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380A -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380A
KR20080060380A KR1020060134358A KR20060134358A KR20080060380A KR 20080060380 A KR20080060380 A KR 20080060380A KR 1020060134358 A KR1020060134358 A KR 1020060134358A KR 20060134358 A KR20060134358 A KR 20060134358A KR 20080060380 A KR20080060380 A KR 20080060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broccoli extract
broccoli
skin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경
이정노
김영태
이강태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6013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0380A/ko
Publication of KR20080060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3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활성 증진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그리고 피부 잔주름 개선효과가 우수한 브로콜리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브로콜리, 피부노화, 화장료

Description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ng Skin Aging Comprising the Extract of Brassica oleracea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나이가 들면서 끊임없이 변화한다. 피부 노화는 크게 자연노화(혹은 내인성 노화)와 외적노화로 구분되며, 자연 노화(내인성 노화)는 유전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반면 외적 노화는 환경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대표적인 외적 노화인자는 자외선으로, 가장 두드러진 외적 노화현상이 바로 주름 형성이다.
일반적으로 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을 사용하거나 레티놀 또는 비타민 C와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안정도가 떨어지고 안전성에서도 문제가 많아 최근에는 천연물로부터 노화방지 물질을 개발하는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 본 발 명도 이러한 목적에 맞게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유효성분을 이용하여 노화로 인해 생기는 주름을 개선하여 줌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원료가 근본적으로 피부 노화를 저해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인하여 새로운 물질들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어 왔다. 종래부터 천연 추출물 등은 안전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유익한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어 이에 검색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브로콜리 추출물이 우수한 세포활성 증진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그리고 잔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적은 세포 활성 증진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피부 탄력 증진 그리고 잔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며 안정성 및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천연물을 원료로 하여 다양한 추출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세포 활성 증진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그리고 잔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한 결과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추출물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가장 부합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는 양귀비목 배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잎은 진한 녹색이고 잎 가장자리가 깊이 패어 있으며, 원줄기 윗부분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곁가지의 윗부분에는 발달된 진한 녹색의 꽃봉오리 집합체가 형성된다. 품종에는 조생종과 만생종이 있으며 끝꽃봉오리를 전용으로 하는 것과 곁꽃봉오리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로마시대부터 양배추류의 녹색 꽃줄기가 이용되었고, 이탈리아에서는 중요 야채로서 개량되었다. 양배추는 위장병에 좋은 식품으로 비타민 U가 위장을 튼튼하게 해주어 만성 위염, 위궤양 등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가 탁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브로콜리 속에는 양배추보다 훨씬 많은 비타민 U가 들어있다. 뿐만 아니라 위암과 위계양을 일으키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죽이는 설포라페인이라는 성분이 들어있어 위계양과 위암에 효과가 있다. 또한 브로콜리 싹에는 설포라페인 성분이 브로콜리에 비해 20배나 더 많이 들어있 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브로콜리 추출물은 브로콜리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 잎, 꽃, 줄기 및 뿌리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브로콜리의 전초(all body)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브로콜리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브로콜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 알코올, 부탄올 또는 메탄올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틸 알코올이다. 상기 에틸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70% 에틸 알코올이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브로콜리 건조 중량의 1-10 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8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배이다.
본 발명의 브로콜리 추출물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a) 건조한 브로콜리에 1-10배의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첨가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용매 첨가된 브로콜리를 40-100℃에서 3-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4-40℃에서 1-15일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추출액을 여과한 뒤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여과액을 회전감압 증발기로 건조시키는 단계.
이때 1,3-부틸렌 글리콜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회전감압 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기 어려우므로 추출 단계 (b)를 수행한 후 건조 감량이 1%(w/v)가 되게 조정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추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우선, 원료가 되는 브로콜리를 세척, 건조 및 분말화한 다음 70% 에틸 알코올을 브로콜리 건조중량의 6배 부피비로 첨가하여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여과한다. 이어, 이 여액을 65℃에서 회전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브로콜리 추출물을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의 브로콜리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브로콜리 추출물에 포함된다고 해석된다.
