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554A -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554A
KR20120034554A KR1020110079721A KR20110079721A KR20120034554A KR 20120034554 A KR20120034554 A KR 20120034554A KR 1020110079721 A KR1020110079721 A KR 1020110079721A KR 20110079721 A KR20110079721 A KR 20110079721A KR 20120034554 A KR20120034554 A KR 20120034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abetes
composition
angelica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화
구세광
예인해
이한창
Original Assignee
제일약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약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약품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1/00591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21014A2/ko
Publication of KR2012003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추출물 및 산마늘(Wild Garlic Leaves)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은 우수한 항 비만, 혈당강하, 항 고지혈증, 간 보호 및 신장보호 효과를 나타내므로 당뇨병 및 당뇨병성 비만, 혈당증가,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 경화증, 뇌졸증, 간 손상, 신장 손상, 면역억제, 안구 손상 등의 당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또한, 항 비만 효과가 우수하므로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or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comprising an extract of Korea angelica roots and wild garlic leave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대표적인 만성 성인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당뇨병 환자는 전체 인구의 약 5%정도로 최소한 250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당뇨병(Diabetes)은 혈중에 있는 당분이 인슐린 분비의 부족이나 인슐린의 작용 및 기능 부족으로 인해 에너지로 사용되지 못하고 혈액에 남아 있게 되는 질병이다.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식생활의 서구화, 비만증,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을 들을 수 있다. 현재 미국, 유럽 및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비만 및 당뇨병의 증가로 인한 사회 경제적인 파장이 엄청나며, 한국의 경우도 경제적 발전으로 인해 당뇨병 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여 2025년경에는 3억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Kim, Y., Diabetes Care, 1995, 18:545-548).
당뇨병은 크게 인슐린 의존성인 제1형 당뇨병과 비의존성 제2형 당뇨병으로 나눌 수 있다. 제1형 당뇨병 환자는 유전적 원인 또는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하여 인슐린을 거의 분비하지 못하며, 제2형 당뇨병 환자는 분비되는 인슐린의 양은 정상이다. 많은 경우 비만을 동반하는 제2형 당뇨병은 혈중 내 지방산의 증가로 인하여 인슐린 저항성이 유도되어 포도당 대사에 이상이 발생하여 결국 혈중 내 혈당이 높아지는 질환이며, 아울러, 췌장소도의 기능 부전 및 이로 인한 인슐린 분비의 이상과 신호 전달 이상이 제2형 당뇨병의 원인으로 또한 생각된다.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 병인의 주요 요소로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90%이상에서 나타나며, 고혈당이 나타나기 수년 전부터 선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Haffner S M, et al. JAMA, 1990, 263:2893-2898). 인슐린 저항성과 이에 따른 대사 이상 및 혈관계 이상들의 집합체를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insulin resistance syndrome) 또는 대사 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라 한다. 인슐린 저항성과 대사증후군은 심혈관계 질환, 특히 관동맥 질환의 위험도 증가와 연관성이 있으며(Isomaa B, et al. Diabetes Care , 2001, 24:683-9), 대사증후군으로 인해 관동맥 질환의 위험도와 사망률을 3배 정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Lakka H, et al. JAMA , 2002, 288:2709-2716).
대사증후군이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관상 또는 동맥경화증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는 질환을 일컫는 것으로서 1988년 Reaven(Reaven GM, Diabetes , 1988, 37:1595-1607)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되었다. 대사증후군은 인슐린저항성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 과체중이나 비만을 동반하고 있다. 대사증후군은 또한 심혈관질환의 위험 인자이며,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제1형 당뇨병과 달리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제2형 당뇨병 환자가 대사증후군을 동반할 때 사망률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Bonora E, et al. Diabet Med ., 2004, 21:52-8; Ford ES, Diabetes Care ., 2005, 28:1769-78; Alexander CM, et al. Diabetes , 2003, 52:1210-1214). 또한, 제2형 당뇨병의 대혈관 및 미세혈관 합병증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의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어 있다(Mykkanen L, et al. Diabetologia ., 1993, 36:553-559; Haffner SM, et al. Diabetes, 1992, 41:715-722).
대사증후군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당뇨병성 망막증, 신증, 신경병증, 고지혈증, 심혈관질환(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증,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만성 합병증의 발생이다(Wolf SP, Br Med Bull ., 1993, 49:642-652). 이러한 만성 합병증은 대부분 일단 발생 된 이후에는 비가역적인 진행과정을 밟게 되며 아직까지는 이러한 과정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적절한 치료가 병행되지 않을 경우, 심각한 증상을 초래하여 환자를 죽음에까지 이르게 한다. 그러므로 복합적 증상을 갖는 대사증후군의 효과적인 관리 또는 치료를 위해서는 정상 혈당의 유지를 위한 혈당강하 효과와 동시에 신병증, 간병증, 고지혈증 등을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이상적이나, 아직까지 이러한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았으며, 혈당강하제, 혈압강하제, 콜레스테롤 치료제등을 각각 개별적으로 별도로 복용하고 있다.
종래의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생약 복합조성물에는, 오수유(Evodiae Fructus), 백모근(Imperatae Rhizoma) 및 청피(Citrus Unshiu Markovich)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Obesity) 및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or Syndrome X)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114093호에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956278호에는 여주, 동충하초, 지골피, 상백피, 귀전우, 갈근, 황정, 백출, 맥문동, 산수유, 인삼을 포함하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025990호에는 백강잠, 홍삼, 파극천, 당귀신, 구기자, 복분자, 자황기, 육종용, 구판, 용골, 쇄양, 황정, 원지, 곡정초, 용안육, 숙지황, 우슬, 홍조, 산약, 포부자, 오미자, 백복신, 속단, 여정자, 차전자, 녹용, 해마 및 합개로 구성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빛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나아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0059952호에는 변방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즉, 대황, 차전자, 토사자, 지실, 방풍, 독활로 이루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귀화 식물로서 한국산 당귀를 참당귀라고 하며, 일본이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60-90 ㎝이고, 꽃은 흰색으로 8-9월에 가지 끝에 달리며, 열매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뿌리를 당귀라고 하는데, 보혈의 효능이 있으므로 얼굴에 핏기가 없고 현기증이 자주 나며 눈과 입술에 윤기가 없는 사람에게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몸이 허약하여 오는 두통, 여성들의 월경 조절 효능이 뛰어나므로 산전이나 산후의 여러 질병에 자주 사용되며, 월경불순, 복통을 치료한다. 위장의 기능이 약해서 오는 변비 치료에 효과가 있다(배기환 저, 민간요법과 한방요법에 따른 건강지침서 원색도감, 2003, 102-103).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당귀의 성분으로는 쿠마린(coumarine)계 물질인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노다케네틴(nodakenetin), 움벨리페론(umbelliferon), 노다 케닌(nodaken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안젤란-Ⅰ, 안젤란-Ⅱ 등이 있다. 단리 된 데커신과 데커시놀은 토끼 적출 장관을 마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고, 개구리 적출심장에 대하여는 억제작용 그리고 토끼의 호흡 억제와 혈압강하 작용이 보고되었으며 생쥐의 자발작용을 억제한다는 보고도 있다(생약학회지 1970, 1, 1:25-32). 또한, 항혈전작용, 조혈작용, 심장수축억제작용, 혈관이완작용, 혈중지질농도 강하를 통한 죽상동맥경화 억제작용, 면역조절작용, 항암작용 및 항염증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Chung B. S., et al, HyangyakDaesacheon: Youngrimsa, 1998, 406-408). 최근에는 데커신이 단백질 인산화효소 C(protein kinase C)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펙틴질 다당류인 안젤란-Ⅰ, 안젤란-Ⅱ 등이 항암제또는 면역 증강제로서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고(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0031277호), 신장독성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신장독성 억제제로서 특히, 항암제또는 당뇨병 치료제조성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0080265호).
또한, 당귀추출물은 마우스 골격근육세포인 C2C12 myotube에서 5' AMP-활성화 단백질 인산화 효소(5' AMP activated protein kinase, AMPK)의 활성 및 포도당의 흡수를 촉진시켜 혈당을 조절함으로 당뇨로 인하여 발생 되는 각종 질병들을 예방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고(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111657호), 당뇨성 질환에서의 중성지방(trigyceride)의 혈중농도는 감소시키고 HDL 콜레스테롤의 혈중농도를 높이는 지질대사개선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078267호).
산마늘(Allium victorialis subsp. platyphyllum)은 전지역에 고루 분포하고 있는 외떡잎 식물 백합 목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산마늘의 부위별 추출물은 식용이 가능하고, 전통적으로 감기나 항세균, 소화, 건위 등의 용도로 한방에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잠재적인 항 혈전 작용을 가지는 황 화합물과 항 혈소판 응집 활성이 보고되었다(Wijaya, C. H. et al., Nat . Prod . Sci., 1996, 2, 37-42; Liakopoulou-Kyriakides, M. et al., Phytochem., 1985, 24, 600-601). 또한, 산마늘 추출물의 효과에 대해서는 널리 연구되어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50362호), 간 보호 또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102572호), 당뇨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043092호) 등이 보고되었고, 최근에는 항산화제용 또는 항균제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100732호), 암 발생 또는 진행 시에 나타나는 병리 현상인 간극 결합부의 세포 내 신호전달(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GJIC) 억제를 회복시켜,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100573호)등이 보고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중에서 당뇨병 또는 당뇨병 합병증에 효과적인 물질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이 개별 추출물의 합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을 치료 및 개선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1:4-6 또는 2-4:1로 혼합된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1:4-6 또는 2-4:1로 혼합된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1:4-6 또는 2-4:1로 혼합된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1:4-6 또는 2-4:1로 혼합된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의 조성비율이 1:4-6 또는 2-4:1인 경우에서 개별 추출물의 효과의 합에 비하여 더 우수한 항 비만, 혈당강하, 항 고지혈증, 간 보호 및 신장보호 효과를 나타내므로 당뇨병 및 당뇨병성 비만, 혈당증가,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 경화증, 뇌졸증, 간 손상, 신장 손상, 면역억제, 안구 손상 등의 당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또한, 항 비만 효과가 우수하므로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여군에 대한 증체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여군에 대한 난소주위 지방세포의 직경 및 복벽지방세포의 직경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과 산마늘 추출물은 중량비가 1:4-6 또는 2-4:1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또는 4: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비만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합병증인 당뇨병성 비만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체중에 미치는 영향, 난소주위 지방중량 변화, 난소주위 지방세포 직경의 변화 및 복벽 지방세포 직경의 변화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체중 감소, 난소주위 지방중량 감소, 난소 주위 지방세포 크기 감소, 복벽 지방세포 크기 감소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성 비만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실시예 1 및 6, 도 1-2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혈당강하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혈당강하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2 및 7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 고지혈증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혈중 총 콜레스테롤 및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의 변화, 혈중 저밀도지단백(LDL) 및 혈중 고밀도지단백(HDL)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감소, 혈중 LDL 함량 감소 및 혈중 HDL 함량 증가(실시예 3 및 8 참조), 췌장섬의 수의 증가, 췌장섬의 직경 증가 및 췌장섬 내 글루카곤 면역반응세포의 수의 감소에 따라 췌장 B 세포에 대한 보호 효과(실시예 11 참조)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간 보호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간 중량의 변화, 혈중 아스파탐아미노전이효소(AST) 및 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ALT)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 간 중량 증가, 혈중 AST 함량 감소 및 혈중 ALT 함량 감소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4 및 9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신장보호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혈중 요소질소(BUN) 및 크레아티닌 함량의 변화 및 변성 세뇨관 수의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 혈중 BUN 함량 감소, 혈중 크레아티닌 함량 감소, 변성 세뇨관 수 감소 및 신장 중량 감소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5, 10 및 12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면역활성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가슴샘 중량의 변화, 비장 중량의 변화, 가슴샘 소엽 전체 두께의 변화, 가슴샘 피질 두께의 변화, 비장 전체 두께의 변화, 비장 백색수질의 평균 직경의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 가슴샘 중량 증가, 비장 중량 증가, 가슴샘 소엽 전체 두께 증가, 가슴샘 피질 두께 증가, 비장 전체 두께 증가 및 비장 백색수질의 평균 직경 증가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13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안구보호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백내장 육안 수치의 변화, 백내장 정량 이미지 수치의 변화, 수정체 손상 수치의 변화, 수정체 손상부위의 두께의 변화, 망막 전체 두께의 변화, 망막 속 얼기층 두께의 변화, 망막 속 핵층의 두께의 변화 및 속경계막 내에 존재하는 혈과의 수의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 