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470A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05470A KR20080105470A KR1020070053097A KR20070053097A KR20080105470A KR 20080105470 A KR20080105470 A KR 20080105470A KR 1020070053097 A KR1020070053097 A KR 1020070053097A KR 20070053097 A KR20070053097 A KR 20070053097A KR 20080105470 A KR20080105470 A KR 200801054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nseng
- fruit extract
- ginseng fruit
- extract
- food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PHIQHXFUZVPYII-ZCFIWIBFSA-N (R)-carnitine Chemical compound C[N+](C)(C)C[C@H](O)CC([O-])=O PHIQHXFUZVPYII-ZCFIWIBF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60004203 Carnitin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60001518 levocarnitin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101700062482 akr1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1789 adipocy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4059 degra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5000009200 high fat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0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2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3
- 229940107131 ginseng root Drug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470 Mitochondria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40089161 Ginsenoside Drug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8823 dietary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130 lip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700 Mitochondrial Membrane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027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378 dietar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133 fatty acid degra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366 lipolytic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38 mitochond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829 reduce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60 (ribonucleotides)n+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ZSLZBFCDCINBPY-ZSJPKINUSA-N Acetyl-CoA Chemical compound O[C@@H]1[C@H](OP(O)(O)=O)[C@@H](COP(O)(=O)OP(O)(=O)OCC(C)(C)[C@@H](O)C(=O)NCCC(=O)NCCSC(=O)C)O[C@H]1N1C2=NC=NC(N)=C2N=C1 ZSLZBFCDCINBPY-ZSJPKINUSA-N 0.000 description 2
- ZSLZBFCDCINBPY-ZZSFXRQLSA-N Acetyl-CoA Natural products S(C(=O)C)CCNC(=O)CCNC(=O)[C@H](O)C(CO[P@@](=O)(O[P@](=O)(OC[C@@H]1[C@@H](OP(=O)(O)O)[C@H](O)[C@@H](n2c3ncnc(N)c3nc2)O1)O)O)(C)C ZSLZBFCDCINBPY-ZZSFXRQLSA-N 0.000 description 2
- -1 Fatty acyl-CoA ester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PWAOOJDMFUQOKB-ZSMJKITDSA-N Ginsenoside Re Natural products O([C@](CC/C=C(\C)/C)(C)[C@@H]1[C@H]2[C@@H](O)C[C@H]3[C@](C)([C@]2(C)CC1)C[C@H](O[C@@H]1[C@H](O[C@H]2[C@H](O)[C@@H](O)[C@@H](O)[C@H](C)O2)[C@@H](O)[C@H](O)[C@@H](CO)O1)[C@H]1C(C)(C)[C@@H](O)CC[C@]31C)[C@H]1[C@@H](O)[C@@H](O)[C@H](O)[C@@H](CO)O1 PWAOOJDMFUQOKB-ZSMJKITDSA-N 0.000 description 2
- AGBCLJAHARWNLA-DQUQINEDSA-N Ginsenoside Rg2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C@H]1O[C@H]1[C@H](O[C@@H]2[C@H]3C(C)(C)[C@@H](O)CC[C@]3(C)[C@@H]3[C@@]([C@@]4(CC[C@@H]([C@H]4[C@H](O)C3)[C@@](C)(O)CCC=C(C)C)C)(C)C2)O[C@H](CO)[C@@H](O)[C@@H]1O AGBCLJAHARWNLA-DQUQINED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031 Glucose Drug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YOLKTULG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O[C@H]1CO)[C@@H]1[C@H](O)[C@@H](O)[C@@H](O)[C@@H](CO)O1 GUBGYTABKSRVRQ-YOLKTULGSA-N 0.000 description 2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78 anti-diab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72 antidiabe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26 densi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149 energy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85 fatty acyl-CoA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OVBPIULPVIDEAO-LBPRGKRZSA-N folic aci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NC=1CNC1=CC=C(C(=O)N[C@@H](CCC(O)=O)C(O)=O)C=C1 OVBPIULPVIDEA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2
- GZYPWOGIYAIIPV-JBDTYSNRSA-N ginsenoside Rb1 Chemical compound C([C@H]1O[C@H]([C@@H]([C@@H](O)[C@@H]1O)O)O[C@@](C)(CCC=C(C)C)[C@@H]1[C@@H]2[C@@]([C@@]3(CC[C@H]4C(C)(C)[C@@H](O[C@H]5[C@@H]([C@@H](O)[C@H](O)[C@@H](CO)O5)O[C@H]5[C@@H]([C@@H](O)[C@H](O)[C@@H](CO)O5)O)CC[C@]4(C)[C@H]3C[C@H]2O)C)(C)CC1)O[C@@H]1O[C@H](CO)[C@@H](O)[C@H](O)[C@H]1O GZYPWOGIYAIIPV-JBDTYSNR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68 long chain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7 reverse transcription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01 soft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β-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SHCBCKBYTHZQGZ-PHFGEWBZSA-N (3S,5R,6S,8R,9R,10R,12R,13R,14S,17S)-17-[(2S)-2-hydroxy-6-methylhept-5-en-2-yl]-4,4,8,10,14-pentamethyl-2,3,5,6,7,9,11,12,13,15,16,17-dodecahydro-1H-cyclopenta[a]phenanthrene-3,6,12-triol Chemical compound C1C[C@H](O)C(C)(C)[C@@H]2[C@@H](O)C[C@@]3(C)[C@@]4(C)CC[C@H]([C@@](C)(O)CCC=C(C)C)[C@H]4[C@H](O)C[C@@H]3[C@]21C SHCBCKBYTHZQGZ-PHFGEWBZSA-N 0.000 description 1
- JLPULHDHAOZNQI-ZTIMHPMXSA-N 1-hexadecanoyl-2-(9Z,12Z-octadecadie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 JLPULHDHAOZNQI-ZTIMHPMXSA-N 0.000 description 1
- 108091022082 Acyl transfe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9632 Acyl transfer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ZKHQWZAMYRWXGA-KQYNXXCUSA-N Adenosine triphosphate Chemical compound C1=NC=2C(N)=NC=NC=2N1[C@@H]1O[C@H](COP(O)(=O)OP(O)(=O)OP(O)(O)=O)[C@@H](O)[C@H]1O ZKHQWZAMYRWXGA-KQYNXXCU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7910 Adrenergic receptor family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60003345 Adrenergic receptor family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98773 Bovine Serum Albu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3117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787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874 Choline Bitar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QWJSAWXRUVVRLH-UHFFFAOYSA-M Choline bitartrate Chemical compound C[N+](C)(C)CCO.OC(=O)C(O)C(O)C([O-])=O QWJSAWXRUVVRL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530 Coenzyme A Drugs 0.000 description 1
- 102000020504 Collagenase family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60005980 Collagenase family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67 Cyst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72 Cytos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AZBKCHUSA-N D-Mann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AZBKCHUSA-N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D-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0715 ENZYMES FOR TREATMENT OF WOUNDS AND ULCERS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700015998 FADD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184 Falcon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04 Fo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YURJSTAIMNSZAE-KFVUSEMXSA-N Ginsenoside Rg1 Natural products O([C@](CC/C=C(\C)/C)(C)[C@@H]1[C@H]2[C@@H](O)C[C@H]3[C@](C)([C@]2(C)CC1)C[C@H](O[C@@H]1[C@@H](O)[C@H](O)[C@H](O)[C@H](CO)O1)[C@H]1C(C)(C)[C@@H](O)CC[C@]31C)[C@H]1[C@H](O)[C@@H](O)[C@H](O)[C@H](CO)O1 YURJSTAIMNSZAE-KFVUSEMXSA-N 0.000 description 1
- ZJYYHGLJYGJLLN-UHFFFAOYSA-N Guanidinium thiocyanate Chemical compound SC#N.NC(N)=N ZJYYHGLJYGJLL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710010776 HMPREF0010_01347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00023446 IFNT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58 L-cyst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93 L-cys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EVWYRKDKASIDU-IMJSIDKUSA-N L-cystine zwitterion Chemical compound [O-]C(=O)[C@@H]([NH3+])CSSC[C@H]([NH3+])C([O-])=O LEVWYRKDKASIDU-IMJSIDKU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UUNJERMW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O[C@@H]1CO)[C@H]1[C@@H](O)[C@@H](O)[C@H](O)[C@H](CO)O1 GUBGYTABKSRVRQ-UUNJERMW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1
