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823A -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823A
KR20130027823A KR1020110091289A KR20110091289A KR20130027823A KR 20130027823 A KR20130027823 A KR 20130027823A KR 1020110091289 A KR1020110091289 A KR 1020110091289A KR 20110091289 A KR20110091289 A KR 20110091289A KR 20130027823 A KR20130027823 A KR 20130027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tern
interlayer insulating
reg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566B1 (ko
Inventor
김효정
엄대홍
임종흔
표명중
윤병문
김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566B1/ko
Priority to US13/596,621 priority patent/US8664101B2/en
Publication of KR2013002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051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9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memory transistors
    • H01L29/7926Vertical transistors, i.e. transistors having source and drain not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4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제1 및 제2 영역들로 구분되는 기판 상에, 제1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영역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제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다.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제1 연마 저지막 및 제2 층간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제1 연마 저지막 일부가 노출될 때까지 제2 층간 절연막 상부를 평탄화한다. 제2 영역에 형성된 제1 연마 저지막 부분 및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 부분을 제거하여 기판 상면을 노출시킨다. 노출된 기판 상면에 교대로 반복적으로 적층된 제1 절연막 패턴 및 제1 희생막 패턴과, 최상층의 상기 제1 절연막 패턴 상에 형성된 제2 연마 저지막 패턴을 포함하는 하부 몰드 구조물을 형성한다. 하부 몰드 구조물과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사이의 공간을 매립하는 제3 층간 절연막 패턴을 형성한다. 하부 몰드 구조물 상에 상부 몰드 구조물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METHODS OF MANUFACTURING A VERTICAL MEMORY DEVICE}
본 발명은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수직 채널을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집적도 증가를 위해 수직형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수직형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셀 영역에는 적층된 게이트 구조물들 및 수직 채널을 포함하는 몰드 구조물이 형성되고, 주변 회로 영역에는 통상 하나의 층에 게이트 구조물들이 형성되므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형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셀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 사이의 높이 차이에 의해, 층간 절연막에 대한 평탄화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평탄화 특성을 갖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제1 및 제2 영역들로 구분되는 기판 상에, 상기 제1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영역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제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제1 연마 저지막 및 제2 층간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 연마 저지막 일부가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상부를 평탄화한다.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 연마 저지막 부분 및 상기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 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기판 상면을 노출시킨다. 상기 노출된 상기 기판 상면에 교대로 반복적으로 적층된 제1 절연막 패턴 및 제1 희생막 패턴과, 최상층의 상기 제1 절연막 패턴 상에 형성된 제2 연마 저지막 패턴을 포함하는 하부 몰드 구조물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과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사이의 공간을 매립하는 제3 층간 절연막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 상에 상부 몰드 구조물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마 저지막 패턴은 상기 노출된 제1 연마 저지막 부분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패턴을 형성할 때,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 상기 노출된 기판 상면,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1 연마 저지막 상에 제3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마 저지막 및 상기 제2 연마 저지막 패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상부를 평탄화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상부를 평탄화한 이후에, 상기 노출된 제1 연마 저지막 및 상기 제2 연마 저지막 패턴을 제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회로 소자들이 형성되는 주변 회로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은 메모리 셀들이 형성되는 셀 영역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기 이전에, 상기 기판의 제1 영역 상에 게이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을 형성할 때, 상기 기판 상에 제1 절연막 및 제1 희생막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증착하고, 최상층의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제2 연마 저지막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연마 저지막, 상기 제1 절연막들 및 상기 제1 희생막들을 패터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계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 구조물을 형성할 때, 상기 제2 연마 저지막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최상층의 제1 절연막 패턴을 노출시키고, 상기 노출된 최상층의 제1 절연막 패턴 상에 제2 희생막 및 제2 절연막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증착하며, 