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561A -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활용에서의 불순물 제거 공정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활용에서의 불순물 제거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561A
KR20230048561A KR1020237010188A KR20237010188A KR20230048561A KR 20230048561 A KR20230048561 A KR 20230048561A KR 1020237010188 A KR1020237010188 A KR 1020237010188A KR 20237010188 A KR20237010188 A KR 20237010188A KR 20230048561 A KR20230048561 A KR 20230048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black mass
leaching
sulfuric acid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자 카탈
Original Assignee
그린 라이온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 라이온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그린 라이온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8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4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 C22B3/06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by leaching in inorganic acid solutions, e.g. with acids generated in situ; in inorganic salt solutions other than ammonium salt solutions
    • C22B3/08Sulfuric acid, other sulfurated acids or sal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70Chemical treatment, e.g. pH adjustment or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07Leaching processes
    • C22B23/0415Leaching processes with acids or salt solutions except ammonium salts solutions
    • C22B23/043Sulfurated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53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23/0461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10Obtaining alkali metals
    • C22B26/12Obtaining lith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4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processes
    • C22B3/46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chemical processes by substitution, e.g. by ce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5Separation by a physical processing technique only, e.g. by mechanical brea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6Wet processes
    • C22B7/007Wet processes by acid lea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15Electronic waste
    • B09B2101/16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8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an extraction ste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사용된 리튬-이온 배터리의 블랙 매스로부터 유도된 침출 용액의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침출 용액의 pH를 약 pH 1.2 내지 2.5로 설정하고, 철 분말을 첨가하여 구리 합착을 유도하고, 구리 합착 후 석회를 첨가하고, 석회를 첨가한 후, 침출 용액의 pH를 약 pH 6으로 전이시켜 불화칼슘, 수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철 및 인산철을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산화나트륨 공급물, 철 분말 공급물 및 석회 공급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불순물 제거 반응기를 포함하는 블랙 매스 재활용 시스템.

Description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활용에서의 불순물 제거 공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된 리튬-이온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된 리튬이온전지의 침출액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온 배터리에는 배터리를 사용하고 폐기할 때 낭비되는 귀중한 귀금속이 포함되어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폐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귀금속을 회수하는 것이 중요한 산업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한 리튬-이온 배터리는 재활용을 위해 분해, 분쇄 또는 파쇄되어 블랙 매스(black mass)를 형성한다. 현재의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노력은 주로 리튬 코발트 산화물 캐소드에서 귀금속 코발트와 리튬을 회수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리튬-이온 배터리에 사용되는 다른 많은 유형의 캐소드 물질이 있다. 이러한 캐소드 물질의 상당 부분은 니켈 및 망간과 같은 다른 귀금속을 포함한다. 기존의 재활용 방법은 다양한 유형의 리튬-이온 배터리 캐소드 물질의 재활용을 적절하게 처리하지 못하고 이러한 다른 귀금속의 추출을 충분히 처리하지 못한다.
나아가, 블랙 매스, 특히 상이한 유형의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수집되어 유래한 것에는 많은 유형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면 재활용에서 회수된 귀금속의 순도에 악영향을 미친다. 불순물 제거에 대한 현재의 노력은 많은 반응기 및 필터를 필요로 하는 수많은 단계를 수반한다. 이는 전체 재활용 프로세스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각 반응기 또는 필터에서 귀중한 물질이 손실되어 회수할 수 있는 귀금속의 양이 크게 줄어든다.
