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068B1 - 비만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068B1
KR100888068B1 KR1020070038134A KR20070038134A KR100888068B1 KR 100888068 B1 KR100888068 B1 KR 100888068B1 KR 1020070038134 A KR1020070038134 A KR 1020070038134A KR 20070038134 A KR20070038134 A KR 20070038134A KR 100888068 B1 KR100888068 B1 KR 100888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ephedra
rhubarb
weight
ba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4132A (ko
Inventor
신순식
정양삼
윤기현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의학원
정양삼
윤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의학원, 정양삼, 윤기현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의학원
Priority to KR1020070038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068B1/ko
Priority to US12/596,018 priority patent/US8404282B2/en
Priority to PCT/KR2007/002135 priority patent/WO2008146955A1/en
Priority to EP07746291A priority patent/EP2155220B1/en
Publication of KR2008009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본 발명은 마황 및 곤포, 또는 마황, 곤포 및 대황을 포함하는 비만증 및 이에 따르는 각종 성인병을 억제 및 예방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황, 곤포, 대황, 비만

Description

비만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suppressing obesity}
도 1은 비만대조군,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GGEx0017 및 리덕틸(reductil®)을 마우스에 처리한 경우 체중 변화량 추이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2는 비만대조군,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GGEx0017 및 리덕틸(reductil®)을 마우스에 처리한 경우 체중 변화량 추이를 일변화량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만대조군,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GGEx0017 및 리덕틸(reductil®)을 마우스에 처리한 경우 사료섭취량과 체중증가량의 비율로 나타낸 식이효율의 변화량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비만대조군,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GGEx0017 및 리덕틸(reductil®)을 마우스에 처리한 경우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함량을 비교한 그림이다.
도 5는 비만대조군,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GGEx0017 및 리덕틸(reductil®)을 마우스에 처리한 경우 혈장 내 렙틴(leptin) 함량을 비교한 그림이다.
도 6은 비만대조군,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GGEx0017 및 리덕틸(reductil®)을 마우스에 처리한 경우 혈장 내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함량을 비교한 그림이다.
도 7은 비만대조군,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GGEx0017 및 리덕틸(reductil®)을 마우스에 처리한 경우 간 조직내 지방함량의 변화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8은 비만대조군,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GGEx0017 및 리덕틸(reductil®)을 마우스에 처리한 경우 간 조직내 지방함량의 변화를 수치로 비교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마황 및 곤포, 또는 마황, 곤포 및 대황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건강을 해칠 정도로 체내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Edited by Per BjInternational Textbook of Obesity. West Sussex: John Wiley & Sons. Ltd., 2001, ISBN 0-471-98870-7, 3-22.). 과거 비만을 풍요로움의 상징으로 여긴 적도 있으나 비만이 당뇨병이나 동맥경화증 등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사망률과 이환률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사회적, 정신적으로도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인 것이 밝혀지면서 반드시 치료되어야 하는 ‘만성질환’이라는 인식이 확립되고 있다(Manson JE, Willet WC, Stampfer MJ, Colditz GA, Hunter DJ, Hankinson SE, Hennekens CH, Speizer FE. Body weight and mortality among women. N Eng J Med 1995; 333: 677-685. ; Hubert HB, Feinleib M, McNamara PM, Castelli WP. Obesity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26-year follow-up of participant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1983; 67: 968-977. ; Pi-Sunyer FX. Medical hazard of obesity. Ann Intern Med 1993; 119: 655-660. ; Huang Z, Willett WC, Manson JE, Rosner B, Stampfer MJ, Speizer FE, Colditz GA. Body weight, weight change, and risk for hypertension in women. Ann Intern Med 1998; 128: 81-88. ; Colditz GA, Willett WC, Stampfer MJ, Manson JE, Hennekens CH, Arky RA, Speizer FE. Weight as a risk factor for clinical diabetes in women. Am J Epidemiol 1990; 132: 501-513.).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과체중 혹은 비만에 해당되는 사람들의 숫자는 12억명에 이르며 미국의 경우 2000년 현재 성인인구의 약 65%가 과체중에 해당된다고 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on Obesity. 1997 Jun: 32-5. ; Flegal KM, Carroll MD, Ogden CL, Johnson CL.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US adults, 1999-2000. JAMA 2002; 288: 1723-1727.). 또한 미국의 경우 매년 약 30만 명이 비만과 관련된 질환으로 사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Allison DB, Fontaine KR, Manson JE, Stevens J, VanItallie TB. Annual Deaths Attributable to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JAMA 1999; 282: 1530-1538.).
