 한쪽 가장자리(17)만이 도시됨). 클립(1)의 선단부(14)에는 이 선단부(14)의 최하부 표면을 덮고 있는 절연체(6)가 제공되어 있어서, 클립(1)의 선단부(14)가 절연체(6)를 통하여 레일(2)의 플랜지상에서 지지되므로, 클립(1)이 레일(2)로부터 절연된다. 레일(2)과 어깨부(5)의 사이로 위치되어 있는 ″측면의″ 절연체(7)는 어깨부(5)를 레일(2)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제, 제1도에 도시된 조립체의 이들 부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도에 도시된 클립(1)은 그 평면도로 볼 때 대략 M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클립(1)은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원형 단면의 봉을 굽혀서 제조된 것으로서(예를들면, 직경 15㎜의 강봉), 봉의 일단부(A)로부터 타단부(B)까지 각각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직선형 제1부분(11)과, 180°굽혀진 제2부분(12)과, 곡선형 제3부분(13)과, 180°굽혀진 제4부분(14)과, 곡선형 제5부분(15)과, 180°굽혀진 제6부분(16)과, 그리고 직선형 제7부분(17)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1)의 제1부분(11)과 제7부분(17)은 각각 M자 형상의 봉의 바깥쪽 다리부를 구성하고 있고, 제3부분(13)과 제5부분(15)은 각각 M자 형상의 봉의 안쪽 다리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제2부분(12)과 제6부분(16)은 각각 안쪽 다리부들과 바깥쪽 다리부들을 연결하고 있으며, 제4부분(14)이 안쪽 다리부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고 있다. 제2(a)도의 평면도로 볼때, 제4부분(14)은 제1부분(11)과 제7부분(17)의 양쪽 자유단부(A 및 B)넘어로 연장하여 있다.
클립(1)의 제2부분(12)과 제6부분(16)은 클립(1)의 제1부분(11)과 제7부분(17)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으로부터 윗쪽으로 상승되어 있으나, 제2부분(12)과 제6부분(16)의 각각의 종축의 어떠한 부분도 그러한 평면에 대해서 33°이상으로 경사져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약 40°까지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클립(1)의 제3부분(13) 및 제5부분(15)은 그 각각의 종축이 클립(1)이 제1부분(11) 및 제7부분(17)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해서 수직한 각각의 평면상에 놓여지도록 곡선을 이루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부분(13)과 제5부분(15)은 각각 제1직선부(13a와 15a) 및 제2직선부(13b와 15b)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2직선부의 각각의 종축은 서로에 대해서 약 30°정도의 경사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제3부분(13)과 제5부분(15)의 각각의 제1 및 제2직선부(13a,13b,15a,15b)는 전체적으로 제3부분(13)과 제5부분(15)이 보다 매끄러운 곡선을 이루도록 곡선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이 레일(2)을 지지하고 있을 때에는, 제4부분(14)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이 제1부분(11)과 제7부분(17)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해서 거의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또한 이 평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다.
제2(a)도 내지 제2(c)도에 도시된 클립(1)에 있어서, 클립(1)을 형성하는 봉의 직경에 대한, 제3부분(13)과 제5부분(15)의 각각의 종축과 제1부분(11) 및 제7부분(17)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과의 사이의 최대거리의 비는 1.23이다. 이러한 직경에 대한 최대거리의 비율의 바람직한 최대값은 2.0 이지만, 4.0까지 높을 수도 있다.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들, 즉 제1부분(11) 및 제7부분(17)은 클립(1)의 양쪽 자유단부(A 및 B)에 인접한 그 각각의 상부면상에 압입부(18) 즉, 제1위치수단(18)을 갖추고 있다. 클립의 한쪽의 바깥쪽 다리부의 자유단부(B)가 제2(d)도 및 제2(e)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본 실시예에서 한쪽의 바깥쪽 다리부와 다른 한쪽의 바깥쪽 다리부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2(a)도 내지 제2(e)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압입부(18)는 제1 및 제7부분(11 및 17)의 각각의 종축에 대해서 반대쪽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2개의 경사면(18a,18b)과, 그리고 압입부(18)의 바닥을 형성하면서 경사면(18a,18b)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다른 표면(18c)을 갖추고 있으며, 이 표면(18c)은 제1 및 제7부분(11 및 17)의 종축에 대해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경사면(18a,18b)은 제1 및 제7부분(11 및 17)의 각각의 종축에 대해서 약 30°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압입부(18)의 바닥을 형성하는 표면(18c)는 2개의 경사면(18a,18b)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압입부(18)의 2개의 경사면(18a,18b)의 최하부 가장자리들 사이에 어떠한 간격도 존재하지 않도록 바닥을 형성하여 표면(18c)을 생략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압입부(18)는 제1 및 제7부분(11 및 17)의 측면이 아닌 최상부면 상에 형성되어 있어서, 클립(1)이 고정장치로 작용하는 어깨부(5)안에 설치되었을 때 이러한 어깨부(5), 즉 고정장치(5)와 압입부(18)의 결합으로 인하여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에 작용하는 힘은 이러한 바깥쪽 다리부의 휨으로 인하여 제2 및 제6부분(12 및 16)에 작용하는 응력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클립(1)의 자유단부(A,B)의 상하부는 경사져 있으며, 이와 같이 경사진 상하부의 경사면(19a,19b)의 경사각은 본 실시예에서 클립의 종축에 대해서 약 30°정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압입부(18)는 상부의 경사면(19a)의 바로 뒤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후 제10(a)도 내지 제10(c)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지만, 바깥쪽 다리부의 상부의 경사면(19a)은 클립(1)을 고정장치로서 작용하는 어깨부(5)에 삽입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해준다. 바깥쪽 다리부의 하부의 경사면(19b)은 고정장치로서 작용하는 어깨부(5)와 레일(2)의 사이로 절연체(7)가 고정되어 있는 클립의 사용을 매우 편리하게 한다.
직경 15㎜의 봉으로 제조된 클립을 사용하는 실시예에서, 바깥쪽 다리부의 내향면들은 75㎜ 정도 떨어져 있고, 제2 및 제6부분(12 및 16)의 각각의 제일 바깥쪽을 연결하는 직선과 제4부분(14)의 제일 바깥쪽의 사이의 거리는 120㎜이며, 클립의 최대 높이, 즉 제1 및 제7부분(11 및 17)의 최하부지점으로부터 제3부분(13)의 최상부지점까지의 높이는 34㎜이고, 클립의 제4부분(14)의 최저 지점은 제1 및 제7부분(11 및 17)의 최저지점으로부터 윗쪽으로 10㎜이며, 제4부분(14)의 제일 바깥쪽 부분은 바깥쪽 다리부의 자유단부(A 및 B) 넘어로 40㎜까지 연장하며, 제3 및 제5부분(13 및 15)의 제2직선부(13b,15b)의 길이는 각각 42㎜이고, 제2 및 제6부분(12 및 16)의 각각의 곡률 반경은 10이고, 제4부분(14)의 곡률반경은 9이며, 바깥쪽 다리부의 각각의 상부면은 자유단부로부터 8㎜의 거리까지 경사져 있고, 바깥쪽 다리부의 각각의 하부면은 자유단부로부터 10㎜ 거리까지 경사져 있으며, 각각의 압입부(18)의 깊이는 1.5㎜이고, 바깥쪽 다리부의 종축에 대해서 수직하게 압입부(18)의 최대 폭은 9㎜이며, 압입부(18)의 바닥을 형성하는 표면(18c)의 길이는 바깥쪽 다리부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해서 8.5㎜이고 전체적으로는 15.5㎜이며, 압입부(18) 및 상부의 경사면(19a)을 형성함에 있어서 다리부의 자유단부로부터 상부의 경사면(19a)이 압입부(18)와 만나는 지점에서 다리부를 가로지르며 측정했을 때 클립을 형성하는 봉의 직경이 약 14.5㎜ 정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c)도에 도시된 각도(α)는 약 12°이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 각도(α)가 19°또는 25°까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3(a)도 내지 제3(e)도에는 제2(a)도 내지 제2(e)도에 도시된 클립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a)도 내지 제3(e)도에 도시된 클립이 제2(a)도 내지 제2(e)도에 도시된 클립과 다른 점은, 클립의 제3부분(13)과 제5부분(15)이 각각 제1곡선형 부분(13a 및 15a)과 제2직선형 부분(13b 및 15b)을 갖추고 있으며, 클립의 전체 높이가 제2(a)도 내지 제2(e)도에 도시된 클립보다 낮아졌다는 점이다. 또한,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11,17)의 자유단부들의 측면부(19c)가 마무리 가공되어 있어서, 클립을 고정장치 안으로 삽이하기가 용이하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제2(a)도 내지 제2(e)도에 도시된 클립이나 제3(a)도 내지 제3(e)도에 도시된 클립은 제4(a)도 내지 제4(c)도에 도시된 고정장치와 함께 제1도에 도시된 조립체내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물론 고정장치를 제5(a)도 내지 제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시킬 수도 있다.
제4(a)도 내지 제4(c)도에 도시된 고정장치(5) 및 제5(a)도 내지 제5(c)도에 도시된 고정장치(5)는 각각 사용할 때 수평하게 연장하는 기부부재(51)과, 그리고 그 일단부가 기부부재(51)의 어느 한쪽 단부에 연결된 한쌍의 클립 보유부재(52)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유부재(52)가 기부부재(51)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모두에 대해서 수직하게 연장하고 있다. 각각의 보유부재(52)의 외향벽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이 제2(a)도 내지 제2(e)도에 도시된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를 수용하는 통로(53)를 제공한다. 보유부재(52)는 기부부재(51)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보유부재(52)와 기부부재(51)의 사이로 클립의 안쪽 다리부를 수용하는 구멍(54)을 형성하고 있다. 각각의 보유부재(52)의 상부로부터 구멍(54)의 윗쪽으로 연장하는 내향 돌출부(55)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55)는 클립의 사용할 때 레일이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클립의 안쪽 다리부가 윗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각각의 통로(53)는 보유부재(52)의 단부에 구멍(56)를 갖추고 있으며, 이 구멍(56)은 기부부재(51)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보유부재(52)의 타단부는 예컨대 벽체(57) 즉, 상향 봉우리부(57)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어서,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장치(5)상에 절연체(7)를 위치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벽체(57)에 인접한 통로(53)의 상부가 제거된다.
