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544A -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용키트 - Google Patents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용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544A
KR20040107544A KR1020030038371A KR20030038371A KR20040107544A KR 20040107544 A KR20040107544 A KR 20040107544A KR 1020030038371 A KR1020030038371 A KR 1020030038371A KR 20030038371 A KR20030038371 A KR 20030038371A KR 20040107544 A KR20040107544 A KR 2004010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herbal
weight control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4132B1 (ko
Inventor
한진
Original Assignee
한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호숙 filed Critical 한호숙
Priority to KR10-2003-0038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132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02K16/02Machines with one stator and two or mor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마황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황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 4 내지 8중량%이며, 상기 조성물은 소화기능 증진용 생약 혼합물 및 항산화 기능의 생약 혼합물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화 기능 증진용 생약 혼합물은 창출, 산사, 택사 및 결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항산화 기능의 생약 혼합물은, 상엽, 괴화, 단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및 키트는 특정 농도의 마황을 함유함으로써 에페드린의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면서도 충분한 체중감소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중 조절 효과와 더불어, 동양인 특유의 체질을 고려하여 소화를 증진시켜 주며 숙변을 제거하고 배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중 감소에 따른 노화를 방지하여 피부 탄력을 강화시키고 주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조절용 키트{Composition and kit for controlling body weight}
본 발명은 체중 조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마황을 함유하는 체중 조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미국 등의 서양에서 뿐만이 아니라 한국을 포함하는 동양권에서도 비만이 만연하고 있다. 이는 서구식 식생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예전에는 서양에서나 볼 수 있었던 거대한 비만 체형이 동양에서도 흔히 관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어린이들에게도 두드러져 나타나므로 비만이라는 문제는 21세기 내내 부각될 것이다.
비만은 체내에 과량의 지방이 축적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의 과다축적은 에너지 수용과다(예컨대, 과량의 음식물)나 또는 에너지 소비 감소에 의해 일어나는, 에너지 소비보다 에너지 수용이 많은 경우의 결과로서 일어날 수있다. 비만은 경미(20-30% 체중과다), 중간(30-60% 체중과다) 또는 심각(60% 체중과다)한 상태로 분류될 수 있다. 비만증은 여러가지로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비만은 심장 및 폐기능을 모두 해칠 수 있으며, 내분비기능을 혼란시키고 정신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고혈압, 손상된 글루코스 내성 및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및 과콜레스테롤혈증들은 정상체중을 갖는 사람보다 체중과다인 사람에게 더욱 흔한 증상이다. 그러므로 비만은 예컨대 고혈압, 발작, 당뇨병 타입 Ⅱ, 어떠한 유형의 암, 담낭질환 및 허혈성 심장병과 같은 질환에 시달리는 사람의 이병률 및 사망률에 한 몫을 할 수가 있다. 중간 및 심각한 비만 케이스는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장 및 직장암은 종종 자궁내막 또는 담낭암에 걸린 비만의 남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다. 또한, 체중과다의 증가는 거의 결국에는 정신적 및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건강상의 이유 뿐만 아니라 비만은 특히 젊은 연령층에 있어서는 미용적 관점에서 관심이 크다. 건강학적 측면에서 비만이 아닌 극히 정상체중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도 자신이 뚱뚱하다고 생각하여 좀 더 날씬해지려는 욕구가 크다. 특히, 단순한 체중 감소의 관점이 아닌 아름다움 몸매를 지향하는(body line)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 비만 관련 산업이 점차 발달하여 거대한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의학적 검증을 거치지 않은 유사 의약, 또는 건강식품들의 수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의료 유사 또는 의료직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들의 비전문적 처치와 무리한 다이어트 시도로 인한 폐해가 끊임없이 보고되고 있다. 무리한 다이어트는 생명에도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을 정도로 위험하다. 예컨대, 과다한 체액의 손실을 유발하는 다이어트나 지속적인 설사를 유발하는 성분의 복용, 성장호르몬의 주사 등은 생명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비의료적 다이어트 방식은 겉으로 나타나는 수치상으로는 빠른 체중감량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이에 비례하여 건강에는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한편, 기존에 의학적으로 효능과 안정성이 입증된 적이 있는 일부 체중 조절용 약성분이 최근에는 치명적인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사용에 대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에페드린은 신경 및 심장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자극물질로서 심장마비나 발작과 조울증, 망상,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두통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한 사용량 범위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었다. 특히, 어느 정도의 양을 사용해야만 상기 부작용 없이 안전하면서도 체중조절효과를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었다.