따라서, 블랙 매스 내의 불순물, 특히 상이한 유형의 리튬-이온 배터리로부터 수집되어 유래한 블랙 매스 내의 불순물을 더 잘 제거할 수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프로세스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더 적은 장비를 필요로 하고 회수할 수 있는 귀금속의 양을 덜 감소시키는,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불순물을 제거해야 하는 관련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특징 및 특성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명백할 것이다.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블랙 매스로부터 유도된 침출 용액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침출액의 pH를 약 pH 1.2 내지 2.15로 설정하고, 철 분말을 첨가하여 구리 합착(copper cementation)을 유도하며, 구리 합착 후 석회를 첨가하고, 석회를 첨가한 후 침출액의 pH를 약 pH 6으로 전이시켜 불화칼슘, 수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철 및 인산철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침출액 1리터당 약 2.5g의 철 분말을 첨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분의 기간에 걸쳐 철 분말을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석회는 산화칼슘이고 블랙 매스 kg당 약 20 ~ 40g의 산화칼슘이 첨가된다. 대안적으로, 석회는 수산화칼슘이고 블랙 매스 kg당 약 30 ~ 60g의 수산화칼슘이 첨가된다. 바람직하게는, 블랙 매스를 황산 및 과산화수소로 침출함으로써 침출 용액이 블랙 매스로부터 유도된다. 바람직하게는, 황산은 4M 황산이고, 블랙 매스 kg당 약 6리터의 황산을 첨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 리터당 약 50ml의 과산화수소(30% 농도)를 첨가한다. 바람직하게는, 황산 및 과산화수소는 연속적인 순서로 첨가된다. 상기 방법은 블랙 매스, 황산 및 과산화수소를 1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1시간 후에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황산을 2M로 희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블랙 매스 재활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블랙 매스 재활용 시스템은 수산화나트륨 공급물, 철 분말 공급물 및 석회 공급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불순물 제거 반응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블랙 매스 재활용 시스템은 황산 공급물, 과산화수소 공급물 및 탈이온수 공급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침출 반응기, 및 침출 반응기와 불순물 제거 반응기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침출 반응기와 관련된 제1 밸브식 출구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블랙 매스 재활용 시스템은 불순물 제거 반응기 내부에 구비된 불순물 제거 교반기와 침출 반응기 내부에 구비된 침출 반응기 교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침출 및 불순물 제거 공정의 공정 흐름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기술된 공정 및 시스템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남없이 다른 구현예가 사용될 수 있고,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주어진 요소의 묘사, 또는 특정 도면에서의 특정 요소 번호의 고려 또는 사용, 또는 대응하는 설명 자료에서 그에 대한 참조는 다른 도면 또는 이와 관련된 설명 자료에서 확인되는 이의 동등물, 등가물 또는 유사한 요소 또는 요소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 매스는 보유 용기(100)로부터 제1 반응기, 즉 침출 반응기(102)로 부어진다. 블랙 매스는 리튬 코발트 산화물(LCO), 리튬 망간 산화물(LMO), 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 산화물(NMC), 리튬 철 인산염(LFP), 리튬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산화물(NCA)및 리튬 티타네이트(LTO)로부터 제조된 캐소드를 갖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집합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랙 매스는 철, 구리, 불소, 인, 티타늄 및 알루미늄의 불순물을 포함한다.
침출의 제1 상에서는, 무기산 공급원(110)으로부터 제공된 무기산, 바람직하게는, 황산(H2SO4)이 제1 반응기(102)의 블랙 매스에 첨가되어 용액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약 1kg의 블랙 매스 대 약 6리터의 4M 황산의 비율로 관찰된다. 무기산은 임의로 하기 기술된 시약의 양을 조정하는 염산일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과산화수소(H2O2), 바람직하게는, 용액 1리터당 약 50ml의 과산화수소(30% 농도)가 과산화수소 공급원(112)으로부터 제1 반응기(102)의 내용물에 제공되어 공-소화제로서 침출을 용이하게 한다. 제1 반응기(102)의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1시간 동안 교반기(132)에 의해 교반된다. 침출의 제1 상에서, 황산은 블랙 매스에 존재하는 철과 반응하여 제1철(Fe2+)을 형성하는 황산 이온(SO4 2-)의 가용성을 증가시킨다. 그 다음, 과산화수소는 제1철(Fe2+)을 제2철(Fe3+)로 산화시킨다. 제2철은 황산염 이온과 반응하여 황산 철(Fe2(SO4)3)생성한다.