최상층의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제3 연마 저지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3 연마 저지막, 상기 제2 절연막들 및 상기 제2 희생막들을 패터닝하여, 각각 제3 연마 저지막 패턴, 제2 절연막 패턴들 및 제2 희생막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 구조물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계단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최하층의 상기 제2 희생막 패턴은 상기 최상층의 제1 절연막 패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희생막 패턴들을 관통하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희생막 패턴들을 제거하여 상기 채널의 측벽을 노출시키는 갭(gap)들을 형성하고, 상기 갭들을 각각 채우는 GSL, 워드 라인 및 SSL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갭들 중 일부를 채우는 더미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채널과 상기 GSL, 상기 워드 라인 및 상기 SSL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터널 절연막 패턴, 전하 트래핑막 패턴 및 블로킹막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트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회로 소자들이 형성된 주변 회로 영역 및 셀 영역을 갖는 기판 상에, 상기 회로 소자들에 의해 상기 영역들에서 서로 높이가 다른 제1 층간 절연막이 형성된 후,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연마 저지막 및 제2 층간 절연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마 저지막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에 대한 평탄화 공정을 충분히 수행함으로써,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서 기판의 위치에 따른 변화 없이 일정한 높이의 제1 층간 절연막이 잔류할 수 있다. 상기 셀 영역의 기판을 노출시킨 후, 하부 몰드 구조물을 상기 연마 저지막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과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사이를 매립하는 제3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기 위한 평탄화 공정 시, 높이 차이에 의한 레지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기판, 층(막), 영역, 패턴들 또는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전극, 패턴들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전극, 구조물들 또는 패턴들 "상에", "상부에"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각 층(막), 영역, 전극, 패턴들 또는 구조물들이 직접 기판, 각 층(막), 영역, 구조물 또는 패턴들 위에 형성되거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다른 층(막), 다른 영역, 다른 전극, 다른 패턴들 또는 다른 구조물이 기판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질, 층(막), 영역, 전극, 패턴들 또는 구조물들이 "제1", "제2" 및/또는 "예비"로 언급되는 경우, 이러한 부재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각 물질, 층(막), 영역, 전극, 패턴들 또는 구조물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제2" 및/또는 "예비"는 각 층(막), 영역, 전극, 패턴들 또는 구조물들에 대하여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영역(I) 및 제2 영역(II)으로 구분되는 기판(100) 상부에 소자 분리막(105)을 형성한다.
기판(100)은 실리콘, 게르마늄 등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영역들(I, II)은 각각 주변 회로들이 형성되는 주변 회로 영역 및 메모리 셀이 형성되는 셀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소자 분리막(105)은 제1 및 제2 영역들(I, II)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판(100)은 액티브 영역과 필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후, 기판(100)의 제1 영역(I) 상에 회로 소자들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 소자로서 게이트 구조물(130)이 제1 영역(I)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게이트 구조물(130)은 기판(1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절연막(110) 및 게이트 전극(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게이트 구조물(130)의 측벽 상에는 게이트 스페이서(1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구조물(130)에 인접한 액티브 영역 상부에는 불순물 영역들(도시되지 않음)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게이트 구조물(13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액티브 영역뿐만 아니라 상기 필드 영역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구조물(130) 및 게이트 스페이서(140)를 덮는 제1 층간 절연막(150)이 기판(100)의 제1 및 제2 영역들(I, II) 상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영역(I)에는 게이트 구조물(1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층간 절연막(150)은 제2 영역(II)에 비해 제1 영역(I)에서 부분적으로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층간 절연막(150)은 실리콘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층간 절연막(150) 상에 제1 연마 저지막(160) 및 제2 층간 절연막(17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연마 저지막(160)은 실리콘 질화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층간 절연막(170)은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마 저지막(160)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제2 층간 절연막(170) 상부에 평탄화 공정을 수행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평탄화 공정은 화학 기계적 연마(CMP) 공정에 의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제2 층간 절연막(170)의 상부가 제거되어, 제2 층간 절연막 패턴(175)이 잔류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II)에 잔류하는 제2 층간 절연막 패턴(175) 부분은 디싱(dishing) 현상에 의해 상부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영역(I)을 커버하는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도시되지 않음)을 제1 연마 저지막(160) 및 제2 층간 절연막 패턴(175) 상에 형성하고,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2 층간 절연막 패턴(175), 제1 연마 저지막(160) 및 제1 층간 절연막(150)을 순차적으로 식각한다.
