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463A -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463A
KR20050038463A KR1020030073817A KR20030073817A KR20050038463A KR 20050038463 A KR20050038463 A KR 20050038463A KR 1020030073817 A KR1020030073817 A KR 1020030073817A KR 20030073817 A KR20030073817 A KR 20030073817A KR 20050038463 A KR20050038463 A KR 20050038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ginseng
present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정지헌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3007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8463A/ko
Publication of KR2005003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46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성 및 파이브로넥틴 생성을 촉진하여 탁월한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은 인삼의 미량 존재하는 피부 주름개선에 핵심적인 활성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3을 순수 분리하여 다량 화장료에 첨가함으로써,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하여, 종래의 인삼 및 홍삼의 추출물, 엑기스, 인삼사포닌, 인삼다당류 등을 첨가한 화장료에 비하여 탁월한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oside Rg3}
본 발명은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것 이외에도 체온조절, 피지분비 및 모발생성 등의 항상성 유지에 필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외부의 화학적, 물리적 자극, 스트레스 및 영양상태 등에 의해 피부의 기능이 불균형하게 되면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의 활성이 저하되고, 피부의 구성 성분들이 본래의 안정된 구조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주름이 생기게 된다. 피부 진피를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섬유아세포 및 내피세포 (endothelial cell)등의 세포들과 콜라겐, 엘라스틴 및 파이브로넥틴 (fibronectin)과 같은 ECM (extracellular matrix)을 구성하는 물질들이 있다. 이들 ECM 구성 물질들은 진피의 구조를 형성하고 안정화시키는데, 이들이 비정상적으로 생성되거나 분해되면 이것은 피부전체의 구조에 영향을 주어 피부에 주름이 생기고 피부탄력이 저하된다.
피부노화현상으로부터 피부 고유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주름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각종 천연물로부터 얻어진 물질들이 노화억제를 위하여 화장료에 사용되었으며, 특히 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 성분을 이용한 화장료의 연구개발이 다수 이루어졌다. 인삼은 피부에 있어 그 효능이 일찍이 입증되어 화장료 조성물에 널리 사용되어왔으며, 인삼의 뿌리 또는 잎의 추출물, 인삼 사포닌 (ginsenoside), 인삼 어글리콘 (aglycon) 및 인삼 다당체들이 사용되어졌다. 이러한 인삼을 이용한 화장품제조에 관한 공지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0-0083755호; '인삼 어글리콘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8-0019526호; '인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0052636호; '인삼다당체를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0-0014131호; '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0-0006008호; '4급 질소-치환된 인삼사포닌 에테르를 함유한 피부화장료'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삼추출물, 엑기스, 다당체 및 인삼 사포닌 등을 함유한 화장료들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활성물질이 극미량 함유되어 있어 주름개선에 사용되는 다른 원료들에 비해 그 효과가 확연히 뛰어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인삼에서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탐색하여, 특히 뛰어난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성분을 발견하였고, 이를 다량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탁월한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었던 인삼에 존재하는 여러 성분 중 피부 주름개선 효과에 핵심적인 성분을 찾아내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인삼의 주요 성분인 진세노사이드들 중 특히, 진세노사이드 Rg3가 탁월한 섬유아세포의 타입 I 콜라겐 생성 및 파이브로넥틴 생성 촉진 효과를 통하여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핵심적인 활성성분임을 밝혀냈으며, 인삼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g3을 순수 분리하여 다량으로 화장료에 첨가하는 경우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극대화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파이브로넥틴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삼에서 분리한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삼은 오가피나무과 (Araliace)의 인삼속에 속하고, 다년생 반지음성 숙근초로서 초본식물이다. 한국, 중국, 일본 및 미국 등 세계 여러 곳에서 생산되며 동아시아에서는 동경 85-140도, 북위 22-49도, 북미주에서는 서경 70-97도, 북위 34-47도에서 주로 재배된다.
