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414A -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7414A KR20080057414A KR1020060130667A KR20060130667A KR20080057414A KR 20080057414 A KR20080057414 A KR 20080057414A KR 1020060130667 A KR1020060130667 A KR 1020060130667A KR 20060130667 A KR20060130667 A KR 20060130667A KR 20080057414 A KR20080057414 A KR 200800574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smetic composition
- root extract
- extract
- skin irritation
- rhododendr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진달래뿌리 추출물은 피부자극을 현저히 완화시켜 주고, 화장료에 사용하였을 경우 탁월한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있다.
진달래뿌리, 보조제, 피부자극 완화,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장품은 피부를 청결히 하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며 미화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나, 화장료 조성물에는 이와 같은 목적과는 상반되는 제품 제조 및 유지에 필수적인 성분들이 포함된다. 이들은 방부제, 계면활성제, 자외선 차단제, 미백제 등 화장료의 보존, 유지 및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필수 불가결하게 첨가되는 성분들로 실제로 제품 사용시에 일부에서 피부 자극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화장품 제조업자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극 완화 물질을 제품에 적용시켜줌으로써 그 자극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화장품의 사용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피부 자극에는 가려움 (itching), 따끔거림 (stinging) 및 화끈거림 (burning)등의 자극감과 홍반 (erythema) 및 부종 (edema) 등이 있다. 이러한 자극들은 염증 반응의 현상으로 염증을 경감시키거나 제거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프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acine)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으며(김창종, 병태생리학, 한림상사, p61-69, 1988), 알란토인, 아즈렌, ε-아미노키프론산, 하이드로코티존(v), 감초산 및 그 유도체(β-글리칠레친산, 글리칠레친산유도체)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광정무부, 신화장품학, 남산당, p162, 1993), 인도메타신은 화장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이고 하이드로코티존은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으며, 감초산 및 그 유도체는 안정화 시키기 어렵거나 용해도가 좋지않아 실제 적용시 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은 괄호 내에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과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천연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진달래뿌리 추출물이 제형의 안정화가 쉽고 화장품에 의한 부작용 을 줄이고 피부자극을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은 진달래의 뿌리 추출물로서, 진달래는 꽃이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가지 끝 부분의 곁눈에서 1개씩 나오지만 2-5개가 모여 달리기도 한다. 화관은 벌어진 깔때기 모양이고 지름이 4-5cm이며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 또는 연한 붉은 색이고 겉에 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밑 부분에 흰색 털이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수술보다 훨씬 길다. 참꽃 두견화라고도 한다. 산지의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높이는 2-3m이고 줄기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작은가지는 연한 갈색이고 비늘조각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 또는 거꾸로 세운 바 소꼴이며 길이가 4-7cm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표면에는 비늘 조각이 약간 있고, 뒷면에는 비늘 조각이 빽빽이 있으며 털이 없고, 잎자루는 길이가 6-10mm이다. 한방에서는 꽃을 영산홍(迎山紅)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해수, 기관지염, 감기로 인한 두통에 효과가 있고, 이뇨 작용이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진달래(for. albiflorum)라고 하고, 작은 가지와 잎에 털이 있는 것을 털진달래(var. ciliatum)라고 하며 바닷가와 높은 산에서 흔히 자란다. 털진달래 중에서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털진달래(for. alba)라고 하며 해안 근처에서 간혹 볼 수 있다. 잎이 둥글거나 넓은 타원 모양인 것을 왕진달래(var. latifolium)라고 한다. 바닷가 근처에서 자라는 것 중에서 잎에 윤기가 있고 양면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는 것을 반들진달래(var . maritimum)라고 하고, 열매가 보다 가늘고 긴 것을 한진달래(var. taquetii)라고 한다. 