비만이 여러 가지 질병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여 전 세계 당뇨병 환자의 80%, 심장질환의 21%가 비만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자궁암, 신장암, 유방암 등 각종 암도 비만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비만이나 과체중의 경우 수면무호흡증, 골관절염, 담석증 등의 발병률도 정상인보다 높다고 한다(Stein CJ, Colditz GA. The epidemic of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4; 89: 2522-2525. ;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 Apr 6; 404(6778): 635-43.). 이처럼 비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사회,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비만으로 인한 손실은 매우 크다. 미국의 경우, 미국인의 평균체중은 지난 90년대에 약 10파운드(4.5㎏)가 늘어났으며, 이 같은 체중증가로 인해 2000년 한 해 항공사들이 3억 5000만 갤런의 연료를 추가로 소모, 2억 7500만 달러의 비용이 더 들어갔고(Dannenberg AL, Burton DC, Jackson RJ.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sts of obesity: the impact on airlines. AM J Prev Med . 2004 Oct; 27(3): 264.) 비만으로 인해 매년 약 1170억 달러의 직간접 경비가 지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1년 ‘국민건강 영향조사’에 따르면 비만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이 1조 17억원에 달한다고 한다. 이러한 액수는 비만 관련 질병으로 인한 총진료비와 조기사망, 입원 등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을 합산한 것으로 국민의료비의 약 5%에 해당하는 높은 수치이다(보건복지부.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또한, 2000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적인 비만 치료제 시장은 약 13억 달러 규모였고, 2010년 경에는 8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비만은 한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병이 아니라 유전적, 환경-사회적, 정신적인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어느 한 가지 방법으로 치료하기는 어렵다. 즉, 비만은 에너지 소모량에 비해 에너지 섭취량이 많을 경우에 발생하기 때문에 비만치료는 결국 섭취하는 에너지 보다 소비하는 에너지를 많게 하여 에너지 불균형을 교정하는 것이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요법 등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방법과 약물치료 및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약물이나 수술적 치료에 앞서 생활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일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생활습관 교정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체중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많은 경우에 생활습관 교정과 함께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현재 미국 FDA가 장기사용을 승인한 비만치료 약물은 2가지 뿐으로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과 세로토닌(serotonin)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 시부트라민(sibutramine; Reductil®)과 췌장 및 소화기계에서 분비되는 리파제(lipase)를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오르리스타트(orlistat; Xenical)이 있다(Yanovski SZ, Yanovski JA. Obesity. N Engl J Med 2002; 346: 591-602.).
