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237A -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8237A KR20110078237A KR1020090134989A KR20090134989A KR20110078237A KR 20110078237 A KR20110078237 A KR 20110078237A KR 1020090134989 A KR1020090134989 A KR 1020090134989A KR 20090134989 A KR20090134989 A KR 20090134989A KR 20110078237 A KR20110078237 A KR 201100782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loquat
- obesity
- composition
- active ingredi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0
- 235000009008 Eriobotrya japonic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8
- 240000005967 Eriobotrya japonic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0000003405 prevent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40000002853 Nelumbo nucifer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5000006508 Nelumbo nucifer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XEKOWRVHYACXOJ-UHFFFAOYSA-N acetic acid ethyl ester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YMWUJEATGCHHMB-UHFFFAOYSA-N methylene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125000004432 carbon atoms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HLEIPBQGPVVMKD-UHFFFAOYSA-N ethane;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HLEIPBQGPVVMK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6510 Nelumbo pentapeta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0000003430 Nymphaea lot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0710 Nymphaea lot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1092070 Eriobotrya Species 0.000 claims 5
- 210000001789 adipocyt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7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9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3579 anti-obes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10000004027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829 reduced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108010016731 PPAR gamma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01 m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102100000077 PPARG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378 dietary Effects 0.000 description 8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609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445 natur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3995 transcription fac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90000464 transcription fac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1 excipient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1100000486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BJHIKXHVCXFQLS-UYFOZJQFSA-N Fructose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O)CO BJHIKXHVCXFQLS-UYFOZJQFSA-N 0.000 description 4
- GUBGYTABKSRVRQ-YOLKTULG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O[C@H]1CO)[C@@H]1[C@H](O)[C@@H](O)[C@@H](O)[C@@H](CO)O1 GUBGYTABKSRVRQ-YOLKTULGSA-N 0.000 description 4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965 antibodi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1123 antibodi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102000011690 Adiponec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76365 Adiponec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3
- UNXHWFMMPAWVPI-QWWZWVQMSA-N D-Thre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O UNXHWFMMPAWVPI-QWWZWVQMSA-N 0.000 description 3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3
- CZMRCDWAGMRECN-UGDNZRGBSA-N D-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3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UUNJERMW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O[C@@H]1CO)[C@H]1[C@@H](O)[C@@H](O)[C@H](O)[C@H](CO)O1 GUBGYTABKSRVRQ-UUNJERMWSA-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1375 Lactose Drugs 0.000 description 3
- NRYBAZVQPHGZNS-ZSOCWYAHSA-N Leptin Chemical compound O=C([C@H](CO)NC(=O)[C@H](CC(C)C)NC(=O)[C@H](CC(O)=O)NC(=O)[C@H](CC(C)C)NC(=O)[C@H](CCC(N)=O)NC(=O)[C@H](CC=1C2=CC=CC=C2NC=1)NC(=O)[C@H](CC(C)C)NC(=O)[C@@H](NC(=O)[C@H](CC(O)=O)NC(=O)[C@H](CCC(N)=O)NC(=O)[C@H](CC(C)C)NC(=O)[C@H](CO)NC(=O)CNC(=O)[C@H](CCC(N)=O)NC(=O)[C@@H](N)CC(C)C)CCSC)N1CCC[C@H]1C(=O)NCC(=O)N[C@@H](CS)C(O)=O NRYBAZVQPHGZNS-ZSOCWYAH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16267 Lep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92277 Lep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29940040461 Lipas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67 Lip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12132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CZMRCDWAGMRECN-GDQSFJPYSA-N Sucr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O)[C@H](O)[C@@H](O)[C@@H](CO)O1 CZMRCDWAGMRECN-GDQSFJP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0 TBST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GSEJCLTVZPLZKY-UHFFFAOYSA-N Tris Chemical compound OCCN(CCO)CCO GSEJCLTVZPLZ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83 Tr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83 anti-obesit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577 caloric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823 dietary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GUBGYTABKSRVRQ-XLOQQCSPSA-N 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3
- 229940039781 lept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421 lip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882 lip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1060 lip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OZAIFHULBGXAKX-UHFFFAOYSA-N precursor Substances N#CC(C)(C)N=NC(C)(C)C#N OZAIFHULBGXA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WQZGKKKJIJFFOK-VFUOTHLCSA-N β-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DGVVWUTYPXICAM-UHFFFAOYSA-N 2-mercaptoethanol Chemical compound OCCS DGVVWUTYPXIC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579 Abdominal Fa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XJKJWTWGDGIQRH-BFIDDRIFSA-N Alginic acid Chemical compound O1[C@@H](C(O)=O)[C@@H](OC)[C@H](O)[C@H](O)[C@@H]1O[C@@H]1[C@@H](C(O)=O)O[C@@H](C)[C@@H](O)[C@H]1O XJKJWTWGDGIQRH-BFIDDRIFSA-N 0.000 description 2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563 Calcium Carbon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707 Cap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55433 Centrarchus macropt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KAZBKCHUSA-N D-Mann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AZBKCHU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61428 Decreased appet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LPLVUJXQOOQHMX-MYOOOWEV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2[C@H](O)[C@@H](O)[C@H](O)[C@H](C(=O)O)O2)[C@@H](O[C@@H]2C(C)(C)[C@H]3[C@@](C)([C@H]4C(=O)C=C5[C@](C)([C@]4(C)CC3)CC[C@]3(C)[C@H]5C[C@](C(=O)O)(C)CC3)CC2)O1 LPLVUJXQOOQHMX-MYOOOWEV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0601 Interleukin-6 Drug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889 Interleukin-6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1005 Interleukin-6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1476 Lactos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KVTDHHQDSA-N 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2
- TWRXJAOTZQYOKJ-UHFFFAOYSA-L MgCl2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07 Nelumb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AHLBNYSZXLDEJQ-FWEHEUNISA-N Orlistat Chemical group CCCCCCCCCCC[C@H](OC(=O)[C@H](CC(C)C)NC=O)C[C@@H]1OC(=O)[C@H]1CCCCCC AHLBNYSZXLDEJQ-FWEHEUNISA-N 0.000 description 2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2
- 101710043414 SREBF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2