따라서, 비의료적인 다이어트 방식에 의한 폐해도 줄이면서, 부작용이 알려진 일부 체중감소용 성분의 안전한 유효량을 결정하는 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인들을 포함하는 동양인들의 경우 체질적으로 서양인에 비해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동양인들의 체질에 맞게 처방하여 소화가 잘 되도록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에페드린의 부작용을 없애면서도 체중조절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1일 투여범위를 밝히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또한, 체중이 감소됨에 따라 피부 탄력이 감소되고 노화가 촉진되어 주름살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계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체중을 감소시키면서도 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전하면서도 체중감소효과를 나타내는 에페드린의 유효범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동양인 특유의 체질을 고려하여 소화를 증진시켜 주며 체중 감소에 따른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체중 조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체중 감량 효과를 나타내는 동물 시험 데이터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마황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황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4 내지 8중량%이며, 상기 조성물은 소화기능 증진용 생약 혼합물 및 항산화 기능의 생약 혼합물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소화 기능 증진용 생약 혼합물은 창출, 산사, 택사 및 결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기능의 생약 혼합물은, 상엽, 괴화, 단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오미자 및 감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바람직한 조성은, 창출, 산사, 택사, 구기자, 괴화, 상엽, 결명자, 단삼, 마황, 오미자 및 감초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바람직한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창출을 15 내지 19중량%, 산사, 택사 및 구기자를 각각 9 내지 13중량%, 괴화, 상엽, 결명자 및 단삼을 각각 7 내지 11중량%, 마황을 4 내지 8중량%, 오미자 및 감초를 각각 2 내지 6중량% 함유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에페드린을 전체 조성물 중 0.016 내지 0.144중량%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페드린의 유효량은 성인 기준 0.22 내지 0.44mg/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페드린의 함유는 전체 조성물 중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4 내지 8중량%의 마황을 함유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생약 건조 혼합물 또는 상기 생약 건조 혼합물의 수용액 추출물인 액상 형태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체중 조절용 키트는 상기한 생약 건조 혼합물 또는 생약 건조 혼합물의 수용액 추출물인 액상 형태의 조성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체중 조절용 키트는, 부형제를 제외한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15 내지 19중량%의 창출, 각각 9 내지 13중량%의 산사, 택사 및 구기자, 각각 7 내지 11중량%의 괴화, 상엽, 결명자 및 단삼, 각각 2 내지 6중량%의 오미자 및 감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요요현상 방지용 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요현상 방지용 환제는 상기한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을 모두 복용한 후에 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및 키트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마황은 전체 유효성분 중 4 내지 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중량%이다. 마황의 함량이 4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마황에 함유된 에페드린의 함량이 0.016중량% 미만이 되며, 이러한 에페드린의 함량으로는 충분한 체중 감량 효과를 달성하기가 어렵다. 한편, 마황의 함량이 8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그 마황에 함유된 에페드린의 함량이 0.144중량%를 초과하게 되는데, 이러한 에페드린의 함량은 고혈압 또는 심장질환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마황의 함량은 6중량%이다.
한편, 창출은 전체 유효성분 중 15 내지 19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함량은 17중량%이다. 만일 창출의 함량이 1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소화기능 증진의 효과가 미미하며 19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생약 성분과의 조화에 불균형을 초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함량은 17중량%이다.
한편, 산사, 택사 및 구기자는 전체 유효성분 중 각각 9 내지 13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한량은 11중량%이다. 상기 함량이 9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각 성분의 효과가 미미하며 1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약제간의 조화 및 약제 안정성에 문제를 초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함량은 11중량%이다.