백내장 육안 수치 감소, 백내장 정량 이미지 수치 감소, 수정체 손상 수치 감소, 수정체 손상부위의 두께 감소, 망막 전체 두께 증가, 망막 속 얼기층 두께 증가 및 망막 속 핵층의 두께 증가 및 속경계막 내에 존재하는 혈과의 수 감소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1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은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비만, 혈당의 증가, 고지혈증, 간손상, 신장손상, 면역활성 및 안구보호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이고, 상기 당뇨 합병증으로는 당뇨성 신변증, 당뇨성 간변증, 고혈압, 동맥 경화증, 뇌졸증, 심부전증, 면역억제 및 당뇨성 망막증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은 중량비가 1:4-6 또는 2-4:1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또는 4: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조성물은 체중을 감소, 난소주위 지방중량 감소, 난소주위 지방세포 크기 감소, 복벽 지방세포 크기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항 비만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 유발되는 합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실시예 1 및 6, 도 1-2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조성물은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 유발되는 합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실시예 2 및 7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조성물은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혈중 저밀도지단백(LDL)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고, 혈중 고밀도지단백(HDL) 함량 증가 효과를 나타내며(실시예 3 및 8 참조), 췌장섬의 수, 췌장섬의 직경 증가 및 췌장섬 내 글루카곤 면역반응세포의 수의 감소하므로 췌장 B 세포에 대한 보호 효과(실시예 11 참조)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 유발되는 합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조성물은 간 중량 감소, 혈중 아스파탐아미노전이효소(AST) 함량 감소 및 혈중 아미노전이효소(ALT)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간 보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 유발되는 합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실시예 4 및 9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조성물은 혈중 요소질소(BUN) 및 혈중 크레아티닌의 함량 감소, 변성 세뇨관의 수의 감소 효과 및 신장 중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신장보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 유발되는 합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실시예 5, 10 및 12 참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조성물은 가슴샘 중량 증가, 비장 중량 증가, 가슴샘 소엽 전체 두께 증가, 가슴샘 피질 두께 증가, 비장 전체 두께 증가 및 비장 백색수질의 평균 직경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면역활성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합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실시예 13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조성물은 백내장 육안 수치 감소, 백내장 정량 이미지 수치 감소, 수정체 손상 수치 감소, 수정체 손상부위의 두께 감소, 망막 전체 두께 증가, 망막 속 얼기층 두께 증가 및 망막 속 핵층의 두께 증가 및 속경계막 내에 존재하는 혈과의 수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안구보호 활성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합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실시예 1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은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비만, 혈당의 증가, 고지혈증, 간손상, 신장손상, 면역활성 및 안구보호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과 산마늘 추출물은 중량비가 1:4-6 또는 2-4:1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또는 4: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체중 감소, 난소주위 지방중량 감소, 난소 주위 지방세포 크기 감소, 복벽 지방세포 크기 감소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당뇨병성 비만질환뿐만 아니라 통상의 비만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은 중량비가 1:4-6 또는 2-4:1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또는 4: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조성물은 체중을 감소, 난소주위 지방중량 감소, 난소주위 지방세포 크기 감소, 복벽 지방세포 크기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항 비만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비만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실시예 1 및 6, 도 1-2 참조).
나아가,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과 산마늘 추출물은 중량비가 1:4-6 또는 2-4:1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또는 4: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 난소주위 지방중량 감소, 난소주위 지방세포 크기 감소, 복벽 지방세포 크기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항 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1 및 6, 도 1-2 참조).
나아가,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2 및 7 참조).
또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혈중 저밀도지단백(LDL)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고, 혈중 고밀도지단백(HDL) 함량 증가 효과를 나타내며(실시예 3 및 8 참조), 췌장섬의 수, 췌장섬의 직경 증가 및 췌장섬 내 글루카곤 면역반응세포의 수의 감소하므로 췌장 B 세포에 대한 보호 효과(실시예 11 참조)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간 중량 감소, 혈중 아스파탐아미노전이효소(AST) 함량 감소 및 혈중 아미노전이효소(ALT)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간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4 및 9 참조).
또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혈중 요소질소(BUN) 및 혈중 크레아티닌의 함량 감소, 변성 세뇨관의 수의 감소 효과 및 신장 중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신장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5, 10 및 12 참조).
나아가,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가슴샘 중량 증가, 비장 중량 증가, 가슴샘 소엽 전체 두께 증가, 가슴샘 피질 두께 증가, 비장 전체 두께 증가 및 비장 백색수질의 평균 직경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면역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13 참조).
또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백내장 육안 수치 감소, 백내장 정량 이미지 수치 감소, 수정체 손상 수치 감소, 수정체 손상부위의 두께 감소, 망막 전체 두께 증가, 망막 속 얼기층 두께 증가 및 망막 속 핵층의 두께 증가 및 속경계막 내에 존재하는 혈과의 수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안구보호 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합병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1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은 당뇨병 또는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비만, 혈당의 증가, 고지혈증, 간손상, 신장손상, 면역활성 및 안구보호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의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을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에 의해 예방 또는 개선될 수 있는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이고, 상기 당뇨 합병증으로는 당뇨성 신변증, 당뇨성 간변증, 고혈압, 동맥 경화증, 뇌졸증, 심부전증, 면역억제 및 당뇨성 망막증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과 산마늘 추출물은 중량비가 1:4-6 또는 2-4:1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또는 4: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체중 감소, 난소주위 지방중량 감소, 난소 주위 지방세포 크기 감소, 복벽 지방세포 크기 감소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으로부터 유발되는 당뇨병성 비만질환뿐만 아니라 통상의 비만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투여용량의존적으로 우수한 항비만, 항고지혈증, 혈당강하, 간보호 효과, 신장보호 효과, 면역활성 효과 및 안구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대조약물과의 복합조성물 투여군에서 두배용량의 대조약물 투여군과 비교시 동등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상기조성물과 다른 여러 가지 약물과의 조합에 의해 더 우수한 항비만, 항고지혈증, 혈당강하, 간보호 효과, 신장보호 효과, 면역활성 효과 및 안구보호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랫트에서 단회경구 투여독성 실험의 결과 한계용량인 2000 mg/kg까지 사망례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실험 결과 음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어 의약품, 건강식품 및 식품등으로 사용하기 안전한 조성물임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5 및 1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당귀 및 산마늘은 재배한 것, 채취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당귀 및 산마늘은 식물 전체를 이용할 수 있고, 잎, 줄기 또는 뿌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귀 및 산마늘은 생육단계 중 모든 시기가 사용 가능하다.
상기 당귀 및 산마늘 추출시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물, C1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당귀 및 산마늘 건조 중량의 2-30배로 함이 바람직하고, 20배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당 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온하며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추출 회수는 1-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1회-5회 추출될 수 있다. 추출 시 온도는 10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시간은 1일-7일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일-7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조성물은 60-70 ℃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여 연조엑기스로 제조하거나, 동결건조 하거나 스프레이 드라이어 또는 유동층 조립기를 이용하여 건조함으로써 분말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조성물을 0.1-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등의 희석제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슈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강, 설하, 비강, 직장 또는 피하내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나,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상인(표준 체중 60 kg)을 기준으로 10-1000 mg 투여범위 내에서 1일 1회-3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제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조성물은 당뇨병, 당뇨 합병증 또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상기 복합조성물을 식품, 음료 등의 건강보조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복합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복합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20 g, 바람직하게는 약 5-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및 천연 풍미제등의 풍미제, 착색제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1-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제조
본 실험에서 사용된 당귀(當歸)는 참당귀(Angelica Gigas Radix)로 강원도 평창에서 채취한 것이며, 산마늘(Wild Garlic Leaves)은 전라남도 남원에서 채취한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상기 당귀 100 g 및 산마늘 50 g에 50%에탄올 2.7 ℓ를 넣고, 항온조(water bath, 동서과학 DS-SWB-4)를 이용하여 당귀는 60 ℃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고, 산마늘은 80 ℃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한 여과액을 진공회전증발농축기(BUCHI Rotavapor R-144, swizerland)를 이용하여 농축액을 얻고, 다시 이를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분말을 얻었다. 그 결과, 당귀는 32%의 수율로 동결건조 추출물 32 g을 얻었고, 산마늘은 18%의 수율로 10.8 g을 얻었다. 상기 동결 건조한 추출물 분말은 증류수에서 10 mg/ ㎖ 농도로 용해되었으며, 각각 약한 갈색과 진한 갈색으로, 빛과 변성으로부터 차단된 -20 ℃ 냉동실에 보관하였다.
< 실시예 1>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 동물모델의 제조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에 따른 항비만, 혈당강하, 항 고지혈증, 간 보호 및 신장보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준비된 고지방 사료(HFD)를 공급한 마우스는 당뇨 및 이와 관련된 대사증후군 치료제개발에 가장 널리 이용되는 동물 모델로써(Sone H et al., Trends Mol Med . 2001, 7:320-2; Park SH et al., J Ethnopharmacol ., 2005, 102:326-35), 고지방 사료 공급에 의해 비만이 초래되고, 일반적으로 고혈당, 인슐린 저항성, 지방간, 신장변성 및 고지혈증이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urwit RS et al., Diabetes ., 1988, 37: 1163-7; Thupari JN et al.,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 2004, 287:E97-E104; Yun SN et al., Arch Pharm Res ., 2004, 27:790-6).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를 각 실험군 당 7마리를 1군으로 하여 총 18군(126 마리)을 사용하였고, 일반 설치류용 사료(superfeed Co., Korea)를 먹인(Normal)군과 45%/Kcal 고지방사료(D12451; Diet reserch, PA, USA)를 먹인 군(Control)으로 나누었다. 실험기간 동안 사료와 물은 낮 동안에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동물 사육실의 온도는 20-25 ℃이고, 습도는 40-45 ℃로 유지시키고, 12시간 마다 낮과 밤이 반복되도록 사육실내 명암주기(light-dark cycle)를 조절하여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상기 일반 사료 및 고지방 사료의 성분은 하기 표 1에 기술하였다.
성분 일반사료
(g/kg diet)
고지방 사료(HFD) 사료
(g/kg diet)
카제인 200 200
L-카제인 3 3
옥수수 전분 150 72.8
슈크로즈 500 172.8
셀룰로스 50 50
콩 기름 50 25
라드 0 177.5
미네랄 혼합물 35 10
비타민 혼합물 10 10
주석산수콜린 2 2
에너지(kcal/kg) 0.21 4.73
단백질(%kcal/kg) 13.3 20
탄수화물(%kcal/kg) 47.4 35
지방(%kcal/kg) 8.0 45
섬유질(%kcal/kg) 8.0 8.0
시험물질의 제조
상기 제조예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을 표 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총 11종의 복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대조약물로는 심바스타틴(Wha Pharm. Ind. Co., Ltd., Korea), 실리마린(Sigma, MO, USA), 메트포르민(Wako Pure Chemical, Osaka, Japan)을 사용하였다. 상기 대조약물은 빛과 습기가 차단 되도록 냉동보관하였다.
당귀:산마늘 비율
1 당귀(50 mg):산마늘(50 mg) 1:1
2 당귀(33 mg):산마늘(67 mg) 1:2
3 당귀(20 mg):산마늘(80 mg) 1:4
4 당귀(14 mg):산마늘(86 mg) 1:6
5 당귀(11 mg):산마늘(89 mg) 1:8
6 당귀(9 mg):산마늘(91 mg) 1:10
7 당귀(67 mg):산마늘(33 mg) 2:1
8 당귀(80 mg):산마늘(20 mg) 4:1
9 당귀(86 mg):산마늘(14 mg) 6:1
10 당귀(89 mg):산마늘(11 mg) 8:1
11 당귀(91 mg):산마늘(9 mg) 10:1
시험물질의 투여
상기 제조된 복합조성물은 증류수에 직접 녹여 사용하였고, 고지방 사료를 공급하고 일주일 후부터 각 군당 7마리씩 총 18개 군으로 나누어 84일간 하루에 한 번씩 10 ㎖/kg로 경구투여 하였다. 11종류의 복합조성물과 2종류의 단일 추출물들은 100 mg/kg으로 투여되었고,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및 메트포르민은 각각 10, 100, 250 mg/kg으로 투여되었다. 약물 투여 종료시 체중의 표준편차가 큰 두 마리를 각 군에서 제외하였다. 하기 표 3에 물질의 조성 및 투여군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사료 농도(mg/kg/day) 투여약물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일반 10 ㎖/kg 증류수
HFD 10 ㎖/kg 증류수