- NRYBAZVQPHGZNS-ZSOCWYAHSA-N Leptin Chemical compound O=C([C@H](CO)NC(=O)[C@H](CC(C)C)NC(=O)[C@H](CC(O)=O)NC(=O)[C@H](CC(C)C)NC(=O)[C@H](CCC(N)=O)NC(=O)[C@H](CC=1C2=CC=CC=C2NC=1)NC(=O)[C@H](CC(C)C)NC(=O)[C@@H](NC(=O)[C@H](CC(O)=O)NC(=O)[C@H](CCC(N)=O)NC(=O)[C@H](CC(C)C)NC(=O)[C@H](CO)NC(=O)CNC(=O)[C@H](CCC(N)=O)NC(=O)[C@@H](N)CC(C)C)CCSC)N1CCC[C@H]1C(=O)NCC(=O)N[C@@H](CS)C(O)=O NRYBAZVQPHGZNS-ZSOCWYAH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267 Lep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2277 Lep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7676 Low-energy diet formulations for treatment of obesity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21 Macromolecu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58825 Menopaus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3207 Nia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962 Nicotiana taba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307 Ov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2 Palm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5726 Pantoth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BELBBZDIHDAJOR-UHFFFAOYSA-N Phenolsulfonephthalein Chemical compound C1=CC(O)=CC=C1C1(C=2C=CC(O)=CC=2)C2=CC=CC=C2S(=O)(=O)O1 BELBBZDIHDAJO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31 Phenolsulfonphthalein Drugs 0.000 description 1
- MEFKEPWMEQBLKI-AIRLBKTGSA-O S-adenosyl-L-methionine zwitterion Chemical compound O[C@@H]1[C@H](O)[C@@H](C[S+](CC[C@H]([NH3+])C([O-])=O)C)O[C@H]1N1C2=NC=NC(N)=C2N=C1 MEFKEPWMEQBLKI-AIRLBKTGSA-O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GDQSFJPYSA-N Sucr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O)[C@H](O)[C@@H](O)[C@@H](CO)O1 CZMRCDWAGMRECN-GDQSFJPYSA-N 0.000 description 1
- BGNXCDMCOKJUMV-UHFFFAOYSA-N TBHQ Chemical compound CC(C)(C)C1=CC(O)=CC=C1O BGNXCDMCOKJU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072 Type 2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48 Vitamin K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79 ab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7 anti-canceroge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29 anti-fatigu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80 anti-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7 appetite cont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30 appetite depress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52 breakfas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APWYRCQGJNNSJ-UBKPKTQASA-L calcium D-pantothenic acid Chemical compound [Ca+2].OCC(C)(C)[C@@H](O)C(=O)NCCC([O-])=O.OCC(C)(C)[C@@H](O)C(=O)NCCC([O-])=O FAPWYRCQGJNNSJ-UBKPKTQASA-L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079 calcium pantothe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77 caloric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8 cas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40 cas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42 citrate cyc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16 coenzyme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25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24 collagena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51 drug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6 effect on animal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911 enzymat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07 exercise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710009782 fadD1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010463 fadD15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010457 fadD17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010449 fadD19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009908 fadD2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010378 fadD23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009902 fadD25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00051677 fadK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8 fas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29 fatty acid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87 fatty acyl carnit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24 fatty-ac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2 fo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4 fo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55 galacto-oligosacchar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71 galacto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10 ginseng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YURJSTAIMNSZAE-HHNZYBFYSA-N ginsenoside Rg1 Chemical compound O([C@@](C)(CCC=C(C)C)[C@@H]1[C@@H]2[C@@]([C@@]3(C[C@@H]([C@H]4C(C)(C)[C@@H](O)CC[C@]4(C)[C@H]3C[C@H]2O)O[C@H]2[C@@H]([C@@H](O)[C@H](O)[C@@H](CO)O2)O)C)(C)CC1)[C@@H]1O[C@H](CO)[C@@H](O)[C@H](O)[C@H]1O YURJSTAIMNSZAE-HHNZYBF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0 hep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65 homogen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19 immonomodul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05 large molecu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781 lep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56 lipid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43 lipos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3 liqu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06 messenger RNA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DFPAKSUCGFBDDF-UHFFFAOYSA-N nicotinamide Chemical compound NC(=O)C1=CC=CN=C1 DFPAKSUCGFB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5 overweigh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627 oxidative phosphory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40 palm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HOKWGTUZJEAQD-ZETCQYMHSA-N pantothenic acid Natural products OCC(C)(C)[C@@H](O)C(=O)NCCC(O)=O GHOKWGTUZJEAQD-ZETCQYMH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1 pantoth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3 pantothe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66 phosphoryl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71 psych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6 respiratory ch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86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50 tert-Butylhydroquin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81 tert-butylhydroquin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96 thiol group Chemical group [H]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09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02 tricarboxylic acid cyc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2 vitamin 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8 vitamin 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700037037 vra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퍼라아제-1(Carnitine Palmitoyl Transterase-1: CPT-1)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지방산 산화에 있어 미토콘드리아 안에 지방산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고 지방의 연소를 촉진하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 열매, 다이어트, 비만, CPT-1, 체지방
Description
도 1은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과 비교예 1의 인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과 비교예 2의 홍삼 추출물의 지방 분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고지방식이군과 함께 인삼 열매 추출물 또는 홍삼 추출물을 8주간 섭취하였을 때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고지방식이군과 함께 인삼 열매 추출물 또는 홍삼 추출물을 8주간 섭취한 후 적출한 부고환지방의 무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고지방식이군과 함께 인삼 열매 추출물 또는 홍삼 추출물을 8주간 섭취한 후 간에서의 CPT-1 발현정도를 보여주는 RT-PCR 결과이다.
