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987B1 -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987B1
KR102570987B1 KR1020200109364A KR20200109364A KR102570987B1 KR 102570987 B1 KR102570987 B1 KR 102570987B1 KR 1020200109364 A KR1020200109364 A KR 1020200109364A KR 20200109364 A KR20200109364 A KR 20200109364A KR 102570987 B1 KR102570987 B1 KR 102570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effect
island
na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182A (ko
Inventor
이소영
안영제
김길남
진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10027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7Lilium, e.g. tiger lily or Easter l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5Liquid-liquid separation; Phase s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섬나리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고 멜라닌 총량을 감소시켜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주름을 개선과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며, 당화를 억제하는 항당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히알루론산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거칠기 개선을 통한 피부결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자극 완화 및 따가움, 간지러움, 열감 등에 대한 진정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화장료, 의약 또는 식품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Lilium hansonii}
본 발명은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일반적인 소망이다. 피부의 색깔 또는 밝기는 사람의 피부 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 피로 또는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촉매로 작용하여 도파(DOPA) 및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순차적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져 있으나,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에서 티로시나아제가 촉발되는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알려진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Kojic acid) 또는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 C(L-Ascorbic acid)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이 있다. 이들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피부 적용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중요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 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발전되면서 피부에서의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레티노산(retino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비특허문헌 1],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특허문헌 1], 베튤린산(betulinic acid)[특허문헌 2], 클로렐라 추출물[특허문헌 3, 4] 등이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유효성분들은 피부 적용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당화(Glycation)는 일반적으로 효소의 관여 없이 일어나는 단백질 또는 지방에 포도당 또는 과당과 같은 단순당이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을 의미한다. 최종 당화산물의 축적은 단백질을 단단하고 더욱 부서지기 쉬운 상태로 변화시키며, 당화된 콜라겐은 진피층의 세포 외 기질에서 콜라겐이 적절한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잃게 하고 주름 생성을 촉진한다[비특허문헌 2]. 또한 당화로 인해 생성된 최종 당화산물은 갈색 빛을 띠는 물질로써,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서 점차 얼굴 빛이 노랗게 변하는 원인 물질로 생각되고 있으며, 특정 최종 당화산물이 쌓일수록 피부에서 반사되는 반사 빛이 줄어든다고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3]. 당화를 억제하는 물질로 아미노구아니딘(Aminoguanidine), 피리독사민(Pyridoxamine), 아스피린(Aspirin)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물질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표피 안쪽에 존재하는 진피는 피부 노화의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피부 미용 면에서도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진피의 구조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 섬유에는 사이토케라틴(cytokeratin), 인테그린(integrin), 라미닌(laminin) 및 콜라겐(collagen) 등이 있다. 이러한 섬유성 구성 섬유는 원천적으로 진피의 골격을 구성하며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중 사이토케라틴, 인테그린 및 라미닌은 표피와 진피가 연결되는 진피 표피 연접부 부분에 존재하며 표피와 진피의 결합의 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콜라겐은 진피 내부에 전반적으로 존재하며 피부 전체의 구조 유지와 탄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콜라겐의 경우에는 정상적인 구조가 만들어지지 않을 경우 강도나 탄력적인 면에서 정상 타입에 비해 현저히 약해져 진피의 구조 유지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피부결 개선을 위해 각각의 구성 섬유들의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구성 섬유들의 합성량의 증가 만이 확인될 뿐 실질적인 피부결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피부 자극성이 없이 피부결 개선 효과가 있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및/또는 피부결 개선 효과가 있는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활성을 지닌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개 평8-231370호 일본 특개 평8-208424호 일본 특개 평9-40523호 일본 특개 평10-36283호
Cardinale G. et al, Adv. Enzymol., 41, p. 425, 1974 Dyer, D. G. et al,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9, p. 2463, 1993 Hiroshi, O. et al, Skin Research and Technology, 15, p. 496, 2009
본 발명의 목적은 섬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섬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섬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섬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그 밖의 목적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섬나리 추출물이 멜라닌 총량을 감소시켜 미백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며,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주름을 개선하고, 탄력을 증진시키며,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내고, 당화를 억제하는 항당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히알루론산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거칠기 개선을 통한 피부결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섬나리 추출물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및 피부결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섬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섬나리(Lilium hansonii)"는 섬말나리 또는 성인봉나리라고도 불리며, 백합목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국내에서는 울릉도 및 동북부 지역에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나리는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재배한 것을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나리 추출물은 섬나리의 모든 부위를 사용할 수 있고, 추출 부위에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다. 