또한, 괴화, 상엽, 결명자 및 단삼은 전체 유효성분 중 각각 7 내지 11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함량은 9중량%이다. 만일 7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11중량%를 초과하면 약제간의 불균형이 초래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9중량%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오미자 및 감초는 전체 유효성분 중 각각 2 내지 6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중량%씩 함유하는 것이다. 만일 2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한약의 쓴맛을 감소시키고 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며, 6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유효성분들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함량은 4중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요요현상 방지용 환제가 요요현상을 방지하는 원리는, 약물의 체내에서의 흡수속도는 탕제(물약)>환제(알약)의 순서인데, 탕제를 급작스럽게 중단하였을 때의 인체의 반응을 보다 작용이 완만한 환제로 대체하여 약에 대한 의존성을 서서히 없애는 것입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황(Ephedrae herba)은 지방산화작용이 강하며 기존 식사량보다 적은 양으로도 포만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식욕억제작용을 한다. 마황은 마황과의 떨기나무 초마황(Ephedra sinicaStapf.)의 줄기를 가리킨다. 때로는 목적마황(Ephedra equisetinaBUNGE)의 줄기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마황은 알칼로이드를 1 내지 2% 함유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에페드린이 40 내지 90%를 차지한다. 에페드린은 지방산화작용이 강하므로 이를 통해 체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에페드린은 l-에페드린, d-수도에페드린, d-노르수도에페드린, l-메틸에페드린의 순서로 존재한다. 에페드린은 이뇨 작용이 있으며, 체중 감소 작용이 있지만, 혈관 수축 작용 또한 있어서 혈압을 상승시키고 중추 신경계를 흥분시키는 부작용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없애면서도 체중 감소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최적 농도 범위를 결정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1일 섭취하는 에페드린의 양이 0.22 내지 0.44mg인 경우에는 체중 감소의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없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1일 섭취량이 0.22mg 미만인 경우에는 체중 감소 효과가 미미하며, 0.44m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부작용을 나타낼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최적의 에페드린 함량 범위는 1일 섭취 마황의 농도가 2.33g 내지 4.67g 범위내에 속하는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상엽(Mori folium)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 요소이다. 상엽은 모루스속(Morus)속 뽕나무의 잎을 가리킨다. 특히, 갈잎큰키나무 뽕나무(Morus albaLINNE), 산뽕나무(Morus bombycisKOIDZ), 가새뽕(Morus bombycisKOIDZ for. dissecta NAKAI)의 잎을 가리킨다. 상엽은 발열, 두통, 안구충혈을 제거하고, 폐열로 해수가 있을 때 이용되며, 구갈이 있을 때에 차로 달여서 마신다. 또한 피부의 두드러기를 가라앉힌다. 상엽에는 루틴(rutin), 퀘르세틴(quercetin),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모라세틴(moracetin), 퀘르세틴-3-트리글루코시드(quercetin-3-triglucoside), 이노코스테론(inokosterone),엑디스테론(ecdyster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중에서 특히, 루틴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플라보노이드의 한 종으로서 인체에서 합성되지 않는 비타민C의 흡수를 촉진하여 노화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루틴은 2-페닐-3,5,7,3',4'-펜타하이드록시 벤조피론이다. 이를 통해 살이 빠짐에 따라 생길 수 있는 피부 주름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무리한 다이어트가 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작용도 있으며, 체중 감소 효능도 있다.
창출(Atractylodis rhizoma)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소화기능을 증진하여 식사 후 인체에 필요한 성분은 흡수하고 노폐물은 신속하게 대소변으로 배설케 하는 기능을 한다. 창출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삽주(Atractylodes japonicaKOIDZ)의 뿌리줄기이다. 창출은 소화 기관에 정체된 습을 제거하고 건위 작용을 나타내므로 배가 더부룩하거나 메스껍고, 구토, 묽은 변이 있는 증상 및 사지가 나른하며 설태가 두껍게 끼는 증상에 탁월한 반응을 보인다. 특히, 여름철 설사, 소아 복통설사, 음식감소, 위산과다, 위, 십이지장 궤양 등의 증상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창출은 정유가 5 내지 9% 함유되어 있으며, 이 중 주성분은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의 히네솔(hinesol)로 정유 성분 중 약 55.7중량%를 차지한다. 그 외에, 아트락티론(atractylon), 악트락티롤(actractylol), 비타민 A, B, β-유데스몰(eudesmol), 엘레몰(elemol) 등을 함유한다.
택사(Alismatis rhizoma)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창출을 도와 소화기능을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택사는 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 택사(Alisma canaliculatumA. BR. et BOUCHE), 질경이택사(Alisma plantago-aquaticaLINNEvar.orientaleSAMUELS.)의 덩이뿌리이다. 택사는 많은 종류의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한다. 특히 알리솔 A.B, 알리솔 A 모노아세테이트, 에피알솔 A 등의 성분을 함유한다.
산사(Crataegii fructus)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창출과 함께 소화기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산사는 장미과의 갈잎큰키나무 산사나무(아가위나무)(Crataegus pinnatifidaBUNGE), 좁은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BUNGE var.psilosaC. K. SCHNEID.), 넓은잎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BUNGE var.majorN.E.BR.)의 열매이다. 산사는 건위 작용 및 소화 증진 작용이 있어서, 소화불량, 육식 소화 장애, 복통 등에 탁월한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비만 치료에 있어 소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방지하고 지방산 및 동물 지방 식품의 소화 증진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비만 치료에 효과가 있다. 산사에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유기산, 당류, 비타민C가 함유되어 있다. 특히, 하이퍼오시드(hyperoside), 퀘르세틴, 안토시아니딘, 올레아놀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크라세골산(crategolic acid), 어솔산(ursolic acid) 등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한다.