대조약물투여군
HFD 10 mg/kg 심바스타틴 100 mg/증류수 10 ㎖
HFD 100 mg/kg 실리마린 100 mg/증류수 10 ㎖
HFD 250 mg/kg 메트포민 250 mg/증류수 10 ㎖
단독투여군
HFD 100 mg/kg 당귀 100 mg/증류수 10 ㎖
HFD 100 mg/kg 산마늘 100 mg/증류수 10 ㎖



당귀:산마늘
복합조성물
투여군
(mg/mg)


HFD 100 mg/kg(1:1) 당귀:산마늘 50:50 mg/mg/증류수 10 ㎖
HFD 100 mg/kg(1:2) 당귀:산마늘 33:67 mg/mg/증류수 10 ㎖
HFD 100 mg/kg(1:4) 당귀:산마늘 20:80 mg/mg/증류수 10 ㎖
HFD 100 mg/kg(1:6) 당귀:산마늘 14:86 mg/mg/증류수 10 ㎖
HFD 100 mg/kg(1:8) 당귀:산마늘 11:89 mg/mg/증류수 10 ㎖
HFD 100 mg/kg(1:10) 당귀:산마늘 9;91 mg/mg/증류수 10 ㎖
HFD 100 mg/kg(2:1) 당귀:산마늘 67:33 mg/mg/증류수 10 ㎖
HFD 100 mg/kg(4:1) 당귀:산마늘 80;20 mg/mg/증류수 10 ㎖
HFD 100 mg/kg(6:1) 당귀:산마늘 86:14 mg/mg/증류수 10 ㎖
HFD 100 mg/kg(8:1) 당귀:산마늘 89:11 mg/mg/증류수 10 ㎖
HFD 100 mg/kg(10:1) 당귀:산마늘 91:9 mg/mg/증류수 10 ㎖
본 발명의 모든 고지방 사료(HFD) 공급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사료 섭취 중량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열량적 측면에서 보면, 본 실험에 사용한 고지방사료의 열량(4.73 kcal/g)이 정상 사료(0.21 kcal/g)에 비해 대략 20배 정도 높으므로(표 1 참조), 비만 유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일부 복합조성물 투여군에서 유의성 없는 사료 섭취량의 증가가 인정된 이외에, HFD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사료 섭취량의 변화는 모든 투여군에서 인정되지 않아, 본 발명에서 인정된 약리효과들이 사료 섭취량 감소에 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지방축적은 비만 시 초래되는 가장 일반적인 현상으로 조직병리학적 검사 시 지방세포의 비대가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iGirolamo M et al., Am J Physiol., 1998, 274:R1460-7; Morange PE et 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0, 20:1150-4). 지방조직은 단순 에너지 저장소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내분비와 분비를 동시에 수행하는 장기이며,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생리활성물질인 아디포카인(Adipokine)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ujita H et al., Endocr J. 2005, 52:427-33). 아디포카인(Adipokine)의 분비 변화는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과 같은 복합적인 질병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itchell M et al., Reproduction ., 2005, 130:583-97).
(1) 체중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체중변화를 도 1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체중증가
적응기간
(7일)
투여기간
(84일)
HFD 대조군
대비%
대조군
정상군 1.56±0.08 3.24±3.94
HFD 4.50±1.77 22.56±7.44 596.30(정상군 대비)

대조약물
투여군
심바스타틴 5.54±3.67 15.76±7.22 -30.14
실리마린 5.62±3.07 15.50±13.21 -31.29
메트포르민 3.58±1.95 9.00±3.00 -60.11
단독
투여군
당귀 6.16±1.78 12.64±6.86 -43.97
산마늘 5.70±1.58 13.02±2.39 -42.29




당귀:산마늘
복합
조성물
투여군
(mg/mg)

1:1 4.38±1.49 15.66±8.55 -30.59
1:2 5.32±2.24 16.62±7.04 -26.33
1:4 4.50±0.77 10.34±6.07 -54.17
1:6 5.18±1.32 11.76±4.73 -47.87
1:8 3.40±2.78 13.74±1.83 -39.10
1:10 4.38±0.94 13.76±4.10 -39.01
2:1 5.19±1.22 11.81±4.82 -47.65
4:1 5.16±1.28 9.24±3.15 -59.04
6:1 4.24±1.36 24.36±4.70 7.98
8:1 5.40±2.41 19.88±2.62 -11.88
10:1 5.72±1.57 16.44±5.99 -27.13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체중이 596.30% 높게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및 메트포르민을 투여한 군,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을 각각 단독투여한 군 및 HFD 대조군과 유사한 체중 증가를 나타낸 당귀:산마늘의 조성비가 6:1인 복합조성물군을 제외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11.88-54.17%의 체중감소를 나타내었고, 당귀:산마늘의 비율이 1:4-6 및 2-4:1인 경우, 47.65-59.04%로 현저한 체중감소를 나타내었고,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의 투여군에서는 각각 54.17% 및 59.04%로 체중 감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당귀 단독투여시(43.97%) 및 산마늘 단독투여시(42.29%)의 체중 감소 효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특히, 당귀:산마늘의 중량비가 4:1인 경우, HFD 대조군에 비해 체중 감소 효과가 59.04%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 항 비만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난소주위의 지방중량의 변화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난소주위의 지방중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난소주위 지방중량
절대중량
(g)
상대중량
(체중대비 g)
HFD 대조군
대비%
대조군
정상군 0.075±0.078 0.211±0.212
HFD 0.718±0.107 1.273±0.219 503.32(정상군 대비)

대조약물
투여군
심바스타틴 0.457±0.281 0.895±0.417 -29.69
실리마린 0.547±0.416 0.946±0.647 -25.69
메트포르민 0.226±0.092 0.524±0.188 -58.84
단독
투여군
당귀 0.453±0.093 0.961±0.162 -24.51
산마늘 0.422±0.122 0.897±0.230 -29.54




당귀:산마늘
복합
조성물
투여군
(mg/mg)

1:1 0.415±0.207 0.813±0.313 -36.14
1:2 0.395±0.174 0.755±0.225 -40.69
1:4 0.264±0.123 0.582±0.238 -54.28
1:6 0.342±0.117 0.734±0.189 -42.34
1:8 0.486±0.184 0.974±0.361 -23.49
1:10 0.436±0.182 0.891±0.300 -30.01
2:1 0.386±0.157 0.733±0.240 -42.42
4:1 0.236±0.093 0.540±0.200 -57.58
6:1 0.504±0.117 0.860±0.158 -32.44
8:1 0.478±0.024 0.880±0.039 -30.87
10:1 0.396±0.118 0.783±0.219 -38.49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난소 주위 지방의 중량이 정상대조군 보다 503.32%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 투여군 중 체중대비 상대중량이 증가한 6:1의 조성비를 갖는 복합조성물 투여군을 제외한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및 메트포르민을 투여한 군,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의 단독 투여군 및 10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복합조성물 투여군이 HFD 대조군에 비해 난소주위의 지방중량이 24.51-57.58%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투여군 중에서 당귀:산마늘의 중량비가 1:2-6, 2-4:1 및 10:1인 경우 난소 주위 지방 중량이 38.45-57.58%로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의 단독 투여군에 비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의 투여군에서는 각각 54.28% 및 57.58%로 난소주위 지방중량 감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당귀 단독투여시(24.51%) 및 산마늘 단독투여시(29.54%)의 난소주위 지방중량 감소 효과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귀:산마늘의 중량비가 4:1인 경우, 대조군에 비해 난소 주위 지방 중량 감소 효과가 57.58%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 항 비만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3) 난소주위의 지방세포 직경의 변화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난소주위의 지방세포 직경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직경(μm)
난소주위
지방세포
HFD 대조군
대비%
대조군
정상군 86.68±7.73
HFD 281.75±28.75 225.05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
투여군
심바스타틴 226.62±26.78 -19.57
실리마린 230.67±25.04 -18.13
메트포르민 132.99±17.12 -52.80
단독
투여군
당귀 187.42±10.22 -13.48
산마늘 150.49±11.96 -46.59




당귀:산마늘
복합
조성물
투여군
(mg/mg)

1:1 128.37±13.19 -54.44
1:2 144.26±20.18 -48.80
1:4 111.65±20.99 -60.37
1:6 123.71±18.76 -56.09
1:8 160.89±13.94 -42.90
1:10 145.25±15.10 -48.45
2:1 126.91±13.01 -54.95
4:1 107.34±19.53 -61.90
6:1 172.46±17.60 -38.79
8:1 187.63±36.08 -33.41
10:1 175.13±54.78 -37.84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난소 주위 지방세포의 직경이 225.05%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메트포르민을 투여한 군,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 및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복합조성물을 투여한 군은 13.48-61.90%의 감소하였다.
상기 투여군 중에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복합조성물의 중량비율이 1:4-6 및 2-4:1인 경우, HFD 대조군 및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의 단독투여군 보다 난소 주위 지방세포의 직경이 54.95-61.90%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냈고,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의 투여군에서는 각각 60.37% 및 61.90%로 난소주위 지방세포 직경 감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당귀 단독투여시(13.48%) 및 산마늘 단독투여시(46.59%)의 난소주위 지방세포 직경 감소 효과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귀 및 산마늘의 혼합비율이 4:1인 투여군의 경우, HFD 대조군 보다 난소주위 지방세포의 직경 증가를 60.90%로 가장 우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항 비만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복벽지방세포 직경의 변화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복벽 지방세포 직경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직경(μm)
복벽
지방세포
HFD 대조군
대비%
대조군
정상군 67.95±11.28
HFD 232.85±44.13 242.70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
투여군
심바스타틴 180.28±18.73 -22.58
실리마린 124.90±27.05 -46.36
메트포르민 110.86±26.95 -52.39
단독
투여군
당귀 157.04±17.08 -32.56
산마늘 146.18±23.11 -37.22




당귀:산마늘
복합
조성물
투여군
(mg/mg)

1:1 155.79±10.52 -33.10
1:2 125.30±13.83 -46.19
1:4 122.88±7.75 -47.23
1:6 122.09±13.09 -47.57
1:8 144.05±16.31 -38.14
1:10 163.39±15.45 -29.83
2:1 140.29±12.21 -39.70
4:1 93.27±11.38 -59.94
6:1 183.89±23.30 -21.03
8:1 139.81±9.22 -39.96
10:1 160.13±22.22 -31.23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벽 지방세포의 직경 변화는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242.70%로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3종의 대조약물을 투여한 군,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 및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을 투여한 11 종의 군에서 HFD 대조군 보다 복벽 지방세포의 직경이 22.58-59.94%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투여군 중에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복합조성물의 중량비율이 1:2-6 및 2-4:1인 경우, HFD 대조군에 비해 39.70-59.94%로 복벽 지방세포의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고,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의 투여군에서는 각각 47.23% 및 59.94%로 복벽 지방세포의 직경 감소 효과가 우수한 것을 나타냈고, 이는 당귀 단독투여시(32.56%) 및 산마늘 단독투여시(37.22%)의 복벽 지방세포 직경 감소 효과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냈다.
특히,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4:1인 투여군의 경우, HFD 대조군에 비해 복벽지방 세포 직경 감소 효과가 59.94%로 나타나 항 비만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뿐만 아니라,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에 비해 증체량을 감소시키고, 난소 주위의 지방 중량을 감소시키며, 난소 주위 지방세포의 직경 및 복벽 지방 세포의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시예 2>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
혈당의 증가는 당뇨병의 가장 기본적인 현상으로(Sathishsekar D et al. Biol Pharm Bull ., 2005, 28:978-83), 고지방 사료(HFD) 공급 마우스 역시 전형적인 제2형 당뇨병 모델로 이용되고 있다(Surwit RS et al., Diabetes ., 1988, 37: 1163-7; Yun SN et al., Arch Pharm Res ., 2004, 27:790-6). 따라서 본 발명에서도 고지방 사료(HFD) 공급에 의해 현저한 혈당 상승이 초래되었다.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혈당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사료섭취량
(g/mouse/day)
HFD 대조군
대비%
혈당량
(mg/dl)
HFD 대조군
대비%

정상군 6.54±1.10 103.60±11.84
HFD 4.67±0.92 -28.59
(정상군 대비)
249.80±29.17 141.12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
투여군
심바스타틴 4.56±0.93 -2.36 231.00±31.43 -7.53
실리마린 4.92±0.75 5.35 199.00±13.29 -20.34
메트포민 4.38±0.61 -6.21 136.60±11.87 -45.32
단독
투여군
당귀 4.62±0.61 -1.07 180.20±14.22 -27.86
산마늘 4.88±0.58 4.50 194.40±8.02 -22.18




당귀:산마늘
복합
조성물
투여군
(mg/mg)

1:1 4.68±0.67 0.21 175.80±34.74 -29.62
1:2 5.23±0.83 11.99 186.00±24.83 -25.54
1:4 5.27±0.82 12.85 147.40±13.26 -40.99
1:6 4.78±0.78 2.36 157.60±25.83 -36.91
1:8 4.96±0.70 6.21 196.80±18.25 -21.22
1:10 4.58±0.56 -1.93 186.80±18.27 -25.22
2:1 4.77±0.64 2.14 146.40±15.73 -41.39
4:1 4.57±0.90 -2.14 128.40±21.62 -48.60
6:1 5.06±1.05 8.35 169.20±30.87 -32.27
8:1 5.20±0.76 11.35 180.00±30.85 -27.94
10:1 4.79±0.86 2.57 178.60±14.10 -28.50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혈당이 141.12%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을 투여한 군을 제외한 실리마린, 메트포르민을 투여한 군,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 및 11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복합조성물을 투여한 군은 HFD 대조군에 비해 7.53-48.60%로 혈당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투여군 중에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복합조성물의 중량비율이 1:4-6 및 2-4:1인 경우, HFD 대조군에 비해 32.27-48.60%로 혈당이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인 투여군에서는 각각 40.99% 및 48.60%로 혈당강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당귀 단독투여시(27.86%) 및 산마늘 단독투여시(22.18%)의 감소 효과보다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특히,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4:1인 투여군의 경우, 혈당강하 효과가 48.60%로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따라서,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뿐만 아니라,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에 비해 혈당강하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시예 3>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고혈당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합병증의 형태로 고지혈증이 초래되며(Chen et al., 2005), 일반적으로 고지혈증 시 LDL,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 증가와 함께 HDL 감소가 문제시되고 있다(Milionis HJ et al., Am Heart J., 2004, 148:635-40; Forrester JS et al., Circulation ., 2005, 111:1847-54; Kamada T et al., Dig Liver Dis ., 2005, 37:39-43). 따라서 후보물질에 대한 항 고지혈증 효과는 혈중 LDL,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와 함께 HDL함량의 증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Cheng JW, Clin Ther ., 2004, 26:1368-87; Pirat B et al., Anadolu Kardiyol Derg ., 2004, 4:318-22; Tan BK et al., Life Sci., 2005, 76:2827-39).
(1) 혈중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의 변화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지질 대사의 이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 및 혈중 중성지방(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의 변화를 표 9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중 농도(mg/dl)
총 콜레스테롤 HFD 대조군
대비%
트리글리세라이드 HFD 대조군
대비%
대조군
정상군 99.00±9.41 50.80±17.17
HFD 219.40±36.59 121.62
(정상군 대비)
195.20±21.31 284.25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
투여군
심바스타틴 132.00±11.02 -39.84 104.40±22.20 -46.52
실리마린 149.20±13.33 -32.00 132.60±13.26 -32.07
메트포민 151.00±18.03 -31.18 126.60±13.99 -35.14
단독
투여군
당귀 161.80±19.12 -26.25 145.20±11.69 -25.61
산마늘 153.40±12.95 -29.90 130.60±10.21 -33.09