상기 섬나리 추출물의 제조는 상기 식물체의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식물체는 건조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친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의 섬나리는 섬나리의 전초, 섬나리의 뿌리, 섬나리의 줄기, 섬나리의 잎 및 섬나리의 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섬나리의 전초, 뿌리 또는 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섬나리 추출물은, 섬나리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용매 추출법,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의 건조는 채취한 식물로부터 유용한 성분들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지에서 자연 건조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파쇄는 이후 추출 과정에서 식물의 유용한 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될 수 있을 정도로 파쇄하면 족하며, 이를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건조와 파쇄 공정은 필요에 따라 순서를 뒤바꿔서 진행하거나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섬나리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라이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2종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용매 간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섬나리를 추출하는 용매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물, 디클로로메탄, 부탄올, 헥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섬나리 추출물은 감압 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건조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추출 용매로 물과 에탄올이 혼합된 용매를 사용하여 섬나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은 상기 섬나리 건조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배 중량,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0배에 달하는 중량의 용매를 이용하여, 10 내지 80℃,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50℃의 추출 온도에서 2시간 내지 30일, 구체적으로는 12시간 내지 18일의 추출 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 및 파쇄물을 포함하여 1회 내지 5회 연속 추출하여 액상의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여과지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 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조추출물은 감압여과 등의 방법으로 식물의 건조 파쇄물과 분리된 후 농축 또는 건조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의 조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에서 감압 농축한 농축액일 수 있고, 상기 액상의 추출물을 건조하여 분말화된 추출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렇게 농축 또는 분말화된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물, 알코올, DMSO (dimethyl sulfoxide)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섬나리 추출물의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섬나리를 추출하여 얻은 섬나리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데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부탄올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미백 효과'라 함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름 개선 효과'라 함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력 증진 효과'라 함은, 피부에 대한 탄력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피부 탄력의 손실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감소된 탄력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진정 효과'라 함은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증상을 완화 또는 개선시키는 것으로,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 증상 또는 이로 인한 피부 트러블을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는 효과를 말한다. 상기 피부 자극은 외부 자극에 의해 피부에 홍반, 간지러움, 따가움 또는 열감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피부 광민감성 또는 알러지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진정 효과는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 증상 또는 이로 인한 피부 트러블을 완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당화 효과'라 함은, 세포에 존재하는 포도당과 단백질이 반응하여 신체 내 단백질 기능이 저하되는 당화(glycation) 현상을 예방하거나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생체 내 당화는 피부 및 조직 내 단백질의 아미노기와 환원당의 비효소 반응으로 초기 당화산물인 시프 염기(schiff-base)를 형성하고 재배열되어 보다 안정한 아마도리산물(amadori product)을 이룬다. 그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마도리 산물이 활성산소에 노출되면 절단, 교차 결합, 응집, 카보닐기 형성과 같은 여러 단계를 거쳐서 최종 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을 형성한다. 형성된 최종 당화산물-단백질 결합은 매우 안정하며 비가역적 반응이기 때문에,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투명하지 않고 탄력을 잃은 피부를 만들게 된다. 나아가, 최종 당화산물이 계속해서 쌓이게 되면 각종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최종 당화산물의 축적에 의해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게 되면, 당화 진행에 의해 피부가 맑지 못하고 노랗게 보이는 현상, 피부가 뻣뻣해지고 부드럽지 못하는 현상, 최종 당화산물의 침착에 따라 부분적으로 얼룩지는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에서의 항당화 효과는 당화 진행 및 최종 당화산물의 축적에 따른 피부 트러블 억제 또는 예방, 피부톤 개선, 및 피부결 개선 효과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보습 효과'라 함은, 피부의 수분이 감소되는 것을 저해 또는 억제하거나 피부의 수분 함유량을 증가시켜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며, 윤기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결 개선 효과'라 함은, 노화, 스트레스 등의 영향으로 피부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함으로써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광택을 부여하며, 피부 톤을 밝게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섬나리 추출물의 상기와 같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 활성을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유화 제형 또는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또는 바디 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또는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시 등과 같은 세정제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섬나리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천연 첨가제 또는 합성 첨가제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첨가제는 유기농 원료, 식물 및 식물 유래 원료, 동물 및 동물 유래 원료, 미네랄 및 미네랄 유래 원료 및 물 등의 성분을 의미한다. 일 예로, 보습제, 자외선 차단제, 중화제, 향료, 방부제, 산화방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피막 형성제 및 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 첨가제는 천연물 또는 자연물로부터 수득되거나 천연물 또는 자연물 유래의 성분을 간단히 개질시키거나, 자연 유래의 성분 중 합성된 성분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자연 유래의 성분이 아닌 인공적인 방법으로 합성된 합성 성분을 배제하는 의미이다.