고정장치(5)의 사용할 때, 통로(53)의 바닥은 대체로 수평한 상태이다. 통로(53)는 사용할 때 클립(1)의 바깥쪽 및 안쪽 다리부들의 사이로 놓여지도록 형성된 보유부재(52)의 벽(52a)에 의해서 구성되는 하나의 측면만을 갖추고 있으며, 통로의 다른 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통로(53)의 상부, 즉 천정에는 사용할 때 수평선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경사부(53a)를 갖추고 있으며, 통로(53)의 높이는 경사부(53a)의 타단부에서 보다는 구멍(56)에 인접한 단부에서 더 높게 구성되어 있으며, 통로(53)의 천정에는 클립(1)을 고정장치(5)에 대한 특정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압입부(18)와 협동하는 돌출부(53b 및 53c)가 경사부(53a)의 어느 한쪽에 제공되어 있다.
통로(53)의 구멍(56)에 형성된 제1돌출부(53b)가 통로(53)에 제1면(53b′)을 제공하는데, 이 제1면(53b′)은 통로(53)의 높이가 벽체(57) 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또한, 제1돌출부(53b)는 제2면(53b″)을 갖추고 있는데, 이 제2면(53b″)은 수평방향으로 더 경사져 있지만 제1면(53b)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어서, 통로(53)의 높이는 증가된다. 벽체(57)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2돌출부(53c)는 경사부(53a)를 형성하는 제1면(53c′), 및 경사부(53a)의 경사각 보다 큰 각도로 수평선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제2면(53c″)을 갖추고 있으며, 제2면(53c″)의 경사각이 제1돌출부(53b)의 제2면(53b″)의 경사각 보다는 작다. 통로(53)의 윗쪽에서 보유부재(52)의 각각의 벽(52a)으로부터 연장하여 있는 부분(58)은, 이 부분(58)과 통로(53) 사이로 클립을 제거시키거나 클립을 고정장치 안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공구, 또는 한쌍의 고정장치가 고정되는 침목(슬리퍼; sleeper)을 들어올리기 위한 공구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59)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홈(59)의 상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보유부재(52)의 벽(52a)은 도시된 바와같이 한쪽 모서리를 따라서 곡선형으로 혹은 경사지게 구성되어서, 고정장치(5)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양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통로(53)의 바닥은 바람직하게 구멍(56) 넘어로 연장하여서, 클립이 고정장치(5)안으로 설치될 경우에 클립의 바깥쪽 다리부의 하부면이 놓여지는 부분(53d)을 제공한다. 클립(1)이 레일상에서 지지되지 않을 때 클립의 제4부분(14)을 지지하는 기부부재(51)가 측면의 절연체(7)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장치(5)가 사용될 때 레일(2)에 가장 근접한 기부부재(51)의 표면에 제공되어 있는 계단부(51a)가 절연체(7)의 수평 연장부를 수용한다. 그러나, 계단부(51a)는 고정장치(5)가 종래의 절연체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필요치 않다는 것을 분명히 해둔다.
고정장치(5)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절감은 내향 돌출부(55)를 생략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는데, 제5(a)도 내지 제5(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장치(5)의 전체 높이가 감소된다. 제5(a)도 내지 제5(c)도에 도시된 고정장치에서 부분(58)을 생략할 수도 있는데, 고정장치(5)의 상부가 클립의 설치공구 혹은 레일을 들어올리는 공구를 사용하는 홈을 제공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제4(a)도 내지 제4(c)도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일실시예에서, 제2(a)도 내지 제2(e)도에 도시된 클립을 사용하는 경우에 고정장치의 전체 높이는 60㎜이고 전체 폭은 101㎜이다. 2개의 보유부재(52) 사이로 폭이 57㎜인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벽(52a)의 폭은 9㎜이다. 각각 내향 돌출부(55)의 최저 표면은 고정장치의 사용시 레일 기초(3)의 높이와 동일한 고정장치의 부분의 윗쪽으로 46㎜이며, 각각의 내향 돌출부(55) 사이의 간격은 32㎜이다. 통로(53)의 구멍(56) 넘어로 부분(53d)이 연장하는 거리는 11㎜이고, 내부의 벽체(57)로부터 구멍(56)까지 통로(53)의 길이는 77㎜이다. 벽체(57)는 통로(53)의 길이에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두께가 8㎜이고 높이가 21㎜이다. 통로(53)의 바닥의 두께는 3㎜이고, 구멍(56)에서의 통로(53)의 높이는 22㎜이다. 통로(53)의 높이는 20㎜ 높이까지 약 13°의 각도로 감소하다가 다시 24㎜의 높이까지 약 45°의 각도로 증가한다. 통로(53) 천정의 경사부(53a)는 약 18°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그 최저지점은 통로(53)의 바닥으로부터 윗쪽으로 18.5㎜이다. 제2돌출부(53c)의 제2면(53c″)은 24㎜ 높이까지 30°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제2돌출부(53c)의 최저지점은 벽체(57)의 외부면으로부터 약 26㎜이다. 제1돌출부(53b)의 최저지점은 벽체(57)의 외부면으로부터 68㎜이다. 통로(53)의 윗쪽에서 홈(59)은 고정장치의 최저지점으로부터 윗쪽으로 44㎜의 높이에서 출발하여 51㎜까지 증가하는 약 15°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홈의 바닥은 고정장치의 최저지점으로부터 윗쪽으로 32㎜이다. 기부부재(51)내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부(51a)는 고정장치의 최저지점의 윗쪽으로 15㎜의 높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깊이는 8㎜이다.
제4(a)도 내지 제4(c)도에 그리고 제5(a)도 내지 제5(c)도에 도시된 고정장치(5)를 제6(a)도 내지 제6(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부재(51)로부터 돌출된 스템(50)에 의해서 콘크리트 레일 기초 상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고정장치(5)의 일체식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스템(50)은 콘크리트 침목(3)의 제조 중에 이 침목(3) 안으로 삽입되며, 그리고 고정장치(5)가 침목(3)내에서 회전하는 것에 대해 반작용하는 베인(50a)이 제공되어 있다.
이제, 제7(a)도 내지 제7(c)도를 참조하여 제1도에 도시된 절연체(7)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절연체(7)는 절연체의 사용시 고정장치(5)와 레일(2)의 사이로 위치되는 제1판(71)을 갖추고 있다. 제1판(71)의 상연부의 중앙에서 제2판(72)이 수직하게 돌출해 있는데, 제2판(72)은 사용시에 고정장치(5)의 계단부(51a)내에 위치되어서 기부부재(51)상에 편평한 표면을 제공한다. 제1판(71)의 양단부는 그 중앙부보다 높이가 낮으며, 제1판(71)의 양단부중 어느 한쪽 단부에는 제1판(71)에 대해서 수직하게 상향 연장하는 절연체 위치부재(73)가 제공되어 있다. 절연체 위치부재(73)는 제2판(72)과 이격되어 있어서, 고정부재(5)의 보유부재(52)의 벽(52a)을 수용하는 각각의 홈(74)을 제공한다. 위치부재(73)의 각각의 하부면에는 제1판(71)에 평행하게 연장하여서 절연체의 사용시 고정장치(5)의 벽체(57)를 수용하는 슬롯(75)이 형성되어 있어서, 절연체(7)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마모 등으로 인해서 고정장치(5)로부터 절연체(7)를 제거할 경우에 수직방향으로 절연체(7)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판(71)으로 부터 멀리 떨어진 각각의 절연체 위치부재(73)의 표면의 하부로부터, 경사진 상부면을 갖춘 위치선정 발(76)이 뻗어있다. 고정장치(5)상에 절연체(7)가 위치되었을 때, 클립(1)이 완전히 고정장치(5)안으로 설치되는데, 클립의 각각의 바깥쪽 다리부의 자유단부에서 하부의 경사면(19b)이 위치선정 발(76)의 상부면상에 놓여져서, 절연체(7)가 우발적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벽(77)이 위치선정 발(76)의 상부면의 한쪽 측면을 절연체 위치부재(73)에 연결시킨다.
이제, 제8(a)도 및 제8(b)도를 참조하여 고정장치로서 작용하는 어깨부(5)에 대한 절연체(7)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a)도 내지 제4(c)도 또는 제5(a)도 내지 제5(c)도에 도시된 고정부재(5)와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된 제8(a)도 내지 제8(b)도의 절연체(7)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판(71)은 길이가 119㎜이고, 그 중앙부의 높이가 20㎜이며, 나머지 부분의 높이가 26㎜이고, 두께가 8㎜이며, 제2판(72)은 길이가 55㎜, 폭이 15.5㎜이고, 두께는 6㎜이며, 절연체 위치부재(73)는 길이가 21.5㎜이고, 높이가 26㎜이며, 폭이 19.5㎜이고, 홈(74)의 폭은 10.5㎜이며, 슬롯(75)은 높이가 20㎜이고, 폭이 8.5㎜이며, 그 길이는 13㎜이고, 슬롯의 3개의 수직벽중 2개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의 두께는 약 8㎜이며, 위치선정 발(76)의 두께는 제일 두꺼운 부분에서 3.5㎜이고, 이러한 두께의 부분에서 수평선에 대해 16°의 각도로 경사진 상부면을 갖추고 있으며, 위치선정 발(76)의 길이는 15.5㎜이고, 폭은 8.5㎜이며, 그 하부면은 제1판(71)의 최하부지점으로 부터 윗쪽으로 2㎜이다.