이와 같이 세계 각지에서 생산되는 인삼은 그 성분에 차이가 있으며 인삼의 여러 생리학적, 약리학적 효능을 나타내는데 가장 중요한 진세노사이드라고 하는 인삼 사포닌 (saponin)은 한국산 인삼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다. 진세노사이드은 지금까지 약 34종이 분리되었으며, 아글리콘에 결합되어 있는 당의 종류나 결합된 당류의 수 또는 결합 위치에 따라 약리 효능이 각각 다르다. 구조적 특징에 따라 디올계, 트리올계 및 올레안 (oleanane)계로 구분되며,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및 Rd 등의 디올형 진세노사이드는 다량 포함되어 있으나, 진세노사이드 Rg3은 미량만이 존재한다.
이밖에도 인삼 고유의 향기 성분인 파나센 (panacen), 폴리아세틸렌 화합물,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및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있다.
인삼은 예로부터 한방적으로 그 효능이 인정되어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었다. 인삼의 한방적 효능으로는 체력증진, 신진대사 개선, 스트레스 해소, 당뇨병 치료, 호흡기 질환 개선, 소화기관 개선 및 항암작용이 알려져 있고, 최근 연구에서 인삼은 항보체 활성, 항궤양작용, 면역증강, 항암작용 및 혈당 강하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피부와 관련된 효능으로는 소염작용 (Korean J. Dermatol. 18(1):39-42(1980), Korean J. Dermatol. 14(4):335-339(1976)), 과각화방지 (Korean J. Dermatol. 28(4):434-440(1990)), 여드름 예방 및 치료 (Korean J. Dermatol. 30(1):27-33(1992), Korean J. Dermatol. 28(4):434-440(1990)), 항산화 효과(Proceedings of the 2 nd international ginseng symposium 13-17(1978)), 탄력성 및 수화성 증가 (Fitoterapia 57(1):15-28(1986), Fitoterapia 57(4) 217-222(1986)), 상처치유 (Brit. J. Pharmacol. 125:255-262(1998), Arch. pharm. res. 25(1):71-76(2002)), 콜라겐 분해 억제 (Mol. Cells 9(5):476-483(1999)), 미백효과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27(2):45-56(2001))등이 연구 발표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진세노사이드 Rg3은 인삼에서 분리되나,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며, 상기 진세노사이드 Rg3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치환기의 부가 또는 치환 반응을 하여 얻어지는 유도체 중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및 파이브로넥틴 생성 촉진을 통하여)를 나타내는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계의 기술수준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명확하다.
본 발명의 하기 특정 제조예를 참조하여 진세노사이드 Rg3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삼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그 건조 중량의 1-10배의 저급알코올을 가한다. 일정온도에서 일정기간 추출하고 여과한 후,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한다. 프랩 엘시 (prep LC)를 이용하여 건조된 인삼 추출 파우더에서 진세노사이드 Rg3을 분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Rg3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5.0 중량%이다.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기대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상으로 사용하였을 때는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Rg3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1-0.1 중량%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파이브로넥틴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중복된 내용은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중복된 내용은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주름 개선"은 피부의 주름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깊이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주름 개선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은 인삼에 존재하는 다양한 진세노사이드 중 피부 주름개선 효과에 핵심적인 성분으로서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밝혀진 진세노사이드 Rg3을 화장료에 첨가하여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며, 특히 인삼에는 미량으로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g3을 순수 분리해 내어 다량 첨가함으로써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진세노사이드Rg3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생성 및 파이브로넥틴 생성 촉진 효과를 통하여 탁월한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안정성 또한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진세노사이드 Rg3 제조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한 주름개선 화장료에 함유되는 진세노사이드 Rg3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6년근 인삼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그 건조 중량의 1-10배의 70% 저급알코올을 가한다.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30.4 g을 얻었다. 건조된 인삼 추출 파우더에서 프랩 엘시 (Waters Co., Ltd. 미국, Delta prep 4000)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g3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Rg3을 HPLC (Waters Co., Ltd. 미국, Waters 2690 Separations Module, Waters 2487 Dual λ Absorbance Detector)로 정성분석한 결과 그 순도는 90% 이상이었다.