상기 천연 원료는 일 예로, 국가에서 정하는 유기농 기준 및 친환경 인증 등급 또는 이에 준할 수 있는 천연 유래 등급의 화장품 원료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친환경 인증 기준이라 함은 합성 공정을 배제하고 친환경적으로 재배 및 가공된 성분들로 구성된 조성물로서 대표적인 친환경 인증으로는 프랑스 에코서트(ecocert), 유럽의 코스모스(Cosmos), 미국의 USDA(US Department of Agreculture), 독일의 BDIH(Association of German Industries and Trading Firms) 및 일본의 JAS(Japanese Association of Standard) 등이 있으며, 최근의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여 각국에서는 성분 또는 제품에 대하여 안전성을 인증하는 친환경 인증 제도를 다양하게 전개하고 있다. 각 국마다 세부적인 수치 및 범위 등 부분적으로 상이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원료 및 성분의 1차적인 구성물에 대해서는 큰 틀에서는 친환경 인증의 범주에 대해서 글로벌적으로 통일성을 보여주고 있다. 자연에서 유래한 천연 성분에 대해서는 친환경 유기농 성분 범주에 포함되며, 그 외의 반가공된 성분류에 대해서는 PPAI(Physically Processed Agro Ingredient) 및 CPAI(Chemically Processed Agro Ingredient)로 구분하여 이들 규격에 부합되는 원료에 대해서만 에코서트, 코스모스 또는 USDA 등의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국가에서 정하는 유기농 및 친환경 인증 원료 및 성분이라 함은 국가에서 정하는 유기농 기준 및 친환경 인증 기준에 준하는 또는 준할 수 있는 성분으로만 구성되어 국가에서 정하는 유기농 및 친환경 등급을 충족할 수 있는 화장료 원료 및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합성 첨가제는 천연 유래가 아닌 화학적으로 합성 과정을 거친 원료를 의미한다.
상기 섬나리 추출물은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세정제와 같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또는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0.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섬나리 추출물이 피부 외용제로 사용되는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및 피부결 개선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및 피부결 개선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 알부틴 등과 같은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 비타민-C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안전성, 상기 섬나리 추출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완충액, 주사용 멸균수, 일반 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슈크로스, 히스티딘, 염 및 폴리솔베이트 등과 같은 여러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일반 약학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임상 투여시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피부를 희게 하거나, 주름을 개선시키거나, 탄력을 증대시키거나, 피부 자극을 진정시키거나 당화를 억제하거나, 피부에 보습을 부여하거나 또는 피부결을 개선할 수 있는 추출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유효량의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피부 미백 효과, 주름 개선 효과, 탄력 증대 효과, 피부 진정 효과, 항당화 효과,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결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섬나리 추출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이 약학 제형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일 투여량은 상기 섬나리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mg/kg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의약외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의약외품"은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의약외품은, 예를 들어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용연고, 로션 등과 같은 반고형 제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제형은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식품 제형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대, 피부 진정, 항당화, 피부 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섬나리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식품 제형이 음료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식품 제형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식품 제형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섬나리 추출물은 멜라닌 총량을 감소시키고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주름을 개선하며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자극 완화 및 따가움, 간지러움, 열감 등에 대한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내고, 당화를 억제하는 항당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히알루론산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거칠기 개선을 통한 피부결 개선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화장료, 의약 또는 식품 제조에 섬나리 추출물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섬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30대에서 50대 여성 11명에게 4주동안 1일 2회 얼굴 전체에 도포하게 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여 피부 개선 정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보호범위가 하기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섬나리 추출물의 제조
섬나리(Lilium hansonii)의 전초(실시예 1), 뿌리(실시예 2) 및 꽃(실시예 3)을 준비하여 각각의 질량의 10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한 후 감압 여과하였다. 여과한 추출물을 회전 증발기(rotary evaporator)(Buchi, Switzerland)로 농축, 건조하여 섬나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나리속 식물 추출물의 제조
Lilium candidum (비교예 1), Lilium Siberia (비교예 2) 및 Lilium martagon (비교예 3) 각각의 전초를 질량의 10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한 후 감압 여과하였다. 여과한 추출물을 회전 증발기(Buchi, Switzerland)로 농축, 건조하여 각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 확인
1) 콜라겐 총량 증가 효과
섬나리 추출물과 나리속 식물 추출물 3종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콜라겐 총량 증가 효과를 비교하였다.
