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717B1 - 용지 급송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급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717B1
KR0181717B1 KR1019940034394A KR19940034394A KR0181717B1 KR 0181717 B1 KR0181717 B1 KR 0181717B1 KR 1019940034394 A KR1019940034394 A KR 1019940034394A KR 19940034394 A KR19940034394 A KR 19940034394A KR 0181717 B1 KR0181717 B1 KR 018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ecording
paper feed
feed roller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693A (ko
Inventor
히로유끼 사이또
데쯔오 스즈끼
마꼬또 가시무라
마사히로 다니구로
고이찌 단노
하루유끼 야나기
데쯔히로 니따
마꼬또 가와라마
히로유끼 기노시따
마사야 신마찌
아트 밍 탄
겐따로 오오누마
세이지 오가사와라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5001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5Lateral guides, e.g. guides for preventing skewed conveyance of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26Registering devices
    • B41J13/28Front lays, stops, or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Ticket-Dispens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수단과,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용지를 송출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과, 그리고 용지가 회전 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에 의해 급송되는 동안에 용지의 일측면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용지를 회전시킴으로써 용지의 이상 급송을 보정하는 이상 급송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용지 급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용지 급송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용지 급송 장치의 평면도.
제3도 및 4도는 용지 급송 장치의 구동력 전달 기구들의 측면도.
제5도 및 6도는 용지 급송 장치의 측면도.
제7도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단면도.
제8도는 용지 공급 롤러의 사시도.
제9a, b도는 용지 공급 롤러의 측면도.
제10a, b도, 제11a, b도, 제12a, b도, 제13a, b도, 및 제14a도 내지 e도는 용지 공급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제15a, b도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제어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16도는 실시예 2에 따른 용지 공급 롤러의 사시도.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된 용지 공급 롤러의 측면도.
제18도는 실시예 3에 따른 용지 공급 롤러의 사시도.
제19a, b도는 실시예 4에 따른 용지 공급 롤러의 측면도.
제20도는 실시예 5에 따른 용지 공급 롤러의 사시도.
제21a도는 실시예 6에 따른 용지 공급 롤러의 사시도이며, 제21b도 내지 f는 a에 도시된 용지 공급 롤러의 타이밍 챠트.
제22a, b도, 제23a, b도, 제24a 및 b도는 실시예 6에 따른 용지 공급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제25a, b도, 제26a, b도, 제27a, b도, 제28a 및 b도는 실시예 7에 따른 용지 공급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제29a, b도, 제30a, b도, 제31a 및 b도는 실시예 8에 따른 용지 공급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제32a 내지 e도는 종래 용지 급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지 공급부 3 : 분리 포올
4 : 안내부 5 : 기부
6 : 가압판 9, 12 : 해제 캠
13 : 용지 급송부 14 : 이송 롤러
15: 핀치 롤러 24 : 기록 헤드
26 : 캐리지 28 : 안내부
33 : 용지 송출부 41 : 구동력 절환 아암
p : 기록 용지 ADF : 자동 용지 급송 장치
2X, 2Y : 용지 공급 롤러부
본 발명은 팩시밀리, 복사기, 프린터 등과 같은 기록 장치 내에 사용되는 용지 급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를 하나씩 분리 및 공급하기 위한 용지 급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프린터, 복사기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인 용지뿐만 아니라 우편 엽서 및 봉투 등과 같은 두꺼운 용지 또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특정 용지가 기록 용지로 사용되어 왔다. 이 기록 용지는 용지를 수동으로 하나씩 삽입함으로써 또는 자동 용지 급속 장치(ADF)에 의해 자동 및 연속적으로 용지를 하나씩 급송함으로써 공급된다.
기록 장치에 사용되는 자동 용지 급속 장치의 예가 제32a 내지 e도에 도시되어 있다. 기록 장치(51)는 기록 용지(P)를 하나씩 분리 및 공급하기 위한 자동 용지 급송 장치(52)와 공급된 용지 상에 화상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제3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54) 상에 위치하는 기록 용지(P)는 압축스프링(55)에 의해 용지 공급 롤러(56)와 동축상으로 배치된 롤러(57)에 압착되어 있고, 분리 포올(pawl, 58)은 가압판(54)의 전방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제3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공급 롤러(56)의 회전에 의해 송출된 기록 용지(P)는 분리 포올(58)에 의해 하나씩 분리되고, 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된 용지는 소정의 양만이 이송 롤로(60)와 핀치 롤러(61) 사이에 공급되도록 안내부(59)에 의해 안내된다. 이 후, 이송 롤러(60)는 기록 용지 (P)를 되돌려 보내기 위해 역회전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용지 공급 롤러(56)는 기록 용지(P)를 접속시키는 동안 정지되어, 이송 롤러(60)에 의해 되돌아 온 기록 용지 탄성에 의해 용지 공급 롤러가 용지 급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용지 공급 롤러를 회전시키려는 힘을 받는다. 그러나, 용지 공급 롤러(56)의 역회전은 (도시되지 않는) 일반방향 클러치와 같은 역회전 방지 기구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기록 용지(P)는 되돌아오지 않는다.
그 결과로, 기록 용지(P)의 선단부는 이송 롤러(60)와 핀치 롤러(61) 사이의 닙(nip)에 도달하게 되고, 제3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롤러(60)와 용지 공급 롤러(56) 사이의 기록 용지(P)에 루프(loop)가 형성되게 된다. 이 루프가 형성됨으로써, 기록 용지(P)의 선단부는 이송 롤러(60)와 핀치 롤러(61) 사이의 닙으로 압착되고, 따라서 기록 용지(P)는 선단부는 부주사(sub-scan) 방향(용지 급송 방향)에 수직한 직선과 정렬되도록 보정된다. 이후에, 제32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롤러(60)를 구동함으로써 기록 용지(P)는 기록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용지 공급 롤러(56)는 기록 용지의 이동에 이해 구동되고 용지 공급 롤러의 절취부가 기록 용지(P)와 거의 평행하게 되는 대기 조건에서 정지되며, 롤러(57)는 기록 용지(P)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기존의 자동 용지 급송 장치(52)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이를테면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의 수가 증가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제어가 복잡하게 되고 용지 급송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기록 장치(51)의 종류가 제한되기 때문에 한 종류의 용지 급송 장치를 다양한 종류의 기록 장치들에 적용하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기록 용지(P)가 자동 용지 급송 장치(52)로부터 공급된 후부터 기록부(53)에서 기록 용지 상에 화상이 기록되기 전까지의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어 작동을 단순화함으로써 다양한 기록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부품의 개수가 감소된 용지 급송 장치와, 이 용지 급송 장치가 합체될 수 있고 기록 용지가 공급된 후부터 화상이 기록 용지 상에 기록되기 전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급송 장치는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수단과,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용지를 송출하기 위한 회전식 용지 공급 수단과, 용지가 급송되는 동안에 이 용지의 표면을 포함한 평면내에서 이 용지를 회전시킴으로써 용지의 이상 급송(skew-feed)을 보정하기 위한 이상 급송 보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 급송 보정 수단은 회전식 용지 공급 수단을 급송되는 용지와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용지는 상이한 타이밍으로 용지 상에 이 분리 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회전되게 된다. 선택적으로, 이상 급송 보정 수단은 회전식 용지 공급 수단에 의해 급송된 용지의 급송량이 용지의 좌,우측에서 다르게 되어 이 용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잉크 제트 기록 장치 내에 사용되는) 용지 급송 장치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용지 급송 장치의 평면도이고, 제3도 및 제4도는 용지 급송 장치의 구동력 전달 기구의 측면도이고, 제5도 및 제6도은 용지 급송 장치의 측면도이고, 제7도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단면도이고, 제8도, 제9a 및 b도는 용지 공급 롤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10도a 내지 제14b도는 용지 공급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15a 및 b도는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제어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제1도 내지 제9b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자동 용지 급송 장치(ADF)를 합체시킨 기록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기록 장치는 용지 공급부, 용지 급송부, 용지 송출부, 운반부 및 세척부 등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용지 공급부를 설명하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공급부(1)는 경사진 상태(대략 30˚ 내지 60˚로 경사짐)로 기록 장치의 본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화상이 기록되는 기록 용지(P)는 수평으로 송출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공급부(1)는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로 구성되는] 용지 공급 롤러, 분리 포올(pawl, 3), 가동 측안내부(4), 기부(5), 가압판(6), (제5도에 도시된) 가압판 스프링(7; 제5도 참조), [입력 기어(8a), 아이들 기어(8b, 8c, 8e) 및 용지 공급 롤러 기어(8d)로 구성되는] 구동 기어, 해제 캠(9), 포올 스프링(10), 해제 레버(11) 및 해제 캠(12)을 포함한다. 