괴화(Sophorae flos)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상엽과 함께 항산화작용을 한다. 괴화는 콩과의 갈잎큰키나무 회화나무(Sophora japonicaLINNE)의 꽃봉오리이다. 괴화는 간과 동맥 및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내리는 작용을 하며, 완만한 사하작용을 나타낸다. 괴화 역시 루틴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특히 꽃술에 무려 28%나 함유되어 있으며 꽃이 핀 후에는 10% 정도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꽃이 피기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틴은 인체에서 합성되지 않는 비타민C의 흡수를 촉진하여 노화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이를 통해 살이 빠짐에 따라 생길 수 있는 피부 주름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괴화는 무리한 다이어트가 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작용도 있으며, 체중 감소 효능도 있다. 괴화는 0.4% 트리테르펜계 사포닌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수분해에 의해서 베툴린, 소포라디올과 포도당, 글루쿠론산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꽃봉오리에서는 소포린A 14%, 소포린B 1.25%, 소포린C 0.35%를 얻을 수 있다. 소포린A는 루틴과는 다른 플라보노이드이고, B, C 는 스테롤이다. 또한 탄닌질이 함유되어 있고, 생화에는 0.66%가 함유되어 있다.
단삼(Salviae miltiorrhizae radix)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서 항산화작용을 하는 물질이며, 마황의 부작용 또한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단삼에는 다량의 탄시논이라는 성분이 존재하는데, 이것이 항산화작용이 강하다. 단삼은 마음을 편안하게 하므로 가슴이 답답하고 잠이 오지 않는 불면증 및 심계항진 등에 효과가 있다. 단삼은 관상 동맥 확장 작용이 있어서 혈류량을 현저히 증가시키고 지질 대사를 활성화시켜 콜레스테롤을 강화시킨다. 단삼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단삼(Saliva miltiorrhizaBUNGE)의 뿌리이다. 단삼에는 탄시논I, 탄시논 IIA, 탄시논 IIB, 크립토탄시논, 이소탄시논 등이 함유되어 있다.
결명자(Cassiae semen)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서 상기 창출 또는 산사와 함께 소화기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그 중에서도, 이뇨 작용과 대변을 잘 보게 하는 작용이 있으며, 특히 변을 묽게 하는 사하작용을 하여 숙변 제거에 큰 효과가 있으므로 건강에도 큰 도움이 되며 체중 조절에도 한 역할을 한다. 또한, 콜레스테롤 강하로 죽상 동맥경화 형성에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결명자는 콩과의 한해살이풀인 결명자(Casssia toraLINNE)의 종자이다. 결명자는 크리소파놀, 에모딘, 알로에-에모딘, 레인, 파이사이언(physcion), 오부수틴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감초(Glycyrrhizae radix)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다른 약재들을 조화시켜 주고 인체에 대한 해독작용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감초는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감초(Glycyrrhiza uralensisFISCH.), 창과감초(Glycyrrhiza inflataBAT.)의 뿌리이다. 감초는 여러 약물 중독에 대한 해독 작용을 한다. 또한 심장 율동이 일정하지 않아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과 불면증이 있고 추웠다 더웠다 하는 증상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감초는 해독 작용뿐만이 아니라 마황의 부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까지 있다. 감초는 트리테르펜계 사포닌,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 다량(6 내지 14%) 함유되어 있다. 또한, 글리시리즈산(glycyrrhizic acid), 글리시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리퀴리틴, 이소리퀴리틴, 리퀴리티제닌, 이소리퀴리티제닌 등을 함유하고 있다.
