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580A -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580A
KR20120080580A KR1020127007392A KR20127007392A KR20120080580A KR 20120080580 A KR20120080580 A KR 20120080580A KR 1020127007392 A KR1020127007392 A KR 1020127007392A KR 20127007392 A KR20127007392 A KR 20127007392A KR 20120080580 A KR20120080580 A KR 2012008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almon
food
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112B1 (ko
Inventor
슈샨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널 퓨처 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널 퓨처 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널 퓨처 인터내셔널
Publication of KR2012008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1Dextr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3/14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05Natural ribonucleic acids, i.e. containing only riboses attached to adenine, guanine, cytosine or uracil and having 3'-5' phosphodiester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4Saccharomycetales, e.g. baker's ye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지방분해 촉진작용 및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 저해작용을 가지며, 또한 식품으로서 부작용이나 독성 등의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고, 경구섭취하는 것이 가능한 조성물이나,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식품이나 서플리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지방분해 촉진작용 및 ACE 저해작용을 갖는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식재에 대해 예의 검토한 결과, 연어 이리 추출물, 맥주효모 추출물, 보리 어린잎 엑기스, 및 트리 콜라겐을 조합하여 조제한 조성물이 우수한 지방분해 촉진작용 및 ACE 저해활성작용을 가짐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지방분해 촉진작용 및 ACE 저해작용을 갖는 음식품이나 서플리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갖는 조성물{COMPOSITION HAVING LIPOLYSIS-PROMOTING EFFECT}
본 발명은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가지며, 또한 그 펩신 및 트립신 분해물이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 저해작용을 갖는 조성물, 보다 상세하게는 연어 이리 추출물(salmon roe extract), 맥주효모 추출물, 보리 어린잎 엑기스 및 트리 콜라겐(치킨 콜라겐(chicken collagen))으로 이루어진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경구섭취용 지방분해촉진제, 및 경구섭취용 ACE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지방은 음식물로서 섭취한 잉여 에너지가 백색 지방조직에 축적된 것으로, 과다한 백색 지방조직의 축적으로 인해 비만이 되며, 그 결과, 다양한 성인병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미용 면에서도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 내장주위(장간막 지방)에 형성되는 백색 지방조직의 증대가 고혈압, 인슐린 저항성, 내당성 이상, 고지혈증을 유발함으로써 메타볼릭 신드롬을 야기하는 것이 과학적으로 밝혀졌으며, 그 예방과 개선이 사회적으로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지방세포에 지방이 축적되어 비대해지면, 지방조직으로부터 좋은 아디포카인의 분비가 줄고, 여러 가지 나쁜 아디포카인(예를 들면, TNFα, 레지스틴 등)이 분비되어 인슐린 저항성(즉, 인슐린 감수성의 저하)이 야기된다. 그 결과, 혈당값을 충분히 저하시킬 수 없게 되므로, 혈당값을 제어하기 위해 인슐린이 과잉 분비되어 고인슐린혈증이 된다. 고인슐린혈증이 되면, 과잉 인슐린으로 인한 지질대사 등으로의 작용에 의해 메타볼릭 신드롬이 야기된다.
아디포넥틴은 좋은 아디포카인 중 하나로, 지방산의 연소 및 당의 도입을 촉진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한다(비특허문헌 1). 아디포넥틴에 의한 지방산의 연소작용은 지방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간장 및 골격근에서의 AMP 활성화 프로테인키나제(AMPK)의 활성화에 의한 것이다. 간장에서는 당의 신생을 억제하여 지방산을 연소하고, 그리고 골격근에서는 당을 도입하여 지방산을 연소시킨다.
아디포넥틴의 발현은 전구지방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 분화됨에 따라 유도된다. 그리고, 지방세포가 비대해지지 않았을 때에 지방세포로부터 활발하게 분비된다. 한편, 지방세포가 비대해진 경우에는 상술한 TNFα 등으로 인해 아디포넥틴의 작용이 줄고 약해진다. 또한, 지방세포가 비대해지면, 아디포넥틴의 전사는 억제되고 아디포넥틴이 결핍되어 대사이상이 야기된다(비특허문헌 1).
