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301A - 헤드레스트 스피커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스피커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301A
KR20130056301A KR1020137005011A KR20137005011A KR20130056301A KR 20130056301 A KR20130056301 A KR 20130056301A KR 1020137005011 A KR1020137005011 A KR 1020137005011A KR 20137005011 A KR20137005011 A KR 20137005011A KR 20130056301 A KR20130056301 A KR 20130056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speaker
sound
speaker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4919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실츠레
울릭 하이즈
스테판 바르가
마티아스 랭
올리버 헬무트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13005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04R5/023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in a chair, pi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2013/016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에 또는 차량 좌석에 부착될 수 있는 스피커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가 설명된다. 상기 헤드레스트 또는 상기 스피커 박스는 스피커 박스에 또는 헤드레스트에 통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을 가지며 상기 스피커는 차량 좌석의 등받이의 등받이 주 방향에 대해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이 경사지는 방식으로 스피커 박스에 또는 헤드레스트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스피커 배치구조{HEADREST SPEAKER ARRANGEMENT}
본 발명은 스피커 박스에 또는 헤드레스트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경사지게 배치된 스피커를 갖는 차량 좌석에 대한 헤드레스트(머리 받침대, headrest) 및, 차량 좌석이나 헤드레스트에 부착되로록 구성되는, 스피커 박스(speaker box)에 관련되어 있다.
미국 특허 US 7,424,127 B1 에서 스피커가 장착된 좌석이 설명되어있다. 상기 좌석 장치의 뒤는 좌석 장치에 앉아있는 유저의 머리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방향지어진 두개의 전자-음향 변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는, 차량 좌석 또는 헤드레스트에 부착가능하고,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이 차량 좌석의 백레스트(등받이, backrest)에 대해 경사지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스피커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스피커들이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에 통합되고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의 측면 벽들 및 낮추어진 스피커들에 의해 형성되는 챔버(chamber)에서 작동하는 동안 적어도 두개의 스피커들의 사운드 웨이브를 믹싱하는 것에 의해 차 안에서 기대 분산 사운드 클라우드가 발생될 수 있도록 스피커 박스에서 또는 헤드레스트에서 낮추어져 배치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통합된 스피커들은 헤드레스트에서 또는 스피커 박스에서 완전히 낮추어져 배치되고 이는 작동하는 동안 차량 좌석 또는 스피커 박스가 완전한 분산 사운드 조사(complete diffuse sound irradiation) 또는 클라우드(cloud)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에 배치되고 이는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벽에 조사(irradiates)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차량은 여기서 주장되는 대로 차량 좌석 또는 헤드레스트에 부착되는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좌석 및 차량 천장에 배치된 추가 전용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dedicated sound wave reflector)를 포함한다.
전자-음향 변환기의 축은 즉, 일반적으로 복사(radiation)의 주 방향을 가리키는, 복사 표면의 축을 언급한다. 전자-음향 변환기는 좌석 장치에 부착된 헤드레스트에 장착된다. 전자-음향 변환기는 유저가 좌석 장치에 앉아있는 때 유저의 머리의 각 측면 상에 있는 하나의 변환기가 있는 헤드레스트(headrest)에 위치한다. 변환기는 방향성 오디오 신호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용되고, 왼쪽 및 오른쪽 입체 음향 장치처럼, 차 안에서 헤드레스트에 방출되는 축을 이룬다. 이는, 미국 특허의 목적이 차량에서 승객이 오디오 신호의 위치, 그리고 거기서 함께 차량 내에서 스피커의 위치를 알아내는(로컬라이즈, localize)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상기 특허는 방출되는 사운드 신호의 요구되는 로컬라이제이션(위치 측정, localization)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좌석에 장착된 스피커를 언급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 안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 인테리어에서, 기대 분산 사운드 클라우드(desired diffuse sound cloud)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승객은 미국 특허에서 설명된 방향 지어진 서라운드 사운드 개념(surround sound perception)에 비교되는 분산 역상관(de-correlated) 사운드 개념을 가질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의 개략적 측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의 또다른 측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 부착된 스피커 박스의 개략적 측면도.
도 2는 등받이 주 방향 및 스피커의 주 사운드 방출 방향 사이에서 그리고 좌석의 등받이 및 차량 좌석의 좌석 표면 사이의 대응하는 각도 및 차량의 개략적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진 스피커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의 개략적 측면도.
도 3b는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 스피커 박스 및 헤드레스트에서 경사지게 배치된 두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하고, 도 3a에 대응하는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의 개략적 상면도.
도 3c는 도 3a-3b에 따른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의 개략적 배면도.
도 3d는 가정된 등받이 주 방향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경사진 두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의 또 다른 개략적 배면도.
도 3e는 하나의 스피커는 위로 다른 스피커는 아래로 조사(irradiating)하는, 두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의 또 다른 개략적 배면도.
도 3f는 승객의 머리 및 헤드레스트의 개략적 상면도 뿐만 아니라, 등받이 주 방향에 대해 다른 개략적 경사진 주 사운드 방출 방향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4e는 차량 좌석 또는 헤드레스트에 부찰된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여기서 스피커들은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의 다른 배치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다른 차량 천장에 배치된 전용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개략적 측면도.
도 6은 자동차에서 차량 천장에 부착된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챔버에 낮추어 배치된 통합된 두개의 스피커들을 갖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리플렉스 튜브들(bass reflex tubes) 및 통합된 낮추어진 스피커들을 갖는 차량 좌석의 추가 헤드레스트를 보여주는 도면.
실시예들의 자세한 설명
도 1 내지 8에 포함된 레퍼런스에 따라, 헤드레스트 또는 차량 좌석에 부착되기 위한 스피커 박스 또는 차량 좌석에 대한 헤드레스트에 관련된 실시예들 및 설명들이 주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차량 좌석에 또는 헤드레스트에 부착될 스피커 박스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가 설명된다.