그러나 이 두 가지 약물 모두 몇 가지 제한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시부트라민(Sibutramine)의 경우 혈압상승, 불면증, 구강건조,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비교적 흔하고 심혈관질환,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박혜순. Sibutramine. 대한비만학회지 1998; 7(4): 270-3.). 오르리스타트(Orlistat)의 경우에는 설사, 지방변, 분실금 등의 부작용이 흔하고 한국인과 같이 지방섭취가 서양인에 비해 적은 경우에는 약물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는 점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김상만. Orlistat에 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998; 7(4): 287-92.). 또한 두 가지 약물 모두 아직까지는 장기간 사용시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만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물들의 한계점으로 인해 비만 억제 효과는 높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작용기전을 가진 약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므로,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한약제제가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연구를 수행한 결과, 마황 및 곤포, 또는 마황, 곤포 및 대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비만 억제에 효과적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마황 및 곤포, 또는 마황, 곤포 및 대황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비만 억제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마황 및 곤포, 또는 마황, 곤포 및 대황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황(麻黃, Herba Ephedrae)은 발한(發汗)과 해열진통작용, 평천(平喘)과 진해거담(鎭咳祛痰) 작용, 혈압 상승과 강하의 이중조절작용, 이뇨작용, 신장기능쇠약 개선작용, 소염작용, 알레르기 개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기와 상부 호흡기계 감염, 폐렴,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백일해, 저혈압, 심장질병, 피부점막질병, 신장염과 부종, 관절근육질병, 설사에 사용된다. 또한 마황탕(麻黃湯)의 구성약물로서, 태양병(太陽病)의 감기에 걸려 두통이 있고, 발열하나 바람기를 싫어하고 땀이 나지 않을 때 사용되고, 발열에 동반되는 관절통, 요통, 관절류머티즘의 급성기 및 천식에 사용된다(王本祥 主編. 現代中藥藥理與臨床. 天津: 天津科技飜譯出版公司, 2004, ISBN 7-5433-1801-6, 1448-1460. ; 王浴生鄧文龍薛春生 主編. 中藥藥理與應用 (第2版).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0, ISBN 7-117-03057-7/R3058, 1105-1119.).
곤포(昆布, Thallus Laminariae seu Eckloniae)는 갑상선기능 개선작용, 혈압강하작용, 항응고작용, 강심작용, 지질개선작용, 동맥경화 예방 및 억제작용, 항암작용이 있으며, 갑상선종, 고혈압증, 당뇨병, 뇌혈관병, 유행성출혈열, 백내장, 건해(乾咳, 마른기침)에 사용된다(王本祥 主編. 現代中藥藥理與臨床. 天津: 天津科技飜譯出版公司, 2004, ISBN 7-5433-1801-6, 910-914. ; 王浴生鄧文龍薛春生 主編. 中藥藥理與應用 (第2版).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0, ISBN 7-117-03057-7/R3058, 684-688.).
대황(大黃, Radix et Rhizoma Rhei)은 사하(瀉下) 작용, 간(肝) 보호작용, 췌장액 분비 촉진작용, 담즙분비 촉진작용, 항균(抗菌)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해열과 소염작용, 혈압강하와 지질대사 개선작용, 지혈작용, 면역기능의 이중조절 작용이 있으며, 급성감염성 고열과 변비, 유행성출혈열, 급성장페색, 각종 급성농약중독, 급성췌장염 고열, 급성담낭염, 상부 소화기계 출혈, 만성 신부전, 급성출혈괴사성 장염, 당뇨병성 신장병, 소화불량과 변비, 만성 위염과 소화성 궤양, 고지혈증, 임신고혈압증에 사용된다(王本祥 主編. 現代中藥藥理與臨床. 天津: 天津科技飜譯出版公司, 2004, ISBN 7-5433-1801-6, 115-123. ; 王浴生鄧文龍薛春生 主編. 中藥藥理與應用 (第2版).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0, ISBN 7-117-03057-7/R3058, 70-80.).
본 발명의 마황, 곤포 및 대황은 각각 그 자체로서도 약간의 비만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마황 및 곤포가 혼합된 경우 또는 마황, 곤포 및 대황이 혼합된 경우에 각각의 물질이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각각의 경우보다 우수하게 비만 억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곤포는 상승적 작용 외에 마황 및 대황의 가지고 있는 부작용, 예를 들어 마황의 주성분인 에페드린 알칼로이드에 의한 부작용 또는 대황의 주성분인 세노사이드(senoside)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마황 및 곤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마황 및 곤포를 30% 내지 50% : 50% 내지 7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마황 및 곤포를 35% 내지 45%: 55% 내지 65%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본 발명의 마황, 곤포 및 대황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마황, 곤포 및 대황을 10% 내지 50% : 20% 내지 50% : 20% 내지 5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20% 내지 40%: 20% 내지 40%로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성비는 각각의 생약성분이 갖는 유효용량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이 찾아낸 것이며, 그 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효과가 급격히 떨어지거나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마황 및 곤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마황과 대황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시킨다. 건조한 마황 및 곤포를 환류추출기 또는 전기약턍기에 넣고, 10배에 해당하는 1차 증류수를 가하고 탕액이 끓는 시점으로부터 22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한다. 상기 열수 추출액을 실온에서 식힌 후, 여과지로 감압 여과한다. 상기 여과액을 진공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면, 본 발명의 목적하는 조성물을 얻게 된다.