이에 따라, 제1 영역(I)에는 제1 층간 절연막 패턴(155), 제1 연마 저지막 패턴(165) 및 제2 층간 절연막 패턴(175)이 잔류하며, 제2 영역(II)에는 기판(100) 상면이 노출된다. 한편, 제2 영역(II)에 형성된 제2 층간 절연막 패턴(175) 부분은 모두 제거되므로, 상기 디싱 현상에 의한 오목한 상부는 이후 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후, 상기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제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제1 절연막 및 제1 희생막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적층하고, 최상층의 제1 절연막 상에 제2 연마 저지막을 형성한다. 이후, 제1 영역(I) 및 제2 영역(II) 일부를 커버하는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도시되지 않음)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2 연마 저지막, 상기 제1 절연막들 및 상기 제1 희생막들을 패터닝함으로써, 각각 제2 연마 저지막 패턴(200), 제1 절연막 패턴들(180) 및 제1 희생막 패턴들(19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기판(100)의 제2 영역(II) 상에 제1 절연막 패턴들(180), 제1 희생막 패턴들(190) 및 제2 연마 저지막 패턴(200)을 포함하는 하부 몰드 구조물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절연막 패턴들(180) 및 제1 희생막 패턴들(190)은 상층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은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연마 저지막 패턴(200)은 제1 연마 저지막 패턴(165)의 최상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연막, 상기 제1 희생막 및 상기 제2 연마 저지막은 화학 기상 증착(CVD) 공정,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PECVD) 공정, 원자층 증착(ALD) 공정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기판(100) 상면에 직접 형성되는 상기 제1 절연막의 경우, 열산화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물(SiO2), 실리콘 산탄화물(SiOC) 혹은 실리콘 산불화물(SiOF)과 같은 실리콘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희생막은 상기 제1 절연막에 대해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SiN), 실리콘 붕질화물(SiBN) 등과 같은 실리콘 질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마 저지막은 제1 연마 저지막 패턴(16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 즉 실리콘 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이 형성된 기판(100) 상에 제3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연마 저지막 패턴들(165, 200)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3 층간 절연막을 평탄화함으로써, 기판(100) 상에 제3 층간 절연막 패턴(205)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및 제2 연마 저지막 패턴들(165, 200)이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상기 제3 층간 절연막을 평탄화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영역들(I, II) 사이의 경계 부분에서 레지듀(residue)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출된 제1 및 제2 연마 저지막 패턴들(165, 200)을 제거한다. 이때, 제3 층간 절연막 패턴(205) 상부도 일부 제거될 수 있으며, 제1 연마 저지막 패턴(165)의 굴곡에 따라 낮은 위치에 형성된 부분은 일부 잔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00)의 제2 영역(II)에 형성된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은 교대로 증착된 제1 절연막 패턴들(180) 및 제1 희생막 패턴들(190)을 포함하게 되고, 기판(100)의 제1 영역(I)에는 제1 층간 절연막 패턴(155) 상면이 노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 제3 층간 절연막 패턴(205) 및 노출된 제1 층간 절연막 패턴(155) 상에 제2 희생막 및 제2 절연막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적층하고, 최상층의 제2 절연막 상에 제3 연마 저지막을 형성한다.