당귀:산마늘
복합
조성물
투여군
(mg/mg)

1:1 144.60±8.47 -34.09 125.00±17.39 -35.96
1:2 141.40±22.01 -35.55 123.00±6.96 -36.99
1:4 139.80±12.93 -36.28 107.80±8.76 -44.77
1:6 144.80±13.88 -34.00 118.20±13.10 -39.40
1:8 153.40±16.62 -30.08 131.60±18.09 -32.58
1:10 153.60±20.77 -29.99 130.40±25.50 -33.20
2:1 141.10±21.90 -35.68 120.40±13.79 -38.32
4:1 118.40±15.18 -46.03 104.80±15.35 -46.31
6:1 145.40±20.32 -33.73 120.60±13.90 -28.22
8:1 160.60±17.94 -26.80 144.40±20.32 -26.02
10:1 152.80±18.21 -30.36 145.60±11.93 -25.41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HFD 대조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121.62%로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대조약물을 포함한 모든 투여군에서는 HFD 대조군에 비해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26.25-46.03%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투여군 중에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복합조성물의 중량이 1:1-6 및 2-4:1인 투여군은 34.00-46.03%로 HFD 대조군에 비해 더 우수하게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인 투여군에서는 각각 36.28% 및 46.30%로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효과가 나타났고, 이는 당귀 단독투여시(26.25%) 및 산마늘 단독투여시(29.90%)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효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4:1인 투여군인 경우,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효과가 46.03%로 나타나 항 고지혈증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의 경우, 혈중 트리클리세라이드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284.25%로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메트포르민을 투여한 군,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 및 11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복합조성물을 투여한 군을 포함한 모든 투여군에서 25.41-46.52%로 HFD 대조군 보다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감소하였다.
상기 투여군 중에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복합조성물의 중량비율이 1:4-6 및 2-6:1인 경우, HFD 대조군에 비해 38.22-46.31%로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인 투여군에서는 각각 44.77% 및 46.31%로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감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4:1인 투여군의 경우,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감소 효과가 46.31%로 항 고지혈증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혈중 LDL HDL 의 변화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지질 대사의 이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혈중 저밀도지단백(LDL) 및 고밀도지단백(HDL)을 측정하여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중 농도(mg/dl)
LDL HFD 대조군
대비%
HDL 대조군
대비%
대조군
정상군 12.40±2.19 97.80±8.41
HFD 26.40±2.19 112.90
(정상군 대비)
45.00±11.90 -53.99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
투여군
심바스타틴 16.00±1.58 -39.39 58.40±14.40 29.78
실리마린 20.20±3.70 -23.48 60.20±5.63 33.78
메트포민 21.20±3.27 -19.70 60.00±3.54 33.33
단독
투여군
당귀 20.80±2.05 -21.21 59.80±3.96 32.89
산마늘 20.40±1.14 -22.73 60.40±5.86 34.22




당귀:산마늘
복합
조성물
투여군
(mg/mg)

1:1 19.00±1.87 -28.03 64.20±4.21 42.67
1:2 20.40±1.67 -22.73 59.20±2.49 31.56
1:4 17.60±1.67 -33.33 65.00±8.80 44.44
1:6 17.00±1.58 -35.61 63.12±4.12 40.26
1:8 20.40±1.67 -22.73 59.80±3.27 32.89
1:10 20.20±3.11 -23.48 60.80±2.68 35.11
2:1 18.00±2.24 -31.82 63.60±4.34 41.33
4:1 15.80±1.92 -40.15 67.00±4.85 48.89
6:1 19.90±1.41 -28.03 62.20±8.04 38.22
8:1 19.80±1.92 -25.00 60.00±6.44 33.33
10:1 20.40±1.44 -22.73 60.00±1.87 33.33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중 저밀도지단백(LDL) 함량은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112.90%로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대조약물을 투여한 군,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 및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을 투여한 군에서 HFD 대조군 보다 혈중 LDL 함량이 19.70-40.15%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투여군 중에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복합조성물의 중량비율이 1:1-6 및 2-6:1인 경우, HFD 대조군에 비해 28.03-40.15%로 혈중 LDL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인 투여군에서는 각각 33.33% 및 40.15%로 혈중 저밀도지단백 함량 감소 효과가 나타났고, 이는 당귀 단독투여시(21.21%) 및 산마늘 단독투여시(22.73%)의 혈중 저밀도지단백 함량 감소 효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4:1인 투여군의 경우, 혈중 LDL 함량 감소 효과가 40.15%로 나타나 항 고지혈증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혈중 고밀도지단백(HDL) 함량은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53.99%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혈중 HDL 함량이 HFD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없이 현저하게 증가한 심바스타틴을 투여한 군을 제외한 나머지 투여군에서는 HFD 대조군에 비해 29.78-48.89%로 혈중 HDL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투여군 중에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복합조성물의 중량이 1:4-6 및 2-4:1인 투여군은 35.11-48.89%로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 비해 우수하게 HDL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인 투여군에서는 각각 44.44% 및 48.95%로 혈중 고밀도지단백 함량 증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4:1인 투여군의 경우, 혈중 HDL 함량 증가 효과가 48.89%로 나타나 항 고지혈증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뿐만 아니라,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 함량,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및 혈중 저밀도지단백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중 고밀도지단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시예 4>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고지방사료 공급 시 고지혈증과 함께 간 손상이 수반되며, 지방변에 의한 간세포의 비대에 의해 간 중량의 증가와 이에 따른 혈중 AST 및 ALT 함량의 증가가 유발된다(Mukai M et al., Dig Dis Sci. 2002;47:549-55; Neves RH et al., Mem Inst Oswaldo Cruz. 2006;101:253-60). 일반적으로 혈청 옥살레이틱 트랜스아미나제(SGOT)로 알려진 AST와 혈청 글루타믹 피루빅 트랜스아미나제(SGPT)로 알려진 ALT는 간 손상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혈액화학 수치이다(Sodikoff CH, A guide to laboratory diagnosis. 2nd ed., Mosby: St. Louise, 1995:1-36).
(1) 간 중량의 변화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11종의 천연물 복합조성이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간 중량의 변화는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구분
간중량
절대중량
(g)
상대중량
(체중대비%)
HFD 대조군
대비%
대조군
정상군 1.368±0.191 4.145±0.138
HFD 1.698±0.180 3.003±0.325 -27.55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
투여군
심바스타틴 1.609±0.232 3.319±0.290 10.52
실리마린 1.583±0.324 3.242±0.461 7.96
메트포민 1.528±0.165 3.600±0.433 19.88
단독
투여군
당귀 1.567±0.146 3.356±0.412 11.75
산마늘 1.435±0.196 3.058±0.216 1.83




당귀:산마늘
복합
조성물
투여군
(mg/mg)

1:1 1.571±0.240 3.235±0.443 7.73
1:2 1.648±0.148 3.266±0.303 8.76
1:4 1.651±0.220 3.828±0.503 27.47
1:6 1.685±0.340 3.675±0.460 22.38
1:8 1.457±0.267 2.944±0.606 -1.96
1:10 1.467±0.062 3.106±0.375 3.43
2:1 1.757±0.352 3.465±0.844 15.38
4:1 1.560±0.211 3.552±0.303 18.28
6:1 1.771±0.116 3.049±0.203 1.53
8:1 1.733±0.083 3.189±0.098 6.19
10:1 1.671±0.156 3.313±0.190 10.32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사료 공급에 의해 현저한 절대 간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체중증가가 더 현저한 이유로 간 상대중량은 유의성 있는 감소(27.55%)를 나타내었다.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메트포르민을 투여한 군, 당귀를 단독으로 투여한 군 및 당귀 및 산마늘의 중량비가 1:4-6 및 2-4:1인 복합조성물을 투여한 군이 HFD 대조군에 비해 10.52-27.47%로 간의 체중대비 상대 중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고,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인 투여군에서는 각각 27.47% 및 18.28%로 간 상대중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비가 1:4인 투여군의 경우, 간 상대중량 증가 효과가 27.47%로 간 보호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혈중 AST ALT 의 변화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이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아스파탐 아미노전이효소(AST) 및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중농도(IU/dl)
AST HFD 대조군
대비%
ALT HFD 대조군
대비%
대조군
정상군 83.80±10.80 25.40±5.77
HFD 205.80±9.26 145.59
(정상군 대비)
151.80±15.59 497.64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
투여군
심바스타틴 201.80±17.91 -1.94 148.80±16.72 -1.98
실리마린 117.40±27.79 -42.95 88.60±10.53 -41.53
메트포민 175.20±14.20 -14.87 126.60±8.62 -14.62
단독
투여군
당귀 159.40±21.37 -22.55 115.80±15.11 -23.72
산마늘 140.60±9.91 -31.68 100.40±18.70 -33.86




당귀:산마늘
복합
조성물
투여군
(mg/mg)

1:1 134.00±5.39 -34.89 101.20±16.99 -33.33
1:2 136.20±11.03 -33.82 103.00±15.26 -32.15
1:4 115.40±13.16 -43.93 85.80±14.50 -43.48
1:6 117.20±11.12 -43.05 86.80±13.14 -42.82
1:8 136.40±11.01 -33.72 97.60±11.17 -35.70
1:10 139.80±9.36 -32.07 110.20±14.36 -27.40
2:1 117.20±5.40 -43.05 84.00±16.81 -44.66
4:1 101.80±7.36 -50.53 71.80±24.57 -52.70
6:1 160.00±9.03 -22.25 110.20±10.80 -27.40
8:1 147.20±8.29 -28.47 113.20±16.77 -25.43
10:1 161.40±21.67 -21.57 118.60±13.30 -21.87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세포의 손상을 알아보는 인자인 아스파탐 아미노전이효소(AST) 및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의 혈중 농도 변화는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각각 145.58% 및 497.64%로 높게 나타났고, HFD 대조군과 유사하게 나타난 대조약물인 심바스타틴을 투여한 군을 제외한 모든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AST 농도가 14.87-50.53%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혈중 ALT 농도는 14.62-52.70%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투여군 중에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의 복합조성물의 중량이 1:4-6 및 2-4:1인 투여군은 혈중 AST 농도가 43.05-50.53%이고, 혈중 ALT 농도는 42.82-52.70%로 당귀 추출물 또는 산마늘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 비해 혈중 AST 및 ALT 함량을 우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인 투여군에서는 각각 43.93% 및 50.53%로 AST 농도 감소 효과가 나타났고, ALT 농도 감소 효과는 43.38% 및 52.70%로 나타났다.
특히,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4:1인 투여군의 경우, 혈중 AST의 농도 감소 효과는 50.53% 및 ALT의 농도 감소 효과는 52.70%로 나타나 간 보호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간의 체중대비 중량, 간세포 손상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인 ALT 및 AST의 혈중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시예 5>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신장손상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 상태가 만성화됨에 따라 사구체 위축과 섬유화, 염증세포 침윤 및 세뇨관 괴사와 이에 따른 혈중 요소질소 및 크레아티닌 함량의 증가를 주요 증상으로 하는 신장병변이 초래되며, 이를 당뇨병성 신병증이라 한다(Imaeda A et al., Food Chem Toxicol. 200240:1415-22; Trachtman H et al., Pediatr Nephrol. 200217:20-9). 이중 혈중 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와 크레아티닌(크레아티닌) 함량은 신장의 상태를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혈액화학 수치이다(Arch Med Res., 2004 Nov-Dec: 35(6): 484-94).
(1) 혈중 BUN 및 크레아티닌의 변화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이 신장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혈중 요소질소(BUN) 및 혈중 크레아티닌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혈중농도(mg/dl)
BUN HFD 대조군
대비%
크레아티닌 HFD 대조군
대비%
대조군 정상군 41.80±5.26 0.70±0.12
HFD 81.20±8.87 94.26
(정상군 대비)
1.78±0.08 154.29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
투여군
심바스타틴 52.80±13.38 -0.25 1.76±0.03 -1.12
실리마린 52.80±6.83 -34.98 1.14±0.23 -35.96
메트포민 64.20±6.53 -20.94 1.38±0.19 -22.47
단독
투여군
당귀 60.00±6.71 -26.11 1.50±0.16 -15.73
산마늘 56.60±5.41 -30.30 1.22±0.11 -31.46