야채 또는 과일 유래의 카로테노이드가 인슐린 유도시 전구지방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는데(특허문헌 1), 상술한 바와 같이, 전구지방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억제하면 아디포넥틴의 발현도 억제되기 때문에,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이 바로 항비만작용으로 연결되는 지는 의문이다.
종래부터, 비만의 예방과 개선에 대해서는 식사제한, 과잉 에너지의 흡수 지연 및 저해, 혹은 소화관에서의 당질흡수 저해물질의 탐색 등, 섭취 에너지를 제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에너지 섭취의 제한은 기초대사량을 저하시키는 요인도 되므로, 비만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비만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축적된 지방을 적극적으로 대사, 분해하여 열에너지로서 발산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에, 근래 식품소재 중에서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갖는 기능성 성분의 탐색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많은 지방분해촉진제 및 음식품이 제안되고 있다.
이미 알려져 있는 천연 유래 지방분해촉진제의 유효성분으로서는 귤과 식물(특허문헌 2), 엉겅퀴족 식물(특허문헌 3), 후추나무과 식물(특허문헌 4), 오렌지 잎, 오렌지 플라워, 콜츠후트(coltsfoot) 잎 및 칼라머스 루트(calamus root)(특허문헌 5), 율무, 보리, 결명자, 번석류 및 보이차(특허문헌 6)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연꽃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분해촉진제(특허문헌 7), 자작나무과 백자작나무의 추출액 및 벼과 얼룩조릿대의 추출물 중 적어도 한 가지를 함유하는 지방분해촉진제(특허문헌 8), 밀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지방축적억제 및 촉진제(특허문헌 9)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고혈압증은 대표적인 메타볼릭 신드롬 증상이며, 그 환자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고혈압증은 뇌출혈, 지주막하출혈, 뇌경색, 심근경색, 협심증, 신장경화증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야기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고혈압증의 발생 메카니즘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혈압 상승에 관여하는 레닌 안지오텐신계와, 혈압 하강에 관여하는 칼리크레인 키닌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레닌 안지오텐신계에서는 주로 간장으로부터 분비되는 안지오텐시노겐이 신장에서 생산되는 레닌에 의해 안지오텐신 Ⅰ이 되며, 또한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에 의해 안지오텐신 Ⅱ로 변환된다. 이 안지오텐신 Ⅱ는 혈관평활근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한편, 혈압계의 칼리크레인은 키니노겐에 작용하여 브라디키닌을 생산한다. 이 브라디키닌에는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내리는 효과가 있는데, ACE에는 이 브라디키닌을 분해해버리는 작용이 있다. 이와 같이, ACE는 승압 펩티드인 안지오텐신 Ⅱ의 생산과 강압 펩티드인 브라디키닌의 불활성화라는 2가지 작용에 의해 혈압 상승에 관여하고 있음이 밝혀져 있다. 따라서, 이 ACE의 효소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혈압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E 저해활성물질로서 개발된 프롤린 유도체인 캅토프릴이나 에나라프릴 등은 고혈압증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식품소재 단백질의 효소분해물인 펩티드에 ACE 저해활성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젤라틴의 콜라게나제 분해물(특허문헌 10), 카제인의 트립신 분해물(특허문헌 11~16), γ-제인의 서모라이신 분해물(특허문헌 17), 정어리 근육의 펩신 분해물(특허문헌 18), 또한 오세치 요리(일본의 전통적인 설날음식)의 서모라인신 분해물(특허문헌 19), 참깨 단백질의 서모라이신 분해물(특허문헌 20), κ-카제인의 펩신 등의 분해물(특허문허 21) 등 다수의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3-9593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8-8138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8-30178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8-24541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11-22843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2-27507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4-30736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04512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7-10668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소52-14863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소58-10942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소59-4432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소60-2308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소60-2308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소61-36226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소61-3622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2-3212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3-11097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4-144696호 