이후, 제1 영역(I) 및 제2 영역(II) 일부를 커버하는 제3 포토레지스트 패턴(도시되지 않음)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3 연마 저지막, 상기 제2 절연막들 및 상기 제2 희생막들을 패터닝함으로써, 각각 제3 연마 저지막 패턴(230), 제2 절연막 패턴들(220) 및 제2 희생막 패턴들(21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 상에 제2 희생막 패턴들(210), 제2 절연막 패턴들(220) 및 제3 연마 저지막 패턴(230)을 포함하는 상부 몰드 구조물이 형성된다. 이때, 제2 희생막 패턴들(210) 및 제2 절연막 패턴들(220)은 상층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몰드 구조물은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최하층의 제2 희생막 패턴(210)은 최상층의 제1 절연막 패턴(180)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희생막, 상기 제2 절연막 및 상기 제3 연마 저지막은 화학 기상 증착(CVD) 공정,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PECVD) 공정, 원자층 증착(ALD) 공정 등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제1 희생막,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연마 저지막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3 연마 저지막은 상기 제2 연마 저지막과 다른 물질,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몰드 구조물을 덮는 제4 층간 절연막(240)을 제1 내지 제3 층간 절연막 패턴들(155, 175, 205) 상에 형성하고, 제4 층간 절연막(240) 상에 제4 연마 저지막(250)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4 층간 절연막(240)은 제1 영역(I)에 비해 제2 영역(II)에서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4 층간 절연막(240)은 제1 영역(I)에서 최상층의 제2 절연막 패턴(2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영역(I)에서 제4 연마 저지막(250)은 제3 연마 저지막 패턴(2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4 연마 저지막(250)은 제1 및 제2 연마 저지막 패턴들(165, 2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 즉 실리콘 질화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영역(II) 상의 제4 연마 저지막(250) 부분 및 제4 층간 절연막(240) 상부를 제거하여, 제3 연마 저지막 패턴(230)을 노출시킨다. 이에 따라, 제4 연마 저지막(250) 및 제4 층간 절연막(240)은 각각 제4 연마 저지막 패턴(255) 및 제4 층간 절연막 패턴(245)으로 변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영역(I) 및 제2 영역(II)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4 포토레지스트 패턴(도시하지 않음)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4 연마 저지막(250) 및 제4 층간 절연막(240) 상부를 제거하고, 평탄화 공정을 통해 제2 영역(II)에 잔류하는 제4 연마 저지막(250) 부분 및 제4 층간 절연막(240)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제4 연마 저지막 패턴(255) 및 제4 층간 절연막 패턴(245)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연마 저지막 패턴(255)은 제1 영역(I)에만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 및 제4 연마 저지막 패턴들(230, 255)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몰드 구조물은 제2 절연막 패턴들(220) 및 제2 희생막 패턴들(210)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제4 층간 절연막 패턴(245) 상부도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후,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180, 220) 및 제1 및 제2 희생막 패턴들(190, 210)을 관통하여 기판(100)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개구를 채우는 채널(260), 매립 패턴(270) 및 패드(280)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최상층의 제2 절연막 패턴(220) 상에 하드 마스크(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고, 상기 하드 마스크를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는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제1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는 기판(100) 상면에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제1 개구 열(opening column)(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구 열은 기판(100) 상면에 평행하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제1 개구 어레이(opening array)(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개구의 바닥 및 측벽과 최상층의 제2 절연막 패턴(220) 및 제4 층간 절연막 패턴(245) 상에 채널막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채널막은 폴리실리콘 혹은 비정질 실리콘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채널막에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비정질 실리콘을 큰 결정을 갖는 폴리실리콘으로 변환시키거나, 폴리실리콘의 결정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채널막 상에 상기 제1 개구를 충분히 매립하는 매립막을 형성하고, 최상층의 제2 절연막 패턴(220)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매립막 및 상기 채널막 상부를 평탄화하여, 상기 제1 개구를 채우는 매립 패턴(270) 및 채널(260)을 각각 형성한다. 이에 따라, 채널(260)은 상기 제1 개구의 바닥 및 측벽 상에 가운데가 빈 실린더 형상 혹은 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매립 패턴(270)은 채널(260) 가운데 부분을 채우는 필라(pillar)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채널(260)은 상기 제1 개구 열 혹은 제1 개구 어레이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어, 채널 열 혹은 채널 어레이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채널(260)은 실린더 형상 혹은 컵 형상 대신에 필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매립막 및 매립 패턴(270)은 형성되지 않는다.
이후, 매립 패턴(270) 및 채널(260)의 상부를 제거하여 리세스(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를 채우는 패드(280)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드(280)는 비정질 실리콘, 폴리실리콘, 혹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180, 220) 및 제1 및 제2 희생막 패턴들(190, 210)을 관통하여 기판(100)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2 개구(290)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개구(290)는 최상층의 제2 절연막 패턴(220) 및 패드(280) 상에 하드 마스크(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고, 상기 하드 마스크를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는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개구(290)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180, 220) 및 제1 및 제2 희생막 패턴들(190, 210)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리될 수 있다.