마황, 곤포 및 대황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마황, 곤포 및 대황을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시킨다. 건조한 마황과 곤포를 분쇄한 후 환류추출기에 넣고, 10배에 해당하는 1차 증류수를 가하고 탕액이 끓는 시점으로부터 21시간 50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한다. 또한 건조한 대황의 경우 이를 분쇄한 후, 10배에 해당하는 1차 증류수를 가하고 21시간 50분 동안 침지한다. 대황 침지액을 마황 및 곤포의 추출액에 가하여 약 10분동안 추가적으로 열수 추출한다. 상기 열수 추출액을 실온에서 식힌 후, 여과지로 감압 여과한다. 상기 여과액을 진공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면, 본 발명의 목적하는 조성물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의 마황 및 곤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마황, 곤포 및 대황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마황, 곤포 및 대황 각각을 투여한 경우, 마황 및 대황을 함께 투여한 경우 및 식이억제제로 사용되고 있는 리덕틸(reductil®)을 투여한 경우보다 마우스의 체중 증가를 감소시켰으며(도 1 및 2), 식이효율에 있어서도 더 낮은 값을 나타내어(도 3) 비만 억제에 유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렙틴(leptin) 및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의 농도에 있어서도 상기 다른 처리군에 비하여 상당한 정도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도 4 내지 6), 간 조직내 지방 함량을 측정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이 다른 처리군들에 비하여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7 및 도 8).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에 있어서 비만 억제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비만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심근경색 등의 각종 성인병 등을 예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혼합 생약재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를 함유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게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2/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용량은 100 내지 300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270mg/kg이며, 하루 1 내지 6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랫드에 경구 투여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투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1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억제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억제를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조성물 및 비교대조군의 제조
1-1. 경신강지환 0012(GGEx0012)의 제조
마황을 200mesh로 분쇄한 뒤에, 마황 500g과 물 5000㏄를 전기약탕기에 넣고 95℃에서 22시간 전탕하였다. 22시간 전탕한 뒤에 여과시키고 여과액은 Ilshin Programmable Freeze Dryer (South Korea, Ilshin Lab Co., Ltd.)를 이용하여 선반온도 40℃(콘덴서 -70℃), 진공 5mTorr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1-2. 경신강지환 0013(GGEx0013)의 제조
대황을 200mesh로 분쇄한 뒤에, 대황 500g과 물 5000㏄를 용기에 넣고 21시간 50분 동안 침지한 후 대황이 들어 있는 침지액을 전기약탕기에 넣고 10분간 전탕하였다. 이 전탕액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은 Ilshin Programmable Freeze Dryer (South Korea, Ilshin Lab Co., Ltd.)를 이용하여 선반온도 40℃(콘덴서 -70℃), 진공 5mTorr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1-3. 경신강지환 0014(GGEx0014)의 제조