도 6은 도 5의 결과를 농도계측(densitometry)으로 정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의 지상부 중에서 인삼근과 차별적 성분과 조성을 갖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처라아제-1(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1, CPT-1)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미토콘드리아 안에 지방산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지방의 연소를 촉진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피과 인삼속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2,000여 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생약으로, 경험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인삼의 효능 및 효과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항발암 작용, 항암활성 작용, 면역기능 조절 작용, 항당뇨 작용, 간기능 항진효능, 심혈관 장해개선, 항동맥경화 작용, 혈압조절 작용, 갱년기 장애 개선,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 항스트레스 작용, 항피로 작용, 항산화 활성, 노화억제 효능 등이 알려져 있다(최신고려인삼 ‘성분 및 효능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56-112, 1996).
인삼의 대표적 생리활성 성분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인삼의 지상 및 지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인삼근(뿌리), 인삼엽, 인삼 열매 등 부위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함량뿐만 아니라 조성도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Attele AS et al, Biochem Pharmacol, 58; 1685-1693, 1999.). 그 중에서도 인 삼 열매는 인삼근(뿌리)과 다른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과 성분을 가지며, 항당뇨 효능에 있어서 인삼근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Dey L. et al., Phytomedicine, 10; 600-605, 2003.).
또한 인삼 열매는 예로부터 인삼보다도 귀하게 여겨지는 것으로서 종자 획득을 목적으로 선별되어 수확되어 왔다. 인삼 열매는 인삼의 재배기간 중 4년생에 한해서 1회만 채종하며, 3년생에서 채종하면 종자가 너무 작기 때문에 좋은 묘삼을 생산하기가 어렵고 5년생 이상의 인삼에서 채종하면 종자는 충실하고 좋으나 인삼뿌리의 비대발육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여 홍삼을 제조할 때 홍삼품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재배기간 중에 2회 이상 채종하면 수량 및 홍삼 품질이 크게 저하된다(최신고려인삼 ‘재배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130-131, 1996).
한편, 비만은 유전적 원인 또는 생활 습관상의 원인에 의하여 에너지 섭취와 소비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과잉된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되어 체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며, 대사 이상이 유발되는 상태를 일컫는다. 비만은 육식을 주식으로 하는 서구에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심각한 건강문제이며, 심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개인을 위축시킬 뿐만 아니라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장질환, 당뇨병 등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현대인의 약 30~40%가 비만증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선진국의 경우 총 국민 의료비의 2~7%가 과체중 및 비만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보건 의료체계 내외부에서 지출된 비만의 사회 경제적 비용은 1998년 기준으로 약 1조 17억원, 2005 년에는 약 1조 8천원으로 증가하였으며 현재의 비만 증가율이 유지될 경우 사회경제적 비용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2005년 국민 건강영양조사결과에 따르면 비만 유병율(20세 이상)은 전체 31.8%, 남자 35.2%, 여자 28.3%이었다. 이는 1998년 및 2001년과 비교할 때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는 식사습관의 서구화(지방질의 에너지 비율 20% 이상 차지), 주류소비의 증가, 아침식사를 거르는 등의 생활 습관 변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정청,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부문 ‘우리국민은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먹고사는가?’).
비만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방법은 여러 나라에서 활발하게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는데, 음식물의 섭취량을 억제하여 에너지소비를 줄이는 식사요법(식사제한치료, 저에너지식요법, 초저에너지식 요법, 단식요법), 운동을 통해 에너지를 발산시키는 운동요법, 정신요법(행동수정요법, 인지행동요법), 에너지 대사 촉진제, 식욕억제제, 소화흡수 억제제 등을 사용하는 약물요법, 장기의 일부를 절제하거나 지방 흡입술과 같은 수술요법 등이 현재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은 비만치료의 기본이 되고 있다. 또한, 비만의 식사요법에 있어서는 저에너지식으로 하며 단백질 필요량을 확보하고 지방질은 초저 필요량으로 하며 그 나머지를 당질로 하고 가능하면 저GI당질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하고 있다.