헤드레스트는 차량 좌석에 대한 헤드레스트일 수 있고, 여기서 차량 좌석은, 예를 들어, 자동차, 버스, 기차, 비행기, 선박, 지하철 등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박스는 차량 좌석의 일반적 헤드레스트에 또는 차량 좌석 같은 것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스피크 박스가, 예를 들어, 일반 헤드레스트 또는 차량 좌석에 다른 적절한 수단들에 의해 자기적으로, 특정 고정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제거되고 다시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스피커 박스는, 예를 들어 차량 좌석의 등받이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는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스피커는 작동 동안에 특정 주 사운드 방출 방향(main sound emission direction)을 갖는다. 상기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은 스피커의 막에 대해 노멀(normal)일 수 있다. 사운드 웨이브는 작동 동안에 주 사운드 방출 방향으로 대부분 조사된다. 주 사운드 방출 방향으로 스피커에 의해 조사되는 사운드 웨이브의 부분(포션, portion)은 사운드 웨이브의 주파수에 의존할 수 있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사운드 웨이브들은 낮은 주파수를 갖는 사운드 웨이브들보다 더 직접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의 방향으로 장출되는 사운드 웨이브의 부분이 낮은 주파수(예를 들어 10 - 500 Hz)를 갖는 사운드 웨이브의 부분보다 더 높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헤드레스트 그리고 또 스피커 박스는 전기적 연결 및 접촉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 사운드 또는 스피치는, 예를 들어, 오디오 사운드 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 CD/DVD 또는 Blu-ray-player, MP3-player, 모바일 폰 등의 수단에 의해 통합된 스피커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스피커는 전자-음향 변환기일 수 있다. 이는, 헤드레스ㅌ 또는 스피커 박스에 통합된 스피커가 전자 신호 상에 사운드 웨이브를 조사하거나 방출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스피커는, 예를 들어, 10 Hz 내지 22.000 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서, 예를 들어, 음악, 스피치 또는 톤(tones) 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스피커는 좌석 시트의 등받이의 등받이 주 방향에 대해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이 경사지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스피커 박스에서 또는 헤드레스트에서 고정된다. 다른 말로, 상기 스피커의 주 방출 방향과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가 장착되는 등받이 주 방향 사이의 특정 각도가 있다는 것이다. 등받이 주 방향(backrest main direction)은 차량 좌석의 등받이의 축 방향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차량 좌석의 좌석 표면에 대해 등받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공간적으로 등받이 주 방향의 축 방향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주 사운드 방출 방향 및 등받이 주 방향 사이의 각도는 불변할 수 있고, 이는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의 통합된 스피커가 등받이에 따라 똑같은 방식으로 기울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등받이 주 방향은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의 낮은 측면 또는 바텀 플레이트 벽(bottom plate wall)의 노멀(normal)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등받이 주 방향은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의 상측 또는 탑 사이드 벽(top side wall)의 노멀(normal)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그런 등받이 주 방향은, 상기 노멀(normal)이 만약 스피커 박스가 차량 좌석의 등받이에 직접 또는 헤드레스트에 고정된 경우 또는 헤드레스트가 차량 좌석에 장착된 경우 등받이 주 방향에 일치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가정된(assumed) 등받이 주 방향일 수 있다.
도 1a에서,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10)의 개략적 측면도가 표현되어 있다. 헤드레스트(10)은 승객 머리에 대해 앞면 영역(8)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10)은 통합된 스피커(20)을 갖는 챔버(9) 또는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헤드레스트는 네 측벽들(10a), 상측벽(10b) 그리고 상측벽(10b)에 반대인 하측벽(10c)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두개의 스피커들, 세개의 스피커들, 네개의 스피커들 또는 복수의 스피커들이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10) 또는 챔버 또는 박스(9)에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스피커(20)를 갖는 헤드레스트(10)은 헤드레스트(10)의 상측벽(10b)에서 사운드 배출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0)는 주 방출 방향(25)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스피커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가 차량 좌석의 등받이(15)의 등받이 주 방향(30)에 대해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헤드레스트에 고정된다.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는 등받이 주 방향(30)에 대한 각도에 의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는 등받이(15)에 대해 헤드레스트 지지대(headrest support, 16)의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스피커의 동작을 위해 전기적 연결은 헤드레스트(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에 대해 헤드레스트 지지대(16)을 통해 경로가 만들어질 수 있다. 스피커(20)의 동작 동안에, 사운드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으로 주로 방출될 수 있다. 사운드 웨이브들은 헤드레스트에서 사운드 배출구(13)을 통해 헤드레스트(10)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다. 사운드 웨이브들은 주변으로, 예를 들어, 차 안 또는 자동차 인테리어로 방출된다. 사운드 배출구는 빠진(missing) 상측벽(10b) 또는 측벽(10a) 또는 상측벽(10b)의 적절한 구멍(opening)에 의해 간단히 형성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스피커(20)을 갖는 헤드레스트(10)의 개략적 측면도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20)을 포함하는 챔버(9)는 헤드레스트(10)에 완전히 통합된다. 상기 스피커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가 차량 좌석의 등받이(15)의 등받이 주 방향(30)에 대해 경사지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처럼 헤드레스트에 다시 고정된다. 상기 헤드레스트는 작동 동안에 사운드가 차량 내부(인테리어, interior)로 방출될 수 있도록 다시 구멍 - 사운드 배출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c 에서 노멀 헤드레스트(11)에 부착되는 스피커 박스의 개략적 측면도가 묘사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박스는 차량 좌석의 등받이에 대해, 예를 들어, 차량 좌석에 부착될 수 있다. 스피커 박스(12)는 스피커 박스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20)은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를 갖고 이는 차량 좌석의 등받이(15)의 등받이 주 방향(30)에 대한 각도에 의해 경사지게 된다. 등받이 주 방향(30)은 등받이가 가리키는 축 방향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박스는 네개의 측벽들(12a), 상측벽(12b) 및 상측벽(12b)의 반대인 하측벽(12c)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박스(12)는 헤드레스트에 또는 대안적 실시예들에서 고정 수단들(23)에 의해 그 자체로 등받이에도 부착될 수 있다. 그러한 고정 수단들은, 예를 들어, 훅 및 루프 결속구 또는 벨트들, 후크들 같은 기계적 수단일 수 있다. 통합된 스피커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이 승객의 머리(22)로부터 먼 곳을 가리키는 방식으로 기울여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스피커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이 승객 머리(22)로의 방향을 가리키는 것처럼 등받이 주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피커(20)는 등받이 주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제외하고, 어떠한 방향으로도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가 가리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이 등받이 주 방향(30) 주위에 형성된 콘(cone)에 위치될 수 있고, 여기서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은 등받이 주 방향(30)에 맞서 각도 α에 의해 기울여진다. 그러나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은 등받이 좌석의 축 방향과 다를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의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은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의 하측벽(12c)에 대한 방향을 가리킬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20)은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이 차량 좌석의 등받이의 등받이 주 방향에 대한 각도 α에 의해 경사지는 방식으로 스피커 박스(12) 또는 헤드레스트에서 고정될 수 있다. 스피커(20)의 주 사운드 방향(25)과 등받이 주 방향(30) 사이의 각도 α는, 예를 들어, 25°, 30°, 45° 도 또는 90°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각도 α는 25° 및 155°사이, 30° 및 105°사이, 45° 및 135°사이가 될 수 있다. 스피커(20)은 헤드레스트(10)의 챔버(9)에서, 또는 스피커 박스에서, 각각 헤드레스트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 헤드레스트의 챔버(9) 또는 스피커 박스(12)에서, 헤드레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 조사된다. 스피커가 작동하는 동안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들(40)(도4를 참조)은, 각각 헤드레스트의 챔버(9) 또는 스피커 박스(12)에서 헤드레스트의 벽에 부분적으로 반사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사운드 웨이브들은 반사되는 것 없이 사운드 배출구(13)를 통해 직접 방출될 수 있다.