이제, 제9(a)도 내지 제9(c)도를 참조하여 제1도에 도시된 선단부 절연체(6)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선단부 절연체의 다른 실시예들이 제10(a)도 내지 제10(c)도 그리고 제11(a)도 및 제11(b)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각각의 절연체(6)는 절연재료의 블록으로 제조된 몸체(60)를 포함하고 있으며, 몸체(60)는 절연체(6)가 사용시 클립(1)에 보유되어 있을 때 최상부 지점이 되는 주 표면을 갖추고 있는데, 그러한 주 표면에는 클립(1)의 제4부분(14)을 수용하는 형상의 채널(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채널(61)은 클립의 제3부분(13)과 제5부분(15)을 연결해 준다. 몸체(60)의 밑면은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절연체(6)를 갖춘 클립을 레일상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가 있는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는 절연체(6)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양을 감소시켜서 채널(61)의 밑으로 놓여지는 부분들에서 그러한 재료의 두께를 가능한한 얇게 구성할 수가 있다. 클립(1)의 제3부분(13) 및 제5부분(15)을 수용하는 부분들에서 채널(61)의 윗쪽으로 연장하는 탄성적인 돌출부(62)가 제공되어 있는데, 클립이 압축되었을 때 이러한 탄성적인 돌출부(62)가 변형되어서, 클립을 채널 안으로 삽입시키는 동시에 클립(1)상에 제공된 절연체(6)를 정상적인 사용상태로 유지시킨다.
제9(a)도 내지 제9(c)도의 선단부 절연체(6)에 있어서, 채널(61)의 내벽에 의해서 경계를 이루고 있는 재료(63)는 채널의 외부 경계를 형성하는 재료에 비해서 높이가 감소되어 있어서, 채널(61)의 최저지점의 윗쪽에서의 높이가 클립(1)의 제3부분(13)과 제5부분(15)의 사이에서 0으로 감소되도록 경사져 있는 비교적 낮은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몸체(60)상에 탭(64)을 형성함으로써, 클립상에 제공된 선단부 절연체(6)의 안전도를 증가시킬 수가 있다.
제10(a)도 내지 제10(c)도에 도시된 선단부 절연체가 제9(a)도 내지 제9(c)도에 도시된 선단부 절연체와 다른 점은, 특히 클립(1)의 제3부분(13)과 제5부분(15)을 수용하는 부분들의 사이로 채널(61)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부분(63a)이 탭(64) 대신에 채널(61)의 외부 경계를 형성하는 최상부 지점과 동일한 높이의 상부면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상부면이 채널(61)의 양단부 넘어로 돌출하여서 절연체(6)에 대한 안전도를 추가로 제공한다는 것이다. 재료를 절감하기 위해서, 부분(63a)의 밑면에 홈(65)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60)의 밑면 외에도, 상부의 주표면의 모서리가 채널의 곡률을 따라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1(a)도 및 제11(b)도에 도시된 선단부 절연체(6)가 제9(a)도 내지 제9(c)도에 도시된 절연체와 다른 점은, 클립의 제3부분(13)과 제5부분(15)을 수용하는 채널(61)의 부분들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는 부분(63b)이 몸체(60)의 주 부분 넘어로 연장하며 채널(61)의 외부벽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부분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상부면을 갖추고 있으며, 몸체(60)의 주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탭(64a)의 두께가 측방향 및 종방향으로 감소한다는 점이다.
제12(a)도 내지 제12(c)도에는 제10(a)도 내지 제10(c)도에 도시된 절연체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두 절연체의 서로 다른 한가지 차이점은, 제12(a)도 내지 제12(c)도의 절연체가 다소 둥근 형상의 밑면을 갖추고 있어서, 절연체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양이 감소한다는 점이다. 또한, 돌출부(62)의 자유 가장자리(62a)가 클립을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마무리 가공되어 있다는 점이다.
제2(a)도 내지 제2(e)도 또는 제3(a)도 내지 제3(e)도에 도시된 클립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또다른 형태의 절연체의 실시예가 제13(a)도 내지 제13(e)도에 도시되어 있다. 선단부 절연체(600)는 클립(1)의 제4부분(14)이 완전히 캡슐 형태로 싸여지도록 제4부분(14)을 수용하는 홈(602)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절연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몸체(601)을 갖추고 있다. 절연체(600)는 기다란 돌출부(603)에 의해서 클립(1)의 제4부분(14)상에 고정되는데, 돌출부(603)는 홈(602)의 상부로부터 돌출하여 클립(1)과 결합하여서, 클립의 제4부분(14)상에 선단부 절연체(600)를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가 있다. 절연체(600)의 측면에는 각각 슬롯(604)이 제공되어서, 그 일단부가 절연체(600)의 측면의 길이의 ⅔정도의 지점에서 홈(602)의 구멍(606)으로부터 연장하는 구멍(605)과 협동하며, 절연체가 클립(1)의 제4부분(14)상으로 끼워짐에 따라서 구멍(606)을 약간 확대시켜준다. 홈(602)은 클립(1)의 제4부분의 외주와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며, 구멍(606)은 운동 경기장의 트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체가 사용할 때에 최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절연체의 재료의 두께는 대체로 일정하지만, 최하부에 위치하는 부분, 즉 레일상에 지지되는 부분에서 절연체의 재료의 두께는 구멍(606)에 인접한 절연체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a)도 내지 제2(e)도에 도시된 클립(1)과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된 제9(a)도 내지 제9(c)도의 선단부 절연체(6)의 실시예에서, 몸체(60)는 55㎜의 폭과 탭(64)을 포함하여 50㎜의 길이를 가지며, 탭(64)의 폭은 22㎜이고, 길이는 20.5㎜이며, 두께는 3㎜이고, 몸체(60)는 부분(62)의 지역에서 전체 높이가 22.5㎜이고, 채널(61) 둘레의 지역에서의 전체 높이는 19㎜이며, 채널(61) 둘레의 지역에서 약 7.5㎜의 재료의 최대 두께를 가지며, 몸체(60)의 밑면이 탭(64)의 밑면에 대해서 12°의 각도(β)로 경사져 있으며, 채널(61)의 곡률이 24인 외주를 갖추고 있고, 그 내부의 곡률은 7.5이며, 부분(63)의 최대높이는 채널의 최저지점으로부터 4㎜이고, 부분(62)은 몸체(60)의 정면으로부터 뒤쪽으로 28㎜에서부터 42.5㎜ 정도 떨어져 있다.
제10(a)도 내지 제10(c)도에 도시된 절연체(6)를 제2(a)도 내지 제2(e)도에 도시된 클립(1)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도 앞에서와 같은 수치들이 적용되는데, 다만 부분(63a)의 길이가 55㎜이고, 폭이 17㎜이며, 슬롯(65)의 길이가 49㎜이고, 폭이 10㎜이다.
제11(a)도 및 제11(b)도에 도시된 선단부 절연체(6)를 제2(a)도 내지 제2(e)도에 도시된 클립(1)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몸체(60)의 폭이 55㎜이고, 길이는 44㎜이며, 몸체(60) 넘어로 연장하는 부분(64a)은 길이가 40㎜이고, 절연체의 전체 높이는 전방부에서 19㎜이고 후방부에서 24㎜이며, 몸체의 밑면이 12°의 각도(β)로 경사져 있고, 부분(64a)의 폭은 가장 넓은 폭이 18m이고 가장 좁은 폭이 14㎜이며, 부분(64a)은 곡률 25인 상부면 및 곡률 17인 하부면을 갖추고 있고, 부분(64a)의 하부면이 몸체(60)와 인접한 부분에서 32°의 각도(γ)로 경사져 있다.
제13(a)도 내지 제13(e)도에 도시된 절연체(600)를 제2(a)도 내지 제2(c)도에 도시된 클립(1)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멍(606)의 폭이 48㎜이고 높이는 16㎜이며, 홈의 윗쪽으로 4㎜의 재료가 제공되는 반면에, 홈의 밑쪽으로는 최소 4㎜이고 최대 8㎜의 재료가 제공되며, 측면에는 두께 2㎜의 슬롯(604)이 형성되며, 슬롯의 길이는 25㎜이고, 홈(602)의 길이는 40㎜이며, 홈의 단부에는 4㎜의 재료가 제공되고, 홈(602)의 구멍(606)으로부터 10㎜의 돌출부(603)가 형성되어 있다.
이제, 제14(a)도 내지 제14(c)도를 참조하여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립(1)을 고정장치(5)안으로 설치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선단부 절연체(6)는 클립(1)에 메달려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14(a)도는 클립의 초기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클립이 고정장치(5)안으로 막 삽입되기 직전으로서, 클립(1)의 제4부분(14)이(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단부 절연체(6)를 통해서) 고정장치(5)의 기부부재(51)상에 놓여져 있고,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들이 고정장치(5)의 통로(53)의 바로 안쪽으로 놓여져 있으며, 바깥쪽 다리부의 하부면의 일부가 고정장치(5)의 부분(53d) 상에 지지되어 있고, 바깥쪽 다리부의 자유단부에 가장 인접한 압입부(18)의 표면(18a)이 돌출부(53b)의 제2면(53b″)과 접촉해 있으며, 바깥쪽 다리부의 상부의 경사면(19a)이 통로(53)의 천정의 경사부(53a)와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초기 위치에서, 클립은 예를 들어서 전체 휨인 12㎜중 약 2㎜정도로 부분적으로만 휘어져 있다.