기존 특허 출원의 빈도를 보면 당류의 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발명(소화조절), 체내에 축적된 체지방의 대사를 조절하기 위한 발명(체지방 합성억제), 지방흡 수억제, 식욕조절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중 당류의 흡수를 억제 하기 위한 발명(소화조절)의 사례로는 특허 출원 번호 PCT/US01 /31860; GINSENG BERRY EXTRA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ROM GINSENG BERRY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AND OBESITY가 있다. 하지만 당류의 흡수를 억제하는 방법은 중단하였을 경우 다시 체중이 증가하는 요요현상이 나타나는 부작용이 있어 체중감소를 촉진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비만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여러 질환들을 고려해 볼 때 단순한 체중의 감량보다는 체지방의 감소가 더욱 중요함을 명백하다. 섭취된 지방의 축적을 저해하고 연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이 바람직하다고 볼 때 지방산의 베타-산화(beta-oxidation)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의 탐색은 비만 치료의 훌륭한 타겟이 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지방산의 베타-산화의 반응속도를 결정하는 주요 효소인 CPT-1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지방산대사를 촉진할 수 있다(McCarty, Medical Hypotheses 57(3): 324-336, 2001).
이에 체지방 감소의 효과가 뛰어나고 체중감소에도 효과가 있는 새로운 천연소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삼의 지하부인 인삼근 외에도 지상부인 인삼 열매를 이용하여 지방산 산화 작용에 속도 제한 효소인 CPT-1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천연 소재를 찾고자 연구를 하던 중 인삼 열매 추출물이 일반적인 인삼 및 홍삼과 는 다른 성분과 조성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 산화 작용에 속도 제한 효소인 CPT-1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체지방의 분해 대사를 촉진시켜 비만을 예방하고 비만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세포내 중성지방 분해 촉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비만은 섭취한 영양의 불균형으로 소비되지 않은 열량이 체내에 축적되거나 에너지대사의 불균형으로 장내효소에 의한 지방분해능의 저하, 체지방 분해 효소인 렙틴의 분비저하, 체내에 축적된 지방의 연소에 관여하는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결함, 및 선천적 소양과 체질에 따라 체지방이 축적되어 발생한다.
지방의 구성 성분인 지방산은 세포 내로 들어가, 베타-산화(beta-oxidation), TCA 사이클 및 산화적 인산화 반응을 거치고, 다량의 산소를 사용해 ATP를 생산하고, 에너지로서 이용하기 쉬운 형태로 된다. 그러나 지방산은 큰 분자이기 때문에 단독으로 미토콘드리아 막을 통과한 것이 가능하지 않다. 혈중에서 세 포기질(cytosol)로 들어오는 장쇄지방산(long chain fatty acid)은 직접 미토콘드리아의 막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다음과 같은 일련의 3가지 효소반응을 거치게 되면 미토콘드리아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1) 세포기질에 존재하는 장쇄지방산은 미토콘드리아 외막에 존재하는 아실-CoA 합성효소(acyl-CoA synthetase)에 의해 지방산 카르복실기(fatty acid carboxyl group)와 조효소 A(coenzyme A)의 티올기(thiol group) 사이에 티올 에스테르(thiol ester) 결합이 형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지방 아실-CoA(fatty acyl-CoA)는 아세틸-CoA처럼 고에너지 물질(high energy compound)의 특성을 갖는다.
(2) 미토콘드리아 외막에서 형성된 지방 아실-CoA 에스테르는 내부의 미토콘드리아 막을 통과할 수 없다. 지방산을 미토콘드리아 내로 이동시키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바깥표면에 존재하는 CPT-1이 Co-A에서 카르니틴으로 지방 아실기(fatty acyl group)의 에스테르교환(transesterification)을 촉매한다. 이렇게 생성된 지방 아실-카르니틴 에스테르(fatty acyl-carnitine ester)는 아실-카르니틴/카르니틴 운반체(acyl-carnitine/carnitine transporter)를 통과하여 촉진 확산(facilitated diffusion)에 의해 내부 미토콘드리아 막에서 매트릭스(matrix)로 이동된다.
(3) 지방 아실-카르니틴(fatty acyl-carnitine)은 카르니틴 아실트랜스퍼라아제 Ⅱ(carnitine acyltransferase Ⅱ)에 의해 촉매되어 지방 아실-CoA로 전환된다.
이러한 3가지 단계를 거쳐 들어온 지방산은 베타-산화를 통해 아세틸-CoA로 전환되고 이것은 시트르산 사이클을 거쳐 최종 산물인 전자와 CO2로 전환되며 여기에서 생긴 전자는 다시 호흡 연쇄(respiratory chain) 과정을 거쳐 APT를 생산하게 된다(Lehninger et al., Principles of Biochemistry: 479-505, 1993).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삼 열매 추출물은 상기 지방 분해 대사를 촉진하기 위하여 CTP-1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건강식품의 형태에 따라 인삼 열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지방산 분해 경로에서 핵심 효소로 작용하는 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처라아제-1(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1, CPT-1)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은 지방산 산화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에 지방산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중성지방의 연소를 촉진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1. 인삼 열매 전처리
생(生)인삼 열매를 수확하여 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한 후 인삼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하여 인삼 열매 건조원료를 제조하였다.
2.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인삼 열매 건조물 1kg에 물 또는 주정 3L를 가하여 상온 또는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40~45℃에서 감압농축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 300g을 얻었다.