가압판(6)이 해제 캠(9)에 의해 제5도에 도시된 위치로 하향압착되기 때문에, 기록 용지(P)는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기록 용지(P)가 설정된 후 이송 롤러(14)의 구동력(하기에 설명됨)은 구동기어(8a 내지 8f)를 통해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와 해제 캠(9)에 전달되게 된다. 해제 캠(9)이 가압판(6)으로부터 분리될 때, 이 가압판(6)은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와 기록 용지(P)를 접촉시키도록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상승된다. 이후에, 용지 공급 롤러가 회전될 때, 기록 용지는 들려져서 분리 포올(3)에 의해 하나씩 분리된다. 분리된 기록 용지(P)는 이후에 설명될 용지 급송부(13)로 보내진다. 용지 공급 롤러부(2X, 2Y) 및 해제 캠(9)은 기록 용지(P)가 용지 급송부(13)로 보내질 때까지 한 바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가압판(6)은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로부터의 구동력이 기록 용지에 전달되지 않도록(초기 상태가 되도록)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로부터 해제된다. 이 초기 상태는 다음 기록 용지가 공급될 때까지 유지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급송부(13)는 전술한 이송 롤러(14), 핀치 롤러(15), 핀치 롤러 안내부(16), 핀치 롤러 스프링(17), PE 센서 레버(18), PE 센서(19), PE 센서 스프링(20), 상부 안내부(21), 플래튼(2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용지 급송부(13)에 보내진 기록 용지(P)는 이송 롤러(14)와 핀치 롤러(15) 사이의 닙에 보내지도록 플래튼(22), 상부 안내부(21) 및 핀치 롤러 안내부(16)에 의해 안내된다. PE 센서 레버(18)는 용지 급송 방향에서 한쌍의 롤러(14, 15)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기록 개시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록 용지(P)의 선단부를 검출하도록 작동한다. 핀치 롤러(15)는 핀치 롤러 스프링(17)에 의해 핀치 롤러 안내부(16)를 편향시킴으로써 이송 롤러(14)에 대해 압착되고, 따라서 핀치 롤러(15)는 이송 롤러(14)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어 기록 용지(P)의 이송력을 발생시킨다. 이송 롤러(14)와 핀치 롤러(15) 사이의 닙에 보내진 기록 용지(P)는 LF 모터(23)에 의해 이송 롤러(14)와 핀치 롤러(15)를 회전시킴으로써 소정의 양만큼 기록 개시 위치로 보내지게 된다. 그리고 나서, 소정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은 기록 헤드(24)에 의해 기록 용지 상에 기록된다.
기록 헤드(24)는 이송 롤러(14)와 핀치 롤러(15)에 의해 급송된 기록 용지(P)상에 잉크 화상을 기록하도록 작동한다.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화상을 기록하는 잉크 제트 기록 방법이 기록방법으로서 사용된다. 즉, 상기 기록 헤드는 미세한 액체 토출구(오리피스)와, 액체 통로와, 상기 액체 통로 내에 배치된 에너지 작동부와, 에너지 작동부 상에 위치된 액체에 작동하는 액적 발생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발생 수단은 압전 요소와 같은 전기-기계 변환 요소가 사용되는 기록 방법, 또는 액체 상에 레이저와 같은 전자기파를 조사하여 액체를 가열함으로써 액적이 토출되는 기록 방법, 또는 열 저항체를 갖는 가열 요소와 같은 전기열 변환 요소에 의해 액체를 가열함으로써 액체가 토출되는 기록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방법 중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액체를 토출하는 잉크 제트 기록 방법에서, 기록 액적을 토출하는 액체 토출구(오리피스)는 기록 헤드에 고밀도로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고분해능을 갖는 기록이 행해질 수 있다. 기록 헤드 중에서, 에너지 발생 수단으로서 전기열 변환 요소를 사용하는 기록 헤드는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IC 기술 및/또는 미세 작업 기술(기술의 진보 및 신뢰성이 현재의 반도체 분야에서 현저히 개선되었음)의 장점을 완전히 이용할 수 있고, 고밀도로 장착될 수 있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부(25)는 기록 헤드(24)가 장착된 캐리지(26)와, 캐리지(26)가 용지 급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주사)하는 안내축(27)과, 캐리지(26)의 후단부를 유지하고 기록 헤드(24) 및 기록 용지(P) 사이를 소정의 거리로 유지하는 안내부(28)와, 캐리지 모터(29)의 구동력을 캐리지(26)로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30)와, 타이밍 벨트(30)를 인장시키는 아이들 풀리(31)와, 구동 신호를 전기 기판으로부터 기록 헤드(24)로 전달하는 가요성 케이블(32)을 구비하고 있다. 기록 헤드(24)에는 교환가능한 기록 헤드 유니트를 구성하도록 잉크 탱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캐리지(26)와 함께 이 기록 헤드를 이동시킴으로써, 잉크 화상이 플래튼(22) 상으로 이송된 기록 용지(P) 상에 기록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송출부(33)는 송출 롤러(34)와, 이송 롤러(14)의 구동력을 송출 롤러(34)에 전달하는 전달 롤러(35)와, 기록 용지(P)의 송출을 돕는 스퍼어(spur, 36)와, 송출 트레이(tray, 37)를 구비하고 있다. 송출 롤러(34) 및 스퍼어(36)는 기록 요지의 기록 면을 더럽히지 않고 화상이 기록되는 기록 용지(P)를 송출하도록 작동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38)는 기록 헤드(24)를 세척하기 위한 펌프(39)와, 기록 헤드(24)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캡(40)과, 이송 롤러(14)로부터 구동력의 전달을 용지 공급부(1) 및 펌프(39) 사이에서 절환하기 위한 구동력 절환 이암(41)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동력 절환 아암(41)은 용지 공급 작동 및 세척 작동을 제외하고는 제1도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 설정된다. 상기 위치에서, 이송 롤러(14)의 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유성 기어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송 롤러(14)의 구동력은 용지 공급부(1) 및 펌프(39)에 전달되지 않는다. 구동력 절환 아암(41)이 캐리지(26)의 이동에 의해 제1도의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유성 기어는 이송 롤러(14)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따라서 이송 롤러(14)가 정회전될 때 이송 롤러의 구동력은 용지 공급부로 전달되고 이송 롤러가 역회전될 때 이송 롤러의 구동력을 펌프(39)로 전달되게 된다.
더욱이, 이송 롤러(14)를 구동하기 위한 LF 모터(23)와 캐리지(26)를 구동하기 위한 캐리지 모터(29)는 대응 구동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각도 만큼 회전하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용지 공급 롤러부(2X, 2Y) 주위로 코팅된 롤러 고무 부분(2a)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센서 판(42)은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를 구비한 용지 공급 롤러에 부착되게 된다. 가압판(6)이 해제 캠에 의해 해제되는 제5도에 도시된 위치에 해제 캠(9)이 위치 설정될 때에만 제7도에 도시된 전기 기판(43) 상에 제공된 롤러 센서(44; 광 차단기)와 정렬되는 노치를 센서 판(42)이 구비하여, 센서의 발광부의 광선이 센서의 수광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센서 판(42)의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각도 위치와 상기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같은 위상으로 구동되는 해제 캠(9)의 각도 위치가 검출될 수 있어, 기록 용지(P)의 용지 공급 공정에 제어 타이밍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용지 공급부(1)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공급부(1)에는 다양한 부품 및 요소가 기부(5)에 부착되어 유니트를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용지 공급부(1)는 용지의 일측면을 근거로 하여 기록 용지를 상호 정렬하기 위한 하나의 기준 측면을 갖고, 하나의 기준 측면은 기부(5)의 우측 판(5b)에 의해 한정된다. 기부(5)는 가압판(6)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될 수 있고 용지 공급 롤러부(2X, 2Y)(2b)에 대한 반작동 상태로 가압판 스프링(7) 내에 배치되어 있는 리세스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6)은 상단부에서 가압판의 양 측면 상에 제공된 핀(6a)을 통해 기부에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이 가압판은 상기 핀(6a)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 가죽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로 제조된 분리 패드(45)는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에 대한 반작동 상태로 가압판(6)에 고착되어 가압판 상에 안착된 기록 용지의 개수가 현저히 감소될 때 기록 용지의 이중 용지 급송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좌,우측으로 이동가능한 가동 측면 안내부(4)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기록 용지(P)가 이동 안내부에 의해 용지 기준면에 대해 용지를 인접시킴으로써 설정될 수 있도록 가압판(6) 상에 장착된다.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로 구성되는 용지 공급 롤러의 양단부는 기부(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에는 롤러부(2b)와 축부(2c)가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용지 공급 롤러가 제공된다. 롤러 고무(2a)는 기록 용지(P)의 이송을 돕도록 대응 롤러부(2b) 상에 코팅되어 있다. 이 롤러부(2b)는 절취부를 갖는 D형(반원형) 단면을 갖는다.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에 부착된] 롤러 고무(2a)보다 0.5 내지 3㎜ 정도 작은 반경을 각각 갖는 추가 롤러(46)는 용지 공급 작동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록 용지(P)가 롤러부(2b)와 접촉하지 않도록 롤러부(2b)의 외단부에 제공되어, 기록 용지의 손상(smudge) 및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위치 이탈을 방지한다.