제14(b)도에 도시된 중간위치로 클립이 삽입된 경우에는, 압입부(18)의 표면(18b)이 돌출부(53b)의 제1면(53b′)과 접촉하고, 바깥쪽 다리부들이 더욱 아랫쪽으로 휘어져서, 클립(1)의 제2 및 제6부분(12 및 16)이 윗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중간 위치에서는, 클립의 제4부분(14)이 측면의 절연체(7)의 윗쪽으로 놓여져서, 절연체(7)의 상향이동을 방지한다. 절연체(7)가 레일 패드(4)의 아랫쪽으로 유지되는 형상을 갖추고 있다면, 이러한 중간위치에서 클립은 절연체(7)를 통해서 레일 패드(4)를 고정시키도록 작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클립과 절연체 그리고 바람직하게 패드는 모두가 침목(3)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침목내에 고정장치(5)를 미리 제공할 수가 있다.
제14(c)도는 클립이 제14(b)도에 도시된 중간위치로부터 클립(1)의 제4부분(14)이 레일(2)을 지지하게 되는 최종위치로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클립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바깥쪽 다리부의 상부의 경사면(19a)과 접촉하고 있는 통로(53)의 천정의 경사부가 바깥쪽 다리부를 아랫쪽으로 밀어줌으로써 클립이 휘어진다. 클립의 최종위치에서, 클립(1)의 압입부(18)는 고정장치(5)의 제2돌출부(53c)와 결합하며, 바깥쪽 다리부의 자유단부들이 측면이 절연체(7)의 위치선정 발(76)의 윗쪽으로 놓여져서, 절연체(7)의 상향이동이 제한된다. 최종위치에서, 클립은 완전히 휘어진 상태이며, 클립의 제4부분(14)은 제1 및 제7다리부(11 및 17)를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해서 평행한 평면상에 놓여지게 되며, 제2 및 제6부분(12 및 16)은 그 최고높이에 놓여지게 된다.
클립의 초기위치에서 절연체(7)는 윗쪽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절연체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클립(1)을 고정장치(5)에서 완전히 제거시키지 않고서도 클립(1)을 그 초기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간단히 절연체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초기위치에서 클립(1)의 제2 및 제6부분(12 및 16)이 침목의 표면에 인접하게 되며, 이에따라서 레일이 레일 패드(4) 상에서 그 초기위치로부터 고정장치의 뒤쪽을 따라서 들어올려지게 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바깥쪽 다리부들이 안쪽 다리부들과 관련되어 아랫쪽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장치로서 작용하는 어깨부(5)의 전체 높이가 감소되어서 보다 가볍고 저렴한 클립을 제공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 클립(1)이 고정장치(5)안에 설치되어 있을 때 선단부 절연체(6)의 하부와 고정장치(5)의 기부부재(51) 사이로 약 5㎜ 정도의 틈새가 제공되므로, 레일 밑에서 레일 패드의 마모로 인하여 레일의 전체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에도 고정장치(5)의 기부부재(51)에 의해서 클립이 레일상에서 충분히 지지될 수가 있다.

Claims (47)

  1. 철로의 레일(2)을 조여주기 위한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1)으로서, 평면도에서 볼 때 M자 형상으로 굽혀진 탄성재료의 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연속하는 형태로 각각 제공되어 있는 직선형 제1부분(11)과, 곡선형 제2부분(12)과, 제3부분(13)과, 곡선형 제4부분(14)과, 제5부분(15)과, 곡선형 제6부분(16)과, 그리고 직선형 제7부분(17)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이 각각 M자 형상의 바깥쪽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3 및 제5부분(13,15)이 각각 M자 형상의 안쪽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6부분(12,16)이 상기 바깥쪽 다리부를 상기 안쪽 다리부와 연결시켜 주며, 상기 제4부분(14)이 상기 안쪽 다리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며, 그리고 상기 클립(1)이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일 때는 상기 제4부분(14)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에 놓여지는 클립(1)에 있어서, 상기 클립(1)이 응력을 받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4부분(14)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종축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지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평면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5부분(13,15)은 상기 제4부분(14)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각각의 단부에서 서로를 향해 수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이 상기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6부분(12,16)의 각각의 종축의 어떠한 부분도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해서 40°이상의 각도로 경사져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6부분(12,16)의 각각의 종축의 어떠한 부분도 상기 평면에 대해서 35°이상의 각도로 경사져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이 상기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클립을 형성하는 상기 봉의 직경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평면과 각각의 상기 안쪽 다리부의 종축 사이의 최대 거리의 비가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 1.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종축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5부분(13,15)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평면에 대해서 적어도 수직한 각각의 평면내에 놓여지도록 상기 제3 및 제5부분(13,15)이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5부분(13,15)이 상기 제4부분(14)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6부분(12,16)의 각각의 일부가 서로에 대해 인접하게 굽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을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제4부분(14)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각각의 자유단부 넘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자유단부(A,B)에 인접한 각각의 상기 바깥쪽 다리부의 표면(19a)이 상기 클립의 사용시 적어도 최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바깥쪽 다리부를 따라 상기 자유단부(A,B)쪽으로 갈수록 상기 바깥쪽 다리부의 종축에 대해서 하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19a)이 30°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이 고정 장치(5)내에 설치될 때 상기 클립(1)을 상기 고정장치에 대해서 소정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다리부 중 적어도 한쪽 다리부에는 상기 고정장치(5)상에 제공되는 제2위치수단(53b,53c)과 협동하는 제1위치수단(18)이 제공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18a,18b)이 상기 제1 및 제2위치수단(18; 53b,53c)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53b,53c)가 상기 제1 및 제2위치수단(18; 53b, 53c)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클립(1)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협동하는 돌출부(53b,53c)의 상기 한쪽 표면이 상기 접촉면(18a,18b)과 접촉하도록 하는 반면에 상기 클립(1)을 상기 다리부의 종축에 대해서 평행한 양방향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접촉면(18a,18b)가 분리되도록 상기 접촉면(18a,18b) 및 상기 돌출부(53b,53c)의 한쪽 표면이 상기 제1위치수단(18)을 갖춘 상기 클립(1)의 다리부의 축선에 대해서 예각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수단(18)이 제공되어 있는 상기 다리부가 상기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수단(18)이 상기 바깥쪽 다리부에 각각 제공되어서, 상기 클립(1)이 상기 고정장치(5)안에 설치될 때 상기 고정장치(5)에 제공되어 있는 제2위치수단(53b,53c)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18a,18b)이 홈의 한쪽 경사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의 다른쪽 표면이 상기 종축에 대해서 반대방향으로 예각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상기 클립(1)의 사용시 최상부에 위치하는 바깥쪽 다리부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다리부의 일부가 상기 바깥쪽 다리부의 자유단부 근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들이 소정의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도록 상기 홈의 경사면들은 상기 클립(1)의 상기 바깥쪽 다리부의 종축에 평행한 상기 홈의 다른 표면(18c)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클립(1)이 상기 고정장치(5)내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클립(1)이 상기 고정장치(5)에 대해서 위치될 수 있는 2개의 소정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1. 평면도에서 볼 때 M자 형상으로 굽혀진 탄성재료의 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의 일단부로 부터 타단부까지 연속하는 형태로 각각 제공되어 있는 직선형 제1부분(11)과, 곡선형 제2부분(12)과, 제3부분(13)과, 곡선형 제4부분(14)과, 제5부분(15)과, 곡선형 제6부분(16)과, 그리고 직선형 제7부분(17)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이 각각 M자 형상의 바깥쪽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3 및 제5부분(13,15)이 각각 M자 형상의 안쪽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6부분(12,16)이 상기 바깥쪽 다리부를 상기 안쪽 다리부와 연결시켜 주며, 상기 제4부분(14)이 상기 안쪽 다리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며, 상기 클립이 응력을 받지 않는 형태일 때는 상기 제4부분(14)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에 놓여지며, 그리고 상기 클립(1)이 응력을 받는 작동상태의 형태일 때에는 상기 제4부분(14)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종축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지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평면에 놓여지는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1)을 보유하기 위한 고정장치(5)로서, 상기 고정장치(5)는 기부부재(51)와, 그리고 상기 기부부재(51)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장치(5)의 사용시 상기 기부부재(51)에 대해서 상향 연장하는 한쌍의 보유부재(52)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보유부재(52)는 그 사이로 M자 형상의 클립(1)의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안쪽 다리부를 수용하는 구멍(54)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상기 M자 형상의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들을 각각 수용하는 안내용 통로(53)가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5)는 상기 클립(1)이 상기 고정장치(5)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클립의 상기 바깥쪽 다리부들이 상기 안쪽 다리부들에 대해서 아랫쪽으로 밀려져서, 응력을 받지 않은 상태의 형태로부터 클립(1)의 상기 제4부분(14)이 레일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장치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되는 응력을 받는 작동상태의 형태로 클립(1)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용 통로(53)가 상기 보유부재(52)의 각각의 외부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안내용 통로(53)가 그 관련된 상기 보유부재(52)의 측벽내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의 형태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보유부재(52)가 상기 기부부재(51)로부터 이격된 그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구멍(54) 넘어로 적어도 일부가 연장하여 있는 내향 돌출부(55)를 갖추고 있고, 상기 클립(1)이 상기 고정장치(5)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안쪽 다리부의 상향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내향 돌출부(55)가 상기 클립(1)의 각각의 상기 안쪽 다리부의 적어도 일부의 윗쪽으로 직접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통로(53)의 천정에는 상기 고정장치(5)의 사용시 상기 클릭(1)의 바깥쪽 다리부가 삽입되는 상기 구멍(5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통로(53)를 따라서 연장하면서 하향으로 경사진 부분(53a)이 제공되어 있어서, 상기 클립(1)이 상기 고정장치(5)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경사진 부분(53a)이 상기 클립(1)의 상기 바깥쪽 다리부와 접촉하여서 상기 바깥쪽 다리부를 상기 안쪽 다리부에 대해서 아랫쪽으로 이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부재(51)는, 상기 클립(1)의 각각의 상기 바깥쪽 다리부가 상기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의 상부는 상기 통로(53)의 천정과 접하고 상기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의 하부는 상기 구멍(56)내에서 상기 통로(53)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상기 고정장치(5)의 대응하는 상기 통로(53)의 상기 구멍(56)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클립(1)의 제4부분(14)이 상기 기부부재(51)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재(52)의 마주하는 측면들이 상기 기부부재(52)에 의하여 상기 보유부재(52)의 전체길이를 따라서 함께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부재(51)가 어느 하나의 상기 보유부재(52)의 단부만을 다른 하나의 상기 보유부재(52)의 인접한 단부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이 상기 고정 장치(5)내에 설치될 때 상기 클립(1)을 상기 고정장치(5)에 대해서 소정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립(1)의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다리부 중 적어도 한쪽 다리부에는 상기 고정장치(5) 상에 제공되어 있는 제2위치수단(53b,53c)과 협동하는 제1위치수단(18)이 제공되는 클립(1)과 사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18a,18b)이 상기 제1 및 제2위치수단(18; 53b,53c)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53b,53c)가 상기 제1 및 제2위치수단(18; 53b,53c)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클립(1)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53b,53c)의 한쪽 표면이 상기 접촉면(18a,18b)과 접촉되도록 하는 반면에 상기 클립(1)을 상기 다리부의 종축에 대해서 평행한 양방향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부(53b,53c)가 상기 접촉면(18a,18b)과 분리되도록, 상기 접촉면(18a,18b) 및 상기 돌출부(53b,53c) 한쪽 표면이 상기 제1위치수단(18)을 갖춘 상기 클립(1)의 다리부의 축선에 대해서 예각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30. 