공보 일국 특허공개 평8-231588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8-269088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분해 촉진작용 및 ACE 저해작용을 가지며, 또한 식품으로서 부작용이나 독성 등의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고, 경구섭취가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여러 가지 식재에 대해 지방분해 촉진작용 및 ACE 저해활성과 관련하여 열심히 검토한 결과, 연어 이리 추출물, 맥주효모 추출물, 보리 어린잎 엑기스, 및 트리 콜라겐(치킨 콜라겐)을 조합하여 조제한 혼합물이 뛰어난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보리 어린잎, 연어 이리 추출물, 맥주효모 추출물, 트리 콜라겐의 혼합물을 소화효소인 펩신 및 트리펩신을 이용하여 처리한 소화혼합물이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연어 이리 추출물, 맥주효모 추출물, 보리 어린잎 엑기스 및 트리 콜라겐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가지며, 또한 그 펩신 및 트립신 분해물이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 저해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보리 어린잎 엑기스 100 중량부당, 연어 이리 추출물 14.0~14.5 중량부, 맥주효모 추출물 2.8~3.2 중량부, 및 트리 콜라겐 5.7~6.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조성물,
(3) 연어 이리 추출물이, 연어 이리를 효소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올리고 뉴클레오티드와 올리고 펩티드까지 분해한 저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기재의 조성물,
(4) 맥주효모 추출물이, 맥주효모를 효소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저분자화된 RNA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기재의 조성물,
(5) 보리 어린잎 엑기스가 30%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기재의 조성물,
(6) 상기 (1)~(5)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지방분해촉진제,
(7) 상기 (1)~(5)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 저해제, 및
(8) 상기 (1)~(5)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뛰어난 지방분해 촉진작용 및 그 소화물이 ACE 저해작용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으로서 부작용이나 독성 등의 문제가 없기 때문에, 장기간 계속적으로 간편하게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만이나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 및 개선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존재하에서 배양한 지방세포의 배양상청액 중의 글리세롤 양이, 연어 이리 추출물, 맥주효모 추출물, 보리 어린잎 엑기스, 및 트리 콜라겐(치킨 콜라겐)의 단독 존재하에서 배양한 지방세포의 배양상청액 중의 글리세롤 양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세로축은 무첨가구의 배양상청액 중의 글리세롤 양을 기준으로 한 백분율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존재하에서 배양한 지방세포의 생존율과, 연어 이리 추출물, 맥주효모 추출물, 보리 어린잎 엑기스, 또는 치킨 콜라겐의 단독 존재하에서 배양한 지방세포 생존율과의 사이에 현저한 차가 인정되지 않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세로축은 무첨가구의 지방세포의 생존율을 기준으로 한 백분율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펩신 및 트립신 처리물의 ACE 저해활성이 펩신 및 트립신 처리한 연어 이리 추출물, 맥주효모 추출물, 보리 어린잎 엑기스, 또는 치킨 콜라겐 단독의 ACE 저해활성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가지며, 또한 펩신 및 트립신에 의한 분해 후에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 저해작용을 갖는 조성물로서는 연어 이리 추출물, 맥주효모 추출물, 보리 어린잎 엑기스, 및 트리 콜라겐(치킨 콜라겐)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리 어린잎 엑기스 100 중량부당, 연어 이리 추출물 14.0~14.5 중량부, 맥주효모 추출물 2.8~3.2 중량부, 및 트리 콜라겐 5.7~6.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연어 이리 추출물로서는 식품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연어 이리를 효소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올리고 뉴클레오티드와 올리고 펩티드까지 분해한 저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연어 이리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분자량 1000~3000의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올리고 펩티드를 20~50% 함유하는 연어 이리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연어 이리 추출물은 예를 들면 닛세이바이오 주식회사 등에서 입수할 수 있다.
상기 맥주효모 추출물로서는 식품용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맥주효모를 효소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저분자화된 RNA을 포함하는 맥주효모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분자량 1000~3000의 RNA를 20~50% 함유하는 맥주효모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맥주효모 추출물은 예를 들면 닛세이바이오 주식회사 등에서 입수할 수 있다.