더욱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2c)에는 2개의 용지 공급 롤러부(2X, 2Y)가 부착되어 있고, 이들 롤러부(2X, 2Y)는 용지 기준면[우측 판(5b)]으로부터 대략 40 및 170㎜ 만큼 이격된 위치에 각각 위치한다. 그러므로, A4 크기의 용지와 같은 기록 용지는 2 개의 롤러부(2X, 2Y)에 의해 이송되고 우편 엽서와 같은 기록 용지는 용지 기준면 근처의 한개 롤러부(2X)에 의해 이송된다. 또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고무(2a)보다 큰 반경을 갖는 리브(2d)는 각각의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롤러부(2b)의 양측면에 배치되어있다. 각각의 리브(2d)의 외주연 길이부(이하 분리 영역이라 칭함)는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기준면 근처의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롤러부(2b)에 대해서는 1㎜이고 제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기준면에서 먼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롤러부(2b)에 대해서는 3㎜이다. 그리고,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분리 영역은 서로 동일한 반경 및 서로 동일한 각도 위치(절취부의 중앙으로부터 α˚)를 갖는다.
세척부(38)의 구동력 절환 아암(41)은 이송 롤러(14)를 정회전시키도록 캐리지(26)에 의해 A 방향으로 이동되고, 유성 기어(도시되지 않음)는 제4도에 도시된 입력 기어(8a)와 치합되도록 이동되어 구동력을 용지 공급부(1)로 전달하게 된다. 입력 기어(8a)는 용지 공급 롤러 기어(8d)에 아이들 기어(8b,8c)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여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를 회전시켜서 기록 용지(P)를 공급하게 된다. 더욱이, 용지 공급 롤러 기어(8d)는 클러치 기어(8e)와 아이들 기어(8f)를 통해 해제 캠(9)으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 경우에,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와 해제 캠(9)이 서로 동일한 각도 위상을 갖기 때문에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6)이 해제될 때(제4도 및 제5도 참조)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절취부는 가압판(6)을 향하게 된다.
해제 캠(9)은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절취부가 (대략 120도 정도의 중심각으로) 가압판에 대향하는 동안에만 가압판(6)을 해제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절단부 이외의) 부분이 가압판(6)에 대향하는 때에 200 내지 500 gf의 힘으로 기록 용지(P) 또는 가압판(6)에 대해 접촉 가압하게 된다. 더욱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5)의 우측 판(5b) 내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돌출된 가압판(6)의 압착부(push-down portion, 6b)가 해제 캠(9)에 의해 하향 압착될 때 가압판(6)이 해제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 캠(47)은 기부(5)에 부착되고 가압판(6)의 압착부(6b) 근처에 배치된 캠(6c)이 하향으로 압착될 때 가압판 캠(47)은 지레점(47a) 주위를 회전하게 되어 압착부(6b)에서 멀리 배치된 캠(6d)을 누르게 된다.
이러한 배치로, 가압판(6)의 단부 근처에 배치된 압착부(6b)가 눌러질 때 가압판은 기부(5)에 대해 경사지지 않고, 따라서 가압판은 기부와 거의 평행하게 해제된다. 클러치 스프링(48)은 클러치 기어가 제3도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스프링이 견고히 결합되어 클러치 기어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클러치 기어(8e) 내에 배치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포올(3)은 지레점(3a)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고 20 내지 100 gf의 압력으로 가압판(6) 또는 기록 용지(P)에 대해 압착된다. 분리 포올(3)은 용지 공급 작동 중에 소위 통상의 용지를 포함하는 기록 용지(P)를 분리시키도록 작동한다. 분리 포올(3)은 용지 기준면 근처에 위치하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용지의 한 전방 코너를 덮는 삼각형 상부 표면을 구비한다. 기록 용지(P)는 이것들이 삼각형 포올로부터 저항력을 받을 때에 하나씩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두꺼운 용지와 같은) 통상의 용지 외의 기록 용지는 하부 안내부(5a)의 저항력을 이용하기 위해 [분리 포올(3)에 의해 포획되지 않고서도] 기부(5)의 (제5도에 도시된) 하부 안내부(5a)에 대해 상기 용지를 접촉 가압함으로써 하나씩 분리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레버(11) 및 해제 캠(12)은 해제 캠(9)과 동축상에 있는 축 상에 배치된다. 해제 레버(11) 및 해제 캠(12)은 해제 캠(9)과 동기화 되지 않고 기록 용지(P)를 세팅하도록 작업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해제 레버(11) 및 해제 캠(12)은 서로 치합되어 있다. 해제 레버(11)는 3가지 위치, 즉 (1) 급송 위치, (2) 두꺼운 용지 설정 위치 및 (3) 통상의 용지 설정 위치 중의 하나에 설정될 수 있고, 3가지 위치는 대략 20 내지 50도 정도로 상호 각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기어비는 해제 캠(12)이 해제 레버(11)의 3가지 위치에 대응되게 대략 90도 만큼 회전되도록 선택된다.
급송 위치에서, 해제 캠(12)이 가압판(6)의 압착부(6b) 만을 하향으로 압착하기 때문에 해제 캠의 작동력은 분리 포올(3)의 압착부(3b) 상에 작동하지 않는다.
두꺼운 용지 설정 위치에서, 해제 캠(12)이 가압판(6)의 압착부(6b) 만을 하향으로 압착하므로, 분리 포올(3)이 가압판(6)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그 결과 두꺼운 용지(P)는 분리 포올(3)에 의해 포획됨이 없이 설정될 수 있다.
통상의 용지 설정 위치에서, 해제 캠(12)이 가압판(6)의 압착부(6b)와 분리 포올(3)의 압착부(3b)를 하향으로 압착하므로, 분리 포올(3)은 가압판(6)에 대해 상승하게 되고 그 결과 통상의 용지(P)는 분리 포올(3)에 의해 포획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용지 공급 롤러 기어를 제외한) 전술한 기어들, 분리 포올(3), 해제 레버(11) 및 해제 캠(12)은 기부(5)의 우측 판(5b)에 장착된 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음으로, 용지 공급부(1)의 분리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용지 공급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첫째로, 기록 용지(P)의 전방 코너를 규제하기 위한 분리 포올(3)이 가압판의 단지 일측면에만 배열된다면, 제10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기록 용지(P)는 분리 포올이 존재하지 않는 측면을 향해 분리 포올(3)의 주위에서 하강하게 구성된다.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와 접촉하고 있는 기록 용지(P)의 용지 공급 작동은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태로부터 시작된다.
이어서, 제11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공급 롤러부(2X, 2Y)가 계속 회전될 때, 최상부의 기록 용지(P)는 분리 포올(3) 위로 올라가서 다른 기록 용지로부터 분리된다. 분리 포올(3)의 분리 작동이 제12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됨과 동시에, 분리된 기록 용지는 적층된 기록 용지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경사져 있게 된다. 분리 포올(3)의 분리 동작이 완료된 후에,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리브(2d)는 기록 용지(P)와 접촉하기 시작하여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가 기록 용지(P)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달성된다. 리브(2d)가 작은 마찰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의 용지 공급 롤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급된 기록 용지(P)와 가압판(6) 상에 적층된 기록 용지(P) 사이의 마찰력은 공급된 기록 용지(P)와 용지 공급 롤러 사이의 마찰력보다 크게 되고, 그 결과 공급된 기록 용지(P)가 마찰력의 차이로 인해 정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브(2d)는 기록 용지(P)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분리 수단으로서 작동하게 된다.