구기자(Lycii fructus)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른 약재와 함께 항산화 작용을 한다. 구기자에는 루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루틴은 항산화 물질로서 인체에서 합성되지 않는 비타민C의 흡수를 촉진하여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구기자는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MILL.), 영하구기자(Lycium barbatumLINNE)의 성숙한 열매이다. 구기자에는 글리신 등의 다당체와 베타인, 파이사린(physarin),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 비타민 B1, B2,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한편, 구기자는 콜레스테롤치의 강하 작용과 항지방간 작용도있다. 이를 통해 체중 감소의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한약 제재의 쓴맛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마황의 지나친 식욕 억제를 견제하는 역할을 한다. 오미자는 목련과의 낙엽 덩굴나무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BAILL.), 흑오미자(Schizandra nigraMAXIM.)의 성숙한 열매이다. 남오미자(Kadsura japonica (THUNB.) DUNAL)의 열매도 사용한다. 오미자는 수렴작용이 있어서 피부의 땀샘을 수축시켜 땀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음혈 부족으로 가슴이 뛰고 잠을 이루지 못하면서 꿈이 많은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미자는 마황의 부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과실에는 정유가 약 3% 함유되어 있으며, 그 정유 속에는 다량의 세스쿠카렌, β-2-비스아볼렌, β-카미그렌, α-일란진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외에도 시트르산 12%, 말산 10%, 타르타르산, 스키잔드린, 데옥시스키잔드린, γ-스키잔드린, 수도-γ-스키잔드린, 스키잔드롤 등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의약 조성물일 수도 있고, 식품 조성물일 수도 있다. 의약 조성물인 경우, 경구 투여하며, 투여량은 일일 에페드린 투여량이 성인 기준으로 0.22 내지 0.44mg이다. 제제화는 건조 생약 혼합물의 형태로도 가능하며, 상기 건조 생약 혼합물을 추출용매에 넣고 추출한 용액 조성물의 형태로도 가능하다. 또한,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제화할 경우, 유효 성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의약에 사용되는 각종 보조제, 예컨대 담체나 기타 첨가제, 예컨대 안정제, 완화제, 유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제형으로는, 정제, 환제, 캅셀제, 과립제, 산제, 엑스제, 전제, 침제 등을 비롯하여 생약성분의 약제학적 제제에적합한 어떠한 제형으로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예시적 목적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 건조 혼합물의 제조>
창출 12g, 산사, 택사, 구기자 각 8g, 괴화, 상엽, 결명자, 단삼 각 6g, 마황 4g, 오미자, 감초 각 3g을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체중 조절용 생약 건조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액상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1에서 제조된 생약 건조 혼합물을 1첩 분량으로 하여 총 20첩(1제에 해당)의 양 만큼의 생약 건조 혼합물 1400g을 5리터의 물에 넣고 1.5기압에서 115 내지 120℃로 2시간 가열하여 얻은 수용액상의 추출물을 48개의 팩에 110ml씩 담았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약제는 하루 2팩씩 아침, 저녁으로 식후 30분에 24일간 복용한다.
<실시예 3: 체중 조절용 키트의 제조1>
상기 실시예1에 따른 생약 건조 혼합물을 1첩 분량으로 하고 총 20첩으로 이루어진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요요현상 방지용 환제와 함께 포함하는 체중 조절용 키트를 제조하였다.
창출 120g, 산사, 택사 구기자 각각 80g, 괴화, 상엽, 결명자, 단삼 각각 60g, 오미자, 감초 각 30g을 잘게 빻아 분말을 만들었다. 그 분말에 꿀 600g을 넣고 반죽하여 녹두 크기(직경 0.5cm)의 환으로 만들어 음지에서 건조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환은 상기 키트에 일일 3회 식후 30분에 40 내지 50알씩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으로 포함시켰다.
상기 키트는 먼저 상기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을 모두 복용한 후 상기 요요현상 방지용 환제를 복용하도록 하는 안내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
<실시예 4: 체중 조절용 키트의 제조2>
상기 실시예2에 따른 액상 조성물 48팩을 상기 실시예3과 같이 하여 제조된 요요현상 방지용 환제와 함께 구성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체중 조절용 키트를 구성하였다. 이 키트 역시 먼저 상기 체중 조절용 액상 조성물을 모두 복용한 후에 상기 요요현상 방지용 환제를 복용하도록 지시하는 안내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
<실험예 1: 체중 감량 효과의 임상 실험>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체중 조절용 조성물을 다양한 연령을 갖는 남자 3명, 여자 9명으로 구성된 피험자들에게 24일간 투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하기 피험자들은 상기 조성물을 복용하는 것 이외에는 평상시와 다른 점이 없었다. 즉, 평소보다 음식 섭취량을 줄인다거나 평소에 하지 않던 운동을 추가로 하지는않았다.