도 2a에서 개략적 측면도로 보여지는 것처럼, 차량 좌석(18)은 좌석 표면(35) 및 등받이(15)를 포함하며, 여기서 등받이(15)의 좌석 표면(35)에 대한 기울기는 각도 β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등받이의 위치와 거기에서 등받이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 또한 좌석 표면(35)에 대해 변화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20)에서 스피커(20) 변경가능한 등받이 주 위치(30)에 대해 고정된 기울어진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서,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의 개략적 측면도가 묘사된다. 스피커(20)는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헤드레스트(10)에서 통합된다. 스피커는, 예를 들어, 보드(board) 또는 고정구(28)에서, 헤드레스트에 고정되고,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는 스피커 박스의 하측벽(12c) 또는 헤드레스트의 하측벽(10c)에 대해 경사진다. 스피커(20)의 중심(21)은 스피커 박스(12) 또는 헤드레스트(10)의 사운드 배출구(13)에 대해 D2 또는 D1의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20)의 중심(21)은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의 상부 모서리(14)에 대해 거리 D2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D2 또는 D1은 적어도 3cm, 4 cm 또는 5 cm 일 수 있다. 이는,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은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헤드레스트(10)에서 낮추어져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운드 배출구(13)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의 중심(21)으로부터의 거리 D1 은 3 cm, 4 cm 또는 5 cm 일 수 있다. 스피커(20)는 스피커 박스(12)의 또는 헤드레스트의 상부 모서리(14)를 갖는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헤드레스트(10)에서 낮추어져 배치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 에 따른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의 개략적 상면도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추가 스피커(20b)가 보여지고, 이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a) 옆에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에 통합된다. 제거된 상측벽(10b, 12b)는 사운드 배출구(13)로 기능할 수 있다.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의 상측벽(10b, 12b)는, 각각 헤드레스트 챔버는 사운드 배출구(13)로 기능할 수 있고, 그래서 사운드 웨이브는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의 제거된 상측벽(10b, 12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배출구(13)은 특정 구멍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 벽의 홀들 또는 슬롯들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사운드 배출구는 빠져나갈 사운드 웨이브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사운드 배출구는 먼지로부터 스피커를 기계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예를 들어, 천 또는 플라스틱 커버로 커버될 수 있다. 제1(20a) 및 제2(20b) 스피커는 보드 또는 고정구(28)로 내장될 수 있고 이는 스피커들의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이 등받이의 등받이 주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피커들은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의 하측벽(10c, 12c)의 노멀(normal)에 대해 경사진다. 상기 노멀(normal)은 가정된 등받이 주 방향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 3c에서, 보드(28)에 배치된 경사진 제1 및 제2스피커(20a 및 20b)의 개략적 배면도가 보여진다. 도 3d는, 두개의 통합된 스피커들을 갖는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의 또 다른 개략적 배면도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피커(20a) 및 제2스피커(20b)는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대신, 양쪽 스피커들은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의 하측벽(10c, 12c)의 노멀(normal)에 대해 등받이 주 방향(30)에 경사지게 된다. 제1스피커(20a)의 제1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a)은 제1각도 α1에 의해 등받이 주 방향(30)으로 경사지게 된다. 각도 α1 는 10°, 20°, 25°, 30°, 45° 또는 90°와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제2스피커(20b)의 제2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b)은 제2각도 α2에 의해 등받이 주 방향(30)으로 경사지게 된다. 각도 α2는 대략적으로, 예를 들어, 360°-α1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는 도 3e 에서 개략적으로 묘사되는 것처럼, 제1스피커(25a)의 제1 주 사운드 방향(25a)과 등받이 주 방향(30) 사이의 각도 α1은 10°, 20°, 25°, 30°, 45° 또는 90°와 같거나 그보다 크고 제2스피커(20b)의 제2 주 사운드 방향(25b)과 등받이 주 방향(30) 사이의 각도 α2는 180°+α1과 같다. 고정구 또는 보드(28)는 구멍들(32)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제2스피커(20b)에 의해 아래로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가 구멍들(32)을 통해 스피커 박스에서 반사되고 스피커 박스를 떠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각도 α1와 α2 사이의 관계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1스피커 및 제2스피커는 서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될 필요가 없다. 이는, 상기 스피커들이 임의적으로 또는 비대칭적으로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에서 서로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f에서, 가능한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를 나타내는 헤드레스트(10) 및 승객 머리(22)의 개략적 상면도, 뿐만 아니라, 화살표들, 그리고 등받이 주 방향(30)이 보여진다. 등받이 주 방향(30)은 시트 플레인(sheet plane)과 수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은,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가 등받이 주 방향(30)에 대해 경사지는 한, 승객의 머리(22)에 대해 어떠한 방향이든 향할 수 있다. 등받이 주 방향(30)은 차량 좌석에 앉은 승객의 척추에 대략적으로 평행일 수 있다.
다음에서, 도 4a-4e에 보여진 실시예들에 관해서, 오직 개략적 스피커 박스들(12)가 설명되고 묘사되었다. 그러나 설명된 실시예들은 헤드레스트(10), 헤드레스트(10)의 챔버(9) 각각,에 응용가능하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10) 또한 언급할 수 있다.
도 4a에서, 차량 좌석에 또는 헤드레스트에 부착될 스피커 박스(12)의 실시가 묘사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20a) 및 제2(20b) 스피커가 스피커 박스(12)에 배치되고, 사운드 웨이브(40)는 스피커 박스의 내벽(12a)에 부분적으로 스피커 박스의 하측벽(12c)에 대한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방출된다. 스피커 박스(12)는 스피커 박스의 상측에서 사운드 배출구(13)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사운드 배출구(13)은 박스(12)의 제거된 상측벽(12c)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들(20a, 20b)은 스피커 박스의 내부 고정구 또는 보드(28)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제1 및 제2스피커의 주 사운드 방출 방향들이 스피커 박스의 하측벽(12a)에 노멀(normal)하게 또는 등받이 주 방향(30)에 대해 경사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드 또는 고정구(28)은 스피커 박스의 요구되는 위치에 스피커들(20a, 20b)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들(20a, 20b)은 스피커 박스(12)의 사운드 배출구(13)의 상측 모서리(14)에 대해 더 낮게 배치된다. 동일한 것이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10)을 겨냥하는 실시예들에 적용가능하다.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가 다른 방식으로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헤드레스트(10)에서 배치될 수 있다. 도 4b에서,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가 차량 좌석의 등받이의 등받이 주 방향(30)에 대해 또는 가정된 등받이 주 방향(30)에 대해, 스피커 박스(12)의 상측벽(12b)의 노멀 또는 하측벽(12a)의 노멀과 같이, 경사지는 방식으로 스피커 박스(12)에 고정되는 제1(20a) 및 제2(20b) 스피커의 또 다른 예들이 보여진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들(20a, 20b)는 도4a의 실시예에 대조적으로 위로 경사져있고, 스피커들은 아래로 돌려져 있고, 하측벽(12c)를 향한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부분적으로 벽,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의 각 내벽, 을 조사하며, 이는 사운드 배출구(13)을 통해 부분적으로 반사된 사운드 웨이브(40)가 빠져나가게 하기 위함이다.
실시예들에 따라, 차량 좌석에 또는 일반적인 헤드레스트(11)에 부착될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10)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을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는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의 적어도 하나의 벽(12a, 12b, 12c)에 조사되도록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헤드레스트에서 배치된다.