제13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기준면으로부터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분리 영역(리브)과 기록 용지(P) 사이의 접촉 길이가 용지 기준면에 가까운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분리영역(리브)과 기록 용지(P) 사이의 접촉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공급되는 기록 용지(P)는 용지 기준면으로부터 먼 용지 공급 롤러부(2Y) 주위를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기록 용지(P)의 모서리(용지 기준면의 근처)는 기부(5)의 우측 판(5b; 용지 기준면)에 대해 접촉 가압된다. 만약 기록 용지(P)가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면, 두 개 롤러부(2b) 각각의 분리 영역들 사이의 길이 차이로 인하여 기록 용지(P)는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로부터 이격되어 떨어질때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록 용지(P)의 (용지 기준면에 근접하는) 일측 모서리가 기부(5)의 우측 판(5b)에 대해 접촉 가압될 때, 반시계 방향으로 지향하는 회전력이 발생되고, 이 회전력은 공급되는 기록 용지(P)와 가압판(6) 상에 적층되어 있는 기록 용지(P)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게 되고 그 결과 기록 용지(P)는 롤러부(2b)가 미끄러지는 동안 용지 공급 방향에 평행하게 지향되도록 보정된다.
한편, 상기 용지가 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양 롤러부(2b) 각각의 분리 영역들 사이의 길이 차이로 인하여 기록 용지(P)는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로부터 떨어져 이격될 때까지 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기록 용지 (P)가 분리 영역에 도달하여 롤러부(2b)가 미끄러지는 상태로 될 때, 기부(5)의 우측 판(5b)에 근접하는 기록 용지의 측면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발생되고, 이 힘은 공급되는 기록 용지(P)와 가압판(6) 상에 적층되어 있는 기록 용지(P)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게 되고 그 결과 기록 용지(P)는 용지 공급 방향에 평행하게 지향되도록 보정된다. 또한, 용지 기준면에 다소 근접한 롤러부(2b)의 분리 영역이 기록 용지(P)로부터 벗어나는 타이밍을 다른 롤러부(2b)와 비교하여 다소 빠르게 설정함으로써, 기록 용지가 기부(5)의 우측 판(5b)에 대해 접촉 가압될 때 반시계 방향으로 발생하는 회전력으로 인하여 용지 기준면에 근접하는 기록 용지(P)의 측면이 우측 판(5b)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0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t; 대략 1㎜)은 분리 포올(3) 근처의 일측면에서만 기록 용지(P)를 지지함으로써 야기된 경사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간극을 없애기 위해 필요한 적층된 기록 용지(P)의 회전량은 상기 간극과 2개의 롤러부(2b)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계산된다. 양 롤러부(2b) 사이의 활주량 차이는 계산된 결과로부터 결정된다.
다음으로, 용지 공급부(1)의 제어 작동이 제14a 내지 e도에 도시된 작동 상태를 참조하면서 제15a 및 b도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용지 공급 롤러가 소정의 초기 위치에 위치 설정될 때 또는 용지 공급 롤러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때(문제 발생 상태일 때), 용지 공급부(1)의 제어 작동이 효과적일 수 있다. 우선, 용지 공급 롤러가 소정의 초기 위치에 위치 설정될 때 이루어지는 제어 작동을 설명한다.
제15a 및 b도에서, 용지 공급 개시 신호가 단계 S1에서 지시될 때 캐리지(26)를 변위시킴으로써 구동력 절환 아암(41)이 변위되어 이송 롤러(14)의 구동력을 용지 공급부(1, ASF 위치)로 전달한다. 이 후에, 단계 S2에서 롤러 센서(44)의 상태를 검사함으로써 용지 공급 롤러부(2X, 2Y)가 초기 상태에 있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용지 공급 롤러부(2X, 2Y)가 초기 위치에 있다면(예라는 응답이 나온다면) 이 프로그램은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반면에 아니오라는 응답이 나온다면 이 프로그램은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용지 공급 롤러가 초기 위치에 있다면 단계 S3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단계 S4에서 센서 판(42)의 모서리가 검출된다. 센서 판이 검출된 후 LF 모터(23)의 구동 펄스의 개수 N1을 계수함으로써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각도 위치는 정확하게 감시되어 고도의 정확성으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용지 공급 롤러부(2X, 2Y)가 대략 60˚만큼 회전되어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의 원통부가 기록 용지(P)와 대면하게 될 때,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와 동기 상태로 회전되는 해제 캠(12)은 가압판(6)을 해제시킨다. 그 결과로, 기록 용지(P)가 가압판 스프링(7)의 편향력에 의해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에 대해 압착되므로 기록 용지(P)의 이송력이 발생하게 된다(제14a도 참조). 그리고 나서, 단계 S6에서 이송되는 기록 용지(P)의 선단부는 PE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단계 S7에서 선단부가 검출될 때 LF 모터의 펄스 계수(N1)는 N2로서 저장된다.
단계 S8 및 단계 S9에서, (소정의 펄스 X)N2(소정의 펄스 Y) 라는 관계가 성립할 때 상기 상태가 정상이라는 것이 판단된다. 만약 정상이라면, 프로그램은 단계 S10으로 진행하고, 이 경우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는 이들이 기록 용지(P)에 대향하게 되는 초기 위치까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 중에, 가압판(6)의 압착부(6b)는 해제 캠(12)에 의해 다시 하향으로 압착되고, 가압판(6)은 (제1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해제된다.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회전이 완료된 후, 기록 용지(P)의 선단부는 이송 롤러(14)와 핀치 롤러(15)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용지 공급 롤러부(2X, 2Y)가 초기 위치까지 회전하게 될 때 기록 용지(P)의 선단부는 구동력 펄스 계수(N2)에 의해 계산된다.
단계 S11에서, 펄스 계수(N2)가 소정의 펄스 Z보다 크다면, 기록 용지(P)의 선단부는 기록 헤드(24)의 노즐의 하류 측에 위치하게 된다. 단계 S12에서 캐리지(26)가 변위되고, 단계 S13에서 LF 모터(23)는 역회전하여 이송 롤러(14)로부터 11.5㎜ 만큼 이격된 위치로 기록 용지(P)의 선단부를 복귀시킨다. LF 모터(23)의 역회전량은 펄스 계수(N2)에 의해 계산된다. 이러한 경우 캐리지(26)가 단계S12에서 변위되므로 구동력 절환 아암(41) 또한 변위되어 이송 롤러(14)의 구동력이 용지 공급부(1)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단계 S14에서 이송 롤러(14)는 기록 용지가 기록 헤드(24)의 노즐로부터 1.5 ㎜의 마진(margin)을 갖고서 위치 설정(제14e도 참조)되도록 기어 내의 백래쉬(backlash)를 제거하고 기록 용지(P)를 0.7㎜만큼 이송하는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후에, 용지 공급 작동이 종료하게 된다.
단계 S11에서, 펄스 계수(N2)가 소정의 펄스 Z보다 작다면, 기록 용지(P)의 선단부는 기록 헤드(24)의 노즐의 상류측에 위치 설정(제14d도 참조)되는 것을 판단한다. 이 후에. 단계 S15에서 캐리지(26)는 변위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 롤러(14)를 역회전시킴으로써 구동력 절환 아암(41)은 변위되어 이송 롤러(14)의 구동력이 용지 공급부(1)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 후에, 단계 S16에서 이송 롤러(14)는 기록 용지가 기록 헤드(24)의 노즐로부터 1.5㎜의 마진을 갖고서 위치 설정(제14e도 참조)되도록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후에, 용지 공급 작동이 종료하게 된다.
한편, 단계 S9에서 기록 용지의 선단부가 검출될 때 LF 모터의 펄스 계수(N2)가 소정의 펄스 Y보다 크다면, 기록 용지(P)의 선단부가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일회전에 의해서만 이송 롤러(14)와 핀치 롤러(15) 사이의 닙에 도달할 수 없을 정도로 기록 용지(P)와 용지 공급 롤러부(2X, 2Y) 사이에 미끄럼(slip)이 발생하는 문제 발생 상태가 생긴다고 판단된다. 이어서, 프로그램은 단계 S17로 진행한다.