No. 연령/성별 복용 전 체중(kg) 복용 후 체중(kg) 감량된 체중(kg)
1 27세/남자 72 69.5 2.5
2 41세/남자 80 74 6
3 51세/남자 75 74 1
4 53세/여자 64 60 4
5 53세/여자 60 58 2
6 45세/여자 60 59 1
7 27세/여자 57 53 4
8 19세/여자 58 58 -
9 25세/여자 59 59 -
10 26세/여자 62 62 -
11 29세/여자 69 63 6
12 36세/여자 62 58 4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피험자들에게서 감량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요요현상 시험>
상기 실험예1에 따라 24일간 실시예2에 따른 조성물을 복용한 후 1달간 상기 실험예1에서의 피험자들 중 상기 8 내지 10번을 제외한 피험자들에게 상기 실시예3에 따른 요요현상 방지용 환제를 일일 3회 식후 30분에 40-50알씩 복용시킨 결과 9명 모두에게서 요요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24일간에 걸쳐 감량된 체중이 그대로 1달간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에페드린의 부작용 테스트>
상기 실시예2의 조성물은 일일 에페드린의 투여량이 0.316mg이다. 실시예2에서 사용된 마황은 총 4g x 20 = 80g이며, 이를 24일간 투여하므로 하루에는 3.33g의 마황이 투여된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2의 추출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황 100g의 수용액 상의 추출물에는 에페드린의 함량은 대략 9.49mg 정도이기 때문에, 1일 섭취되는 에페드린의 투여량은 0.316mg이 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에페드린의 1일 투여량은 성인 기준 0.22 내지 0.44mg/일이다. 0.22mg/일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체중 감량 효과를 달성하기가 어렵고, 0.44mg/일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신경 및 심장 활동의 활성화로 인한 심장마비나 발작과 조울증, 망상,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두통 등의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일일 에페드린 투여량이 0.1mg, 0.2mg, 0.22mg, 0.316mg, 0.44mg, 0.5mg, 1.0mg, 10mg인 경우 각각의 평균동맥압(MBP)과 심박수(HR)를 측정하였다. 건강한 성인남녀 10명에게 상기 투여량의 에페드린을 투여시키고 1분이 경과된 시점에서 평균동맥압(mmHg)과 심박수를 측정(78354C Hewlett Packard, USA)하여 투여전에 대한 증가율(%)을 평균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여량(mg) 0.1 0.2 0.22 0.316 0.4 0.44 0.5 1.0 10
MBP(mmHg) 증가율(%) 0 0 0 0 0 0 1.2 1.4 11
HR 증가율(%) 0 0 0 0 0 0 2.5 2.8 25
상기 결과로부터, 에페드린 일일 투여량이 0.44mg을 초과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0.5mg 이상이 되는 시점부터는 평균동맥압 및 심박수 모두 증가하기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일 에페드린 투여량은 0.44mg까지의 범위가 안전한 것이 입증되었다.
또한, 건강한 성인남녀 10명에 대해 실시예2와 같이 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되, 마황의 일일 투여량의 범위를 달리한 수개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은 마황의 일일 투여량이 1g, 2g, 2.33g(에페드린 함량 0.22mg), 3.33g(에페드린 함량 0.316mg, 실시예2), 4.67g(에페드린 함량 0.44mg), 4.7g 및 5g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각 조성물을 조성물 당 24일간 각 피험자들에게 전체 120일간 투여한 후 체중의 변화(감소율)를 측정하였다. 그 후 10명의 체중 감소율은 평균내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황의 일일 투여량(g) 1 2 2.33 3.33(실시예2/ 실험예1) 4.67 4.7 5
체중 감소율(%) 0.2 1.1 2.98 3.05 3.51 3.78 4.10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마황의 일일 투여 농도가 2g인 경우(에페드린 일일 투여량이 0.22mg 미만인 경우)에는 체중 감소 효과가 미미하나, 2.33g(에페드린 일일 투여량이 0.22mg)부터는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최소한의 체중 감량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마황의 일일 투여 농도가 2.33g 이상이어야 한다. 즉, 에페드린의 일일 투여량은 0.22mg 이상이어야 한다.
<실험예 4 소화기능 테스트>
상기 실험예1에 따라 24일간 실시예2의 조성물을 복용시킨 후 소화기능을 측정하였다. 소화기능은 위에서의 소화능력과 배변의 상태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위에서의 소화능력은 일정량의 음식물이 섭취되었을 때 속쓰림, 소화불량, 가스참의 정도 등의 자각증상에 대해 문진하였다. 한편, 배변의 상태에 대해서는, 배변의횟수, 변의 묽은 정도, 가스참의 정도, 복통 등에 대한 자각증상에 대해 문진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4와 같았다.
No. 연령/성별 배변에 대한 문진 복용 후의 소화기능의 상태 변화의 정도
1 27세/남자 +++ +++ 기존의 소화불량개선
2 41세/남자 ++ +++ 속쓰림개선
3 51세/남자 +++ ++ 가스참해소
4 53세/여자 ++ ++ 소화력개선
5 53세/여자 ++ +++ 소화력개선
6 45세/여자 +++ ++ 변이 묽어짐
7 27세/여자 ++ ++ 변비해소
8 19세/여자 + + 변화미약
9 25세/여자 + + 변화미약
10 26세/여자 + + 소화는 좀 되는 듯함
11 29세/여자 ++ +++ 소화력개선
12 36세/여자 +++ +++ 소화력개선
+++: 매우 효과있음
++ : 효과있음
+ : 효과가 없거나 미약
<실험예 5 노화의 정도 측정>
상기 실험예1에 따라 24일간 실시예2의 조성물을 복용시킨 후 피험자들의 피부 노화의 정도에 대해 측정하였다. 얼굴의 피부 탄력을 측정할 수 있는 큐토미터(Cutometer SEM 474:Skin Elasticity Meter,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험자들의 얼굴 부위의 탄력을 측정하여 복용 전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No. 연령/성별 피부 탄력 개선율(%)
1 27세/남자 +1.5
2 41세/남자 +1.2
3 51세/남자 +5.6
4 53세/여자 +6.2
5 53세/여자 +7.4
6 45세/여자 +5.8
7 27세/여자 +2.3
8 19세/여자 +5.2
9 25세/여자 +3.1
10 26세/여자 +9.4
11 29세/여자 +1.4
12 36세/여자 +2.7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피험자 모두에 있어서 체중 감량에도 불구하고 피부 탄력이 오히려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체중 감소로 인한 피부 탄력 저하를 예방하는 수준을 넘어서, 오히려 피부 탄력 개선의 효과까지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실험예 6: 동물시험 데이터>
생후 12주령이고 체중이 380 내지 410g인 수컷 변종인 Sorague-Dawley 래트를 4개의 대조군과 8개의 실험군으로 나누고 상기 실시예2의 조성물을 4주간 아침 저녁으로 2g씩 하루 2회 경구 투여하였다. 체중은 1주 단위로 측정하였다. 래트의 배양 조건은 표준 조건 하에서 사육하였으며 온도가 조절된 사육실 내에서 12시간 밤/낮의 보통 사이클을 유지시켜 주었다. 먼저 대조군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하기 표의 수치는 래트의 체중(g)을 나타낸다.