도 4b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사운드 배출구(13)는 스피커 박스(12)의 상측벽(12b)에서 두 슬롯들(13a 및 13b)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배출구(13)는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고 스피커 박스(12) 또는 헤드레스트(10)의 다른 벽(10a, 12a, 10b, 12b 또는 10c, 12c)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는 사운드 개구부(13)을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이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에 배치되고 이는 작동 동안에 주 사운드 방향(25)이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가 스피커에서 또는 헤드레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부터 반사되고 사운드 배출구(13)를 통해 방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b에서, 어떻게 사운드 웨이브(40)이 내벽(12a)으로부터 반사되는지, 어떻게 사운드 웨이브(40)이 사운드 배출구(13b)를 통해 빠져나가는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두 스피커들(20a 및 20b)의 주 사운드 방향들(25a, 25b)은 가정된 등받이 주 방향(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한다.
대조적으로, 도 4c에서 각 제1 및 제2스피커 (20a 및 20b)의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a 및 25b)은 가정된 등받이 주 방향(30)을 향한다. 방출된 사운드 웨이브(40)은 직접적으로 스피커 박스(12)의 사운드 배출구(13)을 통해 빠져나간다. 승객이 방출된 사운드 웨이브를 듣도록 하기 위해, 요구되는 분산 사운드 클라우드가 차 안에서 발생될 수 있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스피커들(20)은 스피커 박스(12)에서 더 낮게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스피커 (20a 및 20b)의 방출된 사운드 웨이브들의 적어도 부분적인 믹싱이 스피커 박스의 상측 챔버 공간(17)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방출된 사운드 웨이브들의 완전한 역상관(de-correlation)이 달성될 수 있다. 동일한 것이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10)에 대한 실시예에서 달성될 수 있다.
도 4a-4e에 보여지는 것처럼, 스피커가 스피커 박스(12) 또는 헤드레스트(10)에서 낮추어져 배치된다면, 직접(direct) 및/또는 반사된(reflected) 사운드 웨이브들은 청취자에게, 완전 분산 사운드 클라우드가 차 안에서 발생될 수 있도록하기 위해 챔버 공간에서 믹싱될 수 있다. 사운드 웨이브들의 고도 지향성 방출(highly directive emission)에 대조적으로, 스피커 박스(12) 또는 헤드레스트(10)에서 낮추어진 스피커들(20)은 역상관된 그리고 분산하는 사운드 개념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청취자는 분산 사운드 클라우드가 차 안에서 달성되도록 스피커들을 위치시킬 수 없을 수도 있다. 도 4d에서, 세개의 스피커들(20a-20c)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들(25a, 25b, 25c)가 측벽들(12a), 각 스피커 박스(12)의 하측벽(12c)을 향하도록 스피커 박스(12)에 배치된다. 주 사운드 방출 방향들(25a, 25b, 25c)는 벽들에 수직하게 주로 방향지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은 벽에 수직하는 것과 다르게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 사운드 방출 방향은 벽에 노멀(normal)한 특정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들(20a-20c)은 스피커 박스(12) 내로 구축되는 고정구(28)에 배치된다. 스피커들(20a 및 20b)는, 예를 들어, 트위터들(tweeters)일 수 있고 스피커(20c)는 우퍼 또는 서브우퍼일 수 있다. 적어도 스피커들(20a 및 20b)는 가정된 등받이 주 방향(30)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주 사운드 방출 방향들(25a 및 25b) 그리고 가정된 등받이 주방향(30)은 약 90°의 각도를 포함한다.
제1스피커(20a)는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에 배치되고 이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a)에서 작동 동안에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40)가 수직 방향으로 내측벽(12a)에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스피커(20b)는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에 배치되며 이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b)에서 작동 동안에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가 수직 방향으로 하측벽(12c)에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3스피커(20c)는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에 배치되며 이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a)에서 작동 동안에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가 수직 방향으로 내측벽(12a)에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피커들(20a-20c)은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헤드레스트(10)에서 완전히 낮추어져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오직 반사된 사운드 웨이브(40)만이 스피커 박스의 상측에서의 사운드 배출구(13)를 통해 빠져나가게 하기 위함이다. 빠져나가는 사운드 웨이브들은 단일 스피커들 (20a - 20c)로부터 믹스된 분산 사운드 웨이브들일 수 있다. 박스의 상측(top side)은 사운드 배출구들(1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측면이 사운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경우에, 측벽 또는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의 또 다른 벽은 상측벽으로 생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벽들에서 복수의 사운드 배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벽은 기하학에 의해 또는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의 의도된 이용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스피커(20a-20c)의 방출된 사운드 웨이브들(40)은 완전히 믹스되어 있을 수 있고, 이는 분산 역상관 사운드 임프레션(diffuse decorrelated sound impreesion)이, 예를 들어, 자동차 인테리어에서, 달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는, 상기 설명된것처럼,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에 낮추어져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작동 동안에 적어도 두개의 스피커들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들이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에서 완전히 믹스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역상관 믹스된 사운드 웨이브들은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에서 주변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은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그것이 스피커 박스 또는 헤드레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내벽에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e에서, 두개의 스피커들(20a 및 20b)은 스피커 박스(12)에 배치된다. 스피커 박스(12)는 네개의 측벽들(12a)와 하나의 하측벽(12c)을 포함한다. 스피커 박스(12)의 상측벽(12b)는 제거된다. 제거된 상측벽(12b)는 작동 동안 스피커들(20a 및 20b)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들에 대해 사운드 배출구(13)으로 작동한다. 스피커들(20a, 20b)의 주 사운드 방출 방향들(25a 및 25b)은 가정된 등받이 주 방향(30)에 대한 각도 α1 및 α2에 의해 경사지게 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등받이 주 방향(30), 각 가정된 등받이 주 방향은 하측벽(12c), 상측벽(12b) 또는 사운드 배출구(13)에 수직이다. 스피커 박스(12), 또는 헤드레스트(10)의 챔버(9) 또는 적어도 하나의 내벽들은 적절한 방법으로 방출된 사운드 웨이브들(40)을 반사시키는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챔버(9)에서 스피커 박스(12)의 내벽들에서 반사된 사운드 웨이브들의 손실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도 4e에서, 스피커(20b)는 스피커 박스(12)에 배치되고, 이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b)에서 방출된 사운드 웨이브(40)이 스피커 박스(12)의 헤드레스ㅌ의 하측벽(12c) 및 측벽(12a)을 조사(irradiates)하기 위함이다. 상기 사운드 웨이브(40)는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의 하측벽(12c)의 반대인 상측(12b) 상에 형성되는 사운드 배출구(13)을 통해 주변으로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설명된 것처럼, 헤드레스트에 또는 차량 좌석에 부착될 차량 좌석 또는 스피커 박스의 헤드레스트는 적어도 제2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스피커 박스에서 또는 헤드레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스피커는 스피커 박스에서 헤드레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작동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 의해 적어도 제2스피커에 의해 방출된 단일 사운드 웨이브들의 믹스쳐에 기반한 상관된 사운드 웨이브는, 예를 들어, 자동차 객실처럼 차 안으로 주변으로 사운드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간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스피커 박스(12) 또는 헤드레스트(10)의 챔버(9)는, 예를 들어, 하측벽에 맞은편인, 상측벽 및 복수의 측벽들을 갖는 다면체, 정육면체, 직육면체 또는 직사각 평행육면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라,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는 사운드 배출구(14)를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a)는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에 배치되며 이는 작동 동안 사운드 웨이브(40)가 내측벽 및 사운드 배출구(13)에 조사되게 하기 위함이다.