본 발명의 브로콜리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브로콜리 추출물의 양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이다. 브로콜리 추출물의 양이 0.0001중량% 미만이면, 브로콜리 추출물에 의한 피부노화 방지 효과가 크게 감소되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피부 자극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제형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브로콜리 추출물을 1-3 중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피부에 직접 도포함으로서 피부 탄력 증진 효과(예, 실험예 3)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예, 실험예 4)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브로콜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는 피부탄력 개선,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브로콜리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 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스킨), 영양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 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제형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 브로콜리 추출물의 제조
곱게 자른 브로콜리 1kg을 에틸 알코올과 물이 7:3(v/v)으로 혼합된 수용액 6리터에 5일 동안 침전 시키고, 300 메쉬에 여과한 다음, 진공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80℃에서 농축시켜 브로콜리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브로 콜리 파우더를 다시 제품에 적용하기 용이하게 1,3-부틸렌 글리콜에 용해시켰다.
실험예 1: 브로콜리 추출물의 세포 활성 증진 효과 실험
브로콜리 추출물에 대한 세포 활성 증진 효과는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한다. 이때 브로콜리 추출물은 위 실시예에서 제조한 브로콜리 파우더를 1,3 -부틸렌 글리콜에 1%(w/v)되게 녹인 후 사용하였다.
브로콜리 추출물을 각 100㎍/㎖ 씩 되게 실험에 이용한다. 실험은 먼저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브로콜리 추출물의 최종농도를 100㎍/㎖으로 하여 혈청이 2.5%들어 있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브로콜리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2.5% 들어 있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에 세포 생존율을 보기 위해 MTT 분석법을 통해 세포 활성율을 구하였다. 세포 활성율은 하기 수학식 1로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세포 활성율(%) = [(D1 흡광도 - D0흡광도)/ D0 흡광도] × 100
D1흡광도 : 브로콜리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흡광도
D0흡광도 : 브로콜리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의 흡광도
브로콜리 추출물(㎍/㎖) 세포활성 증진 효과(%)
대조군 100
5 113.7
10 121.2
25 136.6
50 138.3
실험예 2 :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실험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브로콜리 추출물의 최종농도를 100㎍/㎖으로 하여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브로콜리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프로콜라겐 (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 (PICP) 양을 키트 (Takara, 일본)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PICP 양은 ng/㎖ 환산하였으며,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구하였으며 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다.
콜라겐 생성 증가율(%) =[(시험군 콜라겐 양/대조군 콜라겐 양) -1] ×100
브로콜리 추출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대조군 100
5 110.7
10 111.2
25 129.4
50 145.9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세포활성 증진 효과 및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갖는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가 하기의 제형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브로콜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브로콜리 추출물 1.0
글리세린 6.0
1,3-부틸렌글리콜 3.0
PEG 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옥틱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4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수렴 화장수
브로콜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수렴 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브로콜리 추출물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폴리솔베이트 20 위치하젤 추출물 구연산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1.0 2.0 2.0 0.2 0.2 0.02 0.04 3.0 15.0 0.3 2.0 미량 미량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 화장수
브로콜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브로콜리 추출물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 스테아릴 알콜 라놀린 폴리솔베이트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광물유 스쿠알란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초산토코페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소듐히아루로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3.0 1.5 1.5 1.5 1.3 0.5 1.0 5.0 3.0 2.0 0.8 0.5 0.12 5.0 3.0 5.0 0.12 미량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 크림
브로콜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그리고, 브로콜리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영양 크림을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제조하여 비교예 1이라 지칭하였다.