상기 보리 어린잎 엑기스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식품용으로 저온에서 스프레이 드라이한 보리 어린잎 엑기스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리 어린잎 엑기스에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함유하고 있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함유한 보리 어린잎 엑기스로서는 20~30%의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함유하고 있는 락손사제의 보리 어린잎 엑기스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트리 콜라겐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식품용의 트리 콜라겐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주식회사 엘 에스 팩토리사제의 트리 콜라겐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용 지방분해촉진제 외에, 경구용 지방축적억제제, 비만예방제, 비만개선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경구용 ACE 저해제 외에, 캅토프릴 등의 합성의약품과는 달리, 섭취 후 부작용이 없거나 매우 적은 혈압상승억제제, 고혈압증의 예방 또는 개선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식품에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음식품에 지방분해 촉진작용 및 ACE 저해작용을 부여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화효소인 펩신 및 트립신으로 소화한 후에 우수한 ACE 저해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식품으로서 경구섭취함으로써 고혈압증의 예방/개선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음식품에 배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유효성분의 유효량을 음식품의 제조원료단계, 혹은 제조한 제품의 단계 등에서 첨가, 배합한다. 여기서 '유효성분의 유효량'이란 개개의 음식품에서 통상 먹고 마시게 되는 양을 섭취한 경우에 유효성분이 섭취될 듯한 함유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용자의 연령 및 체중, 증상, 투여시간, 제형, 투여방법, 약제의 조합 등에 의존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그대로 음식품이나 서플리먼트(supplement)로서 조제한 것이나, 각종 단백질, 당류, 지방, 미량 원소, 비타민류 등을 추가로 배합한 것이나, 액상, 반액체상 또는 고체상으로 한 것이나, 일반 음식품에 첨가, 배합한 것을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품은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혹은 병자용 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용 지방분해촉진제, 경구용 ACE 저해제 및 음식품은 그 제조와 관련해서는 통상 사용되는 첨가물이나 배합제, 예를 들면 부형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분산제, 보존제, 습윤화제, 용해보조제, 방부제, 안정화재, 캡슐기제, 식품소재 등의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보조제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당, 과당, 포도당, 전분, 젤라틴, 탄산마그네슘, 합성규산마그네슘,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탄산칼슘,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률로오스, 또는 그 염, 아라비아검, 폴리에틸렌글리콜, 시럽, 바셀린, 글리세린,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구연산, 염화나트륨, 아황산소다, 인산나트륨, 풀루란(pullulan), 카라기난, 