제2스피커(20b)는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12)에 배치되며 이는작동 동안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b)로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40b)가 스피커 박스의 헤드레스트의 내부 하측벽(12c) 및 측벽(12a)에 조사(irradiates)되게 하기 위함이며, 작동 동안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a)에 의해 제2스피커(20b)에 의해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들 (40a', 40a'' 및 40b)의 믹스쳐를 포함하는 분산 사운드 클라우드가 사운드 배출구(13)을 통해 빠져나가게 하기 위함이다. 스피커(20a)는 서라운딩 영역에서 사운드 배출구를 통해 바로 사운드 웨이브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100)의 개략적 측면도가 묘사된다. 차량(100)은 차량 좌석(18)에 또는 헤드레스트(11)에 부착될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좌석(18)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는 도면 1-4e에 관한 여기에 설명된것처럼 구성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헤드레스트(10)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스피커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을 가지고 여기서 상기 스피커(20)는 헤드레스트에 또는 스피커 박스(12)에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가 차량 좌석(18)의 등받이 주 방향(30)에 대해 경사지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추가로,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차량(100)은 차량 천장(45)상에 스피커 박스(12) 위에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10) 상에 배치되는 전용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은 차량의 차량 천장(45)보다, 더 낮은 사운드 웨이브 손실을 갖는 스피커에 또는 헤드레스트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으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들(40)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운드 웨이브들(40)은 차 안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 인테리어에서, 도5에 개략적으로 보여진 것처럼,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은, 예를 들어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의 두께 D3 또는 차량 천장(45)과 사운드 웨이브 리프렉터(50)의 꼭지점(51) 사이의 거리 D3 가 0.5cm 및 5cm 사이의 범위에 있도록 하는 곡률을 갖는, 구부러진 오목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꼭지점의 두께 또는 거리 D3는,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약 1cm 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차량이라고 쓰인 용어는, 예를 들어, 자동차, 버스, 기차, 항공기, 선박, 지하철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이라는 용어는 공중에서, 물에서, 지상에서, 그리고 지하에서 어떠한 운송 수단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운송 수단 또는 차량은 차 안(승객의 구획, 객실, passenger's compartment)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에 설명된대로 차량 천장(45)에서 전용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을 포함한다. 통합된 스피커의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은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를 향할 수 있고, 이는 동작 동안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으로부터 조사되는 사운드 웨이브가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으로부터 차량 인테리어(90)로 반사되게 하기 위함이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차량(100)은 차량 인테리어(90)의 분산 사운드 인식(diffuse sound perception)을 스피커 박스에 또는 헤드레스트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의 작동 동안에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차량 인테리어(90)의 사진이 묘사된다. 차량 좌석(18)에 부착된, 헤드레스트(10) 위에,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이 차량 천장(45)에 부착되어 있다. 헤드레스트(10) 상의 리플렉터 영역(50)의 모서리들은 하얗게 마크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는 직사각 형태를 가지며 여기서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의 표면은,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되는, 사운드 웨이브가 차량 인테리어에 조사되게 하기 위해 굽어지거나 물결 모양으로 주름져 있다.
도 7에서, 몇몇 실시예들에 다른 차량 좌석에 대한 헤드레스트(10)의 사진이 묘사된다. 이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10)은 헤드레스트의 챔버 또는 헤드레스트(10)에 더 낮게 배치되는 두개의 스피커들(20a, 20b)를 포함한다. 스피커의 중심(21)과 헤드레스트(10)의 상부 모서리(14), 각 헤드레스트의 챔버 모서리(14) 또는 사운드 배출구 간의 거리 D2, D1은 약 3 cm, 4 cm or 5 cm 일 수 있다. 헤드레스트의 상측벽(10b) 또는 스피커들의 챔버(20a, 20b)는 제거되고, 이는 제거된 상측벽이 차안에서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들에 대해 사운드 배출구(13)로 기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8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좌석에 대한 헤드레스트 프로토타입 사진이 묘사된다. 낮추어져 배치된 스피커들(20a 및 20b) 옆에, 헤드레스트(10), 또는 차량 좌석에 또는 헤드레스트에 부착될 수 있는 스피커 박스(12)는 방출되는 사운드가 낮은 주파수 범위에서 더 깊고 포화되어 소리를 낼 수 있도록 그리고 그와함께 사운드 품질과 사운드 인식(perception)이 향상될 수 있도록 두개의 베이스-리플렉스 튜프들(bass-reflex tubes, 65)을 포함한다.
여기에 공개된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헤드레스트(10)에, 각 스피커 박스(12) 또는 헤드레스트의 챔버(9)에, 낮추어져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은 헤드레스트에, 각 헤드레스트의 챔버에 또는 스피커 박스에 낮추어져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스피커의 중심(21)은, 예를 들어, 스피커의 멤브레인(membrane)의 센터는, 사운드 배출구(13)에 대한 또는 헤드레스트의 상부 모서리914)에 대한 거리 D1 또는 D2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0 cm 과 2 cm 사이, 0 cm 과 3 cm 사이, 0 cm 과 4 cm 사이 또는 0 cm 과 5cm 사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헤드레스트 스피커 배치를 고민한다. 헤드레스트에서의 새로운 스피커 배치 및 그 제어가 여기에서 설명되고, 이는 예를 들어 차 안 또는 자동차 객실, 충분한 특정 공간같은, 작은 공간 부피들에서, 삼차원 사운드 재생에 대한 몇몇 실시예들이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두개의 스피커들이, 예를 들어, 차량 좌석같은, 좌석의 헤드레스트에서 구비된다.(built-in) 만약 차량이 네개의 좌석을 포함한다면, 앞좌석의 두 헤드레스트로 충분한다. 스피커들은 차량의 천장에 대해 상향으로 조사(irradiate)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차량의 천장 아래 헤드레스트 위에 써라운딩 일반 차량 좌석보다 더 단단한 영역이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들의 좋은 반사를 달성하기 위해 설치된다. 더 단단한 영역(50)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더 단단한 영역(50)은 여기에서, 헤드레스트 위에 차량 천장에서 설치될 수 있는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로도 설명될 수 있다.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의 표면은 분산 사운드 조사(diffuse sound irradiation)를 지지하기 위해, (약 1cm)의 약간 굽은 오목(curved concave)이 될 수 있다.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는 굽은 오목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서 0.5cm 와 5cm 사이의 범위에서이다. 이는, 꼭지점(51)에서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의 두께 D3, 오목 사운드 리플렉터(50)의 정점(꼭대기, apex) 또는 차량 천장(45)로부터 꼭대기(51)까지의 거리 D3 또는 오목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의 정점 각각은 0.5cm 와 5cm 사이 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운드 웨이프 리플렉터의 크기는, 예를 들어, 340x180 m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는, 예를 들어, 200 cm2 와 1000 cm2 사이 또는 100 cm2 와 2000 cm2 사이 일 수 있다.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는, 예를 들어, 사각, 직각, 둥근 또는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헤드레스트의 이용은 숨겨진 너무 작지 않은 부피를 갖는 충분히 큰 스피커들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케한다. 이는 예를 들어, 150 Hz로부터, 충분히 낮은 차단(컷-오프, cut-off) 주파수를 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당 역상관된(de-correlated) 입체 음향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헤드레스트 당 두개의 스피커들이 이용되어야 한다. 헤드레스트의 스피커들 위에 양 스피커들을 위한 하나의 공통 챔버 공간(17)이 있다. 공통 챔버 공간(17)은 도 7 및 8에서 보여질 수 있다.