성분 제형예 4 (중량%) 비교예 1 (중량%)
브로콜리 추출물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스쿠알란 광물유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글리세린 베타인 트리에타올아민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3.0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합계 100 100
제형예 5 : 맛사지 크림
브로콜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브로콜리 추출물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스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스쿠알란 광물유 디메치콘 히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 글리세린 트리에타올아민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3.0 1.5 1.5 1.0 1.5 0.6 5.0 5.0 35.0 0.5 0.12 6.0 0.7 미량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에센스
브로콜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브로콜리 추출물 글리세린 베타인 PEG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 - 9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세스-16 에탄올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3.0 10.0 5.0 2.0 0.1 0.3 0.02 0.04 0.1 8.0 0.2 0.18 0.3 0.4 6.0 미량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브로콜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브로콜리 추출물 폴리비닐알콜 셀룰로오스 검 글리세린 PEG 1500 사이크로데스트린 DL-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니코틴아미드 에탄올 PEG 40 경화피마자유 향, 색소, 방부제 증류수 3.0 15.0 0.15 3.0 2.0 0.15 0.4 0.1 0.3 0.5 6.0 0.3 미량 잔량
합계 100
실험예 3 :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실험
30세 이상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예에서 제조한 브로콜리 추출물을 2%(v/v) 포함하는 영양크림(제형예 4)와 제형예 4에서 브로콜리 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한 영양크림(비교예 1)을 1일 2회씩 12주간 도포하고 피부탄력 개선 정도를 큐토미터(Cutometer, C+K Electronics GmbH, Germany)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피부탄력 개선정도(%)
제형예 4 42.9±3.8
비교예 1 7.66±1.5
상기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로콜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예 4의 영양크림은 비교예 1에 비해, 뚜렷한 피부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4 :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실험
본 발명의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 하였다. 브로콜리 추출물을 2%(v/v) 함유하고 있는 영양 크림(제형예 4)과 제형예 4에서 브로콜리 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비교예 1)을 사용하였다. 20명의 30-40세 여성을 무작위로 2개 군으로 나누어 제형예 4와 비교예 1의 크림을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세안 후 크림 적당량을 눈가를 중심으로 2개월간 연속적으로 바르게 하였다. 각 피검자의 주름 개선 효과를 육안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시험물질 주름개선 효과 유효율(%)
우수(명) 약간(명) 없음(명)
제형예 4 15 3 2 90.0
비교예 1 3 4 13 35.0
상기 실험 결과에 의하면, 브로콜리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화장품(제형예 4)은 비교예 1에 비하여 높은 주름개선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본 발명의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한 부분의 피검자들에게서 피부 자극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브로콜리 추출물은 우수한 세포 활성 증진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갖으며, 이러한 브로콜리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일정 농도 이상 배합하여 사람 피부에 직접 도포한 실험 결과에서도 피부 탄력 및 노화로 기인한 피부상태(주름)가 뚜렷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134358A 2006-12-27 2006-12-27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080060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358A KR20080060380A (ko) 2006-12-27 2006-12-27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358A KR20080060380A (ko) 2006-12-27 2006-12-27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380A true KR20080060380A (ko) 2008-07-02

Family

ID=3981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358A KR20080060380A (ko) 2006-12-27 2006-12-27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038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8325A8 (de) * 2009-12-15 2013-06-13 Henning Vollert Brassica Extrakte zur Erhöhung des antioxidativen Potentials der Haut
CN112438917A (zh) * 2019-08-30 2021-03-05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卷心菜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10129462A (ko) * 2020-04-20 2021-10-28 (주)진셀팜 흰무늬엉겅퀴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WO2022031124A1 (ko) * 2020-08-07 2022-02-10 주식회사 엑소스템텍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8325A8 (de) * 2009-12-15 2013-06-13 Henning Vollert Brassica Extrakte zur Erhöhung des antioxidativen Potentials der Haut
CN112438917A (zh) * 2019-08-30 2021-03-05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卷心菜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10129462A (ko) * 2020-04-20 2021-10-28 (주)진셀팜 흰무늬엉겅퀴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WO2022031124A1 (ko) * 2020-08-07 2022-02-10 주식회사 엑소스템텍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4149A (ko) 청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0846125B1 (ko) 피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816261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0552245B1 (ko)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898250B1 (ko) 감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0380A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2289957B1 (ko) 백향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55572B1 (ko)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13902B1 (ko) 장뇌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0484B1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40087644A (ko)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59545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09768B1 (ko) 감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110087363A (ko)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2862B1 (ko) 산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22258B1 (ko) 속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449345B1 (ko)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2B1 (ko) 만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46793A (ko) 용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120880A (ko) 노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8125B1 (ko) 메타세콰이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073632A (ko) 예덕나무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7813A (ko) 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080057414A (ko)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