제2 상에서는, 제1 반응기(102)의 황산을 바람직하게는, 약 2M로 희석하기 위해 탈이온수 공급원(114)으로부터 탈이온수가 제1 반응기(102)에 첨가된다. 제1 반응기(102)내용물의 교반은 약 30분 동안 교반기(132)에 의해 유지된다.
침출의 제1 상 및 제2 상 모두가 진행되는 동안, 제1 반응기(102)의 내용물의 온도는 70 ~ 90℃로 유지되어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황산, 과산화수소 및 탈이온수의 양이 가공될 블랙 매스의 양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해야 한다.
침출의 제1 상 및 제2 상 후에, 제1 반응기(102)로부터의 침출 용액은 출구 밸브(136)를 통해 방출되고 펌프(142)에 의해 제2 반응기(104)로 이송된다. 다음은 제2 반응기(104)의 침출 용액에서 구리, 불소, 인산염, 철, 티타늄, 알루미늄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설명하며, 이 공정에서 제2 반응기(104)의 내용물은 교반기(134)에 의해 계속 교반된다.
수산화나트륨 공급원(116)으로부터의 수산화나트륨(NaOH)은 침출 용액의 pH를 약 pH 1.2 내지 2.15의 값으로 설정하기 위해 제2 반응기(104)의 침출 용액에 첨가된다. 제2 반응기 내용물의 온도를 약 60℃로 유지하면서 약 15분에 걸쳐 침출 용액 리터당 철 분말 공급원(118)으로부터 철(Fe)분말, 바람직하게는 약 2.5g의 철 분말을 침출 용액에 첨가한다.
기전력 계열에 따라 귀금속 이온에 대한 무시할 수 있는 금속의 환원 능력(즉, 두 반쪽 전지 반응 사이의 전압 갭은 열역학 및 전기화학 관점에서 반응의 더 높은 경향에 해당함)을 활용하여 철 분말은 침출 용액에서 구리와 유리하게 반응하여 구리의 합착(Cementation)으로 이어진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그래프 1. 시간 경과에 따른 구리 합착에 대한 pH의 영향.
그래프 1은 침출 용액의 pH를 각각 1.2, 2.15 및 3.07로 설정한 결과로 60분 동안 구리 합착의 효과를 기록한다. 침출 용액의 구리 농도를 취하여 다음과 같이 60분 동안 구리 제거율을 계산한다.
Figure pct00003
pH를 1.2 또는 2.15로 설정하면, 침출 용액에서 약 90%의 구리가 합착되는 것, 즉 구리가 제거되는 것으로 관찰된다. pH를 3.07로 설정하면, 침출 용액에서 구리의 합착이 같은 기간 동안 80% 미만으로 떨어진다.
제1 반응기(102)에 침출의 제1 상으로부터 첨가된 황산 및 과산화수소는 제2 반응기(104)내용물의 일부를 형성한다. 과산화수소는 구리 합착 중에 형성된 제1철(Fe2+)을 제2철(Fe3+)로 산화시킨다. 제2철은 황산 이온과 반응하여 황산 철(Fe2(SO4)3)을 생성한다.
일부 불화물이 제1 반응기(102)에서 침출 공정 동안 제거될 수 있지만, 결국 생산될 수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 감쇠를 초래할 수 있는 충분히 바람직하지 않고 유독한 양이 제2 반응기(104)로 이송되는 침출 용액 내에서 불화물 이온으로 남을 것이다. 석회는 석회 공급원(120)으로부터 제2 반응기(104)의 내용물에 첨가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반응기(102)에 이전에 첨가된 블랙 매스 kg당 약 20-40g의 산화칼슘 또는 약 30 ~ 60g의 수산화칼슘이 첨가된다. 석회를 첨가한 후, 제2 반응기(104)의 내용물을 약 40℃에서 약 30분 동안 휴지시킨다(계속 교반하면서).