[비교예 1] 인삼근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인삼 열매 대신에 인삼근(뿌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성분 비교
<인삼 열매와 인삼근의 진세노이드(인삼사포닌) 성분 분석>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인삼 열매와 인삼근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들 추출물에 에테르(ether)를 처리하여 지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부탄올(BuOH)로 조사포닌을 추출, 농축하여 HPLC를 통한 진세노이드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 비교예 1 | |
조사포닌함량(건조중량) | 33.42% | 16.70% |
PD/PT 비율 | 0.73 | 3.23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조사포닌 함량에 있어서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인삼근 추출물의 약 2배 함량을 가지고 있었으며, 진세노사이드를 PD(Protopanaxadiol)계-“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및 Rd” 및 PT(Protopanaxatriol)계-“진세노사이드 Re, Rg1 및 Rg2”의 비율로 구분하였을 때 각각 0.73과 3.23으로 그 조성에 있어서 인삼 열매와 인삼근은 뚜렷한 차이 및 특징을 나타내었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미네랄 성분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추출물이 인삼과는 다른 ‘과실’로서의 특징을 가짐을 구분하기 위하여 비타민을 비롯한 미네랄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 함량 | 성분 | 함량 |
칼륨(mg/100g) | 5865.57 | 마그네슘(mg/100g) | 354.38 |
칼슘(mg/100g) | 819.26 | 아연(mg/100g) | 178.49 |
철(mg/100g) | 59.31 | Vit.A(ug/100g, RE ) | 213.11 |
인(mg/100g) | 187.17 | Vit.B1(mg/100g) | 12.29 |
Vit.B2(mg/100g) | 8.45 | Vit.B6(mg/100g) | 10.50 |
Vit.C(mg/100g) | 4.91 | Vit.E(mg/100g, α-TE) | 23.61 |
Vit.K(ug/100g) | 232.12 | 나이아신(mg/100g, NE) | 5.76 |
판토텐산(mg/100g) | 5.87 | 엽산(ug/100g) | 349.97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삼 열매의 성분적 특성은 인삼근보다 많은 인삼사포닌을 함유함과 동시에 사포닌 조성의 성질이 정반대이고, 또한 인삼근과 달리 열매로서 비타민과 미네랄 16종의 함량이 풍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피부 효능에 대한 하기 실험들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2] 홍삼 추출물 제조
인삼 열매 추출물과 효능을 비교하게 하기 위하여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홍삼(수분함량 14%) 또는 홍삼 분말 1kg에 물 또는 주정 3L를 가하여 환류 추출을 3회 실시한 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여과과정을 거친 후 감압농축하여 홍삼 추출물 약 250g을 얻었다.
[참고예 1] 부고환 지방조직의 분리
Sprague-Dawley(이하, ‘SD’라 함)계 수컷 흰 쥐의 부고환 지방조직(epididymal adipose tissue)을 분리한 후 가위로 잘게 자르고, 0.1% 콜라게나아제(in DMEM without phenol red)를 가하였다. 그 후 37℃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여과하여 지방세포(adipocyte)를 얻었다.
[시험예 2] 수컷 SD주의 지방세포내 중성지방 분해 촉진 효능 평가
수컷 SD흰 쥐의 지방세포내 중성지방 분해 촉진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참고예 1의 방법으로 분리된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방세포에 지방산이 없는 0.5% 우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AS)을 포함한 무색의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을 첨가한 후 취하여 각각 실험에 사용하였다. 글리세롤(glycerol)의 정량은 미국 시그마사(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한 GPO-trinder 키트를 이용한 발색반응법으로 하였으며,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험물질이나 비교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만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과 비교예 2의 홍삼 추출물을 각각 10ppm, 100ppm, 200ppm 씩 첨가하였다. 지방은 가수분해되면 지방산과 글리세롤(glycerol)로 분해되므로, 지방 분해 정도는 지방세포로부터 배양액 중으로 유리된 글리세롤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값은 대조군을 100으로 하였을 때 기타 값을 환산하여 구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인삼 열매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에 지방산 분해 효과는 대조군보다 인삼 열매 추출물을 10ppm 처리한 군은 약 1.3배, 100ppm 처리한 군은 약 3배, 200ppm 처리한 군은 약 3.3배 정도 지방 분해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가 홍삼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보다도 높은 지방 분해 효과의 결과를 나타냈다.
[시험예 3] 동물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본 발명의 조성물이 고지방식으로 유도된 비만 동물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컷 SD 흰 쥐를 모델로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고지방식이로 유도되는 비만에 대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6주령 된 쥐를 일주일간 적응시키고 실험군 당 10마리씩 완전 임의로 배치하였다. 실험군은 하기 표 3과 같이 정상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군+인삼 열매 추출물 0.5% 첨가, 고지방식이군+인삼 열매 추출물 1% 첨가, 고지방식이군+인삼 열매 추출물 1.5% 첨가하는 군으로 나누었으며, 대조군인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는 식이군의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군을 나누었다.
1 | 정상식이군(C) | 5 | 고지방식이군(HF)+인삼열매추출물(GB) 1.0% |
2 | 고지방식이군(HF) | 6 | 고지방식이군(HF)+홍삼추출물(RG) 1.0% |
3 | 고지방식이군(HF)+인삼열매추출물(GB) 0.5% | 7 | 고지방식이군(HF)+인삼열매추출물(GB) 1.5% |
4 | 고지방식이군(HF)+홍삼추출물(RG) 0.5% | 8 | 고지방식이군(GB)+홍삼추출물(RG) 1.5% |
실험 식이는 8주간 급여하였으며, 실험식이는 하기 표 4 의 성분대로 조제하였다. 이 때, 실험식이는 AIN-93G 정제사료를 기본으로 하여 지방이 총 열량의 36%로 조정된 고지방식이(식이 중 18%)로 조제하였으며, 정상지방식은 지방이 총 열량의 17%가 되도록 하였다(식이 중 7%).