- UNAANXDKBXWMLN-UHFFFAOYSA-N Sibutramine Chemical compound C=1C=C(Cl)C=CC=1C1(C(N(C)C)CC(C)C)CCC1 UNAANXDKBXWML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40032147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132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NCGAPWICSA-N Stevioside A3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0852 Tumor Necrosis Factor-alph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01801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1759 adipose tissue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216 calcium 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4881 catalytic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8739 coronary arte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7 crude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9 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VBPIULPVIDEAO-LBPRGKRZSA-N folic aci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NC=1CNC1=CC=C(C(=O)N[C@@H](CCC(O)=O)C(O)=O)C=C1 OVBPIULPVIDEA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Substances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4 fractio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03 gelatin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68 gen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76 glycan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2
- VLKZOEOYAKHREP-UHFFFAOYSA-N 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56 lipid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40 ment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80 negative regulation of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VNIIMVLHYAWGP-UHFFFAOYSA-N nicot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N=C1 PVNIIMVLHYAW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243 orlista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ZAYGJVTTNCVMB-UHFFFAOYSA-N serotonin Chemical compound C1=C(O)C=C2C(CCN)=CNC2=C1 QZAYGJVTTNCV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425 sibutram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FLSHLFXELFNJZ-QMMMGPOBSA-N (-)-norepinephrine Chemical compound NC[C@H](O)C1=CC=C(O)C(O)=C1 SFLSHLFXELFNJZ-QMMMGPOBSA-N 0.000 description 1
- GDBQQVLCIARPGH-ULQDDVLXSA-N (2S)-2-acetamido-N-[(2S)-1-[[(2S)-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4-methyl-1-oxopentan-2-yl]-4-methylpentanamide Chemical compound CC(C)C[C@H](NC(C)=O)C(=O)N[C@@H](CC(C)C)C(=O)N[C@H](C=O)CCCN=C(N)N GDBQQVLCIARPGH-ULQDDVLXSA-N 0.000 description 1
- XNLICIUVMPYHGG-UHFFFAOYSA-N 2-Pentanone Chemical compound CCCC(C)=O XNLICIUVMPYHG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PIXJSLKIYYUKG-UHFFFAOYSA-N 3-Isobutyl-1-methyl-2,6(1H,3H)-purinedione Chemical compound O=C1N(C)C(=O)N(CC(C)C)C2=C1N=CN2 APIXJSLKIYYUK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100011550 ACTB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00033661 ACTB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10032514 ACTI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17333 ADD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00024838 ADD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08010039627 Aprotin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UDSAIICHUKSCKT-UHFFFAOYSA-N Bromophenol blue Chemical compound C1=C(Br)C(O)=C(Br)C=C1C1(C=2C=C(Br)C(O)=C(Br)C=2)C2=CC=CC=C2S(=O)(=O)O1 UDSAIICHUKSCK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7769 Calcium Carbonat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JHLNERQLKQQLRZ-UHFFFAOYSA-N Calc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Ca+2].[Ca+2].[O-][Si]([O-])([O-])[O-] JHLNERQLKQQLR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787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68 Citrus lim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981 Corona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0606 DIURETICS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380450 Danaus melanip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REBDLICKHMUKA-CXSFZGCWSA-N Dexamethasone Chemical compound C1CC2=CC(=O)C=C[C@]2(C)[C@]2(F)[C@@H]1[C@@H]1C[C@@H](C)[C@@](C(=O)CO)(O)[C@@]1(C)C[C@@H]2O UREBDLICKHMUKA-CXSFZGCW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957 Dexamethas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ZPWVASYFFYYZEW-UHFFFAOYSA-L Dipotas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OP([O-])([O-])=O ZPWVASYFFYYZE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922 Drug-Related Side Effects and Adverse Rea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2766 EGTA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18 Epididy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092 Faecal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04 Fo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4259 Gela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WZUVPPKBWHMQCE-VYIIXAMBSA-N Haematoxylin Chemical compound C12=CC(O)=C(O)C=C2C[C@@]2(O)C1C1=CC=C(O)C(O)=C1OC2 WZUVPPKBWHMQCE-VYIIXAMB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16 Hypothalam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ZPNFWUPYTFPOJU-LPYSRVMUSA-N Iniprol Chemical compound C([C@H]1C(=O)NCC(=O)NCC(=O)N[C@H]2CSSC[C@H]3C(=O)N[C@@H](CCCCN)C(=O)N[C@@H](C)C(=O)N[C@@H](CCCNC(N)=N)C(=O)N[C@H](C(N[C@H](C(=O)N[C@@H](CCCNC(N)=N)C(=O)N[C@@H](CC=4C=CC(O)=CC=4)C(=O)N[C@@H](CC=4C=CC=CC=4)C(=O)N[C@@H](CC=4C=CC(O)=CC=4)C(=O)N[C@@H](CC(N)=O)C(=O)N[C@@H](C)C(=O)N[C@@H](CCCCN)C(=O)N[C@@H](C)C(=O)NCC(=O)N[C@@H](CC(C)C)C(=O)N[C@@H](CSSC[C@H](NC(=O)[C@H](CC(O)=O)NC(=O)[C@H](CCC(O)=O)NC(=O)[C@H](C)NC(=O)[C@H](CO)NC(=O)[C@H](CCCCN)NC(=O)[C@H](CC=4C=CC=CC=4)NC(=O)[C@H](CC(N)=O)NC(=O)[C@H](CC(N)=O)NC(=O)[C@H](CCCNC(N)=N)NC(=O)[C@H](CCCCN)NC(=O)[C@H](C)NC(=O)[C@H](CCCNC(N)=N)NC2=O)C(=O)N[C@@H](CCSC)C(=O)N[C@@H](CCCNC(N)=N)C(=O)N[C@@H]([C@@H](C)O)C(=O)N[C@@H](CSSC[C@H](NC(=O)[C@H](CC=2C=CC=CC=2)NC(=O)[C@H](CC(O)=O)NC(=O)[C@H]2N(CCC2)C(=O)[C@@H](N)CCCNC(N)=N)C(=O)N[C@@H](CC(C)C)C(=O)N[C@@H](CCC(O)=O)C(=O)N2[C@@H](CCC2)C(=O)N2[C@@H](CCC2)C(=O)N[C@@H](CC=2C=CC(O)=CC=2)C(=O)N[C@@H]([C@@H](C)O)C(=O)NCC(=O)N2[C@@H](CCC2)C(=O)N3)C(=O)NCC(=O)NCC(=O)N[C@@H](C)C(O)=O)C(=O)N[C@@H](CCC(N)=O)C(=O)N[C@H](C(=O)N[C@@H](CC=2C=CC=CC=2)C(=O)N[C@H](C(=O)N1)C(C)C)[C@@H](C)O)[C@@H](C)CC)=O)[C@@H](C)CC)C1=CC=C(O)C=C1 ZPNFWUPYTFPOJU-LPYSRVMUSA-N 0.000 description 1
- BAUYGSIQEAFULO-UHFFFAOYSA-L Iron(II) sulfate Chemical compound [Fe+2].[O-]S([O-])(=O)=O BAUYGSIQEAFU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SFLSHLFXELFNJZ-MRVPVSSYSA-N L-Noradrenaline Natural products NC[C@@H](O)C1=CC=C(O)C(O)=C1 SFLSHLFXELFNJZ-MRVPVSS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ZLNQQNXFFQJAID-UHFFFAOYSA-L Magne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Mg+2].[O-]C([O-])=O ZLNQQNXFFQJAI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466 Metabol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SWPMRLSEDHDFF-UHFFFAOYSA-N Methyl salicyl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C=C1O OSWPMRLSEDHDF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16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53643 Neurodegenerat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20 Nitro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48 Norepineph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0113 Oed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8319 Oropharynge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73 Oryctolagus cuni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307 Ov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YBYRMVIVWMBXKQ-UHFFFAOYSA-N PMSF Chemical compound FS(=O)(=O)CC1=CC=CC=C1 YBYRMVIVWMBXK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96 Pancrea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369 Pancreatic lipas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9280 Pancreatic lip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50006759 Pancreatic lip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417 Peroxidas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992 Perox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437 Perox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0 Pharynx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13 Polysorbate 2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QEEAPRPFLLJWCF-UHFFFAOYSA-K Potass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K+].[K+].[K+].