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545B1 -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545B1
KR100959545B1 KR1020070130824A KR20070130824A KR100959545B1 KR 100959545 B1 KR100959545 B1 KR 100959545B1 KR 1020070130824 A KR1020070130824 A KR 1020070130824A KR 20070130824 A KR20070130824 A KR 20070130824A KR 100959545 B1 KR100959545 B1 KR 100959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resent
skin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456A (ko
Inventor
김재수
곽보연
이권택
Original Assignee
(주)내츄럴엔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내츄럴엔도텍 filed Critical (주)내츄럴엔도텍
Priority to KR102007013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5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길경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상태, 특히 피부 노화를 억제 또는 치료하는 데 매우 유효하며,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이 종래에 한약재로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체에 대하여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하는 경우에도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어 식품으로 개발하는 경우에도 매우 유리하다.
피부 상태, 노화, 주름, 보습, 길경, 백하수오, 속단

Description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본 발명은 피부 상태(skin conditions)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경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끊임없이 변화를 겪게 되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노화에 의한 피부의 기능 저하 및 시각적인 아름다움의 감소이다. 피부의 노화는 크게 유전적 요소에 따른 내적 노화와 태양광선 등의 외부 환경적 요소에 따른 외적 노화로 구분된다. 이러한 외적 노화는 피부의 주름을 형성시키며, 대표적인 주름 형성의 인자로서 활성 산소, 자외선 및 콜라겐의 생합성 감소 등을 들 수 있다(Danielle, A study in the epidermiology of crow's feet., Ann . Intern . Med ., 75:873-880(1971); Grove et al., Optical profilometry; an objective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facial wrinkles., J. Am . Acad . Dermatol ., 21:631-637( 1989)). 피부의 내적 노화의 경우 인위적인 조절이 불가능하나, 외적 노화의 경 우 활성산소 제거,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콜라겐의 생합성 촉진 등을 통하여 노화를 예방, 치료 또는 지연시킬 수 있다(Schwartz et al., Topical all-trans retinoic acid stimulates collagen synthesis in vivo., J. Invest . Dermatol ., 96(6):975-978(1991)).
최근 피부노화 지연 등을 목적으로 한 특정의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또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733334호는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681702호는 만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468434호는 비타민 C 또는 그 유도체 및 빈랑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602813호는 석창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상태(skin conditions)를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종래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길경, 백하수오 및 속단에서 얻은 추출물이 피부 노화 방지 등과 같은 피부 상태의 개선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길경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상태(skin conditions)를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종래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길경, 백하수오 및 속단에서 얻은 추출물이 피부 노화 방지 등과 같은 피부 상태의 개선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길경(Platycodon grandiflorum)은 초롱꽃과 (Campan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도라지의 뿌리이며, 주성분은 플라티코디온-A, C, D1 및 D2, 플라티코디게닌, 폴리갈락신-D1 및 D2 등 10여 종의 사포닌 배당체와 플라티코딘이고 이외에도 베튜린, 이누틴, 피토스테롤 등의 성분을 함유하며, 거담, 진해, 항염증, 해열 작용 등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백하수오 (Cynanchum wilfordii)는 마디풀과 (Polygon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그 높이는 1-3 m에 달하며 뿌리는 덩이뿌리로서 비후하다. 백하수오의 주성분은 시난코톡신, 피토토코톡신 등이며, 강장 및 강정제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속단 (Phlomis umbrosa)은 꿀풀과 (Labia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그 높이는 70-150 ㎝이며 비대한 덩이뿌리가 5개 정도 달린다. 잎을 식용으로 이용하고 뿌리 및 뿌리줄기를 약용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길경, 백하수오 및 속단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조성물이 상승적인(synergic) 작용을 하여 피부 상태를 크게 개선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백하수오 및 속단 추출물은 백하수오 또는 속단의 다양한 기관, 조직 (예: 뿌리, 잎, 꽃, 줄기, 과실 및 종자 등) 등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백하수오 또는 속단의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이다.
상기 길경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또는 속단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 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부틸 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길경, 백하수오 또는 속단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을 추출 용매로 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서의 길경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또는 속단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0-8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길경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또는 속단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 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 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의 용도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개선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보습력 향상 및 피부 탄력 개선 등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며, 전체적으로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며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의 실시예에 입증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길경, 백하수오 또는 길경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 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길경, 백하수오 또는 길경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상태, 특히 피부 노화를 억제 또는 치료하는 데 매우 유효하며,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이 종래에 한약재로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체에 대하여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하는 경우에도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어 식품으로 개발하는 경우에도 매우 유리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재료
본 발명의 길경, 백하수오 및 속단은 경동 시장에서 구입하여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길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건조된 길경 50 g을 물 1.5 ℓ에 넣고 상온 이상의 온도에서 약 2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용성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이를 건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난 양의 분말을 얻었다.