리플렉터 위의 부분적인 부분적인 복사에 의해 그리고 결과 챔버(17)에서 양 스피커 신호들의 믹스쳐에 의해 그리고 헤드레스트에서 적어도 40mm 로부터 상측 모서리(14)에 대한 스피커들의 낮춤 때문에, 스피커 그 자체로는 로컬라이즈(localized) 될 수 없고 상측으로부터 요구되는 분산 사운드 클라우드가 달성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의 앞에 사람 뿐만 아니라, 이는 사운드 개념에 대한 후방 시트상에 헤드레스트 뒤에 사람에 대해 적용된다. 이 사운드 클라우드의 연장 및 삼차원 인식은 역-상관된 신호들의 추가 쌍들을 통해 재생에 의해 재생 공간에서 다른 스피커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여기에 설명된 것처럼 스피커 박스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는 차 안에서 분포되는 추가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더 큰 오디오 사운드 시스템의 부분일 수 있다.

Claims (24)

  1. 헤드레스트에 또는 차량 좌석에 부착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0) 또는 상기 스피커 박스(12)에 통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20)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을 갖고, 상기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이 상기 차량 좌석(18)의 등받이(15)의 등받이 주 방향(30)에 대해 경사지는 방식으로 상기 스피커(20)는 상기 헤드레스트(10) 또는 상기 스피커 박스(1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주 방향(30)과 상기 차량 좌석(18)의 좌석 표면(35) 사이의 각도 α가 변경가능하고, 상기 헤드레스트(10)에 또는 상기 스피커 박스(12)에 고정되는 상기 스피커(20)는 상기 변경가능한 등받이 주 방향(25)에 대해 기울어진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20)의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과 상기 등받이 주 방향(30) 사이의 각도 α는 25°, 30°, 45° 또는 90°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스피커(20a) 및 제2스피커(2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피커(20a)는 제1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a)을 갖고 상기 제2스피커(20b)는 다른 제2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a)과 상기 등받이 주 방향(30) 사이의 각도 α1은 10°, 20°, 30°, 45° 또는 90°와 같거나 그보다 크고 상기 제2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b) 및 상기 등받이 주 방향(30) 사이의 각도 α2는 180°+ α1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10).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a)과 상기 등받이 주 방향(30) 사이의 각도 α1은 10°, 20°, 30°, 45° 또는 90°와 같거나 그보다 크고 상기 제2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b) 및 상기 등받이 주 방향(30) 사이의 각도 α2는 360°- α1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가 상기 스피커 박스(12)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의 사운드 배출구(10c, 12c)에 대해 상기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서 더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10).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의 중심(21)의 거리 D1과 상기 사운드 배출구(10c, 12c)는 적어도 3cm, 4cm 또는 5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는 상기 스피커 (20) 박스의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상부 모서리(14)에 대해 상기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서 더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10).
  10.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의 중심(21)의 거리 D2 및 상기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피커 박스(12)의 상부 모서리(14)는 적어도 3cm, 4cm 또는 5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동안 적어도 제1 및 제2스피커(20a, 20b)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들(40)이 상기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에서 형성되는 챔버(17)에서 믹스되도록, 상기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에서 더 낮게 배치되는 제2스피커(20b)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의 헤드레스트(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20)는 상기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벽(10f, 12f)을 조사하도록 상기 스피커(20) 박스에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0) 또는 상기 스피커 박스(12)는 사운드 배출구(10c, 12c)를 포함하며, 작동 동안 상기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로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40)가 반사되고 상기 헤드레스트(10)에서 또는 상기 스피커 박스(12)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벽(10f, 12f)으로부터 상기 사운드 배출구(10c, 12c)로 빠져나가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가 상기 스피커 박스(12)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동안 상기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으로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40)가 상기 스피커 박스(12)의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의 하측벽(10a, 12a) 및 측벽(10f, 12f)을 조사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가 상기 헤드레스트(10) 또는 상기 스피커 박스(12)에 배치되며, 상기 사운드 웨이브(40)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의 상기 하측벽(10a, 12a)에 맞은편인, 상측벽(10c, 12c) 상에 배치되는, 사운드 배출구(10c, 12c)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a)에 대해 배치되는 제2스피커(20b)를 더 포함하며, 작동 동안 상기 제2스피커(20b)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a)에 의해 방출되는 상기 사운드 웨이브들(40a, 40b)의 믹스쳐의 역-상관된 사운드 웨이브(40)은 상기 사운드 배출구(13)을 통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접적인 사운드 웨이브 및 반사된 사운드 웨이브의 믹스쳐가 상기 사운드 배출구(13)를 통해 방출되도록 작동 동안 상기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으로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40)는 사운드 배출구(13) 및 헤드레스트 또는 스피커 박스(12)의 벽에 조사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 박스(12)에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박스(12)는 복수의 측벽들 및 하측벽에 맞은편인, 상측벽을 갖는 직사각 평행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정육면체, 다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동안 상기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로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40)가 측벽을 조사하도록, 제1스피커(20a)가 상기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 배치되고, 작동 동안 상기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으로 방출되는 상기 사운드 웨이브(40)가 상기 사운드 하측벽(10a, 12a)에 조사하도록, 제2스피커(20)이 상기 스피커 박스(12)에서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0) 또는 상기 스피커 박스(12)는 사운드 배출구(13)을 포함하며 작동 동안 상기 주 사운드 배출 방향(25a)으로 배출되는 사운드 웨이브(40)가 상기 사운드 배출구(13) 및 측벽(10f, 12f)에 조사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a)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또는 상기 스피커 박스(12)에 배치되며, 작동 동안 상기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으로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40)가 상기 스피커 박스(12)의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의 하측벽 및 측벽을 조사하도록 제2스피커(20b)가 상기 스피커 박스(12)에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 배치되며, 작동 동안 분산 사운드 웨이브(4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제2스피커(20)에 의해 방출되는 상기 사운드 웨이브들의 믹스쳐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배출구(13)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0) 또는 상기 스피커 박스(12)는 베이스 리플렉스 튜브(6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21. 헤드레스트(10)에 또는 차량 좌석(18)에 부착되는 스피커 박스(12) 또는 상기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좌석(18)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10) 또는 상기 스피커 박스(12)는,