평면도에서 볼 때 M자 형상으로 굽혀진 탄성재료의 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연속하는 형태로 각각 제공되어 있는 직선형 제1부분(11)과, 곡선형 제2부분(12)과, 제3부분(13)과, 곡선형 제4부분(14)과, 제5부분(15)과, 곡선형 제6부분(16)과, 그리고 직선형 제7부분(17)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이 각각 M자 형상의 바깥쪽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3 및 제5부분(13,15)이 각각 M자 형상의 안쪽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6부분(12,16)이 상기 바깥쪽 다리부를 상기 안쪽 다리부와 연결시켜 주며, 상기 제4부분(14)이 상기 안쪽 다리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며, 상기 클립이 응력을 받지 않는 형태일 때는 상기 제4부분(14)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에 놓여지며, 그리고 상기 클립(1)의 응력을 받는 작동상태의 형태일 때에는 상기 제4부분(14)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종축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지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평면에 놓여지는 클립(1)을 포함하는 클립 고정장치(5) 및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1)의 조립체로서, 고정장치(5)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5)는 기부부재(51)와, 그리고 상기 기부부재(51)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장치(5)의 사용시 상기 기부부재(51)에 대해서 상향 연장하는 한쌍의 보유부재(52)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보유부재(52)는 그 사이로 M자 형상의 클립(1)의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안쪽 다리부를 수용하는 구멍(54)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상기 M자 형상의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들을 각각 수용하는 안내용 통로(53)가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5)는 상기 클립(1)이 상기 고정장치(5)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클립의 상기 바깥쪽 다리부들이 상기 안쪽 다리부들에 대해서 아랫쪽으로 밀려져서, 응력을 받지 않은 상태의 형태로부터 클립(1)의 상기 제4부분(14)이 레일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장치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되는 응력을 받는 작동상태의 형태로 클립(1)을 변화시키고, 상기 클립(1)이 상기 고정 장치(5)내에 설치될 때 상기 클립(1)을 상기 고정장치(5)에 대해서 소정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립(1)의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다리부 중 적어도 한쪽 다리부에는 상기 고정장치(5) 상에 제공되어 있는 제2위치수단(53b,53c)과 협동하는 제1위치수단(18)이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18a,18b)이 상기 제1 및 제2위치수단(18; 53b,53c)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53b,53c)가 상기 제1 및 제2위치수단(18; 53b,53c)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클립(1)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53b,53c)의 한쪽 표면이 상기 접촉면(18a,18b)과 접촉되도록 하는 반면에 상기 클립(1)을 상기 다리부의 종축에 대해서 평행한 양방향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부(53b,53c)가 상기 접촉면(18a,18b)과 분리되도록 상기 접촉면(18a,18b) 및 상기 돌출부(53b,53c) 한쪽 표면이 상기 제1위치수단(18)을 갖춘 상기 클립(1)의 다리부의 축선에 대해서 예각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접촉면 또는 각각의 접촉면(18a,18b)은 홈의 하나의 경사진 표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다른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예각으로 경사져 있고, 그리고 상기 통로(53)의 하나 또는 각각의 천정에는 상기 클립(1)의 대응하는 바깥쪽 다리부상에 제공되는 홈(18)과 맞물리기 위한 하향 돌출부(53c)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및 클립 조립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53c)는 상기 클립(1)이 인접한 상기 레일(2)을 지지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및 클립 조립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중 어느 한쪽의 또는 양쪽의 천정에는 상기 홈(18)과 결합하는 또 다른 하향 돌출부(53b)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및 클립 조립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53b)는 상기 클립(1)이 인접한 상기 레일(2)을 지지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및 클립 조립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53b,53c)들이 상기 통로(53)들 중 어느 한쪽의 또는 양쪽의 각각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및 클립 조립체.
  35. 클립 고정장치(5) 안에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1)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클립(1)은 평면도에서 볼 때 M자 형상으로 굽혀진 탄성재료의 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의 일단부로 부터 타단부까지 연속하는 형태로 각각 제공되어 있는 직선형 제1부분(11)과, 곡선형 제2부분(12)과, 제3부분(13)과, 곡선형 제4부분(14)과, 제5부분(15)과, 곡선형 제6부분(16)과, 그리고 직선형 제7부분(17)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이 각각 M자 형상의 바깥쪽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3 및 제5부분(13,15)이 각각 M자 형상의 안쪽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6부분(12,16)이 상기 바깥쪽 다리부를 상기 안쪽 다리부와 연결시켜 주며, 상기 제4부분(14)이 상기 안쪽 다리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며, 상기 클립이 응력을 받지 않는 형태일 때 상기 제4부분(14)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에 놓여지며, 상기 클립(1)의 응력을 받는 작동상태의 형태일 때에는 상기 제4부분(14)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종축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지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평면에 놓여지고,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5)는 기부부재(51)와, 그리고 상기 기부부재(51)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장치(5)의 사용시 상기 기부부재(51)에 대해서 상향 연장하는 한쌍의 보유부재(52)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보유부재(52)는 그 사이로 M자 형상의 클립(1)의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안쪽 다리부를 수용하는 구멍(54)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상기 M자 형상의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들을 각각 수용하는 안내용 통로(53)가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는, 클립 고정장치(5) 안에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1)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클립(1)을 형성하는 봉의 자유단(A,B)이 각각의 바깥쪽 다리부의 상부가 상기 통로(53)의 천정과 접하게 되고 상기 클립(1)의 제4부분(14)이 상기 고정장치(5)의 기부부재(51)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장치(5)내의 상기 통로(53)의 각각의 구멍(56)으로 삽입되고, 그리고 상기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 모두가 상기 안쪽 다리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상기 통로(53)를 따라 밀려지도록 상기 클립(1)이 이동되고, 이로써 레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클립(1)의 상기 제4부분(14)이 상기 고정장치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고정장치(5)에 대한 소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클립(1)이 이동되면서 응력을 받지 않는 형태로부텨 응력을 받는 작동상태의 형태로 상기 클립(1)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클립 고정장치(5)와 조합하여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1)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클립(1)은 평면도에서 볼 때 M자 형상으로 굽혀진 탄성재료의 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의 일단부로 부터 타단부까지 연속하는 형태로 각각 제공되어 있는 직선형 제1부분(11)과, 곡선형 제2부분(12)과, 제3부분(13)과, 곡선형 제4부분(14)과, 제5부분(15)과, 곡선형 제6부분(16)과, 그리고 직선형 제7부분(17)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이 각각 M자 형상의 바깥쪽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3 및 제5부분(13,15)이 각각 M자 형상의 안쪽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6부분(12,16)이 상기 바깥쪽 다리부를 상기 안쪽 다리부와 연결시켜 주며, 상기 제4부분(14)이 상기 안쪽 다리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며, 상기 클립이 응력을 받지 않는 형태일 때 상기 제4부분(14)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에 놓여지며, 그리고 상기 클립(1)이 응력을 받는 작동상태의 형태일 때에는 상기 제4부분(14)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종축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지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평면에 놓여지며, 상기 클립(1)이 상기 고정장치(5)내에 설치될 때 상기 클립(1)을 상기 고정장치(5)에 대해서 소정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립(1)의 상기 안쪽 및 바깥쪽 다리부 중 적어도 한쪽 다리부에는 상기 고정장치(5) 상에 제공되어 있는 제2위치수단(53b,53c)과 협동하는 제1위치수단(18)이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18a,18b)이 상기 제1 및 제2위치수단(18; 53b,53c)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53b,53c)가 상기 제1 및 제2위치 수단(18; 53b,53c)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클립(1)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53b,53c)의 한쪽 표면이 상기 접촉면(18a,18b)과 접촉되도록 하는 반면에 상기 클립(1)을 상기 다리부의 종축에 대해서 평행한 양방향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부(53b,53c)가 상기 접촉면(18a,18b)과 분리되도록 상기 접촉면(18a,18b) 및 상기 돌출부(53b,53c) 한쪽 표면이 상기 제1위치수단(18)을 갖춘 상기 클립(1)의 다리부의 축선에 대해서 예각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접촉면 또는 각각의 접촉면(18a,18b)은 홈의 하나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다른쪽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예각으로 경사져 있고,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5)는 기부부재(51) 및 상기 기부부재(51)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장치(5)의 사용시 상기 기부부재(51)에 대해서 상향 연장하는 한쌍의 보유부재(52)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보유부재(52)는 그 사이로 M자 형상의 클립(1)의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안쪽 다리부를 수용하는 구멍(54)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상기 M자 형상의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들을 각각 수용하는 안내용 통로(53)가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통로(53)의 하나 또는 각각의 천정에는 상기 클립(1)의 대응하는 바깥쪽 다리부상에 제공되는 홈(18)과 맞물리기 위한 하향 돌출부(53c)가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5)는 상기 클립(1)이 상기 고정장치(5)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클립의 상기 바깥쪽 다리부들이 상기 안쪽 다리부들에 대해서 아랫쪽으로 밀려져서, 응력을 받지 않은 상태의 형태로부터 클립(1)의 상기 제4부분(14)이 레일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장치의 앞면으로부터 돌추하게 되는 응력을 받는 작동상태의 형태로 클립(1)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방법에서 클립(1) 및 장치(5) 상의 상기 위치수단은 클립(1)이 이동되기 전에 제1위치에 클립(1)을 고정하기 위해 협력하며, 클립(1)은 상기 클립(1)이 상기 장치(5)에 인접한 철로 레일(2)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위치수단(18; 53b,53c)에 의해 고정되는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가 상기 장치(5)의 통로(53) 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5)를 인접한 레일(2)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장치(5)와 상기 레일(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절연체(7)가 상기 고정장치(5) 또는 상기 레일(2)을 이동시킬 필요없이 교체될 수 있도록, 상기 