실험예 1: 콜라겐 생성 증가 효과
제조예 1의 진세노사이드 Rg3에 대하여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1의 진세노사이드 Rg3은 PBS 완충용액에 적당한 농도로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 (human normal fibroblast)를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 (Sigma Co., Ltd. 미국)가 들어 있는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 (1x105 세포/웰), 5% 농도(CO2)의 CO2 배양기에서 37℃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는 병원에서 신생아의 포경 수술 후 채취한 피부조직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1의 진세노사이드 Rg3의 최종 농도가 0-50 ㎍/㎖ 되도록, 혈청이 들어있지 않은 DMEM 배지를 만들고, 상기 섬유아세포 배양 배지를 이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 동안 섬유아세포를 배양한 후, 각각의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타카라사 (Takara Shuzo Co., Ltd. 일본국)의 콜라겐 단백질 측정키트를 사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양액에서 생성된 프로콜라겐 타입 I C-펩타이드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콜라겐 생성 촉진 정도를 확인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겐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채취된 세포배양액을 넣고 37℃에서 3시간동안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웰 내의 세포배양액을 제거하고 PBS 완충용액으로 4회 세척하였다. 각 웰에 발색유발물질을 넣고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1 N 황산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분광광도계로 파장 45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흡광도를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각 시료가 첨가된 세포배양액의 콜라겐 생성량을 산출하였다.
콜라겐 합성 촉진율은 하기의 수식으로 구하였다:
콜라겐 합성 촉진율(%) = [(A ×100) / B] - 100
상기의 수학식에서 A는 시료 첨가 배양액의 콜라겐 생성량이며, B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의 콜라겐 생성량이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진세노사이드 Rg3 (㎍/㎖) 타입 I 콜라겐 (ng/㎖)
24시간 48시간 72시간
0 118 196 245
10 122 378 514
20 210 480 484
30 152 405 516
상기 실험결과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g3은 섬유아세포의 타입 I 콜라겐 생성을 증가시켰고, 30 ㎍/㎖에서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실험예 2. 파이브로넥틴 생성 증가 효과
제조예 1의 진세노사이드 Rg3에 대하여 파이브로넥틴 (fibronectin)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1의 진세노사이드 Rg3은 PBS 완충용액에 적당한 농도로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 (human normal fibroblast)를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 (1x105 세포/웰), 5% 농도(CO2)의 CO2 배양기에서 37℃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는 병원에서 신생아의 포경 수술 후 채취한 피부조직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1의 Rg3의 최종 농도가 0-50 ㎍/㎖ 되도록, 혈청이 들어있지 않은 DMEM 배지를 만들고, 상기 섬유아세포 배양 배지를 이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 동안 섬유아세포를 배양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타카라사 (Takara Shuzo Co., Ltd. 일본국)의 파이브로넥틴 단백질 측정키트를 사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양액에서 생성된 파이브로넥틴의 양을 측정하였다. 먼저 파이브로넥틴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채취된 세포배양액을 넣고 37℃에서 1시간동안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웰 내의 세포배양액을 제거하고 PBS 완충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각 웰에 발색효소가 결합된 2차 항체를 첨가하여 1시간동안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각 웰에 발색유발물질을 넣고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1 N 황산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분광광도계로 파장 450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흡광도를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각 시료가 첨가된 세포배양액의 파이브로넥틴 생성량을 산출하였다.
파이브로넥틴 합성 촉진율은 하기의 수식으로 구하였다:
파이브로넥틴 생성 촉진율(%) = [(A ×100) / B] - 100
상기의 수학식에서 A는 시료 첨가 배양액의 파이브로넥틴 생성량이며, B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의 파이브로넥틴 생성량이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다.