철 분말이 제2 반응기(104)의 내용물로부터 구리의 합착을 완료한 후에만 석회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석회가 구리 합착을 유도하는 철 분말의 능력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약 30분의 휴지 기간 후, 더 많은 수산화나트륨이 제2 반응기(104)에 첨가되어 내용물의 pH를 약 pH 6으로 전이시킨다. pH 전이는 제1 반응기(102)에서 제2 반응기(104)로 이송되는 침출 용액 내의 다른 불순물(불소, 철, 인, 티타늄 및 알루미늄)의 침착을 촉발한다. 약 pH 2.2부터 불화물은 불화칼슘(CaF2)으로 침전되기 시작한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그래프 2. 용액의 불화물 농도에 대한 pH의 영향.
그래프 2는 pH 2.27, 3.12, 4.06 및 5.24에서 각각 60분 후 초기 농도 650 mg/l에서 시작된 침출 용액의 불화물 농도를 기록한다. 불화물의 농도는 pH 3.12, 4.06 및 5.24에서 연속적으로 상당히 감소하는 반면, 불화물의 농도는 pH 2.27에서 크게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제2 반응기(104)의 내용물의 pH가 약 pH 3으로 상승함에 따라, 수산화나트륨은 원래 침출 용액에 있던 것이든 구리 합착을 위해 첨가된 것이든 철 이온을 수산화철로 침전시킨다. 수산화철로 침전되지 않은 나머지 철은 제2 반응기(104)의 내용물에서 인산이온(PO4 3-)과 반응하여 인산철(FePO4)로 침전된다.
표 1. 철(Fe)및 인(P)침전에 대한 pH의 영향
Figure pct00006
표 1은 60분에 걸쳐 pH 2.5에서 4.5 사이의 pH 값에서 인산철로 침전된 침출 용액에 원래 존재하는 철과 인의 백분율을 기록한다. pH 3에서부터 침전이 발생하여 pH 4.5까지 각 pH 값에서 침전이 증가하는 것과, 침출 용액에 존재하는 본질적으로 모든 철 및 인이 침전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제2 반응기(104) 내용물의 pH가 pH 4로 상승하여 이를 초과함에 따라, 제1 반응기(102)에 첨가되어 침출 용액에서 제2 반응기(104)로 이송된 과산화수소는 티타늄 및 알루미늄의 산화 상태를 티타늄(V) 및 알루미늄(III)으로 각각 밀어냈고, 따라서, 이들의 수산화물 Ti(OH)4 및 Al(OH)3의 침전을 시작하게 된다.
pH가 약 pH 6에 도달하면, 제2 반응기(104)의 내용물을 약 60℃에서 약 60분 동안 휴지시킨다(계속 교반하면서). 60분의 기간 후, 제2 반응기(104)의 내용물은 출구 밸브(138)에 의해 제2 반응기(104)로부터 방출되고 구리 및 침전물(불화칼슘, 인산철, 수산화철, 수산화티타늄 및 수산화 알루미늄)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148)를 통과하고, 이로써, 블랙 매스에 원래 존재했던 불순물을 상당량 제거한다.
Figure pct00007
그래프 3. 철, 알루미늄 및 티타늄 농도에 대한 pH의 영향.
그래프 3은 각각 pH 3.21, 4.16, 5.08 및 6.12에서 30분 후 각각 2.26, 0.2 및 1.1g/l의 초기 농도에서 시작된 침출 용액 내의 알루미늄, 철 및 티타늄 농도를 기록한다. 침출 용액에서 알루미늄, 철 및 티타늄의 농도를 취하여 다음과 같이 30분 후에 제거율을 계산한다.
Figure pct00008
알루미늄, 철 및 티타늄의 농도는 pH 3.21에서와 비교하여 pH 4.16, 5.08 및 6.12에서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제1 반응기(102)에서의 침출 공정 및 제2 반응기(104)에서의 침전 반응은 총 약 3 ~ 4시간이 소요되며, 마지막에 제2 반응기(104)의 내용물에는 블랙 매스로부터의 10mg/l 미만의 불순물만이 남아있었다.
다양한 구현예 및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 개시된 구조, 파라미터 또는 그 프로세스 중 몇몇이 바람직하게는 대안적 구조, 프로세스 및 /또는 응용으로 변형, 적응 및 조합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이러한 모든 수정, 변경, 적응 및/또는 개선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개시의 진정한 범위는 다음 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된다.