클립(1)이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다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이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클립(1)이 상기 고정장치(5)에 인접한 레일(2)을 지지하지는 않지만 상기 고정장치(5)상에 상기 절연체(7)를 유지시키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의 제3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철로 레일(2)과, 상기 레일(2)의 플랜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는 클립 고정장치(5)와,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5)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일(2)을 하방으로 고정시키는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1)을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클립(1)은 평면도에서 볼 때 M자 형상으로 굽혀진 탄성재료의 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봉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연속하는 형태로 각각 제공되어 있는 직선형 제1부분(11)과, 곡선형 제2부분(12)과, 제3부분(13)과, 곡선형 제4부분(14)과, 제5부분(15)과, 곡선형 제6부분(16)과, 그리고 직선형 제7부분(17)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이 각각 M자 형상의 바깥쪽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제3 및 제5부분(13,15)이 각각 M자 형상의 안쪽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및 제6부분(12,16)이 상기 바깥쪽 다리부를 상기 안쪽 다리부와 연결시켜 주며, 상기 제4부분(14)이 상기 안쪽 다리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며, 상기 클립이 응력을 받지 않는 형태일 때는 상기 제4부분(14)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각각의 종축을 포함하고 있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에 놓여지며, 상기 클립(1)이 응력을 받는 작동상태의 형태일 때에는 상기 제4부분(14)의 종축이 상기 제1 및 제7부분(11,17)의 종축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지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평면에 놓여지며, 상기 고정장치(5)는 기부부재(51)와, 그리고 상기 기부부재(51)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장치(5)의 사용시 상기 기부부재(51)에 대해서 상향 연장하는 한쌍의 보유부재(52)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보유부재(52)는 그 사이로 M자 형상의 클립(1)의 서로 연결되어 있는 안쪽 다리부를 수용하는 구멍(54)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상기 M자 형상의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들을 각각 수용하는 안내용 통로(53)가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레일 플랜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클립(1)의 상기 제4부분(14)이 상기 고정장치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되는 응력을 받는 작동상태의 형태로 클립(1)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5)와 상기 레일(2)의 사이로 위치되어서 상기 고정장치(5)를 상기 레일(2)로 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절연 재료로 제조된 어깨부 절연체(7)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절연체(7)가 서로에 대해서 0°이상의 각도로 연결된 제1 및 제2판형부재(71,72)를 갖추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1판형부재(71)는 상기 고정장치(5)의 선반부(51a)상에서 지지되고, 상기 제2판형부재(72)는 상기 레일(2)의 기부에 인접하게 상기 선반부(51a)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고정장치(5)의 표면과 접촉하며, 또한 상기 절연체(7)가 상기 절연체(7)를 상기 고정장치(5)에 대해서 위치시키는 절연체 위치수단(73)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5)가 상기 절연체 위치수단(73)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절연체(7)의 일부인 상응하는 슬롯(75)안으로 돌출하는 상향 봉우리부(57)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위치수단(73)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클립(1) 아래에 위치된 상기 절연체(7)의 부분(76)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의 바깥쪽 다리부의 자유단부(A,B)가 상기 절연체(7)의 상기 부분(76) 윗쪽으로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4.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을 상기 레일(2)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절연재료로 제조된 클립 절연체(6)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클립 절연체(6)는 상기 레일(2)을 지지하는 상기 클립(1)의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클립(1)에 의해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절연체(6)가 상기 클립(1)을 수용하는 형상의 채널(61)을 구비하고 하나의 주 표면상에 형성되는 판형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절연체(6)가 상기 채널(61) 부분의 윗쪽으로 돌출하는 탄성적인 돌출부(6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절연체(6)가 상기 클립(1)상에 탈착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돌출부(62)는 압력을 받으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절연체(6)가 절연재료로 제조된 캡슐형 포켓(6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캡형 포켓(600)내에는 상기 레일(2)을 지지하는 상기 클립의 부분이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KR1019940702086A 1991-12-18 1992-12-18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 및 레일조립체, 그리고 이들의 사용 방법 KR100232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126886.2 1991-12-18
GB919126886A GB9126886D0 (en) 1991-12-18 1991-12-18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ies including clips,anchoring devices and insulators
GB9205791.8 1992-03-17
GB929205791A GB9205791D0 (en) 1992-03-17 1992-03-17 Railway rail fastening clip and assembly
PCT/GB1992/002359 WO1993012296A1 (en) 1991-12-18 1992-12-18 Railway rail-fastening clip and assembly an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2089B1 true KR100232089B1 (ko) 1999-12-01

Family

ID=263000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087A KR100232090B1 (ko) 1991-12-18 1992-12-18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
KR1019940702086A KR100232089B1 (ko) 1991-12-18 1992-12-18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 및 레일조립체, 그리고 이들의 사용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087A KR100232090B1 (ko) 1991-12-18 1992-12-18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37)

Country Link
US (2) US5520330A (ko)
EP (2) EP0619851B1 (ko)
JP (2) JP3055804B2 (ko)
KR (2) KR100232090B1 (ko)
CN (3) CN1044731C (ko)
AT (2) ATE149593T1 (ko)
AU (3) AU665972B2 (ko)
BR (2) BR9207045A (ko)
CA (2) CA2126068C (ko)
CZ (4) CZ285016B6 (ko)
DE (2) DE69219362T2 (ko)
DK (2) DK0619851T3 (ko)
EE (2) EE03267B1 (ko)
EG (1) EG19913A (ko)
ES (2) ES2100517T3 (ko)
FI (2) FI104579B (ko)
GR (2) GR3023544T3 (ko)
HK (2) HK89397A (ko)
HU (2) HU217378B (ko)
IN (2) IN185923B (ko)
LV (2) LV11909B (ko)
MA (1) MA22744A1 (ko)
MX (1) MX9207462A (ko)
MY (1) MY108141A (ko)
NO (2) NO305403B1 (ko)
NZ (2) NZ246189A (ko)
PH (1) PH31101A (ko)
PL (1) PL173489B1 (ko)
RU (2) RU2116397C1 (ko)
SG (1) SG54989A1 (ko)
SI (1) SI9200398B (ko)
SK (4) SK284719B6 (ko)
TR (1) TR27337A (ko)
TW (3) TW226421B (ko)
UA (1) UA42682C2 (ko)
WO (3) WO1993012296A1 (ko)
ZW (1) ZW197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701A (ko) * 1998-09-30 2000-04-25 허영준 철도레일고정조립체
KR101070641B1 (ko) * 2010-12-13 2011-10-07 팬드롤코리아 주식회사 레일고정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5458A (en) * 1991-12-18 1998-04-07 Pandrol Limited Fastening railway rails
US5782406A (en) * 1993-06-02 1998-07-21 Igwemezie; Jude O. Rail tie plate clips and shoulders
AUPM330094A0 (en) * 1994-01-10 1994-02-03 Rex, Robert John A resilient clip
US6305613B1 (en) 1995-01-13 2001-10-23 Jude O. Igwemezie Rail fastening devices
WO1996023107A1 (en) * 1995-01-13 1996-08-01 Igwemezie Jude O Rail fastening devices
EP0828891B1 (en) * 1996-03-27 2002-06-05 Pandrol Limited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ies including resilient railway rail fastening clips and associated insulators
FR2755449B1 (fr) * 1996-11-06 1999-01-22 Allevard Sa Dispositif de blocage pour fixation de rail
US5865370A (en) * 1997-06-06 1999-02-02 Sonneville International Corporation Rail fastening system for fastening a rail to a rail support and assembly including such rail fastening system coupled to the rail support
GB2358034B (en) * 1997-07-15 2001-09-26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GB2327230A (en) * 1997-07-15 1999-01-20 Pandrol Ltd Resilient railway rail fastening clip and rail fastening clip anchoring device
CA2270299A1 (en) 1998-10-14 2000-04-14 Jude Igwemezie Rail retaining device
GB2351515B (en) * 1999-06-29 2002-09-11 Pandrol Ltd Adjustable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TW509742B (en) * 1999-11-24 2002-11-11 Pandrol Ltd Railway baseplate assembly
CA2303051A1 (en) * 2000-03-29 2001-09-29 Jude Igwemezie Rail insulator
US6367704B1 (en) 2000-06-28 2002-04-09 Airboss Railway Products, Inc. Rail fastening system constructed to allow pre-assembly of a rail clip and shoulder
GB0024684D0 (en) * 2000-10-09 2000-11-22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clip assembly
KR20020092132A (ko) * 2001-06-02 2002-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탄성레일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WO2003046285A2 (de) * 2001-11-30 2003-06-05 Vossloh-Werke Gmbh Federelement zum verspannen von schienen für schienenfahrzeuge
US7690584B2 (en) * 2002-12-03 2010-04-06 Pandrol Limited Fastener for supporting railroad ties
AT504606B1 (de) * 2003-11-20 2009-09-15 Bernecker & Rainer Ind Elektro Schalttafel mit wenigstens einem schalter
DE102004021091A1 (de) * 2004-04-29 2006-10-19 Bwg Gmbh & Co. Kg Befestigung für eine Schiene sowie Anordnung zum Befestigen von Schienen
DE102004031632A1 (de) 2004-06-21 2006-01-26 Bwg Gmbh & Co. Kg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S7703695B2 (en) 2004-09-21 2010-04-27 Airboss Railway Products, Inc. Rail clip insulator
DE102005048829A1 (de) * 2004-12-09 2006-06-29 SCHWIHAG GESELLSCHAFT FüR EISENBAHNOBERBAU MBH Kraftschlüssig-elastische Schienenbefestigung für Gleisanlagen
CN1805085B (zh) * 2005-01-14 2010-04-28 王爱科 非晶金属磁芯表面封装工艺方法
AT501941B1 (de) * 2005-06-13 2007-02-15 Vae Gmbh Eisenbahnschienenbefestigung
AT502150B1 (de) * 2005-06-13 2007-06-15 Vae Eisenbahnsysteme Gmbh Schienenbefestigung auf schwellen
CA2567560C (en) * 2005-12-09 2014-08-19 Airboss Railway Products Inc. Improved rail clip support shoulder
CA2567903C (en) * 2005-12-15 2014-01-28 Airboss Railway Products Inc. Improved rail insulators
GB2435285A (en) * 2006-02-21 2007-08-22 Pandrol Ltd Fastening railway rails
WO2009004274A1 (en) 2007-07-04 2009-01-08 Pandrol Limited Components for rail fastening assembl
BRPI1008106A2 (pt) * 2009-02-04 2016-03-08 Amsted Rail Co Inc isolante para prendedor de ferrovia com duas posições estáveis para posições de espera, estacionado ou pré-carregado e posição instalada, carregada ou final.