[O-]C(=O)CC(O)(CC([O-])=O)C([O-])=O QEEAPRPFLLJWCF-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063 Propylene glycol Drug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PPKVPWEQAFLFU-UHFFFAOYSA-J Pyro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P([O-])([O-])=O XPPKVPWEQAFLFU-UHFFFAOYSA-J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7 Rattus norveg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7156 Resis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7909 Resis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84 Roden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222 Ros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6279 Seroton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969 Steato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15 Toot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4890 Triton X-10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779 Vitamin B1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203 Vitamin B6 0.5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93 adipoge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72 allerg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5 animal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96 anti-anti-diur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9 anti-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46 anticoagul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7 appetite cont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96 appetite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405 aprotin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937 atopic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53 average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52 bab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YBJHBAHKTGYVGT-ZKWXMUAHSA-N biotin Chemical compound N1C(=O)N[C@@H]2[C@H](CCCCC(=O)O)SC[C@@H]21 YBJHBAHKTGYVGT-ZKWXMUAH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85 bi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58 bio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16 bio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APWYRCQGJNNSJ-UBKPKTQASA-L calcium D-pantothenic acid Chemical compound [Ca+2].OCC(C)(C)[C@@H](O)C(=O)NCCC([O-])=O.OCC(C)(C)[C@@H](O)C(=O)NCCC([O-])=O FAPWYRCQGJNNSJ-UBKPKTQASA-L 0.000 description 1
- FUFJGUQYACFECW-UHFFFAOYSA-L calcium hydrogen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OP([O-])([O-])=O FUFJGUQYACFEC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079 calcium pantothe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JEKPADUEQKKLDL-AKSHDPDZSA-N calcium;(2R,3R,4S,5S,6R)-2-[(2S,3S,4S,5R)-3,4-dihydroxy-2,5-bis(hydroxymethyl)oxolan-2-yl]oxy-6-(hydroxymethyl)oxane-3,4,5-triol Chemical compound [Ca].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JEKPADUEQKKLDL-AKSHDPDZ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084 cerebr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46 cobalamin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50 conventional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40 cultur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286 dia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00 dicalc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079 dicalcium phosphate anhydro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0 di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34 diu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71 drink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78 electrochemiluminescence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4 endocr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439 energy home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149 energy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91010081 enhancer binding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DEFVIWRASFVYLL-UHFFFAOYSA-N ethylene glycol bis(2-aminoethyl)tetra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OCCOCCN(CC(O)=O)CC(O)=O DEFVIWRASFVYL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233957 eudicotyledo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207 exercise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61 fat-fr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846 fatty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34 feeding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85 fermen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0 ferrous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1 ferrous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2 fish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2 fo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4 fo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79 hex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59 iron(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5841 k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2968 leupep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32 lipogen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30 lip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66 lipoly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3 liqu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60 loading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66 lys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39 lys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95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6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1 magne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31 microscopic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60 morphological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0 nitrocellulo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54 non-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17 nutraceut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5 overweigh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98 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01 polyacryl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8 potass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35 potass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29 preadip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1 processed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72 propylene glyc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180 public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42 retino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73 retinyl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0 ret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GNJRVVDBSJHIZ-QHLGVNSISA-N ret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C(/C)\C=C\C=C(/C)\C=C\C1=C(C)CCCC1(C)C QGNJRVVDBSJHIZ-QHLGVNSI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64 seaso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49 siz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024 sodium flu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PUZPDOWCWNUUKD-UHFFFAOYSA-M sodium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F-].[Na+] PUZPDOWCWNUUK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2 soy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6 spiri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130 stem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29026 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8475 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1 tripotass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0 tripotassium c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8 vacuum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3 vitamin B1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5 vitamin B1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2 vitamin 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60 weight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62 western blo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HCLVCXQIBBOPH-UHFFFAOYSA-N β-glycero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CC(CO)OP(O)(O)=O DHCLVCXQIBBOP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비파 추출물은 지방소화효소 활성 저해효과가 뛰어나고, 지방세포의 지방생성 억제능이 있으므로 비만의 치료 및 예방 효과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부작용의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여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비파, 비만, 지방세포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제수준 향상에 의한 영양과잉, 환경오염, 운동부족, 스트레스 증가 등에 따른 각종 생활습관병 및 만성퇴행성질환의 만연이 우리 사회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중, 최근에 가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질병이 비만이다.