이후, 제1 및 제2 희생막 패턴들(190, 210)을 제거하여, 각 층의 절연막 패턴들(180, 220) 사이에 갭(295)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산 혹은 황산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사용하는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제2 개구(290)에 의해 노출된 희생막 패턴들(190, 210)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갭(295)이 형성됨에 따라, 채널(260)의 외측벽 일부가 노출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갭(295)의 내벽 및 절연막 패턴들(180, 220)의 표면 상에 터널 절연막 패턴(300), 전하 트래핑막 패턴(310) 및 블로킹막 패턴(320)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갭(295)의 나머지 부분을 각각 채우는 그라운드 선택 라인(GSL)(332), 더미 라인(334), 워드 라인(336) 및 스트링 선택 라인(SSL)(338)을 형성한다. 또한, 제2 개구(290)를 채우는 제3 절연막 패턴(340)을 더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노출된 채널(260)의 외측벽, 갭(295)의 내벽, 절연막 패턴들(180, 220)의 표면, 기판(100) 상면, 패드(280) 상면 및 제4 층간 절연막 패턴(245) 상면에 터널 절연막, 전하 트래핑막 및 블로킹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터널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물을 사용하여 화학 기상 증착(CVD)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하 트래핑막은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질화물 혹은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킹막은 실리콘 산화물 혹은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란탄 산화물, 란탄 알루미늄 산화물, 란탄 하프늄 산화물, 하프늄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로킹막은 실리콘 산화막 및 금속 산화막이 적층된 다층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갭(295)의 나머지 부분을 채우는 게이트 전극막을 상기 블로킹막 상에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전극막은 금속 혹은 금속 질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전극막은 텅스텐, 텅스텐 질화물,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탄탈륨 질화물, 백금 등의 전기 저항이 낮은 금속 혹은 금속 질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전극막은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배리어막 및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막이 적층된 다층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 전극막은 화학 기상 증착(CVD) 공정 혹은 원자층 증착(ALD)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개구(290)가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후, 상기 게이트 전극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기판(100) 상면을 다시 노출시키며, 갭(295) 내부에 GSL(332), 더미 라인(334), 워드 라인(336) 및 SSL(338)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전극막은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각 GSL(332), 더미 라인(334), 워드 라인(336) 및 SSL(338)은 1개 혹은 수 개의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GSL(332) 및 SSL(338)은 2개의 층에 형성되고, 워드 라인(336)은 4개의 층에 형성된다. 한편, 더미 라인(334)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 전극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할 때, 최상층의 제2 절연막 패턴(220)의 상면, 패드(280)의 상면 및 기판(100) 상면의 상기 블로킹막, 상기 전하 트래핑막 및 상기 터널 절연막 부분이 함께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 블로킹막 패턴(320), 전하 트래핑막 패턴(310) 및 터널 절연막 패턴(3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연막 패턴들(180, 220) 측벽 상의 상기 블로킹막, 상기 전하 트래핑막 및 상기 터널 절연막 부분도 더 제거되어, 블로킹막 패턴(320), 전하 트래핑막 패턴(310) 및 터널 절연막 패턴(300)이 갭(295) 내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 전극막, 상기 블로킹막, 상기 전하 트래핑막 및 상기 터널 절연막이 부분적으로 제거됨에 따라, 기판(100) 상부를 노출시키는 상기 제2 개구가 다시 형성되며, 상기 제2 개구에 의해 노출된 기판(100) 상부에 불순물을 주입하여 불순물 영역(107)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불순물은 인, 비소와 같은 n형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불순물 영역(107)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공통 소스 라인(CSL)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불순물 영역(107) 상에, 예를 들어, 코발트 실리사이드 패턴과 같은 금속 실리사이드 패턴을 오믹 패턴으로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2 개구를 채우는 제3 절연막 패턴(340)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개구를 채우는 제3 절연막을 기판(100), 패드(280) 및 제4 층간 절연막 패턴(245) 상에 형성한 후, 제4 층간 절연막 패턴(245)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3 절연막 상부를 평탄화함으로써, 제3 절연막 패턴(340)이 형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최상층의 제2 절연막 패턴(220), 패드(280), 블로킹막 패턴(320), 전하 트래핑막 패턴(310), 터널 절연막 패턴(300) 및 제4 층간 절연막 패턴(245) 상에 제5 층간 절연막(350)을 형성하고, 패드(280)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3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3 개구는 채널(260) 및 패드(280)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제3 개구 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개구 열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어 제3 개구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3 개구를 채우는 비트 라인 콘택(360)을 패드(280) 상에 형성하고, 비트 라인 콘택(3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트 라인(370)을 형성하여 상기 수직형 메모리 장치를 완성한다.