증가된 콜라겐 총량의 측정은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실험 전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섬나리 추출물과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나리속 식물 추출물들의 농도(㎍/ml)를 달리하여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세포독성을 평가하였으며,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100 ㎍/ml)하여 콜라겐 총량의 증가 정도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인간 섬유아세포의 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1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키트로 각 농도에서의 콜라겐의 총량 증가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 것도 첨가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의 배양 배지(대조군)와 비타민 C를 최종 농도 52.8 ㎍/ml이 되도록 첨가한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총량의 증가 정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겐의 총량은 UV 흡광도로서 측정하였으며, 콜라겐 총량의 증가율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콜라겐 총량의 비율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시료 콜라겐 증가율(%)
대조군(무첨가) -
비타민C(52.8 ㎍/ml) 26
실시예 1(100 ㎍/ml) 32
실시예 2(100 ㎍/ml) 35
실시예 3(100 ㎍/ml) 34
비교예 1(100 ㎍/ml) 19
비교예 2(100 ㎍/ml) 11
비교예 3(100 ㎍/ml) 13
*콜라겐 총량 증가 효과 (반복수=3)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섬나리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콜라겐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우수하며, 시험 농도에서 콜라겐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 C 및 나리속 식물 추출물들보다 유사하거나 우수한 콜라겐 총량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2)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섬나리 추출물 또는 나리속 식물 추출물 3종에 대하여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인간 정상 피부 세포인 섬유아세포를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웰당 2.5×104 세포수가 되도록 접종하고, 10% 혈청 DMEM 배지 및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10% 혈청 DMEM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용액으로 1회 세척한 후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에서 섬유아세포를 30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섬유아세포를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30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시료 처리 30분 후 콜라게나아제인 MMP-1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10 ng/ml로 섬유아세포를 자극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TNF-α 무처리군과 처리군은 본 발명의 섬나리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 중 각각 TNF-α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과 TNF-α를 처리한 처리군으로 하였다.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MMP-1 분석 키트(Amersham, 미국)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MMP-1의 양(ng/㎖)을 측정하고,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MMP-1 생성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하기 수학식 1에서, 음성 대조군의 MMP-1의 양은 TNF-α 무처리군의 MMP-1양을 의미하고, 양성 대조군의 MMP-1의 양은 TNF-α 처리군의 MMP-1의 양을 의미하며, 실험군의 MMP-1의 양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이 각 농도로 첨가된 군을 말한다.