100: 보유 용기; 102: 침출 반응기; 104: 제2 반응기;
110: 무기산 공급원; 112: 과산화수소 공급원; 114: 탈이온수 공급원;
116: 수산화나트륨 공급원; 118: 철 분말 공급원; 120: 석회 공급원;
132: 교반기; 134: 교반기; 136: 출구 밸브;
138: 출구 밸브; 142: 펌프; 148: 필터

Claims (13)

  1. 침출 용액의 pH를 약 pH 1.2 내지 2.15로 설정하는 단계;
    구리 합착을 유도하기 위해 철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
    구리 합착 후, 석회를 첨가하는 단계; 및
    석회를 첨가한 후, 침출 용액의 pH를 약 pH 6으로 전이시켜 불화칼슘, 수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철 및 인산철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랙 매스로부터 유도된 침출 용액의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 용액 리터당 약 2.5g의 철 분말을 첨가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철 분말을 약 15분에 걸쳐 첨가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회는 산화칼슘이고, 블랙 매스 kg당 약 20 ~ 40g의 산화칼슘을 첨가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회는 수산화칼슘이고, 블랙 매스 kg당 약 30 ~ 60g의 수산화칼슘을 첨가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 용액은 블랙 매스를 황산 및 과산화수소로 침출함으로써 블랙 매스로부터 유도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은 4M 황산이고 블랙 매스 kg당 약 6리터의 황산을 첨가하는,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황산 및 과산화수소를 순차적으로 첨가하는, 방법.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블랙 매스, 황산 및 과산화수소를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1시간 후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황산을 약 2M로 희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수산화나트륨 공급물, 철 분말 공급물 및 석회 공급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불순물 제거 반응기를 포함하는, 블랙 매스 재활용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황산 공급물, 과산화수소 공급물 및 탈이온수 공급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침출 반응기; 및
    침출 반응기와 불순물 제거 반응기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침출 반응기와 관련된 제1 밸브식 출구
    를 더 포함하는, 블랙 매스 재활용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제거 반응기 내부에 구비된 불순물 제거 교반기; 및
    상기 침출 반응기 내부에 구비된 침출 반응기 교반기
    를 더 포함하는, 블랙 매스 재활용 시스템.
KR1020237010188A 2020-08-24 2021-08-24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활용에서의 불순물 제거 공정 KR20230048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69488P 2020-08-24 2020-08-24
US63/069,488 2020-08-24
PCT/SG2021/050496 WO2022045973A1 (en) 2020-08-24 2021-08-24 Process for removing impurities in the recycling of lithium-ion batter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561A true KR20230048561A (ko) 2023-04-11

Family

ID=8035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188A KR20230048561A (ko) 2020-08-24 2021-08-24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활용에서의 불순물 제거 공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876196B2 (ko)
EP (1) EP4200927A4 (ko)
KR (1) KR20230048561A (ko)
CN (1) CN116018710B (ko)
AU (2) AU2021330014B2 (ko)
CA (1) CA3188399A1 (ko)
MX (1) MX2023001714A (ko)
WO (1) WO20220459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0844A (en) 1969-10-17 1972-09-12 Great Salt Lake Minerals Recovery of sulfate-free hydrated magnesium chloride from sulfate-contaminated brines
US3852044A (en) 1969-11-13 1974-12-03 Great Salt Lake Minerals Recovery of substantially potassium-free hydrated magnesium chloride from contaminated aqueous solutions
US4732962A (en) 1987-02-18 1988-03-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epoxy tooling composition of bisphenol-A epoxy, trifunctional epoxy, anhydride curing agent and an imidazole catalyst
US7892505B2 (en) 2005-10-29 2011-02-22 Royal Silver Company (Panama) S.A. Hydrometallurgical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metal-bearing sulfide mineral concentrates