진세노사이드 Rg3 (㎍/㎖) 파이브로넥틴 (ng/㎖)
24시간 48시간 72시간
0 259 736 852
10 658 1076 1303
20 782 1170 1336
30 788 1133 1252
상기 실험결과에서와 같이 Rg3은 섬유아세포의 파이브로넥틴 생성을 증가시켰고, 20 ㎍/㎖에서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상기 실험예들을 근거로 타입 I 콜라겐 및 파이브로넥틴 생성 증가 효과가 있는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가용화제형과 유화제형의 화장료 조성을 제시한다. 아래와 같은 제형예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스킨로션)
하기의 표 3과 같이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g3 1.0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PEG 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옥틱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2
0.02
유니사이드-유 13 0.01
그린 #13 0.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수렴화장수
하기의 표 4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수렴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g3 1.0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란토인 0.2
DL-판테놀 0.2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15.0
폴리솔베이트 20 0.3
위치하겔 추출물 2.0
구연산 미량
0.02
유니사이드-유 13 0.01
그린 #13 0.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화장수
하기의 표 5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g3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콜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0.01
유니사이드-유 13 0.02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크림
하기의 표 6과 같이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g3 2.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0.01
유니사이드-유13 0.02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맛사지 크림
하기의 표 7과 같이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Rg3 1.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0.01
유니사이드-유13 0.02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에센스
하기의 표 8과 같이 진세노사이드 Rg3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Rg3 1.0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0.02
유니사이드-유 13 0.01
그린 #3 0.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하기의 표 9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g3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진세노사이드 Rg3 1.0
폴리비닐알콜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시이크데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미량
유니사이드-유13 0.02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실험예 3. 주름개선효과 측정
본 발명의 주름개선 효과를 인체 피부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주름이 생성되기 시작하거나 이미 생성된 30-50세의 여성 24명을 대상으로, 상기 표 4에서 제형한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한 크림 (실시예) 및 진세노사이드 Rg3을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 (비교예)을 각각 안면 우측 및 좌측에 매일 아침 및 저녁으로 2회, 0.2 g씩 12주 동안 도포하였다. 다음의 육안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10단계로 주름의 등급을 나누고, 안면 중 좌측 및 우측 눈꼬리 부위의 주름에 상기 등급을 매겨 피부 주름 상태를 측정하였다.
* 육안 평가 기준
0 : 피부에 주름이 없으며 피부결이 섬세하다.
1: 피부에 잔주름이 보이기 시작한다.
2 : 피부에 잔주름이 약간 생성되었다.
3 : 잔주름이 많고 얕은 주름으로 진행하고 있다.
4 : 얕은 주름이 약간 생성되었다.
5 : 얕은 주름이 선명해졌으나 깊은 주름은 없다.
6 : 얕은 주름이 깊은 주름으로 진행하고 있다.
7 : 깊은 주름이 약간 생성되었다.
8 : 주름이 깊고 많다.
9 : 주름이 매우 깊고 많다.
제품 사용전과 제품 사용 후 4주차, 8주차 및 12주차 시점에서 주름의 육안 평가 기준에 따라 피부 주름 상태를 수치화 하였으며 눈가 주름의 점수는 표 10에 나타나 있다.
피험자 번호 사용전 4주 사용 후 8주 사용 후 12주 사용 후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1 7.5 7.5 7.5 7.5 7.5 7.5 7.5 7.5
2 9 9 9 9 9 9 8.5 8
3 7 6 7 6 7 6 6 5
4 2.5 2.5 2.5 2.5 2.5 2 .5 2.5 2.5
5 5 5 5 5 5 5 5 5
6 5 5 5 4 5 4 5 4
7 8 8 8 8 8 7 8 7
8 7.5 7.5 7.5 7.5 7.5 7.5 7.5 7.5
9 6 6 6 6 6 5 6 5
10 1.5 1.5 1.5 1.5 1.5 1.5 1.5 1.5
11 5 5 5 5 5 5 5 5
12 6.5 6.5 6.5 6.5 5.5 5.5 5.5 5.5
13 8.5 8.5 8.5 8.5 7.5 7.5 7.5 7.5
14 4 4 4 4 4 4 4 4
15 2 2 2 2 2 2 2 2
16 2 2 2 2 2 2 2 2
17 7 7 7 7 7 7 6.5 6
18 6 6 6 6 6 6 5 5
19 5 5 5 5 5 5 5 5
20 4 4 4 4 4 4 4 4
21 6 6 6 6 6 5 6 5
22 5.5 5.5 5.5 5.5 5.5 4.5 5.5 4.5
23 7 7 6 6 6 6 6 6
24 7.5 7.5 7.5 7.5 7.5 6.5 7.5 6.5
육안평가 점수에 대해 4주 후, 8주 후 및 12주 후 시점에서 크림 사용전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의 존재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SPSS 패키지 프로그램의 쌍체 t-검정 (paired t-test) 방법을 이용하여 p-값 (p-value)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나 있다 (유효편차 p < 0.05).