구 분 중량(g) 추출 효율(%)
초기 50 100
건조분말 11.5 23
실시예 2: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백하수오의 뿌리 부위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하수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백하수오 추출물의 양은 하기 표 2와 같다.
구 분 중량(g) 추출 효율(%)
초기 50 100
건조분말 12.1 24.2
실시예 3: 속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속단 50 g에 증류수 1.5 ℓ를 첨가하고 80-9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및 추출하여 수용성 추출액 0.7 ℓ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추출액 0.7 ℓ를 상온에서 보관하였고, 잔존한 약재에 1차 추출 때에 가한 양의 반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하고, 2차 추출을 80-9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및 추출하였다. 1차 및 2차에 걸쳐서 얻어진 추출액 1 ℓ를 수집하고, 열로 가열 (90℃)하여 추출액의 부피를 최종 500 ㎖까지 농축시켰다.
각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을 감압 건조(freeze dryer, Edwards USA)하여 분말을 얻었고, 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추출 효율을 계산하였다(참조: 표 3).
구 분 중량(g) 추출 효율(%)
초기 50 100
건조분말 10.5 21.0
상기 표 3에서의 가열 및 추출 단계의 추출 효율은 매번 실시할 때마다 약간의 변동이 있었고, 일반적으로 18%-24%의 추출 효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 (fibroblast, 한국세포주은행)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에 1 x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Sigma사)에서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이어,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추출물의 최종 농도가 0.005%, 0.01%, 0.05%, 0.1% 또는 1%가 되도록, 섬유아세포 배양 배지에 넣은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또한, 상기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는 배양한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세포를 배양한 후, MTT 용액(3-(4,5-디메틸티아졸-2-일) 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5 ㎎/㎖)을 각각의 배양된 세포에 10 ㎕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 당 100 ㎕의 디메틸 설폭시드 용액을 가하고 20분 동안 진탕시켰다.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Molecular Devices,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상층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세포 증식 효과를 산출하였다: 세포 증식 효과(%) = [(추출물 처리시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실험은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 3회 반복(triplicate) 하였고, 그 평균 값을 얻었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4에 정리되어 있다.
추출물(%) 흡광도 세포증식 효과(%)
길경 추출물 대조군 0.21 -
0.001 0.25 19.0
0.01 0.30 42.9
0.1 0.38 81.0
1 0.40 90.5
백하수오 추출물 대조군 0.21 -
0.001 0.23 7.2
0.01 0.29 39.0
0.1 0.35 60.8
1 0.38 83.1
속단 추출물 대조군 0.21 -
0.001 0.24 9.4
0.01 0.28 33.3
0.1 0.34 61.9
1 0.37 76.2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길경, 백하수오 및 속단 추출물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길경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섬유아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형예 1
상기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스킨)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추출물 0.5
1,3-부틸렌글리콜 5.2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3.2
폴리솔베이트 20 3.2
벤조페논-9 2.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글리세린 3.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
상기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밀크로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추출물 0.6
글리세린 5.1
프로필렌글리콜 4.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4.6
트리에탄올아민 1.0
스쿠알란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폴리솔베이트60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프로필파라벤 0.6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3
상기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추출물 1.0
글리세린 4.0
바셀린 3.5
트리에탄올아민 2.1
유동파라핀 5.3
스쿠알란 3.0
밀납 2.6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
폴리솔베이트 60 3.2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생약 추출물 0.5
글리세린 4.0
바셀린 3.5
트리에탄올아민 0.5
유동파라핀 24.0
스쿠알란 3.0
밀납 2.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2.4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5
상기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중 팩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중량%)
추출물 1.0
에틸알코올 3.0
EDTA-Na 0.02
프로필렌 글리콜 5.1
글리셀린 4.5
카보폴 1.0
폴리옥사이드 0.1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실험예 2: 주름 개선 효과 평가
본 발명의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제형예 3의 영양 크림을 사용하였다. 20명의 40-50세 여성을 무작위로 2개군으로 나누어 제형예 3의 크림을 매일 아침/저녁 2회씩 세안 후 크림 적당량을 눈가를 중심으로 2개월간 연속적으로 바르게 하였다. 각 피검자의 주름 개선 효과를 육안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10에 기재되어 있다.