단계 S17에서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는 초기 위치까지 회전하고, 단계 S18에서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는 한 바퀴 더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 S19에서 캐리지(26)는 변위된다. 단계 S20에서 이송 롤러(14)는 역회전되어 기록 용지(P)의 선단부를 이송 롤러(14)로 복귀시킨다(제14c도 참조). 캐리지의 변위 이동으로 인하여 구동력 절환 아암(41)이 변위되어 이송 롤러(14)의 구동력은 용지 공급부(1)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 후에, 단계 S21에서 이송 롤러(14)는 기록 용지는 기록 헤드(24)의 노즐로부터 1.5 ㎜의 마진을 갖고서 위치 설정(제14e도 참조)되도록 소정의 펄스 수만큼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후에, 용지공급 작동이 종료된다.
단계 S8에서, 기록 용지의 선단부가 검출될 때, LF 모터의 펄스 계수(N2)가 소정의 펄스(X)보다 작다면, 기록 용지(P)가 용지 공급 작동이 시작되기 전에 하류 측을 향해 변위되고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리브(2d)는 기록 용지(P)와 접촉하게 되어 용지 공급 롤러고무(2a)와 기록 용지(P)를 분리시키고, 따라서 기록 용지의 선단부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없게 되는 문제 발생 상태가 생긴다고 판단된다. 이어서, 프로그램은 단계 S22로 진행한다.
단계 S22에서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는 초기 위치까지 회전하고, 단계 S23에서 캐리지(26)는 변위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 S24에서 이송 롤러(14)가 역회전하여 기록 용지(P)의 선단부를 이송 롤러(14)로 복귀시킨다(제14c도 참조). 캐리지의 변위 이동으로 인하여 구동력 절환 아암(41)이 변위되고, 따라서 이송 롤러(14)의 구동력이 용지 공급부(1)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단계 S25에서 이송 롤러(14)는 기록 용지가 기록 헤드(24)의 노즐로부터 1.5㎜의 마진을 갖고서 위치 설정(제14e도 참조)되도록 소정의 펄스 수 만큼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후에, 용지 공급 작동이 종료하게 된다.
단계 S6에서, PE 센서(19)가 온 상태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프로그램은 단계 S26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는 초기 위치까지 회전하게되고, 단계 S27에서 롤러 센서(44)가 온 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된다. 만약 그러하다면, 프로그램은 단계 S28로 진행하고, 여기서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는 다시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 S29에서 센서 판(42)의 모서리가 검출된다면[롤러 센서가 오프 된다면] 프로그램은 단계 S30으로 진행하고, 여기서 LF 모터(23)의 구동력 펄스 계수(N1)은 센서 판의 모서리가 검출된 후에 계수되어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각도 위치를 정확히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단계 S31에서 기록 용지(P)의 선단부가 검출된다면[PE 센서가 온 된다면] 프로그램은 단계S7로 진행한다. 한편, 선단부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프로그램은 단계 S32로 진행하고, 여기서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는 초기 위치까지 회전하고 그곳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용지 공급 작동은 종료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배치로, 용지 공급 작동 제어가 단순화되고 기록 장치의 구성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자동 용지 급송 장치(ADF)가 다양한 종류의 기록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용지 공급부의 구성이 단순화되기 때문에 부품의 개수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기록 용지가 자동 용지 급송 장치(ADF)로부터 기록부로 아주 짧은 시간 내에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고속 기록을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롤러부(2b)의 분리 영역이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갖고 용지 공급 롤러 고무 (2a)보다 작은 마찰 계수를 갖는 롤러부(2b) 상에 형성된 리브(2d)에 의해 한정되지만,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2a')가 롤러 고무(2a) 상에 형성될 수 있거나 롤러 고무(2a)의 호형부(2b')가 절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축부(2c) 상에 형성된 2개의 롤러부(2b)가 사용되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제1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2c) 상에 형성된 단일 롤러부(2b)로 구성되고 양 종축 방향 단부에 리브(2d)를 갖는 단일 용지 공급 롤러(2)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리브(2d)는 롤러부(2b)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리브(2d)의 외주연 길이(L1,L2)는 서로 상이하게 된다. 이 경우에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제19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2c)의 중앙으로부터]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리브(2d)의 반경 방향 거리와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리브(2d)의 반경 방향 거리를 다르게 함으로써, 분리 영역의 폭들이 상호 다르게 되어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롤러부(2b)로부터 돌출된 리브(2d)는 각 롤러부의 종축 방향 단부 상에 반드시 형성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d)는 각 롤러부(2b)의 중앙 부분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대응 롤러 고무(2a) 내에 리브(2d)가 돌출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더욱이, 리브 (2d)는 롤러부(2b)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 될 수 있고, 이 롤러부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 6]
제21a 내지 f도는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분리 영역 설정 위치가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설정 위치와 다르게 될 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에서, 제2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기준면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분리 영역이 다른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분리 영역보다 먼저 기록 용지(P)에 도달하여 다른 용지 공급 롤러 부분의 분리 영역보다 늦게 기록 용지(P)를 벗어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용지 공급 장치의 종류에 따라 제2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기준면으로부터 먼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분리 영역이 다른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분리 영역과 동시에 기록 용지(P)에 도달하여 다른 용지 공급 롤러 부분의 분리영역보다 늦게 기록 용지를 벗어나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제21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기준면으로부터 먼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분리 영역이 다른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분리 영역보다 먼저 기록 용지(P)에 도달하여 다른 용지 공급 롤러 부분의 분리 영역과 동시에 기록 용지를 벗어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경우, 실시예 1보다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제21e도는 용지 기준면 근처의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분리 영역이 다른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분리 영역보다 먼저 기록 용지(P)에 도달하여 다른 용지 공급 롤러 부분의 분리 영역보다 먼저 기록 용지를 벗어나도록 설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제22a도 내지 제2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기준면 근처의 기록 용지의 일측면이 기부(5)의 우측 판(5b)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가압판 상에 기록 용지(P)가 적층될 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22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기준면 근처의 기록 용지의 일측면이 기부(5)의 우측 판(5b)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기록 용지(P)가 적충될 때 용지 기준면 근처의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분리 영역이 먼저 기록 용지(P)에 도달하기 때문에 제23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용지(P)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지 기준면 근처의 기록 용지의 전방 코너부를 기부(5)의 우측 판(5b)에 대해 접촉 가압시킨다. 이 후에, 용지 기준면으로부터 먼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분리 영역만이 기록 용지(P)에 대향하는 구역에서 제24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용지(P)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지 기준면 근처의 기록 용지의 후방 코너를 기부(5)의 우측 판(5b)에 접촉 가압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용지 기준면 근처의 기록 용지(P)의 전체 모서리는 우측 판(5b)에 대해 접촉 가압되어 이 기록 용지를 용지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시킨다.
제21f도는 용지 기준면의 근처에 2개의 용지 공급 롤러부(2X)와 용지 기준면에서 멀리 위치한 2개의 용지 공급 롤러부(2Y)가 제공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용지 기준면에 가장 가까운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분리 영역이 용지 기준면에서 가장 먼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분리 영역보다 먼저 기록 용지에 도달하고 기록 용지(P)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용지 기준면으로부터 가장 먼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분리 영역과 동시에 기록 용지를 벗어나게 하여 용지 기준면의 근처에 위치한 기록 용지의 전방 코너를 우측 판(5b)에 대해 접촉 가압시키도록 설계된다. 더욱이, 용지 기준면에 먼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분리 영역이 용지 기준면에서 가까운 다른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분리 영역보다 먼저 기록 용지에 도달하고 용지 기준면에 가장 가까운 다른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분리 영역보다 늦게 기록 용지를 벗어나게 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배치로서, 기록 용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지 기준면 근처의 기록 용지의 전체 측면 모서리를 우측 판(5b)에 접촉 가압시킨다.