곤포를 200mesh로 분쇄한 뒤에, 곤포 500g과 물 5000㏄를 전기약탕기에 넣고 95℃에서 22시간 전탕하였다. 22시간 전탕한 뒤에 여과시키고 여과액은 Ilshin Programmable Freeze Dryer (South Korea, Ilshin Lab Co., Ltd.)를 이용하여 선반온도 40℃(콘덴서 -70℃), 진공 5mTorr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1-4. 경신강지환 0015(GGEx0015)의 제조
마황과 대황을 각각 200mesh로 분쇄한 뒤에, 마황 50%, 대황 50%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마황은 마황무게의 10배의 물을 넣어 전탕하였고, 대황은 대황무게의 10배의 물을 넣고 21시간 50분간 침지하였다. 먼저 마황을 95℃에서 21시간 50분간 전탕한 뒤에, 다시 미리 담그어 놓았던 대황 침지물을 넣고 10분간 전탕하였다. 22시간 전탕한 뒤에 여과시키고 여과액은 Ilshin Programmable Freeze Dryer (South Korea, Ilshin Lab Co., Ltd.)를 이용하여 선반온도 40℃(콘덴서 -70℃), 진공 5mTorr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1-5. 경신강지환 0016(GGEx0016)의 제조
마황, 곤포를 각각 200mesh로 분쇄한 뒤에, 마황 40%, 곤포 60%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마황과 곤포를 배합한 전체무게의 10배의 물을 넣고 95℃에서 22시간 전탕하였다. 22시간 전탕한 뒤에 여과시키고 여과액은 Ilshin Programmable Freeze Dryer (South Korea, Ilshin Lab Co., Ltd.)를 이용하여 선반온도 40℃(콘덴서 -70℃), 진공 5mTorr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1-6. 경신강지환 0017(GGEx0017)의 제조
대황과 곤포를 각각 200mesh로 분쇄한 뒤에, 대황 50%, 곤포 50%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대황은 대황무게의 10배의 물을 넣고 21시간 50분간 침지하였고, 곤포는 곤포무게의 10배의 물을 넣고 전탕하였다. 먼저 곤포를 95℃에서 21시간 50분간 전탕한 뒤에, 다시 미리 담그어 놓았던 대황 침지물을 넣고 10분간 전탕하였다. 22시간 전탕한 뒤에 여과시키고 여과액은 Ilshin Programmable Freeze Dryer (South Korea, Ilshin Lab Co., Ltd.)를 이용하여 선반온도 40℃(콘덴서 -70℃), 진공 5mTorr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1-7. 경신강지환 0018(GGEx0018)의 제조
마황, 곤포, 대황을 각각 200mesh로 분쇄한 뒤에, 마황 40%, 곤포 30%, 대황 30%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마황과 곤포를 배합한 전체무게의 10배의 물을 넣어 전탕하였고, 대황은 대황무게의 10배의 물을 넣고 21시간 50분간 침지하였다. 먼저 마황과 곤포를 함께 95℃에서 21시간 50분간 전탕한 뒤에, 다시 미리 담그어 놓았던 대황 침지물을 넣고 10분간 전탕하였다. 22시간 전탕한 뒤에 여과시키고 여과액은 Ilshin Programmable Freeze Dryer (South Korea, Ilshin Lab Co., Ltd.)를 이용하여 선반온도 40℃(콘덴서 -70℃), 진공 5mTorr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1-8. 비교군으로서 리덕틸(reductil®)의 제조
양약대조군으로 미국 FDA에서 승인된 비만치료제 시부트라민(sibutramine; 한국애보트주식회사 수입판매)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체중에 대한 효과(동물실험)
2-1. 실험동물
공시동물로서는 중앙실험동물(Seoul, South Korea)에서 공급한 9주령의 C57BL/6J 마우스 수컷 5마리, ob/ob 마우스 수컷 45마리를 사용하였다. 각 군 당 5마리를 체중범위에 따른 무작위법에 의하여 군 분리를 실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1± 2 ℃, 습도 55±5 %, 환기 횟수 15~17 회/hour, 조도 150~300 lux, 그리고 조명은 12시간 명암 (점등: 06:00, 소등: 18:00)으로 조정하여 실험 기간동안 일정하게 SPF (specific pathogen free) 상태로 유지하였다. 고형사료 (Harlan, USA)와 물은 자유 급이와 급수를 시켰다.
2-2. 실험군 및 투여방법
군당 5마리 수컷(male)을 공시하였으며, GGEx0012는 경신강지환 0012를 1217㎎/㎏/day로 투여하였고, GGEx0013는 경신강지환 0013을 1217㎎/㎏/day로 투여하였고, GGEx0014는 경신강지환 0014를 1217㎎/㎏/day로 투여하였고, GGEx0015는 경신강지환 0015를 1217㎎/㎏/day로 투여하였고, GGEx0016는 경신강지환 0016을 1217㎎/㎏/day로 투여하였고, GGEx0017는 경신강지환 0017을 1217㎎/㎏/day로 투여하였고, GGEx0018는 경신강지환 0018을 1217㎎/㎏/day의 용량으로 투여하였으며, 리덕틸(reductil®)은 2.5㎎/㎏/day의 용량으로 11주간 사료에 혼합하여 투여하였다(표 1). 대조군인 C57BL/6J 군과 ob/ob-vehicle 군은 일반사료를 주어 사육하였다.