덱스트린, 환원 파라티노스(reduced paratinose), 소르비톨, 자일리톨(xylitol), 스테비아, 합성감미료, 구연산, 아스코르브산, 산미료, 중조, 자당 에스테르, 식물경화유지, 염화칼륨, 해바라기유, 밀랍, 대두 레시틴, 향료 등을 구체적으로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시료의 조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평가에 사용한 시료는 연어 이리 추출물(닛세이바이오 주식회사제), 맥주효모 추출물(닛세이바이오 주식회사제), 보리 어린잎 엑기스(락손사제, 30% 난소화성 덱스트린 함유), 치킨 콜라겐(트리 콜라겐: 주식회사 엘 에스 팩토리사제)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조제하였다. 시료의 조제에 사용한 각 성분의 농도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소재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①보리 어린잎 엑기스 405㎍/㎖ 810㎍/㎖ 4.05㎎/㎖ 8.1㎎/㎖
②연어 이리 추출물 58㎍/㎖ 116㎍/㎖ 580㎍/㎖ 1.16㎎/㎖
③맥주효모 추출물 12㎍/㎖ 24㎍/㎖ 120㎍/㎖ 240㎍/㎖
④치킨 콜라겐 24㎍/㎖ 48㎍/㎖ 240㎍/㎖ 480㎍/㎖
⑤혼합물(①+②+③+④) 500㎍/㎖ 1㎎/㎖ 5㎎/㎖ 10㎎/㎖
(2) 지방세포로의 분화 및 지방분해활성의 측정
마우스 전구지방세포주 3T3-L1 세포를 96 웰 배양 플레이트에 3×104cells/250μl/well이 되도록 파종하여, 10% CS를 함유하는 DMEM 배지(10% CS/DMEM)를 사용하여 2일간 프리 인큐베이트팅을 실시하여, 컨플루언트(day 0)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지방세포 분화유도제[0.5mM 이소부틸메틸크산틴(IBMX), 1μM 덱사메타존(DEX), 10μg/ml 인슐린]를 배지에 첨가하고, 추가로 3일간 배양함으로써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실시하였다. 분화 유도후의 세포를 10μg/ml 인슐린을 함유하는 10% FBS/DMEM 배지로 3일간 배양한 후, 기본 배지에서 6일간 배양하였다. 이 6일간의 배양 중, 배지를 이틀 간격으로 교환하여 지방 방울을 축적시켰다. 그 후, 표 1에 기재된 혼합물, 및 연어 이리 추출물, 맥주효모 추출물, 보리 어린잎 엑기스, 치킨 콜라겐을 단독으로 첨가하고 추가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에 상청액을 회수하고, Adipolysis assay kit를 사용하여 배양상청액 중의 글리세롤 양을 측정하였다. 이 배양상청액 중의 글리세롤 양을 지방분해의 지표로 삼았다. 글리세롤 유리율(遊離率)은 대조군의 값을 100%로 한 경우의 상대적인 값이다.
지방분해촉진율(%)=[A/B]×100
A : 추출물 첨가시의 유리(遊離) 글리세롤 양
B : 추출물 무첨가시의 유리 글리세롤 양
(3) 시험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지방분해 촉진작용의 판정은 지방분해로 인해 생성되는 글리세롤 양의 측정값을 지표로서 구하였다. 결과를 그래프로 만든 것을 도 1에, 수치화한 것을 표 2에 각각 나타내었다. 보리 어린잎 엑기스를 포함하는 혼합물(시료)를 첨가한 구에 있어, 1mg/ml과 5mg/ml 농도에서 각각 대조군의 208.67%, 504.17%의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각 성분을 단독으로 첨가한 구에서의 지방분해율은 보리 엑기스 810μg/ml 첨가구에서 141.57%, 4.05mg/ml 첨가구에서 255.22%; 연어 이리 추출물 116μg/ml 첨가구에서 95%, 580μg/ml 첨가구에서 95.44%; 맥주효모 추출물 24μg/ml 첨가구에서 95%, 120μg/ml 첨가구에서 81.6%; 치킨 콜라겐 48μg/ml 첨가구에서 87.67%, 240μg/ml 첨가구에서 116.7%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보리 어린잎 엑기스, 연어 이리 추출물, 맥주효모 추출물, 치킨 콜라겐 성분을 조합하여 조제한 시료가 나타내는 현저한 지방분해 촉진작용은 각 성분 단독으로는 인정되지 않음이 밝혀졌고, 보리 어린잎 엑기스, 연어 이리 추출물, 맥주효모 추출물, 치킨 콜라겐 성분을 조합함으로써 현저한 상승효과가 인정됨이 나타났다.