처방예 주름 개선 효과 우수 주름 개선 효과 약간 주름 개선 효과 없음 효능
유효율(%)*
제형예 4의 크림
(길경추출물 함유)
12 5 3 85.0
제형예 4의 크림
(백하수오 추출물 함유)
11 6 3 85.0
제형예 4의 크림
(속단 추출물 함유)
10 7 3 85.0
제형예 4의 크림
(길경, 백하수오 및 속단 추출물 함유)
15 4 1 95.0
비교예** 3 4 13 35.0
*총 피검자 중에서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된 피검자의 수의 비율
**추출물 대신에 증류수가 포함된 제형 이용
상기 표 10에서 볼 수 있듯이, 길경, 백하수오 및 속단 추출물 모두 실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확실한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특히, 길경, 백하수오 및 속단 추출물 모두를 포함하는 크림 조성물의 경우, 매우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보습 효과(피부 도포)
제형예 4의 영양 크림을 이용하여 보습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제형예 4의 크림 조성물에 대하여 피시험자 20명을 대상으로 관능 특성을 평가하였다. 크림 조성물을 피시험자의 손에 도포한 후, 미온수로 씻어 내었다. 평가항목은 피부에 보습감이 있다 및 보습효과가 지속되는가(lasting 효과) 이다.
피부에 보습감이 있다, 보습 효과의 지속성이 풍부하다고 회답한 경우를 +5점, 보습감이 없다, 보습감이 지속되지 않는다 등의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를 0점으로 하여 그 중간을 총 4단계로 평가하고 전원의 점수 합계를 평가 결과로 하였다. 따라서 점수가 높은 만큼 평가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구 분 보습감이 풍부 보습 지속성
제형예 4
(길경 추출물 함유)
89 88
제형예 4
(백하수오 추출물 함유)
82 83
제형예 4
(속단 추출물 함유)
83 84
제형예 4
(길경, 백하수오 및 속단 추출물 함유)
94 96
비교예* 68 57
*추출물 대신에 증류수가 포함된 제형 이용
상기 표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력이 매우 우수하고, 피부에 적용 후 그 보습성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실험예 4: 보습 효과(경구 투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경구 투여하는 경우에도 보습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 50 중량%, 해조칼슘 24 중량%, 아르기닌 16 중량% 및 라이신 10 중량%.
제조한 식품 조성물을 피검자에게 투여한 후 다음과 같이 수분 보유능을 측정하였다. 30명의 피시험자를 선별하여 15명에게는 아침, 저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22℃ 및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20명의 피시험자 하박 안쪽에 경구 투여전, 투여후 20일 시점에서의 피부 수분 함량을 수분 함량측정기(corneometer)로 측정하였으며,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 피부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12에 정리되어 있다.
구분 투여군 대조군
길경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속단 추출물 길경, 백하수오 및 속단 추출물
투여 전 피부 전기전도도 45 45 45 45 45
투여 20일 후 피부 전기전도도 89 85 85 95 50
표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가 높고,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경구 투여하는 경우에도 피부 보습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길경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 및 속단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skin conditions) 개선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 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70130824A 2007-12-14 2007-12-14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59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824A KR100959545B1 (ko) 2007-12-14 2007-12-14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824A KR100959545B1 (ko) 2007-12-14 2007-12-14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585A Division KR101022258B1 (ko) 2010-01-25 2010-01-25 속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100006541A Division KR20100028601A (ko) 2010-01-25 2010-01-25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456A KR20090063456A (ko) 2009-06-18
KR100959545B1 true KR100959545B1 (ko) 2010-05-27

Family

ID=4099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824A KR100959545B1 (ko) 2007-12-14 2007-12-14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063B1 (ko) * 2013-01-29 2015-05-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48B1 (ko) 2015-08-12 2016-10-17 김수경 백하수오를 포함하는 천연유래물질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712A (ja) * 1999-01-06 2000-07-18 Rashieru Seiyaku Kk 化粧料組成物
KR20030017963A (ko) * 2001-10-29 2003-03-04 주식회사 나우코스 피부 탄력 증가와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원지, 길경,병풀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 제조 방법
KR20030022655A (ko) * 2001-09-10 2003-03-17 (주)내츄럴엔도텍 Igf-1 분비를 유도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712A (ja) * 1999-01-06 2000-07-18 Rashieru Seiyaku Kk 化粧料組成物
KR20030022655A (ko) * 2001-09-10 2003-03-17 (주)내츄럴엔도텍 Igf-1 분비를 유도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KR20030017963A (ko) * 2001-10-29 2003-03-04 주식회사 나우코스 피부 탄력 증가와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원지, 길경,병풀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063B1 (ko) * 2013-01-29 2015-05-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456A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125B1 (ko) 피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98250B1 (ko) 감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59545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7337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22258B1 (ko) 속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80060380A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28601A (ko)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74289B1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02286B1 (ko)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20180075081A (ko) 지모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또는 지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이소망기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81702B1 (ko) 만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7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377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3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