Group Number Sex Dose (㎎/㎏ BW)
C57BL/6J 5 Male 0
Ob/ob vehicle 5 Male 0
GGEx0012 5 Male 1217mg/㎏
GGEx0013 5 Male 1217mg/㎏
GGEx0014 5 Male 1217mg/㎏
GGEx0015 5 Male 1217mg/㎏
GGEx0016 5 Male 1217mg/㎏
GGEx0017 5 Male 1217mg/㎏
GGEx0018 5 Male 1217mg/㎏
reductil 5 Male 2.5mg/10ml
2-3. 체중에 대한 효과
각 실험군의 체중 증가 추이 결과를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GGEx0016 처리군은 비만대조군(vehicle),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및 GGEx0017 처리군과 비교대조군인 리덕틸(reductil®) 처리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체중 증가를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비만대조군(vehicle), GGEx0013, GGEx0014, GGEx0017 및 리덕틸(reductil®) 처리군에서 보다 더 현저하였다. 또한 GGEx0018 처리군은 GGEx0016처리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체중 증가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시예 1-5 및 1-7의 경신강지환 0016 및 경신강지환 0018을 투여한 GGEx0016 처리군 및 GGEx0018 처리군은 비만 억제 효과가 대조군 및 다른 처리군들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2-4. 식이효율
상기 2-3의 결과를 가지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된 식이효율을 비교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식이효율(feeding efficiency ratio: FER%) = 체중증가량(g)/사료섭취량(g)×100
상기 수학식 1의 식이효율에서 사료를 섭취하는 양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의 증가가 작다는 것은 비만 억제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식이효율은 비만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식이효율의 값이 작을수록 비만 억제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GGEx0016 처리군은 비만대조군(vehicle),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GGEx0017 및 리덕틸(reductil®) 처리군에 비하여 식이효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만대조군(vehicle), GGEx0012, GGEx0013 및 리덕틸(reductil®) 처리군에서 식이효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GEx0018 처리군은 GGEx0016 처리군의 식이효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이효 율이 대조군 및 다른 처리군들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실시예 1-5 및 1-7의 경신강지환 0016 및 경신강지환 0018을 투여한 GGEx0016 처리군 및 GGEx0018 처리군은 비만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 마우스의 혈액에 대한 생화학 분석
마우스의 혈액에 대한 생화학 분석을 위하여, 마우스 혈액 채취는 마우스를 12시간 절식시킨 후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로 마취한 다음 개복하여 복대정맥에서 혈액 5㎖을 채취하였으며, 혈장분리관(Gel and activator 5㎖, IMPROVE, Germany)을 이용하여 혈액을 실온에서 약 10분간 응고시킨 후, 냉장고속원심분리기 (HSL-05A, Hanil, Japan)를 이용하여 3,5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장은 냉장보관하고 혈액생화학분석기(Clima plus, RAL, USA)를 사용하여 혈장 내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TG), 렙틴(leptin) 및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의 양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4 내지 6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만인 경우 비만이지 않은 경우보다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가 증가함에 비추어, GGEx0016 처리군은 비만대조군(vehicle),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및 리덕틸(reductil®) 처리군에 비하여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농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 만대조군(vehicle),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및 리덕틸(reductil®) 처리군에서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GEx0018 처리군은 GGEx0016 처리군의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만인 경우 비만이지 않은 경우보다 혈중 렙틴(leptin) 농도가 증가함에 비추어, GGEx0016 처리군은 비만대조군(vehicle),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GGEx0017 및 리덕틸(reductil®) 처리군에 비하여 혈중 렙틴(leptin) 농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GEx0015 처리군에서 혈중 렙틴(leptin)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GEx0018 처리군은 GGEx0016 처리군의 혈중 렙틴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는 간장 독성과 심장의 질환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간장의 조직파괴에 의해 관상동맥이 지방질의 침착으로 폐쇄되면 국소적으로 심한 산소결핍이 되어 최종적으로는 심근조직이 국부적으로 변성하게 된다. 이 과정을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이라고도 부르며, 손상된 심근세포로부터 아미노기 전달효소가 분비되어 혈장 내의 GOT 양을 증가시킨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GGEx0016 처리군은 비만대조군(vehicle), GGEx0012, GGEx0013, GGEx0014, GGEx0015, GGEx0017 및 리덕틸(reductil®) 처리군에 비하여 혈중 GOT 농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만대조군(vehicle), GGEx0014 및 GGEx0017에서 혈중 GOT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GEx0018 처리군은 GGEx0016 처리군의 혈중 GOT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4 : 간조직의 지방 축적량 변화에 대한 영향