대조군 100.0

보리 어린잎 엑기스
405㎍/㎖ 117.1
810㎍/㎖ 141.6
4.05㎎/㎖ 255.2

연어 이리 추출물
58㎍/㎖ 95.8
116㎍/㎖ 95.0
580㎍/㎖ 95.4

맥주효모 추출물
12㎍/㎖ 81.5
24㎍/㎖ 95.0
120㎍/㎖ 81.6

치킨 콜라겐
24㎍/㎖ 95.6
48㎍/㎖ 87.7
240㎍/㎖ 116.7

혼합물
500㎍/㎖ 138.7
1㎎/㎖ 208.7
5㎎/㎖ 504.2
(4) 세포생존율의 측정
또한, 상청액을 회수한 후의 세포생존율을 Cell counting Kit-8(Dojindo사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2에 결과를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물 및 각 성분의 첨가구에서 생존율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1) 시료 및 각 성분의 펩신 및 트립신 분해물의 조제
0.1M HCl?KCl(pH 2.5)을 사용하여, 표 1에 나타낸 혼합물 및 각 성분의 10% 용액을 조제한 후, 펩신을 첨가하여 37℃에서 2.5시간 효소처리하였다. 처리 후, 끓는물 속에 넣고 중탕으로 9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펩신을 불활성화시켰다. 이 처리액을 0.1M 인산칼륨 완충액(pH 7.5)을 사용하여 5배 희석하고, 추가로 트립신을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 효소처리하였다. 처리 후, 끓는물 속에 넣고 중탕으로 9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트립신을 불활성화시켰다. 이 처리액을 원심분리하고, 그 상청액을 동결건조시켜 이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 저해활성의 측정
ACE 저해활성의 측정은 Lieberman 측정법의 변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하여 효소처리한 동결건조 시료를 효소처리전의 농도와 마찬가지로 표 1 기재의 농도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이 조제액(30μL)에, 400mM NaCl를 포함하는 붕산완충액(pH 8.3)으로 5mM로 희석한 Hip-His-Leu 기질용액(250μl)을 첨가하여, 37℃의 항온수조 중에서 5분간 보온하였다. 600mu/ml(6mU)의 ACE용액(100μl)을 첨가하고 바로 교반한 후, 37℃에서 60분간 반응을 수행하였다. 1N 염산(250μl)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초산에틸(1.5ml)을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함으로써 마뇨산(hippuric acid)을 유리시켰다.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에 상층의 초산에틸층을 1.0ml 회수하여 에바포레이터로 건조시켜 굳혔다. 또한, 감압 데시케이터 내에서 60분간 건조시킨 후, 초순수를 3mL 첨가하고, 그 용액의 흡광값(228nm)을 측정하였다. 또한, 저해활성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저해율(%)로서 산출하였다.
저해율(%) = {(EC-ES)/(EC-EB)}×100
여기에서 ES는 시료 용액을 첨가했을 때의 흡광값, EC는 시료용액 대신에 초순수를 첨가했을 때의 흡광값, EB는 미리 1N 염산을 첨가하여 반응시켰을 때의 흡광값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3) 시험결과
도 3에 결과를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물 1mg/ml, 10mg/ml인 경우, 대응하는 농도의 각 조성물 단독인 경우에 비해 ACE 저해활성이 현저하게 높음이 밝혀져, 상승적인 효과가 인정되었다.
실시예 3
1개당, 보리 어린잎 엑기스 1687mg, 연어 이리 추출물 240mg, 맥주효모 추출물 50mg, 치킨 콜라겐 100mg, 난소화성 덱스트린 723mg, 덱스트린 500mg를 배합한 스틱형 서플리먼트를 조제하였다.

Claims (8)

  1. 연어 이리 추출물, 맥주효모 추출물, 보리 어린잎 엑기스, 및 트리 콜라겐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가지며, 또한 그 펩신 및 트립신 분해물이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 저해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보리 어린잎 엑기스 100 중량부당, 연어 이리 추출물 14.0~14.5 중량부, 맥주효모 추출물 2.8~3.2 중량부, 및 트리 콜라겐 5.7~6.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연어 이리 추출물은 연어 이리를 효소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올리고 뉴클레오티드와 올리고 펩티드까지 분해한 저분자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맥주효모 추출물은 맥주효모를 효소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저분자화된 RNA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보리 어린잎 엑기스가 30% 난소화성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지방분해촉진제.
  7. 제 1항~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 저해제.
  8. 제 1항~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품.