구 분 p-값
비교예 4 주 0.328
8 주 0.083
12 주 0.007*
실시예 4 주 0.162
8 주 0.001*
12 주 0.000*
* : 사용전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음 ; p < 0.05인 경우.
비교예의 크림 사용전 및 각 시점별의 육안 평가 점수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4주 사용 후 및 8주 사용 후에는 사용전과 비교했을 때 양자간에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은 아니었고 12주 사용 후에서야 사용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시예에서는 사용 4주 후에서는 사용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주 사용 후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에 의하면 비교예에 비하여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한 실시예에서는 우수한 주름개선효과를 나타냈다.
실험예 4. 제형의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의 안정성 시험을 위하여, 상기 표 4에서 제형한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한 크림 (실시예) 및 진세노사이드 Rg3을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 (비교예)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 및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후, 분리 정도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제형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제형의 변색 평가 기준
0 :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 (변색)
2: 조금 분리 (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 (변색)
4: 심하게 분리 (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 (변색)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2에 나타나 있다.
온도 제형의 변색 정도
실험예 비교예
45℃ 0 0
4℃ 0 0
상기 표 12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변색 및 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제형의 안정성에는 이상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듯이,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파이브로넥틴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성 및 파이브로넥틴 생성을 촉진하여 탁월한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은 인삼에 미량 존재하는 피부 주름개선에 핵심적인 활성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3을 순수 분리하여 화장료에 다량 첨가함으로써,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하며, 종래의 인삼 및 홍삼의 추출물, 엑기스, 인삼사포닌, 인삼다당류 등을 첨가한 화장료에 비하여 탁월한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Claims (6)

  1.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2.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파이브로넥틴 생성 촉진용 조성물.
  3. 진세노사이드 Rg3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g3은 콜라겐 및 파이브로넥틴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g3의 함량이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0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73817A 2003-10-22 2003-10-22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38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817A KR20050038463A (ko) 2003-10-22 2003-10-22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817A KR20050038463A (ko) 2003-10-22 2003-10-22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463A true KR20050038463A (ko) 2005-04-27

Family

ID=3724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817A KR20050038463A (ko) 2003-10-22 2003-10-22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84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506A (ko) * 2004-09-03 2006-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진세노사이드 Rg3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08147148A1 (en) * 2007-05-31 2008-12-04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ginseng fruit extracts
KR20140126892A (ko) * 2013-04-24 2014-11-03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506A (ko) * 2004-09-03 2006-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진세노사이드 Rg3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08147148A1 (en) * 2007-05-31 2008-12-04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ginseng fruit extracts
US8877264B2 (en) 2007-05-31 2014-11-04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s
KR20140126892A (ko) * 2013-04-24 2014-11-03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5283189A (zh) * 2013-04-24 2016-01-27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人参皂苷rg3的皮肤外用剂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080057419A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1425708B1 (ko) 해삼 유래 사포닌 함유 화장료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한 화장료조성물
KR101453610B1 (ko) 제니포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1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1898250B1 (ko) 감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5572B1 (ko)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13902B1 (ko) 장뇌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7081B1 (ko)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0380A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079A (ko) 야생 참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20050038463A (ko) 진세노사이드 Rg3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4284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10087363A (ko)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025A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100467501B1 (ko) 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772336B1 (ko) 율피, 가자추출물을 안정화한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928125B1 (ko) 메타세콰이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080046793A (ko) 용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0987B1 (ko)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