상기 비만(obesity)은 에너지섭취(energy intake)가 에너지소비(energy expenditure)를 능가하여 잉여 에너지가 지방세포(adipocyte)의 양적, 수적 증가를 일으켜 지방조직이 축적된 상태 또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정신적 요인 또는 식사습관 및 운동부족 등의 생활습관 등에 의하여 인체 내 에너지 밸런스가 무너져 생기는 질환을 의미한다(Devlin et al.(2000); Spiegelman and Flier(1996)).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벌써 비만을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인식하여 세계적인 영양문제로 다루어 왔다(World Health Organization(1998)). 현재, 비만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최근 세계보건기구는 전 세계 성인 가운데 10억 명 이상이 과체중이고, 이들 가운 데 최소한 3억 명이 비만에 속한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또한,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우리나라 2007년 국민 건강 영양 조사 자료에 따르면,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25 이상인 비만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국민 건강이 매우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보건복지부(2007)).
상기 비만은 특히 다른 질병에 비해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으며, 다양한 성인병의 합병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비만환자는 정상체중인 사람에 비하여, 간병경증의 질환의 경우 2배, 뇌혈관질환의 경우 1.6배 및 관상동맥질환의 경우 1.8배 정도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현재, 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이뇨제, 설사제 등을 포함한 약물요법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나, 영양불균형, 면역력 저하 및 우울증 등 부작용의 발생에 의해 일시적이고 한정적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비만과 관련하여, 지방화(Adipogensis)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지방화란 지방전구세포로부터 지방세포가 분화되어 지방을 축적하게 되는 과정을 말하며, 상기 지방화는 비만, 당뇨병, 지방간 및 관상 심장질환 등 대사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지방세포는 단순히 에너지 저장고 역할 뿐만 아니라 내분비 기관으로서 adipocytokine이라는 단백질성 호르몬을 분비하여 체내 에너지 항상성 유지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과다한 지방세포의 분화와 불균형적인 에너지 대사는 지방세포의 비정상적인 유전자 발현과 신호전달 체계 이상을 초래하여 adipocytokine의 분비 이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상기 adipocytekine의 종류로 leptin, adiponectin,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interleukin-6(IL-6), resistin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일 예로, 식욕 조절 단백질인 leptin은 식욕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상기 adiponectin은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 중 발현이 증가되어 간과 근육조직의 인슐린 민감도를 높이고 지방산 산화를 증가시키며, 상기 leptin이 생성이 되지 않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 비만이 유발될 수 있고(Ambati et al.(2007); Meller et al.(2006)), 상기 adiponectin의 발현양 감소와 비만 유발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Okamoto et al.(2006)).
또한, 지방세포에서는 지방분해(lipolysis)와 합성(adipogenesis)을 통하여 지질대사가 일어나고, 상기 지방 합성 시 상기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가 증식과 분화과정을 거쳐 성숙한 지방세포(adipocyte)로 분화되어 궁극적으로 세포 내에 지방 방울(lipid droplet)을 형성화게 된다. 상기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을 유도하는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s)로는 ADD1/SPEBP1c(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 dependent factor 1/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1c),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및 C/EBPα(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 α)가 보고되어 있다. 상기 전사인자는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각기 다른 시점에서 발현이 유도되며, 서로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방세포 특이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고 지방대사의 활성화와 지방세포 분화를 점진적으로 유도해 나간다(Kersten, 2001; Spiegelman and Flier, 1996).
상기 비만을 해소하고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비만치료기전으로는 식 욕의 조절, 지방의 소화 및 흡수 방해, 에너지 소비의 증가, 지질대사의 조절 등이 있다(Bray and Tartaglia(2000)).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비만 치료제로는 세로토닌(serotonin)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의 재흡수 억제제로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식욕 저하 및 에너지 소비를 촉진시키는 sibutramine(ReductilR)과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중성지방(triglyceride)의 가수분해를 방해하며 산화되지 않은 지방을 변으로 배설시키도록 돕는 약물인 orlistat(XenicalR)이 있다.