[실시예 7]
제25a도 내지 제28b도는 기록 용지 (P)의 선단부가 분리 수단으로부터 해제된 후,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분리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용기 공급 롤러부(2X, 2Y)가 기록 용지(P)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전술한 해제 상태에서 용지 공급 방향을 향하는 기록 용지(P)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5a 및 b도에 있어서, 용지 공급 작동이 시작될 때 제26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 상에 안착된 용지들 중에서 최상부 기록 용지(P)에 루프(loop)가 형성되어 기록 용지의 전방 코너를 규제하는 분리 포올(3)로부터 최상부 기록 용지(P)의 분리를 개시하게 된다. 제27a 및 b도에 있어서, 기록 용지(P)가 분리 포올(3)으로부터 해제된 후, 분리된 기록 용지(P)는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분리 영역과 접촉한 후 해제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로부터 분리 됨으로써 하향측을 향하는 기부(5)의 경사로를 따라 변위하게 되고, 그 결과 기록 용지의 선단부는 하부 안내부(5a)의 선단부 상에 형성된 돌출부의 경사 표면(5c)에 접촉 가압되고 이에 의해서 용지 공급 방향과 평행하게 기록 용지의 방향을 보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제28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분리 영역이 기록 용지를 벗어나서 해제 상태가 완료될 때, 보정된 기록 용지(P)는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에 의해 하류 측을 향해 다시 공급되게 된다.
[실시예 8]
제29a도 및 제29도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용지 공급 롤러는 롤러부(2X, 2Y)가 용지 기준면으로부터 대략 40㎜ 및 170㎜ 만큼 각각 이격되는 방식으로 축부(2c)에 고정된 2개의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A4 크기의 기록 용지(P)는 2개의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에 의해 이송되고 우편 엽서와 같은 기록 용지는 용지 기준면의 근처에 위치한 단일 롤러부(2X)에 의해 이송된다. 더욱이, 제29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기준면 근처의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의 직경(φU +δ)은 용지 기준면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의 직경(φU ) 보다 δ(δ/2는 반경임)만큼 더 크다.
다음으로,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들 사이의 직경 차이를 이용하여 용지 공급 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공정이 설명될 것이다. 우선, 기록 용지(P)의 전방 코너를 조절하기 위한 분리 포올(3)이 용지 공급부(1)의 가압판의 일측면에만 배치된다면, 제29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기록 용지(P)는 분리 포올이 존재하지 않는 측면을 향해 분리 포올(3)의 주위에서 하강하려고 한다. 이러한 경우에, 기록 용지(P)의 경사는 기록 용지의 측면 모서리와 용지 공급 방향으로 131.5㎜ 만큼 축부(2c)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된 우측 판의 후단부에 있는 기부(5)의 우측 판(5b) 사이에서 (대략 1㎜인) 간극 t를 형성하도록 일어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는 회전하기 시작하고, 가압판(6)에 의해 지지된 기록 용지(P)는 용지 공급 롤러의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로 압착되어 용지 공급 작동이 시작된다.
용지 기준면 근처의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직경이 용지 기준면으로부터 먼 용지 공급 롤러부(2Y)의 직경보다 크므로, 기록 용지(P)는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이송되고, 동시에 기록 용지(P)의 선단부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30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공급 시작점으로부터 이송 롤러(14)와 핀치 롤러(15) 사이의 닙으로 기록 용지 통로 거리(Lp)만큼 기록 용지(P)를 이송시키느 데에 필요한 용지 공급 롤러부(2X, 2Y)의 회전 각도가 계산되고, 용지 공급 롤러부(2X, 2Y) 사이의 직경 차이(δ)는 용지 공급 롤러부(2X, 2Y)가 계산된 회전 각도로 회전되는 동안에 기록 용지(P)와 우측 판(5b) 사이의 간극(t)가 제거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용지 기준면 근처의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의 직경은 24.7㎜로 설정되고 용지 기준면에서 먼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의 직경은 24.0㎜로 설정되어 직경 차이(δ)는 0.7㎜로 설정된다.
전술한 작동 하에서, 용지 공급 작동이 시작되기 전에, 분리 포올(3)에서 멀리 위치한 기록 용지(P)의 전방 코너는 분리 포올(3)에서 가까운 기록 용지(P)의 전방 코너에 비해 용지 급송 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진행된다. 그러나, 용지 공급 롤러부(2X, 2Y)를 회전시킴으로써 용지 공급 작동이 시작된 후 기록 용지(P)의 선단부가 이송 롤러(14)와 핀치 롤러(15) 사이의 닙에 도달할 때 기록 용지(P)의 양 전방 코너는 거의 동시에 닙에 도달하게 된다.
실시예 8에 있어서, 용지 기준면 근처의 롤러 고무(2a)의 직경이 용지 기준면에서 먼 롤러 고무(2a)의 직경보다 큰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제31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큰 직경부(LQ)가 기록 용지(P)를 이송 롤러(14)와 핀치 롤러(15) 사이의 닙으로 이송시키는 데에 필요한 용지 공급 롤러부(2X)의 회전 각도 범위(Lp) 내에서 롤러 고무(2a) 상에 구비될 수 있다(이 경우, Lp LQ). 또한 이 경우에, 롤러 고무(2a)의 큰 직경부((LQ)의 직경은 용지 공급 롤러 고무(2a) 사이의 소정의 직경 차이를 구비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용지 공급부 내의 분리 영역을 이용하여 용지 공급 상태를 안정시키는 공정이 실시예 1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용지 공급부(1)는 기록 용지(P)의 한 전방 코너 만이 분리 포올(3)에 의해 규제되어 하나씩 기록 용지를 분리시키는 포올 분리식으로 이루어진 예가 설명되었지만, 2개의 분리 포올이 기록 용지의 양 전방 코너를 규제하기 위해 제공되거나 또는 분리 패드(들)가 기록 용지를 하나씩 분리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잉크 제트 기록 헤드가 기록 헤드로서 사용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기록 신호에 따라 에너지를 받는 전자-열 변환 요소 내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에 의한 막 비등 현상(film boiling)에 의해 잉크 내에서 생성되는 기포(bubble)의 성장 및 수축에 의해 잉크가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기록 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양호하게는, 이러한 전형적인 구성 및 이론은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4,723,129호 및 제5,740,796호에 개시된 기본 이론을 사용함으로써 현실화될 수 있다. 비록 이러한 시스템이 소위 온-디맨드형(on-demand type) 및 연속형에 공히 적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온-디맨드형에 특히 적용될 때 효과적이며, 그 이유는 액체(잉크)를 포함하는 액체 통로 또는 용지에 대응하게 배치된 전자-열 변환 요소의 핵비등(nucleate boiling)을 초과하는 갑작스런 온도 상승을 제공할 수 있고 기록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전자-열 변환 요소 내의 열 에너지의 발생으로 인한 기록 헤드의 열작동 표면 상에 막비등을 발생시켜 구동 신호에 부합되게 액체 내에 기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포의 성장 및 수축으로 인하여 액체는 토출구로부터 토출되어 적어도 하나의 잉크 액적을 형성한다. 이 구동 신호가 펄스 형태일 때 기포의 성장 및 수축이 신속히 수행되므로 보다 우수한 잉크 토출이 달성된다.
이러한 펄스형 구동 신호는 미합중국 특허 제4,463,359호 및 제4,345,262호에 개시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열작동 표면 상의 온도 증가율에 관한 발명에 대한 미합중국 특허 제4,313,124호에 개시된 상태를 적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기록이 수행될 수 있다.