이때, 비트 라인 콘택(360)은 금속, 금속 질화물, 도핑된 폴리실리콘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비트 라인(370)은 금속, 금속 질화물, 도핑된 폴리실리콘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트 라인(370)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기판 110: 게이트 절연막
120: 게이트 전극 130: 게이트 구조물
140: 게이트 스페이서 150: 제1 층간 절연막
155: 제1 층간 절연막 패턴 160: 제1 연마 저지막
165: 제1 연마 저지막 패턴 170: 제2 층간 절연막
175: 제2 층간 절연막 패턴 180: 제1 절연막
190: 제1 희생막 패턴 200: 제2 연마 저지막
205: 제3 층간 절연막 패턴 210: 제2 희생막 패턴
220: 제2 절연막 패턴 230: 제3 연마 저지막 패턴
240: 제4 층간 절연막 245: 제4 층간 절연막 패턴
250: 제4 연마 저지막 255: 제4 연마 저지막 패턴
260: 채널 270: 매립 패턴
280: 패드 290: 제2 개구
295: 갭 300: 터널 절연막 패턴
310: 전하 트래핑막 패턴 320: 블로킹막 패턴
332: GSL 334: 더미 라인
336: 워드 라인 338: SSL
340: 제3 절연막 패턴 350: 제5 층간 절연막
360: 비트 라인 콘택 370: 비트 라인

Claims (10)

  1. 제1 및 제2 영역들로 구분되는 기판 상에, 상기 제1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영역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제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제1 연마 저지막 및 제2 층간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연마 저지막 일부가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상부를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 연마 저지막 부분 및 상기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들 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기판 상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노출된 상기 기판 상면에 교대로 반복적으로 적층된 제1 절연막 패턴 및 제1 희생막 패턴과, 최상층의 상기 제1 절연막 패턴 상에 형성된 제2 연마 저지막 패턴을 포함하는 하부 몰드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과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사이의 공간을 매립하는 제3 층간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 상에 상부 몰드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마 저지막 패턴은 상기 노출된 제1 연마 저지막 부분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 상기 노출된 기판 상면,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1 연마 저지막 상에 제3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연마 저지막 및 상기 제2 연마 저지막 패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상부를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간 절연막 상부를 평탄화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노출된 제1 연마 저지막 및 상기 제2 연마 저지막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회로 소자들이 형성되는 주변 회로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메모리 셀들이 형성되는 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몰드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제1 절연막 및 제1 희생막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증착하는 단계;
    최상층의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제2 연마 저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연마 저지막, 상기 제1 절연막들 및 상기 제1 희생막들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연마 저지막 패턴을 제거하여 상기 최상층의 제1 절연막 패턴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노출된 최상층의 제1 절연막 패턴 상에 제2 희생막 및 제2 절연막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증착하는 단계;
    최상층의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제3 연마 저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연마 저지막, 상기 제2 절연막들 및 상기 제2 희생막들을 패터닝하여, 각각 제3 연마 저지막 패턴, 제2 절연막 패턴들 및 제2 희생막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패턴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희생막 패턴들을 관통하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희생막 패턴들을 제거하여 상기 채널의 측벽을 노출시키는 갭(gap)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갭들을 각각 채우는 GSL, 워드 라인 및 SSL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과 상기 GSL, 상기 워드 라인 및 상기 SSL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터널 절연막 패턴, 전하 트래핑막 패턴 및 블로킹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10091289A 2011-09-08 2011-09-08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6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289A KR101865566B1 (ko) 2011-09-08 2011-09-08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US13/596,621 US8664101B2 (en) 2011-09-08 2012-08-28 Multiple mold structure methods of manufacturing vertical memory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289A KR101865566B1 (ko) 2011-09-08 2011-09-08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823A true KR20130027823A (ko) 2013-03-18
KR101865566B1 KR101865566B1 (ko) 2018-06-11

Family

ID=4783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289A KR101865566B1 (ko) 2011-09-08 2011-09-08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64101B2 (ko)
KR (1) KR1018655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553A (ko) * 2013-10-28 2015-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KR20150085591A (ko) * 2014-01-16 2015-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515B1 (ko) 2010-09-01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5936B1 (ko) * 2012-08-29 2019-06-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그 제조방법
KR20150047823A (ko) * 2013-10-25 2015-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39255A (ko) * 2014-06-03 2015-12-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917096B2 (en) * 2014-09-10 2018-03-13 Toshiba Memory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342548B1 (ko) * 2015-05-22 2021-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US9786680B2 (en) * 2015-09-10 2017-10-10 Toshiba Memory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US9691781B1 (en) 2015-12-04 2017-06-27 Sandisk Technologies Llc Vertical resistor in 3D memory device with two-tier stack