키가 작고 꽃도 작으며 5개의 수술이 있는 것을 제주진달래(R. saisiuense)라고 하며 한라산정상 근처에서 자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진달래 뿌리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진달래 뿌리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함수 저급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분리,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일례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피 펌프를 이용하여 순수한 이산화탄소와 공용매(극성용매인 주정과 비극성용매인 스쿠알렌을 1:1로 혼합한 것)를 사용하여 온도 80℃ 및 압력 300 기압 조건에서 초임계 상태로 만들어 흘려보냄으로써 제조된 초임계 유체 추출물도, 본 발명의 진달래 뿌리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진달래뿌리 추출물은 외부 물질에 의한 피부자극을 완화하고 화장품 원료에 의한 피부자극을 완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달래뿌리 추출물은 화장품 원료에 의한 피부자극을 완화하는 화장품 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므로 화장품 원료에 의한 피부자극이 완화되어 화장품의 피부 안전성이 증진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피부자극을 일으키는 원료는 천연 추출물 및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한다. 피부자극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료로는 락트산 (lactic acid), 글리콜산 (glycolic acid), 살리실산 (salicylic acid) 및 레티노산 (retinoic acid)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조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성이 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기 전 또는 적용한 후에 적용하여 피부의 자극을 완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진달래 뿌리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3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1-15.0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5.0 중량%이다. 상기 진달래 뿌리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문제점이 있고,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너지효과를 기대하지 못할뿐더러 조성물의 제형의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식물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 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 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피부자극을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완화시켜줌으로써 화장품의 피부 안전성을 증진시킨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진달래 뿌리 추출물의 제조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진달래 뿌리 100 g을 파쇄한 후, 물 1.2 ℓ에 넣 고 4-40℃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저온 3-5℃에서 5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번 여과지로 여과했다. 이 여액을 65℃에서 회전 감암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12.83 g의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19 : 진달래 뿌리 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추출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물 | 추출용매 | 최종 추출물의 건조 중량 (단위 : g) |
실시예 2 | 10% 에탄올 | 12.8 |
실시예 3 | 20% 에탄올 | 13.9 |
실시예 4 | 30% 에탄올 | 13.2 |
실시예 5 | 40% 에탄올 | 14.3 |
실시예 6 | 50% 에탄올 | 15.1 |
실시예 7 | 60% 에탄올 | 15.3 |
실시예 8 | 70% 에탄올 | 14.2 |
실시예 9 | 80% 에탄올 | 13.3 |
실시예 10 | 90% 에탄올 | 125 |
실시예 11 | 100% 에탄올 | 13.4 |
실시예 12 | 메탄올 | 13.3 |
실시예 13 | n-프로판올 | 11.5 |
실시예 14 | 이소프로판올 | 10.6 |
실시예 15 | 2-부탄올 | 4.2 |
실시예 16 | 아세톤 | 3.5 |
실시예 17 | 클로로포름 | 2.5 |
실시예 18 | 에틸아세테이트 | 3.3 |
실시예 19 | 부틸아세테이트 | 2.6 |
실시예
20: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진달래뿌리 추출물의 제조
진달래 뿌리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파쇄한 뒤, 시료 100 그램을 초임계 추출용기 (Supercritical fluid extractor, Jasco, Japan)에 넣고 액체크로마토그래피 펌프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 Jasco, Japan)를 이용하여 순수한 이산화탄소와 공용매(극성용매인 주정과 비극성용매인 스쿠알렌을 1:1로 혼합한 것)를 사용하여 온도 80℃ 및 압력 300 기압 조건에서 초임계 상태로 만들어 흘려보내면서 매 4분씩 40분까지 추출물을 10 ㎖ 용량의 유리 시험관에 받았다.
실험예 1: 진달래 뿌리 추출물의 락트산에 의한 세포자극 완화 효과 시험
인간 피부세포인 섬유아세포 (한국세포주은행)를 T-75 플라스크 (Falcon, 미합중국)에서 90%정도 성장할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것을 다시 96-웰 플레이트 (Falcon, 미합중국)에 3 x 104 cells/well이 되게 옮겨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현미경을 통해 세포가 완전히 부착되어 잘 자라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피부세포 자극원으로 락트산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락트산은 0.2% (이 농도에서 피부세포는 모두 사멸함)로 사용하였다. 즉, 96 웰의 각각에 0.2% 락틱산이 함유된 DMEM (시그마, 미합중국) 배지를 200 ㎕씩 첨가하고 실시예 8의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10, 20, 50, 100 및 200 ㎍/㎖로 조절하여 첨가하였다. 이때, 대조군에는 락트산 및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으며, 비교군으로는 락트산만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 물질을 첨가하고 12시간 경과 후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MTT시약을 각 웰에 10 ㎕씩 첨가하였다.