KR1020127007392A 2009-10-02 2010-09-28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갖는 조성물 KR101761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0493 2009-10-02
JP2009230493A JP4493725B1 (ja) 2009-10-02 2009-10-02 脂肪分解促進作用を有する組成物
PCT/JP2010/005833 WO2011039999A1 (ja) 2009-10-02 2010-09-28 脂肪分解促進作用を有する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580A true KR20120080580A (ko) 2012-07-17
KR101761112B1 KR101761112B1 (ko) 2017-07-25

Family

ID=4235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392A KR101761112B1 (ko) 2009-10-02 2010-09-28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99043B2 (ko)
EP (1) EP2484370B1 (ko)
JP (1) JP4493725B1 (ko)
KR (1) KR101761112B1 (ko)
CN (1) CN102573885B (ko)
BR (1) BR112012006872B8 (ko)
HK (1) HK1169306A1 (ko)
IN (1) IN2012DN02486A (ko)
TW (1) TWI520741B (ko)
WO (1) WO20110399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41B1 (ko) * 2019-07-08 2020-03-10 (주)앤이바이오플러스 다이어트를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137193A (ko) * 2019-05-29 2020-12-09 한국식품연구원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867B1 (ko) 2013-06-12 2017-08-25 마루하 니치로 가부시키가이샤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ⅳ (dppⅳ) 저해 펩티드 화합물,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6548797B1 (ja) * 2018-08-10 2019-07-24 琥珀バイオ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アンジオテンシンi変換酵素活性阻害剤
JP2020100608A (ja) * 2018-12-25 2020-07-02 株式会社日本電医研 栄養補助剤、及び当該栄養補助剤を含む医薬品又は飲食品
WO2020242113A1 (ko) * 2019-05-30 2020-12-03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과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당뇨를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치료용 조성물
KR102418383B1 (ko) * 2020-11-19 2022-07-07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428991B2 (ja) 2021-05-24 2024-02-07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糖の吸収抑制用剤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8631A (en) 1976-06-01 1977-12-10 Kitazato Daigaku Yakurigakubu Enzym obstruction agent
JPS6023085B2 (ja) 1981-12-23 1985-06-05 工業技術院長 アンジオテンシン転換酵素阻害剤
JPS6023086B2 (ja) 1982-09-04 1985-06-05 工業技術院長 アンジオテンシン転換酵素阻害剤
JPS6023087A (ja) 1983-07-20 1985-02-05 Canon Inc リボンカセツト
JPS6023086A (ja) 1983-07-20 1985-02-05 Canon Inc リボンカセツト
JPS6136226A (ja) 1984-07-28 1986-02-20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アンジオテンシン転換酵素阻害剤
JPS6136227A (ja) 1984-07-28 1986-02-20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アンジオテンシン転換酵素阻害剤
US4965341A (en) 1988-06-08 1990-10-23 Shell Oil Company Polymerization of co/olefin with catalyst comprising sulfur bidentate ligand
JPH0311097A (ja) 1989-06-07 1991-01-18 Senmi Ekisu Kk 新規ペプチド
JP3073762B2 (ja) 1990-10-03 2000-08-07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ンギ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剤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JP3452986B2 (ja) 1994-09-13 2003-10-06 花王株式会社 脂肪分解促進剤
JP3135812B2 (ja) 1995-03-01 2001-02-19 日清食品株式会社 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ペプチ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45608B2 (ja) 1995-03-10 2005-05-11 花王株式会社 脂肪分解促進剤
JP3249707B2 (ja) 1995-05-10 2002-01-21 花王株式会社 脂肪分解促進剤
JP3567012B2 (ja) 1995-03-28 2004-09-15 雪印乳業株式会社 新規ペプチド及びその利用
JPH09224607A (ja) * 1996-02-21 1997-09-02 Soken:Kk ダイエット補助食品
JPH10212239A (ja) 1997-01-30 1998-08-11 Sarude Yakuhin Kk ダイエット剤
JP3306750B2 (ja) 1998-02-20 2002-07-24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脂肪分解促進剤
JP4084916B2 (ja) * 2000-06-21 2008-04-30 株式会社東洋新薬 麦若葉由来の素材を含む抗高血圧食品
CN1209978C (zh) 2000-08-30 2005-07-13 北京莱福赛茵生物工程技术有限公司 核酸补充营养保健食品及其制作方法
JP2002275078A (ja) 2001-01-11 2002-09-25 Kanebo Ltd 脂肪分解促進剤
FR2825004B1 (fr) * 2001-05-22 2005-02-11 Bio Springer Produit dietetique satiant
JP5031156B2 (ja) 2001-09-20 2012-09-19 カゴメ株式会社 抗肥満剤