CN101450815A (zh) 2008-10-07 2009-06-10 佛山市邦普镍钴技术有限公司 一种以废旧锂离子电池为原料制备镍钴锰酸锂的方法
AU2010341402B2 (en) 2010-01-07 2014-01-30 Tianqi Lithium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ithium carbonate
JP2011184764A (ja) * 2010-03-10 2011-09-22 Mitsubishi Materials Corp 廃触媒の処理方法
CN101847663B (zh) 2010-04-30 2012-08-15 上海新进半导体制造有限公司 一种瞬间电压抑制器及形成瞬间电压抑制器的方法
JP5568414B2 (ja) 2010-08-27 2014-08-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金属回収方法及び金属回収装置
IT1402160B1 (it) 2010-10-18 2013-08-28 Eco Recycling S R L Impianto e processo per il trattamento di pile e accumulatori esausti
KR101220149B1 (ko) 2011-02-17 2013-01-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배터리로부터 유가금속 황산용액의 제조방법 및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CN102157726B (zh) 2011-03-16 2013-10-1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高电压正极材料锂镍锰氧的方法
EP2705168A4 (en) 2011-05-02 2015-04-29 Trimetals Mining Inc PROCESS FOR THE RECOVERY OF INDIUM, SILVER, GOLD AND OTHER RARE, PRECIOUS AND BASE METALS FROM COMPLEX OXIDE OR SULPHIDE ORES
FR2976295B1 (fr) 2011-06-07 2013-07-05 Sarp Ind Procede de separation de metaux a partir de batteries contenant du lithium
JP5161361B1 (ja) 2011-12-28 2013-03-13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金属混合溶液中の金属の分離方法
US9834827B2 (en) 2012-04-04 2017-12-05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lithium-ion batteries
US10741890B2 (en) 2012-04-04 2020-08-11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ies
US10522884B2 (en) 2012-04-04 2019-12-31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lithium-ion batteries
US11955613B2 (en) 2012-04-04 2024-04-09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Charge material for recycled lithium-ion batteries
US11127992B2 (en) 2012-04-04 2021-09-21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Charge material for recycled lithium-ion batteries
KR101808103B1 (ko) 2012-04-27 2018-01-18 노르웨이전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엔티엔유) 용융 금속 필터의 프라이밍 장치 및 방법
JP5847741B2 (ja) * 2013-02-18 2016-01-27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廃正極材及び廃電池からの金属回収方法
CN104953200B (zh) * 2015-06-30 2017-06-23 哈尔滨工业大学 磷酸铁锂电池中回收电池级磷酸铁及利用废旧磷酸铁锂电池制备磷酸铁锂正极材料的方法
CN107431256A (zh) 2015-11-24 2017-12-01 伍斯特理工学院 用于再循环锂离子电池组的方法和设备
ES2965679T3 (es) 2016-05-20 2024-04-16 Hydro Quebec Método para reciclar materiales de electrodos de una batería de litio
CN106505225A (zh) * 2016-12-12 2017-03-15 江西赣锋锂业股份有限公司 一种从锂废旧电池中回收锂制备电池级碳酸锂的方法
CN106684485B (zh) * 2016-12-19 2020-04-21 天齐锂业股份有限公司 酸浸法回收处理废旧磷酸铁锂正极材料的方法
TWI746818B (zh) 2017-04-07 2021-11-21 比利時商烏明克公司 回收鋰之程序
WO2018209164A1 (en) 2017-05-11 2018-11-15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ies
CN110945711B (zh) 2017-05-30 2023-05-23 锂电池循环有限公司 从电池回收材料的处理方法、设备及系统
KR20200060695A (ko) 2017-06-08 2020-06-01 어반 마이닝 피티와이 엘티디 폐 리튬-기반 배터리 및 다른 공급물로부터 코발트, 리튬 및 기타 금속의 회수 방법
CN107653378A (zh) * 2017-08-25 2018-02-02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废旧镍钴锰锂离子电池中有价金属的回收方法
CN107871912B (zh) * 2017-09-25 2020-05-12 湖南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一种从回收废锂离子电池中有价金属时产生的浸出液中除铁铝的方法
US11508999B2 (en) 2017-09-28 2022-11-22 Recyclage Lithion Inc. Lithium-ion batteries recycling process
DE102018102026A1 (de) * 2018-01-30 2019-08-01 Duesenfeld Gmbh Verfahren zum Verwerten von Lithium-Batterien
IT201800002175A1 (it) 2018-01-30 2019-07-30 Consiglio Nazionale Ricerche Procedimento idrometallurgico per il trattamento di batterie al litio e recupero dei metalli in esse contenuti.