[수학식 1]
(X = 실험군 MMP-1의 양, Y = 양성 대조군 MMP-1의 양, Z = 음성 대조군 MMP-1의 양)
시료 저해율(%)
음성 대조군(TNF-α 무처리) -
양성 대조군(TNF-α 처리) -
실시예 1(100 ㎍/ml) 75.5
실시예 2(100 ㎍/ml) 80.4
실시예 3(100 ㎍/ml) 82.1
비교예 1(100 ㎍/ml) 44.3
비교예 2(100 ㎍/ml) 36.1
비교예 3(100 ㎍/ml) 26.0
*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반복수=3)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평가했을 때, 동일 농도에서 섬나리 추출물이 나리속 식물 추출물들에 비해 약 2 ~ 3배 수준으로 콜라게나아제인 MMP-1에 대한 우수한 저해 능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미백 효과 확인
1)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
티로시나아제 효소는 버섯류(Mushroom)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시그마(SIGMA)사에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티로신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0.3mg/ml의 용액으로 만들고 그 용액을 1.0ml씩 시험관에 넣은 다음, 여기에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용액(0.1mol 농도, pH 6.8) 1.0ml 및 증류수 0.7ml를 첨가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에탄올 용액에 최종 농도 100 ㎍/ml 농도로 각각 혼합하여 준비한 시료액 0.2ml를 반응액에 넣은 다음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에탄올 용액만을 0.2ml 넣은 것으로 준비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비타민C를 사용하였다. 이 반응액에 2500units/ml의 티로시나아제 용액 0.1ml씩을 넣고 다시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물 속에 넣어서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광전분광분석계로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는 하기 수학식 2로 산출하였다.
[수학식 2]
시료 티로시나아제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0
비타민C(52.8 ㎍/ml) 50
실시예 1(100 ㎍/ml) 59
실시예 2(100 ㎍/ml) 60
실시예 3(100 ㎍/ml) 58
비교예 1(100 ㎍/ml) 25
비교예 2(100 ㎍/ml) 34
비교예 3(100 ㎍/ml) 33
*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 (반복수=3)
표 3과 같이, 섬나리 추출물에 의한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1 내지 3은 100 ㎍/ml 농도에서 티로시나아제 저해제로 알려진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보다 저해 효과가 높아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2) 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를 각각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실험하였다.
각 추출물을 배양액에 최종농도가 100 ㎍/ml이 되도록 하여 실험하였으며, 대조군인 알부틴도 100 ㎍/ml가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여 각각 B-16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된 세포들을 트립신(trypsin) 처리하여 배양 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떼어낸 세포는 수산화 나트륨 용액(1N) 1 ml를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멜라닌 양은 단위 세포수당(106 cell)의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총량에 대한 저해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표 4에 정리하였다.
시료 멜라닌 총량(Abs)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0.254 -
알부틴(100 ㎍/ml) 0.126 50.4
실시예 1(100 ㎍/ml) 0.113 55.5
실시예 2(100 ㎍/ml) 0.112 55.9
실시예 3(100 ㎍/ml) 0.125 50.8
비교예 1(100 ㎍/ml) 0.199 21.7
비교예 2(100 ㎍/ml) 0.177 30.3
비교예 3(100 ㎍/ml) 0.217 14.6
* 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 (반복수=3)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섬나리 추출물에 대한 모든 실시예에서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실시예 1 내지 3은 미백 효과가 알려진 알부틴과 비교했을 때 동일 농도에서도 멜라닌 저해 효과가 더 뛰어나며, 비교예인 나리속 식물 추출물과 비교했을 때에도 2배 이상의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피부 보습 효과 확인 -1