JP3899436B2 (ja) 2002-05-10 2007-03-28 フォーデイズ株式会社 水溶性核蛋白入り健康ドリンク
AU2003256104A1 (en) * 2002-08-14 2004-03-03 Bionutrigen Co., Ltd Powder or extracts of plant leaves with anti-obesity effects and anti-obesity food comprising them
US20040087514A1 (en) * 2002-09-06 2004-05-06 Hughes Thomas E Nutritional compositions
JP2004307365A (ja) 2003-04-03 2004-11-04 Kao Corp 脂肪分解促進剤
WO2005118619A1 (ja) * 2004-06-03 2005-12-15 Kirin Beer Kabushiki Kaisha 血圧降下作用を有するジペプチド
JP4672304B2 (ja) 2004-08-04 2011-04-20 丸善製薬株式会社 脂肪分解促進剤
MXPA04010692A (es) * 2004-10-28 2006-05-02 Jorge Luis Rosado Loria Composicion para el tratamiento de la obesidad e hiperlipidemia.
JP4855037B2 (ja) 2005-10-11 2012-01-18 日清ファルマ株式会社 脂肪蓄積抑制および脂肪分解促進剤
KR20070113460A (ko) 2006-05-24 2007-11-29 주식회사 산테 체중조절용 건강식품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193A (ko) * 2019-05-29 2020-12-09 한국식품연구원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7041B1 (ko) * 2019-07-08 2020-03-10 (주)앤이바이오플러스 다이어트를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2DN02486A (ko) 2015-08-28
US9399043B2 (en) 2016-07-26
WO2011039999A1 (ja) 2011-04-07
TWI520741B (zh) 2016-02-11
EP2484370B1 (en) 2019-09-11
HK1169306A1 (en) 2013-01-25
JP2011074051A (ja) 2011-04-14
BR112012006872B8 (pt) 2020-06-16
CN102573885B (zh) 2014-12-17
EP2484370A1 (en) 2012-08-08
JP4493725B1 (ja) 2010-06-30
TW201119660A (en) 2011-06-16
BR112012006872A2 (pt) 2016-06-07
EP2484370A4 (en) 2014-02-26
US20120244236A1 (en) 2012-09-27
CN102573885A (zh) 2012-07-11
BR112012006872B1 (pt) 2020-05-26
KR101761112B1 (ko)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112B1 (ko) 지방분해 촉진작용을 갖는 조성물
KR101793153B1 (ko) 검정콩잎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놀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080105470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US2016021373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tea extracts for reducing lipid level
Kwon et al. Kochujang, a Korean fermented red pepper plus soybean paste, improves glucose homeostasis in 90% pancreatectomized diabetic rats
KR101564825B1 (ko) 발효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26824B1 (ko)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637517B1 (ko)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2652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 및 맥주효모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153832A (ko) 리모실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95 균주를 포함하는 혈당 저하용 조성물
KR102160424B1 (ko) 유파틸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49535B1 (ko) 알카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용 조성물
KR101222779B1 (ko) 식용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153516B1 (ko)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9278117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safe and effective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in mammals
KR102283093B1 (ko) 고온고압법제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122822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20120735A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균주를 이용한 패혈증 및 급성위염 억제용 청국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ataoka et al. Melinjo (Gnetum gnemon) extract intake during lactation stimulates hepatic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offspring of excessive fructose-fed pregnant rats
KR20210072419A (ko) 홍국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 및 비만 예방 조성물 함유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57134A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KR20240034174A (ko) 석창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27609B1 (ko) 가자미식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1497A (ko) 기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10024305A (ko) 발아현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