실험군 | 11) | 2 | 3, 4 | 5, 6 | 7, 8 |
옥수수전분 | 529.486 | 419.486 | 414.486 | 409.486 | 404.483 |
카제인 | 200.0 | 200.0 | 200.0 | 200.0 | 200.0 |
수크로오스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콩기름 | 70.0 | 180.0 | 180.0 | 180.0 | 180.0 |
인삼열매추출물 또는 홍삼추출물 | - | - | 5 | 10 | 15 |
섬유(fiber) | 50.0 | 50.0 | 50.0 | 50.0 | 50.0 |
미네랄 혼합물2) | 35.0 | 35.0 | 35.0 | 35.0 | 35.0 |
비타민 혼합물3) | 10.0 | 10.0 | 10.0 | 10.0 | 10.0 |
L-시스틴 | 3.0 | 3.0 | 3.0 | 3.0 | 3.0 |
콜린 비타르타레이트 | 2.5 | 2.5 | 2.5 | 2.5 | 2.5 |
Tert- 부틸허드로퀴논 | 0.014 | 0.014 | 0.014 | 0.014 | 0.014 |
에너지합계(Kcal) | 3498 | 4502 | 4500 | 4496 | 4490 |
1) 정상 식이군(normal diet) : AIN-93G 식이
2) 미네랄 혼합물(mineral mixture) : AIN-93G 미네랄 혼합물(g/kg mix)
3) 비타민 혼합물(vitamin mixture) : AIN-93G 비타민 혼합물(g/kg mix)
실험식이 급여기간 중 주당 3회씩 식이섭취량과 체중을 측정하였고, 실험식이 급여기간 종료 후 최종적으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실험식이에 따른 체중변화의 결과는 표 5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 식이섭취 | 실험시작 전 체중(g) | 먹이 섭취량(g/day) |
1 | 정상식이군(C) | 178.6±10.1 | 27.2±3.5 |
2 | 고지방식이군(HF) | 176.9±14.2 | 26.5±5.4 |
3 | 고지방식이군(HF) + 인삼 열매추출물(GB) 0.5% | 174.5±17.2 | 28.3±8.4 |
4 | 고지방식이군(HF) + 홍삼추출물(RG) 0.5% | 172.2±16.2 | 27.4±7.4 |
5 | 고지방식이군(HF) + 인삼 열매추출물(GB) 1.0% | 176.1±20.8 | 26.4±3.2 |
6 | 고지방식이군(HF) + 홍삼추출물(RG) 1.0% | 178.6±17.6 | 26.8±5.1 |
7 | 고지방식이군(HF) + 인삼 열매추출물(GB) 1.5% | 177.2±19.1 | 26.8±6.1 |
8 | 고지방식이군(HF) + 홍삼추출물(RG) 1.5% | 175.8±18.4 | 27.1±4.2 |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시작 전에는 각 실험군별 체중의 차이는 없었으며 식이섭취량도 군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식이 섭취 후 체중 변화량을 확인한 결과 정상식이군의 경우 408.2±20.1이었으며 대조군인 고지방식이군은 557.2±17.5로서 정상식이군보다 체중이 증가하였다. 이에 인삼 열매추출물식이군 0.5%, 1.0%, 1.5%의 체중은 각각 512.3±20.4, 475.2±10.7, 420.9±16.8로서 인삼 열매추출물식이군에서는 체중증가 가 유의적으로 함량에 따라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P<0.05). 또한 홍삼추출물 식이군 0.5%, 1.0%, 1.5%의 체중은 각각 539.7±15.2, 502.1±16.8, 465.1±17.2로서 체중 증가가 고지방식이군보다 작게 나타났으나, 홍삼추출물식이군보다 인삼 열매 추출물식이군에서 체중 증가가 더 작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삼 열매 추출물이 홍삼추출물보다 체중 증가 방지에 더 효과적이며, 인삼 열매 추출물이 비만 예방 및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부고환지방무게의 측정
상기 시험예 3의 실험군 1~8에 대해 8주간의 식이가 끝난 후 희생하여 부고환지방을 적출하였다. 적출된 부고환지방은 생리식염수로 씻은 후 여과지상에서 가볍게 수분을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기간 동안 인삼 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식이군은 고지방식이만을 한 식이군에 비해 부고환지방의 무게가 작게 나타났고, 농도별로는 유의적으로 무게가 작게 나타났으며, 홍삼 추출물보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체지방량 증가 억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CPT-1에 대한 발현 측정
상기 시험예 3의 실험군 2~8에 대해 8주간의 식이가 끝난 후 희생하여 간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간조직을 균질화시킨 후 페놀과 구아니딘 이소티오시아네이트(guanidine isothiocyanate)의 혼합용액으로 된 트리졸(TRIZOL, Life Technologies사, grand Island, NYU, USA)을 사용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총 RNA로부터 CPT-1 mRNA의 발현정도를 RT-PCR로 측정하였고, 이를 농도계측(densitometry)으로 정량하여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인삼 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식이군에서 CPT-1발현이 증가되어 사진 농도(photo density)가 높게 나왔으며, 인삼 열매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이는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주사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액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연질캅셀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50mg, L-카르니틴 80~140mg, 대두유 180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캡슐당 400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4] 정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50mg, 갈락토올리고당 200mg, 유당 60mg 및 맥아당 14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를 6mg을 첨가하여 타정기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5] 과립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50mg, 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형예 6] 드링크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50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각 병에 200ml씩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 에서 4~5 초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지방산 분해 경로의 핵심효소인 L-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퍼라아제-1(CPT-1)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지방산 산화에 있어 미토콘드리아 안에 지방산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고 지방의 연소를 촉진하므로 비만 억제와 비만 예방 효과가 우수하였다.
Claims (3)
-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처라아제-1(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1, CPT-1)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세포내 중성지방 분해 촉진용 식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3097A KR20080105470A (ko) | 2007-05-31 | 2007-05-31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
JP2010510228A JP5734648B2 (ja) | 2007-05-31 | 2008-05-30 | 高麗人参の実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
PCT/KR2008/003069 WO2008147148A1 (en) | 2007-05-31 | 2008-05-30 |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ginseng fruit extracts |
CN201210333325.2A CN102895144B (zh) | 2007-05-31 | 2008-05-30 | 含有人参浆果提取物的皮肤外用组合物 |
CN2008800182623A CN101686728B (zh) | 2007-05-31 | 2008-05-30 | 含有人参浆果提取物的皮肤外用组合物 |
US12/602,421 US8877264B2 (en) | 2007-05-31 | 2008-05-30 |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s |
EP08766031.2A EP2150131B1 (en) | 2007-05-31 | 2008-05-30 |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s |
HK13104819.6A HK1177688A1 (en) | 2007-05-31 | 2013-04-22 |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3097A KR20080105470A (ko) | 2007-05-31 | 2007-05-31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5470A true KR20080105470A (ko) | 2008-12-04 |
Family
ID=4007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3097A KR20080105470A (ko) | 2007-05-31 | 2007-05-31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8877264B2 (ko) |
EP (1) | EP2150131B1 (ko) |
JP (1) | JP5734648B2 (ko) |
KR (1) | KR20080105470A (ko) |
CN (2) | CN101686728B (ko) |
HK (1) | HK1177688A1 (ko) |