그러나, sibutramine의 경우 혈압을 높여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주의하여 사용해야 하며, orlistat의 경우 소화기 장애, 지방변, 배변실금, 지용성 비타민 흡수 방해 등을 유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천연물 중에서 항비만 효과는 높고 부작용은 미약한 비만 치료약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즉, 상기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을 저해하면서, 부작용은 미약한 천연물 유래 물질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예로는 식품, 식품첨가제,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투약이 쉬운 천연물질 유래 지방세포 분화 억제 소재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비파 추출물이 지방소화효소 활성 저해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상기 의약 및 식품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추출물인 물 추출물에 대해 연구하던 중, 다른 추출물과 달리 비파를 볶아 전처리한 볶은 비파에 대해 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경우 지방화 즉, 지방생성 억제능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파 추출물과 연잎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비파 추출물 또는 연잎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지방생성 억제능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토대로 본 발명 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비파(Eriobotry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파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볶은 비파에 물을 추출용매로 가하여 제조한 볶은 비파의 물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파 추출물 및 연(Nelumbo nuckfe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 추출물은 연잎에 물 또는 유기용매, 구체적으로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가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파(Eriobotrya japonica)는 장미과 상록소교목에 속하는 식물로, 가지가 굵고 잎 뒷면과 더불어 연한 노란빛을 띤 갈색 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세운 듯한 넓은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이 모양 톱니가 있고, 열매는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식용으로 사용된다. 비파는 기존 민간용법에서 청폐, 진해, 거담, 패열해소 또는 부종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비파는 비파 씨 또는 비파 잎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파 잎일 수 있다. 상기 비파 잎의 경우 비파 씨와 달리 항비만효과용 실험동물(db / db 비만 마우 스, C57BL/Ks db/db)에 의해 실험한 결과, 체중저하효과가 우수하고, 식욕억제효과 뛰어날 뿐만 아니라, 비파 씨와 달리 아무런 물질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서도 식이효율(FER, Food Efficiency Ratio)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지방세포의 크기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비파 씨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항비만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비파는 바람직하게는 볶은 비파일 수 있다. 한의약학적 관점에서 약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의 경우, 식물로부터 제조된 약물의 독성 또는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약물의 맛 또는 성미와 효능을 변화시키며, 복용과 저장의 편리함을 위해서 한약의 전통적인 약물가공방법인 포제법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포제법은 대한약전외 생약규격집에 기재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볶는 방법으로 수행하고 있다. 특히, 비파 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비파 잎 뒷면에 존재하는 연한 노란빛을 띤 갈색털을 제거하여 알레르기 또는 기침을 유도하는 것이나 인후를 자극한 인후염 또는 천식이 유발되거나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볶은 비파 잎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식물을 볶는 경우, 볶는 과정에서 가해진 열에 의하여 유효성분이 파괴되어 특정 효과나 기능성이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비파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물을 추출용매로 하는 경우 오히려 비파를 볶음으로 인하여 물 추출물의 지방생성 저해능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상기 비파는 볶은 비파일 수 있다.
상기 비파를 볶는 과정은 통상의 식물 또는 약초를 볶는 방법 또는 대한약전 에 기재된 포재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파 잎을 140℃ 내지 19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70℃의 온도로 볶을 수 있고, 상기 볶는 시간은 1분 내지 5분, 바람직하게는 2분 내지 4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2분 30초 내지 3분 30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Nelumbo nuckfera)은 주로 연못에서 자라는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로, 암술과 수술이 한 꽃 안에 있는 양성화이고,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어가며 마디가 많고,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1 내지 2m로 자란 잎자루 끝에 달리고 둥글다. 또한, 꽃은 7 내지 8월에 피고, 열매는 견과이며, 연꽃이 지고나면 생기는 열매를 연실이라 부르고, 연근이라 부르는 뿌리는 여러 개의 구멍이 나 있다. 연의 잎, 꽃, 열매 및 뿌리는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연의 뿌리는 종래에 한약재로 사용되었고, 특히 최근에는 연잎으로 담근 연향차가 고유의 차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연의 종류는 백련, 홍연 또는 황련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백련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무안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백련 즉, 무안산 백련일 수 있다. 상기 백련은 백거라고도 하며, 또한, 상기 연은 바람직하게는 연잎 또는 연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인 식물 추출물, 구체적으로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은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의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작용의 가능성이 극히 낮은 천연물로부터 의약용 또는 식용으로 사용되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항비만 효과를 갖는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상기 혼합용매는 50 내지 99%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파 추출물과 관련하여, 상기 비파가 볶은 비파인 경우,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만 볶는 과정을 통하여 지방생성 저해능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상기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통상의 육상 식물, 바람직하게는 잎을 추출대상으로 한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또는 열 추출법 등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용매로 추출한 조추출물에 대하여 분획용매 를 가한 후,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용매는 물,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비파 추출물은 하기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비파 추출물은 비파 잎을 150℃ 내지 180℃에서 2분 내지 4분 동안 볶는 단계 및 상기 볶은 비파에 물을 이용하여 30분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시간 30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볶은 비파에 물을 가한 후, 30분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1시간 30분 동안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조된 추출액은 45℃의 수욕 상에서 감압농축하고, -70℃의 냉동고에서 24시간 동안 동결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비파 추출물 제조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하여, 비파 추출물의 항비만효과를 상승시키는 제조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 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파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볶은 비파에 물을 추출용매로 가하여 제조한 볶은 비파의 물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파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볶은 비파에 물을 추출용매로 가하여 제조한 볶은 비파의 물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연잎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백련 잎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만(obesity)이란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정신적 요인 또는 식사습관 및 운동부족 등의 생활습관 등에 의하여 인체 내 에너지 밸런스가 무너져 즉, 에너지섭취(energy intake)가 에너지소비(energy expenditure)를 능가하여 잉여 에너지가 지방세포(adipocyte)의 양적, 수적 증가를 일으켜 지방조직이 축적되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비만은 특히 다른 질병에 비해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으며, 다양한 성인병의 합병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비파 추출물을 0.001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천연물질의 추출물이라는 점에서 부작용의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고, 비만의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뛰어나다는 점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인간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상기 비파 추출물과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키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루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 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유효성분 즉, 비파 추출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0.001 중량%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사용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유효성분 즉, 비파 추출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현탁제, 정제, 주사제, 주정제, 카타플라스마제(cataplasma), 캅셀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 의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즉, 비파 추출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기준으로 할 때, 0.0001 mg/kg 내지 1000 mg/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 mg/kg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즉 상기 비파 추출물 또는 상기 비파 추출물 및 상기 연 추출물 이외에 공지의 비만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갖는 화합물 또는 천연물에 대한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 일 예로 체중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건강기능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 수 성분으로서 상기 비파 추출물 또는 상기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비파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0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 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비파 추출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g이다.