    상기 스피커(20) 박스에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 통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20)는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을 갖고, 상기 스피커(20)는 상기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이 상기 차량 좌석(18)의 등받이(15)의 등받이 주 방향(30)에 대해 경사지는 방식으로 상기 스피커(20) 박스에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 고정되며,

    차량 천장(45) 상에 스피커 박스(12) 또는 상기 차량 좌석(18)의 헤드레스트(10) 위에 배치되는 전용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는 상기 차량(100)에서 상기 차량 천장(45)보다 더 낮은 사운드 웨이브 손실을 갖는 상기 스피커 박스(12)에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 통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들을 반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22. 제21항에 있어서,
    작동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 웨이브(40)가 상기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로부터 상기 차량 내부(90)로 반사되도록, 상기 주 사운드 방출 방향(25)은 상기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은 상기 스피커 박스(12)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10)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의 작동 동안 상기 차량 내부(90)에서 분산 사운드 인식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24. 제21항 내지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는 굽어진 오목 표면을 가지며, 상기 꼭대기(51)에서의 상기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의 두께 또는 상기 차량 천장(45)으로부터 상기 사운드 웨이브 리플렉터(50)의 꼭지점(51)까지의 거리 D3 는 0.5cm 와 5cm 사이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KR1020137005011A 2010-07-30 2011-07-28 헤드레스트 스피커 배치구조 KR101544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926510P 2010-07-30 2010-07-30
US61/369,265 2010-07-30
PCT/EP2011/062993 WO2012013745A2 (en) 2010-07-30 2011-07-28 Headrest speaker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301A true KR20130056301A (ko) 2013-05-29
KR101544919B1 KR101544919B1 (ko) 2015-08-21

Family

ID=445456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053A KR101573830B1 (ko) 2010-07-30 2011-07-28 음파 반사판을 갖는 차량
KR1020137005011A KR101544919B1 (ko) 2010-07-30 2011-07-28 헤드레스트 스피커 배치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053A KR101573830B1 (ko) 2010-07-30 2011-07-28 음파 반사판을 갖는 차량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9517732B2 (ko)
EP (4) EP2599331A2 (ko)
JP (2) JP5503808B2 (ko)
KR (2) KR101573830B1 (ko)
CN (3) CN103155592A (ko)
AU (2) AU2011284705B2 (ko)
BR (2) BR112013002310B1 (ko)
CA (2) CA2806932C (ko)
ES (2) ES2883575T3 (ko)
MX (2) MX2013001111A (ko)
PL (2) PL3429227T3 (ko)
RU (2) RU2550769C2 (ko)
WO (2) WO20120137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1615884A2 (tr) * 2015-12-07 2017-06-21 Ford Global Tech Llc Aydinlatilmiş hoparlör
EP3226581B1 (en) * 2016-03-31 2020-06-10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Automatic noise control for a vehicle seat
CN115284990A (zh) * 2016-10-28 2022-11-04 伯斯有限公司 具有声学通道的靠背扬声器
DE102016013722A1 (de) * 2016-11-17 2018-05-17 Grammer Aktiengesellschaft Linearführung sowie Kopfstütze mit Linearführung
EP3462751B1 (en) * 2017-09-28 2020-12-23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Speaker assembly
US10721554B2 (en) * 2018-01-12 2020-07-2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udio directing loudspeaker grill
IT201800001720A1 (it) * 2018-01-24 2019-07-24 Ask Ind Spa Poggiatesta per sedile di veicolo con altoparlante.
JP7095735B2 (ja) * 2018-04-12 2022-07-05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車載装置及び音声出力システム
DE102018214181A1 (de) * 2018-08-22 2020-02-27 Audi Ag Kraftfahrzeug mit einer akustisch adaptiven Fahrgastkab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akustisch adaptiven Fahrgastkabine
FR3092533B1 (fr) * 2019-02-07 2021-02-19 Faurecia Sieges Dautomobile Dispositif d’enceinte pour siège de véhicule automobile
US11950049B2 (en) * 2019-05-13 2024-04-02 Sony Group Corporation Acoustic reflector, speaker unit, and chair
DE102020204343B4 (de) 2020-04-03 2024-06-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unktionsfläche zur Ausübung einer Funktion bei einem Kraftfahrzeug
US11170752B1 (en) * 2020-04-29 2021-11-09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Phased array speaker and microphone system for cockpit communication
US11647327B2 (en) * 2020-06-01 2023-05-09 Bose Corporation Backrest speakers
US11590869B2 (en) 2021-05-28 2023-02-28 Bose Corporation Seatback speakers
GB2600538B (en) * 2020-09-09 2023-04-05 Tymphany Worldwide Enterprises Ltd Method of providing audio in a vehicle, and an audio apparatus for a vehicle
JP7413962B2 (ja) * 2020-09-23 2024-01-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スピーカ配設構造
US11691552B2 (en) * 2020-10-05 2023-07-04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s that include sound cancelation systems
FR3115504B1 (fr) * 2020-10-22 2022-10-14 Focal Jmlab Appui-tete sonorise et siege associe
KR102657556B1 (ko) * 2023-06-12 2024-04-15 주식회사 현대공업 자동차 시트용 진동형 헤드레스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1684A (en) * 1974-05-23 1976-06-08 Turnsound Corporation Omni-directional sound system
US4020284A (en) * 1975-10-22 1977-04-26 Shaymar, Inc. Speaker system
JPS60133952A (ja) 1983-05-30 1985-07-17 Naniwa Seisakusho:Kk 鋳型造型機金型エア−ベント清掃機構
US4641345A (en) * 1983-10-28 1987-02-03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Body-sensible acoustic device
JPH0724439B2 (ja) * 1986-09-13 1995-03-15 シャープ株式会社 オ−デイオ装置
JPH0427268Y2 (ko) * 1986-11-17 1992-06-30
JP2588011B2 (ja) * 1988-12-19 1997-03-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スピーカ
JPH02113494U (ko) * 1989-01-17 1990-09-11
US5268539A (en) * 1989-08-04 1993-12-07 Hiroshi Ono Acoustic apparatus
JPH0385096A (ja) * 1989-08-28 1991-04-10 Pioneer Electron Corp 体感音響装置用スピーカシステム
US5133017A (en) * 1990-04-09 1992-07-21 Active Noise And Vibration Technologies, Inc. Noise suppression system
JPH0645865A (ja) 1991-01-20 1994-02-18 Nippon Dempa Kogyo Co Ltd 多電極水晶振動子
JPH0582196A (ja) 1991-09-20 1993-04-02 Toshiba Corp 断路端子台装置
JPH0582196U (ja) * 1992-04-13 1993-11-0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車載用スピーカ装置
JPH0645865U (ja) * 1992-12-01 1994-06-2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スピーカ装置
JPH07160275A (ja) * 1993-12-06 1995-06-23 Fujitsu Ten Ltd 騒音制御装置
JP3085096B2 (ja) 1994-07-28 2000-09-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ルーフ回りのパネル接合構造
US5784473A (en) * 1996-02-23 1998-07-21 Disney Enterprises, Inc. Sound system
JPH09331592A (ja) * 1996-06-10 1997-12-22 Harumitsu Matsushita スピーカー及びスピーカー用サランネットまたはカバー