KR102546651B1 (ko) 2015-12-17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소자
KR102551350B1 (ko) 2016-01-28 2023-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직형 메모리 소자를 구비한 집적회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0373673B2 (en) 2016-09-06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978766B1 (en) * 2016-11-09 2018-05-22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electrically isolated support pillar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KR102629347B1 (ko) * 2016-12-08 2024-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SG10201803464XA (en) 2017-06-12 2019-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727244B2 (en) 2017-06-12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10403634B2 (en) * 2017-06-12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52562B1 (ko) * 2017-09-01 2022-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43029B1 (ko) 2017-09-04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절연성 캐핑 구조물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US10453854B2 (en) 2017-11-15 2019-10-22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thickened word lines in terrace region
US10461163B2 (en) * 2017-11-15 2019-10-29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 thickened word lines in terrace region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10269820B1 (en) * 2018-04-03 2019-04-23 Sandisk Technologies Llc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containing different pedestal width support pillar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20155032A1 (en) 2019-01-31 2020-08-06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Methods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 without conductor residual caused by dishing
US11018139B2 (en) * 2019-08-13 2021-05-25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transistors and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transistors
CN111788687B (zh) 2020-04-14 2021-09-14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用于形成三维存储器件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0811A (en) * 1992-12-22 1996-07-30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00072953A (ko) * 1999-05-03 2000-12-05 윤종용 물리 화학적 연마 저지막을 사용한 커패시터 스토리지 전극 형성 방법
KR20100039919A (ko) * 2008-10-09 2010-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JP2011009328A (ja) * 2009-06-24 2011-01-13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058A (ja) 1997-12-09 1999-07-02 Nippon Steel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04224B1 (ko) 2000-12-21 2003-11-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에서 피식각물의불균일성 개선 방법
KR20030001827A (ko) 2001-06-28 2003-0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중 게이트 산화막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90838B1 (ko) 2001-06-28 2003-07-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랜딩 플러그 콘택 형성방법
JP5016832B2 (ja) * 2006-03-27 2012-09-05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768557B2 (ja) * 2006-09-15 2011-09-07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468433B2 (ja) * 2007-11-30 2010-05-26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5142692B2 (ja) * 2007-12-11 2013-02-13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1559868B1 (ko) * 2008-02-29 201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9212280A (ja) * 2008-03-04 2009-09-17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JP4691124B2 (ja) * 2008-03-14 2011-06-01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US7910973B2 (en) * 2008-03-17 2011-03-22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JP2009224612A (ja) * 2008-03-17 2009-10-01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395206B2 (en) * 2008-10-09 2013-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5388537B2 (ja) * 2008-10-20 2014-01-15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013389B2 (en) * 2008-11-06 2011-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nonvolatile memory devices having sub-divided active ba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uch devices
US8541831B2 (en) * 2008-12-03 2013-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100155818A1 (en) * 2008-12-24 2010-06-24 Heung-Jae Cho Vertical channel type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551901B1 (ko) * 2008-12-31 201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기억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1573697B1 (ko) * 2009-02-11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폴딩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5364394B2 (ja) * 2009-02-16 2013-12-11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8284601B2 (en) * 2009-04-01 2012-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three-dimensional memory cell array
KR101495800B1 (ko) * 2009-04-10 2015-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JP5306080B2 (ja) * 2009-07-01 2013-10-02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380190B2 (ja) * 2009-07-21 2014-01-08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977180B2 (ja) * 2009-08-10 2012-07-18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101604054B1 (ko) * 2009-09-03 201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방법