1W 2W 3W 4W
제1대조군 417 427 435 446
제2대조군 370 382 393 405
제3대조군 404 415 424 436.5
제4대조군 412 425 431 440.5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투여하지 아니한 대조군의 경우 래트가 성장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체중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험군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1W 2W 3W 4W
제1실험군 412 393.5 389 381.5
제2실험군 384 380.5 371 368.5
제3실험군 383 381 375.5 373
제4실험군 403 403.9 401 396
제5실험군 380 373.5 369 361
제6실험군 408 408 409 409.5
제7실험군 399 396 388.5 382
제8실험군 411 409.5 401 391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성장하는 연령의 래트임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투여 결과 체중이 차츰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은 체중 감소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상기 표의 결과는 도 1에 그래프로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은 특정 농도의 마황을 함유함으로써 에페드린의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면서도 충분한 체중감소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중 조절 효과와 더불어, 동양인 특유의 체질을 고려하여 소화를 증진시켜 주며 숙변을 제거하고 배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중 감소에 따른 노화를 방지하여 피부 탄력을 강화시키고 주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유효성분으로서 마황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로서, 상기 마황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4 내지 8중량%이며, 상기 조성물은 소화기능 증진용 생약 혼합물 및 항산화 기능의 생약 혼합물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기능 증진용 생약 혼합물은 창출, 산사, 택사 및 결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기능의 생약 혼합물은, 상엽, 괴화, 단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미자 및 감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5. 유효성분으로서 에페드린을 전체 조성물 중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0.016 내지 0.144중량%를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페드린의 유효량이 성인 기준 0.22 내지 0.44mg/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4 내지 8중량%의 마황을 함유함으로써 상기 에페드린을 함유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창출, 산사, 택사, 구기자, 괴화, 상엽, 결명자, 단삼, 마황, 오미자 및 감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창출을 15 내지 19중량%, 산사, 택사 및 구기자를 각각 9 내지 13중량%, 괴화, 상엽, 결명자 및 단삼을 각각 7 내지 11중량%, 마황을 4 내지 8중량%, 오미자 및 감초를 각각 2 내지 6중량%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생약 건조 혼합물 또는 상기 생약 건조 혼합물의 수용액 추출물인 액상 형태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
  11. 제9항에 따른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 조절용 키트는,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15 내지 19중량%의 창출, 각각 9 내지 13중량%의 산사, 택사 및 구기자, 각각 7 내지 11중량%의 괴화, 상엽, 결명자 및 단삼, 각각 2 내지 6중량%의 오미자 및 감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요요현상 방지용 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요현상 방지용 환제는 제9항에 따른 체중 조절용 생약 조성물을 모두 복용한 후에 복용하도록 지시하는 안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 조절용 키트.