4시간 경과 후에 생존율을 엘라이저 리더를 이용하여 57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농도 (㎍/㎖) | 세포 생존율 | ||
실험군 | 비교군 | 대조군 | |
10 | 27.1 | 0.0 | 100.0 |
20 | 56.2 | 0.0 | 100.0 |
50 | 83.4 | 0.0 | 100.0 |
100 | 97.6 | 0.0 | 100.0 |
200 | 103.5 | 0.0 | 100.0 |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실험군) 추출물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달래 뿌리 추출물이 락트산에 의한 세포자극을 완화시켜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예를 근거로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한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러 가용화제형과 유화제형의 화장료 조성을 제시한다. 아래와 같은 제형예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 제형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제형예에서 사용한 진달래뿌리 추출물은 실시예 8의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스킨로션)
하기의 표 3과 같이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 (중량%) |
진달래뿌리 추출물 | 2.0 |
글리세린 | 5.0 |
1,3-부틸렌글리콜 | 3.0 |
PEG 1500 | 1.0 |
알란토인 | 0.1 |
DL-판테놀 | 0.3 |
EDTA-2Na | 0.02 |
벤조페논-9 | 0.04 |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 5.0 |
에탄올 | 10.0 |
옥틱도데세스-16 | 0.2 |
폴리솔베이트 20 | 0.2 |
향 | 0.02 |
유니사이드-유 13 | 0.01 |
그린 #13 | 0.001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2. 수렴화장수
하기의 표 4와 같이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 (중량%) |
진달래뿌리 추출물 | 2.0 |
글리세린 | 2.0 |
1,3-부틸렌글리콜 | 2.0 |
알란토인 | 0.2 |
DL-판테놀 | 0.2 |
EDTA-2Na | 0.02 |
벤조페논-9 | 0.04 |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 3.0 |
에탄올 | 15.0 |
폴리솔베이트 20 | 0.3 |
위치하겔 추출물 | 2.0 |
구연산 | 미량 |
향 | 0.02 |
유니사이드-유 13 | 0.01 |
그린 #13 | 0.001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3. 영양화장수
하기의 표 5와 같이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 (중량%) |
진달래뿌리 추출물 | 2.0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 1.5 |
세테아릴알콜 | 1.5 |
라놀린 | 1.5 |
폴리솔베이트 60 | 1.3 |
솔비탄스테아레이트 | 0.5 |
경화식물유 | 1.0 |
광물유 | 5.0 |
스쿠알란 | 3.0 |
트리옥타노인 | 2.0 |
디메치콘 | 0.8 |
초산 토코페롤 | 0.5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0.12 |
글리세린 | 5.0 |
1,3-부틸렌글리콜 | 3.0 |
소듐히아루로네이트 | 5.0 |
트리에탄올아민 | 0.12 |
향 | 0.01 |
유니사이드-유 13 | 0.02 |
그린 #3 | 0.003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4. 영양크림
하기의 표 6과 같이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 (중량%) |
진달래뿌리 추출물 | 5.0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 2.0 |
세테아릴알콜 | 2.2 |
스테아린산 | 1.5 |
밀납 | 1.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솔비탄스테아레이트 | 0.6 |
경화식물유 | 1.0 |
스쿠알란 | 3.0 |
광물유 | 5.0 |
트리옥타노인 | 5.0 |
디메치콘 | 1.0 |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 0.1 |
글리세린 | 5.0 |
베타인 | 3.0 |
트리에탄올아민 | 1.0 |
소듐히아루로네이트 | 4.0 |
향 | 0.01 |
유니사이드-유13 | 0.02 |
그린 #3 | 0.003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5. 맛사지 크림
하기의 표 7과 같이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 (중량%) |
진달래뿌리 추출물 | 4.0 |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1.5 |
세테아릴알콜 | 1.5 |
스테아린산 | 1.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솔비탄스테아레이트 | 0.6 |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 5.0 |
스쿠알란 | 5.0 |
광물유 | 35.0 |
디메치콘 | 0.5 |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0.12 |
글리세린 | 6.0 |
트리에탄올아민 | 0.7 |
향 | 0.01 |
유니사이드-유13 | 0.02 |
그린 #3 | 0.003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6. 에센스
하기의 표 8과 같이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 (중량%) |
진달래뿌리 추출물 | 4.0 |
글리세린 | 10.0 |
베타인 | 5.0 |
PEG 1500 | 2.0 |
알란토인 | 0.1 |
DL-판테놀 | 0.3 |
EDTA-2Na | 0.02 |
벤조페논-9 | 0.04 |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 0.1 |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 8.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2 |
트리에탄올아민 | 0.18 |
옥틸도데칸올 | 0.3 |
옥틸도데세스-16 | 0.4 |
에탄올 | 6.0 |
향 | 0.02 |
유니사이드-유 13 | 0.01 |
그린 #3 | 0.001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제형예 7. 팩
하기의 표 9와 같이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 (중량%) |
진달래뿌리 추출물 | 2.0 |
폴리비닐알콜 | 15.0 |
셀룰로오스 검 | 0.15 |
글리세린 | 3.0 |
PEG 1500 | 2.0 |
시이크데스트린 | 0.15 |
DL-판테놀 | 0.4 |
알란토인 | 0.1 |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 0.3 |
니코틴아미드 | 0.5 |
에탄올 | 6.0 |
PEG 40 경화피마자유 | 0.3 |
향 | 미량 |
유니사이드-유13 | 0.02 |
그린 #3 | 0.003 |
증류수 | 잔량 |
합계 | 100 |
실험예 2 : 인체 피부 첩포시험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인체 피부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진달래 뿌리 추출물 5.0 중량%가 함유된 상기 제형예 4의 영양크림에 피부 자극 물질인 락트산 5.0 중량%를 자극원으로 첨가하여 (실시예) 인체 피부 첩포시험을 통하여 자극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때 락트산 및 제형예 4의 영양크림을 처리하지 않은 것을 대조예로 하였고, 제형예 4의 영양크림에서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하고 락트산만 첨가한 것을 비교예 1로 하였으며, 제형예 4의 영양크림에서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5.0 중량% 감초산으로 대체하고 락트산을 첨가한 것을 비교예 2로 하였다.