또한,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즉, 비파 추출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파 추출물은 항 비만효과 구체적으로 체중감소효과, 식욕억제효과, 지방세포 크기증가 억제능 및 지방흡수저해효과(pancreatic lipase 활성저해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특히, 볶은 비파 잎에 대한 물 추출물은 지방생성 억제능의 측면에서 오히려 볶기 전 보다도 더욱 지방생성 억제능이 개선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또한, 비파 추출물과 연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비파 추출물과 연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단순히 산술적인 효과의 상승보다 현저한 지방생성 억제능이 확인되어, 본 발명의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뛰어난 비만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또는 비파 추출물의 섭취는 체중을 감소시키고, 식욕을 억제하며, 식이효율을 떨어뜨리고, 지방세포 크기증가를 억제하며, 지방흡수저해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특히, 볶은 비파 잎에 대한 물 추출물은 다른 용매를 사용한 것과 달리 비파를 사용한 것에 비하여 볶은 비파를 사용한 경우 오히려 지방생성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또한, 비파 추출물과 연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비파 추출물과 연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단순히 산술적인 효과의 상승보다 현저한 지방생성 억제능 즉, 두 가지 유효성분의 사용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 억 제, 지방흡수를 저해, 식욕억제와 식이효율 감소에 의한 체중 감소 등 비만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가 있고, 인공 화합물질인 기존의 비만 치료제와 달리 천연물의 추출물인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부작용 등이 문제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우리나라의 전라남도 특히, 완도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는 특화자원인 비파와 무안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는 연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하는 것이므로 경제성도 긍정되어, 본 발명의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산업적으로 그 효과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대한민국 목포대학교 약초원으로부터 수득한 비파 잎과 대한민국 전라남도 완도에서 채취한 비파 씨를 80% 메탄올 수용액 및 80% 에탄올 수용액으로 48시간 추출하고 감압여과의 방식으로 상층액만을 분리하거나 물로 1시간 추출하여 각각 비파 잎 추출액과 비파 씨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추출액은 45℃의 수욕상에서 감압농축하고, -70℃의 냉동고에서 24시간 동안 동결하고, 동결건조기(freeze dryer system)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비파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비파 잎을 165℃의 온도로 3분 동안 볶고, 상온에서 식힌 후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80% 메탄올 수용액 또는 물을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전라남도 무안에서 채취한 백련 잎에 물을 가하여 1시간 추출하여 각각 비파 잎 추출액과 비파 씨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추출액은 45℃의 수욕상에서 감압농축하고, -70℃의 냉동고에서 24시간 동안 동결하고, 동결건조기(freeze dryer system)를 이용하여 건조시켜 연잎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은 실험에 사용되기까지 냉동고 -20℃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비파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측정1
비만 동물 모델은 db/db 비만 마우스(C57BL/Ks db/db mice, (주)Harlan, 대한민국)인 실험용 쥐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비만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비파 씨 80%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 및 비파 잎 80%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측정하였다.
2-1. 실험동물의 사육
실험동물은 6주령 수컷의 db/db 비만 마우스(C57BL/Ks db/db mice)를 (주)Harlan에서 공급받아 사육하였다. 실험시작 3일전부터 2018S Teklad Global 18% Protein Rodent Diet((주)Harlan, 대한민국)로 적응시킨 후, 체중을 기준으로 실험군 당 8마리씩 대조군(Control), 비파씨 추출물(E. japonica seeds) 및 비파잎 추출물(E. japonica leaves)을 먹인 실험군으로 구분하여, 총 3그룹으로 나누어 사육하였다. 추출물 투여량은 200mg/kg 용량으로 매일 같은 시간에(오전 10시) 6주 동안 경구 투여 하였으며, 식이와 물은 매일 신선한 것으로 공급하였고, 동물 사육실은 온도, 습도, 채광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6주간 사육하였다.
2-2. 체중, 식이섭취량, 수분섭취량 및 식이효율 측정
상기 실시예 2-1의 실험동물의 체중, 식이섭취량, 수분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전날 공급분에서 남은 양을 빼는 방법으로 매주 1회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 및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의 식이효율(FER)은 실험동물의 평균 체중증가량을 평균 식입 섭취량으로 나눈 값(body weight gain(g)/food intake(g))을 의미한다.
[표 1]
실험동물 그룹 | FER(Food Efficiency Ratio) |
대조군 | 0.031 |
비파 씨 | 0.042 |
비파 잎 | 0.02 |
상기 도 1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이섭취량과 물 섭취량의 경우 실험기간 동안 대조군에 비해 비파 추출물을 섭취시킨 실험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비파 추출물은 식이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비파 씨 추출물의 경우 실험 전체 기간 동안 오히려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한 반면, 비파 잎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감소되어 다이어트 효과 즉, 항비만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식이효율에 관한 표 1의 결과에 의하면, 비 파 잎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동물의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식이효율이 상승한 비파 씨에 비하여, 식이효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체중 감소를 위해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비파 씨 추출물에 비하여, 비파 잎 추출물은 항비만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3. 지방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 관찰의 측정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희생 전 12시간 절식시킨 후 희생시키고, 지방조직, 구체적으로 실험동물의 복부를 절개하여 부고환 주위의 지방과 복부의 지방을 모두 절제하여 적출한 후, 차가운 생리 식염수로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각 부위별로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적출된 지방 중, 부고환 지방과 일부 복부 지방을 4% p-formaldehyde로 고정시킨 후, hematoxylin과 eosin으로 염색하고 현미경 분석을 통해 지방세포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방세포의 크기가 대조군에 비해 비파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특히 비파씨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비파잎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 지방세포의 크기 감소가 더욱 현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방세포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은 체중 증가 초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상기 자방세포의 크기가 감소한 것으로부터 체중 감소 특히 비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방증가에 의한 체중감소가 저해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비파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측정2
지방소화효소(panereas lipase) 및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부위별 비파 메탄올 추출물, 구체적으로 비파 씨 80%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 및 비파 잎 80%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측정하였다.