당귀:산마늘
복합
조성물
투여군
(mg/mg)
1:1 52.00±7.75 -35.96 1.20±0.12 -35.58
1:2 53.90±9.98 -33.74 1.30±0.16 -26.97
1:4 49.80±7.66 -38.67 1.14±0.21 -35.96
1:6 47.40±6.23 -41.63 1.06±0.27 -40.45
1:8 53.40±8.59 -34.24 1.24±0.22 -30.34
1:10 54.60±4.93 -32.76 1.24±0.23 -30.34
2:1 53.40±10.11 -34.24 1.16±0.17 -34.83
4:1 43.40±6.50 -46.55 0.92±0.13 -48.31
6:1 55.60±10.21 -31.53 1.24±0.26 -30.34
8:1 56.00±8.89 -31.03 1.30±0.16 -26.97
10:1 59.60±6.35 -26.60 1.28±0.37 -28.09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94.26%로 혈중 요소질소(BUN)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냈고, HFD 대조군과 유사한 혈중 BUN 함량을 나타낸 대조약물인 심바스타틴을 투여한 군을 제외한 나머지 투여군에서 20.94-46.55%로 혈중 BUN 함량이 감소하였다.
상기 투여군 중에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1:4-6 및 2-4:1인 복합조성물 투여군은 35.96-46.55%로 HFD 대조군 보다 혈중 BUN 함량을 감소시켜 당귀 단독투여 26.11% 및 산마늘 단독투여 30.33%보다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인 투여군에서는 각각 38.67% 및 46.55%로 혈중 BUN 함량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투여군의 경우, HFD 대조군 보다 혈중 BUN 함량 감소 효과가 46.55%로 나타나 신장 보호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중 크레아티닌 함량은 HFD 대조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154.29%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혈중 클레아티닌 함량이 HFD 대조군과 유사하게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심바스타틴을 투여한 군을 제외한 나머지 투여군에서는 HFD 대조군에 비해 15.73-48.31%로 혈중 크레아티닌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투여군 중에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의 중량이 1:4-6 및 2-4:1인 투여군은 35.96-48.31%로 HFD 대조군보다 혈중 크레아티닌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인 투여군에서는 각각 35.96% 및 48.31%로 혈중 크레아티닌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4:1인 투여군의 경우, HFD 대조군 보다 혈중 크레아티닌 함량 감소 효과가 48.31%로 나타나 신장보호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혈중 요소질소(BUN) 함량 및 혈중 크레아티닌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2) 변성 세뇨관 수의 변화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신장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변성 세뇨관 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직형태 계측법
변성 세뇨관 수
(/100 세뇨관)
HFD
대조군 대비%
대조군
정상군 7.80±4.44
HFD 71.80±9.83 820.51(정상군 대비)

대조약물
투여군
심바스타틴 74.80±11.76 4.18
실리마린 44.20±6.76 -38.44
메트포민 58.40±4.77 -18.66
단독
투여군
당귀 57.80±6.69 -19.50
산마늘 51.80±5.89 -27.86




당귀:산마늘
복합
조성물
투여군
(mg/mg)

1:1 55.20±7.40 -23.12
1:2 47.60±4.67 -33.70
1:4 41.40±5.50 -42.34
1:6 35.20±6.18 -50.97
1:8 54.80±4.15 -23.68
1:10 51.60±5.41 -28.13
2:1 40.80±5.50 -43.18
4:1 29.40±1.52 -59.05
6:1 59.60±4.62 -16.99
8:1 43.00±3.81 -40.11
10:1 58.20±5.89 -18.94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변성 세뇨관 수가 820.51%로 증가하는 것을 나타냈고, HFD 대조군과 유사한 변성 세뇨관 수의 변화를 나타낸 대조약물인 심바스타틴을 투여한 군을 제외한 나머지 투여군에서 변성 세뇨관의 수가 18.66-59.05%로 감소하였다.
상기 투여군 중에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1:1-6, 2-4:1인 복합조성물 투여군은 33.70-59.05%로 HFD 대조군 보다 변세뇨관의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이중, 복합조성물의 중량비가 1:4 및 4:1인 투여군에서는 42.34% 및 59.05%로 변성 세뇨관의 수의 감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당귀 단독투여시(19.50%) 및 산마늘 단독투여(27.86%)보다 변성 세뇨관의 수의 감소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투여군의 경우, HFD 대조군 보다 변성 세뇨관의 수의 감소 효과가 59.05%로 나타나 신장보호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혈중 요소질소(BUN) 함량 및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를 감소시키며, 변성 세뇨관의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시예 6>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비만, 혈당, 고지혈, 간손상 및 신장손상에 대한 우수한 효과가 있는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물질의 투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은 증류수에 직접 녹여 사용하였고, 고지방 사료를 공급하고 일주일 후부터 각 군당 8마리씩 총 15개 군으로 나누어 84일간 하루에 한 번씩 10 ㎖/kg로 경구투여 하였다. 3종류의 대조약물인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메트포민은 각각 10, 100 및 250 mg/kg으로 투여되었고, 3종류의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은 100 mg/kg으로 투여되었으며, 3용량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은 200, 100 및 50 mg/kg으로 투여되었다. 하기 표 15에 물질의 조성 및 투여군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사료 농도(mg/kg/day) 투여약물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일반 10 ㎖/kg 증류수
HFD 10 ㎖/kg 증류수
대조약물투여군 HFD 10 mg/kg 심바스타틴 10 mg/증류수 10 ㎖
HFD 100 mg/kg 실리마린 100 mg/증류수 10 ㎖
HFD 250 mg/kg 메트포민 250 mg/증류수 10 ㎖
단독투여군 HFD 100 mg/kg 당귀 100 mg/증류수 10 ㎖
HFD 100 mg/kg 산마늘 100 mg/증류수 10 ㎖
HFD 100 mg/kg 은행엽 100 mg/증류수 10 ㎖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HFD 200 mg/kg 당귀:산마늘(4:1) 200 mg/증류수 10 ㎖
HFD 100 mg/kg 당귀:산마늘(4:1) 100 mg/증류수 10 ㎖
HFD 50 mg/kg 당귀:산마늘(4:1) 50 mg/증류수 10 ㎖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1) 체중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체중변화를 표 16에 나타내었다.

구분
체중증가
적응기간
(7일)
투여기간
(84일)
HFD 대조군 대비
(%)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정상군 2.56±1.28 4.36±3.10
HFD 3.68±1.15 12.68±3.88 190.54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심바스타틴 3.85±1.39 8.54±6.76 -32.64
실리마린 3.81±1.21 6.11±4.57 -51.78
메트포민 3.20±1.79 4.73±2.94 -62.72
단독투여군 당귀 4.45±1.04 7.29±3.75 -42.50
산마늘 3.38±1.39 8.08±4.10 -36.29
은행엽 4.16±1.62 8.53±5.08 -32.74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3.68±1.62 5.73±5.05 -54.04
100 mg/kg 3.21±1.25 5.70±4.44 -55.03
50 mg/kg 3.31±1.07 7.43±3.45 -41.42
표 1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투여기간인 84일간의 증체량은 HFD 대조군의 경우, 정상 대조군에 비해 190.54%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HFD 대조군에 비해 33-62%의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41-55%의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2) 난소주위의 지방중량의 변화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난소주위의 지방중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구분
난소주위 지방중량
절대중량
(g)
상대중량
(체중대비 g)
HFD 대조군 대비
(%)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정상군 0.025±0.014 0.077±0.039
HFD 0.365±0.036 0.853±0.132 1006.71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심바스타틴 0.279±0.124 0.721±0.301 -15.55
실리마린 0.178±0.115 0.474±0.293 -44.45
메트포민 0.072±0.035 0.204±0.089 -76.15
단독투여군 당귀 0.208±0.056 0.571±0.152 -33.07
산마늘 0.170±0.097 0.438±0.202 -48.68
은행엽 0.184±0.121 0.456±0.261 -46.56
당귀:산마늘
(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0.076±0.056 0.200±0.130 -76.43
100 mg/kg 0.117±0.069 0.332±0.194 -61.08
50 mg/kg 0.158±0.068 0.421±0.165 -50.65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난소 주위 지방의 중량이 정상대조군 보다 1006.71%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난소주위의 지방 중량이 15-76%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난소주위의 지방 중량이 50-76%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3) 난소주위의 지방세포 직경의 변화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난소주위의 지방세포 직경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18에 나타내었다.

구분
직경(㎛)
난소주위
지방세포
HFD 대조군 대비
(%)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정상군 59.41±5.84
HFD 212.40±31.18 257.52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심바스타틴 170.53±25.38 -19.71
실리마린 132.94±13.55 -37.41
메트포민 112.96±18.71 -46.82
단독투여군 당귀 165.66±9.80 -22.01
산마늘 142.31±28.42 -33.00
은행엽 150.98±14.60 -28.92
당귀:산마늘
(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88.50±14.60 -58.33
100 mg/kg 115.50±18.30 -45.62
50 mg/kg 139.03±15.59 -34.54
표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난소 주위 지방세포의 직경이 257.52%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난소 주위 지방세포의 직경이 20-47%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난소 주위 지방세포의 직경이 35-58%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4) 복벽지방세포 직경의 변화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복벽 지방세포 직경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19에 나타내었다.
구분 직경(㎛)
복벽
지방세포
HFD 대조군 대비
(%)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정상군 68.96±14.55
HFD 202.35±13.68 193.41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심바스타틴 161.39±32.38 -20.24
실리마린 136.73±30.21 -32.43
메트포민 122.51±9.52 -39.46
단독투여군 당귀 143.91±23.96 -28.88
산마늘 139.14±17.49 -31.24
은행엽 153.67±7.14 -24.05
당귀:산마늘
(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97.51±20.60 -51.81
100 mg/kg 116.09±21.25 -42.62
50 mg/kg 133.29±21.82 -34.13
표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복벽 지방세포의 직경이 193.41%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복벽 지방세포의 직경이 20-39%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복벽 지방세포의 직경이 34-52%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은 투여용량의존적으로 HFD 공급 마우스의 체중증가, 지방축적 또는 지방세포 비대를 현저히 억제하여,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 실시예 7>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혈당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20에 나타내었다.
구분 사료섭취량
(g/mouse/day)
HFD 대조군
대비(%)
혈당량
(mg/dl)
HFD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정상군 5.27±0.76 105.00±14.27
HFD 3.87±0.53 -26.69
(정상군 대비)
243.25±33.37 131.67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심바스타틴 3.80±0.53 -1.83 242.63±25.21 -0.29
실리마린 3.83±0.67 -0.90 187.50±24.52 -22.92
메트포민 3.71±0.44 -4.06 144.63±12.14 -40.54
단독투여군 당귀 4.04±0.36 4.50 186.88±29.37 -23.18
산마늘 4.02±0.61 3.90 190.38±17.83 -21.74
은행엽 3.84±0.38 -0.70 191.00±13.05 -21.48
당귀:산마늘
(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4.01±0.56 3.60 129.88±20.61 -48.61
100 mg/kg 4.28±0.60 10.70 149.75±25.40 -38.44
50 mg/kg 3.92±0.68 1.43 170.75±25.40 -29.80
표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혈당이 131.67%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을 제외한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21-4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30-49%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시예 8>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1) 혈중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의 변화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지질 대사의 이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 및 혈중 중성지방(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의 변화를 하기 표 21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중 농도(mg/dl)
총 콜레스테롤 HFD 대조군
대비(%)
트리글리세라이드 HFD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정상군 92.50±11.12 50.13±15.41
HFD 211.88±15.70 129.05
(정상군 대비)
199.38±18.48 297.76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심바스타틴 128.88±18.77 -39.17 129.25±24.21 -35.17
실리마린 160.63±17.57 -24.16 141.88±26.45 -28.84
메트포민 146.25±14.95 -30.97 137.38±20.45 -31.10
단독투여군 당귀 164.75±21.27 -22.24 154.38±17.97 -22.57
산마늘 159.50±16.48 -24.72 148.88±16.97 -25.33
은행엽 143.63±16.01 -32.21 137.38±12.35 -31.10
당귀:산마늘
(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112.38±17.41 -46.96 102.50±15.92 -48.59
100 mg/kg 135.25±10.87 -36.17 126.25±13.81 -36.68
50 mg/kg 146.38±17.20 -30.91 139.50±11.66 -30.03
표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129.05%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22-39%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31-47%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의 경우, 혈중 트리클리세라이드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297.76%로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혈중 트리클리세라이드가 23-35%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혈중 트리클리세라이드가 30-49%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2) 혈중 LDL HDL 의 변화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지질 대사의 이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혈중 저밀도지단백(LDL) 및 고밀도지단백(HDL)을 측정하여 표 22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중 농도(mg/dl)
LDL HFD 대조군
대비(%)
HDL HFD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정상군 11.63±2.39 93.13±13.53
HFD 26.00±2.93 123.66
(정상군 대비)
37.13±10.60 -60.13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심바스타틴 17.13±2.90 -34.13 49.38±10.49 33.00
실리마린 18.63±2.39 -28.37 48.75±9.75 31.31
메트포민 18.38±2.20 -29.33 48.38±5.66 30.30
단독투여군 당귀 20.13±1.36 -22.60 47.13±4.42 26.94
산마늘 19.63±1.69 -24.52 48.25±6.25 29.97
은행엽 17.88±2.17 -31.25 48.50±6.72 30.64
당귀:산마늘
(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13.75±3.28 -47.12 56.50±7.50 52.19
100 mg/kg 16.38±3.42 -37.02 54.13±6.20 45.79
50 mg/kg 18.13±3.40 -30.29 51.50±7.33 38.72
표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혈중 저밀도지단백(LDL) 함량이 123.66%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혈중 저밀도지단백(LDL) 함량이 22-34%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혈중 저밀도지단백(LDL) 함량이 30-47%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중 고밀도지단백(HDL) 함량은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60.13%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혈중 고밀도지단백(HDL) 함량이 27-33%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혈중 고밀도지단백(HDL) 함량이 39-52%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시예 9>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1) 간 중량의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간 중량의 변화는 하기 표 23에 나타내었다.