1) 히알루론산 합성 증진 효과 확인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10% 우혈청(fetal bovine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1×105 cells/mL로 배양하고 24-웰 플레이트에 500 ㎕씩 분주하여 18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우혈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DMEM 배지에 시료를 희석하고 각 시료를 하기 농도별로 첨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한다고 알려진 표피성장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를 10 ppb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여 Hyaluronan ELISA 키트(R&D Systems)를 이용하여 히알루론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무첨가 대조군의 히알루론산 농도를 기준(100%)으로 각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의 히알루론산 농도를 수치화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히알루론산(%)
무첨가(대조군) 100
EGF 10ng/ml(10 ppb)(양성 대조군) 150.9
실시예 1(100 ㎍/ml) 170.3
실시예 2(100 ㎍/ml) 190.8
실시예 3(100 ㎍/ml) 160.5
비교예 1(100 ㎍/ml) 108.9
비교예 2(100 ㎍/ml) 116.7
비교예 3(100 ㎍/ml) 114.2
* 히알루론산 합성 증진 효과 (반복수=3)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섬나리 추출물에 대한 모든 실시예에서 히알루론산 합성이 증가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3은 양성 대조군보다 높은 농도면서도 양성 대조군에 비해 더 우수한 효능을 나타냈으며, 다른 나리속 식물 추출물인 비교예에 비해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섬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섬나리 추출물의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6의 조성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부) A B C D
섬나리 추출물 2
(실시예1)
2
(실시예2)
2
(실시예3)
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에탄올 10 10 10 10
헥산디올 2 2 2 2
글리세린 1 1 1 1
PEG-150 1 1 1 1
디프로필렌글리콜 1 1 1 1
글리세레스-26 1 1 1 1
소듐히알루로네이트 4 4 4 4
PEG-8 4 4 4 4
소듐시트레이트 1 1 1 1
시트릭애시드 0.5 0.5 0.5 0.5
향료 0.5 0.5 0.5 0.5
총합 100 100 100 100
<실험예 4> 피부 보습 효과 확인 -2
1) 에센스 사용 전후의 피부 수분량 변화
피부 보습 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에센스로 피부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대상으로는 30~40세 여성 20명을 선정하였고, 랜덤하게 5명씩 선정하여 각각 A 내지 D의 에센스를 얼굴 전체에 사용하게 한 후 2주 후 피부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안면을 비누로 씻게 한 후, 항온항습 조건(온도 20±2℃, 상대습도 40±2%)에 피부를 적응시켰다. 코네오미터(Corneometer, CM825)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 전기용량을 3회 반복 측정하였다. 그 평균 결과를 표 7에 표시하였다.
2주 후 수분함유량 변화율(%)
A 23
B 30
C 28
D 7
* 피부 수분함유량 변화
상기 표 7과 같이 섬나리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A 내지 C)를 2주간 사용했을 때, 피부 표면의 수분함유량이 대조군(D)에 비해 월등히 높음을 확인하여 섬나리 추출물이 뛰어난 보습 효과를 지님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피부결 개선 효과 확인
1) 인체 피부에 대한 피부결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에센스의 피부결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30대에서 50대 여성 40명을 모집한 후, 랜덤하게 10명씩 선정하여 각각 A 내지 D의 에센스를 얼굴 전체에 4주간 1일 2회 도포하도록 하였다. 사용 4주 후 피부 거칠기 개선 정도에 따라 점수를 1 내지 10까지 부여하고 피부결 개선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때, 1점에 가까울수록 피부결 개선 효과가 없는 것이고, 10점에 가까울수록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각각에 대한 평균 점수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피부결 개선 효과(10점 만점)
A 7.8
B 8.0
C 8.2
D 6.5
상기 표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섬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사용하는 경우(A~C), 섬나리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경우(D)보다 피부결 개선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다.
2) 피부 개선도 설문 평가
상기 제조예 1의 A 에센스의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설문 평가를 실시하였다. 30대에서 50대 여성 11명에게 A를 4주동안 1일 2회 얼굴 전체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사용 4주 후 설문지를 작성하여 피부 개선 정도를 평가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라고 응답한 피험자 비율을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섬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조예 1의 A 에센스를 사용한 사용자 70% 이상이 우수한 피부결 개선 효과를 느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항당화 효과 확인