WO (1) | WO200814714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78365A (ko) * | 2009-12-31 | 2011-07-07 | (주)아모레퍼시픽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KR20150057119A (ko) * | 2013-11-18 | 2015-05-28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인삼 성숙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40360A (ja) * | 2010-12-28 | 2012-07-26 | Kracie Home Products Ltd | 抗酸化剤、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
JP5835894B2 (ja) * | 2010-12-29 | 2015-12-24 |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美白剤、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
JP2012140377A (ja) * | 2010-12-29 | 2012-07-26 | Kracie Home Products Ltd |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美白剤、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
JP2012144462A (ja) * | 2011-01-11 | 2012-08-02 | Kao Corp | プロスタグランジン産生抑制剤 |
CN103648479B (zh) | 2011-04-21 | 2016-01-20 | 玫琳凯有限公司 | 包含植物提取物的局部护肤制剂 |
JP5926507B2 (ja) * | 2011-06-23 | 2016-05-25 | バイオランド・リミテッド |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阻害剤の製造方法、エラスターゼ阻害剤の製造方法、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の製造方法及びシワ防止用皮膚外用剤の製造方法 |
JP5926506B2 (ja) * | 2011-06-23 | 2016-05-25 | バイオランド・リミテッド |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の製造方法、mmp−1阻害剤の製造方法及び皮膚外用組成物の製造方法 |
JP5850488B2 (ja) * | 2011-08-30 | 2016-02-03 |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 ニキビ改善剤 |
WO2013058579A1 (ko) * | 2011-10-18 | 2013-04-25 | (주)아모레퍼시픽 |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sirt 1 활성화제 |
BR112014019602A8 (pt) * | 2012-02-29 | 2017-07-11 | Avon Prod Inc | Uso do extrato de carambola como um modulador de cpt1 e composições do mesmo |
WO2013130446A1 (en) * | 2012-02-29 | 2013-09-06 | Avon Products, Inc. | Use of cpt-1 modulators and compositions thereof |
CN102579298B (zh) * | 2012-03-19 | 2013-07-31 | 邱芳萍 | 雪蛤胶原蛋白肽肌原润肤水及其制作方法 |
KR101877801B1 (ko) * | 2012-07-05 | 2018-07-13 | (주)아모레퍼시픽 | 수경재배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WO2014092684A2 (en) * | 2012-12-11 | 2014-06-19 | Avon Products, Inc. | Use of melicope extracts to improve conditions caused by excess lipids |
CN103207276A (zh) * | 2012-12-31 | 2013-07-17 | 北京天辰空间生物医药研发有限公司 | 一种测定CoQ10抑制紫外光B辐射损伤的方法 |
US10383904B2 (en) * | 2013-04-02 | 2019-08-20 | Amorepacific Corporation | Composition for improv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women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 |
KR102200012B1 (ko) | 2013-04-02 | 2021-01-08 | (주)아모레퍼시픽 |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
KR102249706B1 (ko) * | 2013-04-03 | 2021-05-10 | (주)아모레퍼시픽 |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명 연장용 조성물 |
KR102024572B1 (ko) * | 2013-04-24 | 2019-09-24 | (주)아모레퍼시픽 | 진세노사이드 Rf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WO2015005554A1 (ko) * | 2013-07-11 | 2015-01-15 | (주)아모레퍼시픽 |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
US20170281988A1 (en) * | 2014-04-22 | 2017-10-05 | Infinitus (China) Company Ltd. | Skin Care and Cosmetic Composition |
JP6927660B2 (ja) * | 2015-08-21 | 2021-09-01 |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 皮膚外用組成物、及び経口組成物 |
KR102451839B1 (ko) * | 2015-10-30 | 2022-10-11 | (주)아모레퍼시픽 |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JP2019503381A (ja) * | 2016-01-15 | 2019-02-07 | アイエスピー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エルエルシー | ニンジン植物(パナックスの種)由来の生物活性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生産のための方法および使用 |
KR101816401B1 (ko) | 2016-05-16 | 2018-01-08 |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 인삼열매 추출물의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CN106860173A (zh) * | 2017-03-25 | 2017-06-20 | 广州市聚吉科绿色化学共性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水润清爽眼影慕斯 |
KR20190003316A (ko) * | 2017-06-30 | 2019-01-09 |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 지방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 및/또는 세포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염 개선 용도 |
KR102394647B1 (ko) * | 2018-08-29 | 2022-05-09 | (주)아모레퍼시픽 | 인삼 세포 파쇄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KR20210003473A (ko) * | 2019-07-02 | 2021-01-12 | (주)아모레퍼시픽 | 헵타히드록시플라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CN111514074B (zh) * | 2020-06-03 | 2023-01-10 | 广州智尚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亮泽肌肤的组合物及其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695561B1 (fr) * | 1992-09-17 | 1994-12-02 | Lvmh Rech Gie | Composition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contenant au moins une saponine de type ginsenoside, et ses applications, notamment pour le soin des cheveux. |
JPH07267977A (ja) * | 1994-03-31 | 1995-10-17 | I T Bi S:Kk | オタネ人参の果実エキスよりなる配糖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健康食品とその製造方法 |
JP3154034B2 (ja) * | 1994-06-02 | 2001-04-09 | 株式会社アイ・ティ・ビ・エス | 健康アイスクリ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
JP3019954B2 (ja) * | 1996-03-19 | 2000-03-15 | 株式会社アルソア本社 | コーティング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加工食品 |
CN1170573A (zh) | 1996-07-12 | 1998-01-21 | 武黔英 | 生物信息嫩肤剂 |
CN1115140C (zh) | 1996-07-20 | 2003-07-23 | 李相俊 | 含褐色化葡萄和人参组合物的化妆品 |
CN1087929C (zh) | 1998-08-18 | 2002-07-24 | 马军 | 增白美容护肤霜 |
MY124001A (en) * | 1999-04-23 | 2006-06-30 | E Excel Int |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dehydrated cactus fruit juice and ginseng berry juice |
US6238672B1 (en) * | 1999-04-23 | 2001-05-29 | E. Excel International Inc. |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dehydrated cactus fruit juice and ginseng berry juice |
US6524626B2 (en) * | 1999-04-23 | 2003-02-25 | E Excel International, Inc. | Ginseng berry topical products |
CN1452629A (zh) * | 2000-05-31 | 2003-10-29 | 科学技术振兴事业团 | 含有人参皂甙Rb1的皮肤组织再生促进剂 |
JP4008192B2 (ja) * | 2000-05-31 | 2007-11-14 |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 ジンセノサイドRb1からなる皮膚組織再生促進剤 |