기록 헤드의 구성에 관하여, 본 발명은 열작동부가 미합중국 특허 제4,558,333호 및 제4,459,6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호형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토출구, 액체 통로 및 전자-열 변환 장치가 결합된 구성(직선형 액체 통로 또는 직교형 액체 통로)에 관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토출구가 일본국 특허 공개 제59-123670호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자-열 변환 요소가 공통으로 결합된 구성 및 열에너지의 압력파를 흡수하기 위한 개구가 일본국 특허 공개 제59-1384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토출구에 부합되도록 배치된 구성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기록 헤드의 형상에 관계없이 기록이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록 헤드와 같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의 최대 폭에 부합되는 길이를 갖는 풀-라인(full-line)형의 기록 헤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길이가 다수의 기록 헤드들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단일의 기록 헤드를 결합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형태의 것들 중에서, 본 발명은 기록 시스템 상에 장착될 때 이동가능한 기록 헤드와 기록 시스템 사이의 전기적 접속과 기록 시스템으로부터의 잉크 공급이 허용되는 칩형의 이동가능한 기록 헤드에 또는 헤드와 함께 카트리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기록 헤드에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효과가 더욱 개량되므로, 양호하게는 헤드 회수 수단 및 보조 수단이 본 발명에 따른 기록 헤드에 부가될 수 있다. 보다 엄밀하게는, 이들 수단은 기록 헤드를 캡핑하기 위한 캡핑 수단, 세척 수단, 가압 또는 흡입 수단, 그리고 전자-열 변환 장치 또는 다른 가열 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한 보조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안정된 기록을 위해 기록 잉크의 토출에 관계 없이 잉크 토출이 수행되는 보조 토출 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장착될 기록 헤드의 종류 및 개수에 관해서는, 각 기록 헤드가 각 상이한 칼라 잉크에 대응되거나 또는 다수의 기록 헤드가 상이한 칼라 및/또는 농도를 갖는 다수의 잉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예컨대 본 발명은 흑색과 같은 하나의 주요색을 갖는 기록 모드뿐만 아니라 통합된 기록 헤드 또는 다수의 기록 헤드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다양한 칼라 및/또는 짙은 칼라(full color)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잉크가 액체이었으나, 상온 이하에서는 고체이거나 상온에서는 연질화(soften)될 수도 있다. 전술한 잉크 제트 기록 시스템에 있어서, 잉크의 점도가 안정된 토출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온도 제어가 30℃ 내지 7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기록 신호가 나올 때 잉크는 액화될 수 있다. 또한, 열에너지에 의해 최초에는 액화되는 특징을 가진 잉크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데, 이 잉크는 고체 상태로부터 액체 상태로의 변화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온도 상승을 방지하도록 작동하거나 잉크의 기화를 방지하기 위해 보존 상태에서는 고체 상태를 유지하고 열에너지를 갖는 기록 신호에 응답하여 토출되도록 잉크 액체로 액화되는 고체 잉크의 형태이거나 또는 기록 매체에 도달하자마자 고체화되어 버리는 잉크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 잉크는 전자-열 변환 장치와 대비되는 일본국 특허 공개 제54-56847호 및 60-7126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공성 시트 내의 리세스 또는 구멍 내에서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막비등 이론은 각 잉크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더욱이, 전술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는 컴퓨터 등과 같은 정보 처리 시스템의 화상 출력 단자로서 사용될 수 있고, 판독기(reader)를 사용하는 복사기 또는 발신/수신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잉크 제트 기록 헤드가 기록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잉크 제트 기록 헤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트 와이어(dot-wire)식 기록 방법과 같은 충격 기록 방법 외에도 열전달식 기록 방법, 열감지식 기록 방법 등의 다른 기록 방법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리얼(serial) 기록 방법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위 라인(line) 기록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수단과, 상기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용지를 송출하고 또한 상기 용지를 송출하도록 상기 용지에 접촉 가압될 수 있는 고마찰부를 갖는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과, 용지가 공급될 때 용지의 측 모서리를 안내하기 위해 기준 위치에 배열된 안내 수단과, 상기 용지가 급송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고마찰부를 상기 용지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용지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이격 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격 수단은 상기 용지가 존재하는 평면에서 상기 용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이한 타이밍으로 상기 용지 상에 작동하고, 용지의 일측면 모서리는 상기 용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안내 수단에 접촉 가압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용지의 이상 급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수단은 상기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타이밍은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서로 다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수단은 상기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타이밍은 상기 돌출부의 반경 방향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서로 다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의 근처에 위치한 상기 이격 수단에 의해 상기 고마찰부를 용지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 작동이 상기 안내 수단에서 멀리 위치한 상기 이격 수단의 이격 작동보다 빨리 해제되도록 상기 타이밍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의 근처에 위치한 상기 이격 수단의 상기 이격 작동이 상기 안내 수단에서 멀리 위치한 상기 이격 수단의 이격 작동 전에 시작되도록 상기 타이밍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마찰부를 용지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 작동이 상기 안내 수단에서 멀리 위치한 상기 이격 수단보다 상기 안내 수단의 근처에 위치한 상기 이격 수단에 의해 빨리 시작되고, 상기 두개 이격 수단의 이격 작동이 동시에 해제되도록 상기 타이밍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은 상기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용지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용지 공급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이격 수단은 두개의 상기 용지 공급 롤러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은 상기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용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단일 용지 공급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이격 수단은 상기 용지 공급 롤러의 양 단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에 의해 하나씩 송출된 용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격 수단의 이격 작동은 용지가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후에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안내 수단 상에 배치된 분리 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저마찰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용지는 상기 돌출부가 용지에 대해 접촉 가압될 때 송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은 외주연에서 절취부를 갖는 용지 공급 롤러와, 상기 용지 공급 롤러와 동축상으로 배치된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용지 지지 수단은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요동판과, 상기 용지 공급 롤러를 향해 상기 판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13.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수단과, 상기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용지를 송출시키고, 상기 용지를 송출하도록 상기 용지에 접촉 가압될 수 있는 고마찰부를 구비하고 있는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과, 용지가 공급될 때 용지의 측 모서리를 안내하기 위해 기준 위치에 배열된 안내 수단과, 상기 용지가 급송되고 있는 동안에 용지로부터 상기 고마찰부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용지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용지가 존재하는 평면에서 상기 용지를 회전시키도록 상이한 타이밍으로 용지 상에 작동하고, 용지의 일측면 모서리는 상기 용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안내 수단에 접촉 가압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용지의 이상 급송을 보정하는 이격 수단과. 이상 급송이 보정된 용지 상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잉크가 전자-열 변환기로부터 인가된 열에너지에 의해 발생된 잉크의 막비등을 이용함으로써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잉크 제트 기록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5.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수단과, 상기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용지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은 상이한 용지 급송량을 구비하여 상기 다수의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수단에 의해 상이한 용지 급송량으로 상기 용지를 급송함으로써 용지가 용지의 일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회전되어 상기 용지의 이상 급송이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은 상기 용지와 접촉함으로써 용지를 송출하기 위한 고마찰부를 외주연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용지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용지 공급 롤러이고, 용지는 상기 고마찰부의 서로 상이한 반경 정도로 회전되어 상기 용지의 이상 급송이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용지가 공급될 때 기준 위치에 배치된 안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용지의 이상 급송은 상기 용지를 상기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서 용지의 일측면 모서리를 상기 안내부에 접촉 가압시킴으로써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하류 측에 배치된 이송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용지의 회전은 상기 용지의 선단부가 상기 이송 수단에 도달하기 전에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송 장치.