상기 실시예 3의 마우스들을 채혈 후에 부검하여 간조직을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조직은 10% phosphate-buffered formalin에서 하루 이상 고정하며 12시간 이상 흐르는 물에서 포말린(formalin)을 세척한 후 60% 에탄올에서 1시간, 70% 에탄올에서 1시간, 80% 에탄올에서 1시간, 90% 에탄올에서 1시간, 95% 에탄올에서 1시간, 100% 에탄올에서 1시간 씩 단계적으로 탈수시켰다. 자일렌(Xylen)에 1시간씩 3번의 투명과정 후 파라핀(paraffin)에 1시간 씩 2번 침투과정을 실시하였다. 포매과정(embedding)을 거쳐 약 3㎛의 두께로 박절(paraffin-section)하여 슬라이드 위에 조직을 얹고 건조시킨 후 hematoxylin-eosin 염색을 하였다. 이후 슬라이드의 물기를 없애고 mounting medium (Sigma, MO, USA)을 떨어뜨린 후 조직과 커버글래스 주위에 공기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커버글래스를 덮어 영구보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직의 사진촬영과 지방축적량 분석은 image analysis system (Image pro-plus, MD, USA)을 이용하였다.
도 7 및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전적으로 비만형질을 나타내는 ob/ob 마우스는 상당량의 지방이 축적된 지방간을 보여주었으나 이러한 ob/ob 마우스에 GGEx0013, GGEx0014, GGEx0016 및 GGEx0018를 처리하면 간의 지방축적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GGEx0016 처리군(p<0.001)과 GGEx0018 처리군(p<0.0005)에서 간의 지방 축적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의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급성독성실험을 하였다.
실험동물로 6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마리씩의 동물에 경신강지환 0016(GGEx0016) 및 경신강지환 0018(GGEx0018)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1g/kg/㎖의 용량으로 1회 단회 경구투여 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 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두 랫트에서 1g/kg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경신강지환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을 20~95 중량%로 비만 억제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본 발명의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을 0.2~1.0 중량%로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비만 억제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3.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을 0.5~5.0 중량%로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비만 억제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을 0.1~5.0 중량%로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비만 억제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을 10 중량%로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비만 억제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을 5~10 중량%로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비만 억제용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 및 농축하고, 분무 또는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경신강지환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종실류(검정콩 8중량%, 들깨 7중량%, 검정깨 7중량%)
경신강지환의 건조분말(3 중량%)
영지(0.5중량%)
지황(0.5중량%)
제제예 3 :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 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본 발명의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의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 스 1,000㎖에 가하여 비만 억제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4.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경신강지환0016 또는 경신강지환0018의 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비만 억제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현재까지 체중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리덕틸(reductil®) 등의 일반적인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비해 체중감소 및 지방조직의 감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마황, 곤포 및 대황을 포함하며, 상기 마황, 곤포 및 대황은 원료 생약의 중량기준으로 10% 내지 50%: 20% 내지 50%: 20% 내지 50%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마황, 곤포 및 대황을 포함하며, 상기 마황, 곤포 및 대황은 원료 생약의 중량기준으로 10% 내지 50%: 20% 내지 50%: 20% 내지 50%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070038134A 2007-04-19 2007-04-19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134A KR100888068B1 (ko) 2007-04-19 2007-04-19 비만 억제용 조성물
US12/596,018 US8404282B2 (en) 2007-04-19 2007-05-01 Compositions for suppressing obesity
PCT/KR2007/002135 WO2008146955A1 (en) 2007-04-19 2007-05-01 Compositions for suppressing obesity