AU2002211660A1 (en) * | 2000-11-07 | 2002-05-21 | University Of Chicago The | Ginseng berry extra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from |
JP4549625B2 (ja) * | 2002-01-05 | 2010-09-22 |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 人参サポニン代謝産物を有効成分とする微細乳化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皮膚老化防止用の化粧料組成物 |
DE20201550U1 (de) * | 2002-01-28 | 2002-05-29 | Berg Ernes Elme | Körperpflegemittel |
JP3604667B2 (ja) * | 2002-02-08 | 2004-12-22 | 有限会社 野路 | 健康増進および美容・ダイエット効果を有するアイスクリ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3313107A (ja) * | 2002-04-23 | 2003-11-06 | Osaka Yakuhin Kenkyusho:Kk | 高麗人参サポニン類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
EP1358876B1 (de) * | 2002-04-30 | 2007-11-07 | Cognis IP Management GmbH | Mikrokapseln mit Anti-Aknewirkstoffen |
JP3952388B2 (ja) * | 2002-07-05 | 2007-08-01 | 株式会社 アイ・ティ・ビ・エス | オタネ人参糖衣錠の製造方法 |
KR100549193B1 (ko) * | 2002-10-23 | 2006-02-02 | (주)바이오뉴트리젠 | 인삼 및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
WO2004016092A1 (en) * | 2002-08-14 | 2004-02-26 | Bionutrigen Co., Ltd | Powder or extracts of plant leaves with anti-obesity effects and anti-obesity food comprising them |
JP4719465B2 (ja) * | 2002-09-04 | 2011-07-06 |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 インスリン感受性増強剤およびペプチド画分を含む栄養補給用および治療用組成物 |
NZ539658A (en) * | 2002-09-28 | 2007-03-30 | Boehringer Ingelheim Int | Synergistic amounts of Panax ginseng and Paullinia cupana in a composition to enhance cognitive skills |
EP1457209A1 (en) | 2003-03-12 | 2004-09-15 | Pharmaton S.A. | Composition for the enhancement of cognitive skills comprising Panax ginseng and Paullinia cupana extracts |
CN1440691A (zh) * | 2002-12-19 | 2003-09-10 | 钟惠伦 | 一种人参果露饮品及其制备方法 |
KR20050038463A (ko) | 2003-10-22 | 2005-04-27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JP2005306806A (ja) * | 2004-04-23 | 2005-11-04 | Nikko Chemical Co Ltd |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及び抗老化用化粧料 |
JP2006069967A (ja) * | 2004-09-02 | 2006-03-16 | Yukihiro Hirose | 白髪抑制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飲食タイプの化粧料 |
US7884195B2 (en) * | 2005-04-26 | 2011-02-08 | Long Yun Li | Method of extracting ginsengnoside Rg2m,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ginsengnoside Rg2, and uses thereof |
KR100706111B1 (ko) | 2005-07-12 | 2007-04-12 | 고성권 | 비타민 씨를 이용한 인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2007
- 2007-05-31 KR KR1020070053097A patent/KR2008010547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
- 2008-05-30 US US12/602,421 patent/US8877264B2/en active Active
- 2008-05-30 WO PCT/KR2008/003069 patent/WO200814714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5-30 CN CN2008800182623A patent/CN101686728B/zh active Active
- 2008-05-30 JP JP2010510228A patent/JP5734648B2/ja active Active
- 2008-05-30 EP EP08766031.2A patent/EP2150131B1/en active Active
- 2008-05-30 CN CN201210333325.2A patent/CN102895144B/zh active Active
-
2013
- 2013-04-22 HK HK13104819.6A patent/HK1177688A1/xx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78365A (ko) * | 2009-12-31 | 2011-07-07 | (주)아모레퍼시픽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KR20150057119A (ko) * | 2013-11-18 | 2015-05-28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인삼 성숙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0528109A (ja) | 2010-08-19 |
US8877264B2 (en) | 2014-11-04 |
CN102895144B (zh) | 2014-10-08 |
EP2150131A4 (en) | 2010-07-21 |
CN101686728A (zh) | 2010-03-31 |
EP2150131A1 (en) | 2010-02-10 |
JP5734648B2 (ja) | 2015-06-17 |
EP2150131B1 (en) | 2014-05-07 |
CN102895144A (zh) | 2013-01-30 |
US20100189821A1 (en) | 2010-07-29 |
CN101686728B (zh) | 2013-06-19 |
WO2008147148A1 (en) | 2008-12-04 |
HK1177688A1 (en) | 2013-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105470A (ko)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 |
Lange et al. | Dietary seaweeds and obesity | |
KR101069502B1 (ko) | 비만 및 당뇨병 개선용 경구용 조성물 | |
US20050281896A1 (en) | Nutritional composition for increasing creatine uptake in skeletal muscle | |
MX2007012450A (es) | Un metodo y composicion para mejorar nutricionalmente el control de la glucosa y la accion de la insulina. | |
US20100316741A1 (en) |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rude drug complex for stimulating bone growth | |
KR20190049467A (ko) |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내장지방형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조성물 | |
Chen et al. | Functional foods and intestinal homeostasis: The perspective of in vivo evidence | |
KR20120003693A (ko) |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 |
WO2011005311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
US20170065554A1 (en) | Activated soy pod fiber | |
KR101888871B1 (ko) | 차전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20100088794A (ko) |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형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2239066B1 (ko) |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7416750B1 (en) | Composition to provide maintenance and nutritional support in glycemic control deficits | |
KR102178199B1 (ko) |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1067905B1 (ko) | 항고혈당증 활성을 갖는 닥나무 줄기 껍질 | |
KR101811210B1 (ko) |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20150136668A (ko) |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또는 항비만 활성 조성물 | |
KR101791574B1 (ko) | 흑미 호분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100888068B1 (ko) | 비만 억제용 조성물 | |
KR102507569B1 (ko) | 돌외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돌외잎 추출물 | |
KR100478150B1 (ko) |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용 건강보조식품 | |
KR100473529B1 (ko) |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US20220062312A1 (en) | Oral composition comprising b-escin and the us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326 Effective date: 201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