  19. 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용지 지지 수단과, 상기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용지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이한 용지 급송량을 구비하여 상기 다수의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에 의한 상이한 용지 급송량으로 상기 용지를 급송함으로써 용지가 용지의 일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회전되어 상기 용지의 이상 급송을 보정하는 다수의 회전가능한 용지 공급 수단과, 이상 급송이 보정된 용지 상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잉크가 전자-열 변환기로부터 인가된 열에너지에 의해 발생된 잉크의 막비등을 이용함으로써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잉크 제트 기록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KR1019940034394A 1993-12-15 1994-12-15 용지 급송 장치 KR0181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15331 1993-12-15
JP05315331A JP3098369B2 (ja) 1993-12-15 1993-12-15 シート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693A KR950017693A (ko) 1995-07-20
KR0181717B1 true KR0181717B1 (ko) 1999-04-15

Family

ID=1806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394A KR0181717B1 (ko) 1993-12-15 1994-12-15 용지 급송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25319A (ko)
EP (1) EP0658433B1 (ko)
JP (1) JP3098369B2 (ko)
KR (1) KR0181717B1 (ko)
CN (1) CN1086345C (ko)
AT (1) ATE214664T1 (ko)
DE (1) DE69430174T2 (ko)
HK (1) HK10116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594B1 (ko) * 1996-05-18 1999-05-15 김광호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공급 자동감지장치
CN1091691C (zh) * 1996-09-18 2002-10-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图像印制装置
US5938355A (en) * 1996-10-14 1999-08-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heet feeder and printer fitted with sheet feeder
KR100205752B1 (ko) * 1997-01-06 1999-07-01 윤종용 페이퍼휨 현상에 의한 잼방지가 되는 잉크젯 프린터
JP3767061B2 (ja) * 1997-02-05 2006-04-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
JP4181653B2 (ja) * 1997-02-28 2008-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115664A (ja) * 1997-04-17 1999-01-12 Canon Inc 排紙スタック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5887987A (en) * 1997-04-17 1999-03-30 Minolta Co., Ltd. Image recording device
JPH10329972A (ja) * 1997-05-30 1998-12-15 Canon Aptecs Kk 記録装置
KR100238585B1 (ko) * 1997-10-29 2000-01-15 윤종용 잉크젯 프린터의 픽업로울러 절환장치
JP2935262B1 (ja) * 1998-03-20 1999-08-16 富士通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装置
KR100334092B1 (ko) * 1998-08-26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용지급지방법
US6382857B1 (en) 1998-08-27 2002-05-07 Canon Kabushiki Kaisha Bearing mechanism and convey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2000198581A (ja) * 1998-12-28 2000-07-18 Fujitsu Ltd シ―ト供給装置及び記録装置
JP4497639B2 (ja) * 1999-04-06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6693728B1 (en) 1999-05-11 2004-02-17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US6331002B1 (en) 1999-07-29 2001-12-1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JP3762164B2 (ja) 1999-10-25 2006-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046380B2 (en) * 2000-02-22 2006-05-16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with feed control based on leading end margin amount
US6900611B2 (en) 2000-10-16 2005-05-3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US6651974B2 (en) 2001-02-23 2003-11-2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equipped with sheet feed apparatus
JP2002249237A (ja) 2001-02-23 2002-09-03 Canon Inc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記録装置
JP3720725B2 (ja) * 2001-04-17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332137A (ja) 2001-05-10 2002-11-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2332123A (ja) * 2001-05-10 2002-11-22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22929B2 (ja) 2001-07-31 2010-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JP2003149965A (ja) 2001-08-28 2003-05-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155156A (ja) * 2001-09-07 2003-05-27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79741B2 (ja) 2001-09-07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19549B2 (ja) * 2002-01-31 2007-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6637742B2 (en) 2002-02-11 2003-10-28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 media eject system in an ink jet printer
US6796556B2 (en) 2002-02-11 2004-09-28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 media eject system in an ink jet printer
JP3762315B2 (ja) 2002-03-07 2006-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JP4109899B2 (ja) 2002-05-14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US7063473B2 (en) * 2003-04-18 2006-06-20 Canon Kabushiki Kaisha Both-side recording apparatus
US7222955B2 (en) * 2003-04-18 2007-05-29 Canon Kabushiki Kaisha Both-side recording apparatus
JP4086706B2 (ja) * 2003-04-18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164422B2 (ja) * 2003-08-29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165450B2 (ja) * 2004-05-14 2008-10-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137008B2 (ja) 2004-06-04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06035802A (ja) * 2004-07-30 2006-02-09 Canon Inc 記録装置
JP4769438B2 (ja) * 2004-08-12 2011-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データ生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方法
US20070003342A1 (en) * 2005-05-03 2007-01-04 Ramanathan Alaganchetty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a single drive roller
KR100701323B1 (ko) * 2005-09-29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US7694962B2 (en) * 2006-12-04 2010-04-1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43997B2 (ja) * 2007-11-15 2012-05-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リンタの給紙機構およびプリンタ
JP5132623B2 (ja) * 2008-05-08 2013-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
JP5197162B2 (ja) * 2008-05-28 2013-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54975B2 (ja) * 2008-06-27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搬送制御方法
JP5371322B2 (ja) * 2008-08-25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搬送制御方法
JP5538835B2 (ja) * 2008-12-02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
JP2011046492A (ja) * 2009-08-27 2011-03-10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55306B2 (ja) * 2009-08-31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02491B2 (ja) * 2009-10-08 2014-0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送り装置、記録装置
JP2012046312A (ja) 2010-08-26 2012-03-08 Canon Inc 記録装置
DE202011109794U1 (de) 2011-01-28 2012-04-03 3T Supplies Ag Blattzuführgerät für einen Shredder
JP5911217B2 (ja) 2011-06-30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029335B2 (ja) 2012-06-07 2016-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2849475A (zh) * 2012-08-14 2013-01-02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一种偏置取纸轮的进纸机构
TWI499513B (zh) * 2012-12-17 2015-09-11 Microjet Technology Co Ltd 列印裝置
JP5855141B2 (ja) 2013-01-31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70364B2 (ja) 2013-07-19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JP6413565B2 (ja) * 2014-09-30 2018-10-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WO2018194590A1 (en) * 2017-04-19 2018-10-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ngled lift plates in media trays
CN107323109A (zh) * 2017-07-17 2017-11-07 滁州市状元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添加打印纸的小型打印机
CN110936710B (zh) * 2019-12-30 2022-01-18 重庆华丰迪杰特印刷材料有限公司 一种印刷设备
JP7504640B2 (ja) 2020-03-25 2024-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512060B2 (ja) 2020-03-25 2024-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27227A (en) * 1977-10-03 1982-07-06 Ichiro Endo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JPS5936879B2 (ja) * 1977-10-14 1984-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熱転写記録用媒体
US4330787A (en) * 1978-10-31 1982-05-1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device
US4345262A (en) * 1979-02-19 1982-08-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US4463359A (en) * 1979-04-02 1984-07-31 Canon Kabushiki Kaisha Drople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4313124A (en) * 1979-05-18 1982-01-2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liquid jet recording head
JPS57112258A (en) * 1980-12-29 1982-07-13 Fujitsu Ltd Paper feed mechanism
US4558333A (en) * 1981-07-09 1985-12-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JPS59123670A (ja) * 1982-12-28 1984-07-17 Canon Inc 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
JPS59138461A (ja) * 1983-01-28 1984-08-08 Canon Inc 液体噴射記録装置
JPS6071260A (ja) * 1983-09-28 1985-04-23 Erumu:Kk 記録装置
US4600929A (en) * 1984-06-01 1986-07-15 At&T Teletype Corporation Apparatus for handling paper in a printer
JPS61203036A (ja) * 1985-03-01 1986-09-08 Hitachi Ltd 自動給紙機構
JPS63127952A (ja) * 1986-11-14 1988-05-31 Fujitsu Ltd 媒体搬送機構
JPS63171749A (ja) * 1987-01-08 1988-07-15 Canon Inc シ−ト搬送装置
JP2565984B2 (ja) * 1988-06-17 1996-12-18 株式会社テック 給紙機構
JPH0243136A (ja) * 1988-07-30 1990-02-13 Mita Ind Co Ltd 片側基準給紙装置
JPH03200653A (ja) * 1989-08-05 1991-09-02 Ricoh Co Ltd 自動原稿送り装置における原稿スケール
US5129748A (en) * 1989-11-13 1992-07-14 Eastman Kodak Company Compact printer having sheet and tractor media selections
IT1240137B (it) * 1990-03-20 1993-11-27 Olivetti & Co Spa Dispositivo di avanzamento e allineamento di fogli per una stampante
JPH0439247A (ja) * 1990-06-04 1992-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給送装置
US5238235A (en) * 1990-08-10 1993-08-2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JP2903796B2 (ja) * 1990-10-31 1999-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4175179A (ja) * 1990-11-09 1992-06-23 Nec Data Terminal Ltd 帳票送り装置
JPH04323148A (ja) * 1991-04-22 1992-11-12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
US5480247A (en) * 1992-05-29 1996-01-0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US5326184A (en) * 1992-10-26 1994-07-05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icking paper from a st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58433A3 (en) 1997-07-09
JP3098369B2 (ja) 2000-10-16
EP0658433B1 (en) 2002-03-20
CN1086345C (zh) 2002-06-19
CN1115720A (zh) 1996-01-31
ATE214664T1 (de) 2002-04-15
EP0658433A2 (en) 1995-06-21
US5725319A (en) 1998-03-10
KR950017693A (ko) 1995-07-20
JPH07165338A (ja) 1995-06-27
HK1011644A1 (en) 1999-07-16
DE69430174T2 (de) 2002-08-14
DE69430174D1 (de)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1717B1 (ko) 용지 급송 장치
EP0529538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EP0734875B1 (en) Sheet supplying apparatus
EP0590642B1 (en) Sheet supplying apparatus
EP0530777B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US7165765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EP1142717B1 (en) Moving up and down apparatus of print head, printing apparatus
EP0472218B1 (en) Recording apparatus
US67330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762228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EP0661165B1 (en) Recording apparatus
EP0473167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H0577507A (ja) 記録装置
JP3495932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EP0539156B1 (en) Sheet feeding mechanism for a recording apparatus
JPH07276736A (ja) 記録装置
JPH1178154A (ja) 記録装置
JPH084843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3524296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58877A (ja) 記録装置
JP2000219336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このシート給送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336367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891671A (ja) 記録装置
JP2004338928A (ja) シート材供給装置
JP2003276877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