3-1. 지방소화효소 활성 저해효과 측정
추출부위 별 추출물의 지방소화효소 활성 저해효과의 측정은 porcine pancreas lipase(L3126, sigma, USA)와 Lipase Kit S(Dainippon Pharmaceutical Co,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파 씨 추출물은 지방소화효소 활성 저해능이 없는 반면에, 비파 잎 추출물은 활성 저해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구체적으로 500 ㎍/ml를 투여한 경우에는 5.2%의 저해능이 1,000 ㎍/ml를 투여한 경우에는 65.1%의 저해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비파 잎 추출물은 지방소화효소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지방의 섭취를 억제하여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3-2. 지방세포 분화 관련 전사인자의 발현 억제 효과 측정
지방전구세포와 지방세포의 증식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해, 3T3-L1 지방전구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USA)으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 다. 상기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에 대한 예비 실험결과,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완전한 지방세포로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최소한 8일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확인결과를 근거로, 지방전구세포로부터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지방전구세포를 6-well plate에 5×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완전한 confluent 상태까지 배양한 후, 4일이 경과하면 분화유도 물질인 insulin 5 μg/ml, 1 μM dexamethasone 및 0.5 mM isobutylmethyl xanthine과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배지를 교환하면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상기 배지를 교환한 후 2일이 경과하면, insulin 5 μg/ml과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추출물이 첨가된 신선한 배지로 다시 교환하고, 이후에는 2일에 한번씩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추출물 및 10% FBS가 함유된 신선한 DMEM 배지로 보충하였고, 4일이 경과한 후, 세포의 분화능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분화능에 관한 실험을 수행한 후, 상기 분화된 세포를 PBS 용액을 이용하여 1회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한 세포에 lysis buffer(20 mM Tris, pH 7.0, 5 mM EDTA, 1 mM EGTA, 1% Triton X-100, 0.2 mM PMSF, 1 μg/μl aprotinin, 20 μg/μl leupeptin, 1 mM Na3VO4, 10 mM NaF, 1 mM pyrophosphate, 1 mM ß-glycerophosphate)를 넣고 얼음 위에서 10분간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시킨 세포를 수거하여 13,000 rpm 및 4℃의 조건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만 취하고 단 백질을 정량하였다.
상기 Lysate는 loading buffer(1 M Tris, 50% glycerol, 10% SDS, 2-mercaptoethanol, 1% bromophenol blue)와 혼합하여, 95℃에서 10분간 가열시킨 후, 10% SDS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하고, nitrocellulose membrane에 전이시켰다. 상기 전이시킨 membrane은 5% 무지분유가 첨가된 TTBS(1 M Tris, 5 M NaCl, tween 20) 용액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시켰다. TTBS 용액으로 3회(각각 10분씩) 세척한 후, 일차항체(PPARγ(sc-7273,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1 : 250 및 C/EBPα(sc-61,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1 : 250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에 다시 TTBS 용액으로 3회(각각 7분씩) 세척하였다. 그 다음에 peroxidase가 포함된 이차항체(goat anti mouse 1 : 2000, goat anti rabbit 1: 2000)로 1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항체의 검출은 enhanced chemiluminescence 시약을 이용하여 가시화하였고 UVP(Image acquisition and analysis software, VisionworkTMLS)로 정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비파 씨 추출물의 경우, PPAR-γ의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나, 비파 잎 추출물의 경우, PPAR-γ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상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파 추출물의 경우 C/EBPα의 분비량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비파 잎 추출물의 경우 C/EBPα의 분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PPAR-γ 및 C/EBPα의 분비량이 감소하는 것은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것이므로, 상기 결과로부터 비파 씨 추출물에 비하여, 비파 잎 추출물은 항비만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비파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측정3
상기 실시예 3에서 배양한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추출물 즉, 단순 비파 추출물과 볶은 비파 추출물의 항비만효를 비교측정하였다.
4-1. 볶은 비파 추출물의 지방생성
억제능
확인
상기 지방생성 억제능 확인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 6-well plate에 분주된 3T3-L1 지방전구세포를 비파 잎의 메탄올 추출물, 물 추출물, 볶은 비파 잎의 메탄올 추출물 및 물 추출물과 함께 8일간 분화유도를 끝낸 후 PBS로 세척하였다. 상기 PBS로 세척한 세포를 10% formalin 용액으로 실온에서 30분간 고정시킨 후에, 증류수로 1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4% Oil Red O 용액으로 1시간 처리한 다음에, 60% isopropanol로 1회 세척 후, 현미경으로 지방세포를 관찰하여 지방생성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 추출물의 경우에는 단순 비파 잎 추출물(도 5a)에 비하여 볶은 비파 잎 추출물(도 5b)의 경우 플레이트 전체의 사진으로 볼 때도 육안으로 파악이 될 정도로 붉은 염색 정도가 흐려졌고, 지방세포를 관찰 한 사진에서도 지방생성 정도가 현저히 감소한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단순 비파 잎 추출물(도 5c)은 플레이트의 경우 거의 붉은 염색 정도가 확인이 되지 않았고, 지방세포에도 지방이 거의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나, 볶은 비파 추출물의 경우에는 플레이트도 전체적으로 붉은 색이 강하게 염색되었고, 지방세포에도 생성된 지방이 명확하게 확인되었으며, 4가지 실험군 중에서 가장 지방이 많이 생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볶은 비파 잎 즉, 포제법을 수행한 초 비파 잎의 경우에는 메탄올과 같은 알코올 용매 또는 유기용매의 경우 추출용매로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물의 경우 오히려 지방생성 억제능이 현저히 증가하여, 볶은 비파 잎을 위한 최적의 용매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4-2. 지방세포 분화 관련 전사인자의 발현 억제 효과 측정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 즉, 지방세포 분화관련 전사인자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순 비파 추출물 및 볶은 비파 추출물을 첨가하고, 지방세포를 배양한 후, 실시예 3-2의 방법으로 항체의 검출 및 UVP를 이용한 정량화 값을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β-actin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비파 추출물은 일반 단백질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대조군에 비해, 발현량 감소 정도가 적었던 물 추출물의 경우, PPAR-γ 및 C/EBPα 모두에서 볶은 비파에 대한 추출 결과에서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 확인된 반면, 메 탄올 추출물의 경우 PPAR-γ 및 C/EBPα 모두 볶은 비파에서 발현량이 증가된 것이 육안으로 확인되었고, 상기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저해능이 볶은 비파와 단순 비파를 사용한 것에서 오히려 역전된 것이 확인되었고, 상기 도 6c에 나타낸 보와 같이, C/EBPα에서도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볶은 비파를 사용하면 저해능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PPAR-γ 및 C/EBPα의 분비량이 감소하는 것은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것이므로, 상기 결과로부터 볶은 비파 잎을 사용하는 경우, 메탄올은 용매로 적당하지 않고, 바람직한 용매가 물인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비파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측정4
상기 실시예 3에서 배양한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비파 추출물, 연잎 추출물 및 비파 추출물과 연 추출물을 함께 사용한 경우의 항비만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항비만효과는 지방생성 억제능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지방생성 억제능은 실시예 4의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파 잎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과 연잎 추출물을 함께 사용한 경우 각각의 추출물만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지방생성저해능이 현저히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고(도 7a), 특히 지방세포를 촬영한 하단 사진의 경우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과 연잎 추출물을 함께 첨가함으로써 지방이 거의 생성 되지 않음이 확인되었으며, 볶은 비파 물 추출물과 연잎 추출물을 함께 사용한 경우에도 각 추출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지방생성 억제능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플레이트 및 세포 사진 모두에서 전혀 지방이 생성되지 않는 것과 같이 확인되어, 세포사진에서 상당량의 지방이 생성된 것이 확인된 각각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지방생성 억제능이 있는 비파잎 추출물과 연잎 추출물을 단독으로 각각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이들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단순한 산술적 효과의 상승이 아닌 현저한 상승 효과 즉,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비파추출물과 연잎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현저하게 우수한 항비만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 비파 추출물을 이용한 제제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비파 추출물 분말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비파 추출물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캡슐제의 제조