구분
간중량
절대중량
(g)
상대중량
(체중대비%)
HFD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정상군 1.356±0.105 4.324±0.397
HFD 1.377±0.145 3.201±0.338 -25.96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심바스타틴 1.299±0.140 3.426±0.586 7.02
실리마린 1.363±0.070 3.822±0.564 19.38
메트포민 1.286±0.146 3.729±0.278 16.48
단독투여군 당귀 1.324±0.163 3.646±0.607 13.90
산마늘 1.269±0.166 3.428±0.643 7.07
은행엽 1.408±0.265 3.681±0.423 14.98
당귀:산마늘
(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1.494±0.167 4.316±0.858 34.83
100 mg/kg 1.345±0.154 3.914±0.796 22.27
50 mg/kg 1.343±0.122 3.660±0.382 14.34
표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사료 공급에 의해 현저한 절대 간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체중증가가 더 현저한 이유로 간 상대중량은 유의성 있는 감소(25.96%)를 나타내었다. 대조약물로 사용된 심바스타틴,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간의 체중대비 상대 중량이 7-19%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간의 체중대비 상대 중량이 14-35%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2) 혈중 AST ALT 의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아스파탐 아미노전이효소(AST) 및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24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중농도(IU/dl)
AST HFD 대조군
대비(%)
ALT HFD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정상군 83.38±9.74 23.63±4.60
HFD 203.13±15.98 143.63
(정상군 대비)
152.00±17.80 543.39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심바스타틴 203.00±15.19 -0.06 150.50±20.22 -0.99
실리마린 114.75±12.98 -43.51 85.25±19.34 -43.91
메트포민 136.88±20.12 -32.62 101.63±12.86 -33.14
단독투여군 당귀 134.50±12.78 -33.78 100.25±14.23 -34.05
산마늘 138.75±15.54 -31.69 98.00±14.20 -35.53
은행엽 144.38±18.94 -28.92 108.63±13.57 -28.54
당귀:산마늘
(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110.38±15.28 -45.66 82.75±19.90 -45.56
100 mg/kg 119.63±9.12 -41.11 89.00±16.48 -41.45
50 mg/kg 129.63±9.02 -36.18 96.50±14.26 -36.51
표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세포의 손상을 알아보는 인자인 아스파탐 아미노전이효소(AST) 및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의 혈중 농도 변화는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각각 143.63% 및 543.39%로 높게 나타났고, HFD 대조군과 유사하게 나타난 대조약물인 심바스타틴을 투여한 군을 제외한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AST 농도 및 ALT 농도가 각각 29-43% 및 29-44%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AST 농도 및 ALT 농도가 각각 36-46% 및 37-46%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시예 10>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신장손상에 미치는 영향
(1) 혈중 BUN 및 크레아티닌의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신장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화합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혈중 요소질소(BUN) 및 혈중 크레아티닌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25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중농도(mg/dl)
BUN HFD 대조군 대비(%) 크레아티닌 HFD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정상군 39.38±7.60 0.71±0.06
HFD 89.63±7.13 127.62
(정상군 대비)
1.84±0.15 157.89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심바스타틴 90.00±10.57 0.42 1.85±0.17 0.68
실리마린 57.00±11.49 -36.40 1.18±0.20 -36.05
메트포민 62.25±9.15 -30.54 1.29±0.16 -29.93
단독투여군 당귀 63.75±5.26 -28.87 1.31±0.22 -28.57
산마늘 65.00±10.53 -27.48 1.33±0.16 -27.89
은행엽 64.50±14.05 -28.03 1.31±0.12 -28.57
당귀:산마늘
(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48.75±7.25 -45.89 1.00±0.21 -45.58
100 mg/kg 55.25±8.91 -38.35 1.14±0.22 -38.10
50 mg/kg 60.50±7.39 -32.50 1.20±0.30 -32.65
표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127.62%로 혈중 요소질소(BUN)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냈고, HFD 대조군과 유사한 혈중 BUN 함량을 나타낸 대조약물인 심바스타틴을 투여한 군을 제외한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혈중 요소질소(BUN) 함량이 27-36%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혈중 요소질소(BUN) 함량이 33-46%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중 크레아티닌 함량은 HFD 대조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157.89%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혈중 클레아티닌 함량이 HFD 대조군과 유사하게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심바스타틴을 투여한 군을 제외한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혈중 클레아티닌 함량이 28-36%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혈중 클레아티닌 함량이 33-46%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2) 변성 세뇨관 수의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신장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화합물이 투여된 마우스의 변성 세뇨관 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26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직형태 계측법
변성 세뇨관 수
(/100 세뇨관)
HFD 대조군 대비
(%)
정상대조군
HFD 대조군
정상군 7.25±4.10
HFD 72.13±11.12 894.83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심바스타틴 71.00±13.56 -1.56
실리마린 41.63±14.85 -42.29
메트포민 48.00±4.69 -33.45
단독투여군 당귀 54.38±8.48 -24.61
산마늘 54.63±8.73 -24.26
은행엽 52.38±12.03 -27.38
당귀:산마늘
(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23.00±9.97 -68.11
100 mg/kg 38.88±12.21 -46.10
50 mg/kg 44.75±7.85 -37.95
표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HFD) 대조군으로 사용된 고지방사료를 공급한 마우스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사료를 공급한 마우스에 비해 894.38%로 변성 세뇨관 수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냈고, HFD 대조군과 유사한 변성 세뇨관 수를 나타낸 대조약물인 심바스타틴을 투여한 군을 제외한 실리마린, 메트포민 및 당귀, 산마늘 및 은행엽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변성 세뇨관 수가 24-42%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HFD 대조군에 비해 변성 세뇨관 수가 38-68%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은 투여용량의존적으로 우수한 항비만, 항고지혈증, 혈당강하, 간보호 효과 및 신장보호 효과를 나타내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실시예 11>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스트렙토조토신( STZ )-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스트렙토조토신(STZ)은 선택적으로 췌장섬의 인슐린 생산 B세포를 파괴하여 당뇨병을 유발시키므로(Hsu and Crump, Philadelphia, 1989, 186-201), 조직학적으로 췌장섬의 염증반응에 의한 위축과 수적 감소가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Bonnevie-Nielsen et al.,Diabetes. 1981, 30, 424-9; Higdon et al., Vet Pathol. 2001, 38, 715-20), 췌장섬의 형태학적 및 인슐린과 글루카곤 생산 세포의 변화를 기초로 당뇨병에 대한 약효를 검증해 왔다(Kobayashi et al., Phytother Res. 2002, 16, 377-82; Kavalali et al., J Ethnopharmacol. 2003, 84, 241-5; Kim et al., Biol Pharm Bull. 2006, 29, 477-82; Kim et al.,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7, 71, 1527-34).
스트렙토조토신 ( STZ )- 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제조
본 발명에서는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의 투여 용량별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에 대한 약리효과를 스트렙토조토신(STZ) 유발 당뇨병 랫트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STZ를 50 mM 시트르산 완충용액(pH 6.0)에 용해시켜, 60 mg/kg/5㎖의 용량으로 단회 복강투여 하여 당뇨병을 유발하였으며, 정상 매체 대조군에서는 STZ 대신 동일용량의 시트르산 완충용액만 동일한 경로로 투여하였다.
시험물질의 투여
각 군당 8마리씩 총 6개 군으로 나누어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을 200, 100 및 50 mg/kg의 용량으로 각각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5 ㎖/kg의 농도로 STZ 투여 22일 후부터, 28일간 매일 경구 투여하였으며, 실리마린 역시 100 mg/kg의 용량으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5 ㎖/kg으로 투여하였다. 한편 정상 매체 대조군 및 STZ 대조군에서는 멸균 증류수를 5 ㎖/kg으로 각각 투여하였다. 하기 표 27에 물질의 조성 및 투여군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전처리 농도(mg/kg/day) 투여약물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일반 5 ㎖/kg 시트르산 완충용액(citrate buffer)
STZ 5 ㎖/kg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대조약물투여군 STZ 100 mg/kg 실리마린 100 mg/증류수 5 ㎖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STZ 200 mg/kg 당귀:산마늘(4:1) 200 mg/증류수 5 ㎖
STZ 100 mg/kg 당귀:산마늘(4:1) 100 mg/증류수 5 ㎖
STZ 50 mg/kg 당귀:산마늘(4:1) 50 mg/증류수 5 ㎖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스트렙토조토신( STZ )-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1) 혈당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랫트의 혈당의 변화를 표 28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당량(mg/dl)
STZ 투여
21일 후 혈당
약물 투여후 혈당
변화량(21일-28일)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91.75±1614 3.50±6.35
STZ 275.00±24.25 212.00±70.60 5974.14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276.25±16.29 78.88±52.81 -62.79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277.50±22.43 42.75±34.50 -79.83
100 mg/kg 279.38±20.62 77.88±29.83 -63.27
50 mg/kg 277.50±19.83 107.13±54.71 -49.47
표 2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혈당이 5974.14% 높게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62.79%의 혈당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49-80%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STZ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혈당의 감소가 모든 용량의 투여군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인정되어,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은 비교적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췌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랫트의 췌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표 29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직병리학적 변화
췌장섬의 수
(/100mm2)
STZ 대조군
대비(%)
췌장섬의 직경
(㎛)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17.25±5.47 439.24±85.82
STZ 5.38±1.51 -68.84
(정상군 대비)
99.25±15.15 -77.40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11.38±2.33 111.63 250.36±72.88 152.25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14.50±3.07 169.77 305.90±48.91 208.21
100 mg/kg 12.00±2.27 123.26 254.93±49.94 156.86
50 mg/kg 8.13±2.42 51.16 219.20±38.12 120.86
표 2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췌장섬의 수가 69% 감소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112%의 췌장섬의 수 증가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췌장섬의 수가 51-170%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췌장섬의 직경 77% 감소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152%의 췌장섬의 직경 증가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췌장섬의 직경이 121-208%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2) 췌장섬내 면역반응 세포 수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복합조성물이 투여된 랫트의 췌장섬내 면역반응 세포 수의 변화를 하기 표 30에 나타내었다.
구분
면역반응세포 수
인슐린 셀의 수
(/1000 islet cells)
STZ 대조군
대비(%)
글루카곤 셀의 수(/1000 islet cells)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609.38±110.98 206.63±51.96
STZ 109.63±46.99 -82.01
(정상군 대비)
485.13±111.81 134.79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221.50±80.14 102.05 263.50±66.28 -45.68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342.50±65.91 212.43 252.63±64.95 -47.93
100 mg/kg 230.50±63.17 110.26 275.00±62.23 -43.31
50 mg/kg 187.13±17.39 70.70 354.88±51.01 -26.85
표 3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췌장섬내의 인슐린 면역반응세포의 수가 82% 감소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102%의 췌장섬내의 인슐린 면역반응세포의 수 증가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췌장섬내의 인슐린 면역반응세포의 수가 71-212%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3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췌장섬내의 글루카곤 면역반응세포의 수가 135%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46%의 췌장섬내의 글루카곤 면역반응세포의 수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췌장섬내의 글루카곤 면역반응세포의 수가 27-48%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췌장섬의 수적 감소와 함께 평균 직경의 감소 즉, 위축소견이 STZ 대조군에서 인정되었고, 췌장섬내 인슐린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와 함께 글루카곤 면역반응세포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세 용량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복합조성물 투여에 의해 이러한 췌장의 형태학적 변화, 인슐린 및 글루카곤 면역반응세포의 변화가 투여용량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되었다.
따라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복합조성물은 직접적인 췌장 B세포에 대한 보호 작용으로 항당뇨 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며,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은 동일한 용량의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실리마린과 동등 유사한 항당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12>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스트렙토조토신( STZ )-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
(1) 신장 중량의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에 의한 신장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당뇨병을 유발시킨 랫트의 신장 중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31에 나타내었다.
구분
중량의 변화
절대중량
(g)
STZ 대조군
대비(%)
상대중량
(%)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0.701±0.050 0.302±0.029
STZ 1.372±0.213 95.65
(정상군 대비)
1.134±0.234 275.15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1.141±0.122 -16.79 0.794±0.153 -29.95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1.046±0.088 -23.76 0.713±0.099 -37.15
100 mg/kg 1.061±0.207 -22.64 0.777±0.171 -31.49
50 mg/kg 1.020±0.164 -25.64 0.820±0.206 -27.68
표 3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절대중량 및 상대중량이 각각 96% 및 275%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정대중량 및 상대중량이 각각 17 및 30%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절대중량 및 상대중량이 각각 23-26% 및 28-38%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2) 혈중 BUN 의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에 의한 신장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당뇨병을 유발시킨 랫트의 혈중 요소질소(BUN)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32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중농도(mg/dl)
STZ 투여
21후 BUN
약물 투여후 BUN 변화량(21일-28일)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20.13±2.03 0.63±1.06
STZ 40.63±3.78 53.75±11.08 8600.00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40.50±1.93 17.50±12.95 -67.44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40.88±3.87 6.88±13.86 -87.21
100 mg/kg 40.25±3.01 16.88±15.53 -68.60
50 mg/kg 40.75±2.60 30.75±16.88 -42.79
표 3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혈중 요소질소(BUN) 함량이 8600%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67%의 혈중 요소질소(BUN) 함량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혈중 요소질소(BUN) 함량이 43-87%로 현저한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3) 혈중 클레아티닌 함량 의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에 의한 신장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당뇨병을 유발시킨 랫트의 혈중 클레아티닌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33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중농도(mg/dl)
STZ 투여
21후 클레아티닌
약물 투여후 BUN 변화량(21일-28일)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0.63±0.10 0.06±0.07
STZ 1.00±0.21 0.78±0.32 1140.00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0.99±0.14 0.34±0.19 -56.45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1.00±0.11 0.11±0.31 -85.48
100 mg/kg 1.01±0.17 0.33±0.38 -58.06
50 mg/kg 1.00±0.14 0.44±0.22 -43.55
표 3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혈중 클레아티닌 함량이 1140%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56%의 혈중 클레아티닌 함량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혈중 클레아티닌 함량이 44-85%로 현저한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4) 신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에 의한 신장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당뇨병을 유발시킨 랫트의 변성 사구체 수 및 변성 세뇨관 수와 같은 신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34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직병리학적 변화
변성 사구체 수
(/100 사구체)
STZ 대조군
대비(%)
변성 세뇨관 수
(/100 세뇨관)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2.50±1.69 6.88±4.42
STZ 71.50±7.89 2760.00
(정상군 대비)
63.63±15.17 825.45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22.88±6.22 -68.01 28.13±9.45 -55.80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11.25±2.38 -84.27 17.88±6.94 -71.91
100 mg/kg 23.50±8.93 -67.13 31.38±7.42 -50.69
50 mg/kg 36.25±14.79 -49.30 39.25±6.94 -38.31
표 3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변성 세뇨관 수가 2760%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68%의 변성 세뇨관 수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변성 세뇨관 수가 49-84%로 현저한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3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변성 사구체 수가 825%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56%의 변성 사구체 수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변성 사구체 수가 38-72%로 현저한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STZ 투여 21일 후 모든 STZ 투여군에서는 현저한 혈중 BUN 및 크레아티닌 함량의 증가를 나타내어, STZ 투여에 의한 당뇨병성 신장 병증이 후보물질 투여 시작 전 비교적 잘 유발된 것으로 판단되며, 신장 중량, 혈중 BUN 및 크레아티닌 함량의 증가, 모세혈관 확장성 사구체 위축과 변성 세뇨관의 증가가 모든 용량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복합조성물 투여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으므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복합조성물은 당뇨병성 신병증을 매우 유효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동일한 용량의 실리마린과 동등 유사한 당뇨병성 신병증에 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13>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스트렙토조토신( STZ )-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시 현저한 면역억제가 초래되며, 이로 인해 이차 감염이 쉽게 일어나, 면역억제역시 중요한 당뇨 합병증의 하나로 취급되고 있으며, 당뇨병시 현저한 가슴샘 및 비장과 같은 임파기계의 위축과 이로 인한 중량 감소 및 사이토카인(cytokine)의 변화가 초래된다(Tabata et al., Cell Immunol. 1984, 89, 250-8; Clary et al., Immunopharmacology. 1990, 20, 153-64; Mic et al., Comp Med. 2007, 57, 476-81; Briede et al., Cell Biochem Funct. 2008, 26, 908-15; Rubinstein et al., Clin Exp Immunol. 2008, 154 ,235-46). 이에 본 발명에서는 STZ-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가슴샘 및 비장의 변화를 측정하여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복합조성물이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1) 가슴샘 중량의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당뇨병을 유발시킨 랫트의 가슴샘 중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35에 나타내었다.
구분
가슴샘 중량의 변화
절대중량
(g)
STZ 대조군 대비(%) 상대중량
(%)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0.428±0.056 0.184±0.028
STZ 0.044±0.018 -89.72
(정상군 대비)
0.036±0.015 -80.43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0.139±0.031 216.79 0.096±0.022 165.65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0.183±0.039 316.48 0.124±0.024 242.63
100 mg/kg 0.169±0.033 283.24 0.123±0.025 240.38
50 mg/kg 0.138±0.037 214.20 0.113±0.044 212.81
표 3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가슴샘의 절대중량 및 상대중량이 각각 90 및 80% 감소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가슴샘 절대중량 및 상대중량이 각각 217% 및 166% 증가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가슴샘 절대중량 및 상대중량이 각각 214-316% 및 213-243%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2) 비장 중량의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당뇨병을 유발시킨 랫트의 비장 중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36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장 중량의 변화
절대중량
(g)
STZ 대조군
대비(%)
상대중량
(%)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0.436±0.058 0.187±0.020
STZ 0.188±0.030 -57.90
(정상군 대비)
0.154±0.025 -17.98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0.296±0.052 57.73 0.206±0.050 34.07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0.328±0.054 75.13 0.225±0.049 46.25