JP2021530838A (ja) 2018-07-10 2021-11-11 ビーエイエスエフ・ソシエタス・エウロパエアBasf Se 使用済み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リサイクルプロセス
AU2019389199A1 (en) 2018-11-26 2021-06-03 Basf Se Battery recycling by hydrogen gas injection in leach
CN109650415B (zh) * 2018-12-04 2023-02-10 湖南天泰天润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从报废的磷酸铁锂电池正极粉中提取碳酸锂的方法
EP3670686A1 (en) * 2018-12-21 2020-06-24 A.C.N. 630 589 507 Pty Ltd Battery recycling process
CN110066925A (zh) 2019-04-28 2019-07-30 浙江天能新材料有限公司 一种废旧镍钴锰三元锂电池中有价金属的回收方法
TW202107764A (zh) 2019-07-26 2021-02-16 德商巴斯夫歐洲公司 自廢鋰離子電池中回收鋰之方法
TW202111131A (zh) 2019-07-26 2021-03-16 德商巴斯夫歐洲公司 自廢鋰離子電池中回收鋰和其他金屬之方法
TW202105823A (zh) 2019-07-26 2021-02-01 德商巴斯夫歐洲公司 自廢鋰離子電池中回收鋰和其他金屬之方法
CN110527836A (zh) 2019-09-12 2019-12-03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离子交换法回收废旧镍钴锰锂离子电池中有价金属的方法
WO2021047352A1 (zh) 2019-09-14 2021-03-18 湖南金源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三元电池废料综合回收中的锰锂分离和萃前液制备工艺以及从三元电池废料中综合回收钴镍锰锂元素的方法
US11430997B2 (en) 2019-11-01 2022-08-30 Battery Reclamation Research Associates Llc Process for separating and recycling a spent alkaline battery
CN111003736B (zh) * 2019-11-08 2022-10-04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电解液综合处理方法
CN111304441A (zh) * 2019-11-27 2020-06-19 湖南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电池浸出液除杂的方法
CN111187913B (zh) * 2020-02-20 2021-07-02 广东省稀有金属研究所 一种选择性回收废旧磷酸铁锂电池中锂和铜的方法
KR102243820B1 (ko) 2020-03-05 2021-04-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수산화리튬의 제조 방법
CN113924682A (zh) 2020-05-01 2022-01-11 XproEM有限公司 从废锂离子电池的废正极中回收锂和过渡金属的方法
US20210384563A1 (en) 2020-06-08 2021-12-09 Battery Resourcers LLC Anode recovery in recycled batteries
CN112126783B (zh) * 2020-08-25 2022-06-14 湖南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一种镍钴锰溶液中铁铝资源化的回收方法
CN112158894A (zh) 2020-09-24 2021-01-01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锂电池正极材料的回收方法
CN112680598A (zh) 2020-12-15 2021-04-20 中南大学 一种低成本清洁处理废旧锂离子电池正极材料的方法
EP4271845A2 (en) 2020-12-31 2023-11-08 Cytec Industries, Inc. Recovering mixed-metal ions from aqueous solutions
CN113517484B (zh) 2021-03-08 2022-08-05 清华大学 废钴酸锂电池的处理方法及其产物
CA3215065A1 (en) 2021-04-13 2022-10-20 Yan Wang Lithium recovery process
KR20230172532A (ko) 2021-04-14 2023-12-22 메트소 핀란드 오이 리튬 이온 배터리 재료로부터의 금속들의 추출
JP2024516955A (ja) 2021-04-14 2024-04-18 メッツォ フィンランド オーワイ リチウムイオン電池材料からの金属の抽出
EP4323555A1 (en) 2021-04-14 2024-02-21 Metso Finland Oy Extraction of metals from lithium-ion battery material
CN117561631A (zh) 2021-06-25 2024-02-13 升腾元素公司 再循环全固态电池(assb)和阳极回收
CN113801990A (zh) 2021-08-03 2021-12-17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锂离子电池的回收利用方法