GB0905918D0 (en) * 2009-04-06 2009-05-20 Pandrol Ltd Fastening railway rails
GB2472850B (en) 2009-08-21 2016-06-01 Pandrol Ltd Railway rail pad
GB2526967B (en) 2009-08-21 2016-03-09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clip for use with an insulator
GB2476460B (en) * 2009-12-22 2016-01-13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apparatus
GB2477282A (en) 2010-01-27 2011-08-03 Pandrol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ilient metal rail clip with hardness within a known range
GB201101720D0 (en) 2011-02-01 2011-03-16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clips and insulator
GB201103327D0 (ko) * 2011-02-28 2011-04-13 Pandrol Ltd
EP2718498B1 (de) * 2011-06-10 2016-04-06 Schwihag Ag Schienenbefestigungssystem
GB2502990B (en) * 2012-06-12 2018-01-31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clip for recessed railseats
CN102688947A (zh) * 2012-06-29 2012-09-26 南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铁路扣件弹条成形模具及成形方法
DK2890850T3 (en) * 2012-08-31 2018-02-05 Pandrol Australia Pty Ltd ANCHORING DEVICES FOR SKIN MOVING CLIPS
CN102930970B (zh) * 2012-11-11 2015-01-28 广西梧州市平洲电子有限公司 贴片式功率电感器磁芯与底片的装配工艺方法
US9228297B2 (en) 2012-11-28 2016-01-05 Pandrol Limited Rail support assembly with improved shoulder
USD736609S1 (en) * 2013-01-08 2015-08-18 Pandrol Limited Clamp shoulder
GB2510419B (en) * 2013-02-04 2020-02-05 Pandrol Ltd A railway rail anchoring device
GB201414595D0 (en) * 2014-08-18 2014-10-01 Pandrol Ltd Railway Rail Side post Insulators and Railway Rail Clip Anchoring Device For use Therewith
GB2542852B (en) * 2015-10-02 2021-01-20 Pandrol Ltd Railway rail clip installation tool
CN105414279B (zh) * 2015-12-22 2018-06-29 安阳宏源铁路器材有限公司 一种弹条热成型设备及成型过程
GB2552817A (en) 2016-08-11 2018-02-14 Pandrol Ltd Improved screwed fastening system for railway rails
RU173921U1 (ru) * 2017-01-30 2017-09-19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С-Комплект" Клемма анкерного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US10815623B2 (en) 2017-07-17 2020-10-27 Pandrol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worn rail shoulders
GB2572798B (en) * 2018-04-11 2022-03-09 Pandrol Ltd An anchoring device for a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RU182460U1 (ru) * 2018-04-20 2018-08-1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мплексное Сервисное Обслуживание Пути" Клемм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KR101971501B1 (ko) * 2018-04-20 2019-04-23 이국현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CN109554963A (zh) * 2018-11-21 2019-04-02 西南交通大学 弹条和钢轨组件
FR3089528B1 (fr) * 2018-12-11 2023-01-06 Vape Rail Int En Abrege V R I Ensemble d'ancrage au sol pour un rail ferroviaire, en particulier pour un rail de tramway
GB2582332B (en) 2019-03-19 2022-08-10 Pandrol Ltd Protecting rail clip anchoring devices
CN110672442B (zh) * 2019-10-22 2020-08-11 成都西交轨道交通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弹条疲劳试验装置及监测系统
RU197918U1 (ru) * 2019-10-29 2020-06-05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РС-Комплект" Клемма
RU196901U1 (ru) * 2020-01-16 2020-03-19 Леонид Михайлович Попко Блок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US11359335B2 (en) 2020-10-19 2022-06-14 Paul M. Janson Rail tie plate with spike retention capabi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04426U1 (ko) * 1988-04-02 1988-05-11 Laeis Gmbh, 5500 Trier, De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1187C (ko) *
US2162365A (en) * 1937-11-04 1939-06-13 George T Willard Railway tie plate and clip
US2265745A (en) * 1941-03-12 1941-12-09 George H Roscoe Rail fastener
US2570871A (en) * 1947-06-05 1951-10-09 United States Steel Corp Rail fastening device
BE534458A (ko) * 1954-01-21
DE1059485B (de) * 1957-04-26 1959-06-18 Nl Spanbeton Mij Nv Schienenbefestigung unter Verwendung federnder, aus Stabstahl gebogener Klemmen
DE1061810B (de) * 1957-05-14 1959-07-23 Johan Frederik Deenik Dipl Ing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auf starren Unterlagen zwischen seitlichen Anschlaegen liegende Eisenbahn-schienen mittels einer federnden Klemme
DE1253297B (de) * 1963-10-15 1967-11-02 Johan Frederick Deenik Dipl In Schienenbefestigung
AT249098B (de) * 1965-04-07 1966-09-26 Oesterr Alpine Montan Schienenbefestigung unter Verwendung von Rippenplatten
DE1257817B (de) * 1965-11-25 1968-01-04 Meier Hermann Dr Ing Schienenbefestigung auf Betonschwellen od. dgl.
DE1261151B (de) * 1966-10-29 1968-02-15 Meier Hermann Dr Ing Schienenbefestigung mittels elastischer Klemme
AU450483B2 (en) * 1969-05-14 1974-06-25 Vossloh Werke Gmbh RAIL FASTENING DEVICE, IN PARTICULAR ONTO concrete SLEEPERS
DE6946716U (de) * 1969-12-01 1970-04-16 Markmann & Moll K G Fa Klemmplatte
GB1327814A (en) * 1970-02-20 1973-08-22 Molyneux G Anchorages for track rails
GB1271186A (en) * 1970-03-24 1972-04-19 Elastic Rail Spike Company Ltd A railway rail and fastening assembly
US3696998A (en) * 1970-12-09 1972-10-10 Padinjarai Madom Narayanan Nai Device for holding down the rail to the sleeper in a railway track
US3970248A (en) * 1972-09-12 1976-07-20 George Molyneux Combined rail clip and anchorage
GB1448982A (en) * 1972-09-12 1976-09-08 Molyneux Rail Clips Ltd Combined rail clip and anchorage
GB1475989A (en) * 1973-05-21 1977-06-10 French M Clip devices
GB1553793A (en) * 1977-11-07 1979-10-10 Portec Inc Rail fastener
FR2436848A1 (fr) * 1978-05-22 1980-04-18 Ferroviaires Soc Dispositif d'attache elastique de voies ferrees
NL7903569A (nl) * 1979-05-07 1980-11-11 Everts & Van Der Weyden Nv Bevestigingshuis voor een railklem e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een betonnen dwarsligger met bevestigingshuis.
EP0027838B1 (en) * 1979-07-05 1983-06-29 RALPH McKAY LIMITED A rail fastener
WO1981000121A1 (en) * 1979-07-05 1981-01-22 Mckay Ralph Ltd Rail fastener
NL7906455A (nl) * 1979-08-28 1981-03-03 Everts & Van Der Weyden Nv Railklem.