100 mg/kg 0.286±0.064 52.47 0.208±0.049 35.61
50 mg/kg 0.253±0.053 34.80 0.198±0.034 29.19
표 3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비장의 절대중량 및 상대중량이 각각 58 및 18% 감소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비장의 절대중량 및 상대중량이 각각 58% 및 34% 증가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비장의 절대중량 및 상대중량이 각각 35-75% 및 29-46%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3) 가슴샘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당뇨병을 유발시킨 랫트의 가슴샘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37에 나타내었다.
구분
가슴샘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가슴샘 소엽
전체두께
(㎛/lobes)
STZ 대조군
대비(%)
가슴샘 피질 두께
(㎛/lobes)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2974.01±499.78 1371.64±128.20
STZ 1322.70±257.01 -55.52
(정상군 대비)
524.90±82.27 -61.73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1723.61±219.35 30.31 904.29±148.79 72.28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1967.71±154.84 48.77 1091.97±236.98 108.03
100 mg/kg 1785.13±228.37 34.95 1047.14±188.31 99.49
50 mg/kg 1594.55±158.21 20.55 832.05±103.80 58.51
표 3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가슴샘 소엽 전체두께가 56% 감소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가슴샘 소엽 전체두께가 30% 증가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가슴샘 소엽 전체두께가 각각 21-49%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3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가슴샘 피질 두께가 62% 감소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가슴샘 피질 두께가 72% 증가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가슴샘 피질 두께가 각각 59-108%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4) 비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당뇨병을 유발시킨 랫트의 비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38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비장 전체 두께
(mm/ central region of spleen)
STZ 대조군
대비(%)
비장 백색수질의 평균직경(㎛)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3.73±0.62 1514.07±129.47
STZ 2.01±0.19 -46.10
(정상군 대비)
603.67±228.00 -60.13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2.62±0.45 30.14 943.44±209.24 -56.28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2.79±0.49 38.53 1311.58±221.21 117.27
100 mg/kg 2.61±0.46 29.52 944.43±134.79 56.45
50 mg/kg 2.38±0.37 18.40 868.71±162.88 43.90
표 3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비장 전체 두께가 46% 감소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비장 전체 두께가 30% 증가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비장 전체 두께가 각각 21-49%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3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비장 백색수질의 평균직경이 60% 감소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비장 백색수질의 평균직경이 56%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비장 백색수질의 평균직경이 각각 44-117%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에서는 현저한 가슴샘 및 비장 중량의 감소와 함께, 조직병리학적 위축이 인정되었으나, 세 용량의 모든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복합조성물 투여에 의해 가슴샘 및 비장의 변화가 투여용량의존적으로 억제되어,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복합조성물은 당뇨병과 관련된 면역 면역억제를 비교적 유효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동일한 용량의 실리마린 과 동등 유사한 정도의 면역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시예 14>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스트렙토조토신( STZ )-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안구보호에 미치는 영향
백내장과 망막 손상 역시 가장 흔한 당뇨 합병증 중 하나로, 당뇨환자의 대략 20%정도가 당뇨성 백내장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당뇨병에 의한 안구손상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기전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나, 주로 고혈당의 기간과 그 정도에 달려 있고(Jarrett and Keen, Lancet. 1976, 2, 1009-12; Klein et al., Ophthalmology. 1985, 92, 1191-6; Jahn et al., Ophthalmic Res. 1986, 18, 112-6; Brown and Bron, Butterwoth-Heinemann. 1996, 190-211; Swamy-Mruthinti et al., Curr Eye Res. 1999, 18, 423-9),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역시 중요한 발병 기전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Boscia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0, 41, 2461-5; Spector, J Ocul Pharmacol Ther. 2000, 16, 193-201; Ozmen et al., Clin Biochem. 2002, 35, 69-72; Ramana et al., J Diabetes Complications. 2004, 18, 177-82). 백내장 수치 및 안구의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후보물질의 당뇨병성 안구손상에 대한 약효 평가 기준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당뇨병성 안구손상시 현저한 백내장의 증가와 함께 수정체의 손상, 망막 위축 및 신생혈관의 증가가 관찰된다(Barber et al., J Clin Invest. 1998, 102, 783-91; Yoshida et al., Biol Pharm Bull. 2004, 27, 338-44; Kametaka et al., J Pharmacol Sci. 2008a, 106, 144-51; Kametaka et al., J Pharmacol Sci. 2008b, 106, 651-8; Saito et al., Biol Pharm Bull. 2008, 31, 1959-63). 이에 본 발명에서는 STZ-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백내장 수치 및 안구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측정하여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복합조성물이 안구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1) 백내장 수치의 변화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안구보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당뇨병을 유발시킨 랫트의 백내장 수치의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39에 나타내었다.
구분
백내장 수치
육안 수치 STZ 대조군
대비(%)
정량
이미지-분석 수치(%)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0.38±0.52 9.29±2.88
STZ 4.38±0.74 1066.67
(정상군 대비)
50.36±6.04 441.99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2.63±0.92 -40.00 31.77±8.78 -36.91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2.13±0.64 -51.43 25.91±6.98 -48.55
100 mg/kg 2.75±0.89 -37.14 32.23±7.50 -36.00
50 mg/kg 3.00±1.07 -31.43 34.72±10.93 -31.06
표 3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백내장 육안 수치가 1067%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백내장 육안 수치가 40%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백내장 육안 수치가 31-51%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3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백내장 정량 이미지 수치가 442%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백내장 정량 이미지 수치가 37%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백내장 정량 이미지 수치가 31-49%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2) 수정체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안구보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당뇨병을 유발시킨 랫트의 수정체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40에 나타내었다.
구분
수정체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손상 수치 STZ 대조군
대비(%)
손상부위의
두께(㎛/lens)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0.25±0.46 432.95±107.56
STZ 2.25±0.711 800.00
(정상군 대비)
1744.33±326.77 302.90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1.38±0.74 -38.89 1096.97±179.75 -37.11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1.00±0.53 -55.56 816.64±301.07 -53.18
100 mg/kg 1.38±0.52 -38.89 939.35±277.97 -46.15
50 mg/kg 1.50±0.53 -33.33 1162.96±192.40 -33.33
표 4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수정체 손상 수치가 800%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수정체 손상 수치가 39%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수정체 손상 수치가 각각 33-56%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4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수정체 손상부위의 두께가 303%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수정체 손상부위의 두께가 37%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수정체 손상부위의 두께가 각각 33-58%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3) 망막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이 STZ-유발 당뇨병 동물모델의 안구보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당뇨병을 유발시킨 랫트의 망막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측정하여 실험결과를 하기 표 41 및 표 42에 나타내었다.
구분
망막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전체 두께
(㎛/망막)
STZ 대조군
대비(%)
얼기층 두께
(㎛/망막)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432.26±114.83 117.07±16.24
STZ 154.50±31.03 -64.26
(정상군 대비)
60.33±11.58 -48.46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237.65±51.35 53.82 81.67±14.14 35.37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296.92±67.63 92.18 105.92±6.50 75.57
100 mg/kg 247.38±45.86 60.12 83.53±13.81 38.45
50 mg/kg 223.91±30.14 44.92 79.14±10.29 31.18
표 4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망막의 전체두께가 64% 감소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망막의 전체두께가 54% 증가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망막의 전체두께가 각각 45-92%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4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망막 얼기층의 두께가 48% 감소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망막 얼기층의 두께가 35% 증가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망막 얼기층의 두께가 각각 31-76%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망막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핵층의 두께
(㎛/망막)
STZ 대조군
대비(%)
속경계막 내에 존재하는 혈관의 수(/1mm of 망막) STZ 대조군 대비(%)
정상대조군
STZ 대조군
정상군 91.22±9.07 1.25±0.71
STZ 42.45±11.27 -52.92
(정상군 대비)
10.38±1.69 730.00
(정상군 대비)
대조약물투여군 실리마린 55.72±8.64 29.74 5.25±1.04 -49.40
당귀:산마늘(4:1)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 mg/kg 68.09±9.69 58.54 3.63±0.74 -65.06
100 mg/kg 64.36±10.36 49.86 5.13±1.25 -50.60
50 mg/kg 58.49±8.78 36.19 5.63±1.77 -45.78
표 4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망막 핵층의 두께가 53% 감소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망막 핵층의 두께가 30% 증가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망막 핵층의 두께가 각각 36-59%로 현저한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4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TZ 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는 정상대조군으로 사용된 랫트에 비해 망막 속경계막 내에 존재하는 혈관의 수가 730% 증가하였고, 대조약물로 사용된 실리마린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망막 속경계막 내에 존재하는 혈관의 수가 49%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 100 및 50 mg/kg 투여군에서 STZ 대조군에 비해 망막 속경계막 내에 존재하는 혈관의 수가 각각 46-65%로 현저한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백내장 및 수정체 손상의 증가와 함께 망막 두께, 망막의 속얼기층 및 속핵층의 두께의 감소, 속 한계막의 혈관 증식 등 전형적인 당뇨병성 안구 손상이 STZ 대조군에서 인정되었으나, 세 용량의 모든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복합조성물 투여에 의해 이러한 백내장 및 안구손상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복합조성물은 당뇨병성 안구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동일한 용량의 실리마린과 동등 유사한 정도의 안구손상 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은 STZ 투여에 의한 당뇨 및 당뇨병성 신장손상, 면역억제 및 안구손상에 대해 비교적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당뇨 및 관련 합병증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판단되며, 50 mg/kg 투여군에서도 유효한 효과가 인정되어, 최적 유효 용량은 50 mg/kg 이하로 투여할 수 있고,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 복합조성물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용량의 실리마린과 동등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시예 15>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의 독성실험
(1) 실험 동물 및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에 대하여 래트 단회 경구 투여 독성 자료를 얻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9-116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 기준”에 의거하여, 설치류 투여 한계 용량인 2000 mg/kg을 최고 투여군을 설정하고 공비 2로 1000 및 500 mg/kg 투여군을 중간 및 저용량 투여군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은 암.수 SD 랫트를 사용하였으며, 총 8군(매체 대조군 포함)으로 각 1군 당 각각 5마리씩 사용하였다. 약물은 멸균증류수를 용매로 사용하여 경구투여하였으며, 2000, 1000, 500 및 0 mg/kg을 단회 경구투여 하였다.
(2)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의 래트 단회 경구 투여 독성실험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사망률
상기 실험 결과, 설치류 한계 투여용량인 2000 mg/kg 투여군까지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투여와 관련된 사망례는 14일간의 실험기간 동안 발생하지 않았다.
체중 및 증체량
모든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투여군에서 각각의 동일 성별 매체 대조군과 비교하여 의미 있는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는 실험 전 기간동안 각각 발생하지 않았다. 기간동안의 각 군의 증체량의 변화를 다음의 표 43에 나타내었다.
구분 기간
0일-7일 7일-13일 0일-13일
정상군 수컷 85.40±6.80 40.00±5.10 125.40±11.74
암컷 42.00±6.44 8.80±2.68 50.80±8.20
복합조성물
투여된 수컷 군
2000 mg/kg 82.80±8.41 36.40±7.40 119.20±15.22
1000 mg/kg 85.40±9.02 37.80±2.95 123.20±8.53
500 mg/kg 80.20±7.12 32.00±5.10 112.20±11.68
복합조성물
투여된 암컷 군
2000 mg/kg 36.60±5.50 12.20±3.56 48.80±2.77
1000 mg/kg 39.40±1.67 9.00±1.22 48.40±2.19
500 mg/kg 42.20±4.15 10.20±3.27 52.40±6.88
반수치사량 , 개략적 치사량, 표적장기
본 실험에서 설치류 투여한계 용량인 2000 mg/kg 투여군까지 사망례가 인정되지 않아,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의 래트에 대한 단회 경구 투여 반수 치사량 및 개략적 치사량은 암수 각각 >2000 mg/kg으로 산출되었으며, 특정 임상증상 및 표적 장기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의 결과를 다음의 표 46에 나타내었다.
동물 Index
반치사량
(LD50)
개략적 치사량
(Approximated LD)
표적장기
수컷 >2000 mg/kg >2000 mg/kg 2000 mg/kg 까지
나타나지 않음
암컷 >2000 mg/kg >2000 mg/kg
표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의 랫트에서 단회 경구 투여독성 실험의 결과, 설치류 투여 한계 용량인 2000 mg/kg까지 사망례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다른 독성 증상이 인정되지 않아, 2주 반복 용량 설정 실험에서도, 본 실험의 최대 투여 용량인 2000 mg/kg을 최고 투여용량으로 하고, 1000 및 500 mg/kg을 중간 및 저용량 투여군으로 설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실시예 16>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4:1로 구성된 복합조성물의 소핵실험
(1) 실험 동물 및 방법
고지방 사료 공급에 의해 유발되는 비만성 당뇨 및 합병증에 최적 조성으로 선정된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에 대한 유전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생체 외(In Vivo ) 소핵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수컷 ICR 마우스 총 5군(매체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CPA 투여군 포함) 1 군 당 각각 10마리씩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2000, 1000 및 500 mg/kg을 멸균 증류수수에 용해시켜 10 ㎖/kg으로 일일 1회씩 2일간 경구투여 하였으며, 매체 대조군은 멸균 증류수 10 ㎖/kg만을 2일간 경구투여 하고, 양성 대조군은 CPA 70 mg/kg을 소금물(saline)에 용해시켜 10㎖/kg으로 단회 복강 투여하였다.
현재까지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에 대한 마우스 경구투여 독성 자료가 없어, 설치류 한계 투여용량(OECD Guidelines #423, 2001; KFDA Guidelines 2009-116, 2009)인 2000 mg/kg을 최고 용량으로 설정하고, KFDA Guideline(2009-116, 2009)에 따라 공비 2로 1000 및 500 mg/kg 투여군을 설정하였으며, 마우스 단회 경구투여시 적절 투여 용량(Flecknell, Laboratory Animal Anesthesia, 2nd Ed, p 269, 1996)인 10 ㎖/kg의 용량으로 1일 일회씩 2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2) 실험결과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의 소핵실험 결과를 항목별로 하기에 나타내었다.
사망률
실험 결과,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투여와 관련된 사망례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매체 대조군 및 CPA 투여군에서도 사망례는 발생하지 않았다.
체중 및 증체량
CPA 또는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 투여군에서 의미 있는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소핵다염적혈구 ( MNPCE , micronucleus polychromatic erythrocyte ) 수적 변화
마우스 골수 도말 표본을 이용한 소핵실험은 유전독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가장 간단하고 확실한 평가로 알려져 있으며(Renner, Mutat Res. 1990;244:185-8), 소핵다염적혈구의 증가는 유전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본 실험의 결과,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은 설치류 최대 투여용량인 2000 mg/kg까지 매체 대조군과 유사한 MNPCE의 수적 변화를 나타내었으므로, 마우스 골수 세포를 이용한 소핵실험에 음성인 것을 확인하였다. 각 그룹의 소핵다염적혈구의 수적변화를 다음의 표 45에 나타내었다.
그룹 MNPCEs/2000 PCEs
대조군 매체 대조군 1.40±1.35
양성 대조군 65.90±13.08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0 mg/kg 1.90±1.29
1000 mg/kg 2.20±1.40
500 mg/kg 1.80±1.14
양성 대조물질로 사용한 CPA는 항암제및 면역억제제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로(Grochow, Williams & Wilkins; 1996;293-316), 조혈세포 및 임파기계 세포에 손상을 미쳐 현저한 백혈구 감소증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ngulo et al., Blood. 2000;95:212-20). CPA의 대사산물인 알킬레이팅 핵산(alkylating nucleic acids)(Miyauchi et al., Tohoku J Exp Med. 1990;162:147-67)이 자유-라디칼(free-radicals)을 형성하고 DNA를 알킬레이팅시켜 유전독성(mutagenicity)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El-Bayoumy, Mutat Res. 2001;475:123-39), 현재 한국식품의약품 안전청 고시(의약품등의독성시험기준, 제2009-116호, 2009)에서 마우스 골수 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시 양성 대조약물로의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 CPA 70 mg/kg 투여군에서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소핵다염 적혈구의 증가가 인정되어, 본 실험이 비교적 잘 수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염적혈구 ( PCE ( PCE + NCE normochromatic erythrocyte )) 비율의 변화
다염적혈구(PCE/(PCE+NCE))의 비율은 처리 물질의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0.20 이상 시,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실험 실험결과를 인정하고 있다(Heddle et al., Handbook of Mutagenicity Test Procedures. 2nd Edition, Elsevier, pp. 441-57, 1984). 본 실험의 결과, CPA 투여군에 국한되어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CE의 수적 감소와 이에 따른 PCE/(PCE+NCE) 비율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나, CPA 투여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군에서 PCE/(PCE+NCE) 비율이 평균 0.47이상(개체: 0.44 이상)으로 관찰되어 세포 독성에 의한 오류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각 그룹의 다염적혈구 비율의 변화를 다음의 표 48에 나타내었다.
그룹 PCE(PCE+NCE) 비율/500 적혈구
대조군 매체 대조군 0.53±0.01
양성 대조군 0.47±0.03
복합조성물 투여군 2000 mg/kg 0.53±0.03
1000 mg/kg 0.54±0.06
500 mg/kg 0.54±0.04
표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 결과,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혼합중량비가 4:1인 복합조성물은 설치류 한계투여용량인 2000 mg/kg까지 의미 있는 MNPCE의 수적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골수 세포를 이용한 소핵실험에서 음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50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캅셀제의 제조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통상의 캡슐제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50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10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체를 제조한다.
<제제예 2> 건강식품의 제조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3> 건강 음료의 제조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4> 기타 건강식품의 제조
4-1. 음료의 제조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0.48-1.28 ㎎
물 200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4-2.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20%
설탕 76.36-76.76%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0.24-0.64%
후르츠향 1%
물 2%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4-3. 캔디의 제조
설탕 50-60%
물엿 39.26-49.66%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0.24-0.64%
오렌지향 0.1%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캔디를 제조하였다.
4-4. 밀가루 식품의 제조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0.5-5 중량부를 밀가루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4-5.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5-10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4-6.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 시켜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및 종실류와 본 발명의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현미 30%
율무 15%
보리 20%
들깨 7%
검정콩 7%
검은깨 7%
당귀 및 산마늘 복합조성물 3%
영지 0.5%
지황 0.5%