KR10-2003-0038371A 2003-06-13 2003-06-13 체중 감소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소용 키트 KR100514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371A KR100514132B1 (ko) 2003-06-13 2003-06-13 체중 감소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소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371A KR100514132B1 (ko) 2003-06-13 2003-06-13 체중 감소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소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544A true KR20040107544A (ko) 2004-12-21
KR100514132B1 KR100514132B1 (ko) 2005-09-09

Family

ID=3738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371A KR100514132B1 (ko) 2003-06-13 2003-06-13 체중 감소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소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1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1546A2 (de) * 2006-12-13 2008-06-19 Henkel Ag & Co. Kgaa Verwendung von styphnolobium
WO2008146955A1 (en) * 2007-04-19 2008-12-04 Dong-Eui Educational Foundation Compositions for suppressing obesity
KR20170116922A (ko) * 2016-04-12 2017-10-20 정대진 변비개선용 한방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32417A1 (ko) * 2017-12-29 2019-07-04 주식회사 누베베 사상의학에 따라 처방 가능한 한약 비만치료 태블릿 제제
WO2019132416A1 (ko) * 2017-12-29 2019-07-04 주식회사 누베베 사상의학에 따라 처방 가능한 한약 비만치료 태블릿 제제의 제조방법
KR20190082076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누베베 사상의학에 따라 처방가능한 한약 비만치료 타블릿 제제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1546A2 (de) * 2006-12-13 2008-06-19 Henkel Ag & Co. Kgaa Verwendung von styphnolobium
WO2008071546A3 (de) * 2006-12-13 2009-07-23 Henkel Ag & Co Kgaa Verwendung von styphnolobium
WO2008146955A1 (en) * 2007-04-19 2008-12-04 Dong-Eui Educational Foundation Compositions for suppressing obesity
KR100888068B1 (ko) * 2007-04-19 2009-03-11 학교법인 동의학원 비만 억제용 조성물
EP2155220A4 (en) * 2007-04-19 2011-04-20 Dong Eui Educational Foundation ANTI-OBESITY COMPOSITIONS
US8404282B2 (en) 2007-04-19 2013-03-26 Dong-Eui Educational Foundation Compositions for suppressing obesity
KR20170116922A (ko) * 2016-04-12 2017-10-20 정대진 변비개선용 한방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32416A1 (ko) * 2017-12-29 2019-07-04 주식회사 누베베 사상의학에 따라 처방 가능한 한약 비만치료 태블릿 제제의 제조방법
WO2019132417A1 (ko) * 2017-12-29 2019-07-04 주식회사 누베베 사상의학에 따라 처방 가능한 한약 비만치료 태블릿 제제
KR20190082076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누베베 사상의학에 따라 처방가능한 한약 비만치료 타블릿 제제
KR20190082075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누베베 사상의학에 따라 처방가능한 한약 비만치료 타블릿의 제조방법
CN111511354A (zh) * 2017-12-29 2020-08-07 努贝贝有限公司 可根据四象医学开处方的肥胖治疗韩药片剂
JP2021508721A (ja) * 2017-12-29 2021-03-11 ヌベベ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Nubebe Co.,Ltd. 四象医学により処方可能な韓方薬肥満治療タブレット製剤の製造方法
JP2021509112A (ja) * 2017-12-29 2021-03-18 ヌベベ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Nubebe Co.,Ltd. 四象医学により処方可能な韓方薬肥満治療タブレット製剤
US11395806B2 (en) 2017-12-29 2022-07-26 Nubebe Co., Ltd. Herbal medicinal tablet formulation for treating obesity which can be prescribed based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US11484514B2 (en) 2017-12-29 2022-11-01 Nubebe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an herbal medicinal tablet formulation for treating obesity which can be prescribed based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4132B1 (ko) 200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lkarni et al. Indian gooseberry (Emblica officinalis): Complete pharmacognosy review
US829328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lumbar disc herni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4958646A (zh) 一种润肠通便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30063074A (ko) 당뇨병과 당뇨합병증의 혈당 혈압 저하작용 조성물
CN104524146A (zh) 一种预防和辅助治疗“三高症”中药组合物及其应用
KR100514132B1 (ko) 체중 감소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소용 키트
CN104667240A (zh) 治疗高血压,高血脂,高血糖的中药茶及其制备方法
KR20020012436A (ko) 변비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TW202330006A (zh) 氣虛及/或血虛相關症狀之預防、改善或緩和用之組合物
CN100518765C (zh) 一种中药复方制剂
CN105687788A (zh) 一种软化血管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10538308B (zh) 一种生发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332390A (zh) 一种补肝肾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522176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CN104857121A (zh) 一种治疗高血脂症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100504124B1 (ko) 비만억제용 조성물
CN104258224A (zh) 一种治疗肺肾阴虚型慢性支气管炎的五味子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13577137B (zh) 一种治疗痤疮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186799A (zh) 地骨五加散及制备方法
KR102217303B1 (ko)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CN105233093A (zh) 一种治疗胃下垂的中药片剂
CN117244028A (zh) 一种用于酒精性肝病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4533835A (zh) 一种具有芳香、祛风利湿功效的药物及其制备方法
WO2023189035A1 (ja) 腎精不足に伴う皮膚、毛髪及び爪の症状又は状態の予防、改善又は緩和のための組成物
TW202333761A (zh) 用於預防、改善或緩和痰濕相關症狀之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