항당화(anti-glycation)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L-아르기닌(L-arginine)과 포도당을 이용하여 당화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1M 인산 완충용액(pH 7.4)을 이용하여 1M L-아르기닌(arginine), 1M 포도당을 녹여 준비하고 1M 인산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시료의 농도가 100 ㎍/ml이 되도록 희석해서 준비하였다. 1M L-아르기닌과 1M 인산 완충용액을 1 대 4의 비율로 섞은 다음 96-웰 플레이트에 80 ㎕씩 분주하였다. 여기에 각각 100 ㎍/ml으로 희석한 시료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될 0.01M 아미노구아니딘(aminoguanidin)을 100 ㎕씩 첨가하였다. 이 시료들을 잘 섞어준 다음, 마지막으로 포도당의 최종 농도가 0.1M이 되도록 1M 인산 완충용액으로 희석한 포도당을 넣은 후, 7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96-웰 플레이트를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당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3의 Glycation 실험군은 1M L-아르기닌과 1M 포도당을 넣어 당화를 유발시킨 실험군이며, 시료 자체의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포도당을 넣지 않고 1M L-아르기닌과 시료만을 넣어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당화 저해 활성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3으로 구할 수 있다. 실험은 각각 3회씩 수행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3]
시료 당화 저해율(%)
대조군 (DMSO, 50 ㎍/ml) -
양성대조군 (Aminoguanidine, 55 ㎍/ml) 54.89
실시예 1(50 ㎍/ml) 48.24
실시예 2(50 ㎍/ml) 40.55
실시예 3(50 ㎍/ml) 50.18
비교예 1(50 ㎍/ml) 21.35
비교예 2(50 ㎍/ml) 11.83
비교예 3(50 ㎍/ml) 17.22
* 당화 저해 효과 (반복수=3)
상기 표 9의 결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섬나리 추출물에 대한 모든 실시예에서 항당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항당화 물질로 알려진 아미노구아니딘과 비교했을 때 아미노구아니딘과 유사한 수준의 항당화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섬나리 추출물의 우수한 항당화 효과에 의해 최종당화산물에 의한 피부 트러블이 개선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실험예 7> 피부 진정 효과 확인
1) 자극 완화 효과 확인
섬나리 추출물의 자극 완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극 관련 물질인 PGE2 (Prostaglandin E2)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프로스타글란딘E2(PGE2)를 측정하기 위해,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 Mouse macrophage cell line(KCLB no 40071, Korean Cell Line Bank, Seoul, Korea)를 구입하여, 2.5ⅹ106 cells/㎖의 세포 접종 농도로 96-well microplate에 100 ㎕씩 분주하였다. 배지는 10% FBS(GibcoBRL, Grand Island, NY, USA) 및 1% penicillin/streptomycin(Thermo Scientific Hyclone, Waltham, MA, USA)을 첨가한 DMEM(GibcoBRL, Grand Island, NY, USA) 배지를 사용하였고, 5% CO2, 37℃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RAW 264.7 세포를 분주한 세포 배양액에 LPS(Lipopolysaccharide)(Sigma, St. Louis, MO, US)를 1㎍/ml를 처리하여 자극을 유도하고,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를 24시간 배양하였고, 900 rpm, 4℃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여 배양액 중 생산된 프로스타글란딘E2(PGE2)의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프로스타글란딘E2(PGE2)는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PGE2 ELISA 키트(MyBioSource Co., Ltd., 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료 PGE2 생성량 (pg/mL) PGE2 억제율(%)
무처리 323 -
실시예 1(50 ㎍/ml) 165 48.9
실시예 2(50 ㎍/ml) 157 51.4
실시예 3(50 ㎍/ml) 161 50.2
비교예 1(50 ㎍/ml) 205 36.5
비교예 2(50 ㎍/ml) 211 34.7
비교예 3(50 ㎍/ml) 228 29.4
* 피부 자극 완화 효과 (반복수=3)
그 결과, 섬나리 추출물에 대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모두 PGE2 생성량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상기 PGE2 생성 억제 효과를 통해 섬나리 추출물이 피부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 따가움, 간지러움 및 열감 진정 효과 확인
섬나리 추출물의 피부 진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극을 유발한 후 따가움, 간지러움, 열감이 진정되는지를 평가하였다.
우선, 건강한 성인 남자 15명 및 성인 여자 15명의 팔 부위에 0.2% 소듐라우레스설페이드(SLES) 수용액이 첩포된 챔버를 부착하고 8시간이 지난 후 핀 챔버를 제거하여 평가자가 느끼는 따가움, 간지러움 및 열감을 다음 표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 표 11과 같다.