비파 추출물 분말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액제의
제조
비파 추출물 분말 5 mg
연잎 추출물 분말 5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비파 추출물 분말 500 ㎎
연잎 추출물 분말 5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비만효과를 비교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도 1a는 실험동물의 사육기간 동안 체중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고, 도 1b는 실험동물의 사육기간 동안 식이의 섭취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c는 실험동물의 사육기간 동안 물의 섭취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조직을 이용하여 비파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비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 조직을 이용하여 비교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도 2a는 지방 조직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b는 지방조직의 지방세포의 평균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조직을 이용하여 비파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비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추출부위 별 추출물의 지방소화효소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비파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비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도 4a는 분화과정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PAR-γ의 발현량을 확인한 사진 및 그래프이고, 도 4b는 분화과정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C/EBPα의 발현량을 확인한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조직을 이용하여 비파의 가공방법에 따른 추출물의 항비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비교 실험 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도 5a는 비파 잎 물 추출물의 지방생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지방세포를 촬영한 사진으로, 위부분은 플레이트 전체 사진이고 아랫부분은 세포의 현미경 관찰 사진이며, 도 5b는 볶은 비파 잎 물 추출물의 지방생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지방세포를 촬영한 사진으로, 위부분은 플레이트 전체 사진이고 아랫부분은 세포의 현미경 관찰 사진이고, 도 5c는 비파 잎 메탄올 추출물의 지방생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지방세포를 촬영한 사진으로, 위부분은 플레이트 전체 사진이고 아랫부분은 세포의 현미경 관찰 사진이며, 도 5d는 볶은 비파 잎 메탄올 추출물의 지방생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지방세포를 촬영한 사진으로, 위부분은 플레이트 전체 사진이고 아랫부분은 세포의 현미경 관찰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비파의 부위별 추출물의 항비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a는 분화과정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PAR-γ와 C/EBPα의 발현정도를 웨스턴블롯팅법으로 확인한 사진이고, 도 6b는 분화과정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PAR-γ의 발현량을 확인한 그래프이며, 도 6c는 분화과정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C/EBPα의 발현량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조직을 이용하여 비파 추출물과 연잎 추출물을 함께 사용한 경우의 항비만능 측면에서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비교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도 7a는 비파 에탄올 추출물과 연잎 추출물을 함께 사용한 경우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촬영한 사진이고, 도 7b는 볶은 비파 물 추출물과 연잎 추출물을 함께 사용한 경우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Claims (5)
- 비파(Eriobotry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비파 추출물은 볶은 비파의 물 추출물인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비파(Eriobotrya japonica) 추출물 및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연 추출물은 백련 잎에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가하여 추출한 것인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비파(Eriobotry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4989A KR20110078237A (ko) | 2009-12-30 | 2009-12-30 |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4989A KR20110078237A (ko) | 2009-12-30 | 2009-12-30 |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8237A true KR20110078237A (ko) | 2011-07-07 |
Family
ID=4491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4989A KR20110078237A (ko) | 2009-12-30 | 2009-12-30 |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7823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1380B1 (ko) * | 2013-10-22 | 2015-03-10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프텔레아 플레이오스퍼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KR20150093522A (ko) * | 2014-02-07 | 2015-08-18 |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 새고막을 이용한 비만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
-
2009
- 2009-12-30 KR KR1020090134989A patent/KR201100782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1380B1 (ko) * | 2013-10-22 | 2015-03-10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프텔레아 플레이오스퍼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KR20150093522A (ko) * | 2014-02-07 | 2015-08-18 |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 새고막을 이용한 비만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1907B1 (ko) |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328668B1 (ko) |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
KR20180003073A (ko) |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20120002131A (ko) |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20160141027A (ko) |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 |
KR20140040611A (ko) | 발효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
KR102099147B1 (ko) |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851639B1 (ko) |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
KR101760163B1 (ko) |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
KR20110078237A (ko) |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101257329B1 (ko) | 해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20130066323A (ko) |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 |
KR101436213B1 (ko) |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50091770A (ko) |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20190103665A (ko) |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 |
KR101576269B1 (ko) | 개꼬시래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20140083493A (ko) | 참모자반 추출물 또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
KR101501381B1 (ko) | 드라콘토멜론 마크로카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
KR102438938B1 (ko) |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
KR102025572B1 (ko) |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234225B1 (ko) |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102242400B1 (ko) |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 |
KR20190082437A (ko) | 곤달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20230014156A (ko) |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
KR20190015423A (ko) | 아위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