JP2011060991A (ja) * 2009-09-10 2011-03-24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97686B1 (ko) * 2009-11-03 2016-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4975B1 (ko) * 2009-11-17 201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기억 소자
KR101559958B1 (ko) * 2009-12-18 201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3차원 반도체 장치
KR101660488B1 (ko) * 2010-01-22 201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394270B2 (ja) * 2010-01-25 2014-01-22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491982B2 (ja) * 2010-06-21 2014-05-14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09512A (ja) * 2010-06-22 2012-01-12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502629B2 (ja) * 2010-07-12 2014-05-28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70613B1 (ko) * 2010-08-25 2017-08-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셀 스트링 및 그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KR101755234B1 (ko) * 2010-08-26 2017-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101738103B1 (ko) * 2010-09-10 201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기억 소자
KR101731060B1 (ko) * 2010-09-27 2017-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75319B1 (ko) * 2010-10-04 2016-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DE102011084603A1 (de) * 2010-10-25 2012-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eidimensionales Halbleiterbauelement
KR101744127B1 (ko) * 2010-11-17 201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822287B2 (en) * 2010-12-10 2014-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KR101688838B1 (ko) * 2011-01-20 2016-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연결 구조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834930B1 (ko) * 2011-02-01 2018-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직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US20120208347A1 (en) * 2011-02-11 201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2174892A (ja) * 2011-02-22 2012-09-10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13338A (ko) * 2011-04-05 2012-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18947A (ko) * 2011-04-20 2012-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7250B1 (ko) * 2011-07-11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30066950A (ko) * 2011-12-13 2013-06-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3차원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
KR101907069B1 (ko) * 2011-12-28 2018-10-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6406B1 (ko) * 2011-12-30 2018-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964263B1 (ko) * 2012-02-22 2019-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504596B2 (en) * 2012-04-18 2019-12-10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of forming apparatuses using a partial deck-by-deck process flow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0811A (en) * 1992-12-22 1996-07-30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00072953A (ko) * 1999-05-03 2000-12-05 윤종용 물리 화학적 연마 저지막을 사용한 커패시터 스토리지 전극 형성 방법
KR20100039919A (ko) * 2008-10-09 2010-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JP2011009328A (ja) * 2009-06-24 2011-01-13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553A (ko) * 2013-10-28 2015-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KR20150085591A (ko) * 2014-01-16 2015-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566B1 (ko) 2018-06-11
US20130065386A1 (en) 2013-03-14
US8664101B2 (en)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566B1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US10854622B2 (en) Vertical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424259B2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11696442B2 (en) Vertical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80471B1 (ko) 액티브 패턴들 형성 방법, 액티브 패턴 어레이, 및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101784695B1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6245B1 (ko) 수직형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20170358593A1 (en) Within-array through-memory-level via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8697579B2 (en) Method of forming an iso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2064265B1 (ko) 패드 형성 방법,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도전성 패드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20130115878A (ko) 콘택 구조물 형성 방법
KR20120118947A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16882A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11289507B2 (en) Vertical memory devices
KR102414511B1 (ko) 3차원 반도체 소자
US1076327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2411067B1 (ko) 3차원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20113338A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2971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6553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483456B1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85591A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90378850A1 (en) Vertical memory devices
KR20130090509A (ko) 수직형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40708A (ko) 집적회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