EP07746291A EP2155220B1 (en) 2007-04-19 2007-05-01 Compositions comprising Herba Ephedrae and Thallus Laminariae seu Eckloniae for use in supressing obes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134A KR100888068B1 (ko) 2007-04-19 2007-04-19 비만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132A KR20080094132A (ko) 2008-10-23
KR100888068B1 true KR100888068B1 (ko) 2009-03-11

Family

ID=4007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134A KR100888068B1 (ko) 2007-04-19 2007-04-19 비만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04282B2 (ko)
EP (1) EP2155220B1 (ko)
KR (1) KR100888068B1 (ko)
WO (1) WO20081469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068B1 (ko) * 2011-03-15 2013-12-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205B1 (ko) * 2014-03-07 2016-12-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218A (ko) * 2000-11-13 2002-05-18 황성연 한약재 증류수를 이용한 다이어트 음료수 제조방법
KR20040107544A (ko) * 2003-06-13 2004-12-21 한호숙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용키트
KR20050028272A (ko) * 2003-09-18 2005-03-22 유한회사한풍제약 다이어트, 항당뇨, 고지혈증 및 항산화에 효과가 있는복합처방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CN1839978A (zh) * 2006-01-26 2006-10-04 葛强 一种减肥美容的药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18A (ja) * 1984-06-14 1986-01-07 Mibiyou Kenkyusho:Kk 肥満防止剤
JPH08191668A (ja) * 1994-11-18 1996-07-30 Lion Corp ペットフード
JP2000072642A (ja) * 1998-08-24 2000-03-07 Lion Corp スリミング剤
US20040071799A1 (en) * 2001-02-12 2004-04-15 Xiurong Xu Herb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ffecting weight loss in humans
KR100467057B1 (ko) * 2002-03-07 2005-01-24 최정헌 다시마·우뭇가사리 식이 영양식품 제조방법
US20040265398A1 (en) * 2002-04-25 2004-12-30 Fleischner Albert M. Herbal composition for weight control
KR100558770B1 (ko) * 2003-08-27 2006-03-10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다시마로부터 분리한 소장 내 포도당 흡수 저해물질 및 그정제방법
KR20050053069A (ko) * 2003-12-02 2005-06-08 대한민국(강릉대학교총장) 다시마 다당 및 올리고당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또는 비만의 개선 및 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0692560B1 (ko) * 2004-06-18 2007-03-13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및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218A (ko) * 2000-11-13 2002-05-18 황성연 한약재 증류수를 이용한 다이어트 음료수 제조방법
KR20040107544A (ko) * 2003-06-13 2004-12-21 한호숙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용키트
KR20050028272A (ko) * 2003-09-18 2005-03-22 유한회사한풍제약 다이어트, 항당뇨, 고지혈증 및 항산화에 효과가 있는복합처방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CN1839978A (zh) * 2006-01-26 2006-10-04 葛强 一种减肥美容的药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068B1 (ko) * 2011-03-15 2013-12-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5220A4 (en) 2011-04-20
WO2008146955A1 (en) 2008-12-04
US8404282B2 (en) 2013-03-26
EP2155220A1 (en) 2010-02-24
KR20080094132A (ko) 2008-10-23
EP2155220B1 (en) 2012-10-24
US20100215688A1 (en)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804B1 (ko) 참당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한방소스 제조방법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313284B1 (ko) 총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70090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88002B1 (ko) 초음파 처리된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WO2005094858A1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3657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78199B1 (ko)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54031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36068B1 (ko)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157214B1 (ko) 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811210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1241338B1 (ko) 편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7991B1 (ko)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5366A (ko)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118945A (ko)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00045036A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15423A (ko) 아위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20034554A (ko)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