US20230059571A1 (en) 2021-08-18 2023-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thode material stabilization
CN113802003A (zh) 2021-08-23 2021-12-17 广东邦普循环科技有限公司 废旧锂电池的回收及制备三元前驱体的方法
US20240079580A1 (en) 2021-09-05 2024-03-07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Mixed cathode upcycling
DE102021123151A1 (de) 2021-09-07 2023-03-09 Aurubis Ag Verfahren und Anlage zur Rückgewinnung von Metallen aus schwarzer Masse
GB2611158A (en) 2021-09-21 2023-03-29 Johnson Matthey Plc A recycling method for recovery of lithium from materials comprising lithium and one or more transition metals
US20230147371A1 (en) 2021-11-05 2023-05-11 Battery Resourcers LLC Charge material synthesized from recycled lithium-ion batte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5973A1 (en) 2022-03-03
US20230231216A1 (en) 2023-07-20
US20240047777A1 (en) 2024-02-08
MX2023001714A (es) 2023-04-13
AU2021330014A1 (en) 2023-03-16
AU2024201960A1 (en) 2024-04-11
EP4200927A1 (en) 2023-06-28
EP4200927A4 (en) 2024-06-05
US11876196B2 (en) 2024-01-16
CN116018710B (zh) 2024-05-03
CA3188399A1 (en) 2022-03-03
AU2021330014B2 (en) 2024-04-18
CN116018710A (zh)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15409A (zh) 锂离子电池废料的处理方法
TW201739097A (zh) 鋰離子電池廢料之處理方法
EP2832700B1 (en) Method for producing high-purity nickel sulfate
KR101420501B1 (ko) 금속 혼합 용액 중의 금속의 분리 방법
JP5686258B2 (ja) 高純度硫酸ニッケルを得るための溶媒抽出方法
JPH09217133A (ja) 希土類−ニッケル系合金からの有用元素の回収方法
WO2022130793A1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廃棄物の処理方法
US20230257850A1 (en) Novel Systems And Methods Of Reductive-Acid Leaching Of Spent Battery Electrodes To Recover Valuable Materials
CN113039295A (zh) 用于从锂离子电池提取金属的方法
JP7317761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廃棄物の処理方法
CN115087622A (zh) 混合金属盐的制造方法
JP6459797B2 (ja) 廃ニッケル水素電池からのフェロニッケル製造用原料の回収方法及びその回収装置
JP4215547B2 (ja) コバルトの回収方法
JP2022182229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からの金属回収方法
KR20230048561A (ko)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활용에서의 불순물 제거 공정
JP2017008384A (ja) 廃ニッケル水素電池からのncm製造用原料の回収方法及びその回収装置
JP6402686B2 (ja) 廃ニッケル水素電池からのニッケル、コバルト、及びアルミニウム系二次電池の製造用原料の回収方法及びその回収装置
CN110534833B (zh) 一种处理含有磷酸铁锂的物质的方法及设备
RU2815272C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примесей при переработке литий-ионных аккумуляторов
AU2021441266A1 (en) Extraction of metals from lithium-ion battery material
JP2021161448A (ja) マンガンイオン除去方法
JP7303947B1 (ja) コバルト溶液の製造方法、コバルト塩の製造方法、ニッケル溶液の製造方法、及びニッケル塩の製造方法
WO2023188489A1 (ja) 金属浸出方法及び金属回収方法
CA3236078A1 (en) Selective acid leaching of mixed hydroxide precipitate
WO2023229007A1 (ja) アルミニウムの抽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