DE2965999D1 (en) * 1979-10-26 1983-09-01 Mckay Ralph Ltd A rail clip holder
DE3003867A1 (de) * 1980-02-02 1981-09-10 Karl Richtberg Kg, 6530 Bingen Kraftschluessige und elastisch nachgiebige schienenbefestigung fuer gleisanlagen
DE3003881A1 (de) * 1980-02-02 1981-08-13 Karl Richtberg Kg, 6530 Bingen Spannbuegel fuer kraftschluessige und elastisch nachgiebige schienenbefestigungen mit formschluessigem seitenhalt von gleisanlagen
HU182120B (en) * 1980-04-03 1983-12-28 Schmitthelm Fa Ernst Flexible rail fastening device for concrete sleepers
GB2075580A (en) * 1980-05-06 1981-11-18 Pandrol Ltd Securing railway rails
AU537442B2 (en) * 1980-08-20 1984-06-21 Ralph Mckay Limited Rail fastening system
GB2085057B (en) * 1980-09-29 1984-05-16 Pandrol Ltd A rail clip and an assembly on a railway track which includes the clip
GB2095311B (en) * 1981-03-20 1985-02-20 Pandrol Ltd Reinforced insulating device for use in a railway track fastening
GB2106571A (en) * 1981-09-18 1983-04-13 Karmic Limited Insulated rail clip
BE892166A (nl) * 1982-02-17 1982-08-17 Hemiksem Betonkonst Pvba Verbeterde kleminrichting voor spoorstaven
DE3306860A1 (de) * 1983-02-26 1984-09-06 Klöckner-Werke AG, 4100 Duisbur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schienen auf stahlschwellen
FI72776C (fi) * 1983-05-30 1987-07-10 Fiskars Ab Oy Anordning foer faestande av en raels vid en syll.
DE3400110A1 (de) * 1984-01-04 1985-07-11 Karl Richtberg GmbH & Co. KG, 6530 Bingen Kraftschluessig-elastische schienenbefestigung fuer gleisanlagen
DE3411122A1 (de) * 1984-03-26 1985-10-03 BWG Butzbacher Weichenbau GmbH, 6308 Butzbach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schienen
DE3526653A1 (de) * 1985-07-25 1987-02-05 Vossloh Werke Gmbh Schienenbefestigung mittels einer elastischen spannklemme
US4632308A (en) * 1985-10-25 1986-12-30 Portec, Inc. Adjustable rail fastener assembly
DE3619417A1 (de) * 1986-06-10 1987-12-17 Salzgitter Peine Stahlwerke Betonschwelle
US4844337A (en) * 1987-03-27 1989-07-04 Chemetron-Railway Products, Inc. Railway rail assembly
DE3720381A1 (de) * 1987-06-19 1989-01-05 Vossloh Werke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eisenbahnschienen auf fester fahrbahn
FR2640652B1 (fr) * 1988-12-21 1991-05-24 Allevard Ind Sa Dispositif d'isolation pour patin de rail
FR2647821B1 (fr) * 1989-06-02 1991-09-20 Allevard Ind Sa Dispositif de fixation de rail de voie ferree sur un support
DE3918091A1 (de) * 1989-06-02 1990-12-06 Vossloh Werke Gmbh Schienenbefestigung auf betonschwellen od. dgl. mittels elastischer spannklemmen
FR2649138B1 (fr) * 1989-06-30 1996-10-11 Allevard Ind Sa Dispositif de fixation elastique d'un rail de chemin de fer sur son support
FR2657631B1 (fr) * 1990-01-30 1997-05-09 Allevard Ind Sa Dispositif de fixation de rail de chemin de fer sur un support en beton ou en met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04426U1 (ko) * 1988-04-02 1988-05-11 Laeis Gmbh, 5500 Trier, 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701A (ko) * 1998-09-30 2000-04-25 허영준 철도레일고정조립체
KR101070641B1 (ko) * 2010-12-13 2011-10-07 팬드롤코리아 주식회사 레일고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22744A1 (fr) 1993-07-01
CN1081732A (zh) 1994-02-09
SK284798B6 (sk) 2005-11-03
SK284799B6 (sk) 2005-11-03
JP3055804B2 (ja) 2000-06-26
DE69217991D1 (de) 1997-04-10
NO942294D0 (no) 1994-06-17
CN1077763A (zh) 1993-10-27
CA2126068C (en) 2000-05-16
UA42682C2 (uk) 2001-11-15
CZ145394A3 (en) 1995-08-16
CZ285016B6 (cs) 1999-05-12
SK284736B6 (sk) 2005-10-06
EP0619851B1 (en) 1997-03-05
AU3166993A (en) 1993-07-19
CZ285704B6 (cs) 1999-10-13
AU3167093A (en) 1993-07-19
JPH07506407A (ja) 1995-07-13
EG19913A (en) 1996-10-31
SI9200398B (sl) 2002-02-28
BR9207046A (pt) 1995-12-05
AU3166893A (en) 1993-07-19
SI9200398A (en) 1993-09-30
LV11909A (lv) 1997-12-20
ES2098724T3 (es) 1997-05-01
LV11910A (lv) 1997-12-20
HK120597A (en) 1997-09-05
SK284719B6 (sk) 2005-10-06
WO1993012294A1 (en) 1993-06-24
NO942295D0 (no) 1994-06-17
ATE152195T1 (de) 1997-05-15
FI942841A0 (fi) 1994-06-15
IN185923B (ko) 2001-05-19
CA2126068A1 (en) 1993-06-19
CZ145494A3 (en) 1995-06-14
EP0619852B1 (en) 1997-04-23
AU665971B2 (en) 1996-01-25
FI942840A (fi) 1994-06-15
NZ246189A (en) 1995-02-24
PH31101A (en) 1998-02-10
NO942294L (ko) 1994-08-17
RU94031205A (ru) 1996-08-27
SK73094A3 (en) 1995-01-12
EE03267B1 (et) 2000-04-17
RU2116397C1 (ru) 1998-07-27
ZW19792A1 (en) 1993-03-10
HK89397A (en) 1997-06-27
JPH07505932A (ja) 1995-06-29
ATE149593T1 (de) 1997-03-15
TW213500B (ko) 1993-09-21
AU665972B2 (en) 1996-01-25
NZ246187A (en) 1995-09-26
US5566882A (en) 1996-10-22
DE69219362D1 (de) 1997-05-28
GR3023843T3 (en) 1997-09-30
CZ285827B6 (cs) 1999-11-17
WO1993012295A1 (en) 1993-06-24
CN1044730C (zh) 1999-08-18
WO1993012296A1 (en) 1993-06-24
US5520330A (en) 1996-05-28
CN1044731C (zh) 1999-08-18
DK0619852T3 (da) 1997-06-16
DK0619851T3 (da) 1997-04-01
DE69217991T2 (de) 1997-06-12
HU9401835D0 (en) 1994-09-28
HU217378B (hu) 2000-01-28
EP0619852A1 (en) 1994-10-19
CN1074500A (zh) 1993-07-21
LV11910B (en) 1998-05-20
TR27337A (tr) 1995-01-13
JP3187050B2 (ja) 2001-07-11
HUT71180A (en) 1995-11-28
RU2125626C1 (ru) 1999-01-27
FI104579B (fi) 2000-02-29
CZ244897A3 (cs) 1999-04-14
EP0619851A1 (en) 1994-10-19
RU94031206A (ru) 1996-08-27
LV11909B (en) 1998-05-20
CZ285011B6 (cs) 1999-04-14
SK72994A3 (en) 1995-01-12
MY108141A (en) 1996-08-30
NO305403B1 (no) 1999-05-25
GR3023544T3 (en) 1997-08-29
ES2100517T3 (es) 1997-06-16
BR9207045A (pt) 1995-12-05
KR940703958A (ko) 1994-12-12
MX9207462A (es) 1993-07-01
TW226421B (ko) 1994-07-11
HUT72283A (en) 1996-04-29
KR100232090B1 (ko) 1999-12-01
IN185922B (ko) 2001-05-19
HU9401836D0 (en) 1994-09-28
SG54989A1 (en) 1998-12-21
TW227027B (ko) 1994-07-21
CA2126066A1 (en) 1993-06-19
HU217013B (hu) 1999-11-29
DE69219362T2 (de) 1997-08-07
FI942840A0 (fi) 1994-06-15
EE03266B1 (et) 2000-04-17
NO942295L (ko) 1994-08-17
NO304278B1 (no) 1998-11-23
FI104578B (fi) 2000-02-29
PL173489B1 (pl) 1998-03-31
FI942841A (fi) 1994-06-15
CA2126066C (en) 2000-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089B1 (ko) 철로 레일고정용 클립 및 레일조립체, 그리고 이들의 사용 방법
KR101497296B1 (ko) 철도 레일 체결 클립
CS235058B2 (en) Clamp for fastening of railway rail
US6923381B2 (en) Railway rail fastening clip and assembly
EP0826826B1 (en) Fastening railway rails
CA1039698A (en) Device for fastening a rail to a cross tie, holder and clip for the application of such a fastening device
BR112013019664B1 (pt) grampo de fixação de trilho para estrada de ferro
US4150792A (en) Rail fastener
CA1113908A (en) Rail fasteners
KR920006424B1 (ko) 철도레일 체결용 클립 및 철도레일 체결 조립체
RU199291U1 (ru) Опорный изолятор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CN217710109U (zh) 铁轨底板组件
CN217710108U (zh) 铁轨紧固组件
JPS6120082Y2 (ko)
KR100587828B1 (ko) 탄성 철도레일 고착클립 및 관련 고착클립 고정장치
RU24837U1 (ru)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LT4439B (lt) Geležinkelio bėgių tvirtinimo laikiklis, jo mazgas ir pritaikymo būd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