Claims (32)

  1.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중량비가 1:4-6 또는 2-4:1로 조성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중량비가 1:4 또는 4:1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중량비가 4:1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 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당강하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 고지혈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 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신장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면역억제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안구손상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 합병증은 당뇨성 신변증, 당뇨성 간변증, 고혈압, 동맥 경화증, 뇌졸중, 심부전증, 면역억제 및 당뇨병성 망막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중량비가 1:4-6 또는 2-4:1로 조성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중량비가 1:4 또는 4:1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중량비가 4:1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용량 의존적으로 야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비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용량 의존적으로 야기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
  18.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중량비가 1:4-6 또는 2-4:1로 조성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9. 제14항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중량비가 1:4 또는 4:1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0. 제14항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중량비가 4:1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 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당강하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 고지혈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간 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신장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면역억제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안구손상보호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2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 합병증은 당뇨성 신변증, 당뇨성 간변증, 고혈압, 동맥 경화증, 뇌졸중, 심부전증, 면역억제 및 당뇨병성 망막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30.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중량비가 1:4-6 또는 2-4:1로 조성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31. 제24항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중량비가 1:4 또는 4:1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32. 제24항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중량비가 4:1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110079721A 2010-08-11 2011-08-10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34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5914 WO2012021014A2 (ko) 2010-08-11 2011-08-11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7318 2010-08-11
KR1020100077318 2010-08-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554A true KR20120034554A (ko) 2012-04-12

Family

ID=4613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721A KR20120034554A (ko) 2010-08-11 2011-08-10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45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774A (ko) * 2014-04-15 2015-10-23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774A (ko) * 2014-04-15 2015-10-23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791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and Coix lachryma-jobi for suppressing obesity or lowering blood sugar, and use thereof
KR101756804B1 (ko) 참당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한방소스 제조방법
US20220226409A1 (en) Composition for stimulating of myogenesis and prevention of muscle damage containing ginseng extract
KR102203657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310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1910898B1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22408B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5485B1 (ko) 울금 및 연잎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비만의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56127B1 (ko)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20120034554A (ko)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36068B1 (ko)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60139953A (ko)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241338B1 (ko) 편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11285188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artemisiae capillaris herba and citrus unshiu peel complex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KR102501310B1 (ko) 항비만용 조성물
KR20100108869A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6103A (ko) 돌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