<피부 진정 효과 평가 기준>
점수 기준
1 아무런 증상이 없음
2 증상이 아주 조금 느껴짐
3 증상이 분명하게 느껴짐
4 증상이 강하게 느껴짐
5 증상이 강하여 통증으로 느껴짐
그 다음, 랜덤하게 선정된 앞서 제조한 A 내지 D의 에센스를 하루에 1번 (오전 9시), 3일동안 SLES가 도포되었던 피부 부위에 바르게 한 후 느껴지는 따가움, 간지러움, 열감을 평가하게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 항목: 따가움
0일차 1일차 2일차 3일차
A 4.2 2.0 1.4 1.2
B 2.0 1.8 1.6
C 2.0 1.6 1.6
D 3.6 3.6 3.0
평가 항목: 간지러움
0일차 1일차 2일차 3일차
A 4.6 2.2 1.6 1.2
B 2.0 1.4 1.4
C 2.0 1.8 1.6
D 4.0 3.8 3.6
평가 항목: 열감
0일차 1일차 2일차 3일차
A 3.0 1.2 1.0 1.0
B 1.6 1.4 1.0
C 1.4 1.4 1.2
D 2.8 2.4 2.0
상기 표 12 내지 14에서 볼 수 있듯이, 섬나리 추출물이 포함된 A 내지 C 에센스의 사용 후 따가움, 간지러움 및 열감을 느끼는 정도가 매우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반해 섬나리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D 에센스의 경우 0일차와 3일차의 차이가 매우 미미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섬나리(Lilium hansonii)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섬나리(Lilium hansonii) 추출물은 섬나리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섬나리 분획물은 섬나리 추출물의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극성용매;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분획물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섬나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섬나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과색소 침착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섬나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피부외용제.
  8. 섬나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보습 또는 피부결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109364A 2019-08-30 2020-08-28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70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147 2019-08-30
KR20190107147 2019-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182A KR20210027182A (ko) 2021-03-10
KR102570987B1 true KR102570987B1 (ko) 2023-08-28

Family

ID=7468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364A KR102570987B1 (ko) 2019-08-30 2020-08-28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96498A1 (ko)
JP (1) JP2022545730A (ko)
KR (1) KR102570987B1 (ko)
CN (1) CN114258298B (ko)
WO (1) WO20210404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8563A (zh) * 2024-01-09 2024-04-09 杭州悦萱堂化妆品有限公司 一种抗糖复合物及抗糖化妆剂组合物及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5564A (ja) * 2010-04-01 2011-11-10 Kyoei Kagaku Kogyo Kk 化粧料
KR101972080B1 (ko) * 2017-11-06 2019-08-23 대한민국 섬말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9769A (en) 1994-12-20 1996-06-25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betulinic acid
JPH08231370A (ja) 1995-02-23 1996-09-10 Taiyo Kagaku Co Ltd 皮膚化粧料
JPH0940523A (ja) 1995-07-28 1997-02-10 Ichimaru Pharcos Co Ltd クロレラ水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物質
JP3966922B2 (ja) 1996-07-18 2007-08-29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US9492492B2 (en) * 2010-12-17 2016-11-15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Lilium martagon extracts and uses thereof
EP2508072A2 (en) * 2011-03-10 2012-10-10 Bayer CropScience AG Use of dithiine-tetracarboximides for controlling phytopathogenic fungi on (flower) bulbs
EP2789369B1 (en) * 2013-04-14 2018-06-06 Symrise AG A composition for lightening skin and hair
CN106389141A (zh) * 2015-07-17 2017-02-15 株式会社Lg生活健康 用于改善皮肤的组合物
CN105232390A (zh) * 2015-10-30 2016-01-13 苏州靓因子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快速美白功效的靓肤型美容组合物及其应用
KR101881668B1 (ko) * 2016-12-05 2018-07-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말나리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8977559A (zh) * 2017-05-31 2018-12-11 株式会社津村 用于鉴别生药的引物组以及使用该引物组的生药鉴别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5564A (ja) * 2010-04-01 2011-11-10 Kyoei Kagaku Kogyo Kk 化粧料
KR101972080B1 (ko) * 2017-11-06 2019-08-23 대한민국 섬말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258298B (zh) 2024-04-19
CN114258298A (zh) 2022-03-29
WO2021040470A1 (ko) 2021-03-04
US20220296498A1 (en) 2022-09-22
JP2022545730A (ja) 2022-10-28
KR20210027182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443B1 (ko) 금화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7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22622B1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040043192A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KR20220073062A (ko)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570987B1 (ko) 섬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03518A (ko) 콜라겐 합성 촉진 및 피부 보습 강화용 조성물
KR10257337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52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5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6429A (ko) 폴리갈라사포닌 f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114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114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4355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126771A (ko) 바위솔 및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손상 회복 촉진용 조성물
KR102152932B1 (ko) 카테킨 배당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17013745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