우선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준비된 시험물질을 15 ㎍씩 핀 챔버 (Finn chamber, 100×10, EPITEST, 핀란드국) 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대상자의 전박 (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표시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각각 1시간 그리고 24시간 후(첩포 제거 후 1시간, 24시간 후 = 첩포 부착 포함 24시간, 48시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평균피부반응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 피부 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
기 호 | 점 수 | 평가 기준 |
- | 0 | 무반응, 정상 피부 |
± | 0.5 |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 | 1.0 |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 | 2.0 |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 | 3.0 | 심한 홍반 및 소포형성 |
++++ | 6.0 | 대수포 형성 |
시험물질 | 24시간 | 48시간 | 평균피부반응도 (n=20) |
± + ++ | ± + ++ | ||
대조예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 2 - - 13 3 - 9 2 - 4 2 - | - - - 3 2 - 3 1 - 1 - - | 0.41 5.41 3.75 1.87 |
상기 표 10에서 알 수 있듯이, 5.0 중량%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는 5.0% 감초산을 함유한 비교예 2에 비해 5.0 중량% 락트산에 의해 유발된 피부자극의 완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제형의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상기 제형예 4의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실시예), 제형예 4의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5.0 중량% 감초산으로 대체한 크림(비교예), 그리고 제형예 4의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대조예)을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1주동안 보관하고, 또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완전히 차광 된 냉장고 내에서 1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나 있다. 이때 제품 변색 정도는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제품 변색 평가 기준
점 수 | 평가 기준 |
0 | 변화 없음 |
1 | 극히 조금 변함 |
2 | 조금 변함 |
3 | 조금 심하게 변함 |
4 | 심하게 변함 |
5 | 극히 심하게 변함 |
온도 | 실험물질 변색 정도 | ||
실시예 | 대조예 | 비교예 | |
45℃ | 0 | 0 | 4 |
4℃ | 0 | 0 | 2 |
상기 표 1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4의 크림(실시예)은 변색이 거의 되지 않아 진달래뿌리 추출물 대신 감초산을 함유한 비교예의 크림에 비해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한 대조예에서는 변색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크림의 기타 함유 성분에 의해서는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듯이, 본 발명은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진달래뿌리 추출물은 세포수준에서도 외부자극원에 대해 자극을 감소시켰으며, 화장료에 배합하였을때 외부 자극원(락트산)에 대해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피부자극을 진달래뿌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완화시켜줌으로써 화장품의 피부 안 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달래 뿌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달래 뿌리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0667A KR20080057414A (ko) | 2006-12-20 | 2006-12-20 |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0667A KR20080057414A (ko) | 2006-12-20 | 2006-12-20 |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7414A true KR20080057414A (ko) | 2008-06-25 |
Family
ID=3980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0667A KR20080057414A (ko) | 2006-12-20 | 2006-12-20 |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5741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7512B1 (ko) * | 2012-05-29 | 2014-02-28 | 인타글리오주식회사 | 진달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1449670B1 (ko) * | 2012-05-07 | 2014-10-14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흰진달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2006
- 2006-12-20 KR KR1020060130667A patent/KR2008005741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9670B1 (ko) * | 2012-05-07 | 2014-10-14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흰진달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101367512B1 (ko) * | 2012-05-29 | 2014-02-28 | 인타글리오주식회사 | 진달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56521A (ko) |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844275B1 (ko) |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 |
KR102221033B1 (ko) |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10076043A (ko) |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570093B1 (ko) |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955572B1 (ko) |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858628B1 (ko) |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소루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80057414A (ko) |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 |
KR100829722B1 (ko) | 진달래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40087644A (ko) |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20080060380A (ko) |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 |
KR102076179B1 (ko) | 타래붓꽃과 참취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30050173A (ko) | 맹그로브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0909768B1 (ko) | 감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 |
KR20220053224A (ko) | 티트리잎, 페퍼민트잎, 약모밀, 녹차, 노니 및 파슬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946584B1 (ko) |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90056522A (ko) | 기실, 원보초, 상기생, 여정자 및 지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을 갖는화장료 조성물 | |
KR100855456B1 (ko) | 삼지구엽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 |
KR20050120880A (ko) | 노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816264B1 (ko) | 목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 |
KR102609801B1 (ko) | 소루쟁이와 승마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50034371A (ko) | 닭의장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 |
KR100628649B1 (ko) | 피부자극 완화 효과의 녹두 추출물 개발 및 이를 응용한화장료 조성물 | |
KR20080046793A (ko) | 용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117563B1 (ko) | 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