US5887071A (en) * 1996-08-07 1999-03-2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ipole speaker headrests
US6078669A (en) * 1997-07-14 2000-06-20 Euphonics, Incorporated Audio spatial loc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s
WO1999008478A1 (en) * 1997-08-05 1999-02-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including a built-i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optimum speech reproduction
TW419171U (en) * 1997-12-01 2001-01-11 George K Wu Band pass speaker
RU2149788C1 (ru) * 1998-05-06 2000-05-2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Шумовибродемпфирующий узел панели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DE19938172C2 (de) * 1999-08-16 2002-04-11 Daimler Chrysler Ag Lautsprecherbox
DE19938170C2 (de) * 1999-08-16 2003-05-22 Daimler Chrysler Ag Kopfstütze für ein Fahrzeug
US7424127B1 (en) 2000-03-21 2008-09-09 Bose Corporation Headrest surround channel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DE10140646C2 (de) * 2001-08-18 2003-11-20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richteten Audio-Beschallung
KR20010099425A (ko) 2001-09-26 2001-11-09 유희동 헤드레스트 부착형 핸즈프리
JP3676716B2 (ja) * 2001-10-05 2005-07-27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車両用ヘッドレストへのスピーカ取付け構造
US20030124940A1 (en) * 2001-12-31 2003-07-03 Michael Rajendran S. Tunable or adjustable liner for selectively absorbing sound energy and related methods
JP3880865B2 (ja) * 2002-02-08 2007-02-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を備えた椅子
CA2477928C (en) * 2002-03-05 2010-05-25 Audio Products International Corp. Loudspeaker with shaped sound field
US7343020B2 (en) * 2002-09-18 2008-03-11 Thigpen F Bruce Vehicle audio system with directional sound and reflected audio imaging for creating a personal sound stage
CN2622971Y (zh) * 2002-11-26 2004-06-30 邱金国 车用音箱的结构改良
JP2005167378A (ja) 2003-11-28 2005-06-23 Sony Corp スピーカ装置
KR101097000B1 (ko) * 2004-03-11 2011-12-20 피에스에스 벨기에 엔브이 사운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4657615B2 (ja) * 2004-03-16 2011-03-23 ヤマハ株式会社 音波拡散装置
KR100799783B1 (ko) * 2004-05-19 2008-01-31 하르만 인터내셔날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스피커 어레이
US7283634B2 (en) 2004-08-31 2007-10-16 Dts, Inc. Method of mixing audio channels using correlated outputs
EP1788835B1 (en) * 2004-09-27 2013-07-31 Panasonic Corporation Loudspeaker system
KR20060080958A (ko) * 2005-01-06 2006-07-1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이미지 향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668329B2 (en) 2005-07-12 2010-02-23 Tachi-S Co., Ltd. Acoustin structure of seat back
US7159938B1 (en) * 2005-07-12 2007-01-09 Tachi-S Co., Ltd. Acoustic structure of seat back
US7688992B2 (en) * 2005-09-12 2010-03-30 Richard Aylward Seat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CN101263740A (zh) * 2005-09-13 2008-09-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生成3d声音的方法和设备
US8090116B2 (en) 2005-11-18 2012-01-03 Holmi Douglas J Vehicle directional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JP2007221485A (ja) * 2006-02-16 2007-08-30 Sony Corp スピーカ組込椅子、椅子取付型スピーカ装置、ヘッドレスト及びベッド
JP4802824B2 (ja) * 2006-04-04 2011-10-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騒音制御構造
DE602006010323D1 (de) 2006-04-13 2009-12-24 Fraunhofer Ges Forschung Audiosignaldekorrelator
US7624839B1 (en) * 2006-05-12 2009-12-01 Graber Curtis E Enclosure for symbiotic active/passive operation of an acoustic driver
JP2007331590A (ja) * 2006-06-15 2007-12-27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US8014545B2 (en) * 2006-12-18 2011-09-06 Dei Headquarters, Inc. Ceiling or wall-mounted loudspeaker system with anti-diffraction wave launch device
KR101120019B1 (ko) * 2007-04-04 2012-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US8121336B2 (en) * 2007-04-05 2012-02-2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irectional loudspeaker to reduce direct sound
JP4311487B2 (ja) * 2007-10-23 2009-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内構造
JP2009107603A (ja) * 2007-11-01 2009-05-21 Toyota Motor Corp 車室内乗員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9260524A (ja) * 2008-04-15 2009-11-05 Sony Corp スピーカー装置
JP2009260525A (ja) * 2008-04-15 2009-11-05 Sony Corp スピーカー装置
JP5253002B2 (ja) * 2008-06-06 2013-07-3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ピーカ付きヘッドレスト
KR20100054466A (ko)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특성 정보 처리 방법
US20100148550A1 (en) * 2008-12-11 2010-06-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udio headrest for attachment to a seat of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12222A (zh) 2018-05-08
AU2011284705A1 (en) 2013-03-14
RU2526116C1 (ru) 2014-08-20
RU2550769C2 (ru) 2015-05-10
CN103155593B (zh) 2016-08-10
KR101544919B1 (ko) 2015-08-21
ES2905861T3 (es) 2022-04-12
US9180822B2 (en) 2015-11-10
PL2599332T3 (pl) 2022-01-03
BR112013002310B1 (pt) 2022-03-03
RU2013108829A (ru) 2014-09-10
EP3429227B1 (en) 2021-12-29
JP5503808B2 (ja) 2014-05-28
CN103155593A (zh) 2013-06-12
KR20130041988A (ko) 2013-04-25
BR112013002306A2 (pt) 2020-10-27
US20130140862A1 (en) 2013-06-06
EP3429227A1 (en) 2019-01-16
EP2599331A2 (en) 2013-06-05
EP3866487C0 (en) 2024-02-14
CA2806932C (en) 2015-06-23
BR112013002310A2 (pt) 2020-11-17
EP3866487A1 (en) 2021-08-18
CA2806933C (en) 2016-05-17
AU2011284705B2 (en) 2014-07-10
ES2883575T3 (es) 2021-12-09
WO2012013744A2 (en) 2012-02-02
AU2011284704A1 (en) 2013-03-14
MX2013001115A (es) 2013-06-05
WO2012013744A3 (en) 2012-05-24
BR112013002306B1 (pt) 2021-05-25
JP2013541240A (ja) 2013-11-07
US20130142353A1 (en) 2013-06-06
AU2011284704B9 (en) 2015-03-12
CA2806933A1 (en) 2012-02-02
WO2012013745A2 (en) 2012-02-02
JP2013539263A (ja) 2013-10-17
WO2012013745A3 (en) 2012-04-26
EP3866487B1 (en) 2024-02-14
KR101573830B1 (ko) 2015-12-02
CA2806932A1 (en) 2012-02-02
JP5789663B2 (ja) 2015-10-07
CN103155592A (zh) 2013-06-12
PL3429227T3 (pl) 2022-04-25
MX2013001111A (es) 2013-05-01
AU2011284704B2 (en) 2015-02-19
US9517732B2 (en) 2016-12-13
EP2599332B1 (en) 2021-07-14
CN108012222B (zh) 2022-10-28
AU2011284705A2 (en) 2013-05-09
EP2599332A2 (en)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919B1 (ko) 헤드레스트 스피커 배치구조
KR102077486B1 (ko) 라우드스피커 시스템
CN111065033B (zh) 扩音器布置
WO2012013743A1 (en) Vehicle with center-rear-speaker
EP1460879A2 (en) Individual sound system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